KR101633780B1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780B1
KR101633780B1 KR1020140031815A KR20140031815A KR101633780B1 KR 101633780 B1 KR101633780 B1 KR 101633780B1 KR 1020140031815 A KR1020140031815 A KR 1020140031815A KR 20140031815 A KR20140031815 A KR 20140031815A KR 101633780 B1 KR101633780 B1 KR 101633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heat dissipation
tube
dissipation block
out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690A (ko
Inventor
김각중
정재화
송치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1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780B1/ko
Priority to US15/128,692 priority patent/US20170115013A1/en
Priority to PCT/KR2015/002620 priority patent/WO2015142047A1/en
Priority to EP15765203.3A priority patent/EP3126750A4/en
Priority to CN201580025667.XA priority patent/CN106461243A/zh
Publication of KR20150108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4Cooling of electric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24F1/58Separate protective covers for outdoor units, e.g. solar guards, snow shields or camoufl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발열소자와 접촉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된 방열블록와; 냉매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방열블록에 연결된 냉매튜브를 포함하여, 냉매튜브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냉매유로의 전체 면적이 열교환면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방열 성능이 높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 발열소자가 냉매에 의해 냉각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공기를 처리하여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크게 일체형(window type)과 분리형(seperate type 또는 split type)이 있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열교환기와 실내 송풍기을 포함하는 실내기와,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와 실외 송풍기를 포함하는 실외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압축기나 실외 송풍기 등의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은 전장박스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공기를 전장박스 내부를 유입시킨 후 배출시킬 경우, 실외공기가 전장박스 내부를 방열시킬 수 있고,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전장박스 내부를 공랭식으로 냉각시키는 경우, 실외온도변화에 따라 효율적인 온도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매를 이용하여 전장박스를 내부를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냉매가 통과하는 열교환기를 전장박스에 설치하여 전장박스 내부를 냉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KR 10-1324935 B1(2013.11.01)
본 발명은 전장박스의 발열소자를 방열시키기 위한 냉매튜브의 재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접촉 열저항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발열소자와 접촉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된 방열블록과; 상기 냉매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방열블록에 연결된 냉매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냉매유로는 상기 방열블록의 일면과 타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유로는 상기 방열블록의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매튜브는 상기 냉매유로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복수개의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튜브는 그 각각의 일부가 상기 냉매유로로 내삽될 수 있다.
상기 냉매유로는 상기 방열블록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튜브는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냉매를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다른 하나로 안내하는 리턴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턴 튜브는 상기 방열블록과 재질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튜브는 상기 방열블록과 재질이 동일한 제1튜브와, 상기 방열블록과 재질이 상이한 제2튜브로 구성된 이종접합 튜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튜브는 상기 방열블록과 접합될 수 있다.
상기 냉매유로는 상기 방열블록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종접합 튜브는 복수개가 방열블록과 접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이종접합 튜브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하나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이종접합 튜브 중 다른 하나는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발열소자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된 전장박스와; 상기 발열소자와 접촉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되며 알루미늄 재질인 방열블록과; 상기 냉매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방열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냉매유로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복수개의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튜브는 상기 냉매유로와 연통되고 알루미늄 재질인 제1튜브와, 상기 제1튜브와 접합되고 구리 재질인 제2튜브로 구성된 이종접합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튜브는 그 각각의 일부가 상기 냉매유로로 내삽될 수 있다.
상기 냉매유로는 상기 방열블록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튜브는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냉매를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다른 하나로 안내하고 알루미늄 재질인 리턴 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종접합 튜브는 복수개가 방열블록과 접합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이종접합 튜브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하나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이종접합 튜브 중 다른 하나는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은 복수개의 냉매유로를 갖는 방열블록을 알루미늄 압출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냉매유로를 연결하는 알루미늄재질의 리턴 튜브를 상기 방열블록에 용접하는 단계와; 알루미늄재질의 제1튜브와 구리재질의 제2튜브가 접합된 이종접합튜브 중 제1튜브를 상기 냉매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방열블록과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제2튜브를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냉매배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냉매튜브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냉매유로의 둘레 전체 면적이 열교환 면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 방열 성능이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냉매튜브의 일부 및 방열블록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경량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을 낮출 수 있고, 구리 재질의 연결튜브가 방열블록에 직접 접합될 경우 보다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모듈이 확대 도시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모듈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모듈과 전장박스가 도시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모듈과 전장박스가 도시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모듈이 확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모듈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모듈과 전장박스가 도시된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일실시예의 방열모듈과 전장박스가 도시된 종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실외기 바디(2)와, 압축기(4)와, 실외열교환기(6)와, 실외 송풍기(8)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액관 및 기관으로 연결될 수 있고, 냉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구비된 실내열교환기를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에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팽창기구는 전자팽창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실외공기가 실외기 바디(2)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I)가 형성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실외열교환기(6)와 열교환된 공기가 실외기 바디(2)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O)가 형성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실외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베이스(11)와, 베이스(11)에 설치된 캐비닛 바디(12)(13)(14)와, 캐비닛 바디(12)(13)(14)에 설치된 탑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실외기 내부를 개폐하는 실외기 커버(16)(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프레임(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 바디(12)(13)(14)에는 공기흡입구(I)가 형성될 수 있고, 캐비닛 바디(12)(13)(14)는 실외공기가 실외기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바디가 될 수 있다. 실외기 바디(2)는 공기흡입구(I)가 복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 바디(12)(13)(14)는 복수개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캐비닛 바디(12)(13)(14)는 좌측 실외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좌측 바디(12)와, 리어 실외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리어 바디(13)와, 우측 실외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우측 바디(1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디(13)는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캐비닛 바디(12)(13)(14)는 열교환기(6)를 마주보는 부분에 공기흡입구(I)가 형성된 흡입그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 바디(12)(13)(14)는 실외 송풍기(8)를 마주보는 부분이 판부로 형성될 수 있다.
탑 커버(15)에는 공기토출구(O)가 형성될 수 있고, 탑 커버(15)는 실외공기가 실외기 외부로 토출되기 위해 통과하는 토출바디가 될 수 있다. 탑 커버(15)는 캐비닛(12)(13)(14)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탑 커버(15)는 실외기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탑 커버(15)에는 실외 송풍기(8)가 설치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베이스(11)와 캐비닛 바디(12)(13)(14)와 프레임(18)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될 수 있고, 실외기 커버(16)(17)는 실외기의 서비스시 작업자가 분리,장착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기 커버(16)(17)는 단수개 또는 복수개가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의 사이를 차폐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실외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적어도 하나가 후술하는 전장박스(40)의 전방을 가리게 배치될 수 있다. 실외기 커버(16)(17)는 적어도 어느 하나(16)가 전장박스(40)의 전방을 가리는 서비스 커버(16)일 수 있다. 작업자는 전장박스(40)의 서비스시 서비스 커버(16)를 분리한 후 전장박스(40)를 실외기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서비스 커버(16)가 분리된 상태에서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 사이를 통해 실외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프레임(18)은 실외기 바디(2)를 지지할 수 있고, 실외기의 구성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18)은 실외기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8)은 실외기에 수평하게 배치된 수평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8)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복수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실외 송풍기(8)의 하부와 실외기 커버(16)(17)의 배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프레임(18)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좌우 프레임(18A)을 포함할 수 있다. 좌우 프레임(18A)은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좌우 프레임(18A)은 리어 바디(13)와 실외기 커버(16)(17) 사이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8)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후 프레임(18B)을 포함할 수 있다. 전후 프레임(18B)는 좌우 프레임(18A)에 연결될 수 있다. 전후 프레임(18B)은 복수개의 좌우 프레임을 연결할 수 있다. 전후 프레임(18B)은 복수개의 좌우 프레임(18A) 사이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냉방전용 공기조화기일 수 있고 이 경우, 압축기(4)에서 압축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와 실내열교환기(미도시)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4)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히트 펌프형 공기조화기일 수 있고, 이 경우 압축기(4)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방운전시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미도시)와 실내열교환기(미도시)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4)로 유입될 수 있고, 난방운전시 실내열교환기와 팽창기구(미도시)와 실외열교환기(6)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압축기(4)로 유입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 바디(2) 중 베이스(1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 커버(16)(17)를 분리하였을 때,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실외기 커버(16)(17) 중 더 하측에 위치하는 실외기 커버(17)를 분리하였을 때,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의 사이를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압축기(4)는 복수개가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4)는 적어도 하나가 운전 주파수 가변에 의해 속도가 가변되는 용량가변 압축기일 수 있고, 인버터 압축기일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실외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킬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실외기 바디(2) 중 베이스(11)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캐비닛 바디(12)(13)(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는 좌측 바디(12)를 마주보는 좌측 열교환부와 우측 바디(14)를 마주보는 우측 열교환부가 리어 바디(13)를 마주보는 리어 열교환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는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실외열교환기(6)는 좌측 바디(12)를 마주보는 좌측 열교환부와 리어 바디(13)를 마주보는 리어 열교환부가 절곡된 제1열교환기와, 우측 바디(14)를 마주보는 우측 열교환부와 리어 바디(13)를 마주보는 리어 열교환부가 절곡된 제2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기 바디(2)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공기를 실외열교환기(6)로 유동시킨 후 실외기의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기 바디(2)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기 바디(2) 중 탑 커버(15)에 설치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그 하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측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는 쉬라우드(8A)와, 모터(8C)와, 모터(8C)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블로워(8D)를 포함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모터(8C)가 프레임(18)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모터 마운터(8B)를 통해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8C)는 모터 마운터(8B)에 설치될 수 있고, 모터 마운터(8B)는 쉬라우드(8A)와, 탑 커버(15)와, 프레임(18)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될 수 있다. 쉬라우드(8A)는 탑 커버(15)와 프레임(18) 중 적어도 하나와 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실외 송풍기(8)는 실외기 바디(2)에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실외 송풍기(8)는 일부가 탑 커버(15)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토출그릴(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그릴(19)은 실외 송풍기(8) 또는 탑 커버(15)에 설치되어 실외 송풍기(8)를 보호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C)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C)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단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컨트롤러(C)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설치되어 압축기(4)나 실외 송풍기(8) 등의 각종 전기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C)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통신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설치된 실내 송풍기(미도시) 등의 각종 전기부품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C)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부품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장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전장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소자가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소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발열되는 발열소자(28)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발열소자(28)가 설치된 인쇄회로기판(30)과; 냉매가 통과하고 발열소자(28)와 접촉되는 방열모듈(50)을 포함한다. 방열모듈(50)은 발열소자(28)와 접촉되는 방열블록(52)과, 방열블록(52)과 연결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튜브(5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되는 전장박스(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소자(28)는 전장박스(40)의 후판(42)과 비접촉되게 인쇄회로기판(30)에 설치될 수 있다. 발열소자(28)는 인쇄회로기판(30)에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은 압축기(4)를 구동하는 전동기의 운전 주파수를 가변시키는 인버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은 인버터 압축기를 제어하는 인버터 드라이버일 수 있다. 인버터 구동 인쇄회로기판에는 지능형 전력 모듈(Intelligent Power Module, IPM) 등과 같이 발열량이 많은 발열소자(28)가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은 발열소자(28) 보다 크기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발열소자(28) 및 인쇄회로기판(30)을 포함하는 각종 전기부품을 보호한다. 전장박스(40)는 실외기 바디(2)에 장착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실외기 바디(2)에 장착될 수 있고, 그 서비스시 실외기 바디(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좌측 바디(12)와 우측 바디(14)와 서비스 커버(16)(17)와 프레임(18)과 실외 송풍기(8)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적어도 일부가 실외 송풍기(8)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인쇄회로기판(30)이 설치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실외기 커버(16)(17)를 마주보는 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후판(42)과, 후판(42)에 형성된 테두리(4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테두리(44)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30)은 테두리(44)의 내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은 전장박스(40)의 후판(42)에 설치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0)과 전장박스(40)의 사이에는 인쇄회로기판(30)을 전장박스(40)의 후판(42)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46)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장박스(40)는 방열블록(52)과 발열소자(28) 중 하나가 위치될 수 있는 개구부(47)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52)과 발열소자(28) 중 어느 하나는 개구부(47)를 관통하게 위치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압축기(4)와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 및 실내열환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냉동사이클 회로의 고온부와 저온부 중 저온부에 연결될 수 있고, 냉동사이클 회로의 저온부 냉매는 일부가 방열모듈(50)로 유동되어 방열모듈(50)을 통과할 수 있고, 방열모듈(50)을 통과하면서 발열소자(28)의 열을 흡열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적어도 일부가 발열소자(28)와 접촉되어 전도방식으로 발열소자(28)의 열을 흡열할 수 있고, 냉매가 발열소자(28)를 냉각시키는 냉매식 냉각 모듈일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되거나 팽창기구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유로(55)(56)가 형성될 수 있다. 냉매유로(55)(56)로 냉매가 통과할 때, 방열블록(52)은 별도의 추가적인 전열부재나 튜브 없이 냉매유로(55)(56)의 냉매와 직접 열교환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발열소자(28)와 접촉된 접촉부을 통해 발열소자(28)의 열을 흡열할 수 있고, 냉매유로(55)(56)를 통과하는 냉매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즉, 냉매와 발열소자(28)를 방열블록(52)을 통해 열교환할 수 있고, 방열블록(52)은 냉매와 발열소자(28)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부재일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발열소자(28)와 접촉되는 방열판일 수 있다. 냉매유로(55)(56)는 방열블록(52)의 일면(57과 타면(58) 사이에 방열블록(52)의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발열소자(28)와 면접촉되는 발열소자 면접촉면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일면(57)이 발열소자(28)를 마주볼 수 있고, 발열소자(28)를 마주보는 일면(57)은 발열소자(28)와 면접촉되는 발열소자 면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일부가 전장박스(40)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전장박스(40)의 외부에 위치되는 타면(58)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장박스(40)의 외부에 위치하는 타면(58)은 발열소자 면접촉면을 포함하는 일면(57)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일면(57)과 타면(58) 각각이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냉매유로(55)(56)는 발열소자(28)와 접촉되는 일면(57)과, 전장박스(40)의 외부에 위치되는 타면(58) 사이에 방열블록(52)의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냉매유로(55)(56)은 냉매유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의 단면 직경이 방열판(52)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냉매유로(55)(56)는 방열블록(52)의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단(55A)(56A)과 타단(55B)(56B)이 각각 개방될 수 있다. 방열판(52)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냉매유로(55)(56)는 방열블록(52)의 좌측단과 우측단을 가로지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냉매유로(55)(56)는 방열블록(52)의 좌측단과 우측단 사이에 방열블록(5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공일 수 있다.
냉매유로(55)(56)는 복수개가 방열블록(52)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유로(55)(56)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유로(55)(56)는 서로 합지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유로(55)(56)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유로(55)(56)는 둘 중 어느 하나(55)가 다른 하나(56) 보다 더 상측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유로(55)(56)는 둘 중 어느 하나(55)가 방열블록(52)의 상면(59A)에 더 가깝고, 둘 중 다른 하나가 방열블록(52)의 하면(59B)에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냉매유로(55)(56)는 방열블록(52)의 상면(59A)과 하면(59B)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알루미늄 재질은 알루미늄 재질이거나 알루미늄 합금 재질을 의미할 수 있다. 방열블록은 알루미늄 압출 가공된 알루미늄 방열판일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구리 재질로 제작되는 경우 보다 재료비가 저가일 수 있고, 경량화가 가능할 수 있다. 방열모듈(50)은 냉매와 발열소자(28)를 열교환시키는 부분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방열블록(52)이 구리재질인 경우 보다 저가일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실외기 바디(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방열블록(52)은 실외기 바디(2)에 직접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별도의 방열블록 마운터(60)를 통해 실외기 바디(2)에 위치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방열블록 마운터(60)는 실외기 바디(2)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방열블록 마운터(60)는 실외기 바디(2)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방열블록 마운터(60)는 실외기 바디(2) 중 프레임(18)에 설치될 수 있고, 실외기 바디(2) 중 수평 프레임(18A)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수단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1A)가 관통되는 체결부재 체결공(61B)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상부에 상부 돌출편(61C)이 형성될 수 있고, 하부에 하부 돌출편(61D)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상부 돌출편(61C)과 하부 돌출편(61D)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공(61B)이 형성될 수 있고, 방열블록(52)은 상부 돌출편(61C)와 하부 돌충편(61D) 중 적어도 하나가 방열블록 마운터(6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1A)로 체결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발열소자(28)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2A)로 체결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2A)가 체결되는 체결공(62B)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의 체결공(62B)은 냉매유로(55)(56) 이외에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의 체결공(62B)은 복수개 냉매유로(55)(56)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발열소자(28)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2A)가 관통되는 관통공(29)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62A)는 발열소자(28)의 관통공(29)을 관통하여 방열블록(52)의 체결공(62B)에 체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냉매가 유입되는 일단이 냉동 사이클 회로의 저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냉매가 유출되는 타단이 냉동 사이클 회로의 저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되거나 팽창기구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전장박스(40)의 외부 위치에서 방열블록(52)과 연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냉매유로(55)(56)에 연통되게 방열블록(52)과 연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일부가 냉매유로(55)(56)로 내삽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서로 이격되는 복수개의 튜브(63)(64)(6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튜브(63)(64)(65)는 그 각각의 일부가 냉매유로(55)(56)로 내삽될 수 있다. 복수개의 튜브(63)(64)(65)는 냉매유로(55)(56)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냉매유로(55)(56)는 복수개의 튜브(63)(64)(65)가 내삽되지 않는 영역이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튜브(63)(64)(65)가 내삽되지 않는 영역만큼 튜브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냉매유로(55)(56) 중 복수개의 튜브(63)(64)(65)가 내삽되지 않는 영역의 길이는 복수개의 튜브(63)(64)(65)가 내삽된 영역의 길이 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튜브(63)(64)(65)는 냉매유로(55)(56)로 내삽된 부분의 길이가 길수록 재료비가 증가될 수 있고, 복수개의 튜브(63)(64)(65) 중 냉매유로(55)(56)로 내삽된 부분의 길이는 냉매유로(55)(56) 전체 길이의 20% 미만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10% 미만이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튜브(63)(64)(65)는 이종접합 튜브(63)(6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종접합 튜브(63)(64)는 냉매유로(55)(56)와 연통되고 방열블록(52)과 재질이 동일한 제1튜브(66)와, 방열블록(52)과 재질이 상이한 제2튜브(68)로 구성될 수 있다. 이종접합 튜브(63)(64)는 냉매유로(55)(56)를 사이에 두고 후술하는 리턴 튜브(65)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튜브(66)는 방열블록(52)과 접합될 수 있다. 제1튜브(66)는 방열블록(52)과 재질이 동일할 수 있다. 제2튜브(68)는 방열블록(52)과 재질이 상이할 수 있다. 제1튜브(66)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제2튜브(68)는 구리 재질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구리 재질은 구리 재질과 구리 합금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튜브(66)와 제2튜브(68)는 일체로 접합된 상태에서 방열모듈(52)에 접합될 수 있고, 방열블록(52)과 재질이 동일한 제1튜브(66)와 방열블록(52)과 접합될 수 있다. 제1튜브(66)는 일단(66A)이 제2튜브(68)와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제1튜브(66)는 타단(66B)이 냉매유로(55)(56)로 삽입되어 방열블록(52)과 접촉될 수 있다. 방열블록(52)과 제1튜브(66)는 그 재질이 동일하기 때문에, 그 접촉부위의 부식을 최소화하면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이종접합 튜브(63)(64)는 복수개가 방열블록(52)과 접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이종접합 튜브(63)(64) 중 어느 하나(63)는 복수개의 냉매유로 (55)(56) 중 하나(55)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복수개의 이종접합 튜브(63)(64) 중 다른 하나(64)는 복수개의 냉매유로(55)(56) 중 다른 하나(56)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종접합 튜브(63)(64)는 한 쌍이 방열블록(52)과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이종접합 튜브(63)(64) 중 어느 하나가 방열블록(52)의 어느 하나 냉매유로(55)로 냉매를 안내하는 입구측 튜브(63)일 수 있고, 한 쌍의 이종접합 튜브(63)(64) 중 다른 하나가 방열블록(52)의 다른 하나 냉매유로(56)에서 유출된 냉매를 안내하는 출구측 튜브(64)일 수 있다.
복수개의 튜브(63)(64)(65)는 복수개의 냉매유로(55)(56) 중 어느 하나(55)를 통과한 냉매를 복수개의 냉매유로(55)(56) 중 다른 하나로 안내하는 리턴 튜브(65)를 포함할 수 잇다.
리턴 튜브(65)는 방열블록(52)에 접합될 수 있다. 리턴 튜브(66)는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단(65A)과 냉매가 유출되는 출구단(65B)이 서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고, 입구단(65A)과 출구단(65B) 사이가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형상일 수 있다. 리턴 튜브(65)는 입구단(65A)이 방열블록(52)의 어느 하나 냉매유로(55)로 내삽될 수 있고, 출구단(65B)이 방열블록(52)의 다른 하나 냉매유로(65)에 내삽될 수 있다. 리턴 튜브(65)는 냉매유로(55)(56)를 사이에 두고 이종접합 튜브(63)(64)와 이격될 수 있다. 리턴 튜브(65)는 입구단(65A)이 냉매유로(55)(56) 중 어느 하나(55)를 사이에 두고 입구측 튜브(63)과 이격될 수 있다. 리턴 튜브(65)는 출구단(65B)이 냉매유로(55)(56) 중 다른 하나(56)를 사이에 두고 출구측 튜브(64)과 이격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입구측 튜브(63)와 리턴 튜브(65)가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방열블록(52)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리턴 튜브(65)와 출구측 튜브(64)가 거리를 두고 떨어진 위치에서 방열블록(5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입구측 튜브(63)와 리턴 튜브(65) 사이의 거리만큼 냉매튜브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고, 리턴 튜브(65)와 출구측 튜브(64) 사의 거리만큼 냉매튜브의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리턴 튜브(65)는 입구단(65A) 및 출구단(65B)이 방열블록(52)로 내삽된 상태에서 방열블록(52)과 용접될 수 있다. 리턴 튜브(65)는 방열블록(52)과 재질이 동일할 수 있다. 방열블록(52)이 알루미늄 재질일 경우, 리턴 튜브(65)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방열블록(52)과 리턴 튜브(65)는 재질이 동일하기 때문에, 그 접촉부위의 부식을 최소화하면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에 한 쌍의 냉매유로(55)(56)가 형성될 경우, 리턴 튜브(65)는 한 쌍의 냉매유로(55)(56)를 연통시키게 설치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에는 짝수개의 냉매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리턴 튜브(65)는 2개의 냉매유로 당 1개가 설치될 수 있다.
냉매튜브(54)는 이종접합 튜브(63)(64)에 연결되는 연결튜브(80)(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튜브(80)(82)는 냉동사이클 회로의 저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튜브(80)(82)는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되거나 팽창기구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튜브(80)(82)는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 사이의 냉매배관 또는 팽창기구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의 냉매배관과 동일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 사이의 냉매배관과, 팽창기구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의 냉매배관은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튜브(80)(82)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튜브(80)(82)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고, 어느 하나(80)가 입구측 튜브(63)에 연결되는 입구측 연결튜브(80)일 수 있고, 다른 하나(82)가 출구측 튜브(64)에 연결되는 출구측 연결튜브(82)일 수 있다. 입구측 튜브(63)는 제2튜브(68)가 입구측 연결튜브(80)와 용접 접합될 수 있고, 입구측 튜브(63)의 제2튜브(68)는 입구측 연결튜브(80)와 같은 구리 재질이기 때문에, 그 접촉부위의 부식을 최소화하면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출구측 튜브(64)는 제2튜브(68)가 출구측 연결튜브(82)와 용접 접합될 수 있고, 출구측 튜브(64)의 제2튜브(68)는 출구측 연결튜브(82)와 같은 구리 재질이기 때문에, 그 접촉부위의 부식을 최소화하면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발열소자(28) 및 인쇄회로기판(30)은 공기조화기를 제어할 수 있고, 발열소자(28)에서는 열이 발생된다.
냉동 사이클 회로의 저온부를 통과하는 냉매는 냉매튜브(54)로 유입될 수 있다. 냉동 사이클 회로의 저온부를 통과하는 냉매는 입구측 연결튜브(80)를 통해 입구측 튜브(63)으로 유입되어 입구측 튜브(63)를 통과할 수 있고, 이후 방열블록(52)의 냉매유로(55)(56) 중 어느 하나(55)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는 냉매유로(55)(56) 중 어느 하나(55)를 통과하면서 방열블록(52)와 열교환될 수 있고, 방열블록(52)의 열을 1차적으로 흡열할 수 있다. 냉매는 냉매유로(55)(56) 중 어느 하나(55)를 통과한 냉매는 리턴 튜브(65)로 유입될 수 있고, 리턴 튜브(65)를 통과하여 냉매유로(55)(56) 중 다른 하나(56)로 유입될 수 있다. 냉매는 냉매유로(55)(56) 중 다른 하나(56)를 통과하면서 방열블록(52)과 열교환될 수 있고, 방열블록(52)의 열을 2차적으로 흡열할 수 있다. 냉매유로(55)(56) 중 다른 하나(56)를 통과한 냉매는 승온된 상태로 출구측 튜브(64)로 유입될 수 있고, 이후 출구측 연결튜브(82)를 통과하여 냉동 사이클 회로의 저온부로 유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은 발열소자(28)의 방열을 위한 방열모듈(50)을 제조하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냉매배관에 연결하는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하, 방열모듈(50)을 제조하여 공기조화기 실외기 냉매배관에 연결하는 단계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은 복수개의 냉매유로(55)(56)를 갖는 방열블록(52)을 알루미늄 압출가공하는 단계(S1; 방열블록 압출가공단계)를 포함한다.
방열블록(52)의 압출 가공시 냉매유로(55)(56)는 방열블록(52)에 방열블록(52)의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압출가공시 한 쌍의 냉매유로(55)(56)가 서로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압출가공시 일면(57)과 타면(58) 각각이 평면인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압출가공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이 압출 가공된 방열블록(52)을 리턴 튜브(65) 및 이종접합튜브(63)(64)와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리턴 튜브(65)는 복수개의 냉매유로(55)(56)를 연결하는 연결 튜브로서, 한 쌍의 냉매유로(55)(56)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냉매를 다른 하나로 안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리턴 튜브(65)는 알루미늄 재질의 방열블록(52)과 접합성을 위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종접합튜브(63)(64)는 한 쌍이 단수개의 방열블록(52)과 용접될 수 있다. 이종접합튜브(63)(64)는 둘 중 어느 하나(63)가 어느 하나의 냉매유로(55)에 연통되게 방열블록(52)과 용접될 수 있고, 둘 중 다른 하나(64)가 다른 하나의 냉매유로(66)와 연통되게 방열블록(52)과 용접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은 알루미늄재질의 리턴 튜브(65)가 복수개의 냉매유로(55)(56)에 연통되게 리턴 튜브(65)와 방열블록(52)을 용접함과 아울러 알루미늄재질의 제1튜브(66)와 구리재질의 제2튜브(68)가 접합된 이종접합튜브(63)(64)의 제1튜브(66)가 냉매유로(55)(56)에 연통되게 제1튜브(66)와 방열블록(52)을 용접하는 단계(S2)(S3)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은 리턴 튜브(65)와 방열블록(52)의 용접 단계(S2)와, 이종접합튜브(63)(64)와 방열블록(52)의 용접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은 리턴 튜브(65)와 방열블록(52)의 용접 단계(S2)가 먼저 실시된 후, 이종접합튜브(63)(64)와 방열블록(52)의 용접 단계(S3)가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반대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은 이종접합튜브(63)(64)와 방열블록(52)의 용접 단계(S3)가 먼저 실시된 후 리턴 튜브(65)와 방열블록(52)의 용접 단계(S2)가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은 리턴 튜브(65)와 방열블록(52)의 용접 단계(S2)와 이종접합튜브(63)(64)와 방열블록(52)의 용접 단계(S3)가 함께 실시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 순서에 한정되지 않고, 작업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그 순서가 선택될 수 있다.
편의상, 리턴 튜브(65)와 방열블록(52)의 용접 단계(S2)에 대해서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알루미늄재질의 리턴 튜브(65)는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단(65A)이 한 쌍의 냉매유로(55)(56) 중 어느 하나(55)에 내삽될 수 있고, 냉매가 유출되는 출구단(65B)이 한 쌍의 냉매유로(55)(56) 중 다른 하나(56)에 내삽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내삽된 상태에서 방열블록(52)과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이종접합튜브(63)(64)와 방열블록(52)의 용접 단계(S3)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 쌍의 이종접합튜브(63)(64) 중 어느 하나(63)는 방열블록(52)의 어느 하나 냉매유로(55)에 내삽된 후 방열블록(52)과 용접 접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종접합튜브(63)(64) 중 다른 하나(64)는 방열블록(52)의 어느 하나 냉매유로(56)에 내삽된 후 방열블록(52)과 용접 접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은 리턴 튜브(65)와, 한 쌍의 이종접합튜브(63)(64) 각각의 일부가 방열블록(52)에 내삽된 상태에서, 리턴 튜브(65)와, 한 쌍의 이종접합튜브(63)(64)와, 방열블록(52)가 용접 접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리턴 튜브(65)와 방열블록(52)과 이종접합튜브(63)(64)의 접합시, 리턴 튜브(65)와 방열블록(52)과 이종접합튜브(63)(64)는 일체화되어 하나의 방열모듈(50)을 구성할 수 있고, 이렇게 방열블록(52)과 리턴 튜브(65)와 이종접합튜브(63)(64)가 서로 접합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제조방법은 제2튜브(68)를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냉매배관에 연결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제2튜브(68)는 제1튜브(66)를 통해 방열블록(52)과 연결된 상태에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냉매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는 제2튜브(68)를 냉동사이클 회로 중 실외기에 위치하는 냉매배관에 연결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2튜브(68)를 냉동사이클 회로 중 저온부의 냉매배관에 연결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2튜브(68)를 실외열교환기(6)와 팽창기구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하거나 팽창기구와 실내열교환기 사이의 냉매배관에 연결할 수 있다. 방열블록(52)은 이종접합튜브(63)(64)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냉매배관에 연결될 수 있고, 냉동사이클 회로의 냉매 중 일부는 이종접합튜브(63)(64)를 통해 방열블록(52)으로 출입 가능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방열블록(50)이 냉동사이클 회로에 연결된 상태에서 전장박스(40)를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할 수 있고, 이때, 작업자는 전장박스(40)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30)의 발열소자(28)가 방열블록(52)의 일면(57)과 접촉되게 전장박스(4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장박스(40)의 장착시, 방열블록(52)은 발열소자(28)의 열을 흡열하여 냉매유로(55)(56)로 전달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냉매튜브(54)가 복수개의 알루미늄 재질 방열판과 연결되고, 냉매튜브(54)가 복수개의 방열판을 연결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방열판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그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2: 실외기 바디 4: 압축기
6: 실외열교환기 8: 실외 송풍기
28: 발열소자 30: 인쇄회로기판
40: 전장박스 50: 방열모듈
52: 방열블록 54: 냉매튜브
55,56: 냉매유로 63.64: 이종접합 튜브
65: 리턴 튜브

Claims (16)

  1. 일측 실외기 바디 측으로 개구된 일면을 가지는 전장박스와;
    상기 전장박스 내부에 설치되되,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발열소자가 상기 전장박스의 개구된 일면을 통하여 노출되게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실외기 바디에 방열블록 마운터를 매개로 상기 전장박스의 개구된 일면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발열소자의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상기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개구된 일면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반대면에서 상기 방열블록을 향하도록 상기 체결공에 체결되는 동작으로 상기 발열소자와 면접촉되고, 냉매가 통과하는 냉매유로가 형성되되 알루미늄 재질인 방열블록과;
    상기 냉매유로에 연통되게 상기 방열블록에 연결되고 상기 냉매유로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복수개의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튜브는 상기 냉매유로와 연통되고 알루미늄 재질인 제1튜브와, 상기 제1튜브와 접합되고 구리 재질인 제2튜브로 구성된 이종접합 튜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튜브는 그 각각의 일부가 상기 냉매유로로 내삽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유로는 상기 방열블록에 복수개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튜브는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냉매를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다른 하나로 안내하고 알루미늄 재질인 리턴 튜브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접합 튜브는 복수개가 방열블록과 접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종접합 튜브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하나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종접합 튜브 중 다른 하나는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는, 상기 방열블록과 접합되고,
    상기 냉매유로는 상기 방열블록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이종접합 튜브는 복수개가 상기 방열블록과 접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종접합 튜브 중 어느 하나는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하나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이종접합 튜브 중 다른 하나는 복수개의 냉매유로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15. 삭제
  16. 삭제
KR1020140031815A 2014-03-18 2014-03-18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633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815A KR101633780B1 (ko) 2014-03-18 2014-03-18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US15/128,692 US20170115013A1 (en) 2014-03-18 2015-03-18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PCT/KR2015/002620 WO2015142047A1 (en) 2014-03-18 2015-03-18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5765203.3A EP3126750A4 (en) 2014-03-18 2015-03-18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580025667.XA CN106461243A (zh) 2014-03-18 2015-03-18 空调的室外单元以及制造该室外单元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815A KR101633780B1 (ko) 2014-03-18 2014-03-18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90A KR20150108690A (ko) 2015-09-30
KR101633780B1 true KR101633780B1 (ko) 2016-06-27

Family

ID=5414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815A KR101633780B1 (ko) 2014-03-18 2014-03-18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15013A1 (ko)
EP (1) EP3126750A4 (ko)
KR (1) KR101633780B1 (ko)
CN (1) CN106461243A (ko)
WO (1) WO2015142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7214A (ja) * 2016-04-05 2017-10-12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冷却装置、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冷却装置の製造方法
JP6269717B2 (ja) * 2016-04-21 2018-01-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源ユニット
US10724748B2 (en) * 2016-07-22 2020-07-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apparatus
JP6639689B2 (ja) * 2016-09-16 2020-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
JPWO2019073535A1 (ja) * 2017-10-11 2020-02-27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1473A (ja) 2003-12-26 2005-07-14 Honda Motor Co Ltd 回路基板の冷却装置
JP2010002121A (ja) * 2008-06-19 2010-01-07 Daikin Ind Ltd 冷凍装置
WO2013161323A1 (ja) * 2012-04-27 2013-10-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0981A (en) * 1986-12-23 1988-01-26 American Standard Inc. Cooling of air conditioning control electronics
KR100893745B1 (ko) * 2007-04-03 2009-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80095628A (ko) * 2007-04-25 2008-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4471023B2 (ja) * 2008-06-12 2010-06-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488093B2 (ja) * 2008-07-24 2010-06-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238428B2 (ja) * 2008-09-24 2013-07-17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JP5257599B2 (ja) * 2008-11-14 2013-08-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却部材の取付構造
KR101130849B1 (ko) * 2009-09-08 2012-03-28 주식회사 한국번디 이종금속의 공정접합부 꺾임 방지 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122779A (ja) * 2009-12-11 2011-06-23 Toshiba Carrier Corp 冷凍サイクル装置
JP5310714B2 (ja) * 2010-12-28 2013-10-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金属管の接合構造及び熱交換器
KR20120135771A (ko) * 2011-06-07 2012-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24935B1 (ko) 2011-10-11 201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827577B1 (ko) * 2011-11-18 2018-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130090250A (ko) * 2012-02-03 2013-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1473A (ja) 2003-12-26 2005-07-14 Honda Motor Co Ltd 回路基板の冷却装置
JP2010002121A (ja) * 2008-06-19 2010-01-07 Daikin Ind Ltd 冷凍装置
WO2013161323A1 (ja) * 2012-04-27 2013-10-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690A (ko) 2015-09-30
US20170115013A1 (en) 2017-04-27
EP3126750A1 (en) 2017-02-08
EP3126750A4 (en) 2017-12-20
WO2015142047A1 (en) 2015-09-24
CN106461243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027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4471023B2 (ja) 空気調和機
US10429089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163378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및 그 제조방법
EP2040008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8413461B2 (en) Auxiliary cooling system
US20090137197A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WO2015004821A1 (ja) 恒温液循環装置
JP2010145054A (ja) 冷凍装置
CA2779517C (en) Microchannel coil manifold system
US20180010836A1 (en) Heat transfer unit
JP5071400B2 (ja) 電装品モジュール及び空気調和装置
CN211128758U (zh) 一种机柜
JP2019163878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452829B2 (ja) 室外機
KR20080070398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6394386B2 (ja) 冷凍装置
CN212179669U (zh) 散热换热器及半导体换热器及半导体空调
CN207778627U (zh) 空调机的室外机
KR101539391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111397422A (zh) 散热换热器及半导体换热器及半导体空调
KR20140139803A (ko) 공기 조화기
CN218301979U (zh) 一种电气盒散热结构及应用有该散热结构的吸油烟机
CN219607223U (zh) 空调装置
CN211087143U (zh) 一种散热式服务器箱体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