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034B1 -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034B1
KR101633034B1 KR1020090101149A KR20090101149A KR101633034B1 KR 101633034 B1 KR101633034 B1 KR 101633034B1 KR 1020090101149 A KR1020090101149 A KR 1020090101149A KR 20090101149 A KR20090101149 A KR 20090101149A KR 101633034 B1 KR101633034 B1 KR 101633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mmon electrode
substrate
concave pattern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463A (ko
Inventor
김규영
김보성
이윤구
정남옥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034B1/ko
Priority to US12/900,658 priority patent/US9239651B2/en
Priority to CN201010527757.8A priority patent/CN102043535B/zh
Publication of KR20110044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463A/ko
Priority to US14/965,123 priority patent/US983003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7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other printing techniques, e.g. letterpress printing, intaglio printing, lithographic printing, offset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기판은 베이스 기판, 공통 전극 및 배선 전극을 포함한다. 베이스 기판은 복수의 공통 전극 영역들을 갖는다. 공통 전극은 공통 전극 영역들 각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선들 및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전극선들을 갖는다. 배선 전극은 공통 전극들의 일단들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한다. 공통 전극과 배선 전극을 프린팅용 기판을 이용한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터치 기판, 공통 전극, 배선 전극,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

Description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TOUCH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신뢰성을 갖는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크린 상에 직접 어떠한 압력 또는 정전기를 가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은 일반적으로 공통 전극으로서 인듐-틴 옥사이드(Indium-tin Oxide: ITO) 투명 전극층이 코팅된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을 도트 스페이스를 사이에 두고 상기 투명 전극층이 마주보도록 합착시킨다. 상기 상부 기판의 투명 전극층이 상기 하부 기판의 투명 전극층과 접촉될 때, 상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전기적인 신호를 검출하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저항막 방식의 터치 스크린 패널을 제조하기 위해서, 공통 전극은 레이저 프린팅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공통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배선 전극은 실버(Ag)로 스크린 프린팅에 의해 형성되므로, 공정의 수가 증가해서, 공정이 복잡하게 된다.
또한, ITO의 공통 전극이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의 반복되는 접촉으로 인해 반복되는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터치 크랙(touch crack) 등을 발생시켜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ITO가 고가인 것도 전체적인 제조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신뢰성을 갖는 터치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터치 기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터치 기판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은 베이스 기판, 공통 전극 및 배선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은 복수의 공통 전극 영역들을 갖는다. 상기 공통 전극은 상기 공통 전극 영역들 각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선들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전극선들을 갖는다. 상기 배선 전극은 상기 공통 전극들의 일단들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 판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터치 기판의 제조 방법에서, 오목 패턴을 포함하는 프린팅용 기판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 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선들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인접한 상기 제1 전극선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전극선들을 갖는 공통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들의 일단들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배선 전극에 대응된다. 상기 프린팅용 기판에 금속 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오목 패턴 내에 형성된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이 블랑켓으로 전사된다. 상기 블랑켓에 형성된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이 베이스 기판으로 전사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 및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은 복수의 공통 전극 영역들을 갖는다.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공통 전극 영역들 각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선들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인접한 상기 제1 전극선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전극선들을 갖는 공통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들의 일단들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배선 전극을 갖는 터치 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따르면, 공통 전극과 배선 전극을 프린팅용 기판을 이용한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공정 수를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 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터치 기판을 I-I'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터치 패널(100) 및 표시 패널(900)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 패널(100)은 제1 터치 기판(200) 및 제2 터치 기판(4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터치 기판(200)은 제1 베이스 기판(210), 복수의 제1 공통 전극들(220) 및 복수의 제1 배선 전극들(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터치 기판(400)은 제2 베이스 기판(410), 복수의 제2 공통 전극들(420) 및 복수의 제2 배선 전극들(4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터치 기판(20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 터치 기판(400)은 상기 제1 터치 기판(200)의 상기 제1 공통 전극(220)의 배열 방향이 상이한 제2 공통 전극(420) 및 제2 배선 전극(43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1 터치 기판(2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 터치 기판(200)에 대해서만 설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터치 기판(200), 상기 제1 베이스 기판(210), 상기 제1 공통 전극(220) 및 상기 제1 배선 전극(230) 각각은 터치 기판(200), 베이스 기판(210), 공통 전극(220) 및 배선 전극(230)으로 표기한다.
상기 베이스 기판(210)은 유리, 플라스틱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등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베이스 기판(210)은 상기 제1 공통 전극들(220)이 형성된 터치 영역(TA) 및 상기 터치 영역(TA)에 인접하고, 상기 배선 전극들(230)이 형성된 비터치 영역(NTA)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220)은 복수의 제1 전극선들(221) 및 복수의 제2 전극선들(22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통 전극(220)은 제1 두께(H1)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선들(221) 및 제2 전극선들(222)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일변보다 짧은 2개의 제1 변들(223a) 및 상기 제1 변들(223a)보다 짧은 2개의 제2 변들(223b)에 의해 정의되는 공통 전극 영역(223) 내에 형성된다. 상기 공통 전극 영역(223)은 스트라이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전극 영역(223)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변들에 의해 정의되어, U자 형상, L자 형상일 수 있으며, 특정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전극선들(221)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선들(222)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2 전극선들(222)은 인접하는 복수의 제1 전극선들(221)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전극선들(221) 및 상기 제2 전극선들(222)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공통 전극(220)은 메쉬(mesh)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선들(221) 및 상기 제2 전극선들(222)이 상기 공통 전극(220)으로서 바람직한 면저항을 갖기 위해, 선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선들(221)과 상기 제2 전극선들(222)은 서로 교차되어 상기 표 시 패널(90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제1 투과 영역(t1)을 정의한다. 상기 제1 투과 영역(t1)은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투과 영역(t1)은 79% 이상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통 전극(220)은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gravure offset printing)에 의해 실버(Ag)로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공통 전극(220)은 상기 실버 이외의 다른 고저항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들(220)은 상기 베이스 기판의 장변 방향인 제3 방향(D3) 또는 단변 방향인 제4 방향(D4)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배선 전극(230)은 연결부(231) 및 배선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31)는 상기 공통 전극 영역(223)의 상기 제2 변들(223b)에 배치된 상기 제1 전극선들(222) 또는 상기 제2 전극선들(223)들과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231)는 상기 공통 전극(220)의 일단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선부(232)는 상기 연결부(2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통 전극(230)을 구동하는 터치 구동부(500)에 연결된다. 상기 배선 전극(230)은 상기 터치 구동부(50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상기 공통 전극(230)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배선 전극(230)은 제2 두께(H2)를 가진다. 상기 제2 두께(H2)는 상기 배선 전극(230)의 저항 값을 낮추기 위해 상기 공통 전극(230)의 제1 두께(H1)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선 전극(230)은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에 의해 실버(Ag)로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공통 전극(220)은 상기 실버 이외의 고저항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통 전극(220) 및 상기 배선 전극(230)은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에 의해 실버로 동시에 형성된다.
상기 표시 패널(900)은 복수의 단위 화소들(PP)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 화소들(PP)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 GL2, ..., GLn)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1, DL2, ..., DLm)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TR), 상기 스위칭 소자(TR)에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CLC)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900)은 표시 영역(DA)과 주변 영역(PA)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DA)에는 상기 단위 화소(PP)가 형성된 영역으로서, 상기 터치 패널(100)의 상기 터치 영역(TA)에 대응된다. 상기 주변 영역(PA)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 GL2, ..., GLn) 및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 DL2, ..., DLm)에 연결되어 상기 단위 화소(PP)를 구동하는 구동부 등이 형성된 영역으로서, 상기 터치 패널(100)의 상기 비터치 영역(NTA)에 대응된다. 상기 주변 영역(PA)은 상기 표시 기판(910)의 상기 표시 영역(DA)을 제외한 영역이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 GL2, ..., GLn)은 상기 표시 패널(900)의 장변 방향인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방향(D3)과 교차하는 제4 방향(D4)으로 배열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 DL2, ..., DLm)은 상기 제4 방향(D4)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 방향(D3)으로 배열된다. 여기서, 상기 제3 방향(D3)은 상기 제1 전극선들(221)의 연장 방향인 상기 제1 방향(D1)과 다른 방향이고, 상기 제4 방향(D4)은 상기 제3 방향(D4)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의 터치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프린팅용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은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을 위해,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용 기판(300, 이하 프린틴용 기판) 및 블랑켓(350, blanket)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에는 상기 공통 전극(220) 및 상기 배선 전극(230)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오목 패턴(310) 및 제2 오목 패턴(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랑켓(350)은 상기 공통 전극(220) 및 상기 배선 전극(230)을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으로부터 상기 터치 기판(200)으로 전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a을 참조하면, 프린팅용 기판(300) 위에 포토레지스트 물질의 포토레지스트 층(303)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303)이 형성된 프린팅용 기판(300) 위에 제1 마스크(MS1)를 배치한다. 상기 제1 마스크(MS1)는 광을 투과하는 투과부(P1)와 광을 차단하는 차단부(B1)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부(P1)는 상기 터치 기판(200)의 공통 전극(22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 마스크(MS1)를 이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303)을 패터닝하여 제1 포토 패턴(303a)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포토 패턴(303a)이 형성된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을 제1 식각 조건으로 식각한다. 상기 제1 포토 패턴(303a)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제1 깊이(D1)의 제1 오목 패턴(3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오목 패턴(310)은 상기 터치 기판(210)의 공통 전극(220)에 대응 하는 위치에 제1 깊이(D1)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오목 패턴(310)이 형성된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 상에 포토레지스트 물질의 포토레지스트 층(304)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304)이 형성된 프린팅용 기판(300) 상에 제2 마스크(MS2)를 배치한다. 상기 제2 마스크(MS2)는 광을 투과하는 투과부(P2)와 상기 광을 차단하는 차단부(P2)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부(P2)는 상기 터치 기판(200)의 배선 전극(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마스크(MS2)를 이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304)을 패터닝하여 제2 포토 패턴(304a)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4d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포토 패턴(304a)이 형성된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을 제2 식각 조건으로 식각한다. 상기 제2 포토 패턴(304a)이 형성된 나머지 영역에는 제2 깊이의 상기 제2 오목 패턴(3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식각 조건은 상기 제1 식각 조건과 다르게 설정되어 상기 제2 깊이는 상기 제1 깊이 보다 깊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식각 조건으로 식각 시간 또는 식각액 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오목 패턴(320)은 상기 터치 기판(210)의 배선 전극(2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2 깊이(D2)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오목 패턴(310)에 대응되는 상기 공통 전극(220)의 저항은 상기 제2 오목 패턴(320)에 대응되는 상기 배선 전극(230)의 저항보다 크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의 터치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실버 전사 공정을 설 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도 2 및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오목 패턴들이 형성된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 상에 롤러(360)를 배치한다. 상기 롤러(360)의 외주면에는 실버가 도포되어 있다.
도 2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 상에서 상기 롤러(36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롤러(360)의 외주면에 도포된 실버가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오목 패턴(310) 및 상기 제2 오목 패턴(320) 내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은 공통 전극(220)과 배선 전극(230)이 동일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저항을 가지므로, 상기 제1 오목 패턴(310) 및 상기 제2 오목 패턴(320)에 한 번의 공정으로 동시에 상기 실버를 도포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오목 패턴(310)의 제1 깊이(D1)에 대응되는 제1 두께(H1)를 갖는 공통 전극(220) 및 상기 제2 오목 패턴(320)의 제2 깊이(D2)에 대응되는 제2 두께(H2)를 갖는 배선 전극(230)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 상에 형성된 제1 오목 패턴(310) 및 상기 제2 오목 패턴(320)에 삽입된 상기 실버는 상기 제1 오목 패턴(310) 및 상기 제2 오목 패턴(320)의 형상에 따른 상기 공통 전극(220) 및 상기 배선 전극(230)이 된다.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 상에 상기 블랑켓(350)이 배치된다. 상기 블랑켓(350)의 전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 상의 상기 제1 오목 패턴(310) 및 상기 제2 오목 패턴(3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공통 전극(220) 및 상기 배선 전극(230)이 동시에 상기 블랑켓(350)으로 전사된다.
도 2 및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블랑켓(350) 상에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에 형성된 제1 오목 패턴(310)의 제1 깊이(D1)에 대응하는 상기 제1 두께(H1)를 갖는 공통 전극(220) 및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에 형성된 제2 오목 패턴(320)의 제2 깊이(D2)에 대응하는 상기 제2 두께(H2)를 갖는 배선 전극(230)이 형성된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2의 터치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전극 형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도 2 및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공통 전극(220) 및 상기 배선 전극(230)이 전사된 상기 블랑켓(350)은 상기 공통 전극(220) 및 상기 배선 전극(230)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 상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블랑켓(350)의 전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공통 전극(220) 및 상기 배선 전극(230)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으로 전사된다.
도2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블랑켓(350) 상의 상기 공통 전극(220) 및 상기 배선 전극(230)이 전사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210) 상에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의 제1 오목 패턴(310)의 제1 깊이(D1)와 동일한 제1 두께(H1)를 갖는 상기 공통 전극(220)과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의 제2 오목 패턴(320)의 상기 제2 깊이(D2)와 동일한 제2 두께(H2)를 갖는 상기 배선 전극(230)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기판(210) 상의 배선 전극(230)의 제2 두께(H2)가 상기 공통 전극(220)의 제1 두께(H1)보다 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 전극과 배선 전극을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에 의해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함으로써, 공정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공통 전극(220a) 및 배선 전극(230a) 각각이 서로 다른 저항을 갖는 제1 금속 물질 및 제2 금속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2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A)은 베이스 기판(210), 복수의 공통 전극들(220a) 및 복수의 배선 전극들(230a)을 포함한다.
상기 공통 전극(220a)은 복수의 제1 전극선들(221a) 및 복수의 제2 전극선들(22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220a)은 제3 두께(H3)를 갖는다. 상기 공통 전극(220a)은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gravure offset printing)에 의해 제1 저항을 갖는 제1 금속 물질(MT1)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선들(221)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2 전극선들(222)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2 전극선들(222)은 인접하는 복수의 제1 전극선들(221)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전극선들(221) 및 상기 제2 전극선들(222)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상기 공통 전극(220)은 메쉬(mesh)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선들(221) 및 상기 제2 전극선들(222)이 상기 공통 전극(220)으로서 바람직한 면저항을 갖기 위해, 선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230a)은 연결부(231a) 및 배선부(232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선 전극(230a)은 상기 공통 전극(220a)의 두께와 동일한 상기 제3 두께(H3)를 갖는다.
상기 공통 전극(220a)과 상기 배선 전극(230a)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는 대신에, 상기 배선 전극(230a)은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에 의해 상기 제1 저항보다 작은 제2 저항을 갖는 제2 금속 물질(MT2)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터치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프린팅용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A)은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을 위해, 제1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용기판(301a, 이하 제1 프린팅용 기판), 제2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용 기판(301b, 이하 제2 프린팅용 기판), 제1 블랑켓(370a) 및 제2 블랑켓(370b)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린팅용 기판(301a 및 301b) 각각에는 상기 공통 전극(220a) 및 상기 배선 전극(230a)에 대응되는 제1 오목 패턴(310a) 및 제2 오목 패턴(310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블랑켓(370a)은 상기 공통 전극(220a)을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으로부터 상기 터치 기판(200A)의 베이스 기판(210)으로 전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블랑켓(370b)은 상기 배선 전극(230a)을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으로부터 상기 터치 기판(200A)의 베이스 기판(210)으로 전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 상에 포토레지스트 물질의 포토레지스트 층(303)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303)이 형성된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 상에 제3 마스크(MS3)를 배치한다. 상기 제3 마스크(MS3)는 광을 투과하는 투과부(P1)와 상기 광을 차단하는 차단부(B1)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부(P1)는 상기 터치 기판(200A)의 공통 전극(220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3 마스크(MS3)를 이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303)을 패터닝하여 제1 포토 패턴(303a)을 형성한다.
도 7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포토 패턴(303a)이 형성된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을 제3 식각 조건으로 식각한다. 상기 제1 포토 패턴(303a)이 형성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는 제3 깊이(D3)의 제1 오목 패턴(31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오목 패턴(310a)은 상기 상기 터치 기판(210)의 공통 전극(220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3 깊이(D3)로 형성된다.
도 7 및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 상에 포토레지스트 물질의 포토레지스트 층(304)을 형성한다.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304)이 형성된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 상에 제4 마스크(MS4)를 배치한다. 상기 제4 마스크(MS4)는 광을 투과하는 투과부(P2)와 상기 광을 차단하는 차단부(B2)를 포함하고, 상기 투과부(P2)는 상기 터치 기판(200A)의 배선 전극(230a)에 대응하는 위치 에 배치된다.
상기 제4 마스크(MS4)를 이용하여 상기 포토레지스트 층(304)을 패터닝하여 제2 포토 패턴(304a)을 형성한다.
도 7 및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포토 패턴(304a)이 형성된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을 제3 식각 조건으로 식각한다. 상기 제2 포토 패턴(304a)이 형성된 나머지 영역에는 제2 깊이의 상기 제2 오목 패턴(32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오목 패턴(320a)은 상기 상기 터치 기판(210A)의 배선 전극(230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3 깊이(D3)로 형성된다.
상기 제1 오목 패턴(310a) 및 상기 제2 오목 패턴(320a)이 동일한 제3 깊이(D3)를 가지므로, 상기 제1 오목 패턴(310a) 및 상기 제2 오목 패턴(320a) 각각의 식각 조건은 동일하다.
도 9a 내지 도 9g는 도 7의 터치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실버 전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도 7 및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오목 패턴(310a)이 형성된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 상에 롤러(360)를 배치한다. 상기 롤러(360)의 외주면에는 제1 금속 물질(MT1)이 도포되어 있다.
도 7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 상에서 상기 롤러(36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롤러(360)의 외주면에 도포된 상기 제1 금속 물질(MT1)이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오목 패턴(310a)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오목 패턴(310a) 내에 삽입된 상기 제1 금속 물 질(MT1)는 상기 터치 기판(200A)의 공통 전극(220a)이 된다.
도 7 및 도 9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 상에 형성된 제1 오목 패턴(310a)에 삽입된 상기 제1 금속 물질(MT1)은 상기 제1 오목 패턴(310a)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공통 전극(220a)이 된다.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 상에 상기 제1 블랑켓(370a)을 배치하고, 상기 제1 블랑켓(370a)의 전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 상의 상기 제1 오목 패턴(310a)에 대응되는 공통 전극(220a) 상기 제1 블랑켓(370a)으로 전사된다.
도 7 및 도 9d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블랑켓(370a) 상에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에 형성된 제1 오목 패턴(310)의 제3 깊이(D3)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두께(H3)를 갖는 공통 전극(220)이 형성된다.
도 7 및 도 9e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오목 패턴(320a)이 형성된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 상에 롤러(360)를 배치한다. 상기 롤러(360)의 외주면에는 제2 금속 물질(MT2)이 도포되어 있다.
도 7 및 도 9f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b) 상에서 상기 롤러(36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롤러(360)의 외주면에 도포된 상기 제2 금속 물질(MT2)이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 상에 형성된 상기 제2 오목 패턴(320a)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오목 패턴(320a) 내에 삽입된 상기 제2 금속 물질(MT1)은 상기 터치 기판(200A)의 배선 전극(230a)이 된다.
도 7 및 도 9g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 상에 형성된 상기 제2 오목 패턴(320a)에 삽입된 상기 제2 금속 물질(MT2)은 상기 제2 오목 패 턴(320a)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배선 전극(230a)이 된다.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2b) 상에 상기 제2 블랑켓(370b)을 배치하고, 상기 제2 블랑켓(370b)의 전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 상의 상기 제2 오목 패턴(320a)에 대응되는 상기 배선 전극(230a)이 상기 제2 블랑켓(370b)으로 전사된다.
도 7 및 도 9g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블랑켓(370b)은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에 형성된 상기 제2 오목 패턴(320a)의 제3 깊이(D3)에 대응하는 상기 제3 두께(H3)를 갖는 배선 전극(230)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A)은 공통 전극(220a)과 배선 전극(230a)이 동일한 두께를 갖는 반면, 서로 다른 저항을 갖는 서로 다른 금속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 상에 형성된 상기 제1 오목 패턴(310a)에 상기 제1 금속 물질(MT1)을 도포하고,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 상에 형성된 상기 제2 오목 패턴(320a)에 상기 제2 금속 물질(MT2)을 도포한다.
상기 제1 금속 물질(MT1) 및 상기 제2 금속 물질(MT2)은 실버(Ag)를 포함하고 있는 금속으로서, 실버(Ag) 또는 실버 합금일 수 있다.
도 10a 내지 10d는 도 7의 터치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전극 형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도 8b 및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공통 전극(220a)이 전사된 상기 제1 블랑켓(370a)은 상기 공통 전극(220a)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a) 상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블랑켓(370a)의 전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공통 전 극(220a)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으로 전사된다.
도 8b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블랑켓(370a) 상의 상기 공통 전극(220a)이 전사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210) 상에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의 제1 오목 패턴(310a)의 제3 깊이(D3)에 대응되는 제3 두께(H3)를 갖는 상기 공통 전극(220a)이 형성된다.
도 8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상기 배선 전극(230a)이 전사된 상기 제2 블랑켓(370b)은 상기 배선 전극(230a)이 상기 베이스 기판(210a) 상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베이스 기판(210a)에는 도 10a 및 도 10b에 따라, 상기 공통 전극(22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블랑켓(370b)의 전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면, 상기 배선 전극(230a)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a)으로 전사된다.
도 8b 및 도 10d를 참조하면, 상기 블랑켓(370b) 상의 상기 배선 전극(230a)이 전사되어, 상기 베이스 기판(210) 상에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의 제2 오목 패턴(320a)의 제3 깊이(D3)에 대응되는 제3 두께(H3)를 갖는 상기 배선 전극(230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통 전극(220a)은 상기 배선 전극(230a)과 서로 다른 금속 물질로 형성되지만, 상기 공통 전극(220a)의 두께(D3)는 상기 배선 전극(230a)의 두께(D3)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 전극과 배선 전극을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으로 형성함으로써, 공정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공통 전극이 도 2의 실시예의 공통 전극(220)과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도 2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 및 도 11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터치 기판(200B)은 베이스 기판(210), 복수의 공통 전극들(220b) 및 복수의 배선 전극들(230b)을 포함한다.
상기 공통 전극(220b)은 복수의 제1 전극선들(221b) 및 복수의 제2 전극선들(222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전극(220b)은 제1 두께(H1)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선들(221b) 및 제2 전극선들(222b)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일변보다 짧은 2개의 제1 변들(223a) 및 상기 제1 변들(223a)보다 짧은 2개의 제2 변들(223b)에 의해 정의되는 공통 전극 영역(223)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통 전극 영역(223)은 스트라이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전극 영역(223)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변들에 의해 정의되어, U자 형상, L자 형상일 수 있으며, 특정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전극선들(221b)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2 전극선들(222b)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D1)으로 배열되어, 인접하는 두 개의 제1 전극선들(221b)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선들(221b)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전극선들은 동일한 두 개의 제1 전극선들을 연결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전극선들(222b) 각각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인접하 는 상기 제2 전극선들(222b)에 대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소정 간격 시프트(shift)된다. 즉, 상기 제2 전극선들(222b) 각각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2 전극선들(222b)과 연결되지 않는다. 반면, 상기 제2 전극선들(222b) 각각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인접하는 상기 제2 전극선들(222b)과 인접하는 상기 제1 전극선들(221b)을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전극선들(221b) 및 상기 제2 전극선들(222b)은 200Ω/sq 정도의 면저항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극선들(221b)과 상기 제2 전극선들(222b)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90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제2 투과 영역(t2)이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 투과 영역(t2)은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투과 영역(t2)은 상기 제1 전극선(221b)의 일부를 일변으로서 공유하는 인접하는 제2 투과 영역(t2)과 지그재그 배치된다.
즉, 상기 제2 투과 영역(t2)은 두 개의 제1 전극선들(221b)을 장변들로 하여 상기 제1 전극선들(221b) 각각은 대향되고, 두 개의 제2 전극선들(222b)을 단변들로 하여 상기 제2 전극선들(222b) 각각은 대향되어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투과 영역(t2)과 상기 장변들 중 하나를 공유하는 상기 인접하는 제2 투과 영역(t2)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시프트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투과 영역(t2)은 도 2의 실시예의 제1 투과 영역(t1)에 비해 그 면적이 넓으므로, 상기 제1 투과 영역(t1)보다 큰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230)은 연결부(231) 및 배선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1)는 상기 공통 전극 영역(223)의 상기 제2 변들(223b)에 배치된 상기 제1 전극선들(221b) 또는 상기 제2 전극선들(222b)들과 직접 연결된다. 상기 배선부(232)는 상기 연결부(2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통 전극(220b)을 구동하는 터치 구동부(5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230b)은 상기 터치 구동부(50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상기 공통 전극(230)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배선 전극(230)은 제2 두께(H2)를 갖는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B)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B)은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을 위해,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용 기판(300) 및 블랑켓(35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에는 상기 공통 전극(220b) 및 상기 배선 전극(230b)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오목 패턴(310) 및 제2 오목 패턴(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랑켓(350)은 상기 공통 전극(220b) 및 상기 배선 전극(230b)을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으로부터 상기 터치 기판(200B)의 상기 베이스 기판(210)으로 전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B)을 제조하는 방법이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의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B)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 판(200A)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상기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을 위해, 제1 프린팅용 기판(301a), 제2 프린팅용 기판(301b), 제1 블랑켓(370a) 및 제2 블랑켓(370b)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린팅용 기판(301a 및 301b) 각각에는 상기 공통 전극(220b) 및 상기 배선 전극(230b)에 대응되는 제1 오목 패턴(310a) 및 제2 오목 패턴(310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블랑켓(370a)은 상기 공통 전극(220b)을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으로부터 상기 터치 기판(200B)의 베이스 기판(210)으로 전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블랑켓(370b)은 상기 배선 전극(230b)을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으로부터 상기 터치 기판(200B)의 베이스 기판(210)으로 전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B)을 제조하는 방법이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A)의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 전극(220b)의 구조를 변경시킴으로써 투과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켜 도 2의 실시예보다 투과율 및 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공통 전극이 도 2의 실시예의 공통 전극(220)과 상이한 것을 제외하고, 도 2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터치 기판(200C)은 베이스 기판(210), 복수의 공통 전극들(220c) 및 복수의 배선 전극들(230c)을 포함한다.
상기 공통 전극(220c)은 복수의 제1 전극선들(221c) 및 복수의 제2 전극선들(222c)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통 전극(220c)은 제1 두께(H1)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전극선들(221c) 및 제2 전극선들(222c)은 상기 베이스 기판(210)의 일변보다 짧은 2개의 제1 변들(223a) 및 상기 제1 변들(223a)보다 짧은 2개의 제2 변들(223b)에 의해 정의되는 공통 전극 영역(223) 내에 형성된다. 상기 공통 전극 영역(223)은 스트라이프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 전극 영역(223)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복수의 변들에 의해 정의되어, U자 형상, L자 형상일 수 있으며, 특정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1 전극선들(221c)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방향(D1)에 교차하는 제2 방향(D1)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2 전극선들(222c)은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제1 부분(a), 상기 제1 부분(a)의 제1 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연장된 제2 부분(b) 및 상기 제2 부분(b)의 제1 단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제3 부분(c)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전극선들(222c)은 상기 제1 부분(a) 및 상기 제2 부분(b) 사이가 절곡되고 상기 제2 부분(b) 및 상기 제3 부분(c) 사이가 절곡된 스텝 형상을 가지며, 인접하는 상기 제1 전극선들(221b)을 연결한다.
상기 제1 전극선들(221c)과 상기 제2 전극선들(222c)은 상기 표시 패널(900)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제3 투과 영역(t3)을 정의한다. 상기 제3 투과 영역(t3)은 제1 사각 형상(t31)이 제2 사각 형상(t32)에 대해 상기 제1 방향(D1)으로 시프트된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투과 영역(t3)은 도 2의 실시예의 제1 투과 영역(t1)에 비해 그 면적이 넓으므로, 상기 제1 투과 영역(t1)보다 큰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배선 전극(230)은 연결부(231) 및 배선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231)는 상기 공통 전극 영역(223)의 상기 제2 변들(223b)에 배치된 상기 제1 전극선들(221c) 또는 상기 제2 전극선들(222c)들과 직접 연결된다. 상기 배선부(232)는 상기 연결부(23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공통 전극(220c)을 구동하는 터치 구동부(500)에 연결된다. 상기 배선 전극(230c)은 상기 터치 구동부(500)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을 상기 공통 전극(230)에 인가한다. 또한, 상기 배선 전극(230)은 제2 두께(H2)를 갖는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C)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C)은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을 위해, 프린팅용 기판(300) 및 블랑켓(35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에는 상기 공통 전극(220c) 및 상기 배선 전극(230c) 각각에 대응되는 제1 오목 패턴(310) 및 제2 오목 패턴(3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랑켓(350)은 상기 공통 전극(220c) 및 상기 배선 전극(230c)을 상기 프린팅용 기판(300)으로부터 상기 터치 기판(200C)의 상기 베이스 기판(210)으로 전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C)을 제조하는 방법이 도 2 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의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C)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A)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상기 그라비어 오프셋 프린팅을 위해, 제1 프린팅용 기판(301a), 제2 프린팅용 기판(301b), 제1 블랑켓(370a) 및 제2 블랑켓(370b)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프린팅용 기판(301a 및 301b) 각각에는 상기 공통 전극(220c) 및 상기 배선 전극(230c)에 대응되는 제1 오목 패턴(310a) 및 제2 오목 패턴(310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블랑켓(370a)은 상기 공통 전극(220c)을 상기 제1 프린팅용 기판(301a)으로부터 상기 터치 기판(200C)의 베이스 기판(210)으로 전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블랑켓(370b)은 상기 배선 전극(230c)을 상기 제2 프린팅용 기판(301b)으로부터 상기 터치 기판(200C)의 베이스 기판(210)으로 전사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C)을 제조하는 방법이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200A)의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 전극(220c)의 구조를 변경시킴으로써 투과 영역의 면적을 증가시켜 도 2의 실시예보다 투과율 및 면저항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공통 전극과 배선 전극을 프린팅용 기판을 이용한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공 정 수를 감소시키고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치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터치 기판을 I-I'에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의 터치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프린팅용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2의 터치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실버 전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2의 터치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전극 형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7의 터치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프린팅용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도 9a 내지 도 9h는 도 7의 터치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실버 전사 공정을 설명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7의 터치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전극 형성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터치 패널 200: 제1 터치 기판
210: 제1 베이스 기판 220: 제1 공통 전극
230: 제1 배선 전극 231: 제1 연결부
232: 제2 배선부 400: 제2 터치 기판
410: 제2 베이스 기판 420: 제2 공통 전극
430: 제2 배선 전극 TR: 스위칭 소자
CST: 스토리지 커패시터 CLC: 액정 커패시터
GL1, GL2, ..., GLn: 게이트 라인
DL1, DL2, ..., DLm: 데이터 라인
PP: 단위 화소

Claims (20)

  1. 복수의 공통 전극 영역들을 갖는 베이스 기판;
    상기 공통 전극 영역들 각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선들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전극선들을 갖는 공통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의 일단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배선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은 동일한 금속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공통 전극의 두께는 상기 배선 전극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기판.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선들 각각은 복수의 제1 전극선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선들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전극선들에 대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선들 각각은 절곡되어 인접한 두 개의 제2 전극선들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전극선들은 동일한 두 개의 제1 전극선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기판.
  7.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선들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되어 인접한 상기 제1 전극선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전극선들을 갖는 공통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들의 일단들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배선 전극에 대응되는 오목 패턴을 포함하는 프린팅용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린팅용 기판에 금속 물질을 도포하여 상기 오목 패턴 내에 형성된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을 블랑켓(blanket)으로 전사하는 단계; 및
    상기 블랑켓에 형성된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을 베이스 기판으로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기판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용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린팅용 기판 상의 제1 영역에 제1 깊이의 제1 오목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에 인접하는 제2 영역에 상기 제1 깊이보다 큰 제2 깊이의 제2 오목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기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을 상기 블랑켓으로 전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목 패턴 및 상기 제2 오목 패턴 내에 동일한 금속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오목 패턴 내에 형성된 상기 제1 깊이에 대응되는 제1 두께를 갖는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제2 오목 패턴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깊이에 대응되는 제2 두께를 갖는 상기 배선 전극을 상기 블랑켓으로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기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물질은 실버(A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기판의 제조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용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프린팅용 기판 상에 제1 깊이의 제1 오목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프린팅용 기판 상에 상기 제1 깊이의 제2 오목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기판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을 상기 블랑켓으로 전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오목 패턴 내에 제1 저항의 제1 금속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제1 오목 패턴 내에 형성된 상기 제1 깊이에 대응하는 제1 두께를 갖는 상기 공통 전극을 제1 블랑켓으로 전사하는 단계;
    상기 제2 오목 패턴 내에 상기 제1 저항보다 작은 제2 저항의 제2 금속물질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오목 패턴 내에 형성된 상기 제1 깊이에 대응하는 제1 두께를 갖는 상기 배선 전극을 제2 블랑켓으로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기판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전극 및 상기 배선 전극을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 전사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블랑켓에 형성된 상기 공통 전극을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 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블랑켓에 형성된 상기 배선 전극을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기판의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물질 및 상기 제2 금속 물질은 실버(Ag)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기판의 제조 방법.
  15. 복수의 공통 전극 영역들을 갖는 베이스 기판, 상기 공통 전극 영역들 각각에 배치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전극선들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전극선들을 갖는 공통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들의 일단들에 연결되어 전압을 인가하는 배선 전극을 갖는 터치 기판을 포함하는 터치 패널; 및
    상기 터치 패널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 전극의 두께는 상기 배선 전극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게이트 라인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과 다른 제3 방향으로 연장되고,
    데이터 라인은 상기 제3 방향과 직교하는 제4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삭제
  18. 삭제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선들 각각은 복수의 제1 전극선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선들 각각은 절곡되어 인접한 두 개의 제2 전극선들을 연결하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인접한 제2 전극선들은 동일한 두 개의 제1 전극선들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1020090101149A 2009-10-23 2009-10-23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633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149A KR101633034B1 (ko) 2009-10-23 2009-10-23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12/900,658 US9239651B2 (en) 2009-10-23 2010-10-08 Touch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01010527757.8A CN102043535B (zh) 2009-10-23 2010-10-21 触摸基板和具有该触摸基板的显示器件
US14/965,123 US9830038B2 (en) 2009-10-23 2015-12-10 Touch substr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149A KR101633034B1 (ko) 2009-10-23 2009-10-23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463A KR20110044463A (ko) 2011-04-29
KR101633034B1 true KR101633034B1 (ko) 2016-06-24

Family

ID=43897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149A KR101633034B1 (ko) 2009-10-23 2009-10-23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239651B2 (ko)
KR (1) KR101633034B1 (ko)
CN (1) CN1020435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4249B2 (en) * 2010-08-20 2014-03-18 Young Fast Optoelectronics Co., Ltd. Capacitive touch pad
KR101323052B1 (ko) * 2010-10-01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797651B1 (ko) * 2011-06-15 2017-11-15 미래나노텍(주) 터치스크린 패널용 배선 전극 및 이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US8674251B2 (en) * 2011-07-04 2014-03-18 Fortrend Taiwan Scientific Corp. Single side touch panel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3039050A1 (ja) * 2011-09-13 2013-03-21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US20140168543A1 (en) * 2011-09-27 2014-06-19 Lg Chem, Ltd. Touch panel comprising conductive pattern
TW201337705A (zh) * 2011-10-25 2013-09-16 Unipixel Displays Inc 偏光膜電阻式觸控螢幕
EP2796967A4 (en) * 2011-12-23 2015-08-05 Lg Chemical Ltd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30075292A (ko) * 2011-12-27 2013-07-0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스크린
JP5822395B2 (ja) * 2012-01-25 2015-11-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シート及びその検査方法並びに製造方法
KR101340026B1 (ko) * 2012-02-08 2013-12-10 (주)이엔에이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8884918B2 (en) * 2012-02-28 2014-11-11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device having metallic micro-wires
US8836668B2 (en) * 2012-02-28 2014-09-16 Eastman Kodak Company Transparent touch-responsive capacitor with variable-height micro-wires
US9253892B2 (en) * 2012-04-13 2016-02-02 Wistron Corporation Peripheral circuit of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050728B2 (ja) * 2012-07-24 2016-12-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センサ付き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03699253B (zh) * 2012-09-27 2017-10-03 宝宸(厦门)光学科技有限公司 触控装置结构及其制造方法
KR20140084880A (ko) * 2012-12-27 2014-07-07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 패널
JP6013212B2 (ja) * 2013-01-30 2016-10-25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パターン形成装置
CN103106953B (zh) * 2013-02-06 2014-11-26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导电膜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导电膜的触摸屏
CN105027043B (zh) * 2013-03-28 2018-02-16 株式会社藤仓 接触式传感器及其制造方法
KR102222194B1 (ko) * 2013-10-17 2021-03-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4391614B (zh) * 2013-12-02 2017-09-22 深圳市联合瑞泰科技有限公司 凹版微移印制作触摸屏传感器的方法
KR101527320B1 (ko) * 2014-02-26 2015-06-09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매트릭스 스위칭 타입 터치패널
WO2015156316A1 (ja) * 2014-04-08 2015-10-15 株式会社フジクラ 配線体及び配線基板
US9405423B2 (en) * 2014-05-20 2016-08-02 Eastman Kodak Company Article with electrically-conductive silver connector wire pattern
US9430113B2 (en) * 2014-05-20 2016-08-30 Eastman Kodak Company Electrically-conductive article with improved bus region
CN104020881B (zh) * 2014-05-29 2017-06-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KR102237819B1 (ko) * 2014-07-21 2021-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KR101755115B1 (ko) * 2014-09-29 2017-07-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오프셋 인쇄용 클리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503614B (zh) * 2014-12-23 2018-01-02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导电膜和触摸屏
KR102281850B1 (ko) * 2015-02-25 2021-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1728329B1 (ko) * 2015-11-19 2017-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조방법
WO2018034119A1 (ja) * 2016-08-18 2018-02-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KR102436107B1 (ko) * 2017-02-24 2022-08-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제조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JP7195917B2 (ja) * 2018-12-26 2022-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の生産方法、配線パターンの生産方法、タッチパネル及び配線パター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9574A (ja) * 2007-06-28 2009-01-15 Sense Pad Tech Co Ltd 容量方式の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2434A (ja) * 1983-04-30 1984-11-16 Sharp Corp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H08287775A (ja) 1995-04-17 1996-11-01 Brother Ind Ltd タッチパネル
JP3589519B2 (ja) 1995-11-30 2004-11-17 出光興産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KR100215125B1 (ko) 1996-04-30 1999-08-16 강상훈 좌표 입력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4006163B2 (ja) 2000-04-12 2007-11-14 グンゼ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KR100417803B1 (ko) 2000-07-22 2004-02-05 아이티엠 주식회사 마스크를 이용한 터치패널 제조방법
KR100875096B1 (ko) 2002-08-02 2008-12-1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패널의 제조에 사용되는 필름 인쇄장치
JP2004152221A (ja) 2002-11-01 2004-05-27 Bridgestone Corp タッチパネル用電極基板の製造方法
JP2005004388A (ja) 2003-06-10 2005-01-06 Kawaguchiko Seimitsu Co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備えた画面入力型表示装置
US20060181516A1 (en) 2005-02-11 2006-08-17 Staines Martin J Contact input apparatus for touch screen assemblies
KR101136282B1 (ko) * 2005-06-30 2012-04-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7011997A (ja) 2005-07-04 2007-01-18 Fujitsu Component Ltd タッチパネル
KR101205539B1 (ko) * 2006-02-20 2012-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CN101078961B (zh) 2006-05-27 2011-04-06 智点科技(深圳)有限公司 线面电极式触控屏
CN101118470B (zh) 2006-08-02 2010-12-29 智点科技(深圳)有限公司 触控式平板显示器电极结构
KR101337262B1 (ko) * 2007-02-12 201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90015414A (ko) * 2007-08-08 2009-02-12 에이디반도체(주) 정전용량 터치감지패널
KR20090027948A (ko) * 2007-09-13 2009-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KR20090040695A (ko) 2007-10-22 2009-04-27 주식회사 이노터치테크놀로지 터치 스크린
JP2009129375A (ja) 2007-11-27 2009-06-11 Fujitsu Component Ltd パネル型入力装置
KR20110015929A (ko) * 2009-08-10 2011-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9574A (ja) * 2007-06-28 2009-01-15 Sense Pad Tech Co Ltd 容量方式の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43535A (zh) 2011-05-04
KR20110044463A (ko) 2011-04-29
US20110096005A1 (en) 2011-04-28
US9239651B2 (en) 2016-01-19
CN102043535B (zh) 2016-03-30
US9830038B2 (en) 2017-11-28
US20160098130A1 (en)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034B1 (ko) 터치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US10908730B2 (en) Touch panel
JP7023904B2 (ja) タッチセンサを含む表示装置
JP6980857B2 (ja) タッチウィンドウ及びこれを含むタッチデバイス
US7999264B2 (en)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0451773B1 (ko) 디지털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
KR101297387B1 (ko) 터치 패널 일체형 액정 표시 장치
US2012024943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with In Touch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993561A1 (en) Touch panel to minimize signal distortion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10248944A1 (en) Touch display panel
CN104049397A (zh) 一种面板及显示装置
CN102289310A (zh) 触控显示面板
KR100469357B1 (ko) 터치패널
JP2001042788A (ja) 表示素子
KR20130002881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