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033B1 - 휀스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휀스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033B1
KR101632033B1 KR1020140156287A KR20140156287A KR101632033B1 KR 101632033 B1 KR101632033 B1 KR 101632033B1 KR 1020140156287 A KR1020140156287 A KR 1020140156287A KR 20140156287 A KR20140156287 A KR 20140156287A KR 101632033 B1 KR101632033 B1 KR 101632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ence
coupling body
present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6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193A (ko
Inventor
김지용
Original Assignee
김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용 filed Critical 김지용
Priority to KR1020140156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033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휀스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대의 상하 또는 좌우의 설치각을 조정하기 위한 휀스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 설치된 지주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 연결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타측으로 연결체를 돌출시키고, 상기 연결체를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브라켓의 일측에 걸리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체와, 상하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체의 타측은 가로대의 종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 브라켓; 을 포함함으로써, 경사진 곳에 휀스를 시공하는 경우에도 휀스용 브라켓의 다양한 각도조절에 의해 가로대를 용이하게 삽입함으로써 시공기간을 단축하는 한편 시공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휀스용 브라켓{BRAKET FOR FENCE}
본 발명은 휀스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가로대의 종단을 삽입하기 위해 브라켓 상하 또는 좌우의 설치각을 조정하기 위한 휀스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로의 경계나 산책로 또는 녹지대, 사유지 및 보호시설물 등에는 출입통제 등의 목적으로 경계용 휀스를 설치한다.
예컨대, 보통 휀스는 도로의 가장자리나 중앙선, 어린이 보호구역, 교량 난간, 보도블록, 산책로, 공원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보행자의 안전이나 동식물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휀스는 지면에 수직의 지주(post)를 설치하고, 지주와 지주 사이에는 수평의 가로대를 설치한다. 여기서 가로대의 양단이 지주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연결용 브라켓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휀스의 시공시, 휀스가 설치되는 지면이 평평하고 직선인 구간에서는 시공작업이 용이하지만, 지면이 경사진 오르막이거나 내리막일 경우에는 지주 사이에 연결되는 가로대의 양단을 연결용 브라켓에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시공비용의 상승은 물론 시공기간이 늘어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실용신안문헌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펜스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정되어 있는 지주와 치장판의 연결대에 만곡부를 형성한 연결구와 커버를 이용하여 두 부재를 함께 손쉽게 고정할 수 있고 연결된 두 부재가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용접설비 및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수공구를 이용하여 용이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장소가 굽어진 도로의 측면이라 할지라고 원활하게 설치가 가능하여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펜스연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구조적으로 불리할 뿐만 아니라 시공성이 떨어지고, 특히 두 부재의 각도 조절을 수평방향으로만 조절할 수 있다는데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휀스의 지주와 가로대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은 물론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휀스용 브라켓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실용신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49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휀스의 지주와 가로대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은 물론 대각선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휀스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은, 지면에 수직 설치된 지주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 연결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타측으로 연결체를 돌출시키고, 상기 연결체를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브라켓의 일측에 걸리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체와, 상하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체의 타측은 가로대의 종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 브라켓; 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지주의 외면에 일측이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홀이 모서리에 구비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 상에 대향하여 돌출 구비되고, 돌출된 배면이 빈 두 개의 걸림쇠;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은 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걸림쇠는, 다수 개 구비되고 임의의 걸림쇠와 인접한 걸림쇠는 45도의 각도를 이루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브라켓의 걸림쇠 배면에 양단이 삽입된 걸림대; 및 상기 걸림대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과 연결되는 연결체; 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결체는, 전방이 굴곡 돌출된 정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정육면체의 상하방향으로 대향하여 관통 구비된 제1 연결홀; 및 상기 정육면체의 좌우방향으로 대향하여 관통 구비된 제2 연결홀; 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은,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볼트의 굵기에 따라 상기 연결체의 돌출 간격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연결체가 일측에 삽입되도록 양날개를 구비한 결합체; 상기 결합체의 타측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의 종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홈을 구비한 삽입수단; 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결합체는, 상기 양날개의 사이에 상기 연결체의 대향면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체가 소정의 각도만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와 체결을 위한 연결홀을 상기 양날개의 중앙에 각각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삽입수단은, 가로대 종단이 삽입되되, 상기 가로대의 종단은 원통형상, 직육면체형상, 및 정육면체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윈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휀스용 브라켓의 삽입수단을 상하와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시킴으로써, 가로대의 종단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휀스용 브라켓의 연결부재를 일정한 각도로 변화시킴으로써 가로대를 다양한 각도로 설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궁극적으로 경사진 곳에 휀스를 시공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휀스용 브라켓에 의해 가로대의 종단을 용이하게 삽입함으로써 시공기간을 단축하는 한편 시공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이 지주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제1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제1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6의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휀스용 브라켓을 상하와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시키는 한편, 가로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이 지주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100)은 크게 제1 브라켓(110), 연결부재(120), 및 제2 브라켓(13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휀스용 브라켓(10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에 다수가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이웃하도록 수직 설치되는 지주(A)의 외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지주(A)의 외면은 휀스용 브라켓(100)이 고정 설치되도록 다수의 결합공(미도시)이 천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결합공은 나사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주(A)의 외면은 제1 브라켓(110)이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제1 브라켓(110)은 고정판(111)과 걸림쇠(112)를 포함한다.
즉, 고정판(111)은 제1 브라켓(110)의 몸체를 형성하고, 일측은 지주(A)의 외면과 밀착 결합하고, 타측은 연결부재(120)가 돌출되도록 중공(112a)이 구비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쇠(112)는 고정판(111) 상에서 대향 구비되고 돌출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판(111)의 돌출 영역의 배면은 비어 있는 구조로서, 차후 걸림대(121)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한편, 고정판(111)은 사각형의 판형으로 형성되며, 고정판(111)은 지주(A)의 외면에 밀착하여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홀(111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판(111)은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나사홀(111a)은 고정판(111) 각각의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고정판(111)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 지주(A) 외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나사홀(111a)을 고정판(111)의 4 모서리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할 뿐, 나사홀(111a)의 개수와 형성 영역은 필요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걸림쇠(112)는 연결부재(120)의 걸림대(121) 양단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하가 서로 대향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향 구비되는 두 개의 걸림쇠(112) 사이에는 고정판(111)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연결부재(120)의 연결체(122)가 돌출되도록 중공(112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결부재(120)의 걸림대(121)는 대향하여 형성된 두 개의 걸림쇠(112)에 상단과 하단이 각각 걸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공을 통해 고정판(111)의 타측으로 연결부재(120)의 연결체(122)가 돌출한다. 따라서 연결체(122)는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걸림대(121)와 연결체(122)는 금형의 편의를 위해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2를 참조하면, 연결체(122)는 전면이 굴곡 돌출된 정육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브라켓(130)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 어느 방향으로도 연결체(122)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연결체(122)는 제2 브라켓(130)을 횡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연결체(122)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연결홀(122a)을 구비한다. 또한, 연결체(122)는 제2 브라켓(130)이 종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연결체(122)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연결홀(122b)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걸림대(121)의 양단은 두 개의 걸림쇠(112)에 각각 걸리고, 이 상태에서 고정판(111)이 지주(A)의 외면에 다수의 나사(s)로 고정된다. 그리고 걸림대(121)의 중앙에 구비된 연결체(122)는 중공(112a)을 통해 고정판(111)의 타측으로 돌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연결체(122)는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브라켓(130)은 연결체(122)의 제1 연결홀(122a)에 연결되거나, 제2 브라켓(130)은 연결체(122)의 제2 연결홀(122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브라켓(130)은 연결체(122)와 연결되는 결합체(131)가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체(131)는 정육면체 형상의 연결체(122)를 양날개(131b) 사이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양날개(131b)의 간격은 연결체(122)가 삽입되고, 결합체(131)가 상하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정육면체의 한 변의 길이보다 조금 더 긴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결합체(131)는 정육면체 형상의 연결체(122)에 형성된 제1 연결홀(122a) 또는 제2 연결홀(122b)에 나사 결합하도록, 양날개(131b) 각각에 제3 연결홀(131a)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연결홀(122a) 또는 제2 연결홀(122b)과 두 개의 제3 연결홀(131a)에는 연결볼트(s1)가 관통하고, 관통된 연결볼트(s1)의 종단에는 연결너트(s2)가 조여짐으로써 연결수단(120)과 제2 브라켓(130)은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됨으로써 제2 브라켓(130)은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연결체(122)는 가로대(B)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수단(132)과 일체로 형성된다. 삽입수단(132)은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한 연결체(122)와 상하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한 결합체(131)에 의해 상하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함으로써 가로대(B)의 종단을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삽입수단(132)은 양단이 직육면체 형상의 가로대를 삽입시키는 경우, 삽입수단(132)의 방향만을 변경하여 연결체(122)에 결합체(131)를 연결시킴으로써 가로대의 양단을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가로대(B)의 종단은 원통형상, 직육면체 형상, 정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므로, 삽입수단(132)의 형상은 가로대(B)의 종단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제1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예시도이다.
도 3을 설명함에 있어,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한 제1 브라켓(110)의 고정판(111)에 구비된 걸림쇠(112)가 일자형으로 두 개가 형성되는 반면,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브라켓(210)의 걸림쇠(212)는 십자형으로 4개가 형성된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200)은, 도 2에 도시한 휀스용 브라켓(200)에 비해 연결부재(120)를 종방향 또는 회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제1 브라켓을 도시한 분해 예시도이다.
도 4를 설명함에 있어,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에 도시한 제1 브라켓(110)의 고정판(111)에 구비된 걸림쇠(112)가 일자형으로 두 개가 형성되는 반면,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1 브라켓(310)은 걸림쇠(312)가 원형으로 다수 개(8개)가 형성된다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제1 브라켓(310)은, 도 2에 도시한 제1 브라켓(110)에 비해 연결부재(120)를 다양한 각도로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따르면, 연결부재(120)는 제1 브라켓(310)에 일정한 각도(45도)로 연결되면, 가로대(B)는 일률적으로 45도 각도로 이룬다. 이와 같이 설치되면, 블라인드와 같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비스듬한 각도로 설치된 가로대(B)는 가독성에 유리하므로 문자나 숫자와 같은 텍스트를 기입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가로대(B)를 다양한 각도로 설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결체(222)는 제1 연결홀(222a)과 제2 연결홀(222b)의 형상이, 도 2에 도시한 연결체(122)의 제1 연결홀(122a)과 제2 연결홀(122b)의 형상과 서로 다르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결체(222)의 제1 연결홀(222a)과 제2 연결홀(222b)의 형상은 사각의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연결홀(222a)과 제2 연결홀(222b)의 형상은 연결체(222)의 전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연결볼트(s1)와 연결너트(s2)의 직경에 따라 연결체(222)의 돌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휀스용 브라켓의 연결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설명함에 있어,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연결체(322)는 제1 연결홀(322a)과 제2 연결홀(322b)의 형상이, 도 2에 도시한 연결체(122)의 제1 연결홀(122a)과 제2 연결홀(122b)의 형상과 서로 다르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연결체(322)의 제1 연결홀(322a)과 제2 연결홀(322b)의 형상은 원형의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1 연결홀(322a)과 제2 연결홀(322b)의 형상은 연결체(322)의 전단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연결볼트(s1)와 연결너트(s2)의 직경에 따라 연결체(322)의 돌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휀스용 브라켓 110: 제1 브라켓
120: 연결부재 130: 제2 브라켓
111: 고정판 112: 걸림쇠
111a: 나사홀 121: 걸림대
122: 연결체 122a: 제1 연결홀
122b: 제2 연결홀 131: 결합체
131a: 제3 연결홀 132: 삽입수단
A: 지주 B: 가로대
s: 나사 s1: 연결볼트
s2: 연결너트

Claims (9)

  1. 지면에 수직 설치된 지주의 외면에, 일측이 고정 연결되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타측으로 연결체를 돌출시키고, 상기 연결체를 좌우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브라켓의 일측에 걸리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체와, 상하로 소정의 각도만큼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체의 타측은 가로대의 종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 브라켓;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지주의 외면에 일측이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나사홀이 모서리에 구비된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 상에 대향하여 돌출 구비되고, 돌출된 배면이 빈 두 개의 걸림쇠;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쇠는 다수 개가 중공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구비되고, 임의의 걸림쇠와 인접한 걸림쇠는 45도의 각도를 이루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브라켓의 걸림쇠 배면에 양단이 삽입된 걸림대; 및
    상기 걸림대의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과 연결되는 연결체;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는,
    전방이 굴곡 돌출된 정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정육면체의 상하방향으로 대향하여 관통 구비된 제1 연결홀; 및
    상기 정육면체의 좌우방향으로 대향하여 관통 구비된 제2 연결홀;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은,
    상기 연결체의 전단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피라미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볼트의 굵기에 따라 상기 연결체의 돌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브라켓.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연결체가 일측에 삽입되도록 양날개를 구비한 결합체;
    상기 결합체의 타측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로대의 종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된 홈을 구비한 삽입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브라켓.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양날개의 사이에 상기 연결체의 대향면이 삽입되어, 상기 결합체가 소정의 각도만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체와 체결을 위한 연결홀을 상기 양날개의 중앙에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브라켓.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삽입수단은,
    가로대 종단이 삽입되되,
    상기 가로대의 종단은 원통형상, 직육면체형상, 및 정육면체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용 브라켓.
KR1020140156287A 2014-11-11 2014-11-11 휀스용 브라켓 KR101632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87A KR101632033B1 (ko) 2014-11-11 2014-11-11 휀스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6287A KR101632033B1 (ko) 2014-11-11 2014-11-11 휀스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93A KR20160056193A (ko) 2016-05-19
KR101632033B1 true KR101632033B1 (ko) 2016-06-21

Family

ID=56103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6287A KR101632033B1 (ko) 2014-11-11 2014-11-11 휀스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0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924B1 (ko) * 2018-10-29 2019-02-27 경동산업 주식회사 난간 연결장치
KR102029771B1 (ko) * 2019-05-07 2019-10-08 이유복 창틀 설치용 브래킷
KR102484642B1 (ko) 2022-10-21 2023-01-04 주식회사 동명테크 디자인형 울타리용 기둥과 가로재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연결 브라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250B1 (ko) * 2011-05-13 2011-09-27 중호건설 주식회사 조립식 휀스
KR101250988B1 (ko) * 2012-05-31 2013-04-05 임정례 펜스용 브라켓
KR101429116B1 (ko) * 2013-10-31 2014-08-13 주식회사 디자인큐나인 휀스용 연결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6Y1 (ko) 2005-08-23 2005-11-08 김병규 각도조절이 가능한 펜스연결구
KR20140087718A (ko) * 2012-12-31 2014-07-09 주식회사 더우드 전 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난간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250B1 (ko) * 2011-05-13 2011-09-27 중호건설 주식회사 조립식 휀스
KR101250988B1 (ko) * 2012-05-31 2013-04-05 임정례 펜스용 브라켓
KR101429116B1 (ko) * 2013-10-31 2014-08-13 주식회사 디자인큐나인 휀스용 연결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924B1 (ko) * 2018-10-29 2019-02-27 경동산업 주식회사 난간 연결장치
KR102029771B1 (ko) * 2019-05-07 2019-10-08 이유복 창틀 설치용 브래킷
KR102484642B1 (ko) 2022-10-21 2023-01-04 주식회사 동명테크 디자인형 울타리용 기둥과 가로재의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연결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193A (ko)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7898B1 (en) Fence brace system
JP2008075401A (ja) 防護柵用ブラケット体及び防護柵
DE602005004148T2 (de) Abziehbalken
KR101632033B1 (ko) 휀스용 브라켓
CN104775376B (zh) 一种快速安装的围栏
KR101448706B1 (ko) 가로대의 각도 조절 및 설치가 용이한 휀스
US10407936B2 (en) Adjustable sign post base for real estate sign
JP6206778B2 (ja) 防風柵
KR101245666B1 (ko) 각도조절 및 설치가 용이한 연결구가 구비된 펜스
KR20090082550A (ko)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난간
US2877989A (en) Precast concrete ventilating louver fence
KR20130061790A (ko) 차선분리대
DE102015016062B4 (de) Wiederverwendbares Gehäuse- und/oder Baustellenschutzsystem
DE1609727A1 (de) Leit- bzw.Abweisplanke fuer Kraftverkehrsstrassen
US20150225910A1 (en) Removable bollard assembly
EP1548191A1 (de) Mobiles Hochwasserschutzwandsystem für Steckinstallation
EP0011200A1 (de) Schilderständer
JP6860212B2 (ja) 防護柵
JP6364146B2 (ja) 立入防止柵および格子柵
JP2007191986A (ja) フェンス
EP2611964B1 (de) Fussplatte für mobile verkehrssicherungseinrichtungen sowie verkehrssicherungsanordnung
DE1951299U (de) Klemmverbindevorrichtung fuer gittermatten.
WO2019207390A1 (de) Seitenschutzsystem und verbindungselement zur montage eines seitenschutzes
DE202014004338U1 (de) Bewehrungselement für eine Flachdecke aus Stahl- oder Spannbeton
KR200462407Y1 (ko) 안내표지판용 가로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