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6815B1 -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 Google Patents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6815B1
KR101596815B1 KR1020140076305A KR20140076305A KR101596815B1 KR 101596815 B1 KR101596815 B1 KR 101596815B1 KR 1020140076305 A KR1020140076305 A KR 1020140076305A KR 20140076305 A KR20140076305 A KR 20140076305A KR 101596815 B1 KR101596815 B1 KR 101596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body
user
leg
fix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6169A (ko
Inventor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프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프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프리스
Priority to KR1020140076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6815B1/ko
Priority to CN201480035670.5A priority patent/CN105324056A/zh
Priority to EP14820562.8A priority patent/EP3017723A4/en
Priority to PCT/KR2014/005631 priority patent/WO2015002403A1/ko
Priority to JP2016523644A priority patent/JP2016525386A/ja
Priority to US14/899,599 priority patent/US20160135604A1/en
Publication of KR20150146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6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6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 A47C9/025Stools for standing or leaning against, e.g. in a semi-standing or half-seated position

Landscapes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는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되며,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에 감싸 고정되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가방본체를 상기 엉덩이에 고정시키는 한쌍의 고정띠로 구성된 가방부; 상기 가방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고정되며,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방본체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사용자의 종아리에 고정시키는 다리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방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다리에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레그 및 하부레그; 상기 상부레그에 대해 상기 하부레그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관절; 및, 상기 결합판에 대해 상기 상부레그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관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판, 상기 상부레그 및, 상기 하부레그는 상기 제1관절과 상기 제2관절에 의해 접철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착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소정각도로 꺽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WEARABLE-TYPE CHAIR DEVICE PROVIDING ENHANCED PORTABILITY AND STORABILITY}
본 발명은 신체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의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간단히 조립하여 신체에 착용해 착석할 수 있는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술관, 박물관 같은 곳에서 작품을 관람하는 관람객은 작품을 감상하기 위해 장시간 한 곳에 서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작품관람시 체력적인 부담이 많게 된다. 또한, 경복궁, 창경궁 등 고궁이나 박람회 등에서도 장시간 이동하게 되므로 체력적인 부담을 갖게 된다.
이러한 체력적 부담은 야구경기, 농구경기 등과 같은 운동경기에 좌석이 없어 입석으로 관람할 때나, 버스, 기차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이용시 자리가 없 때는 더욱 가중될 수 있다.
이때, 미술관, 박물관, 고궁 같은 공공장소에서는 많은 인원의 관람동선을 생각해서 휴식을 위한 의자를 비치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한편, 마트판매원, 호텔종사원, 세탁사, 미용사, 조립생산라인 근무자, 교사, 주차안내원, 바리스타, 주유원 등 서서 일하는 근로자들은, 업무특성상 주변에 비치된 의자에 이동하여 착석해 쉬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장시간 선 채로 근무함에 따라 혈앨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피로도가 높을 뿐 아니라, 심할 경우 허리,다리,발의 통증이나 뇌졸증, 심근경색, 하지정맥류 등의 심혈관 질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가 용이한 형태의 의자의 개발이 요구되었으며, 공개실용 제20-2012-000140호 "휴대가 간편한 지팡이 겸용의자"와 등록실용 제20-0336096호 "이동 작업용 휴대의자"가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에 개시된 의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개발되었으나, 작업자가 손으로 휴대하여야 하므로 이동시 불편하고, 외부로 노출되어 심미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를 계속해 왔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344117호에서 "의자가 결합된 의자바지"를 제시하였다.
상기 본 출원인의 선행특허에서는 바지에 의자를 결합시켜 바지를 착용한 상태로 의자도 일체로 함께 이동할 수 있어 장소와 시간에 관계 없이 간편하게 착석할 수 있는 바지를 제시하였다.
본 출원인은 이에 만족하지 않고 더 개선된 기술에 대해 개발을 계속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을 도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관과 휴대가 용이할 뿐 아니라, 필요시 쉽게 신체에 착용하여 간편하게 착석할 수 있는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는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되며,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에 감싸 고정되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가방본체를 상기 엉덩이에 고정시키는 한쌍의 고정띠로 구성된 가방부; 상기 가방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고정되며,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방본체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사용자의 종아리에 고정시키는 다리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방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다리에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레그 및 하부레그; 상기 상부레그에 대해 상기 하부레그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관절; 및, 상기 결합판에 대해 상기 상부레그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관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판, 상기 상부레그 및, 상기 하부레그는 상기 제1관절과 상기 제2관절에 의해 접철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소정각도로 꺽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관공간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다리고정부를 수용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보관공간에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다리고정부를 집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띠를 통해 상기 가방본체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켜줌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방부는, 상기 가방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판을 상기 가방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장착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착부는, 상기 가방본체 내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결합판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소켓부의 개방부를 덮는 덮개; 및, 상기 덮개와 상기 소켓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소켓부에 삽입된 상기 결합판이 상기 소켓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덮개를 상기 소켓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다리고정부는, 각반형태로 형성되어, 종아리를 감싸고정하는 밴드; 및, 상기 밴드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부레그가 끼워지는 튜브;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다리고정부는, 상기 밴드를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에 고정시켜 상기 밴드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밴드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다리고정부는, 상기 밴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밴드고정수단이 일체로 설치된 전용신발;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방부는, 상기 가방본체 일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 상기 가방본체를 고정시키는 보조고정띠;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관절은 사용자의 무릎 뒤편에 위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체착용식 의자장치는 엉덩이에 고정되게 착용가능한 엉덩이고정부; 상기 엉덩이고정부와 결합고정되며,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상기 엉덩이 고정부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하부를 사용자의 종아리에 착용시키는 다리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엉덩이고정부에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다리에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레그 및 하부레그; 상기 상부레그에 대해 상기 하부레그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관절; 및, 상기 결합판에 대해 상기 상부레그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관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판, 상기 상부레그 및, 상기 하부레그는 상기 제1관절과 상기 제2관절에 의해 접철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착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소정각도로 꺽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지지부와 다리고정부를 가방본체에 넣어서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하고 다니다가, 착석을 하고 싶은 경우, 언제어디서든지 손쉽게 지지부와 다리고정부를 가방본체로부터 꺼내 조립하고, 간단하게 착용하여 착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방본체가 엉덩이를 받쳐주며고 결합판, 상부레그 및 하부레그가 소정각도 꺽여 무게중심을 형성하여 안정적인 착석이 이루어져 사용자는 편안한 착석상태를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의자장치는 의자가 비치되지 않은 장소에서 필요에 따라 손쉽게 착용해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서, 박물관, 공연장, 경기장 등 다양한 곳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트판매원, 호텔종사원, 세탁사, 미용사, 조립생산라인 근무자, 교사, 주차안내원, 바리스타, 주유원 등 장시간 서서 일하는 근로자들이 소지하고 있다가 본 발명의 의자장치를 착용해 착석해 줌으로써 피로를 줄여 근육의 피로도를 풀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착용식 의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지지부를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는 지지부가 직선형태로 펴진 상태, 도 3은 지지부가 보관상태로 접힌 상태, 도 4는 지지부가 사용자의 착석시 꺽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의자장치에서, 지지부의 결합판이 고정장착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지지부의 결합판이 고정장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다리고정부가 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착용식 의자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하여 착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착용식 의자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하고 서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착용식 의자장치의 휴대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체착용식 의자장치의 다리고정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10)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의자장치(10)는 가방부(100), 지지부(200), 다리고정부(300)를 포함한다.
가방부(100)는 가방본체(110)와 고정띠(120)를 포함한다.
가방본체(110)는 통상의 가방과 같이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되고, 개방부 상에 지퍼(116)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지퍼(116)의 손잡이(114)를 움직여, 가방본체(110)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 가방본체(110)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구성되며, 소정길이를 갖는 타원형태로 형성된다.
고정띠(12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각각이 가방본체(110)의 양측단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 각각의 고정띠(120)에는 결합수단으로서 벨크로부재(121,122)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한 쌍의 고정띠(120)에 형성된 벨크로부재(121,122)를 서로 결합해, 한 쌍의 고정띠(120)를 어깨끈형태로 만들어 도 10과 같이 가방본체(110)를 크로스백 타입으로 멜 수 있거나, 본 발명의 의자장치(10)를 통한 착석시, 가방본체(110)가 사용자의 엉덩이를 감싸도록 한 후, 양 고정띠(120)로 허리를 감싸 교차해 벨크로부재(121,122)를 결합해 줌으로써, 가방본체(110)를 사용자의 엉덩에 밀착되게 고정착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가방부(100)는 가방본체(110)에 두 쌍의 보조 고정띠(130)를 구비하며, 이 각 쌍의 보조 고정띠(130) 끝단에는 결합수단으로서 버클부재(133)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방본체(110)를 고정띠(120)를 허리에 감싸 결합해주고, 추가로, 보조 고정띠(130)를 양 허벅지를 감싸 끝단의 버클부재(133)를 결합해 줌으로써, 가방본체(110)를 사용자의 엉덩이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방부(100)는 지지부(200)의 상단부가 가방본체(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고정장착부(14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정장착부(140)는 소켓부(142), 덮개부(144) 및 체결부재(145,146)를 포함한다.
소켓부(142)는 가방본체(110)의 내측면에 고정설치된다. 소켓부(142)는 일측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후술할 지지부(200)의 결합판(230)이 삽입가능하다. 이러한 소켓부(142)는 가죽과 같은 연질의 원단재질로 형성되어, 가방본체(110)에 재봉질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드한 가성재질로 구성되어 가방본체(110)에 접착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결합판(230)이 삽입되어 결합판(230)을 가방본체(110)에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덮개부(144)는 소켓부(142)의 개방부에서 연장형성되며, 소켓부(142)에 결합판(230)이 삽입된 상태에서 소켓부(142)의 개방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체결부재(145,146)는 벨크로부재로 구성되어, 소켓부(142)와 덮개부(144)에 각각 형성되어, 덮개부(144)를 소켓부(142)에 고정시켜 소켓부(142)에 삽입된 결합판(230)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때, 체결부재(145,146)는 벨크로 부재 이외에도 도트단추(똑딱이 단추), 일반단추 등 두 부재를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지지부(200)는 상단부가 가방부(100)의 가방본체(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고정되어,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가방본체(110)를 지면에 대해 지지한다.
지지부(200)는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의 하부레그(210)와, 막대형상의 하부레그(210)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상부레그(220)와, 상부레그(220)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결합판(230)과, 상기 하부레그(210)와 상부레그(220) 사이에 구비되는 제1관절(240)과, 상부레그(220)와 결합판(230) 사이에 구비되는 제2관절(250)을 포함한다.
하부레그(210)와 상부레그(220)는 착용시, 결합판(230)과 지면 사이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다리운동에 연동하여 동작된다. 하부레그(210)는 종라이에 대응되게 배치되며, 상부레그(220)는 허벅지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하부레그(210)와 상부레그(220)는 제1관절(240)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1관절(240)은 본 발명의 착용시, 무릎(N)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도 8 및 도 9참조).
하부레그(210)의 상단부와 상부레그(220)의 하단부는 힌지핀(h1)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하부레그(210)의 상단부에는 홈(217)이 형성된 회전지지부재(216)가 마련되어, 이 홈(217)이 상부레그(220)의 하단부가 삽입된 상태로, 힌지핀(h1)을 통해 결합되어 제1관절(240)이 형성된다. 이때, 도 2와 같이 하부레그(210)와 상부레그(220)가 직선형태로 펴진 상태에서, A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부(200)는 도 3과 같이, 하부레그(210)와 상부레그(220)가 접힌 상태가 되고, B 방향으로 회전되면, 지지부(200)는 상부레그(220)가 하부레그(210)의 홈(217) 내측단에 걸려, 완전히 접혀지지 못하고 도 4와 같이 소정각도로 꺽인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참고로, 도 4와 같이 하부레그(210)가 상부레그(220)에 꺽인 상태는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 지지부(200)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하부레그(210)의 하단은 곡선형태로 만곡형성된 휨부(215)가 마련되며, 이 휨부(215)는 지면에 접촉되는 부분으로써, 지면과의 접촉면적을 향상시켜 지지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결합판(230)은 하부레그(210) 및 상부레그(220)보다 폭이 큰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며, 결합판(230)의 하단부는 상부레그(220)의 상단부와 힌지핀(h2)에 의해 결합되어 제2관절(250)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레그(220)의 상단에는 소정각도의 경사면(227a)을 갖는 각도유지부(227)가 형성되어, 결합판(230)의 일방향 회전범위를 제한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상부레그(220)가 결합판(230)이 펴진 상태에서, 결합판(230)이 C방향으로 회전되면, 도 4와 같이, 결합판(230)은 각도유지부(227)의 경사면(227a)에 밀착되어 결합판(230)이 상부레그(220)와 소정각도로 꺽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더 이상 회동되지 않게 된다. 참고로, 도 4와 같이 결합판(230)이 상부레그(220)에 꺽인 상태는 사용자가 착석했을 때 지지부(200)의 변형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은 지지부(200)는 도 3과 같이 접힌 상태일 경우, 크기가 가방본체(110)내의 보관공간 크기보다 작게 되어, 가방본체(110)의 지퍼(116)가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지지부(200)를 가방본체(110) 내부에 넣을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리고정부(300)는 지지부(200)의 하부레그(210)를 사용자의 종아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밴드(301)와 튜브(305)로 구성된다. 밴드(301)는 각반과 같이, 양끝단에 벨크로부재(306,307)가 형성된 연질의 사각원단 재질로 형성되어, 밴드(310)로 종아리를 감싸 벨크로부재(306,307)를 결합해 줌으로써, 밴드(310)를 종아리에 결합할 수 있다.
튜브(305)는 밴드(301)에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도 8과 같이, 착용시 튜브(035)에 하부레그(210)가 끼워지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10)의 사용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가방본체(200)에 도 3과 같이 접힌 상태의 지지부(200)와 다리고정부(300)를 집어 넣고 지퍼(116)를 체결한 다음, 고정띠(120)의 끝단을 벨크로(121,122)로 서로 결합하여, 도 10과 같이, 가방부(100)를 크로스백 형태로 메고서, 용이하게 보관 및 휴대하여, 필요한 장소로 운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착석을 원할 경우, 가방본체(110)에서 지지부(200) 및 다리고정부(300)를 꺼내, 가방부(100), 지지부(200) 및 다리고정부(300)를 조립한 후, 착용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한 쌍의 고정장착부(140)에 한 쌍의 결합판(230)을 각각 결합하고, 다리고정부(300)의 튜브(305)에 하부레그(210)를 끼워 조립한다.
이렇게 의자장치(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가방본체(110)를 엉덩이를 감싸도록 배치한 후, 한 쌍의 고정띠(120)를 허리에 감싸고 벨크로(121,122)를 체결해 고정하고, 보조고정띠(130)를 허벅지에 감싸 버클부재(133)를 체결해 줌으로써, 가방본체(110)를 엉덩이에 고정시키고, 다음으로, 한 쌍의 밴드(301) 각각을 종아리에 감싸 벨크로부재(306,307)를 체결해, 밴드(301)를 종아리에 고정시켜줌으로써, 도 9와 같이, 착용이 완료된다.
이렇게 의자장치(10)를 착용한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보행할 경우, 지지부(200)의 하부레그(210), 상부레그(220), 및 결합판(230)이 제1관절(240)가 제2관절(250)에 의해 다리의 동작에 연동하여 관절운동하므로 사용자의 보행을 간섭하지 않고 자연스러운 보행을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사용자의 보행에 따른 지지부(200)의 관절운동시, 하부레그(210)는 튜브(205)에 안내되어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더욱 자연스러운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착석을 원하여, 사용자가 다리를 굽히면, 도 8과 같이, 가방본체(110)가 엉덩이를 받쳐주면서, 지지부(200)가 사용자의 하중을 지지하여, 도 4 및 도 8과 같은 꺽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무게중심을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인 착석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착석시, 도 8과 같이, 하부레그(210)는 지면에 대해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되고, 하부레그(210)와 상부레그(220) 사이의 제1관절(240) 및 상부레그(220)와 결합판(230) 사이의 제2관절(250)은 도 4 및 도 8과 같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서도 소정각도로 꺽인 상태를 유지한채로, 사용자의 하중이 제1관절(240) 및 제 2관절(250)과, 지면에 접촉되는 사용자의 발과 하부레그(210)의 하단로 분산되게 되고, 한 쌍의 하부레그(210) 하단과 한 쌍의 발의 네 포인트가 지면과 접촉되면서 무게중심을 형성하여 착석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결합판(230)을 가방본체(11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고정장착부(140)가 소켓부(142) 및 덮개(144)로 이루어진 구성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판(230)을 가방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성이며 여타의 다른 구성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지지부(220)에서 제1관절(240) 및 제 2관절(250)이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두 부재가 완전이 접혀지고, 타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하중에 의해서도 소정각도로 꺽인 상태를 갖을 수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 되어도 무방하다. 즉,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344117호에 개시된 관절형태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다리고정부(300')는 사용자의 종아리에 착용된 밴드(301)가 좌우로 돌아가지 않도록, 밴드(301)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밴드고정수단(3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밴드고정수단(309)은 소정길이의 끈 형태로 형성되며, 똑딱이 단추나 벨크로와 같은 체결수단(309a)을 통해 밴드고정수단(309)의 양단이 밴드(301) 하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밴드(301)가 사용자의 종아리에 착용된 상태에서, 밴드고정수단(309)의 일단을 밴드(301)의 하부 일측에 고정하고,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311)의 저부를 감싸고, 타단을 밴드(301)의 하부 타측에 고정시켜줌으로써, 밴드(301)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밴드고정수단(309)이 신발을 감싸 밴드(301)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구성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밴드고정수단이 각각 신발의 양측면에 일체로 고정설치된 의자장치 전용신발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이 전용신발을 신고, 한 쌍의 밴드고정수단의 각 끝단을 종아리에 착용된 밴드(301)의 양측에 벨크로나 똑딱이 단추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해 줌으로써, 밴드(30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235는 결합판(230)의 재료절감을 위해 홈을 형성한 살빼기부(235)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지지부(200)의 결합판(230)과 결합되어 엉덩이에 밀착되게 착용되는 부분이 가방기능을 갖는 가방부(1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200)의 결합판(230)과 결합되어, 결합판(230)을 엉덩이에 고정되게 착용할 수 있으면 통상의 벨크로 밴드 등 여타의 구성으로된 엉덩이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리고정부(300)는 각반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종아리에 고정되게 착용될 수 있으면 어떤한 구성이 되어도 무방하며, 이때 다리고정부(300)는 하부레그(210)가 끼워져, 사용자의 관절운동에 대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튜브(305)와 같은 구성이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가방부
110...가방본체
120...고정띠
130...보조고정띠
140...고정장착부
200...지지부
210...하부레그
220...상부레그
230...결합판
240...제1관절
250...제2관절
300...다리고정부
301...밴드
305...튜브
309...밴드고정수단
311...신발

Claims (10)

  1. 내부에 보관공간이 형성되며, 착석시 사용자의 엉덩이에 감싸 고정되는 가방본체와, 상기 가방본체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상기 가방본체를 상기 엉덩이에 고정시키는 한쌍의 고정띠로 구성된 가방부;
    상기 가방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고정되며,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방본체를 지면에 대해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사용자의 종아리에 고정시키는 다리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가방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판;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의 양쪽 다리에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레그 및 하부레그;
    상기 상부레그에 대해 상기 하부레그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관절; 및,
    상기 결합판에 대해 상기 상부레그가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관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판, 상기 상부레그 및, 상기 하부레그는 상기 제1관절과 상기 제2관절에 의해 접철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사용자의 착석이 가능하도록 소정각도로 꺽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공간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다리고정부를 수용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보관공간에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다리고정부를 집어넣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띠를 통해 상기 가방본체를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켜줌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부는, 상기 가방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결합판을 상기 가방본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고정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착부는,
    상기 가방본체 내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결합판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소켓부의 개방부를 덮는 덮개; 및,
    상기 덮개와 상기 소켓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소켓부에 삽입된 상기 결합판이 상기 소켓부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상기 덮개를 상기 소켓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부는,
    각반형태로 형성되어, 종아리를 감싸고정하는 밴드; 및,
    상기 밴드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하부레그가 끼워지는 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부는,
    상기 밴드를 사용자가 착용한 신발에 고정시켜 상기 밴드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밴드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부는,
    상기 밴드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밴드고정수단이 일체로 설치된 전용신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부는,
    상기 가방본체 일측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벅지를 감싸 상기 가방본체를 고정시키는 보조고정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절은 사용자의 무릎 뒤편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10. 삭제
KR1020140076305A 2013-07-04 2014-06-23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KR101596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305A KR101596815B1 (ko) 2014-06-23 2014-06-23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CN201480035670.5A CN105324056A (zh) 2013-07-04 2014-06-25 可穿戴式座椅装置
EP14820562.8A EP3017723A4 (en) 2013-07-04 2014-06-25 Wearable chair device
PCT/KR2014/005631 WO2015002403A1 (ko) 2013-07-04 2014-06-25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JP2016523644A JP2016525386A (ja) 2013-07-04 2014-06-25 身体着用式の椅子装置
US14/899,599 US20160135604A1 (en) 2013-07-04 2014-06-25 Wearable chai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305A KR101596815B1 (ko) 2014-06-23 2014-06-23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341A Division KR101637234B1 (ko) 2015-12-28 2015-12-28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169A KR20150146169A (ko) 2015-12-31
KR101596815B1 true KR101596815B1 (ko) 2016-02-23

Family

ID=5512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305A KR101596815B1 (ko) 2013-07-04 2014-06-23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68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3548A (zh) * 2017-02-27 2017-07-07 上海理工大学 一种便携式座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644B1 (ko) * 2018-06-21 2020-10-30 현대로템 주식회사 착석용 보조장치
KR102588952B1 (ko) 2018-11-02 2023-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러스 구조를 갖는 착용식 의자
KR102603039B1 (ko) 2018-11-20 2023-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4절 링크 구조를 포함한 착용식 의자
KR102565354B1 (ko) 2018-11-22 2023-08-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차단 스위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한 착용식 의자
CN112840791B (zh) * 2021-01-05 2022-03-25 湖北文理学院 背负式辅助播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117B1 (ko) * 2013-07-04 2013-12-23 김형준 의자가 결합된 의자바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8156A (en) * 1977-09-06 1979-02-06 Bonner Darcy R Wearable chai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117B1 (ko) * 2013-07-04 2013-12-23 김형준 의자가 결합된 의자바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23548A (zh) * 2017-02-27 2017-07-07 上海理工大学 一种便携式座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169A (ko) 2015-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6815B1 (ko)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US9561397B2 (en) Grab-and-use exercise strap
JP2016525386A (ja) 身体着用式の椅子装置
KR101637234B1 (ko)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신체착용식 의자장치
KR101009710B1 (ko) 힙업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
CA2607558C (en) Corset
JP3180360U (ja) サポーターベルト
US20150250236A1 (en) Leg Padding Device
US20150209608A1 (en) Portable exercise apparatus
US20180055710A1 (en) Flexible Ankle-Based Inversion Device
US20170100638A1 (en) Stabilization enhancement exercise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US6149557A (en) Soft shoulder weight device
JP2006305225A (ja) 歩行補助具
US20110291374A1 (en) Wheeled Crutch
KR100695558B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20100125225A (ko) 상반신부용 의류, 하반신부용 의류, 및 연결형 의류
JPH08103458A (ja) 身体装着用バンド
KR200496638Y1 (ko) 휴대용 자세 교정백
JPS6314832Y2 (ko)
KR200405809Y1 (ko) 좌식 작업용 다리 보조 장치
KR101563701B1 (ko) 체형 교정이 되는 발목 보조기 및 그 착용 방법
JPH0360655A (ja) 腰痛防止作業具
TWM553626U (zh) 改良型、褲型暨洗澡專用轉位輔助帶
JP2001170094A (ja) 足関節装具
JP2017184881A (ja) 股関節運動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