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243B1 - 레이저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243B1
KR101588243B1 KR1020140089372A KR20140089372A KR101588243B1 KR 101588243 B1 KR101588243 B1 KR 101588243B1 KR 1020140089372 A KR1020140089372 A KR 1020140089372A KR 20140089372 A KR20140089372 A KR 20140089372A KR 101588243 B1 KR101588243 B1 KR 101588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rip
pallet
input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호
Original Assignee
이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호 filed Critical 이순호
Priority to KR1020140089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1/00Measures preceding 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1/10Sorting according to size or flexibility
    • B07C1/16Sorting according to thickness or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7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ransferring materials in bulk from one conveyor to several conveyors,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레이저 가공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레이저 가공장치는 스트립이 안착된 파레트가 다단으로 이격 적재되는 적재유닛; 파레트를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하거나 상기 적재유닛에서 파레트를 배출시키는 운반유닛; 스트립 또는 파레트를 운반하도록 상기 적재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이송유닛; 스트립 또는 파레트를 운반하도록 상기 적재유닛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에서 운반되는 스트립을 레이저 가공하는 제1가공유닛; 상기 제2이송유닛에서 운반되는 스트립을 레이저 가공하는 제2가공유닛; 및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상기 운반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 사이 또는 상기 운반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 사이에서 파레트를 전달하는 선별이송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가공장치{LASER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레이저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스트립을 분류하여 각각 레이저를 통해 가공할 수 있는 레이저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가공을 위하여는 레이저를 출사하는 레이저 발진기와, 상기 레이저를 스폿에 집속시켜 피가공물에 조사하는 레이저 헤드와, 레이저 발진기 및 레이저 헤드를 연결하는 연결광학계가 필요하다. 초정밀 가공을 위하여 레이저 헤드는 수 마이크로미터 이내에서 정밀하게 위치 제어되어야 한다. 레이저 헤드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미러, 콜리메이터, 및 집속렌즈 등으로 구성되며, 한정된 작업/설치공간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이들을 조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즉, 레이저 헤드는 무게와 부피가 작고 질량(회전) 관성 모멘트가 최소로 되도록 설치될 필요가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6488호(2011. 12. 20. 공고, 발명의 명칭 : 고출력 CO2 레이저를 이용한 강판 가공용 광학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스트립을 분류하여 각각 레이저를 통해 가공할 수 있는 레이저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는 스트립이 안착된 파레트가 다단으로 이격 적재되는 적재유닛; 파레트를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하거나 상기 적재유닛에서 파레트를 배출시키는 운반유닛; 스트립 또는 파레트를 운반하도록 상기 적재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이송유닛; 스트립 또는 파레트를 운반하도록 상기 적재유닛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에서 운반되는 스트립을 레이저 가공하는 제1가공유닛; 상기 제2이송유닛에서 운반되는 스트립을 레이저 가공하는 제2가공유닛; 및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상기 운반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 사이 또는 상기 운반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 사이에서 파레트를 전달하는 선별이송유닛; 을 포함하고, 기설정된 스트립의 두께 이상인 스트립은 상기 선별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운반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 사이에서 파레트를 전달하고, 기설정된 스트립의 두께보다 작은 스트립은 상기 선별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운반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 사이에서 파레트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운반유닛은, 파레트를 상기 적재유닛에 인입하거나 상기 적재유닛에서 파레트를 인출시키는 입출유닛; 및 상기 입출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출유닛은, 파레트가 안착되는 바닥지지부; 상호 이격되어 상기 바닥지지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측부지지부; 상기 측부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입출롤러부; 상기 입출롤러부를 따라 권취되어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입출궤도부; 상기 다수의 입출롤러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입출축부; 상기 입출축부를 회전시키는 입출구동부; 및 파레트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입출궤도부에 구비되는 제1입출걸림부; 를 포함하고, 파레트에는, 상기 제1입출걸림부가 삽입되는 제2입출걸림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입출유닛은, 상기 다수의 입출롤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입출축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측부지지부에 구비되는 입출장력부와, 상기 다수의 입출롤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입출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입출장력조절부 중 적어도 입출장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적재유닛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측부지지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입출유닛의 양측에 구비되는 승강지지부; 상기 승강지지부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승강롤러부; 상기 측부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제2승강롤러부; 상기 제1승강롤러부와 상기 제2승강롤러부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측부지지부에 고정되는 승강궤도부; 상기 제1승강롤러부 또는 상기 다수의 제2승강롤러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승강축부; 및 상기 승강축부를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궤도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측부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장력부와, 상기 승강장력부를 이동시키는 승강장력조절부 중 적어도 승강장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입출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운반제어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운반제어유닛은,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되는 스트립의 두께 또는 상기 적재유닛에서 배출되는 스트립의 두께를 검출하는 두께검출부; 및 검출되는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스트립의 적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입출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의 동작을 통해 스트립의 적재 또는 스트립의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운반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입출유닛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요동방지부는, 상기 승강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출유닛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착롤부; 및 상기 측부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밀착롤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착로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은, 각각 바닥에서 이격 배치되는 이송지지부; 상기 이송지지부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이송레일부가 구비되는 이격프레임부; 상기 이송레일부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이송지지부에 결합되는 이송바퀴부; 상기 이송바퀴부에 결합되는 이송바퀴축부; 상기 이송바퀴축부를 회전시키는 이송구동부; 스트립을 흡착 지지하는 흡착유닛; 스트립 또는 파레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포크유닛; 및 상기 이송지지부에서 상기 흡착유닛과 상기 포크유닛을 승강시키는 왕복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왕복유닛은, 상기 이송지지부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왕복지지부; 왕복 이동을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왕복구동부; 상기 왕복구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왕복구동부의 회전력을 전환시키는 제1전환부; 상기 제1전환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제1전달부; 상기 제1전달부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3전환부; 및 상기 왕복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3전환부의 회전력으로 왕복 이동되는 왕복프레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왕복유닛은, 상기 제1전달부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전환부; 및 상기 제2전환부의 회전력을 상기 제3전환부에 전달하는 한 쌍의 제2전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흡착유닛은,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흡착구동부; 및 상기 왕복지지부에 구비되어 흡착력에 의해 스트립을 흡착 지지하는 다수의 흡착패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포크유닛은, 상기 왕복지지부에 구비되어 왕복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에서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부; 스트립 또는 파레트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왕복지지부 또는 상기 흡착유닛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포크부; 상기 피스톤부와 상기 포크부를 연결 고정시키는 포크고정부; 및 상기 왕복지지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포크고정부에 결합되는 포크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왕복지지부에는, 상기 포크부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처짐방지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은, 각각 상기 이송지지부의 이송 경로에서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1가공유닛과 상기 제2가공유닛에서 배출되는 스트립 또는 파레트가 안착되는 배출안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은, 각각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의 이송 여부를 결정하는 이송제어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제어유닛은,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선택하는 이송선택부; 및 상기 이송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을 배출시키거나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을 상기 적재유닛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이송구동부와 상기 왕복유닛과 상기 포크유닛의 동작을 결정하는 이송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가공유닛과 상기 제2가공유닛은, 각각 레이저를 통해 스트립을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이송지지부의 이송 경로 상에 배치되고 가공 전후의 스트립이 안착되는 버퍼부; 및 상기 가공부와 상기 버퍼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스트립의 가공 상태를 제어하는 가공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여기서, 상기 선별이송유닛은, 파레트가 안착되는 선별대차부; 상기 선별대차부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선별레일부; 상기 선별레일부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선별대차부에 결합되는 선별바퀴부; 상기 선별바퀴부에 결합되는 선별바퀴축부; 및 상기 선별대차부에 안착되는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상기 선별바퀴축부를 정역회전시키는 선별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별이송유닛은, 상기 선별대차부에 안착되는 스트립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선별대차부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선별제어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선별제어유닛은, 상기 운반유닛을 통해 상기 선별대차부에 안착되는 스트립의 두께를 저장하는 두께저장부; 상기 두께저장부에 저장된 스트립의 두께와 기설정된 스트립의 두께를 비교하는 두께비교부; 및 상기 두께비교부의 비교값에 따라 상기 선별대차부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선별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운반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과, 상기 제1가공유닛과, 상기 제2가공유닛과, 상기 선별이송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 동작에 따른 메세지를 발생시키는 이상신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상신호부에서 발생되는 이상 동작에 따른 메세지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것과, 상기 메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과, 상기 메세지를 중앙제어실 또는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는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스트립을 분류하여 각각 레이저를 통해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립의 이동 거리를 단축시키고, 레이저 가공 시간을 단축시며, 레이저 가공의 자동화에 이바지하며,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립이 안착된 상태로 적재유닛에 이격 적재된 파레트의 인입 인출을 부드럽게 하고, 파레트를 간편하게 선별이송유닛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레트의 수평 이동을 안정화시키고, 파레트와 입출유닛의 연결을 편리하게 하며, 입출유닛의 승강에 따라 파레트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출유닛에 포함되는 입출궤도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입출궤도부의 처짐을 방지하며, 입출궤도부의 장력을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지지부에서 입출유닛을 안정되게 지지한 상태로 입출유닛의 승강 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궤도부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승강궤도부의 처짐을 방지하며, 승강궤도부의 장력을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레트의 적재 위치에 대응하여 입출유닛을 안정되게 정위치시킬 수 있고, 파레트의 인입 인출 동작을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스트립의 적재 위치를 안정되게 안내하고, 레이저 가공에 필요한 스트립의 두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출유닛과 승강지지부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하고, 입출유닛이 승강지지부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입출유닛의 승강 이동에 따라 승강지지부에서 입출유닛이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립의 가공 전후에 대하여 스트립의 이송을 편리하게 하고, 이송되는 스트립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이송유닛 또는 제2이송유닛에서 스트립이 분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레이저 가공으로 인해 분할된 스트립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구동부 또는 왕복구동부의 동작에 있어서 흡착유닛 또는 포크유닛에 의해 지지된 스트립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스트립의 수평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립의 흡착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스트립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가공으로 인해 분할된 스트립을 안정되게 파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고, 포크부의 왕복 이동에 따라 포크부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포크부의 처짐에 따라 스트립이 분리 또는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스트립의 배출 여부에 따라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의 동작을 활성화하며, 스트립의 이송 간에 정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스트립의 순환을 활성화하며 스트립 이송 간에 정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립의 이송 시간과 스트립의 가공 시간을 단축시키고, 새로운 스트립의 투입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공급되는 스트립의 레이저 가공을 원활하게 하고, 가공을 위한 스트립의 순환을 활성화하며, 스트립을 안정되게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스트립의 분류를 간편하게 하고,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제1가공유닛과 제2가공유닛으로 스트립을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재유닛과 가공유닛 사이의 스트립 이송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1가공유닛과 제2가공유닛에서의 스트립 가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 가공장치의 이상 동작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스트립의 레이저 가공을 자동화하며, 스트립의 레이저 가공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수집하여 레이저 가공 절차에서의 오류를 해결하고, 레이저 가공을 표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유닛과 운반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유닛과 운반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유닛과 제2가공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이송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는 적재유닛(1)과, 운반유닛(2)과,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과, 제1가공유닛(5)과, 제2가공유닛(6)과, 선별이송유닛(7)을 포함할 수 있다.
적재유닛(1)은 스트립(S)이 안착되는 파레트가 다단으로 이격 적재되고, 운반유닛(2)은 파레트(P)를 적재유닛에 적재하거나 적재유닛(1)에서 파레트(P)를 배출시킨다. 운반유닛(2)은 파레트(P)의 입출 방향에 배치되어 스트립(S)이 안착된 파레트(P)의 인입 거리 또는 인출 거리를 최소화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송유닛은 적재유닛(1)의 양측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송유닛은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파레트(P)에 안착된 스트립(S) 또는 스트립(S)이 안착된 파레트(P)를 운반한다. 이송유닛은 적재유닛(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이송유닛(3)과, 적재유닛(1)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이송유닛(4)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은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동작될 수 있다.
가공유닛은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에 각각 구비되어 운반되는 스트립(S)을 레이저 가공한다. 가공유닛은 제1이송유닛(3)에서 운반되는 스트립(S) 또는 파레트(P)에 안착된 스트립(S)을 레이저 가공하는 제1가공유닛(5)과, 제2이송유닛(4)에서 운반되는 스트립(S) 또는 파레트(P)에 안착된 스트립(S)을 레이저 가공하는 제2가공유닛(6)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가공유닛(5)은 스트립(S)의 가공 시간, 스트립(S)의 가공에 따른 제1이송유닛(3)의 스트립(S) 운반 시간, 적재유닛(1)과 제1이송유닛(3) 사이에서 스트립(S)이 전달되는 시간, 스트립(S)의 배출에 따른 제1이송유닛(3)의 스트립(S) 배출 시간 등을 고려하여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가공유닛(6)은 스트립(S)의 가공 시간, 스트립(S)의 가공에 따른 제2이송유닛(4)의 스트립(S) 운반 시간, 적재유닛(1)에서 제2이송유닛(4)으로 스트립(S)이 전달되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유닛(5)과 제2가공유닛(6)은 각각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가공 조건을 달리하여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스트립(S)을 분류하여 각각 레이저 가공할 수 있다.
제1가공유닛(5)은 기설정된 스트립(S)의 두께 이상인 스트립(S)을 가공하는 것으로, 스트립(S)의 두께에 대응하여 탄산 가스 레이저(CO2 laser)를 사용할 수 있다.
제2가공유닛(6)은 기설정된 스트립(S)의 두께보다 작은 스트립(S)을 가공하는 것으로, 스트립(S)의 두께에 대응하여 광섬유 레이저(fiber laser)를 사용할 수 있다.
선별이송유닛(7)은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운반유닛(2)과 제1이송유닛(3) 사이 또는 운반유닛(2)과 제2이송유닛(4) 사이에서 파레트(P)를 전달한다.
기설정된 스트립(S)의 두께 이상인 스트립(S)은 선별이송유닛(7)에 의해 운반유닛(2)과 제1이송유닛(3) 사이에서 파레트(P)를 전달한다.
기설정된 스트립(S)의 두께보다 작은 스트립(S)은 선별이송유닛(7)에 의해 운반유닛(2)과 제2이송유닛(4) 사이에서 파레트(P)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스트립(S)의 두께는 3mm 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가공유닛(5)에서 가공될 수 있는 스트립(S)의 두께는 3mm 이상 22mm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2가공유닛(6)에서 가공될 수 있는 스트립(S)의 두께는 0.3mm 이상 3mm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는 두께가 다른 두 종류의 스트립(S)을 분류하여 각각 레이저를 통해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S)의 이동 거리를 단축시키고, 레이저 가공 시간을 단축시며, 레이저 가공의 자동화에 이바지하며,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 가공장치는 이상신호부(8)와 알림부(9) 중 적어도 이상신호부(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신호부(8)는 운반유닛(2)과,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과, 제1가공유닛(5)과, 제2가공유닛(6)과, 선별이송유닛(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 동작에 따른 메세지를 발생시킨다.
이때, 운반유닛(2)의 운반제어유닛(25)과, 제1이송유닛(3)의 이송제어유닛(44)과, 제2이송유닛(4)의 이송제어유닛(44)과, 제1가공유닛(5)의 가공제어유닛(53)과, 제2가공유닛(6)의 가공제어유닛(53)과, 선별이송유닛(7)의 선별제어유닛(76)에서는 각각 이상 동작을 검출할 수 있다.
알림부(9)는 이상신호부(8)에서 발생되는 이상 동작에 따른 메세지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것과, 메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과, 메세지를 중앙제어실 또는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한다. 일예로,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경고 알람을 울리는 것이고,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은 경광등이 점멸하는 것이다.
각각의 제어유닛에서 이상 동작을 검출함에 따라 이상신호부(8)에서는 이상 동작에 따른 메세지를 발생시키고, 알림부에서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각각의 제어유닛에서 이상 동작을 검출하거나 이상신호부(8)에서 메세지를 발생함에 따라 레이저 가공장치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알림부(9)의 표시 사항 또는 전송 사항을 바탕으로 작업자는 이상 동작을 정정하고, 레이저 가공장치를 재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신호부(8) 또는 알림부(9)는 레이저 가공장치의 이상 동작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스트립(S)의 레이저 가공을 자동화하며, 스트립(S)의 레이저 가공에서 발생되는 오류를 수집하여 레이저 가공 절차에서의 오류를 해결하고, 레이저 가공을 표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은 제1가공유닛(5) 또는 제2가공유닛(6)에서 레이저 가공되는 대상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레트(P)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이 안착되는 것으로, 스트립(S)의 운반 또는 보관을 위해 상측이 개구된 케이스를 의미한다. 파레트(P)는 레이저 가공 전후의 스트립을 운반하거나 스트립을 적재할 때, 스트립(S)을 보호할 수 있다.
파레트(P)는 종횡으로 교차 배열되는 프레임의 결합이거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파레트(P)는 안착된 스트립(S)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적재 또는 이송 간에 처짐 또는 비틀림 등과 같은 자체 변형에 안정되게 대응할 수 있다.
파레트(P)에는 스트립지지부(P1)와 포크안착부(P2)와 제2입출걸림부(P3)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스트립지지부(P1)는 파레트(P)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스트립지지부(P1)는 스트립(S)의 안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스트립지지부(P1)는 안착되는 스트립(S)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스트립지지부(P1)는 파레트(P)에서 스트립(S)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포크안착부(P2)는 파레트(P)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포크안착부(P2)는 후술하는 포크유닛(43)의 포크부(433)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포크안착부(P2)는 포크부(433)의 슬라이드 이동 또는 승강 이동에 간섭되지 않고, 파레트(P)의 변형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한다.
제2입출걸림부(P3)는 파레트(P)의 모서리 부근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2입출걸림부(P3)는 후술하는 입출유닛(21)의 제1입출걸림부(214a)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입출걸림부(P3)는 입출유닛(21)의 승강 이동에 간섭되지 않고, 입출유닛(21)이 파레트(P)의 인입 또는 인출을 위해 정위치되었을 때, 제1입출걸림부(214a)가 안정되게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파레트(P)의 하부에는 파레트(P)의 인입 또는 인출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롤러 또는 볼이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파레트(P)의 가장자리 부분(적재유닛(1)에 인입 또는 인출되는 방향에 평행함)에는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롤러 또는 볼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레트(P)의 가장자리가 지지되는 적재유닛(1)과의 마찰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파레트(P)의 슬라이드 이동 또는 파레트(P)를 지지하는 대상물의 슬라이드 이동에서 대상물과의 마찰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파레트(P) 또는 대상물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유닛과 운반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유닛과 운반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유닛과 운반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유닛(1)은 스트립(S)이 안착된 파레트(P)가 적재되는 것으로, 적재프레임부(11)와 안착턱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적재프레임부(11)는 파레트(P)의 적재 높이에 대응하여 외관을 형성한다. 적재프레임부(11)는 파레트(P)의 적재 공간을 형성하도록 종횡으로 배열 고정될 수 있다.
안착턱부(13)는 파레트(P)의 적재 공간에서 적재프레임부(11)에 결합된다. 안착턱부(13)는 파레트(P)의 이격 상태에 대응하여 파레트(P)의 적재 높이 방향으로 이격 배열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안착턱부(13)의 상부에는 파레트(P)의 인입 또는 인출 방향에 대응하여 회전 가능하게 돌출되는 롤러 또는 볼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재유닛(1)에서 인입 또는 인출되는 파레트(P)와의 마찰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파레트(P)의 슬라이드 이동 또는 파레트(P)를 지지하는 대상물의 슬라이드 이동에서 대상물과의 마찰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파레트(P) 또는 대상물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유닛(2)은 적재유닛(1)에서 파레트(P)를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것으로, 입출유닛(21)과, 승강유닛(23)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유닛(21)은 파레트(P)를 적재유닛(1)에 인입하거나 적재유닛(1)에서 파레트(P)를 인출시킨다.
입출유닛(21)은 파레트(P)가 안착되는 바닥지지부(211)와, 상호 이격되어 바닥지지부(211)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측부지지부(212)와, 측부지지부(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입출롤러부(213)와, 입출롤러부(213)를 따라 권취되어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입출궤도부(214)와, 다수의 입출롤러부(213)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입출축부(215)와, 입출축부(215)를 회전시키는 입출구동부(216)와, 파레트(P)에 걸림 결합되도록 입출궤도부(214)에 구비되는 제1입출걸림부(214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입출걸림부(214a)는 파레트(P)에 구비되는 제2입출걸림부(P3)에 삽입된다. 제1입출걸림부(214a)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입출궤도부(214)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입출걸림부(214a)의 배치 간격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파레트(P)의 이동 방향과 이동 길이 등 파레트(P)의 이동 조건에 대응하여 배치 간격이 결정됨으로써, 제1입출걸림부(214a)가 파레트(P)의 이동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된 제1입출걸림부(214a)는 입출롤러부(213)의 회전에 따라 이동됨으로써, 입출유닛(21)의 승강에 대하여 파레트(P)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지지부(211)는 파레트(P)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측부지지부(212)는 파레트(P)의 삽입 공간을 형성한다. 바닥지지부(211)와 측부지지부(212)는 파레트(P)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입출롤러부(213)와 입출궤도부(214)는 스프로킷과 체인, 풀리와 밸트의 결합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입출구동부(216)에는 입출축부(215)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 또는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가 연결될 수 있다.
입출유닛(21)은 입출장력부(217)와 입출장력조절부(218) 중 적어도 입출장력부(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장력부(217)는 측부지지부(212)에 구비된다. 입출장력부(217)는 다수의 입출롤러부(213) 중 어느 하나 또는 입출축부(215)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입출장력부(217)는 입출궤도부(214)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구멍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입출장력조절부(218)는 다수의 입출롤러부(213) 중 어느 하나를 회전 가능하게 이동시키거나 입출축부(215)를 회전 가능하게 이동시킨다. 도면부호를 부여하진 않았지만, 입출장력조절부(218)는 입출롤러부(213)의 회전축 또는 입출축부(21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입출캡부와, 입출캡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장력 조절 위치에서 입출캡부를 측부지지부(212)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입출장력조절부(218)에서 입출캡부는 장력 조절 위치에서 다수의 입출롤러부(213) 중 어느 하나 또는 입출축부(215)를 정위치시키고, 체결부재는 입출캡부를 측부지지부(2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승강유닛(23)은 입출유닛(21)을 승강시킨다.
승강유닛(23)은 적재유닛(1)의 높이에 대응하여 측부지지부(212)에서 이격된 상태로 입출유닛(2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승강지지부(231)와, 승강지지부(23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승강롤러부(232)와, 측부지지부(21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제2승강롤러부(233)와, 제1승강롤러부(232)와 제2승강롤러부(233)에 권취된 상태로 측부지지부(212)에 고정되는 승강궤도부(234)와, 제1승강롤러부(232) 또는 다수의 제2승강롤러부(233)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승강축부(235)와, 승강축부(235)를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출롤러부(213)와 입출궤도부(214)는 스프로킷과 체인, 풀리와 밸트의 결합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승강구동부(236)에는 승강축부(235)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 또는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가 연결될 수 있다.
승강유닛(23)은 승강장력부(237)와 승강장력조절부(238) 중 적어도 승강장력부(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장력부(237)는 승강궤도부(234)가 고정된다. 승강장력부(237)는 측부지지부(21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승강장력조절부(238)는 승강장력부(237)를 이동시킨다. 승강장력조절부(238)는 장력 조절 위치에서 승강장력부(237)를 측부지지부(2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유닛(2)은 요동방지부(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요동방지부(24)는 승강구동부(236)의 동작에 따라 입출유닛(21)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요동방지부(24)는 밀착부(241)와, 밀착롤부(242)와, 밀착로드부(243)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241)는 승강지지부(231)에 구비된다. 밀착부(241)는 입출유닛(21)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한다. 밀착롤부(242)는 밀착부(2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밀착롤부(242)는 밀착부(241)와의 마찰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입출유닛(21)의 승강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밀착로드부(243)는 측부지지부(212)에 고정된다. 밀착로드부(243)에는 밀착롤부(24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유닛(2)은 운반제어유닛(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운반제어유닛(25)은 입출유닛(21)과 승강유닛(23)의 동작을 제어한다. 운반제어유닛(25)은 두께검출부(251)와, 운반제어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두께검출부(251)는 적재유닛(1)에 적재되는 스트립(S)의 두께 또는 적재유닛(1)에서 배출되는 스트립(S)의 두께를 검출한다. 일예로, 파레트(P)에 안착되는 스트립(S)의 두께를 직접 측정하여 스트립(S)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파레트(P)에 안착되는 스트립(S)의 무게를 측정하여 스트립(S)의 두께를 추정 환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트립(S)이 안착되는 파레트(P)의 고유번호를 통해 스트립(S)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선별제어유닛(76)의 두께저장부(761)에 저장된 스트립(S)의 두께를 통해 스트립(S)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스트립(S)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운반제어부(252)는 검출되는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스트립(S)의 적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적재유닛(1)은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적재 위치를 구획하고, 운반제어부(252)는 검출되는 스트립(S)의 두께에 대응하여 입출유닛(21)과 승강유닛(23)을 동작을 제어하여 스트립(S)의 적재 또는 스트립(S)의 배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유닛(2)은 스트립(S)이 안착된 상태로 적재유닛(1)에 이격 적재된 파레트(P)의 인입 인출을 부드럽게 하고, 파레트(P)를 간편하게 선별이송유닛(7)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파레트(P)의 수평 이동을 안정화시키고, 파레트(P)와 입출유닛(21)의 연결을 편리하게 하며, 입출유닛(21)의 승강에 따라 파레트(P)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출유닛(21)에 포함되는 입출궤도부(214)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입출궤도부(214)의 처짐을 방지하며, 입출궤도부(214)의 장력을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승강지지부(231)에서 입출유닛(21)을 안정되게 지지한 상태로 입출유닛(21)의 승강 이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승강궤도부(234)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승강궤도부(234)의 처짐을 방지하며, 승강궤도부(234)의 장력을 안정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파레트(P)의 적재 위치에 대응하여 입출유닛(21)을 안정되게 정위치시킬 수 있고, 파레트(P)의 인입 인출 동작을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스트립(S)의 적재 위치를 안정되게 안내하고, 레이저 가공에 필요한 스트립(S)의 두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출유닛(21)과 승강지지부(231)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하고, 입출유닛(21)이 승강지지부(231)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며, 입출유닛(21)의 승강 이동에 따라 승강지지부(231)에서 입출유닛(21)이 요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유닛(2)은 다음의 4가지 동작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첫째, 스트립(S)이 안착된 파레트(P)가 외부에서 적재유닛에 공급하는 경우
스트립(S)이 안착된 파레트(P)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장치를 통해 이송된다. 일예로, 별도의 장치는 파레트(P)를 입출유닛(21)의 바닥지지부(211)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유닛(21)이 별도의 장치와 마주보도록 정위치한 상태에서 입출구동부(216)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제1입출걸림부(214a)가 제2입출걸림부(P3)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레트(P)는 입출유닛(21)의 바닥지지부(211)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입출유닛(21)은 별도의 장치에 위치한 파레트(P)를 입출유닛(21)의 바닥지지부(211)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바닥지지부(211)에 정위치되는 파레트(P)에서 스트립(S)은 두께검출부(251)를 통해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바닥지지부(211)에 파레트(P)가 정위치하면, 제1입출걸림부(214a)는 제2입출걸림부(P3)에 삽입 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초기 위치에서 바닥지지부(211)에 정위치된 파레트(P)는 검출된 스트립(S)의 두께에 대응하여 운반제어부(252)의 제어 동작으로 승강구동부(236)가 동작된다. 그러면, 승강구동부(236)는 입출유닛(21)을 파레트(P)의 적재 위치로 이동시킨다.
입출유닛(21)이 파레트(P)의 적재 위치에 정지한 다음, 운반제어부(252)의 제어 동작으로 입출구동부(216)가 동작된다. 그러면, 제1입출걸림부(214a)가 제2입출걸림부(P3)에 삽입된 상태에서 입출구동부(216)는 파레트(P)를 적재유닛(1)으로 이동시킨다. 파레트(P)가 적재유닛(1)의 정위치에 안착 지지되면, 입출구동부(216)에 의해 입출궤도부(214)를 이동시키거나 승강구동부(236)를 동작시킴으로써, 제1입출걸림부(214a)는 제2입출걸림부(P3)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운반제어부(252)의 제어 동작으로 승강구동부(236)가 동작되어 입출유닛(21)은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둘째, 적재유닛(1)에 적재된 파레트(P)를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초기 위치에서 운반제어부(252)의 제어 동작으로 승강구동부(236)를 동작시키면, 승강구동부(236)는 배출하고자 하는 파레트(P)의 위치로 입출유닛(21)을 이동시킨다. 배출하고자 하는 파레트(P)의 위치에 입출유닛(21)이 정위치하면, 제1입출걸림부(214a)가 제2입출걸림부(P3)에 삽입된다. 입출유닛(21)이 정위치한 상태에서 입출구동부(216)의 동작에 따라 제1입출걸림부(214a)는 입출궤도부(214)에 의해 이동되어 제2입출걸림부(P3)에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운반제어부(252)의 제어 동작으로 입출구동부(216)를 동작시키면, 제1입출걸림부(214a)가 제2입출걸림부(P3)에 삽입된 상태에서 적재유닛(1)의 파레트(P)는 입출유닛(21)의 바닥지지부(211)로 이동된다. 그러면, 제1입출걸림부(214a)가 제2입출걸림부(P3)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레트(P)는 바닥지지부(211)에 정위치된다.
그리고 운반제어부(252)의 제어 동작으로 승강구동부(236)가 동작되어 입출유닛(21)은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외부에는 파레트(P)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예로, 별도의 장치는 바닥지지부(211)에 정위치된 파레트(P)를 자신에게 가져올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유닛(21)이 별도의 장치와 마주보도록 정위치한 상태에서 입출구동부(216)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제1입출걸림부(214a)가 제2입출걸림부(P3)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레트(P)는 별도의 장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출유닛(21)은 바닥지지부(211)에 정위치된 파레트(P)를 별도의 장치로 보낼 수 있다.
셋째, 적재유닛(1)에 적재된 파레트(P)를 선별이송유닛(7)에 전달하는 경우
적재유닛(1)에 적재된 파레트(P)는 둘째의 경우와 같이 운반제어부(252)의 제어 동작으로 입출구동부(216)와 승강구동부(236)가 동작됨에 따라 바닥지지부(211)에 정위치된 상태에서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선별이송유닛(7)은 파레트(P)의 적재 위치에 대응하여 최하단의 파레트(P)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선별이송유닛(7)의 선별대차부(71)는 최하단의 파레트(P) 하측으로 이동된다.
입출유닛(21)이 선별이송유닛(7)과 마주보도록 정위치한 상태에서 입출구동부(216)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제1입출걸림부(214a)가 제2입출걸림부(P3)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레트(P)는 선별이송유닛(7)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출유닛(21)은 바닥지지부(211)에 정위치된 파레트(P)를 선별이송유닛(7)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파레트(P)에 안착된 스트립(S)의 두께 정보를 선별이송유닛(7)에 전달할 수 있다.
넷째, 선별이송유닛(7)에 안착된 파레트(P)를 적재유닛(1)에 적재하거나 외부로 배출하는 경우
선별이송유닛(7)의 선별대차부(71)가 적재유닛(1)의 최하단의 파레트(P) 하측으로 이동되면, 입출유닛(21)이 선별이송유닛(7)과 마주보도록 정위치한 상태에서 입출구동부(216)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제1입출걸림부(214a)가 제2입출걸림부(P3)에 삽입된 상태에서 파레트(P)는 입출유닛(21)의 바닥지지부(211)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입출유닛(21)은 선별대차부(71)에 안착된 파레트(P)를 입출유닛(21)의 바닥지지부(211)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입출유닛(21)의 파레트(P)는 첫째의 경우와 같이 운반제어부(252)의 동작으로 입출구동부(216)와 승강구동부(236)가 동작됨에 따라 적재유닛(1)에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입출유닛(21)의 파레트(P)는 둘째의 경우와 같이 입출유닛(21) 또는 별도의 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선별이송유닛(7)에 저장된 스트립(S)의 두께 정보는 두께검출부(251)에 전달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복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유닛과 제2이송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유닛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안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은 적재유닛(1)의 양측에서 상호 동일한 구성으로 구비된다.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은 적재유닛(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호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은 각각 이송지지부(31)와, 이격프레임부(32)와, 이송바퀴부(33)와, 이송바퀴축부(34)와, 이송구동부(35)와, 왕복유닛(41)과, 흡착유닛(42)과, 포크유닛(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지지부(31)는 선별이송유닛(7)에 안착된 스트립(S)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여 바닥에서 이격 배치된다. 이송지지부(31)에는 이송바퀴축부(3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축지지부(31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송지지부(31)에는 보조바퀴부(31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조바퀴부(312)는 바퀴축지지부(311)에 구비될 수 있다.
이격프레임부(32)는 선별이송유닛(7)에 안착된 스트립(S)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여 이송지지부(31)의 이송 경로를 형성한다. 이격프레임부(32)에는 이송지지부(31)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이송레일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격프레임부(32)에는 보조바퀴부(312)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보조레일부(322)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바퀴부(312)는 보조레일부(322)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송바퀴부(33)는 이송레일부(321)에서 회전된다.
이송바퀴축부(34)는 이송바퀴부(33)에 결합된다.
이송구동부(35)는 이송바퀴축부(34)를 회전시킨다. 이송구동부(35)에는 이송바퀴축부(34)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 또는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가 연결될 수 있다.
왕복유닛(41)은 이송지지부(31)에서 흡착유닛(42)과 포크유닛(43)을 승강시킨다.
왕복유닛(41)은 이송지지부(31)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왕복지지부(411)와, 왕복 이동을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왕복구동부(412)와, 왕복구동부(412)에 결합되어 왕복구동부(412)의 회전력을 전환시키는 제1전환부(413)와, 제1전환부(413)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제1전달부(414)와, 제1전달부(414)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3전환부(417)와, 왕복지지부(411)에 결합되어 제3전환부(417)의 회전력으로 왕복 이동되는 왕복프레임부(41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왕복구동부(412)는 변위에 따라 회전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왕복구동부(412)는 이송지지부(31)에 안정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왕복구동부(412)에는 제1전환부(413)에서 전환되는 회전력 또는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가 연결될 수 있다.
제1전환부(413)는 모듈박스 내에서 치합되는 베벨기어의 조립체 또는 웜과 웜휠의 조립체 또는 랙피니언기어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고, 왕복구동부(412)의 회전력을 정밀하게 전달 전환시킬 수 있다. 제1전환부(413)는 이송지지부(31)에 안정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1전달부(414)는 제1전환부(413)를 통해 전환된 회전력을 제2전환부(415) 또는 제3전환부(417)에 전달한다. 제1전달부(414)는 한 쌍이 제1전환부(413)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제1전환부(413)의 회전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3전환부(417)는 이송지지부(31)에 구비되어 왕복지지부(411)를 왕복 이동시킨다. 제3전환부(417)는 제1전달부(414) 또는 제2전달부(416)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으로 왕복프레임부(418)를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왕복지지부(411)를 왕복 이동시킬 수 있다. 제3전환부(417)는 모듈박스 내에서 치합되는 베벨기어의 조립체 또는 웜과 웜휠의 조립체 또는 랙피니언기어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고, 왕복구동부(412)의 회전력을 정밀하게 전달 전환시킬 수 있다. 제3전환부(417)는 이송지지부(31)에 안정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왕복프레임부(418)는 제3전환부(417)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전환부(417)의 동작으로 왕복 이동됨으로써, 왕복지지부(411)에 구비되는 흡착유닛(42)을 스트립(S)에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전환부(417)의 동작으로 왕복 이동됨으로써, 왕복지지부(411)에 구비되는 포크유닛(43)을 스트립(S)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왕복유닛(41)은 제1전달부(414)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전환부(415)와, 제2전환부(415)의 회전력을 제3전환부(417)에 전달하는 한 쌍의 제2전달부(4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전환부(415)는 한 쌍의 제1전달부(414)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제2전환부(415)는 모듈박스 내에서 치합되는 베벨기어의 조립체 또는 웜과 웜휠의 조립체 또는 랙피니언기어의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고, 왕복구동부(412)의 회전력을 정밀하게 전달 전환시킬 수 있다. 제2전환부(415)는 이송지지부(31)에 안정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2전달부(416)는 한 쌍이 제2전환부(415)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제2전환부(415)의 회전력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흡착유닛(42)은 스트립(S)을 흡착 지지한다. 흡착유닛(42)은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흡착구동부(421)와 왕복지지부(411)에 구비되어 흡착력에 의해 스트립(S)을 흡착 지지하는 다수의 흡착패드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유닛(42)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흡착력으로 스트립(S)을 흡착 지지할 수 있다.
포크유닛(43)은 스트립(S) 또는 파레트(P)의 저면을 지지한다. 포크유닛(43)은 왕복지지부(411)에 구비되어 왕복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부(431)와, 실린더부(431)에서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부(432)와, 스트립(S) 또는 파레트(P)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왕복지지부(411) 또는 흡착유닛(42)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포크부(433)와, 피스톤부(432)와 포크부(433)를 연결 고정시키는 포크고정부(434)와, 왕복지지부(411)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포크고정부(434)에 결합되는 포크가이드부(4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왕복지지부(411)에는 포크부(433)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처짐방지부(411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포크부(433)는 왕복지지부(411)를 기준으로 양측에 구비되는 포크고정부(434)에 다수 개가 이격 배치된다. 포크부(433)가 스트립(S) 또는 파레트(P)를 지지하는 경우, 상호 마주보는 포크부(433)는 이격된 상태로 교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은 각각 배출안착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안착부(45)는 이송지지부(31)의 이송 경로에서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S)이 배출에 앞서 안착된다. 배출안착부(45)는 제1가공유닛(5)과 제2가공유닛(6)에서 배출되는 스트립(S)이 안착된다.
배출안착부(45)는 스트립(S) 또는 파레트(P)가 안착되는 배출대차부(451)와, 배출대차부(451)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레일부(452)와, 배출레일부(452)에서 회전되는 배출바퀴부(453)와, 배출바퀴부(453)에 결합되는 배출바퀴축부(454)와, 배출바퀴축부(454)를 정역회전시키는 배출구동부(4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구동부(455)에는 배출바퀴축부(454)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 또는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가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배출대차부(451)에는 스트립(S)의 안착을 위한 파레트(P)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출대차부(451)에는 포크부(433)가 삽입되는 포크안착부(P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배출대차부(451)의 포크안착부(P2)는 파레트(P)의 포크안착부(P2)와 같은 구성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은 각각 이송제어유닛(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제어유닛(44)은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S)의 이송 여부를 결정한다. 이송제어유닛(44)은 이송선택부(441)와, 이송제어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선택부(441)는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S)의 사용 여부를 선택한다.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S)의 사용 상태에 따라 이송선택부(441)는 스트립(S)의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송제어부(422)는 이송선택부(441)의 선택에 따라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S)을 배출시키거나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S)을 적재유닛(1)에 전달하도록 이송구동부(35)와 왕복유닛(41)과 포크유닛(43)의 동작을 결정한다.
일예로,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S)을 즉시 사용하는 경우, 이송제어부(422)는 이송구동부(35)와 왕복유닛(41)과 포크유닛(43)의 동작을 제어하여 스트립(S)을 배출안착부(45)로 이송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S)을 적재유닛에 전달하는 경우, 이송제어부(422)는 이송구동부(35)와 왕복유닛(41)과 포크유닛(43)의 동작을 제어하여 스트립(S)을 선별이송유닛(7)의 선별대차부(71)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은 스트립(S)의 가공 전후에 대하여 스트립(S)의 이송을 편리하게 하고, 이송되는 스트립(S)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이송유닛(3) 또는 제2이송유닛(4)에서 스트립(S)이 분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레이저 가공으로 인해 분할된 스트립(S)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송구동부(35) 또는 왕복구동부(412)의 동작에 있어서 흡착유닛(42) 또는 포크유닛(43)에 의해 지지된 스트립(S)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스트립(S)의 수평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립(S)의 흡착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스트립(S)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가공으로 인해 분할된 스트립(S)을 안정되게 파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고, 포크부(433)의 왕복 이동에 따라 포크부(433)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포크부(433)의 처짐에 따라 스트립(S)이 분리 또는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S)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스트립(S)의 배출 여부에 따라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의 동작을 활성화하며, 스트립(S)의 이송 간에 정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S)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고, 스트립(S)의 순환을 활성화하며 스트립(S) 이송 간에 정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립(S)의 이송 시간과 스트립(S)의 가공 시간을 단축시키고, 새로운 스트립(S)의 투입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은 다음의 3가지 동작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이송구동부(35)와, 왕복구동부(412)와, 흡착구동부(421)와, 실린더부(431)는 이송제어부(422)에 의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이송유닛(3)과 제2이송유닛(4)의 동작 설명에서는 스트립(S)의 이송에 대해 설명하고, 파레트(P)의 이송은 스트립(S)의 이송을 통해 충분히 예측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첫째, 선별이송유닛(7)의 스트립(S)을 제1가공유닛(5) 또는 제2가공유닛(6)에 전달하는 경우
선별이송유닛(7)의 선별대차부(71)가 제1이송유닛(3) 또는 제2이송유닛(4)에 배치됨에 따라 이송구동부(35)가 동작되고, 이송지지부(31)는 선별대차부(71)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정위치된다.
포크부(433)가 왕복지지부(411)의 하측에서 벗어난 상태(상호 마주보는 포크부(433)가 벌어진 상태)에서 왕복구동부(412)가 동작되고, 왕복지지부(411)가 하강한다.
여기서, 흡착유닛(42)을 사용하는 경우, 흡착패드부(422)가 스트립(S)에 접촉되고, 흡착구동부(421)의 동작에 따라 흡착패드부(422)는 스트립(S)을 흡착 지지한다. 흡착패드부(422)가 스트립(S)을 흡착 지지한 상태에서 왕복구동부(412)의 동작으로 왕복지지부(411)가 상승하고, 이송구동부(35)의 동작으로 스트립(S)은 버퍼부(52)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정위치된다. 그리고 왕복구동부(412)의 동작으로 왕복지지부(411)가 하강하여 스트립(S)이 버퍼부(52)에 안착되면, 흡착구동부(421)의 동작으로 흡착패드부(422)는 스트립(S)의 흡착이 해제되고, 스트립(S)이 버퍼부(52)에 정위치된다.
또한, 포크유닛(43)을 사용하는 경우, 포크안착부(P2)에 대응하여 포크부(433)가 위치되고, 실린더부(431)의 동작으로 포크부(433)는 포크안착부(P2)에 삽입된다. 이때,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포크부(433)는 이격된 상태로 상호 교차될 수 있다. 포크부(433)가 포크안착부(P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왕복구동부(412)의 동작에 따라 포크부(433)에 스트립(S)이 지지되고, 왕복지지부(411)가 상승한다. 이송구동부(35)의 동작으로 스트립(S)은 버퍼부(52)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정위치된다. 그리고 왕복구동부(412)의 동작으로 왕복지지부(411)가 하강하고, 포크부(433)가 버퍼부(52)에서 포크안착부(P2)에 삽입됨은 물론 스트립(S)이 버퍼부(52)에 안착되면, 실린더부(431)의 동작으로 포크부(433)는 포크안착부(P2)에서 이탈되고, 스트립(S)이 버퍼부(52)에 정위치된다.
둘째, 제1가공유닛(5) 또는 제2가공유닛(6)의 스트립(S)을 선별이송유닛(7)에 전달하는 경우
선별이송유닛(7)의 선별대차부(71)가 제1이송유닛(3) 또는 제2이송유닛(4)에 배치되고, 이송구동부(35)가 동작됨에 따라 이송지지부(31)는 버퍼부(52)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정위치된다.
포크부(433)가 왕복지지부(411)의 하측에서 벗어난 상태(상호 마주보는 포크부(433)가 벌어진 상태)에서 왕복구동부(412)가 동작되고, 왕복지지부(411)가 하강한다.
여기서, 스트립(S)은 레이저 가공이 완료된 상태로 스트립(S)의 분할 또는 파손 위험이 내포되므로 흡착유닛(42)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포크유닛(43)을 사용하는 경우, 포크안착부(P2)에 대응하여 포크부(433)가 위치되고, 실린더부(431)의 동작으로 포크부(433)는 포크안착부(P2)에 삽입된다. 이때,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포크부(433)는 이격된 상태로 상호 교차될 수 있다. 포크부(433)가 포크안착부(P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왕복구동부(412)의 동작에 따라 포크부(433)에 스트립(S)이 지지되고, 왕복지지부(411)가 상승한다. 이송구동부(35)의 동작으로 스트립(S)은 선별대차부(71)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정위치된다. 그리고 왕복구동부(412)의 동작으로 왕복지지부(411)가 하강하고, 포크부(433)가 포크안착부(P2)에 삽입됨은 물론 스트립(S)이 파레트(P)에 안착되면, 실린더부(431)의 동작으로 포크부(433)는 포크안착부(P2)에서 이탈되고, 스트립(S)이 선별대차부(71)에 정위치된다.
셋째, 제1가공유닛(5) 또는 제2가공유닛(6)의 스트립(S)을 배출안착부(45)에 전달하는 경우
배출대차부(451)가 제1이송유닛(3) 또는 제2이송유닛(4)에 배치되고, 이송구동부(35)가 동작됨에 따라 이송지지부(31)는 버퍼부(52)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정위치된다.
포크부(433)가 왕복지지부(411)의 하측에서 벗어난 상태(상호 마주보는 포크부(433)가 벌어진 상태)에서 왕복구동부(412)가 동작되고, 왕복지지부(411)가 하강한다.
여기서, 스트립(S)은 레이저 가공이 완료된 상태로 스트립(S)의 분할 또는 파손 위험이 내포되므로 흡착유닛(42)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포크유닛(43)을 사용하는 경우, 포크안착부(P2)에 대응하여 포크부(433)가 위치되고, 실린더부(431)의 동작으로 포크부(433)는 포크안착부(P2)에 삽입된다. 이때,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포크부(433)는 이격된 상태로 상호 교차될 수 있다. 포크부(433)가 포크안착부(P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왕복구동부(412)의 동작에 따라 포크부(433)에 스트립(S)이 지지되고, 왕복지지부(411)가 상승한다. 이송구동부(35)의 동작으로 스트립(S)은 배출대차부(451)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정위치된다. 그리고 왕복구동부(412)의 동작으로 왕복지지부(411)가 하강하고, 포크부(433)가 포크안착부(P2)에 삽입됨은 물론 스트립(S)이 배출대차부(451)에 안착되면, 실린더부(431)의 동작으로 포크부(433)는 포크안착부(P2)에서 이탈되고, 스트립(S)이 배출대차부(451)에 정위치된다.
배출대차부(451)는 스트립(S)이 안착된 상태에서 후속 공정을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유닛(5)과 제2가공유닛(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유닛과 제2가공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유닛(5)과 제2가공유닛(6)은 스트립(S)을 레이저 가공한다.
제1가공유닛(5)은 스트립(S)의 가공 시간, 스트립(S)의 가공에 따른 제1이송유닛(3)의 스트립(S) 운반 시간, 적재유닛(1)과 제1이송유닛(3) 사이에서 스트립(S)이 전달되는 시간, 스트립(S)의 배출에 따른 제1이송유닛(3)의 스트립(S) 배출 시간 등을 고려하여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가공유닛(6)은 스트립(S)의 가공 시간, 스트립(S)의 가공에 따른 제2이송유닛(4)의 스트립(S) 운반 시간, 적재유닛(1)과 제2이송유닛(4) 사이에서 스트립(S)이 전달되는 시간, 스트립(S)의 배출에 따른 제2이송유닛의 스트립(S) 배출 시간 등을 고려하여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제1가공유닛(5)과 상기 제2가공유닛(6)은 각각 레이저를 통해 스트립(S)을 가공하는 가공부(51)와, 이송지지부(31)의 이송 경로 상에 배치되고 가공 전후의 스트립(S)이 안착되는 버퍼부(52)와, 가공부(51)와 버퍼부(52)의 동작을 제어하고 스트립(S)의 가공 상태를 제어하는 가공제어유닛(53)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버퍼부(52)에는 스트립(S)의 안착을 위한 파레트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버퍼부(52)에는 포크부(433)가 삽입되는 포크안착부(P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버퍼부(52)의 포크안착부(P2)는 파레트(P)의 포크안착부(P2)와 같은 구성이다.
이때, 가공부(51)는 가공하고자 하는 스트립(S)이 정위치되는 스테이지(511)와, 레이저를 발진시키는 발진부(512)와, 발진된 레이저를 스트립(S)에 조사하는 조사부(513)와, 스트립(S)의 가공 형태에 따라서 조사부(513)를 이동시키는 위치이동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이동부(514)는 가공제어유닛(53)의 제어에 따라 스테이지(511)에 대하여 조사부(513)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가공유닛(5)과 제2가공유닛(6)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스트립(S)을 레이저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가공부(51)와 버퍼부(52) 사이에서의 스트립(S) 이동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가공부(51)와 버퍼부(52) 사이에서 스트립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가공유닛(5)과 제2가공유닛(6)은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공급되는 스트립(S)의 레이저 가공을 원활하게 하고, 가공을 위한 스트립(S)의 순환을 활성화하며, 스트립(S)을 안정되게 가공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이송유닛(7)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이송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 그리고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이송유닛(7)은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운반유닛(2)과 제1이송유닛(3) 사이 또는 운반유닛(2)과 제2이송유닛(4) 사이에서 파레트(P)를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이송유닛(7)은 파레트(P)가 안착되는 선별대차부(71)와, 선별대차부(71)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선별레일부(72)와, 선별레일부(72)에서 회전되는 선별바퀴부(73)와, 선별바퀴부(73)에 결합되는 선별바퀴축부(74)와, 선별대차부(71)에 안착되는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선별바퀴축부(74)를 정역회전시키는 선별구동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별구동부(75)에는 선별바퀴축부(74)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 또는 회전수를 조절하는 감속기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이송유닛(7)은 선별대차부(71)에 안착되는 스트립(S)의 두께에 대응하여 선별대차부(71)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선별제어유닛(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제어유닛(76)은 운반유닛(2)을 통해 선별대차부(71)에 안착되는 스트립(S)의 두께를 저장하는 두께저장부(761)와, 두께저장부(761)에 저장된 스트립(S)의 두께와 기설정된 스트립(S)의 두께를 비교하는 두께비교부(762)와, 두께비교부(762)의 비교값에 따라 선별대차부(71)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선별제어부(76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두께저장부(761)는 운반유닛(2)에서 검출된 스트립(S)의 두께가 저장될 수 있다. 일예로, 선별대차부(71)에 안착되는 스트립(S)의 두께를 직접 측정하여 스트립(S)의 두께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파레트(P)에 안착되는 스트립(S)의 무게를 측정하여 스트립(S)의 두께를 추정 환산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스트립(S)이 안착되는 파레트(P)의 고유번호를 통해 스트립(S)의 두께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도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통해 스트립의 두께를 저장할 수 있다.
선별제어부(763)는 두께비교부(762)의 비교값에 따라 선별구동부(75)를 제어하여 선별바퀴부(73)의 회전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이송유닛(7)은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스트립(S)의 분류를 간편하게 하고, 스트립(S)의 두께에 따라 제1가공유닛(5)과 제2가공유닛(6)으로 스트립을 안정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적재유닛(1)과 가공유닛 사이의 스트립(S) 이송 시간을 단축시키고, 제1가공유닛(5)과 제2가공유닛(6)에서의 스트립(S) 가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별이송유닛은 다음의 2가지 동작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첫째, 적재유닛(1)의 파레트(P)에 안착된 스트립(S)을 제1이송유닛(3) 또는 제2이송유닛(4)으로 전달하는 경우
먼저, 선별대차부(71)는 파레트(P)의 최하단 하측에서 입출유닛(21)과 마주보면서 정위치된다. 그리고 입출유닛(21)의 동작으로 스트립(S)이 안착된 파레트(P)는 선별대차부(71)로 이동하여 선별대차부(71)에서 정위치된다. 이때, 두께저장부(761)에는 안착된 스트립(S)의 두께가 저장된다.
선별제어부(763)의 제어 동작에 따라 기설정된 스트립(S)의 두께보다 큰 스트립이 안착되는 경우, 선별구동부(75)를 동작시키고, 선별대차부(71)는 제1이송유닛(3)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1이송유닛(3)은 선별대차부(71)에 안착되는 스트립(S)을 제1가공유닛(5)으로 이동시키고, 제1가공유닛(5)은 공급되는 스트립(S)을 레이저 가공한다.
선별제어부(763)의 제어 동작에 따라 기설정된 스트립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스트립이 안착되는 경우, 선별구동부(75)를 동작시키고, 선별대차부(71)는 제2이송유닛(4)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제2이송유닛(4)은 선별대차부(71)에 안착되는 스트립(S)을 제2가공유닛(6)으로 이동시키고, 제2가공유닛(6)은 공급되는 스트립(S)을 레이저 가공한다.
둘째, 제1이송유닛(3) 또는 제2이송유닛(4)의 스트립(S)을 적재유닛(1)에 전달하는 경우
먼저 선별대차부(71)는 제1이송유닛(3) 또는 제2이송유닛(4)에서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S)은 선별대차부(71)에 안착된다. 이때, 두께저장부(761)에는 선별대차부(71)에 안착되는 스트립(S)의 두께가 저장된다. 일예로, 제1가공유닛(5) 또는 제2가공유닛(6)에서 스트립(S)을 가공할 때, 저장되었던 스트립(S)의 두께가 두께저장부(761)에 저장될 수 있다.
선별제어부(763)의 제어 동작에 따라 선별구동부(75)를 동작시키고, 선별대차부(71)는 적재유닛(1)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선별대차부(71)의 파레트(P)는 입출구동부(216)의 동작을 통해 입출유닛(21)으로 이동된다. 이때, 두께저장부(761)에 저장된 스트립(S)의 두께는 두께검출부(251)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적재유닛 11: 적재프레임부 13: 안착턱부
2: 운반유닛 21: 입출유닛 211: 바닥지지부
212: 측부지지부 213: 입출롤러부 214: 입출궤도부
214a: 제1입출걸림부 215: 입출축부 216: 입출구동부
217: 입출장력부 218: 입출장력조절부 23: 승강유닛
231: 승강지지부 232: 제1승강롤러부 233: 제2승강롤러부
234: 승강궤도부 235: 승강축부 236: 승강구동부
237: 승강장력부 238: 승강장력조절부 24: 요동방지부
241: 밀착부 242: 밀착롤부 243: 밀착로드부
25: 운반제어유닛 251: 두께검출부 252: 운반제어부
3: 제1이송유닛 4: 제2이송유닛 31: 이송지지부
311: 바퀴축지지부 312: 보조바퀴부 32: 이격프레임부
321: 이송레일부 322: 보조레일부 33: 이송바퀴부
34: 이송바퀴축부 35: 이송구동부 41: 왕복유닛
411: 왕복지지부 411a: 처짐방지부 412: 왕복구동부
413: 제1전환부 414: 제1전달부 415: 제2전환부
416: 제2전달부 417: 제3전환부 418: 왕복프레임부
42: 흡착유닛 421: 흡착구동부 422: 흡착패드부
43: 포크유닛 431: 실린더부 432: 피스톤부
433: 포크부 434: 포크고정부 435: 포크가이드부
44: 이송제어유닛 441: 이송선택부 442: 이송제어부
45: 배출안착부 451: 배출대차부 452: 배출레일부
453: 배출바퀴부 454: 배출바퀴축부 455: 배출구동부
5: 제1가공유닛 6: 제2가공유닛 51: 가공부
511: 스테이지 512: 발진부 513: 조사부
514: 위치이동부 52: 버퍼부 53: 가공제어유닛
7: 선별이송유닛 71: 선별대차부 72: 선별레일부
73: 선별바퀴부 74: 선별바퀴축부 75: 선별구동부
76: 선별제어유닛 761: 두께저장부 762: 두께비교부
763: 선별제어부 8: 이상신호부 9: 알림부
S: 스트립 P: 파레트 P1: 스트립지지부
P2: 포크안착부 P3: 제2입출걸림부

Claims (25)

  1. 스트립이 안착된 파레트가 다단으로 이격 적재되는 적재유닛과, 파레트를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하거나 상기 적재유닛에서 파레트를 배출시키는 운반유닛과, 스트립 또는 파레트를 운반하도록 상기 적재유닛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이송유닛과, 스트립 또는 파레트를 운반하도록 상기 적재유닛의 타측에 구비되는 제2이송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에서 운반되는 스트립을 레이저 가공하는 제1가공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에서 운반되는 스트립을 레이저 가공하는 제2가공유닛 및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상기 운반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 사이 또는 상기 운반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 사이에서 파레트를 전달하는 선별이송유닛; 을 포함하고,
    기설정된 스트립의 두께 이상인 스트립은 상기 선별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운반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 사이에서 파레트를 전달하고,
    기설정된 스트립의 두께보다 작은 스트립은 상기 선별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운반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 사이에서 파레트를 전달하며,
    상기 운반유닛은 파레트를 상기 적재유닛에 인입하거나 상기 적재유닛에서 파레트를 인출시키는 입출유닛 및 상기 입출유닛을 승강시키는 승강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입출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운반제어유닛;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운반제어유닛은 상기 적재유닛에 적재되는 스트립의 두께 또는 상기 적재유닛에서 배출되는 스트립의 두께를 검출하는 두께검출부; 및
    검출되는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스트립의 적재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입출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의 동작을 통해 스트립의 적재 또는 스트립의 배출 여부를 결정하는 운반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유닛은,
    파레트가 안착되는 바닥지지부;
    상호 이격되어 상기 바닥지지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측부지지부;
    상기 측부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입출롤러부;
    상기 입출롤러부를 따라 권취되어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입출궤도부;
    상기 다수의 입출롤러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입출축부;
    상기 입출축부를 회전시키는 입출구동부; 및
    파레트에 걸림 결합되도록 상기 입출궤도부에 구비되는 제1입출걸림부; 를 포함하고,
    파레트에는, 상기 제1입출걸림부가 삽입되는 제2입출걸림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유닛은,
    상기 다수의 입출롤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입출축부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측부지지부에 구비되는 입출장력부와, 상기 다수의 입출롤러부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입출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입출장력조절부 중 적어도 입출장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적재유닛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측부지지부에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입출유닛의 양측에 구비되는 승강지지부;
    상기 승강지지부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승강롤러부;
    상기 측부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제2승강롤러부;
    상기 제1승강롤러부와 상기 제2승강롤러부에 권취된 상태로 상기 측부지지부에 고정되는 승강궤도부;
    상기 제1승강롤러부 또는 상기 다수의 제2승강롤러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승강축부; 및
    상기 승강축부를 회전시키는 승강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궤도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측부지지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장력부와, 상기 승강장력부를 이동시키는 승강장력조절부 중 적어도 승강장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은,
    상기 승강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입출유닛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요동방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방지부는,
    상기 승강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입출유닛의 승강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밀착부;
    상기 밀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착롤부; 및
    상기 측부지지부에 고정되고, 상기 밀착롤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착로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은, 각각
    바닥에서 이격 배치되는 이송지지부;
    상기 이송지지부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이송레일부가 구비되는 이격프레임부;
    상기 이송레일부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이송지지부에 결합되는 이송바퀴부;
    상기 이송바퀴부에 결합되는 이송바퀴축부;
    상기 이송바퀴축부를 회전시키는 이송구동부;
    스트립을 흡착 지지하는 흡착유닛;
    스트립 또는 파레트의 저면을 지지하는 포크유닛; 및
    상기 이송지지부에서 상기 흡착유닛과 상기 포크유닛을 승강시키는 왕복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유닛은,
    상기 이송지지부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는 왕복지지부;
    왕복 이동을 위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왕복구동부;
    상기 왕복구동부에 결합되어 상기 왕복구동부의 회전력을 전환시키는 제1전환부;
    상기 제1전환부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제1전달부;
    상기 제1전달부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3전환부; 및
    상기 왕복지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3전환부의 회전력으로 왕복 이동되는 왕복프레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유닛은,
    상기 제1전달부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2전환부; 및
    상기 제2전환부의 회전력을 상기 제3전환부에 전달하는 한 쌍의 제2전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유닛은,
    흡착력을 발생시키는 흡착구동부; 및
    상기 왕복지지부에 구비되어 흡착력에 의해 스트립을 흡착 지지하는 다수의 흡착패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유닛은,
    상기 왕복지지부에 구비되어 왕복이동력을 발생시키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에서 왕복 이동되는 피스톤부;
    스트립 또는 파레트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상기 왕복지지부 또는 상기 흡착유닛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포크부;
    상기 피스톤부와 상기 포크부를 연결 고정시키는 포크고정부; 및
    상기 왕복지지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포크고정부에 결합되는 포크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지지부에는,
    상기 포크부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처짐방지부; 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은, 각각
    상기 이송지지부의 이송 경로에서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을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1가공유닛과 상기 제2가공유닛에서 배출되는 스트립 또는 파레트가 안착되는 배출안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은, 각각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의 이송 여부를 결정하는 이송제어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제어유닛은,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의 사용 여부를 선택하는 이송선택부; 및
    상기 이송선택부의 선택에 따라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을 배출시키거나 가공이 완료된 스트립을 상기 적재유닛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이송구동부와 상기 왕복유닛과 상기 포크유닛의 동작을 결정하는 이송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공유닛과 상기 제2가공유닛은, 각각
    레이저를 통해 스트립을 가공하는 가공부;
    상기 이송지지부의 이송 경로 상에 배치되고 가공 전후의 스트립이 안착되는 버퍼부; 및
    상기 가공부와 상기 버퍼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스트립의 가공 상태를 제어하는 가공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이송유닛은,
    파레트가 안착되는 선별대차부;
    상기 선별대차부의 이송 경로를 형성하는 선별레일부;
    상기 선별레일부에서 회전되도록 상기 선별대차부에 결합되는 선별바퀴부;
    상기 선별바퀴부에 결합되는 선별바퀴축부; 및
    상기 선별대차부에 안착되는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상기 선별바퀴축부를 정역회전시키는 선별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이송유닛은,
    상기 선별대차부에 안착되는 스트립의 두께에 대응하여 상기 선별대차부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선별제어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제어유닛은,
    상기 운반유닛을 통해 상기 선별대차부에 안착되는 스트립의 두께를 저장하는 두께저장부;
    상기 두께저장부에 저장된 스트립의 두께와 기설정된 스트립의 두께를 비교하는 두께비교부; 및
    상기 두께비교부의 비교값에 따라 상기 선별대차부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선별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24.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제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2이송유닛과, 상기 제1가공유닛과, 상기 제2가공유닛과, 상기 선별이송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상 동작에 따른 메세지를 발생시키는 이상신호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신호부에서 발생되는 이상 동작에 따른 메세지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것과, 상기 메세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과, 상기 메세지를 중앙제어실 또는 핸드폰으로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가공장치.
KR1020140089372A 2014-07-15 2014-07-15 레이저 가공장치 KR101588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372A KR101588243B1 (ko) 2014-07-15 2014-07-15 레이저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372A KR101588243B1 (ko) 2014-07-15 2014-07-15 레이저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8243B1 true KR101588243B1 (ko) 2016-01-25

Family

ID=5530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372A KR101588243B1 (ko) 2014-07-15 2014-07-15 레이저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2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986A (ja) * 2000-05-31 2001-12-11 Nippei Toyama Corp レーザ加工システム及びレーザ加工方法
JP2007137644A (ja) * 2005-11-22 2007-06-07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00708A (ko) * 2006-06-28 2008-01-03 엄상용 방화문 제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0986A (ja) * 2000-05-31 2001-12-11 Nippei Toyama Corp レーザ加工システム及びレーザ加工方法
JP2007137644A (ja) * 2005-11-22 2007-06-07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00708A (ko) * 2006-06-28 2008-01-03 엄상용 방화문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4047B2 (ja) 自動倉庫
KR102502484B1 (ko) 물품 반송 설비
KR101794700B1 (ko) Fpcb 자동 분류장치
JP6916237B2 (ja) 物品除去装置を有する選別コンベヤ
KR101987163B1 (ko) 승강 반송 장치
KR101825853B1 (ko) 적층 가능한 저장 용기용 저장 장치
JP6171984B2 (ja) 物品支持装置
EP3275810B1 (en) Conveyor carriage for sheet-like elem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a warehouse of sheet-like elements comprising said carriage
JP6817534B2 (ja) 箱搬送設備
JP4123383B2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
KR101901635B1 (ko) 건네일 포장용 버퍼 컨베이어 시스템
US20190092503A1 (en) Apparatus for attaching plastic can carriers to cans
KR102441880B1 (ko)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KR20170101795A (ko) 물품 반송 설비
KR20160032830A (ko) 석재 자동 이송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28907A (ko) 물품 반송 설비
CN102837993A (zh) 供纱管供给装置及供纱管供给装置的控制方法
KR101588243B1 (ko) 레이저 가공장치
US20080017478A1 (en) Automatic pallet loader system and method
KR101885866B1 (ko) 농산물 낙하 높이 제어 장치
JP5130789B2 (ja) 板材加工システム
KR101028789B1 (ko) 링 테이핑장치
JP4609719B2 (ja) 物品貯留装置
JP5064156B2 (ja) 物品搬送装置
KR100581623B1 (ko) 리프트와 대차 사이의 단차에 의한 팔레트 이송 불능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차장치 및 팔레트 이송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