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096B1 -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096B1
KR101585096B1 KR1020120026303A KR20120026303A KR101585096B1 KR 101585096 B1 KR101585096 B1 KR 101585096B1 KR 1020120026303 A KR1020120026303 A KR 1020120026303A KR 20120026303 A KR20120026303 A KR 20120026303A KR 101585096 B1 KR101585096 B1 KR 101585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occupant
airbag cushion
airbag
ch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4644A (ko
Inventor
권태익
이순복
김도훈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120026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096B1/ko
Priority to JP2015500352A priority patent/JP6097381B2/ja
Priority to PCT/KR2013/001300 priority patent/WO2013137565A1/en
Priority to US14/382,345 priority patent/US9623829B2/en
Priority to EP13760770.1A priority patent/EP2825421B1/en
Publication of KR20130104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2T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4Ch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8Shou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60R2021/23146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seat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0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the individual compartments def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b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탑승자의 어깨부를 보호하는 제1 영역, 탑승자의 가슴부를 보호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의 작동에 의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시, 상기 제1 영역은 탑승자의 어깨부를 차량 실내측으로 푸싱하여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탑승자의 가슴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충돌에 의한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시 탑승자의 어깨 부위를 차량 실내측으로 푸싱함으로써 탑승자의 가슴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어깨부위로 분산하여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SIDE AIRBAG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충돌에 의한 에어백 쿠션 전개시 탑승자의 가슴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어깨부위로 분산하여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물리적 충격을 에어백 쿠션의 탄성을 이용하여 흡수함으로써 차량 내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운전석 에어백 시스템,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시트 또는 차체의 필러에 설치되어, 측면 충돌시 승객이 도어 측으로 치우치거나 도어가 안으로 찌그러졌을 때 승객의 머리 및 어깨가 도어와 부딪히거나, 도어 윈도우의 깨진 파편에 상해를 입지 않도록 보호하고, 승객이 차체 밖으로 튕겨 나가지 않도록 막아준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사이드 에어백 쿠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 사이드 에어백 시스템에 사용되는 에어백 쿠션(10)은 탑승자의 엉덩이 부위를 보호하는 하부 챔버(40)와 탑승자의 가슴 및 어깨 부위를 보호하는 상부 챔버(50)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챔버(40)와 상부 챔버(50)는 내부 격막(30)에 의해 구분되며, 격막(30)에는 하부 챔버(40)로부터 상부 챔버(50) 측으로의 가스 공급을 가능하게 하도록 통공(도면상 반원형태로 표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챔버(50)에는, 상부 챔버(50) 및 하부 챔버(40)에 일정 이상의 가스압이 형성된 후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벤트홀(2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인플레이터(미도시)의 폭발에 의해 가스가 일차적으로 하부 챔버(40) 측으로 유입되어 하부 챔버(40)를 팽창시키고, 이러한 가스는 통공을 경유하여 상부 챔버(50) 측으로 유입되어 상부 챔버(50)를 팽창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부 챔버(50)의 내부 공간과 하부 챔버(40)의 내부 공간이 격막(30)에 형성된 통공에 의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상부 챔버(50) 및 하부 챔버(40)가 일정 이상 팽창되면 가스가 벤트홀(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부 챔버(50) 및 하부 챔버(40)의 전개된 부피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사람의 신체 구조에 있어서 어깨 부위는 가슴 부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상치의 가능성이 낮으므로,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10) 전개시 상대적으로 약한 탑승자의 가슴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충격)을 어깨 부위로 분산하여 탑승자의 상해 발생 정도를 보다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백 쿠션(10)은, 탑승자의 어깨 부위에 접촉 가능한 상부 챔버(50)가 특별히 탑승자의 어깨 부위를 보다 차량 실내측으로 푸싱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은 하중 분산 효과를 유발하기 힘든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가슴 부위로 작용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하지 못하여 탑승자의 늑골(rib)에 무리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충돌에 의한 에어백 쿠션 전개시 탑승자의 가슴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어깨부위로 분산하여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쉽게 제조 가능하여 제조 단가의 증가를 크게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탑승자의 가슴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탑승자의 어깨부를 보호하는 제1 영역, 탑승자의 가슴부를 보호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인플레이터의 작동에 의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시, 상기 제1 영역은 탑승자의 어깨부를 차량 실내측으로 푸싱하여 상기 제2 영역으로부터 탑승자의 가슴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가능한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에어백 쿠션에 마련되는 상측 베플에 의해 상기 제2 영역과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 분리된 별도의 챔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영역의 일부분이 상기 제2 영역의 상부와 중첩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탑승자의 어깨부에 접촉 가능한 영역의 전개 두께를 더욱 증가시키도록, 상기 제1 영역의 가장 자리 일부분은 상기 제2 영역의 상부의 가장 자리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상호 접촉 가능한 부분의 일 포인트 또는 일부 구간에서 재봉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 분리된 별도의 챔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개된 상태의 에어백 쿠션을 측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영역의 전개 폭은 상기 제2 영역의 전개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쿠션은 탑승자의 엉덩이부를 보호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에어백 쿠션에 마련되는 하측 베플에 의해 상기 제2 영역과 구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차량 충돌에 의한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시 탑승자의 어깨 부위를 차량 실내측으로 푸싱함으로써 탑승자의 가슴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어깨부위로 분산하여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시 탑승자의 어깨 부위를 차량 실내측으로 푸싱하여 제2 영역이 탑승자의 가슴부위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을 일정 이상 딜레이함으로써 탑승자의 가슴 부위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쉽게 제조 가능하면서도 탑승자의 가슴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어깨 부위로 분산하여 탑승자의 상해 발생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사이드 에어백 쿠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하, '에어백 모듈'이라 함)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에 탑승자의 어깨부를 일정 압력 이상으로 푸싱하여 탑승자의 몸체부(가슴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어깨 부위 등으로 분산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에 쿠션의 일부 영역이 탑승자의 가슴부(ribs)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을 일정 이상 지연(delay)시켜 실질적으로 탑승자의 가슴부가 차량의 도어 트림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탑승자의 가슴부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분사할 뿐만 아니라 에어백 쿠션이 가슴부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을 지연하여 탑승자의 상해 발생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쿠션(100), 에어백 쿠션(100)에 가스를 공급하여 에어백 쿠션(100)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플레이터(110)의 폭발에 의한 에어백 쿠션(100)의 전개 과정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이하 부연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쿠션(100)은, 제1 영역(101), 제2 영역(1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영역(101)은 탑승자의 어깨부를 보호하는 어퍼 영역(upper portion)이며, 제2 영역(102)은 탑승자의 가슴부 등을 보호하는 미들 영역(middle portion)이며, 제2 영역(102)은 탑승자의 엉덩이부도 보호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이란 표현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플레이터(110)의 폭발에 의한 에어백 쿠션(100)의 초기 전개시, 제1 영역(101) 내의 가스 압력을 일정시간 동안 충분히 유지하여 탑승자의 어깨부를 실내측을 향해 푸싱 가능하게 된다. 즉, 제1 영역(101)이 탑승자의 어깨부를 일정 압력 이상으로 푸싱함으로써 제2 영역(102)으로부터 탑승자의 몸체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가능하게 되며, 덧붙이자면 제2 영역(102)으로부터 탑승자의 몸체로 하중이 집중되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탑승자의 몸체가 제2 영역(102)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 및 차량의 도어 트림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을 지연(delay)시켜 탑승자의 상해(injury) 발생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120은 차량 도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2 영역(102)은 일체의 챔버 형상을 가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에어백 쿠션(100)에 마련되는 베플(미도시)에 의해 내부 공간이 구획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제2 영역(102)의 하측은 탑승자의 엉덩이부를 보호하는 로우어 영역(lower portion)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베플(미도시)은 에어백 쿠션(10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패널의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재봉 또는 접착제를 이용한 방법을 통해 부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101)은 에어백 쿠션(100)에 마련되는 상측 베플(105)에 의해 제2 영역(102)과 구획 가능하게 된다. 상측 베플(105)은 제1 및 제2 패널의 내면에 부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인플레이터(110)가 작동하면 가스는 제1 영역(101) 및 제2 영역(102)으로 각각 유입되어 에어백 쿠션(100)을 전개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탑승자의 어깨부에 대응하는 에어백 쿠션(100)의 상부 영역에 상측 베플(105)을 통해 제2 영역(102)과 구획되게 제1 영역(101)을 마련함으로써, 인플레이터(110) 구동시 제1 영역(101) 내의 가스 압력을 일정 이상 유지 가능하게 된다. 에어백 쿠션(100)의 제1 영역(101)은 탑승자의 어깨부를 차량 도어측의 반대 방향인 실내측으로 푸싱하여 전술한 지연 시간(delay time)을 증가시켜 탑승자의 상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부연하자면, 본 실시예에서, 제2 영역(102)에는 가스의 외부 방출을 위한 벤트홀(106)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영역(101)에는 이러한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100)이 전개되면 제1 영역(101)은 제2 영역(102)에 비해 상대적으로 팽창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백 쿠션(100)의 초기 전개시 제1 영역(101)은 탑승자의 어깨부를 순간적으로 차량 실내측으로 푸싱하여 탑승자가 도어 트림에 접촉하기까지의 소요 시간을 보다 증가시켜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감소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영역(101)이 탑승자의 어깨부를 푸싱한다"는 의미는, 차량 충돌 초기시 탑승자가 도어 트림쪽으로 급격하게 치우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가스가 충전된 제1 영역(101)에 탑승자의 어깨부가 접촉할 때, 제1 영역(101)이 순간적으로 탑승자의 어깨부의 현재 움직임 방향(도어 트림 방향)을 저지한 후 어깨부를 그 반대 방향인 차량 실내측으로 순간적으로 민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쉽게 제조 가능하면서도 탑승자의 가슴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의 상해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2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은,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200), 에어백 쿠션(200)에 가스를 공급하여 에어백 쿠션(200)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210)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백 쿠션(200)은, 탑승자의 어깨부를 보호하는 제1 영역(201), 탑승자의 가슴부를 보호하는 제2 영역(202)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제2 영역(202)이 베플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리되지 않는 형상을 갖는다.
다만, 제1 영역(201)은 제1 실시예와 다르게 제2 영역(202)과 분리된 별도의 챔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먼저 작업자는 에어백 쿠션(20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패널을 도 6(a)에 도시한 형상대로 재단한 후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한다. 이때, 제1 영역(201)은 제2 영역(202)과 별도로 분리된 챔버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후,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제1 영역(201)의 가장 자리 일부분을 제2 영역(202)의 상부의 가장 자리에 부착한다. 여기서, 제1 영역(201)은 재봉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2 영역(202)에 부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201)은 그 일부분(제1 영역의 하측 부분)이 제2 영역(202)의 상부와 중첩되도록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일 예로, 제1 영역(201)과 제2 영역(202)은 상호 접촉 가능한 부분의 일 포인트상에서 재봉 또는 접착제를 통해 부착 가능하다. 다른 예로, 제1 영역(201)과 제2 영역(202)은 상호 접촉 가능한 부분의 일부 구간에서 재봉 또는 접착제를 통해 부착 가능하다. 여기서, '일부 구간'이라 함은 대략 일정 길이의 직선 구간 또는 곡선 구간을 의미한다. 도 6(b)에서는 전술한 전자(前者)의 방식으로 포인트 형태로 부착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자(後者)의 방식으로 부착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에어백 쿠션(200)의 전개시 탑승자의 어깨부에 접촉 가능한 부분의 전개 두께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자의 전방측에서 탑승자를 향해 바라보았을 때, 제1 영역(201)의 하측과 제2 영역(202)의 상측이 상호 중첩(겹침)되어 있으며, 이러한 중첩된 부분이 탑승자의 어깨부를 푸싱함으로써 제1 실시예에 비해 더욱 강한 힘으로 푸싱 가능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제1 영역(201) 내부에 수용된 가스 압력, 및 제1 영역(201)과 중첩되는 제2 영역(202)의 상측 부분의 가스 압력의 합(sum)이 탑승자의 어깨부에 작용(푸싱)하게 되며, 이러한 푸싱력은 제1 실시예의 푸싱력보다 일정 이상 증가된 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영역(202)으로부터 탑승자의 몸체로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탑승자의 몸체가 제2 영역(202)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 및 차량의 도어 트림(미도시)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을 지연(delay)시켜 탑승자의 상해(injury) 발생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후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300번대로 시작하는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은, 마찬가지로 에어백 쿠션(300), 에어백 쿠션(300)에 가스를 공급하여 에어백 쿠션(300)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310)를 포함한다.
또한, 에어백 쿠션(300)은, 탑승자의 어깨부를 보호하는 제1 영역(301) 및 탑승자의 가슴부를 보호하는 제2 영역(3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영역(302)은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영역(302)에는 베플(미도시)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공간이 형성 가능하다.
다만, 제1 영역(301)은 제1 실시예와 다르게 제2 영역(302)과 분리된 별도의 챔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먼저 작업자는 에어백 쿠션(300)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패널을 설정된 형상을 기초로 재단한 후 가장자리를 따라 재봉한다. 이때, 제1 영역(301)은 제2 영역(302)과 별도로 분리된 챔버 형상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300)의 전개시 제1 영역(301)의 전개 폭(W1)은 제2 영역(302)의 전개 폭(W2)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전개 폭'이라 함은 탑승자의 측방향에서 에어백 쿠션(300)을 바라볼 때 제1 영역(301) 및 제2 영역(302)의 좌우 폭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301)은 상단부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영역(302)의 전개 폭보다 작은 전개 폭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탑승자의 어깨부를 보다 강하게 푸쉬 가능하다. 부연하자면, 인플레이터(310)가 작동한 상태시, 제1 영역(301)의 부피가 감소할수록 제1 영역(301)의 내압(internal pressure)은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내압의 증가에 의해 제1 영역(301)은 탑승자의 어깨부를 보다 강한 힘으로 푸쉬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영역(302)으로부터 탑승자의 몸체로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는, 탑승자의 몸체가 제2 영역(302)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 및 차량의 도어 트림(미도시)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을 지연(delay)시켜 탑승자의 상해(injury) 발생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는 에어백 쿠션(100,200,300)이 각각 제1 영역(301)과 제2 영역(302)으로 나눠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에어백 쿠션(100,200,300)은 탑승자의 엉덩이부를 보호하는 제3 영역(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3 영역(미도시)은 탑승자의 엉덩이부를 보호하는 로우어 영역(lower portion)으로서, 에어백 쿠션(100,200,300)에 마련되는 하측 베플(미도시)에 의해 제2 영역(102,202,302)과 구획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100,200,300)에 제3 영역(미도시)이 더 마련됨으로써, 차량 충돌시 제3 영역(미도시)은 탑승자의 엉덩이부를 견고하면서도 신속하게 지지하여 탑승자가 도어 측으로 급격하게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탑승자의 어깨부를 차량 실내측으로 푸싱하는 제1 영역(101,201,301)의 기능과 탑승자의 엉덩이부를 신속하게 지지하는 제3 영역(미도시)의 기능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탑승자의 상해 발생 정도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200,300: 에어백 쿠션 101,201,301: 제1 영역
102,202,302: 제2 영역 105: 상측 베플
110,210,310: 인플레이터

Claims (6)

  1.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탑승자의 어깨부를 보호하는 제1 영역과 상기 탑승자의 가슴부를 보호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에어백 쿠션에 마련되는 상측 베플에 의해 상기 제2 영역과 구획되되, 상기 제1 영역의 차량 폭 방향 팽창 두께가 상기 제2 영역의 차량 폭 방향 팽창 두께보다 크게 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영역에는 상기 가스의 외부 방출을 위한 벤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에는 벤트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의 작동에 의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탑승자의 어깨부를 상기 탑승자의 가슴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차량 실내측으로 푸싱하여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탑승자의 가슴 부위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을 일정 이상 지연시키고, 상기 제1 영역이 상기 제2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팽창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2. 삭제
  3.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탑승자의 어깨부 및 가슴부에 대응하여 전개되는 제2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의 상부에 상기 제2 영역의 상단의 형상과 대응된 형상을 갖는 제1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 분리된 별도의 챔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영역의 상부를 상기 탑승자를 향하여 밀도록 상기 에어백 쿠션 팽창 시, 그 하부가 상기 제2 영역의 상부와 상호 중첩되어 상기 제2 영역의 상부 및 상기 자동차의 도어 사이에 개재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의 작동에 의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시,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탑승자의 어깨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상기 탑승자의 가슴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자동차의 실내측으로 푸싱하여 상기 제2 영역의 상기 탑승자의 가슴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탑승자의 가슴부와 접촉하기까지의 시간을 일정이상 지연시키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상호 접촉 가능한 부분의 일 포인트 또는 일부 구간에서 재봉을 통해 연결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5.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에 가스를 공급하여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전개하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탑승자의 어깨부를 보호하는 제1 영역, 상기 탑승자의 가슴부를 보호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과 분리된 별도의 챔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영역의 상단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영역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차량 폭 방향 팽창 두께는 상기 제2 영역의 차량 폭 방향 팽창 두께보다 크게 구성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의 차량 길이 방향 팽창 두께는 상기 제2 영역의 차량 길이 방향 팽창 두께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플레이터의 작동에 의한 상기 에어백 쿠션의 초기 전개 시, 상기 탑승자의 어깨부를 상기 탑승자의 가슴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자동차의 실내측으로 푸싱하여 상기 제2 영역이 탑승자의 가슴 부위에 접촉하기까지의 시간을 일정이상 지연시키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6. 제1항,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은 탑승자의 엉덩이부를 보호하는 제3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에어백 쿠션에 마련되는 하측 베플에 의해 상기 제2 영역과 구획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KR1020120026303A 2012-03-14 2012-03-14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KR101585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303A KR101585096B1 (ko) 2012-03-14 2012-03-14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JP2015500352A JP6097381B2 (ja) 2012-03-14 2013-02-20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PCT/KR2013/001300 WO2013137565A1 (en) 2012-03-14 2013-02-20 Side airbag module for vehicle
US14/382,345 US9623829B2 (en) 2012-03-14 2013-02-20 Side airbag module for vehicle
EP13760770.1A EP2825421B1 (en) 2012-03-14 2013-02-20 Side airbag modul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303A KR101585096B1 (ko) 2012-03-14 2012-03-14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644A KR20130104644A (ko) 2013-09-25
KR101585096B1 true KR101585096B1 (ko) 2016-01-22

Family

ID=49161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303A KR101585096B1 (ko) 2012-03-14 2012-03-14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23829B2 (ko)
EP (1) EP2825421B1 (ko)
JP (1) JP6097381B2 (ko)
KR (1) KR101585096B1 (ko)
WO (1) WO20131375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975A (ko) 2019-01-16 2020-07-2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승객 구속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7449B4 (de) 2011-11-30 2019-04-25 Autoliv Development Ab Vorhangairbag für ein Fahrzeug
JP6064876B2 (ja) * 2013-01-25 2017-01-25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183184B2 (ja) * 2013-11-29 2017-08-2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225877B2 (ja) * 2014-10-22 2017-1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EP3279040B1 (en) * 2015-03-30 2023-11-01 Autoliv Development AB Side air bag device for vehicle
US9827940B2 (en) 2016-03-16 2017-11-28 Autoliv Asp, Inc. Side airbag with internal diffuser
JP6561942B2 (ja) * 2016-08-22 2019-08-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を搭載した車両用シート
JP6849948B2 (ja) * 2017-03-14 2021-03-3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センターエアバッグ装置
US10407017B2 (en) 2017-06-09 2019-09-10 Honda Motor Co., Ltd. Vehicle side airbag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DE102018103071B4 (de) * 2017-11-15 2024-03-07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eines Kraftfahrzeugs
CN113165593B (zh) * 2018-10-19 2023-10-13 奥托立夫开发公司 车辆安全气囊装置
US10926735B2 (en) * 2019-04-02 2021-02-2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side airba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209A (ja) 2002-03-11 2003-11-25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8080996A (ja) 2006-09-28 2008-04-10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9018715A (ja) 2007-07-12 2009-01-29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0036870A (ja) 2008-08-08 2010-02-18 Toyoda Gosei Co Ltd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6754B2 (ja) * 1994-06-14 2003-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の展開方法
US5730464A (en) * 1995-08-11 1998-03-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bag module with tether
JPH09136595A (ja) * 1995-11-15 1997-05-27 Tokai Rika Co Ltd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JP3374648B2 (ja) * 1996-04-08 2003-02-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JP2962224B2 (ja) * 1996-04-08 1999-10-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JP2962225B2 (ja) * 1996-04-08 1999-10-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
US5791685A (en) * 1997-02-20 1998-08-11 Alliedsignal Inc. Three-chambered side impact air bag
JP2004009790A (ja) * 2002-06-04 2004-01-15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7819419B2 (en) * 2003-01-20 2010-10-2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7192050B2 (en) * 2003-07-09 2007-03-20 Toyoda Gosei Co., Ltd. Side airbag
JP4103739B2 (ja) * 2003-09-10 2008-06-18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5120599B2 (ja) 2006-06-20 2013-01-16 マツダ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8201172A (ja) 2007-02-16 2008-09-04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4952321B2 (ja) * 2007-03-20 2012-06-13 豊田合成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7954846B2 (en) 2009-02-06 2011-06-07 Mazda Motor Corporation Interior structure of vehicle
JP4892572B2 (ja) * 2009-02-12 2012-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JP5534708B2 (ja) 2009-04-22 2014-07-02 マツダ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そのバッグ部の折畳み方法
DE102009021635B4 (de) * 2009-05-16 2014-06-26 Autoliv Development Ab Seitengassack-Einheit, Fahrzeugsitz und Kraftfahrzeug
JP2011020502A (ja) * 2009-07-14 2011-02-03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1016107A1 (ja) * 2009-08-03 2011-0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WO2011077510A1 (ja) * 2009-12-21 2011-06-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サイドエアバッグの縫製方法
CN102869548B (zh) * 2010-04-23 2015-10-14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
US8322747B2 (en) * 2010-07-14 2012-12-04 Autoliv Asp, Inc.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with arm-manipulating side airbags
CN102834303B (zh) * 2010-11-17 2015-07-0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侧面安全气囊装置
JP6075935B2 (ja) * 2011-02-28 2017-02-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及び乗員保護方法
JP2012179956A (ja) * 2011-02-28 2012-09-20 Fuji Heavy Ind Ltd 乗員保護装置及び乗員保護方法
EP2682311B1 (en) * 2011-03-03 2016-03-0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ide airbag device for automobile
JP5514758B2 (ja) * 2011-03-17 2014-06-0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乗員保護装置及び乗員保護方法
JP5822541B2 (ja) * 2011-06-01 2015-11-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及び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
JP5664607B2 (ja) * 2012-08-02 2015-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5209A (ja) 2002-03-11 2003-11-25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8080996A (ja) 2006-09-28 2008-04-10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9018715A (ja) 2007-07-12 2009-01-29 Toyoda Gosei Co Ltd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0036870A (ja) 2008-08-08 2010-02-18 Toyoda Gosei Co Ltd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975A (ko) 2019-01-16 2020-07-24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승객 구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5421A4 (en) 2015-11-18
KR20130104644A (ko) 2013-09-25
JP6097381B2 (ja) 2017-03-15
US9623829B2 (en) 2017-04-18
JP2015511906A (ja) 2015-04-23
WO2013137565A1 (en) 2013-09-19
EP2825421A1 (en) 2015-01-21
US20150048602A1 (en) 2015-02-19
EP2825421B1 (en) 201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096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모듈
US20200238943A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for front passenger seat
CN109383437B (zh) 侧气囊装置
JP5664607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9561774B2 (en) Winged driver airbag
EP2839996B1 (en) Vehicle side airbag device
JP6149840B2 (ja) 車両用ファー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6748294B2 (ja) 乗員保護装置
US6988578B2 (en) Automotive outboard air bag system
WO2015015912A1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US10358109B2 (en) Vehicle seat with side airbag apparatus
JP2018012476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JP2011126381A (ja) 航空機用エアバッグ、エアバッグ装置及び航空機
US8888128B1 (en) Airbag for vehicle
WO2016152245A1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6224776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US7967327B2 (en) Knee protection device for vehicle
KR101807660B1 (ko) 자동차의 조수석 에어백
JP2007153027A (ja) 乗員保護装置
KR101250413B1 (ko) 통합형 에어백 모듈
JP6017270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60039391A (ko) 차량용 사이드 커튼 에어백
KR20140083547A (ko) 조수석 에어백
JP2019069738A (ja) エアバッグ
CN111775881B (zh) 顶置式安全气囊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