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074B1 - 절수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절수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074B1
KR101582074B1 KR1020150117150A KR20150117150A KR101582074B1 KR 101582074 B1 KR101582074 B1 KR 101582074B1 KR 1020150117150 A KR1020150117150 A KR 1020150117150A KR 20150117150 A KR20150117150 A KR 20150117150A KR 101582074 B1 KR101582074 B1 KR 101582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lete delete
storage tank
discharge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근식
Original Assignee
신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근식 filed Critical 신근식
Priority to KR102015011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074B1/ko
Priority to JP2018501370A priority patent/JP2018529035A/ja
Priority to PCT/KR2016/005738 priority patent/WO2017030274A1/ko
Priority to EP16837216.7A priority patent/EP3321433A4/en
Priority to CN201680044878.2A priority patent/CN107923166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03D1/142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in cisterns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8Siph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03D9/038Passive dispensers, i.e. without mov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22Twin or multiple flushing ciste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량의 물로도 배변 이후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를 착좌 상태로 지지하고, 배변시의 오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몸체 내부의 세척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장착되고, 상기 저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오물 및 물이 배출될 때 유동하는 상기 몸체 내의 공기 일부를 수용하는 보조저수조; 상기 보조저수조 내에 장착되고, 배변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하는 물배출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수형 양변기{ a toilet bowl for saving water }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변 종류에 따라 저수조로부터 몸체로의 물 배출량에 차등을 둠으로써 물 소비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몸체 내의 오물 및 물이 배출로를 따라 배출될 때 배출로 내부 공기가 외부로 유동하여 배출로 내에 부압이 형성됨에 따라 오물 및 물의 배출이 원활해짐으로써 더욱 소량의 물로도 배변 이후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배변시 양변기 이용이 일반화되고 있다.
양변기는, 사용자를 착좌 상태로 지지하고, 배변시의 오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몸체 내부의 세척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착좌 상태로 배변에 임할 수 있어 배변 자세가 편할 뿐만 아니라 배변 이후 저수조의 물이 몸체 내부를 세척한 후 오물과 함께 몸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배변 이후 처리가 위생적이다.
그러나, 일반 양변기는 배변 이후 저수조에 저장된 대략 12-15ℓ의 물 전체가 몸체 내부로 배출되므로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가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일부 가정에서는 저수조 내에 블럭 등을 배치하여 저수용량을 줄임으로써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최소화하고 있으나, 이는 물 배출량이 다소 감소할 뿐 배변 종류와 무관하게 저수조에 저장된 물 전체가 배출되므로 여전히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가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최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95110호(공개일 : 2010. 03. 30.)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변 종류에 따라 저수조로부터의 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형 양변기가 제안된바 있다.
개선형 양변기는, 저수조의 외면에 마련되는 한 쌍의 버튼을 선택적으로 조작함에 따라 대변 이후 처리시 저수조에 저장된 대략 6-7ℓ의 물을 배출하고, 소변 이후 처리시 저수조에 저장된 대략 3-4ℓ의 물을 배출하므로 일반 양변기에 비해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양변기의 몸체 내하부에 구비되는 배출로에는 트랩부가 형성되어 트랩부에 항상 공기가 채워지는바, 배출로를 통한 오물 및 물 배출시 트랩부의 공기로 인한 배출 간섭이 상당하여 오물 및 물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였으므로 개선형 양변기라 하더라도 몸체로의 물 배출량을 일정 수준 이하, 즉 소변 이후 처리시 3-4ℓ, 대변 이후 처리시 6-7ℓ 이하로 할 경우 배출로를 통한 오물 및 물 배출에 곤란함을 겪게 되어 물 소비를 더 이상 절감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배변 종류에 따라 저수조로부터 몸체로의 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되, 트랩부에 채워진 공기로 인한 배출 간섭을 최소화하여 보다 소량으로 물로도 몸체 내부의 오물 및 물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절수형 양변기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종래 양변기에서 배변 이후 저수조에 저장된 물 전체가 몸체로 배출됨에 따라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가 상당하였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양변기에서 배출로를 통한 오물 및 물 배출시 배출로의 트랩부에 채워진 공기로 인한 배출 간섭에 의해 몸체로의 물 배출량을 일정한 수준 이상으로 유지할 수밖에 없어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더 이상 절감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는, 사용자를 착좌 상태로 지지하고, 배변시의 오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몸체 내부의 세척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장착되고, 상기 저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오물 및 물이 배출될 때 유동하는 상기 몸체 내의 공기 일부를 수용하는 보조저수조; 상기 보조저수조 내에 장착되고, 배변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하는 물배출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상단에 착좌면을 제공하는 착좌시트를 구비하고, 내측 하부에 물 배출을 위한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구로부터 오수관으로 이어지는 배출로를 구비한다.
상기 배출로는 상측 및 하측 트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저수조는, 외면에 배변 이후 내부의 물 배출을 개시하는 한 쌍의 버튼을 구비하고, 내부에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되는 입수관을 구비하며, 바닥부에 상기 몸체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통공을 구비한다.
상기 입수관은 상기 저수조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를 구비하는 작동간의 작동에 따라 개폐된다.
상기 보조저수조는,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되, 저면에 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위한 입수구 및 상기 저수조의 통공과 마주하는 출수구를 구비하고, 상면에 상기 몸체의 배출로와 연통하는 공기유동관을 구비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와 결합하되, 상면 일측에 함몰부를 구비하는 상부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입수구는 상기 하부몸체에서 상기 저수조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단차부에 배치된다.
상기 출수구는 하단에 상기 저수조 바닥에의 상기 하부몸체 고정을 위한 지지편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편은 스크류에 나선 물림하여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한다.
상기 공기유동관은 상단에 팽창 가능한 팽창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팽창부재는 연질 소재의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팽창부재는 상기 공기유동관 내부 압력이 허용 압력을 넘어설 때 자동 개방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는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되며, 분할된 일측의 공간 하부에 개방구가 형성된 바닥을 구비한다.
상기 바닥은 하부로 이어지는 연장관을 구비한다.
상기 함몰부는 일측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개방홈을 구비한다.
상기 함몰부는 내부에 세정제가 안착된다.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는, 원형 관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누름판; 상기 누름판의 가압 여부에 따라 승강하는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로드 상승에 의해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의 통공을 개방시키는 배수차단판;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판은 상기 저수조에 구비된 버튼과 접촉함에 따라 가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는, 배변 종류에 따라 몸체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하는 물배출 조절장치를 포함하는바, 소변 이후 처리시 대변 이후 처리시에 비해 소량의 물 배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는, 보조저수조가 저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는바, 물배출 조절장치에 의해 물 배출이 이루어질 때 저수조 내에 저장된 물 전체가 아닌 보조저수조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므로 비교적 소량의 물로 몸체 세척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는, 보조저수조가 몸체 내부로부터 오물 및 물이 배출될 때 유동하는 몸체 내의 공기 일부를 수용하는바, 몸체 내의 공기 일부가 보조저수조에 수용됨에 의해 배출로에 부압이 형성되어 부압에 의해 오물 및 물 배출이 원활해지므로 비교적 소량의 물로도 배변 이후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보조저수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보조저수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보조저수조를 통한 물 수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보조저수조를 통한 공기 수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보조저수조의 팽창부재 팽창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보조저수조에의 세정제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에서 물배출 조절장치를 통한 물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A)는, 몸체(10)와, 저수조(20)와, 보조저수조(30)와, 물배출 조절장치(4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사용자를 착좌 상태로 지지하고, 배변시의 오물을 수용한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10)는 상단에 착좌면을 제공하는 착좌시트(11)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0)가 상기 착좌시트(1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착좌시트(11)에 의해 사용자의 착좌 상태가 안정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내측 하부에 오물 및 물 배출을 위한 개방구(12)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0)가 상기 개방구(1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개방구(12)에 의해 상기 몸체(10) 내부 오물 및 물의 배출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상기 개방구(12)로부터 오수관(도면상 미도시)으로 이어지는 배출로(13)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0)가 상기 배출로(1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배출로(13)에 의해 상기 몸체(10)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오물 및 물의 외부 배출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배출로(13)는 상측 및 하측 트랩부(13a)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로(13)가 상기 트랩부(13a)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트랩부(13a)에 의해 상기 배출로(13)로부터 상기 몸체(10) 내부로의 악취 전달이 2중으로 차단된다.
한편, 상기 몸체(10)의 세부 구조는 일반 양변기의 몸체 구조를 따르는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저수조(20)는, 상기 몸체(10)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몸체(10) 내부의 세척을 위한 물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상기 저수조(20)는 외면에 배변 이후 내부의 물 배출을 개시하는 한 쌍의 버튼(21)을 구비한다.
상기 저수조(20)가 상기 버튼(2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버튼(21) 중의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소변 이후 상기 몸체(10) 측으로의 물 배출 개시가 가능하고, 상기 버튼 중의 다른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대변 이후 상기 몸체(10) 측으로의 물 배출 개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20)는 내부에 외부의 수도관(도면상 미도시)과 연결되는 입수관(22)을 구비한다.
상기 저수조(20)가 상기 입수관(22)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입수관(22)을 통해 수돗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저수조(20) 내에 물 저장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입수관(22)은 상기 저수조(20)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23a)를 구비하는 작동간(23)의 작동에 개폐된다.
상기 입수관(22)이 상기 작동간(23)의 작동에 의해 개폐됨으로써 상기 저수조(20) 내부의 물이 저수위일 때 자동으로 물 보충이 진행되고, 상기 저수조(20) 내부의 물이 만수위일 때 자동으로 물 보충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20)는 바닥부에 상기 몸체(10)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통공(24)을 구비한다.
상기 저수조(20)가 상기 통공(24)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통공(24)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저수조(20) 내부의 물이 상기 몸체(10) 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저수조(20)의 세부 구조는 일반 양변기의 저수조 구조를 따르는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보조저수조(30)는, 상기 저수조(20) 내에 장착되고, 상기 저수조(20) 내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몸체(10) 내부로부터 오물 및 물이 배출될 때 유동하는 상기 몸체(10) 내의 공기 일부를 수용한다.
이때, 상기 몸체(10) 내의 공기 일부는 상기 트랩부(13a)에 채워지는 공기의 일부이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저수조(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20)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몸체(30') 및 상기 하부몸체(30')와 결합하는 상부몸체(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몸체(30')는 저면에 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위한 입수구(31)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몸체(30')가 상기 입수구(31)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입수구(31)를 통해 상기 저수조(20) 내의 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에 상기 저수조(20)의 물 일부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입수구(31)는 상기 하부몸체(30')에서 상기 저수조(2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단차부(32)에 배치된다.
상기 입수구(31)가 상기 단차부(32)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입수구(31) 하단이 개방되므로 상기 입수구(31)를 통해 상기 저수조(20) 물 일부의 유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30')는 저면에 상기 저수조(20)의 상기 통공(24)과 마주하는 출수구(33)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몸체(30')가 상기 출수구(3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출수구(33)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의 물이 상기 통공(24)을 거쳐 상기 몸체(10) 내부 측으로 유동 가능하다.
이때, 상기 출수구(33)는 지지편(33a)을 구비한다.
상기 출수구(33)가 상기 지지편(33a)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지지편(33a)을 상기 통공(24)에 걸치도록 함에 따라 상기 하부몸체(30')가 상기 저수조(2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33a)은 스크류(33b)에 나선 물림한다.
상기 지지편(33a)이 상기 스크류(33b)에 나선 물림함으로써 상기 스크류(33b)상의 상기 지지편(33a)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편(33a)이 승강하므로 상기 통공(24)에 걸쳐진 상기 지지편(33a)을 최대로 상승시킴에 의해 상기 지지편(33a)이 상기 통공(24)에 견고히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30')는 상면에 상기 몸체(10)의 상기 배출로(13)와 연통하는 공기유동관(34)을 구비한다.
상기 하부몸체(30')가 상기 공기유동관(34)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공기유동관(34) 내부로 상기 트랩부(13a)의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몸체(10)의 상기 배출로(13)에 부압이 형성되므로 상기 몸체(10) 내의 오물 및 물이 부압에 의해 상기 배출로(13)로 빨려들어갈 수 있어 상기 배출로(13)를 통한 물 배출이 원활하다.
이때, 상기 공기유동관(34)의 하단과 상기 배출로(13)의 사이는 별도의 연결관(도면부호 미표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동관(34)은 상단에 팽창 가능한 팽창부재(34a)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유동관(34)이 상기 팽창부재(34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팽창부재(34a)의 팽창에 의해 상기 공기유동관(34)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이 증가된다.
여기서, 상기 팽창부재(34a)는 상기 공기유동관(34) 내부 압력이 허용 압력을 넘어설 때 자동 개방되는 밸브(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재(34a)가 상기 밸브(34b)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공기유동관(34)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함으로 인한 상기 공기유동관(34) 및 상기 팽창부재(34a)의 손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팽창부재(34a)는 상기 공기유입관(34) 내부로의 공기 유입에 따라 팽창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연질 소재의 박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34b)는 상기 공기유동관(34) 내부 압력이 허용 압력을 넘어설 때 자동 개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상부몸체(30")는 상면 일측에 함몰부(35)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몸체(30")가 상기 함몰부(35)를 구비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35)에 세정제(50)를 안착시킴에 따라 상기 보조저수조(30)로부터 상기 몸체(10)로 배출되는 물에 상기 세정제(50)에 의한 세정 성분이 포함되므로 물에 의한 상기 몸체(10) 내부의 세척이 원활하다.
이때, 상기 함몰부(35)는 일측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개방홈(35a)을 구비한다.
상기 함몰부(35)가 상기 개방홈(35a)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가 상기 함몰부(35) 상단에 이르지 못하는 비교적 저수위 상황에서도 상기 개방홈(35a)을 통해 상기 함몰부(35) 내측으로 물 유입이 가능하므로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의 물에 상기 세정제(50)의 세정 성분 포함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30")는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격벽(도면부포 미표시)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되며, 분할된 일측의 공간 하부에 개방홀(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된 바닥(도면부호 미표시)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몸체(30")가 분할된 내부 공간 일측에 상기 개방홀이 형성된 상기 바닥을 구비함로써 상기 바닥에 의해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의 설치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바닥은 하부로 이어지는 연장관(36)을 구비한다.
상기 바닥이 상기 연장관(36)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장관(36)을 통해 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가 설치되는 상기 상부몸체의 내부 공간을 통해서도 물 저장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상부몸체(30")와 상기 하부몸체(30')의 결합은 그 결합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결합방법을 따르더라도 무방하며, 그 예로는 돌기 및 홈의 맞물림이 될 수 있다.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는,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에 장착되고, 배변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10)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한다.
이와 같은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는 소변 이후 처리시 상기 보조저수조(30) 내부에 저장된 전체 물 중 1.5-2.0ℓ의 일부 물을 배출하고, 대변 이후 처리시 상기 보조저수조(30) 내부에 저장된 3.0-4.0ℓ의 전체 물을 배출함으로써 종래의 양변기에 비해 배변 이후 처리에 따른 물 소비를 현격히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는, 원형 관 형태의 하우징(41); 상기 하우징(41) 내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누름판(42); 상기 누름판(42)의 가압 여부에 따라 승강하는 연결로드(43); 상기 연결로드(43)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로드(43) 상승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20)의 통공(24)을 개방시키는 배수차단판(44); 상기 하우징(41)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41)은 외면의 일부가 개방됨으로써 그 내부로 물 유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42)은 상기 저수조(20)에 구비되는 상기 버튼(21) 직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버튼(21)과의 접촉에 의해 가압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를 통한 물 소비 절감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저수조(20)는 내부에 외부의 상기 수도관과 연결되는 상기 입수관(22)을 구비하는바, 상기 입수관(22)을 통해 수돗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저수조(20) 내에 물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저수조(20) 내에는 상기 보조저수조(30)가 장착되고, 상기 보조저수조(30)는 상기 입수구(31)를 구비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수구(31)를 통해 상기 저수조(20) 내부 물이 유입됨에 따라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에 상기 저수조(20) 내의 물 일부가 저장된다.
이때, 상기 보조저수조(30) 내에는, 원형 관 형태의 하우징(41); 상기 하우징(41) 내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누름판(42); 상기 누름판(42)의 가압 여부에 따라 승강하는 연결로드(43); 상기 연결로드(43)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로드(43) 상승에 의해 상기 하우징(10)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20)의 통공(24)을 개방시키는 배수차단판(44); 상기 하우징(41)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45);를 포함하는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가 장착된다.
따라서, 배변 이후 상기 저수조(20) 외면에 마련되는 상기 버튼(21)을 조작하게 되면 상기 누름판(42)이 가압되어 상기 연결로드(43)가 상승하며, 상기 연결로드(43) 상승에 의해 이와 결합된 상기 배수차단판(44)이 상기 하우징(41)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부터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배수차단판(44)에 의해 개방이 차단되어 있던 상기 저수조(20) 바닥의 상기 통공(24)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므로 이에 의해 상기 보조저수조(30)로부터 상기 몸체(10) 내부로 물이 배출될 수 있어 물에 의해 상기 몸체(10) 내부가 세척되면서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오물이 물과 함께 상기 몸체(10) 내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개방구(12)를 거쳐 상기 배출로(13)를 따라 배출되므로 배변 이후 처리가 말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는 배변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10)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한다.
즉,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는, 상기 저수조(20)에 구비되는 상기 한 쌍의 버튼(21)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어 상기 누름판(42)의 어느 하나를 가압할 때와, 상기 한 쌍의 버튼(21) 중 다른 어느 하나가 조작되어 상기 누름판(42)의 다른 어느 하나를 가압할 때의 물 배출량이 상이하다.
따라서, 소변 이후 상대적으로 소량의 물(1.5-2.0ℓ)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버튼(21)을 조작하고, 대변 이후 상대적으로 다량의 물(3.0-4.0ℓ)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버튼(21)을 조작함으로써 배면 이후 처리시의 물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몸체(10)에 구비되는 상기 배출로(13)의 상기 트랩부(13a)에는 공기가 채워지므로 오물 및 물 배출시 공기에 의한 배출 간섭이 따를 수 있는바, 소변 이후 처리시 일반 양변기에 비해 소량인 1.5-2.0ℓ의 물을 배출하거나, 대변 이후 처리시 일반 양변기에 비해 소량인 3.0-4.0ℓ물을 배출하게 되면 공기에 의한 배출 간섭에 의해 배출이 원활치 못하게 되어 배변 이후 처리에 곤란함이 따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저수조(30)는 상기 몸체(10)의 상기 배출로(13)와 연통하는 상기 공기유동관(34)을 구비하는바, 상기 배출로(13)를 따라 오물 및 물이 유동할 때 상기 트랩부(13a) 내부 공기 일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관(34)에 수용되어 상기 배출로(13)의 일부가 비며 부압이 형성되므로 부압에 의해 상기 오물 및 물이 상기 배출로로 빨려들어갈 수 있어 상기 보조저수조(30)로부터 상기 몸체(10)로 비교적 소량의 물이 배출되더라도 배변 이후 처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유동관(34)은 상단에 팽창 가능한 팽창부재(34a)를 구비하는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팽창부재(34a)의 팽창에 의해 상기 공기유동관(34) 내부로의 공기 유입량이 증가하게 되어 상기 배출로(13) 내에 더욱 강한 부압이 형성되므로 상기 부압에 의해 오물 및 물 배출이 원활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절수형 양변기(A)는, 배변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10)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하는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를 포함하는바, 소변 이후 처리시 대변 이후 처리시에 비해 소량의 물 배출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고, 상기 보조저수조(30)가 상기 저수조(20) 내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는바,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40)에 의해 물 배출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저수조(20) 내에 저장된 물 전체가 아닌 상기 보조저수조(3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므로 비교적 소량의 물로 상기 몸체(10) 세척이 이루어짐에 따라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저수조(30)가 상기 몸체(10) 내부로부터 오물 및 물이 배출될 때 유동하는 상기 몸체(10) 내의 공기 일부를 수용하는바, 상기 몸체(10) 내의 공기 일부가 상기 보조저수조(30)에 수용됨에 의해 상기 배출로(13)에 부압이 형성되어 부압에 의해 오물 및 물 배출이 원활해지므로 비교적 소량의 물로도 배변 이후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배변 이후 처리를 위한 물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몸체 11 : 착좌시트
12 : 개방구 13 : 배출로
13a : 트랩부 20 : 저수조
21 : 버튼 22 : 입수관
23 : 작동간 23a : 부구
24 : 통공 30 : 보조저수조
30' : 하부몸체 30" : 상부몸체
31 : 입수구 32 : 단차부
33 : 출수구 33a :지지편
33b : 스크류 34 : 공기유동관
34a : 팽창부재 34b : 밸브
35 : 함몰부 35a : 개방홈
36 : 연장관 40 : 물배출 조절장치
41 : 하우징 42 : 누름판
43 : 연결로드 44 : 배수차단판
45 : 부구 50 : 세정제
A : 절수형 양변기

Claims (18)

  1. 사용자를 착좌 상태로 지지하고, 배변시의 오물을 수용하는 몸체;
    상기 몸체 일측에 배치되고, 내부의 공간을 통해 상기 몸체 내부의 세척을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
    상기 저수조 내에 장착되고, 상기 저수조 내에 저장되는 물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몸체 내부로부터 오물 및 물이 배출될 때 유동하는 상기 몸체 내의 공기 일부를 수용하는 보조저수조;
    상기 보조저수조 내에 장착되고, 배변 종류에 따라 상기 몸체 내부로의 물 배출량을 달리하는 물배출 조절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상단에 착좌면을 제공하는 착좌시트를 구비하고, 내측 하부에 물 배출을 위한 개방구를 구비하며, 상기 개방구로부터 오수관으로 이어지는 배출로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로는 상측 및 하측 트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수조는,
    외면에 배변 이후 내부의 물 배출을 개시하는 한 쌍의 버튼을 구비하고, 내부에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되는 입수관을 구비하며, 바닥부에 상기 몸체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입수관은 상기 저수조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를 구비하는 작동간의 작동에 따라 개폐되며,
    상기 보조저수조는,
    상기 저수조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되, 저면에 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위한 입수구 및 상기 저수조의 통공과 마주하는 출수구를 구비하고, 상면에 상기 몸체의 배출로와 연통하는 공기유동관을 구비하는 하부몸체; 상기 하부몸체와 결합하되, 상면 일측에 함몰부를 구비하는 상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입수구는 상기 하부몸체에서 상기 저수조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단차부에 배치되며,
    상기 출수구는 하단에 상기 저수조 바닥에의 상기 하부몸체 고정을 위한 지지편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편은 스크류에 나선 물림하여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하며,
    상기 공기유동관은 상단에 팽창 가능한 팽창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팽창부재는, 연질 소재의 박막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동관 내부 압력이 허용 압력을 넘어설 때 자동 개방되는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몸체는,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격벽에 의해 내부 공간이 분할되며, 분할된 일측의 공간 하부에 개방홀이 형성된 바닥을 구비하고,
    상기 바닥은 하부로 이어지는 연장관을 구비하며,
    상기 함몰부는 일측에 종방향으로 이어지는 개방홈을 구비하고,
    상기 물배출 조절장치는,
    원형 관 형태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누름판; 상기 누름판의 가압 여부에 따라 승강하는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연결로드 상승에 의해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저수조의 통공을 개방시키는 배수차단판;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위 변동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를 포함하는 절수형 양변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내부에 세정제가 안착되는 절수형 양변기.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은 상기 저수조에 구비된 버튼과 접촉함에 따라 가압되는 절수형 양변기.
KR1020150117150A 2015-08-20 2015-08-20 절수형 양변기 KR101582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150A KR101582074B1 (ko) 2015-08-20 2015-08-20 절수형 양변기
JP2018501370A JP2018529035A (ja) 2015-08-20 2016-05-31 節水便器
PCT/KR2016/005738 WO2017030274A1 (ko) 2015-08-20 2016-05-31 절수형 양변기
EP16837216.7A EP3321433A4 (en) 2015-08-20 2016-05-31 TOILET BOWL SAVES WATER
CN201680044878.2A CN107923166A (zh) 2015-08-20 2016-05-31 节水型坐便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150A KR101582074B1 (ko) 2015-08-20 2015-08-20 절수형 양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074B1 true KR101582074B1 (ko) 2015-12-31

Family

ID=5512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150A KR101582074B1 (ko) 2015-08-20 2015-08-20 절수형 양변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321433A4 (ko)
JP (1) JP2018529035A (ko)
KR (1) KR101582074B1 (ko)
CN (1) CN107923166A (ko)
WO (1) WO20170302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463B1 (ko) * 2020-01-20 2020-09-09 정현호 초절수형 양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281U (ko) * 1989-12-19 1991-02-22
JP3511387B2 (ja) * 1992-03-24 2004-03-29 カロマ・インダストリイズ・リミテッド シスターン装置
JP2010013801A (ja) * 2008-07-01 2010-01-21 Inax Corp 水洗式便器
KR20100097089A (ko) * 2007-12-11 2010-09-02 피&씨 헤네시 홀딩스, 아이엔씨. 압축 트랩을 갖는 절수형 양변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8682A (ja) * 1993-03-01 1994-09-06 Matsushima Yakuhin:Kk 水洗トイレタンク内部に収納する、固形芳香洗浄剤の、溶解装置並びに、溶解液農度の調整方法
JP3216845B2 (ja) * 1993-08-03 2001-10-09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式便器
US5539938A (en) * 1993-12-08 1996-07-30 Tubbs; Elton H. Water closet
JP4306146B2 (ja) * 2001-05-22 2009-07-29 Toto株式会社 ロータンク排水弁
KR100474095B1 (ko) * 2001-09-06 2005-03-16 한창화학 주식회사 절수식 변기용 세정제 수용장치 및 그 절수방법
US7159251B2 (en) * 2004-07-22 2007-01-09 Philip Hennessy Water saver flush system
US8141179B2 (en) * 2010-06-01 2012-03-27 P & C Hennessy Holdings, Inc. Water saver toilet with uniform water spot
US20130291297A1 (en) * 2011-02-10 2013-11-07 Lixil Corporation Toilet flushing device and flush toilet
KR101460508B1 (ko) * 2013-10-11 2014-11-13 (주)그린엘리트 절수형 양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281U (ko) * 1989-12-19 1991-02-22
JP3511387B2 (ja) * 1992-03-24 2004-03-29 カロマ・インダストリイズ・リミテッド シスターン装置
KR20100097089A (ko) * 2007-12-11 2010-09-02 피&씨 헤네시 홀딩스, 아이엔씨. 압축 트랩을 갖는 절수형 양변기
JP2010013801A (ja) * 2008-07-01 2010-01-21 Inax Corp 水洗式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463B1 (ko) * 2020-01-20 2020-09-09 정현호 초절수형 양변기
WO2021149952A1 (ko) * 2020-01-20 2021-07-29 엘에스디자인바스 주식회사 초절수형 양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23166A (zh) 2018-04-17
WO2017030274A1 (ko) 2017-02-23
EP3321433A4 (en) 2019-05-01
EP3321433A1 (en) 2018-05-16
JP2018529035A (ja)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KR200202253Y1 (ko) 절수용 변기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KR101027852B1 (ko) 물 절약형 좌변기
JP5435606B2 (ja) 洋風便器のフィルバルブのリム側給水管物量調節弁
KR100408076B1 (ko) 절수용 변기
KR101582074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1970460B1 (ko) 절수형 변기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JP4986460B2 (ja) 洗浄タンク装置
KR101088242B1 (ko) 좌변기의 절수형 세척수탱크 구조
JP3737434B2 (ja) 洋式小便器
JP7373244B2 (ja) 超節水型洋式便器
KR100776253B1 (ko) 맞춤형 변기 어댑터
KR101478111B1 (ko) 전자식 양변기
RU80863U1 (ru) Унитаз с поворотной чашей
KR20090120163A (ko) 변기의 무전원 자동 물내림 장치
KR100438675B1 (ko) 변기의 수세용 수조
KR20090101022A (ko) 수압을 이용한 변기의 자동 물내림 장치
KR20180000005U (ko) 절수형 변기
KR101032105B1 (ko) 수압을 이용한 벽 매립 버튼형 무전원 변기의 물내림시스템
KR20100010707U (ko) 물 절약형 수세식 변기
JP3683804B2 (ja) 洗浄タンク装置
JP2002322723A (ja) 便 器
KR970005513Y1 (ko) 절수형 좌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