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300B1 -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6300B1
KR101566300B1 KR1020090033378A KR20090033378A KR101566300B1 KR 101566300 B1 KR101566300 B1 KR 101566300B1 KR 1020090033378 A KR1020090033378 A KR 1020090033378A KR 20090033378 A KR20090033378 A KR 20090033378A KR 101566300 B1 KR101566300 B1 KR 10156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module
delete delete
piezoelectric motor
photograph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331A (ko
Inventor
안재욱
김남일
권성진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10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6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실제 손떨림에 근사한 방향으로의 진동을 가함으로써 카메라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보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이미지를 위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촬영 모듈을 소정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교 좌표의 적어도 두 개의 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 구동하는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카메라 모듈, 흔들림 보정, 압전 모터, 보이스 코일 모터, 2축 회전

Description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Correction Module for Shaking of Camera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미지 센서가 포함된 촬영 모듈에 광학적으로 진동을 가하여 손떨림을 방지하는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 모듈은 필름 대신 CCD, CMOS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는 이미지를 촬영한다.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카메라 모듈은 동영상 전송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한 모바일 기기, 예를 들면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PDA(portable digital assistance), 모니터 삽입용 카메라, 자동차 범퍼 장착용 자동차 후면 감시 카메라, 인터폰 카메라 등에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채용되는 카메라 모듈은 복합화, 다기능화, 소형화 및 경량화되고 있으며, 이에 사용되는 렌즈의 초소형화 및 고정밀화 추세로 인하여 카메라 모듈의 렌즈 어셈블리들 또한 소형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소형화되는 카메라 모듈의 광학계에서 피사체를 선명하게 촬영하기 위해서는 흔들림 보정 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카메라 모듈 내의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의 직교 좌표의 X축과 Y축의 각각의 방향으로 직선 진동을 일으킴으로써 손떨림을 보정하였다. 그러나 카메라로 촬영을 하는 사용자의 손떨림은 X축의 양과 음의 방향으로 진동하거나, Y축의 양과 음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이 아니므로 X축과 Y축 방향으로의 직선 보정은 손떨림의 진동을 정확하게 대변해주는 것이 아니어서 손떨림 보정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은 사용자의 손떨림을 비롯한 흔들림의 실제 진동 방향을 더욱 잘 대변하는 방향으로 진동을 가함으로써 카메라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보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이미지를 위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촬영 모듈을 소정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교 좌표의 적어도 두 개의 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 흔들림 보정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축은 상기 촬상면에 평행한 면상에서의 대략적으로 상기 촬상면의 중심에 대응하는 점을 원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교 좌표의 세 축들 중 상기 촬상면의 직교하는 두 변에 각각 평행한 X축과 Y축일 수 있다.
흔들림 보정 모듈은 상기 원점을 피봇 중심으로 하여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X축을 회전축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회전구동 유닛 및 상기 원점을 피봇 중심으로 하여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Y축을 회전축으로 회동시키는 제2 회전구동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흔들림 보정 모듈은 케이스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케이스 유닛은 상기 촬영 모듈, 상기 제1 회전구동 유닛, 및 상기 제2 회전구동 유닛 등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흔들림 보정 모듈은 제1 및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는 상기 케이스 유닛과 상기 촬영 모듈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유닛에 대한 상기 촬영 모듈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케이스 유닛의 하부쪽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며,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는 상기 케이스 유닛과 상기 촬영 모듈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유닛에 대한 상기 촬영 모듈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케이스 유닛의 상부쪽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이며, 상기 판 스프링의 상기 직교 좌표의 원점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케이스 유닛의 하부면을 향하여 돌출된 반구형의 피봇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구동 유닛은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케이스 유닛 내에서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상기 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제1 압전 모터 구동부이며, 상기 제2 회전구동 유닛은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케이스 유닛 내에서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상기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제2 압전 모터 구동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압전 모터 구동부는 압전 모터 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은 상기 Y축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 유닛의 제1 측에 결합되고 상기 X축 및 Y축에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의 단부는 구형을 취하며,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의 Z축 방향으로의 운동은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의 단부에 연결된 볼 조인트(ball joint) 연결부 및 상기 피봇부에 의하여 상기 X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상기 촬영 모듈의 회동 운동으로 변환되며, 상기 제2 압전 모터 구동부는 압전 모터 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은 상기 X축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 유닛의 제2 측에 결합되고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의 단부는 구형을 취하며,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의 Z축 방향으로의 운동은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의 단부에 연결된 볼 조인트 연결부 및 상기 피봇부에 의하여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Y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상기 촬영 모듈의 회동 운동으로 변환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회전구동 유닛은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케이스 유닛 내에서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상기 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제1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부이며, 상기 제2 회전구동 유닛은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케이스 유닛 내에서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상기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제2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부일 수 있다.
상기 제1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부는 상기 Y축 방향으로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배치된 보이스 코일 모터 쌍을 구비하며, 상기 쌍을 이루는 각각의 보이스 코일 모터는 상기 촬영 모듈에 결합된 영구 자석 및 상기 영구 자석에 대응되게 상기 케이스 유닛에 결합된 코일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부는 상기 X축 방향으로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배치된 보이스 코일 모터 쌍을 구비하며, 상기 쌍을 이루는 각각의 보이스 코일 모터는 상기 촬영 모듈에 결합된 영구 자석 및 상기 영구 자석에 대응되게 상기 케이스 유닛에 결합된 코일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흔들림 보정 모듈은 상기 촬영 모듈을 착탈 가능하게 내부에 수용하는 모듈 이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구동 유닛 및 상기 제2 회전구동 유닛은 상기 모듈 이동체를 상기 X축 및 Y축을 회전축으로 각각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모듈 이동체 내에 삽입 결합될 상기 촬영 모듈을 회동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은 모듈 이동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회전구동 유닛은 상기 모듈 이동체를 상기 원점을 피봇 중심으로 상기 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제1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부이며, 상기 제2 회전구동 유닛은 상기 모듈 이동체를 상기 원점을 피봇 중심으로 상기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제2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부일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부는 상기 Y축 방향으로의 일 측 또는양 측에 배치된 보이스 코일 모터 쌍을 구비하며, 상기 쌍을 이루는 보이스 코일 모터는 상기 모듈 이동체에 결합된 영구 자석 및 상기 영구 자석에 대응되게 상기 케이스 유닛에 결합된 코일을 구비하며, 제2 보이스 코일 모터 구동부는 상기 X축 방향 으로의 일 측 또는 양 측에 배치된 보이스 코일 모터 쌍을 구비하며, 상기 쌍을 이루는 보이스 코일 모터는 상기 모듈 이동체에 결합된 영구 자석 및 상기 영구 자석에 대응되게 상기 케이스 유닛에 내장된 코일을 구비한다.
여기서, 코일은 HPCB 내부에 코일부과 요크부를 구비하는 코일 PCB이며, 상기 코일 PCB는 외부와의 전기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FPCB가 연결된다.
상기 모듈 이동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모듈 이동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체; 및
이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은 상기 모듈 이동체와 상기 지지체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체에 대한 상기 모듈 이동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모듈 이동체를 상기 케이스 유닛의 상부쪽으로 가압하는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는 상기 지지체의 상부에 맞대어져 결합되는 외측 구석부와 상기 외측 구석부로부터 상기 모듈 이동체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모듈 이동체의 하부에 맞대어져 결합되는 중앙 탄성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탄성부의 상기 모듈 이동체 측의 일면에는 상기 모듈 이동체의 내부에 부착될 촬영 모듈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엠보서(embosser)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은 상기 지지체에 대한 상기 모듈 이동체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 평형유지 탄성 부재와 상기 지지체 사이에 추가적으로 배치되는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에는 상기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의 중앙 탄성부가 상기 X축 및 Y축을 회전축으 로 하여 회동할 때의 최대 회동각을 제한하는 스톱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촬영 모듈은 후크 결합 및 해제에 의하여 상기 모듈 이동체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촬영 모듈이 상기 모듈 이동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모듈 이동체의 내부쪽으로 구속하는 로크부를 가지며 상기 모듈 이동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모듈 고정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은 흔들림 상기 촬영 모듈의 하부에 돌출 형성된 반구형 피봇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피봇부에 대응하는 볼 조인트용 홈이 형성된 메인 HPCB를 구비하며, 상기 가상의 직교 좌표의 원점은 상기 피봇부와 상기 볼 조인트용 홈이 접촉하는 점일 수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피봇부와 상기 볼 조인트용 홈이 접촉하는 점을 중심으로 X축 및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결과적으로 촬영 모듈이 회동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i)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받아 전달하고 이미지를 나타내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촬영 모듈, 및 (ii) 상기 촬영 모듈을 소정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교 좌표의 적어도 두 개의 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 흔들림 보정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흔들림 보정 모듈은, 상기 흔들림 보정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메인 PCB; 및 상기 촬영 모듈의 내부의 전기 신호를 상기 메인 PCB와 주고 받도록 구성된 촬영 모듈용 FPCB를 더 포함되며, 상기 촬영 모듈용 FPCB에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 방향 연장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 방향 연 장 홀은 상기 FPCB 중 굴곡이 있는 부분에는 적어도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X축 및 Y축 방향으로 촬영 모듈 및 모듈 이동체가 회동할 때 인쇄회로기판 즉, 촬영 모듈용 FPCB의 비틀림이 용이하게 일어나서 인쇄회로기판의 결함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의 상기 흔들림 보정 모듈은 상기 촬영 모듈을 착탈 가능하게 내부에 수용하는 모듈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흔들림 보정 모듈은 상기 모듈 이동체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각각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모듈 이동체 내에 삽입 결합될 상기 촬영 모듈을 회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은 사용자의 손떨림을 비롯한 흔들림의 실제 진동 방향을 더욱 잘 대변하는 방향으로 진동을 가함으로써 카메라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보정하고, 따라서 손떨림에도 불구하고 선명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손떨림 방향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릴리스 버튼(R)을 누를 때의 손떨림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은 X축 방향으로 선형 진동(χ), Y축 방향으로 선형 진동(y), 또는 X축과 Y축이 만드는 X-Y 평면을 따라 선형 진동을 하는 경우는 드물다. 오히려 A 방향으로의 회전 진동, B 방향으로의 회전 진동, 또는 상기 양 회전 진동의 조합인 진동이 많이 발생한다. 이것은 X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 운동(a) 및 Y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 운동(b)으로 대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서 케이스 유닛을 제외하고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촬영 모듈(10),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케이스 유닛(51, 52)을 구비한다.
촬영 모듈(10)은 내부에 이미지 센서(11), 입사 렌즈를 비롯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이하 ‘피사체 광’이라고 함)이 이미지 센서(11)에 맺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렌즈들을 지지하는 경통(13), 경통 지지부(14), 및 크래들 베이스(cradle base)를 구비할 수 있다. 경통 지지부(14)는 내부에 경통(13)을 결합 수용하며, 제1 및 제2 회전구동 유닛(20, 30)의 이동이 경통(13)에 전달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한다. 다시 말하면, 경통(13)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을 취하지만, 경통 지지부(14)의 내부는 경통(13)을 수용하도록 상응하는 원통형을 취하고 외부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향하는 면을 가진 사각 기둥형을 취함으로써 제1 및 제2 회전구동 유닛(20, 3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여 제1 및 제2 회전구동 유닛(20, 30)의 운동이 경통(13)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도면에는 경통(13) 및 경통 지지부(14)가 별도의 부재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경통 지지부가 생략되는 실시예도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예의 경우 경통은 외부에서 제1 및 제2 회전구동 유닛(20, 30)과 접촉하여 X축 및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을 취할 것이다. 경통(13) 내에는 줌 기능을 가진 줌 렌즈를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촬영 모듈(10)은 하나의 패키지로 제공될 수 있다. 촬영 모듈에는 메인 PCB(12)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PCB는 칩들이 실장되는 HPCB(12a) 및 HPCB(12a)와 이미지 센서 간의 전기신호 전달을 위한 FPCB(12b)로 구성될 수 있는데, FPCB는 회동되는 촬영 모듈과 고정됨으로써 회동시 지속적인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FPCB에는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연장 홀(215a, 215b)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중에 설명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은 제1 회전구동 유닛(20) 및 제2 회전구동 유닛(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회전구동 유닛(20)은 촬영 모듈(10)을 이미지 센서(11)의 제1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 구동한다. 여기서, 제1 축은 가상의 직교 좌표의 두 개의 축(X축, Y축) 중 어느 한 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축은 이미지 센서(11)의 촬상면(11a)에 평행한 면상에서의 대략적으로 상기 촬상면(11a)의 중심에 대응하는 점을 원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교 좌표의 세 축들 중 상기 촬상면(11a)의 직교하는 두 변 중 어느 한 변에 평행한 X축일 수 있다.
여기서, 원점은 반드시 촬상면(11a)의 중심에 대응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2 회전구동 유닛(30)은 촬영 모듈(10)을 이미지 센서(11)의 제2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전 구동한다. 여기서, 제2 축은 가상의 직교 좌표의 두 개의 축(X축, Y축) 중 어느 한 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축은 이미지 센서(11)의 촬상면(11a)에 평행한 면상에서의 대략적으로 상기 촬상면(11a)의 중심에 대응하는 점을 원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교 좌표의 세 축들 중 상기 촬상면(11a)의 직교하는 두 변 중 어느 한 변에 평행한 Y축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회전구동 유닛(20)은 모터를 이용하여 촬영 모듈(10)을 제1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킨다. 여기서 모터는 압전 모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소형의 모터로서 촬영 모듈(10)을 제1 축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시킬 수 있는 것은 어느 것이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모터는 예를 들면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또는 스텝 모터일 수 있다. 보이스 코일 모터를 구비하는 실시예는 도 6 및 7에서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회전구동 유닛(20)은 촬영 모듈(10)의 Y축 방향으로의 일 측에 배치되고, 제2 회전구동 유닛(30)은 촬영 모듈(10)의 X축 방향으로의 일 측에 배치된다. 즉, 제1 회전구동 유닛(20)과 제2 회전구동 유닛(30)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케이스 유닛(51, 52)은 촬영 모듈, 제1 회전구동 유닛(20), 및 제2 회전구동 유닛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부 케이스(51)와 하부 케이스(52)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부 케이스(52)의 바닥면은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2)의 피봇부(42a)와 접점촉 을 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케이스(51)은 제1 및 제2 회전구동 유닛(20, 30), 촬영 모듈(10), 및 제1 및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1, 42)를 수용하면서 하부 케이스(52)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52)의 X축 및 Y축 방향으로의 각각의 일 측면에는 제1 및 제2 회전구동 유닛(20, 30)이 각각 장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회전구동 유닛(20, 30)은 케이스 유닛(51, 52)에 고정된 채로 촬영 모듈만 적어도 두 개의 축(이 실시예에서는 X축 및 Y축)을 회전축으로 회동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서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구동 유닛(30)은 압전 모터(31), 압전 모터 구동축(32), 및 회동편(35)을 구비한다.
압전 모터(31)는 전류가 인가되면 길이 방향으로 굴곡 진동을 하여 내부에 삽입된 압전 모터 구동축(32)을 신장하는 방향 또는 수축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압전 모터 구동축의 단부(32a)는 볼 형상을 취한다. 볼 형상의 구동축 단부(32a)는 회동편(35)과 볼 조인트 연결되어 있다. 즉, 볼 형상의 구동축 단부(32a)는 대응하는 오목 형상의 회동편(35) 내에서 볼 조인트 연결되어 회동편(35)은 구동축의 단부(32a)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든 회동할 수 있다.
회동편(35)은 피봇부(36)에 피봇 연결되어 있으므로 일 방향(이 실시예에서는 Y축 방향)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회동편(35)의 단면 형상은 회동편(35)이 도 4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동편(35)이 시계 방향으로 돌출하여 평형 상태의 촬영 모듈을 시계 방향으로 밀고, 회동편(35)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동편(35)이 반시계 방향으로 수축되어 평형 상태의 촬영 모듈(10)의 측벽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형상을 취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흔들림 보정 모듈은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41)와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촬영 모듈(10)의 하부에는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2)가 배치되며, 촬영 모듈(10)의 중간부에는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41)가 배치된다.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41)는 촬영 모듈(10)을 아랫 방향(Z축의 음의 방향)으로 가압하며,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2)는 촬영 모듈(10)을 윗 방향(Z축의 양의 방향)으로 가압한다. 그럼으로써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촬영 모듈(10)이 평형 상태로 위치되게 한다. 특히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2)는 판 스프링일 수 있으며, 중앙부에는 아랫 방향으로 돌출된 구형의 피봇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피봇부(42a)의 상부는 크래들 베이스(15)의 대응하는 홈에 끼워 맞춰짐으로써 촬영 모듈(10)의 중심에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2)의 피봇부가 형성될 수 있게 한다. 피봇부(42a)의 하부는 후술할 케이스 유닛(51, 52)의 면상에 지지되어 촬영 모듈(10)이 X축, Y축 또는 촬상면(11a)에 평행한 면상의 어떠한 축을 기준으로 회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보장한다.
제1 및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1, 42)는 기본적으로 촬영 모듈(10)이 평형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2)인 판 스프링은 굴곡 돌출부(42b)를 구비하여 촬영 모듈(10)내의 촬상면(11a)이 수평 상태가 되도록 하는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복원력이 필요한 이유는 손떨림으로 인한 카메라의 흔들림이 1초에 수십 Hz에 달할 정도로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모터의 구동력만으로 이러한 흔들림에 대응하는 진동을 만들어내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즉, 제1 및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1, 42)를 사용함으로써 제1 회전구동 유닛(20)이 촬영 모듈(10)을 X축을 회전축으로 왕복 회동시킬 때 그리고 제2 회전구동 유닛(30)이 촬영 모듈(10)을 Y축을 회전축으로 왕복 회동시킬 때 제1 및 제2 회동구동 유닛(20, 30)을 도와 촬영 모듈(10)이 원래의 평형 상태로 쉽게 돌아가게 해준다. 특히,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2)와 같은 형상의 판 스프링(42)은 변형량이 크지 않은 이동에 대한 복원성이 좋다. 따라서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2)는 진폭이 비교적 작은 진동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좋다.
반면,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41)는 변형된 형태의 판 스프링으로서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2)에 비하여 변형량이 더 큰 이동에 대한 복원성이 좋다. 따라서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41)는 진폭이 비교적 큰 진동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좋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1, 42)를 모두 겸비하고 있으므로 넓은 범위의 진폭에 대한 진동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제2 탄성부재는 별도의 돌출된 피봇부(42a)를 가지지 아니하며, 돌출된 피봇부는 하부 케이스(52)에 형성되고 피봇부의 상부 정점에 크래들 베이스 또는 제2 탄성부재가 접촉하면서 촬영 모듈(10)의 회동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제2 회전구동 유닛의 동작에 따른 촬영 모듈(10)의 회동 운동을 보여주는 도 5를 참조하여, 촬영 모듈(10)이 X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진동하게 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점선으로 그려진 부분은 압전 모터(31)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평형 상태에서의 촬영 모듈(10)의 배치 모습이다.
압전 모터 구동축(32)이 신장되도록 압전 모터(31)에 전원이 인가되면, 압전 모터가 굴곡 진동하여 내부에 있는 압전 모터 구동축(32)을 신장시키고 구동축 단부(32a)와 볼 조인트 연결된 회동편(35)이 피봇부(36)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한다. 회전된 회동편(35)의 형상으로 인하여 촬영 모듈(10)이 밀려지고, 촬영 모듈(10)의 하부에 있는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의 피봇부(42a)를 중심으로 X축 방향을 따라 회동한다.
반대로, 압전 모터 구동축(32)이 수축되도록 압전 모터(31)에 전원이 인가되면, 압전 모터가 굴곡 진동하여 내부에 있는 압전 모터 구동축(32)을 수축시키고 구동축 단부(32a)와 볼 조인트 연결된 회동편(35)이 피봇부를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한다. 회전된 회동편(35)의 형상으로 인하여 촬영 모듈(10)은 회동편(35)과 접촉하지 않게 되며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41)와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42)가 제공하는 복원력에 의하여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의 피봇부(42a)를 중심으로 X축 방향을 따라 원래의 평형 상태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신장과 수축을 여러 번 반복함으로써 Y축을 회전축으로 촬영 모듈(10)을 회동 진동시킬 수 있다. 그럼으로써 사진 촬영시 발생한 손떨림에 대하여 상기한 적어도 두 개의 축을 회동축으로 한 인위적인 회동 진동을 가하여 손떨림이 상쇄된 시점에서의 이미지들을 합성하여 손떨림이 저감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인위적으로 가해지는 진동이 손떨림이 발생하는 방향에 더욱 근접한 회 동 진동이기 때문에 흔들림 보정 효과는 극대화될 수 있다.
제1 회전구동 유닛(20)에 대한 설명은 상기한 제2 회전구동 유닛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은 제1 내지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회전구동 유닛이 압전 모터가 아닌 보이스 코일 모터라는 점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도면 부호로서 이전 실시예에서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의미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회전구동 유닛(120)은 Y축 방향으로의 양 측에 배치되고, 제2 회전구동 유닛(130)은 촬영 모듈(10)의 X축 방향으로의 양 측에 배치된다. 즉, 제1 회전구동 유닛(120)과 제2 회전구동 유닛(130)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각각 배치된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구동 유닛(120)은 양 측에 각각 배치된 보이스 코일 모터 쌍(121, 122)을 구비한다. 하나의 보이스 코일 모터(121 또는 122)는 영구 자석(121a 또는 122a) 및 코일(121b 또는 122b)을 구비한다. 영구 자석(121a 또는 122a)은 경통 지지부를 감싸는 부재(115)의 Y축 방향으로의 양 측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코일(121b 또는 122b)은 영구 자석과 대응되게 하부 케이스(52)의 Y축 방향으로의 양 측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영구 자석(121a 또는 122a)은 소정 패턴으로 착자되어 있어서 코일(121b 또는 122b)에 전류가 흐르 면 전자석과의 상호 작용(인력 및 척력)을 일으킨다. 코일(121b 또는 122b)은 하부 케이스(52)에 고정되며, 영구 자석(121a 또는 122a)이 삽입된 부재(115)는 촬영 모듈(10)과 결합되어 하부 케이스(52)의 내부에서 X축 및 Y축을 회동축으로 각각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영구 자석(121a 또는 122a)과 전자석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촬영 모듈(10)이 케이스 유닛(51, 52)의 내부에서 회동하게 한다.
도 6에는 제1 회전구동 유닛(120)의 보이스 코일 모터가 양 측에 쌍으로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면, 제1 회전구동 유닛(120)의 보이스 코일 모터는 Y축 방향으로의 어느 일 측에만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회전구동 유닛(130)의 보이스 코일 모터는 X축 방향으로의 어느 일 측에만 구비되어도 된다.
제2 회전구동 유닛(130)은 제1 회전구동 유닛(120)과 동일한 구성을 취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제1 회전구동 유닛(12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이제 도 8 내지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촬영 모듈(250) 및 흔들림 보정 모듈을 구비한다. 촬영 모듈(250)은 렌즈 및 이미지 센서를 내부에 수용하며, 이미지 센서에서 나온 전기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촬영 모듈용 PCB(250a)를 구비한다. 촬영 모듈용 PCB(250a)는 흔들림 보정 모듈을 위한 메인 PCB(2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촬영 모듈용 PCB(250a)의 하부면에는 Z축 음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반구형 피봇부(250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피봇부(250b)가 촬영 모듈용 PCB(250a)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촬 영 모듈(250)의 하부와 인접한 모듈 이동체(210)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흔들림 보정 모듈의 일 실시예는 모듈 이동체(210), 모듈 고정 부재(210), 제1 회전구동 유닛(231), 제2 회전구동 유닛(232), 케이스 유닛(260),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2),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 및 지지체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모듈 이동체(210)는 그 내부에 촬영 모듈(250)을 카트리지 방식으로 예를 들면, 후크 결합에 의하여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럼으로써 흔들림 보정 기능이 없는 기존의 촬영 모듈(250)을 카트리지 방식으로 장착하여 용이하게 흔들림 보정 기능을 추가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모듈 고정 부재는 모듈 이동체(210)의 상부 테두리에 융착되며, 로크부에 의하여 촬영 모듈(250)이 모듈 이동체(2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촬영 모듈(250)을 구속한다. 모듈 고정 부재(241)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이를 생략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보이스 코일 모터(231, 232)의 영구자석(231a, 232a)은 모듈 이동체(210)의 측면에 설치되며, 코일(231b, 232b)은 케이스 유닛(260)의 내부에 영구자석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코일(231b, 232b)은 코일 PCB일 수 있으며, 이 경우 HPCB 내부에 코일부와 요크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코일부와 흔들림 보정 모듈의 메인 PCB와의 전기신호의 전달은 FPCB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보이스 코일 모터(231, 232)는 X축 방향으로의 어느 일측 및 Y축 방향으로의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모듈 이동체(210)는 X축 및 Y축을 회전축으로 한 회동운동이 가능하며, 보이스 코일 모터(231, 232)를 경량 소형화할 수 있다.
모듈 이동체(210)의 하부에는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2)가 배치된다.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2)는 외측 구석부와 중앙 탄성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측 구석부에 비하여 중앙 탄성부가 Z축 양의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탄성력을 제공한다. 외측 구석부는 스크류(222)에 의하여 지지체(220, 221)에 고정 결합되고, 중앙 탄성부는 모듈 이동체(210)의 하부면에 맞대어져 결합, 예를 들면 융착 결합된다.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2)에 의하여 지지체(220, 221)에 대하여 모듈 이동체(210)를 비평형 상태가 되도록 외력을 가하면 모듈 이동체(210)는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평형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동된다. 그럼으로써 제1 및 제2 회전구동 유닛(231, 232)의 회동 진동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2)의 상면에는 엠보서(242a)들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엠보서(242a)는 촬영 모듈(250)의 저면과 접촉함으로써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촬영 모듈(250) 저면의 제작 공차 또는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2) 상면의 제작 공차에 의한 정밀도 저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3)는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2)와 지지체(220, 221) 사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3)는 모듈 이동체(210)의 평형 상태 유지를 2차적으로 보조할 뿐만 아니라, 스톱부(243aa, 243ab)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2)가 회동할 때 중앙 탄성부의 움직임을 스톱부(243aa, 243ab)가 제한함으로써 최대 회동각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스톱부(243aa)는 Y축을 회전축으로 한 최대 회동각을 제한하며, 제2 스톱부(243ab)는 X축을 회전축으로 한 최대 회동각을 제한한다. 그럼으로써 카메라 낙하와 같이 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촬영 모듈(250) 및 모듈 이동체(210)가 과도하게 회동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변형으로 인한 정밀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3)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를 생략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342)만을 구비한다.
지지체(220, 221)는 제1 및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3)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2)의 외측 구석부 및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243)를 지지체(220, 221)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는 허브부(221)와 메인 PCB부(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PCB부(220) 중 허브부(221)를 지지하는 부분은 HPCB이다. HPCB의 상면에는 반구형 피봇부(250b)에 대응하는 볼 조인트용 홈(220a)이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모듈 이동체(210)에 부착된 촬영 모듈(250)의 하부 측에 형성된 피봇부(250b)가 볼 조인트용 홈(220a)과 접촉하는 점이 회동 중심이 되며, X축과 Y축이 만나는 원점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회전구동 유닛(231, 232)에 의하여 모듈 이동체(210) 및 촬영 모듈(250)은 손떨림 방지를 위한 회동 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손떨림 방지 기능의 작동 중에, 촬영 모듈(250)은 회동되는 반면, 메인 PCB부(220)를 포함한 지지체(220, 221)는 고정되기 때문에 촬영 모듈용 PCB(250a)와 메인 PCB 간에는 계속적인 변위의 변화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이 장기간 반복하 여 지속될 경우, 촬영 모듈용 PCB(250a)와 메인 PCB(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FPCB 부분(215)이 반복적으로 비틀림으로써 파괴가 발생할 수 있는데, 도 14 및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홀(215a, 215b)들이 형성됨으로써 FPCB(215)의 비틀림 시에도 적은 응력이 발생할 수 있게 하여 FPCB(215)의 손상을 방지하고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FPCB(215) 중 굴곡이 있는 부분에 연장 홀(215a, 215b)들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촬영 모듈(10)의 회동 기준축을 촬상면(11a)의 중심에 대응하는 점을 원점으로 하는 직교 좌표 중 촬상면(11a)의 두 변에 각각 평행한 X축 및 Y축으로 잡았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두 개의 회동 기준축이 촬상면(11a)의 두 변에 평행하지 않는 실시예도 가능하며, 심지어 촬상면(11a)에 평행한 면상에 배치되지 않는 예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카메라의 흔들림은 다양한 각도에서 일어날 수 있으므로 정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어느 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촬영 모듈(10)을 회동을 하더라도 흔들림 보정의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촬영 모듈(10)이 두 개의 축을 포함한 세 개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각 축에서 모두 각각 회전 구동하는 실시예도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만, 이 경우 세 축에서의 회전구동 유닛을 구비하기 위한 공간이 더 필요하므로 적용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흔들림 보정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을 제조 및 사용하는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손떨림 방향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서 케이스 유닛을 제외하고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서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서 제1 회전구동 유닛의 동작에 따른 촬영 모듈의 회동 운동을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흔들림 보정 모듈 중 케이스 유닛을 제외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흔들림 보정 모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흔들림 보정 모듈의 모듈 이동체 및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의 결합 모습을 도시하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흔들림 보정 모듈의 지지체, 제1 및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의 결합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지지체, 제1 및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의 결합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에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모듈용 PCB가 결합된 모습의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촬영 모듈용 PCB가 구비된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250: 촬영 모듈 11: 이미지 센서
12: 메인 PCB 13: 경통
14: 경통 지지부 15: 크래들(cradle) 베이스
20, 120, 231, 331: 제1 회전구동 유닛
30, 130, 232, 332: 제2 회전구동 유닛
31: 압전 모터 32: 압전 모터 구동축
35: 회동편 41, 242: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
42, 243: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 51: 상부 케이스
52: 하부 케이스 210, 310: 모듈 이동체
220a, 320a: 볼 조인트용 홈 241, 341: 모듈 고정 부재
250b, 350b: 반구형 피봇부 260, 360: 케이스 유닛

Claims (24)

  1. 피사체의 영상을 나타내는 빛을 이미지를 위한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가지는 촬영 모듈을 소정의 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가상의 직교 좌표의 두 개의 축을 기준으로 각각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두 개의 축은 촬상면에 직교하는 두 변에 각각 평행한 X축과 Y축인 흔들림 보정 모듈에 있어서,
    상기 원점을 피봇 중심으로 하여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X축을 회전축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회전구동 유닛;
    상기 원점을 피봇 중심으로 하여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Y축을 회전축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 제2 회전구동 유닛;
    상기 촬영 모듈, 상기 제1 회전구동 유닛, 및 상기 제2 회전구동 유닛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스 유닛;
    상기 케이스 유닛과 상기 촬영 모듈의 상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유닛에 대한 상기 촬영 모듈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케이스 유닛의 하부쪽으로 가압하는 제1 평형 유지 탄성 부재; 및
    상기 케이스 유닛과 상기 촬영 모듈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 유닛에 대한 상기 촬영 모듈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케이스 유닛의 상부쪽으로 가압하는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평형 유지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이며, 상기 판 스프링의 상기 원점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케이스 유닛의 하부면을 향하여 돌출된 반구형의 피봇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회전구동 유닛은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케이스 유닛 내에서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상기 X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제1 압전 모터 구동부이며, 상기 제2 회전구동 유닛은 상기 촬영 모듈을 상기 케이스 유닛 내에서 상기 피봇부를 중심으로 상기 Y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제2 압전 모터 구동부이며,
    상기 제1 압전 모터 구동부는 압전 모터 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은 상기 Y축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 유닛의 제1 측에 결합되고 상기 X축 및 Y축에 직교하는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의 단부는 구형을 취하며,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의 Z축 방향으로의 운동은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의 단부에 연결된 볼 조인트 연결부 및 상기 피봇부에 의하여 상기 X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상기 촬영 모듈의 회동 운동으로 변환되며,
    상기 제2 압전 모터 구동부는 압전 모터 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은 상기 X축 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스 유닛의 제2 측에 결합되고 상기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의 단부는 구형을 취하며,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의 Z축 방향으로의 운동은 상기 압전 모터 구동축의 단부에 연결된 볼 조인트 연결부 및 상기 피봇부에 의하여 상기 Y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상기 촬영 모듈의 회동 운동으로 변환되는 흔들림 보정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90033378A 2009-03-31 2009-04-16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1566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7762 2009-03-31
KR20090027762 200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331A KR20100109331A (ko) 2010-10-08
KR101566300B1 true KR101566300B1 (ko) 2015-11-05

Family

ID=4313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378A KR101566300B1 (ko) 2009-03-31 2009-04-16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6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589A (ko) * 2020-11-24 2023-06-13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광학 소자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567B1 (ko) * 2012-06-28 2014-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940480B1 (ko) 2012-06-28 2019-0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349524B1 (ko) 2012-06-29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349473B1 (ko) 2012-07-20 2014-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7995455A (zh) * 2017-12-29 2018-05-04 北京九方广维科技有限公司 车载视频对讲方法及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3358A (ja) 2004-08-12 2006-02-23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振れ補正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7272210A (ja) 2006-03-30 2007-10-18 Ind Technol Res Inst 画像安定化システムと方法
JP2008191615A (ja) 2007-02-08 2008-08-21 Casio Comput Co Ltd 手振れ補正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3358A (ja) 2004-08-12 2006-02-23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振れ補正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2007272210A (ja) 2006-03-30 2007-10-18 Ind Technol Res Inst 画像安定化システムと方法
JP2008191615A (ja) 2007-02-08 2008-08-21 Casio Comput Co Ltd 手振れ補正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4589A (ko) * 2020-11-24 2023-06-13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광학 소자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102642671B1 (ko) 2020-11-24 2024-02-29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광학 소자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331A (ko) 2010-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6919B2 (en) Shake correction module,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amera module
US10877289B2 (en) Reflecting module for OI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004802B1 (ko) 손떨림 보정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I581029B (zh) 攝影模組以及包含該模組的可攜式電子裝置
KR101566300B1 (ko)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JP6792145B2 (ja) アクチュエーター、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20210042915A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탑재 장치
KR20150007699A (ko) 카메라 모듈
US20220221734A1 (en) Camera module
JP7325257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KR101589099B1 (ko)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50008662A (ko) 카메라 모듈
KR102301072B1 (ko) 광학 흔들림 보정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50009685A (ko) 카메라 모듈
KR102505438B1 (ko) 광로변경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JP7237686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7235558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116320750A (zh) 防振装置及摄像装置
JP2022136419A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CN212364683U (zh) 光学部件驱动装置、照相机装置以及电子设备
JP7323428B2 (ja)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KR101521528B1 (ko) 카메라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1612850B1 (ko) 흔들림 보정 가능한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92822A (ko) 촬상 모듈
KR102521104B1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