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9473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9473B1
KR101349473B1 KR1020120079579A KR20120079579A KR101349473B1 KR 101349473 B1 KR101349473 B1 KR 101349473B1 KR 1020120079579 A KR1020120079579 A KR 1020120079579A KR 20120079579 A KR20120079579 A KR 20120079579A KR 101349473 B1 KR101349473 B1 KR 10134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driver
lens barrel
lens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인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473B1/ko
Priority to CN201380038376.5A priority patent/CN104508550B/zh
Priority to PCT/KR2013/005990 priority patent/WO2014014222A1/en
Priority to US14/415,764 priority patent/US946762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473B1/ko
Priority to US15/257,981 priority patent/US995507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03B2205/0015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by displacing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normal to the optic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을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렌즈 배럴에 형성되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 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렌즈가 배치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를 둘러싸는 외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외곽부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을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키는 다수 개의 구동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제 1 방향 및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 중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고, 코일을 포함하는 구동부들의 코일이 감기는 방향이 서로 동일하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와 PDA 및 MP3 플레이어 등의 IT 기기를 비롯한 자동차와 내시경 등의 제작시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고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기술의 발달에 따라 고화소 중심으로 발달됨과 동시에 장착 대상에 따라서 소형화 및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저가의 제작 비용으로 오토포커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이 구현 가능하도록 변화되고 있다.
또한, 현재 제작되는 카메라 모듈은 와이어 본딩 방식(COB ; Chip Of Board), 플립 칩 방식(COF ; Chip Of Flexible) 및 칩 스케일 패키지 방식(CSP ; Chip Scale Pakage)으로 제작되는 이미지센서 모듈이 탑재되어 제작되고 있으며, 주로 인쇄회로기판(PCB)이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등의 전기적 연결 수단을 통해 메인 기판에 접속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러나, 최근에 이르러 일반적인 수동소자와 마찬가지로 메인 기판 상에 직접 실장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시키고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이 유저로부터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주로 CCD나 CMOS 등의 이미지센서가 와이어 본딩 또는 플립 칩 방식에 의해 기판에 부착된 상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카메라 모듈 내, 외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기기내의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가 저면에 지지되는 하우징과, 상기 이미지센서에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모아주는 렌즈군과, 상기 렌즈군이 내부에 적층되는 배럴의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CCD 또는 CMOS로 이루어진 이미지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부품인 콘덴서와 저항의 칩 부품이 부착된 실장용 기판(FPCB)이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실장용 기판(FPCB)에 다수의 회로 부품이 실장된 상태에서 기판과 이미지센서 사이에 이방전도성필름(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삽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통전되도록 접착 고정하고, 그 반대면에 적외선 차단 필터부를 부착한다.
또한, 다수의 렌즈군이 내장된 배럴과 하우징이 나사 결합에 의해서 가결합시킨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조립된 실장용 기판이 하우징의 저면에 별도의 접착제에 의해서 접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이미지센서가 부착된 실장용 기판과 배럴이 결합된 하우징의 접착 고정 후에 상기 배럴의 전방에 피사체(해상도 챠트)를 일정한 거리로 하여 초점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초점 조정은 하우징에 나사 결합된 배럴의 회전에 의한 수직 이송량이 조절됨에 따라 렌즈군과 이미지센서 간의 초점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실시예는 효과적으로 손떨림을 방지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을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렌즈 배럴에 형성되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 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렌즈가 배치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를 둘러싸는 외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외곽부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을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키는 다수 개의 구동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제 1 방향 및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 중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고, 코일을 포함하는 구동부들의 코일이 감기는 방향이 서로 동일하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의 공간을 활용하여 구동부를 배치함으로써, 두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할 수 있다. 즉, 렌즈 배럴로부터 반경방향으로의 구동부 배치를 최소화하여 전체 크기를 기존 동일 기능의 카메라 모듈 대비 30 % 이상 축소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에 대하여 렌즈 배럴을 구동하여 흔들림을 보상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렌즈 배럴을 상대 이동시켜서, 흔들림을 보상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기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을 자기력 등을 가하여,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3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좌우 흔들림을 보정하고, 동시에,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탄성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종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구동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구동부의 다른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종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종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도 9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탄성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종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구동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구동부의 다른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종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종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100), 렌즈 어셈블리(200), 탄성 부재(300), 하우징(400),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 센서부(600), 회로기판(800), 구동부(710, 720...) 및 하단 코일(900)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수용한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홈(11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수용홈(11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수용홈(110)은 바텀측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수용홈(110)의 외곽은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수용홈(110)의 외곽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사각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곽은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하우징(400)과 연결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하우징(400)에 상기 탄성 부재(300)를 통해서 연결된다. 즉,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하우징(400)에, 상기 탄성 부재(300)에 의해서, 유동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방(물체 측)으로 오픈되는 입광홈을 포함한다. 상기 입광홈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를 노출시킨다. 상기 입광홈을 통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에 영상이 입사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렌즈 배럴(100) 내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수용홈(110) 내에 배치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상기 수용홈(110)에 삽입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제 1 외곽 형상을 가진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원형의 외곽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탑측에서 보았을 때,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탑측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다수 개의 렌즈들(210, 220, 2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제 1 렌즈(210), 제 2 렌즈(220) 및 제 3 렌즈(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렌즈(230), 상기 제 2 렌즈(230) 및 상기 제 1 렌즈(210)는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들(210, 220, 230) 사이에는 제 1 스페이서(221) 및 제 2 스페이서(222)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페이서(221) 및 상기 제 2 스페이서(222)는 상기 렌즈들(210, 220, 230) 사이의 간격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3개의 렌즈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는 1개 또는 2개의 렌즈를 포함하거나, 4개 이상의 렌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00)는 상기 하우징(400) 내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 부재(300)는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300)는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 부재(30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을 상기 하우징(400)에, 유동 가능하도록 고정시킨다.
도면에는 상기 탄성 부재(30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300)는 상기 렌즈 배럴(100)과 상기 회로기판(800) 사이에 더 구비되어, 상기 렌즈 배럴(100)을 유동 가능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00)는 스프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탄성 부재(300)는 판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00)는 4개의 탄성부들(310, 320, 330, 3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 부재(300)는 제 1 탄성부(310), 제 2 탄성부(320), 제 3 탄성부(330) 및 제 4 탄성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탄성부(310)의 일 끝단은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탄성부(310)의 다른 끝단은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2 탄성부(320)의 일 끝단은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탄성부(320)의 다른 끝단은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3 탄성부(330)의 일 끝단은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되고, 상기 제 3 탄성부(330)의 다른 끝단은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4 탄성부(340)의 일 끝단은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되고, 상기 제 4 탄성부(340)의 다른 끝단은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300)는 제 1 고정 고리(350) 및 제 2 고정 고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고정 고리(35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수용홈(110)의 주위를 둘러싼다. 상기 제 1 고정 고리(350)는 상기 제 1 탄성부(310)의 일 끝단, 상기 제 2 탄성부(320)의 일 끝단, 상기 제 3 탄성부(330)의 일 끝단 및 상기 제 4 탄성부(340)의 일 끝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고정 고리(350)는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 고리(350)는 상기 제 1 탄성부(310), 상기 제 2 탄성부(320), 상기 제 3 탄성부(330) 및 상기 제 4 탄성부(3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고정 고리(360)는 상기 하우징(400)의 측벽들(410, 420, 430, 440)을 따라서 배치된다. 상기 제 2 고정 고리(360)는 상기 제 1 탄성부(310)의 다른 끝단, 상기 제 2 탄성부(320)의 다른 끝단, 상기 제 3 탄성부(330)의 다른 끝단 및 상기 제 4 탄성부(340)의 다른 끝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고정 고리(360)는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고정 고리(360)는 상기 제 1 탄성부(310), 상기 제 2 탄성부(320), 상기 제 3 탄성부(330) 및 상기 제 4 탄성부(34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렌즈 배럴(100), 상기 센서부(600) 및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렌즈 배럴(100)와 상기 탄성 부재(300)를 통하여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사각의 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400)은 4개의 측벽들(410, 420, 430, 4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들(410, 420, 430, 440)은 상기 렌즈 배럴(100)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측벽들(410, 420, 430, 440)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들(410, 420, 430, 440)은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측면들에 각각 대향될 수 있다. 상기 측벽들(410, 420, 430, 440)은 제 1 측벽(410), 제 2 측벽(420), 제 3 측벽(430) 및 제 4 측벽(440)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렌즈 배럴(100)을 덮고, 상기 측벽들(410, 420, 430, 440)로부터 연장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렌즈들(210, 220, 230)을 일부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회로기판(800)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회로기판(80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하우징(400) 내에 배치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회로기판(800)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입사되는 적외선을 필터링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상기 센서부(600)에 유입되는 과도한 장파장의 광의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부(500)는 광학 유리에 티타늄 옥사이드 및 실리콘 옥사이드가 교대로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적외선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티타늄 옥사이드 및 상기 실리콘 옥사이드의 두께는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하우징(400) 내에 수용된다. 상기 센서부(600)는 CCD 이미지 센서 또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이미지 센서와 연결되는 회로기판(8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센서부(600)는 입사되는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경시킨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회로기판(800)에 고정된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회로기판(800)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회로기판(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로기판(800)은 상기 하우징(400)의 바닥을 덮는다. 상기 회로기판(800)은 상기 하우징(400)에 결합된다. 상기 회로기판(800)은 인쇄회로기판(800)일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800)은 상기 센서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800)은 상기 센서부(60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800)은 상기 센서부(600)로부터의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800)에는 상기 센서부(600)가 실장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회로기판(8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600)는 상기 회로기판(800)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800)은 상기 구동부(710, 7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기판(800)을 통하여, 상기 구동부(710, 72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가 상기 구동부(710, 720...)에 인가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710, 720...)는 상기 하우징(400)에 대하여, 상기 렌즈 배럴(100)을 구동한다. 상기 구동부(710, 720...)는 상기 하우징(400)에 대하여, 상기 렌즈 배럴(100)을 상대 이동시킨다. 더 자세하게, 상기 구동부(710, 720...)는 상기 하우징(400)에 대하여, 3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100)을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710, 720...)는 자기력에 의해서, 상기 렌즈 배럴(100)을 상기 하우징(400)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자기력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광축(OA)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710, 720...)는 제 1 구동부(710), 제 2 구동부(720), 제 3 구동부(730), 제 4 구동부(740), 제 5 구동부(750), 제 6 구동부(760), 제 7 구동부(770) 및 제 8 구동부(78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광축(OA)에 대하여 수직한 기준 수평면(R)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준 수평면(R)은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수평면(R)은 상기 제 1 구동부(710)를 양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축(OA) 방향으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물체 측으로, 즉, 도면을 기준으로 상방으로, 물체 측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축(O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상 측으로, 즉, 도면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상기 센서부(6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 측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축(O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구동부(710) 및 상기 제 5 구동부(75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제 1 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축(OA)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7 구동부(770)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제 2 방향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수평면(R)을 기준으로, 물체 측방향은 양의 각도로 정의되고, 상 측방향은 음의 각도로 정의된다. 즉, 방향 벡터가 상기 기준 수평면(R)을 기준으로, 물체 측방향으로 치우치면, 양의 각도로 정의되고, 상 측방향으로 치우치면, 음의 각도로 정의된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내측에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내측면의 외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가 배치되는 중심부(CA) 및 상기 중심부(CA)를 둘러싸는 외곽부(BA)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상기 외곽부(BA)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 배럴(100)은 제 1 면(101) 및 상기 제 1 면(101)과 만나는 제 2 면(10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면(101) 및 상기 제 2 면(102)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사이의 제 1 모서리부(1E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상기 제 1 모서리부(1EA)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어느 한 면은 상기 제 1 면(101)과 접한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일부가 상기 제 1 모서리부(1E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일부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제 1 모서리부(1EA)에,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다른 부분은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구동부(710)가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도,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상기 제 1 모서리부(1EA)와 대응되는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자성체로 이루어 줄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산화철, 아철산 코발트 또는 페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와 마주보는 면(711)을 포함하고, 상기 마주보는 면(711)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주보는 면(711)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외곽면을 따라 오목한 면일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는 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가 상기 외곽부(BA)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렌즈 배럴(100)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제 1 구동부(710)에 따른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여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자화 방향은 상기 광축(OA)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자화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자화 방향은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자화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상 측방향 사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자화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상 측방향이 형성하는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자화 방향 및 상기 기준 수평면(R) 사이의 각도(θ1)는 약 -20° 내지 약 -7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자화 방향 및 상기 기준 수평면(R) 사이의 각도(θ1)는 약 -3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하우징(400)의 일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하우징(400)의 일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제 1 측벽(4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제 1 구동부(710)와 서로 마주본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제 1 구동부(710)와 서로 이격되며, 대향된다.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제 1 구동부(710)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 및 상기 제 2 구동부(720) 사이의 간격(d1)은 약 50㎛ 내지 약 1000㎛, 더 자세하게, 약 10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720)의 중심은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중심과 대응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2 구동부(720)의 중심은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중심으로부터 약 ±20 % 벗어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구동부(720)의 코일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720)의 코일은 상기 회로기판(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 및 상기 제 2 구동부(720) 사이에 척력 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부(720)가 상기 제 1 구동부(710)에 척력 또는 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힘이 인가되는 것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상기 제 2 구동부(720)가 상기 제 1 구동부(710)에 힘을 인가하는 것은 상기 제 1 구동부(710)가 상기 제 2 구동부(720)에 힘을 인가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구동부(710)에, 인력 또는 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약 +20° 내지 약 +70°의 각도로, 상기 제 1 구동부(710)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약 +30° 내지 약 +50°의 각도로, 상기 제 1 구동부(710)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물체 측방향으로, 동시에, 상기 제 1 구동부(710)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구동부(720)는 상기 제 1 구동부(710)에 측상방으로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부(710) 및 상기 제 2 구동부(720)의 힘의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이다. 상기 제 1 구동부(710) 및 상기 제 2 구동부(720)의 힘의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 이도록 상기 제 2 구동부(720)의 코일은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부(720)의 코일은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자화 방향에 따라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내측에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내측면의 외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상기 외곽부(BA)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제 1 면(101)과 마주보는 제 3 면(10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102)과 상기 제 3 면(103)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사이의 제 2 모서리부(2E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상기 제 2 모서리부(2EA)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어느 한 면은 상기 제 2 면(102)과 접한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일부가 상기 제 2 모서리부(2E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일부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제 2 모서리부(2EA)에,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다른 부분은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구동부(730)가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도,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상기 제 2 모서리부(2EA)와 대응되는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자성체로 이루어 줄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산화철, 아철산 코발트 또는 페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와 마주보는 면(731)을 포함하고, 상기 마주보는 면(731)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주보는 면(731)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외곽면을 따라 오목한 면일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는 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가 상기 외곽부(BA)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렌즈 배럴(100)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제 3 구동부(730)에 따른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여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자화 방향은 상기 광축(OA)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자화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자화 방향은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자화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물체 측방향 사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자화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물체 측방향이 형성하는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자화 방향 및 상기 기준 수평면(R) 사이의 각도(θ2)는 약 +20° 내지 약 +7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자화 방향 및 상기 기준 수평면(R) 사이의 각도(θ2)는 약 +3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하우징(400)의 다른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하우징(400)의 다른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제 2 측벽(42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제 3 구동부(730)와 서로 마주본다. 또한,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제 3 구동부(730)와 서로 이격되며, 대향된다.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제 3 구동부(730)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 사이의 간격(d2)은 약 50㎛ 내지 약 1000㎛, 더 자세하게, 약 10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상기 제 4 구동부(740)의 중심은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중심과 대응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4 구동부(740)의 중심은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중심으로부터 약 ±20 % 벗어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4 구동부(740)의 코일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구동부(740)의 코일은 상기 회로기판(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 사이에 척력 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4 구동부(740)가 상기 제 3 구동부(730)에 척력 또는 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3 구동부(730)에, 인력 또는 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약 -20° 내지 약 -70°의 각도로, 상기 제 3 구동부(730)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약 -30° 내지 약 -50°의 각도로, 상기 제 3 구동부(730)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상 측방향으로, 동시에, 상기 제 3 구동부(730)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4 구동부(740)는 상기 제 3 구동부(730)에 측하방으로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의 힘의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이다.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의 힘의 방향이 상기 제 2 방향이도록 상기 제 4 구동부(740)의 코일은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구동부(740)의 코일은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자화 방향에 따라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5 구동부(750)는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5 구동부(75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내측에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5 구동부(75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내측면의 외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5 구동부(750)는 상기 외곽부(BA)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제 2 면(102)과 마주보는 제 4 면(1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면(103)과 상기 제 4 면(104)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사이의 제 3 모서리부(3E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5 구동부(750)는 상기 제 3 모서리부(3EA)에 배치되고,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어느 한 면은 상기 제 3 면(103)과 접한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일부가 상기 제 3 모서리부(3E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일부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제 3 모서리부(3EA)에,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다른 부분은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5 구동부(750)가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도, 상기 제 5 구동부(750)는 상기 제 3 모서리부(3EA)와 대응되는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5 구동부(750)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5 구동부(750)는 자성체로 이루어 줄 수 있다. 상기 제 5 구동부(750)는 산화철, 아철산 코발트 또는 페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5 구동부(75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와 마주보는 면(751)을 포함하고, 상기 마주보는 면(751)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주보는 면(751)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외곽면을 따라 오목한 면일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5 구동부(750)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5 구동부(750)는 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5 구동부(750)가 상기 외곽부(BA)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렌즈 배럴(100)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제 5 구동부(750)에 따른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여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자화 방향은 상기 광축(OA)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자화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자화 방향은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자화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상 측방향 사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자화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상 측방향이 형성하는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자화 방향 및 상기 기준 수평면(R) 사이의 각도(θ3)는 약 -20° 내지 약 -7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자화 방향 및 상기 기준 수평면(R) 사이의 각도(θ3)는 약 -3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상기 하우징(400)의 또 다른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상기 하우징(400)의 또 다른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상기 제 3 측벽(43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상기 제 5 구동부(750)와 서로 마주본다. 또한,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제 5 구동부(750)와 서로 이격되며, 대향된다.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상기 제 5 구동부(750)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 5 구동부(750) 및 상기 제 6 구동부(760) 사이의 간격(d3)은 약 50㎛ 내지 약 1000㎛, 더 자세하게, 약 10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상기 제 6 구동부(760)의 중심은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중심과 대응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6 구동부(760)의 중심은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중심으로부터 약 ±20 % 벗어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6 구동부(760)의 코일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구동부(760)의 코일은 상기 회로기판(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5 구동부(750) 및 상기 제 6 구동부(760) 사이에 척력 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6 구동부(760)가 상기 제 5 구동부(750)에 척력 또는 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5 구동부(750)에, 인력 또는 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약 +20° 내지 약 +70°의 각도로, 상기 제 5 구동부(750)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약 +30° 내지 약 +50°의 각도로, 상기 제 5 구동부(750)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물체 측방향으로, 동시에, 상기 제 5 구동부(750)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6 구동부(760)는 상기 제 5 구동부(750)에 측상방으로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 5 구동부(750) 및 상기 제 6 구동부(760)의 힘의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대응된다. 상기 제 5 구동부(750) 및 상기 제 6 구동부(760)의 힘의 방향이 상기 제 1 방향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 6 구동부(760)의 코일은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구동부(760)의 코일은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자화 방향에 따라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구동부(710) 및 상기 제 2 구동부(720)의 힘의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과 대응되고, 상기 제 1 구동부(710) 및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자화 방향은 서로 반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 구동부(710) 및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모양에 따라 자화 방향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 5 구동부(750)의 모양이 상기 제 1 구동부(710)의 모양과 상기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180 °대칭되기 때문에 자화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구동부(720) 및 제 6 구동부(760)의 코일은 동일한 방향으로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제 7 구동부(770)는 상기 렌즈 배럴(100)에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7 구동부(77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내측에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7 구동부(77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내측면의 외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7 구동부(770)는 상기 외곽부(BA)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4 면(104)과 상기 제 1 면(101)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사이의 제 4 모서리부(4EA)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7 구동부(770)는 상기 제 4 모서리부(4EA)에 배치되고,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어느 한 면은 상기 제 4 면(104)과 접한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일부가 상기 제 4 모서리부(4EA)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일부는 상기 렌즈 배럴(100)의 제 4 모서리부(4EA)에,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다른 부분은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7 구동부(770)가 상기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도, 상기 제 7 구동부(770)는 상기 제 4 모서리부(4EA)와 대응되는 렌즈 배럴(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7 구동부(770)는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7 구동부(770)는 자성체로 이루어 줄 수 있다. 상기 제 7 구동부(770)는 산화철, 아철산 코발트 또는 페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7 구동부(770)는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와 마주보는 면(771)을 포함하고, 상기 마주보는 면(771)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주보는 면(771)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외곽면을 따라 오목한 면일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7 구동부(770)는 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7 구동부(770)는 오각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7 구동부(770)가 상기 외곽부(BA)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렌즈 배럴(100)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제 7 구동부(770)에 따른 두께 증가를 최소화하여 카메라 모듈의 전체적인 부피를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자화 방향은 상기 광축(OA)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자화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자화 방향은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자화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물체 측방향 사이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자화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물체 측방향이 형성하는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자화 방향 및 상기 기준 수평면(R) 사이의 각도(θ4)는 약 +20° 내지 약 +7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자화 방향 및 상기 기준 수평면(R) 사이의 각도(θ4)는 약 +3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상기 하우징(400)에 고정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상기 하우징(400)의 다른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상기 하우징(400)의 다른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상기 제 4 측벽(44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상기 제 7 구동부(770)와 서로 마주본다. 또한,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제 7 구동부(770)와 서로 이격되며, 대향된다.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상기 제 7 구동부(770)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 7 구동부(770) 및 상기 제 8 구동부(780) 사이의 간격(d4)은 약 50㎛ 내지 약 1000㎛, 더 자세하게, 약 10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상기 제 8 구동부(780)의 중심은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중심과 대응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8 구동부(780)의 중심은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중심으로부터 약 ±20 % 벗어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8 구동부(780)의 코일은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8 구동부(780)의 코일은 상기 회로기판(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7 구동부(770) 및 상기 제 8 구동부(780) 사이에 척력 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8 구동부(780)가 상기 제 7 구동부(770)에 척력 또는 인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7 구동부(770)에, 인력 또는 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약 -20° 내지 약 -70°의 각도로, 상기 제 7 구동부(770)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약 -30° 내지 약 -50°의 각도로, 상기 제 7 구동부(770)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상기 제 2 방향 및 상기 상 측방향으로, 동시에, 상기 제 7 구동부(770)에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8 구동부(780)는 상기 제 7 구동부(770)에 측하방으로 자기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 7 구동부(770) 및 상기 제 8 구동부(780)의 힘의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과 대응된다. 상기 제 7 구동부(770) 및 상기 제 8 구동부(780)의 힘의 방향이 상기 제 2 방향과 대응되도록 상기 제 8 구동부(780)의 코일은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8 구동부(780)의 코일은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자화 방향에 따라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4 구동부(740)의 힘의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과 대응되고,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자화 방향은 서로 반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3 구동부(730) 및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모양에 따라 자화 방향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 7 구동부(770)의 모양이 상기 제 3 구동부(730)의 모양과 상기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180 °대칭되기 때문에 자화 방향은 서로 반대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4 구동부(740) 및 상기 제 8 구동부(780)의 코일은 동일한 방향으로 감겨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하단 코일(900)은 상기 렌즈 배럴(100)의 하단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단 코일(900)은 상기 외곽부(BA)와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단 코일(900)은 상기 제 1 구동부(710), 제 3 구동부(730), 제 5 구동부(750) 및 제 7 구동부(770)와 서로 마주본다. 또한, 상기 하단 코일(900)은 상기 제 1 구동부(710), 제 3 구동부(730), 제 5 구동부(750) 및 제 7 구동부(770)와 서로 이격되며, 대향된다. 상기 하단 코일(900)은 상기 제 1 구동부(710), 제 3 구동부(730), 제 5 구동부(750) 및 제 7 구동부(770)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기 하단 코일(900)과 상기 제 1 구동부(710), 제 3 구동부(730), 제 5 구동부(750) 및 제 7 구동부(770) 사이의 간격(d5)는 약 50㎛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하단 코일(900)과 상기 제 1 구동부(710), 제 3 구동부(730), 제 5 구동부(750) 및 제 7 구동부(770) 사이에 척력 또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하단 코일(900)의 힘의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물체 측방향 또는 상 측방향과 대응된다. 즉, 상기 제 1 구동부(710), 제 3 구동부(730), 제 5 구동부(750) 및 제 7 구동부(770)는 상기 하단 코일(900)에 의해 상기 물체 측방향 또는 상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하단 코일(900)은 상기 물체 측방향 또는 상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감겨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코일(900)은 상기 회로기판(8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코일(900)의 두께는 약 100㎛ 내지 6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 코일(900)의 폭은 약 100㎛ 내지 1000㎛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00)는 상기 물체 측방향, 상기 상 측방향,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대하여,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탄성 부재(300)는 상기 물체 측방향, 상기 상 측방향,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에 대하여, 각각 탄성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렌즈 배럴(100)은 상기 탄성 부재(300)에 의해서, 상기 물체 측방향, 상기 상 측방향,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복원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먼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흔들리는 경우, 흔들림 감지 센서에 의해서, 흔들림이 센싱된다. 이때, 센싱된 흔들림에 대응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710, 720...)는 상기 렌즈 배럴(100)을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 2 구동부(720) 및 상기 제 6 구동부(760)에 인가되는 전압이 각각 조절되어, 상기 흔들림 중, 상기 제 1 방향 성분이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4 구동부(740) 및 상기 제 8 구동부(780)에 인가되는 전압이 각각 조절되어, 상기 흔들림 중, 상기 제 2 방향 성분이 보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흔들림에 의해서, 피사체가 제 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동부(710), 상기 제 2 구동부(720), 상기 제 5 구동부(750) 및 상기 제 6 구동부(760)에 의해서, 상기 렌즈 배럴(100)이 상기 피사체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또한, 흔들림에 의해서, 피사체가 제 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 3 구동부(730), 상기 제 4 구동부(740), 상기 제 7 구동부(770) 및 상기 제 8 구동부(780)에 의해서, 상기 렌즈 배럴(100)이 상기 피사체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의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 1 구동부(710), 상기 제 2 구동부(720), 상기 제 5 구동부(750) 및 상기 제 6 구동부(760)에 각각 척력을 인가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센서부(60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제 3 구동부(730), 상기 제 4 구동부(740), 상기 제 7 구동부(770) 및 상기 제 8 구동부(780)에 각각 척력을 인가하여, 상기 렌즈 어셈블리(200) 및 상기 센서부(600)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자화 방향을 경사지게 하여, 8개의 구동부(710, 720...)들을 사용하여, 흔들림 보정 및 초점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하우징(400)에 대하여 렌즈 배럴(100)을 구동하여 흔들림을 보상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부(710, 720...)는 상기 하우징(400)에 대해서, 상기 렌즈 배럴(100)을 상대 이동시켜서, 흔들림을 보상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상기 기준 수평면(R)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을 자기력 등을 가하여, 상기 렌즈 배럴(100)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3축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좌우 흔들림을 보정하고, 동시에, 초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적은 부품을 사용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4)

  1.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을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렌즈 배럴에 형성되는 제 1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 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렌즈가 배치되는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를 둘러싸는 외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외곽부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하단에 하단 코일이 더 배치되고, 상기 하단 코일은 상기 제 1 구동부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서로 다른 두 면이 만나는 모서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모서리와 상기 렌즈 사이의 모서리부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제 1 면 및 상기 제 1 면과 만나는 제 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면 및 상기 제 2 면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렌즈 사이의 제 1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제 1 모서리부에 배치되
    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렌즈와 마주보는 면을 포함하고, 상기 마주보는 면은 곡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제 2 구동부에 대하여,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기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인력 또는 척력을 인가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제 2 구동부에 자기력을 인가하는 카메라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의 자화 방향은 상기 기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렌즈 및 상기 제 2 구동부 사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자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자성체에 대향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의 일 단면은 오각형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하단 코일 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구동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인 제 1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구동부 및 상기 제 2 구동부의 힘의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인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다른 면에 형성되는 제 3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의 다른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3 구동부에 자기력을 인가하는 제 4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제 1 면과 평행한 제 3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면과 상기 제 3 면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렌즈 사이의 제 2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구동부는 상기 제 2 모서리부에 배치되
    는 카메라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또 다른 면에 형성되는 제 5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의 또 다른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5 구동부에 자기력을 인가하는 제 6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제 2 면과 평행한 제 4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면과 상기 제 4 면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렌즈 사이의 제 3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5 구동부는 상기 제 3 모서리부에 배치되
    는 카메라 모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의 또 다른 면에 형성되는 제 7 구동부; 및
    상기 하우징의 또 다른 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7 구동부에 자기력을 인가하는 제 8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면 및 상기 제 4 면이 만나는 모서리와 상기 렌즈 사이의 제 4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7 구동부는 상기 제 4 모서리부에 배치되
    는 카메라 모듈.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3 구동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인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3 구동부 및 상기 제 4 구동부의 힘의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인 카메라 모듈.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구동부 및 상기 제 6 구동부의 힘의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인 카메라 모듈.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7 구동부 및 상기 제 8 구동부의 힘의 방향은 상기 제 2 방향인 카메라 모듈.
  23.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을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대 이동시키는 다수 개의 구동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제 1 방향 및 상기 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 2 방향이 정의되고,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 중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고, 코일을 포함하는 구동부들의 코일이 감기는 방향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렌즈 배럴의 하단에 하단 코일이 더 배치되고, 상기 하단 코일은 상기 구동부들과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고,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 1 구동부;
    상기 제 1 구동부에 대향하고, 코일을 포함하는 제 2 구동부;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고,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 3 구동부;
    상기 제 3 구동부에 대향하고, 코일을 포함하는 제 4 구동부;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고,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 5 구동부;
    상기 제 5 구동부에 대향하고, 코일을 포함하는 제 6 구동부;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렌즈 배럴을 이동시키고, 자성체를 포함하는 제 7 구동부; 및
    상기 제 7 구동부에 대향하고, 코일을 포함하는 제 8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구동부 및 상기 제 6 구동부의 코일이 감기는 방향이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 4 구동부 및 상기 제 8 구동부의 코일이 감기는 방향이 서로 동일한 카메라 모듈.
KR1020120079579A 2012-07-20 2012-07-20 카메라 모듈 KR101349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579A KR101349473B1 (ko) 2012-07-20 2012-07-20 카메라 모듈
CN201380038376.5A CN104508550B (zh) 2012-07-20 2013-07-05 相机模块
PCT/KR2013/005990 WO2014014222A1 (en) 2012-07-20 2013-07-05 Camera module
US14/415,764 US9467624B2 (en) 2012-07-20 2013-07-05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function of shaking compensation
US15/257,981 US9955079B2 (en) 2012-07-20 2016-09-07 Lens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function of shaking compens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9579A KR101349473B1 (ko) 2012-07-20 2012-07-20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9473B1 true KR101349473B1 (ko) 2014-01-09

Family

ID=4994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9579A KR101349473B1 (ko) 2012-07-20 2012-07-20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467624B2 (ko)
KR (1) KR101349473B1 (ko)
CN (1) CN104508550B (ko)
WO (1) WO20140142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0177A (zh) * 2022-01-19 2022-04-22 广州市佳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超分辨率成像装置及电子产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0797B2 (ja) * 2013-09-17 2016-03-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US9977219B2 (en) 2014-07-11 2018-05-22 Lg Innotek Co., Ltd. Unit for actuating lens,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JP2016224184A (ja) * 2015-05-28 2016-12-28 惠州市大亜湾永昶電子工業有限公司 手振れ補正機能付きレンズ駆動装置
CN106291861B (zh) * 2015-05-29 2019-08-20 磁化电子株式会社 相机透镜模块
US10382698B2 (en) * 2015-09-30 2019-08-13 Apple Inc. Mobile zoom using multiple optical image stabilization cameras
DE102016103965A1 (de) * 2016-03-04 2017-09-07 Connaught Electronics Ltd. Kamera mit einem Gehäuse, einer Leiterplatte und einem haubenartigen, federnden Halteelement,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Kamera
US10269859B2 (en) 2016-04-08 2019-04-23 Tdk Taiwan Corp. Camera module
TWI636313B (zh) * 2016-05-10 2018-09-2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系統
CN106101556B (zh) 2016-07-29 2017-10-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图像合成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8072957B (zh) * 2016-11-14 2022-05-24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驱动机构
JP6883467B2 (ja) * 2017-05-08 2021-06-0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JP6883468B2 (ja) 2017-05-08 2021-06-0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KR102435025B1 (ko) * 2017-09-25 202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른 자기장의 방향을 갖는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90138344A (ko) * 2018-06-05 2019-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렌즈 조립체의 위치에 따라 보정된 신호를 이용하여 조리개를 제어하는 카메라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JP7235558B2 (ja) * 2019-03-28 2023-03-08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WO2020243853A1 (zh) * 2019-06-01 2020-12-10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一种镜头透镜模组
US11388322B2 (en) 2020-02-07 2022-07-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having rotatable lens module and frame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147588A (ko) * 2020-05-29 2021-1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장치
CN216160896U (zh) * 2020-06-23 2022-04-01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镜头模组
KR102494326B1 (ko) * 2020-12-07 2023-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331A (ko) * 2009-03-31 2010-10-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1069619B1 (ko) * 2010-06-16 2011-10-05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손떨림 보정 카메라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4366B (zh) * 2009-09-02 2013-11-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影像稳定模组、取像模组及电子装置
US8866919B2 (en) * 2009-11-06 2014-10-21 Samsung Techwin Co., Ltd. Shake correction module,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amera module
CN102118552B (zh) * 2009-12-30 2013-11-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TWI461825B (zh) * 2010-08-20 2014-11-21 Hon Hai Prec Ind Co Ltd 影像穩定模組及成像裝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9331A (ko) * 2009-03-31 2010-10-0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흔들림 보정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1069619B1 (ko) * 2010-06-16 2011-10-05 주식회사 하이소닉 소형 손떨림 보정 카메라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90177A (zh) * 2022-01-19 2022-04-22 广州市佳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超分辨率成像装置及电子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95459A1 (en) 2015-07-09
US20160381295A1 (en) 2016-12-29
US9467624B2 (en) 2016-10-11
US9955079B2 (en) 2018-04-24
WO2014014222A1 (en) 2014-01-23
CN104508550B (zh) 2018-06-01
CN104508550A (zh)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473B1 (ko) 카메라 모듈
KR101349524B1 (ko) 카메라 모듈
JP722919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109154712B (zh) 透镜驱动设备、摄像机模块和便携式设备
US12013589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ame
KR20130034542A (ko) 카메라 모듈
KR101895965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137582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기술 기기
KR101338562B1 (ko) 카메라 모듈
KR101349567B1 (ko) 카메라 모듈
KR102072775B1 (ko) 카메라 모듈
KR20140007998A (ko) 카메라 모듈
KR20200109517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
KR20140023550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