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516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516B1
KR101554516B1 KR1020080040920A KR20080040920A KR101554516B1 KR 101554516 B1 KR101554516 B1 KR 101554516B1 KR 1020080040920 A KR1020080040920 A KR 1020080040920A KR 20080040920 A KR20080040920 A KR 20080040920A KR 101554516 B1 KR101554516 B1 KR 101554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print medium
cleaning unit
sens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001A (ko
Inventor
강래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0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516B1/ko
Priority to US12/429,217 priority patent/US8855520B2/en
Priority to CN200910136072.8A priority patent/CN101571688B/zh
Publication of KR2009011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33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by measuring the photoconductor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or the characteristics of an image on the photoconductor
    • G03G15/5041Detecting a toner image, e.g. density, toner coverage, using a test patch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29Image density detection
    • G03G2215/00033Image density detection on recording member
    • G03G2215/00037Toner image detection
    • G03G2215/00042Optical det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029Image density detection
    • G03G2215/00033Image density detection on recording member
    • G03G2215/00037Toner image detection
    • G03G2215/0005Toner image detection without production of a specific test patc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는, 센서; 및 이동하는 인쇄매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센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매체가 이송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작동하며 센서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동시에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NSING UNIT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센서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입력된 화상 신호를 인쇄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화상형성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감광체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현상제화상이 나타나도록 한다. 감광체에 나타난 현상제화상은 인쇄매체에 바로 전사되거나 중간전사체를 거쳐 인쇄매체에 전사되고, 인쇄매체로 전사된 화상은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매체에 고정된다. 한편, 일련의 인쇄과정이 진행됨과 동시에 다음의 인쇄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잔류된 현상제가 묻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감광체에 잔류한 현상제를 제거하는 잔류현상제제거과정을 거친다.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현상제화상이 나타나도록 함 에 있어서, 감광체에 현상제를 일정하게 공급하지 못하면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에 현상제가 공급되지 못하거나,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 외의 부분에 현상제가 부착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여 인쇄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감광체에 부착될 현상제층을 원하는 두께로 일정하게 유지하여야 함은 일정한 인쇄품질의 유지와 현상제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현상제가 감광체에 부착되는 정도는 현상제 자체의 물리, 화학적 성질 및 현상기에 마련된 규제블레이드의 장착 위치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
감광체에 현상제화상의 농도가 적정한 정도인가 여부 또는 현상제가 불균일한 층을 이루는 백그라운드 현상이 발생하였는가 여부 등은 감광체의 근방에 마련된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는 현상제의 농도가 적절한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감광체 근방에 마련되므로, 센서는 감광체에 부착되지 못하고 비산되는 현상제에 노출된다. 또한, 센서에 인접하여 인쇄매체의 이송경로가 마련된 경우에 인쇄매체에서 분리된 지분(紙粉)이 센서에 적층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센서가 현상제 등에 의하여 오염되면, 센서의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므로 오염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센서에 적층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주기적으로 센서를 세척하여 센서의 기능을 유지하거나, 복잡한 구조의 클리닝장치를 부가하여 센서에 적층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의 불편이 가중되거나 화상형성장치 가격상승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구동부 등의 구성이 없이도 인쇄매체가 이송됨에 따라서 자연스럽게 작동하며 센서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리닝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는 센서; 및 이동하는 인쇄매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센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센싱장치에 의하여서 달성된다.
상기 클리닝유닛은, 이동하는 인쇄매체와 접촉하여 회동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작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센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재는, 이동하는 인쇄매체와 접촉하는 인쇄매체접촉부와, 상기 인쇄매체접촉부에서 연장된 힌지암과, 상기 힌지암의 끝단에 마련된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작동부재를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리닝부재의 일측은 상기 센서의 센싱부와 접촉하고, 상기 작동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클리닝부재의 일측이 상기 센싱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클리닝부재는, 후로킹(Flocking) 처리된 섬유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 상기 이송경로의 근처에 배치되는 센서; 및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의 이송력에 의하여 초기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센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하여서도 달성된다.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클리닝유닛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초기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클리닝유닛에 마련된 인쇄매체접촉부가 이송되는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하며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리닝유닛은 클리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의 센싱부와 접촉하며 클리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경로; 상기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는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근처에 배치되는 광센서; 및 상기 이송경로상에 마련되되, 이송되는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하여 회동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가 형성된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하여서도 달성된다.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작동부재를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센서는, 상기 감광체에 부착된 현상제나 상기 인쇄매체를 지나는 인쇄매체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는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인쇄매체의 이송력에 의하여 센서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화상형성장치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는 클리닝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는 인쇄매체(P)가 이송되는 이송경로(R, 실선으로 표시)와, 이송경로(R)의 근처에 마련된 센싱장치(50)를 포함한다
이송경로(R)는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용지인 인쇄매체(P)가 이송되는 경로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쇄매체(P)는 급지유닛(80)의 급지트레이(82)에 적재되어 있다. 인쇄가 진행되면 픽업롤러(84)가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고, 픽업된 인쇄매체(P)는 이송경로(R)를 따라 현상유닛(90)으로 공급된다. 현상유닛(90)은 노광유닛(120)에 의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20)와 전사롤러(92) 사이에 마련된 이송경로(R)를 통하여 인쇄매체(P)를 이송시킨다. 감광체(20)와 전사롤러(92) 사이를 통과하며 감광체(20)에 부착되어있던 현상제(D)가 인쇄매체(P)에 전사되고, 현상제(D)가 전사된 인쇄매체(P)는 정착유닛(100)으로 공급된다. 정착유닛(100)의 가열롤러(102)와 가압롤러(104) 사이에 마련된 이송경로(R)를 통하여 이동되면서 현상제(D)가 인쇄매체(P)에 정착된다. 정착유닛(100)을 통과한 인쇄매체(P)는 배지유닛(110)의 배지롤러(112) 사이에 마련된 이송경로(R)를 통하여 화상형성장치(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급지유닛(80)에서 이송되기 시작한 인쇄매체(P)가 현상유닛(90)과, 정착유닛(100)과, 배지유닛(110)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기까지 이어지는 경로가 이송경로(R)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명에서는 이송경로(R)가 1개 마련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송경로(R)가 2개 이상 마련되어 2개 이상의 이송경로(R)를 따라 인쇄매체(P)가 전후진하며 인쇄매체(P)의 앞뒷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도 있다.
센싱장치(50)는 이송경로(R) 상의 현상유닛(90)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감광체(20)의 맞은편인 전사롤러(92)의 하단에 마련된다. 센싱장치(50)는 감광체(20)에 부착된 현상제(D)의 농도, 백그라운드 현상의 발생여부, 이송경로(R)를 통한 인쇄매체(P)의 통과여부 등을 감지한다. 나아가, 센싱장치(50)에는 비산된 현상제(D) 내지는 이송경로(R)를 통과하는 과정 중 인쇄매체(P)에서 떨어진 지분(紙粉)에 의하여 오염된 부분을 클리닝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센싱장치(5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센싱장치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센싱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장치(50)에는 광센서(30)와, 클리닝유닛(40)이 마련된다.
광센서(30)는 적외선 등을 감광체(20) 방향으로 송신한 후 되돌아온 신호를 감지하여 현상제(도 1의 D)가 감광체(20)에 적절히 부착되었는가 여부 등을 감지한다. 감지된 신호는 연결케이블(미도시)를 통하여 제어부(미도시)로 송신되어 화상형성장치(도 1의 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초자료로 사용된다. 광센서(30)가 감광 체(20)의 하단측에 위치되므로, 광센서(30)에 마련된 센싱부(32)는 감광체(20)를 향하여 광센서(30)의 상방에 마련된다.
센싱부(32)는 실질적으로 감광체(20)에 부착된 현상제(도 1의 D) 등을 감지하는 부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센서(30)가 감광체(20)의 하단에 위치하므로, 감광체(20)의 표면을 감지하여야 하는 센싱부(32)는 상방에 위치한 감광체(20)를 향하여 마련된다. 따라서 센싱부(32)에는 비산된 현상제(도 2의 D)와 같은 이물질이 적층되기 쉬운 상황에 노출된다. 나아가, 광센서(30)를 포함하는 센싱장치(50)가 이송경로(R) 상에 마련되므로, 인쇄매체(P)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떨어진 지분(紙粉)에 의하여 센싱부(32)가 오염되기 쉽다. 센싱부(32)에 각종 오염물질이 적층되어 오염되면, 감광체(20) 표면 상태의 원활한 센싱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클리닝유닛(40)이 마련된다.
클리닝유닛(40)은 인쇄매체(P)의 이송경로(R) 상에 마련되며, 인쇄매체(P)의 이송력에 의하여 작동하여 광센서(30)의 센싱부(32)에 적층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클리닝유닛(40)은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인쇄매체(P)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인쇄매체(P)와 접촉하며 작동하므로 단순한 구조임에도 효과적으로 센싱부(32)를 클리닝한다. 클리닝유닛(40)의 각 구성부는 홀더(42)에 부착되며, 가이드리브(44)가 마련된 홀더(42)는 화상형성장치(도 1의 10)에 고정된다. 클리닝유닛(40)에는 작동부재(60)와, 작동부재(60)에 설치되어 작동부재(60)가 회동함에 따라 광센서(30)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70)가 마련된다.
작동부재(60)는 이송되는 인쇄매체(P)와 접촉하여 회동하는 부분이다. 작동부재(60)가 회동하면 이에 부착된 클리닝부재(70)가 함께 회동하며 광센서(30)의 센싱부(32)에 적층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작동부재(60)는 인쇄매체(P)와 접촉되면 광센서(30) 방향으로 회동하고, 인쇄매체(P)가 통과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최초위치로 복귀된다. 작동부재(60)는 인쇄매체접촉부(62)와, 인쇄매체접촉부(62)에서 연장된 힌지암(64)과, 힌지암(64)의 끝단에 마련된 힌지축(66)과, 작동부(60)를 복귀시키는 토션스프링(68)을 포함한다.
인쇄매체접촉부(62)는 이송경로(R)를 따라서 이송되던 인쇄매체(P)가 접촉되는 부분이다. 인쇄매체접촉부(62)는 작동부재(60)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이송경로(R)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된다. 따라서 이송경로(R)를 따라 이동하던 인쇄매체(P)는 돌출된 인쇄매체접촉부(62)와 접촉된다. 인쇄매체접촉부(62)와 접촉된 인쇄매체(P)는 인쇄매체접촉부(62)를 광센서(30) 방향으로 밀어내며 이송경로(R)를 따라 계속 이동된다. 인쇄매체접촉부(62)는 힌지암(64)에 연결된다.
힌지암(64)은 인쇄매체접촉부(62)와 힌지축(66)을 연결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힌지암(64)에는 토션스프링(68)의 일끝단(67)이 지지된다.
힌지축(66)은 인쇄매체접촉부(62)로부터 전달된 힘에 의하여 회동하거나, 회동된 작동부재(60)가 토션스프링(68)의 탄성력에 의하여 최초위치로 복귀할 때 회동축으로의 역할을 한다. 힌지축(66)은 홀더(42)에 마련된 축결합부(미도시)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힌지축(66)을 중심으로 작동부재(60)가 회동된다.
토션스프링(68)은 힌지축(66)에 결합된다. 토션스프링(68)의 일끝단(67)은 힌지암(64)에 지지되고, 타끝단(69)은 광선서(30)에 마련된 결합공(39)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토션스프링(68)은 인쇄매체(P)에 의하여 작동부재(60)가 회동할 때 변형되며 탄성력이 축척되고, 인쇄매체(P)가 통과되어 외력이 사라지면 축척된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부재(60)를 최초위치로 회동시킨다.
클리닝부재(70)는 작동부재(60)에 설치되어 작동부재(60)가 회동함에 따라 광센서(30)의 센싱부(32)를 클리닝한다. 클리닝부재(70)는 일측이 작동부재(60)에 결합되며, 타측은 센싱부(32)에 맞닿아 있다. 센싱부(32)에 맞닿은 클리닝부재(70)는 인쇄매체(P)가 통과함에 따른 이송력에 의하여 작동부재(60)가 회동하는 경우에 센싱부(32)의 상단에 쌓여 있는 오염물질을 광센서(30)의 외부로 밀어낸다. 또한, 인쇄매체(P)가 통과한 후에 토션스프링(68)에 의하여 최초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도 센싱부(32)에 클리닝부재(70)가 맞닿아 이동하므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클리닝부재(70)는 후로킹(Flocking) 처리된 섬유재질로 마련된다. 후로킹이란 미세한 입자를 원단에 분사시키는 처리과정을 의미한다. 후로킹 처리된 클리닝부재(70)는 표면의 미세한 입자에 의하여 오염물질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의 작용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센싱장치가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센싱장치가 작동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매체(P)가 접근하기 전에는 토션스프 링(68)의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부재(60)가 초기위치에 대기된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한 감광체(도 2의 20)의 표면을 센싱하기 위하여서 광센서(30)의 센싱부(32)는 상측을 바라보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센싱부(32)에는 각종 오염물질(G)이 적층될 수 있다.
이송경로(R)를 따라 이송되던 인쇄매체(P)가 접근하여 작동부재(60)의 인쇄매체접촉부(62)와 접촉하면, 인쇄매체(P)의 이송력에 의하여 작동부재(60)가 시계방향(A)으로 회동하며 작동위치로 이동된다.
작동부재(60)가 작동위치로 이동되면서 센싱부(32)와 맞닿아 있던 클리닝부재(70)가 센싱부(32)에 적층되어 있던 오염물질(G)을 센싱부(32) 외부로 밀어낸다.
인쇄매체(P)가 이송경로(R)를 따라 계속 이동하여 인쇄매체접촉부(62)와 인쇄매체(P) 사이의 접촉이 종료되면, 토션스프링(68)의 탄성력에 의하여 작동부재(60)가 반시계방향(A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이동된다. 작동부재(60)가 초기위치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도 클리닝부재(70)는 센싱부(32)와 접촉이 유지된 상태로 이동하여, 센싱부(32)에 잔존하고 있던 오염물질(G)을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작동부재가 토션스프링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작동부재의 위치가 기울어져 있는 경우에는 자중(自重)에 의하여 초기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인쇄매체가 작동부재의 끝단에 위치한 인쇄매체접촉부에 접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인쇄매체가 작동부재와 접촉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센싱장치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센싱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센싱장치가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센싱장치가 작동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화상형성장치 20 : 감광체
30 : 광센서 40 : 클리닝유닛
50 : 센싱장치 60 : 작동부재
70 : 클리닝부재 80 : 급지유닛
90 : 현상유닛 100 : 정착유닛
110 : 배지유닛 120 : 노광유닛

Claims (20)

  1. 감광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센싱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체를 향하도록 마련되는 센싱부를 갖고, 상기 감광체의 현상제를 감지하는 센서;
    이동하는 인쇄매체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센싱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센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유닛은,
    이동하는 인쇄매체와 접촉하여 회동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센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작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센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센싱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이동하는 인쇄매체와 접촉하는 인쇄매체접촉부와,
    상기 인쇄매체접촉부에서 연장된 힌지암과,
    상기 힌지암의 끝단에 마련된 힌지축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센싱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작동부재를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센싱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의 일측은 상기 센서의 센싱부와 접촉하고,
    상기 작동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클리닝부재의 일측이 상기 센싱부를 따라 이동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센싱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부재는,
    후로킹(Flocking) 처리된 섬유재질로 마련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센싱장치.
  8.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
    상기 감광체와 인접하여 인쇄매체가 이송되는 이송경로;
    상기 감광체를 향하도록 마련되는 센싱부를 갖고, 상기 이송경로의 근처에 배치되어 상기 감광체의 현상제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인쇄매체의 이송력에 의하여 초기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센싱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클리닝유닛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초기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클리닝유닛에 마련된 인쇄매체접촉부가 이송되는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하며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유닛은 클리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클리닝부재는,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작동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의 센싱부와 접촉하며 클리닝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인쇄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경로;
    상기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는 감광체;
    상기 감광체의 현상제를 감지하도록 상기 감광체를 향하는 센싱부가 마련되고, 상기 감광체의 근처에 배치되는 광센서; 및
    상기 이송경로상에 마련되되, 이송되는 상기 인쇄매체와 접촉하여 회동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가 회동함에 따라 상기 센싱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가 형성된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작동부재를 최초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감광체에 부착된 현상제나 상기 이송경로를 지나는 인쇄매체를 감지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이미지를 매체에 전사시키는 감광체와,
    상기 감광체의 현상제를 감지하도록 상기 감광체를 향하는 센싱부가 마련되고, 상기 감광체에 배치되는 현상제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매체의 움직임(movement)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센싱부를 클리닝하는 클리닝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매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매체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광센서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매체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부착되어 상기 광센서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돌출되는 클리닝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유닛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매체의 움직임(movement)의 경로상에 배치되는 인쇄매체접촉부를 갖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매체의 이송경로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매체의 폭 보다 더 짧은 길이를 가지는 인쇄매체접촉부를 구비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 및 상기 클리닝유닛은 상기 매체의 이송경로에 대하여 상기 감광체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80040920A 2008-04-30 2008-04-3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 KR101554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920A KR101554516B1 (ko) 2008-04-30 2008-04-3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
US12/429,217 US8855520B2 (en) 2008-04-30 2009-04-24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nsing device thereof
CN200910136072.8A CN101571688B (zh) 2008-04-30 2009-04-27 成像设备及其检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920A KR101554516B1 (ko) 2008-04-30 2008-04-3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001A KR20090115001A (ko) 2009-11-04
KR101554516B1 true KR101554516B1 (ko) 2015-09-21

Family

ID=4123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920A KR101554516B1 (ko) 2008-04-30 2008-04-30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55520B2 (ko)
KR (1) KR101554516B1 (ko)
CN (1) CN1015716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207B1 (ko) * 2011-07-22 2018-01-1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13174755A (ja) * 2012-02-27 2013-09-05 Ricoh Co Ltd 濃度センサ清掃機構付き電子写真記録装置
KR101887652B1 (ko) * 2012-04-25 2018-08-13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5962191B2 (ja) * 2012-05-08 2016-08-0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20827B2 (ja) * 2013-01-21 2015-11-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清掃部材、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1034335B2 (en) 2016-07-07 2021-06-15 Nio Usa, Inc. Low-profile imaging system with enhanced viewing angles
US10699305B2 (en) * 2016-11-21 2020-06-30 Nio Usa, Inc. Smart refill assistant for electric vehic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5027A1 (en) 2003-10-31 2005-05-05 Kyocera Mita Corporation Sensor cleaning mechanism for image forming device
KR100565085B1 (ko) 2004-10-12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1192A (en) 1990-12-17 1991-10-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igh density connector
JP2003243104A (ja) 2002-02-20 2003-08-29 Seiko Epson Corp コネクタ、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975821B2 (en) * 2002-05-07 2005-12-13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275117A (ja) * 2004-03-25 2005-10-06 Seiko Epson Corp 画像形成装置
US7593683B2 (en) * 2004-10-12 2009-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Paper arranging devic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JP2006215203A (ja) * 2005-02-02 2006-08-17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95027A1 (en) 2003-10-31 2005-05-05 Kyocera Mita Corporation Sensor cleaning mechanism for image forming device
KR100565085B1 (ko) 2004-10-12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정렬(整列)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55520B2 (en) 2014-10-07
US20090274478A1 (en) 2009-11-05
CN101571688B (zh) 2014-09-17
CN101571688A (zh) 2009-11-04
KR20090115001A (ko) 200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516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센싱장치
US5797063A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leaning device for transfer material conveyor belt
US7735826B2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5083061B2 (ja) 画像形成装置
US2008029887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10030890A (ko) 화상형성장치
KR100453061B1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060809B2 (ja) 画像形成装置
JP5989244B2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93332B1 (ko) 화상형성장치
JP5717285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画像形成装置
JP2004307107A (ja) 用紙トレイ、ならびにそれを備える自動用紙送り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48402B2 (ja) 転写装置及び該転写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338055B2 (ja) 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3668711B2 (ja) 画像形成装置
JP4289095B2 (ja) 画像形成装置
JP5401418B2 (ja) 画像形成装置
JP5303942B2 (ja) 記録媒体搬送装置、転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200391966A1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KR101043393B1 (ko) 화상형성장치
JPH063878A (ja) 電子写真装置
JPH06107355A (ja) 画像形成装置
JP2742435B2 (ja) クリーニングユニット
JP4654630B2 (ja) 画像形成装置
JP3338166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