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958B1 -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958B1
KR101548958B1 KR1020080091640A KR20080091640A KR101548958B1 KR 101548958 B1 KR101548958 B1 KR 101548958B1 KR 1020080091640 A KR1020080091640 A KR 1020080091640A KR 20080091640 A KR20080091640 A KR 20080091640A KR 101548958 B1 KR101548958 B1 KR 101548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pplication
delete delete
displayed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2660A (ko
Inventor
서금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1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958B1/ko
Priority to US12/559,554 priority patent/US20100066698A1/en
Priority to EP09170457A priority patent/EP2166437A3/en
Priority to CN200910171907.3A priority patent/CN101676853B/zh
Publication of KR20100032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2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00
    • G06F2209/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9/48
    • G06F2209/482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을 통해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 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태스킹 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따라 서브 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서브 스크린에 표시될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이전에 실행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메인 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치스크린, 드래그, 더블클릭, 멀티태스킹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A method for operating control in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Multitasking) 실행 할 때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이동통신 및 정보 산업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음성통화를 기본 기능으로 하여 다양한 기능을 가진 휴대단말기가 잇달아 출시되고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동영상 재생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게임 서비스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서비스 등의 다양한 컨텐츠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는 기능이 대폭 강화된 휴대단말기는 시각 정보와 민감한 현대인들의 기호를 충족시키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역시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하고 있다.
다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기는 내부의 멀티프로세 서(Multiprocessor)나 소프트웨어의 지원 여부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휴대단말기에서 제공 가능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 여기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멀티태스킹 할 때, 휴대단말기는 사용자 설정에 의해 어플리케이션들을 메인(Main) 디스플레이 장치에 모두 표시하거나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와 서브(Sub) 디스플레이 장치에 나누어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을 멀티태스킹 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터치 입력신호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 장치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이 멀티태스킹 되는 화면의 터치 입력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화면에 나누어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 하는 과정과, 상기 멀티태스킹 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따라 서브 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서브 스크린에 표시될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이전에 실행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메인 스크린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 하여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멀티태스킹 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신호에 따라 서브 스크린에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이 서브 스크린에 표시될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이전에 실행되는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메인 스크린에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는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멀티태스킹 하는 경우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좀 더 편리하고 개선된 멀티태스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단말기,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단말기,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단말기, 스마트폰(Smart Phone)단말기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단말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 및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예 따른 휴대단말기는 제어부(100), 표시부(110), 입력부(120), 저장부(130) 및 무선통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듀얼 스크린 처리부(102)를 포함하고, 표시부(110)는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을 포함한다.
표시부(110)는 휴대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동작상태, 동작결과 및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0)는 휴대단말기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표시부(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10)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표시부(110)는 입력부(12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10)는 터치스크린의 터치 패널(Touch panel)이 눌려진 위치에 해당하는 전압 또는 전류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정하는 명령 또는 그래픽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터치패널, 액정패널, 백라이트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터치패널로부터의 신호를 제어부(100)로 공급하는 신호선과, 액정 패널의 하부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액정패널 구동부에 전기적 신호 를 인가하도록 하는 TCP(Tape Carrier Package)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표시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경우를 대표 예로 설명하지만,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외부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 신호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으로는 문자 메시지 수신이나 음성통화 착신 화면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는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멀티태스킹 하는 경우, 먼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표시하고, 나중에 실행 된 어플리케이션을 상위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표시부(100)는 먼저 실행 중인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모두 화면의 백그라운드에 표시하도록 한다.
표시부(110)는 다수 개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표시부(110)는 항상 활성화 되어 휴대단말기의 여러 정보를 표시하는 메인 스크린(112)과 평소에는 터치 키패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다가 터치 입력신호에 따라 활성화 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서브 스크린(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10)는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을 멀티태스킹 할 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하나의 화면을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실행 중에 입력되는 터치 신 호를 제어부(100)로부터 전달 받는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표시부(110)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로 드래그 신호와 더블클릭 신호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터치 신호는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입력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신호는 드래그 신호와 더블클릭 신호뿐 만이 아니라 플릭(Flick) 신호, 플릿(Flit) 신호 및 스윙(Swing) 신호 등의 다양한 입력을 포함 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11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화면에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를 제어부(100)로부터 전달 받으면, 입력된 드래그 신호에 따라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스크린(114)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1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화면에 입력되는 더블클릭 신호를 제어부(100)로부터 전달 받으면,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 후, 분할된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어플리케이션을 축소하여 표시한다.
메인 스크린(112)은 사용자 요청이나 외부의 요청 신호에 의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메인 스크린(112)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면, 즉, 어플리케이션들을 멀티태스킹 할 때, 이미 실행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백그라운드로 표시한다.이 때, 메인 스크린(112)에는 멀티태스킹 실행되는 먼저 실행 중인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모두 화면의 백그라운드에 표시한다.
메인 스크린(112)은 멀티태스킹 실행 중에 드래그 신호가 전달되면, 드래그 신호에 따라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스크린(114)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서브 스크린(114)은 휴대단말기의 형태에 따라 하나의 독립된 표시장치이거나, 하나의 표시장치에서 분할된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서브 스크린(114)은 메인 스크린(112)에서 전달되어지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즉, 서브 스크린(114)은 드래그 입력신호에 따라 메인 스크린(112)에 멀티태스킹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하여 표시한다.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 등을 입력하는 다수의 입력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이 때, 기능키들에는 방향키, 사이드 키 및 설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입력부(120)는 표시부(11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키의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특히, 입력부(120)는 멀티태스킹 실행 중에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여기서, 터치 신호에는 드래그 신호, 더블클릭 신호, 플릭 신호, 플릿 신호 및 스윙 신호 등의 입력 신호가 포함 될 수 있다. 이 때, 터치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설정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듀얼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휴대단말기에서 표시부(11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위치를 이동하기 위한 신호로 드래그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 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단말기를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터치신호에 실행 프로그램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한 멀티태스킹과 관련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처리를 위한 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무선통신부(140)는 휴대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또한, 무선통신부(14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무선통신부(140)는 해당 기지국과의 통신이 필요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이나 무선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 등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의 멀티태스킹 실행 요청에 따라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고, 이를 표시부(1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멀티태스킹 하는 경우, 먼저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백그라운드로 표시하고, 나중에 실행 된 어플리케이션을 상위 화면에 표시하도록 표시 부(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먼저 실행 중인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모두 화면의 백그라운드에 표시하도록 한다.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실행 중에 발생하는 터치신호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들을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터치신호로서 드래그 신호, 더블클릭 신호, 플릭 신호, 플릿 신호 및 스윙 신호 등의 신호를 표시부(11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대기 모드일 경우, 서브 스크린(112)의 온/오프(On/Off)시간 및 밝기 등과 같은 동작을 설정에 따라 표시하도록 표시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기 설정된(Default) 밝기를 낼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다수 개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실행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스크린(114)에 표시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다수 개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실행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스크린(112)에 표시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서브 스크린(112)에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실행 화면에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드래그 신호에 따라 메인 스크린(122)에 표시된 어플 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에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스크린(114)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입력신호를 감지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메인 스크린(112)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종료하고,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스크린(112)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종료한다.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입력되는 드래그 터치신호에 따라 서브 스크린(114)의 어플리케이션과 메인 스크린(112)의 어플리케이션을 바꾸어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실행 화면에 입력되는 더블클릭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더블클릭 신호에 따라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기 위해 표시부(110)를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으로 분할한다. 즉,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화면을 축소하여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각각 할당하여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다수 개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실행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될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다수 개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실행 중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하기 위한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실행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될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종료에 대한 신호입력을 감지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메인 스크린(112)을 분할 전 크기로 복원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종료하고,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부(110)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종료하 고, 메인 스크린(114)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부(110)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하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터치신호에 의해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메인 스크린(112)을 분할 전 크기로 복원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4)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부(110)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메인 스크린(112)을 분할 전 크기로 복원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종료하고,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부(110)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한다.
듀얼 스크린 처리부(102)는 사용자의 요청이나 외부의 입력을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 하여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듀얼 스크린 처리부(102)는 멀티태스킹 실행 화면에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를 제어부(100)로부터 전달 받으면, 드래그 신호에 따라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스크린(114)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듀얼 스크린 처리부(102)는 메인 스크린(112)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메인 스크린(112)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종료하고,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스크린(112)으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한편, 듀얼 스크린 처리부(102)는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종료한다.
듀얼 스크린 처리부(102)는 서브 스크린(114)에 입력되는 드래그 터치신호에 따라 서브 스크린(114)의 어플리케이션과 메인 스크린(112)의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바꾸어 표시할 수 있다.
듀얼 스크린 처리부(102)는 멀티태스킹 실행 화면에 더블클릭 신호를 제어부(100)로부터 전달 받으면, 표시부(110)를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 각각에 할당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한다.
듀얼 스크린 처리부(102)는 다수 개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실행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특정 스크린에 표시하기 위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스크린(112)이나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한다.
듀얼 스크린 처리부(102)는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신호입력을 제어부(100)로부터 전달 받는다. 이 때, 듀얼 스크린 처리부(102)는 메인 스크린(112)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메인 스크린(112)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종료하고,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 부(110)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한다.
한편, 듀얼 스크린 처리부(102)는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메인 스크린(114)에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부(110)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는 멀티태스킹 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에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 혹은 더블클릭 신호 따른 각 과정을 수행한다. 이하, 각 과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2k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UI이다.
도 2a 내지 도2k를 참조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대기 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이 때, 표시부(110)에는 휴대단말기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감도, 배터리 잔량, 시간, 날짜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10)는 항상 활성화 되어 휴대단말기의 여러 정보를 표시하는 메인 스크린(112)과 평소에는 터치 키패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다가 터치 입력신호에 따라 활성화 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서브 스크린(1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동영상 재생 서비스 가 요청되면, 동영상을 재생하여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행되지만,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은 외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서도 실행이 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감지한다. 즉,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요청을 인식한다. 이 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다수 개 어플리케이션의 멀티태스킹이 실행되면, 이미 실행 중인 동영상 재생 화면을 메인 스크린(112)의 백그라운드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 때, 메인 스크린(112)의 백그라운드로 표시되는 동영상 재생 화면은 실질적으로는 상위 화면에 표시되지는 않지만,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것이 아니며 화면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요청에 의해 실행되는 문자메시지 서비스 화면을 메인 스크린(112)의 상위에 표시한다.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제어부(100)는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가 감지되면, 메인 스크린(112)의 상위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서브 스크린(114)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이 때,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드래그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 화면을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로써 더블클릭 신호가 입력되면, 메인 스크 린(112)을 다수 개의 표시 장치로 분할하고, 분할된 표시장치 각각에 할당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실행에 따른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의 선택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터치스크린 화면에 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위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실행중인 동영상 재생 서비스, 게임 서비스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는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될 어플리케이션으로 게임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선택한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될 어플리케이션이 게임 서비스로 정해지면, 도 2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게임 서비스의 화면을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각각 표시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종료에 대한 신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동영상 재생에 대한 실행을 종료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실행중인 동영상 재생을 종료한다. 이 후,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되어 실행 중인 문자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메인 스크린(112)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서 문자 메시지 서비스 화면이 메인 스크린(112)으로 이동하면, 서브 스크린(114)의 화면을 터치 키패드로 활성화하여 나타내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의 종료에 대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종료하고, 메인 스크린(112)에 동영상 재생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각각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서브 스크린(114)의 화면에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가 표시된 서브 스크린(112)에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를 감지한다. 드래그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바꾸어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2k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감지되는 드래그 신호에 따라,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된 동영상 재생 화면을 서브 스크린(114)의 화면으로 전환하고,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 화면을 메인 스크린(112)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에 실행되고 있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되고 있는 동영상 재생 화면을 터치 키패드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도 3a 내지 도3i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UI이다.
도 3a 내지 도 3i를 참조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대기 상태 모드를 유지한다. 이 때, 표시부(110)에는 휴대단말기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 감도, 배터리 잔량, 시간, 날짜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 아이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단말기는 하나의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면, 어플리케이션의 멀티태스킹 요청에 따라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으로 분할하여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동영상 재생이 요청되면, 동영상 재생 화면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행되지만,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요청은 외부의 입력 신호에 의해서도 요청이 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을 감지한다. 즉,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요청을 인식한다. 이 때,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다수 개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이 실행되면, 표시부(110)에 이미 실행 중인 동영상 재생 화면을 백그라운드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 때, 표시부(110)의 백그라운드에 표시되는 동영상 재생 화면은 실질적으로는 상위 화면에 표시되지는 않지만,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것이 아니며 실행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요청에 의해 실행되는 문자메시지 서비스 화면을 표시부(110)의 상위에 표시한다.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제어부(100)는 특정 기능 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더블클릭 신호가 감지되면, 표시부(110)의 화면을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로 분할한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10)의 상위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스크린(114)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표시부(110)의 백그라운드에 동영상 재생 화면을 메인 스크린(112)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실행에 따른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선택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터치스크린 화면에 어플리케이션 선택을 위한 입력신호가 감지되면, 실행중인 동영상 재생 서비스, 게임 서비스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의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 때, 사용자는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에서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될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될 어플리케이션으로 게임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선택한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될 어플리케이션이 게임 서비스로 정해지면, 도 3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서브 스크린(114)으로 이동하여 표시하고, 선택된 게임 서비스의 화면을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실행되고 있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메인 스크 린(112)에 실행되고 있는 동영상 재생 화면을 터치 키패드로 활성화 시킬 수 있다.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각각 표시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종료에 대한 신호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동영상 재생에 대한 실행을 종료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메인 스크린(112)을 분할 전 크기로 복원하고, 실행 중인 동영상 재생을 종료한다. 이 후,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되어 실행 중인 문자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표시부(110)의 전체 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도 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의 종료에 대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메인 스크린(112)을 분할 전 크기로 복원하고, 서브 스크린(114)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종료하고 표시부(110)의 전체 화면에 동영상 재생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40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대기 모드 상태이다.
제어부(100)는 S403단계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신호 요청을 감지한다. 이 때,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이 감지되면, S405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예 컨대, 사용자가 요청한 문자 메시지 서비스, 이메일 서비스, 동영상 재생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게임 서비스 및 DMB 서비스 등의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표시부(110)에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요청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제어한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에 의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외부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경우에도 상기 실시 예를 적용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407단계에서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 실행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멀티태스킹 요청신호가 감지되면, S409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실행 중인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백그라운드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동영상 재생 중에 카메라 기능, 문자 메시지 서비스 또는 폰 북 서비스 등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요청되면, 실행중인 동영상 재생 화면을 백그라운드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요청되는 휴대단말기의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멀티태스킹 실행하고 표시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요청이 감지되지 않으면, S405단계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한 기능을 계속 하고, 멀티태스킹을 위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신호 요청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S411단계에서 멀티태스킹 실행된 어플리케이션들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멀티태스킹 실행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멀티태스킹 실행 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상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즉, 제어부(100)는 동영상 재생 서비스 중에 발생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실행을 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화면의 백그라운드에 표시되는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종료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화면에 표시하지는 않지만 계속 실행한다.
제어부(100)는 S413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대한 이벤트를 감지한다. 이 때, 터치 이벤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415단계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터치 이벤트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 더블클릭 신호, 플릭 신호, 플릿 신호 및 스윙 신호 등의 터치 입력 신호가 포함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드래그 신호와 더블클릭 신호를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터치 신호는 다양한 신호가 입력 될 수 있다. 이 때, 터치 이벤트로 더블클릭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표시부(110)를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로 분할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들 중에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입력된 드래그 신호에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실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축소하여 하나의 화면에 나타내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S411단계에서 표시부(11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에 따른 터치 동작에 대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다 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동작 방법과 듀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동작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50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실행 화면을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실행되면, 이미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백그라운드로 하고, 나중에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상위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동영상 재생 화면을 백그라운드에 표시하고, 멀티태스킹 요청에 의해 실행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S503단계에서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 신호를 감지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치 이벤트로 드래그 신호를 감지한다. 하지만, 터치 신호는 드래그 신호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다른 터치 신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드래그 신호가 감지되면, S505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된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상위 화면에 있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스크린(114)로 이동하여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에 멀티태스킹 실행되는 동영상 재생 서비스와 문자 메시지 서비스 중 문자 메시지 서비스 화면을 서브 스크린(114)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S507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특정 이벤트에 대한 발생을 판단한다. 이 때,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S509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발생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이벤트는 메인 스크린(112)에 멀티태스킹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선택하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실행 중인 동영상 재생 서비스, 게임 서비스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게임 서비스를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각각 표시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종료에 대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동영상 재생에 대한 실행을 종료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실행 중인 동영상 재생 화면을 종료한다. 이 후,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되어 실행 중인 문자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메인 스크린(112)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서 문자 메시지 서비스 화면에 메인 스크린(112)으로 이동하면, 서브 스크린(114)의 화면을 키패드 상태로 활성화하여 나타내도록 제어한다.
한편, 도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 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의 종료에 대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서브 스크린(114)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종료하고, 메인 스크린(112)에 동영상 재생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각각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서브 스크린(114)의 화면에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가 표시된 서브 스크린(112)에 입력되는 드래그 신호를 감지한다. 드래그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과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을 바꾸어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특정 이벤트에 대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듀얼 터치스크린의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대한 기능 수행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60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어플리케이션들의 멀티태스킹 실행 화면을 표시부(110)에 표시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다수 개의 어플리케이션이 멀티태스킹 실행되면, 이미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화면의 백그라운드로 하고, 나중에 실행되어진 어플리케이션을 상위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동영상 재생 화면을 백그라운드에 표시하고, 멀티태스킹 요청에 의해 실행되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S603단계에서 터치스크린에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 신호를 감지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치 이벤트로 더블클릭 신호를 감지한다. 하지만, 터치 신호는 더블클릭 신호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다른 터치 이벤트에도 적용될 수 있다.
더블클릭 신호가 감지되면, S605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표시부(110)의 화면을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으로 분할한다.
S607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표시부(102)에 표시된 다수개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화면의 백그라운드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하고, 상위 화면에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표시부(110)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동영상 재생 서비스를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하고,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한다.
S609단계에서 제어부(100)는 특정 이벤트에 대한 발생을 판단한다. 이 때,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S61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발생한 해당 이벤트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이벤트는 메인 스크린(112)에 멀티태스킹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선택하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실행 중인 동영상 재생 서비스, 게임 서비 스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게임 서비스를 메인 스크린(112)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메인 스크린(112)과 서브 스크린(114)에 각각 표시되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종료에 대한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동영상 재생에 대한 실행을 종료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실행 중인 동영상 화면을 종료한다. 이 후,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되어 실행 중인 문자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화면을 표시부(110)의 전체 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도 3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서브 스크린(114)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의 종료에 대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서브 스크린(114)의 화면에 표시된 문자 메시지 서비스를 종료하고, 표시부(110)의 전체 화면에 동영상 재생 화면을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특정 이벤트에 대한 입력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터치스크린의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대한 기능 수행을 종료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a 내지 도2k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UI,
도 3a 내지 도3i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UI,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실행 중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른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4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동중인 멀티태스킹 상태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시행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표시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
    상기 요청 신호의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메인 화면 및 보조 화면으로 분할하는 과정;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보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
    상기 보조화면에 표시된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제1화면과 제2화면으로 분할하는 과정;
    상기 제1화면에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제2화면에 상기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방법.
  29. 삭제
  30. 삭제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화면에서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스위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종료하는 과정; 및
    상기 제1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방법.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는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방법.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는
    드래그 이벤트, 더클 클릭 이벤트, 플릭 이벤트 및 플릿 이벤트 중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방법.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메인 화면 및 보조 화면으로 분할하는 과정은
    상기 메인 화면과 상기 보조 화면이 중첩되지 않도록 분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방법.
  36.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및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동중인 멀티태스킹 상태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시행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의 표시를 요청하는 요청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요청 신호의 감지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메인 화면 및 보조 화면으로 분할하고,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상기 보조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보조화면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 중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제1화면과 제2화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1화면에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며, 상기 제2화면에 상기 현재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장치.
  37. 삭제
  38. 삭제
  39.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화면에서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상기 제1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스위치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장치.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1화면에 표시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터치스크린의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장치.
  41.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는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신호는
    드래그 이벤트, 더클 클릭 이벤트, 플릭 이벤트 및 플릿 이벤트 중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장치.
  43.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폰 어플리케이션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스크린; 및
    상기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폰 어플리케이션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구동중인 멀티태스킹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포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나머지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지 않은 상기 멀티태스킹 모드 동안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나머지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아이콘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메인 화면 및 보조 화면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분할하고, 상기 포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상기 보조 화면에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45.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폰 어플리케이션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폰 어플리케이션 및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다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실행중인 멀티태스킹 모드에서, 포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가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나머지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지 않은 상기 멀티태스킹 모드 동안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나머지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아이콘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의 화면을 메인 화면 및 보조 화면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분할하는 과정; 및
    상기 포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메인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을 상기 보조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들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수신되는 터치 입력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멀티태스킹 동작 제어 방법.
KR1020080091640A 2008-09-18 2008-09-18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548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640A KR101548958B1 (ko) 2008-09-18 2008-09-18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12/559,554 US20100066698A1 (en) 2008-09-18 2009-09-15 Method and appress for controlling multitasking operations of mobil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EP09170457A EP2166437A3 (en) 2008-09-18 2009-09-16 Method and appress for controlling multitasking operations of a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screen
CN200910171907.3A CN101676853B (zh) 2008-09-18 2009-09-18 控制具有触摸屏的移动终端的多任务操作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1640A KR101548958B1 (ko) 2008-09-18 2008-09-18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2660A KR20100032660A (ko) 2010-03-26
KR101548958B1 true KR101548958B1 (ko) 2015-09-01

Family

ID=4135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640A KR101548958B1 (ko) 2008-09-18 2008-09-18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066698A1 (ko)
EP (1) EP2166437A3 (ko)
KR (1) KR101548958B1 (ko)
CN (1) CN1016768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05459B2 (en) 2011-08-24 2016-08-02 Z124 Unified desktop laptop dock software operation
US9715252B2 (en) 2011-08-24 2017-07-25 Z124 Unified desktop docking behavior for window stickiness
US9268518B2 (en) 2011-09-27 2016-02-23 Z124 Unified desktop docking rules
US9182937B2 (en) 2010-10-01 2015-11-10 Z124 Desktop reveal by moving a logical display stack with gestures
US9092190B2 (en) 2010-10-01 2015-07-28 Z124 Smartpad split screen
US8225231B2 (en) 2005-08-30 2012-07-17 Microsoft Corporation Aggregation of PC settings
US8018440B2 (en) 2005-12-30 2011-09-13 Microsoft Corporation Unintentional touch rejection
US7782274B2 (en) 2006-06-09 2010-08-24 Cfph, Llc Folding multimedia display device
US20080076501A1 (en) * 2006-08-31 2008-03-27 Waterleaf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aptable Options For Electronic Gaming
WO2009044770A1 (ja) * 2007-10-02 2009-04-09 Access Co., Ltd. 端末装置、リンク選択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US8555201B2 (en) * 2008-06-05 2013-10-0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eterministic control of foreground access of the user interface
US8411046B2 (en) 2008-10-23 2013-04-02 Microsoft Corporation Column organization of content
US20100107100A1 (en) 2008-10-23 2010-04-29 Schneekloth Jason S Mobile Device Style Abstraction
KR101640460B1 (ko) * 2009-03-25 2016-07-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분할 화면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8175653B2 (en) 2009-03-30 2012-05-08 Microsoft Corporation Chromeless user interface
US8238876B2 (en) 2009-03-30 2012-08-07 Microsoft Corporation Notifications
US8836648B2 (en) 2009-05-27 2014-09-16 Microsoft Corporation Touch pull-in gesture
KR20110014040A (ko) * 2009-08-04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아이콘 충돌 제어방법
US20110087739A1 (en) * 2009-10-12 2011-04-14 Microsoft Corporation Routing User Data Entries to Applications
KR101636570B1 (ko) * 2009-10-28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64334A (ko) * 2009-12-08 201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5351006B2 (ja) * 2009-12-24 2013-11-2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9715332B1 (en) 2010-08-26 2017-07-25 Cypress Lake Software,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navigating between visual components
EP2354914A1 (en) 2010-01-19 2011-08-10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93690B1 (ko) * 2010-05-26 2017-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261213B2 (en) 2010-01-28 2012-09-04 Microsoft Corporation Brush, carbon-copy, and fill gestures
US9411504B2 (en) 2010-01-28 2016-08-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py and staple gestures
US10397639B1 (en) 2010-01-29 2019-08-27 Sitting Man, Llc Hot key systems and methods
US9519356B2 (en) 2010-02-04 2016-1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nk gestures
KR20110092826A (ko) * 2010-02-10 2011-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US9367205B2 (en) 2010-02-19 2016-06-14 Microsoft Technolgoy Licensing, Llc Radial menus with bezel gestures
US9274682B2 (en) 2010-02-19 2016-03-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ff-screen gestures to create on-screen input
US9310994B2 (en) 2010-02-19 2016-04-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e of bezel as an input mechanism
US9965165B2 (en) 2010-02-19 2018-05-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finger gestures
US20110209089A1 (en) * 2010-02-25 2011-08-25 Hinckley Kenneth P Multi-screen object-hold and page-change gesture
US9075522B2 (en) 2010-02-25 2015-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bookmark hold gesture
US20110209058A1 (en) * 2010-02-25 2011-08-25 Microsoft Corporation Multi-screen hold and tap gesture
US9454304B2 (en) 2010-02-25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screen dual tap gesture
EP2375316B1 (en) * 2010-04-06 2019-11-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10113844A (ko) * 2010-04-12 2011-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1883179A (zh) * 2010-05-07 2010-11-10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一种在手机上实现功能桌面视窗任意定位的***和方法
US8694686B2 (en) 2010-07-20 2014-04-08 Lg Electronics Inc. User profile based configuration of user experience environment
WO2012011639A1 (en) 2010-07-20 2012-01-2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WO2012011626A1 (ko) * 2010-07-20 2012-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정보 제공 방법
WO2012011640A1 (en) * 2010-07-20 2012-01-26 Lg Electronics Inc. Computing device, operating method of the computing device using user interface
US8667112B2 (en) 2010-07-20 2014-03-04 Lg Electronics Inc. Selective interaction between networked smart devices
KR101688940B1 (ko) * 2010-07-23 201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다중 작업 관리 방법
JP5573512B2 (ja) * 2010-09-03 2014-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5832076B2 (ja) * 2010-09-24 2015-12-16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372618B2 (en) * 2010-10-01 2016-06-21 Z124 Gesture based application management
KR101522345B1 (ko) 2010-11-12 2015-05-21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배경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101511118B1 (ko) * 2010-12-20 2015-04-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분할 화면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US20120159395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launching interface for multiple modes
US20120159383A1 (en) 2010-12-20 2012-06-21 Microsoft Corporation Customization of an immersive environment
US8612874B2 (en) 2010-12-23 2013-12-17 Microsoft Corporation Presenting an application change through a tile
US8689123B2 (en) 2010-12-23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reporting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KR20120071670A (ko) * 2010-12-23 2012-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423951B2 (en) 2010-12-31 2016-08-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ent-based snap point
US9471145B2 (en) 2011-01-06 2016-10-18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465440B2 (en) 2011-01-06 2016-10-1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015641B2 (en) 2011-01-06 2015-04-2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visual notification of a received communication
US9766718B2 (en) 2011-02-28 2017-09-19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input
US9477311B2 (en) 2011-01-06 2016-10-25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423878B2 (en) 2011-01-06 2016-08-23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KR102014273B1 (ko) * 2011-02-10 201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02522B1 (ko) 2011-02-10 201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복수의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의 화면변경방법
US9569090B2 (en) * 2011-02-11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raphic user interface in mobile terminal
US9213421B2 (en) 2011-02-28 2015-12-15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detecting a gesture
JP5749043B2 (ja) * 2011-03-11 2015-07-1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9383917B2 (en) 2011-03-28 2016-07-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dictive tiling
US8886976B2 (en) 2011-04-11 2014-11-11 Microsoft Corporation Management of background tasks
KR101199618B1 (ko) 2011-05-11 2012-11-08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화면 분할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1229699B1 (ko) * 2011-05-12 2013-02-05 주식회사 케이티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229629B1 (ko) * 2011-05-13 2013-02-04 주식회사 케이티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전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251761B1 (ko) * 2011-05-13 2013-04-05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US9658766B2 (en) 2011-05-27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dge gesture
US8893033B2 (en) 2011-05-27 2014-11-18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notifications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04440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58445B2 (en) *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US20120304132A1 (en) 2011-05-27 2012-11-29 Chaitanya Dev Sareen Switching back to a previously-interacted-with application
US20230289048A1 (en) * 2011-05-27 2023-09-1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CN102819378B (zh) * 2011-06-10 2017-08-04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手持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US10083047B2 (en) * 2011-06-14 2018-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executing multiple tasks in a mobile device
EP2721467A4 (en) 2011-06-20 2015-01-14 Alexander Buening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MANAGEMENT ON A DEVICE WITH A TOUCH SCREEN
US9983786B2 (en) 2011-06-21 2018-05-2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Electronic device with gesture-based task management
CN102841732B (zh) * 2011-06-23 2017-11-1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终端上任务管理的方法及装置
CN102855075B (zh) * 2011-06-30 2015-06-03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显示的方法、控制显示的装置及电子设备
KR101554599B1 (ko) 2011-06-30 2015-09-2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WO2013002547A2 (ko) 2011-06-30 2013-01-03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되는 휴대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CN102890595B (zh) * 2011-07-19 2015-02-04 宏碁股份有限公司 主屏幕与延伸屏幕的互动控制方法及***
US8687023B2 (en) 2011-08-02 2014-04-01 Microsoft Corporation Cross-slide gesture to select and rearrange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30033645A1 (en) * 2011-08-05 2013-02-07 Motorola Mobility, Inc. Multi-Tasking Portable Computing Device for Video Content Viewing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EP2565761A1 (en) * 2011-09-02 2013-03-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sensitive displays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US10353566B2 (en) 2011-09-09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animations
US8922575B2 (en) 2011-09-09 2014-12-30 Microsoft Corporation Tile cache
US9557909B2 (en) 2011-09-09 2017-01-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mantic zoom linguistic helpers
US9146670B2 (en) 2011-09-10 2015-09-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gressively indicating new content in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US9244802B2 (en) 2011-09-10 2016-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ource user interface
US8933952B2 (en) 2011-09-10 2015-01-13 Microsoft Corporation Pre-rendering new content for an application-selectable user interface
KR101873056B1 (ko) * 2011-09-20 201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수행 장치 및 방법
US8907906B2 (en) * 2011-09-27 2014-12-09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deactivation
GB201117329D0 (en) * 2011-10-07 2011-11-23 Waterleaf Ltd Gaming systems, apparatus and method with dual game play
KR101590341B1 (ko) * 2011-10-31 2016-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인터럽트 제어 방법 및 장치
EP2592548B1 (en) * 2011-11-14 2017-06-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905038B1 (ko) 2011-11-16 2018-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어플리케이션 환경 하에서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54071A (ko) * 2011-11-16 2013-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방법
CN103218109A (zh) * 2011-11-28 2013-07-24 马维尔国际有限公司 用于安卓操作***的双窗口解决方案
US9164544B2 (en) 2011-12-09 2015-10-20 Z124 Unified desktop: laptop dock, hardware configuration
CN102523318B (zh) * 2011-12-15 2016-01-20 海信集团有限公司 手机屏中屏的实现方法
US9223472B2 (en) 2011-12-22 2015-12-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losing applications
KR101474927B1 (ko) 2011-12-22 2014-12-31 주식회사 케이티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영상 송출 방법 및 그 단말
KR101522399B1 (ko) 2011-12-23 2015-05-22 주식회사 케이티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KR101546407B1 (ko) 2011-12-23 2015-08-24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3176732B (zh) * 2011-12-23 2016-05-11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可携式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504655B1 (ko) 2011-12-26 2015-03-23 주식회사 케이티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06470B1 (ko) * 2011-12-28 2019-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515629B1 (ko)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US9619038B2 (en) 2012-01-23 2017-04-1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a cover image and an application image from a low power condition
US9058168B2 (en) 2012-01-23 2015-06-16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EP2620865A3 (en) * 2012-01-27 2016-08-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128605B2 (en) 2012-02-16 2015-09-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umbnail-image selection of applications
TWI475473B (zh) * 2012-02-17 2015-03-01 Mitac Int Corp 根據觸控手勢產生分割畫面之方法
KR101356368B1 (ko) * 2012-02-24 2014-01-29 주식회사 팬택 어플리케이션 전환 장치 및 방법
CN103425411B (zh) * 2012-05-14 2017-05-2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US9575710B2 (en) 2012-03-19 2017-02-21 Lenovo (Beijing)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03425442B (zh) * 2012-05-18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信息处理方法
CN103377020A (zh) * 2012-04-23 2013-10-3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显示方法及装置
KR101867513B1 (ko) * 2012-05-29 2018-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4010691A (ja) * 2012-06-29 2014-01-20 Canon Inc 情報処理装置、画面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17318B1 (ko) * 2012-08-17 2014-07-09 주식회사 팬택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이동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N102866854A (zh) * 2012-08-28 2013-01-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屏移动终端及其预览方法
CN102915176A (zh) * 2012-09-19 2013-02-06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一种分屏显示的方法和装置
KR101957173B1 (ko) * 2012-09-24 2019-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멀티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69014B1 (ko) * 2012-09-25 2020-0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분리화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044829B1 (ko) 2012-09-25 2019-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CN102929478A (zh) * 2012-09-25 2013-02-13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应用切换方法及通信终端
WO2014065846A1 (en) * 2012-10-25 2014-05-01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detecting a gesture
US9582122B2 (en) 2012-11-12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sensitive bezel techniques
CN103809845A (zh) * 2012-11-13 2014-05-21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支持多应用显示的移动终端及多应用显示方法
EP4213001A1 (en) 2012-12-06 2023-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282088B2 (en) 2012-12-06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figuration of application execution spaces and sub-spaces for sharing data on a mobile tough screen device
CN104956301B (zh) * 2012-12-06 2019-07-12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和控制显示设备的方法
EP2741201A3 (en) 2012-12-06 2017-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02438B1 (ko) * 2012-12-06 2020-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85553B2 (en) 2012-12-06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40090883A (ko) * 2013-01-10 2014-07-18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멀티 태스크용 작업 안내 장치 및 방법
US10976922B2 (en) * 2013-02-17 2021-04-13 Benjamin Firooz Ghassabian Data entry systems
US9690476B2 (en) 2013-03-14 2017-06-27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9450952B2 (en) 2013-05-29 2016-09-2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Live tiles without application-code execution
US9507495B2 (en) 2013-04-03 2016-11-29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gesture
US20140325450A1 (en) * 2013-04-25 2014-10-30 Infobank Corp.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terminal and server thereof
KR102069322B1 (ko) * 2013-06-05 2020-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실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584590B1 (ko) 2013-07-11 2016-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2144553B1 (ko) * 2013-08-30 2020-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CN104423794A (zh) * 2013-09-11 2015-03-18 上海帛茂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双窗口显示功能的智能型移动设备
KR101904955B1 (ko) * 2013-11-12 2018-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기반의 모바일 기기에서의 컴퓨팅 자원 할당방법 및 장치
CN103605524B (zh) * 2013-11-26 2017-10-3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在移动终端分屏运行程序的方法及装置
KR102148948B1 (ko) * 2013-12-06 2020-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멀티 태스킹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148484B1 (ko) * 2013-12-31 2020-08-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9910884B2 (en) 2014-01-13 2018-03-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uming items in their last-used presentation modes
US20150199086A1 (en) * 2014-01-13 2015-07-16 Microsoft Corporation Identifying and Launching Items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Presentation Mode
WO2015111791A1 (ko) * 2014-01-22 2015-07-30 주식회사 모브릭 휴대 단말기의 화면 분할 장치 및 방법
CN103823612B (zh) * 2014-02-24 2017-06-27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681086B2 (en) * 2014-03-12 2017-06-13 Goog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ing playback in widget after app is backgrounded
US9477337B2 (en) 2014-03-14 2016-10-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ductive trace routing for display and bezel sensors
CN105359094A (zh) 2014-04-04 2016-02-24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可扩展应用表示
EP3129847A4 (en) 2014-04-10 2017-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lider cover for computing device
EP3129846A4 (en) 2014-04-10 2017-05-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llapsible shell cover for computing device
US9648062B2 (en) 2014-06-12 2017-05-0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tasking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US9785340B2 (en) 2014-06-12 2017-10-1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ly navigating between applications with linked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US10592080B2 (en)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US10254942B2 (en)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10338765B2 (en) 2014-09-05 2019-07-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bined switching and window placement
US10642365B2 (en) 2014-09-09 2020-05-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arametric inertia and APIs
KR20160046099A (ko) * 2014-10-20 2016-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표시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298410B (zh) * 2014-10-29 2017-09-08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触摸显示屏、其触控方法及显示装置
CN106662891B (zh) 2014-10-30 2019-10-11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多配置输入设备
KR102302721B1 (ko) * 2014-11-24 2021-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0183A (ko) * 2015-01-21 2016-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7636588B (zh) * 2015-03-23 2021-07-23 纳宝株式会社 移动设备的应用程序执行装置及其方法
CN106325676A (zh) * 2015-06-02 2017-01-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180404B1 (ko) 2015-06-02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708169B (zh) 2015-06-02 2020-10-21 南韓商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使用者終端裝置及其控制方法
CN104978110B (zh) * 2015-07-27 2018-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处理方法和显示处理设备
CN106658137A (zh) * 2015-11-02 2017-05-1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及装置
KR102648349B1 (ko) * 2015-11-13 2024-03-15 하만인터내셔날인더스트리스인코포레이티드 차량 내 시스템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80152622A1 (en) * 2015-12-01 2018-05-31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Mobile terminal-based photograph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05898483A (zh) * 2015-12-30 2016-08-24 乐视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虚拟互动视频播放方法及播放装置
JP6742730B2 (ja) * 2016-01-05 2020-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06028101A (zh) * 2016-05-19 2016-10-12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功能图标的屏幕显示方法及其***
CN106572256A (zh) * 2016-11-08 2017-04-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Android手机切换应用程序的方法及***
KR102328102B1 (ko) 2017-03-08 2021-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화면 표시방법
CN108702413A (zh) * 2017-05-10 2018-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验证码的输入方法及装置
CN109871188B (zh) * 2017-12-04 2023-04-07 西安中兴新软件有限责任公司 一种屏幕显示控制方法和装置、及终端
US11449925B2 (en) * 2018-01-22 2022-09-20 Taco Bell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ordering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8319512A (zh) * 2018-01-23 2018-07-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966578B2 (en) 2018-06-03 2024-04-2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video with user interface navigation
CN108958936B (zh) * 2018-06-28 2023-05-05 山东正龙万誉信息科技有限公司 应用程序切换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408171B (zh) * 2018-09-27 2021-06-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终端
US11054985B2 (en) * 2019-03-28 2021-07-06 Lenovo (Singapore) Pte. Ltd.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transferring objects between multiple displays
US11188222B2 (en) * 2019-12-05 2021-11-30 Cabin Management Solutions, Llc Multi-arrayed display user interface panel
EP4145815A4 (en) * 2020-04-27 2024-02-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CONTENTS AND ITS ORDERING METHOD
DE102021118382A1 (de) * 2021-07-15 2023-01-19 Anton Brams Neuartiges Eingabegerä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4261B1 (en) * 1997-06-11 2001-10-16 Microsoft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for handheld computing device having program icon auto hide
JP2005122271A (ja) 2003-10-14 2005-05-1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型電子装置
KR100831721B1 (ko) * 2006-12-29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2995A (en) * 1995-09-20 1998-01-27 Galileo Frames, Inc. Non-overlapping ti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window displays
US6008809A (en) * 1997-09-22 1999-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ewing multiple windows within a dynamic window
US6545669B1 (en) * 1999-03-26 2003-04-08 Husam Kinawi Object-drag continuity between discontinuous touch-screens
US20040049743A1 (en) * 2000-03-31 2004-03-11 Bogward Glenn Rolus Universal digital mobile device
JP2003162355A (ja) * 2001-11-26 2003-06-06 Sony Corp タスクの表示切り替え方法及び携帯機器及び携帯通信機器
US20040021681A1 (en) * 2002-07-30 2004-02-05 Liao Chin-Hua Arthur Dual-touch-screen mobile computer
US7295852B1 (en) * 2003-05-01 2007-11-13 Palm, Inc. Automated telephone conferencing method and system
US20050022135A1 (en) * 2003-07-23 2005-01-27 De Waal Abraham B. Systems and methods for window alignment grids
US20050114825A1 (en) * 2003-11-24 2005-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aptop computer including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laptop computer
US8276095B2 (en) * 2004-02-20 2012-09-25 Advanced Intellectual Property Group, Llc System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navigating within a workspace of a computer application
JP4012933B2 (ja) * 2004-03-22 2007-11-28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装置、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およびゲーム制御方法
JP2006053678A (ja) * 2004-08-10 2006-02-23 Toshiba Corp ユニバーサルヒューマンインタフェースを有する電子機器
KR100677366B1 (ko) * 2004-10-13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화면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화면 표시 제어 방법
WO2006051669A1 (ja) * 2004-11-09 2006-05-18 Sharp Kabushiki Kaisha 携帯情報端末
KR100677382B1 (ko) * 2004-11-09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의 화면전환 방법
US20060183505A1 (en) * 2005-02-15 2006-08-17 Willrich Scott Consulting Group, Inc. Digital mobile planner
US7581192B2 (en) * 2005-03-31 2009-08-2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ication window grouping and management
JP2007011459A (ja) * 2005-06-28 2007-01-1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EP1748630B1 (en) * 2005-07-30 2013-07-24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63243A3 (en) * 2005-09-09 2008-03-26 LG Electronics Inc. Image capturing and displaying method and system
KR20070034767A (ko) * 2005-09-26 2007-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표시영역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간의 데이터 표시 방법
KR100818918B1 (ko) * 2006-02-14 200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의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07102453A1 (ja) * 2006-03-08 2007-09-13 Nec Corporation 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共有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754211B1 (ko) * 2006-03-15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태스킹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방법을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823040B1 (ko) * 2006-03-28 2008-04-17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멀티태스킹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KR101391602B1 (ko) * 2007-05-29 2014-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터렉션 방법 및 멀티 미디어 단말 기기
KR20090043753A (ko) * 2007-10-30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장치의 멀티태스킹 제어 방법 및장치
TW200926048A (en) * 2007-12-14 2009-06-16 Lead Data Inc Screen auxiliary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4261B1 (en) * 1997-06-11 2001-10-16 Microsoft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for handheld computing device having program icon auto hide
JP2005122271A (ja) 2003-10-14 2005-05-1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携帯型電子装置
KR100831721B1 (ko) * 2006-12-29 2008-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6853B (zh) 2015-06-10
EP2166437A2 (en) 2010-03-24
CN101676853A (zh) 2010-03-24
KR20100032660A (ko) 2010-03-26
US20100066698A1 (en) 2010-03-18
EP2166437A3 (en)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958B1 (ko)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US9116593B2 (en) Single-axis window manager
EP2533579B1 (en) Mobile terminal and battery power saving mode switching method thereof
US11054988B2 (en) Graphical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8972892B2 (en) Notification in immersive applications
EP2132622B1 (en) Transparent layer application
US9916072B2 (en) Application and notification window display management in a mobile terminal
EP2703974B1 (en) Mobile terminal and application icon moving method thereof
KR101144804B1 (ko) 로터리 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CN108549513B (zh) 应用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070017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브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및 그제어방법
CN113360238A (zh) 消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EP2658228A1 (en) Mobile terminal adapt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display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7016287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ntrol program
US20090113333A1 (en) Extendable Toolbar for Navigation and Execution of Operational Functions
EP2827236A1 (en) Mobile terminal
KR2011002883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압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37973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기능 수행 방법
RU260727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графического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терфейса в мобильном терминале
US20150286368A1 (en) Method of operating a background content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08563416B (zh) 应用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20100138765A1 (en) Indicator Pop-Up
EP1760576A2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information ba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1323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키패드 배열형의 아이콘을 이용한 메뉴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85792B1 (ko) 소프트웨어적인 포인팅 입력 기능 제공 방법 및 그를이용한 무선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