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570B1 -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570B1
KR101636570B1 KR1020090103072A KR20090103072A KR101636570B1 KR 101636570 B1 KR101636570 B1 KR 101636570B1 KR 1020090103072 A KR1020090103072 A KR 1020090103072A KR 20090103072 A KR20090103072 A KR 20090103072A KR 101636570 B1 KR101636570 B1 KR 101636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area
screen
imag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191A (ko
Inventor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570B1/ko
Priority to US12/687,910 priority patent/US8930847B2/en
Publication of KR20110046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표시영역(Output display area)을 분할하여 사용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할된 표시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표시영역위치에서, 동작 될 영상화면이 계속적으로 표시되며, 사용자의 명령에 의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표시 장치, 화면, 윈도우, 듀얼, 분할, 표시영역

Description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utput display area}
도 1은 본 발명의 화면분할프로그램이 구현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화면분할프로그램이 구현되고 있는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하나의 실시예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구현되는 시스템에서 본체부에 해당하는 컴퓨터부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도면
도 5는 화면분할프로그램 및 동작되는 application에 의거, 각 영상화면을 각 표시영역에 표시/정렬하기 위해 메모리부내에 포함된 각 프로그램의 동작 블럭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Dual Hook Module부가 획득 또는 확인한 현재의 영상화면 (window)의 위치 상태를 보여주는 하나의 실시예 도면
도 7은 상기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획득한 영상화면의 위치 정보에 의거, 화면 분할 프로그램의 동작이 선택된 경우, 분할된 해당 영역 영 역에 정렬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메인 시스템, 예를 들어 컴퓨터를 부팅시에 본 발명의 화면분할프로그램이 로딩 (loading)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메뉴를 표시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상기 도 10의 각 메뉴기능을 미리 정한 특정 키로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상기 도 10 또는 도 11의 메뉴화면의 기능 중에서, 화면분할프로그램을 On으로 설정한 경우, 표시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이 정렬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 도면
도 13은 도 10의 메뉴기능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각 출력 위치 (position)에서 영상화면이 출력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상기 도 10 또는 도 11의 메뉴기능에서 방향이동키기능 (-> , <-)을 선택하여 제 1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을 제 2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n 상태에서, 우측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이 상위 영상화면(foreground window)인 경우, 상기 방향 이동기능 (<-)을 선택하는 것에 의거 좌측 표시영역으로 이동하여 full size의 영상화면으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제 1 표시영역 및 제 2 표시영역 상에 걸쳐 있는 foreground window 가, 상기 방향 이동기능 (<-)을 선택하는 것에 의거 제 1 표시영역으로 이동 및 상기 제 1 표시영역의 full size의 영상화면으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7은 상기 도 10 또는 도 11의 메뉴기능에서 영역 교환 기능 ( <-> )을 선택하여 제 1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을 제 2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으로 이동하고, 제 2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을 제 1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으로 이동함으로써 서로 교환(Exchange)되어 각각 해당 영역에서 full size로 출력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 미리 정한 표시조건(예를 들어 Position설정에 의한 표시, 분할영역이 큰 영역으로 표시등) 또는/및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통해 각 영상화면이 각각의 분할된 영역에서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도 10 또는 도 11의 메뉴기능에서 재정렬 영상화면 (Rearrange Window) 기능의 선택에 따라 동작 되는 실시예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재정렬 기능을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영상화면 재정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미리 정한 분할비율로 분할된 각 표시영역을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를 통해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에 따른 각 메뉴기능의 동작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도
도 23은 본 발명의 출력 표시영역 위치 설정에 의한 영상화면 출력을 나타내 는 흐름도
도 24는 본 발명에서 표시중인 영상화면을 다른 표시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5는 본 발명에서 표시중인 영상화면을 서로 다른 표시영역으로 이동시키어 교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에서 표시 중인 영상화면을 각 표시영역으로의 정렬을 통한 재정렬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표시영역(Output display area)을 분할하여 사용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메인장치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화면을 화면분할프로그램, 예를 들어 화면분할프로그램을 동작(On)시켜 복수 개의 출력표시영역(이하 표시영역)으로 분할하며, 또한 상기 분할되는 표시영역은 사용자가 설정한 미리 정한 비율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영역은 분할된 경계선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를 통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분할된 각 표시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표시영역으로 동작되는 영상화면이 표시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각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각 영상화면을 사용자의 제어에 의거 이동, 교환 또는/및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화면을 복수개의 표시영역으로 분할하여, 사용자가 동작시킨 Application의 동작 영상화면을 상기 분할된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선택한 표시영역의 위치에서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각 영상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화면 중에서, 상위 또는 전면에 표시되는 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은 각 표시영역에서 제일 늦게 표시된 영상화면 (latest displayed or displayed window) 혹은 현재 활성화 되어있는 영상화면이 정렬되어 표시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영상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을 방향 키 (<- , ->)를 이용하여 다른 영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며, 이때 이동되어 표시되는 영상화면은 표시영역의 상위에서 full size로써 표시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표시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각각의 영상 화면을 교환키 (<->)를 이용하여 서로 표시영역을 바꾸어(Exchange) 표시하며, 이때 교환되어 표시되는 영상화면은 표시영역의 상위에서 full size로써 표시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면분할프로그램 On 및 적어도 하나이상의 영상화면이 정렬된 상 태에서, 사용자의 재정렬 명령에 의거, 각각의 표시영역에서 제일 늦게 출력된 영상화면이 full size로써 상위 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에 위치되어 정렬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는,
화면분할프로그램 (화면분할프로그램) 및 동작 Application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화면분할 및 동작에 따른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부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른 화면분할동작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시스템의 운용 프로그램의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상의 영상화면 (Window) 상태에 대한 확인된 정보들을 Dual Module부에 전달하는 Dual Hook Module부 및 상기 Dual Hook Module부로부터 받은 영상화면 (window) 상태 또는 위치를 가지고 Dual web logic에 따라 영상화면을 각 표시영역에 정렬 또는 재배열하는 Dual Module부;를 포함하여 동작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력표시영역 제어 방법은, 시스템이 부팅 되는 단계;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면분할프로그램이 로딩 및 실행되는 단계; 표시화면이 미리 설정된 분할 비율로 분할되는 단계; 표시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화면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영상화면의 위치에 의거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작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이 부팅 되는 단계;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면분할프로그램 (화면분할프로그램)이 로딩 및 실행되는 단계; 영상화면이 표시될 영상 영역 위치가 설정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표시영역 위치에서 영상화면이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동작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동작 및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동작/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예를 들어, 각 (출력)표시영역은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ff 상태에서의 표시화면이 화면분할프로그램이 동작 (On)되는 경우, 표시장치(디스플레이장치)의 표시화면에서 분할되는 각각의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영상화면은 각 동작 프로그램 (application)에 의거 각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각각의 동작표시화면 (예를 들어 Window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을 아래와 같이 나타내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높이도록 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표시영역(display image area)을 분할하여 사용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메인장치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화면을 화면분할프로그램을 동작(On)시켜 복수 개의 출력표시영역(이하 표시영역) 으로 분할하며, 또한 상기 분할되는 표시영역은 사용자가 설정한 미리 정한 비율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영역은 분할된 경계선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를 통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각 표시영역내의 영상화면도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를 통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화면은 사용자가 메뉴기능의 위치 (position)에서 설정한 표시될 표시영역 (좌 또는 우)에 의거 기본적으로 표시되며, 사용자의 조절 및 이동 동작에 의거 표시영역이 조절되거나 다른 영역으로 이동 된다.
상기 분할된 각각의 표시영역에는 인터넷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예를 들어 MS WORD, POWER POINT등)의 동작에 의거하여 영상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표시정보(예를 들어, 표시될 표시영역위치, 표시될 표시영역(예를들어,foreground)등)등에 의거 분할된 해당 영역에서 표시된다.
상기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각각의 표시정보에는 다음을 포함한다.
Ⅰ. 표시/정렬의 경우
1.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ff된 상태 (화면분할프로그램이 오프 및 화면분할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분할프로그램 on 기능을 Enable하여 출력 표시영역이 복수개로 분할된 경우에는 다음의 조건에 의거 이후에 선택되어 동작 되는 각 Application의 표시영상화면이 해당 표시영역에서 표시된다.
1) 사용자가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기능 중에서 위치 (position)에서 설정한 표시될 표시영역 (좌 또는 우)정보에 의거 계속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 명령이 입력(예를 들어 클릭등)되는 표시영역에 상관없이 상기 설정된 표시영역에서 계속적으로 표시(정렬)된다. 상기 조건에 의한 영상화면 표시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이다.
2) 만약 분할된 영역의 크기(Size)가 서로 차이가 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분할 표시영역이 큰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표시(display)되도록 한다.
3) 동영상의 경우에도 상기 조건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한 표시 또는 분할 경계선 상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4) 또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예를 들어 클릭등)되는 표시영역 이외의 표시영역에서 표시되도록 설정한다.
2.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ff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화면,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windows(영상화면)들이 이미 표시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 화면분할프로그램 on기능을 Enable하여 출력 표시영역이 복수개로 분할된 경우에는 다음의 조건에 의거 상기 표시되고 있는 각 영상화면이 해당 표시영역에서 표시되도록 설정한다.
1) 사용자가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기능의 위치 (position)에서 설정한 표시될 표시영역 (좌 또는 우)정보에 의거 이동되어 우선적으로 표시된다.
2) 분할된 각 영상 영역내에 이미 위치하고 있는 영상화면(들)은 분할된 해 당 표시영역에서 재정렬된다. 따라서 중첩적(superimpose)으로 재정렬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위에 위치되는 영상화면, 즉 상위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은 제일 늦게 표시된 영상화면 (latest displayed window)이 될 것이다.
3) 분할 경계선 상(위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은 경계선상에 그대로 위치되어 표시하거나, 분할 표시영역의 크기가 큰 영역으로 이동, 분할 표시영역과 중첩이 더 되어 있는 표시영역으로 이동, 사용자의 설정에 의거한 좌 또는 우 영역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해당 영역에서 표시된다.
Ⅱ. 어느 하나의 표시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을 다른 표시영역으로 방향이동키 (<- , ->)를 이용하여 특정표시영역으로 이동 및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1.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n 상태에서, 옮기고자 하는 영상화면상에서 메뉴키에 의한 방향 이동 키 ( ->)를 선택하여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좌측의 영역인 제 1 표시영역에서의 상위 영상화면이 우측의 제 2 표시영역의 상위로 이동 및 상기 제 2 표시영역의 최대 크기(full size)로 자동 조절되어 표시된다.
상기 방향 이동키를 이용한 영상화면의 이동과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과의 차이는 크게 다음과 같다.
1) 상기 방향이동키에 의거하여 이동되는 영상화면은 해당 표시영역의 최대 크기(full size)로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은 같은 원래의 영상화면 크기를 그대로 유지함)
2) 상기 방향이동키에 의거하여 이동되는 영상화면은 표시영역이 바뀌어 영 상화면이 표시된다.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은 같은 표시영역에서도 이동됨)
Ⅲ. 각 표시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각각의 영상 화면을 교환키 (<->)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표시영역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즉 영상화면을 서로 바꾸어(Exchange)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
1. 화면분할프로그램 On 상태에서, 표시되고 있는 어느 영상화면상에서 GUI형태로 제공되는 메뉴기능의 교환키 ( <->)를 선택하여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좌측의 영역인 제 1 표시영역에서의 상위 영상화면은 우측의 제 2 표시영역으로 이동 및 상기 제 2 표시영역의 최대 크기(full size)로 자동 조절되어 표시된다.
또한 우측의 영역인 제 2 표시영역에서의 상위 영상화면은 좌측의 제 1 표시영역으로 이동 및 상기 제 1 표시영역의 최대 크기(full size)로 자동 조절되어 표시된다.
Ⅳ. 재 정렬의 경우
먼저, 상기 정렬과 재정렬의 제일 큰 차이는, 정렬은 화면분할프로그램 On에 의거 해당 영역에서 반드시 최대 크기(full size)로 조절한다라는 조건을 만족함이 없이 표시되는 것인 데 비해, 재정렬의 경우는 화면분할프로그램 On 및 적어도 하나이상의 영상화면이 램덤(Random)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재정렬 명령에 의거, 해당 표시영역에서 제일 늦게 표시된 영상화면이 최대 크기(full size)로 상위 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으로 위치되어 정렬되는 것을 말한다.
1.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ff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이상의 영상화면, 예를 들어 복수개의 윈도우(windows)들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화면분할프로그램 on기능을 이네이블(Enable)하여 출력 표시영역이 복수 개로 분할된 경우에, 재정렬의 사용자 명령에 의거 상기 표시되고 복수개의 각 영상화면이 해당 표시영역에서 재정렬되어 표시된다.
2. 이때 분할된 각 표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있는 영상화면(들)은 해당 표시영역에서 최대 크기(full size)로 재정렬된다. 따라서 중첩적으로 모든 영상화면 또는 상위 화면윈도우(foreground window)가 최대 크기(full size)로 해당 표시영역에서 정렬된다. 이때 상위에 위치되는 영상화면은 제일 늦게 표시된 영상화면 (latest disaplayed window)이 될 것이다.
3. 분할 경계선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은 그대로 위치하거나, 분할 표시영역이 큰 영역으로 이동, 중첩이 더 되어 있는 표시영역으로 이동 또는 사용자 설정/동작에 의거 좌/우 영역으로의 이동에 의거 해당 영역에서 최대 크기(full size)로 재정렬되어 표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면분할프로그램(화면분할프로그램)이 구현되는 시스템 (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템을 구동하는 제어부 (미도시) 및 메모리부 (미도시)를 포함하는 컴퓨터 본체부 (11)와, 본체부의 영상 표시신호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화면 (17)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면분할프로그램 동작, 표시영역의 정렬, 이동, 교환 또는재정렬등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제 1입력부 (13) 또는/및 제 2 입력부 (14)가 구성되어 본체부(11)와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인가됨을 나타내는 전원표시부 (15)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기능설정 및 조정부 (16)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입력부(13)는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제2입력부(14)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로 구성되어 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데 있어서 제 1 입력부인 마우스(13), 제 2 입력부인 키보드(14) 상의 미리 정한 키등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터치패드 방식과 상기 표시화면(17)에 일체로 형성되는 터치 화면 (스크린) 방식등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본발명에서는 상기 본체부(11)와 디스플레이부(12)가 일체로 형성된 노트북형태를 표시하고 있으나 본체부(11)와 디스플레이부(12)가 분리된 형태의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발명에서는 상기 제1, 2입력부가 상기 본체부(11)엔 직접 연결된 구성을 보여 주고 있으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2)가 상기 본체부(11)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이부(12)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11)에 신호를 전달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화면분할프로그램이 구현되고 있는 시스템 (200)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부에 접속되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마우스 (23)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화면(22)이 좌/우로 분할되어 제 1 표시영역 (22a) 및 제 2 표시영역 (22b)으로 구분되었다.
상기에서, 분할되는 표시영역의 크기(size)는 사용자에 의거 화면분할프로그램에의해 미리 설정되며 (예를 들어 5:5, 7:5등), 프로그램 자체에서 또는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통해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X축에 의한 좌/우 방향의 복수 개 영역(적어도 2개영역이상)으로 분할됨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Y축에 의한 상/하 방향으로 분할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에 의한 기술적인 접근도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하나의 실시예 도면(3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할된 영역 중 X축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의 제 1 표시영역 (22a)에는 2개의 영상화면 (37, 38)이 정렬되어 있고, 우측에는 1 개의 영상화면 (39)이 정렬되어 있다.
시스템의 본체 제어부에서는 각 표시영역에 대한 X축상의 위치를 확인하여 각 영상화면이 어느 표시영역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어부등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부가 상기 확인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각 표시영역에 표시 또는 정렬되는 각 영상화면은 상기 및 다음에서 설명한 조건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의해 표시되도록 설정된다.
Ⅰ. 표시/정렬의 경우
1.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ff된 상태 (화면분할프로그램이 오프 및 화면분할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면분할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표시화면이 복수개의 표시영역 으로 분할된 경우에는 다음의 조건에 의거 이후에 선택되어 동작 되는 각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의 영상화면이 해당 표시영역에서 표시된다.
1) 사용자가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기능 중에서 위치 (position)에 의거 설정한 표시될 표시영역 (좌 또는 우)정보에 의거 계속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 명령이 입력(예를 들어 클릭등)되는 표시영역에 상관없이 상기 설정된 표시영역에서 계속적으로 표시(정렬)된다. 상기에 조건에 의한 영상화면 표시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이다.
2) 만약 분할된 영역의 크기(Size)가 서로 차이가 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분할 표시영역이 큰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
3) 동영상의 경우에도 상기 조건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한 표시 또는 분할 경계선 상에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2.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ff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화면,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개의 windows(영상화면)들이 이미 표시되고 있는 상태인 경우, 화면분할프로그램 on기능을 구동하여 표시화면이 복수개의 표시영역으로 분할된 경우에는 다음의 조건에 의거 상기 출력되고 있는 각 영상화면이 해당 표시영역에서 표시되도록 설정한다.
1) 사용자가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기능의 위치 (position)에서 설정한 표시될 표시영역 (좌 또는 우)정보에 의거 이동되어 우선적으로 표시된다.
2) 분할된 각 표시 영역내에 이미 위치하고 있는 영상화면(들)은 분할된 해당 표시영역에서 재정렬된다. 따라서 중첩적으로 재정렬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위 에 위치되는 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은 제일 늦게 표시된 영상화면 (latest displayed window)이 될 것이다.
3) 분할 경계선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은 경계선상에 그대로 위치되어 표시하거나, 분할 표시영역의 크기가 큰 영역으로 이동, 분할 표시영역과 중첩이 더 되어 있는 표시영역으로 이동, 사용자의 설정에 의거한 좌 또는 우 영역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해당 영역에서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이 구현되는 시스템에서 본체부에 해당하는 컴퓨터부(41) 및 디스플레이 장치 (42)를 포함하는 시스템 도면 (400)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컴퓨터부(41)와 디스플레이 장치(42)는 동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컴퓨터부(41)에는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46)와, 본 발명의 화면을 분할하기 위한 화면분할프로그램, 각 동작 Application 및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45)와, 사용자 명령 (예를 들어 화면분할프로그램의 on/off, 표시영역 조절, 영상화면 이동, 교환 또는 재배열등)을 입력하는 마우스 (43) 또는 키보드부 (44)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4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에는 각 표시 영역에서의 상위 영상 화면, 즉 상위 윈도우 (foreground window)를 확인하기 위한 컴퓨터의 필터드라이버의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따라서 현재 실행 중에 있는 하나 이상의 영상화면, 즉 윈도우(window)중에 서 상위 윈도우 (foreground window)를 인식하여 재정렬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표시영역에서 최대 크기(full size)로 재정렬 시킨다.
여기에서 상위 윈도우를 필터드라이버(filter driver)가 인식하는 함수의 하나의 예는 다음과 같다.
BOOL SetForegroundWindow( );
Return Value
Nonzero if the function is successful; otherwise 0.
상기 함수는 각 Application이 상위 윈도우가 되기 위해 실행되는 함수 이다. 따라서 필터드라이버(filter driver)는 위의 함수를 hooking하여 상위 윈도우를 알아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위 윈도우는 제일 늦게 표시된 영상화면 (latest displayed window)이므로, 제어부가 각 영상화면의 표시시점을 확인하여서도 상위 영상화면의 확인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4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영역이 표시되는 표시화면 (47)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입력수단인 마우스 또는 키보드부의 미리 정한 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면분할프로그램 및/또는 각 Application이 동작되며,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 상기 설정된 각 표시 조건에 의거 각각의 영상화면이 표시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표시영역에서 영상화면이 계속적 및 중복적으로 표시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제 1실시예로 나타내었다.
다른 실시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예를 들어 클릭등)되는 표시영역에서 우선적으로 영상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써,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예를 들어 클릭등)되는 표시영역이외의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영상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컴퓨터에 구성되는 제어부, 메모리부 및 사용자 명령 입력부에 대응되는 구성 및 동작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그에 의거하여 동작도 가능하다.
도 5는 화면분할프로그램 및 동작되는 application에 의거, 각 영상화면을 각 표시영역에 표시/정렬하기 위해 메모리부(45)내에 포함된 각 프로그램의 동작 블럭을 나타낸 도면 (5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컴퓨터를 쓸 수 있게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인 Window OS (Operating System)블럭 (51)과, 상기 Window OS의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화면상의 다양한 영상화면 (Window) 상태에 대한 확인된 정보들을 Dual Module부(55)에 전달하는 Dual Hook Module부 (5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Dual Module부 (55)는 상기 Dual Hook Module부 (53)로부터 받은 영상화면 (window) 상태 또는 위치를 가지고 Dual web logic (이미 표시되고 있던 영상화면이 어디 영역에 존재 및 위치등)에 따라 적절히 영상화면을 각 표시영역에 정렬 또는 재배열한다.
상기에서 Dual hook module부 (53)는 Window OS에 의한 영상화면의 이동정보 (예를 들어 영상화면의 OPEN, CLOSE, DRAG, 이동, 교환, 재정렬등)시 획득 또는 확인된 현재의 영상화면 상태 또는 위치를 Dual Module부(55)에 전송한다.
도 6은 도 5의 Dual Hook Module부 (53)가 획득 또는 확인한 현재의 영상화면 (window)의 위치 상태를 보여주는 하나의 실시예 (600) 도면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Window OS에 의거 표시된 표시화면 (62)를 Dual Hook Module부에 의거 영상화면 (67)의 Top Left (63) 위치정보 및 Bottom Right (65)의 위치 정보가 획득(확인)된다.
따라서 화면 분할프로그램이 동작 되어 표시영역이 분할된 경우, 상기 확인된 각 영상화면의 위치 정보 또는/및 상기 설정된 각 표시조건정보에 의거,해당 각 표시영역에서 표시(정렬) 되는 것이다.
도 7은 상기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획득한 영상화면의 위치 정보에 의거, 화면 분할 프로그램의 동작이 선택된 경우, 분할된 해당 영역 영역에 정렬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7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Dual Hook Module부가 영상화면 (77)의 Top Left (73) 및 Bottom right (75)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Dual Module부가 미리 설정한 dual web logic에 의거 분할된 영상화면의 좌측 표시영역 (78)의 위치정보 상태 (74,76)로 정렬시킨다.
따라서, 상기 영상화면 (77)의 위치 정보(73,75)로 판단시, X축의 중심점(미도시)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로직에 의거 위치정보(74,76)로써 좌측표시영역에 정렬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 방법은, 본 발명의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FF된 상태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들에 대해,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N시 각 표시영역에 정렬 또는 재정렬시 적용되어 구현된다.
도 8은 메인 시스템, 예를 들어 컴퓨터를 부팅시에 본 발명의 화면분할프로그램이 로딩 (loading)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8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컴퓨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는 경우, 동작되는 운용 프로그램 (OS)에 의거 화면분할프로그램이 함께 로딩되어 표시화면의 미리 정한 위치 (일반적으로 오른쪽 하단)에 아이콘(82)이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화면분할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아이콘 (82)를 클릭하는 것에 의거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 메뉴가 도 10과 같이 표시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메뉴를 표시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9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OS에 의거 부팅된 상태, 예를 들어 바탕화면에서, 입력수단의 동작, 예를 들어 마우스 우측을 클릭 하면 Desktop menu (91)가 나타나며, 여기에서 미리 정한 항목 (92)를 선택하여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 (93)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화면을 나타낸 도면 (1000)이다.
상기 도 8 및 도 9의 동작에 의거,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화면 (1003)이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메뉴화면 기능 중에서, 화면분할프로그램에서의 각 동작을 위한 각 메뉴 기능을 선택한다.
상기 메뉴기능에는,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 On/off 선택 (1005), 제 1 표시영역에 표시된 영상화면을 제 2 표시영역으로의 이동을 위한 이동키 (<-, ->) 선택 (미도시), 각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을 서로 교환하기 위한 교환키 선택 (<->) (1007), 각 표시영역에서 표시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화면을 상위 윈도우(foreground window)를 기준으로 최대크기상태로 표시하기 위한 재정렬 선택(1008)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표시될 영상화면의 위치(position)를 사용자에 의거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메뉴화면의 기능 중, "Position" (1009)를 선택하여, 표시될 표시영역 위치를 좌 표시영역 또는 우 표시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에 의거,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n되는 경우에 이미 표시되어 있던 영상화면의 표시영역위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화면분할프로그램이 동작되어 각 표시영역으로 분할된 상태에서, 이후 사용자 명령의 입력에 따른 표시되는 영상화면은 상기 설정된 Position 정보(좌 또는 우)에 의거 계속적으로 중복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도 11은 상기 도 10의 각 메뉴기능을 미리 정한 특정 키로 설정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1100) 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도 10에서의 각 메뉴 기능 중에서 configure Hot key (1002)를 선택하여, 각 메뉴기능을 설정된 미리 정한 키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Dual mode on/off는 Ctrl + E (1105), Windows 이동 (->, <-)은 Ctrl + G (1106), Windows 교환 ( <->)은 Ctrl + F (1107), Windows 재정렬은 Ctrl + H (1108)를 입력하는 것에 의거 Enable (1109)되도록 한다.
상기의 각 도면들 및 설명을 통해 기본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구현을 나타내었으며, 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들이 적용되어 상기 메뉴화면의 각 기능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이해를 확실히 하고자 한다.
도 12는 상기 도 10 또는 도 11의 메뉴화면의 기능 중에서, 화면분할프로그램을 On으로 설정한 경우, 표시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이 정렬되는 것을 나타낸 실시예 도면 (12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이 아직 선택되기 전에, 2개의 영상화면 (121, 123)이 표시화면(124)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다.
이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거 메뉴화면에서 화면분할프로그램을 동작을 위한 "화면분할프로그램 ON" 기능이 선택되면, 표시화면이 X축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분할 비율로 좌 표시영역(125) 및 우 표시영역 (127)로 분할된다.
따라서, 화면분할프로그램 ON 이전에 표시화면에서 표시되고 있었던 영상화면들(121,123)이 상기 분할된 좌/우 표시영역으로 이동되어 정렬될 것이다.
이때 상기 영상화면들 (121,123)이 좌 표시영역 또는 우 표시영역으로의 이 동 조건은 다음과 같다.
최초 화면분할프로그램을 ON하는 경우, 일반적인 좌/우 분할영역 비율은 5:5이나 설정에 따라 다르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미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들 (121, 123)이 분할된 좌/우 영역(125,127)에서의 점유 정도(또는 중첩정도)에 따라 좌 또는 우 표시영역으로 이동되어 정렬될 것이다.
부연하면, 제 1 영상화면 (121)은 경계선 (129)에 걸쳐져서 디스플레이 되고 있으나 분할 경계선(129)을 기준으로 우측 영상 영역(127)보다 좌측 표시영역(125)에서 더 큰 점유상태를 가지고 디스플레이되고 있으므로 화면분할프로그램을 ON하는 경우 좌측표시영역으로 이동되고 좌측표시영역의 최대크기로 확대되어 정렬된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표시(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각 영상화면의 위치영역을 알수 있고, 또한 분할된 경계선의 위치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상기 정보들을 이용하여 어떤 영역에서 더 큰 점유상태로 표시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제어부 또는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거 해당 영역으로 이동되어 정렬된다.
한편, 만약 1개의 영상화면이 표시영역의 최대크기로 표시화면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상태에서, 화면분할프로그램을 동작을 위한 "화면분할프로그램 ON" 기능이 선택되면, 표시화면이 X축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분할 비율로 좌 표시영역 및 우 표시영역으로 분할될 것이며, 이때 상기 최대크기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은 분할된 영상 영역 중에서 어느 표시영역으로 이동되어 정렬될 것인가의 조건은 다음 과 같다.
1. 도 10의 메뉴기능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표시될 위치 (POSITION)에 따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시될 POSITION을 좌측 (LEFT)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무조건 분할된 좌측표시영역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써 설명함)
2. 만약 사용자가 표시될 POSITION을 선택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분할된 면적이 큰 표시영역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3. 만약 사용자가 표시될 POSITION을 선택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분할된 경계선에 걸쳐서 표시할 수도 있다.
4. 만약 사용자가 표시될 POSITION을 선택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좌 또는 우표시영역으로 교대로 표시 또는 어느 하나의 표시영역으로만 표시할 수도 있다.
5. 사용자 명령이 입력한 표시영역에서 표시한다.
6.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다른 표시영역, 예를 들어 반대 표시영역에서 표시한다.
도 13은 도 10의 메뉴기능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각 표시 위치 (position)에서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13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면번호 (131, 133)는 표시될 영상화면의 위치가 좌측영역(left area)으로 설정된 경우이며, 도면번호 (135, 137)은 표시될 영상화면의 위치가 우측영역(right area)으로 설정된 경우이다.
상기와 같이 표시 또는 정렬될 Position이 설정된 상태에서, 이후 표시되는 영상화면은 다음과 같이 각 설정된 표시영역위치에서 표시된다.
1. 도면번호(131)의 경우,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n 되어 좌측 표시영역 (131b) 및 우측 표시영역 (131c)로 분할되어, 상기 좌측 영상 영역 (131b)에 이미 정렬된 영상화면(131d)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도 10의 Position 메뉴기능에서 좌측영역(left area)으로의 표시위치(131a)가 설정되었다.
이후, 사용자 명령에 의거 동작되는 application(URL 클릭등)의 표시 영상화면은 무조건 좌측 영상 영역 (131b)에서 표시된다. 즉 새로운 프로그램을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예를 들어 URL 클릭등)되는 표시영역과는 상관없이 상기 설정한 표시영역에서 새로운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표시영역(131b)에는 이미 영상화면(131c)이 표시되고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 명령에 의거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동작 영상화면 (131e)은 상기 좌측표시영역(131b)의 영상화면(131c)상에 중첩(superimpose)되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표시될 위치의 설정을 통한 영상화면의 표시는, 화면분할프로그램을 on 하기 전에도 미리 설정을 통해(제춤출하시등)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화면분할프로그램이 온 (On) 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표시 표시영역 위치에서 각 영상화면이 계속적으로 정렬된다.
2. 도면번호(133)의 경우,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n 되어 좌측 표시영역 (133b) 및 우측 표시영역 (133c)로 분할되고, 상기 우측 영상 영역 (133c)에 이미 정렬된 영상화면(133f)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도 10의 Position 메뉴기능에서 좌측영역(left area)으로의 표시위치(133a)가 설정되었다.
이후, 사용자 명령에 의거 동작되는 application의 표시 영상화면은 무조건 좌측 영상 영역 (133b)에서 표시된다. 즉 새로운 프로그램을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표시영역과는 상관없이 상기 설정한 표시영역에서 새로운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표시영역(133b)상에는 동작(작업)중인 영상화면이 표시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 명령에 의거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동작 영상화면 (133e)은 이미 우측 표시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던 영상화면 (133f)과 중첩없이 상기 좌측표시영역(133b)에 표시된다.
3. 도면번호 135 및 137는 상기 도면번호 131 및 133와 표시위치만 다르게 설정된 것이며, 그에 따른 동작원리는 동일하다.
도면번호(135)의 경우,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n 되어 좌측 표시영역 (135b) 및 우측 표시영역 (135c)로 분할되어, 상기 좌측 영상 영역 (135b)에 이미 정렬된 영상화면(135d)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도 10의 Position 메뉴기능에서 우측영역(Right area)으로의 표시위치(135a)가 설정되었다.
이후, 사용자 명령에 의거 동작되는 application의 표시 영상화면은 무조건 우측 영상 영역 (135c)에서 표시된다. 즉 새로운 프로그램을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표시영역과는 상관없이 상기 설정한 표시영역에서 새로운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측표시영역(135c)상에는 동작(작업)중인 영상화면이 표시되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 명령에 의거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동작 영상화면 (135g)은 중복 없이 상기 우측표시영역(135c)에 표시된다.
4. 도면번호(137)의 경우,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n 되어 좌측 표시영역 (137b) 및 우측 표시영역 (137c)로 분할되어, 상기 우측 영상 영역 (137c)에 이미 정렬된 영상화면(137f)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도 10의 Position 메뉴기능에서 우측영역(Right area)으로의 표시위치 (137a)가 설정되었다.
이후, 사용자 명령에 의거 동작되는 application의 표시 영상화면은 무조건 우측 영상 영역 (137c)에서 표시된다. 즉 새로운 프로그램을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예를 들어 URL 클릭등)되는 표시영역과는 상관없이 상기 설정한 표시영역위치에서 새로운 영상화면이 표시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측표시영역(137c)에는 이미 영상화면(137f)이 표시되고 있으므로, 사용자 명령에 의거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동작 영상화면 (137g)은 상기 우측표시영역(137c)의 영상화면(137f)상에 중복되어 표시된다.
도 14는 상기 도 10 또는 도 11의 메뉴기능에서 방향이동키기능 (-> , <-)을 선택하여 제 1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을 제 2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1400)이다.
먼저, 상기 방향 이동키를 이용한 영상화면의 이동과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를 통한 이동과의 차이는 크게 다음과 같다.
1) 상기 방향이동키에 의거하여 이동되는 영상화면은 해당 표시영역의 최대화면 크기로 자동적으로 조절된다.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은 같은 원래의 영상화면 크기를 그대로 유지함)
2) 상기 방향이동키에 의거하여 이동되는 영상화면은 표시영역이 바뀌어 영상화면이 표시된다.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은 같은 표시영역내에서도 이동됨)
도면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n 상태에서, 좌측 표시영역 (1401)의 영상화면 (1405)이 상위 영상화면(foreground window)인 경우, 상기 방향 이동키 (->)를 선택하는 것에 의거 우측 표시영역 (1403)으로 이동하여 최대화면크기의 영상화면(1407)으로 표시된다.
도 15는 화면분할프로그램이 on 상태에서, 우측 표시영역 (1503)의 영상화면 (1506)이 상위 영상화면(foreground window)인 경우, 상기 방향 이동기능 (<-)을 선택하는 것에 의거 좌측 표시영역 (1501)으로 이동하여 최대화면크기의 영상화면(1508)으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1500)이다.
도 16은 제 1 표시영역 (1601) 및 제 2 표시영역 (1603)상에 걸쳐 있는 (일부가 중첩되어있는 상태) 상위 영상화면(foreground window) (1605)가, 상기 방향 이동기능 (<-)을 선택하는 것에 의거 제 1 표시영역 (1601)으로 이동 및 상기 제 1 표시영역의 최대화면크기의 영상화면(1607)으로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1600)이다.
도 17은 상기 도 10 또는 도 11의 메뉴기능에서 영역 교환 기능 ( <-> )을 선택하여 제 1표시영역의 영상화면을 제 2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으로 이동하고, 제 2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을 제 1 표시영역의 영상화면으로 이동함으로써 서로 교 환(Exchange)되어 각각 해당 영역에서 최대화면크기로 표시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17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교환기능을 선택하는 것에 의거, 제 1 표시영역 (1701)의 영상화면 (1702)은 제 2 표시영역 (1703)의 영상화면 (1706)으로 이동되고, 제 2 표시영역 (1703)의 영상화면 (1704)은 제 1 표시영역 (1704)의 영상화면 (1707)으로 각각 서로 교환된다.
도 18은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 미리 정한 표시조건(예를 들어 Position설정에 의한 표시, 분할영역이 큰 영역으로 표시등) 또는/및 사용자의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통해 각 영상화면이 각각의 분할된 표시영역에서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도 10 또는 도 11의 메뉴기능에서 재정렬 영상화면 (Rearrange Window) 기능의 선택에 따라 동작 되는 실시예 도면 (18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에 의거 분할 경계선 (1808)의 기준으로 좌측에는 제 1 표시영역 (1801) 우측에는 제 2 표시영역 (1803)으로 분할된다.
또한 제 1 표시영역에는 1개의 영상화면 (1802)이 표시되고, 제 2 표시영역에는 3개의 영상화면(1804, 1805,1806)이 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영상화면(들)이 각 표시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재정렬 영상화면 (Rearrange Window)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제 1 표시영역(1801)에는 영상화면 (1802)이 그대로 표시되나, 제 2 표시영역(1803)에는 재정렬 기능 선택 전에 표시되고 있었던 3개의 영상화면(1804, 1805,1806)중 상위 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인 영상화면 (1806)이 최대화면크기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2개의 영상화면 (1805, 1804)도 상기 상위 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 (1806) 의 하위 영상화면(background window)로써 최대화면크기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재정렬 기능을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 도면(19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에 의거 분할 경계선 (1908)의 기준으로 좌측에는 제 1 표시영역 (1901), 우측에는 제 2 표시영역 (1903)으로 분할된다.
또한 제 1 표시영역에는 1개의 영상화면 (1802)이 표시되고, 제 2 표시영역에는 1개의 영상화면(1904)이 표시되며, 상기 제 1 표시영역 및 제 2 표시영역에 걸쳐서(중복되어) 1개의 영상화면(1905)이 또한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영상화면(들)이 표시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재정렬 영상화면 (Rearrange Window) 기능이 선택되는 경우, 제 1 표시영역(1901)에는 제 1 영상화면 (1802)이 그대로 표시되나, 제 2 표시영역(1903)에는 상위 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인 영상화면 (1905)이 최대화면크기로 표시된다.
상기 제 1 표시영역(1901) 및 제 2 표시영역(1903)에 걸쳐서 중첩되어 표시되고 있던 영상화면(1905)이, 제 2 표시영역 (1903)으로 이동되어 재정렬된 근거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표시영역 및 제 2 표시영역에 걸쳐서 표시 중이며, 상위 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인 영상화면(1905)에 대해, 제 1, 2 표시영역과의 중첩된 부분 의 면적 혹은 크기 비율을 분할 경계선(1908)을 기준으로 판단시, 제 2 표시영역이 더 크다. 따라서 제 2 표시영역(1903)으로 이동되어 정렬되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영상화면 재정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2000)이다.
도면번호 (200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할된 표시영역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영역에는 영상화면이 표시되며, 각 영상화면에 표시된 숫자는 각 영상화면의 표시순서이다.
따라서 도면번호 (200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재정렬 메뉴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각각의 표시영역에서 제일 늦게 표시된 영상화면이 상위 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 및 최대화면크기로 표시된다.
도 21은 미리 정한 분할비율로 분할된 각 표시영역을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를 통해 조절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21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면분할프로그램등의 동작에 의거 중앙 분할 경계선 (2108)을 기준으로 제 1 표시영역 (2101) 및 제 2 표시영역 (2103)으로 분할되었다.
상기의 분할된 표시영역의 면적을 사용자의 명령에 의거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경계선(2108)에 사용자 명령을 위치 및 드래그(drag)하여, 목적 위치에서 드롭(drop)함으로써 상기 분할 경계선을 이동하여 새로운 분할 경계선 (2109)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입력부인 마우스(13)를 이동하여 마우스 포인터를 중앙경계선(2108)을 가르키고 클릭한 후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 앤 드롭동작을 수행하면 드롭된 위치에 새로운 분할 경계선 (2109)이 위치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경계선(2108)을 우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200)의 제어부는 제 1 표시영역(2101)의 크기는 확대시키고 제 2 표시영역(2103)의 크기는 축소시킨다.
이때 확장되는 제1 표시영역내에 위치하는 영상화면이 최대크기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영상화면은 새롭게 설정된 표시영역의 최대 크기로 자동으로 확대된다.
반대로, 축소되는 표시영역내에 위치하는 영상 화면은 자동으로 축소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거 특정 영상화면을 더 크게 또는 더 작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2는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에 따른 각 메뉴기능의 동작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도 (2200)이다.
도 1, 2의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고, 시스템의 동작 프로그램 (Operating System)(OS)에 의거 시스템이 부팅시에, 상기 시스템의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화면분할프로그램 (Dual Proram)도 로딩된다. (S 2201).
상기 시스템의 부팅 동작에 따른 초기화면 상태 또는 다른 응용프로그램에 의한 동작 영상화면의 상태가 표시장치에서 표시된다. (S 2203).
상기 상태에서, 도 8,9, 10,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면 분할프로그램의 동작이 선택된다. (S 2205).
상기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 선택에 의거, 표시화면은 미리 설정한 분할비 율로 복수개의 표시영역으로 분할된다. (S 2207).
상기에서 표시영상화면은 5:5 분할비율 및 X축에 의한 좌/우 표시영역으로 분할됨이 일반적이나, 사용자의 설정에 의거 3개 이상의 표시영역으로의 분할도 가능하며, 분할비율도 그에 의거 별도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Y축에 의한 상/하로 분할도 가능하며, 십자형태의 분할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에 의거, 표시화면이 적어도 2개 이상의 표시영역으로 분할될 것이며, 이때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 전에 다른 응용프로그램(예를 들어 MS Word, Power point, 인터넷 프로그램등)에 의거 이미 표시중인 동작영상화면은 다음의 조건에 의거 상기 분할된 각 표시영역으로 이동되어 정렬 될 것이다. (S 2209, 2211)
1)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기능의 위치 (position)에 의거 설정한 표시될 표시영역 (좌 또는 우)정보에 의거 이동되어 우선적으로 표시된다.
2) 상기와 같이 Position에 의거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분할된 각 영상 영역내에 위치하고 있는 영상화면(들)은 분할된 해당 표시영역에서 정렬되도록 한다.
따라서 중첩적(superimpose)으로 정렬될 수도 있으며, 상위에 위치되는 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은 제일 늦게 표시된 영상화면 (latest displayed window)이 될 것이다.
3) 분할 경계선 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은 경계선상에 그대로 위치 되어 표시되거나, 분할 표시영역이 큰 영역으로 이동되어 표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한 표시화면이 각 표시영역으로 분할된 경우, 이후 동작되는 각 응용 프로그램들의 영상화면은 다음의 조건에 의거 상기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서 표시/정렬, 이동, 교환 또는 재정렬 될 것이다. (S 2213)
1)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기능 중에서 위치 (position)를 선택하는 것에 의거 설정된 표시될 표시영역 (좌 또는 우)정보에 의거, 계속적으로 해당 영역에서 표시된다.
2) 각 표시영역 또는 경계선상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을 도 10,11의 메뉴화면의 기능을 선택하여 다음과 같이 제 1 또는 제 2 표시영역으로의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 방향 이동키 (<- , ->)를 이용하여 특정 표시영역으로 이동 및 표시함.
- 각 표시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각각의 영상 화면을 교환키 (<->)를 이용 하여 서로 다른 표시영역에서 교환되어 표시되도록 함. 즉 각 영상화면이 교환되어 서로 다른 표시영역에서 출력됨 .
- 재정렬 기능을 선택하여, 각 표시영역에서 Random하게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을 정리함. 이때 각 영상화면에서 가장 늦게 표시된 영상화면((latest displayed window)이 해당 표시영역의 최대화면크기로 상위영상화면(foreground window)이 됨.
3) 기타 기능으로써, 분할 경계선에 사용자 명령, 예를 들어 마우스의 포인 터를 위치시켜 분할된 표시영역을 좌/우 방향으로 drag/drop를 통해 표시영역을 조절 가능하다. 즉 각 영상화면의 사이즈를 조절가능하다.
도 23은 본 발명의 출력 표시영역 위치 설정에 의한 영상화면 출력을 나타내는 흐름도(23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템이 부팅 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면분할프로그램이 로딩 및 실행된다. (S 2301, S 2303).
이후, 사용자에 의거 영상화면이 표시될 영상 영역위치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설정된 표시영역 위치에서 이후 application의 동작에 따른 표시되는 영상화면이 계속적으로 표시된다. (S 2305, S 2307).
상기 표시될 표시 영역의 위치의 설정은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화면의 이용 또는 미리 정한 특정키가 입력을 통해, 복수의 분할된 표시영역 중 어느 하나의 표시영역이 선택되며, 그에 의거 상기 선택된 표시영역 위치에서 영상화면이 계속적으로 표시되는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서 표시 중인 영상화면을 다른 표시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24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템이 부팅 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면분할프로그램이 로딩 및 실행된다. (S 2401, S 2403)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화면 표시 또는 미리 정한 특정키의 입력을 통해 상기 다른 표시영역의 상위 영상화면으로 이동되어 표시된다. (S 2405, S 2407).
도 25는 본 발명에서 표시중인 영상화면을 서로 다른 표시영역으로 이동시키 어 교환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25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템이 부팅 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면분할프로그램이 로딩 및 실행된다. (S 2501, S 2503)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화면 표시 또는 미리 정한 특정키의 입력을 통해 분할된 각 표시영역의 상위 영상화면이 표시영역을 서로 교환하여 표시된다. (S 2505, S 2507).
이때, 상기 교환된 각 영상화면은 상기 교환된 각 표시영역의 최대화면크기상태로 표시된다.
도 26은 본 발명에서 표시 중인 영상화면을 각 표시영역으로의 정렬을 통한 재정렬하는 것을 나타내는 흐름도(2600)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템이 부팅 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면분할프로그램이 로딩 및 실행된다. (S 2601, S 2603)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화면 표시 또는 미리 정한 특정키가 입력을 통해,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서 정렬 또는 경계선상에서 정렬되고 있는 영상화면이 상기 각 표시영역의 상위 영상화면 및 최대화면크기로 정렬된다. (S 2605, S 2607).
이때, 상기 재정렬 명령에 의거, 각 표시영역에서 정렬되고 있던 모든 영상화면 중 상위 영상화면만이 각 표시영역만이 최대화면크기로 재정렬되거나, 모든 영상화면이 재정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재정렬 명령에 의거, 분할 경계선상에 정렬되고 있는 영상화면은 분할된 경계선을 기준으로 중첩이 더 되어 있는 영상 영역에서 최대화면크기 상태 로 재정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표시영역(display image area)을 분할하여 사용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메인장치와 동작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화면을 화면분할프로그램을 동작(On)시켜 복수 개의 출력표시영역으로 분할하며, 또한 상기 분할되는 표시영역은 사용자가 설정한 미리 정한 비율로 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영역은 분할된 경계선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를 통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각 표시영역내의 영상화면도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를 통해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영상화면은 사용자가 메뉴기능의 위치 (position)에서 설정한 표시될 표시영역 (좌 또는 우)에서 기본적으로 표시되며, 사용자의 조절 및 이동 동작에 의거 표시영역이 조절되거나 다른 영역으로 이동 된다.
상기 분할된 각각의 표시영역에는 인터넷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각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예를 들어 MS WORD, POWER POINT등)의 동작에 의거 한 영상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표시정보(예를 들어, 표시될 표시영역위치, 표시될 표시영역(예를 들어 foreground)등)등에 의거 분할된 해당 영역에서 표시된다.
상기 화면 분할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형태로 프로그램되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상태로 제공되어진다. 상기 화면 분할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 (100, 200)에 설치(install)되어 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표시화면 또는 각 표시영역에서 표시되는 각 영상화면은 어느 표시 조건의 경우에서도 해당 표시영역에서 최대화면 크기(FULL SIZE)상태로도 표시되도록 제어부가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표시) 장치의 표시화면을 미리 정한 분할비율로 복수개의 영상 영역으로 분할함으로써, 하나의 표시화면에 복수개의 동작 영상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분할된 표시영역 조절은 분할된 경계선에 사용자 명령키를 위치하여 하나의 실시예로써 좌측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통해 손쉽게 조절 가능하다. 또한 분할영역을 상/하로 한 경우에는 상/하 방향으로의 조절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된 각 영상 영역내의 영상화면 조절도 상기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의 동작을 통해 수행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로 분할된 표시영역 중, 사용자가 선택한 표시영역의 위치에서 각각의 영상화면이 계속적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하였으나, 다양한 설정에 의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표시영역의 위치와 상관없이 각각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표시영역 (좌 또는 우) 위치에서 교대로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분할된 영역이 서로 차이가 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분할 표시영역이 큰 영역 또는 중첩이 더 많은 영역에서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영상 영역에서 표시되는 영상화면 중에서, 각 표시영역의 상위 또는 전면에 표시되는 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은 각 표시영역에서 제일 늦게 표시된 영상화면 (latest displayed window)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영상 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을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화면 또는 미리 정한 키의 입력에 의거, 방향 키 (<- 또는 ->) 정보를 이용하여 각 표시영역의 상위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을 다른 영상 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이동되어 표시되는 영상화면은 해당 표시영역의 상위에서 최대화면크기로 자동 조절되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표시영역의 상위에서 표시되고 있는 각각의 영상 화면(foreground window)을 교환키 (<->) 또는 미리 정한 키 입력을 이용하여, 서로 표시영역을 바꾸어(Exchange) 표시할 수 있으며, 이때 교환되어 표시되는 영상화면 은 표시영역의 상위에서 최대화면크기로 자동으로 조절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면분할프로그램 On 및 복수개의 영상화면이 정렬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재정렬 명령에 의거, 각각의 표시영역에서 제일 늦게 표시된 영상화면이 상위 영상화면 (foreground window)으로 설정 및 최대화면크기로 조절되어 정렬될 수 있다.

Claims (26)

  1. 표시화면을 복수개의 표시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표시영역에서의 영상화면 표시 기준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표시 기준에 따라 영상화면을 해당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서 정렬 또는 경계선상에서 정렬되고 있는 영상화면에 대해, 상기 각 표시영역에서 정렬시키기 위한 재정렬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정렬 명령에 의거 상기 각 표시영역의 상위 영상화면을 최대화면크기로 정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영상화면을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표시화면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영상화면의 위치에 의거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제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화면의 위치는 표시화면상의 TOP LEFT, TOP
    RIGHT, BOTTOM RIGHT, BOTTOM LEFT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 이용하는 표시 영역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영상화면을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표시기준에 의거 설정된 표시영역 위치에서 영상화면을 계속적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영상화면을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표시기준에 의거 상기 설정 동작 전에 출력 중이거나 설정 동작 후에 출력할 영상화면을 미리 정한 분할된 표시영역에 정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단계에서, 상기 분할된 표시 영역의 크기(Size)가 서로 차이가 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표시될 영상화면을 분할 표시영역이 큰 표시영역에 우선적으로 표시 또는 정렬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화면들에 대해 서로 표시영역을 교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분할된 각 표시영역의 상위 영상화면을 표시영역을 서로 교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정렬 명령에 의거, 각 표시영역에서 정렬되고 있던 모든 영상화면 중 상위 영상화면만을 각 표시영역의 최대화면크기로 재정렬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정렬 명령에 의거, 분할 경계선상에 정렬되고 있는 영상화면을 분할된 경계선을 기준으로 중첩이 더 되어 있는 영상 영역에 최대화면크기로 재정렬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정렬 명령에 의거, 각 표시영역에서 정렬되고 있던 모든 영상화면을 각 표시영역의 최대화면크기로 재정렬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을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화면을 제1표시영역과 제2표시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표시영역에 표시된 영상화면상에서의 입력에 의해 표시될 새로운 영상화면은 상기 제2 표시영역에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표시기준에 의거 분할된 경계선 상에서 출력되고 있는 영상화면은 경계선상에 그대로 위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한 좌 또는 우 영역에서 출력동작을 수행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화면을 분할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화면을 제1표시영역과 제2표시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준을 설정하는 단계는 표시된 영상 화면이 상기 제1 표시영역과 제2 표시영역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경우 상기 각 표시영역과 중첩된 크기를 비교하여 더 많이 중첩된 표시영역으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분할된 표시영역의 경계선에 사용자 명령을 위치하여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을 통해 상기 경계선을 조절하며, 상기 조절을 통해 각 영상화면을 해당 영역에서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16. 제 1항, 2항, 4항, 5항, 6항, 7항, 12항, 13항, 14항 또는 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화면을 해당 표시 영역의 최대 화면 크기로 확대하여 표시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17.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면분할프로그램을 로딩 및 실행하는 단계;
    화면분할프로그램의 메뉴화면 출력 또는 미리 정한 특정키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출력중인 영상화면을 분할된 다른 표시영역으로의 이동을 위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력 영상화면이 다른 표시영역의 상위 영상화면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표시영역으로 이동한 영상화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하는 영상화면은 상위영상화면이며, 상기 다른 표시영역에서 출력되는 영상화면도 상위영상화면 및 최대화면크기 상태로 출력하는 표시영역 제어 방법.
  18.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가 청구범위 제16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적합한 프로그램의 형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9.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가 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내지 제15항 및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적합한 프로그램의 형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20. 제 19항에 있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사용자가 분할된 표시영역의 경계선에 사용자 명령을 위치하여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를 통해 상기 경계선을 조절하는 것을 있게 하는데 적합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21. 화면분할프로그램 및 동작 Application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와, 화면분할 및 동작에 따른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부와, 상기 사용자 명령에 따른 화면분할동작들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는 시스템의 운용 프로그램의 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표시화면상의 영상화면 (Window) 상태에 대한 확인된 정보들을 Dual Module부에 전달하는 Dual Hook Module부 및 상기 Dual Hook Module부로부터 받은 영상화면 (window) 상태 또는 위치를 가지고 Dual web logic에 따라 영상화면을 각 표시영역에 정렬 또는 재배열하는 Dual Module부; 를 포함하고,
    상기 Dual Module는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서 정렬 또는 경계선상에서 정렬되고 있는 영상화면에 대해, 상기 각 표시영역에서 정렬시키기 위한 재정렬 명령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각 표시영역의 상위 영상화면을 최대화면크기로 정렬하는 표시영역 제어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Dual Hook Module부는 운용프로그램에 의한 영상화면의 이동정보에 의거 확인된 영상화면 상태 또는 위치를 Dual Module부에 전송하는 표시영역 제어 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Dual web logic은 출력하고 있던 영상화면이 어느 표시영역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시영역 제어 장치.
  24. 컴퓨터 시스템; 청구범위 19항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표시영역 제어 장치.
  25. 시스템을 구동하는 제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장치;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출력신호를 표시하는 표시화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표시화면을 복수개의 표시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표시영역에서의 영상화면 표시 기준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에 따라 영상화면을 해당 표시영역에 표시하도록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고, 분할된 각 표시영역에서 정렬 또는 경계선상에서 정렬되고 있는 영상화면에 대해, 상기 각 표시영역에서 정렬시키기 위한 재정렬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재정렬 명령에 의거 상기 각 표시영역의 상위 영상화면을 최대화면크기로 정렬하는 표시영역 제어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분할된 표시영역의 경계선에 사용자 입력장치를 위치하여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를 통해 상기 경계선을 조절하는 표시영역 제어 장치.
KR1020090103072A 2009-10-28 2009-10-28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36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072A KR101636570B1 (ko) 2009-10-28 2009-10-28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US12/687,910 US8930847B2 (en) 2009-10-28 2010-01-15 Method for displaying window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072A KR101636570B1 (ko) 2009-10-28 2009-10-28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191A KR20110046191A (ko) 2011-05-04
KR101636570B1 true KR101636570B1 (ko) 2016-07-20

Family

ID=43899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072A KR101636570B1 (ko) 2009-10-28 2009-10-28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930847B2 (ko)
KR (1) KR1016365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13365B2 (en) 2010-10-01 2015-12-15 Z124 Method and system for viewing stacked screen displays using gestures
US9229474B2 (en) 2010-10-01 2016-01-05 Z124 Window stack modification in response to orientation change
US9330187B2 (en) * 2004-06-22 2016-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uasive portlets
WO2011125271A1 (ja) * 2010-04-06 2011-10-13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液晶モジュール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9405444B2 (en) * 2010-10-01 2016-08-02 Z124 User interface with independent drawer control
US9001149B2 (en) 2010-10-01 2015-04-07 Z124 Max mode
US20120144331A1 (en) * 2010-12-03 2012-06-07 Ari Tolonen Method for Arranging Application Windows on a Display
KR101769818B1 (ko) * 2010-12-23 2017-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20120272258A1 (en) * 2011-04-21 2012-10-25 Winnol Ll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content
US9104307B2 (en) 2011-05-27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application environment
US9158445B2 (en) * 2011-05-27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anaging an immersive interface in a multi-application immersive environment
CN102819422B (zh) * 2011-06-09 2017-07-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通过控件加载远程图片的方法及***
JP5717308B2 (ja) * 2011-06-16 2015-05-13 エンパイア テクノロジー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ルエルシー マルチコア環境におけるプロセスマネージメント
US20130057587A1 (en) 2011-09-01 2013-03-07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tiles
JP6049020B2 (ja) * 2011-09-06 2016-12-21 株式会社カプコン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システム
US20130080932A1 (en) 2011-09-27 2013-03-28 Sanjiv Sirpal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toggle
US9696880B2 (en) * 2011-12-26 2017-07-04 Inadev Corporation Screen management system
US9158383B2 (en) 2012-03-02 2015-10-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orce concentrator
US9075566B2 (en) 2012-03-02 2015-07-07 Microsoft Technoogy Licensing, LLC Flexible hinge spine
US20130300590A1 (en) 2012-05-14 2013-11-14 Paul Henry Dietz Audio Feedback
KR20140011857A (ko) * 2012-07-20 2014-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20140032248A1 (en) * 2012-07-27 2014-01-30 United Services Automobile Association (Usaa) Systems and methods for insurance quote generation, modification, application, and activation
KR101961860B1 (ko) * 2012-08-28 2019-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57173B1 (ko) * 2012-09-24 2019-03-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멀티윈도우 제공 방법 및 장치
US9612713B2 (en) * 2012-09-26 2017-04-04 Google Inc. Intelligent window management
US10019066B2 (en) * 2012-09-28 2018-07-10 Tesla, Inc. Method of launching an application and selecting the application target window
US20140095023A1 (en) 2012-09-28 2014-04-03 Tesla Motors, Inc. Vehicle Air Suspension Control System
CN102968243A (zh) * 2012-09-29 2013-03-13 顾晶 用于在移动终端显示多个应用窗口的方法、装置与设备
KR102183071B1 (ko) * 2012-12-06 2020-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02438B1 (ko) * 2012-12-06 2020-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72792B1 (ko) * 2012-12-06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64792B2 (en) 2012-12-06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ilti-window display
US10585553B2 (en) 2012-12-06 2020-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TW201426726A (zh) * 2012-12-26 2014-07-01 Hon Hai Prec Ind Co Ltd 顯示裝置的遠端控制系統及方法
KR20140133072A (ko) * 2013-05-09 2014-1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모바일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N104298417A (zh) * 2013-07-19 2015-01-21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移动终端管理应用程序的视图的方法及装置
KR102210999B1 (ko) * 2013-08-22 2021-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199086A1 (en) * 2014-01-13 2015-07-16 Microsoft Corporation Identifying and Launching Items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Presentation Mode
US9910884B2 (en) 2014-01-13 2018-03-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esuming items in their last-used presentation modes
CN104793923A (zh) * 2014-01-20 2015-07-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悬浮输入的方法和装置
KR102108069B1 (ko) * 2014-01-22 2020-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530183B1 (en) * 2014-03-06 2016-12-27 Amazon Technologies, Inc. Elastic navigation for fixed layout content
US20150268827A1 (en) * 2014-03-24 2015-09-24 Hideep Inc. Method for controlling moving direction of display object and a terminal thereof
US10324733B2 (en) 2014-07-30 2019-06-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utdown notifications
US9304235B2 (en) 2014-07-30 2016-04-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icrofabrication
US10678412B2 (en) 2014-07-31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joint dividers for application windows
US10592080B2 (en) 2014-07-31 2020-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sisted presentation of application windows
US20160034157A1 (en) * 2014-07-31 2016-02-04 Microsoft Corporation Region-Based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10254942B2 (en) * 2014-07-31 2019-04-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daptive sizing and positioning of application windows
US9787576B2 (en) 2014-07-31 2017-10-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pagating routing awareness for autonomous networks
KR102243106B1 (ko) * 2014-08-20 2021-04-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589619B (zh) * 2014-11-17 2019-12-13 深圳市腾讯计算机***有限公司 终端多窗口显示方法及装置
US10317677B2 (en) 2015-02-09 2019-06-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9513480B2 (en) 2015-02-09 2016-12-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aveguide
US9535253B2 (en) 2015-02-09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9429692B1 (en) 2015-02-09 2016-08-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Optical components
US10018844B2 (en) 2015-02-09 2018-07-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Wearable image display system
US9827209B2 (en) 2015-02-09 2017-11-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9372347B1 (en) 2015-02-09 2016-06-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system
US11086216B2 (en) 2015-02-09 2021-08-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enerating electronic components
JP2017083978A (ja) * 2015-10-26 2017-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端末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CN105389149A (zh) * 2015-11-03 2016-03-0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多屏幕运行实现方法及其***
JP6578901B2 (ja) * 2015-11-13 2019-09-25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制御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9571A1 (en) * 2001-03-14 2008-03-06 Khoo Soon H Displaying Advertising Messages in the Unused Portion and During a Context Switch Period of a Web Browser Display Interface
US20090150823A1 (en) * 2007-12-10 2009-06-11 Ati Technologies Ul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Window Management in a Grid Management System
JP2009245423A (ja) * 2008-03-13 2009-10-22 Panasonic Corp 情報機器およびウインドウ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6342B1 (en) * 1989-10-30 1996-11-27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Application design interface enhancement
US5390295A (en) * 1991-12-20 1995-02-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ortionally displaying windows on a computer display screen
US5487143A (en) * 1994-04-06 1996-01-23 Altera Corporation Computer user interface having tiled and overlapped window areas
US5577187A (en) * 1994-05-20 1996-11-1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iling windows based on previous position and size
JP3428192B2 (ja) * 1994-12-27 2003-07-22 富士通株式会社 ウインドウ表示処理装置
US5712995A (en) * 1995-09-20 1998-01-27 Galileo Frames, Inc. Non-overlapping ti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ple window displays
US5925103A (en) * 1996-01-26 1999-07-20 Magallanes; Edward Patrick Internet access device
CA2175148C (en) * 1996-04-26 2002-06-11 Robert Cecco User interface control for creating split panes in a single window
US6018340A (en) * 1997-01-27 2000-01-25 Microsoft Corporation Robust display management in a multiple monitor environment
TW347518B (en) * 1997-03-06 1998-1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split method of a computer system
US6008809A (en) * 1997-09-22 1999-1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viewing multiple windows within a dynamic window
US7124360B1 (en) * 1999-08-04 2006-10-17 William Drenttel Method and system for computer screen layout based on a recombinant geometric modular structure
US7362331B2 (en) * 2000-01-05 2008-04-22 Apple Inc. Time-based, non-constant translation of user interface objects between states
US6661436B2 (en) * 2000-12-07 2003-1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window snap control for a split screen computer program GUI
US20020191028A1 (en) * 2001-06-19 2002-12-19 Senechalle David A. Window manager user interface
US7036089B2 (en) * 2002-04-23 2006-04-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tribution of application windows in a computing device display
US7176943B2 (en) * 2002-10-08 2007-02-13 Microsoft Corporation Intelligent windows bumping method and system
US7403211B2 (en) * 2003-02-13 2008-07-22 Lumapix, Inc.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region segmentation
JP2004280655A (ja) * 2003-03-18 2004-10-07 Brother Ind Ltd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5195734A (ja) * 2004-01-05 2005-07-21 Fujitsu Ltd 発光制御装置、表示装置、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5202750A (ja) * 2004-01-16 2005-07-28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パワーマネージメント実行装置、コンピュータ、パワーマネージメント実行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76095B2 (en) * 2004-02-20 2012-09-25 Advanced Intellectual Property Group, Llc System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navigating within a workspace of a computer application
US7237202B2 (en) * 2004-05-11 2007-06-26 Cynthia Joanne Gage Multiple document viewing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US7636899B2 (en) * 2005-07-12 2009-12-22 Siemens Medical Solutions Health Services Corporation Multiple application and multiple monitor user interface image format selection system for medical and other applications
US7689064B2 (en) * 2005-09-29 2010-03-30 Cozi Group Inc. Media display collages
KR100818918B1 (ko) * 2006-02-14 200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윈도우의 배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0784973B1 (ko) * 2006-09-11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데이터의 변조를 이용한 영역 표시 방법
US20080115081A1 (en) * 2006-11-09 2008-05-15 Microsoft Corporation Enhanced windows management feature
KR20090036779A (ko) * 2007-10-10 2009-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8356258B2 (en) * 2008-02-01 2013-01-15 Microsoft Corporation Arranging display areas utilizing enhanced window states
KR101548958B1 (ko) * 2008-09-18 2015-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59571A1 (en) * 2001-03-14 2008-03-06 Khoo Soon H Displaying Advertising Messages in the Unused Portion and During a Context Switch Period of a Web Browser Display Interface
US20090150823A1 (en) * 2007-12-10 2009-06-11 Ati Technologies Ul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Window Management in a Grid Management System
JP2009245423A (ja) * 2008-03-13 2009-10-22 Panasonic Corp 情報機器およびウインドウ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99512A1 (en) 2011-04-28
KR20110046191A (ko) 2011-05-04
US8930847B2 (en)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570B1 (ko) 출력표시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US8525808B1 (en) Method and system to launch and manage an application on a computer system having a touch panel input device
EP3028128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tab window indicating application group including heterogeneous applications
JP4616424B2 (ja) コンピュータ表示画面上におけるメニュー項目の表示方法
EP27118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lit view in portable device
US8234568B2 (en) Selecting image arrangement regions based on number of users
KR101867651B1 (ko) 타일 정렬 기법
KR102072582B1 (ko) 듀얼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20130346912A1 (en) Method And System To Launch And Manage An Application On A Computer System Having A Touch Panel Input Device
US8368616B1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multiple monitor systems
US20020191028A1 (en) Window manager user interface
US9921714B1 (en) Graphical method to select formats
JP2006134288A (ja) 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行されるインターフェースプログラム
EP2652606B1 (en) Managing an immersive environment
JP647236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09758B2 (ja) データ表示装置およびデータ表示プログラム
US20130263046A1 (en) Display controlling devic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CN104077016A (zh) 一种多窗口显示和切换方法及装置
CA2970741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ndering a tree structure
JP6210370B2 (ja) 設定制御プログラム及び設定制御方法並びに設定制御装置
CN104407773A (zh) 页面展示方法和装置
WO2014019307A1 (zh) 具有多屏幕的App的开发方法、切换控制方法及装置
KR101863994B1 (ko) 엔지니어링 장치 및 화면 표시 제어 방법
JP2007188289A (ja) マルチタスク処理端末装置
JP7110878B2 (ja) 空気調和機用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