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699B1 -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699B1
KR101229699B1 KR1020110044503A KR20110044503A KR101229699B1 KR 101229699 B1 KR101229699 B1 KR 101229699B1 KR 1020110044503 A KR1020110044503 A KR 1020110044503A KR 20110044503 A KR20110044503 A KR 20110044503A KR 101229699 B1 KR101229699 B1 KR 10122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pplication
clipboard
touch input
virtua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410A (ko
Inventor
채행석
최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4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96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3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410A/ko
Priority to US13/470,485 priority patent/US2012028929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은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동시에 실행 중인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두 개로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의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콘텐츠 이동을 위한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드래그-앤-드롭 동작에 의한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타켓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치에서 하나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를 이동하기 때문에, 화면의 전환 없이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간 콘텐츠 공유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METHOD OF MOVING CONTENT BETWEEN APPLICATIONS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 장치에서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들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들(예컨대, 온라인 게임, 채팅, 사진 촬영 및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등)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키 패드를 기반으로 하는 일반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만으로는 다양화되어 가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들을 지원하기가 어렵다.
최근 사용자 편의성 및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터치-패드(touch pad)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은 터치 방식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채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터치 방식 인터페이스 장치의 비용절감 및 종래의 터치 방식 인터페이스 장치들의 낮은 신뢰성과 수명의 문제가 해결된 결과이다.
터치 패드(touch pad)는 압력 감지기가 달려 있는 평판으로서, 손가락이나 펜 등을 이용해 접촉하면 압력을 감지하여 화면의 지시자가 움직이고 이 위치 정보를 컴퓨터가 인식한다.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디스플레이 화면상의 한 점을 손가락 등으로 누르면 그 접촉점의 좌표를 출력하는 위치 감지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화면이 터치 패드의 역할을 겸하는 장치를 터치스크린으로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화면상에 출력되는 내용과 화면을 통하여 입력되는 내용의 대화적이고 즉시적인 대응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채로운 형태의 입력이 가능하여 높은 사용자 만족도와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고정적인 배열을 가지는 키-패드와 같은 정형화된 사용자 입력 장치에 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출력장치와 입력장치를 일체화시키는 개념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가능하게 한다.
특히, 종래의 저해상도 숫자 및 문자로 구성된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에서 고해상도의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로 변화되어 가면서, 그래픽 기반의 객체를 통한 입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키-패드를 대체할 경우에는 키-패드 설치면적을 생략 가능하므로 동일한 체적을 가지는 단말기에서 상대적으로 대화면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진다는 장점 또한 가진다.
특히, 최근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는, 일명 스마트폰은 거의 대부분 터치스크린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경우 대부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이 전체 화면으로만 실행되므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공유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현재 전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지 않지만 실행중인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할 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공유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 장치에서 하나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를 이동하는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간 콘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은,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동시에 실행 중인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두 개로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의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콘텐츠 이동을 위한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드래그-앤-드롭 동작에 의한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타켓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 또는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의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수신된 터치 입력이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인지 판단하는 터치입력 처리부 및 상기 판단 결과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이라고 판단한 경우 동시에 실행 중인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두 개로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이라고 판단한 경우 이동을 위한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드래그-앤-드롭 동작에 의한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타겟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말 장치에서 하나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를 이동하기 때문에, 화면의 전환없이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간 콘텐츠 공유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간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의 개념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간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의 개념을 나타낸다.
도 1의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라 하더라도 화면에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하나인 것이 일반적인데, 특히 스마트폰 등에 운용체제로 많이 사용되는 안드로이드계 운영체제의 경우가 그런 경우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외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를 화면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화면 전환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도 1에 보는 바와 같이 현재 화면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가 디스플레이되는 중 메뉴바(Duck-bar)에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경우(101), 화면을 두 영역으로 양분하고 그 중 하나의 영역 상에 화면 분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기 전에 원래 디스플레이 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하나의 영역에는 메뉴바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한다(102).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메뉴바”는 휴대 단말의 화면상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현재 휴대 단말에서 서로 다른 프로세스 상에서 구동되어 실행중인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표시하는 바를 의미한다.
또한,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 또는 복사할 경우, 현재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임시적으로 저장한 후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의 디스플레이를 중단하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한 후 임시적으로 저장된 콘텐츠를 붙여넣어야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화면상에 소스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 및 타켓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하며, 소스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 포함된 콘텐츠를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로 드래그(Drag)하고,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서 드롭(Drop)하여 콘텐츠를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복사된 콘텐츠를 타켓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여기에서 콘텐츠 이동전의 원래 애플리케이션을 소스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하고, 콘텐츠가 이동될 애플리케이션을 타겟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한다.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이종의 다른 기능을 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포함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이고 타겟 애플리케이션은 장치 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로컬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 있다.
일 예로, 단말 장치내의 주소록에 있는 친구의 연락처를 웹 메일을 통해 지인에게 전송하려고 할 때, 주소록에서 보내고자 하는 연락처를 드래그 앤 드롭 등의 동작을 통해 웹 메일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여 일일이 내용을 입력하는 수고 없이 쉽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드래그”는 손가락을 이용해 터치 스크린상에서 소스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 포함된 콘텐츠를 터치한 채 이동하는 행위를 의미하고, “드롭”은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서 드래그 할 때 터치한 손가락을 터치 스크린에서 떼는 행위를 의미한다.
한편, 소스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드래그 하여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로 이동한 경우 클립 보드의 크기는 콘텐츠의 크기만큼 확대되고, 콘텐츠의 크기만큼 확대된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서 드롭하여 콘텐츠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고, 클립 보드 임시적으로 저장된 콘텐츠가 타켓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되면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의 크기는 원래의 크기로 축소된다.
도 1에서는 화면상에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켓 애플리케이션이 서로 인접하는 경계면에서 부분적으로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소프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의 윈도우와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구별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도 1에서는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켓 애플리케이션의 비율이 1:1로 두 영역의 면적이 동일한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영역의 비율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소스 애플리케이션은 가로 모드에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타켓 애플리케이션은 우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우측에 배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콘텐츠를 좌측에 배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할 경우, 우측에 배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소스 애플리케이션이될 수 있고, 좌측에 배치된 애플리케이션이 타켓 애플리케이션이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단말 장치는 터치 스크린(201), 터치입력 처리부(203), 제어부(205), 저장부(207), 마이크(209) 및 스피커(2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휴대용 단말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통신 단말 스마트폰, PDA, PMP 등이 된다 할 것이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그 운영 체제로 안드로이드(또는 구글 안드로이드)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단말 장치의 상세 블록을 차례로 살펴보면, 우선 터치 스크린(310)은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터치입력 처리부(320)로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201)은 터치 입력이 사각형, 원, 선 등과 같이 2차원으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기설정된 소정 시간 간격(예를 들면, 20ms) 마다 터치된 궤적의 소정 위치에 대한 좌표값을 터치입력 처리부(203)로 제공할 수 있다.
즉, 터치 스크린(201)은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 또는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의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이때, 터치 스크린은 접촉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광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방식, 압전 방식, 저항막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언급된 방식 이외에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터치 스크린이 검출하는 값은, 그 터치 검출 방식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터치 입력에 대한 전위차, 커패시턴스, 파장, 또는 IR 광 인터럽트 등의 형태가 된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201)에 저항막 방식이 사용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201)의 소정 영역에 터치 입력이 발생되면 터치 스크린(201)은 터치된 위치의 전위차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위차에 기초하여 터치 스크린(201)의 표시 영역에서 터치된 위치의 좌표값(X,Y)을 터치입력 처리부(203)로 제공한다.
터치 스크린(201)은 또한, 제어부(205)의 제어에 기초하여 단말 장치의 메뉴혹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실행 화면 등과 같은 그래픽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터치입력 처리부(203)는 터치 스크린(201)으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마다 좌표값(X,Y)이 제공되면, 이를 기초로하여 감치된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 또는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인지 판단한다.
먼저, 터치입력 처리부(203)는 터치 스크린(201)으로부터 수신된 터치 위치의 좌표값이 단말 장치에서 서로 다른 프로세스 상에서 구동되어 실행중인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표시하는 메뉴바상의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낼 경우, 감지된 터치 입력이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라고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205)로 전송한다.
반면, 터치입력 처리부(203)는 터치 스크린(201)으로부터 수신된 터치 위치의 좌표값이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의 콘텐츠를 나타낼 경우, 감지 터치 입력이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의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이라고 판단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205)로 전송한다.
먼저, 제어부(205)는 터치입력 처리부(203)가 터치 입력이 화면 분할을 위한 입력이라고 판단함에 따라, 화면을 두 영역으로 양분하고 그 중 하나의 영역 상에 원래 디스플레이 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하고, 나머지 하나의 영역에는 메뉴바에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 한다.
제어부(205)는 터치입력 처리부(203)가 터치 입력이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의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이라고 판단함에 따라, 이동을 위한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드래그-앤-드롭 동작에 의한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저장한 후, 저장된 콘텐츠를 타겟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이때, 콘텐츠를 이동하는 것은 콘텐츠 타입에 따른 콘텐츠뿐만 아니라 콘텐츠에 포함된 실제 데이터도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주소록인 경우, 주소록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도 이동한다.
여기서, 콘텐츠 이동전의 원래 애플리케이션을 소스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하고, 콘텐츠가 이동될 애플리케이션을 타겟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한다.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이종의 다른 기능을 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애플리케이션은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정보를 포함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이고 타겟 애플리케이션은 장치 내의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로컬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그 반대일 수 있다.
제어부(205)는 콘텐츠가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상에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존재할 시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의 크기를 상기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확장시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임시적으로 저장된 콘텐츠가 타겟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된 후, 제어부(205)는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의 크기는 원래의 크기로 축소시켜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도 2에서는 터치입력 처리부(203) 및 제어부(205)가 별도의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터치입력 처리부(203)가 제어부(205)와 함께 하나의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207)는 플래쉬(Flash) 메모리,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부(205)에 의해 독출되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209)는 사용자 및/또는 사용자의 주변 소리를 전기적 신호 형태로 변환하여,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205)로 출력한다. 스피커(211)는 제어부(205)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 신호를 소리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사용자 입력부 전체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된 형태의 단말 장치를 일 예로 한 경우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따르면, 키-패드(key-pad) 상의 키 입력을 받아, 상기 키 입력을 상기 키 입력에 대응하는 키 코드의 형태로 변환하고, 변환한 키 코드를 제어부(205)로 출력하는 키 입력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또한, 촬영된 화상 이미지를 영상 처리를 거쳐서 디스플레이 가능한 이미지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205)로 출력하는, CMOS 이미지 센서 또는 CCD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의 동작 흐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단말 장치는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S300), 동시에 실행 중인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두 개로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한다(S302). 반면, 단말 장치는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중이었던 애플리케이션을 화면상 전체에 디스플레이한다(S301).
단말 장치는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의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한 경우(S303), 콘텐츠 이동을 위한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를 디스플레이한다(S304). 반면, 단말 장치가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의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 두 개의분할된 화면에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계속하여 디스플레이한다(S302).
단말 장치는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드래그-앤-드롭 동작에 의한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로의 이동에 따라 콘텐츠를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저장하고, 저장된 콘텐츠를 타켓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한다(S305). 이때,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은 또는 카피 앤 페이스트 동작으로 표현될 수 있고, 기타 다른 콘텐츠를 선택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상에 위치시키는 동작으로 사용자 입력 동작 및 입력 동작의 처리 방식에는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 장치는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의 크기를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확대한 후,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콘텐츠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단말 장치는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임시적으로 저장한 콘텐츠를 타겟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시킨 후,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의 크기를 원래의 크기로 축소시킨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단말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4에서는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 포함된 콘텐츠가 이동을 위해 선택되었을 때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가 생성이 되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고, 선택된 콘텐츠가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로 이동되어 임시적으로 저장된 후,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로 이동되는 경우이기 때문에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소스 애플리케이션이 되고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타겟 애플리케이션이 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또한,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가 생성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며, 도 4에서는 애플케이션의 액션 바상에 생성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다. 이때,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의 크기는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확대된 후 콘텐츠를 저장하고, 콘텐츠가 타겟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된 후 확대되기 전의 크기로 축소된다.
또한, 소스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와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는 서로 인접하는 경계면에서 부분적으로 중첩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으로 터치 입력을 수신될 경우, 소스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는 활성화되어 타겟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의 위쪽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타켓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으로 터치 입력을 수신될 경우, 타켓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는 활성화되어 소스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의 위쪽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터치스크린 상에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을 수신하면, 단말 장치는 드래그 시작 시점에 해당하는 소스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에 포함된 콘텐츠를 선택하여(401) 드롭 지점에 해당하는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로 이동한다(402). 이때, 콘텐츠가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서 임계값 시간만큼 유지할 경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는 콘텐츠의 크기만큼 확대된다(403).
단말 장치는 콘텐츠의 크기만큼 확대된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콘텐츠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404). 그리고, 단말 장치는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임시적으로 저장한 콘텐츠를 타켓 애플리케이션의 윈도우로 이동한 후,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의 크기는 콘텐츠가 임시 저장되기 전의 크기로 축소한다(405).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1: 터치 스크린 203: 터치입력 처리부
205: 제어부 207: 저장부
209: 마이크 211: 스피커

Claims (14)

  1. 적어도 두 개의 애플리케이션간 콘텐츠를 이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동시에 실행 중인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두 개로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의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콘텐츠 이동을 위한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드래그-앤-드롭 동작에 의한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콘텐츠를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타겟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동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상에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존재할 시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의 크기를 상기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동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가 상기 타켓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한 후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의 크기를 원래 크기로 축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동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와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구별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동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인접하는 경계면에서 부분적으로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동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은,
    핀치 입력 또는 서로 다른 프로세스 상에서 구동되어 실행중인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표시하는 메뉴바에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이동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 또는 소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 상의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 스크린으로 수신된 터치 입력이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인지 판단하는 터치입력 처리부; 및
    상기 판단 결과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이라고 판단한 경우 동시에 실행 중인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을 두 개로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콘텐츠 선택을 위한 터치 입력이라고 판단한 경우 이동을 위한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드래그-앤-드롭 동작에 의한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에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콘텐츠를 타겟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상에 임계값 이상의 시간 동안 존재할 시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의 크기를 상기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가 상기 타켓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한 후 상기 가상 공간의 클립 보드의 크기를 원래 크기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를 위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와 비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윈도우를 구별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애플리케이션 및 타겟 애플리케이션은,
    서로 인접하는 경계면에서 부분적으로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분할을 위한 터치 입력은,
    핀치 입력 또는 상기 단말 장치에서 서로 다른 프로세스 상에서 구동되어 실행중인 복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표시하는 메뉴바에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는,
    안드로이드 운영 체계를 사용하여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KR1020110044503A 2011-05-12 2011-05-12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122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503A KR101229699B1 (ko) 2011-05-12 2011-05-12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US13/470,485 US20120289290A1 (en) 2011-05-12 2012-05-14 Transferring objects between application windows displayed o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503A KR101229699B1 (ko) 2011-05-12 2011-05-12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410A KR20110063410A (ko) 2011-06-10
KR101229699B1 true KR101229699B1 (ko) 2013-02-05

Family

ID=4439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503A KR101229699B1 (ko) 2011-05-12 2011-05-12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6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81847B (zh) 2012-04-28 2015-06-03 华为终端有限公司 触屏终端对象处理方法及触屏终端
CN104737197B (zh) * 2012-06-29 2019-12-06 高通股份有限公司 经由共享空间共享用户接口对象
CN102832975B (zh) 2012-08-14 2015-03-11 华为终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以及具有触摸显示屏的终端
DE102012107552A1 (de) * 2012-08-17 2014-05-15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Anzeigevorrichtung für Landmaschinen
KR102044829B1 (ko) 2012-09-25 2019-1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분할화면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951228B1 (ko) 2012-10-10 2019-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촬상 방법
KR102083918B1 (ko) 2012-10-10 202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84683B1 (ko) 2012-10-10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3952B1 (ko) 2012-10-10 2020-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61881B1 (ko) 2012-10-10 202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20150212647A1 (en) 2012-10-10 2015-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ad mounte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ontent
KR102083937B1 (ko) 2012-10-10 2020-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툴 제공 방법
EP4213001A1 (en) * 2012-12-06 2023-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366264B2 (en) 2013-08-09 2019-07-30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ntent among devices
KR101531445B1 (ko) * 2013-10-17 2015-06-24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발신 단말과 수신 단말 간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WO2015093665A1 (ko) 2013-12-19 2015-06-25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1510021B1 (ko) 2013-12-19 2015-04-16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15093667A1 (ko) 2013-12-19 2015-06-25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101983411B1 (ko) * 2014-11-26 2019-05-29 전자부품연구원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WO2023221946A1 (zh) * 2022-05-18 2023-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的中转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2660A (ko) * 2008-09-18 201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00121470A (ko) * 2008-02-01 2010-11-1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향상된 창 상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배열
WO2010144331A2 (en) * 2009-06-08 2010-12-1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ultiple display reg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1470A (ko) * 2008-02-01 2010-11-17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향상된 창 상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영역의 배열
KR20100032660A (ko) * 2008-09-18 2010-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동작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0144331A2 (en) * 2009-06-08 2010-12-16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ultiple display reg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410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9699B1 (ko) 애플리케이션 간의 콘텐츠 이동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N106775313B (zh) 分屏操作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102188097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EP3617861A1 (en) Method of displaying graphic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KR10202034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단말에서 홈 화면의 구성 방법 및 장치
CN105373326B (zh) 数据处理***及方法
JP2021508881A (ja) アイコン管理方法及び装置
EP3136214A1 (en) Touch ope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erminal
US20130201139A1 (e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US20140362119A1 (en) One-handed gestures for navigating ui using touch-screen hover events
KR101251761B1 (ko) 어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 장치
US11003328B2 (en) Touch input method through edge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US20120297339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CN107077295A (zh) 一种快速分屏的方法、装置、电子设备、显示界面以及存储介质
US9298364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scree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rong screen control program
CN110502162B (zh) 文件夹的创建方法及终端设备
US201400358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action based on multi touch finger gesture
US10474344B2 (en)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a scrolling screen
US11567725B2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mobile device
KR20140089224A (ko)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디바이스 및 동작 실행 방법
KR20110085189A (ko)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
US937794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5854928B2 (ja) タッチ検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タッチ検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の制御方法
KR102323440B1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70075453A1 (en) Terminal and terminal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