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517B1 -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 Google Patents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517B1
KR101548517B1 KR1020130161338A KR20130161338A KR101548517B1 KR 101548517 B1 KR101548517 B1 KR 101548517B1 KR 1020130161338 A KR1020130161338 A KR 1020130161338A KR 20130161338 A KR20130161338 A KR 20130161338A KR 101548517 B1 KR101548517 B1 KR 101548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essel
reactor pressure
cutting
separating
re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536A (ko
Inventor
현동준
최병선
정관성
이종환
김근호
문제권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5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3/00Pressure vessels; Containment vessels; Containment in general
    • G21C13/0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체 작업의 공정수를 최소화하고 해체기간을 줄이며 방사능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력용기헤드를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차폐벽으로부터 이탈시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Dismantling method for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
본 발명은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체 작업의 공정수를 최소화하고 해체기간을 줄이며 방사능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등의 원자로 시설에서는 운전의 사명을 종료하면 폐지 조치가 취하여진다. 폐지 조치는 계통제염, 안전 저장, 해체 철거의 순으로 행해진다. 해체 철거에서는 내부의 배관이나 기기류를 철거한 후에, 건물을 철거한다. 해체 철거에 있어서는 방사성 물질을 외부에 비산시키지 않을 것, 해체 철거에 종사하는 작업자에의 방사능 노출을 방지할 것이 필요하다. 기기류 중에서는 원자로 시설의 심장부인 원자로 압력용기의 철거가 가장 난제이다.
종래의 해체 공법의 경우, 원자로 차폐벽을 선행 철거해, 그 후, 생체 차폐벽과 원자로 압력 용기의 사이의 간극을 물로 채워, 그 상태로 원자로 압력 용기를 절단 장치에 의해 절단해 반출하지만, 원자로 차폐벽의 철거, 관통공 등의 밀봉 처리, 물의 주입·배출, 등 해체 작업의 공정수가 많아서 해체 기간이 장기화하고 해체 비용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5-003434호
본 발명의 목적은, 해체 작업의 공정수를 최소화하고 해체기간을 줄이며 방사능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력용기헤드를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차폐벽으로부터 이탈시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이다.
분리된 압력용기헤드는 최종단계에서 절단하여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분리된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는,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분리하는 단계에 앞서서 절단 및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분리하는 단계에 선행하여,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 내부로부터 배플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분리된 배플은 절단 및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분리된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는,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차폐벽으로부터 이탈시켜 분리하는 단계에 앞서서 절단 및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분리된 원자로 압력용기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압력용기헤드를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에 앞서서, 원자로 압력용기 측 냉각재 배관을 절단하고 밀봉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의 주위로 밀봉환을 설치하는 단계; 및 원자로 수로에 주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준비단계를 추가적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분리된 압력용기헤드는 원자로격납건물 내의 저장소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어봉가이드튜브 상부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을 매달아 고정하는 단계;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과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어봉가이드튜브 하부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을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을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플의 분리는,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 내부에 배치되는 배플고정볼트의 머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배플을 배플고정볼트의 몸통방향으로 당겨 이탈시켜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배플은 복수의 배플을 겹친 상태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것은, 상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의 하단으로부터 코어배럴의 바닥부까지를 절단하는 단계; 잔여의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절단된 부분을 세절 및 포장하는 단계; 잔여의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의 코어배럴로부터 열차폐부재를 분리하여 세절 및 포장하는 단계; 상기 코어배럴 내부에서 포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코어배럴 내부에서 하부코어플레이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배럴을 하측으로부터 실린더형상으로 잘라 세절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차폐벽으로부터 이탈시켜 분리하는 단계는, 계기안내튜브의 커플링을 제거하는 단계; 및 원자로 압력용기의 냉각재 노즐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는,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의 계기안내튜브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의 바닥반구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바닥반구를 세절하여 포장하는 단계; 및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하측으로부터 실린더형상으로 잘라 세절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압력용기헤드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용기헤드로부터 냉각배플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압력용기헤드로부터 제어봉하우징튜브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상기 압력용기헤드를 세절하여 포장하는 단계; 및 분리된 냉각배플을 세절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차폐벽으로부터 이탈시켜 분리하는 단계에 앞서서, 상기 원자로 수조를 배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밀봉환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 공정에 대한 확실한 지침을 마련하여 해체 작업의 공정수를 최소화하고 해체기간을 줄이며 방사능 노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방호해치를 설치한 원자로격납건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원자로격납건물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원자로격납건물 내 주요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원자로 수조 부분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7은 원자로 압력용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원자로 압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원자로 압력용기의 외부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11은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은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압력용기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압력용기헤드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16은 폴라크레인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핸드레일의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원자로 압력용기의 주위로 밀봉환의 설치전후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20은 차폐벽 주위의 설치공간에 해체 설비를 설치한 모습이다.
도 21은 해체설비의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22는 유압매니플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3 내지 도 26은 엔드이펙터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원자로 압력용기 상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28은 원자로 압력용기의 압력용기헤드에 삼각대를 고정한 모습이다.
도 29는 원자로 압력용기의 압력용기헤드에 고정된 삼각대를 폴라크레인의 크레인후크에 체결한 모습이다.
도 30 및 도 31은 압력용기헤드를 인양하여, 저장대로 이송하는 모습이다.
도 32는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인양하여 턴테이블에 고정시킨 모습이다.
도 33 및 도 34는 턴테이블에 고정된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에서 제어봉가이드튜브 상부를 절단하는 모습이다.
도 35는 집합체 상부원판을 삼각대로 매단 모습이다.
도 36은 턴테이블에 고정된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에서 제어봉가이드튜브 하부를 절단하는 모습이다.
도 37은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을 차폐벽 상부로 이동시키고 임시로 거치한 모습이다.
도 38은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을 절단 및 포장하는 모습이다.
도 39는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을 절단 및 포장하는 모습이다.
도 40은 배플을 고정하는 배플 고정 볼트 머리를 절삭하는 모습이다.
도 41 및 도 42는 배플을 분리하여 이양 및 거치하는 모습이다.
도 43은 배플을 포개어 절단하는 모습이다.
도 44는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인양하여 상기 턴테이블에 고정하는 모습이다.
도 45는 코어배럴의 바닥부를 절단하는 모습이다.
도 46은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인양하여 원자로 압력용기 내에 임시로 거치하는 모습이다.
도 47은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를 절단 및 포장하는 모습이다.
도 48은 원자로 압력용기에 임시로 거치한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인양하여 상기 턴테이블에 고정하는 모습이다.
도 49는 코어배럴의 외벽에 부착된 열차폐부재를 분리하는 모습이다.
도 50은 열차폐부재가 분리된 코어배럴을 원자로 압력용기 내부로 이동시키는 모습이다.
도 51은 열차폐부재를 절단 및 포장하는 모습이다.
도 52는 코어배럴로부터 포머를 분리하는 모습이다.
도 53은 코어배럴의 하부부터 실린더형상으로 절단하는 모습이다.
도 54는 절단된 실린더 형상의 코어배럴의 일부를 절단하는 모습이다.
도 55는 원자로 압력용기의 밀봉환을 제거한 모습이다.
도 56은 원자로 압력용기의 냉각재 노즐을 제거한 모습이다.
도 57은 원자로 압력용기를 인양하는 모습이다.
도 58 및 도 59는 원자로 압력용기의 계기안내튜브를 절단한 전후의 모습이다.
도 60은 원자로 압력용기의 바닥반구를 절단하는 모습이다.
도 61은 바닥반구가 절단된 원자로 압력용기를 차폐벽에 저장한 모습이다.
도 62는 바닥반구를 세절하는 모습이다.
도 63은 원자로 압력용기의 하부부터 실린더형상으로 절단하는 모습이다.
도 64는 실린더형상으로 절단된 원자로 압력용기의 일부를 절단하는 모습이다.
도 65는 압력용기헤드를 인양하여 턴테이블에 고정한 모습이다.
도 66은 압력용기헤드로부터 냉각배플을 분리한 모습이다.
도 67은 압력용기헤드로부터 제어봉하우징튜브를 절단한 모습이다.
도 68은 압력용기헤드를 절단하는 모습이다.
도 69는 냉각배플을 세절하는 모습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순서도에 나타난 바와 같다.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에 앞서서, 원자로 설비 및 원자로 해체를 위한 장치 및 준비과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100은 원자로격납건물을 지시하며, 도 3은 상기 원자로격납건물(100)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상기 원자로격납건물(100) 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 압력용기(112)가 상기 원자로격납건물(100)의 중심부의 차폐벽(114)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차폐벽(114) 주위로 증기발생기(102,104)와 원자로 냉각재펌프(106,108), 가압기(110)가 배치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벽(114)을 둘러싸도록 원자로 수조(115)가 배치된다.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의 상측으로는 핸드레일(130)이 설치되고, 상기 원자로격납건물(100) 상측에는 폴라크레인(105)이 배치된다. 상기 원자로 격납건물(100)에 포함되는 장비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대상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112)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는 내부에 코어배럴(154)이 내장되고, 상측에는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140) 및 압력용기헤드(136)가 장착된다.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원자로 압력용기(112)만의 외관사시도이며, 상측에 냉각재 노즐(168)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는 계기안내튜브(170) 다발이 설치된다.
도 11에는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의 내부모습을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그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하부내부구조물 집합체는 몸체를 이루는 코어배럴(154)과, 상기 코어배럴(154)의 외측에 배치되는 열차폐부재(162), 상기 코어배럴(154) 내부에 포머(164)에 의해 장착되는 배플(152)과, 상기 코어배럴(154) 하부측의 하부코어플레이트(165)와, 상기 코어배럴(154)의 하부로 돌출되는 노심지지 구조물 집합체(160)를 포함한다.
도 13에는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140)의 사시도가 도시된다.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140)는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146)과,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146)과 이격배치되는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150)과, 양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146)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어봉가이드튜브(142,148)를 포함한다.
도 14에는 상기 압력용기헤드(136)가 도시되며, 도 15에는 그 부분절개사시도가 도시된다. 상기 압력용기헤드(136)는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제어봉하우징튜브(178)과, 상기 압력용기헤드(136)의 상부에서 상기 제어봉하우징튜브(178)을 포위하는 냉각배플(176)을 포함한다.
도 16은 원자로격납건물(100) 내에 설치되는 폴라크레인(105)이 도시되며, 상기 폴라크레인(105)에는 상기 폴라크레인(105)에서 지름방향으로 이동하는 권선부(107), 그리고 상기 권선부(107)에 매달려 상승 및 하강하는 크레인후크(134)이 설치된다.
도 17은 다양한 장비를 설치할 수 있는 핸드레일(130)이다. 상기 핸드레일(130)에는 핸드이송부(137)이 배치된다.
원자로 해체를 위한 준비단계는 다음과 같다. 원자로 영구 가동정지 후 핵연료와 제어봉 구동장치가 제거되고 원자로 용기 헤드를 다시 장착하여 원자로 및 원자로냉각재 계통을 밀봉한다. 이 후 5년간 방치하여 해체 절차를 준비하고 핵심설비의 방사선 재고량이 자연감소 되도록하고 핵심설비 해체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원자로냉각재 계통에 대해 제염 작업을 완료하고 원자로냉각재 계통을 배수하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격납건물(100)의 건물벽체(101)를 절개하여 방호해치(103)를 설치한다.
따라서, 해체절차 준비단계가 완료되면 방사선 재고량은 핵연료 제거 후 5년간 자연감소하고 제염을 통해 90% 이상의 제염계수를 보이는 상태이다. 원자로격납건물(100) 내 폴라크레인(polar crane)(105)과 핸드레일(hand rail)(130)이 정상 동작하고 전기와 용수 공급에 문제가 없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에 따라 원자로 압력용기(112)의 해체를 개시한다.
먼저, 원자로 압력용기(112) 측의 냉각재 배관 절단 및 밀봉을 실시한다(S1) 증기발생기(102,104) 제거 후 원자로 압력용기(112)를 해체하기 위해 원자로 용기 측 냉각재 배관을 절단하고 원자로 수조(115)에 주수할 경우 물이 새지 않도록 절단된 배관을 밀봉한다. 냉각재 배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벽(114)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폐벽(114) 외측에서 냉각재 배관을 절단하고, 이 때 형성된 배관의 끝 부분에 원판을 용접하여 물이 새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와 상기 차폐벽(114)의 사이에 밀봉환(116)을 도 19와 같이 설치한다(S2).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와 상기 차폐벽(114)의 사이에는 갭이 존재하며, 상기 밀봉환(116)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원자로 수조(115)에 주수하기 전에 물이 새지 않게 된다. 밀봉환(116)을 설치하면 이후에 수행되는 수조 내 해체설비 장착 작업시 작업자의 피폭을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밀봉환(116)의 설치작업은 기존에 핵연료 재장전 절차에서 작업자가 투입되는 작업 중 단위 시간 당 작업자 피폭량이 가장 큰 작업이나 해체 절차에서는 핵연료가 이미 제거된 상황이고 5년의 방치기간이 지난 후이므로 상대적으로 작업자 피폭량이 현저히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밀봉환(116)이 설치되면, 상기 차폐벽(114) 주위의 설치공간(118)에 해체 설비를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한다(S3). 해체 설비를 설치할 때에도 작업자가 투입되며 밀봉환(116) 설치 작업 다음으로 작업자 피폭이 가장 우려되는 작업이다. 작업자의 피폭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체 설비를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며 설치 대상은 턴테이블(turntable)(126)과 띠톱(band saw)(124)과 원형톱(circular saw)(120)이다. 추가적으로 폐기물 저장용기(122)가 배치치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126)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조(fastening jaw)(129)와,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127)을 가진다. 상기 띠톱(124)는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여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원형톱(120)은 톱디스크(121)와, 상기 톱디스크(121)가 장착되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수평테이블(123)과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톱리프트(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자로격납건물(100)에는 유압매니플레이터(144)가 설치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는 3자유도(상하운동 및 평면운동)를 가지며, 리스트(145)에 도 23 내지 도 26과 같은 다양한 엔드이펙터(147,149,151,153)를 교체하여 사용한다.
도 23에 도시된 엔드이펙터(147)은 엔드밀로써 볼트의 헤드를 절삭하는 등의 미세절삭작업에 사용된다. 도 24에 도시된 엔드이펙터(149)는 워터젯이며 절단 작업 등에 활용된다. 그리고, 도 25에 도시된 엔드이펙터(151)는 유압커터이고, 도 26에 도시된 엔드이펙터(153)은 그리퍼이다.
상술한 해체 장비 자체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용기헤드(136)와 원자로 압력용기(112)를 연결하는 체결볼트(128)를 제거한다.
다음으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용기헤드(136)를 인양하도록 삼각대(132)를 상기 압력용기헤드(136)와 일체로 고정한다(S4). 상기 삼각대(132)의 다리를 상기 압력용기헤드(136)에 형성되는 설치고리에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삼각대(132)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라크레인(105)의 권상부(107)에 매달리는 크레인후크(134)에 체결될 수 있다(S5). 따라서, 상기 크레인후크(134)는 상기 폴라크레인(105)과 권상부(107)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원자로격납건물(100) 공간 내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 모두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원자로 수조(115)에 주수(注水)를 시작한다(S6). 압력용기헤드(136)를 원자로 압력용기(112)에서 완전히 분리하기 전에 원자로 수조(115)에 주수를 시작하여 원자로용기에 물을 채움으로써 원자로 압력용기(112)에서 방사되는 방사선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압력용기헤드(136)를 도 30 및 도 31과 같이 인양하여, 저장대(138)로 이송한다(S7). 상기 압력용기헤드(136)는 방사화 정도가 심하지 않아 핵연료 재장전 절차에서도 공기 중의 지정된 장소에 방치되었으므로 해체절차에서도 마찬가지로 도 31과 같이 지정된 저장대(138)에 임시로 방치한다. 물론, 먼저 해체하거나 이하의 해체 단계 중 임의로 단계 후에 해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원자로 수조(115)에 주수를 완료한다(S8). 이 결과,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원자로격납건물(100)의 최상층 플로워에서 작업자가 원활히 작업할 수 있도록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삼각대(132)와 상기 폴라크레인(105)으로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140)를 인양하여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시킨다(S9).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140)는 서로 이격된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146)과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150) 사이에 복수의 제어봉가이드튜브(control rod guide tube) 하부(148)로 연결한 형태이며, 상기 제어봉가이드튜브 하부(148)는 상기 상부원판(146)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어봉가이드튜브 상부(142)와 일체로 연결되어 하나의 관체를 이룬다.
먼저,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된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140)에서 상기 상부원판(146)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어봉가이드튜브상부(142)를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매니플레이터(144)에 유압커터인 엔드이펙터(151)를 장착하여 절단하여 포장한다(S10).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는 벽고정 크레인(미도시)으로 적정한 장소(원자로 수조 벽체 등)에 이동한 후 벽면에 진공 흡착장비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상기 벽면에 고정된 유압매니플레이터(144)의 작업영역이 제한되므로 상기 턴테이블(126)을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의 작업영역 안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에 의해 절단된 튜브는 완전히 절단되기 전에 상기 벽고정 크레인의 그립퍼인 엔드이펙터(153)으로 잡아 완전히 절단된 후 폐기물 저장용기(122)로 이송하여 포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봉가이드튜브 하부(148)를 절단하여 포장한다(S11). 이를 위해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146)을 상기 삼각대(132)에 체결하고(도 35 참조) 이를 상기 폴라크레인(105)에 연결하여 상기 제어봉가이드튜브 하부(148)를 다 절단하더라도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146)이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에 유압커터인 엔드이펙터(151)를 장착하여 상기 제어봉가이드튜브 하부(148)를 가능한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146)과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150)에 가까운 위치에서 절단하고 절단된 튜브 다발을 다시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여 폐기물 저장용기(122)로 이송한다(도 36 참조). 이 작업에서도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의 작업 영역 내로 상기 턴테이블(126)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146)을 임시로 저장한다(S12). 제어봉가이드튜브가 모두 제거되면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146)은 상기 크레인후크(134)에 매달려 있으므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라크레인(105)를 작동하여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146)을 차폐벽(114) 상부와 같이 상기 원자로 수조(115) 내의 빈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임시로 거치한다.
이 후,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126)에 이미 고정되어 있는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150)을 절단 및 포장한다(S13). 이때,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된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15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크레인후크(134)로 매달아 올려 수직 상태로 한 후 상기 턴테이블(150)의 고정조(129) 또는 추가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150)을 고정한다. 수직상태로 고정된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150)을 상기 턴테이블(126)의 이송기능을 이용하여 폐기물 포장용기(122)의 폭에 맞추어 상기 띠톱(124)으로 절단한다. 절단이 완료되기 전에 절단될 조각을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에 엔드이펙터(153)로 고정하여 절단이 완료된 후에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게 들어 올려 폐기물 포장용기(122)로 이송하여 포장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146)을 절단 및 포장한다(S14). S11 단계에서 임시로 저장하였던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146)을 상기 크레인후크(134)로 다시 들어 올려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150)와 같은 방법으로 절단하고 포장한다(도 39 참조).
다음으로, 배플(Baffle)(152)을 고정하는 배플 고정 볼트 머리(미도시)를 절삭한다(S15). 상기 배플(152)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배플(152)을 코어배럴(core barrel)(154)의 포머(former)(164)에 고정시키는 볼트의 머리를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매니플레이터(144)에 엔드밀인 엔드이펙터(147)를 장착하여 절삭한다.
그리고, 상기 배플(152)을 분리하여 인양한다(S16). 배플 고정 볼트의 머리를 제거하더라도 배플 고정 볼트의 몸통이 남아 있으므로 상기 배플(152)을 수직으로 들어올릴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에 그리퍼인 엔드이펙터(153)로 상기 배플(152)을 수평하게 잡아당긴 후 상기 배플(152)이 상기 포머(164)에서 분리되면 인양하여 상기 원자로 수조(115) 내의 빈 공간으로 임시로 거치한다(도 41 및 42 참조).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플(152)의 분리 및 임시 거치가 완료된 후, 거치된 배플(152)은 절단하여 포장한다(S17). 상기 배플(152)은 수량이 많고 두께가 얇으므로 여러 장을 함께 겹쳐서 상기 띠톱(124)로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절단 작업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상기 턴테이블(126)의 고정조(129)에 복수매의 배플(152)을 적층하여 고정한 후 띠톱(124)을 이용하여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후 폐기물 포장용기(122)에 수납한다.
다음으로,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인양하여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한다(S18). 상기 크레인후크(134)로 상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154)를 인양하여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154)의 하측에 배치되는 노심지지 구조물 집합체(156)를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한다.
그리고,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구성하는 코어배럴(154)의 바닥부(158)를 절단한다(S19). 노심지지 구조물 집합체(160)는 사각형 블록으로 상기 턴테이블(126)의 고정조(129)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으므로 견고하게 절단 대상물이 지지되어야 하는 원형톱(120)으로는 절단할 수 없고 연마 워터젯(abrasive waterjet)으로 절단해야 한다. 이 때, 상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는 여전히 폴라크레인(105)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턴테이블(126)을 회전시키면서 코어배럴(154)의 바닥부를 절단한다. 이 결과, 코어배럴(154)의 바닥부(158)와 상기 바닥부(158)와 일체인 노심지지 구조물 집합체(160)로 이루어지는 상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156)만이 상기 턴테이블(126)에 남게 된다.
그리고, 노심지지 구조물 집합체(156)를 제외한 상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인양하여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 내에 임시로 거치한다(S20). 상기 노심지지 구조물 집합체(156)를 해체하는 동안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가 계속 위에 남아 있으면 해체 작업에 방해가 되고 크레인을 사용할 수 없는 조건이 되므로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다른 장소에 임시로 거치해야 하는데 이때 가장 적합한 장소가 원래 고정되어 있던 원자로 압력용기(112)이다. 따라서 절단된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다시 원자로 압력용기(112) 안으로 이송한다(도 46 참조).
다음으로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된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156)를 절단 및 포장한다(S21).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되고 남은 코어배럴(154)의 바닥부(158)와 노심지지 구조물 집합체(160)는 앞서 절단한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140)와 같이 두 개의 판 사이에 튜브 다발이 관통되어 있는 형상이다. 따라서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바닥부(158)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튜브 다발을 유압매니플레이터(144)에 유압커터를 엔드이펙터(153)로 장착하여 절단한다. 이 때, 상기 바닥부(158)를 상기 크레인후크(134)에 매단 후 두 판 사이의 튜브 다발을 절단한다. 상기 턴테이블(126)을 회전시켜 매니플레이터의 작업영역 안에 남아 있는 튜브다발이 들어가도록 하여 모든 튜브 다발을 절단하고 절단된 튜브 다발을 폐기물 저장용기(122)에 넣으면 상기 바닥부(158)는 크레인에 매달려 있고(도 47에서는 크레인후크가 생략됨), 노심지지 구조물 집합체 하판은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된 형태가 된다. 상기 바닥부(158)를 빈 공간에 임시로 거치한 후 노심지지 구조물 집합체 하판을 유압매니플레이터에 워터젯노즐인 엔드이펙터(149)를 장착하여 절단한다. 노심지지 구조물 집합체 하판을 절단하여 절단 조각을 폐기물 저장용기(122)에 수납하고,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되어 있는 최하단 블록과 네 개의 기둥은 절단하지 않아도 폐기물 저장용기(122)에 수납 가능하므로 그대로 포장한다.
그리고,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에 임시로 거치한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인양하여 상기 턴테이블(126)의 고정조(129)에 고정한다(S22).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된 코어배럴(154)의 외벽에 부착된 열차폐부재(thermal shield)(162)를 분리한다(S23). 상기 열차폐부재(162)는 상기 코어배럴(154)에 볼트로 바깥쪽에서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코어배럴(154)의 바깥쪽에서 접근하여 유압매니플레이터에 엔드밀인 엔드이펙터(147)로 볼트머리를 절삭한다. 그리고, 상기 열차폐부재(162)를 그립퍼인 엔드이펙터(151)로 잡아당겨 상기 코어배럴(154)로부터 분리하여 빈공간에 적재한다(도 49 참조). 그리고,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차폐부재(162)가 분리된 코어배럴(154)은 다시 원자로 압력용기(112) 내부로 이동시킨다.
적재된 상기 열차폐부재(162)를 상기 턴테이블(126)로 이동하여 절단 및 포장을 수행한다(S24). 상기 열차폐부재(162)는 상기 턴테이블(126)의 고정조(129)로 고정하여 상기 띠톱(124)로 폐기물 저장용기(122)의 크기에 맞추어 절단한다. 절단된 열차폐부재(162)를 유압매니플레이터(144)를 이용하여 폐기물 저장용기(122)로 이송하여 포장한다(도 51 참조).
이후,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자로 압력용기(122) 내에 임시로 거치된 코어배럴(154)은 상기 턴테이블(126)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코어배럴(154)에서 포머(former)(164)를 분리한다(S25). 상기 배플(152)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포머(154)는 상기 코어배럴(154)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볼트는 코어배럴(154) 바깥쪽에서 고정한다. 상기 열차폐부재(162)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고정볼트의 머리를 유압매니플레이터(144)로 절삭하고, 엔드이펙터(151)를 장착한 유압매니플레이터(144)를 상기 코어배럴(154) 내부로 삽입하여 포머(164)를 상기 코어배럴(154)로부터 분리하여 폐기물 저장용기(122)로 이송한다. 상기 포머(164)는 크기가 작으므로 별도의 절단 작업 없이 바로 폐기물 저장용기에 수납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코어배럴(154)로부터 하부코어플레이트(Lower core plate)(165)를 절단 및 포장한다(S26). 상기 포머(164)를 제거하면 상기 하부코어플레이트(165)를 상기 코어배럴(154)로부터 분리하여 인양할 수 있으므로 앞서 수행한 원판 절단과 같은 방법으로 띠톱(124)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폐기물 저장용기(122)에 포장한다.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배럴(154)을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하고, 상기 크레인후크(134)에 매달린 상태를 유지한 후, 원형톱(120)을 이용하여 코어배럴(154)의 실린더바디(166)를 하부부터 절단한다(S27).
절단이 완료된 후 상기 크레인에 매달린 상기 코어배럴(154) 상부를 약간 들어 올리고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된 실린더바디(166)를 상기 띠톱(124)의 절단위치로 이동하여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을 개시한다(S28). 절단된 조각은 폐기물 저장용기(122)에 포장한다. 이 때, 절단이 완료되기 전에 절단될 조각을 유압매니플레이터(144)의 그립퍼인 엔드이펙터(151)에 고정하고 절단이 완료되면 상기 폐기물 저장용기(122)로 이송하여 포장한다.
다음으로, 원자로 압력용기(122)를 인양하기 위해서는 원자로 수조(115)를 배수하고 밀봉환(116)을 제거한다(S29). 밀봉환(116)을 제거한 모습은 도 55에 도시된다.
원자로 수조(115) 배수 후 현재까지 해체 절차에 의해 발생하고 회수되지 못한 2차 폐기물을 수거하고 수처리 장비를 회수한다(S30).
그리고, 계기안내튜브(Instrument guide tube)(170) 다발의 커플링을 분리한다(S31).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 하부에 계기안내튜브(170) 다발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자로 압력용기(112)를 인양하기 전에 분리한다(S31). 원자로 압력용기(112)는 차폐벽(114)으로 둘러싸여 있으나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향으로는 작업자가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원자로 압력용기(112)에 근접하여 계기안내튜브(170)을 절단할 수 없기 때문에 계기안내튜브(170) 다발이 차폐벽(114) 외부로 돌출되는 곳에 커플링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커플링(미도시)을 분리한다. 이 커플링이 분리되면 원자로 용기를 인양할 때 남아있는 계기안내튜브(170) 다발이 따라 올라오기는 하지만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원자로 압력용기(112)의 인양은 가능하다.
또, 원자로 압력용기(112)를 인양하기 위해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의 냉각재 노즐(168)을 절단한다(S32).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의 냉각재 노즐(168)은 차폐벽(114)에 가려져 있어 외부에서 접근이 불가능하므로 원자로 압력용기(112) 내부로 워터젯을 장착한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을 삽입하여 상기 냉각재 노즐(162)을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의 내벽면으로부터 절단한다(도 56 참조).
그리고,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를 인양한다. 원자로용기의 고정 브라켓에서 고정구를 분리한 후 원자로용기를 인양한다(S33).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22)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계기안내튜브(170)를 도 58 및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및 포장한다(S34). 원자로 압력용기(112)를 인양하면 상기 계기안내튜브(170) 다발이 함께 올라오기 때문에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에 유압커터를 장착하여 상기 계기안내튜브(170)를 바깥쪽에서 절단하고 절단된 튜브 다발을 폐기물 저장용기(122)로 이송하여 포장한다.
그리고,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기안내튜브(170) 다발이 절단되면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의 하부에 있는 바닥반구(172)를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한 후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에 워터젯을 장착하여 상기 턴테이블(126)을 회전시키며 절단을 수행한다(S35). 그리고,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를 상기 차폐벽(114) 중앙의 제자리에 임시로 거치시킨다.
이후,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112)의 바닥반구(172)는 곡률이 있어서 띠톱(124)으로는 절단작업이 어려우므로, 워터젯을 장착한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으로 절단 작업이 수행한다. 상기 바닥반구(172)를 세절하고, 상기 그립퍼를 사용하여 폐기물 저장용기(122)로 이송하고 포장한다(S36).
상기 바닥반구(172)의 절단이 완료되면,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남은 원통 형상의 원자로 압력용기(112)를 상기 턴테이블(126)에 고정하고, 상기 코어배럴(154)의 절단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원형톱(120)과 턴테이블(126)을 이용하여 실린더형상의 실린더바디(174)로 절단작업을 수행한다(S37).
그리고,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배럴(154)의 세절과 마찬가지로 상기 띠톱(124)과 상기 턴테이블(126)을 이용하여 상기 실린더바디(174)를 세절하고 포장한다(S38).
원자로 압력용기(112)의 세절 및 포장이 완료되면,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로 거치해 두었던 압력용기헤드(136)를 상기 폴라크레인(105)으로 인양하여 상기 턴테이블(126)으로 이송하고 고정한다. 그리고,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용기헤드(136)의 냉각배플(176)을 분리하여 임시로 거치한다(S39). 상기 냉각배플(176)은 단순한 형상이나 주변에 장애물이 많고 원형톱(120)이 접근하기 힘든 위치에 있으므로 워터젯을 이용하여 절단하며 절단 후 크레인후크(134)을 이용하여 빈 공간(예를 들어 차단벽(114) 상측)에 임시로 거치한다..
그리고,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용기헤드(136)에 고정된 제어봉하우징튜브(178) 다발을 상기 유압매니플레이터(144)에 장착된 유압커터인 엔드이펙터(153)으로 절단한다(S40). 제어봉하우징튜브(178) 절단은 앞서 튜브류 절단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고 포장한다.
상기 압력용기헤드(136)를 상부에서 보았을 때 중심부 상측을 워터젯을 사용하여 원형으로 절단한다. 절단된 조각은 원판 또는 바닥반구와 같은 과정으로 세절 및 포장한다. 그리고, 중심부 상측이 제거된 압력용기헤드(136)는 원통과 비슷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띠톱(124)으로 세절하고 폐기물 저장용기에 포장한다(S41)
상기 압력용기헤드(136)의 해체를 완료하면, 도 6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 거치해 두었던 상기 냉각배플(176)을 상기 턴테이블(126)로 이송하여 고정한 후에 상기 띠톱(124)으로 세절하고 폐기물 저장용기(122)에 포장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원자로격납건물 101: 건물벽체
102,104: 증기발생기 103: 방호해치
105: 폴라크레인 106,108: 원자로 냉각재펌프
107: 권상부 110: 가압기
112: 원자로 압력용기 114: 차폐벽
115: 원자로 수조 116: 밀봉환
120: 원형톱 121: 톱디스크
122: 폐기물 저장용기 123: 수평테이블
124: 띠톱 125: 톱리프트
126; 턴테이블 127: 가이드레일
128: 체결볼트 129: 고정조
130: 핸드레일 132: 삼각대
134: 크레인후크 136: 압력용기헤드
137: 핸드이송부 138: 저장대
140: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142: 제어봉가이드튜브 상부
144: 유압매니플레이터 145: 리스트
146: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 148: 제어봉가이드튜브 하부
147,149,151,153: 엔드이펙터
150: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
152: 배플 154: 코어배럴
156: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 158: 바닥부
160: 노심지지 구조물 집합체 162: 열차폐부재
164: 포머 165: 하부코어플레이트
166: 실린더바디 168: 냉각재 노즐
170: 계기안내튜브 172: 바닥반구
174: 실린더바디 176: 냉각배플
178: 제어봉하우징튜브

Claims (17)

  1. 원자로 압력용기 측 냉각재 배관을 절단하고 밀봉하는 단계와,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의 주위로 밀봉환을 설치하는 단계와, 원자로 수로에 주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준비단계;
    압력용기헤드를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차폐벽으로부터 이탈시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된 압력용기헤드는 최종단계에서 절단하여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된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는,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분리하는 단계에 앞서서 절단 및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분리하는 단계에 선행하여,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 내부로부터 배플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분리된 배플은 절단 및 포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된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는,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차폐벽으로부터 이탈시켜 분리하는 단계에 앞서서 절단 및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된 원자로 압력용기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분리된 압력용기헤드는 원자로격납건물 내의 저장소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분리하는 단계는,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어봉가이드튜브 상부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을 매달아 고정하는 단계;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과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 사이에 위치하는 제어봉가이드튜브 하부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하부원판을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내부구조물 집합체 상부원판을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분리는,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 내부에 배치되는 배플고정볼트의 머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배플을 배플고정볼트의 몸통방향으로 당겨 이탈시켜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로부터 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복수의 배플을 겹친 상태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것은,
    상기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의 하단으로부터 코어배럴의 바닥부까지를 절단하는 단계;
    잔여의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절단된 부분을 세절 및 포장하는 단계;
    잔여의 하부 내부구조물 집합체의 코어배럴로부터 열차폐부재를 분리하여 세절 및 포장하는 단계;
    상기 코어배럴 내부에서 포머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코어배럴 내부에서 하부코어플레이트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코어배럴을 하측으로부터 실린더형상으로 잘라 세절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차폐벽으로부터 이탈시켜 분리하는 단계는,
    계기안내튜브의 커플링을 제거하는 단계; 및
    원자로 압력용기의 냉각재 노즐을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는,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의 계기안내튜브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의 바닥반구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바닥반구를 세절하여 포장하는 단계; 및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하측으로부터 실린더형상으로 잘라 세절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용기헤드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용기헤드로부터 냉각배플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압력용기헤드로부터 제어봉하우징튜브를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
    상기 압력용기헤드를 세절하여 포장하는 단계; 및
    분리된 냉각배플을 세절하여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자로 압력용기를 차폐벽으로부터 이탈시켜 분리하는 단계에 앞서서, 상기 원자로 수조를 배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밀봉환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KR1020130161338A 2013-12-23 2013-12-23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KR101548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38A KR101548517B1 (ko) 2013-12-23 2013-12-23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338A KR101548517B1 (ko) 2013-12-23 2013-12-23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536A KR20150073536A (ko) 2015-07-01
KR101548517B1 true KR101548517B1 (ko) 2015-09-01

Family

ID=5378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338A KR101548517B1 (ko) 2013-12-23 2013-12-23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8514A1 (en) * 2019-01-18 2022-03-03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Aparatus and method for dismantling for heavy water reactor faciliti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198B1 (ko) * 2017-12-19 2019-10-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원자로 내부 구조물의 이송 장치
EP3776596B1 (en) * 2018-04-13 2023-09-13 Framatome Inc. Method and device for replacing sleeves lining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 tubes
KR102178921B1 (ko) 2019-03-08 2020-11-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자력 시설의 해체 방법
KR102487513B1 (ko) * 2022-05-11 2023-01-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로 내부 구조물 해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149A (ja) * 2002-08-09 2004-03-11 Shimizu Corp 原子炉撤去工法
JP2012093181A (ja) 2010-10-26 2012-05-17 Toshiba Corp 原子炉圧力容器の解体方法及び解体装置
JP2013249595A (ja) 2012-05-30 2013-12-12 Shimizu Corp 原子炉格納容器内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解体方法及び原子炉格納容器内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解体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149A (ja) * 2002-08-09 2004-03-11 Shimizu Corp 原子炉撤去工法
JP2012093181A (ja) 2010-10-26 2012-05-17 Toshiba Corp 原子炉圧力容器の解体方法及び解体装置
JP2013249595A (ja) 2012-05-30 2013-12-12 Shimizu Corp 原子炉格納容器内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解体方法及び原子炉格納容器内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解体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68514A1 (en) * 2019-01-18 2022-03-03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Aparatus and method for dismantling for heavy water reactor faciliti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536A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517B1 (ko) 원자로 압력용기 해체방법
US4090087A (en) Radiation shield for nuclear reactors
KR101509374B1 (ko) 방사선 차폐 방법 및 장치 및 구조체의 처리 방법
JP5981324B2 (ja) 原子力プラントにおける核燃料物質取り出し方法
JP4850214B2 (ja) 炉内構造物の搬出方法
JP6442137B2 (ja) 原子炉機器搬出又は燃料デブリ搬出方法及び作業ハウス
KR20150004418A (ko) 핵원자로의 연료 재장전 방법
JPH08240693A (ja) 原子炉圧力容器内構造物の撤去方法および切断方法
JP6338446B2 (ja) 燃料デブリ取り出し装置及び燃料デブリの取り出し方法
JP4256349B2 (ja) 原子炉の解体および撤去装置、並びに解体および撤去方法
JP2000206294A (ja) 大型機器の搬出方法
JP6360458B2 (ja) 燃料デブリの取出し方法
JP2019032240A (ja) 原子炉圧力容器の解体工法
JP2015049060A (ja) 沸騰水型原子力プラントにおける燃料デブリ搬出装置及び搬出方法
JP4055157B2 (ja) 原子炉圧力容器交換方法
EP1209693A1 (en) Method of carrying equipment out of nuclear power plant
KR102027198B1 (ko) 원자로 내부 구조물의 이송 장치
JP2016035439A (ja) 破損した原子炉炉心の解体方法
JP6446370B2 (ja) 原子力発電所の原子炉から1つまたは複数の放射性を帯びた部品を処分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088492B2 (ja) 炉内構造物の収納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保管容器
JP2011090011A (ja) 炉内構造物の搬出方法
JP2019012018A (ja) シュラウドヘッドの移動方法
JPH06102398A (ja) 原子炉圧力容器の廃炉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4264206A (ja) 配管切断工具と炉内構造物の搬出方法および搬出装置
JP6301764B2 (ja) 原子力機器の搬出方法及びその搬出装置並びに燃料デブリの取り出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