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800B1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800B1
KR101545800B1 KR1020137028969A KR20137028969A KR101545800B1 KR 101545800 B1 KR101545800 B1 KR 101545800B1 KR 1020137028969 A KR1020137028969 A KR 1020137028969A KR 20137028969 A KR20137028969 A KR 20137028969A KR 101545800 B1 KR101545800 B1 KR 101545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hoistway
elevator
side position
position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469A (ko
Inventor
도시노부 가와무라
도루 미스
도루 고야마
쇼타로 모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9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92Position or motion detectors or driving means for the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승강로에는, 복수의 승강로측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승강로측 플레이트를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가 탑재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가 탑재되어 있다. 추가로, 승강로에는,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를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는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 및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DEVICE}
본 발명은 복수의 플레이트와, 이러한 플레이트를 검출하는 비접촉식의 위치 검출기의 조합(組合)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복수의 수평인 암(arm)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승강로 내에 설치되어 있다. 각 암에는, 플레이트가 3 개씩 장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플레이트를 검출하는 6개의 위치 검출기가 탑재되어 있다. 암에 대한 플레이트의 설치 위치는, 암마다 차이가 있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상하 방향의 위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위치 검출기의 조합에 의해 플레이트가 검출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특개평 5-338949호 공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 장치에서는, 위치 검출기 및 플레이트가 수평 방향으로 6열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승강로 내의 수평 방향의 평면 레이아웃에서 차지하는 기기 스페이스가 커서, 승강로를 공간 절약화하는 것과 같은 요구에 충분히 대응할 수 없다. 또, 설치시의 플레이트와 위치 검출기의 위치 조정에 관한 작업성이 매우 나쁘다. 이에 더하여, 예를 들면 위치 검출기 중 어느 1개가 OFF 고장났을 경우에, 고장의 판별이 어렵고, 엘리베이터 칸의 비상 정지로 이를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하여 승강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고장의 판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승강로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승강로측 플레이트,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승강로측 플레이트를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승강로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를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 및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 및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복수의 승강로측 플레이트를 승강로에 설치함과 아울러, 승강로측 플레이트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를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하고, 추가로,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를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를 검출하는 복수의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를 승강로에 설치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승강로측의 기기의 설치열수를 저감시키면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 및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의 정합성으로부터 고장 검출기의 특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하여 승강로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고장의 판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를 일부 블록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동기화·부호화 처리 회로에서 이용되는 테이블 패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도 4의 동기화·부호화 처리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를 이용한 종단층 감속 제어에 있어서의 과속도 검출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구동장치)(3), 디플렉터 시브(deflector sheave)(4) 및 운행 제어 장치(제어반)(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구동 시브(6)와, 구동 시브(6)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와, 구동 시브(6)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전자 브레이크)를 가지고 있다.
구동 시브(6) 및 디플렉터 시브(4)에는, 현가 수단(7)이 감겨 있다. 현가 수단(7)으로서는, 복수 개의 로프(rope) 또는 복수 개의 벨트(belt)가 이용되어 있다. 현가 수단(7)의 제1 단부(端部)에는, 엘리베이터 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 수단(7)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counterweight)(9)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8) 및 균형추(9)는, 현가 수단(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 있고, 권상기(3)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운행 제어 장치(5)는 권상기(3)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8)의 운행을 제어한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guide rail)(10)과,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11)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저부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로 저부로의 충돌을 완충하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2)와, 균형추(9)의 승강로 저부로의 충돌을 완충하는 균형추 완충기(13)가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를 일부 블록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기계실(2)에는 운행 제어 장치(5)로부터 독립된 위치 검출 전용반(21)이 설치되어 있다. 운행 제어 장치(5)에는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전용반(21)에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는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에 접속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 종단층 부근에는, 복수의 상부 승강로측 플레이트(22)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하부 종단층 부근에는, 복수의 하부 승강로측 플레이트(23)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측 플레이트(22, 23)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 방향에 평행한 제1 직선을 따라서 1열로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에는, 승강로측 플레이트(22, 23)를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TSC)(24)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로서는, 예를 들면, 홈 내에 승강로측 플레이트(22, 23)가 진입하는 것에 의한 자속의 변화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식 검출기가 이용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의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의 근방에는,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25)가 탑재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25)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상부 승강로측 플레이트(22)의 근방에는,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25)를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상부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의 중간측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0U ~ 8U, USR의 10개의 상부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가 이용되어 있다.
승강로(1)의 하부 승강로측 플레이트(23)의 근방에는,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25)를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하부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7)가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로(1)의 중간측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0D ~ 8D, DSR의 10개의 하부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7)가 이용되어 있다.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로서는, 예를 들면, 홈 내에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25)가 진입하는 것에 의한 자속의 변화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자기식 검출기가 이용되어 있다.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는 제1 직선에 평행한 제2 직선을 따라서 1열로 배치되어 있다. 즉, 승강로벽에는, 승강로측 플레이트(22, 23)와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가, 좌우에 나란하게 1열씩, 합계 2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칸(8)에는,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가 승강로측 플레이트(22, 23)에 대향하도록,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25)가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에 대향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상에는, 엘리베이터 칸 상 정션 박스(junction box)(28)가 탑재되어 있다. 승강로(1)에는, 제1 및 제2 중간 정션 박스(29, 30)와, 전용 정션 박스(31)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과 제1 중간 정션 박스(29)의 사이에는, 가요성(可撓性)의 제어 케이블(32)이 접속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기계실 정션 박스(33)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엘리베이터 칸 상 정션 박스(28)에 입력되고, 제어 케이블(32), 제1 중간 정션 박스(29) 및 기계실 정션 박스(33)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에 보내진다.
상부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기계실 정션 박스(33)에 입력되고,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에 보내진다. 하부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7)로부터의 검출 신호는 전용 정션 박스(31)에 입력되고, 제2 중간 정션 박스(30) 및 기계실 정션 박스(33)를 통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에 보내진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는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에 의해 승강로측 플레이트(22, 23)가 검출되면, 엘리베이터 칸(8)이 상부 또는 하부 종단층으로 진입했다고 판단한다. 또,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는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25)가 검출되면, 엘리베이터 칸(8)이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작동점에 이르렀다고 판단한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작동점의 수(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의 개수)는, 엘리베이터 칸(8)의 정격 속도 및 가감속도로부터 구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편의상 승강로(1)의 상부에 10점, 하부에도 10점으로 하고 있다.
도 3은 도 2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는 입력 회로(34), 동기화·부호화 처리 회로(35), 출력 회로(36) 및 전원 회로(37)를 가지고 있다.
위치 검출기(24, 26, 27)로부터의 접점 출력 TSC, 0U ~ 8U, USR, 0D ~ 8D, DSR의 합계 21점은, 입력 회로(34)에서 내부의 저전압 회로와 절연되어, 동기화·부호화 처리 회로(35)에 입력된다.
동기화·부호화 처리 회로(35)는, 예를 들면 CPU로 구성된다. 그리고 동기화·부호화 처리 회로(35)에서는 S/W의 연산 주기 또는 일정 시간마다, 전(全)접점 입력의 동기가 취해진다. 또, 동기화·부호화 처리 회로(35)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휘발성 메모리에 미리 기록된 테이블 패턴의 개별 설정 정보에 대응하여, 위치 검출기(24, 26, 27)로부터의 접점 출력을 TS0 ~ TS5의 합계 6점으로 부호화(데이터 변환)하여, 출력 회로(36)에 전달한다.
도 4에서는, 검출 상태를 「0」으로 나타내고, 비검출 상태를 「1」로 나타내고 있다. 또, 「-」의 개소에서는, 신호 상태가 무시된다.
출력 회로(36)에서는, 위치 검출기(24, 26, 27)로부터의 접점 출력의 논리에 맞춤으로써, 예를 들면, 전원의 고장이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전용반(21)과 운행 제어 장치(5)의 사이의 단선 등의 이상 사태에 대해서, 제품 페일-세이프(fail-safe)가 도모된다(이상시 1의 케이스로서 데이터 출력).
또, 임의의 위치 검출기(24, 26, 27)에 있어서 중대한 고장(ON 고장 또는 OFF 고장) 또는 접점 출력의 전달 지연 등이 발생했을 경우, 도 4의 테이블 패턴과 불일치로 되어,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에 맞추어 연속적으로 천이해야 할 패턴과의 순서 부정합이 일어난다. 이 경우, 출력 회로(36)는 위치 검출기(24, 26, 27)의 고장으로서 할당된 데이터를 외부 출력한다(이상시 2의 케이스로서 데이터 출력). 이때, 패턴의 불일치 개소로부터, 고장 검출기의 특정도 가능하다. 고장 정보는 메모리에 기록하거나 LED 등의 표시 수단으로 표시해도 좋다.
출력 회로(36)로부터의 출력 TS0 ~ TS5의 합계 6점력은,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에 입력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로부터의 TSC 신호는, 입력 회로(34)의 전단(前段)에서 병렬 분기되어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에도 직접 입력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에서는, 동기화·부호화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의 지연이 없이, 엘리베이터 칸(8)이 종단층에 진입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동기화·부호화 처리 회로(35)의 동작(S/W의 메인 루프 처리)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또한, 1 사이클의 처리 시간은, 위치 검출기(24, 26, 27)의 반응 시간에 의한 지연 시간, 배선에서의 전송에 의한 지연 시간, 인접하는 작동점에 있어서의 플레이트의 검출 시간,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의 전달 시간, 및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의 연산 주기 등을 고려해 결정된다.
동기화·부호화 처리 회로(35)는 초기 설정(스텝 S1)을 행한 후, 입력 데이터 처리(21점 동기화)를 행한다(스텝 S2). 이 입력 데이터 처리에서는, 비동기로 입력되는 21점의 접점 정보에 대해, S/W의 연산 주기 또는 일정 시간마다 동기를 취하여, 입력 데이터 상태를 확정시킨다. 이때, TSC 신호의 하강 에지에 동기시켜 입력 처리해도 된다.
다음으로, 확정된 데이터가 테이블 패턴의 설정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 불일치의 경우, 인접하는 2개의 작동점이 동시에 작동했는지, 혹은 위치 검출기(24, 26, 27)가 고장났는지를, 전회(前回) 값으로부터의 순서 정합성을 확인함으로써 판별한다(스텝 S4).
이때의 판별 방법으로서는, 전회 값 이전의 연속값에 의한 경향으로부터 판별해도 좋고, 여기에서는 도시 설명을 생략하지만,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측에 있어서 권상기 모터나 조속기에 장착된 엔코더(encoder)로부터의 속도 정보로부터 추정되는 상대 위치를 이용하여 판별해도 좋다.
스텝 S3에 있어서 데이터가 테이블 패턴에 일치하는 경우, 및 스텝 S4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작동점이 동시에 작동했을 경우, 데이터 변환 처리(21점→6점 부호화)를 행한다(스텝 S5). 데이터 변환 처리에서는, 입력 데이터의 합계 21점을 테이블 패턴의 개별 설정 정보에 대응하여 TS0 ~ TS5의 합계 6점으로 부호화(데이터 변환)한다.
이 후, 출력 데이터 처리(스텝 S6)를 행한다. 이때, 스텝 S5로부터의 플로우에 대해서는 그대로 출력 처리를 행하고, 스텝 S4로부터의 플로우에 대해서는 이상시 2의 케이스로 판정하여, TSC 신호 상태에 의하지 않고 고장 코드를 출력 처리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측 플레이트(22, 23)를 승강로(1)에 설치함과 아울러, 승강로측 플레이트(22, 23)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를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하고, 추가로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25)를 엘리베이터 칸(8)에 탑재함과 아울러,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25)를 검출하는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를 승강로(1)에 설치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승강로(1)측의 기기의 설치열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작게 하여, 승강로(1)의 수평 방향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8)에 탑재되는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를 최소한으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8)상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위치 동작점을 얻기 위한 플레이트와 위치 검출기의 맞물림 포인트가 줄어들기 때문에, 설치 작업성이 큰폭으로 개선된다.
이에 더하여,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로부터의 출력 배선을 제어 케이블(32)로부터 구별해 냄으로써, 제어 케이블(32)의 선심수(線芯數) 삭감이 도모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 및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로부터의 신호의 정합성으로부터 고장 검출기의 특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의 고장의 판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2개 이상의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25)가 동시에 검출되었을 경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는 엘리베이터 칸(8)이 보다 종단층에 가까운 작동점에 이르렀다고 판단하므로, 엘리베이터 칸(8)을 보다 안전하게 종단층에 착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는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 및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동기화 및 부호화 처리하고,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 및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의 출력 논리에 맞춰서,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에 출력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전용반(21)으로부터 운행 제어 장치(5)로의 접점 출력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각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위치 작동점의 정보가 고유하게 확립되어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로 출력되어,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에서의 대기 시간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전용반(21)과 운행 제어 장치(5) 사이의 신호선의 단선을, 페일-세이프 상태에서 검지 가능하다.
또,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는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 및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순서 정합성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 및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26, 27)의 고장을 검출하여, 고장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에 출력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에 있어서, 고장 검출기의 특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24)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와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로 분기되어 별도로 입력되므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에서의 처리 시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엘리베이터 칸(8)의 상하 종단층으로의 진입 정보를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에서 수신하여 인터럽트 신호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에서는, 위치 검출기(24, 26, 27)로부터의 신호의 부호화 처리만을 행하고(도 5의 스텝 S1→S2→S5→S6→S1), 동기화 처리 및 이상시 2(도 4)의 케이스의 고장 판정 처리(스텝 S3→S4)는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측에서 행해도 좋다. 이때,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는 TSC 신호를 CPU에서의 처리를 위한 인터럽트 신호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도 2에서는, 1대의 엘리베이터 칸(8)을 관리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냈지만, 복수 대의 엘리베이터 칸(8)을 제어하는 그룹 관리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그 경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전용반(21) 내에, 엘리베이터 칸(8)의 대수에 따른 수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를 장비해도 좋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전용반(21)을 생략하고, 운행 제어 장치(5) 내에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를 넣어도 좋다.
이에 더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와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 사이의 통신 수단에 의해, 접점 정보의 동기를 취해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현행 방식의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에 있어서의 입력부의 하드웨어 호환성을 고려하여,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합계 6점(TS0 ~ TS5)의 접점 출력으로 했지만(현행 방식에서는, 승강로측 플레이트가 6열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21a) 및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 간의 신호 전달 수단으로서, RS-232C나 RS-485 등의 통신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도 1에서는 1:1 로핑(roping)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냈지만, 로핑 방식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2: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 기기의 레이아웃(권상기(3)나 균형추(9)의 수나 위치 등)도 도 1의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기계실(2)을 가지지 않는 기계실리스 엘리베이터(machine-room-less elevator)나, 여러 가지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은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장치를 이용한 종단층 감속 제어에 있어서의 과속도 검출 레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실시 형태 1의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에서 얻어진 위치 정보는, 일례로서, 종단층 감속 제어에 이용된다.
종단층 감속 제어에 있어서의 과속도 검출 레벨인 TSD 패턴은, 과속도를 검출했을 때에, 브레이크를 작동시키고, 완충기(12, 13)의 허용 충돌 속도 이하까지 감속 가능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제어 CC 패턴은, 엘리베이터 칸(8)이 종단층 부근을 통상 주행할 때에 검출되는 엘리베이터 칸 속도 패턴이다.
엘리베이터 칸(8)이 종단층 부근을 주행할 때는, 권상기 모터에 마련된 속도 검출기(모터 인코더)로부터의 펄스 출력을 계수함으로써 얻어지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정보와, 미리 기록된 종단층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8)으로부터 종단층까지의 남은 거리가 연산된다. 제어 CC 패턴은, 이 남은 거리에 대응한 정규 감속 지령값으로서,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제어 S/W)의 ROM 테이블로부터 판독된다.
또, 종단층 부근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장치에 의해 이산적으로 검출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8)으로부터 종단층까지의 남은 거리가 이산적으로 연산된다. 그리고 이 기준으로 되는 남은 거리로부터 속도 검출기(모터 인코더)에 의한 계수값의 변화분을 감산(減算)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8)으로부터 종단층까지의 남은 거리가 선형 보간된다. TSD 패턴은 이 남은 거리에 대응한 종단층 감속 지령값으로서,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5a)(구동 S/W)의 ROM 테이블로부터 판독된다. 이때, 종단층 부근의 위치 검출기가 검출될 때마다 엘리베이터 칸 위치 정보는 프리셋(preset)된다.
그리고 제어 CC 패턴(정규 감속 지령값)과 TSD 패턴(종단층 감속 지령값)이 비교되어, 보다 낮은 레벨의 패턴을 따라서, 엘리베이터 칸(8)이 종단층에 감속 착상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TSD 패턴으로 정해진 과속도 검출 레벨을 초과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8)이 강제적으로 감속 정지된다.

Claims (7)

  1. 승강로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칸,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상기 승강로에 설치되고, 그 설치위치에 따라서 각각의 길이가 상이하게 되어있는 복수의 승강로측 플레이트,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상기 승강로측 플레이트를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
    상하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어 상기 승강로에 설치되고, 종단측에 가까울수록 그 간격이 짧아지며,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를 비접촉으로 검출하는 복수의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 및 상기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위치를 검출하는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승강로측 플레이트는 상기 승강로의 상부 종단층 부근에 설치된 복수의 상부 승강로측 플레이트와, 상기 승강로의 하부 종단층 부근에 설치된 복수의 하부 승강로측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는 상기 승강로의 상부 종단층 부근에 설치된 복수의 상부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와, 상기 승강로의 하부 종단층 부근에 설치된 복수의 하부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에 의해 상기 승강로측 플레이트가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부 또는 하부 종단층으로 진입했다고 판단하고, 상기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가 검출되면,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작동점에 이르렀다고 판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의 길이는, 최종단층 측의 2개의 상기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의 간격보다도 길고,
    인접한 2개 이상의 상기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에 의해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플레이트가 동시에 검출되었을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보다 종단층에 가까운 작동점에 이르렀다고 판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측 플레이트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방향에 평행한 제1 직선을 따라서 1열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는 상기 제1 직선에 평행한 제2 직선을 따라서 1열로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 및 상기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동기화 및 부호화 처리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 및 상기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의 출력 논리에 맞춰서,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에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 및 상기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순서 정합성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 및 상기 승강로측 위치 검출기의 고장을 검출하여, 고장 정보를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에 출력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운행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측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 위치 검출 회로와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 회로로 분기되어 별도로 입력되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37028969A 2011-06-09 2011-06-09 엘리베이터 장치 KR101545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3243 WO2012169042A1 (ja) 2011-06-09 2011-06-09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469A KR20140009469A (ko) 2014-01-22
KR101545800B1 true KR101545800B1 (ko) 2015-08-19

Family

ID=4729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969A KR101545800B1 (ko) 2011-06-09 2011-06-09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31489B2 (ko)
KR (1) KR101545800B1 (ko)
CN (1) CN103391893B (ko)
WO (1) WO20121690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52130A1 (en) * 2017-02-10 2019-11-21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n elevator system for performing a synchronization run of an elevator c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8995B2 (ja) * 2013-01-23 2016-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5897212B2 (ja) * 2013-05-14 2016-03-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06715312B (zh) * 2014-11-26 2018-12-0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控制装置
JP6549065B2 (ja) * 2016-07-01 2019-07-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994791B1 (ja) 2021-02-03 2022-01-14 日本昇降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監視装置、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619A (ja) * 2000-08-29 2002-03-0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02167135A (ja)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7191256A (ja) * 2006-01-18 2007-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5366B2 (ko) * 1974-10-23 1979-11-02
JPS57203674A (en) * 1981-06-05 1982-12-14 Mitsubishi Electric Corp Detector for position of elevator
JP3373222B2 (ja) * 1992-04-14 2003-02-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FI111937B (fi) * 1993-12-28 2003-10-15 Kone Corp Menetelmä hissikorin paikan määrittämiseksi
DE10156043B4 (de) * 2001-11-15 2006-03-02 Otis Elevator Co., Farmington Positionsermittlungsvorrichtung
JP4907097B2 (ja) * 2005-04-19 2012-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CN101597001B (zh) * 2009-07-03 2011-01-05 江门市蒙德电气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电梯平层位置的检测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619A (ja) * 2000-08-29 2002-03-08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02167135A (ja)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2007191256A (ja) * 2006-01-18 2007-08-0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かご位置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52130A1 (en) * 2017-02-10 2019-11-21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n elevator system for performing a synchronization run of an elevator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91893B (zh) 2016-01-20
WO2012169042A1 (ja) 2012-12-13
CN103391893A (zh) 2013-11-13
JPWO2012169042A1 (ja) 2015-02-23
JP5631489B2 (ja) 2014-11-26
KR20140009469A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80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9708158B2 (en) Multi-car elevator using an exclusion zone and preventing inter-car collision
US9676591B2 (en) Elevator apparatus
EP1864934B1 (en) Elevator apparatus
CN103429516B (zh) 多轿厢式电梯及其控制方法
CN103764532B (zh) 电子化电梯
CN101090854B (zh) 电梯装置
US8230977B2 (en) 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an elevator system
CN1953926B (zh) 电梯装置
CN102196987B (zh) 电梯装置
EP3333110B1 (en) Elevator safety system,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JP6317077B2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システム
CN103818794B (zh) 防止电梯轿厢意外移动的保护装置
CN103391894B (zh) 电梯控制装置
CN104822614A (zh) 电梯装置
CN105339291A (zh) 电梯的控制装置
CN116443676A (zh) 基于检测到的乘客数量指派电梯服务的***和方法
CN103663014A (zh) 一种高速电梯的终端减速装置及其减速方法
CN106103324B (zh) 电梯装置
CN102530660A (zh) 电梯
KR101283643B1 (ko) 엘리베이터 구동 제어 장치
CN202717484U (zh) 一种具有随行电缆的矿井罐笼***
CN101190764A (zh) 电梯超速检测装置
CN101602457A (zh) 电梯装置
CN106144852B (zh) 多轿厢式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