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341B1 -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341B1
KR101543341B1 KR1020130134892A KR20130134892A KR101543341B1 KR 101543341 B1 KR101543341 B1 KR 101543341B1 KR 1020130134892 A KR1020130134892 A KR 1020130134892A KR 20130134892 A KR20130134892 A KR 20130134892A KR 101543341 B1 KR101543341 B1 KR 101543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cuation
door
opening force
room
sec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107A (ko
Inventor
김지석
주상현
김정엽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34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34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급기가압 시스템이 설치된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대피자가 옥내에서 피난실로 피난할 때 급기 가압된 피난실의 피난문을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이 제공된다.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은, 급기가압 시스템이 설치된 고층건물 각 층의 옥내와 피난실 사이에 설치되는 피난문에 있어서, 옥내 측에서 피난실로 대피하기 위해 대피자가 옥내 측에서 피난문을 개방하기 위한 도어 손잡이; 도어 손잡이와 연동되어 수평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피난문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동장치; 연동장치에 연결되고, 연동장치의 수평 이동 또는 회전에 대응하는 힘을 전달하는 지그; 및 피난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며, 피난실의 급기 가압된 공기가 옥내 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틈새가 형성되고, 피난문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하도록 지그에 의해 회전하여 틈새를 통해 피난실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개방력 확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EMERGENCY EXIT DOOR WITH OPENING FORCE SECURING APPARATUS, AND OVERPRESSURE EXHAUST DAMPER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급기가압 시스템의 피난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급기가압 시스템이 설치된 고층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대피자가 피난문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 고도화 및 집적화되면서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 및 복합화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화재에 취약한 건축물이 증가되고 있어, 인명안전을 위한 효과적인 화재 대책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때, 화재로 발생하는 연기는 고온의 유독가스가 포함되어 화재시 발생하는 인명피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구지하철사건, 부산 서면 노래방화재사건 등을 살펴보면, 직접적인 화염의 노출로 인한 인명피해보다 연기로 인한 인명피해가 50%정도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화재 시 대피경로의 연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급기가압 시스템과 같은 연기 유입 차단 설비가 의무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특히, 화재 발생시 피난 및 소화활동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인명안전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연기의 제어를 위한 제연 시스템(Smoke Control System)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외에서는 고층 건축물의 화재 시 피난계단으로의 연기 침투를 방지하여 안전한 피난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피난계단 제연 시스템을 설치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화재안전기준 NFSC 501A의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만족하도록 하고 있다.
첫째로, 제연구역에 옥외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제연구역의 기압을 제연구역 이외의 옥내보다 높게 하되, 일정한 기압의 차이(차압)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옥내로부터 제연구역내로 연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로, 상기 차압이 너무 클 경우에는 대피자가 출입문을 개방하기 곤란할 수 있기 때문에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이 일정기준 이하가 되도록(즉, 부속실에 과압이 걸리지 않도록) 부속실과 옥내 사이의 차압을 유지해야 한다.
셋째로, 피난을 위하여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방연풍속을 유지하도록 옥외의 공기를 제연구역 내로 보충 공급하도록 해야 한다.
전술한 화재안전기준을 만족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방식으로서, 제연용 송풍기와 수직풍도를 이용하여 옥내와 계단실 사이에 위치하는 부속실에 외부 공기를 급기함으로써 부속실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이 구축된 건물의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이 구축된 건물의 평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1)은, 제연용 송풍기(10)와 공동구(70)를 통과하는 하나의 수직풍도(20)를 이용하여 옥내(60), 사무실의 복도 및 계단실(50) 사이의 부속실(40)에 마련된 급기댐퍼(30)를 통해 외기를 공급하고, 이를 통해 부속실(40) 내의 기압을 높여주는 제연 시스템이다.
이러한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에서는 제연구역으로 부속실(40)을 설정하고 화재가 발생한 옥내(60)에서 부속실(40)로의 연기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서 부속실40)과 옥내(60) 사이에 기준치 이상의 차압을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또한, 연기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일정 기준 이상의 차압을 유지하는 것과 동시에 재실자가 피난을 위하여 출입문(80)을 여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출입문(80)의 개방력을 일정 기준 이하로 하기 위한(즉, 부속실에 과압이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압 유지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하여 옥내(60)와 부속실(40)간의 차압은 하한치와 상한치 사이에서 조절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에서는 피난을 위하여 부속실의 출입문(80)을 일시적으로 개방하는 경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실(40)에서 옥내(60) 방향으로 방연풍속을 유지하여 옥내 연기가 부속실(40)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면, 화재안전기준 NFSC 501A에서 제시하고 있는 차압과 출입문 개방력 및 방연풍속의 기준은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표 1은 NFSC 501A의 화재안전기준을 나타낸다.
Figure 112013101614315-pat00001
그러나 고층 또는 초고층, 다중이용 건축물의 주거인원을 안전하게 피난하기 위하여 계단실로 연기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급기 가압 제연시스템은 국내 화재 안전기준에서 요구하는 연기침입 방지를 위한 차압 및 방연 풍속과, 노약자 등이 피난할 수 있는 방화문의 폐쇄력을 동시에 만족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즉, 방연풍속을 만족시키려면 차압을 높여야하지만, 차압을 높이면 개방력(또는 폐쇄력)이 초과하여 110N 이하의 개방력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110N 이하의 개방력을 만족시키려면 차압을 낮추어야 하지만 차압을 낮추면 부속실 및 계단실의 연기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방연풍속과 비개방층의 차압(기준차압의 70% 이상)이 미달되는 문제가 발생되어 대형화재 발생시마다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병원, 빌딩, 관공서, 학교, 호텔, 공연장 등에는 재해나 화재 등의 긴급사고가 발생했을 때 실내에 있는 사람이 외부로 빨리 피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비상구나 방화문이 설치되게 되며, 이러한 비상구나 방화문에는 실내 안쪽에서 쉽게 열릴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장애 없이 문을 통과할 수 있도록 터치 작동 방식의 패닉디바이스(또는 패닉바)가 사용되고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패닉디바이스가 설치된 피난문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패닉디바이스(81)의 경우 스프링작용을 통해 압입 및 복원되는 터치바를 구비하며, 피난문(80) 내측에 설치되는 베이스바와 상기 베이스바의 일단에 터치바와 연결된 상태로 결속되며 내부에 문틀의 스트라이크와 대응되는 랫치볼트가 구비된 도어락장치, 및 상기 도어락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도어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핸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82는 피난실 측에 설치된 회전식 원형핸들 도어 손잡이를 나타낸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패닉디바이스가 설치된 피난문의 경우에도, 직접 피난문의 개방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피난실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진 경우에는 피난문을 개방하지 못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303332호(출원일: 2013년 1월 15일), 발명의 명칭: "릴리프 댐퍼 및 이를 이용한 급기 가압 제연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874595호(출원일: 2007년 8월 17일), 발명의 명칭: "패닉디바이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888723호(출원일: 2007년 9월 18일), 발명의 명칭: "방화문의 보조 개방력 제공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957791호(출원일: 2008년 4월 1일), 발명의 명칭: "방화도어용 클로져기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44890호(출원일: 2007년 10월 16일), 고안의 명칭: "방화문용 개방장치"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급기가압 시스템이 설치된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대피자가 옥내에서 피난실로 피난할 때 급기 가압된 피난실의 피난문을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은, 급기가압 시스템이 설치된 고층건물 각 층의 옥내와 피난실 사이에 설치되는 피난문에 있어서, 옥내 측에서 피난실로 대피하기 위해 대피자가 옥내 측에서 피난문을 개방하기 위한 도어 손잡이; 상기 도어 손잡이와 연동되어 수평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상기 피난문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동장치; 상기 연동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장치의 수평 이동 또는 회전에 대응하는 힘을 전달하는 지그; 및 상기 피난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피난실의 급기 가압된 공기가 상기 옥내 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틈새가 형성되고, 피난문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하도록 상기 지그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틈새를 통해 상기 피난실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개방력 확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는 상기 피난실의 급기 가압된 공기가 상기 옥내 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틈새가 형성된 원통형 강봉으로서,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는 상기 도어 손잡이를 작동시키는 시간 동안 상기 피난실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피난문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피난실과 옥내의 차압이 40Pa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대피자가 상기 도어 손잡이를 소정 시간동안 작동시키면, 상기 피난문이 110N 이하의 개방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에 의해 상기 피난실과 옥내의 차압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대피자가 상기 옥내로부터 피난실로 대피하여 상기 피난문이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도어 손잡이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피난실 및 옥내의 차압이 40Pa 이상으로 다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 손잡이는 패닉디바이스(패닉바)이거나 회전식 원형핸들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손잡이가 패닉디바이스(패닉바)인 경우, 대피자가 상기 패닉디바이스를 밀어서 작동시키면 상기 패닉디바이스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장치가 작동하고, 상기 연동장치에 연결된 지그에 의해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피난문의 개방력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 손잡이가 회전식 원형핸들인 경우, 대피자가 상기 회전식 원형핸들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식 원형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장치가 회전하고, 상기 연동장치에 연결된 지그에 의해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피난문의 개방력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은,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가 닫혀있을 때 상기 피난실의 압력이 상기 옥내 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의 외주면을 밀폐시키는 실링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은, 고층건물각 층의 피난실에 제연압력을 인가하는 급기가압 시스템에 있어서, 고층건물의 각 층의 옥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 센서; 상기 화재감지 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수직풍도를 경유하여 공기를 급기하여 각 층의 피난실을 급기 가압하는 급기용 송풍기; 상기 피난실이 제연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급기용 송풍기의 송풍량을 제어하는 송풍기 제어부; 상기 수직풍도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각 층의 피난실에 제공하도록 개방되는 급기용 댐퍼; 및 각 층의 대피자가 옥내로부터 피난실로 대피할 수 있도록 상기 옥내 및 피난실 사이에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한 옥내의 연기를 제연하고, 상기 피난실의 제연압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개방력 이하로 작동될 수 있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포함하되,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은, 옥내 측에서 피난실로 대피하기 위해 대피자가 옥내 측에서 피난문을 개방하기 위한 도어 손잡이; 상기 도어 손잡이와 연동되어 수평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상기 피난문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동장치; 상기 연동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장치의 수평 이동 또는 회전에 대응하는 힘을 전달하는 지그; 및 상기 피난문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피난실의 급기 가압된 공기가 상기 옥내 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틈새가 형성되고, 피난문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하도록 상기 지그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틈새를 통해 상기 피난실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개방력 확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기가압 시스템이 설치된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대피자가 옥내에서 피난실로 피난할 때 급기 가압된 피난실의 피난문을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난실 및 옥내 사이의 40Pa 이상의 차압에 대하여 피난문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이 구축된 건물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이 구축된 건물의 평단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패닉디바이스가 설치된 피난문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의 개방력 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100)]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의 개방력 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개방력 확보장치를 회전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개방력 확보장치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의 a)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의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개방력 확보장치를 회전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의 c)는 개방력 확보장치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100)은, 급기가압 시스템이 설치된 고층건물 각 층의 옥내와 피난실 사이에 설치되는 피난문으로서, 개방력 확보장치(110), 도어 손잡이(120), 연동장치(130), 지그(140) 및 실링장치(150)를 포함한다.
도어 손잡이(120)는 옥내(310) 측에서 피난실(320)로 대피하기 위해 대피자가 옥내(310) 측에서 피난문(100)을 개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 손잡이(120)는 패닉디바이스(패닉바)이거나 회전식 원형핸들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동장치(130)는 상기 도어 손잡이(120)와 연동되어 수평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상기 피난문(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연동장치(130)는 베어링일 수 있다.
지그(140)는 상기 연동장치(130)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장치(130)의 수평 이동 또는 회전에 대응하는 힘을 전달한다. 예를 들면, 상기 지그(140)는 상기 연동장치(130) 및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 사이에 연결되는 강선일 수 있다.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난문(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피난실(320)의 급기 가압된 공기가 상기 옥내(310) 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틈새(A)가 형성되고, 피난문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하도록 상기 지그(14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틈새(A)를 통해 상기 피난실(320)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상기 피난실(320)의 급기 가압된 공기가 상기 옥내(310) 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틈새가 형성된 원통형 강봉으로서,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상기 도어 손잡이(120)를 작동시키는 시간 동안 상기 피난실(320)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피난문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난실(320)과 옥내(310)의 차압이 40Pa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대피자가 상기 도어 손잡이(120)를 소정 시간동안 작동시키면, 상기 피난문(100)이 110N 이하의 개방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에 의해 상기 피난실(320)과 옥내(310)의 차압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실링장치(150)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가 닫혀있을 때 상기 피난실(320)의 압력이 상기 옥내(310) 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의 외주면을 밀폐시킨다.
후속적으로, 대피자가 상기 옥내(310)로부터 피난실(320)로 대피하여 상기 피난문이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도어 손잡이(120)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피난실(320) 및 옥내(310)의 차압이 40Pa 이상으로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 손잡이(120)를 원래대로 돌리면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도 닫히게 되며 피난문(100)이 닫혀있을 시에는 피난실(320)의 압력을 옥내(또는 거실)(310)로 누설되지 않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100)에서, 상기 도어 손잡이(120)가 패닉디바이스(패닉바)인 경우, 대피자가 상기 패닉디바이스를 밀어서 작동시키면 상기 패닉디바이스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장치(130)가 작동하고, 상기 연동장치(130)에 연결된 지그(140)에 의해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피난문(100)의 개방력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도어 손잡이(120)가 회전식 원형핸들인 경우, 대피자가 상기 회전식 원형핸들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식 원형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장치(130)가 회전하고, 상기 연동장치(130)에 연결된 지그(140)에 의해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피난문(100)의 개방력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100)에 따르면, 급기가압 시스템이 설치된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대피자가 옥내에서 피난실로 피난할 때 급기 가압된 피난실의 피난문을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개방력이 확보된 피난문(100)을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20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200)은, 고층건물(300) 각 층의 피난실(320)에 제연압력을 인가하는 급기가압 시스템으로서,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100), 급기용 송풍기(210), 급기용 수직풍도(220), 급기용 댐퍼(230), 화재감지 센서(240) 및 송풍기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화재감지 센서(240)는 고층건물(300)의 각 층의 옥내 또는 거실(310)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한다.
급기용 송풍기(210)는 상기 화재감지 센서(24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공동구(330)에 설치된 급기용 수직풍도(220)를 경유하여 공기를 급기하여 각 층의 피난실(320)을 급기 가압한다. 여기서, 피난실(320)은 부속실(321) 및 계단실(32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 제어부(250)는 상기 피난실(320)이 제연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급기용 송풍기(210)의 송풍량을 제어한다.
급기용 댐퍼(230)는 상기 급기용 수직풍도(220)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각 층의 피난실(320)에 제공하도록 개방된다.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층의 대피자가 옥내(310)로부터 피난실(320)로 대피할 수 있도록 상기 옥내(310) 및 피난실(320) 사이에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한 옥내(310)의 연기를 제연하고, 상기 피난실(320)의 제연압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개방력 이하로 작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가 장착된 피난문(100)은, 옥내(310) 측에서 피난실(320)로 대피하기 위해 대피자가 옥내(310) 측에서 피난문(100)을 개방하기 위한 도어 손잡이(120); 상기 도어 손잡이(120)와 연동되어 수평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상기 피난문(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동장치(130); 상기 연동장치(130)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장치(130)의 수평 이동 또는 회전에 대응하는 힘을 전달하는 지그(140); 및 상기 피난문(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피난실(320)의 급기 가압된 공기가 상기 옥내(310) 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틈새가 형성되고, 피난문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하도록 상기 지그(14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틈새를 통해 상기 피난실(320)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개방력 확보장치(1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상기 피난실(320)의 급기 가압된 공기가 상기 옥내(310) 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틈새가 형성된 원통형 강봉으로서,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상기 도어 손잡이(120)를 작동시키는 시간 동안 상기 피난실(320)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피난문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난실(320)과 옥내(310)의 차압이 40Pa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대피자가 상기 도어 손잡이(120)를 소정 시간동안 작동시키면, 상기 피난문(100)이 110N 이하의 개방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에 의해 상기 피난실(320)과 옥내(310)의 차압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또한, 대피자가 상기 옥내(310)로부터 피난실(320)로 대피하여 상기 피난문이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도어 손잡이(120)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피난실(320) 및 옥내(310)의 차압이 40Pa 이상으로 다시 상승하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먼저, 급기가압 시스템(200)이 설치된 고층건물(300)에서 상기 급기가압 시스템(200)이 화재감지 센서(240)에 의해 건물 내의 화재를 감지한다(S110).
다음으로, 고층건물(300) 내의 화재 발생시, 상기 급기가압 시스템(200)이 급기용 송풍기(210)를 가동하여 피난실(320), 예를 들면, 부속실(321) 또는 계단실(322)을 급기 가압함으로써 상기 피난실(320)의 제연압력을 유지한다(S120).
다음으로, 화재 발생층의 대피자가 화재가 발생한 옥내(310)로부터 피난실(320)로 대피하기 위해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100)의 도어 손잡이(120)를 작동시킨다(S130).
다음으로, 상기 도어 손잡이(120)에 연동되는 연동장치(130)를 통해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를 회전시킴으로써 소정 시간동안 상기 피난실(320)의 압력을 감소시킨다(S140). 즉,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1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대피자가 용이하게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100)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피난실(320)의 압력이 감소된 상태에서 상기 대피자가 피난실(320)로 대피한 후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100)을 닫는다(S150).
다음으로,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100)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급기가압 시스템(200)이 상기 피난실(320)의 제연압력을 복구하게 된다(S16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급기가압 시스템이 설치된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대피자가 옥내에서 피난실로 피난할 때 급기 가압된 피난실의 피난문을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100)이 도어 손잡이에 의해 개방력 확보장치가 기계식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별도의 버튼을 눌러서 개방력 확보장치를 전자식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옥내에서 피난문에 설치된 버튼을 눌러서,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해 개방력 확보장치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110: 개방력 확보장치
120: 도어손잡이(패닉디바이스 또는 회전식 원형핸들)
130: 연동장치(베어링)
140: 지그
150: 실링장치
200: 급기가압 시스템
210: 급기용 송풍기
220: 급기용 수직풍도
230: 급기용 댐퍼
240: 화재감지 센서
250: 송풍기 제어부
300: 고층건물
310: 옥내(또는 거실)
320: 피난실
321: 부속실
322: 계단실
330: 공동구

Claims (12)

  1. 급기가압 시스템(200)이 설치된 고층건물(300) 각 층의 옥내(310)와 피난실(320) 사이에 설치되는 피난문에 있어서,
    옥내(310) 측에서 피난실(320)로 대피하기 위해 대피자가 옥내(310) 측에서 피난문(100)을 개방하기 위한 도어 손잡이(120);
    상기 도어 손잡이(120)와 연동되어 수평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상기 피난문(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동장치(130);
    상기 연동장치(130)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장치(130)의 수평 이동 또는 회전에 대응하는 힘을 전달하는 지그(140); 및
    상기 피난문(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피난실(320)의 급기 가압된 공기가 상기 옥내(310) 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틈새가 형성되고, 피난문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하도록 상기 지그(14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틈새를 통해 상기 피난실(320)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개방력 확보장치(110)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상기 피난실(320)의 급기 가압된 공기가 상기 옥내(310) 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틈새가 형성된 원통형 강봉으로서,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상기 도어 손잡이(120)를 작동시키는 시간 동안 상기 피난실(320)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피난문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실(320)과 옥내(310)의 차압이 40Pa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대피자가 상기 도어 손잡이(120)를 소정 시간동안 작동시키면, 상기 피난문(100)이 110N 이하의 개방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에 의해 상기 피난실(320)과 옥내(310)의 차압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4. 제3항에 있어서,
    대피자가 상기 옥내(310)로부터 피난실(320)로 대피하여 상기 피난문이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도어 손잡이(120)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피난실(320) 및 옥내(310)의 차압이 40Pa 이상으로 다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120)는 패닉디바이스(패닉바)이거나 회전식 원형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120)가 패닉디바이스(패닉바)인 경우, 대피자가 상기 패닉디바이스를 밀어서 작동시키면 상기 패닉디바이스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장치(130)가 작동하고, 상기 연동장치(130)에 연결된 지그(140)에 의해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피난문(100)의 개방력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손잡이(120)가 회전식 원형핸들인 경우, 대피자가 상기 회전식 원형핸들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식 원형핸들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장치(130)가 회전하고, 상기 연동장치(130)에 연결된 지그(140)에 의해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피난문(100)의 개방력이 확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가 닫혀있을 때 상기 피난실(320)의 압력이 상기 옥내(310) 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의 외주면을 밀폐시키는 실링장치(150)를 추가로 포함하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9. 고층건물(300) 각 층의 피난실(320)에 제연압력을 인가하는 급기가압 시스템(200)에 있어서,
    고층건물(300)의 각 층의 옥내(310)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 센서(240); 상기 화재감지 센서(240)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수직풍도(220)를 경유하여 공기를 급기하여 각 층의 피난실(320)을 급기 가압하는 급기용 송풍기(210); 상기 피난실(320)이 제연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급기용 송풍기(210)의 송풍량을 제어하는 송풍기 제어부(250); 상기 수직풍도(220)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공기를 각 층의 피난실(320)에 제공하도록 개방되는 급기용 댐퍼(230); 및 각 층의 대피자가 옥내(310)로부터 피난실(320)로 대피할 수 있도록 상기 옥내(310) 및 피난실(320) 사이에 설치되고, 화재가 발생한 옥내(310)의 연기를 제연하고, 상기 피난실(320)의 제연압력에 대응하는 소정의 개방력 이하로 작동될 수 있는 개방력 확보장치(110)가 장착된 피난문(100)을 포함하되,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가 장착된 피난문(100)은, 옥내(310) 측에서 피난실(320)로 대피하기 위해 대피자가 옥내(310) 측에서 피난문(100)을 개방하기 위한 도어 손잡이(120);상기 도어 손잡이(120)와 연동되어 수평 이동 또는 회전되도록 상기 피난문(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연동장치(130);상기 연동장치(130)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장치(130)의 수평 이동 또는 회전에 대응하는 힘을 전달하는 지그(140); 및 상기 피난문(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피난실(320)의 급기 가압된 공기가 상기 옥내(310) 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틈새가 형성되고, 피난문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하도록 상기 지그(14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틈새를 통해 상기 피난실(320)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개방력 확보장치(110)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상기 피난실(320)의 급기 가압된 공기가 상기 옥내(310) 측으로 누출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는 틈새가 형성된 원통형 강봉으로서,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상기 도어 손잡이(120)를 작동시키는 시간 동안 상기 피난실(320)의 압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피난문이 소정의 개방력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실(320)과 옥내(310)의 차압이 40Pa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대피자가 상기 도어 손잡이(120)를 소정 시간동안 작동시키면, 상기 피난문(100)이 110N 이하의 개방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에 의해 상기 피난실(320)과 옥내(310)의 차압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대피자가 상기 옥내(310)로부터 피난실(320)로 대피하여 상기 피난문이 닫힌 상태가 되면, 상기 도어 손잡이(120)가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상기 개방력 확보장치(110)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피난실(320) 및 옥내(310)의 차압이 40Pa 이상으로 다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을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KR1020130134892A 2013-11-07 2013-11-07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KR101543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892A KR101543341B1 (ko) 2013-11-07 2013-11-07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892A KR101543341B1 (ko) 2013-11-07 2013-11-07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107A KR20150053107A (ko) 2015-05-15
KR101543341B1 true KR101543341B1 (ko) 2015-08-11

Family

ID=5338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892A KR101543341B1 (ko) 2013-11-07 2013-11-07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3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68U (ko) 2015-08-12 2017-02-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도어
CN108547556B (zh) * 2018-06-15 2024-03-19 深圳市华力智控技术有限公司 一种高层住宅避难门
KR102507082B1 (ko) * 2021-02-22 2023-03-07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제연 겸용 방화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866A (ja) * 2001-03-14 2002-09-24 Shimizu Corp 防火扉
JP2005336809A (ja) 2004-05-26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ドア用換気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2866A (ja) * 2001-03-14 2002-09-24 Shimizu Corp 防火扉
JP2005336809A (ja) 2004-05-26 2005-1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ドア用換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107A (ko) 201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403B1 (ko) 환기 및 소방용 다기능 복합 댐퍼
KR101409791B1 (ko)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KR101610281B1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US7137881B2 (en) Protective bed unit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082664B1 (ko) 통합 제연 시스템
KR101543341B1 (ko)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KR20070001065U (ko) 에어커튼기기를 이용한 제연방법 및 그 장치
KR101242179B1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KR102263178B1 (ko) 노유자 거주공간의 화재대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재대피 방법
KR20110077895A (ko) 화재 발생시의 강제 배기장치
KR101402304B1 (ko) 제연구역 급기댐퍼의 비례제어시스템
KR20060069785A (ko) 고층건물 연돌현상 방지장치 및 방법
KR20190138962A (ko) 건축구조물의 재난대피시스템
KR20090044172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JP6436438B2 (ja) 差圧緩和型迅速作動両開き扉
KR101637979B1 (ko) 방화겸용 롤스크린
KR20130006253U (ko) 제연 시스템 댐퍼
KR101826906B1 (ko) 방화용 통풍형 개폐장치
KR101355175B1 (ko)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KR20110082277A (ko) 급기가압 제연장치
KR101511607B1 (ko) 가정용 방화스크린의 개폐장치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