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793B1 -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793B1
KR102080793B1 KR1020190086456A KR20190086456A KR102080793B1 KR 102080793 B1 KR102080793 B1 KR 102080793B1 KR 1020190086456 A KR1020190086456 A KR 1020190086456A KR 20190086456 A KR20190086456 A KR 20190086456A KR 102080793 B1 KR102080793 B1 KR 102080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lever
air supply
smok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박정은
박정휘
Original Assignee
박재현
박정은
박정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박정은, 박정휘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102019008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는, 전진 이동시 제연 구역과 급기 풍도 간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후진 이동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거동하는 평판,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 프레임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댐퍼 프레임, 상기 평판의 후면에 부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과 연결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부에 설치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거동하는 레버 암, 및 상기 레버 암과 연결되고,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여 상기 레버 암을 회전하여 상기 평판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평판 전후진 바를 포함하는 레버 유닛 및 상기 평판 전후진 바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 제공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LEVER DAMPER FOR SMOKE CONTROL OF BUILDING AND INTEGRATED SMOKE CONTROL SYSTEM USING IT}
본원은 건물 내 화재시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연 기술은 건물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발생하는 연기로부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화재성장시간을 파악하고 건물 내부에 발생하는 연기의 움직임과 깨끗하고 안전한 공기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깨끗한 공기와 연기의 흐름은 압력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이 공기와 연기의 물리적인 흐름의 제어는 건물 내부의 구획별 압력을 제어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연 설비는 화재 시 송풍기나 배출기와 같은 기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연기나 연소 유독가스를 배출시키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제연 설비는 크게 송풍기로 물리적 방벽사이를 가압시켜 가압 공간으로 연기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연기를 방어하는 방연(smoke contorol) 설비나 실내에서 발생하여 침입한 연기를 배출기를 통하여 강제로 배출하는 배연(smoke ventilation) 설비로 나뉠 수 있다.
특히, 소방대가 소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거점을 확보하거나 재실자의 안전한 피난을 위하여 비상용 승강기 또는 피난용 승강기를 탑승하기 위해 마련되는 승강장에 외부 신선 공기를 강제 가압하여 화재로 인하여 이동하는 연기의 침입을 차압을 이용하여 방어하는 급기 가압에 의한 제연 설비는 고층 건물에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부속실 등을 급기가압 방식으로 제연하는 제연 설비의 주요한 기능은 부속실과 거실 사이의 방화문이 개방될 때 방연풍속이 골고루 분산된 기류가 배출되도록 하여 거실의 연기를 부속실로 침입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이다. 그러나 종래의 날개(블레이드)가 회전하여 외부의 공기를 부속실 등으로 배출시키는 댐퍼는 댐퍼 날개의 각도를 조정하여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여 직진성을 가지고 외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댐퍼의 설치 위치에 따라 부속실과 거실 사이의 방화문이 개방될 때 특정한 1방향으로 방연풍속이 집중하여 배출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형태의 댐퍼의 경우, 1방향으로 방연풍속이 집중하여 배출되고 반대 방향으로는 부압이 형성되어 부속실로 거실의 연기가 일부 역류하여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에 흔히 설치되는 날개(블레이드)가 구비된 댐퍼는 부속실 내벽 등의 미관에 대한 불만이 많았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5678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판을 구비하여 평판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4방향(평판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으로 부속실(제연 구역)로 공급되도록 하여 부속실과 거실 사이의 방화문이 개방되더라도 방연풍속의 기류분포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속실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부속실 내벽 등과 같은 평면과 색상으로 댐퍼를 설치하여 댐퍼가 설치되는 건물의 품위를 높이고 사용자의 불만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 감지기의 화재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고층건물의 각 층에 마련된 레버형 제연 댐퍼의 개폐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제어부를 마련한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는, 전진 이동시 제연 구역과 급기 풍도 간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후진 이동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거동하는 평판,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 프레임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댐퍼 프레임, 상기 평판의 후면에 부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과 연결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부에 설치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거동하는 레버 암, 및 상기 레버 암과 연결되고,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여 상기 레버 암을 회전하여 상기 평판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평판 전후진 바를 포함하는 레버 유닛 및 상기 평판 전후진 바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 제공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는, 상기 개구부의 개폐를 위한 상기 평판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상기 평판이 상기 개구부의 전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가 상기 레버 암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거동하는 각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평판에 연결되는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댐퍼 프레임은, 상기 평판과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 및 상기 하측 프레임과 연결된 플랜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는, 상기 상측 프레임을 상기 급기 풍도의 상측 벽면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1스크류 및 상기 하측 프레임을 상기 급기 풍도의 하측 벽면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2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는, 상기 플랜지 프레임의 상부를 상기 급기 풍도의 상측 벽면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3스크류 및 상기 플랜지 프레임의 하부를 상기 급기 풍도의 하측 벽면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4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는, 상기 상측 프레임을 상기 급기 풍도의 상측 벽면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5스크류 및 상기 하측 프레임을 상기 급기 풍도의 하측 벽면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6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기 풍도는, 승강기의 이동 통로인 승강로 또는 상기 제연 구역에 구비되는 수직 덕트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은, 건물 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건물 외부의 공기의 유입 통로인 급기 풍도, 상기 급기 풍도의 일부에 설치되어 건물 외부의 공기를 상기 급기 풍도 내로 공급하는 급기팬, 상기 건물의 층마다 마련되고, 제연 구역에 해당하는 부속실, 상기 급기 풍도와 상기 부속실 사이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풍도에 공급된 외부의 공기를 상기 부속실에 공급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거나 외부의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폐쇄되는 레버형 제연 댐퍼 및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레버형 제연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형 제연 댐퍼는, 건물 내 설치된 각각의 상기 레버형 제연 댐퍼마다 할당된 고유의 주소 정보를 보유하고,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경우, 작동 상태 정보 및 상기 주소 정보를 상기 통합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레버형 제연 댐퍼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동 상태 정보 및 상기 주소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레버형 제연 댐퍼 각각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레버형 제연 댐퍼 각각의 개방 또는 폐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에 의하거나 수동 조작 모드로 전환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평판을 구비하여 평판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4방향(평판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우측 및 좌측)으로 부속실(제연 구역)로 공급되도록 하여 부속실과 거실 사이의 방화문이 개방되더라도 방연풍속의 기류분포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부속실의 미관을 해치지 않고 부속실 내벽 등과 같은 평면과 색상으로 댐퍼를 설치하여 댐퍼가 설치되는 건물의 품위를 높이고 사용자의 불만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화재 감지기의 화재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고층건물의 각 층에 마련된 레버형 제연 댐퍼의 개폐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제어부를 마련한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프레임,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를 포함하는 레버형 제연 댐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프레임, 제3스크류 및 제4스크류를 포함하는 레버형 제연 댐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의 후면과 전방에서 바라본 플랜지 프레임 및 레버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제연 댐퍼가 구비된 제연 구역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압 센서, 방화문 센서, 방연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레버형 제연 댐퍼의 확대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에 의해 화재 발생시 건물의 전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에 의해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층 및 기 설정된 상하 소정의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에 관련된 용어(전방, 후방, 상하 방향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내지 도3에서 보았을 때 전방은 9시방향, 후방은 3시방향일 수 있으며, 상방은 12시방향, 하방은 6시방향일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이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라 한다.)는, 평판(100), 댐퍼 프레임(200), 레버 유닛(300), 구동력 제공 유닛(400) 및 가이드 바(500)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100)은, 전진 이동시 제연 구역(30)과 급기 풍도(20) 간의 개구부(A)를 개방하고, 후진 이동시 개구부(A)를 폐쇄하도록 거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기 풍도(20)는 승강기의 이동 통로인 승강로 또는 제연 구역에 구비되는 수직 덕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평판(100)은 1.5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철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평판(100)은 개구부(A)의 전면의 전체 개구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전후 이동이 안정되는 하나의 평판(100)으로 개구부(A)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설치 등의 현장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댐퍼 프레임(200)은, 개구부(A)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댐퍼 프레임(20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210),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프레임(210)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 프레임(220)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 되고 수직 프레임(210)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 프레임(230)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유닛(300)은 평판의 후면에 부착되는 브래킷(310), 브래킷(310)과 연결되고 상측 프레임(220)의 일부에 설치되는 힌지(32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거동하는 레버 암(320) 및 레버 암(320)과 연결되고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여 레버 암(320)을 회전하여(회전시켜) 평판(100)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평판 전후진 바(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 전후진 바(3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직선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평판 전후진 바(330)는 캠(cam), 피니언(pinion), 랙(rack) 등의 회전 부재 또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해주는 부재와 연계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 전후진 바(330)는 평판 전후진 바(33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래킷(310)은 레버 암(320)이 힌지(321)를 중심으로 회전 거동하는 각도 범위에 대응하여 브래킷(310)이 부착된 평판(100)이 개구부(A)의 전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평판(1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평판 회전 각도 조절 부재(322)와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 회전 각도 조절 부재(322)는 브래킷(310) 또는 평판(1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힌지 형태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동력 제공 유닛(400)은 평판 전후진 바(33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력 제공 유닛(400)은 모터일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구동력 제공 유닛(400)은 수직 프레임(210)의 일부에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력 제공 유닛(400)은 평판 전후진 바(330)가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평판 전후진 바(330)가 캠 등의 회전 부재와 연계하여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 하는 경우, 상기 캠 등의 회전 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 전후진 바(300)는 구동력 제공 유닛(400)에 의해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 하는 경우, 힌지(32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거동하는 레버 암(320)의 회전 각도 범위에 대응하여 평판 전후진 바(300)가 소정의 각도로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하도록 평판 전후진 바(300)를 안내하는 바 회전 각도 조절 부재(340)와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 회전 각도 조절 부재(340)는 평판 전후진 바(300)의 회전 각도(달리 말해, 상향 이동되는 각도 또는 하향 이동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힌지 형태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이드 바(500)는 개구부(A)의 개폐를 위한 평판(100)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평판(100)이 개구부(A)의 전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가 레버 암(320)이 힌지(321)를 중심으로 회전 거동하는 각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평판(1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바(500)는 평판 전후진 바(330)의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에 대응하여 함께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평판(100)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힘을 평판(100)에 보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달리 말해, 가이드 바(500)는 평판(100)의 소정 각도 범위 내 전후 이동을 안정되게 보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통해 급기 풍도(20)로부터 제연 구역(30)으로 고속의 제연 풍량이 공급되더라도 가이드 바(500)에 의해 평판(100)의 요동과 비틀어짐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바(500)는 레버 암(320)이 힌지(321)를 중심으로 회전 거동하는 각도 범위에 대응하여 평판(100)이 개구부(A)의 전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평판(1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평판 회전 각도 조절 부재(322)와 연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바(500)는 평판 전후진 바(300)의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에 대응하여 함께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 하는 경우, 힌지(321)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거동하는 레버 암(320)의 회전 각도 범위에 대응하여 가이드 바(500)가 소정의 각도로 상향 이동 또는 하향 이동하도록 가이드 바(500)를 안내하는 바 회전 각도 조절 부재(340)와 연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 회전 각도 조절 부재(340)는 가이드 바(5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힌지 형태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이드 바(500)는 가이드 바(500)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상측 프레임(220)을 급기 풍도(20)의 상측 벽면(B)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5스크류(15) 및 하측 프레임(230)을 급기 풍도(20)의 하측 벽면(C)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6스크류(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기 풍도(20)의 상측 벽면(B) 및 하측 벽면(C)은 건축법 상 방화구획 내화 구조에 해당하여, 그 재질이 콘크리트인 경우 그 두께(도 1 기준 L)가 200mm 이상으로 구비되어야 하며, 여기서 본원에서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설치하는 경우, 방화구획 내화 구조의 개구부(A)에 해당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그 구동과 관련하여, 자동차압 방식의 댐퍼 또는 일반 모터형 댐퍼(Motorized Damper, MD)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내지 도3을 참조하면, 평판(100)이 전진 이동하여 제연 구역(30)과 급기 풍도(20) 간의 개구부(A)를 개방하는 경우 이동하는 평판(100), 브래킷(310), 평판 회전 각도 조절 부재(322), 레버 암(320) 및 평판 전후진 바(330)는 실선으로 표시하고, 평판(100)이 후진 이동하여 개구부(A)를 폐쇄하도록 거동하는 경우 이동하는 평판(100), 브래킷(310), 평판 회전 각도 조절 부재(322), 레버 암(320) 및 평판 전후진 바(330)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프레임, 제1스크류 및 제2스크류를 포함하는 레버형 제연 댐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프레임, 제3스크류 및 제4스크류를 포함하는 레버형 제연 댐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댐퍼 프레임(200)은, 평판(100)과 개구부(A)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측 프레임(220) 및 하측 프레임(230)과 연결된 플랜지 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상측 프레임(220)을 급기 풍도(20)의 상측 벽면(B)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1스크류(11) 및 하측 프레임(230)을 급기 풍도(20)의 하측 벽면(C)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2스크류(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플랜지 프레임(240)의 상부를 급기 풍도(20)의 상측 벽면(B)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3스크류(13) 및 플랜지 프레임(240)의 하부를 급기 풍도(20)의 하측 벽면(C)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4스크류(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판의 후면과 전방에서 바라본 플랜지 프레임 및 레버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평판(100)의 후면에는 브래킷(310)이 부착되는 브래킷 부착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를 참조하면, 플랜지 프레임(240)은 평판(100)의 후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프레임(240)은 평판(100) 후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플랜지 프레임(240)은 평판(100) 후면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레버 암(320)은 평판(100)의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 시 플랜지 프레임(240) 상부에서 회전 거동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평판(100)의 전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부재는 LCD 디스플레이, LED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부재는 평상시 광고 정보, 홍보 정보, 뉴스 정보 또는 건물 층별 안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형식으로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부재는 화재 발생 시 대피 안내 정보를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형식으로 표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부재는 화재 발생 시 점등 혹은 점멸 작동하는 피난용 비상등으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a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제연 댐퍼가 구비된 제연 구역의 사시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레버형 제연 댐퍼(1000)가 구비된 제연 구역(30)은 승강기 출입을 위한 승강문(21)과 거실(60) 간의 공간인 승강장일 수 있다. 여기서, 제연 구역(30)은 부속실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또한, 급기 풍도(20)는 수직 덕트나 승강기의 이동 통로인 승강로일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레버형 제연 댐퍼(1000)가 구비된 제연 구역(30)은 제연 구역(30)과 거실(60) 간의 차압을 감지하는 차압 센서(31), 제연 구역(30)에 마련된 방화문(34)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방화문 센서(32) 또는 제연 구역(30)의 방연 풍속을 감지하는 방연 풍속 센서(33)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도 5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압 센서, 방화문 센서, 방연 풍속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레버형 제연 댐퍼의 확대 도면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술한 차압 센서(31), 방화문 센서(32) 또는 방연 풍속 센서(33) 중 적어도 하나는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일부 또는 레버형 제연 댐퍼(1000)와 이웃한 영역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를 참조하면, 차압 센서(31), 방화문 센서(32) 또는 방연 풍속 센서(33)는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평판(100)의 전면 일부 영역에 마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압 센서(31), 방화문 센서(32) 및 방연 풍속 센서(33)의 센싱 신호의 역할은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1)에 대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1)(이하, '통합 제연 시스템(1)'이라 한다.)은, 급기 풍도(20), 부속실(30), 통합 제어부(40), 화재 감지기(70), 급기팬(80) 및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제연 시스템(1)의 화재 감지기(70), 급기팬(80), 레버형 제연 댐퍼(1000) 및 통합 제어부(40) 상호간은 네트워크(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5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차압 센서(31), 방화문 센서(32), 방연 풍속 센서(33) 등과 같은 센싱 장치 또한 통합 제어부(40)와 네트워크(50)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화재 감지기(70)는 건물 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기(70)는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 상황을 알리기 위하여 화재 감지 신호를 통합 제어부(4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기(70)는 열 감지기, 연기 감지기, 가스 감지기, 인체 감지기 등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신호를 계측하는 각종 감지기(센서)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감지기(70)는 건물 내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 위치와 연계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화재 감지기(70)는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와 연계된 정보를 통합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40)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1)이 구비된 건물의 화재와 연계된 각종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기초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1)의 각 구성을 제어(특히, 건물 각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폐, 급기팬(80)의 구동 등)하는 관제실(Control Room), 상황실 등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통합 제어부(40)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1)이 구비된 건물 내 일부 영역(예를 들어, 지하실 등)에 마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1)이 구비된 건물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관제탑 등의 건물에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화재 발생 위치와 연계된 정보는 건물 내 화재가 발생한 층(이하, 화재 발생층이라 한다.), 화재 발생층 내의 보다 구체적인 화재 발생 위치,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에 대한 기 설정된 상하 소정의 층의 재실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 감지기(70)는 건물 내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발생 강도와 연계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화재 감지기(70)는 감지된 화재 발생 강도와 연계된 정보를 통합 제어부(40)로 전송할 수 있다.
급기 풍도(20)는 건물 외부의 공기의 유입 통로이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1)에서의 급기 풍도(20)는 승강기의 이동 통로인 승강로 또는 부속실(30)에 구비되는 수직 덕트일 수 있다.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1)은 부속실 내 수직 풍도(400)가 별도로 설치된 건물에 마련되는 것일 수 있으며, 부속실 내 별도의 수직 풍도가 설치되지 않고 승강로를 제연을 위한 외부 공기의 유입 통로로 활용하는 건물에 마련되는 것일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연 시스템(1)과 연계된 승강기는 비상용 승강기 또는 피난용 승강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상용 승강기는 현행법상 모든 고층 건물의 31m 이상의 지점에 설치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화재 발생 시 소방대가 소화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거점으로 사용되는 승강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피난용 승강기는 30층 이상의 건물(초고층)에 주로 설치되며, 재실자의 안전한 피난을 위하여 피난 대피소가 설치되는 특정 층(피난 대피층)과 피난 안전층(지상층) 간에만 운행되어 화재 발생 시 피난자를 대피시키는 역할을 하는 승강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과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장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동일하나 그 역할이 구분되는 것에 지나지 않으므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1)은 비상용 승강기 또는 피난용 승강기의 승강장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급기팬(80)은 급기 풍도(20)의 일부에 설치되어 건물 외부의 공기를 급기 풍도(20) 내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예로, 승강로를 급기 풍도(20)로 활용하는 경우, 급기팬(80)은 승강로의 하부에 설치되어 건물 외부의 공기를 승강로 내로 공급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급기팬(80)이 설치되는 위치는 승강로의 하부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급기 풍도(20)의 상부 또는 중간 영역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부속실(30)은 건물의 층마다 마련되고, 제연 구역에 해당하는 영역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의 부속실(30)은 승강기 출입을 위한 승강문(21)과 거실(60) 간의 공간인 승강장 또는 건물에 마련된 특별피난계단 부속실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부속실(30)은 거실(60)과 이웃한 영역에 형성된 방화문(34)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통합 제연 시스템(1)이 적용되는 부속실(30)이 승강기 출입을 위한 공간인 승강장인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1)의 동작 및 기능은 부속실(30)이 특별피난계단 부속실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부속실(30)이 승강기 출입을 위한 승강장인 경우, 외부의 공기의 유입 통로인 급기 풍도(20)는 승강기의 이동 통로인 승강로이거나 승강장에 별도로 마련된 수직 덕트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부속실(30)이 건물에 마련된 특별피난계단 부속실인 경우, 외부의 공기의 유입 통로인 급기 풍도(20)는 특별피난계단 부속실에 마련된 수직 덕트일 수 있다.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급기 풍도(20)와 부속실(30) 사이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어, 급기팬(80)에 의해 급기 풍도(20)에 공급된 외부의 공기를 부속실(30)에 공급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거나 외부의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폐쇄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급기 풍도(20)로 부속실(30)에 마련된 수직 덕트를 사용하는 경우, 레버형 제연 댐퍼(1000)가 설치되는 급기 풍도(20)와 부속실(30) 사이의 소정의 영역은, 수직 덕트와 부속실(30)과의 경계에 해당하는 수직 덕트의 벽면 중 부속실(30)을 향하여 개방된 소정의 영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다르면, 급기 풍도(20)로 승강기의 이동 통로인 승강로를 사용하는 경우, 레버형 제연 댐퍼(1000)가 설치되는 급기 풍도(20)와 부속실(30) 사이의 소정의 영역은, 승강로와 부속실(30)의 경계벽 또는 승강문(21)의 소정의 영역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건물 내 설치된 각각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마다 할당된 고유의 주소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제어부, 메모리, 통신부 등 정보를 저장하고 외부 기기와 통신하여 교류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 설치된 각각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경우, 작동 상태 정보 및 주소 정보를 통합 제어부(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소 정보는 형식이나 데이터 타입에 구애받지 않고 통합 제어부(40)가 각 층마다 설치된 복수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모터를 포함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동작하는 모터형 댐퍼(Motorized Damper, MD)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평판(100)의 전후 이동에 따라 개폐 작동하여 제연 구역(부속실)으로 공급되는 제연 풍량을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는 것의 의미는, 평판(100)의 전후진 정도에 따라 급기 풍도(20)로부터 부속실(30)으로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의 비율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버형 제연 댐퍼(1000)가 100% 개방된다는 것은, 평판(100)이 전진되어 댐퍼 프레임(200) 및 개구부(A)와 이격된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급기 풍도(20)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가 통과하는 단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평판이 최대로 전진된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반대로 레버형 제연 댐퍼(1000)가 폐쇄된다는 것(달리 말해, 0% 개방되는 것)은, 급기 풍도(20)에서 부속실(30)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평판(100)이 댐퍼 프레임(200) 및 개구부(A)로부터 전진되지 않아 평판(100)과 댐퍼 프레임(200) 및 개구부(A) 사이에 외부의 공기가 통행할 수 있는 틈새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속실(30)에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의 풍속, 풍량 등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평판(100)의 전후진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부(40)는, 레버형 제연 댐퍼(1000)에 의해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평판(100)과 개구부(A) 또는 댐퍼 프레임(200) 간의 이격된 영역이 4방향(상측 방향, 하측 방향,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 각각에 대하여 상이하도록 평판(100)의 개방 정도 및 개방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통합 제어부(40)는 레버형 제연 댐퍼(1000)에 구비된 평판 회전 각도 조절 부재(322) 또는 바 회전 각도 조절 부재(34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평판(100)과 개구부(A) 또는 댐퍼 프레임(200) 간의 이격된 영역이 상기 4방향 각각에 대하여 상이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평판 회전 각도 조절 부재(322) 또는 바 회전 각도 조절 부재(340)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평판(100)의 하측 방향 단부가 평판(100)의 상측 방향 단부보다 개구부(A)로부터 더 많이 이격되어, 평판(100)이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평판(100)과 개구부(A)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제연 구역(30)에 하측 방향으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의 양이 상측 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보다 크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통합 제어부(40)가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것은 급기 풍도(20)로부터 부속실(30)으로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의 풍량,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부속실(30)으로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의 풍량과 관련하여, 통합 제어부(40)는 부속실(30)의 출입문, 방화문(34), 창문, 승강문(21)의 틈새 등을 통하여 제연 구역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공기량인 누설량 또는 재실자의 피난 과정에서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방화문(34)의 개폐에 따라 부속실(30)에 더 공급되어야 할 공기량인 보충량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부속실(30)으로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의 풍속과 관련하여, 통합 제어부(40)는 방화문(34)이 일시 개방되어 부속실(30)의 공기 압력이 순간적으로 낮아짐에 따라 부속실(30)으로 유입될 수 있는 화재실의 연기를 차단하기 위한 최소한의 공기속도인 방연풍속을 고려하여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방연풍속은 국가화재 안전기준 등을 참고하여 0.5~0.7m/s의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통합 제어부(40)는 화재 감지기(7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화재 감지 신호를 기초로 건물 각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에 의해 화재 발생시 건물의 전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40)는, 화재 감지기(7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된 경우, 건물의 전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승강장용 승강문(21)과 부속실(30) 또는 급기 풍도(20) 사이의 틈새는 최대 10mm까지 허용되나 실제로는 주로 5mm 전후의 틈새로 설치된다. 매층 이러한 문 틈새로 급기 풍도(20)에서 부속실(30)으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반대로 부속실(30)에서 급기 풍도(20)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경우, 부속실(30) 또는 급기 풍도(20) 각각의 부피의 1/100000만큼의 공기가 공급될 때 마다 1Pa의 압력이 상승되게 된다. 즉, 급기 풍도(20)와 부속실(30) 사이는 상호 어느 방향에서 공기가 공급되더라도 압력 면에서는 개방된 상태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제연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자동 차압 댐퍼 대신 모터형 댐퍼(MD)로 각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설치하고, 통합 제어부(40)는 화재 발생 신호에 따라 개폐를 반복하는 자동 차압 댐퍼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즉각적이고 신속한 제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화재 발생시에 전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급기 가압을 위한 제연 구역과 옥내의 차압(예를 들어, 50Pa의 차압)을 신속하고 항상성 있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방화문의 개방시 즉각적으로 방화문 쪽으로 방연풍이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자동 차압 댐퍼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였던, 차압의 측정 및 판단, 댐퍼의 개방 제어 등으로 인하여 부속실에 마련되는 방화문이 개방되는 경우의 부속실의 압력 변화에 빠른 속도로 대응하기 어려우며, 승강기문과 승강장 사이 또는 승강기문과 승강로 사이의 벽의 틈새에 의해 누설되는 공기량, 부속실의 각종 틈새에 의해 누설되는 공기량에 의한 압력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워 자동 차압 댐퍼가 제연을 위하여 정밀하게 제어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화재 발생 시 전 층의 모터 형 레버형 제연 댐퍼(100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종래의 제연 시스템에서는 화재 발생시 재실자가 화재 발생 신호를 확인함에 따라 패닉 현상에 도달할 수 있고, 피난 경보가 울리는 모든 층의 재실자가 동시 다발적으로 대피함에 따라 다수 층의 부속실(30)의 방화문(34)이 개방될 수 있으나, 부속실의 방화문(34)이 개방된 층에서만 자동 차압 댐퍼가 개방되는 경우가 많아 제연 성능이 부족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부(40)는 화재 감지기(7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부속실(30)에 즉각적이고 신속한 제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최대로(즉, 100% 개방)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합 제어부(40)는 화재 감지기(70)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 및 화재 발생 강도와 연계된 정보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 강도에 기초한 구동 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구동 비율에 기초하여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부(40)가 수신한 화재 발생 강도가 기 설정된 임계 강도를 초과하여 긴급한 상황인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에 통합 제어부(40)가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최대의 구동 비율로(100%로)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합 제어부(40)가 수신한 화재 발생 강도가 기 설정된 임계 강도 이하인 경우 통합 제어부(40)는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기 설정된 구동 비율로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실시예에 따라 기 설정된 임계 강도는 복수의 값(레벨)로 차등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구동 비율(개방 비율) 또한 상황에 맞게 다양한 값을 가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에 의해 화재 발생시 화재 발생층 및 기 설정된 상하 소정의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가 개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부(40)는, 화재 감지기(70)로부터 화재 발생 위치와 연계된 정보를 수신하여,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에 대한 기 설정된 상하 소정의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건물의 나머지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보다 높은 구동 비율로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재 발생층에 대한 기 설정된 상하 소정의 층은 화재 감지기(70)로부터 수신된 화재 발생 강도와 연계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발생 강도가 큰 경우의 상하 소정의 층의 수는 화재 발생 강도가 작은 경우의 상하 소정의 층의 수보다 크게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부(40)는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에 대한 기 설정된 상하 소정의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적어도 일부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합 제어부(40)는 건물 내 모든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되,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에 대한 기 설정된 상하 소정의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방 정도가 나머지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방 정도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예시적으로 통합 제어부(40)는 화재 발생층 및 화재 발생층에 대한 기 설정된 상하 소정의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80%의 구동 비율로 개방되도록 제어하고 나머지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는 40%의 구동 비율로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합 제어부(40)는 먼저 화재 발생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개방하도록 제어한 후, 화재 감지기(70)로부터 수신되는 추가적인 화재 상황과 연계된 정보를 고려하여, 기 설정된 상하 소정의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합 제어부(40)는 댐퍼의 주소 정보 및 작동 상태를 감지하고 연기 또는 화재가 발생하는 층에 설치된 레버형 제연 댐퍼(1000) 또는 해당 층과 인접한 미리 설정된 수만큼의 층에 설치된 레버형 제연 댐퍼(1000)를 우선하여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부(40)는 레버형 제연 댐퍼(1000)로부터 수신된 작동 상태 정보 및 주소 정보를 기초로 하여 건물 내 설치된 각각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부(40)는 기 설정된 모니터링 주기마다 각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에 특정 구동 비율에 대응하는 개방 제어 신호 또는 폐쇄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각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로부터 작동 상태 정보 및 주소 정보를 수신하여, 각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가 통합 제어부(40)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올바르게 개방 또는 폐쇄되는 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연 시스템(1)은 주소 정보 및 작동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이상 유무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자가 진단 기능을 마련할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부(40)는, 건물의 각 층에 설치된 레버형 제연 댐퍼(1000) 각각의 개방 또는 폐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수동 조작 모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 제어부(40) 또는 관리자 조작반에는 각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는 신호 연결선 및 버튼이 연결 및 구비되어 있고, 각 레버형 제연 댐퍼(1000)마다 버튼 조작을 통해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다.
즉, 통합 제어부(40)가 수동 조작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관리자 또는 소방 대원은 각 층에 설치된 레버형 제연 댐퍼(1000) 각각을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여 차등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부(40)는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기 위하여 구동력 제공 유닛(400)를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부(40)는 차압 센서(31), 방화문 센서(32) 또는 방연 풍속 센서(33) 중 적어도 하나의 감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통합 제어부(40)는, 차압 센서(31)에 의해 감지된 부속실(30)과 거실(60) 간의 차압, 방화문 센서(32)에 의해 감지된 방화문(34)의 개폐 여부 또는 방연 풍속 센서(33)에 의해 감지된 부속실(30) 내 방연 풍속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부(40)는 차압 센서(31)에 의해 감지된 부속실(30)과 거실(300) 간의 차압을 차압 센서(31)로부터 수신하여 부속실(30)과 거실(60) 간의 차압이 40Pa 내지 60Pa의 범위를 가지도록 해당 층의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부(40)는 방화문 센서(32)에 의해 감지된 방화문(34)의 개폐 여부를 수신하여 방화문(34)의 개폐 여부에 따라 해당 층의 부속실(30)에 공급되는 외부의 공기의 풍량, 풍속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도록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부(40)는 방연 풍속 센서(33)에 의해 감지된 부속실(30) 내 방연 풍속값을 수신하여 부속실(30)내 방연 풍속값이 0.5~0.7m/s의 범위가 되도록 레버형 제연 댐퍼(1000)의 개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제어부(40)는 급기팬(80)의 급기 풍량, 급기 풍속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20: 급기 풍도
30: 제연 구역
40: 통합 제어부
50: 네트워크
60: 거실
70: 화재 감지기
80: 급기팬
1000: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100: 평판
200: 댐퍼 프레임
300: 레버 유닛
400: 구동력 제공 유닛
500: 가이드 바

Claims (11)

  1.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에 있어서,
    전진 이동시 제연 구역과 급기 풍도 간의 개구부를 개방하고, 후진 이동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거동하고, 상기 개구부의 전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평판;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프레임,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결합되는 상측 프레임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측 프레임을 포함하는 댐퍼 프레임;
    상기 평판의 후면에 부착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과 연결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부에 설치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거동하는 레버 암, 및 상기 레버 암과 연결되고, 구동력을 제공받아 전진 이동 또는 후진 이동하여 상기 레버 암을 회전하여 상기 평판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평판 전후진 바를 포함하는 레버 유닛;
    상기 평판 전후진 바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력 제공 유닛; 및
    상기 평판이 상기 레버 암이 회전 거동하는 각도 범위에 대응하여 기울어지도록 상기 브래킷과 연계되어 설치되는 평판 회전 각도 조절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평판 회전 각도 조절 부재에 대한 제어를 통해 상기 평판이 소정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평판의 하측 방향 단부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의 이격 거리와 상기 평판의 상측 방향 단부로부터 상기 개구부까지의 이격 거리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제연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개폐를 위한 상기 평판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시, 상기 평판이 상기 개구부의 전면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가 상기 레버 암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거동하는 각도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평판에 연결되는 가이드 바,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레버형 제연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프레임은,
    상기 평판과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상측 프레임 및 상기 하측 프레임과 연결된 플랜지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인, 레버형 제연 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을 상기 급기 풍도의 상측 벽면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1스크류; 및
    상기 하측 프레임을 상기 급기 풍도의 하측 벽면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2스크류,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레버형 제연 댐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프레임의 상부를 상기 급기 풍도의 상측 벽면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3스크류; 및
    상기 플랜지 프레임의 하부를 상기 급기 풍도의 하측 벽면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4스크류,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레버형 제연 댐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을 상기 급기 풍도의 상측 벽면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5스크류; 및
    상기 하측 프레임을 상기 급기 풍도의 하측 벽면에 고정하도록 삽입되는 제6스크류,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레버형 제연 댐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풍도는,
    승강기의 이동 통로인 승강로 또는 상기 제연 구역에 구비되는 수직 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형 제연 댐퍼.
  8.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내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건물 외부의 공기의 유입 통로인 급기 풍도;
    상기 급기 풍도의 일부에 설치되어 건물 외부의 공기를 상기 급기 풍도 내로 공급하는 급기팬;
    상기 건물의 층마다 마련되고, 제연 구역에 해당하는 부속실;
    상기 급기 풍도와 상기 부속실 사이의 소정의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 풍도에 공급된 외부의 공기를 상기 부속실에 공급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거나 외부의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폐쇄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레버형 제연 댐퍼; 및
    상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화재 감지 신호를 기초로 상기 레버형 제연 댐퍼의 개폐를 제어하는 통합 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합 제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형 제연 댐퍼는,
    건물 내 설치된 각각의 상기 레버형 제연 댐퍼마다 할당된 고유의 주소 정보를 보유하고,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경우, 작동 상태 정보 및 상기 주소 정보를 상기 통합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인, 통합 제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레버형 제연 댐퍼로부터 수신된 상기 작동 상태 정보 및 상기 주소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레버형 제연 댐퍼 각각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통합 제연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레버형 제연 댐퍼 각각의 개방 또는 폐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수동 조작 모드로 전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제연 시스템.
KR1020190086456A 2019-07-17 2019-07-17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KR102080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56A KR102080793B1 (ko) 2019-07-17 2019-07-17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456A KR102080793B1 (ko) 2019-07-17 2019-07-17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793B1 true KR102080793B1 (ko) 2020-02-24

Family

ID=6963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456A KR102080793B1 (ko) 2019-07-17 2019-07-17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7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825B1 (ko) * 2021-09-30 2023-03-08 임태섭 댐퍼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5707B2 (ja) * 1994-11-14 1999-06-14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パルス循環式索道の搬器扉開閉装置
KR101453485B1 (ko) * 2012-06-05 2014-10-22 이동명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KR101754960B1 (ko) * 2015-09-22 2017-07-06 (주)미도이앤씨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KR101887505B1 (ko) *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05707B2 (ja) * 1994-11-14 1999-06-14 日本ケーブル株式会社 パルス循環式索道の搬器扉開閉装置
KR101453485B1 (ko) * 2012-06-05 2014-10-22 이동명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KR101754960B1 (ko) * 2015-09-22 2017-07-06 (주)미도이앤씨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KR101887505B1 (ko) * 2017-06-19 2018-08-10 주식회사 글로벌이앤피 평판형 제연 댐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825B1 (ko) * 2021-09-30 2023-03-08 임태섭 댐퍼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2664B1 (ko) 통합 제연 시스템
KR101223239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2113241B1 (ko) 제연설비 및 그 제연설비의 제어방법
KR101610281B1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102289665B1 (ko) 복합 급기 댐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시스템
KR102622256B1 (ko) 자동 차압 급기 댐퍼 및 그의 시스템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0823958B1 (ko) 제연기를 구비한 소방방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KR102207167B1 (ko) 거실 제연설비 시스템
KR101932622B1 (ko) 방화문
KR20190021666A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JP6475951B2 (ja) 圧力調整機能を有するダンパー装置、および圧力調整機能を有するダンパー装置を備えた防火扉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KR101123934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을 분리하여 급기하는 고층건물의 제연시스템
KR101190156B1 (ko) 자동차압댐퍼를 내장한 승강장문
KR101911323B1 (ko)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20130006253U (ko) 제연 시스템 댐퍼
JP3283950B2 (ja) 防煙装置
KR102413971B1 (ko) 급기가압 시스템의 건물용 차압 및 방연댐퍼 모듈 및 이의 운영방법
KR101893348B1 (ko) 차압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방화문
KR102272016B1 (ko) 계단실 급기 가압 방식의 댐퍼 시스템
KR102612594B1 (ko)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