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761B1 -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 Google Patents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761B1
KR101537761B1 KR1020140036803A KR20140036803A KR101537761B1 KR 101537761 B1 KR101537761 B1 KR 101537761B1 KR 1020140036803 A KR1020140036803 A KR 1020140036803A KR 20140036803 A KR20140036803 A KR 20140036803A KR 101537761 B1 KR101537761 B1 KR 101537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material
friction
plate
edge
brak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병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3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7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69/0408Attachment of linings specially adapted for plane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2Composition of linings ; Methods of manufacturing
    • F16D69/023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carbon and carbon fibres or fibres made of carbonizabl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2Composition of linings ; Methods of manufacturing
    • F16D69/027Compositions based on metals or inorganic ox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33Connecting elements not integral with the braking member, e.g. bolts, riv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5Bonding
    • F16D2069/0458Bonding metallurgic, e.g. welding, brazing, sin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으로, 마찰재와, 상기 마찰재가 전면에 결합되는 마찰재지지판과, 상기 마찰재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와, 상기 백플레이트 후면에 결합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브레이크 패드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마찰재의 후면 중심부를 지지하는 지지돌부와, 상기 마찰재의 후단 테두리가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돌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재를 마찰재지지판에 결합하고 마찰재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의 지지돌부가 마찰재의 후면 중심부를 지지하고 지지돌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공간부가 형성되어 마찰 제동시 사방으로의 변형에 대한 유연성도 커 마찰재와 제동디스크 마찰면의 고른 접촉을 달성할 수 있어 진동과 소음의 저감 효과가 크다.

Description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A low-noise brake pad}
본 발명은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철도차량, 항공기, 대형 차량 등에 장착되는 제동장치의 작동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여 승차감 및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브레이크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 항공기, 대형 차량 등의 교통수단은 운행 시 큰 운동에너지를 가지므로 제동을 체결하여 운동을 멈추기 위해서는 대용량, 고성능의 제동장치가 필요하다.
이때, 제동 작용은 운동에너지를 마찰에 의한 열에너지로 소진시키는 것이므로 제동장치는 충분한 마찰계수를 가지고 고온에서도 안정된 마찰계수를 유지하고 내마모성도 우수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가 많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제동장치는 브레이크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 캘리퍼 등으로 구성되어, 브레이크 체결 지령이 주어지면 브레이크 디스크의 양 측면에서 공압 혹은 유압으로 작동하는 브레이크 실린더가 브레이크 패드를 브레이크 디스크의 측면으로 눌러 브레이크 디스크 표면과 마찰재의 표면이 미끄럼마찰을 일으키며 차량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소진시켜 차량을 정지시킨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일반적인 브레이크 패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종래 일반적인 브레이크 패드(200)는 마찰재(230), 상기 마찰재(230)와 결합되어 마찰재(230)를 지지하는 마찰재지지판(220), 상기 마찰재(230)와 마찰재지지판(220)을 보강하며 브라켓(240)이 취부되는 백플레이트(210)로 구성된다. 이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압, 유압 혹은 전자기력 등의 힘으로 백플레이트(210)에 압력을 가하면 브레이크 패드(200)는 브레이크 디스크(미도시됨) 쪽으로 이동하고 마찰재(230)의 마찰면이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면에 접촉하게 되고 마찰재(230) 면과 디스크 면 사이에서 마찰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하여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소진시켜 운동하는 차량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브레이크 패드(200)는 상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의 변형에 대한 유연성이 부족하여 봉 형태의 모든 마찰재(230) 면이 브레이크 디스크 면과 균일하게 접촉하지 못하고 일부 마찰재(230)는 접촉압력이 높고, 일부 마찰재(230)는 접촉압력이 낮아 접촉의 불안정에 기인하여 편마모를 유발하고, 불안정한 접촉은 과도한 소음진동의 발생원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찰재(230)와 마찰재지지판(220), 혹은 마찰재 지지판(220)과 백플레이트(210) 사이에 스프링을 넣어 마찰재(230)가 브레이크 디스크의 표면상태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하여 디스크 마찰면과 마찰재(230)의 마찰면이 균일한 접촉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공개특허 제10-2011-0024257호, 등록특허 제10-0947301호 및 등록특허 제10-0784504호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브레이크 패드(200)에서와 같이 스프링을 삽입하는 경우 마찰재(230)의 변형에 대한 유연성은 일부 확보할 수 있지만, 마찰재(230)와 마찰재지지판(220)의 결합강도가 충분하지 못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또한 스프링이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이 공간에 비례하여 마찰재(230)의 길이를 짧게 하여야 하므로 브레이크 패드(200)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스프링이 고온의 마찰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스프링이 탄성을 잃어 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도 있다.
참고문헌 1 : 공개특허 제10-2011-0024257호 참고문헌 2 : 등록특허 제10-0947301호 참고문헌 3 : 등록특허 제10-078450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제동 장치의 작동시에 브레이크 디스크와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줄이고, 마찰재 편마모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스프링 등 추가적 부속품을 사용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한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재 편마모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 스프링이 차지하는 공간 활용을 통해 마찰재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브레이크 패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브레이크 패드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마찰재와, 상기 마찰재가 전면에 결합되는 마찰재지지판과, 상기 마찰재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와, 상기 백플레이트 후면에 결합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브레이크 패드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마찰재의 후면 중심부를 지지하는 지지돌부와, 상기 마찰재의 후단 테두리가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돌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마찰재는 금속계 소결재 또는 탄소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찰재지지판은 상기 마찰재가 결합되는 마찰재 고정공이 표면에 타공되며, 상기 마찰재 고정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마찰재 결합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마찰재의 후단 테두리를 감싸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찰재지지판은 강재로 구성되며 마찰재와 소결공정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지지돌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돌부의 전단부의 직경은 마찰재의 후면 반경의 0.2 ∼ 0.7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의 깊이는 마찰재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도록 0.5 ∼ 3.0 mm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폭은 마찰재의 후면 원주를 중간점으로 하여 마찰재 밑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경과 내경의 차가 마찰재 반경의 0.2 ∼ 0.7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마찰재지지판의 마찰재 고정공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찰재지지판에 결합되는 마찰재 후면의 원주에서 외측으로 3 ∼ 10 mm 떨어진 마찰재지지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 1 ∼ 5 mm인 관통공을 마찰재 후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관통공들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는 관통공 지름의 3 ∼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재를 마찰재지지판에 결합하고 마찰재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의 지지돌부가 마찰재의 후면 중심부를 지지하고 지지돌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공간부가 형성되어 마찰 제동시 사방으로의 변형에 대한 유연성도 커 마찰재와 제동디스크 마찰면의 고른 접촉을 달성할 수 있어 진동과 소음의 저감 효과가 크다.
특히, 본 발명은 마찰재 후면의 원주를 따라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여 스프링 등 추가적 부속품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마찰재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브레이크 패드의 소음을 방지함은 물론 수명 연장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마찰재의 결합부위는 마찰재지지판과 소결결합으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제동시에 진동 및 소음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킴에 따라 승차감 및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브레이크 패드의 B - B 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레이크 패드의 A - A 선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에 불규칙한 접촉시 마찰재의 변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100)는 철도차량, 항공기, 대형 차량 등과 같은 교통수단의 제동을 위해 설치되는 통상의 제동 장치(미도시됨)에 장착되며, 상기 제동 장치의 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저감시킨다.
이때, 제동 장치는 통상 제동 지령에 따라 공압, 유압 혹은 전자기력 등의 힘으로 백플레이트에 압력을 가하면 브레이크 패드(100)는 브레이크 디스크 쪽으로 이동하고 마찰재 면이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면에 접촉하게 되고 마찰재의 마찰면과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면 사이에서 마찰에 의해 마찰열이 발생하여 운동에너지를 소진시켜 운동하는 물체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은 제동 장치에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100)는 일정 높이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마찰재(130)와, 상기 복수의 마찰재(130)가 전면에 결합되는 마찰재지지판(120)과, 상기 마찰재지지판(120)의 후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110)와, 상기 백플레이트(110)후면에 결합되는 브라켓(140)으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마찰재(130)의 면 원주를 따라 마찰재(130)와 마찰재지지판(120)과 백플레이트(110) 사이에 공간부(114)를 확보하고, 마찰재(130) 밑면의 중심부 일부면이 백플레이트(110)와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마찰재(130)는 브레이크 디스크 마찰면에 마찰되는 것으로 다각 기둥 형태, 뿔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원형 봉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마찰재(130)는 마찰, 마모 성능이 우수하고 열전달 특성이 양호한 것이 바람직한데 양호한 내열성도 요구되므로 금속계 소결재나 탄소 복합재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계 소결재로서 철계 소결재는 철(Fe)을 기지금속으로 하고 구리, 주석, 망간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고, 마찰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흑연, 이산화규소(SiO2), 황산바륨(BaSo4)을 첨가하여 형성 할 수 있다.
금속계 소결재로서 동계 소결재는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고 철, 주석, 니켈, 망간과 같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고, 마찰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흑연, 황산바륨(BaSo4), 이산화규소(SiO2), 실리콘카바이드(SiC)을 첨가하여 형성 할 수 있다.
탄소 복합재는 탄소기지에 탄소섬유를 보강한 탄소-탄소 복합재에 규소(Si)나 구리(Cu) 를 함침시켜 탄소-탄소-SiC 복합재, 혹은 탄소-탄소-구리 복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찰재(130)의 성분은 마찰, 마모 특성, 내열성, 진동, 소음 성능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성분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찰재(130)는 후단 테두리가 마찰재지지판(120)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마찰재지지판(120)은 복수의 마찰재(130)가 결합되는 복수의 마찰재 고정공(122)이 표면에 타공되어 복수의 마찰재(130)가 각각의 마찰재 고정공(122)에 결합된다. 이 경우 마찰재(130)가 견고하게 고정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마찰재 고정공(1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마찰재 결합부(124)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마찰재(130)의 후단 테두리를 감싸며 지지한다.
이때, 상기 마찰재지지판(120)은 강재로 구성되며 마찰재(130)와 소결공정에서 결합된다.
이 경우 마찰재지지판(120)의 마찰재 결합부(124)는 마찰재(130)의 후단 외주면 방향으로 돌출되게 플랜지를 형성하여 마찰재(130)와 마찰재지지판(120)의 결합면적을 증가시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재(130)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마찰재지지판(120)은 소결 전 구리 도금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찰재지지판(120)의 후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110)는 각각의 마찰재(130)의 후면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반경 내부 영역에서 마찰재(130)와 접촉하는 상태로 조립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백플레이트(110)의 전면에는 마찰재(130)의 후면 중심부를 지지하는 지지돌부(112)와, 상기 지지돌부(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부(114)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지지돌부(112)는 상기 마찰재지지판(120)의 마찰재 고정공(122)에 대응되는 상기 백플레이트(110)의 위치에 복수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백플레이트(110)는 강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백플레이트(110)는 상기 마찰재지지판(120)과 스폿 용접 또는 리벳으로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지지돌부(112)는 원기둥 형태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돌부(112)의 전단부의 직경은 마찰재(130)의 후면 반경의 0.2 ∼ 0.7배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돌부(112)의 절단부 직경이 마찰재(130)의 후면반경의 0.2배 이하가 되면 마찰재(130)를 지지하는 면적이 작아서 마찰재(130)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고, 0.7배 이상이 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찰재(130)의 기울어짐에 대한 대응이 어렵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마찰재(130)와 마찰재지지판(120)의 결합부 강도가 충분한 경우에는 상기 지지돌부(112)의 크기를 작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부(112)의 반경 크기를 조절하여 마찰재(130) 전면에 작용하는 수직압력(P)에 의한 마찰재(130)의 수직방향의 변형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돌부(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부(114)는 마찰재(130)가 브레이크 디스크에 마찰시 기울어지는 경우 마찰재(130)의 후단 테두리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마찰재(130)의 마찰면 혹은 브레이크 디스크의 마찰면이 마모에 의해 약간 기울어지는 경우 마찰재(130)의 마찰면과 원활한 접촉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마찰재(130)가 유연하게 변형이 되어야 하는데 상기의 공간부(114)로 인하여 이러한 기능을 잘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간부(114)의 깊이는 마찰재(130)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도록 0.5 ∼ 3.0 mm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114)의 폭은 마찰재(130)의 후면 원주를 중간점으로 하여 마찰재(130) 밑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경과 내경의 차가 마찰재(130) 반경의 0.2 ∼ 0.7배 정도가 바람직하지만 그 크기는 이 같은 범위로 제한되지 않고, 적용되는 대상에 따라 다양한 비율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찰재(130)와 마찰재지지판(120)의 결합강도, 마찰재지지판(120)의 두께와 강도, 백플레이트(110)의 두께와 강도 등은 그 적용 상태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재(130)와 마찰재지지판(120)의 결합부는 스프링의 역할을 수행하여 마찰재(13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진동을 완화시키고 이로 인하여 소음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브라켓(140)은 강재로 구성되며 상기 백플레이트(110)와 플러그 용접 또는 볼트 체결 방식으로 연결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불규칙한 접촉에 의한 마찰재의 변형 상태를 보여준다. 즉 왼쪽 마찰재(130)의 마찰면과 접촉하는 제동 디스크(P)의 마찰면이 편평하지 않고 약간 기울어진 상태에서 두 마찰면이 전 영역에서 고른 접촉을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강성이 작은 오른쪽의 마찰재(130')의 마찰면이 디스크(P)의 마찰면에 나란히 기울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마찰재들(130,130')이 마찰면이 편평하지 않은 디스크(P) 표면에 접촉하더라도 편마모가 일어나지 않고, 진동과 소음의 발생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마찰재(130)와 마찰재지지판(120)이 결합되는 부위가 유연한 변형을 하고 진동과 소음의 저감에 유용한 크기의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방안은 마찰재 고정공(122)의 가장자리 즉 마찰재(130)의 후면의 원주에서 외측으로 3 ∼ 10 mm 떨어진 마찰재지지판(1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 1 ∼ 5 mm인 관통공(126)을 마찰재(130) 후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또는 주변의 마찰재(130) 위치를 고려하여 약간 다른 간격으로 가공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관통공(126)은 원주방향으로 한 줄의 구멍을 배치한 경우를 보여주지만 마찰재(130)의 전후, 좌우 방향의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관통공(126)을 타공할 수도 있다. 물론 두 마찰재(130,130') 사이에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조정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공(126)들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는 관통공(126) 반경의 3 ∼ 5배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관통공(126)들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가 관통공(126)반경의 3배 이하가 되면 마찰재(130)의 변형이 어려워지고, 5배이상이 되면 마찰재(130)의 변형이 크게 되어 마찰재(130)가 마찰재지지판(120)에는 분리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마찰재(130)의 결합부위는 마찰재지지판(120)과 소결결합으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마찰재(130) 후면의 원주를 따라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도록 백플레이트(140)에 공간부(114)를 형성하여 사방으로의 변형에 대한 유연성도 커 마찰재(130)와 제동디스크(P) 마찰면의 고른 접촉을 달성할 수 있어 진동과 소음의 저감 효과가 크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브레이크 패드 110: 백플레이트
112: 지지돌부 114: 공간부
120: 마찰재지지판 122: 마찰재 고정공
124: 마찰재 결합부 130: 마찰재
140: 브라켓

Claims (9)

  1. 마찰재와, 상기 마찰재가 전면에 결합되는 마찰재지지판과, 상기 마찰재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백플레이트와, 상기 백플레이트 후면에 결합되는 브라켓으로 구성되는 브레이크 패드에 있어서,
    상기 백플레이트의 전면에는 상기 마찰재의 후면 중심부를 지지하는 지지돌부와, 상기 마찰재의 후단 테두리가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돌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찰재지지판에 결합되는 마찰재 후면의 원주에서 외측으로 3 ∼ 10 mm 떨어진 마찰재지지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경 1 ∼ 5 mm인 관통공을 마찰재 후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되,
    상기 관통공들의 중심점 사이의 거리는 관통공 지름의 3 ∼ 5배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는 금속계 소결재 또는 탄소 복합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지지판은 상기 마찰재가 결합되는 마찰재 고정공이 표면에 타공되며, 상기 마찰재 고정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마찰재 결합부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마찰재의 후단 테두리를 감싸며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재지지판은 강재로 구성되며 마찰재와 소결공정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부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돌부의 전단부의 직경은 마찰재의 후면 반경의 0.2 ∼ 0.7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깊이는 마찰재의 변형을 수용할 수 있도록 0.5 ∼ 3.0 mm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폭은 마찰재의 후면 원주를 중간점으로 하여 마찰재 밑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외경과 내경의 차가 마찰재 반경의 0.2 ∼ 0.7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40036803A 2014-03-28 2014-03-28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KR101537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803A KR101537761B1 (ko) 2014-03-28 2014-03-28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803A KR101537761B1 (ko) 2014-03-28 2014-03-28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761B1 true KR101537761B1 (ko) 2015-07-22

Family

ID=5387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803A KR101537761B1 (ko) 2014-03-28 2014-03-28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0285A (zh) * 2018-09-28 2019-02-15 贵州新安航空机械有限责任公司 可拆卸刹车块的闸片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673A (ja) * 1993-12-09 1995-06-20 Akebono Brake Ind Co Ltd 車両用摩擦材の取付方法
KR20080042615A (ko) * 2006-11-10 2008-05-15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 소음 마찰패드
JP2008138781A (ja) * 2006-12-01 2008-06-19 Sumitomo Denko Brake Systems Kk ブレーキパッドとそのパッドのライニングの研磨方法
JP2009008270A (ja) * 2005-01-10 2009-01-15 Cofren Srl 特に鉄道分野で使用される、摩擦要素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の改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8673A (ja) * 1993-12-09 1995-06-20 Akebono Brake Ind Co Ltd 車両用摩擦材の取付方法
JP2009008270A (ja) * 2005-01-10 2009-01-15 Cofren Srl 特に鉄道分野で使用される、摩擦要素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の改良
KR20080042615A (ko) * 2006-11-10 2008-05-15 주식회사 다윈프릭션 브레이크 시스템용 저 소음 마찰패드
JP2008138781A (ja) * 2006-12-01 2008-06-19 Sumitomo Denko Brake Systems Kk ブレーキパッドとそのパッドのライニングの研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0285A (zh) * 2018-09-28 2019-02-15 贵州新安航空机械有限责任公司 可拆卸刹车块的闸片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2337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
JP6535411B2 (ja) 列車用の弾性調節式ブレーキパッド
CN1804422B (zh) 特别用于铁路领域的具有摩擦元件的盘式制动衬垫
JP5333205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
US8485323B2 (en) Caliper assembly for disc brake system
KR101619752B1 (ko) 저소음 제동 패드
KR20170097725A (ko) 부분 라이닝-디스크 브레이크를 위한 브레이크 라이닝, 라이닝 홀더에 브레이크 라이닝의 배치 및 라이닝 홀더에 지지되는 브레이크 라이닝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US9476468B2 (en) Disc brake and brake pad for a disc brake
CN108474425B (zh) 铁道车辆用的制动摩擦衬片及采用其的铁道车辆用盘形制动器
KR20150093144A (ko) 디스크 브레이크와 디스크 브레이크의 누름 스프링
CN110088495B (zh) 对置活塞型盘式制动器用卡钳
KR102107642B1 (ko) 철도 차량용 브레이크 라이닝 및 그것을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JP2008138781A (ja) ブレーキパッドとそのパッドのライニングの研磨方法
KR101537761B1 (ko)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JP4572893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6275230A (ja) 鉄道車両用のブレーキライニング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JP5418782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
JP6773670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およびそれ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
EP1984643B1 (en) Spring for holding pads in a disc brake caliper
KR101537531B1 (ko) 저소음 브레이크 패드
EP1599679B1 (en) High performance disk brake
KR20170019833A (ko) 디스크 브레이크
JP4785516B2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8309319A (ja) 鉄道車両用ブレーキライニング及び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900388B1 (ko)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