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024B1 - 적층 필름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024B1
KR101536024B1 KR1020107011042A KR20107011042A KR101536024B1 KR 101536024 B1 KR101536024 B1 KR 101536024B1 KR 1020107011042 A KR1020107011042 A KR 1020107011042A KR 20107011042 A KR20107011042 A KR 20107011042A KR 101536024 B1 KR101536024 B1 KR 101536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hosphor
weight
coating
a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850A (ko
Inventor
다로 오오야
준 이구치
히로시 구스메
아츠시 오야마츠
Original Assignee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0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위에 형성된 형광체를 함유하는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 도포층의 형광체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형광체의 도포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이 5 ∼ 8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에 의해 시간 경과적 황변이 억제되어, 휘도가 높고, 색 편차가 적어 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한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층 필름 {MULTILAYER FILM}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위에 형성된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텔레비전으로 대표되는 액정 표시 장치가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통상적으로 사이드형 라이트 방식 또는 직하형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액정 텔레비전의 백라이트 유닛에서는, 직하형 라이트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이 방식에서는, 액정 셀과 그 안에 배치된 반사판 사이에 냉음극선관이 병렬로 설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반사판에는 높은 반사 성능이 요구된다. 종래, 이 반사판으로서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필름이나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하는 필름이 사용되어 왔다. 내부에 백색 안료를 함유하는 필름은 높은 휘도와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05047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330727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 내부에 미세한 기포를 함유하는 필름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221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7-118433호에 개시되어 있다.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반사판에 사용하는 필름 자체의 반사율을 향상시키는 것 외에, 형광 증백제를 필름에 도포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40214호). 그러나, 형광 증백제를 도포한 경우에는, 냉음극선관으로부터 방사되는 자외광에 의해 형광 증백제가 열화되어, 필름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황변되게 된다.
본 발명은 시간 경과적 황변이 억제된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부재로서 사용했을 때에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는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시간 경과적 황변이 억제되어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으며, 색 편차가 적어, 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한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위에 형성된 형광체를 함유하는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 도포층의 형광체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형광체의 도포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이 5 ∼ 8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간 경과적 황변이 억제된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고, 또,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부재로서 사용했을 때에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는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또, 시간 경과적 황변이 억제되어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으며, 색 편차가 적어 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한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포층)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포층의 형광체가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형광체로서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형광체를 사용함으로써, 색 편차가 적은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한편, 형광체로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형광체를 사용하면,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가 분해되어,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 자외선에 의해 적층 필름이 황변되게 된다.
도포층은 도포층의 조성물 100 중량% 당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형광체를 5 ∼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 50 중량% 함유한다. 5 중량% 미만이면, 반사판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필름으로서 백색 필름을 사용했을 때에 충분히 높은 휘도를 유지할 수 없다. 한편, 80 중량% 를 초과하면 균일한 도포층을 얻을 수 없어, 필름 전체에 걸쳐서 불균일 없이 황변을 억제하기 어렵다.
도포층은 필름의 황변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관점에서,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층이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도포층의 조성물 100 중량% 당 예를 들어 20 ∼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 50 중량% 이다.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은 저분자 타입이어도 되고 고분자 타입이어도 된다. 고분자 타입인 것으로서,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저분자를 고분자의 주사슬이나 측사슬에 중합시킨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고분자 타입의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은 바인더로서의 기능을 구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포층은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 외에, 바인더로서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층이 바인더의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바인더 수지는 도포층의 조성물 중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형광체 이외의 부분을 차지하거나, 또는 도포층의 조성물 중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형광체 및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 이외의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도포층을 구성하는 이들 성분은 유기 용매에 용해 혹은 분산시켜 도포액으로서 사용한다.
바인더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폴리아세트산비닐, 불소계 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체, 2 종 이상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공중합한 바인더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도포층의 두께는 2 ∼ 1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두께로 함으로써, 무기 형광체가 잘 탈락되지 않고, 게다가 양호한 슬라이딩성을 구비하는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형광체)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형광체는 여기 파장이 400 ∼ 450 nm 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여기 파장을 갖는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형광체를 사용함으로써 반사판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어, 흡수에 의한 착색이 없는 적층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형광체」를 간단히 「무기 형광체」로 말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무기 형광체는 발광 피크 파장이 500 ∼ 600 nm 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파장이 500 nm 미만이거나 600 nm 를 초과하면 반사판으로서 사용했을 때의 휘도 향상의 효과가 적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의 여기 파장 및 발광 피크 파장에 대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무기 형광체로서, 암염형 결정 구조를 갖는 알칼리 토금속 황화물, 알칼리 토금속 복합 산화물 또는 인산란탄 화합물을 모체로 하여 이루어지고, 부활 물질을 함유하는 무기 형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토금속 황화물로서, 예를 들어 황화아연 (ZnS), 황화스트론튬 (SrS), 산화이트륨 (Y2O2) 을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토금속 복합 산화물로서, 예를 들어 바륨·마그네슘·알루미늄 복합 산화물 (BaMgAl10O17) 을 사용할 수 있다.
부활 물질로는, 예를 들어, Eu, Cu, Mn, Al, Ce, Tb, Ba, Sr, Ag 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조합으로서 예를 들어, Eu, Cu 와 Al 의 조합, Ce 와 Tb 의 조합, Ba 와 Eu 의 조합, Ba 와 Sr 과 Eu 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무기 형광체는 황화스트론튬 (SrS) 또는 산화이트륨 (Y2O2) 을 모체로 하여 이루어지고, 부활 물질로서 유로퓸 (Eu) 및/또는 구리 (Cu) 를 함유하는 무기 형광체, 바륨·마그네슘·알루미늄 복합 산화물 (BaMgAl10O17) 을 모체로 하여 이루어지고, 부활 물질로서 유로퓸 (Eu) 및/또는 망간 (Mn) 을 함유하는 무기 형광체, 인산 란탄 (LaPO4) 을 모체로 하여 이루어지고, 부활 물질로서 Ce 및/또는 Tb 를 함유하는 무기 형광체이다.
부활 물질이 Eu 인 경우, 부활제로서 예를 들어 Eu2O3 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무기 형광체에 있어서의 부활제 Eu2O3 의 함유량은 무기 형광체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01 ∼ 10 중량% 이다.
부활 물질이 Mn 인 경우, 부활제로서 예를 들어 MnO 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무기 형광체에 있어서의 부활제 MnO 의 함유량은 무기 형광체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01 ∼ 1 중량% 이다.
부활 물질이 Ce 인 경우, 부활제로서 예를 들어 CePO4 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무기 형광체에 있어서의 부활제 CePO4 의 함유량은 무기 형광체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01 ∼ 35 중량% 이다.
부활 물질이 Tb 인 경우, 부활제로서 예를 들어 Tb4O7 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무기 형광체에 있어서의 부활제 Tb4O7 의 함유량은 무기 형광체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01 ∼ 25 중량% 이다.
부활 물질이 Cu 인 경우, 부활제로서 예를 들어 Cu2S 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무기 형광체에 있어서의 부활제 Cu2S 의 함유량은 무기 형광체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01 ∼ 1 중량% 이다.
부활 물질이 Al 인 경우, 부활제로서 예를 들어 Al2S3 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무기 형광체에 있어서의 부활제 Al2S3 의 함유량은 무기 형광체의 합계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0.01 ∼ 1 중량% 이다.
무기 형광체는 예를 들어 입자 형상인 것을 사용하며, 입자의 형상은 문제 삼지 않지만, 예를 들어 구 형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예를 들어 2 ∼ 10 ㎛, 바람직하게는 3 ∼ 7 ㎛ 이다. 이 범위의 평균 입자직경의 입자 형상의 무기 형광체를 사용함으로써, 도포액 중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어, 균일하게 형광체가 분포된 도포층을 얻을 수 있다.
무기 형광체는 시판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다음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녹색 발광 무기 형광체로서 2210 (카세이 옵토닉스사 제조의 ZnS 를 모체로 하고, Cu 를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진다), E7031-2 (네모토 특수 화학사 제조의 La2O2S 를 모체로 하고, Eu 를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진다), E4011-1 (네모토 특수 화학사 제조의 SrAl2O4 를 모체로 하고, Eu 를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진다) 을 사용할 수 있다.
적색 무기 형광체로서 D1110 (네모토 특수 화학사 제조, Y2O3 을 모체로 하고, Eu 를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진다) 을 사용할 수 있다.
청색 무기 형광체로서 D1230 (네모토 특수 화학사 제조의 SrS 를 모체로 하고, Eu 를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진다), E2031-2 (네모토 특수 화학사 제조의 BaMgAl10O17 을 모체로 하고, Eu 를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진다) 를 사용할 수 있다.
녹색 무기 형광체로서 KX732A (카세이 옵토닉스사 제조, 바륨·마그네슘·알루미늄 복합 산화물 (BaMgAl10O17) 을 모체로 하고, Eu 및 Mn 을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진다) 를 사용할 수 있다.
황녹색 무기 형광체로서 P22-GN4 (카세이 옵토닉스사 제조의 ZnS 를 모체로 하고, Cu, Al 을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진다), LP-G2 (카세이 옵토닉스사 제조의 LaPO4 를 모체로 하고, Ce, Tb 를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진다) 를 사용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살리실산계, 트리아진계, 벤조에이트계, 옥살산아닐리드계 등 유기계인 것, 또, 졸겔 등의 무기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계의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은 폴리머에 공중합한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자외선 흡수능을 갖는 화합물을 이하에 예시한다.
벤조페논계인 것으로서,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5-술포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비스(2-메톡시-4-하이드록시-5-벤조일페닐)메탄을 예시할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계인 것으로서,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놀)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2'하이드록시-5'-메타아크릴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3",4",5",6"-테트라하이드로프탈이미도메틸)-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을 예시할 수 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인 것으로서, 에틸-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살리실산계인 것으로서, p-t-부틸페닐살리실레이트, p-옥틸페닐살리실레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는,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사용한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스테르에는 공중합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공중합 성분의 비율은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어 20 몰% 이하의 비율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반사판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는, 폴리에스테르에 입자를 배합한 조성물이나, 폴리에스테르와는 비상용 (非相容) 수지를 배합한 조성물의 시트를 연신하고, 연신시에 폴리에스테르와 입자의 계면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비상용 수지의 계면에서 박리를 발생시켜 필름 내부에 미세한 보이드를 형성한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예를 들어 사용할 수 있다. 입자로는, 예를 들어 무기 입자, 유기 입자, 이들의 복합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는, 반사층과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백색 적층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반사층의 황변을 억제하기 위해서 도포층은 반사층 상에 형성된다.
백색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반사층의 보이드 체적률은 바람직하게는 30 ∼ 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75 %, 특히 바람직하게는 38 ∼ 70 % 이다. 이 보이드 체적률은 폴리에스테르와 입자 또는 비상용 수지의 계면이 연신시에 박리되어 보이드가 발생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보이드를 형성하는 물질로서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3 ∼ 3.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2.5 ㎛,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2.0 ㎛ 이다. 평균 입자직경이 0.3 ㎛ 미만이면 응집이 발생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고, 3.0 ㎛ 를 초과하면 필름의 파단으로 이어질될 수도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입자는 반사층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00 중량부당 바람직하게는 31 ∼ 6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55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37 ∼ 50 중량부 함유시킨다. 31 중량% 미만이면 반사율이 저하되거나, 자외선으로 인한 열화가 심해지거나 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60 중량% 를 초과하면 필름이 찢어지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입자로는 무기 입자가 바람직하다.
특히 높은 반사 성능을 얻는 관점에서 무기 입자로는, 바람직하게는 백색 안료를 사용한다. 백색 안료로는, 예를 들어, 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이산화규소의 입자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황산바륨 입자를 사용한다. 황산바륨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특히 양호한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황산바륨 입자는 판 형상, 구 형상 중 어느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유기 입자로는,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비상용 수지의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보이드를 형성하는 물질로서 비상용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비상용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3-메틸부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t-부탄, 1,4-트랜스-폴리-2,3-디메틸부타디엔,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스티렌, 폴리플루오로스티렌,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을 사용한다.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은 수지 자체가 고투명하기 때문에, 광의 흡수를 억제하여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하다.
비상용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반사층의 폴리에스테르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바람직하게는 5 ∼ 3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8 ∼ 25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한다. 반사층에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배합하면 필름이 매우 파단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고, 5 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보이드 형성이 이루어지 않아, 필름의 반사율의 낮아지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 자외선에 의해 내성이 떨어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지지층은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이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00 중량부당 무기 입자를 바람직하게는 0.5 ∼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27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25 중량% 함유한다. 0.5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슬라이딩성을 얻을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고, 30 중량% 를 초과하면 반사층을 지지하는 지지층으로서의 강도를 유지할 수 없어, 필름의 파단으로 이어질 수도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무기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1 ∼ 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3 ㎛, 특히 바람직하게는 0.6 ∼ 2 ㎛ 이다. 0.1 ㎛ 미만이면 입자의 응집이 발생되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고, 5 ㎛ 를 초과하면 조대 (粗大) 돌기가 되어 필름 파단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황산바륨 입자를 함유하는 반사층과 지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층을 형성한 적층 필름을 예로 설명한다.
황산바륨 입자의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대한 배합은 폴리에스테르의 중합시에 실시해도 되고, 중합 후에 실시해도 된다. 중합시에 실시하는 경우, 에스테르 교환 반응 혹은 에스테르화 반응 종료 전에 배합해도 되고, 중축합 반응 개시 전에 배합해도 된다.
중합 후에 실시하는 경우, 중합 후의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여 용융 혼련시키면 된다. 이 경우, 황산바륨 입자를 비교적 고농도로 함유하는 마스터 펠릿을 제조하고, 이것을 황산바륨 입자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에스테르 펠릿에 배합함으로써 원하는 함유율로 황산바륨 입자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막제조시의 필터로서 선 직경 15 ㎛ 이하의 스테인리스강 세선으로 이루어지는 평균 메시 10 ∼ 100 ㎛, 바람직하게는 평균 메시 20 ∼ 50 ㎛ 의 부직포형 필터를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여과를 실시함으로써, 일반적으로는 응집되어 조대 응집 입자가 되기 쉬운 입자의 응집을 억제하여, 조대 이물질이 적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다이로부터 용융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피드 블록을 사용한 동시 다층 압출법에 의해 적층 미연신 시트를 제조한다. 즉, 반사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용융물과 지지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용융물을 피드 블록을 사용하여 반사층/지지층이 되도록 적층하고, 다이에 전개하여 압출을 실시한다. 이 때, 피드 블록에 의해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적층된 형태를 유지하였다.
다이로부터 압출된 미연신 시트는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 고화되어 미연신 필름이 된다.
도포층의 도설에 사용하는 도포액은 이 미연신 필름에 대하여, 혹은 이 후의 세로 연신을 거친 세로 연신 필름에 대하여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연신 형상 필름을 롤 가열, 적외선 가열 등에 의해 가열하고, 세로 방향으로 연신하여 세로 연신 필름을 얻는다. 이 연신은 2 개 이상의 롤의 주속 (周速) 차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점 (Tg) 이상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서는 Tg ∼ (Tg+70 ℃) 의 온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은 용도의 요구 특성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세로 방향, 세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이후, 가로 방향이라고 한다) 모두 바람직하게는 2.2 ∼ 4.0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3 ∼ 3.9 배이다. 2.2 배 미만으로 하면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악화되어 양호한 필름을 얻을 수 없고, 4.0 배를 초과하면 막제조 중에 파단이 발생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세로 연신 필름은 계속해서 가로 연신, 열고정, 열이완 처리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2 축 배향 필름으로 하는데, 이들 처리는 필름을 주행시키면서 실시한다. 가로 연신 처리는 폴리에스테르의 유리 전이점 (Tg) 보다 높은 온도에서부터 시작하여 (Tg+5) ∼ (Tg+70) ℃ 의 온도로 승온시키면서 실시한다. 가로 연신 과정에서의 승온은 연속적이어도 되고 단계적 (축차적) 이어도 되지만, 통상적으로 축차적으로 승온시킨다. 예를 들어, 텐터의 가로 연신 존을 필름 주행 방향을 따라 복수로 나누어 존마다 소정 온도의 가열 매체를 흘림으로써 승온시킨다. 가로 연신의 배율은 바람직하게는 2.5 ∼ 4.5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2.8 ∼ 3.9 배이다. 2.5 배 미만이면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나빠져 양호한 필름이 얻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고, 4.5 배를 초과하면 막제조 중에 파단이 발생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가로 연신 후의 필름은 양 단을 파지한 채로 (Tm-20) ∼ (Tm-100) ℃ 에서 정폭 또는 10 % 이하의 폭 감소 하에서 열처리하여 열수축률을 저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보다 높은 온도이면 필름의 평면성이 나빠져, 두께 불균일이 커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열처리 온도가 (Tm-100) ℃ 보다 낮으면 열수축률이 커지는 경우가 있다.
열처리 후, 필름 온도를 상온으로 되돌리는 과정에서 (Tm - 20) ∼ (Tm - 100) ℃ 의 온도 영역에서 필름의 열수축량을 조정하기 위해, 파지하고 있는 필름의 양 단을 잘라내고, 필름 세로 방향의 인취 속도를 조정하여 세로 방향으로 이완시켜도 된다. 이완하려면 텐터 출측의 롤군의 속도를 조정하면 된다. 이완은 텐터의 필름 라인 속도에 대하여 롤군의 속도를 다운시키고, 바람직하게는 0.1 ∼ 1.5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1.2 %,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 1.0 % 의 속도 다운시킴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름을 이완시킴으로써 세로 방향의 열수축률을 조정할 수 있다. 또, 필름의 가로 방향은 양 단을 잘라낼 때까지의 과정에서 폭을 감소시켜 원하는 열수축률을 얻을 수도 있다.
여기서는, 축차 2 축 연신법에 의해 연신하는 경우를 예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축자 2 축 연신법, 동시 2 축 연신법 중 어느 방법으로 연신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층은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직접 형성해도 되지만, 접착성이 부족한 경우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나 언더 코팅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언더 코팅 처리는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공정 내에서 형성해도 되고 (인라인 코팅법),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 후에 별도로 도포해도 된다 (오프라인 코팅법). 언더 코팅 처리에 사용하는 재료는 적절히 선택하면 되지만,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아크릴, 각종 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형광체를 함유하는 도포층은 임의의 방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스핀, 리버스, 바, 스크린, 딥핑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포 후의 경화 방법은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경화, 자외선, 전자선, 방사선 등의 활성선을 사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도포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시에 필름의 결정 배향화 완료 전에 실시해도 되고, 필름의 결정 배향 완료 후에 실시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서술한다.
또한, 측정 및 평가는 이하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 필름의 두께
필름 샘플을 일렉트릭 마이크로미터 (안리츠 제조, K-402B) 로 10 점 두께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여 필름 두께로 하였다.
(2) 도포층의 두께
샘플을 삼각형으로 잘라내어 포매 캡슐에 고정 후, 에폭시 수지로 포매하였다. 그리고, 포매된 샘플을 마이크로톰 (ULTRACUT-S) 으로 세로 방향으로 평행한 단면 (斷面) 을 박막 절편으로 한 후, 광학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 촬영하고, 사진으로부터 도포층과 필름의 두께비를 측정하고, 필름 전체의 두께로부터 계산하여 도포층의 두께를 구하였다.
(3) 여기 파장 400 에서부터 450 nm 에서의 발광 및 발광 피크 파장
형광 분광 광도계 F-4500 (히타치 제조) 을 사용하여, 여기 파장 400 에서부터 450 nm 의 범위 및 발광 파장 300 에서부터 800 nm 의 범위에 있어서의 여기 발광 스펙트럼을 채취하여 형광 발광의 유무를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측정은 형광체 함유 도포층을 형성한 면에 대해서 실시하였다. 형광 발광이 있는 것에 대해서는, 여기 발광 스펙트럼으로부터 발광 피크 파장을 구하였다.
◎ : 형광 발광 있음
× : 형광 발광 없음
(4) 시간 경과적 황변
고압 수은 램프 (해리슨 토시바 라이팅 제조,「토스 큐어 401」 : 유리 필터 부착) 에 의해 50 시간 동안 광 조사하고, 광 조사 전후에서의 색 변화를 관찰하였다. 광 조사에서의 방사 조도는 18 mW/㎠ 였다. 필름의 구성이 반사층/지지층의 2 층인 경우, 반사층측으로부터 광을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초기의 필름 색상 (L1 *, a1 *, b1 *) 과 조사 후의 필름 색상 (L2 *, a2 *, b2 *) 을 색차계 (닛폰 덴쇼꾸 공업 제조, SZS-∑90 COLOR MEASURING SYSTEM) 로 측정하고,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색상 변화 (dE*) 를 산출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dE*={(L1 *-L2 *)2+(a1 *-a2 *)2+(b1 *-b2 *)21/2
◎ : dE*
Figure 112010032353629-pct00001
5
○ : 5<dE*
Figure 112010032353629-pct00002
10
△ : 10<dE*
Figure 112010032353629-pct00003
15
× : 15<dE*
(5) 평균 입자직경
폴리에스테르에 첨가하기 전의 분체 상태의 입자를 주사형 전자현미경 (SEM) 시료대에 양면 테이프를 붙이고, 그 위에 입자를 얇게 올려서 카본 증착 후, 주사형 전자현미경 (SEM) 을 사용하여 입자의 크기에 맞추어 적절히 배율을 바꾸어 사진을 촬영하였다. 적어도 100 점 이상의 입자의 원 상당 직경을 화상 처리 장치로 구하고, 입자 개수로 나누어 개수 기준의 평균 입자직경 (㎛) 을 구하였다.
(6) 휘도 및 색도
측정 대상이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경우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3) 에 대해서는, 하기 (6-1) 내지 (6-5) 에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6-1) 평가용 백라이트 유닛의 제작
평가용으로 준비한 액정 텔레비전 (SHARP 사 제조, AQUOS LC-20S4) 으로부터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20 인치) 을 꺼내고, 백라이트 유닛에 원래 장착되어 있었던 광 반사 시트로 교체하고, 측정 대상 필름을 장착하여 평가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하였다.
평가용 백라이트 유닛의 백라이트면을 2×2 의 4 구획으로 나누고, 백라이트를 점등하여 1 시간 후의 정면의 휘도 및 색도를 토프콘사 제조의 BM-7 휘도계를 사용하여 측정각을 1°, 휘도계와 백라이트의 거리를 50 cm 로 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백라이트면의 4 구획 각각에 대해 실시하여 휘도의 단순 평균을 구하여 평균 휘도로 하고, 색도의 단순 평균을 구하여 평균 휘도로 하였다.
(6-2) 휘도 향상률
형광체 함유 도포층의 도포 전의 필름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상기 (6-1) 의 방법으로 도포 전의 평균 휘도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형광체 함유 도포층의 도포 후의 필름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상기 (6-1) 의 방법으로 도포 후의 평균 휘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평균 휘도로부터 하기 식을 사용하여 휘도 향상률을 산출하였다.
휘도 향상률 (%)
=(도포 후의 평균 휘도)/(도포 전의 평균 휘도)×100
(6-3) 색도차
형광체 함유 도포층의 도포 전의 필름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상기 (6-1) 의 방법으로 도포 전의 평균 색도 (x, y) 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형광체 함유 도포층의 도포 후의 필름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상기 (6-1) 의 방법으로 도포 후의 평균 색도 (x, y) 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평균 색도 (x, y) 로부터 하기 식을 사용하여 색도차 (Δxy) 를 산출하였다.
Δxy=(Δx2+Δy2)1/2
Δx=(도포 후의 평균 색도의 x 성분)-(도포 전의 평균 색도의 x 성분)
Δy=(도포 후의 평균 색도의 y 성분)-(도포 전의 평균 색도의 y 성분)
얻어진 Δxy 를 사용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색도차 (Δxy) 를 평가하였다.
◎ : Δxy<0.05
○ : 0.05
Figure 112010032353629-pct00004
Δxy<0.10
× : 0.10
Figure 112010032353629-pct00005
Δxy
(6-4) 내구성 시험에서의 휘도 유지율
형광체 함유 도포층의 도포 후의 필름 (내구성 시험 전의 필름) 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상기 (6-1) 의 방법으로 평균 휘도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백라이트를 점등시킨 채 3000 시간 경과시키는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내구성 시험을 거친 필름에 대하여, 상기 (6-1) 의 방법으로 내구성 시험 후의 평균 휘도를 측정하였다.
휘도 유지율을 하기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휘도 유지율 (%)
=(내구성 시험 후의 평균 휘도)/(내구성 시험 전의 평균 휘도)×100
(6-5) 내구성 시험에서의 색도 변화
형광체 함유 도포층의 도포 후의 필름 (내구성 시험 전의 필름) 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상기 (6-1) 의 방법으로 평균 색도 (x, y) 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백라이트를 점등시킨 채 3000 시간 경과시키는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내구성 시험을 거친 필름에 대하여, 상기 (6-3) 의 방법으로 내구성 시험 후의 평균 색도 (x, y) 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평균 색도 (x, y) 로부터 하기 식을 사용하여 Δxy 를 산출하였다.
Δxy=(Δx2+Δy2)1/2
Δx=(내구성 시험 후의 평균 색도의 x 성분)-(내구성 시험 전의 평균 색도의 x 성분)
Δy=(내구성 시험 후의 평균 색도의 y 성분)-(내구성 시험 전의 평균 색도의 y 성분)
얻어진 Δxy 를 사용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색도 변화 (Δxy) 를 평가하였다.
◎ : Δxy<0.05
○ : 0.05
Figure 112010032353629-pct00006
Δxy<0.10
× : 0.10
Figure 112010032353629-pct00007
Δxy
(7) 휘도 및 색도
측정 대상이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경우 (참고예 6 및 비교예 4) 에 대해서는, 하기 (7-1) 내지 (7-5) 에 기재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7-1) 평가용 백라이트 유닛의 제작
평가용으로 준비한 액정 텔레비전 (SHARP 사 제조, AQUOS LC-20S4) 으로부터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 (20 인치) 을 꺼내고, 백라이트 유닛에 원래 장착되어 있었던 광 확산 시트로 교체하고, 측정 대상의 필름을 장착하여 평가용 백라이트 유닛을 제작하였다.
평가용 백라이트 유닛의 백라이트면을 2×2 의 4 구획으로 나누고, 백라이트를 점등하여 1 시간 후의 정면의 휘도 및 색도를 토프콘사 제조의 BM-7 휘도계를 사용하여 측정각을 1°, 휘도계와 백라이트의 거리를 50 cm 로 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은 백라이트면의 4 구획 각각에 대해 실시하여 휘도의 단순 평균을 구하여 평균 휘도로 하고, 색도의 단순 평균을 구하여 평균 휘도로 하였다.
(7-2) 휘도 향상률
형광체 함유 도포층의 도포 전의 필름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상기 (7-1) 의 방법으로 도포 전의 평균 휘도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형광체 함유 도포층의 도포 후의 필름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상기 (7-1) 의 방법으로 도포 후의 평균 휘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평균 휘도로부터 하기 식을 사용하여 휘도 향상률을 산출하였다.
휘도 향상률 (%)
=(도포 후의 평균 휘도)/(도포 전의 평균 휘도)×100
(7-3) 색도차
형광체 함유 도포층의 도포 전의 필름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상기 (7-1) 의 방법으로 도포 전의 평균 색도 (x, y) 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형광체 함유 도포층의 도포 후의 필름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상기 (7-1) 의 방법으로 도포 후의 평균 색도 (x, y) 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평균 색도 (x, y) 로부터 하기 식을 사용하여 색도차 (Δxy) 를 산출하였다.
Δxy=(Δx2+Δy2)1/2
Δx=(도포 후의 평균 색도의 x 성분)-(도포 전의 평균 색도의 x 성분)
Δy=(도포 후의 평균 색도의 y 성분)-(도포 전의 평균 색도의 y 성분)
얻어진 Δxy 를 사용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색도차 (Δxy) 를 평가하였다.
◎ : Δxy<0.05
○ : 0.05
Figure 112010032353629-pct00008
Δxy<0.10
× : 0.10
Figure 112010032353629-pct00009
Δxy
(7-4) 내구성 시험에서의 휘도 유지율
형광체 함유 도포층의 도포 후의 필름 (내구성 시험 전의 필름) 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상기 (7-1) 의 방법으로 평균 휘도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백라이트를 점등시킨 채 3000 시간 경과시키는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내구성 시험을 거친 필름에 대하여, 상기 (7-1) 의 방법으로 내구성 시험 후의 평균 휘도를 측정하였다.
휘도 유지율을 하기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휘도 유지율 (%)
=(내구성 시험 후의 평균 휘도)/(내구성 시험 전의 평균 휘도)×100
(7-5) 내구성 시험에서의 색도 변화
형광체 함유 도포층의 도포 후의 필름 (내구성 시험 전의 필름) 을 측정 대상으로 하여, 상기 (7-1) 의 방법으로 평균 색도 (x, y) 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백라이트를 점등시킨 채 3000 시간 경과시키는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내구성 시험을 거친 필름에 대하여, 상기 (7-3) 의 방법으로 내구성 시험 후의 평균 색도 (x, y) 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평균 색도 (x, y) 로부터 하기 식을 사용하여 Δxy 를 산출하였다.
Δxy=(Δx2+Δy2)1/2
Δx=(내구성 시험 후의 평균 색도의 x 성분)-(내구성 시험 전의 평균 색도의 x 성분)
Δy=(내구성 시험 후의 평균 색도의 y 성분)-(내구성 시험 전의 평균 색도의 y 성분)
얻어진 Δxy 를 사용하여, 하기의 기준으로 색도 변화 (Δxy) 를 평가하였다.
◎ : Δxy<0.05
○ : 0.05
Figure 112010032353629-pct00010
Δxy<0.10
× : 0.10
Figure 112010032353629-pct00011
Δxy
참고예 1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테레프탈산디메틸 132 중량부, 이소프탈산디메틸 18 중량부 (폴리에스테르의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기준으로 12 몰%), 에틸렌글리콜 96 중량부, 디에틸렌글리콜 3.0 중량부, 아세트산망간 0.05 중량부, 아세트산리튬 0.012 중량부를 정류탑, 유출 (留出) 콘덴서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주입하고, 교반 하면서 150 ∼ 235 ℃ 로 가열하여 메탄올을 유출시킨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메탄올이 유출된 후, 인산트리메틸 0.03 중량부, 이산화게르마늄 0.04 중량부를 첨가하여, 반응물을 반응기로 옮겼다. 이어서, 교반 하면서 반응기 내를 서서히 0.5 mmHg 까지 감압시킴과 함께 290 ℃ 까지 승온시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디에틸렌글리콜 성분량은 2.5 중량%, 게르마늄 원소 함유량은 50 ppm, 리튬 원소 함유량은 5 ppm 이었다.
이 폴리에스테르에 평균 입자직경 1.5 ㎛ 의 황산바륨 입자를 50 중량% 첨가하여 반사층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얻었다. 또, 이 폴리에스테르에 평균 입자직경 1.5 ㎛ 의 황산바륨 입자를 5 중량% 첨가하여 지지층용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얻었다. 각각의 조성물을 280 ℃ 로 가열된 2 대의 압출기에 공급하고, 반사층/지지층의 두께 비율이 3/1 이 되도록 2 층 피드 블록 장치를 사용하여 합류시켜 2 층으로 적층하고, 이 적층 상태를 유지한 채 다이스로부터 압출하여 2 층 시트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이것을 표면 온도 25 ℃ 의 냉각 드럼에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다시 95 ℃ 로 가열하여 길이 방향 (세로 방향) 으로 연신하고, 25 ℃ 의 롤군에서 냉각시켰다. 계속해서, 세로 연신된 필름의 양 단을 클립으로 유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여, 120 ℃ 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 (가로 방향) 으로 연신하였다. 그 후, 텐터 내에서 200 ℃ 의 온도에서 열고정을 실시하여, 세로 방향의 이완 및 가로 방향의 폭 넣기를 130 ℃ 의 온도에서 각각 0.5 %, 1 % 씩 실시하고, 실온까지 냉각시켜 총 두께 188 ㎛ 의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참고예 2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96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8 중량부 및 아세트산망간 0.03 중량부를 각각 반응기에 주입하고, 교반 하 내온이 240 ℃ 가 될 때까지 메탄올을 유출시키면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고, 그 에스테르 교환 반응이 종료된 후, 트리메틸포스페이트 0.097 중량부 및 삼산화안티몬 0.041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계속해서 반응 생성물을 승온시켜, 최종적으로 고진공 하 280 ℃ 의 조건에서 중축합을 실시하여 고유 점도 ([η]) 0.64 의 폴리에스테르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펠릿을 160 ℃ 에서 3 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280 ℃ 에서 용융 압출하고, 표면 온도 20 ℃ 의 냉각 드럼에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계속해서, 95 ℃ 로 가열하여 길이 방향 (세로 방향) 으로 3.2 배 연신하고, 25 ℃ 의 롤군에서 냉각시킨 후, 세로 연신한 필름의 양 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여, 120 ℃ 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 (가로 방향) 으로 3.6 배 연신한 후, 220 ℃ 의 온도에서 열고정을 실시하였다. 그 후, 텐터 내 130 ℃ 의 온도에서, 세로 방향의 이완, 가로 방향의 폭 넣기를 각각 0.5 %, 1.0 % 씩 실시하고, 실온까지 냉각시켜 2 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예)
하기의 조성물을 톨루엔/아세트산부틸 혼합 용액에 용해시켜, 45 중량% 의 고형분 농도의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톨루엔/아세트산부틸 혼합 용액으로서 중량비로 1 : 1 인 것을 사용하였다.
(도포액 고형분 조성)
·녹색 발광 무기 형광체 2210 (카세이 옵토닉스사 제조) 30 중량부
·자외선 흡수 물질 유더블 UV6010 (닛폰 쇼쿠바이사 제조) 15 중량부
이 도포액을, 참고예 1 에서 얻은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반사층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5 ㎛ 가 되도록 도포하고, 150 ℃ 에서 2 분간 열풍 건조시켜, 도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도포 필름의 휘도 상승률은 104 % 였다. 그 밖의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녹색 발광 무기 형광체 2210 (카세이 옵토닉스사 제조) 은 ZnS 를 모체로 하고, Cu 를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지는 무기 형광체이다.
실시예 2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예)
도포액의 형광 물질을 적색 무기 형광체 D1110 (네모토 특수 화학사 제조)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 필름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적색 무기 형광체 D1110 (네모토 특수 화학사 제조) 은 Y2O3 을 모체로 하고, Eu 를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지는 무기 형광체이다.
실시예 3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예)
도포액의 형광 물질을 청색 무기 형광체 D1230 (네모토 특수 화학사 제조)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 필름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청색 무기 형광체 D1230 (네모토 특수 화학사 제조) 은 SrS 을 모체로 하고, Eu 를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지는 무기 형광체이다.
실시예 4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예)
도포액의 형광 물질을 녹색 무기 형광체 KX732A (카세이 옵토닉스사 제조) 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 필름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녹색 무기 형광체 KX732A (카세이 옵토닉스사 제조) 는 바륨·마그네슘·알루미늄 복합 산화물 (BaMgAl10O17) 을 모체로 하고, Eu 및 Mn 을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지는 무기 형광체이다.
실시예 5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예)
자외선 흡수 물질을 아크릴 바인더 유더블 S-2840 (닛폰 쇼쿠바이사 제조)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 필름을 얻었다. 휘도 향상률은 104 % 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예)
하기의 조성물을 톨루엔/아세트산부틸 혼합 용액에 용해시켜, 45 중량% 의 고형분 농도의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톨루엔/아세트산부틸 혼합 용액으로서 중량비로 1 : 1 인 것을 사용하였다.
(도포액 고형분 조성)
·유기 형광 증백제 OB-1 (이스트만사 제조) 5 중량부
·자외선 흡수 물질 유더블 UV6010 (닛폰 쇼쿠바이사 제조) 15 중량부
이 도포액을 참고예 1 에서 얻은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반사층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5 ㎛ 가 되도록 도포하고, 150 ℃ 에서 2 분간 열풍 건조시켜 도포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도포 필름의 휘도 상승률은 105 % 를 나타냈지만, 착색에 의한 색도차가 크고, 또 내구성 시험 후의 휘도의 저하도 커서, 실용상 사용하기가 곤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예)
표 1 에 나타내는 형광 물질을 유기 형광 증백제 UVITEX-OB (치바 스페셜리티 케미컬즈사 제조) 로 변경하고, 그 첨가량을 5 중량부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 필름을 얻었다. 이 때의 휘도 상승률은 100 % 정도로, 휘도의 향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 필름은 착색에 의한 색도차가 크고, 또 내구성 시험 후의 휘도의 저하가 큰 필름이어서, 실용상 사용하기가 곤란하였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예)
유기 형광 증백제 OB-1 의 첨가량을 30 중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 필름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참고예 6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예)
하기의 조성물을 아세트산부틸에 용해시켜, 45 중량% 의 고형분 농도의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도포액 고형분 조성)
·무기 형광체 (2210, 카세이 옵토닉스사 제조) 10 중량부
·아크릴 비즈 (MBX-15,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60 중량부
·아크릴 바인더 (유더블 S2740, 닛폰 쇼쿠바이사 제조) 25 중량부
·가교제 (콜로네이트 HL, 닛폰 우레탄 공업사 제조) 5 중량부
도포액으로서 이 도포액을 고화 후 8 g/㎡ 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 필름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녹색 발광 무기 형광체 2210 (카세이 옵토닉스사 제조) 은 ZnS 를 모체로 하고, Cu 를 부활 물질로 하여 이루어지는 무기 형광체이다. MBX-15 는 평균 입자직경 15 ㎛ 의 아크릴 입자이다.
이 도포액을 참고예 2 에서 얻은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5 ㎛ 가 되도록 도포하고, 150 ℃ 에서 2 분간 열풍 건조시켜 도포 필름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4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예)
하기의 조성물을 아세트산부틸에 용해시켜, 45 중량% 의 고형분 농도의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도포액 고형분 조성)
·아크릴 비즈 (MBX-15, 세키스이 화성품 공업사 제조) 60 중량부
·아크릴 바인더 (유더블 S2740, 닛폰 쇼쿠바이사 제조) 32 중량부
·가교제 (콜로네이트 HL, 닛폰 우레탄 공업사 제조) 8 중량부
도포액으로서 이 도포액을 고화 후 8 g/㎡ 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 이외에는, 참고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도포 필름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079966534-pct00013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널리 광학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부재로서, 특히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반사판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위에 형성된 형광체를 함유하는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 도포층의 형광체가, 암염형 결정 구조를 갖는 알칼리 토금속 황화물, 알칼리 토금속 복합 산화물 또는 인산란탄 화합물을 모체로 하여 이루어지고, 부활 물질을 함유하는 무기 형광체이고, 그 형광체의 도포층에 있어서의 함유량이 5 ∼ 80 중량% 이고, 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반사판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
KR1020107011042A 2007-11-08 2008-11-05 적층 필름 KR101536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0526 2007-11-08
JPJP-P-2007-290526 2007-11-08
PCT/JP2008/070533 WO2009060978A1 (ja) 2007-11-08 2008-11-05 積層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850A KR20100089850A (ko) 2010-08-12
KR101536024B1 true KR101536024B1 (ko) 2015-07-10

Family

ID=4062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042A KR101536024B1 (ko) 2007-11-08 2008-11-05 적층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988853B2 (ko)
KR (1) KR101536024B1 (ko)
CN (1) CN101855081A (ko)
TW (1) TWI449624B (ko)
WO (1) WO20090609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5917B2 (ja) * 2009-06-24 2014-02-05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Led照明の反射フィルムとして用いられる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DE112012003819T8 (de) * 2011-09-14 2014-10-02 Mtek-Smart Corporation Verfahren zum Fertigen einer LED, Vorrichtung zum Fertigen einer LED und LED
SG10201707006PA (en) 2013-02-08 2017-09-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Integrated quantum dot optical constructions
KR101588220B1 (ko) * 2014-11-12 2016-01-25 주식회사 다온씨엔티 광학 시트
WO2017116820A1 (en) 2015-12-31 2017-07-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urable quantum dot compositions and articles
CN107833962A (zh) * 2016-08-22 2018-03-23 深圳市欧弗德光电科技有限公司 含有有机绿光、黄光及红光光致发光材料组合物的具有ofed结构的光源体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5700A (ja) * 2003-10-27 2005-05-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33173A (ja) * 2005-11-10 2007-05-31 Nippon Shokubai Co Ltd 光拡散シートおよび複合光拡散板、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0539A (ja) * 1995-04-25 1996-11-05 Diafoil Co Ltd 磁気カード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303045A (ja) * 2000-04-19 2001-10-31 Konica Corp 無機蛍光体
JP2004050479A (ja) * 2002-07-17 2004-02-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積層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734172B2 (ja) * 2003-05-12 2006-01-11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618721B2 (ja) * 2004-09-30 2011-01-2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面光源並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JP2006251076A (ja) * 2005-03-08 2006-09-21 Mitsubishi Chemicals Corp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5217170B2 (ja) * 2006-02-14 2013-06-19 Dic株式会社 遮光性粘着テープ及びこれを用いたlcd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5700A (ja) * 2003-10-27 2005-05-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7133173A (ja) * 2005-11-10 2007-05-31 Nippon Shokubai Co Ltd 光拡散シートおよび複合光拡散板、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88853B2 (ja) 2012-08-01
TWI449624B (zh) 2014-08-21
TW200936373A (en) 2009-09-01
KR20100089850A (ko) 2010-08-12
WO2009060978A1 (ja) 2009-05-14
JPWO2009060978A1 (ja) 2011-03-24
CN101855081A (zh)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024B1 (ko) 적층 필름
KR100945656B1 (ko) 표면 광확산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2040214A (ja) 面光源反射板用白色フィルム
TWI398673B (zh) 表面光擴散性聚酯薄膜
EP3690305A1 (en) Light source unit
JP5330072B2 (ja) 液晶表示装置用反射フィルム
JP4370539B1 (ja) 表面光拡散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05917B2 (ja) Led照明の反射フィルムとして用いられる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
JP2009237435A (ja) 光反射性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用バックライト装置
JP2007307789A (ja) 白色フィルム
TWI500883B (zh) Reflective film for lighting fixtures
JP5508071B2 (ja) 照明機器反射部材用フィルム
JP2010066760A (ja) 液晶表示装置用反射フィルム
JP5038824B2 (ja) 反射板用二軸延伸積層フィルム
JP2010044238A (ja) 液晶表示装置用反射フィルム
JP5457103B2 (ja) 液晶表示装置用反射フィルム
JP2010043208A (ja) 積層フィルム
JP4370538B1 (ja) 表面光拡散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069217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3141630A (ja) 光源ユニット及び反射フィルム
JP5108438B2 (ja) 反射板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3190545A (ja) 白色反射フィルム
JP2002334668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