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0484B1 - 척추 교정 벨트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 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0484B1
KR101530484B1 KR1020140066309A KR20140066309A KR101530484B1 KR 101530484 B1 KR101530484 B1 KR 101530484B1 KR 1020140066309 A KR1020140066309 A KR 1020140066309A KR 20140066309 A KR20140066309 A KR 20140066309A KR 101530484 B1 KR101530484 B1 KR 101530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bracket
brackets
upper belt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이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혜 filed Critical 이지혜
Priority to KR102014006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0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048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 교정 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부에 암·수 벨크로 파스너(101, 102)를 형성하고, 견인케이블(402)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05)를 외측면에 설치한 한 쌍의 제1브라켓(103)을 외표면에 형성한 상부벨트(1)와; 양단부에 암·수 벨크로 파스너(201, 202)를 형성하고, 상기 제1브라켓(103)과 대칭이 되도록 한 쌍의 제2브라켓(203)을 외표면에 형성한 하부벨트(2)와; 상기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의 간격을 벌려주는 실린더(3)와; 상기 제2브라켓(203)의 일측에 설치하는 케이블권취구(401)와, 일단부를 상기 제2브라켓(203) 일측에 고정하고, 타단부는 상기 상부벨트(1)의 제1브라켓(103)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05)를 지나 상기 케이블권취구(401)에 권취되는 견인케이블(402)로 구성하여 상기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4)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디스크와 같은 척추 질환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고, 우수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척추 교정 벨트{CORRECTION BELT FOR BACKBONE}
본 발명은 척추 교정 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를 인체의 가슴과 허리에 각각 착용하고, 양 벨트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강제 신장시킴으로써 디스크와 같은 척추 질환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고,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척추 교정 벨트에 관한 것이다.
척추(vertebra, 脊椎)는 척추동물의 척주를 형성하는 뼈 구조물로서 척추골 또는 추골(椎骨)이라고도 하며, 인체의 머리뼈부터 골반뼈까지 연결하는 중심축을 이루며 인대, 근육, 연골 등과 상호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신체를 지지하고 평형을 유지하며 척수를 보호하는 우리 몸의 기둥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기둥의 역할을 하는 척추는 오랫동안 잘못된 자세를 유지하거나, 교통사고와 같이 외부로부터 심한 충격을 받게 되어 머리 쪽의 경추와 골반 쪽의 요추가 틀어져 주변의 신경을 압박하게 되면, 척추 측만증이나 허리 디스크 또는 요통이나 소화불량 등과 같은 척추질환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디스크'라고 불리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k)'이다.
척추뼈 사이에는 척추뼈끼리 부딪치는 것을 막아주는 쿠션과 같은 역할을 하는‘디스크(disc)’또는 ‘추간판’이라 불리는 말랑말랑한 젤리 같은 구조물이 있다. 디스크(추간판)의 한가운데에는 젤리같이 찐득찐득한 수핵이라는 물질이 있으며, 그 주변에 수핵을 둘러싸는 섬유륜이라고 불리는 두꺼운 막이 있어 디스크는 전체적으로 자동차의 타이어와 같은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디스크는 평상시 일어서 있는 상태에서는 중력을 받아 납작해지면서 바깥쪽으로 약간 볼록한 형태가 되는데, 디스크는 그 특수한 구조 때문에 웬만한 힘이 가해져도 쿠션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갑자기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린다거나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오랫동안 취하게 되면 디스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서 디스크가 밖으로 돌출되는데, 심한 경우 디스크를 감싼 막이 터지면서 그 안에 있는 수핵이 튀어나오게 된다.
디스크가 돌출되는 경우 대개 후방 또는 후외방으로 돌출되는데 이때 바로 곁에 있는 신경을 누르면 그로 인해 요통이 발생하면서 다리가 아프고 저린 증상을 일으키는 병이 바로 ‘추간판 요추 탈출증’ 또는 ‘디스크 탈출증’인 것이다.
이러한 추간판 요추 탈출증 환자에게서 가장 두드러진 두 가지 증상은‘요통’과‘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인데, 환자에 따라서 요통이 주증상인 경우도 있고, 다리의 통증이 주증상인 경우도 있으며, 요통은 허리 부위뿐만 아니라 엉치 부위의 통증으로도 많이 나타나며, 다리의 통증은 허리나 엉치에서 시작하여 허벅지와 장딴지의 뒤쪽과 바깥쪽을 따라서 발등이나 발바닥까지 내려가는 방사통의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심한 경우에는 발목이나 발가락 마비, 감각 저하 등의 신경 증상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추간판 요추 탈출증 환자는 추간판에 가해지는 중력을 제거하기 위해 증상이 없어질 때까지 수일 동안 침상에 누워서 안정을 취하고 골반 신장, 물리치료 등을 시행하게 되는데, 급성기의 증상이 없어지면 복대나 보조기 등을 착용하고 활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신경마비가 심하거나 통증이 심할 경우, 발가락이나 발목의 힘이 현저하게 약해져 있는 경우, 대, 소변을 보는 힘이 약해지거나 다리를 전혀 움직일 수 없는 심각한 마비 증상을 보이는 경우 등 활동에 장애를 초래한다면, 신경을 누르고 있는 수핵을 제거하는 외과적 수술이 불가피하게 되는데, 외과적 수술의 경우에 많은 비용이 지출되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척추 수술의 경우에는 척추 주변에 많은 신경들이 위치하기 때문에 수술 과정에서 신경 손상에 다른 부작용 발생의 위험도 큰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보통 추간판 요추 탈출증 환자의 경우에는 발병 후, 증상이 심해지기 기전에 복대나 보조기 등을 착용하고, 약물 치료와 물리 치료를 병행하는 치료가 일반적으로 행해지는데, 이때 허리를 지탱하여 통증 완화와 함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복대나 벨트와 같은 보조기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290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2838호
추간판 요추 탈출증 등과 같은 허리 질환으로 인해 요통을 겪는 환자들이 일반적으로 척추 교정 벨트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척추 교정 벨트는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인체의 허리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이 이루어지는 허리벨트(A)와; 인체의 허리부와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단단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허리부 형태와 맞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상기 허리벨트 내부에 설치하는 지지부(B)와; 상기 허리벨트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착용자의 허리 굵기에 대응되게 허리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허리벨트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벨크로 파스너(C, D)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척추 교정 벨트는 상기 지지부가 착용자의 허리를 곧게 지지하고, 척추가 뒤로 젖혀지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디스크 탈출을 억제하여 탈출한 디스크에 의한 신경 압박에 의해 발생하는 통증을 완화함으로써 환자의 약물 치료 또는 물리 치료의 병행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척추 교정 벨트는 기성품으로서, 허리벨트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의 높이가 일정하기 때문에 착용자의 신장이나 허리 굵기에 따라서 허리벨트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부가 사용자의 허리 부분에 긴밀하게 밀착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지부를 환자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맞춤식으로 제조하거나, 신체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허리벨트 내부에 공기를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튜브를 부가하기도 하지만, 맞춤 제작의 경우에는 단품 소량 제작에 따른 인건비가 제품의 제작비에 추가적으로 부가되어 제품의 가격이 크게 인상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에어튜브 등을 허리벨트 내부에 부가하여 환자의 신체 조건에 꼭 맞게 척추 교정 벨트를 제작하더라도, 허리벨트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부가 척추를 곧게 유지함으로써 척추를 보호하긴 하지만, 인체의 하중에 의해 디스크가 눌리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이 부족하여 탈출한 디스크가 원상태로 회복하는 것을 도와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탈출한 디스크를 원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물리 치료나 약물 치료 과정에서의 보조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벨트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양단부에 서로 부착하여 고정 가능한 암·수 벨크로 파스너(101, 102)를 형성하고, 견인케이블(402)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05)를 외측면에 설치한 한 쌍의 제1브라켓(103)을 외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상부벨트(1)와;
양단부에 서로 부착하여 고정 가능한 암·수 벨크로 파스너(201, 202)를 형성하고, 상기 제1브라켓(103)과 대칭이 되도록 한 쌍의 제2브라켓(203)을 외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 하부벨트(2)와;
상기 상부벨트(1)의 제1브라켓(103)에 상단부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벨트(2)의 제2브라켓(203)에 하단부를 설치하여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의 간격을 벌려주는 실린더(3)와;
라쳇 구조를 구비하여 일방향 회전과 선택적인 역회전이 가능케 하여 상기 제2브라켓(203)의 일측에 설치하는 케이블권취구(401)와, 일단부를 상기 제2브라켓(203) 일측에 고정하고, 타단부는 상기 상부벨트(1)의 제1브라켓(103)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05)를 지나 상기 케이블권취구(401)에 권취되는 견인케이블(402)로 구성하여 견인케이블(402)의 견인력으로 상기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4)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디스크와 같은 척추 질환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하고, 우수한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벨트는 착용자의 가슴 부분과 허리 부분에 각각 착용하는 벨트 간의 간격을 벌려줌으로써 착용자의 척추 요추부를 신장시켜 착용자의 신체 하중으로 인한 디스크의 압박과 그에 따른 요통 발생을 크게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크의 압박을 감소시키면서 착용자의 척추를 바르고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디스크 탈출로 인한 약물 치료나 물리 치료시에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버클이나 벨크로 파스너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간편하고 신속한 착용이 가능하고, 견인케이블을 이용해 상부벨트와 하부벨트 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여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른 최적의 착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착용에 따른 척추의 교정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벨트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벨트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벨트와 하부벨트의 간격 조정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벨트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권취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벨트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척추 교정 벨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벨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벨트는 신체의 가슴 부분에 착용하는 상부벨트(1)와, 허리 부분에 착용하는 하부벨트(2)와, 상기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에 설치되어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을 벌려주는 실린더(3)와, 상기 실린더(3)에 의해 상하부로 벌어지는 상기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4)으로 구성된다.
신체의 가슴 부분에 착용하는 상기 상부벨트(1)는 피혁이나 합성섬유 등을 이용하여 긴 띠 형상으로 형성하고, 신체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탄성을 가진 고무밴드가 길이 방향으로 더 구비하며, 신체의 가슴 부분에 감아서 착용 가능하도록 양단부에는 서로 부착하여 고정 가능한 암·수 벨크로 파스너(101, 102)를 구비하되, 상기 벨크로 파스너(101, 102)는 암·수 버클과 같은 수단으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상부벨트(1)의 외측면에는 합성수지재로 된 한 쌍의 제1브라켓(103)을 형성하되, 상부벨트(1)를 신체의 가슴 부분에 감아서 착용하였을 때, 상부벨트(1)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1브라켓(103)이 신체의 가슴부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호형으로 형성하고, 제1브라켓(103)의 상단부에는 신체의 겨드랑이 사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1요홈부(104)를 형성함으로써 상부벨트(1)를 신체의 가슴 부분에 감아서 착용한 후에도 양팔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다.
상기 제1브라켓(103)의 하단부에는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을 벌려주는 실린더(3)의 로드(301) 상단부가 설치되는데, 안정적이고 견고한 설치를 위하여 제1브라켓(103)의 하단부 두께는 제1브라켓(103)의 측면 벽체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린더(3)의 로드(301) 상단부가 제1브라켓(103)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린더(3)의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브라켓(103)에는 결합링(301a)을 설치하여 그 결합링(301a)에 로드(301)의 상단부를 공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브라켓(103)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105)는 입구와 출구가 하향으로 형성되고, 입구와 출구가 연결되는 안내공을 호형으로 형성하여 안내공을 통과하는 케이블의 장력에 관계없이 견인케이블(402)이 이탈하지 않도록 견인케이블(402)을 안내한다.
신체의 허리 부분에 착용하는 상기 하부벨트(2)는 상기 상부벨트(1)와 마찬가지로 피혁이나 합성섬유 등을 이용하여 긴 띠 형상으로 형성하고, 신체와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탄성을 가진 고무밴드가 길이 방향으로 더 구비하며, 신체의 허리 부분에 감아서 착용 가능하도록 양단부에는 서로 부착하여 고정 가능한 암·수 벨크로 파스너(201, 202)를 구비하되, 상기 벨크로 파스너(201, 202)는 암·수 버클과 같은 수단으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하부벨트(2)의 외측면에는 합성수지재로 된 한 쌍의 제2브라켓(203)을 상기 상부벨트(1)의 제1브라켓(103)과 대칭으로 형성하되, 하부벨트(2)를 신체의 허리 부분에 감아서 착용하였을 때, 하부벨트(2)의 외측면에 형성된 제2브라켓(203)이 신체의 허리부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호형으로 형성하고, 제2브라켓(203)의 하단부에는 신체의 골반부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2요홈부(204)를 형성함으로써 하부벨트(2)를 신체의 허리 부분에 감아서 착용하였을 때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상기 제2브라켓(203)의 상단부에는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을 벌려주는 실린더(3) 보디(302)의 하단부가 설치되는데, 실린더(3) 보디(302)의 안정적이고 견고한 설치를 위하여 제2브라켓(203)의 상단부 두께는 제2브라켓(203)의 측면 벽체보다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린더(3)의 보디(302) 하단부가 제2브라켓(203)에 설치된 상태에서 실린더(3)의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제2브라켓(203)에는 결합링(302a)을 설치하여 그 결합링(302a)에 보디(302)의 하단부를 공회전 가능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린더(3)는 착용자의 평균 신장을 고려하여 로드(301)의 최대 배출 길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소아용과 성인용으로 구분하여 실린더(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착용자의 체중에 따라서 적절한 로드배출압력을 가진 실린더(3)를 하거나, 실린더(3)의 설치 수를 가감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실린더(3)에 의해 상하부로 벌어지는 상기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4)은 상기 하부벨트(2)의 제2브라켓(203) 일측에 설치되는 케이블권취구(401)와, 일단부는 상기 제2브라켓(203) 일측에 고정하고, 타단부는 상기 상부벨트(1)의 제1브라켓(103)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05)를 지나 상기 케이블권취구(401)에 권취되는 견인케이블(402)로 구성한다.
상기 케이블권취구(401)는 내주면에 환상의 함몰부(40)를 형성하여 제2브라켓(203)에 고정 설치되는 하우징(12)과; 상기 함몰부(40)에 탄력적으로 치합하는 폴(62)을 상부에 형성하고, 하부에는 케이블권취부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스풀(14)과; 상기 스풀 상부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스풀의 회전이 가능케 하는 노부(16)와; 상기 노부가 하우징에서 이탈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노부의 중심부에 결합하는 파스너(18)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권취구(401)와 견인케이블(402)로 구성되는 간격조절수단(4)은 공개특허 제10-2012-0027105호에 의해 공개된 '릴 기반 끈 조임 시스템'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므로 간격조절수단(4)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나 도면의 도시는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척추 교정 벨트의 착용과 그에 따른 작동 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벨트를 디스크와 같은 척추 질환으로 가진 환자가 착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을 연결한 견인케이블(402)을 케이블권취구(401)를 이용해 권취하면, 견인케이블(402)의 견인력에 의해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이 서로 좁혀짐과 동시에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사이에 설치된 실린더(3)의 로드(301)가 실린더(3)의 보디(302)로 삽입되면서 실린더(3)의 내부의 스프링이 압축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의 간격을 충분히 좁힌 상태에서 상부벨트(1)는 환자의 가슴 부분에 착용하게 되는데, 상부벨트(1)를 착용할 때는 상부벨트(1)를 신체의 등 쪽에서 가슴 쪽으로 감은 후, 상부벨트(1)의 양단부에 형성된 암·수 벨크로 파스너(101, 102)를 가슴 쪽으로 당겨서 서로 부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부벨트(1)의 착용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벨트(1)의 외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1브라켓(103)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신체의 가슴부 양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며, 제1브라켓(103)의 상단부에 형성된 하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1요홈부(104)가 양 겨드랑이 사이에 밀착됨으로써 착용자는 상부벨트(1)를 신체의 가슴 부분에 감아서 착용한 후에도 양팔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벨트(1)의 착용이 완료되면, 환자의 허리 부분에 하부벨트(2)를 착용하는데, 하부벨트(2)의 착용은 상부벨트(1)의 착용과 마찬가지로 하부벨트(2)를 신체의 등 쪽에서 복부 쪽으로 감은 후, 하부벨트(2)의 양단부에 형성된 암·수 벨크로 파스너(201, 202)를 복부 쪽으로 당겨서 서로 부착하여 고정함으로써 하부벨트(2)의 착용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신체의 가슴 부분에 상부벨트(1)의 착용이 완료되고, 신체의 허리 부분에 하부벨트(2)의 착용이 완료되면, 환자의 신장에 맞도록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을 벌리기 위하여 하부벨트(2)의 제2브라켓(203)에 설치된 케이블권취구(401)를 회전시켜 케이블권취구(401)에 권취된 견인케이블(402)을 서서히 풀어내면 일단부가 상기 제2브라켓(203)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제1브라켓(103)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05)를 통과하여 케이블권취구(401)에 권취된 견인케이블(402)의 장력이 느슨해짐으로써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을 유지하는 견인케이블(402)의 견인력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견인케이블(402)의 견인력에 의해 좁혀진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으로 인해 실린더(3)의 보디(302) 내부로 투입되었던 로드(301)가 견인케이블(402)의 견인력이 약해짐에 따라서 실린더(3)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의 압력에 의해 보디(302)에서 돌출됨으로써 실린더(3) 전체의 길이가 점점 길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의 간격이 점점 벌어지면서 상부벨트(1)는 신체의 가슴 부분을 떠받치는 형태가 되고, 하부벨트(2)는 신체의 허리 부분, 특히 요추가 위치하는 골반을 내리누르는 형태가 되는데,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최대 간격은 케이블권취구(401)를 회전시켜 케이블권취구(401)에서 풀려나온 견인케이블(402)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가능케 되어 착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서 최적의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벨트(1)가 신체의 가슴 부분을 떠받치고, 하부벨트(2)가 허리 부분을 내리누르는 형태로 착용이 이루어지면, 상체가 곧게 펴지면서 척추가 바른 형태를 취할 뿐만 아니라, 실린더(3)의 로드배출압력에 의해 상체의 가슴 부분과 허리 부분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장됨으로써 인체의 하중에 의해 디스크가 눌리는 것을 최소화하고, 그로 인해 탈출한 디스크에 의한 신경 압박에 따라서 발생하는 요통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출한 디스크를 원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물리 치료나 약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
한편, 본 발명의 척추 교정 벨트는 착용자가 착용한 후에도 거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착용 후 착용자가 상체를 굽히면 그 힘에 의해 실린더(3)가 일시적으로 압축되었다가, 상체를 곧게 세우고 힘을 빼면 압축되었던 실린더(3)의 로드(301)가 다시 돌출되면서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을 벌려 상체의 가슴 부분과 허리 부분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장시키기 때문에 착용 후 움직임에 따른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착용 후 환자의 신체에 맞도록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요통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매우 편리한 사용이 가능케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나 응용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 상부벨트 101, 102: 벨크로 파스너
103: 제1브라켓 104: 제1요홈부
105: 가이드부재 2: 하부벨트
201, 202: 벨크로 파스너 203: 제2브라켓
204: 제2요홈부 3: 실린더
302: 보디 301: 로드
4: 간격조절수단 401: 케이블권취구
402: 견인케이블

Claims (2)

  1. 양단부에 서로 부착하여 고정 가능한 암·수 벨크로 파스너(101, 102)를 형성하고, 견인케이블(402)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05)를 외측면에 설치한 한 쌍의 제1브라켓(103)을 외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가슴 부분에 착용하는 상부벨트(1)와;
    양단부에 서로 부착하여 고정 가능한 암·수 벨크로 파스너(201, 202)를 형성하고, 상기 제1브라켓(103)과 대칭이 되도록 한 쌍의 제2브라켓(203)을 외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허리 부분에 착용하는 하부벨트(2)와;
    상기 상부벨트(1)의 제1브라켓(103)에 상단부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벨트(2)의 제2브라켓(203)에 하단부를 설치하여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의 간격을 벌려주는 실린더(3)와;
    라쳇 구조를 구비하여 일방향 회전과 선택적인 역회전이 가능케 하여 상기 제2브라켓(203)의 일측에 설치하는 케이블권취구(401)와, 일단부를 상기 제2브라켓(203) 일측에 고정하고, 타단부는 상기 상부벨트(1)의 제1브라켓(103)에 설치된 가이드부재(105)를 지나 상기 케이블권취구(401)에 권취되는 견인케이블(402)로 구성하여 견인케이블(402)의 견인력으로 상기 상부벨트(1)와 하부벨트(2)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수단(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벨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103)은 신체의 가슴부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호형으로 형성하고, 상단부에는 신체의 겨드랑이 사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1요홈부(104)를 형성하며,
    상기 제2브라켓(203)은 신체의 허리부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호형으로 형성하고, 하단부에는 신체의 골반부 측면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향으로 오목한 형상의 제2요홈부(20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 벨트.
KR1020140066309A 2014-05-30 2014-05-30 척추 교정 벨트 KR101530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309A KR101530484B1 (ko) 2014-05-30 2014-05-30 척추 교정 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309A KR101530484B1 (ko) 2014-05-30 2014-05-30 척추 교정 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0484B1 true KR101530484B1 (ko) 2015-06-19

Family

ID=5351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309A KR101530484B1 (ko) 2014-05-30 2014-05-30 척추 교정 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04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594A1 (ko) * 2015-07-14 2017-01-19 조순호 척추교정이 가능한 건강기구
KR20190121512A (ko) * 2018-04-18 2019-10-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의복형 척추 안정화 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90121521A (ko) * 2018-04-18 2019-10-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척추 안정화 기구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220001849A (ko) * 2020-06-30 2022-01-06 김홍일 척추교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878Y1 (ko) * 2002-03-07 2002-07-02 김영옥 척추측만증 교정기
JP2005349177A (ja) * 2004-05-14 2005-12-22 Yukio Nakayama 椎骨伸張装置
JP2010012328A (ja) * 2009-10-21 2010-01-21 Casio Comput Co Ltd 筋力制御装置
JP2014090959A (ja) * 2012-11-06 2014-05-19 Isao Kono 腰曲がり矯正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878Y1 (ko) * 2002-03-07 2002-07-02 김영옥 척추측만증 교정기
JP2005349177A (ja) * 2004-05-14 2005-12-22 Yukio Nakayama 椎骨伸張装置
JP2010012328A (ja) * 2009-10-21 2010-01-21 Casio Comput Co Ltd 筋力制御装置
JP2014090959A (ja) * 2012-11-06 2014-05-19 Isao Kono 腰曲がり矯正具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594A1 (ko) * 2015-07-14 2017-01-19 조순호 척추교정이 가능한 건강기구
KR20190121512A (ko) * 2018-04-18 2019-10-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의복형 척추 안정화 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90121521A (ko) * 2018-04-18 2019-10-28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척추 안정화 기구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47677B1 (ko) * 2018-04-18 2020-08-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척추 안정화 기구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47674B1 (ko) * 2018-04-18 2020-08-25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의복형 척추 안정화 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220001849A (ko) * 2020-06-30 2022-01-06 김홍일 척추교정장치
KR102381569B1 (ko) 2020-06-30 2022-04-01 김홍일 척추교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776B2 (en) Dynamically adjustable joint extension and flexion device
US20130190670A1 (en) Orthopaedic device
US11147704B2 (en) Cervicothoracic spine restorator
CN202665763U (zh) 一种脊柱侧弯矫形器
KR101530484B1 (ko) 척추 교정 벨트
TW201509395A (zh) 脊椎側彎支架
KR101672860B1 (ko) 척추 및 무릎과 발목관절의 정형과 보행을 위한 보조기구
KR102017525B1 (ko) 요천추 척추 보조기
JP2016036437A (ja) 椎体疾患用装具
US20170189221A1 (en) Compression leg support
JP2020151003A (ja) 体幹装具
RU2463997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нешней фиксации грудопоясничного отдела позвоночника
US20100262056A1 (en) Back brace
KR101937835B1 (ko) 요추천골 견인 장치
KR10180186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JPWO2004043308A1 (ja) 鎖骨骨折固定帯
KR10169527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200025903A (ko) 자세교정벨트
US20110105970A1 (en) Anatomical support braces and methods
KR102458543B1 (ko) 목 각도조절 견인기
KR200249325Y1 (ko) 척추 보조기
KR100999933B1 (ko) 자세 교정 보조기
CN210138224U (zh) 一种腰部矫正带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US9005149B1 (en) Spinal decompression and sleep therap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