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325Y1 - 척추 보조기 - Google Patents

척추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325Y1
KR200249325Y1 KR2020010017105U KR20010017105U KR200249325Y1 KR 200249325 Y1 KR200249325 Y1 KR 200249325Y1 KR 2020010017105 U KR2020010017105 U KR 2020010017105U KR 20010017105 U KR20010017105 U KR 20010017105U KR 200249325 Y1 KR200249325 Y1 KR 200249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e
support
spine
sides
scap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상
Original Assignee
박기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상 filed Critical 박기상
Priority to KR2020010017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3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325Y1/ko

Link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질환자들이 사용하는 척추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척추보조기는 척추를 이루고 있는 경추나 흉추 또는 요추 및 선추 미추 중 어느 일부분만을 보호해 주도록 되어 있어 사용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 도 1 내지 도 6에 표현된 바와 같이 흉추 및 요추, 선추로 이루어진 척추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보조기몸체(10)와 양측의 압박부재(20)(21) 및 연결밴드(30)(31)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 쌍의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와 어깨걸이부(22)(23)에 의해 착용시 흘러내림이 없으며,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의 배면에 융출부(48)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복원력을 갖춘 쿠션재(49)를 주입하여 보다 더 강성을 갖추게 하고, 보조기몸체(10)와 양측의 압박부재(20)(21)가 길이조정이 가능한 연결수단(50)(51)에 의해 일체를 이룸으로서 체형에 관계없이 안정된 상태로 상용할 수 있는 등, 착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척추 보조기{AN APPARATUS FOR SUPPORTING THE SPINE}
본 고안은 척추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척추보조기몸체의 양측으로 신축성을 갖춘 섬유재로 압박부재를 형성하여 체형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길이가 조정되는 연결수단을 매개로 척추보조기몸체와 압박부재가 일체를 이루도록 한 척추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인체골격의 중추적인 골격으로 인체의 대들보로서, 경추(목뼈)와 흉추(등뼈) 및 요추(허리뼈)로 구분되며, 마치 24개의 벽돌을 천골이라는 주춧돌 위에 블록처럼 쌓아놓은 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기 척추는 뇌로부터 척추뼈 안으로 내려오는 척수를 보호하고 체중을 지탱하며, 곧은 자세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우리 신체의 움직임이나 모든 신체활동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신체와 두뇌간의 생명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우리 몸의 질병 중 95%가 척추에서 시작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체골격 중 중추적인 작용을 하는 척추를 보호하기 위하여 척추보조기는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일 예로 등록실용신안 제 170268 호 외 다수 등록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등록실용신안은 착용자의 허리를 보호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허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척추보조기로서, 상기 지지부는 안쪽으로 휘어지는 일정한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곡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강대가 수직방향으로 지지부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벨크로가 부착된 보조밴드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척추보조기를 착용하게 되면 지지부에 내장된 다수의 보강대가 허리의 요추를 정확하게 지지하며, 고정부에 부착되어 있는 보조밴드의 벨크로를 잡아당겨 대향하는 보조밴드의 벨크로에 부착함으로서, 고정부와 보조밴드에 의해 이중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활동할 때 척추보조기가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척추보조기는 척추의 일부분, 예를 들어 견갑골 및 경추와 흉추 요추 및 선추로 이루어진 척추의 구성부분에서 요추만을 대상으로 한 척추보조기로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척추 중 다른 부분 예를 들어 견갑골이나 경추나 흉추를 지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기를 착용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척추보조기몸체를 연질의 PVC로 성형시켜 신축성을 갖춘 쿠션층과 섬유재로 압박부를 형성하여 체형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견갑골 및 경추뿐만 아니라 흉추 요추까지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척추전체를 교정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척추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견갑골 및 경추지지부와 흉추지지부 및 요추지지부를 갖춘 보조기몸체와, 신축성을 갖춘 양측의 압박부재와, 양측의 압박부재와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한 양측의 연결밴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보조기몸체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장방형의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양측의 압박부재에는 서로 접하는 부분에 암·수벨크로를 부착하여 필요에 따라 일체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일측의 압박부재와 일체를 이루는 연결밴드의 부착부분과 단부에는 연결암·수벨크로를 부착하며, 타측의 연결밴드에는 연결링과 고정링을 설치하여 양측의 압박부재를 조일 수 있도록 하고, 보조기몸체와 양측의 압박부재 사이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연결수단을 설치하여 착용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보조기를 전개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보조기의 양측압박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보조기의 양측압박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배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로서, 본 고안의 연결수단을 확대한 부분확대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보조기의 연결수단을 분해한 정면도.
도 6 은 도 3 의 A - A선의 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조기몸체, 12 - 흉추지지대,
13 - 쿠션층, 14 - 요추지지대,
15 - 섬유층, 16·17 -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
18·19 - 연결고리, 20·21 - 압박부재,
22·23 - 어깨걸이부, 24·25 - 지지링,
26·27 - 리벳결합부, 28·29 - 고정고리,
30·31 - 연결밴드, 32·33 - 어깨끈,
34 - 관통홀, 36 - 암벨크로,
38 - 수벨크로, 40 - 연결암벨크로,
42 - 연결수벨크로, 44 - 연결링,
46 - 고정링, 50·51- 연결수단.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보조기를 전개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보조기의 양측압박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보조기의 양측압박부재를 결합한 상태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로서, 연결수단을 확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의 연결수단을 분해한 정면도 이다.
상기 예시도에 표현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흉추지지부(12)와요추지지부(14)를 갖춘 보조기몸체(10)와, 신축성을 갖춘 양측의 압박부재(20)(21)와, 양측의 압박부재(20)(21)와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한 양측의 연결밴드(30)(31)로 이루어지되, 상기 보조기몸체(10)의 내면에는 쿠션층(13)과 섬유층(15)이 접착재에 의해 일체를 이루며, 보조기몸체(10)와 양측의 압박부재(20)(21) 사이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연결수단(50)(51)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보조기몸체(10)는 그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장방형의 사각형 또는 삼각형의 관통홀(34)을 형성하며, 상기 양측의 압박부재(20)(21)에는 서로 접하는 부분에 암·수벨크로(36)(38)를 부착하여 필요에 따라 일체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일측의 압박부재(20)와 일체를 이루는 연결밴드(30)의 부착부분과 단부에는 연결암·수벨크로(40)(42)를 부착하며, 타측의 연결밴드(31)에는 연결링(44)과 고정링(46)을 설치하여 양측의 압박부재(20)(21)를 조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50)(51)은 압박부재(20)(21)와 일체를 이루며 상·하단에 누름부(52)를 갖춘 고정구(54)와, 보조기몸체(10)와 일체를 이루는 끼움구(56)와, 끼움구(56)에 끼워지며 상·하단에 요철부(58)를 갖추고 일측으로 걸림단부(60)를 갖춘 길이조정구(6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예시도 1 내지 예시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장방형의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상의 관통홀(34)이 형성됨으로서, 사용자가 착용했을 때 통풍성을 갖추게 되고, 또한 상측으로부터 흉추지지대(12)와 요추지지대(14)로 보조기몸체(10)를 이룸으로서, 흉추와 요추부분 즉 척추의 중추적인 부분을 지지해 주게 된다.
특히, 보조기몸체(10)는 측면상 인체구조와 동일한 곡선(도면상 미 도시되었음)을 이루고 있으며, 연성을 지닌 수지재로 사출성형 함으로서, 양측에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는 압박부재(20)(21)와 연결밴드(30)(31)의 조임력에 의해 착용자의 상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보조기몸체(10)의 양측에는 압박부재(20)(21)가 연결수단(50)(51)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되며, 양측의 압박부재(20)(21)에는 다수의 연결밴드(30)(31)가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밴드(30)의 양단에는 연결암·수밸크로(40)(42)가 부착되어 있어 압박부재(20)(21)를 착용자의 체형에 밀착되도록 조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보조기몸체(10)를 착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보조기몸체(10)의 양측에 부착되어 있는 압박부재(20)(21)를 이용하여 착용자의 상체에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것은 압박부재(20)(21)의 접하는 단부에 부착된 암·수밸크로(36)(38)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피부와 접촉되는 보조기몸체(10)의 내면은 섬유층(15)과 쿠션층(13)으로 이루어져 있어 착용감을 향상시키게 되고, 상기 섬유층(15)은 인조사보다는 자연사로 직조된 섬유로 이루어진는 것이 바람직하며, 쿠션층(13)은 우레탄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통풍성을 갖추면서 값이 저렴한 화학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박부재(20)(21)는 신축성을 지닌 스판재의 섬유로 매쉬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착용자가 장시간 사용할 때 통풍성을 갖추게 함으로서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조기몸체(10)가 압박부재(20)(21)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연결수밸크로(42)가 부착된 연결밴드(30)를 연결링(44)에 끼워 연결암밸크로(40)측으로 당겨서 붙이면, 압박부재(20)(21)는 조이게 되어 보조기몸체(10)가 상체에 더욱 안정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압박부재(21)에 부착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는 연결밴드(31)는 고정링(46)을 통해 그 길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하게 조정경우, 도면상 중앙부에 있는 연결링(44)의 위치가 좌우로 이동되는 것으로 연결밴드(30)에 의한 조임력은 조정이 가능하다.
일 예를 들어 하복부가 많이 나온 착용자는 하측의 연결밴드(31)를 조정하여 연결링(44)을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을 시키고, 가슴둘레가 큰 착용자는 상측의 연결밴드(31)을 조정하여 연결링(44)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하복부나 가슴에 과중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정도로 연결밴드(30)를 조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보조기몸체(10)는 양측의 압박부재(20)(21)와 연결밴드(30)(31)에 의해 편안한 착용감을 착용자가 느낄 수 있게 상체에 착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기몸체(10)의 양측단과 양측 압박부재(20)(21)의 일측단에는 다수의 끼움구(56)(57)와 고정구(54)(55) 및 길이조정구(62)(63)로 이루어진 연결수단(50)(51)이 설치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며, 일측에 걸림단부(60)가 형성되고 상·하단에 요철부(58)를 갖춘 길이조정구(62)(63)가 끼움구(56)(57)를 거쳐 고정구(54)(55)에 결합되어 보조기몸체(10)와 양측의 압박부재(20)(21)는 일체를이루게 된다.
상기 길이조정구(62)(63)를 이용하여 체형이 큰 착용자가 보조기몸체(10)를 착용할 경우에는 고정구(54)(55)의 누름부(52)(53)를 눌으면 길이조정구(62)(63)의 요철부(58)에 걸려있던 누름부(52)(53)의 단부가 요철부(58)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길이조정구(62)(63)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보조기는 보조기몸체(10)와 양측의 압박부재(20)(21)에 부착 또는 설치된 연결밴드(30)(31)와 연결수단(50)(51)에 의해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그 크기를 조정하여 안정된 상태로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척추보조기는 보조기몸체(10)와 양측의 압박부재(20)(21)에 부착 또는 설치된 연결밴드(30)(31)와 연결수단(50)(51)에 의해 착용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그 크기를 조정하여 안정된 상태로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예시도 1 내지 3 에 표현된 바와 같은 척추보조기를 설명하면, 탈착가능한 압박부재(20)(21)와 흉추지지부(12)및 요추지지부(14)로 이루어진 보조기몸체(10)의 상측부에 외측으로 굽은 한쌍의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를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의 상부에 연결고리(18)(19)를 갖춘 어깨걸이부(22)(23)를 형성하며, 보조기몸체(10)의 배면에는 지지링(24)(25)을 갖춘 리벳결합부(26)(27)를 설치하고, 상기 양측 압박부재(20)(21)에 고정고리(28)(29)를부착하며, 고정고리(28)(29)로부터 어깨끈(32)(33)이 지지링(24)(25)을 거처 어깨걸이부(22)(23)의 연결고리(18)(19)에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의 배면에는 융출부(48)를 형성하여 강성을 갖추도록 하고, 그 내부에 복원력을 갖춘 쿠션재(49)를 주입하여 보다 더 강성을 확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기몸체(10)는 양측의 압박부재(20)(21)와 연결밴드(30)(31)에 의해 편안한 착용감을 착용자가 느낄 수 있게 상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의 상단부에 부착된 어깨걸이부(22)(23)와 보조기몸체(10)에 설치된 어깨끈(32)(33)을 이용하여 보조기몸체(10)를 보다 더 착용자의 상체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어깨끈(32)(33)은 고정고리(28)(29)와 연결고리(18)(19)에 의해 그 길이를 임의적으로 조정할 수 있으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보조기몸체(10)의 정면에 부착된 고정고리(18)(19)로부터 시작된 어깨끈(32)(33)의 단부는 보조기몸체(10)의 배면에 부착된 리벳결합부(26)(27)의 지지링(24)(25)을 통해 어깨걸이부(22)(23)의 연결고리(18)(19)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의 어깨걸이부(22)(23)에 어깨끈(32)(33)을 연결한 상태에서 착용자가 고정고리(28)(29)에 연결된 어깨끈(32)(33)의 단부 또는 연결고리(18)(19)에 연결된 어깨끈(32)(33)의 단부를 잡아 당기는 것으로 어깨끈(32)(33)의 길이는 조정되어 보조기몸체(10)를 착용하는 착용자는 보다 더 안정된 상태로 착용된다.
즉, 상기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의 어깨걸이부(22)(23)에 의해 장시간 착용하고 움직여도 보조기몸체(10)가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장착된 상태에서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의 상단부에 부착된 어깨걸이부(22)(23)와 압박부재(20)(21)에 부착된 고정고리(28)(29)에 연결된 어깨끈(32)(33)을 이용하여 보조기몸체(10)를 보다 더 착용자의 상체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견갑골 및 경추와 흉추 및 요추로 이루어진 척추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보조기몸체(10)와 양측의 압박부재(20)(21) 및 연결밴드(30)(31)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 쌍의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와 어깨걸이부(22)(23)에 의해 착용시 흘러내림이 없으며,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의 배면에 융출부(48)를 형성하여 보다 강성을 갖추게 하고, 그 내부에 복원력을 갖춘 쿠션재(49)를 주입하여 접촉면을 보다 부드럽게 하며, 보조기몸체(10)와 양측의 압박부재(20)(21)가 길이조정이 가능한 연결수단(50)(51)에 의해 일체를 이룸으로서 체형에 관계없이 안정된 상태로 착용할 수 있는 등, 상기 상반신 지지수단에 구비되어 흉추부위의 상반신을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측부가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상반신의 체중이 요추부위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허리의 통증을 완화시키며 또한 견갑골 및 척추의 경추 흉추부위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척추를 보호하면서도 상반신의 좌우방향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등, 착용성과 편의성을 향상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흉추지지부(12)와 요추지지부(14)를 갖춘 보조기몸체(10)와, 신축성을 갖춘 양측의 압박부재(20)(21)와, 양측의 압박부재(20)(21)와 일체를 이루도록 부착한 양측의 연결밴드(30)(31)와, 내면에 쿠션층(13)과 섬유층(15)이 접착재에 의해 일체를 이루어진 보조기몸체 (10)와, 보조기몸체(10) 및 양측의 압박부재(20)(21) 사이에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연결수단(50)(51)과, 상기 보조기몸체(10)의 상측부에 외측으로 굽은 한쌍의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의 상부에는 연결고리(18)(19)를 갖춘 어깨걸이부(22)(23)를 형성하며, 보조기몸체(10)의 배면에는 지지링(24)(25)을 갖춘 리벳결합부(26)(27)를 설치하고, 상기 양측 압박부재(20)(21)에 고정고리(28)(29)를 부착하며, 고정고리(28)(29)로부터 어깨끈(32)(33)이 지지링(24)(25)을 거처 어깨걸이부(22)(23)의 연결고리(18)(19)에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견갑골 및 경추지지대(16)(17)의 배면에는 융출부(48)를 형성하고 쿠션재(49)를 주입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조기.
KR2020010017105U 2001-06-08 2001-06-08 척추 보조기 KR200249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105U KR200249325Y1 (ko) 2001-06-08 2001-06-08 척추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105U KR200249325Y1 (ko) 2001-06-08 2001-06-08 척추 보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2065A Division KR100403890B1 (ko) 2001-06-08 2001-06-08 척추 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325Y1 true KR200249325Y1 (ko) 2001-11-16

Family

ID=73081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105U KR200249325Y1 (ko) 2001-06-08 2001-06-08 척추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32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2378B1 (ko) 2015-05-26 2016-04-26 (주)힐닉스 조절식 척추보조기
WO2016068388A1 (ko) * 2014-10-31 2016-05-06 서상구 허리 보호대
KR20160059130A (ko) 2014-11-18 2016-05-26 서상구 허리 보호대용 의료기구
KR20170025968A (ko) 2015-08-31 2017-03-08 서상구 허리보호대
KR20170138729A (ko) * 2016-06-08 2017-12-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CN112245086A (zh) * 2020-11-10 2021-01-22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可防止皮肤溃烂的脊柱矫正器
KR102683049B1 (ko) * 2023-03-17 2024-07-09 윤인덕 흉요천추 보조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8388A1 (ko) * 2014-10-31 2016-05-06 서상구 허리 보호대
KR20160059130A (ko) 2014-11-18 2016-05-26 서상구 허리 보호대용 의료기구
KR101612378B1 (ko) 2015-05-26 2016-04-26 (주)힐닉스 조절식 척추보조기
KR20170025968A (ko) 2015-08-31 2017-03-08 서상구 허리보호대
KR20170138729A (ko) * 2016-06-08 2017-12-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KR101864583B1 (ko) 2016-06-08 2018-06-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퇴행성 척추 후만증 보조기
CN112245086A (zh) * 2020-11-10 2021-01-22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可防止皮肤溃烂的脊柱矫正器
CN112245086B (zh) * 2020-11-10 2023-08-04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可防止皮肤溃烂的脊柱矫正器
KR102683049B1 (ko) * 2023-03-17 2024-07-09 윤인덕 흉요천추 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6130B1 (ko) 맞춤형 교정장치
US5967998A (en) Lumbo-sacral orthosis
US7488349B2 (en) Ventilated prosthesis system
US4285336A (en) Scoliosis orthotic system
US5466214A (en) Dynamic harness for human spine
US8012113B2 (en) Spinal brace
US11684506B2 (en) Thoracic lumbar sacral orthosis attachment
JP2003525699A (ja) 改良された胸腰仙椎装具
JP7333513B2 (ja) 体幹装具
US20040193086A1 (en) Dynamic position adjustment device for extremities of the human body
US5409450A (en) Cervical brace
KR10180186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466476Y1 (ko) 척추 지압식 허리 보호대
US9504596B1 (en) Convertible orthotic brace
KR10169527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249325Y1 (ko) 척추 보조기
US20040193082A1 (en) Dynamic position adjustment device for portions of the human body
US11382775B2 (en) Modular prosthetic devices and prosthesis systems
KR200249326Y1 (ko) 척추 보조기
KR100403890B1 (ko) 척추 보조기
KR10251494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895004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JPH08117260A (ja) 補強帯
KR100972123B1 (ko) 조절식 척추 보조기
CN218773384U (zh) 矫形固定护腰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