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7038B1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7038B1
KR101527038B1 KR1020120018982A KR20120018982A KR101527038B1 KR 101527038 B1 KR101527038 B1 KR 101527038B1 KR 1020120018982 A KR1020120018982 A KR 1020120018982A KR 20120018982 A KR20120018982 A KR 20120018982A KR 101527038 B1 KR101527038 B1 KR 101527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
video
moving picture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7372A (ko
Inventor
황도현
김호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7038B1/ko
Priority to EP16001182.1A priority patent/EP3093749B1/en
Priority to DE202013012389.3U priority patent/DE202013012389U1/de
Priority to EP13000452.6A priority patent/EP2631773B1/en
Priority to US13/763,871 priority patent/US9442629B2/en
Priority to CN201510247124.4A priority patent/CN104932816B/zh
Priority to CN2013100587463A priority patent/CN103294763A/zh
Publication of KR20130097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372A/ko
Priority to US14/694,726 priority patent/US991686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7038B1/ko
Priority to US15/096,932 priority patent/US985896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06F16/743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a collection of video files or sequ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및 제1 동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동영상의 메인 영상과 함께, 상기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서브 영상과 함께 또는 상기 제1 서브 영상을 대신하여, 제2 동영상의 제2 서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제1 동영상 재생 중 제2 동영상의 내용을 탐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동영상 재생 시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동영상 재생 시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을 손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탐색 기능이다. 탐색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에는 현재 재생 중인 동영상의 프로그레싱 바와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시점을 가리키기 위한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가 프로그레싱 바 위에 표시되고 있다. 사용자는 프로그레싱 바를 움직임으로써, 메인 영상의 출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다만,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를 움직임으로써 동영상 내용을 탐색하는 방법은 메인 영상의 변화를 야기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동영상을 감상하면서 원하는 부분을 찾아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재생을 소망하는 부분이 재생 중인 동영상과 다른 동영상에 포함된 경우, 사용자는 현재 재생 중인 동영상을 종료하고, 다른 동영상을 재생시키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과는 달리, 효과적으로 복수의 동영상을 탐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동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출력하는 도중 제1 동영상과는 다른 제2 동영상의 내용을 탐색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및 제1 동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동영상의 메인 영상과 함께, 상기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서브 영상과 함께 또는 상기 제1 서브 영상을 대신하여, 제2 동영상의 제2 서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효과적으로 복수의 동영상을 탐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제1 동영상이 출력되는 도중 제1 동영상 이외에 제1 동영상과 다른 제2 동영상의 내용을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 또는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소망하는 동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
도 5는 1번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도중 동영상 재생 목록이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터치스크린상에 제1 동영상의 메인 영상과 제1 서브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화면 구성도.
도 7은 제1 서브 영상을 대신하여 제2 서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8은 제1 서브 영상을 대신하여 제2 서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
도 9는 프로그레싱 바의 일부가 변경된 후, 제1 서브 영상이 제2 서브 영상으로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0은 프로그레싱 바가 2개 이상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12는 제1 서브 영상과 제2 서브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3은 제1 서브 영상과 제2 서브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
도 14는 제1 서브 영상과 제2 서브 영상이 단일의 프로그레싱 바를 통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5는 제1 서브 영상 또는 제2 서브 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6은 프로세서의 활성화 갯수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재생 영상의 수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17은 메인 영상 및 서브 영상의 재생 속도를 설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
도 18은 메인 영상 및 서브 영상 중 어느 하나에 오디오 출력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00)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CBMS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Mobile Service),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BroadCAST), CMMB (China Multimedia Mobile Broadcasting), MBBMS (Mobile Broadcasting Business Management System),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이에 한정되지 않음)와 같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 CDMA, WCDMA, LTE(Long Term Evolution)(이에 한정되지 않음) 등이 이용될 수 있다.
Wibro, HSDPA, GSM, CDMA, WCDMA, LTE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미도시)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호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호칭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음성출력모듈(152)은 알람부(153)의 일종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는 단일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싱글 코어 프로세서(single core processors)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복수의 프로세서가 군집되어 형성된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 core processors)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듀얼 코어 프로세서, 트리플 코어 프로세서, 쿼드 코어 프로세서, 헥사 코어 프로세서, 옥타 코어 프로세서, 도데카 코어 프로세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 활성화/비활성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를 위해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즉, 이동단말기의 전면 및 후면 둘 다의 방향으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터치 패드(135) 전용 디스플레이가 별도로 장착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151), 메모리(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 컨텐트가 원격지 단말에 저장된 것일 경우, 이를 스트리밍 재생하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151)으로 구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기에,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151)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스크린(151)은 동영상 컨텐트를 디스플레이하고, 포인터를 통해 동영상 컨텐트의 재생, 동영상 컨텐트의 편집을 위한 각종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 컨텐트는 이동 단말기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것이거나, 원격지 단말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트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하거나, 원격지 단말에 저장된 동영상 컨텐트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하여, 터치스크린(151)에 스트리밍 재생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제1 동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터치스크린(151)에 디스플레이하고, 제1 동영상의 메인 영상과 함께, 상기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터치스크린(151)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제1 서브 영상과 함께 또는 제1 서브 영상을 대신하여 제2 동영상의 제2 서브 영상이 터치스크린(151)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 상에 제1 동영상에 관한 제1 프로그레싱 바 및 상기 제2 동영상에 관한 제2 프로그레싱 바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이 각각 제1 프로그레싱 바 및 제2 프로그레싱 바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동영상의 메인 영상은 제1 동영상의 재생 영상이거나, 제1 동영상의 일시 정지 영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될 실시예들에서는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도면부호 40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80)는 제1 동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터치스크린(400)상에 출력할 수 있다(S301). 여기서, 제1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동영상 재생 메뉴 또는 기능은 사용자 입력부(130)의 적절한 조작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일예로, 소망하는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소망하는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거나, 파일 탐색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후 소망하는 동영상 파일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는 소망하는 동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출력하기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4a는 동영상 재생 목록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사용자가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초기화면으로 도 4a에 예시된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a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메모리에 저장된 동영상들의 리스트를 소팅(또는 무작위로)하여 터치스크린(400) 상에 출력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400)에 보이지 않는 동영상 목록은 터치스크린(400)을 스크롤(scroll) 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400)에 보이지 않는 동영상이 존재함을 알리기 위해, 스크롤 바(410)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영상 재생 목록에는 각 동영상들의 파일명(402), 러닝타임(404), 파일 크기(406), 썸네일 이미지(408)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a의 동영상 재생 목록에서 사용자가 재생을 소망하는 동영상 파일을 터치하면(도 4a에서는 1번 동영상의 파일명이 선택된 것으로 예시), 제어부(180)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택된 동영상(도 4b에서는 1번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터치스크린(400)을 제어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메인 영상과 함께 재생중인 동영상과 관련된 프로그레싱 바, 선택된 동영상 파일의 재생(play-back)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재생 아이콘 및/또는 일시정지(pause)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일시정지 아이콘 등이 터치스크린(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프로그레싱 바, 재생 아이콘 및/또는 일시정지 아이콘 등이 반드시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은 터치스크린(400)에 적절한 터치 제스처가 가해진 경우 터치스크린(400)에 표시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소망하는 동영상 파일이 선택되면 화면 구성이 도 4a에서 도 4b로 전환되는 것으로, 즉 선택된 동영상 파일이 터치스크린(400)에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자가 선택한 동영상 파일이 반드시 메인 영상에 출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동영상 파일이 선택되더라도, 선택된 동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출력하지 않고, 동영상 재생 목록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미리보기 화면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c는 선택된 동영상 파일이 동영상 재생 목록이 제공되는 화면에서 선택된 동영상이 재생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일예로, 도 4a의 동영상 재생 목록 제공 화면에서, 재생을 희망하는 동영상의 썸네일 이미지(408)가 터치되면(도 4a에서는 2번 썸네일(408-2)이 터치된 것으로 예시),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목록이 제공되는 화면의 전환 없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408)가 당해 동영상의 재생 화면으로 변환되어 미리보기 화면(410)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리보기 화면(410)으로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이 강조되어 출력되도록 터치스크린(4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미리보기 화면(410)의 디스플레이 크기를 썸네일 이미지(408)의 디스플레이 크기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미리보기 화면으로 재생 중인 동영상 파일을 강조할 수 있다.
도 4를 통해 기술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동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재생하거나, 미리보기 화면으로 재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부분에 따라 메인 영상 또는 미리보기 영상이 결정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이는 일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 일예로, 도 4a의 예에서, 제어부는 썸네일 이미지(408)가 터치 되었는지, 또는 롱터치 되었는지에 따라 메인 영상으로 표시할 것인지 또는 미리보기 영상을 표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썸네일 이미지(408)이 터치된 경우에는 선택된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썸네일 이미지(408)가 롱터치 된 경우에는 선택된 동영상이 미리보기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나아가, 제어부(180)는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도중 메인 영상과 함께 동영상 재생 목록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5는 1번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도중 동영상 재생 목록이 제공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와 같이 1번 동영상의 메인 영상이 출력되는 도중, 터치스크린(400)에 제공되는 드랍박스 버튼(502)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터치스크린(400)의 제1 화면(510)에는 1번 동영상의 메인 영상이, 제2 화면(520)에는 동영상 재생 목록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화면(510)에는 1번 동영상의 메인 영상과 함께, 1번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프로그레싱 바(512)와, 1번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가리키는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514)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400)에 표시되지 않은 동영상이 있음을 알리기 위해, 스크롤 바(522)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제2 화면(520)을 스크롤하여, 제2 화면(520)에 표시되지 않은 동영상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드랍박스 버튼(502)은 1번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도중 적절한 터치 제스처를 터치스크린(400)에 입력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1번 동영상의 메인 영상과 함께 제공되는 동영상 재생 목록에서 임의 동영상의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하면(도 5b에서는 2번 썸네일이 터치된 것으로 예시), 제어부(180)는 제1 동영상의 메인 영상과 함께 선택된 동영상이 미리보기 화면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동시에 2개의 동영상 파일을 재생하여 터치스크린(40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도 4c를 통해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로 미리보기 화면으로 재생되는 동영상 파일이 강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5c 참조).
도 5b에서 동영상 파일명이 선택된 경우(도 5b에서는 3번 동영상이 터치된 것으로 예시), 제어부(180)는 선택된 동영상 파일이 제1 동영상을 갈음하여 메인 영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도 5d 참조). 또는 도 5b의 동영상 파일을 선택한 뒤, 터치스크린(400)의 제1 화면으로 드래그하면(drag and drop) 제1 동영상을 갈음하여 선택된 동영상 파일이 메인화면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예에서는 동영상 재생 목록에서 특정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는 경우에 한하여 동영상 재생 화면이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사전 설정된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언급한 터치 제스처는 터치, 롱터치, 더블터치, 근접터치, 터치드래그 및 플리킹(flicking)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는 후술될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일반적으로, 제어부(180)는 동영상 재생 목록의 순서대로 동영상들을 재생하게 된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도 4a의 재생 목록에서 1번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면, 2번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고, 2번 동영상 파일의 재생이 완료되면 3번 동영상 파일이 재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400)에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동영상을 제1 동영상으로 명명하고, 제1 동영상의 다음 재생 순번이거나 이전 재생 순번인 동영상을 제2 동영상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제1 동영상의 다음 재생 순번 또는 이전 재생 순번 동영상의 구분이 필요할 경우에는 제2 동영상을 제1 동영상의 다음 재생 순번의 동영상으로, 제3 동영상을 제1 동영상의 이전 재생 순번 동영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특별한 설명이 없다면, 제2 동영상은 제1 동영상의 다음 재생 순번의 동영상 또는 제1 동영상의 이전 재생 순번인 동영상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도중, 터치스크린(400)에 적절한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2).
도 6은 터치스크린상에 제1 동영상의 메인 영상과 제1 서브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화면 구성도이다. 도 4b와 같이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도중 적절한 터치 제스처(예컨대, 터치스크린(400)을 터치하는 것)가 터치스크린(400)에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그레싱 바(600)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레싱 바(600)에는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602)가 표시될 수 있다.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602)는 제1 동영상의 전체 러닝 타임 중에서 메인 영상에 해당하는 시점(도 6에서는 12분 으로 예시)을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프로그레싱 바(600)를 따라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602)를 터치드래그 함으로써 제1 동영상의 전체 러닝 타임 중에서 메인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될 시점을 쉽게 입력할 수 있다. 프로그레싱 바(600)의 양단에는 각각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도 6에서는 1시간으로 예시, 604)과 전체 러닝 타임 중에서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602)가 해당하는 시점(도 6에서는 12분으로 예시, 606)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동영상의 전체 러닝 타임 중 재생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구분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602)의 좌측과 우측(610,612)이 서로 다른 색(색상, 명도, 채도 중 적어도 하나)으로 구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제어부(180)는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그레싱 바(600)가 디스플레이될 때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1 동영상의 서브 영상(614)이 메인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서브 영상(614)은 제1 프로그레싱 바(600)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거나,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제1 서브 영상(606)은 도 6a에서 제공되는 서브 영상 아이콘(608)을 터치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예시되고 있다. 제1 서브 영상(614)이 터치스크린(400)에 표시된 상태에서 서브 영상 아이콘(608)을 다시 한번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제1 서브 영상(606)이 터치스크린(400)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레싱 바(610)에는 제1 동영상의 전체 러닝 타임 중에서 제1 서브 영상(614)의 해당 시점을 가리키기 위한 서브 영상 인디케이터(616)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b에서는 제1 서브 영상(614)과 함께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602)가 동시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 있으나, 제1 서브 영상(614)과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602)가 반드시 동시에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서브 영상(614)이 프로그레싱 바(600)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602)의 표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602)의 표시가 생략된 경우, 제1 서브 영상(606)을 통해 메인 영상의 시점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602), 서브 영상 인디케이터(616) 및 프로그레싱 바 양쪽의 러닝 타임(604,606)의 표시가 생략된 채 제1 서브 영상(및/또는 제2 서브 영상)이 프로그레싱 바 위에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다만, 후술될 도면들에서도, 제1 서브 영상(및/도는 제2 서브 영상)과 함께 메인 영상 인디케이터, 서브 영상 인디케이터, 및/또는 러닝 타임이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n 서브 영상은 제n 동영상의 전체 러닝 타임 중에서 사전 설정된 시점들에 해당되는 영상, 제n 동영상 중에서 사전 설정된 키프레임 영상 또는 제n 동영상의 전체 러닝 타임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재생 영상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n 서브 영상이 재생 영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n 서브 영상은 그 썸네일 형태를 유지하면서 재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제n 서브 영상에 적절한 터치 제스처가 가해짐으로써, 정지 영상(still image)이 재생 영상으로 변환되거나, 재생 영상이 정지 영상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도중, 제1 서브 영상을 대신하여 제2 동영상의 제2 서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303).
도 7은 제1 서브 영상을 대신하여 제2 서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에서는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동안, 메인 영상과 함께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704)이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제1 서브 영상(704)이 제1 프로그레싱 바(702)를 따라, 제1 프로그레싱 바(702)의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하면(도 7b 참조), 제어부(180)는 제1 프로그레싱 바(702) 및 제1 서브 영상(704)을 대신하여 제2 동영상의 제2 프로그레싱 바(712) 및 제2 동영상의 제2 서브 영상(714)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7c 참조). 이때, 제1 서브 영상(704)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사이의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점에 위치하는 제1 서브 영상(704)은 제1 동영상 중 제1 지점 및 제2 지점 사이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재생하면서 점차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하거나,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 의해 제1 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서브 영상(704)을 대신하여 제2 서브 영상(714)이 표시되는 경우, 제2 서브 영상(714)은 제2 프로그레싱 바(712)의 기점(start point), 터치스크린(400) 위 포인터의 위치에 부합하는 지점 또는 사전 설정된 지점에 최초 위치 할 수 있다. 도 7c의 예에서 제2 서브 영상(714)은 제2 프로그레싱 바(712)의 기점(start point)에 최초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제2 서브 영상(704)도 제1 서브 영상(704)과 마찬가지로 제2 프로그레싱 바(712)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1 동영상 재생 중 제1 동영상뿐만 아니라, 제1 동영상과는 다른 제2 동영상의 일부(또는 전체) 내용을 미리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동영상이 아닌 제2 동영상을 탐색하고자 하는 경우, 제1 동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그대로 출력하면서, 제2 동영상에 소망하는 부분이 있는지 탐색할 수 있다.
도 7b를 통해 설명한 제1 프로그레싱 바(702)의 제2 지점은 제1 프로그레싱 바(702)의 기점(start point) 이거나 종점(end point) 일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서브 영상(704)이 제1 프로그레싱 바(702)의 종점으로 이동한 경우, 제어부(180)는 제1 동영상 다음에 재생될 제2 동영상에 대한 제2 서브 영상(704)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서브 영상(704)에 제1 프로그레싱 바(702)의 기점으로 이동한 경우, 제어부(180)는 제1 동영상 이전에 재생되었던, 또는 동영상 재생 목록에서 제1 동영상 이전 순번이었던 제3 동영상에 대한 제3 서브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제1 서브 영상(704)이 제1 프로그레싱 바(702)의 제2 지점으로 이동 해야만 제2 서브 영상(704)이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서브 영상(704)이 제2 지점으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적절한 터치 제스처를 통해 제1 서브 영상(704)에 제2 서브 영상(704)으로 교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8의 예시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제1 서브 영상을 대신하여 제2 서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8a에서는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동안, 메인 영상과 함께 제1 프로그레싱 바(802) 및 제1 서브 영상(804)이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제1 프로그레싱 바(802)를 이웃하여, 큐(cue) 오브젝트(806,808)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제1 프로그레싱 바(802)의 양단에 위치한 큐 오브젝트들(806,808) 중 제1 프로그레싱 바(802)의 종점에 인접한 큐 오브젝트(제1 큐 오브젝트, 806)에 터치 제스처가 행하여지면(도 8a에서는 제1 큐 오브젝트(806)가 터치 드래그 되는 것으로 예시), 제어부(180)는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프로그레싱 바(802) 및 제1 서브 영상(804)이 각각 제2 동영상의 제2 프로그레싱 바(812) 및 제2 동영상의 제2 서브 영상(814)으로 교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동영상은 제1 동영상 다음 순번의(즉, 제1 동영상 다음에 재생될) 동영상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대로, 도 8a의 예시에서 제1 프로그레싱 바(802)의 기점에 인접한 큐 오브젝트(제2 큐 오브젝트, 808)에 터치 제스처가 행하여지면,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80)는 제1 프로그레싱 바(802) 및 제1 서브 영상(804)이 각각 제3 동영상의 제3 프로그레싱 바 및 제3 동영상의 제3 서브 영상으로 교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동영상은 제1 동영상 이전 순번의 동영상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영상(804)이 제1 프로그레싱 바(802)의 시점 또는 종점으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제1 프로그레싱 바(802)가 제2 프로그레싱 바(812) 또는 제3 프로그레싱 바로 교체됨으로써 제1 서브 영상(804)이 사라지고 제2 서브 영상(814) 또는 제3 서브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의 예시에서는 제1 프로그레싱 바가 제2 또는 제3 프로그레싱 바로 변경되면서 제1 서브 영상이 제2 서브 영상 또는 제3 서브 영상으로 변경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프로그레싱 바 전체가 제2 프로그레싱 바로 교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9의 예시에서는 프로그레싱 바의 일부가 변경됨으로써, 제1 서브 영상이 제2 서브 영상으로 교체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프로그레싱 바의 일부가 변경된 후, 제1 서브 영상이 제2 서브 영상으로 변경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a에서는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동안, 메인 영상과 함께 제1 동영상의 프로그레싱 바(910) 및 제1 서브 영상(920)이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제1 서브 영상(920)이 프로그레싱 바(910)를 따라 제1 지점에서 제 2 지점으로 이동하면(도 9b 참조), 제어부(180)는 프로그레싱 바(910)가 제1 동영상에 관한 제1 구획(912) 제2 동영상에 관한 제2 구획(914)으로 구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도 9c 참조). 프로그레싱 바(910)가 제1 구획(912) 및 제2 구획(914)으로 구분되면, 제어부는 제1 서브 영상(920)을 제1 구획(912)의 종점으로 이동시키거나, 제1 서브 영상(920)을 제2 서브 영상(930)으로 교체시키면서 제2 구획(914)의 시점, 종점 또는 사전 설정된 위치에 제2 서브 영상(93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c에서는 제1 서브 영상(920)이 제2 서브 영상(930)으로 교체되면서 제2 서브 영상(930)이 제2 구획(914)의 시점(start point)에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프로그레싱 바(910)의 제1 구획(912)은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고, 제2 구획(914)은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의 적어도 일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던 프로그레싱 바(910)는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제1 구획(912) 및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제2 구획(914)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구획(912) 및 제2 구획(914)을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구분하기 위해, 제어부(180)는 제1 구획(912) 및 제2 구획(914)에 서로 다른 색 또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갖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920)은 프로그레싱 바(910)의 제1 구획(912)에 표시되고, 제2 동영상의 제2 서브 영상(930)은 프로그레싱 바(910)의 제2 구획(914)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제1 구획(912)의 제2 구획(914)의 경계에서 제1 서브 영상(920) 및 제2 서브 영상(930)의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제1 서브 영상(920)이 제1 구획(912)에서 제2 구획(914)으로 이동되면 제2 서브 영상(930)으로 바뀌도록 제어하고, 제2 서브 영상(930)이 제2 구획(914)에서 제1 구획(912)으로 이동되면 제1 서브 영상(920)으로 바뀌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c의 예에서, 제1 구획(912) 및 제2 구획(914)의 길이 비율(L1:L2)는 1:1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 비율에 맞춰 제1 구획(912) 및 제2 구획(914)의 길이 비율이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이 1시간이고,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이 30분인 경우, 제1 구획(912) 및 제2 구획(914)의 길이비(L1:L2)는 2:1의 비율이 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의 예에서, 프로그레싱 바(910)의 제2 지점은 앞서 도 7을 통해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레싱 바(910)의 종점 또는 시점인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의 예에서, 제1 서브 영상(920)이 프로그레싱 바(910)의 종점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서브 영상(920)이 프로그레싱 바(910)의 시점(start point)으로 이동하는 경우, 앞서 도 7의 예시와 유사하게, 프로그레싱 바(910)는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제1 구획(912) 및 제3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제3 구획으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9에서는 제1 서브 영상(920)이 프로그레싱 바(910)의 제2 지점으로 이동해야만 프로그레싱 바(910)가 제1 구획(912) 및 제2 구획(914)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제1 서브 영상(920)이 제2 지점으로 이동하지 않더라도, 적절한 터치 제스처를 통해 프로그레싱 바(910)가 제1 구획(912) 및 제2 구획(914)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의 예에서와 같이, 프로그레싱 바(910)와 이웃하는 큐 오브젝트에 적절한 터치 제스처가 행하여지면, 제어부(180)는 프로그레싱 바(910)가 제1 구획(912) 및 제2 구획(914)으로 구분되어 표시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프로그레싱 바(910)가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 및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도록 2개의 구획(912,914)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지만, 프로그레싱 바(910)가 2개의 구획(912,914)으로 바뀌는 변화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9a 및 도 9b의 과정이 생략된 채, 처음부터 제1 구획(912) 및 제2 구획(914)으로 구분된 프로그레싱 바(910)가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프로그레싱 바(910)가 2개의 구획(912,914)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며, 더 많은 구획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0은 프로그레싱 바가 2개 이상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에서는 프로그레싱 바(1010)가 3개의 구획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이때, 프로그레싱 바(1010)의 제1 구획(1012)은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제2 구획(1014)은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제3 구획(1016)은 제3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구획(1012)과 제3 구획(1016)의 경계를 전후로 제1 서브 영상과 제3 서브 영상 사이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1 구획(1012)과 제2 구획(1014)이 경계를 전후로 제1 서브 영상과 제2 서브 영상 사이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9에서는 터치스크린(400)에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 중 어느 하나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제2 서브 영상이 반드시 제1 서브 영상을 대신하여 표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서브 영상과 제2 서브 영상이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후술될 도면을 참조하여, 제1 서브 영상이 제2 서브 영상과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경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80)는 제1 동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터치스크린(400)상에 출력할 수 있다(S1101).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도중, 터치스크린(400)에 적절한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02).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도중, 터치스크린(400)에 적절한 터치 제스처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400) 상에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과 함께 제2 동영상의 제2 서브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103).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400)상에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키는 제1 프로그레싱 바,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의 적어도 일부를 가리키는 제2 프로그레싱 바가 터치스크린(400)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 뒤,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이 각각 제1 프로그레싱 바 및 제2 프로그레싱 바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2개의 프로그레싱 바와 2개의 서브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도 12의 예시를 통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제1 서브 영상과 제2 서브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a에서는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동안 메인 영상과 함께 제1 동영상의 제1 프로그레싱 바(1202)와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1204)이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제1 프로그레싱 바(1202)를 이웃하여, 큐(cue) 오브젝트(1206,1208)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1 프로그레싱 바(1202)의 양단에 위치한 큐 오브젝트들 중 제1 프로그레싱 바(1202)의 종점에 이웃한 큐 오브젝트(제1 큐 오브젝트,1206)에 터치 제스처가 행하여지면(도 12a에서는 제1 큐 오브젝트(1206)가 터치 드래그 되는 것으로 예시), 제어부(180)는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프로그레싱 바(1202)와 함께,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제2 프로그레싱 바(1212)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프로그레싱 바(1202)에는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1204)이 표시되고 제2 프로그레싱 바(1212)에는 제2 동영상의 제2 서브 영상(1214)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서브 영상(1204)은 제1 프로그레싱 바(1202)를 따라 움직일 수 있고, 제2 서브 영상(1214)은 제2 프로그레싱 바(1212)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서브 영상(1204) 및 제2 서브 영상(1214)을 통해 제1 동영상 및 제2 동영상의 일부(또는 전체) 내용을 미리 파악할 수 있고, 재생을 원하는 부분을 손쉽게 탐색할 수 있다.
이때, 제1 프로그레싱 바(1202) 및 제2 프로그레싱 바(1212)의 위치는 제1 동영상 및 제2 동영상의 재생 순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동영상이 제1 동영상의 이전 순번인 경우 제2 프로그레싱 바(1212)는 제1 프로그레싱 바(1202)의 상단(또는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반대로 제2 동영상이 제1 동영상의 다음에 재생될 동영상인 경우 제2 프로그레싱 바(1212)는 제1 프로그레싱 바(1202)의 하단(또는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2b에서는 동시에 2개의 프로그레싱 바가 도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프로그레싱 바가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12b의 화면에서, 제1 프로그레싱 바(1202)의 시점(start point)에 이웃하는 큐 오브젝트(제2 큐 오브젝트,1208)에 적절한 터치 제스처가 행하여지면, 제어부(180)는 도 12c에 예시된 것과 같이, 터치스크린(400)에 제1 내지 제3 프로그레싱 바(1222)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프로그레싱 바(1222)에는 제3 동영상의 제3 서브 영상(1214)이 표시될 수 있으며, 제3 서브화면은 제3 프로그레싱 바(1222)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도 12에서는 제1 프로그레싱 바(1202)와 별개로 제2 프로그레싱 바(1212)가 디스플레이되어, 제1 서브 영상(1204) 및 제2 서브 영상(1214)이 각기 다른 프로그레싱 바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서브 영상(1204) 및 제2 서브 영상(1214)이 반드시 별개의 프로그레싱 바를 통해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서브 영상(1204) 및 제2 서브 영상(1214)이 동일한 프로그레싱 바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도 1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제1 서브 영상과 제2 서브 영상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도 13a에서는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동안 메인 영상과 함께 프로그레싱 바(1310)와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1320)이 출력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프로그레싱 바(1310)를 이웃하여 큐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프로그레싱 바(1310)의 양단에 위치한 큐 오브젝트들 중 종점에 인접한 큐 오브젝트(제1 큐 오브젝트, 1302)에 적절한 터치 제스처가 행하여지면(도 13a에서는 제1 큐 오브젝트가 터치 드래그되는 것으로 예시), 제어부(180)는 프로그레싱 바(1310)가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제1 구획(1312)과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제2 구획(1314)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80)는 제2 구획(1314)의 시점, 종점 또는 사전 설정된 지점에 제2 동영상의 제2 서브 영상(1330)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서브 영상(1320)은 제1 구획(1312)에 제2 서브 영상(1330)은 제2 구획(1314)에 위치하여, 제1 서브 영상(1320)과 제2 서브 영상(1330)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앞서 도 8의 예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제1 구획(1312) 및 제2 구획(1314)은 서로 다른 색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1 구획(1312)과 제2 구획의 길이비(1314)는 제1 동영상 및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의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3a에서 프로그레싱 바의 시점(start point)에 이웃한 큐 오브젝트(제2 큐 오브젝트, 1304)에 터치 제스처가 행하여진 경우, 제어부(180)는 프로그레싱 바가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제1 구획과 제3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제3 구획으로 구분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0에서 예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도 13의 프로그레싱 바 역시 2개 이상의 구획으로 구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 및 도 13엣는 제1 서브 영상과 제2 서브 영상은 각각 서로 다른 구역에 표시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에서, 제1 서브 영상과 제2 서브 영상은 각각 제1 프로그레싱 바 및 제2 프로그레싱 바에, 도 13에서, 제1 서브 영상과 제2 서브 영상은 각각 프로그레싱 바의 제1 구획 및 제2 구획에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이 각기 다른 프로그레싱 바 또는 각기 다른 구획에 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은 단일의 프로그레싱 바에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14의 예시를 참조하여,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이 단일의 프로그레싱 바에 동시에 표시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는 제1 서브 영상과 제2 서브 영상이 단일의 프로그레싱 바를 통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4a에서는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동안 메인 영상과 함께 단일의 프로그레싱 바(1410),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1412) 및 제2 동영상의 제2 서브 영상(1414)이 동시에 표시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프로그레싱 바(1410)는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과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을 동시에 가리키는 것 일수 있다. 즉, 제1 동영상에 대해 프로그레싱 바(1410)는 제1 동영상 러닝 타임의 적어도 일부 가리키는 것으로, 제2 동영상에 대해 프로그레싱 바(1410)는 제2 동영상 러닝 타임의 저어도 일부를 가리킬 수 있다. 예컨대,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이 1시간이고,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이 30분인 경우, 프로그레싱 바(1410)는 1시간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것과 동시에 30분의 러닝 타임을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프로그레싱 바(1410)에는 제1 동영상의 제1 서브 영상(1412)과 제2 동영상의 제2 서브 영상(1414)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제1 서브 영상(1412) 및 제2 서브 영상(1414)은 도 1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그레싱 바(1410)의 상단 및 하단에 분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1 서브 영상(1412) 및 제2 서브 영상(1414)이 분리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서브 영상(1412)과 제2 서브 영상(1414)이 중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80)는 프로그레싱 바(1410)의 상단에는 제1 서브 영상(1412)이, 프로그레싱 바(1410)의 하단에는 제2 서브 영상(1414)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제2 서브 영상(1414)이 제1 서브 영상(1412)의 위쪽에 표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서브 영상(1412)과 제2 서브 영상(1414)이 중첩되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서브 영상(1412) 및 제2 서브 영상(1414)은 동일한 프로그레싱 바(14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서브 영상(1412)과 제2 서브 영상(1414)이 각각 제1 동영상 및 제2 동영상 일부의 재생 영상인 경우, 제1 서브 영상(1412) 및 제2 서브 영상(1414)의 재생 속도는 적절한 터치 제스처를 통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1 서브 영상(1412) 및 제2 서브 영상(1414)의 재생 속도가 동일한 경우 제1 서브 영상(1412)과 제2 서브 영상(1414)이 프로그레싱 바(1410)를 따라 이동하는 속도는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 및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동영상의 러닝 타임이 1시간 이고, 제2 동영상의 러닝 타임이 30분이고, 제1 서브 영상(1412)과 제2 서브 영상(1414)이 각각 15분 동안 재생된 경우, 제1 서브 영상(1412)이 이동한 거리는 프로그레싱 바(1410)의 1/4에 불과하지만, 제2 서브 영상(1414)이 프로그레싱 바(1410)를 따라 이동한 거리는 1/2일 수 있다. 즉, 도 14c의 예에서, d2의 길이는 2d1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제n 서브 영상에 적절한 터치 제스처가 행하여진 경우, 제어부(180)는 제n 서브 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변환되어 터치스크린(4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제1 서브 영상 또는 제2 서브 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5a에서, 제1 동영상의 A-1 시점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고, 제1 동영상의 A-2 시점이 제1 서브 영상(1510)으로 출력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1 서브 영상(1510)에 터치 제스처가 행하여지면(도 15a에서는 제1 서브 영상(1510)이 터치 되는 것으로 예시) 제어부(180)는 제1 동영상의 A-2 시점이 메인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터치스크린(400)을 제어할 수 있다(도 15b 참조). 제1 서브 영상(1510)이 메인 영상으로 변환되어 출력된 경우, 제어부(180)는 제1 서브 영상(1510)과 프로그레싱 바가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터치스크린(400)을 제어할 수도 있다(도 15b 참조).
제2 동영상의 B-1 시점을 출력하는 제2 서브 영상(1520)에 터치 제스처가 행하여진 경우(도 15a에서는 제2 서브 영상(1520)이 터치 되는 것으로 예시) 제어부(180)는 제2 동영상의 B-1 시점이 메인 영상으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n 서브 영상에 적절한 터치 제스처가 행하여진 경우, 제어부(180)는 제n 서브 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변환되어 터치스크린(40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n 서브 영상의 디스플레이 크기는 사용자의 적절한 터치 제스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제n 서브 영상은 제n 동영상의 일부를 재생함으로써, (제n) 프로그레싱 바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또는 제n 서브 영상은 적절한 터치 제스처(예컨대, 제n 서브 영상을 터치 드래그)를 통해 (제n) 프로그레싱 바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제n 서브 영상이 제n 동영상의 재생 화면인 경우, 제n 서브 영상의 재생 속도는 메인 영상의 재생 속도보다 빠르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제n 서브 영상의 재생 속도를 빠르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제n 동영상의 내용을 빠르게 습득할 수 있고, 원하는 부분을 빠르게 탐색할 수 있다.
제n 서브 영상이 터치 드래그되어 프로그레싱 바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제n 동영상 중 프로그레싱 바에 상기 제n 서브 영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이 제n 서브 영상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n 은 1부터 3까지의 자연수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3개 이상의 동영상 파일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복수의 동영상이 동시에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동영상의 메인 영상 재생 중에 표시되는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이 재생 화면인 경우에는 동시에 3개의 동영상 재생 화면이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5의 예시에서도, 특정 동영상이 메인 화면으로 재생되는 도중 다른 동영상이 미리보기 화면으로 간이 재생되는 경우,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2개의 동영상이 동시에 재생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가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s)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멀티코어 프로세서(processors)의 성능에 따라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출력되는 재생 영상의 수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프로세서만이 활성화 된 경우(Single core),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 메인 영상과 별도로 최대 1개의 서브 영상(또는 1개의 미리보기 영상)이 재생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서브 영상이 재생 영상인 경우, 제2 서브 영상은 정지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두개의 프로세서가 활성화 된 경우(Dual Core),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400) 상에 메인 영상과 별도로 최대 2개의 서브 영상(또는 2개의 미리보기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브 영상과 제2 서브 영상은 모두 재생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으나, 제3 서브 영상은 정지 화면으로 표시될 것이다. 활성화된 프로세서의 수가 더 많을수록,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출력되는 재생 영상의 수는 더욱 더 증가할 수 있다.
도 16은 제어부가 최대 4개의 프로세서(쿼드 코어 프로세서)로 구성된 경우, 프로세서의 활성화 갯수에 따라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재생 영상의 수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어부(180)가 4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된 경우, 사용자는 활성화될 프로세서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6a는 활성화될 프로세서의 개수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6a에서 'Single' 버튼(1602)은 하나의 프로세서만이 활성화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것이고, 'Dual' 버튼(1604)은 2개의 프로세서가 활성화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Quad' 버튼(1606)은 4개의 프로세서 모두가 활성화 상태가 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프로세서의 적어도 일부가 활성화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a에서 'Automatic' 버튼(1608)이 선택되면, 제어부(180)는 활성화될 프로세서의 개수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각 프로세서의 작업량, 전원공급부(190)의 잔류 전원 용량,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개수 등에 기반하여 활성화될 프로세서의 개수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각 프로세서의 작업량을 가리키는 점유율 인디케이터(1610)가 터치스크린(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a의 예시에서, 제어부(180)는 4개의 점유율 인디케이터(1610)를 통해 4개 프로세서 각각의 작업량이 나타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점유율 인디케이터(1610)를 통해, 각 프로세서의 작업량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프로세서의 활성화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a에서, 하나의 프로세서만이 활성화 되도록 선택된 경우,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출력되는 재생 영상은 도 1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1개일 수 있다(1612). 즉, 제어부(180)는 메인 영상(1612)외 별도의 미리보기 영상이 재생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b에서 두개의 프로세서가 활성화 되도록 선택된 경우,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출력되는 재생 영상은 도 1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대 2개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1번 동영상을 메인 영상으로 재생(1622)하고, 2번 동영상을 미리보기 화면으로 재생(1624)함으로써,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2개의 재생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6a에서 네개의 프로세서가 활성화 되도록 선택된 경우, 터치스크린을 통해 출력되는 재생 영상의 수는 더욱 늘어날 수 있다. 예컨대, 도 1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1번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재생(1632)되는 것과 함께, 2번 동영상 내지 4번 동영상이 미리보기 화면으로 재생(1634,1636,1638)됨으로써, 총 4개의 재생 영상이 터치 스크린을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의 예시는 메인 영상과 미리보기 화면에 국한되지 않으며, 제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도중 표시되는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예로, 하나의 프로세서만이 활성화된 상태이고, 제1 동영상의 메인 영상 및 제1 서브 영상이 재생 영상일 때, 제2 서브 영상은 재생 영상이 아닌 정지 영상으로 출력될 수 있다.
활성화된 프로세서의 수가 더 많을수록,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더 많은 재생 영상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400) 상에 표시되는 재생 영상의 수에 임계치를 두는 것은, 프로세서에 과도한 부담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메인 영상은 원할하게 재생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6b 내지 도 16d의 예에서, 사용자가 임계치를 초과하여 더 많은 수의 동영상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도 16c에서 3번 썸네일이 터치된 것으로 예시), 제어부(180)는 도 16e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재생 허용 개수가 초과되었다는 토스트 메시지(1640)가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16에서는 1개의 프로세서가 더 활성화 될 때마다, 재생될 수 있는 최대 동영상 개수 역시 1개 증가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지만, 이는 프로세서의 활성화 개수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에 한정 사항을 기술한 것은 아니다. 도 16의 예시와 달리, 제어부(180)는 동영상 파일의 해상도, 동영상 파일의 코덱 등을 기초로 재생 가능한 최대 동영상 개수가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프로세서 점유율과 관련된 지표로, 제어부(180)는 각 프로세서의 점유율이 사전 설정된 수준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재생 가능한 최대 동영상 개수가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나아가, 제어부(180)는 각 프로세서의 점유율이 기 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다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서브 영상이 재생 영상인 경우, 메인 영상 및 서브 영상의 재생 속도는 사전 설정된 고정 값을 가질 수도 있으나, 적절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도 17은 메인 영상 및 서브 영상의 재생 속도를 설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7a에 도시된 배속 재생 아이콘(1702)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메인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0)가 터치스크린(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0)에는 재생 속도 인디케이터(1722)가 표시되며, 재생 속도 인디케이터(1722)는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제1 동영상의 재생 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0)를 따라 재생 속도 인디케이터(1722)를 조절함으로써,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제1 동영상의 재생 속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0)가 터치스크린(40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배속 재생 아이콘(1720)을 재터치하면, 제어부(180)는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0)가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0)는 적절한 터치 입력을 통해 제1 서브 영상 또는 제2 서브 영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17b에서는 터치 드래그에 의해 이동 가능한 것으로 예시). 제어부(180)는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0)의 위치에 따라 메인 영상, 제1 서브 영상, 제2 서브 영상 중 어느 것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7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0)가 제1 서브 영상(1712) 위로 옮겨지면,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2)의 재생 속도 인디케이터(1722)는 제1 서브 영상의 재생 속도를 가리킬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서브 영상(1712)에 표시된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2)를 따라 재생 속도 인디케이터(1722)를 움직임으로써, 제1 서브 영상(1712)의 재생 속도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0)가 제2 서브 영상(1714) 위로 옮겨지면(도 17d 참조), 사용자는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0)와 재생 속도 인디케이터(1722)를 통해 제2 서브 영상(1714)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메인 영상, 제1 서브 영상(1712) 및 제2 서브 영상(1714)의 재생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이때 재생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오브젝트(도 17의 예에서는 재생 속도 컨트롤 바(1720)로 예시)의 위치에 따라 재생 속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재생 영상이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서브 영상이 재생 영상인 경우,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 중 어느 것에 오디오 출력 권한을 부여할 것인지 여부는 적절한 사용자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음향 오브젝트의 위치에 따라 메인 영상과 서브 영상 중 어느 재생 영상의 사운드를 출력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도 18은 메인 영상 및 서브 영상 중 어느 하나에 오디오 출력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제공되는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8a에 도시된 볼륨 아이콘(1802)을 터치하면, 제어부(180)는 메인 영상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를 조절할 수 있는 볼륨 조절 바(1820)가 터치스크린(40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볼륨 조절 바(1820)에는 볼륨 인디케이터(1822)가 표시되며, 볼륨 인디케이터(1822)는 메인 영상으로 출력되는 제1 동영상의 음향 출력 크기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볼륨 조절 바(1820) 상의 볼륨 인디케이터(1822)의 위치에 따라 메인 영상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 출력 크기가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볼륨 조절 바(1820)는 적절한 터치 입력을 통해 제1 서브 영상(1812) 또는 제2 서브 영상(1814)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볼륨 조절 바(1820)의 위치에 따라 메인 영상, 제1 서브 영상 및 제2 서브 영상의 재생 영상 중 어느 것에 오디오 출력 권한을 부여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에컨대, 도 18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볼륨 조절 바(1820)가 제1 서브 영상(1812)위로 옮겨지면, 제어부(180)는 메인 영상을 통한 음향 출력을 멈추고, 제1 서브 영상(1812)을 통해 출력되는 재생 영상의 음향이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볼륨 조절 바(1820)가 제2 서브 영상(1812)위로 옮겨진 경우에는(도 18d 참조) 제어부(180)는 제2 서브 영상(1814)을 통해 출력되는 재생 영상의 음향이 음향 출력 모듈(152)을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음향 오브젝트(도 18에서는 볼륨 조절 바(1820)로 예시)의 위치에 따라 복수의 재생 영상 중 어느 것에 음향 출력 권한을 부여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10 : 무선 통신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20)

  1. 재생 중인 제 1 동영상 및 상기 제 1 동영상의 재생 진행 상태를 안내하는 프로그레스 바를 출력하기 위한 메인 재생 창을 출력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메인 재생 창을 통해 상기 제 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서 재생되고 있는 동안, 상기 프로그레스 바 상의 어느 한 시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제 1 시점을 가리키는 부 재생 창이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부 재생 창을 통해 상기 제 1 동영상의 상기 제 1 시점부터 상기 제 1 동영상을 재생하는 서브 영상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레스 바의 상기 제 1 시점을 터치한 포인터가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레스 바의 제 2 시점으로 이동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부 재생 창의 위치를, 상기 제 1 시점을 가리키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시점을 가리키는 위치로 변경하면서, 상기 서브 영상도 상기 제 1 동영상의 상기 제 2 시점부터 상기 제 1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 재생 창을 통해 재생 되는 상기 서브 영상이 상기 제 1 동영상의 종료 시점까지 재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영상이 상기 제 1 동영상과 다른 제 2 동영상의 재생 영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동영상은 상기 제 1 동영상의 이전 또는 다음 재생 순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영상이 상기 제 2 동영상의 재생 영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프로그레스 바는 상기 제 1 동영상을 위해 할당되는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동영상을 위해 할당되는 제 2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영상이 상기 제 1 동영상의 재생 영상일 경우, 상기 부 재생 창은 상기 프로그레스 바의 제 1 영역을 가리키고, 상기 서브 영상이 상기 제 2 동영상의 재생 영상일 경우, 상기 부 재생 창은 상기 프로그레스 바의 제 2 영역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레스 바의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의 길이 비는 상기 제 1 동영상 및 상기 제 2 동영상의 러닝타임 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영상이 상기 제 2 동영상의 재생 영상으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제 2 동영상의 재생 진행 상태를 안내하는 제 2 프로그레스 바가 추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동영상과 다른 제 2 동영상과 관련된 제 2 서브 영상이 추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영상은, 상기 제 1 동영상 및 상기 서브 영상과 동시에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 재생 창은 어느 한 쪽이 돌출된 형태를 띄고, 상기 부 재생 창의 돌출된 부분은 상기 프로그레스 바 위 상기 서브 영상의 재생 시점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된 부분이 가리키는 시점이 터치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재생 창을 통해 재생되는 상기 메인 영상의 재생 시점이 상기 터치된 시점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재생 창을 통해 재생되는 상기 메인 영상 및 상기 부 재생 창을 통해 재생되는 상기 서브 영상 각각의 재생 속도는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제 1 동영상 및 상기 제 1 동영상의 재생 진행 상태를 포함하는 화면을 출력하고,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제 1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프로그레스 바 상의 어느 한 시점이 선택되면, 선택된 제 1 시점을 가리키는 부 재생 창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동영상의 상기 제 1 시점과 관련된 관련 동영상이 상기 부 재생 창을 통해 추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6. 재생 중인 제 1 동영상 및 상기 제 1 동영상의 재생 진행 상태를 안내하는 프로그레스 바를 출력하기 위한 메인 재생 창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메인 재생 창을 통해 상기 제 1 동영상이 메인 영상으로서 재생되고 있는 동안, 상기 프로그레스 바 상의 어느 한 시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된 제 1 시점을 가리키는 부 재생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부 재생 창을 통해 상기 제 1 동영상의 상기 제 1 시점부터 상기 제 1 동영상을 재생하는 서브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그레스 바의 상기 제 1 시점을 터치한 포인터가 상기 제 1 시점으로부터 상기 프로그레스 바의 제 2 시점으로 이동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터치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부 재생 창의 위치가 상기 제 1 시점을 가리키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시점을 가리키는 위치로 변경되면서, 상기 서브 영상도 상기 제 1 동영상의 제 2 시점부터 상기 제 1 동영상을 재생하는 것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부 재생 창은 어느 한 쪽이 돌출된 형태를 띄고, 상기 부 재생 창의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프로그레스 바 위 상기 서브 영상의 재생 시점을 가리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재생 창을 통해 재생되는 상기 메인 영상 및 상기 부 재생 창을 통해 재생되는 상기 서브 영상 각각의 재생 속도는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0120018982A 2012-02-24 2012-02-24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527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982A KR101527038B1 (ko) 2012-02-24 2012-02-24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DE202013012389.3U DE202013012389U1 (de) 2012-02-24 2013-01-30 Mobiles Endgerät
EP13000452.6A EP2631773B1 (en) 2012-02-24 2013-01-30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6001182.1A EP3093749B1 (en) 2012-02-24 2013-01-30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3/763,871 US9442629B2 (en) 2012-02-24 2013-02-11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510247124.4A CN104932816B (zh) 2012-02-24 2013-02-25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2013100587463A CN103294763A (zh) 2012-02-24 2013-02-25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14/694,726 US9916865B2 (en) 2012-02-24 2015-04-23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5/096,932 US9858968B2 (en) 2012-02-24 2016-04-12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982A KR101527038B1 (ko) 2012-02-24 2012-02-24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906A Division KR101531529B1 (ko) 2015-03-17 2015-03-17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72A KR20130097372A (ko) 2013-09-03
KR101527038B1 true KR101527038B1 (ko) 2015-06-08

Family

ID=4768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982A KR101527038B1 (ko) 2012-02-24 2012-02-24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442629B2 (ko)
EP (2) EP2631773B1 (ko)
KR (1) KR101527038B1 (ko)
CN (2) CN104932816B (ko)
DE (1) DE202013012389U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2886A (ko) * 2012-11-15 2014-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US9237367B2 (en) 2013-01-28 2016-01-12 Rhythmone, Llc Interactive video advertisement in a mobile browser
JP1527512S (ko) * 2013-02-22 2015-06-29
AU349937S (en) * 2013-02-23 2013-07-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118091B1 (ko) * 2013-03-06 2020-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브젝트에 대한 사전 실행 기능을 가지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방법
TWD172232S (zh) * 2013-03-13 2015-12-01 三星電子股份有限公司 行動通訊裝置之圖形化使用者介面
KR102161230B1 (ko) * 2013-05-28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장치
USD746852S1 (en) * 2013-11-15 2016-01-05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ortion of a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49601S1 (en) * 2013-11-21 2016-02-1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522468B1 (ko) 2013-12-05 2015-05-28 네이버 주식회사 동영상 간 전환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3795949A (zh) * 2014-01-14 2014-05-1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调节设备端音量的控制端、设备端及***
US10028008B2 (en) 2014-02-04 2018-07-17 Google Llc Persistent media player
KR20150142348A (ko) * 2014-06-11 2015-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19760A (ko) * 2014-08-12 201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D789402S1 (en) 2014-09-01 2017-06-1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6357S1 (en) 2014-09-02 2016-05-1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A161248S (en) 2014-09-02 2016-04-18 Apple In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81891S1 (en) * 2014-12-17 2017-03-21 Go Daddy Operating Company, LLC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DE112016000495T5 (de) * 2015-01-27 2017-11-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enutzerschnittstelle und verfahren zum anzeigen einer benutzerschnittstelle
CN105840669B (zh) 2015-01-29 2020-03-27 斯凯孚公司 用于将环形部件安装在轴上的***
CN104703036B (zh) * 2015-02-13 2018-12-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同步媒体文件播放进度的方法、装置及***
US10440076B2 (en) 2015-03-10 2019-10-08 Mobitv, Inc. Media seek mechanisms
KR102334618B1 (ko) * 2015-06-03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5045484B (zh) * 2015-07-06 2018-04-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操作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390809B1 (ko) * 2015-08-12 202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D786907S1 (en) 2015-09-08 2017-05-16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880730B2 (en) * 2015-10-16 2018-01-30 Google Llc Touchscreen user interface for presenting media
CN105430508B (zh) * 2015-11-27 2019-01-25 华为技术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及装置
JP2017131499A (ja) * 2016-01-29 2017-08-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CN105812941A (zh) * 2016-03-31 2016-07-27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5812889A (zh) * 2016-03-31 2016-07-27 北京奇艺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播放进度条的显示方法及***
US11386457B2 (en) * 2016-04-14 2022-07-12 Pinterest, Inc. Informed opt-in previews for video advertisements
CN105872713B (zh) * 2016-04-22 2020-04-24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附加媒体信息的展示方法及装置
KR102440848B1 (ko) * 2016-05-20 2022-09-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FR3052008A1 (fr) * 2016-05-27 2017-12-01 Orange Navigation dans une pluralite de contenus video
USD801365S1 (en) 2016-06-11 2017-10-31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DK179594B1 (en) 2016-06-12 2019-02-25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US20210297746A1 (en) * 2016-10-06 2021-09-23 Sony Corporation Reproduction device, reproducing method, and program
KR102609363B1 (ko) * 2016-10-18 2023-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멀티미디어 콘텐트 재생 방법
JP6975416B2 (ja) * 2016-10-25 2021-12-01 アウル カメラ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Owl Cameras, Inc. ビデオベースのデータ収集、画像のキャプチャおよび解析構成
CN106935254B (zh) * 2017-02-16 2019-10-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媒体播放器进度条的显示控制方法、***以及媒体播放器
USD824948S1 (en) * 2017-03-10 2018-08-07 Tagflix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deo player
USD824947S1 (en) * 2017-03-10 2018-08-07 Taglix Inc. Display screen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video player
CN108965976B (zh) * 2017-05-27 2022-02-11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视频窗口的显示控制方法及装置
USD826243S1 (en) 2017-06-04 2018-08-21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90087060A1 (en) * 2017-09-19 2019-03-21 Sling Media Inc. Dynamic adjustment of media thumbnail image size based on touchscreen pressure
KR102101070B1 (ko) * 2017-12-19 2020-04-16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시점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9109813A (ja) * 2017-12-20 2019-07-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4845122B (zh) 2018-05-07 2024-04-30 苹果公司 用于查看实况视频馈送和录制视频的用户界面
JP7139681B2 (ja) * 2018-05-14 2022-09-21 富士通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制御装置および制御サーバ
USD880495S1 (en) 2018-06-03 2020-04-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8924623A (zh) * 2018-07-27 2018-11-30 北京优酷科技有限公司 视频窗口的展示控制方法及装置
USD901525S1 (en) 2018-09-11 2020-11-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9286847A (zh) * 2018-09-29 2019-01-29 传线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视频的播放进度展示方法及装置
CN109151554A (zh) * 2018-09-29 2019-01-04 传线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视频的播放进度展示方法及装置
CN109121010A (zh) * 2018-09-29 2019-01-01 传线网络科技(上海)有限公司 视频的播放进度展示方法及装置
CN109669590A (zh) * 2018-10-26 2019-04-2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进度显示的方法、智能终端、存储装置
CN109828706B (zh) * 2019-01-31 2021-02-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显示方法及终端
USD930695S1 (en) 2019-04-22 2021-09-14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2697S1 (en) 2019-04-22 2021-03-09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2693S1 (en) 2019-04-22 2021-03-09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3313S1 (en) 2019-04-22 2021-03-16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4049S1 (en) 2019-04-22 2021-03-23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4058S1 (en) 2019-04-22 2021-03-23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3314S1 (en) 2019-04-22 2021-03-16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4051S1 (en) 2019-04-22 2021-03-23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817142B1 (en) 2019-05-20 2020-10-27 Facebook, Inc. Macro-navigation within a digital story framework
US11388132B1 (en) 2019-05-29 2022-07-12 Meta Platforms, Inc. Automated social media replies
US10757054B1 (en) 2019-05-29 2020-08-25 Faceboo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privacy controls
USD907053S1 (en) 2019-05-31 2021-01-05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904029B2 (en) 2019-05-31 2021-01-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US11363071B2 (en) 2019-05-31 2022-06-1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 local network
USD924255S1 (en) 2019-06-05 2021-07-06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4739S1 (en) * 2019-06-05 2021-03-30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4705S1 (en) 2019-06-05 2021-03-30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2700S1 (en) 2019-06-05 2021-03-09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8264S1 (en) 2019-06-06 2021-05-04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7533S1 (en) 2019-06-06 2021-04-27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6915S1 (en) 2019-06-06 2021-04-20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14757S1 (en) 2019-06-06 2021-03-30 Facebook, Inc. Display screen with an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21010511A1 (ko) * 2019-07-16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997409B2 (en) 2019-10-30 2024-05-28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0784674B (zh) * 2019-10-30 2022-03-15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处理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327940B (zh) * 2020-03-23 2022-02-11 广州虎牙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方法、装置及***
CN111432254B (zh) * 2020-03-24 2022-02-08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视频信息显示方法及装置
US11513667B2 (en) 2020-05-11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USD1002641S1 (en) * 2020-05-15 2023-10-24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1589010B2 (en) 2020-06-03 2023-02-21 Apple Inc. Camera and visitor user interfaces
US11657614B2 (en) 2020-06-03 2023-05-23 Apple Inc. Camera and visitor user interfaces
CN111651116B (zh) * 2020-06-04 2022-06-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分屏交互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2051112A1 (en) 2020-09-05 2022-03-10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audio for media items
CN113727170A (zh) * 2021-08-27 2021-11-30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视频交互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D1024105S1 (en) 2022-06-05 2024-04-23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5119064B (zh) * 2022-06-23 2024-02-23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425057A (zh) 2022-07-07 2024-01-19 抖音视界(北京)有限公司 用于影像拍摄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20240107118A1 (en) * 2022-09-24 2024-03-2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layback of live content i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916A (ko) * 2003-04-03 200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녹화 및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80078174A (ko) * 2007-02-22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화물 재생방법 및 장치
KR20100091990A (ko) * 2007-12-10 2010-08-19 소니 주식회사 전자기기, 재생방법 및 프로그램
US20110170749A1 (en) * 2006-09-29 2011-07-14 Pittsburgh Pattern Recognition, Inc. Video retrieval system for human face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4846B1 (en) * 1998-12-11 2002-05-07 Hitachi America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ndering multiple images using a limited rendering resource
US7194701B2 (en) * 2002-11-19 2007-03-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ideo thumbnail
ES2638343T3 (es) * 2005-03-02 2017-10-19 Rovi Guides, Inc. Listas de reproducción y marcadores en un sistema interactivo de aplicación de guía de medios
US20070016611A1 (en) * 2005-07-13 2007-01-18 Ulead Systems, Inc. Preview method for seeking media content
KR100731378B1 (ko) * 2005-07-18 2007-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화정보 제공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US7593064B2 (en) * 2005-07-26 2009-09-22 Siemens Medical Solutions Health Services Corporation System for adaptive display of video image segments
US20080065722A1 (en) * 2006-09-11 2008-03-13 Apple Computer, Inc. Media device playlists
US20080062137A1 (en) * 2006-09-11 2008-03-13 Apple Computer, Inc. Touch actuation controller for multi-state media presentation
US7956847B2 (en) 2007-01-05 2011-06-07 Apple Inc. Gestures for controlling, manipulating, and editing of media files using touch sensitive devices
US20090228919A1 (en) * 2007-11-16 2009-09-10 Zott Joseph A Media playlist management and viewing remote control
JP2008250654A (ja) * 2007-03-30 2008-10-16 Alpine Electronics Inc ビデオプレイヤ及びビデオ再生制御方法
US7917591B2 (en) * 2007-07-25 2011-03-29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streaming videos inline with an e-mail
US8472779B2 (en) * 2008-06-17 2013-06-25 Microsoft Corporation Concurrently displaying multiple trick streams for video
KR101537592B1 (ko) * 2008-09-03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239359B2 (en) * 2008-09-23 2012-08-07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search in a video media player
KR101531911B1 (ko) * 2008-09-30 201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방송 수신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US8849101B2 (en) * 2009-03-26 2014-09-30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previews of seek locations in media content
US20100303440A1 (en) * 2009-05-27 2010-12-02 Hulu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playing a media program and an arbitrarily chosen seek preview frame
US20110161818A1 (en) * 2009-12-29 2011-06-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hapter utilization in video player ui
KR101626621B1 (ko) * 2009-12-30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8736561B2 (en) * 2010-01-06 2014-05-2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content display modes and display rotation heuristics
US8890818B2 (en) * 2010-09-22 2014-11-18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ximity based input
US9363579B2 (en) * 2010-12-22 2016-06-07 Google Inc. Video player with assisted seek
US8732579B2 (en) * 2011-09-23 2014-05-20 Klip, Inc. Rapid preview of remote video cont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6916A (ko) * 2003-04-03 2004-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녹화 및 재생 장치 및 방법
US20110170749A1 (en) * 2006-09-29 2011-07-14 Pittsburgh Pattern Recognition, Inc. Video retrieval system for human face content
KR20080078174A (ko) * 2007-02-22 2008-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화물 재생방법 및 장치
KR20100091990A (ko) * 2007-12-10 2010-08-19 소니 주식회사 전자기기, 재생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58968B2 (en) 2018-01-02
CN104932816B (zh) 2019-06-28
DE202013012389U1 (de) 2016-09-05
US20130227414A1 (en) 2013-08-29
US9442629B2 (en) 2016-09-13
US20150268804A1 (en) 2015-09-24
KR20130097372A (ko) 2013-09-03
EP3093749A1 (en) 2016-11-16
EP2631773A2 (en) 2013-08-28
EP2631773A3 (en) 2015-06-17
CN103294763A (zh) 2013-09-11
CN104932816A (zh) 2015-09-23
US9916865B2 (en) 2018-03-13
US20160275991A1 (en) 2016-09-22
EP3093749B1 (en) 2018-10-10
EP2631773B1 (en) 201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703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85163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 변환 방법
KR10191978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4061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7821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9003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8831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및 이의 기록 매체
KR10152192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음악재생 제어방법
KR10191979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9816B1 (ko) 단말 장치 및 이의 필기 공유 방법
KR2014010418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822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0742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807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64424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850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078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재생 방법
KR10188337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3152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201912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8027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tv 제어 방법
KR10196935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9981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53379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4853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