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416B1 -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재 - Google Patents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416B1
KR101505416B1 KR1020117029225A KR20117029225A KR101505416B1 KR 101505416 B1 KR101505416 B1 KR 101505416B1 KR 1020117029225 A KR1020117029225 A KR 1020117029225A KR 20117029225 A KR20117029225 A KR 20117029225A KR 101505416 B1 KR101505416 B1 KR 101505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nterface
layer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3065A (ko
Inventor
가호루 니이미
마코토 이네나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3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3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ease fe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09J2301/124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the opposite adhesive layers being differ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재박리성과, 박리나 발포의 발생 등의 점착면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양립할 수 있는 점착재를 제공하기 위해, 2개의 피착체를 첩착시키기 위한 점착재로서, 점착재와 피착제의 첩착면과는 상이한 면에서 박리 가능해지는 계면(「내부 박리 계면」)을 내부에 구비한 점착재를 제안한다. 점착재의 내부에 내부 박리 계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내부 박리 계면과는 관계없이, 피착체와의 점착면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재 {Adhesive material having redetachability}
본 발명은, 2개의 부재(피착체)를 첩착(貼着)시킬 수 있고, 또한 첩착 후에 박리할 수 있는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재, 및 이러한 점착재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 PHS기, PDA 단말, 포터블·게임기, 퍼스널 컴퓨터, 자동차용 내비게이터,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되고 있는 평면형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유닛 표면의 보호나 터치 패널 기능을 부여하는 등의 목적으로, 화상 표시 유닛의 광출사측에 광투과성의 보호 부재가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 광투과성 보호 부재와 화상 표시 유닛 사이에 간극, 즉 공기층이 존재하면, 화상 표시 유닛으로부터의 출사광이 공기층과의 계면에서 계면 반사를 일으켜 사용자에게 전해질 때까지의 출사광의 로스가 커질뿐 아니라, 외광(外光)도 공기층 계면에서 계면 반사를 일으키기 때문에, 광투과성 부재의 광선 투과율이 저하되어, 화상 표시 화상의 시인성(視認性)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광투과성 부재를 배치하기만 한 구성에서는, 화상 표시 장치에 낙하 등 충격이 가해진 경우, 파손된 광투과성 부재가 비산될 우려도 있었다.
그래서, 공기층과의 계면 반사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광투과성 보호 부재와 화상 표시 유닛과의 공극을 점착 시트로 메워서 시인성을 확보하고, 또한 파손시의 비산을 방지하는 수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투과성 보호 부재와 화상 표시 유닛을 점착 시트를 개재하여 일체화하는 경우에 우선 과제가 되는 것은, 점착면의 신뢰성 문제이다. 즉, 피착체와 점착 시트의 첩착 계면에 결함이 있으면, 그 계면에 있어서 발포나 박리를 일으키게 된다는 문제이다. 이 현상은, 고온(다습) 조건하나 급격한 온도 변화에 있어서, 점착 시트중 또는 피착체와의 첩착 계면에 존재하는 첩합 왜곡이나 결함을 핵으로 하여 내재하는 공기가 응집되고, 환경 변화에 따라 응집력이나 점착력이 변화된 점착 시트가, 응집된 공기의 가스압을 견딜 수 없어, 발포나 박리를 야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 시트로 첩합하여 일체화하는 경우, 첩합 작업시에 기포나 이물 등이 들어가는 등의 작업 미스가 생기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미스를 수정하기 위해서 재박리할 필요가 생기거나,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를 파기할 때에 일부의 부재를 재이용하기 위해서 재박리할 필요가 생기거나 하는 등, 이러한 종류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점착재에는 재박리성(리워크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종래, 재박리성(리워크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있어서, 투명 터치 패널의 고정 전극 부재 하면(下面)과 액정 디스플레이 상면(上面)이 투명 재박리 시트를 전면적으로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 일체형 투명 터치 패널이 개시되어 있고, 상기 투명 재박리 시트로서, 투명한 고분자 점착제를 겔 시트상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투명 기재의 한쪽 면에 터치 패널측 투명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다른 쪽 면에 표시 장치측 투명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또한 터치 패널과 함께 표시 장치의 표시면으로부터 재박리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패널측 투명 점착제층의 180°필 점착력을, 표시 장치측 투명 점착제층의 그것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터치 패널과 함께 표시 장치의 표시면으로부터 재박리 가능해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터치 패널과 표시 장치의 표시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면에 대해 재박리 가능해지도록 구성되고,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점착 시트로서, 표시 장치측 점착제층의 표시 장치의 표시면에 대한 점착력을, 터치 패널측 점착제층의 터치 패널의 첩착면에 대한 점착력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발휘되는 재박리 가능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260395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38915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231723호
재박리성(리워크성)을 구비한 종래의 점착재(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의 대부분은, 2개의 부재 사이, 예를 들면 터치 패널과 표시 장치 사이를 첩합하는 경우에, 터치 패널과 점착재의 첩착면, 또는, 표시 장치와 점착재의 첩착면을 재박리 가능하게 하는 구성인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점착재는, 재박리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피착체와의 점착면의 박리력을 저하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박리나 발포 등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즉, 재박리성과, 박리나 발포의 발생 등에 관한 신뢰성은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어, 양자를 양립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이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과제는, 2개의 부재(피착체)를 첩착시킬 수 있는 점착재에 있어서, 재박리성과, 박리나 발포 발생 등의 점착면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양립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점착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2개의 피착체를 첩착시키기 위한 점착재로서, 점착재와 피착체의 첩착면과는 상이한 면에서 박리 가능해지는 계면(「내부 박리 계면」이라고 칭한다)을 내부에 구비한 점착재, 바꿔 말하면, 점착제층들 사이에 개재된 내부에 내부 박리 계면을 갖는 구성의 점착재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재는, 점착재와 피착체의 첩착면이 아니라, 점착재의 내부에 박리 가능한 계면(내부 박리 계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내부 박리 계면과는 관계없이, 피착체와의 점착면에 있어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등, 피착체와의 점착면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박리나 발포의 계기가 되는 결함을 적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재박리성과, 점착면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점착재(101))의 일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점착재(102))의 일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점착재(102))의 다른 예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점착재(103))의 일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점착재(105))의 일례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비교예의 점착재를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준비 부재로서 미리 제작한 점착 시트(1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동일하게 준비 부재로서 미리 제작한 점착 시트(2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동일하게 준비 부재로서 미리 제작한 점착 시트(3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동일하게 준비 부재로서 미리 제작한 점착 시트(4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동일하게 준비 부재로서 미리 제작한 기재 시트(5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동일하게 준비 부재로서 미리 제작한 기재 시트(6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점착재(11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점착재(12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점착재(13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점착재(14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비교예 1로서의 점착재(21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비교예 2로서의 점착재(22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비교예 3으로서의 점착재(23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비교예 4로서의 점착재(24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비교예 5로서의 점착재(25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비교예 6으로서 형성한 적층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점착재(150)의 구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예에 관해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따르는 점착재(101)(「본 점착재(101)라고 칭한다」)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2층의 점착제층 (101a), (101b)를 구비하고, 이들 점착제층 (101a), (101b) 사이를, 피점착체와의 점착면과는 상이한 면에서 박리 가능한 계면(:내부 박리 계면(101g))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점착재이다.
본 점착재(101)에 있어서는, 점착제층 (101a), (101b) 사이의 층간 박리 강도를, 피착체(X)와 점착제층(101a)의 첩착면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 및 피착체(Y)와 점착제층(101b)의 첩착면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점착제층 (101a), (101b) 사이를 내부 박리 계면(101g)으로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점착제층 (101a), (101b) 중 어느 한쪽 표면에 또는 양쪽 표면에 공지의 이형제를 도포하거나, 한쪽의 점착제층 중에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나 플루오로알킬 변성 아크릴레이트 등의 저표면장력 성분을 첨가하는 등 하여 표면 장력을 저하시켜 점착제층 (101a), (101b)의 표면 장력에 차이를 내거나 하여, 점착제층 (101a), (101b) 사이의 계면을 내부 박리 계면(101g)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 (101a), (101b) 중 적어도 한쪽을,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9905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표리이점착성(表裏異粘着性)을 구비한 투명 점착 시트로부터 형성하고, 점착제층 (101a), (101b) 사이의 박리력을 조정하여 이 계면을 내부 박리 계면(101g)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99053호에 개시되어 있는 표리이점착성을 구비한 투명 점착 시트는, 이의 단락 [0008]-[0039]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중합체와 수소인발형(水素引拔型)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점착 시트를 형성하는 경우, 점착력을 보다 낮게 하고 싶은 면에는, 다른 쪽 면보다도, 200 내지 280nm역(域)(특히 254nm)의 자외선의 조사량을 많게 함으로써, 다른 쪽 면에 비해 가교를 촉진시켜 단단하게 하여 점착력을 보다 저하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중합체와 상기 수소인발형 광개시제를 함유하는 수지를 시트상으로 성형하고, 당해 시트의 표리 각 면에 대한 254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의 조사량에 차이를 내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의 일측(一側)의 시트 표면에 대해 254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과 365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한편, 타측의 시트 표면에 대해서는, 365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조사하지만, 254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도록 하면 좋다.
본 점착재(101)는, 2층의 점착제층 (101a), (101b) 사이를 내부 박리 계면(101g)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이것 이외의 층을 적층하는 것, 예를 들면 점착제층 (101a), (101b)의 외측에 다른 층을 적층하는 것도 임의적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형 필름을 적층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는 점착재(102)(「본 점착재(102)라고 칭한다」)는, 적어도 2층의 점착제층 (102a), (102b)와, 이들 점착제층과는 상이한 층(102d)을 적어도 1층 이상 구비하고, 이러한 층(102d)과 점착제층 (102a), (102b)의 계면 중 하나의 계면을 내부 박리 계면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점착재이다.
예를 들면, 적어도 2층의 점착제층 (102a), (102b)와, 적어도 1층의 기재층(102d)을 구비하고, 당해 기재층(102d)과 적어도 1층의 점착제층(102a) 사이에, 피점착체와의 점착면과는 상이한 면에서 박리 가능한 계면(: 내부 박리 계면(102g))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점착제층 (102a), (102b) 사이에 기재층(102d)을 개재시키고, 당해 기재층(102d)과 점착제층(102a) 사이에 내부 박리 계면(102g)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점착재(102)에 있어서는, 기재층(102d)과 점착제층(102a)의 박리 강도를, 피착체(X)와 점착제층(102a)의 박리 강도, 피착체(Y)와 점착제층(102b)의 박리 강도, 기재층(102d)과 점착제층(102b)의 박리 강도 중 어느 것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기재층(102d)과 점착제층(102a) 사이에 내부 박리 계면(102g)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재층(102d)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투명한 중합체 시트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투명한 중합체 시트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외에, 아크릴계, 염화비닐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스티렌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각종 폴리올레핀계 재료 외에, TAC 필름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기재층(102d)의 두께는, 가공성이나 비용의 관점에서, 15 내지 2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00㎛이다.
본 점착재(102)에 있어서, 기재층(102d)과 점착제층(102a) 사이에 내부 박리 계면(102g)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점착제층(102a)과의 계면이 되는 기재층(102d)의 표면에 박리층을 형성하면 좋다.
이러한 박리층은,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파라핀 왁스,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요소-멜라민계, 셀룰로스, 벤조구아나민 등의 수지 및 계면활성제 단독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유기 용제 또는 물에 용해시킨 도료를,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등의 통상의 인쇄법으로, 도포, 건조(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전자선 경화성 수지, 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 경화성 도막에는 경화)시켜 형성하면 좋다. 특히 실리콘이나 불소 화합물, 알키드 수지계 박리 처리제 등에 의한 박리 처리를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박리층의 박리 강도는, 예를 들면 박리층을 구성하는 수지, 예를 들면 실리콘 화합물의 골격 및 첨가량, 가교도 등을 조정하거나, 또는 첨가제 또는 수지 조성 등에 의해 첩착하는 양측을 구성하는 수지간의 극성차나 유동 특성을 제어하거나 하여 조정할 수 있다.
박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0.1 내지 2㎛ 정도로 형성하면 좋다. 0.1㎛ 미만인 경우, 박리하기 어려워지고, 반대로 2㎛를 초과하면 지나치게 박리하기 쉬워져 전사 전에 탈리가 일어나거나, 비용이 높아지거나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점착재(102)에 있어서, 기재층(102d)과 점착제층(102a) 사이에 내부 박리 계면(102g)을 형성하는 수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제층(102a)과의 계면이 되는 기재층(102d)의 표면에 박리층을 형성하는 수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기재층(102d)을 구성하는 재료와 접착력이 비교적 낮은 점착제를 선택하여 점착제층(102a)을 형성하면 좋다. 어떤 재료에 대해 어떤 점착제이면 접착력을 억제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는, 당업자라면 기술 상식이다.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 극성이 낮은 수지 필름 등은, 아크릴계 점착제와의 접착력을 비교적 약하게 제어하기 쉬운 경향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내부 박리 계면(102g)과는 반대측인 기재층(102d)의 면은, 특별히 처리하지 않아도 좋지만, 예를 들면 점착제층(102b)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블라스트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프레임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 각종 물리적, 화학적인 처리를 가해도 좋다.
본 점착재(102)의 제조 방법의 구체예를 들자면, 한쪽 면을 박리 처리하여 이형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박리처리면 및 미처리면에,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 용액을 유연도포(流延塗布)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면 좋다.
본 점착재(102)는, 2층의 점착제층과 1층의 기재층을 구비하고, 기재층과 점착제층 사이가 내부 박리 계면인 구성을 구비한 점착재이면, 다른 층을 구비하는 것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층의 점착제층 (102a), (102b), (102c)와 2층의 기재층 (102d), (102e)를 구비하고, 2층의 점착제층 (102a), (102b) 사이에 2층의 기재층 (102d), (102e)가 개재하고, 또한 2층의 기재층 (102d), (102e) 사이에 1층의 점착제(102c)가 개재하고, 이러한 점착제층(102c)과 한쪽 기재층[102d(102e)]의 계면이 내부 박리 계면(102g)인 구성의 것이라도 좋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형 필름을 적층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본 점착재(102)에 있어서, 기재층(102d) 대신에 이형제층(102h)을 형성하고, 당해 이형제층(102h)과 적어도 1층의 점착제층(102a) 사이를, 피점착체와의 점착면과는 상이한 면에서 박리 가능한 계면(: 내부 박리 계면(102g))이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이형제층(102h)은,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아미노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파라핀 왁스,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요소-멜라민계, 셀룰로스, 벤조구아나민 등의 수지 및 계면활성제 단독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한, 유기 용제 또는 물에 용해시킨 도료를, 그라비아 인쇄법, 스크린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등의 통상의 인쇄법으로, 도포, 건조(열경화성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전자선 경화성 수지, 방사선 경화성 수지 등 경화성 도막에는 경화)시켜서 형성하면 좋다. 특히 실리콘이나 불소 화합물, 알키드 수지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제층(102h)의 박리 강도는, 예를 들면 이형제층(102h)을 구성하는 수지, 예를 들면 실리콘 화합물의 골격 및 첨가량, 가교도 등을 조정하거나, 또는 첨가제 또는 수지 조성 등에 의해 첩착하는 양측을 구성하는 수지간의 극성차나 유동 특성을 제어하거나 하여 조정할 수 있다.
이형제층(102h)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0.1 내지 500㎛ 정도로 형성하면 좋다. 0.1㎛ 이상이면, 박리하기 쉽고, 또한 반대로 500㎛ 이하이면, 전사 전의 탈리를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비용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 따르는 점착재(103)(「본 점착재(103)」라고 칭한다)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2층의 점착제층 (103a), (103b)와 적어도 2층의 기재층 (103c), (103d)를 구비하고, 당해 기재층(103c)와 당해 기재층(103d) 사이에, 피점착체와의 점착면과는 상이한 면에서 박리 가능한 계면(: 내부 박리 계면(103g))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점착재이다.
본 점착재(103)에 있어서, 기재층(103c)와 기재층(103d) 사이에 내부 박리 계면(103g)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재층(103c)와 기재층(103d)의 박리 강도를, 피착체(X)와 점착제층(103a)의 박리 강도, 피착체(Y)와 점착제층(103b)의 박리 강도, 기재층(103c)와 점착제층(103a)의 박리 강도, 및 기재층(103d)와 점착제층(103b)의 박리 강도 중 어느 것보다도 작게 하면 좋다.
이와 같이 기재층(103c)와 기재층(103d) 사이에 내부 박리 계면(103g)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SP값(상용성(相溶性) 파라미터) 차이가 비교적 큰 수지를 공압출하거나, 한쪽 수지에 적절히 첨가제를 배합하여 공압출하거나, 한쪽 기재층을 구성하는 액상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를 조절하고, 이 액상 수지 조성물을 다른 쪽의 기재층의 표면에 도포하여 경화시키거나 하여, 양자의 박리 강도를 조절하면 좋다.
본 점착재(103)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들자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과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공압출하여 2종 2층(2種 2層)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형성하고, 이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면 좋다.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필름 기재에, 액상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 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시켜 2종 2층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형성하고, 이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면 좋다.
또한, 본 점착재(103)는 2층의 점착제층 (103a), (103b)와 2층의 기재층 (103c), (103d)를 구비하고, 기재층(103c)와 기재층(103d)의 계면을 내부 박리 계면(103g)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고, 다른 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형 필름을 적층해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는 점착재(104)(「본 점착재(104)」라고 칭한다)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상기 본 점착재(101) 내지 본 점착재(103) 중 어느 하나의 점착재의 한쪽 면에 이형 필름(104a)을 적층하고, 다른 쪽의 면에 임의의 기재(104c)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이형 필름 부착 점착재(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점착 시트 적층체」라고 칭한다」)이다.
본 점착재(4)에 있어서는, 내부 박리 계면[(101g), (102g), (103g)]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를, 이형 필름(104a)과의 계면(「이형 계면」이라고도 칭한다)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보다도 크고, 또한, 이형 필름(104a)을 박리한 면과 피착체의 박리 강도보다도 작게 하면 좋다.
(제5 실시 형태)
제5 실시 형태에 따르는 점착재(105)(「본 점착재(105)」라고 칭한다)는,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점착재(101) 내지 본 점착재(103) 중 어느 하나의 양측면에 이형 필름 (105a), (105b)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점착 시트 적층체(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점착 시트 적층체」라고 칭한다」)이다.
본 점착재(105)에 있어서는, 내부 박리 계면[(101g), (102g), (103g)]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를, 이형 필름 (105a), (105b)와의 계면(「이형 계면」이라고도 칭한다)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보다도 크고, 또한, 이형 필름 (105a), (105b)를 박리한 면과 피착체의 박리 강도보다도 작게 하면 좋다.
또한, 이형 필름을 적합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한쪽의 이형 필름(105a)와 점착재[본 점착재 (101), (102), (103)]와의 계면(「이형 계면」이라고도 칭한다)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와, 다른 쪽의 이형 필름(105b)와 점착재[본 점착재 (101), (102), (103)]의 이형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를 상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한쪽의 이형 필름(105a)와 점착재[본 점착재 (101), (102), (103)]의 이형 계면에 있어서의 90°박리 강도 (A)와, 다른 쪽의 한쪽의 이형 필름(105b)와 점착재[본 점착재 (101), (102), (103)]의 이형 계면에 있어서의 90°박리 강도 (B)와, 내부 박리 계면[(101g), (102g), (103g)]에 있어서의 90°박리 강도 (C)가, 다음 (1) 내지 (3)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A) < (B) < (C)
(2)…(B)/(A)=1.1 내지 3.0
(3)…(C)/(B)=1.1 내지 7.0
(1) 내지 (3)의 관계를 만족시킴으로써, 이형 필름(105a)를 박리하고 그 노출면을 피착체에 첩착하고, 다음에 이형 필름(105b)를 박리하고 그 노출면을 다른 피착체에 첩착시키는 작업을 원활하고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어, 피착체와의 점착면에 있어서의 신뢰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고, 박리나 발포의 계기가 되는 결함을 한층 더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피착체를 첩합한 후, 피착체와의 점착면이 아닌 내부 박리 계면을 개재하여 재박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B)/(A)는, 1.5 내지 2.5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C)/(B)는 1.5 내지 5.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점착재층의 성분 조성)
이상 설명한 본 점착재 (101) 내지 (105)에 있어서, 각각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의 조성은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점착제층의 박리 강도, 바꿔 말하면 점착력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주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나 극성 성분·응집 성분 양을 조정하거나, 가교제의 첨가량을 조정하거나 하는 것 외에, 태키파이어(tackifier) 등을 적절히 첨가하는 등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베이스 중합체(주제(主劑))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실리콘계, 고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중합체를 점착제의 주제로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투명성이나 내구성, 비용의 점에서, 아크릴계, 특히 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공중합체를 포함)를 베이스 중합체(주제)로서 사용하고, 이것을 열가교제나 UV 가교제 등으로 가교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산에스테르 중합체를 합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아크릴 단량체나 메타크릴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n-옥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주 단량체에,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이타콘산,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메틸올아크릴아미드, 무수 말레산 등의 가교성 단량체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니트릴, 메타크릴니트릴, 아세트산비닐, 스티렌, 불소아크릴레이트,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등의 고응집 단량체나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이들 단량체를 사용한 중합 처리로서는, 용액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등의 공지된 중합 방법이 채용 가능하며, 그 때에 중합 방법에 따라서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함으로써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수득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고신뢰성의 점착제층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가공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높은 편이 바람직하고, 10만 내지 100만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유동성이 지나치게 높아서 응집력이 부족하고, 피착체에 대한 보지력(保持力), 접착력이 손상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이론 Tg)는 -70 내지 0℃,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론 Tg가 지나치게 낮은 재료는 중합체 중의 고응집 성분이나 고극성 성분의 함유량이 적고, 그 결과 피착체에 대한 보지력이나 접착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론 Tg가 지나치게 높으면 점착력이 떨어지고, 상온에 있어서의 감압 접착성이 손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점착제층에 접착력이나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실란 커플링제 등의 개질제나, 산화 방지제, 열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의 각종 안정화제, 태키파이어 등을 적절히 가하여 물성 조정해도 좋다.
(박리 강도)
본 발명의 점착재[예를 들면 본 점착재 (101) 내지 (105)]에 있어서, 내부 박리 계면[(101g), (102g), (103g)]의 90°박리 강도는, 0.01N/50mm 내지 7N/5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N 내지 5N/5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 강도가 7N/50mm 이하이면, 예를 들면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 유닛과 표면 보호 부재 등, 실질 굴곡성이 없는 판상 부재를 일체화한 후의 재박리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적고, 0.01N/50mm 이상으로 하면, 점착재의 양 표면에 적층하는 이형 필름과의 박리 균형을 취할 수 있어, 당해 이형 필름을 박리 제거할 때에 내부 박리 계면이 박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박리 계면[(101g), (102g), (103g)]에 있어서의 90°박리 강도는, 점착재를 폭 50mm의 단책상(短冊狀)의 시험편으로 한 후, 내부 박리 계면의 한쪽 측을 고정시키고, 다른 쪽 측을, 박리 속도 300mm/분으로 90°의 각도로 잡아당겨 박리했을 때에 가해지는 응력을 측정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즉, 기재와 점착제층의 계면이 내부 박리 계면인 경우에는, 당해 점착제층을 소다라임 유리 판에 고정시키고, 기재층 측을 박리 속도 300mm/분으로 90°의 각도로 잡아당겨 박리하여 응력을 측정하면 좋다.
또한, 기재들 사이가 내부 박리 계면인 경우에는, 한쪽의 기재 측을 소다라임 유리 판에 고정시키고, 다른 쪽의 기재층 측을 박리 속도 300mm/분으로 90°의 각도로 잡아당겨 박리하여 응력을 측정하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재[예를 들면 본 점착재 (101) 내지 (105)]에 있어서의 피착체와의 90°박리 강도는, 박리 속도 5mm/분에 있어서 3N/2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N/25mm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저속역(低速域)에 있어서의 피착체 계면과의 박리력이 상기 값을 만족시킴으로써, 피착체와의 첩합 계면에 있어서의 장기 보관성이나, 환경 변화에 의한 내발포(耐發泡), 박리에 따르는 신뢰성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재에 있어서의 피착체와의 90°박리 강도는, 피착체를 유리판(소다라임 유리)으로 가정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유리판(소다라임 유리)과의 90°박리 강도는, 폭 25mm로 잘라 낸 점착재(단책상 시험편)에 관해서, 이형 필름을 박리하여 노출시킨 점착면을 유리판(소다라임 유리)에 첩합하고, 박리 속도 5mm/분으로 90°의 각도로 잡아당겨 박리했을 때에 가해지는 응력을 측정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
투명성이 우수한 재료로 본 점착재(101) 내지 본 점착재(103)을 형성한 경우, 본 점착재(101) 내지 본 점착재(103)은 각종 화상 표시 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점착재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점착재[본 점착재(101) 내지 본 점착재(103)]를, 예를 들면 투명 커버재, 터치 패널재, 화상 표시 장치 중의 어느 2개의 광학 부재간에 개재시키고 이들을 밀착 일체화함으로써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점착재와 피착체의 첩착면과는 상이한 면에서 박리 가능해지는 내부 박리 계면[(101g), (102g), (103g)]을 구비하게 되기 때문에, 광학 부재와 점착재의 계면이 아니라, 점착재 내부의 내부 박리 계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투명 커버재, 터치 패널재, 화상 표시 장치 각각이 재이용 가능해진다.
또한, 가령 투명 커버재나 화상 표시 장치를 첩합한 후, 첩착 미스나 장기간 사용에 의한 수리·교환 등을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평가>
우선, 실시예·비교예의 평가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각 계면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의 측정)
실시예 1, 2, 4, 참고예,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수득된 점착 시트 적층체에 있어서의 각 계면 (A) 내지 (C)의 90°박리 강도는, 폭 50mm로 재단한 평가 샘플의 피측정면과는 상이한 면측(예를 들면 계면 (A)를 측정하는 경우라면, 반대 계면 (B)측이라는 의미)을 단단한 베이스 부재에 고정시키고, 잡아당겨 박리하는 층의 단부를 박리시키고, 그 단부를 인장 장치(박리 기구)에 고정시키고, 피시험재의 미박리 부분에 대해 90°를 이루는 방향으로 박리 속도 300mm/분으로 인장하면서 층을 박리하고, 로드셀로 인장 강도를 측정하여 각 계면의 박리 강도를 산출하였다.
측정 순서로서는 박리하기 쉬운 순서, 즉 계면 (A) (B) (C)의 순으로 측정하였다. 계면 (A)의 박리 강도는, 점착 시트 적층체의 계면 (B)측의 기재층을 박리되지 않은 채로 단단한 베이스 부재에 양면 테이프(닛토덴코 No5000)로 고정시키고, 계면 (A)측의 기재층을 인장하여 측정하였다.
계면 (B)의 박리 강도는, 계면 (A)측의 기재층을 박리한 점착면을 사용하여 소다라임 유리에 고정시키고 측정하였다.
계면 (C)의 박리 강도는, 상기 계면 (B)의 박리 강도를 측정한 후의 소다라임 유리에 남은 계면 (B)의 점착면에 새로운 지지 필름(미쯔비시쥬시 제조 다이아포일S-100 두께 38㎛)을, 23℃ 65% RH 환경하에서 2kgf의 압력을 5초 가하도록 하여 롤 압착시킨 후, 지지 필름을 인장함으로써, 계면 (C)의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박리되지 않은 경우는, 표중에 「-」로 나타내었다.
(유리에 대한 박리 강도의 측정)
실시예 1, 2, 4, 참고예,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수득된 점착 시트 적층체에 있어서의 계면 (A) 및 (B)의 유리면에 대한 90°박리 강도의 측정 방법은, 폭 25mm로 재단한 평가 샘플의 이형 필름을 박리한 피측정 점착면을 소다라임 유리에, 23℃ 65% RH 환경하에서 2kgf의 압력을 5초 가하도록 하여 롤 압착 후, 다른 쪽의 계면 또는 계면 (C)의 기재층을 박리하여, 새로운 지지 필름(미쯔비시쥬시 제조 다이아포일S-100 두께 38㎛)을 롤 압착시켰다.
그리고, 40℃, 0.35MPa 조건하에서 15분 동안 압공(壓空) 처리 후, 정상 상태로 1일 정치 양생(靜置 養生)한 후, 지지 필름을 90°를 이루는 방향으로 박리 속도 5mm/분으로 인장하면서 층을 박리하고, 로드셀로 인장 강도를 측정하여, 점착 시트 적층체의 유리에 대한 90°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표 중의 「*」은, 유리와의 계면이 재박리성 계면이 되고, 당해 계면의 박리 강도를 측정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유리 적층 샘플의 제작)
실시예 1, 2, 4, 참고예,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작성한 점착 시트 적층체를 90mm×90mm로 재단하고, 계면 (A)측의 이형 필름을 박리 제거하여 노출시킨 점착면을, 100mm×100mm×두께 3mm의 소다라임 유리 판에, 23℃ 65% RH 환경하에서 2kgf의 압력을 5초 가하도록 하여 롤 압착하였다.
다음에, 남은 다른 한쪽의 계면 (B)측의 이형 필름을 박리 제거하여 노출시킨 점착면에, 동일하게 100mm×100mm×두께 3mm의 유리판을 적층하고, 23℃ 65% RH 환경하에서 2kgf의 압력을 5초 가하도록 하여 롤 압착하였다.
그리고, 40℃, 0.35MPa 조건하에서 15분 동안 압공 처리 후, 정상 상태로 1일 정치 양생하고, 평가 샘플(유리 적층 샘플)을 제작하였다.
또한, 예를 들면 실시예 1의 점착 시트 적층체(110)에서는, 이형 필름(4A)을 박리하여 소다라임 유리 판에 접착시키고 그 접착력을 측정하는 경우, 점착제층(3A)과 유리면이 접촉하게 되고, 이 계면이 측정하는 계면이 되기 때문에, 표 1 및 표 2에서는, 측정한 그 계면을, 유리판과 접촉하는 상대방의 (A)를 사용하여 「접착면(A)」로 나타내었다. 그외에도 마찬가지이다.
(재박리성의 평가)
상기와 같이 제작한 평가 샘플(유리 적층 샘플)에 있어서, 실시예의 평가 샘플(유리 적층 샘플)에 관해서는, 계면 (C)에 스크레이퍼의 칼 끝을 비집어 넣고 박리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또한, 비교예의 평가 샘플(유리 적층 샘플)에 관해서는, 유리와의 계면에 컷터의 칼 끝을 비집어 넣고 박리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리고, 다음 기준으로 재박리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 스크레이퍼의 칼 끝을 비집어 넣음으로써, 간단히 분리되었다.
△: 스크레이퍼의 칼 끝을 비집어 넣은 후, 칼 끝을 잠시 움직임으로써 분리되었다.
X: 스크레이퍼의 칼 끝을 비집어 넣은 후, 칼 끝을 잠시 동안 움직여도 분리되지 않거나, 또는, 분리되기 전에 유리판에 균열이 생겼다.
(내구성)
상기와 같이 제작한 평가 샘플(유리 적층 샘플)을 80℃, 80% RH 환경하에서 100시간 동안 보관한 후, 외관을 육안으로 보고, 다음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점착제층에 박리나 발포 등 외관 열화가 발견되지 않았다.
X: 점착제층에 박리나 발포 등 외관 열화가 발견되었다.
<구성 부재의 작성>
실시예·비교예의 구성 부재로서, 미리 다음과 같이 하여 점착 시트 (10) 내지 (40) 및 기재 시트 (50) 내지 (60)을 작성하였다.
(점착 시트(10))
아크릴 수지 공중합체의 톨루엔·사이클로헥산 희석 용액(산요카세이 제조 폴리식AH310-S 고형분 농도 37%) 1kg에 대해, 경화제(산요카세이 제조 폴리식SC-75)를 10g 첨가 혼합하여, 점착제층 용액(「점착 조성물 1A」라고 한다.)을 조제하였다.
2축 연신된 두께 7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실리콘계 박리제를 도포하여 박리처리면(2Aa)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투명 기재 시트(「기재층(2A)」라고 한다)의 상기 박리처리면(2Aa)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로 되도록 점착 조성물 1A를 도포하여 80℃에서 3분간 건조시켜서 점착제층(3A)을 형성하고, 건조 후의 점착제층(3A) 표면에 이형 필름(4A)(토요보세키 제조 E7006 두께 38㎛)을 적층하여 점착 시트(10)를 작성하였다(도 6).
(점착 시트(20))
2축 연신된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실리콘계 박리제를 도포하여 박리처리면(2Ba)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투명 수지 시트(「기재층(2B)」라고 한다)의 상기 박리처리면(2Ba)에, 건조 후의 두께가 25㎛로 되도록 점착 조성물 1A를 도포하여 80℃에서 3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제층(3B)을 형성한 것 이외에는 점착 시트(10)과 같이 하여 점착 시트(20)을 작성하였다(도 7).
(점착 시트(30))
소켄가가쿠사 제조 SK다인1451(고형분 농도 30%) 1kg에 대해, 경화제 L-45(소켄가가쿠사 제조) 5.0g 및 촉진제-S(소켄가가쿠사 제조) 1.8g을 첨가 혼합하여 점착제층 용액(이하, 「점착 조성물 1B」라고 한다.)을 조제하였다.
2축 연신된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실리콘계 박리제를 도포하여 박리처리면(2Ca)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투명 수지 시트(「기재층(2C)」라고 한다)의 상기 박리처리면(2Ca)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로 되도록 상기 점착 조성물 1B를 도포하고, 80℃에서 3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제층(3C)을 형성하고, 건조 후의 점착제층(3C) 표면에 이형 필름(4B)(미쯔비시쥬시 제조 MRF25 두께 25㎛)을 적층하여 점착 시트(30)를 작성하였다(도 8).
(점착 시트(40))
기재층(2A) 대신에, 2축 연신된 두께 7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박리처리 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수지 시트(「기재층(2D)」라고 한다)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점착 시트(10)과 같이 점착 시트(40)을 작성하였다(도9).
(기재 시트(50))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니혼유니카 제조 NUCG-5472)과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 수지(EAA, 미쯔비시유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유카론EAA)를 각각 개별적으로 용융하여 공압출하여, 두께 20㎛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층(2F)과, 두께 20㎛의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기재층(2E)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40㎛의 기재 시트(50)를 작성하였다(도 10).
(기재 시트(60))
2축 연신된 두께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박리처리 하지 않음)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수지 시트(「기재층(2G)」라고 한다.)의 한쪽 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니혼고세이가가쿠 제조 UV7510B: 1kg/광중합 개시제 시바스페셜티케미칼 제조 이르가큐어184: 20g)을 25㎛ 두께로 도포하여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광량(積算光量) 600mJ/㎠가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도포막을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경화물층(5A)을 형성하고, 두께 75㎛의 기재 시트(60)를 작성하였다(도 11).
<실시예 1>
점착 시트(10)에 있어서의 기재층(2A)의 점착제층 미도포면(2Ab)(박리 처리를 가하지 않은 면)에, 점착 조성물 1A를 건조 후의 두께가 50㎛로 되도록 도포하고 80℃에서 3분 동안 건조시켜서 점착제층(3E)을 형성하고, 건조 후의 점착제층(3E) 표면에, 이형 필름(4B)(미쯔비시쥬시 제조 MRF25 두께 25㎛)의 박리처리면(4Ba)을 포개어 적층하고, 점착 시트 적층체(총 두께 175㎛)(110)를 작성하였다(도 12).
이 점착 시트 적층체(110)에 있어서, 이형 필름(4A)과 점착제층(3A)의 계면 (A), 점착제층(3A)과 기재층(2A)의 계면 (C), 및, 점착제층(3E)과 이형 필름(4B)의 계면 (B)에 있어서의, 각 계면의 90°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형 필름(4A)과 점착제층(3A)의 계면 (A)의 90°박리 강도 (A)는, 점착제층(3A)으로부터 이형 필름(4A)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며, 점착제층(3A)과 기재층(2A)의 계면 (C)의 90°박리 강도 (C)는, 기재층(2A)으로부터 점착제층(3A)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며, 점착제층(3E)과 이형 필름(4B)의 계면 (B)의 90°박리 강도 (B)는, 점착제층(3A)으로부터 이형 필름(4B)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다.
이 경우, 각 계면의 90°박리 강도 비는 (B)/(A)=1.22이고, (C)/(B)=1.25이었다.
<실시예 2>
점착 시트(20)에 있어서의 기재층(2B)의 미처리면(2Bb)에, 점착 시트(10)의 이형 필름(4A)을 박리 제거하여 노출시킨 점착면을 포개어 적층하고, 25℃에서 7일 동안 양생한 후, 점착 시트 적층체(120)(총 두께 175㎛)를 작성하였다(도 13).
이 점착 시트 적층체(120)에 있어서, 이형 필름(4A)과 점착제층(3B)의 계면 (A), 점착제층(3B)과 기재층(2B)의 계면 (C), 및, 점착제층(3A)과 기재층(2A)의 계면 (B)에 있어서의, 각 계면의 90°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형 필름(4A)과 점착제층(3B)의 계면 (A)의 90°박리 강도 (A)는, 점착제층(3B)으로부터 이형 필름(4A)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며, 점착제층(3B)과 기재층(2B)의 계면 (C)의 90°박리 강도 (C)는, 기재층(2B)으로부터 점착제층(3B)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며, 점착제층(3A)과 기재층(2A)의 계면 (B)의 90°박리 강도 (B)는, 기재층(2A)으로부터 점착제층(3A)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다.
이 경우, 각 계면의 90°박리 강도 비는 (B)/(A)=1.31이고, (C)/(B)=2.34이었다.
<참고예>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75질량부와, 아세트산비닐 20질량부와, 아크릴산 5질량부로 이루어지는 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1kg에 대해, 가교제로서 자외선 경화 수지 프로폭시화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신나카무라가가쿠사 제조 ATM-4PL) 20g 및 광중합 개시제(Lanberti사 제조 ESACURE TZT) 10g을 혼합하여 점착 조성물 1C를 조제하였다.
기재 시트(50)의 기재층(2F)(LLDPE) 표면에, 상기 점착 조성물 1C를 85㎛ 두께로 용융 압출하여 점착제 조성물층(3f)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 조성물층(3f)에, 이형 필름(4C)(토요보세키 제조 K1571 두께 50㎛)의 박리처리면(4Ca)을 포개어 적층시키고 압착하였다.
그 다음에, 기재 시트(50)의 기재층(2E)(EAA) 표면에, 점착 시트(10)의 이형 필름(4A)을 박리 제거하여 노출시킨 점착면을 포개어 적층하여 적층체를 수득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된 적층체에 대해서, 이형 필름(4C)측에서부터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광량 1000mJ/㎠가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점착제 조성물층(3f)을 가교 경화시켜서 점착제층(3F)으로 하여, 점착 시트 적층체(총 두께 175㎛)(130)를 작성하였다(도 14).
이 점착 시트 적층체(130)에 있어서, 기재층(2A)과 점착제층(3A)의 계면 (A), 점착제층(3F)과 이형 필름(4C)의 계면 (B), 및, 기재층(2F)와 기재층(2E)의 계면 (C)에 있어서의 각 계면의 90°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기재층(2A)과 점착제층(3A)의 계면 (A)의 90°박리 강도 (A)는, 기재층(2A)으로부터 점착제층(3A)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며, 점착제층(3F)과 이형 필름(4C)의 계면 (B)의 90°박리 강도 (B)는, 점착제층(3F)으로부터 이형 필름(4C)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며, 기재층(2F)와 기재층(2E)의 계면 (C)의 90°박리 강도 (C)는, 기재층(2F)로부터 기재층(2E)를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다.
그리고 이 경우, 각 계면의 90°박리 강도 비는 (B)/(A)=2.17이고, (C)/(B)=3.63이었다.
<실시예 4>
기재 시트(60)의 양면, 즉 경화물층(5A) 및 기재층(2D)의 표면에, 참고예와 같이 조제한 점착 조성물 1C를 50㎛로 되도록 압출하여 도포해서 점착제 조성물층(3g)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경화물층(5A)측의 점착제 조성물층(3g)의 표면에 이형 필름(4A)(토요보세키 제조 E7006 두께 38㎛)을 적층하는 한편, 기재층(2D)측의 점착제 조성물층(3g)의 표면에 이형 필름(4D)(미쯔비시쥬시 제조 MRF75, 두께 75㎛)을 적층하여 적층체(총 두께 175㎛)를 수득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된 적층체에 대해서, 표리면측(表裏面側)에서부터 고압 수은 램프로 한쪽면측 적산광량 1000mJ/㎠가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점착제 조성물층 (3g), (3g)를 가교 경화시켜 점착제층 (3G), (3G)로 하여, 점착 시트 적층체(총 두께 175㎛)(140)를 작성하였다(도 15).
이 점착 시트 적층체(140)에 있어서, 점착제층(3G)과 이형 필름(4A)의 계면 (A), 점착제층(3G)과 이형 필름(4D)의 계면 (B), 기재층(2D)과 경화물층(5A)의 계면 (C)에 있어서의 각 계면의 90°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점착제층(3G)과 이형 필름(4A)의 계면 (A)의 90°박리 강도 (A)는, 점착제층(3G)으로부터 이형 필름(4A)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며, 점착제층(3G)과 이형 필름(4D)의 계면 (B)의 90°박리 강도 (B)는, 점착제층(3G)으로부터 이형 필름(4D)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며, 기재층(2D)과 경화물층(5A)의 계면 (C)에 있어서의 각 계면의 90°박리 강도는, 기재층(2D)으로부터 경화물층(5A)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다.
그리고 이 경우, 각 계면의 90°박리 강도 비는 (B)/(A)=1.14이고, (C)/(B)=1.46이었다.
<실시예 5>
소켄가가쿠사 제조 SK다인2094(고형분 농도 30%) 1kg에, 경화제 E-AX(소켄가가쿠사 제조) 2.4g을 첨가 혼합하여 조제한 점착제층 용액(이하, 「점착 조성물 1D」)라고 한다.)을, 이형 필름(4A)(토요보세키 제조 E7006 두께 38㎛)의 이형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로 되도록 도포하고, 80℃에서 3분 동안 건조시켜서 점착제층(3J)을 형성하고, 건조 후의 점착제층(3J) 표면에, 이 점착제층(3J)과는 상이한 층으로서, 열가소성 불소 수지(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시트(「ETFE 시트」라고 한다. 쇼시사 제조 아플렉스25N1250NT, 두께 25㎛)(7A)를 적층하고, 점착 시트(70)를 작성하였다.
한편, 상기 점착 조성물 1A를, 이형 필름(4B)(미쯔비시쥬시 제조 MRF25 두께 25㎛)의 이형 처리면에, 두께 100㎛로 되도록 도포하고, 80℃에서 3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제층(3A)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건조 후의 점착제층(3A)에 상기 점착 시트(70)의 ETFE 시트(7A)면이 접하도록 적층하여, 점착 시트 적층체(총 두께 175㎛)(150)를 작성하였다(도 22).
이 점착 시트 적층체(150)에 있어서, 이형 필름(4A)과 점착제층(3J)의 계면 (A), 점착제층(3J)과 ETFE 시트(7A)의 계면 (C), 및, 점착제층(3A)과 이형 필름(4B)의 계면 (B)에 있어서의, 각 계면의 90°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형 필름(4A)과 점착제층(3J)의 계면 (A)의 90°박리 강도 (A)는, 점착제층(3J)으로부터 이형 필름(4A)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며, 점착제층(3J)과 ETFE 시트(7A)의 계면 (C)의 90°박리 강도 (C)는, ETFE 시트(7A)로부터 점착제층(3J)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며, 점착제층(3A)과 이형 필름(4B)의 계면 (B)의 90°박리 강도 (B)는, 점착제층(3A)으로부터 이형 필름(4B)을 박리했을 때의 90°박리 강도의 측정값이다.
이 경우, 90°박리 강도 (A)의 값은 0.38N/50mm이고, 90°박리 강도 (B)의 값은 0.5N/50mm이고, 90°박리 강도 (C)의 값은 0.9N/50mm이었다. 따라서, 각 계면의 90°박리 강도 비는 (B)/(A)=1.32이고, (C)/(B)=1.8이었다.
또한, 점착제층(3A)측의 유리에 대한 접착력은 7.0N/25mm이었다.
<비교예 1>
2축 연신된 두께 10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한쪽 면에 실리콘계 박리제를 도포하여 박리처리면(2Ca)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투명 수지 시트(「기재층(2C)」라고 한다)의 박리처리면(2Ca)에, 참고예와 같이 조제한 점착 조성물 1C를, 175㎛ 두께로 용융 압출하여 점착제 조성물층(3f)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 조성물층(3f)을 개재하여, 이형 필름(4B)(미쯔비시쥬시 제조 MRF25 두께 25㎛)을 적층하고 압착하여 적층체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수득된 적층체에 대해, 표리면측으로부터 고압 수은 램프로 한쪽면측 적산광량 1000mJ/㎠가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점착제 조성물층(3f)을 가교 경화시켜 점착제층(3F)으로 하여 점착 시트 적층체(총 두께 175㎛)(210)를 작성하였다(도 16).
<비교예 2>
점착 시트(10)에 있어서 박리 필름(4A)을 박리 제거하여 노출시킨 점착제층(3A)의 표면에, 점착 시트(30)에 있어서 이형 필름(4B)을 박리 제거하여 노출시킨 점착제층(3C)의 표면을 포개어 적층하여, 점착 시트 적층체(총 두께 100㎛)(220)를 작성하였다(도 17).
<비교예 3>
점착 시트(10) 대신에, 점착 시트(40)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점착 시트 적층체(230)를 작성하였다(도 18).
<비교예 4>
아크릴 수지 공중합체의 톨루엔·사이클로헥산 희석 용액(산요카세이 제조 폴리식AH310-S 고형분 농도 37%) 1kg에 대해, 경화제(산요카세이 제조 폴리식SC-75) 10g 및 열팽창성 마이크로캡슐(마쯔모토유시세야쿠 제조 마쯔모토마이크로스페어-F-48) 150g을 첨가 혼합하여 점착제층 용액(「점착 조성물 1D」)을 조제하였다.
점착 시트(40)에 있어서의 기재층(2D)의 표면(미처리면)에, 상기 점착 조성물 1D를 건조 후의 두께가 50㎛로 되도록 도포 및 건조시켜 점착제층(3H)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건조 후의 점착제층(3H) 표면에 이형 필름(4B)(미쯔비시쥬시 제조MRF25 두께 25㎛)을 적층하여 압착해서, 점착 시트 적층체(총 두께 175㎛)(240)를 작성하였다(도 19).
<비교예 5>
2축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75㎛의 기재층(2J)의 한쪽 면에, 25㎛의 재박리성 점착제층(3I) 및 보호 필름(6A)을 적층하는 한편, 기재층(2J)의 다른 한쪽 면에, 점착 시트(10)의 박리 필름(4a)을 박리 제거하여 노출시킨 점착제층(3A)을 압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고, 25℃에서 7일간 양생한 후, 점착 시트 적층체(총 두께 150㎛)(250)를 작성하였다(도 20).
<비교예 6>
2장의 100mm×100mm×3mm의 유리판을 대향하여 배치하고, 주연부(周緣部) 3변 5mm에 175㎛ 두께의 실리콘 고무 시트를 사이에 개재하여 3변을 봉지한 것을 작성하였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다이셀사이텍사 제조 UVEKOL-S20)를, 대향한 유리판의 봉지되지 않은 변으로부터 충전하고, 고압 수은 램프로 적산광량 600mJ/㎠가 되도록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켜 유리 적층체를 작성하였다(도 21).
Figure 112013064188915-pct00025
Figure 112011097021476-pct00002
(결과·고찰)
실시예 1, 2, 4, 5 및 참고예에서 수득된 점착 시트는, 유리 적층체로 한 후의 재박리가 용이하여, 재박리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며, 내구성 시험에 있어서도 현저한 외관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에서 수득된 점착 시트 적층체(210)는, 박리성 계면을 갖지 않으며, 강고하게 유리와 접착되어 있었기 때문에, 유리 분리시에 균열이 생겨, 리워크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2에서 수득된 점착 시트 적층체(220)는, 점착 시트와 유리의 접착력이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시간을 들이면 분리 가능했지만 작업성이 떨어지고, 또한 접착력이 약하기 때문에 내구성 시험에서 유리와 점착제층 계면에서 결함을 기점(起點)으로 하는 발포가 생겼다. 또한, 이 점착 시트 적층체(220)에 있어서, 점착제층(3A)와 점착제층(3C)는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어, 계면 (C)에서는 박리가 곤란하였다.
비교예 3에서 수득된 점착 시트 적층체(230)는, 내재층(內在層)이 계면 박리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재박리성에 관해서 비교예 1과 같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비교예 4에서 수득된 점착 시트 적층체(240)는, 가열에 의해 점착층(3H)을 발포시킴으로써 재박리 가능해졌지만, 내구성 시험 중에도 발포제가 일부 반응하여 외관의 현저한 열화가 일어났다.
비교예 5에서 수득된 점착 시트 적층체(250)는, 재박리성 점착측을 유리로부터 서서히 잡아당겨 박리함으로써 재박리 가능했지만, 유리와의 첩합면이 재박리 계면이었기 때문에, 접착력이 약하고, 유리와 재박리 점착제층 계면에서 미소한 박리가 확인되었다.
비교예 6에서 수득된 유리 적층체는, 접착제를 충전할 때, 접착제액에 내재하는 기포를 빼는데도 손이 많이 갔다. 유리 적층체의 내구성은 우수하였지만, 강고하게 접착되어 있어 재박리성이 떨어지는 것이었다.

Claims (13)

  1. 삭제
  2. 2개의 피착체를 첩착시키기 위한 점착재로서, 2층 이상의 점착제층과, 투명한 중합체 시트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을 구비하는 동시에, 점착재의 표리 양쪽 면에 이형 필름을 구비하고, 점착재와 피착체의 첩착면과는 상이한 면에서 박리 가능해지는 계면(「내부 박리 계면」이라고 칭한다)을 내부에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용 이형 필름 부착 점착재로서, 상기 점착제층과 기재층 사이의 계면 중의 하나가 당해 내부 박리 계면인 구성을 구비하고, 한쪽의 이형 필름과 점착재의 계면에 있어서의 90°박리 강도 (A)와, 다른 쪽의 이형 필름과 점착재의 계면에 있어서의 90°박리 강도 (B)와, 내부 박리 계면에 있어서의 90°박리 강도 (C)가, 다음 (1) 내지 (3)의 관계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이형 필름 부착 점착재.
    (1)…(A) < (B) < (C)
    (2)…(B)/(A)=1.1 내지 3.0
    (3)…(C)/(B)=1.1 내지 7.0
  3. 제2항에 기재된 점착재가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용 이형 필름 부착 투명 점착재.
  4. 제3항에 기재된 화상 표시 장치용 이형 필름 부착 투명 점착재가, 투명 커버재, 터치 패널재, 화상 표시 장치 중 어느 2개의 부재간에 개재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표시 장치용 이형 필름 부착 투명 점착재의 내부 박리 계면을 박리함으로써, 투명 커버재, 터치 패널재, 화상 표시 장치 각각이 재이용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17029225A 2009-05-26 2010-05-21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재 KR101505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26292 2009-05-26
JP2009126292 2009-05-26
PCT/JP2010/058600 WO2010137523A1 (ja) 2009-05-26 2010-05-21 再剥離性を有する粘着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487A Division KR101723375B1 (ko) 2009-05-26 2010-05-21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065A KR20120023065A (ko) 2012-03-12
KR101505416B1 true KR101505416B1 (ko) 2015-03-25

Family

ID=4322263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487A KR101723375B1 (ko) 2009-05-26 2010-05-21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재
KR1020117029225A KR101505416B1 (ko) 2009-05-26 2010-05-21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487A KR101723375B1 (ko) 2009-05-26 2010-05-21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064338A1 (ko)
EP (1) EP2436741B1 (ko)
JP (3) JP5514817B2 (ko)
KR (2) KR101723375B1 (ko)
CN (1) CN102439105B (ko)
TW (1) TWI495705B (ko)
WO (1) WO2010137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50340A3 (en) 2008-10-15 2014-04-16 Mitsubishi Plastics, Inc. Transparent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CN102439105B (zh) * 2009-05-26 2015-04-15 三菱树脂株式会社 具有再剥离性的粘合材料
KR101585270B1 (ko) * 2010-03-16 2016-01-13 (주)엘지하우시스 점착 필름 및 터치패널
JP5571995B2 (ja) * 2010-03-31 2014-08-1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US9221231B2 (en) 2011-11-22 2015-12-29 Samsung Display Co., Ltd. Acrylate based 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use, acrylate based adhesive sheet for optical use, and method for separating optical component using the same
JP5865064B2 (ja) * 2011-11-22 2016-02-17 ニッタ株式会社 光学用アクリル系粘着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学部材の取り外し方法
US9441141B2 (en) 2012-01-18 2016-09-13 Mitsubishi Plastics, Inc. Transparent 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9574111B2 (en) 2012-01-18 2017-02-21 Mitsubishi Plastics, Inc. Transparent 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220038770A (ko) 2012-01-18 2022-03-29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용 투명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908290B1 (ko) * 2012-04-03 2018-10-1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JP2014051599A (ja) * 2012-09-07 2014-03-20 Osaka Sealing Printing Co Ltd 粘着テープ
KR101423106B1 (ko) * 2012-09-28 2014-07-25 인산디지켐 주식회사 다기능성 복합 구조 폼 테이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E102013204837B4 (de) 2013-03-19 2023-04-06 Herma Gmbh Mehrlagiges Laminat und seine Verwendung
JP6322278B2 (ja) * 2014-02-18 2018-05-09 シャープ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及びフィルム貼り付け方法
JP6353662B2 (ja) * 2014-02-18 2018-07-04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接着剤積層体及びその利用
JP6366381B2 (ja) * 2014-06-27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の製造方法
JP6241547B2 (ja) 2014-07-01 2017-12-06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光学装置構成用部材のリサイクル方法および光学装置構成用積層体のリワーク性評価方法
CN107077801B (zh) * 2014-10-23 2019-10-15 琳得科株式会社 粘着剂、粘着片与显示体
JP6534841B2 (ja) * 2015-03-31 2019-06-26 株式会社フジシール 蓋用ラベル及び包装体
KR101956547B1 (ko) * 2016-03-09 2019-03-11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점착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6825316B2 (ja) * 2016-03-30 2021-02-03 Dic株式会社 粘着テープ及び物品
DE202016102816U1 (de) 2016-05-27 2016-09-15 Sen Hao Wu Wiederverwendbare Klebefolie
EP3293606B1 (en) * 2016-09-09 2020-12-3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8062176B (zh) * 2016-11-09 2021-07-09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触摸传感器层叠体及其制造方法
CN109082241A (zh) * 2017-06-13 2018-12-25 麦克赛尔控股株式会社 双面粘着胶带、及薄膜部件与支承部件的层叠体
JP7139141B2 (ja) * 2017-06-13 2022-09-20 マクセル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及び薄膜部材と支持部材との積層体
US10369774B2 (en) 2017-06-30 2019-08-0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hermally conductive de-bonding aid
WO2019040820A1 (en) 2017-08-25 2019-02-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S FOR REMOVAL WITHOUT DAMAGE
EP3672795A4 (en) * 2017-08-25 2021-05-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ARTICLES WITH DAMAGE-FREE REMOVAL
KR102366313B1 (ko) 2017-09-08 2022-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필름, 표시 모듈, 표시 장치, 표시 모듈 제조 방법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20210054243A1 (en) * 2018-01-18 2021-02-25 Oji Holdings Corporation Double-sided adhesive sheet and double-sided adhesive sheet with release sheet(s)
WO2019142905A1 (ja) * 2018-01-18 2019-07-2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剥離シート付き両面粘着シート
TWI785203B (zh) * 2018-02-05 2022-12-01 美商3M新設資產公司 可調整大小的傢俱墊
US11084955B2 (en) 2018-07-23 2021-08-1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ith thermally conductive release tab
KR102305576B1 (ko) 2018-10-16 2021-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필름
KR102305579B1 (ko) 2018-11-06 2021-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Oca 필름용 점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oca 필름 및 터치 스크린 패널
TWI699424B (zh) * 2019-01-30 2020-07-2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一種oca光學膠的離型薄膜及其製造方法
CN110028911A (zh) * 2019-04-23 2019-07-19 武汉友发包装科技有限公司 一种双面胶带及其生产方法
TW202138509A (zh) * 2020-03-31 2021-10-16 日商三菱化學股份有限公司 雙面黏著片材、圖像顯示裝置用積層體及圖像顯示裝置
CN113696523A (zh) * 2021-09-01 2021-11-26 苍南县如潮文具有限公司 一种双面胶带的制造方法及制造装置
TWI790881B (zh) 2021-12-30 2023-01-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雙面膠及多層結構體
KR102657629B1 (ko) * 2022-03-08 2024-04-12 소윤섭 재밀봉이 가능한 음료용기용 리드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736A (ja) * 1993-07-30 1995-02-10 New Oji Paper Co Ltd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2001075494A (ja) * 1999-09-02 2001-03-23 Seiko Instruments Inc 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積層両面テープ
JP2003301146A (ja) * 2002-04-09 2003-10-21 Big Technos Kk 層間剥離両面テープ
JP2006169354A (ja) * 2004-12-15 2006-06-29 Oji Paper Co Ltd 感圧接着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3673U (ko) * 1975-08-29 1977-03-09
JPH03170573A (ja) * 1989-11-30 1991-07-24 Fuji Photo Film Co Ltd 両面接着テープ
JPH0478241U (ko) * 1990-11-16 1992-07-08
JPH10260395A (ja) 1997-03-19 1998-09-29 Nissha Printing Co Ltd 液晶表示ディスプレイ一体型透明タッチパネル
US6521309B1 (en) * 1999-11-11 2003-02-18 Tyco Adhesives Lp Double-sided single-lin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WO2003019347A1 (fr) * 2001-08-30 2003-03-06 Nissha Printing Co., Ltd. Structure de montage pour panneau tactile transparent amovible, et feuille de montage utilisee a cet effet
JP2003081817A (ja) * 2001-09-07 2003-03-19 Sekisui Chem Co Ltd 貼付剤
JP2003177241A (ja) * 2001-12-10 2003-06-27 Fujimori Kogyo Co Ltd 光学用積層体、粘着剤転写テープ、および光学用積層体の製造法
JP3880418B2 (ja) 2002-02-21 2007-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表示装置への貼着固定方法
JP4151828B2 (ja) * 2002-05-29 2008-09-1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4493273B2 (ja) 2003-01-29 2010-06-30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2004300231A (ja) * 2003-03-31 2004-10-28 Nitto Denko Corp 熱剥離性両面粘着シート、被着体の加工方法および電子部品
JP4515118B2 (ja) * 2004-03-12 2010-07-28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タッチパネル
FR2877349B1 (fr) * 2004-11-04 2007-04-27 Rescoll Sarl Soc Procede d'assemblage de deux substrats par collage, procede de demontage de cet assemblage colle par migration
JP5364226B2 (ja) * 2005-02-21 2013-12-1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接着方法
WO2006104235A1 (ja) * 2005-03-29 2006-10-05 Lintec Corporation 再剥離性粘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再剥離性粘着シート積層体
JP2006299053A (ja) 2005-04-20 2006-11-0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透明粘着シート
JP4875357B2 (ja) * 2005-12-19 2012-02-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5085145B2 (ja) * 2006-03-15 2012-11-28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08007535A (ja) * 2006-06-27 2008-01-17 Oji Paper Co Ltd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剥離シート付き両面粘着シート
JP2008120864A (ja) * 2006-11-09 2008-05-29 Dainippon Ink & Chem Inc 両面粘着シート、タッチパネル用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35294B2 (ja) * 2006-11-10 2013-07-10 日東電工株式会社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2008144116A (ja) * 2006-12-13 2008-06-26 Nitto Denko Corp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305595B2 (ja) * 2007-01-10 2013-10-02 日東電工株式会社 熱接着シート
JP5171425B2 (ja) * 2007-10-22 2013-03-27 日東電工株式会社 加熱発泡型再剥離性アクリル系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及び剥離方法
CN102439105B (zh) * 2009-05-26 2015-04-15 三菱树脂株式会社 具有再剥离性的粘合材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1736A (ja) * 1993-07-30 1995-02-10 New Oji Paper Co Ltd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
JP2001075494A (ja) * 1999-09-02 2001-03-23 Seiko Instruments Inc 表示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積層両面テープ
JP2003301146A (ja) * 2002-04-09 2003-10-21 Big Technos Kk 層間剥離両面テープ
JP2006169354A (ja) * 2004-12-15 2006-06-29 Oji Paper Co Ltd 感圧接着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8313A (ko) 2014-04-23
EP2436741A4 (en) 2014-01-15
KR101723375B1 (ko) 2017-04-05
JPWO2010137523A1 (ja) 2012-11-15
CN102439105B (zh) 2015-04-15
CN102439105A (zh) 2012-05-02
WO2010137523A1 (ja) 2010-12-02
US20120064338A1 (en) 2012-03-15
JP2016006176A (ja) 2016-01-14
TWI495705B (zh) 2015-08-11
TW201105765A (en) 2011-02-16
JP5514817B2 (ja) 2014-06-04
KR20120023065A (ko) 2012-03-12
EP2436741B1 (en) 2018-10-24
JP2014132078A (ja) 2014-07-17
EP2436741A1 (en)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416B1 (ko) 재박리성을 갖는 점착재
JP6376203B2 (ja) 紫外線硬化型画像表示装置構成部材用粘着剤組成物、及び、紫外線硬化型画像表示装置構成部材用透明両面粘着シート
CN105524567B (zh) 双面带有粘合剂的光学薄膜及其卷曲抑制方法、以及使用其的图像显示装置的制造方法
EP2341112B1 (en) Transparent adhesive sheet and image display device
JP3880418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表示装置への貼着固定方法
JP6275945B2 (ja) 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547538B2 (ja) 透明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201305310A (zh) 光學雙面壓感黏著片材、光學構件、觸控面板、影像顯示裝置、及分離方法
JP2004231723A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KR101883795B1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046656B1 (ko) 점착 시트 및 점착제 조성물
JP2011038021A (ja) 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粘着剤用原料組成物及び粘着フィルム
CN111837062A (zh) 偏振板及使用了该偏振板的图像显示装置
JP6133674B2 (ja) 光学部材の製造方法
WO2016052538A1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4010647A (ja) セパレータ付き感圧型接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組立体並びにその組立方法
JP2011102369A (ja) 再剥離性を有する多層両面粘着シート
JP6343365B2 (ja) 積層体
JP6834369B2 (ja) 粘着シート及び積層体
JP2022032291A (ja) 粘着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粘着シート、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02055330A (ja) 液晶表示パネル用積層シートの作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