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594B1 - 테이핑 시트 - Google Patents

테이핑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594B1
KR101495594B1 KR20140040530A KR20140040530A KR101495594B1 KR 101495594 B1 KR101495594 B1 KR 101495594B1 KR 20140040530 A KR20140040530 A KR 20140040530A KR 20140040530 A KR20140040530 A KR 20140040530A KR 101495594 B1 KR101495594 B1 KR 101495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taping
waterproofing agent
thickness
based waterproof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0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훈
Original Assignee
이수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훈 filed Critical 이수훈
Priority to KR20140040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5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원단으로 된 가로실과 순면 원단으로 된 세로실을 이용하되, 상기 가로실의 두께에 대한 세로실의 두께가 5~10배 굵게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기재,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테이핑 시트로서, 상기 테이핑 시트는 두께 방향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율이 1.2:1~1.5:1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기재로 사용되는 가로실과 세로실 굵기를 최적화시켜 최종 제조된 테이핑 시트의 신축률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테이핑 시트 사용에 따른 효과는 유지하면서 불편함은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접착층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테이핑 시트 제거 후에도 알러지 등의 피부 트러블이 발생되지 않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이로 인해, 피부가 약한 민감성 피부 환자들에게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테이핑 시트{Taping sheet}
본 발명은 테이핑 시트에 관한 것이다.
테이핑(taping) 이란 운동 경기 중에 부상을 입는 것을 막기 위해, 선수의 관절, 근육, 인대 따위에 테이프를 감는 일을 말한다. 관절의 보호를 위한 고정과, 근육의 보조, 근육의 이완의 용도에 주로 사용되며, 예전엔 주로 운동선수들이 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었지만, 요즘은 스포츠 활동이 많아지면서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테이핑 요법은 통증을 예방하거나 완화시키는 보완대체 요법 중의 하나로 재활의학과에서 많이 사용되며, 통증 때문에 힘을 제대로 못 쓸 때, 그 부위에 테이프를 붙이면 통증이 완화되고 일상생활을 하기가 수월해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테이핑 요법은 유효한 처치 방법 중의 하나이나, 테이핑용의 테이프나 시트를 적정하게 붙이지 않으면 환부의 주변부까지도 고정해 버려, 근육 줄기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운동에 장해가 생기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테이핑 테이프나 시트는 환부에 붙이고 난 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붙인 부위와 그 주변이 너무 간지럽고, 제거 후에도 그 안에서 물집이 잡히거나 두드러기가 나고, 테이프나 시트 자국이 오랫동안 제거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테이핑 시트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먼저 특허문헌 1에서는 신축율이 작은 부분과 그 주위의 신축율이 큰 부분으로 이루어진 접착 시트를 이용하여 신축율이 작은 부분을 환부에 맞추어 접착시키고 있다.
PCT/JP2003/015055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 테이핑 시트들이 가지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이핑 시트에 포함되는 베이스 기재 재료의 굵기를 조절하여 테이핑 시트의 신축률을 최적화시킨 테이핑 시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층 재료로서 인체에 무해한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사용함으로써 테이핑 시트 접착에 따른 알러지 유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테이핑 시트를 제공하는 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핑 시트는 폴리우레탄 원단으로 된 가로실과 순면 원단으로 된 세로실을 이용하되, 상기 가로실의 두께에 대한 세로실의 두께가 5~10배 굵게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기재,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핑 시트는 두께 방향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율이 1.2:1~1.5:1를 만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 기재는 상기 접착층과 닿지 않는 일면에 불소계 방수제, 실리콘계 방수제, 왁스계 방수제, 지르코늄계 방수제, 에틸렌 요소계 방수제, 메틸올 아미드계 방수제, 피리디늄염계 방수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는방수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중량평균분자량 10,000~1,000,000g/mol인 친수성 폴리비닐알콜 1~40중량%의 수용액을 동결 및 해동시켜 제조된 하이드로겔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에는 구리, 알루미늄, 탄소, 철, 금, 은, 아연, 백금, 니켈, 코발트, 카드뮴, 크롬, 마그네슘, 나트륨, 및 칼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기화학포텐셜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2종의 물질을 단위 면적(㎠)당 0.5~2g의 함량으로 도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 기재로 사용되는 가로실과 세로실 굵기를 최적화시켜 최종 제조된 테이핑 시트의 신축률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테이핑 시트 사용에 따른 효과는 유지하면서 불편함은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을 접착층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테이핑 시트 제거 후에도 알러지 등의 피부 트러블이 발생되지 않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이로 인해, 피부가 약한 민감성 피부 환자들에게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에 전기화학포텐셜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물질을 최적의 함량으로 도포시켜 혈액이나 체액의 흐름을 자극시켜 통증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시료 3의 통증 강도의 변화(VAS)를 측정한 그래프이고,
도 2는 통증으로 인한 불편함에 대한 VAS 변화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최적의 신축 조건을 가지는 베이스 기재와 생체적합성 하이드로겔 접착층을 사용하여 알러지 등의 피부 트러블을 유발시키지 않는 테이핑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시트는 베이스 기재와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층을 포함하여, 상기 접착층을 피부에 부착시켜 사용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 기재는 접착층의 상부에 존재하여, 상기 접착층을 지지하고 신축성을 가져 피부 및 근육과 비슷한 정도의 축장 능력을 가져 근육의 움직임을 지지하고, 근육을 이완 또는 수축시키는 지지체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상기 베이스 기재로서 가로실의 두께에 대한 세로실의 두께가 5~10배 굵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 데 특징이 있다. 즉, 세로실의 두께가 가로실에 비해 더 굵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기재를 이용한 테이핑 시트는 길이 방향(가로실 방향)으로의 신축은 용이하나, 두께 방향(세로실 방향)으로 신축은 비교적 덜 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테이핑 시트는 두께 방향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율이 1.2:1~1.5:1를 만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기재로 사용되는 가로실의 두께에 대한 세로실의 두께는 5~10배 굵은 특징을 가져야 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두께 방향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율이 1.2:1~1.5:1를 만족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 기재의 가로실과 세로실의 두께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종래 테이핑 시트들이 가지는 피부 트러블 문제를 해결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시트가 두께 방향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율이 1.2:1~1.5:1를 만족하는 경우, 근육 모양이나 통증의 방향에 따라 상기 테이핑 시트를 붙이면 근육의 피로 방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시트는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친수성 폴리비닐알콜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 형태의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중량평균분자량 10,000~1,000,000g/mol인 친수성 폴리비닐알콜을 동결 및 해동과정을 여러 번 반복시켜 하이드로겔 형태로 제조한 다음, 이를 접착층으로 도포시킨다.
상기 생체적합성 폴리비닐알콜로 된 하이드로겔을 접착층으로 사용하는 경우, 알러지 등의 피부 트러블을 유발시키지 않기 때문에 유용하며, 동결 및 해동 과정으로 물리적 가교된 하이드로겔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접착층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 물성을 가질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시트의 상기 접착층에는 구리, 알루미늄, 탄소, 철, 금, 은, 아연, 백금, 니켈, 코발트, 카드뮴, 크롬, 마그네슘, 나트륨, 및 칼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기화학 포텐셜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2종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화학 포텐셜이란 반전지 전위, 기전력계열 등으로 부르며, 이온화가 잘 일어나는 금속일수록 전기화학 포턴셜이 낮으며, 잘 안 일어나는 금속일수록 전기화학 포턴셜이 높다. 예를 들어, 철(Fe)의 전기화학적 포텐셜이 -0.440V이고, 알루미늄(Al)은 -1.662V로 Fe가 약 1.2V정도 높은 전위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화학 포텐셜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2종의 물질을 혼합 사용할 때, 상기 2종의 물질이 인체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이때, 피부로부터 접촉된 땀으로 인해 상기 접착층에는 수분이 포함되어 있게 되고, 상기 수분으로 인해 전위차가 있는 상기 2종의 물질 간에는 미세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미세한 전류는 상기 테이핑 시트가 접착된 부분의 세포를 활성화시켜 혈액이나 체액의 흐름을 자극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미세한 전류는 본 발명의 접착층에 포함되는 전기화학 포텐셜이 상이한 물질의 종류가 많을수록 더 많이 생성되어 혈액이나 체액의 흐름을 자극하는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기화학 포텐셜이 상이한 물질'이라는 의미는 두 물질 간의 전기화학포텐셜이 약 0.5 이상 차이를 가지는 물질을 의미하며, 전기화학포텐셜 차이가 클수록 그 효과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접착층에 포함된 전기화학 포텐셜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물질로 인해 인체에 미세한 전류가 흐르게 되면, 그 부분의 세포가 활성화되어 혈액과 체액의 순환이 좋아져, 그 결과 인체 고유의 자기치유력이 촉진되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접착층에는 단위 면적(㎠)당 전기화학 포텐셜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물질이 0.5~2g의 함량으로 도포되는 것이 혈액이나 체액의 흐름을 자극하고, 자기치유력을 촉진시켜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에 포함되는 단위 면적(㎠)당 전기화학 포텐셜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물질이 0.5g 미만인 경우 그 효과가 미흡하고, 또한, 2g을 초과하는 경우 접착층의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베이스 기재는 상기 접착층과 닿지 않는 일면에 방수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 코팅은 상기 테이핑 시트를 사람의 피부에 부착해 사용하는 경우, 사람 몸으로부터 발한하거나 상기 테이핑 시트가 물에 접촉하더라도 상기 베이스 기재로 물이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테이핑 시트의 접착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코팅은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방수제 수용액을 상기 베이스 기재의 접착층과 닿지 않는 일면에 스프레이 도포하는 방법이나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방수제 수용액을 도포시키는 방법 등이 있으나, 그 방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수 코팅은 불소계 방수제, 실리콘계 방수제, 왁스계 방수제, 지르코늄계 방수제, 에틸렌 요소계 방수제, 메틸올 아미드계 방수제, 피리디늄염계 방수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중에서 왁스계 방수제가 바람직하고, 파라핀 왁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시트의 제조방법을 살피면, 먼저 가로실의 두께에 대한 세로실의 두께가 5~10배 굵게 형성된 베이스 기재를 준비한다. 상기 베이스 기재의 가로실은 신축성이 있는 폴리우레탄 70 데니아의 원단을 사용하고, 세로실은 면 14,15 혹은 16수의 순면을 사용하여 두 가지 실을 교차로 직조하여 원단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로실의 두께에 대한 세로실의 두께가 5~10배 굵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준비된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접착층을 형성시키며, 상기 접착층에는 전기화학 포텐셜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착층은 중량평균분자량 10,000~1,000,000g/mol인 친수성 폴리비닐알콜을 동결 및 해동과정을 거쳐 제조된 하이드로겔 접착층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용매인 초순수(deionized water)에 1 내지 40중량% 농도의 수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20중량%가 좋다. 상기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의 농도가 1중량% 미만이면 물성이 너무 약한 하이드로겔이 형성되는 문제가 있으며, 40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조된 용액의 점도가 너무 높아 취급이 용이하지 않은 어려움이 있다.
상기 제조된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을 일정틀에 붓고 0℃ 내지 -250℃의 온도 범위에서 동결시키고, 1℃ 내지 50℃ 의 온도에서 해동시켜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동결-해동의 물리적 가교방법을 3 ~ 4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기화학 포텐셜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물질이 수분과 접촉하여 미세한 전류가 흐르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질이 접착층 내부에 완전히 매립되어 있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기화학 포텐셜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물질은 단위 면적(㎠)당 0.5~2g의 함량으로 도포되도록 하여 혈액이나 체액의 흐름을 자극하고, 자기치유력을 촉진시켜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접착층을 도포시킨 후, 상기 접착층이 건조되기 전에 전기화학 포텐셜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물질을 스프레이 분사 등의 방법으로 포함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시트는 어깨, 머리, 팔꿈치, 손·손가락, 가슴·등·복부, 허리, 대퇴관절, 엉덩이로부터 허벅지, 무릎, 종아리부, 발 등의 통증이 있는 부위는 어디나 사용 가능하다. 또한, 운동시마다 통증이 느껴지는 부위나 염좌·타박·탈구 등의 사고 후의 응급 처치에도 사용할 수 있다. 스포츠 등에 의한 장해의 예방이나,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2장의 테이핑 테이프를 서로 교차시켜 점착하면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시트는 주름이 지거나 신체로부터 들뜨거나 박리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의복 위에 부착시켜 사용해도 무방하며, 상기 접착층이 의복에 점착되지도 않기 때문에 알러지 등이 있는 사람들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이핑 시트는 그 크기나 형상은 소정의 점착 부위에 맞추어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고, 근육의 모양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부착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예시하였으나, 이들의 균등물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등 유사한 정도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 테이핑 시트의 제조
폴리우레탄 원단(70 데니아)을 가로실로, 면 원단(14수)을 세로실로 교차 직조시켜 가로실의 두께에 대한 세로실의 두께가 다음 표 1과 같이 5배~10배 굵게 형성되도록 베이스 기재를 제조하였다.
생체적합성을 나타내는 폴리비닐알콜 (중량평균분자량 89,000~98,000 g/mol, hydrolysis ~98%)을 초순수(deionized water)에 넣고 90℃로 가열하여 다음 표 1과 같은 농도의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을 일정틀에 붓고 이를 -100℃에서 8시간 동안 동결시키고, 30℃에서 3시간 동안 해동시켜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겔을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접착층으로 형성시켰다.
또한, 상기 접착층에 전기화학적 포텐셜이 -0.440V인 철(Fe)과, 전기화학적 포텐셜이 -1.662V인 알루미늄(Al)을 분말 상태로 다음 표 1과 같이 그 도포량을 조절하여 분사시켜 상기 접착층 표면에 전기화학포텐셜이 서로 상이한 철과 알루미늄을 도포시켰다.
또한, 상기 베이스 기재의 다른 일면에는 파라핀 왁스를 이용한 발수제(3% 농도)로 발수 코팅시켰다.
시료 가로실의 두께에 대한 세로실의 두께 접착층 농도(중량%) 단위 면적당 전기화학 포텐셜이 상이한 물질의 도포량(g/㎠)
1* 3배 10 0.3
2 5배 5 0.5
3 6배 10 0.8
4 7배 15 1.2
5 8배 20 1.5
6 10배 40 2.0
7* 15배 50 2.5
*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예임.
실험예 1 : 신축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테이핑 시트의 신축성을 ASTM D 3374,1777의 규정에 의거하여 두께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성을 측정하고, 그 비율을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신축율(두께 방향에 대한 길이 방향의 신축율)
1* 1.05
2 1.25
3 1.30
4 1.33
5 1.42
6 1.49
7* 1.75
상기 표 2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테이핑 시트는 두께 방향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율이 1.2~1.5를 만족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실험예 2 : 피부 트러블 발생 유무 측정
상기 실시예의 결과를 참조하여, 본 발명과 같이 두께 방향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율이 1.2~1.5를 만족하는 테이핑 시트가 피부 트러블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지를 실험하였다.
24세에서 61세까지의 만성 요통(3개월 이상의 만성 요통을 지니고 있으며, 통증정도가 VAS 검사 상 5점 이상인 자)을 가진 남자 15명과 여자 30명 총 45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테이핑 시트를 요통 부위에 점착시키고, 3일(72시간) 경과 후 테이핑 시트를 피부로부터 제거할 때 발생되는 피부 트러블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 트러블 유무는 상기 테이핑 시트 제거 후, 빨갛게 부어 오르거나, 제거 후 가려움증이 있는 경우에는 피부 트러블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본 발명과 비교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제품(키네시오 테이프)을 비교예 1로 함께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피부트러블 있음 피부트러블 없음
시료 3 남자 15명 2명 13명
여자 30명 4명 26명
시료 4 남자 15명 3명 12명
여자 30명 5명 25명
시료 7* 남자 15명 10명 5명
여자 30명 20명 10명
비교예 1 남자 15명 12명 3명
여자 30명 25명 5명
상기 표 3의 결과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테이핑 시트(시료 3, 시료 4)를 부착한 시험자들은 종래 시판되고 있는 제품(비교예 1)이나, 실의 두께 및 신축율을 벗어나는 테이핑 시트(시료 7)에 비해 피부 트러블의 발생이 급격하게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테이핑 시트가 폴리우레탄 원단으로 된 가로실과 순면 원단으로 된 세로실을 이용하되, 상기 가로실의 두께에 대한 세로실의 두께가 5~10배 굵게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기재를 사용하여 제조됨으로써 두께 방향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율이 1.2~1.5를 만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효과로 볼 수 있다.
실험예 3 : 통증 강도의 변화 측정
상기 실험예 2에서와 동일한 시험자들을 대상으로 full analysis set 분석을 통하여 가시적 유추 척도법(VAS, Visual Analogue Scale)으로 측정하였다. VAS는 환자가 자각적으로 느끼는 통증의 정도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척도표에 표시하는 방법을 말한다. 본 실험에서는 총 9회차에 걸친 방문 시기에 걸쳐 통증 강도의 변화를 시료 3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4와 다음 도 1에 나타내었다.
평균값±표준편차 처리 후 VAS 변화값 p-값
1차 방문 10.89±12.62 0.000
2차 방문 1.73±10.25 1.000
3차 방문 4.84±9.84 0.070
4차 방문 3.53±10.97 1.000
5차 방문 3.64±9.90 0.635
6차 방문 4.42±6.46 0.001
7차 방문 1.42±7.07 1.000
8차 방문 3.07±7.73 0.394
전체 방문 33.56±17.36 0.000
상기 표 4와 다음 도 1의 결과를 참조하면, 1차 치료 이후 상당 부분 통증 강도가 호전되는 것을 볼 수 있고, 6회차 치료 이후에도 급격한 호전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처음 방문(1회) 시기와 치료 종결 시기의 VAS 변화량에서도 눈에 띄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er protocol 분석에 따른 통증 강도에 대한 VAS 변화값(p-값)에서도 유사한 추이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4 : 통증으로 인한 불편감 측정
상기 실험예 3의 가시적 유추 척도법(VAS, 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하여 치료 회차별 통증으로 인한 불편함에 대한 VAS 변화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5와 다음 도 2에 나타내었다. 또한, 1차 방문 후, 각 방문 회차별 VAS 변화량을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평균값±표준편차 처리 후 VAS 변화값 p-값
1차 방문 10.93±12.71 0.000
2차 방문 1.80±10.32 1.000
3차 방문 4.96±9.89 0.069
4차 방문 3.84±10.85 0.872
5차 방문 3.23±9.57 1.000
6차 방문 4.36±6.50 0.002
7차 방문 1.46±7.12 1.000
8차 방문 3.14±7.77 0.392
전체 방문 33.71±17.46 0.000
평균값±표준편차 1차 방문 후 VAS 변화값
2차 방문 7.42±11.96
3차 방문 8.80±13.43
4차 방문 14.46±15.41
5차 방문 17.75±15.26
6차 방문 21.17±14.89
7차 방문 24.80±14.81
8차 방문 25.91±16.88
9차 방문 29.93±16.64
상기 표 5 내지 6, 및 다음 도 2를 참조하면, 통증으로 인한 불편함에 대한 VAS의 감소량은 1회차 치료 후 7.42로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전체 치료 기간 동안의 VAS 감소량이 29.93으로 치료 후 불편함이 많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 테이핑 시트의 전류 및 전압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테이핑 시트(시료 3, 시료 1, 시료 7)의 접착층에 형성된 전기화학적 포텐셜이 상이한 철(Fe)과 알루미늄(Al) 간의 전류 및 전압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다음 표 7과 8에 나타내었다.
전류(㎂)
시료 1 시료 3 시료 7
철-알루미늄 1mm 5~7 20~30 20~25
철-알루미늄 3mm 8~9 70~80 80~90
철-알루미늄 5mm 9~10 90~100 95~98
용액
깊이
전압(V)
전극 간격(mm)
시료 1 시료 3 시료 7
20 30 40 20 30 40 20 30 40
2mm 0.210 0.220 0.205 0.450 0.442 0.441 0.430 0.420 0.428
4mm 0.215 0.231 0.218 0.467 0.446 0.436 0.445 0.450 0.430
상기 표 7과 8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테이핑 시트의 접착층에 도포된 전기화학 포텐셜이 상이한 2종 이상의 물질을 첨가하여 미세한 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물질로 인해 미세한 전류가 흐름으로 인해, 상기 실험예 3의 결과에서와 같이 요통이 있는 시험자들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 접착력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테이핑 시트(시료 3, 시료 7)의 접착층의 접착력을 각 시험자들이 3일간 착용 후 피부로부터 접착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각각 다음 표 9에 나타내었다. 접착력 좋음은 착용하는 3일 동안 수분이나 외부의 물질 등에 닿더라도 떨어지지 않고 접착되어 있는 경우로, 그렇지 않은 경우를 접착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접착력 좋음 접착력 떨어짐
시료 3 남자 15명 12명 3명
여자 30명 25명 5명
시료 7* 남자 15명 5명 10명
여자 30명 8명 22명
상기 표 9의 결과를 보면, 테이핑 시트의 접착층의 도포량이 많으면 접착력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나, 전기화학적 포텐셜이 상이한 물질도 단위 면적당 과하게 도포됨으로써 접착력은 오히려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테이핑 시트의 제조시, 테이핑 시트로서 효과를 나타내면서 착용 기간 동안 적절한 접착력을 나타내되, 피부 트러블을 유발시키지 않는 적절한 조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4)

  1. 폴리우레탄 원단으로 된 가로실과 순면 원단으로 된 세로실을 이용하되, 상기 가로실의 두께에 대한 세로실의 두께가 5~10배 굵게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 기재, 및 상기 베이스 기재의 일면에 도포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테이핑 시트로서,
    상기 테이핑 시트는 두께 방향에 대한 길이 방향으로의 신축율이 1.2:1~1.5:1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재는 상기 접착층과 닿지 않는 일면에 불소계 방수제, 실리콘계 방수제, 왁스계 방수제, 지르코늄계 방수제, 에틸렌 요소계 방수제, 메틸올 아미드계 방수제, 피리디늄염계 방수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물질로 형성되는방수 코팅된 것인 테이핑 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중량평균분자량 10,000~1,000,000g/mol인 친수성 폴리비닐알콜 1~40중량%의 수용액을 동결 및 해동시켜 제조된 하이드로겔을 도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 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에는 구리, 알루미늄, 탄소, 철, 금, 은, 아연, 백금, 니켈, 코발트, 카드뮴, 크롬, 마그네슘, 나트륨, 및 칼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전기화학포텐셜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2종의 물질이 단위 면적(㎠)당 0.5~2g의 함량으로 도포된 것인 테이핑 시트.
KR20140040530A 2014-04-04 2014-04-04 테이핑 시트 KR101495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0530A KR101495594B1 (ko) 2014-04-04 2014-04-04 테이핑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0530A KR101495594B1 (ko) 2014-04-04 2014-04-04 테이핑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594B1 true KR101495594B1 (ko) 2015-02-25

Family

ID=5259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0530A KR101495594B1 (ko) 2014-04-04 2014-04-04 테이핑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5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523A (ko) * 2017-12-29 2019-07-0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습윤성 탄력붕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477A (ja) * 1994-11-02 1996-05-28 Yoshihisa Muroga 外反拇指矯正用テープ
JP2002204810A (ja) 2001-01-11 2002-07-23 Alcare Co Ltd バンデ−ジ
JP2003093434A (ja) 2001-09-27 2003-04-02 Teikoku Seiyaku Co Ltd 伸縮性外用貼付剤
JP2012515609A (ja) 2009-01-26 2012-07-12 ビーエスエヌ メディカル,インク. 防水包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1477A (ja) * 1994-11-02 1996-05-28 Yoshihisa Muroga 外反拇指矯正用テープ
JP2002204810A (ja) 2001-01-11 2002-07-23 Alcare Co Ltd バンデ−ジ
JP2003093434A (ja) 2001-09-27 2003-04-02 Teikoku Seiyaku Co Ltd 伸縮性外用貼付剤
JP2012515609A (ja) 2009-01-26 2012-07-12 ビーエスエヌ メディカル,インク. 防水包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1523A (ko) * 2017-12-29 2019-07-0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습윤성 탄력붕대
KR102200787B1 (ko) 2017-12-29 2021-01-12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한 습윤성 탄력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6561B2 (en) Compression garment apparatus
US11369522B2 (en) Pressure-sensing compression bandage
JP6092469B2 (ja) 拡張可能な創傷被覆材
US7303539B2 (en) Gel wrap providing musculo-skeletal support
US11344719B2 (en) Electric bandage for accelerated wound recovery
JP2022137110A (ja) 医療圧迫用接着フィルム包帯
WO2016205881A1 (en) Anisotropically conductive material for use with a biological surface
US9867976B2 (en) Long-term wear electrode
US7101349B2 (en) Flexible support for gel wraps
CA2851552A1 (en) Article of clothing
WO2012094264A2 (en) Adhesively attachable material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reof
KR101495594B1 (ko) 테이핑 시트
US20230414145A1 (en) Electrodes having dry adhesive sections, wearable devices including such electrode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uch electrodes
CN210056460U (zh) 一种用于静脉曲张治疗的弹力袜
CN218391437U (zh) 骨科术后用于腿部镇痛消肿的带电刺激的弹力袜
KR102617010B1 (ko) 테이핑 키트 및 신체 접착용 테이프의 첩부 방법
JP6148651B2 (ja) リンパ浮腫治療サポーター
CN214232414U (zh) 一种导电的疤痕压力治疗装置
CN210472209U (zh) 一种手术护理用加压袋
EP3915416A1 (en) Adhesive silicone pattern material, and wear comprising same
JP3136797U (ja) 生体装着用複合構成体
US11510821B2 (en) Scar reduction bandage
WO20130498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argeted lipolysis
IT201800005140A1 (it) Tessuto per la realizzazione di indumenti e bendaggi di compressione ed indumento contenitivo realizzato con detto tessuto
Balaraju et al. Modified Unna boot and pinch grafting for chronic non-healing venous leg ulc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