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881B1 - 부직포 - Google Patents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881B1
KR101477881B1 KR1020127027736A KR20127027736A KR101477881B1 KR 101477881 B1 KR101477881 B1 KR 101477881B1 KR 1020127027736 A KR1020127027736 A KR 1020127027736A KR 20127027736 A KR20127027736 A KR 20127027736A KR 101477881 B1 KR101477881 B1 KR 101477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ossing
nonwoven fabric
line
embossed
unit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5883A (ko
Inventor
다로 이치카와
요시히사 가와카미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5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내보풀성, 유연성, 인장 강도의 균형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 엠보싱부와 비엠보싱부를 갖는 부직포로서, 상기 엠보싱부가, 엠보싱 라인에 의해서 구획된 단위 패턴을 갖는 엠보싱 패턴으로 구성되고, 상기 엠보싱 라인이,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 패턴 내의 비엠보싱부의 임의의 개소로부터 상기 비엠보싱부를 구획하는 엠보싱 라인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최단이 되는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임의의 개소로부터 상기 비엠보싱부를 구획하는 엠보싱 라인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최단이 되는 방향을 가로막도록 배설되어 있다.

Description

부직포{NONWOVEN FABRIC}
본 발명은 엠보싱부와 비엠보싱부를 갖는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스펀 본드 부직포로 대표되는 부직포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탈락을 막기 위해서, 통상, 엠보싱 롤을 통해서 부분적으로 열 압착(엠보싱 처리)되어 있다.
이러한 열 압착에 의한 엠보싱 패턴(엠보싱의 형상)은, 통상, 부직포의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 이하, MD라고도 함) 및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Cross Machine Direction: 이하, CD라고도 함)으로 소정 간격마다 규칙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엠보싱 패턴에 의해서, 얻어지는 부직포의 강도, 신도, 유연성, 섬유의 내탈락성, 보풀 등의 특성이 크게 변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엠보싱 패턴이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일본 특허공개 1982-167442호 공보)에는, 각 단위 패턴이 능형(菱形), 육각형의 엠보싱 패턴을 갖고, 단위 패턴의 엠보싱 라인이, 각점, 환점, 선, 파선 등의 형상을 소정 간격마다 복수 늘어세워 형성된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일본 특허공개 1999-335960호 공보)에는, 각 단위 패턴이 격자형, 파형, 선형, 타원형, 원호형의 엠보싱 패턴을 갖고, 단위 패턴의 엠보싱 라인이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부직포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1982-167442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1999-335960호 공보
그러나, 이들 엠보싱 패턴 중에서, 예컨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엠보싱 라인(116)이 각점(120)으로 이루어지는 능형의 단위 패턴(118)이 실시된 부직포는, 엠보싱 라인(116)을 통해서 인접하는 비엠보싱부(114)와 비엠보싱부(114) 사이에서, 섬유가 크게 부상(浮上)하는 문제가 있어, 내보풀성(fuzz resistance)이 뒤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엠보싱 라인(216)이 연속하고, 격자상(단위 패턴(218)은 정방형의 능형)으로 구획되어 이루어지는 엠보싱 패턴이 실시된 부직포는, 엠보싱 라인(216)이 일직선(220)의 형상으로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내보풀성은 우수하지만, 유연성이 뒤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상기한 특허문헌 등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은 엠보싱부의 단위 패턴에 있어서의 엠보싱 라인을 선택한 경우, 얻어지는 부직포의 내보풀성, 유연성, 인장 강도를 바꿀 수는 있더라도, 내보풀성, 유연성, 인장 강도의 균형이 우수한 부직포를 얻는 것은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상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내보풀성, 유연성, 인장 강도의 균형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엠보싱부와 비엠보싱부를 갖는 부직포로서,
상기 엠보싱부가, 엠보싱 라인에 의해서 구획된 단위 패턴을 갖는 엠보싱 패턴으로 구성되고,
상기 엠보싱 라인이,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 패턴 내의 비엠보싱부의 임의의 개소로부터 상기 비엠보싱부를 구획하는 엠보싱 라인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최단이 되는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임의의 개소로부터 상기 비엠보싱부를 구획하는 엠보싱 라인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최단이 되는 방향을 가로막도록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엠보싱 요소부는, 부분적으로 열 압착된 상태이며, 비엠보싱부의 주위가 비연속인 엠보싱부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엠보싱 라인을 통해서 인접하는 비엠보싱부 사이에서 섬유가 크게 부상하는 일이 없어, 내보풀성이 우수하다.
더구나, 이러한 부직포는, 비엠보싱부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 존재하고 있고, 또한 엠보싱 라인이 비연속이기 때문에, 엠보싱 라인이 연속하고 있는 엠보싱 패턴보다도 유연성도 우수하다.
또한, 인장 강도는 종래의 것과 동등한 사양을 갖기 때문에, 내보풀성, 유연성, 인장 강도의 균형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기 엠보싱 라인이,
상기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를 각각 등간격 이격하여 파선상으로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엠보싱 라인이 파선상이면, 부분적으로 열 압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엠보싱 라인을 통해서 인접하는 비엠보싱부 사이에서 섬유가 크게 부상하는 일이 없어, 내보풀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기 엠보싱 라인이,
상기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를 각각 기울인 상태로, 이것을 등간격 이격하여 연속적으로 배설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엠보싱 라인이,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를 기울여 이루어지면, 부분적으로 열 압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엠보싱 라인을 통해서 인접하는 비엠보싱부 사이에서 섬유가 크게 부상하는 일이 없어, 내보풀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기 엠보싱 요소부의 길이가 0.5∼5mm의 범위 내임과 아울러, 상기 파선상으로 배설된 엠보싱 요소부끼리의 간격이 0.5∼5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엠보싱 요소부를 설정하면, 엠보싱 라인을 통해서 인접하는 비엠보싱부 사이에서 섬유가 크게 부상하는 일이 없어, 내보풀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기 엠보싱 요소부의 형상이, 직선상, 곡선상, 지그재그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엠보싱 요소부의 형상을 설정하면, 엠보싱 라인을 통해서 인접하는 비엠보싱부 사이에서 섬유가 크게 부상하는 일이 없어, 내보풀성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기 엠보싱 라인에 의해서 구획된 단위 패턴이,
상기 부직포의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 및 기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Cross Machine Direction)에 대하여, 규칙적으로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단위 패턴이 규칙적으로 배설되어 있으면, 부직포의 어느 쪽의 개소여도, 섬유가 크게 부상하는 일이 없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기 단위 패턴이,
상기 부직포의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의 폭의 길이가 2∼15mm의 범위 내임과 아울러,
상기 기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Cross Machine Direction)의 폭의 길이가 2∼15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길이로 단위 패턴을 설정하면, 엠보싱 라인을 통해서 인접하는 비엠보싱부 사이에서 섬유가 크게 부상하는 문제를 확실히 해소할 수 있다.
더구나, 부직포의 단위 패턴이 이러한 크기이면, 유연성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기 엠보싱 라인의 라인 폭이 0.5∼3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엠보싱 라인의 라인 폭을 설정하면, 내보풀성, 유연성, 인장 강도의 균형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기 엠보싱 라인에 의해서 구획된 단위 패턴이 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단위 패턴이 능형이면, 특히 내보풀성, 유연성, 인장 강도의 균형이 우수한 부직포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엠보싱 패턴은 결과로서, 엠보싱부가 봉제한 것 같은 외관을 갖기 때문에, 부직포이면서 직포와 같은 고급 외관을 부여할 수 있어, 심미성의 관점에서도 우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패턴을 구획하여 이루어지는 엠보싱 라인을 구성하는 엠보싱 요소부를, 부분적으로 열 압착된 상태로 하여, 비엠보싱부의 주위가 비연속인 엠보싱부로 둘러싸이도록 했기 때문에, 엠보싱 라인을 통해서 인접하는 비엠보싱부 사이에서 섬유가 크게 부상하는 일이 없어 내보풀성이 우수하고, 더구나 비엠보싱부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 존재하고, 또한 엠보싱 라인이 비연속이기 때문에 유연성도 우수하며, 인장 강도는 종래의 것과 동등한 사양을 가져, 내보풀성, 유연성, 인장 강도의 균형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엠보싱부와 비엠보싱부를 갖는 부직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부직포의 엠보싱부의 단위 패턴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엠보싱 요소부가 어떻게 배설되어 있는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엠보싱 요소부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는 곡선상, 도 4(b)는 지그재그상의 엠보싱 요소부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엠보싱부에서의 다른 단위 패턴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단위 패턴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6(a)는 삼각형, 도 6(b)는 사각형, 도 6(c)는 환형, 도 6(d)는 귀갑형의 단위 패턴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종래의 부직포에 있어서의 엠보싱 라인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부직포에 있어서의 엠보싱 라인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섬유 재료>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셀룰로스 등의 천연 섬유, 레이온 등의 재생 섬유, 열가소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합성 섬유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섬유이다. 이들 섬유 중에서도, 합성 섬유가 부직포의 제조에 적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합성 섬유의 원료로 되는 열가소성 중합체는, 섬유화하여 부직포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류,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폴리스타이렌계 폴리머류, 폴리스타이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터류, 폴리에스터계 엘라스토머, 폴리아마이드류, 폴리아마이드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 폴리락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중합체는, 2종 이상의 조합, 또는 2종 이상의 조성물이어도 좋다.
열가소성 중합체 중에서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류가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이, 성형시의 방사 안정성이나 부직포의 가공성 및 통기성, 유연성, 경량성, 내열성이 우수한 부직포가 얻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융점(Tm)이 125℃ 이상, 바람직하게는 130∼165℃의 범위에 있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소량의 에틸렌, 1-뷰텐, 1-펜텐, 1-헥센, 1-옥텐, 4-메틸-1-펜텐 등의 탄소수 2 이상(단 탄소수 3을 제외한다), 바람직하게는 2∼8(단 탄소수 3을 제외한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다.
열가소성 중합체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로, 통상 사용되는 산화 방지제, 내후 안정제, 내광 안정제, 블록킹 방지제, 활제, 핵제, 안료, 친수제, 발수제, 조제 등의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부직포>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고, 여러 가지 공지된 부직포, 예컨대,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우 부직포, 습식 부직포, 건식 부직포, 건식 펄프 부직포, 플래쉬 방사 부직포, 개섬 부직포 등 여러 가지 공지된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이들 부직포 중에서도, 스펀 본드 부직포가, 장섬유로 구성되고, 더구나 방사부터 엠보싱 처리까지 연속 공정으로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 및 멜트 블로우 부직포 등 그 밖의 부직포와의 복합이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통상, 섬도가 0.5∼5데니어, 바람직하게는 0.5∼3데니어의 범위에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단섬유여도 좋지만, 장섬유인 것이, 얻어지는 부직포로부터 섬유의 탈락 등이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합성 섬유이면,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단일 섬유, 또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중합체로부터 구성되는 심초(core-sheath) 구조,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yde) 구조 등의 복합 섬유여도 좋다.
또한, 섬유의 형상은, 단면이 원형 이외에, V자형, 십자형, T자형 등의 이형 단면이어도, 또는 권축 섬유여도 좋다. 특히, 권축 섬유는, 얻어지는 부직포의 유연성이나 벌크성(bulkiness), 신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는, 통상, 평량이 3∼100g/m2, 바람직하게는 7∼60g/m2의 범위에 있다.
<엠보싱부(12)>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직포(10)는, 엠보싱부(열 압착부)(12)와 비엠보싱부(비압착부)(14)를 갖는 부직포(10)이다.
한편, 본 명세서 중에서 엠보싱부(12)는, 엠보싱 롤(도시하지 않음)로 부직포를 부분적으로 열 압착함으로써 형성한 것이고, 비엠보싱부(14)는 그 이외의 열 압착되어 있지 않은 모든 개소를 가리키는 것이며, 특별히 엠보싱부와 비엠보싱부가 영역마다 구분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엠보싱부(12)는, 엠보싱 라인(16)에 의해서 구획된 단위 패턴(18)을 복수 반복한 엠보싱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패턴(18)이 능형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엠보싱 라인(16)의 라인 폭 W1은 0.5∼3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라인 폭 W1이 0.5mm보다 좁으면, 엠보싱부(열 압착부)(12)가 극단적으로 작게 되기 때문에, 얻어지는 부직포(10)는, 유연성은 우수하지만, 보풀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불충분한 경우가 있다.
한편, 라인 폭 W1이 3mm보다 크면, 엠보싱부(열 압착부)(12)와 엠보싱부(열 압착부)(12)의 간격이 커지기 때문에, 비엠보싱부(14)가 커져 보풀을 억제하는 효과가 낮게 되는 데다가, 비엠보싱부(14)를 통하여 섬유가 크게 부상할 우려가 생긴다. 또한, 인장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 때문에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엠보싱 라인(16)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20)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엠보싱 라인(16)과 엠보싱 라인(16)이 교차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각 엠보싱 요소부(20)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엠보싱 요소부(20)끼리가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패턴(18) 내의 비엠보싱부(14)의 임의의 개소(22)로부터, 비엠보싱부(14)를 구획하는 엠보싱 라인(16)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최단이 되는 방향(화살표 24)에 있어서,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20)가 서로 겹쳐 형성되어 있고, 이 방향을 엠보싱 요소부(20)가 가로막도록 배설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엠보싱 요소부(20)가 2개의 파선상으로 배설되어 있고, 이웃하는 파선의 비엠보싱부(엠보싱 요소부(20)와 엠보싱 요소부(20) 사이의 부분)(14)끼리가 중복되지 않게 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 있어서는, 엠보싱 요소부(20)가 2개의 파선상으로 배설되어 있지만, 이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웃하는 파선의 비엠보싱부(14)가 중복되지 않게 되어 있으면, 2개 이상이어도 좋은 것이다.
한편, 각 엠보싱 요소부(20)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서는 직선상이지만, 이것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선상,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재그상 등이어도 좋은 것이다.
이러한 엠보싱 요소부(20)의 길이 W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0.5∼5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길이 W2가 0.5mm 미만이면, 엠보싱 요소부(20)의 배설이 곤란해지는 데다가, 엠보싱부(열 압착부)(12) 그 자체가 작게 되기 때문에, 보풀을 억제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또한, 엠보싱 롤의 내구성이 뒤떨어지게 되기 때문에, 생산상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이 길이 W2가 5mm를 넘는 경우는, 엠보싱부(열 압착부)(12)의 연속 부분이 커져, 얻어지는 부직포(10)의 유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엠보싱 요소부(20)와 엠보싱 요소부(20)의 간격(비엠보싱부(14)의 거리) W3은 0.5∼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 W3이 0.5mm 미만이면, 실질적으로 엠보싱부(열 압착부)(12)가 연속하게 되어, 얻어지는 부직포(10)의 유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이 간격 W3이 5mm를 넘는 경우는, 엠보싱부(열 압착부)(12)와 엠보싱부(열 압착부)(12)의 간격이 커지기 때문에, 비엠보싱부가 커져 보풀을 억제하는 효과가 낮게 되는 데다가, 비엠보싱부를 통하여 섬유가 크게 부상할 우려가 생긴다. 또한, 인장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 때문에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이러한 엠보싱 요소부(20)의 굵기 W4는 0.05∼1.5mm의 범위 내이면 바람직하고, 더욱이 0.1∼1.0mm의 범위 내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굵기 W4가 0.05mm 미만인 경우에는, 엠보싱 요소부(20)를 부직포에 형성하는 엠보싱 롤 그 자체의 가공을 하기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한편, 이 굵기 W4가 1.5mm를 넘는 경우에는, 엠보싱 라인(16)이 지나치게 굵게 되어 버려 유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엠보싱 라인(16)으로 구획 형성된 단위 패턴(18)은, 부직포(10)의 기계 방향(MD)의 폭의 길이 W5, 및 기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CD)의 폭의 길이 W6이 2∼15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3∼10mm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길이 W5, W6이 2mm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얻어지는 부직포(10)는, 내보풀성이 우수하지만 유연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이 길이 W5, W6이 15mm를 넘는 경우에는, 얻어지는 부직포(10)는, 유연성이 우수하지만, 단위 패턴(18) 내에서의 섬유의 부상이 커져 내보풀성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인장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편, 부직포의 기계 방향(MD)의 폭의 길이 W5와, 기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CD)의 폭의 길이 W6은, 같아도 달라도 좋은 것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단위 패턴(18)이 능형인 경우에는, 능형을 형성하는 각 변의 길이가 3∼10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본 실시예와 같이, 단위 패턴(18)이 능형인 경우에는, 능형을 구성하는 각 변에서, 엠보싱 롤의 가공 적성상, 엠보싱 요소부(20)가 3∼10개 정도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엠보싱 요소부(20)를 각각 등간격 이격하여 파선상으로 배설하고 있지만, 그 외에도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엠보싱 요소부(20)를 기울인 상태로 이것을 등간격 이격하여 연속적으로 배설하여도 좋은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부직포(10)는, 엠보싱 라인(16)이,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20)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연속적으로 배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단위 패턴(18) 내의 비엠보싱부(14)의 임의의 개소(22)로부터 비엠보싱부(14)를 구획하는 엠보싱 라인(16)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최단이 되는 방향(화살표 24)에 있어서,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20)가 서로 겹쳐 있고, 엠보싱 요소부(20)가, 최단이 되는 방향(화살표 24)을 가로막도록 배설되어 있다.
이것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단위 패턴을 구획하는 엠보싱 라인을, 각점을 연속하여 배설하여 구성하거나, 직선상의 엠보싱 라인으로 구성하거나 한 경우와 비교하여, 내보풀성, 유연성, 인장 강도의 균형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10)는, 종래의 엠보싱 라인이 특히 파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생기고 있었던 비엠보싱부을 통해서 인접하는 단위 패턴 사이에서 섬유가 크게 부상하는 문제가 생기는 일이 없기 때문에, 내보풀성이 우수하다.
더구나 인장 강도에 관해서는, 종래의 것과 동등한 사양을 갖기 때문에, 내보풀성, 유연성, 인장 강도의 균형이 우수한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내보풀성과 유연성의 양쪽의 균형이 우수한 부직포는 이제까지 없고, 위생재 용도, 특히 종이 기저귀용 부재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이 기저귀의 백 시트에 이용한 경우, 보풀을 억제하면서, 종래품에 비하여 유연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를 권축 섬유로 한 경우, 더욱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가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촉감뿐만 아니라, 그 후의 부직포의 2차 가공을 하기기 쉽다는 것도 시사하고 있다.
예컨대 링 롤 가공, 기어 연신 가공, 부형 처리 가공, 플리트(pleat) 가공 등을 행한 경우에도, 부직포가 단열(斷裂)되지 않고 변형의 자유도가 크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를 권축 섬유로 한 경우, 권축 섬유의 신축성도 부여되기 때문에, 더욱 가공의 자유도는 향상된다. 경우에 따라서 신축 부재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원료에 친수제를 혼련해 넣거나, 친수제를 도포한 경우, 종이 기저귀의 탑 시트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탑 시트는 피부에 접하는 부재이기 때문에 유연성이 중시되지만, 본 발명의 부직포의 엠보싱 패턴은 유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또한 섬유를 권축 섬유로 한 경우, 더욱 피부에의 유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동시에, 탑 시트는 피부에의 유연성뿐만 아니라, 흡수체로부터의 액의 되돌아감을 방지할 수 있는가가 큰 과제이다.
이 액 되돌아감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에 있어서, 부직포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액을 되돌아가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사용하면, 비엠보싱부가 어느 정도의 크기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부직포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를 권축 섬유로 한 경우, 더욱 두껍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컨대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엠보싱부(12)의 단위 패턴(18)의 형상이 능형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도 6(a)), 사각형(도 6(b)), 다각형, 환형(도 6(c)), 별형, 귀갑형(도 6(d)), 캐릭터 디자인 등, 요는, 형상이 닫혀 있어 반복의 구조를 취할 수 있다면 어느 형상이어도 좋은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실시예
<평가에 이용하는 부직포 샘플 및 이 부직포 샘플의 평량에 대하여>
JIS-L1096-1990의 6.4.2항의 「표준 상태에 있어서의 단위 면적당 질량」에 따라서 측정했다. 제작한 부직포 샘플에 대하여, 100cm2의 원형 시험편을 채취했다.
채취 장소는, 기계 방향(MD)에 대하여는 임의의 장소로 하고,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CD)에 대하여는 부직포 샘플의 양단 20cm를 제외하고, 직선 상으로 균일 간격으로 20개소로 했다.
채취한 각 시험편에 관하여, 윗접시 전자 천칭(시마즈제작소제, EB-330형)을 이용하여, 각각 질량(g)을 측정하여, 각 시험편의 질량(g)의 평균치를 구했다.
구한 평균치로부터 1m2당 질량(g)으로 환산하여, 소수점 둘째 자리를 사사 오입하여 각 부직포 샘플의 평량(g/m2)으로 했다.
(1) 내보풀성의 평가
제작한 부직포 샘플에 대하여 300mm(MD)×25mm(CD)의 시험편을 40개 채취하여, JIS-L0849-2004의 5의 5.1의 b에 기재된 장치 「마찰시험기 II형(학진형(學振形))」을 이용하여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장치로서 다이에이과학정기사(DAIEI KAGAKU SEIKI MFG. Co., Ltd.)제 RT-100형을 이용하고, 마찰자의 하중을 200g으로 하고, 포장용 점착 테이프(천) No. 314(린레이테이프사(Rinrei Tape Co., Ltd.)제)를 이용하여, 상기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과, 시험편의 측정면이 마찰 가능하도록 배설했다.
이 때, 측정 중에 시험편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포지 「400번」의 사포면을 위로 하여 장치의 대(臺) 상에 부착하고, 추가로 시험편을 측정면이 위로 되도록 사포면 위에 놓아, 장치의 대 상에 부착했다.
시험편을 부착한 후, 시험편의 측정면과 점착 테이프의 비점착면을 50회 왕복 마찰시켰다. 마찰이 된 시험편의 측정면을 관찰하여, 내보풀성에 대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점수를 붙여 평가했다.
1점: 보풀이 없다.
2점: 1개소에 작은 보풀 뭉치[毛玉]가 생기기 시작하는 정도로 보풀이 있다.
3점: 분명한 보풀 뭉치가 생기기 시작하고, 또한 작은 보풀 뭉치가 복수 보인다.
4점: 보풀 뭉치가 크게 분명히 보이고, 복수 개소에서 섬유가 부상하기 시작한다.
5점: 시험편이 얇아질 정도로 격심하게 섬유가 벗겨지고 있다.
6점: 시험편이 파손될 정도로 섬유가 벗겨진다.
(2) 인장 강도의 평가
부직포 시험편의 폭 25mm, 척간 거리 100mm, 인장 속도 100mm/분의 조건으로, 기계 방향(MD) 및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CD)의 2방향의 인장 시험을 행하여, 최대 인장 하중을 인장 강도(N/25mm)로 했다. 5회 측정하여 5회의 평균치를 구했다.
(3) 유연성의 평가
JIS-L1096(6.19.1 A법 항)에 준거하여, JIS Z8703(시험 장소의 표준 상태)에서 규정하는 온도 20±2℃, 습도 65±2%의 항온실 내에서 폭 20mm×150mm의 시험편을 기계 방향(MD)으로 5장 채취하여, 45°의 사면을 갖는 표면이 매끄러운 수평대 상에 시험편의 단변을 스케일 기준선에 맞춰 놓는다.
다음으로, 수동에 의해 시험편을 사면의 방향으로 완만하게 미끄러뜨려 시험편의 일단의 중앙점이 사면과 접했을 때 다른 단의 위치의 이동 길이를 스케일에 의해서 읽는다. 강연성(剛軟性)(강연도)은 시험편의 이동 길이(mm)로 나타내며, 각각 5장의 표리에 대하여 측정하여,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이른바 45° 캔틸레버법에 의한 측정에서는, 시험편의 이동 길이(mm)가 짧을수록 부직포에 유연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강연도의 값이 50mm 이하인 경우에, 유연성이 양호하다고 판단된다. 단, 필요한 유연성은 사용 목적 등에 따라서도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이 수치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4) 마찰 후의 엠보싱 패턴의 평가
ASTM D-5264에 준거하여, 부직포의 기계 방향(MD)의 폭 110mm,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CD)의 폭 40mm의 부직포 시험편을 준비했다.
이 부직포 시험편을 서덜랜드 잉크 럽 테스터(Sutherland Ink Rub Tester) 시험기의 시료 홀더에 부착하고, #40의 샌드 페이퍼를 이용하여, 10회 마찰했다.
그 후, 부직포 시험편을 검은 대지(臺紙) 상에 늘어 놓고, 30cm 높이로부터 사진 촬영했다.
사진을 확대하여 30mm 각의 범위로 엠보싱 패턴을 관찰했다.
판별할 수 있는 엠보싱부가 50% 이상 인지되는 경우를 「판별 가능」, 50% 미만인 경우를 「판별 불가」라고 했다.
[실시예 1]
제 1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 융점 162℃, MFR(ASTM D1238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kg에서 측정, 이하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동일) 60g/10분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제 2 프로필렌계 중합체로서, 융점 142℃, MFR 60g/10분, 에틸렌 단위 성분 함량 4.0몰%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스펀 본드법에 의해 복합 용융 방사를 행하여, 심부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이며, 초부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심부/초부=20/80(중량비))인 편심의 심초형 복합 섬유를 포집면 상에 퇴적시켰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엠보싱 패턴(엠보싱 면적률 10%, 엠보싱 라인의 폭 0.25mm, 엠보싱 요소부의 길이 1.0∼1.5mm, 엠보싱 요소부와 엠보싱 요소부의 간격 0.5∼1.0mm)이 되도록, 엠보싱 속도 5m/분, 엠보싱 온도 110℃로 엠보싱 가공하여, 평량 30g/m2, 구성 섬유의 섬도 2.5데니어의 권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를 제조했다.
수득된 부직포를 이용하여 상기한 (1)∼(4)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도 2에 나타낸 엠보싱부의 단위 패턴의 엠보싱 라인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점 형상을 등간격마다 복수 늘어세워 형성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상기한 (1)∼(4)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도 2에 나타낸 엠보싱부의 단위 패턴의 엠보싱 라인을,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상으로 하고, 엠보싱 면적률 24%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상기한 (1)∼(4)의 평가를 행했다.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86741306-pct00001
평가 결과에 의하면, 우선 (1) 내보풀성에 관해서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에 대해서는, 동등한 내보풀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1에 대해서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와 비교하여 내보풀성이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어서 (2) 인장 강도에 관해서는, 기계 방향(MD) 및 기계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CD)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비교예 1, 2에서 동등한 수치이며, 실시예 1과 비교예에서 동등한 인장 신도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어서 (3) 유연성에 관해서는, 실시예 1의 값은 비교예 1, 2의 값과 비교하여 작아, 실시예 1의 엠보싱 패턴이 비교예 1, 2와 비교하여 유연성이 우수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최후로 (4) 마찰 후의 엠보싱 패턴에 관해서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2는 판별 가능하지만, 비교예 1은 판별 불가인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시예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부직포는, 비교예 1, 2에 나타낸 종래의 부직포와 비교하여 특히 유연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내보풀성에 관해서는, 비교예 1보다도 우수하고, 비교예 2와 동등하게 양호하며, 더욱이 인장 강도에 관해서는 비교예 1, 2와 동등하여, 내보풀성, 유연성, 인장 강도의 균형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마찰 후의 엠보싱 패턴에 관해서도 비교예 2와 동등하게 판별 가능하여, 반복 사용에 있어서도 엠보싱 패턴을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부직포
12···엠보싱부
14···비엠보싱부
16···엠보싱 라인
18···단위 패턴
20···엠보싱 요소부
22···임의의 개소
24···화살표
W1···엠보싱 라인의 폭
W2···엠보싱 요소부의 길이
W3···엠보싱 요소부와 엠보싱 요소부의 간격
W4···엠보싱 요소부의 굵기
W5···단위 패턴에 있어서의 MD의 폭의 길이
W6···단위 패턴에 있어서의 CD의 폭의 길이
114···비엠보싱부
116···엠보싱 라인
118···단위 패턴
120···각점
216···엠보싱 라인
218···단위 패턴
220···일직선

Claims (9)

  1. 엠보싱부와 비엠보싱부를 갖는 스펀 본드 부직포로서,
    상기 엠보싱부가, 엠보싱 라인에 의해 구획된 단위 패턴을 갖는 엠보싱 패턴으로 구성되고,
    상기 엠보싱 라인이, 소정의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위 패턴 내의 비엠보싱부의 임의의 개소로부터 상기 비엠보싱부를 구획하는 엠보싱 라인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최단이 되는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임의의 개소로부터 상기 비엠보싱부를 구획하는 엠보싱 라인의 바깥쪽으로 향하여 최단이 되는 방향을 가로막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엠보싱 라인과 엠보싱 라인이 교차하는 부분에서는 각 엠보싱 요소부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엠보싱 요소부끼리가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 본드 부직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엠보싱 라인이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에 의해 파선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 본드 부직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엠보싱 라인이 복수의 엠보싱 요소부를 각각 기울인 상태로 등간격으로 이격시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 본드 부직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엠보싱 요소부의 길이가 0.5∼5mm의 범위 내이고, 파선상으로 배치된 엠보싱 요소부끼리의 간격이 0.5∼5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 본드 부직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엠보싱 요소부의 형상이 직선상, 곡선상, 지그재그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 본드 부직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엠보싱 라인에 의해서 구획된 단위 패턴이 상기 스펀 본드 부직포의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 및 기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Cross Machine Direction)에 대해 규칙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 본드 부직포.
  7. 제 6 항에 있어서,
    단위 패턴이 상기 스펀 본드 부직포의 기계 방향(Machine Direction)의 폭의 길이가 2∼15mm의 범위 내이고, 기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Cross Machine Direction)의 폭의 길이가 2∼15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 본드 부직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엠보싱 라인의 라인 폭이 0.5∼3mm의 범위 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 본드 부직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엠보싱 라인에 의해서 구획된 단위 패턴이 능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 본드 부직포.
KR1020127027736A 2010-03-30 2011-03-09 부직포 KR101477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78216 2010-03-30
JPJP-P-2010-078216 2010-03-30
PCT/JP2011/055487 WO2011122277A1 (ja) 2010-03-30 2011-03-09 不織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5883A KR20130025883A (ko) 2013-03-12
KR101477881B1 true KR101477881B1 (ko) 2014-12-30

Family

ID=4471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7736A KR101477881B1 (ko) 2010-03-30 2011-03-09 부직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56591B2 (ko)
EP (1) EP2554731B1 (ko)
JP (1) JP5592937B2 (ko)
KR (1) KR101477881B1 (ko)
CN (1) CN102822406B (ko)
DK (1) DK2554731T3 (ko)
WO (1) WO2011122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4413B2 (ja) * 2013-03-26 2016-12-1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トップ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EP2821043A1 (en) * 2013-07-02 2015-01-07 Fitesa Germany GmbH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US20160362825A1 (en) * 2013-07-02 2016-12-15 Fitesa Germany Gmbh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JP2015112340A (ja) * 2013-12-12 2015-06-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JP2018523556A (ja) 2015-07-31 2018-08-2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成形された不織布を用いた吸収性物品のパッケージ
JP6906915B2 (ja) * 2015-09-29 2021-07-21 日東電工株式会社 層状物品
WO2017083850A1 (en) * 2015-11-12 2017-05-18 First Quality Nonwovens, Inc. Nonwoven with improved abrasion resistan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791625B2 (ja) * 2015-12-08 2020-11-2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WO2017106080A1 (en) * 2015-12-16 2017-06-22 Avintiv Specialty Materials Inc. Soft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EP3187635A1 (en) 2015-12-30 2017-07-05 Hayat Kimya Sanayi Anonim Sirketi Soft nonwoven fabric
DE102016001807A1 (de) * 2016-02-17 2017-08-17 Carl Freudenberg Kg Vliesstoff mit geprägtem Netzmuster
CN108697562A (zh) 2016-03-04 2018-10-23 三井化学株式会社 吸收体及卫生用品
WO2017170241A1 (ja) * 2016-03-30 2017-10-05 三井化学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装置、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不織布
EP3239378B1 (de) 2016-04-29 2019-02-13 Reifenhäuser GmbH & Co. KG Maschinenfabrik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liesen aus endlosfilamenten
CZ307035B6 (cs) 2016-05-02 2017-11-29 Pegas Nonwovens S.R.O. Netkaná textilie obsahující tepelně pojitelná vlákna a pojicí vtisky
WO2019035965A1 (en) 2017-08-16 2019-02-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NON-WOVEN STRIPS AND METHODS OF MAKING SAME
EP3467175A1 (en) 2017-10-03 2019-04-10 Fitesa Germany GmbH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JP7054634B2 (ja) * 2018-02-21 2022-04-14 セーレン株式会社 測定装置
JP6619042B2 (ja) * 2018-03-28 2019-12-11 新和産業株式会社 複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装置
JP6649420B2 (ja) * 2018-03-28 2020-02-19 新和産業株式会社 複合構造体製造装置
KR102036763B1 (ko) * 2018-04-17 2019-11-26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EP3856110A1 (en) * 2018-09-27 2021-08-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arment-like absorbent articles
US20200131693A1 (en) * 2018-10-24 2020-04-30 Cornell University Hydrophobic/oleophobic fabrics with directional liquid transport property
US20200297555A1 (en) * 2019-03-21 2020-09-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discontinuous bond patterns
US12043019B2 (en) 2019-05-03 2024-07-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webs with one or more repeat units
KR102152393B1 (ko) * 2019-07-11 2020-09-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KR102152392B1 (ko) * 2019-07-11 2020-09-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권축형 복합섬유의 부직포와 그의 적층체, 및 물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376A (ja) * 1998-04-06 1999-10-26 Mitsui Chem Inc 透湿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5245483A (ja) * 2004-03-01 2005-09-15 Kao Corp 立体シート
KR20060038922A (ko) * 2003-05-01 2006-05-04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패턴화 시트 제품
JP2006233345A (ja) * 2005-02-22 2006-09-07 Kuraray Co Ltd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67442A (en) 1981-04-07 1982-10-15 Chisso Corp Production of nonwoven fabric
JP3490608B2 (ja) 1998-05-26 2004-01-26 花王株式会社 メカニカルテープのメス材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MXPA03006656A (es) 2001-01-29 2003-10-24 Mitsui Chemicals Inc Tela no tejida de fibras rizadas y laminado del mismo.
JP3973382B2 (ja) * 2001-08-10 2007-09-1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シート
JP2005245913A (ja) * 2004-03-08 2005-09-15 Kuraray Co Ltd 清掃用ワイパ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1376A (ja) * 1998-04-06 1999-10-26 Mitsui Chem Inc 透湿性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60038922A (ko) * 2003-05-01 2006-05-04 죤슨 앤드 죤슨 게엠베하 패턴화 시트 제품
JP2005245483A (ja) * 2004-03-01 2005-09-15 Kao Corp 立体シート
JP2006233345A (ja) * 2005-02-22 2006-09-07 Kuraray Co Ltd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22406B (zh) 2015-09-23
WO2011122277A1 (ja) 2011-10-06
EP2554731A1 (en) 2013-02-06
EP2554731A4 (en) 2014-01-15
CN102822406A (zh) 2012-12-12
EP2554731B1 (en) 2016-10-05
DK2554731T3 (en) 2016-12-05
KR20130025883A (ko) 2013-03-12
JP5592937B2 (ja) 2014-09-17
JPWO2011122277A1 (ja) 2013-07-08
US9856591B2 (en) 2018-01-02
US20120315440A1 (en) 2012-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881B1 (ko) 부직포
CN102459736B (zh) 具有表面凹凸结构的无纺布及使用了该无纺布的制品
JP6080319B2 (ja)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拭き取り材
CN102822405B (zh) 简易地制造具有凹凸的无纺布的方法以及简易地加工无纺布的方法
JP4943349B2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
KR101108638B1 (ko) 섬유속 및 웹
US20210007908A1 (en) Soft Nonwoven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JP6730677B2 (ja) 積層不織布シート
JP7221987B2 (ja) 捲縮型複合纎維の不織布及びその積層体、並びにその物品
EP3187635A1 (en) Soft nonwoven fabric
KR101455440B1 (ko) 면 파스너의 암부재, 이 암부재를 이용한 면 파스너 및 이 면 파스너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JP2018535332A (ja) 改善された耐摩耗性を有する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47098A (ja) 改善された特性を有する複合スパンボンド長繊維多層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US9044360B2 (en) Nonwoven fabric,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7140774B2 (ja) 繊維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38311A (ja) 柔軟性のある長繊維不織布
WO2001036731A1 (fr) Non-tisse comportant des fibres longues
JP5503768B2 (ja) 混繊長繊維不織布
RU2666673C1 (ru) Не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формирования
KR20120126122A (ko) 섬유, 부직포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