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5863B1 - 음파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파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5863B1
KR101475863B1 KR20130113500A KR20130113500A KR101475863B1 KR 101475863 B1 KR101475863 B1 KR 101475863B1 KR 20130113500 A KR20130113500 A KR 20130113500A KR 20130113500 A KR20130113500 A KR 20130113500A KR 101475863 B1 KR101475863 B1 KR 101475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
information
control information
frequency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3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석
진세훈
이형엽
탁종상
Original Assignee
(주)파워보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워보이스 filed Critical (주)파워보이스
Priority to KR20130113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5863B1/ko
Priority to CN201410490303.6A priority patent/CN104460579B/zh
Priority to JP2014193982A priority patent/JP2015065657A/ja
Priority to US14/494,694 priority patent/US2015008561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5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5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2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wav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3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data acquisition, e.g. workpiec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1Voice inpu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70Device sel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디바이스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부, 상기 수신한 음파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를 포함한다. 이때, 제어 정보 획득부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과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중 상기 수신한 음파 내 임의의 프레임으로부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가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부분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Description

음파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AN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음파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접속 기능을 내장한 냉장고, 세탁기, 오븐, 청소기, 에어컨, TV 등의 스마트 가전 제품이 등장하였으며, 이러한 스마트 가전 제품이 점차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가전 제품은 새로운 조리법이나 세탁 방법이 추가되는 경우, 온라인을 통해 해당 기능을 업데이트 할 수 있고, 외부에서 원격으로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단순한 냉장 또는 냉동 기능 외에, 인터넷을 통한 쇼핑, 식료품 관리 등의 기능을 갖춘 냉장고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스마트 가전 제품은 인터넷 접속 및 다른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위해서 홈 네트워크 상에서 무선 공유기 등의 AP(Access Point)와의 접속이 필수적이다. 다만, 현재의 스마트 가전은 화면 및 입력장치의 제약, 하드웨어의 사양, 소프트웨어의 사양 등의 이유로 기능이 제한적으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한 데이터의 입력이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홈 네트워크 상의 무선 공유기와의 접속 없이 스마트 가전 제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89854호에는 외부 인터넷과 연결되는 홈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가전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별도의 무선 통신 접속 없이 가전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동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음파를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상태 및 고장 여부가 가전기기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빠른 조치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통신 환경이 열악한 지역의 가전기기는 물론 통신 모듈이 탑재되지 않은 가전기기를 통해 스마트 가전기기에 준하는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더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부, 상기 수신한 음파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 획득부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과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중 상기 수신한 음파 내 임의의 프레임으로부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가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부분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음파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과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중 상기 수신한 음파 내 임의의 프레임으로부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가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부분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디바이스로부터 출력한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부, 상기 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부,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파 데이터 생성부, 및 음파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파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를 생성하고,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과 비가청 음파주파수 대역 중 상기 복수의 부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복수의 부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생성한 부분 정보 각각에 대해 생성하며, 상기 사운드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디바이스로부터 출력한 음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한 제어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출력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별도의 무선 통신 접속 없이 가전기기와 모바일 디바이스의 연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음파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가전기기의 동작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가전기기의 상태 및 고장 여부가 가전기기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효율적으로 전달되고, 빠른 조치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환경이 열악한 지역의 가전기기는 물론 통신 모듈이 탑재되지 않은 가전기기를 통해 스마트 가전기기에 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데이터 생성부(13)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획득부(17)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디바이스(10),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어 서버(3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은 동작 수행부(11)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8e는 위치 정보 생성부(18)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출력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제어 정보 출력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 범위의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진단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진단 시스템은 디바이스(10),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어 서버(3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진단 시스템은 네트워크 장치(21)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의 스마트 진단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도 1로부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수행하는 중, 동작과 관련하여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한다. 이 때, 상태 정보는 디바이스(10)의 현재 상태 또는 고장 진단 정보 중 하나 이상이다. 현재 상태의 일례는 디바이스(10)의 온/오프, 전원 사용 상태, 동작 시간 등을 포함하며, 고장 진단 정보의 일례는 이상 징후 발생 정보, 에러 코드, 고장 부위 정보 등을 포함한다.
디바이스(10)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파로부터 디바이스(10)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과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중 수신한 음파 내 임의의 프레임으로부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가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및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분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한 부분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수신한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자신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상태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알리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출력한 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파로부터 획득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10)의 일례는 스마트 가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가전은 자동적으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정이 가능한 가전제품으로서,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오븐, 전자레인지, 청소기, 선풍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바이스(10)가 도 1에 도시된 에어컨, TV 및 냉장고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고, 음파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이 때,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음파 출력 장치를 통해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할 수도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제어 서버(30)로 전송하고, 제어 서버(30)로부터 디바이스(10)와 관련된 제어 정보 또는 제어 정보에 필요한 특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수신한 제어 정보 또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일례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이동 통신 장치로서,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LTE(Long Term Evolution)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서버(30)는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와 연동한다. 예를 들어, 제어 서버(30)는 네트워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 경우, 디바이스(20)와 관련된 제어 정보를 상태 정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제어 서버(30)는 관리 서버 또는 고장진단 서버를 의미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네트워크 장치(21)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고, 음파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에 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 장치(21)는 음파 출력 장치를 통해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장치(21)는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자신을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다른 디바이스들이 네트워크와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중계 장치로서, 이와 같은 네트워크 장치(21)의 일례는 스위치, 게이트웨이 및 라우터는 물론,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망을 형성하는 무선 AP(Access Point)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장치(21) 역시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제어 서버(30)로 전송하고, 제어 서버(30)로부터 디바이스(10)와 관련된 제어 정보 또는 제어 정보에 필요한 특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 장치(21)는 수신한 제어 정보 또는 특정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주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될 것이나, 네트워크 장치(21) 역시 모바일 디바이스(20)의 동작에 대응하는 것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 모바일 디바이스(20)에 대해서 설명된 모든 내용은 네트워크 장치(21)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이하의 도면들을 통해 도 1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는 동작 수행부(11), 상태 정보 생성부(12), 음파 데이터 생성부(13) 및 음파 출력부(14)를 포함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1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동력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동작 수행부(11)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동작 수행부(11)는 디바이스(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력 장치를 통해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1)가 냉장고인 경우, 동작 수행부(11)는 냉장고에 포함된 동력 장치를 통해 냉매의 순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바이스(11)가 청소기인 경우 동작 수행부(11)는 동력 장치를 통해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디바이스(11)가 선풍기인 경우, 동작 수행부(11)의 동력 정치를 통해 선풍기의 팬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태 정보 생성부(12)는 동작과 관련된,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상태 정보는 디바이스(10)의 현재 상태 또는 고장 진단 정보 중 하나 이상이며, 현재 상태의 일례는 디바이스(10)의 온/오프, 전원 사용 상태, 동작 시간 등을 포함하며, 고장 진단 정보의 일례는 이상 징후 발생 정보, 에러 코드, 고장 부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태 정보 생성부(12)는 디바이스(10)의 동작과 관련하여, 이상 징후가 발생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가 냉장고이고, 디바이스(10)가 동작을 멈춘 경우, 상태 정보 생성부(12)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이 멈추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디바이스(10)가 세탁기이고, 세탁기에 소정 에러 코드가 발생한 경우, 상태 정보 생성부(12)는 에러 코드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음파 데이터 생성부(13)는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음파 데이터 생성부(13)는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부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한 복수의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결합시킴으로써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데이터 생성부(13)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3)는 부분 정보 생성부(131), 주파수 결정부(132), 사운드 신호 생성부(133) 및 생성부(134)를 포함한다. 다만,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3)의 구성은 도 3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부분 정보 생성부(131)는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부분 정보의 일례는 'ㄱ', 'a'와 같은 문자, '1', '2'와 같은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또한, 문자는 숫자 및 기호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일 수 있다.
주파수 결정부(132)는 복수의 부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결정부(12)는 비가청 음파 대역 주파수인 15000 Hz 내지 20000 Hz 사이의 총 대역폭 5000 Hz를 200 Hz 단위로 분리함으로써, 25개의 주파수를 구분한 후, 구분한 25개의 주파수 각각을 25개의 부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결정한다.
주파수 결정부(132)는 예를 들어, 부분 정보 '0'을 주파수 15000 Hz에 매핑하고, 부분 정보 '1'을 주파수 15200 Hz에 매핑하고, 부분 정보 '2'를 주파수 15400 Hz에 매핑하고, 부분 정보 'A'를 주파수 17000 Hz에 매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결정부(132)는 부분 정보 각각에 주파수 대역을 매핑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결정부(12)는 부분 정보 '0'을 주파수 15000 Hz 내지 15200 Hz에 매핑하고, 부분 정보 '1'을 주파수 15200 Hz 내지 15400 Hz에 매핑하고, 부분 정보 '2'를 주파수 15400 Hz 내지 15600 Hz에 매핑하고, 부분 정보 'A'를 주파수 17000 Hz 내지 17200 Hz에 매핑할 수도 있다.
사운드 신호 생성부(133)는 복수의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운드 신호 생성부(133)는 제 1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 2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운드 신호 생성부(133)는 주파수를 중심(또는 기본) 주파수 또는 캐리어 주파수로 갖는 정현파 음파 신호를 사운드 신호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신호 생성부(133)는 주파수 15000 Hz를 기본 주파수로 갖는 정현파 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부(134)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결합 또는 배열시킴으로써,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사운드 코드 생성부(134)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시간 간격에 따라 결합 또는 배열시킴으로써, 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시간 간격에 따라 배열된 사운드 신호 각각은 사운드 코드의 각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운드 코드는 헤더, 바디 및 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바디에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고, 헤더에는 인코딩 장치의 식별 정보, 디코딩 장치의 식별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사운드 신호(또는 부가 사운드 코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테일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와 같은 오류 정정 코드에 대응하는 오류정정 사운드 신호(또는 오류정정 사운드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결정부(132)는 제 1 부분 정보에 대응하는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를 결정하고, 사운드 신호 생성부(133)는 제 1 주파수 대역 및 제 2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제 1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결정부(132)는 하나의 부분 정보 당 2개 이상의 주파수를 할당 또는 매핑하고, 사운드 신호 생성부(133)는 2개 이상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개별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정현파 음파 신호 각각은 이산 신호 샘플들이고, 사운드 신호 생성부(133)는 코덱을 사용하여 제 1 정현파 음파 신호에 대응하는 제 1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고, 제 2 정현파 음파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 1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와 제 2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를 더해줌으로써, 제 1 사운드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결정부(132)는 서로 동일한 내용인 제 1 부분 정보와 제 2 부분 정보 각각의 주파수들을 서로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파수 결정부(132)는 제 1 부분 정보가 '1'이고, 제 2 부분 정보가 '1'인 경우와 같이 동일한 문자가 연속하는 경우, 제 1 부분 정보의 주파수를 15000Hz로 결정하고, 제 2 부분 정보의 주파수를 19000 Hz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 데이터 생성부(13)는 음성에 대응하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과 사운드 코드에 대응하는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을 구분하고, 구분한 주파수 대역 별로 음성 데이터 및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은 100 Hz 이상 8000 Hz 이하의 범위 내의 주파수 대역이고,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은 15000 Hz 이상 24000 Hz 이하의 범위 내의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음파 출력부(14)는 음파 출력 장치를 통해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한다. 이 때, 음파 출력 장치의 일례는 스피커 장치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한 음파는 모바일 디바이스(20) 또는 네트워크 장치(21)로 입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0)는 상태 판단부(15), 음파 수신부(16), 제어 정보 획득부(17) 및 위치 정보 생성부(18)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태 판단부(15)는 디바이스(10)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상태 정보 생성부(12)는 상태 판단의 결과에 따라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태 판단부(15)는 5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디바이스(10)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태 정보 생성부(12)는 상태 판단부(15)에 의한 판단 결과, 디바이스(10)의 이상 징후가 발생한 경우에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 수신부(16)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신 음파라고 표현한다. 또한, 음파 수신 장치의 일례는 마이크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신 음파는 음파 출력부(14)에 의해 출력된 음파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며, 이러한 응답의 일례가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제어 정보 획득부(17)는 수신 음파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정보 획득부(17)는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음파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식별하고, 식별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획득부(17)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정보 획득부(17)는 프레임 분할부(171), 주파수 식별부(172), 제어 정보 생성부(173)를 포함한다. 다만,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어 정보 획득부(17)는 도 5와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프레임 분할부(171)는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수신 음파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분할부(171)는 1초의 시간 간격에 따라 수신 음파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한다. 이 때, 수신 음파가 10초간 지속되는 음파인 경우, 수신 음파는 10개의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될 수 있다.
주파수 식별부(172)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식별한다. 이 때, 복수의 프레임 각각은 소정 주파수의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며,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는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복수의 주파수는 15000 Hz 이상 24000 Hz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고, 복수의 주파수간의 간격은 200 Hz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식별부(172)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한 주파수의 피크를 분석함으로써,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주파수 식별부(172)는 예를 들어, 복수의 프레임 중 제 1 프레임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인 15000 Hz를 식별하고, 제 2 프레임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의 주파수인 17000 Hz를 식별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예를 들어, 비가청 음파 대역 주파수인 15000 Hz 내지 20000 Hz 사이의 총 대역폭 5000 Hz를 200 Hz 단위로 분리하여, 25개의 주파수를 구분한 후, 구분한 25개의 주파수 각각을 25개의 부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로 결정하고, 결정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여 사운드 코드의 각 프레임에 배열시킬 수 있다.
주파수 식별부(172)는 주파수 분석을 통해 주파수를 식별한다. 이를 위해, 주파수 식별부(172)는 아날로그 사운드 코드, 복수의 프레임 또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의 사운드 신호에 대한 주파수 변환 기법 및 역 주파수 변환 기법을 활용하여,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주파수 변환 기법의 일례는 FFT(Fast Fourier Transform)이고, 역 주파수 변환 기법의 일례는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이다.
사운드 신호는 소정 주파수를 중심(또는 기본) 주파수 또는 캐리어 주파수로 갖는 정현파 음파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사운드 신호는 주파수 15000 Hz를 기본 주파수로 갖는 정현파 음파 신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현파 음파 신호는 이산 신호 샘플들이고, 사운드 신호는 코덱을 통해 정현파 음파 신호로부터 변환된 아날로그 사운드 신호일 수 있다.
제어 정보 생성부(173)는 식별한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에 기초하여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부분 정보의 일례는 'ㄱ', 'a'와 같은 문자, '1', '2'와 같은 숫자 및 기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다. 또한, 문자는 숫자 및 기호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일 수 있다.
제어 정보 생성부(173)는 예를 들어, 사운드 코드가 3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제 1 프레임의 주파수가 15000 Hz이고, 제 2 프레임의 주파수가 15200 Hz이고, 제 3 프레임의 주파수가 17000 Hz인 경우, 15000 Hz에 대응하는 부분 정보 '0', 15200 Hz에 대응하는 부분 정보 '1' 및 17000 Hz에 대응하는 부분 정보 'A' 각각을 생성한다.
제어 정보 생성부(173)는 복수의 부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 정보 생성부(173)는 예를 들어, 제 1 프레임의 부분 정보가 '0' 제 2 프레임의 부분 정보가 '1', 제 3 프레임의 부분 정보가 'A'인 경우, 부분 정보들을 조합하여, 사운드 코드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인 '01A'를 디코딩 또는 생성할 수 있다.
수신 음파는 헤더, 바디 및 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바디에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가 포함되고, 헤더에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식별 정보, 디바이스(10)의 식별 정보와 같은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부가 사운드 신호(또는 부가 사운드 코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테일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와 같은 오류 정정 코드에 대응하는 오류정정 사운드 신호(또는 오류정정 사운드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 정보 생성부(173)는 수신 음파에 포함된 헤더, 바디 및 테일에 기초하여 정보 또는 부분 정보를 디코딩 또는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식별부(172)는 제 1 프레임으로부터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를 식별하고, 제어 정보 생성부(173)는 제 1 주파수 및 제 2 주파수에 기초하여 제 1 부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파수 식별부(172)는 하나의 프레임으로부터 적어도 둘 이상의 주파수를 식별하고, 제어 정보 생성부(173)는 적어도 둘 이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하나의 부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식별부(172)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에너지값에 기초하여 주파수를 식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 m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음파가 출력되는 경우, 디바이스(10)에 수신된 음파의 주파수 스펙트라 스코프는 샤프(Sharp)한 모양을 가진다. 즉, 수신된 음파의 신호 대 잡음비(SNR)가 우수하여 디코딩 장치(20)의 인식률은 높다. 그러나, 5 m이상의 원거리에서 음파 출력 시, 수신된 음파의 SNR이 낮아져 디바이스(10)가 인식을 수행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음파의 정현파 톤(tone)이 가지는 스펙트라 스코프의 선형성을 이용하여 특징파라미터 추출(Feature Extraction)을 수행함으로써 원거리 환경의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징파라미터 추출의 일례는 수신된 음파의 에너지값을 복수의 프레임별로 제곱함으로써, 인식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하고자 하는 특정 주파수의 스펙트럼 로그 에너지(Spectrum Log Energy)값이 10이고, 노이즈(Noise)의 스펙트럼 로그 에너지 값이 5라면 SNR은 10에서 5를 뺀 5 dB이다. 그러나, 주파수 식별부(23)가 음파의 에너지값을 각 프레임별로 제곱하는 경우, 소정 프레임에서 SNR은 10dB(10 = (10+10)-(5+5))가 된다. SNR이 5dB에서 10dB로 증가하였다는 것은 노이즈와 비교하여 사운드 신호 또는 코드의 식별률이 매우 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정보 생성부(173)는 제 1 프레임의 주파수와 제 2 프레임의 주파수가 다른 경우에도, 특정 상황에서 제 1 프레임의 주파수의 부분 정보와 제 2 프레임의 주파수의 부분 정보를 동일하게 해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 인식 환경에서 실내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반향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반향에 의한 주파수 성분은 다음 신호열(또는 부분 정보)의 주파수 성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되어, 디코딩 시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동일한 부분 정보가 연속될 때, 반향 성분은 다음 부분 정보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디바이스(10)는 동일 부분 정보가 연속될 때, 두 번째 부분 정보의 주파수 대역은 기 정해진 특정 주파수로 결정함으로써, 반향 성분에 의한 오류를 줄일 수 있다.
제어 정보 생성부(173)는 예를 들어, 제 1 프레임의 주파수를 15000 Hz로 식별하고, 제 2 프레임의 주파수를 19000 Hz로 식별한 경우, 제 2 프레임의 주파수가 부분 정보 '
Figure 112013086542531-pat00001
'에 대응하더라도, 이를 '
Figure 112013086542531-pat00002
'로 해석하지 아니하고, 제 1 프레임의 주파수인 15000 Hz에 대응하는 부분 정보 '1'로 해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어 정보 생성부(173)는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정보를 '11'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이 때, '
Figure 112013086542531-pat00003
'는 '1'과 '1', '2'와 '2' 및 'A'와 'A'와 같은 연속하는 부분 정보가 발생될 때, 사용되는 기 결정된 부분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파 수신부(16)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출력된 음성과 사운드 코드를 입력받고, 제어 정보 생성부(173)는 음성에 대한 음성인식 및 사운드 코드의 인식에 기초하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음성의 주파수는 100 Hz 이상 8000 Hz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되고, 사운드 코드의 주파수는 15000 Hz 이상 24000 Hz 이하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제어 정보 생성부(173)는 음성인식을 통해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에 대응하는 제 1 정보를 생성하고, 사운드 코드에 대응하는 제 2 정보를 생성하고,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정보를 디코딩하거나, 제 1 정보와 제 2 정보를 조합하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의 주파수 대역과 사운드 코드의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상호 분리하여 운용하는 것은, 상호간에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동일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디코딩 장치)에 의해 음성인식과 사운드 코드의 동시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음성과 사운드 코드의 조합을 통해 보다 다양성을 지닌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제공받게 된다.
동작 수행부(11)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수행부(11)는 예를 들어, 제어 정보가 디바이스(10)의 전원을 On/Off시키는 제어 정보인 경우, 디바이스(예를 들어,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청소기 등)의 전원을 On/Off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동작 수행부(11)는 제어 정보가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키는 제어 정보인 경우,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디바이스(10), 모바일 디바이스(20) 및 제어 서버(30)의 동작의 일례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통해 예시하면,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10)의 동작과 관련된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S601), 생성한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한다(S602). 디바이스(10)가 음파 출력 장치를 통해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면(S603),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고, 수신한 음파로부터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S604).
모바일 디바이스(20)가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제어 서버(30)로 전송하면(S605), 제어 서버(30)는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S606), 모바일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S607).
모바일 디바이스(20)가 수신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여(S608), 음파 출력 장치를 통해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면(S609), 디바이스(10)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여, 수신한 음파로부터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S610), 획득한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611).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601 내지 S611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는 위치 정보 생성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복수의 음파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동작 수행부(11)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을 수행한다.
도 7은 동작 수행부(11)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통해 예시하면, 디바이스(10)가 청소기(71)인 경우, 동작 수행부(11)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청소기(71)가 모바일 디바이스(20)를 향해 이동하도록 청소기(71)의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할 수 있다. 다르게 예시하면, 디바이스(10)가 선풍기(72)인 경우, 동작 수행부(11)는 선풍기(72)의 회전 방향이 모바일 디바이스(20)를 향하도록 선풍기(72)의 동작을 수행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수신 음파가 상기 복수의 음파 수신 장치 각각에 입력되는 시간들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정보는 복수의 음파 수신 장치 및 디바이스(1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모바일 디바이스(20) 사이의 방위각일 수 있다.
도 8a 내지 8e는 위치 정보 생성부(18)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도 8a 내지 8e를 참조하여, 위치 정보 생성부(18)의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디바이스(10)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위치변화에 따라 동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이나 선풍기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위치 파악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방향으로 바람의 방향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청소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청소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모바일 디바이스(2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검출하고, 검출된 음파가 제어 정보라가 판명되면, 위치 정보를 생성해야 할 음파라고 판단한다. 이후,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복수의 프레임 각각을 오버랩시킨다. 예를 들어,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각 프레임이 1024개 샘플을 포함하는 경우, 512 샘플씩 오버랩시킨다.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음파(또는 사운드 코드)가 복수의 음파 수신 장치 각각에 입력되는 시간들간의 시간차를 추정한다. 이를 시간차(ITD: Inter-aural Time Difference) 추정(Estimation)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예를 들어, 세 개의 음파 수신 장치(예를 들어, 마이크)간의 시간 차이를 기반으로 음원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시간 도메인에서 계산되는 상호상관(cross correlation)을 주파수 도메인상에서 하게 되면 연산량 및 연산 시간을 대폭 줄이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수학식 1을 통해 세 개의 음파 수신 장치간의 시간차를 얻기 위해, 제 1 마이크 -제 2 마이크, 제 2 마이크 -제 3 마이크, 제 3 마이크 - 제 1 마이크 각각으로 짝(또는 채널)을 만들고, 각 짝 사이의 상호상관을 구한다.
[수학식 1]
Figure 112013086542531-pat00004

이 때, d는 두 음파 사이의 딜레이 값들을 의미하고, y(d)를 두 음파 사이의 딜레이 값들을 나타내는 함수를 의미하고, * 은 complex conjugate을 의미하고, x1(n)은 첫 번째 마이크에 입력된 음파를 의미하고, x2(n)은 두 번째 마이크에 입력된 음파를 의미한다. 또한, 계산된 y(d) 값 중 가장 큰 값을 갖는 y(d)의 인덱스 d값을 두 신호간의 시간차(estimated delay)로 규정하며, 3 개의 짝에 대응하는 시간차로 총 3개의 값이 도출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시간차에 기초하여 방위각 맵핑을 수행한다. 먼저, 도 10A를 참조하면,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수학식 2를 통해 음파의 속도와 두 마이크간의 시간차에 기초하여 음파의 입사각을 계산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13086542531-pat00005

이 때,
Figure 112013086542531-pat00006
는 음파의 입사각을 의미하고, c는 음파의 속도를 의미하고, t는 마이크 사이의 시간차, d는 두 마이크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시간차는 단계 S902에서 구해진 추정 시간차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샘플 개수의 차이를 의미하므로, 샘플링 주기(Sampling Perido)와 딜레이 샘플들의 곱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두 마이크 사이의 시간차는 하나지만, 방위각 변환을 변환하면 두 개의 방위각을 얻게 된다. 이것은 동일한 시간차를 갖는 입사각이 두 마이크를 잇는 선분을 경계로 대칭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3개의 마이크 짝으로 추정되는 음파의 방위각은 총 6개의 후보를 갖게 된다. 이러한 6개의 후보 방위각은 소정 프레임의 가장 신뢰성 있는 방위각 후보들로 선출된다.
도 10C를 참조하면,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방위각 - 가우시안 히스토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세 개의 추정된 delay 값들을 delay1, delay2, delay3라고 하는 경우, 각 delay 값에 의해 2개씩의 방위각을 계산하고, 모두 6개의 후보 방위각 azim11, azim12, azim21, azim22, azim31, azim32를 산출한다.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azim11, azim12를 사용하여 히스토그램(101)을 생성하고, azim21, azim22를 사용하여 히스토그램(102)을 생성하고, azim31, azim32를 사용하여 히스토그램(103)을 생성한다. 이 때, azim ij에서 i는 각 채널(또는 마이크)을 의미하고, j는 두 개의 추정 방위각 각각의 식별번호를 의미한다. 또한,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각 짝의 두 후보 방위각을 mean으로 하는 가우시안 함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또한,
Figure 112013086542531-pat00007
는 circular index로써 360이상은 다시 0부터 시작된다.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3개의 히스토그램이 만들고, 모든 히스트그램을 누적하여 누적된 가우시안 히스토그램(104)을 생성한다.
도 10D를 참조하면,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각 프레임 별로 6개의 후보 방위각을 추정하고, 전체 프레임의 후보 방위각들로부터 빈도수가 가장 큰 방위각을 최종 방위각으로 선정한다. 이를 위해,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각 프레임별 누적 가우시안 히스토그램을 비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너지의 크기나 환경적 반향의 영향으로 한 개 또는 두 개의 프레임만 계산해서는 신뢰성 있는 방위각을 얻기가 쉽지 않다. 이 때, 모든 프레임을 같은 방식으로 검사하여 추정된 후보 방위각 중 빈도 수가 가장 큰 값을 최종적인 방위각으로 판단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한 프레임에서 3개의 짝을 누적하여 나온 가우시안 히스토그램을 여러 프레임에 걸쳐 다시 한 번 누적하면 가장 많이 추정된 각도 값을 얻어낼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최종 방위각을 위정 정보로 생성한다. 이 때, 도 10E를 참조하면, 위치 정보 생성부(18)는 모바일 디바이스(20)가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으며, 음파의 형태가 평면파의 형태로 입사한다고 가정한 후, 방위각을 마이크 1, 3의 중심점을 0도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디바이스(20)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음파 수신부(201), 상태 정보 획득부(202), 제어 정보 생성부(203), 음파 데이터 생성부(204) 및 출력부(205)를 포함한다. 다만, 도 9에 도시된 모바일 디바이스(2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물론, 디스플레이, 음파 출력 장치 및 음파 수신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음파 수신부(201)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한 음파를 수신한다. 음파 수신 장치의 일례는 마이크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태 정보 획득부(202)는 음파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상태 정보 획득부(202)는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음파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한 주파수 분석을 통해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식별하고, 식별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음파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 정보 획득부(202)의 동작은 앞서 설명된 제어 정보 획득부(17)의 동작과 비교하여, 수신 음파가 음파로, 제어 정보가 상태 정보로 각각 다르게 표현될 뿐, 대부분이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상태 정보 획득부(202)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서 제어 정보 획득부(17)에 대해 설명된 내용으로 대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정보 획득부(202)는 프레임 분할부(미도시), 주파수 식별부(미도시) 및 상태 정보 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 때, 프레임 분할부(미도시)의 동작은 프레임 분할부(171)의 동작과, 주파수 식별부(미도시)의 동작은 주파수 식별부(172)의 동작과, 상태 정보 생성부(미도시)의 동작은 제어 정보 생성부(173)의 동작과 각각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하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지 수신 음파가 음파로, 제어 정보가 상태 정보로 각각 다르게 표현될 뿐이다. 따라서, 상태 정보 획득부(202)는 프레임 분할부(미도시), 주파수 식별부(미도시) 및 상태 정보 생성부(미도시) 각각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서 프레임 분할부(171), 주파수 식별부(172), 제어 정보 생성부(173) 각각에 대해 설명된 내용으로 대신한다.
제어 정보 생성부(203)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이 때, 제어 정보 생성부(203)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서버(30)로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제어 서버(3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정보의 일례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의 전원을 On/Off시키는 제어 정보, 디바이스(10)를 이동시키는 제어 정보, 디바이스(10)를 회전시키는 제어 정보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205)는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이 때, 출력부(205)는 음파의 형태로 제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05)는 음파 출력 장치를 통해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한다.
음파 데이터 생성부(204)는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음파 데이터 생성부(204)는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복수의 부분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주파수를 결정하고, 결정한 복수의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결합시킴으로써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파 데이터 생성부(204)의 동작은 앞서 설명된 음파 데이터 생성부(13)의 동작과 비교하여, 상태 정보가 제어 정보로 다르게 표현될 뿐, 대부분이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음파 데이터 생성부(204)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서 음파 데이터 생성부(13)에 대해 설명된 내용으로 대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데이터 생성부(204)는 부분 정보 생성부(미도시), 주파수 결정부(미도시), 사운드 신호 생성부(미도시) 및 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 때, 부분 정보 생성부(미도시)의 동작은 부분 정보 생성부(131)의 동작과, 주파수 결정부(미도시)의 동작은 주파수 결정부(132)의 동작과, 사운드 신호 생성부(미도시)의 동작은 사운드 신호 생성부(133)의 동작과, 생성부(미도시)의 동작은 생성부(134)의 동작과 각각 동일 또는 매우 유사하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태 정보가 제어 정보로 각각 다르게 표현될 뿐이다. 따라서, 부분 정보 생성부(미도시), 주파수 결정부(미도시), 사운드 신호 생성부(미도시) 및 생성부(미도시) 각각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앞서 부분 정보 생성부(131), 주파수 결정부(132), 사운드 신호 생성부(133) 및 생성부(134) 각각에 대해 설명된 내용으로 대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출력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음파 출력 방법은 디바이스(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디바이스(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10에도 적용된다.
단계 S1001에서 동작 수행부(11)는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S1002에서 상태 정보 생성부(12)는 동작과 관련된,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S1003에서 음파 데이터 생성부(13)는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1004에서 음파 출력부(14)는 음파 출력 장치를 통해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한다.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출력 방법은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는 단계(미도시) 및 수신한 음파를 이용하여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작 수행부(11)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파 출력 방법은 디바이스(10)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계 S1002에서 상태 정보 생성부(12)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001 내지 S100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제어 정보 출력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음파 출력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2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2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11에도 적용된다.
단계 S1101에서 음파 수신부(201)는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디바이스(10)로부터 출력한 음파를 수신한다. 단계 S1102에서 상태 정보 획득부(202)는 음파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S1103에서 제어 정보 생성부(203)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디바이스(1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S1104에서 출력부(205)는 생성한 제어 정보를 출력한다.
도 1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 출력 방법은, 단계 S1103과 단계 S1104 사이에,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계 S1105에서 출력부(205)는 음파 출력 장치를 통해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01 내지 S1104는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10을 통해 설명된 음파 출력 방법 및 도 11을 통해 설명된 제어 정보 출력 방법 각각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디바이스
20: 모바일 디바이스
21: 네트워크 장치
30: 제어 서버

Claims (17)

  1. 디바이스에 있어서,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부;
    상기 수신한 음파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 정보 획득부;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수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 획득부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과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중 상기 수신한 음파 내 임의의 프레임으로부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가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부분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과 관련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상태 정보 생성부;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파 데이터 생성부; 및
    음파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는 음파 출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것인,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행부는 상기 디바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력 장치를 통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 또는 고장 진단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음파는 상기 음파 출력부로부터 출력한 음파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태 정보 생성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디바이스.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파 데이터 생성부는,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를 생성하는 부분 정보 생성부;
    상기 복수의 부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결정하는 주파수 결정부;
    상기 복수의 주파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생성하는 사운드 신호 생성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운드 신호를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획득부는,
    소정 시간 간격에 따라 상기 수신한 음파를 복수의 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프레임 분할부;
    상기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한 주파수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프레임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식별하는 주파수 식별부; 및
    상기 식별한 주파수 각각이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식별한 주파수 각각에 기초하여 복수의 부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부분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인,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음파 수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동작 수행부는 상기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향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생성부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음파 및 상기 복수의 음파 수신 장치 각각에 입력되는 시간들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디바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음파는 상기 디바이스의 아이디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한 음파를 인증한 후,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것인, 디바이스.
  12.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음파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음파로부터 상기 디바이스의 동작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과 비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 중 상기 수신한 음파 내 임의의 프레임으로부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가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식별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부분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한 부분 정보 각각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한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과 관련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상태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음파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생성된 것인,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방법.
  15. 모바일 디바이스에 있어서,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디바이스로부터 출력한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부;
    상기 음파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상태 정보 획득부;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파 데이터 생성부; 및
    음파 출력 장치를 통해 상기 생성한 음파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파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음파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부분 정보를 생성하고,
    가청 음파 주파수 대역과 비가청 음파주파수 대역 중 상기 복수의 부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상기 복수의 부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주파수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생성한 부분 정보 각각에 대해 생성하며,
    상기 사운드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음파 데이터를 생성하모바일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생성부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서버로 상기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모바일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획득부는
    상기 수신한 음파에 대응하는 제 1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음파 수신 장치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음성에 대응하는 제 2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수행부는 상기 제 1 제어 정보 및 상기 제 2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을 수행하는 것인, 디바이스.
KR20130113500A 2013-09-24 2013-09-24 음파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475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500A KR101475863B1 (ko) 2013-09-24 2013-09-24 음파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CN201410490303.6A CN104460579B (zh) 2013-09-24 2014-09-23 声波输出设备及方法、及生成声波对应控制信息移动设备
JP2014193982A JP2015065657A (ja) 2013-09-24 2014-09-24 音波を出力するデバイス及び方法、また音波に対応する制御情報を生成するモバイルデバイス及び方法
US14/494,694 US20150085619A1 (en) 2013-09-24 2014-09-24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an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ro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wa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3500A KR101475863B1 (ko) 2013-09-24 2013-09-24 음파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5863B1 true KR101475863B1 (ko) 2014-12-23

Family

ID=52679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3500A KR101475863B1 (ko) 2013-09-24 2013-09-24 음파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085619A1 (ko)
JP (1) JP2015065657A (ko)
KR (1) KR101475863B1 (ko)
CN (1) CN10446057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744A (ko) * 2015-01-06 201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99167B1 (en) 2015-01-06 2017-07-04 Shoretel, Inc. Distributed authentication
JP6796912B2 (ja) * 2015-05-26 2020-12-0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461713B2 (ja) * 2015-05-28 2019-01-30 シャープ株式会社 機器連動システムおよび機器
CN106899462A (zh) * 2015-12-21 2017-06-27 上海本星电子科技有限公司 音频通道数据传输***
CN105844894A (zh) * 2016-05-13 2016-08-10 广州中卡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声波通信的智能水和/或电控制***及其控制方法
JP6531776B2 (ja) * 2017-04-25 2019-06-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音声対話システムおよび音声対話方法
JP6934247B2 (ja) * 2017-11-08 2021-09-15 株式会社スマート・ソリュ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69984B1 (en) * 2017-11-13 2019-01-01 Grand Mate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in wireless system
CN109120351A (zh) * 2018-07-12 2019-01-01 上海新储集成电路有限公司 一种应用于物联网中的数据传输方法和***
US10917180B2 (en) 2018-07-24 2021-02-0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rolling vibration output from a computing device
CN108988958A (zh) * 2018-08-20 2018-12-11 广东工业大学 一种声波通信方法与装置
JP7117954B2 (ja) * 2018-09-18 2022-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報知音解析システム、家電機器、及び、解析方法
JP7187994B2 (ja) * 2018-11-06 2022-12-13 株式会社リコー 受信装置、プログラム、音波処理システム、及び音波処理方法
US10834543B2 (en) * 2018-11-26 2020-11-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reating a social group with mobile phone vibration
JP7272033B2 (ja) * 2019-03-20 2023-05-12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96612B2 (ja) * 2019-05-16 2020-05-20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243123B1 (ko) * 2019-06-04 2021-04-22 주식회사 뮤즈라이브 초음파를 이용한 인증 정보 전송 장치
US10976432B2 (en) * 2019-06-28 2021-04-13 Synaptics Incorporated Acoustic locationing for smart environments
CN112235053B (zh) * 2020-09-29 2022-05-13 上海特金无线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设备、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337A (ko) * 2012-01-11 2013-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6045B2 (ja) * 1993-09-17 2002-02-12 シャープ株式会社 音声出力回路
JP3270913B2 (ja) * 1994-02-24 2002-04-02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H10336770A (ja) * 1997-06-05 1998-12-18 Sony Corp 制御音響出力装置、制御音響入力装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テレビジョン受信機、ビデオデッキ及びラジオ受信機
JPH11285071A (ja) * 1998-03-30 1999-10-15 Hitachi Ltd 携帯情報端末装置
IL127569A0 (en) * 1998-09-16 1999-10-28 Comsense Technologies Ltd Interactive toys
JP4398416B2 (ja) * 2005-10-07 2010-01-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変調装置、変調方法、復調装置、及び復調方法
KR101268432B1 (ko) * 2006-01-09 201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인증 시스템 및방법
US8705715B2 (en) * 2008-04-30 2014-04-22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diagnosis method of a home appliance
JP5326347B2 (ja) * 2008-04-30 2013-10-30 ヤマハ株式会社 通報システム、電気機器、ネットワーク接続端末、および通報プログラム
CN202694090U (zh) * 2012-03-30 2013-01-23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二研究所 波流同步模拟装置测控***
JP5373215B1 (ja) * 2013-03-28 2013-12-18 日東電工株式会社 システム、製造条件決定装置および製造管理装置
CN203480305U (zh) * 2013-10-22 2014-03-12 中国电力工程顾问集团西南电力设计院 一种火力发电厂主辅控一体化信息采集***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337A (ko) * 2012-01-11 2013-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4744A (ko) * 2015-01-06 201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69849B1 (ko) * 2015-01-06 2021-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기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60579B (zh) 2018-01-30
JP2015065657A (ja) 2015-04-09
CN104460579A (zh) 2015-03-25
US20150085619A1 (en)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863B1 (ko) 음파를 출력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음파에 대응하는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475862B1 (ko) 사운드 코드를 인코딩하는 인코딩 장치 및 방법, 사운드 코드를 디코딩하는 디코딩 장치 및 방법
KR101538756B1 (ko) 외부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해 음파를 출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
US10243675B2 (e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sound wave for control of external device, and external device
Qin et al. Wideband spectrum sensing on real-time signals at sub-Nyquist sampling rates in single and cooperative multiple nodes
KR20230035712A (ko) 모션 인디케이터 값들에 기반한 무선 메시 네트워크 내 모션 로컬화
KR101597657B1 (ko) 네트워크 접속 정보가 포함된 음파를 출력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US11316594B2 (en) Robust ultrasound communication signal format
CN103077727A (zh) 一种用于语音质量监测和提示的方法和装置
CN110391887A (zh) 信号处理方法及装置
JP2010193430A (ja) レイク受信機
KR102105115B1 (ko) 잡음 비율 추정 메커니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모바일 통신 시스템
Chen et al. Hearing is believing: Detecting wireless microphone emulation attacks in white space
CN111448763B (zh) 用于极化码的简单奇偶校验比特计算
CA31733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ime domain channel representation information for wi-fi sensing
JP6964780B2 (ja) 参照値と関係するデバイスとを使用するビデオの符号化および/または復号を行う方法
CN110868368A (zh) 信道估计方法、***、电子设备和介质
WO2023031875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ressed csi for virtual wideband channels
KR20200075820A (ko) 타임 팩터들에 기반한 무선 메시 네트워크 내 모션 로컬화
CN116368565A (zh) 使用噪声信号比的误差隐藏单元中的噪声抑制逻辑
Mathew et al. A communication architecture using low frequency signals
CA317338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mpressed csi for virtual wideband channels
CA3236229A1 (en) Isolation of electronic environment for improved channel estimation
KR20130043758A (ko) 가변위치 음성 인식률 향상 기술을 이용한 음성인식 홈네트워크 시스템
US201302086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