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346B1 -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346B1
KR101473346B1 KR1020130136676A KR20130136676A KR101473346B1 KR 101473346 B1 KR101473346 B1 KR 101473346B1 KR 1020130136676 A KR1020130136676 A KR 1020130136676A KR 20130136676 A KR20130136676 A KR 20130136676A KR 101473346 B1 KR101473346 B1 KR 101473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electrode
piezoelectric fiber
layer
fib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6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선
백종후
조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136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704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based on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7Form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or bodies on an electrical element or another base
    • H10N30/074Form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or bodies on an electrical element or another base by deposi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layers, e.g. aerosol or screen printing
    • H10N30/076Form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or bodies on an electrical element or another base by deposi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layers, e.g. aerosol or screen printing by vapour phase de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7Form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or bodies on an electrical element or another base
    • H10N30/074Form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or bodies on an electrical element or another base by deposi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layers, e.g. aerosol or screen printing
    • H10N30/077Form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arts or bodies on an electrical element or another base by deposit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layers, e.g. aerosol or screen printing by liquid phase deposi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9Form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 H10N30/093Forming inorganic materials
    • H10N30/097Forming inorganic materials by sinter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9Form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 H10N30/098Forming 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H10N30/8548Lead-based oxides
    • H10N30/8554Lead-zirconium titanate [PZT] bas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7Macromolecular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7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e.g. lead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PZT(Plumbum-Zirconate-Titanate) 및 PVDF(polyvinylidene fluoride)의 혼합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필름 형태로 압전 섬유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압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은 (a) 스핀 척 상에 제1 보호 물질을 적하하여 스핀 코팅한 후, 건조하여 제1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보호층 상에 스퍼터링 방식 또는 코팅 방식으로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된 제1 보호층 상에 압전 섬유 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압전 섬유층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압전 섬유층 상에 스퍼터링 방식 또는 코팅 방식으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 전극이 형성된 압전 섬유층 상에 제2 보호 물질을 적하하여 스핀 코팅한 후, 건조하여 제2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PIEZOELECTRIC FIBER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PZT(Plumbum-Zirconate-Titanate) 및 PVDF(polyvinylidene fluoride)의 혼합 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필름 형태로 압전 섬유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압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압전 세라믹은 전기적 에너지가 기계적 에너지로, 또는 그 반대로 기계적 에너지가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되는 압전성(piezoelectricity)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전 세라믹의 응용을 위해, Pb(Zr, Ti)O3(이하,“PZT"라 함)계 조성으로 이루어진 PZT 세라믹을 이용하여 왔다. PZT 세라믹은 우수한 기계적, 전기적 특성을 가지며, 티탄산납(PbTiO3)과 지르코산납(PbZrO3)을 일정한 비율로 섞은 것으로 사용 용도에 따라 불순물을 첨가하여 여러 가지 재료 물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PZT 세라믹을 이용하여 적층형 압전 소자를 제조할 경우에는 높은 소결 온도로 인해 Pt 또는 Pd와 같은 고융점의 귀금속을 내부 전극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이는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PZT 세라믹을 이용하여 압전 세라믹-폴리머 복합체를 이용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금속의 산화 방지를 위해 압전 세라믹을 먼저 제조한 후 압전 세라믹-폴리머 복합체를 제조하여야 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워지며, 계면 특성이 좋지 않아 압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7978호(2011.06.22. 공개)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압전체 후막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방사 방식을 이용하여 필름 형태로 압전 섬유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압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는 제1 보호층; 상기 제1 보호층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제1 보호층 상에 전기 방사 방식으로 적층 형성된 압전 섬유층; 상기 압전 섬유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및 압전 섬유층 상에 형성된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은 (a) 스핀 척 상에 제1 보호 물질을 적하하여 스핀 코팅한 후, 건조하여 제1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보호층 상에 스퍼터링 방식 또는 코팅 방식으로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된 제1 보호층 상에 압전 섬유 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압전 섬유층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압전 섬유층 상에 스퍼터링 방식 또는 코팅 방식으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 전극이 형성된 압전 섬유층 상에 제2 보호 물질을 적하하여 스핀 코팅한 후, 건조하여 제2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은 소결된 압전 세라믹 분말과 압전 폴리머계인 PVDF의 혼합 용액을 이용한 전기 방사를 실시하여 필름 형태로 압전 섬유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압전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것 없이 압전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면 등에서도 균일한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은 제1 및 제2 전극을 압전 섬유층에 직접 접촉시켜 절연체인 압전 섬유층에 의한 전자 전달이 저해되는 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100)는 제1 보호층(110), 제1 전극(120), 압전 섬유층(130), 제2 전극(140) 및 제2 보호층(150)을 포함한다.
제1 보호층(110)은 스크래치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1 전극(120) 및 압전 섬유층(130)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보호층(110)의 재질로는 PDMS(polydimethylsiloxa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PVA(polyvinyl alcohol), PVB(polyvinyl butyral) 등에서 선택된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중 PDMS(polydimethylsiloxane)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호층(110)은 1 ~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제1 전극(120)은 제1 보호층(11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전극(120)의 재질로는 은(Ag), 니켈(Ni), 구리(Cu), 크롬(Cr),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물질이나, CNT 그라핀(carbon nano tube graphene) 등의 전도성 물질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극(120)은 10 ~ 2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압전 섬유층(130)은 제1 전극(120) 및 제1 보호층(110) 상에 전기 방사 방식으로 적층 형성된다. 이때, 압전 섬유층(130)은 100 ~ 500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 섬유층(130)의 두께가 100㎛ 미만일 경우에는 그 두께가 너무 얇은 관계로 압전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압전 섬유층(130)의 두께가 50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엑츄에이터, 반도체 센서, 에너지 하베스터 등의 실제 전자소자에 적용되었을 때 제품 두께를 증가시켜 실용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압전 섬유층(130)은 압전 세라믹 분말 및 폴리머 레진을 포함한다. 이때, 압전 세라믹 분말은 10 ~ 300㎛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 세라믹 분말의 평균 직경이 10㎛ 미만일 경우에는 입자 사이즈가 너무 작은 관계로 압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반대로, 압전 세라믹 분말의 평균 직경이 3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기 방사시 노즐 막힘이나 섬유 형상화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러한 압전 세라믹 분말로는 PZT(Plumbum-Zirconate-Titanate)계, KNN{(K0.5Na0.5)NbO3}계, BNT{Bi0.5Na0.5)TiO3}계, BKT{(Bi0.5K0.5)TiO3}계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폴리머 레진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P(polyvinylpyrrolidone) 및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압전 세라믹 분말과 압전 폴리머계인 PVDF(polyvinylidene fluoride)를 이용하여 전기 방사할 경우, PVDF가 바인더로의 역할 및 유연성을 주는 효과로 압전 성능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반면, 압전 세라믹 분말과 폴리머계인 PVP(polyvinylpyrrolidon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등을 이용하여 전기 방사할 경우, PVDF를 이용할 때 보다 압전 성능 면에서는 열위한 특성을 나타내기는 하나, 섬유 안전화에 기여하여 유연성, 탄력성 등의 특성 면에서 우수한 이점이 있다.
제2 전극(140)은 압전 섬유층(130) 상에 형성된다. 제1 전극(120)은 압전 섬유 복합체(100)의 음극 단자로 사용될 수 있고, 제2 전극(140)은 압전 섬유 복합체(100)의 양극 단자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1 전극(120)을 양극 단자로, 그리고 제2 전극(140)을 음극 단자로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2 전극(140)은 제1 전극(120)과 동일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보호층(150)은 제2 전극(140) 및 압전 섬유층(130) 상에 형성된다. 이때, 제2 보호층(150)은 압전 섬유층(130) 및 제2 전극(140)을 스크래치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보호층(150)은 제1 보호층(110)과 동일한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는 소결된 압전 세라믹 분말과 압전 폴리머계인 PVDF의 혼합 용액을 이용한 전기 방사를 실시하여 필름 형태로 압전 섬유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압전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것 없이 압전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면 등에서도 균일한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은 제1 보호층 코팅 단계(S210), 제1 전극 형성 단계(S220), 압전 섬유층 적층 단계(S230), 제2 전극 형성 단계(S240) 및 제2 보호층 코팅 단계(S250)를 포함한다.
제1 보호층 코팅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호층 코팅 단계(S210)에서는 스핀 척(10)을 준비한다. 이후, 스핀 척(10) 상에 제1 보호 물질을 적하하여 스핀 코팅한 후, 건조하여 제1 보호층(110)을 형성한다. 이때, 제1 보호층(110)은 스크래치나 외부 충격으로부터 제1 전극(도 1의 120) 및 압전 섬유층(도 1의 130)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보호층(110)의 재질로는 PDMS(polydimethylsiloxa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PVA(polyvinyl alcohol), PVB(polyvinyl butyral) 등에서 선택된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중 PDMS(polydimethylsiloxane)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보호층(110)은 1 ~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단계에서, 건조는 90 ~ 110℃에서 30 ~ 12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전극 형성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 형성 단계(S220)에서는 제1 보호층(110) 상에 스퍼터링 방식 또는 코팅 방식으로 제1 전극(120)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전극(120)의 재질로는 은(Ag), 니켈(Ni), 구리(Cu), 크롬(Cr),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물질이나, CNT 그라핀(carbon nano tube graphene) 등의 전도성 물질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120)은 10 ~ 2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코팅 방식으로는 스핀 코팅, 바 코팅, 스프레이 코팅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압전 섬유층 적층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 섬유층 적층 단계(S230)에서는 제1 전극(120)이 형성된 제1 보호층(110) 상에 압전 섬유 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압전 섬유층(130)을 적층 형성한다.
이때, 압전 섬유층(130)은 100 ~ 5000㎛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 섬유층(130)의 두께가 100㎛ 미만일 경우에는 그 두께가 너무 얇은 관계로 압전 성능을 제대로 발휘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압전 섬유층(130)의 두께가 50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엑츄에이터, 반도체 센서, 에너지 하베스터 등의 실제 전자소자에 적용되었을 때 제품 두께를 증가시켜 실용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압전 섬유층(130)은 압전 세라믹 분말, 폴리머 레진 및 용매를 포함한다. 이때, 압전 세라믹 분말은 10 ~ 300㎛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전 세라믹 분말의 평균 직경이 10㎛ 미만일 경우에는 입자 사이즈가 너무 작은 관계로 압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반대로, 압전 세라믹 분말의 평균 직경이 3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기 방사시 노즐 막힘이나 섬유 형상화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이러한 압전 세라믹 분말로는 PZT(Plumbum-Zirconate-Titanate)계, KNN{(K0.5Na0.5)NbO3}계, BNT{Bi0.5Na0.5)TiO3}계, BKT{(Bi0.5K0.5)TiO3}계 등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폴리머 레진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P(polyvinylpyrrolidone) 및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압전 세라믹 분말과 압전 폴리머계인 PVDF(polyvinylidene fluoride)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전기 방사할 경우, PVDF가 바인더로의 역할 및 유연성을 주는 효과로 압전 성능을 추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반면, 압전 세라믹 분말과 폴리머계인 PVP(polyvinylpyrrolidone) 또는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등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전기 방사할 경우, PVDF를 이용할 때 보다 압전 성능 면에서는 열위한 특성을 나타내기는 하나, 섬유 안전화에 기여하여 유연성, 탄력성 등의 특성 면에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특히, 본 단계에서, 소결된 압전 세라믹 분말과 압전 폴리머계인 PVDF의 혼합 용액을 이용한 전기 방사를 실시하여 압전 섬유층(130)을 형성할 경우,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것 없이 압전 섬유층(130)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면 등에서도 균일한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때, 전기 방사는 방사 전압 : 10 ~ 30V 및 방사 거리 : 5 ~ 20cm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노즐(20)의 크기는 20 ~ 30G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방사 거리는 압전 섬유층(130)과 노즐(20) 간의 이격 거리를 의미한다.
방사 전압이 10V 미만일 경우에는 제조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어 제조 비용을 상승시킬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필름 형태의 균일한 막질 형성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반대로, 방사 전압이 30V를 초과할 경우에는 효과 상승 대비 비용만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
또한, 방사 거리가 5cm 미만일 경우에는 노즐에 의한 간섭으로 막질 특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방사 거리가 20cm를 초과할 경우에는 균일한 막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제2 전극 형성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극 형성 단계(S240)에서는 압전 섬유층(130) 상에 스퍼터링 방식 또는 코팅 방식으로 제2 전극(140)을 형성한다. 이때, 제2 전극(140)의 재질로는, 제1 전극(120)과 마찬가지로, 은(Ag), 니켈(Ni), 구리(Cu), 크롬(Cr), 알루미늄(Al) 등의 금속 물질이나, CNT 그라핀(carbon nano tube graphene) 등의 전도성 물질 등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극(140)은 10 ~ 200㎛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코팅 방식으로는 스핀 코팅, 바 코팅, 스프레이 코팅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보호층 코팅
다음으로, 제2 보호층 코팅 단계(S250)에서는 제2 전극(140)이 형성된 압전 섬유층(130) 상에 제2 보호 물질을 적하하여 스핀 코팅한 후, 건조하여 제2 보호층(150)을 형성한다.
이때, 제2 보호층(150)의 재질로는, 제1 보호층(110)과 마찬가지로, PDMS(polydimethylsiloxa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PVA(polyvinyl alcohol), PVB(polyvinyl butyral) 등에서 선택된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중 PDMS(polydimethylsiloxane)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2 보호층(150)은 1 ~ 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본 단계에서, 건조는 90 ~ 110℃에서 30 ~ 12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은 필링 오프 단계(미도시) 및 접지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링 오프 단계에서는 스핀 척(10)으로부터 제1 보호층(110), 제1 전극(120), 압전 섬유층(130), 제2 전극(140) 및 제2 보호층(150)이 차례로 적층된 압전 섬유 복합체를 떼어낸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단계에서는 제1 전극(120) 및 제2 전극(140)에 제1 전선 및 제2 전선을 접지시킨다. 이때, 제1 전극(120)이 음극 단자로 이용될 경우, 제2 전극(140)은 양극 단자로 이용된다. 이와 반대로, 제1 전극(120)이 양극 단자로 이용될 경우, 제2 전극(140)은 음극 단자로 이용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은 소결된 압전 세라믹 분말과 압전 폴리머계인 PVDF의 혼합 용액을 이용한 전기 방사를 실시하여 필름 형태로 압전 섬유층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압전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열처리 공정을 실시하는 것 없이 압전 섬유층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조 공정이 간소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곡면 등에서도 균일한 두께를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은 제1 및 제2 전극을 압전 섬유층에 직접 접촉시켜 절연체인 압전 섬유층에 의한 전자 전달이 저해되는 현상을 극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압전 섬유 복합체 110 : 제1 보호층
120 : 제1 전극 130 : 압전 섬유층
140 : 제2 전극 150 : 제2 보호층
S210 : 제1 보호층 코팅 단계
S220 : 제1 전극 형성 단계
S230 : 압전 섬유층 적층 단계
S240 : 제2 전극 형성 단계
S250 : 제2 보호층 코팅 단계

Claims (15)

  1. 제1 보호층;
    상기 제1 보호층 상에 형성된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제1 보호층 상에 전기 방사 방식으로 적층 형성된 압전 섬유층;
    상기 압전 섬유층 상에 형성된 제2 전극; 및
    상기 제2 전극 및 압전 섬유층 상에 형성된 제2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압전 섬유층은 압전 세라믹 분말 및 폴리머 레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 각각은
    PDMS(polydimethylsiloxane),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이미드 수지(polyimide resin), PVA(polyvinyl alcohol) 및 PVB(polyvinyl butyral)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섬유층은
    100 ~ 500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세라믹 분말은
    10 ~ 300㎛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세라믹 분말은
    PZT계, KNN계, BNT계 및 BKT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레진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P(polyvinylpyrrolidone) 및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8. (a) 스핀 척 상에 제1 보호 물질을 적하하여 스핀 코팅한 후, 건조하여 제1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보호층 상에 스퍼터링 방식 또는 코팅 방식으로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전극이 형성된 제1 보호층 상에 압전 섬유 물질을 전기 방사하여 압전 섬유층을 적층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압전 섬유층 상에 스퍼터링 방식 또는 코팅 방식으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2 전극이 형성된 압전 섬유층 상에 제2 보호 물질을 적하하여 스핀 코팅한 후, 건조하여 제2 보호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기 방사는
    방사 전압 : 10 ~ 30V 및 방사 거리 : 5 ~ 20cm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압전 섬유 물질은
    압전 세라믹 분말, 폴리머 레진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세라믹 분말은
    PZT계, KNN계, BNT계 및 BKT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세라믹 분말은
    10 ~ 300㎛의 평균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레진은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P(polyvinylpyrrolidone) 및 에폭시 수지(epoxy resin)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섬유층은
    100 ~ 5000㎛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이후,
    (f) 상기 스핀 척으로부터 상기 제1 보호층, 제1 전극, 압전 섬유층, 제2 전극 및 제2 보호층이 차례로 적층된 압전 섬유 복합체를 떼어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 섬유 복합체 제조 방법.
KR1020130136676A 2013-11-12 2013-11-12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3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676A KR101473346B1 (ko) 2013-11-12 2013-11-12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6676A KR101473346B1 (ko) 2013-11-12 2013-11-12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346B1 true KR101473346B1 (ko) 2014-12-16

Family

ID=5267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6676A KR101473346B1 (ko) 2013-11-12 2013-11-12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3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727B1 (ko) * 2015-08-19 2016-12-08 한국세라믹기술원 Pzt-pvdf 나노섬유 복합 필름 제조 방법
KR101815071B1 (ko) * 2016-05-17 2018-01-05 한국세라믹기술원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
KR20190119471A (ko) 2018-04-12 2019-10-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형 압전 나노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호흡 모니터링 센서, 및 섬유형 압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KR20200047179A (ko) 2018-10-26 2020-05-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전나노발전기, 이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압전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
KR102169095B1 (ko) * 2019-12-06 2020-10-2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압전소자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0331A (ja) 2006-02-09 2007-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圧電アクチュエータの形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0331A (ja) 2006-02-09 2007-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圧電アクチュエータの形成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727B1 (ko) * 2015-08-19 2016-12-08 한국세라믹기술원 Pzt-pvdf 나노섬유 복합 필름 제조 방법
KR101815071B1 (ko) * 2016-05-17 2018-01-05 한국세라믹기술원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센서
KR20190119471A (ko) 2018-04-12 2019-10-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형 압전 나노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호흡 모니터링 센서, 및 섬유형 압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KR20200047179A (ko) 2018-10-26 2020-05-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압전나노발전기, 이를 포함하는 광센서 및 압전나노발전기의 제조방법
KR102169095B1 (ko) * 2019-12-06 2020-10-22 한국전자기술연구원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압전소자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346B1 (ko) 압전 섬유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02988B1 (ko) 압전 복합체를 이용한 플렉서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플렉서블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CN102067320B (zh) 柔性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KR101802692B1 (ko) 강유전체 커패시터-계 메모리 기기
US11004611B2 (en) Acrylic binder and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using the same
US20100255344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device and thin film device manufactured using the same
JP2008103687A (ja) 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69185B1 (ko) 세라믹 전자 부품 및 그 제조 방법과 전자장치
US20150322220A1 (en) Ultrasonic transducer using ferroelectric polymer
JP2008251598A (ja) 圧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152357B (zh) 用于感应温度与触摸的柔性自驱动传感器及其制备方法
US10490355B2 (en) Thin film capac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3225608A (ja) エネルギ変換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593857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pyroelectric and/or piezoelectric drive
JP7054926B2 (ja) 透明圧電デバイス及び同デバイス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07078206B (zh) 多层压电薄膜元件
KR20100012142A (ko) 압전 복합체를 이용한 에너지 생성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4180B1 (ko) 아조벤젠 결합 pvdf필름을 이용하는 압전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682912B1 (ko) 잉크젯 프린팅법을 이용한 플렉서블 압전 소자 제조 방법
TW201801366A (zh) 固體接合型光電轉換元件及其製造方法
KR101720166B1 (ko) 압전 나노 자가발전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Han et al. High output piezoelectric composite nanogenerators composed of FAPbBr 3-PVDF
CN108550691B (zh) 一种柔性强介电薄膜及其制作方法
KR20160120108A (ko) 아조벤젠 결합 pvdf필름을 이용하는 발전소자 및 그 제조방법
FR3024677A1 (fr) Dispositif multicouche electroacti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