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206B1 -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206B1
KR101470206B1 KR1020130103211A KR20130103211A KR101470206B1 KR 101470206 B1 KR101470206 B1 KR 101470206B1 KR 1020130103211 A KR1020130103211 A KR 1020130103211A KR 20130103211 A KR20130103211 A KR 20130103211A KR 101470206 B1 KR101470206 B1 KR 101470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control
internal network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3010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1Blue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대시보드에 탈부착 가능한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로부터 차량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차량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차량제어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Mobile-based General-Purpose Integrated Vehicle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태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각종 정보 수집 및 제어를 할 수 있고, 차량에서 탈착시 일반적인 PC기능 등을 포함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의 프레임워크(Framework)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네트워크 환경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이미 구축된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플랫폼에 종속적인 기존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접근성이 좋은 웹서비스 형태로 개발되면서 언제, 어디서든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제공이 소프트웨어 개발의 추세가 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같은 맥락으로 자동차 관련 수송 분야에서 운전자가 주행시 운행에 관련한 전반적인 정보제공이나 차량 제어와 같은 서비스를 별도의 비용이나 요금의 부과없이 이용하고자 하는 요구 사항이 있어 왔지만 프로그램과 단말기의 개발, 차량과의 호환에 있어서의 한계성으로 인해, 차량 제어 서비스 가입이나 차량 정보 제공 단말기의 구입없이 차량의 정보 제공, 차량 제어 서비스를 완벽하게 지원하는 것을 현실적으로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발전 및 이를 뒷받침하는 통신 인프라의 비약적인 발전을 통하여 주행 시에 필요한 정보뿐만 아니라 내부 환경, 외부 요인 등 운행에 관련한 실시간 정보 제공 및 차량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보급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차량 제어모듈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나 실시간 통신을 이용한 제어기능 구현이 어려우며, 전송 데이터 손실과 시간지연이 발생하고, 특정 차량과 단말기를 사용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범용성 측면에서 현실적인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에서 탈부착이 가능한 태블릿 PC(Tablet PC)를 포함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각종 정보 수집 및 제어를 할 수 있고, 차량에서 탈착시 일반적인 PC기능을 포함한 이동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의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대시보드에 탈부착 가능한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에 기록된 차량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차량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차량제어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된 부품의 상태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상황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제어용 소프트웨어는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센서들이 수집한 센서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RFID 및 지그비 중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차량제어용 소프트웨어가 구성된 태블릿 PC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전송하게 하고;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에 기록된 차량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하며;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차량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센서들이 수집한 센서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RFID 및 지그비 중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다른 측면에 의하면,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된 부품의 상태정보, 상기 차량의 주행상황정보 및 상기 차량 내외부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통합 차량 제어시스템은 테블릿 PC를 포함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무선으로 제어하고, 특정 차량 시스템의 구분없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기능의 통합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테블릿 PC,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은 휴대와 탈부착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에서 탈착시 PC, 전화, 네비게이션 등의 일반기능 수행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고, 비용적인 측면이 별도 부가되는 차량의 운전지원 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도 차량제어 통합 기능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통합 차량 제어시스템은, 무선 제어가 가능한 차량 원격시스템 환경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차량을 제어할 수 있고, 차량 모니터링 및 이동 단말기 본연의 일반적 기능까지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간편성, 경제적인 실용성을 증대시켜 향후 차량제어 분야, 자동차-IT 융합산업 분야 등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간편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차량 상태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여 유무선 통신,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제어에 대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의 구축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어 새로운 컨텐츠의 창출 및 새로운 수요의 창출을 통한 경제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를 확인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태블릿 PC로 구현하여 차량에 탈부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는 차량(400)과 유선 또는 무선 등의 네트워크망(300)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차량의 통합 제어 기능이 통합 제어 애플리케이션(200)이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의 각 구성요소는 범용 통합 차량 제어장치의 논리적 기능을 구별하기 위한 개념상의 구분일 뿐 물리적 구분이 아님은 자명하며, 이동 단말기(100)는 차량(400)과 차량 제어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상호 입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 또는 명령에 따라 네트워크망(30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 형태로 구현되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일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네트워크망(300)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며, 네트워크망(300)을 경유하여 차량(400)내의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해당 통합 제어 애플리케이션(200)을 실행하여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차량(400)내의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 형태도 가능하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통합 제어 애플리케이션(200)을 탑재하여 차량의 상태 및 일반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통합 제어 애플리케이션(200)을 구동하며, 통합 제어 애플리케이션(200)을 통해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제어 애플리케이션(200)은 단말기가 스마트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마켓을 통해 다운로드된 후 인스톨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하며, 단말기가 피쳐 폰(Feature Phone)인 경우 통신사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VM(Virtual Machine)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말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통합 제어 애플리케이션(200)을 임베디드(Embeded) 형태로 탑재한 상태로 구현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에 탑재되는 OS(Operating System)에 임베디드 형태로 탑재되거나,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이동 단말기 내의 OS에 인스톨되는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전술한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탑재된 통합 제어 애플리케이션(200)은 이동 단말기(100)에 탑재된 기본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문자 발송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메신져 애플리케이션, 음성 호 송수신 애플리케이션, 라디오 애플리케이션, DMB 애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등)과 연동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없이 독립적인 기능으로 운용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 통합 제어부(200), 통신부(11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망을 활용한 범용 통합 차량제어 시스템의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차량(400)의 내부 네트워크와 다양한 데이터를 상호 입출력하며 차량(400)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하므로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면 지칭되는 명칭에 국한되지 않고 이동 단말기(100)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자 입력부(130)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키보드 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예컨대, 비밀번호 등) 및 차량(4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정보는 사용자가 차량(400) 내에 장착된 각종 ECU, 에어콘, 카메라 등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부(110)는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차량의 통신부(410)로부터 차량상태정보와 차량운행정보를 수신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통신부(110)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센서들이 수집한 센서정보를 차량의 통신부(410)으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부(200)에서 제어명령을 차량(400)의 통신부(41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동 단말기(100)와 차량 내부 네트워크 간의 통신방식은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Wi-fi, RFID, 지그비 등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량상태정보는 차량의 엔진제어장치, 변속제어장치(TCU), 현가제어장치, 제동제어장치 등의 차량 내 전자 제어장치(ECU)가 검출 또는 진단한 자기 진단 정보로서 차량정보 및 주행상황정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정보는 차량 내 장착 또는 설치된 부품의 상태 또는 이상 유무 등에 관한 정보를 말하며, 주행상황정보는 차량의 현재 주행 속도, 엔진 회전수, 최고 속도, 평균 속도, 주행 거리, 주행 시간 등의 주행 정보를 말한다. 또한, 차량운행정보는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에 기록된 차량의 운행기록정보를 말하며, 블랙박스에 연계된 카메라에 의해 생성된 영상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센서정보는 차량 내/외부의 온도 및 습도, 종/횡방향 가속도, 전/측방 장애물 유무, 운전자 상태정보(예를 들어 운전중 졸음 여부, 통화여부, 동승자와의 대화 여부, 심장 박동수, 호흡, 체온 등)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출력부(15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수신한 차량상태정보, 차량운행정보, 센서정보 가공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차량상태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텔레매틱스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차량에 고정된 형태의 기존의 텔레매틱스 단말기와는 달리, 차량 주차 후에 차량 밖이나 집에서도, 탈착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400)에 장착된 전방 또는 후방 카메라나 포터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차량 내외부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합 제어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차량(400)의 통신부(4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합 제어부(200)는 차량 상태 제어부(210)와 일반 기능 제어부(220) 및 카메라 제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 상태 제어부(210)는 차량의 에어컨, 엔진, 타이어 압력, 온도, 고도 및 속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제어하고, 일반 기능 제어부(220)는 이동 단말기(100)에 탑재된 기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라디오, DMB, 전화, 네이게이션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230)는 차량의 블랙박스에 연계된 전후방 카메라 또는 차량에 부가적으로 장착된 포터블 카메라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400)에는 ECU, TCU 등과 같은 각종 전자제어장치와, 차량 내/외부의 온도 및 습도, 종/횡방향 가속도, 전/측방 장애물 유무, 운전자 상태정보 등을 센싱하는 센서장치, 블랙박스, 전후방 카메라, 부가적으로 장착된 포터블 카메라 등이 차량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차량의 내부 네트워크는 예컨대 CAN(controller area network)일 수 있다. 통신부(410)는 차량의 내부 네트워크 데이터(예컨대 CAN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방식의 전송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전송하거나,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해당 제어장치 등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상태를 확인 제어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이동 단말기는 차량의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차량내의 각종 전자제어장치가 수집/생성한 차량상태정보와 주행상황정보, 블랙박스에 기록된 차량운행정보, 차량 내/외부에 장착된 센서들이 수집한 센서정보 등을 수신한다(S310). 다음으로, 차량의 내부 네트워크로부터의 수신한 정보(차량상태정보, 주행상황정보, 차량운행정보, 센서정보 등)를 가공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한다(S320). 다음으로, 사용자로부터 차량에 대한 제어정보를 입력받는다(S330). 다음으로, 입력된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차량 네트워크로 전송한다(S340~S350).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각 단계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이동단말기의 각 구성요소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는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의 각 단계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태블릿 PC로 구현하여 차량에 탈부착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는 태블릿 PC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 PC(100)는 차량의 대시보드에 구비된 거치대(19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태블릿 PC(100)는 거치대(190)와 결합한 상태에서 텔레매틱스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거치대(190)로부터 탈착하여 이동시 태블릿 PC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통합 차량제어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100)를 사용함으로써 일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뿐만 아니라 차량(400)에 탑재되었을 경우 차량(400)을 통합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과 실효성을 증대시키고, 실시간 차량 제어뿐만 아니라 집에서도 차량의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성 측면과 경제적인 비용적 측면에서도 합리적인 비용 정책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통합 차량 제어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는 앞서 간략히 언급된 바와 같이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수행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테블릿 PC를 포함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을 무선으로 제어하고, 특정 차량 시스템의 구분없이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다양한 기능의 통합 제어를 하고, 차량에서 탈착시 PC, 전화, 네비게이션 등의 일반기능 수행함으로써, 타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에 비해 향후 확장성이나, 빠른 추가 기능의 개발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되고, 향후 차량제어 분야, 자동차-IT 융합산업 분야 등에서 널리 활용될 부분이 기대되어 유용한 발명이다.
100 : 이동 단말기 200 : 통합 제어부
300 : 네트워크망 400 : 차량
110 : 통신부 130 : 사용자 입력부
150 : 출력부 190 : 거치대
210 : 차량 상태 제어부 220 : 일반 기능 제어부
230 : 카메라 제어부 410 : 통신부
430 : 차량 내부 네트워크 구성요소

Claims (9)

  1. 차량의 대시보드(Dashboard)에 탈부착 가능한 텔레매틱스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차량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에 기록된 차량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며,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차량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차량제어용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텔레매틱스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정보는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된 부품의 상태정보 및 상기 차량의 주행상황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용 소프트웨어는,
    상기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센서들이 수집한 센서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RFID 및 지그비 중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매틱스 단말기는,
    상기 차량제어용 소프트웨어가 구성된 태블릿 P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매틱스 단말기.
  6.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이동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로 하여금,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전송하게 하고;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차량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게 하고;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차량에 장착된 블랙박스에 기록된 차량운행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하며;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차량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센서들이 수집한 센서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RFID 및 지그비 중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 내에 장착된 부품의 상태정보, 상기 차량의 주행상황정보 및 상기 차량 내외부의 상태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출력부;
    사용자로부터 제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제어정보를 기초로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차량 내부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0103211A 2013-08-29 2013-08-29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 KR101470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211A KR101470206B1 (ko) 2013-08-29 2013-08-29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211A KR101470206B1 (ko) 2013-08-29 2013-08-29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206B1 true KR101470206B1 (ko) 2014-12-05

Family

ID=5267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3211A KR101470206B1 (ko) 2013-08-29 2013-08-29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2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619A (ko) * 2019-09-12 2021-05-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자동차 전자 제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자동차
KR20210064380A (ko) * 2019-09-12 2021-06-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자동차 전자 제어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및 자동차
CN115443637A (zh) * 2020-03-06 2022-12-06 桑纳特斯公司 用于管理车辆数据收集的***、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367A (ko) * 2008-08-06 2010-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정보 복합기능 단말기
JP2010163114A (ja) * 2009-01-19 2010-07-29 Hitachi Ltd カメラ付携帯型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30063659A (ko) * 2011-12-07 2013-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367A (ko) * 2008-08-06 2010-0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정보 복합기능 단말기
JP2010163114A (ja) * 2009-01-19 2010-07-29 Hitachi Ltd カメラ付携帯型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30063659A (ko) * 2011-12-07 2013-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용 정보 제공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0619A (ko) * 2019-09-12 2021-05-26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자동차 전자 제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자동차
KR20210064380A (ko) * 2019-09-12 2021-06-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자동차 전자 제어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및 자동차
KR102557947B1 (ko) 2019-09-12 2023-07-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자동차 전자 제어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및 자동차
KR102557541B1 (ko) 2019-09-12 2023-07-19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자동차 전자 제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자동차
CN115443637A (zh) * 2020-03-06 2022-12-06 桑纳特斯公司 用于管理车辆数据收集的***、方法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41401B (zh) 驾驶行为监测***
CN105450883B (zh) 操作***切换及传送装置与方法、车辆
CN103328271A (zh) 车辆信息获取装置以及车辆信息获取方法
CN103369163A (zh) 车载机及其控制方法和远程操作***
JP2014026387A (ja) 電子機器及び消費電力表示方法
KR101876738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70206B1 (ko) 이동 단말기 기반의 범용 통합 차량 제어 시스템
JP2013182421A (ja) 車両情報記録装置、車両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42389A (ko) 불법행위 신고용 스마트 블랙박스 시스템
CN114661026A (zh) 基于增强现实的交互式车辆远程诊断方法、***及其存储介质
CN114815779B (zh) 基于ar与vr的汽车远程交互诊断方法、***及其存储介质
TW201346825A (zh) 結合車載裝置與智慧型手機之計程車監控派遣系統
WO2022142713A1 (zh) 监测车辆行驶信息的方法及装置
CN108235237A (zh) 数据上报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介质
CN103481732A (zh) 轮胎侦测资料传输***及其设定方法
KR20160081334A (ko) 모바일단말 제어형 자동차용 외향 표시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외향 표시방법
KR101675364B1 (ko) 비콘을 이용한 차량용 obd 단말기와의 페어링 방법 및 차량용 obd 단말기
KR20150005209A (ko) 차량과 휴대용 단말 간의 연동 기능을 갖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9831736B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服务器及客户端
KR20110038197A (ko) 이더넷을 이용한 차량용 통신 시스템
CN117321980A (zh) 卡车-平板电脑接口
CN104021666A (zh) 出租车电召装置及电召方法
CN116418615A (zh) 车辆数据处理***和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170088152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조 신호 송신이 가능한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TWI581603B (zh) 手持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