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9953B1 - 포에누모사이드 포함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포에누모사이드 포함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9953B1
KR101469953B1 KR1020130051242A KR20130051242A KR101469953B1 KR 101469953 B1 KR101469953 B1 KR 101469953B1 KR 1020130051242 A KR1020130051242 A KR 1020130051242A KR 20130051242 A KR20130051242 A KR 20130051242A KR 101469953 B1 KR101469953 B1 KR 101469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ropylene glycol
weight
composition
polyox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2125A (ko
Inventor
조병헌
길영식
신재혁
엄영란
김슬기
목소연
이동호
정상영
안건석
조홍구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1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995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2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9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9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에누모사이드의 난용성을 개선하고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포에누모사이드를 용해제, 계면활성제 및 오일 혼합물에 용해함으로써, 물과 혼합시 자가유화(self-emulsification)하여 에멀젼을 형성하여, 수용해성과 안정성이 우수한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는 연질캡슐, 액제음료 및 주사제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포에누모사이드 포함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Micr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Composition Containing Foenumosid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에누모사이드의 난용성을 개선하고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에누모사이드(Foenumoside)는 영릉향(Lysimachiae Foenum-Graeci Herba) 추출물의 대표적인 성분 중의 하나로서, 포에누모사이드에는 하기 화학식 1의 포에누모사이드 A, 하기 화학식 2의 포에누모사이드 B, 화학식 3의 포에누모사이드 C, 하기 화학식 4의 포에누모사이드 D, 및 하기 화학식 5의 포에누모사이드 E가 포함된다.
<화학식 1>
Foenumoside A
3-O-{α-rhamnopyranosyl(1→2)-β-glucopyranosyl(1→2)-[β-glucopyranosyl(1→4)]-α-arabinopyranosyl}-21,22-O-diangeloylbarringtogenol C
Figure 112013040222299-pat00001
<화학식 2>
Foenumoside B
3-O-{α-rhamnopyranosyl(1→2)-β-glucopyranosyl(1→2)-[β-glucopyranosyl(1→4)]-α-arabinopyranosyl}-21-O-angeloyl-28-O-acetylbarringtogenol C
Figure 112013040222299-pat00002
<화학식 3>
Foenumoside C
3-O-{α-rhamnopyranosyl(1→2)-β-glucopyranosyl(1→2)-[β-glucopyranosyl(1→4)]-α-arabinopyranosyl}-16-O-acetyl-21-O-angeloylbarringtogenol C
Figure 112013040222299-pat00003
<화학식 4>
Foenumoside D
3-O-{α-rhamnopyranosyl(1→2)-β-glucopyranosyl(1→2)-[β-glucopyranosyl(1→4)]-α-arabinopyranosyl}-21-dehydroxy-22-O-angeloylbarringtogenol C
Figure 112013040222299-pat00004
<화학식 5>
Foenumoside E
3-O-{α-rhamnopyranosyl(1→2)-β-glucopyranosyl(1→2)-[β-glucopyranosyl(1→4)]-α-arabinopyranosyl}-21,22-O-diangeloylbarringtogenol C 28-O-glucopyranoside
Figure 112013040222299-pat00005
포에누모사이드는 비만, 당뇨병, 또는 고혈압 등과 같은 대사성 질환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어, 의약품을 포함해 화장품, 건강음료, 기능성 식품 및 영양보조식품 등으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다.
그러나 포에누모사이드는 매우 난용성이어서 체내 흡수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난용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가용화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흡수력이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의약품이 인체 내에서 높은 약리활성을 나타내려면 우선 신속히 용출되어야 한다. 이러한 약물의 용출속도는 체내에서 약물의 흡수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또한 혈액 중의 약물농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러한 용출속도는 약물의 용해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약물이 수난용성인 경우 용해도가 나쁘기 때문에 용출속도의 개선을 위하여 용해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포에누모사이드를 가용화하는 기술은 개발된 바가 없으며, 대부분은 영릉향을 에탄올이나 열수로 추출한 후 추출물을 건조 또는 엑스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일례로, 영릉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한국특허등록 제10-0863524호 및 제10-0813222호에 개시된 바 있으나, 이들 특허에서는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을 통용하고 있어, 실제로는 경구 투여 시 흡수 효율이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이들 특허에 따른 영릉향 추출물을 통상의 연질캡슐제 또는 경질캡슐제로 제조할 경우 젤라틴 피막의 경화 및 불용성 펠리클을 형성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가유화를 통해 수중에서 미세하게 분산되어 안정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며 투명성이 우수하고 생체 이용률이 높은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등 폭넓은 적용이 가능하여 연질캡슐, 액제음료 및 주사제 등에 특히 적합한 포에누모사이드 포함 자기유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에누모사이드, 용해제,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포함하는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상기 조성물이 수성 매질에 유화된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캡슐형 제제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포에누모사이드의 난용성을 개선하고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결과, 포에누모사이드에 용해제, 계면활성제, 및 오일을 혼합하여 나노에멀젼 농축액을 구성하면 포에누모사이드가 수용액상에서 안정된 마이크로에멀젼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가용화가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복용시 체액에서 자가유화됨으로써 약물의 입자를 최소화하므로 흡수율 및 생체이용율이 크게 증대된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일 양태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포에누모사이드 0.1-16 중량%; 용해제 15-60 중량%; 계면활성제 5-40 중량%; 및 오일 10-60 중량%를 포함하고, 물과 혼합시 자가유화(self-emulsification)하여 에멀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self-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활성성분은 포에누모사이드이다. 포에누모사이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16 중량%, 바람직하게는 0.2-10 중량%이다. 포에누모사이드의 함량이 16 중량%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용해도가 급격하게 낮아져 보관 중 침전이 생기거나 함량이 저하되는 등 안정성이 불량해질 수 있고,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용해성 및 안정성은 증가하지만 투여량이 많아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해제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아세틴, 글리세롤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며, 이들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5-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4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오일 성분과 공계면활성제를 수중에서 안정하게 유화시켜 안정한 에멀젼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하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계, 양이온계, 비이온계 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각종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로는 (a) 천연 또는 수소화 식물성 오일과 에틸렌글리콜의 반응 생성물, 즉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된 천연 또는 수소화 식물성 오일,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된 천연 또는 수소화 피마자유(상품명: 크레모포어(Cremophor), HCO 제조회사: BASF, NIKKOL), (b)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모노 또는 트리 라우릴, 팔미틸, 스테아릴 또는 올레일의 에스테르(상품명: 트윈(Tween), 제조회사: ICI), (c)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르산 에스테르(상품명: 미리지(Myrj), 제조회사: ICI), (d)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상품명: 플루로닉 (Pluronic), 제조회사: BASF), (e)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 공중합체 (상품명: 폴록사머 (Poloxamer), 제조회사: BASF), (f) 디옥틸설포숙신산 나트륨 또는 라우릴 설포산 나트륨, (g) 인지질, (h)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또는 디-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라우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리시놀리에이트 또는 상품명 미글리올 840 (Miglyol 840, 제조회사: Huls)으로 시판되고 있는 프로필렌 글리콜 카프릴릭-카프릭산 디에스테르, (i) 천연 식물성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와 폴리알킬렌 폴리올의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상품명: 라브라필 엠(Labrafil M), 제조회사: Gattefosse), (j) 모노-, 디- 또는 모노/디-글리세라이드, 예를 들면 카프릴/카프르산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상품명: 임비톨(Imwitor), 제조회사: Huls), (k)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예를 들면 상품명 스판(Span)으로 시판되고 있는 소르비탄 모노라우릴, 소르비탄 모노팔미틸 또는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릴, (l) 스테롤 또는 그 유도체, 예를 들면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또는 시토스테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또는 두 가지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오일 성분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로 포에누모사이드의 가용화능, 자가유화능 등을 고려할 때, 폴리옥실 35 캐스터 오일, 폴리옥실 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폴리솔베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8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디메틸이소소르비드, 폴록사머 등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40 중량%이며, 10-3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가 5 중량% 미만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자가유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입자가 매우 커지는 단점이 있고, 40 중량% 초과하여 첨가될 경우에는 입자의 크기는 작아지나, 연질캡슐로 성형할 경우 젤라틴 접합이 잘되지 않고, 보관 중 접착 면에서 내용물 누액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연질캡슐 성형 장비에 부가적인 장치를 해야 하는 등 신규 설비 투자로 인한 비용의 지출이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오일을 포함한다. 이러한 오일은 공계면활성제 및 계면활성제와 잘 혼화되고, 수중에서 유화되어 안정한 마이크로에멀젼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활성성분인 포에누모사이드를 포함한 조성 화합물을 잘 녹일 수 있는 것으로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각종의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a)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류, 바람직하게는 중급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예를 들면 분별된 코코넛 오일(상품명: 미글리올812N, 제조회사: Huls), (b) 모노-, 디- 또는 모노/디-글리세라이드류, 바람직하게는 올레산의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류, (c) 지방산과 일가 알칸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특히 탄소수 8 내지 20개의 지방산과 탄소수 2 내지 3개의 일가 알칸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 리놀리에이트 또는 에틸 올리에이트, (d) 천연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 예를 들면 옥수수유, 올리브유, 대두유(soybean oil) 또는 어유(fish oil), (e) 탄화수소류, 예를 들면 스쿠알렌 또는 스쿠알란, (f) 유리지방산류, 바람직하게는 액상의 올레산 또는 리놀레산 등, (g) 토코페롤류, 예를 들면 dl-a-토코페릴 아세테이트(dl-a-Tocopheryl acetate) 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6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0-60 중량%이다. 60 중량%를 초과하면 에멀젼 입자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에멀젼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유효 성분의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항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항산화제로는 친유성인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또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의 항산화제와 친수성인 아스코르빈산, 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또는 아황산수소나트륨 등의 항산화제가 함유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항산화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2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포에누모사이드 0.2-10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아세틴, 글리세롤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해제 20-40 중량%; 폴리옥실 35 캐스터 오일, 폴리옥실 40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폴리솔베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8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디메틸이소소르비드 및 폴록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10-30 중량%; 오일 20-60 중량%; 및 항산화제 0.1-5 중량%를 포함하며, 물과 혼합 시 자가유화(self-emulsification)하여 에멀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약물시스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가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시럽, 메틸 셀를로스,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 각종 첨가제, 예를 들면 안정화제, 소포제, 방향제, 방부제, 윤활제, 감미제, 습윤제, 현탁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포에누모사이드 0.1-16 중량%; 용해제 15-60 중량%; 계면활성제 5-40 중량%; 및 오일 10-60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과 혼합시 자가유화(self-emulsification)하여 에멀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과 혼합시 자가유화(self-emulsification)하여 에멀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포에누모사이드 0.1-16 중량%; 용해제 15-60 중량%; 계면활성제 5-40 중량%; 및 오일 10-60 중량%를 혼합하면 제조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순차적으로, 용해제 및 계면활성화제를 먼저 혼합하고, 그 다음에 오일을 혼합하고, 마지막으로 포에누모사이드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성분들을 혼합하고 교반함으로써 균질하게 용해시켜 마이크로에멀젼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제조시 혼합 또는 유화 수단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Waterbath 같은 가온반응기, 교반기 및 Homogenizer와 같은 통상의 혼합 내지 유화 장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은 물과 혼합시 자가유화하여 에멀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상기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을 수성 매질과 혼합함으로써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을 포함하는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수성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또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수성 매질 및 상기 수성 매질에 유화된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을 포함하는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수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수성 조성물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을 수성 매질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은 수용해성과 안정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경구 투여가 가능하여,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 등 폭넓은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을 통상의 연질캡슐이나 경질캡슐에 충전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이에, 또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을 포함하는 캡슐형 제제를 제공한다. 이러한 캡슐은 저장 안정성이 뛰어나고, 이를 경구투여하면 포에누모사이드가 체내에서 자가유화함으로써 약물의 입자를 최소화하여 흡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은 예컨대 주사제 또는 액제음료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대신에 상기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수성 조성물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에누모사이드의 수난용성이 개선되고 흡수율이 향상되어 생체이용률이 증대되며, 장기 보관시에도 침전, 응집, 재결정, 형상변화 및 함량변화가 생기지 않고 안정성과 투명성이 우수하여, 연질캡슐, 액제음료 및 주사제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6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중에서 주성분인 포에누모사이드, 오일류 및 항산화제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약 50-70로 가온하면서 완전히 혼합하여 투명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 다음, 오일류를 넣고 같은 방법으로 교반하여 완전히 섞어주었다. 이어서 약 40 이하에서 주성분인 포에누모사이드를 앞서 제조한 혼합액에 서서히 가해 완전히 투명하게 용해시킨 후 연질캡슐이나 경질캡슐 제조를 위한 에멀젼상의 내용액을 제조하였다.
성분명 배합목적 실시예(단위: )
1 2 3 4 5 6
포에누모사이드 주성분 2 2 2 2 2 2
폴리에틸렌글리콜 용해보조제 및 공계면활성제 230 230 115 128
프로필렌글리콜 230 115 170
트리아세틴 용해보조제 80
트윈 20 계면활성제 30 30
트윈 80 계면활성제 20 20
폴록사머124 계면활성제 50
HCO50 계면활성제 100
크레모포어 RH40 계면활성제 100 80 80 80 120
크레모포어 EL 계면활성제 20
미글리올812N 오일/지방산 10 20 10 10 10
중쇄지방산(MCT) 오일/지방산 298 298 278 248 298 250
대두유 오일/지방산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오일/지방산 10 30 30
토코페롤 항산화제 10 10 10 10 10 10
합계() 650 650 650 650 650 650
<연질캡슐 피막의 제조>
일반적으로 알려진 젤라틴, 가소제 등을 함유하는 연질캡슐 제조 성분들을 사용하여 통상의 피막제조방법으로 연질캡슐 피막을 제조하였다. 피막조성물은 1캡슐 (166 )당 젤라틴 118 , 글리세린 46.9 , 에틸바닐린 0.7 ,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35 및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0.05 이었다.
본 발명의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미세자가유화 조성물의 연질캡슐 생산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로타리식 자동충전기를 이용하여 통상의 충전방법으로 Oval #10에 650 씩 충전하여 성형한 다음 건조 및 선별공정을 거쳐 시제품으로 하였다.
<비교예 1의 제조>
포에누모사이드 2 g, 미결정셀룰로오스 145 g, 유당 200 g과 크로스카멜로스나트륨 50 g을 혼합한 후, 활택제인 스테아린산마그네슘 3 g를 넣어 잘 혼합하고, 통상적인 타정기를 사용하여 400 의 정제로 타정하였다.
<비교예 2의 제조>
포에누모사이드 2 g, 미결정셀룰로오스 145 g, 유당 200 g과 활택제인 스테아린산마그네슘 3 g을 넣어 잘 혼합한 후, 350 씩 충전하여 경질캡슐로 만들었다.
<실험예 1> 실시예 1-6의 연질캡슐 및 비교예 1-2의 평가
제조과정 중 실시예 1-6의 자가유화에멀젼 조성물 내에 포에누모사이드가 완전히 용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의 조성물을 물 200 ml에 용해시킨 결과, 실시예 1-6의 조성물은 주성분인 포에누모사이드가 가용화되어 투명 내지는 반투명 액상의 에멀젼을 형성한 반면, 비교예 1 및 2는 함유 성분이 용해되지 않고 끈적임이 있는 덩어리의 형태로 유리비이커의 바닥이나 측면에 부착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10)

  1.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포에누모사이드 0.1-16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아세틴, 글리세롤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해제 15-6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된 천연 또는 수소화 피마자유, 모노 또는 트리 라우릴, 팔미틸, 스테아릴 또는 올레일의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 디옥틸설포숙신산 나트륨 또는 라우릴 설포산 나트륨, 인지질,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라우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리시놀리에이트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카프릴릭-카프릭산 디에스테르, 천연 식물성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와 폴리알킬렌 폴리올의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 카프릴/카프르산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소르비탄 모노라우릴, 소르비탄 모노팔미틸 또는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릴,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및 시토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5-40 중량%;
    코코넛 오일을 포함하는 중쇄지방산, 올레산의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 리놀리에이트 또는 에틸 올리에이트, 옥수수유, 올리브유, 대두유, 어유(fish oil), 액상의 올레산 또는 리놀레산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 10-60 중량%; 및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아스코르빈산, 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및 아황산수소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산화제 0.1-20 중량%를 포함하고,
    물과 혼합시 자가유화(self-emulsification)하여 에멀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조성물 총 중량 대비
    포에누모사이드 0.1-16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아세틴, 글리세롤 및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해제 15-6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화된 천연 또는 수소화 피마자유, 모노 또는 트리 라우릴, 팔미틸, 스테아릴 또는 올레일의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공중합체, 디옥틸설포숙신산 나트륨 또는 라우릴 설포산 나트륨, 인지질, 프로필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라우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라우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리시놀리에이트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카프릴릭-카프릭산 디에스테르, 천연 식물성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와 폴리알킬렌 폴리올의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 생성물, 카프릴/카프르산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류, 소르비탄 모노라우릴, 소르비탄 모노팔미틸 또는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릴, 콜레스테롤, 피토스테롤 및 시토스테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 5-40 중량%;
    코코넛 오일을 포함하는 중쇄지방산, 올레산의 모노- 또는 디-글리세라이드,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 리놀리에이트 또는 에틸 올리에이트, 옥수수유, 올리브유, 대두유, 어유(fish oil), 액상의 올레산 또는 리놀레산 및 토코페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 10-60 중량%; 및
    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아스코르빈산, 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및 아황산수소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항산화제 0.1-20 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과 혼합시 자가유화(self-emulsification)하여 에멀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제조방법.
  8. 수성 매질 및 상기 수성 매질에 유화된 제1항의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을 포함하는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수성 조성물.
  9. 제1항의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을 수성 매질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수성 조성물 제조방법.
  10. 제1항의 포에누모사이드 함유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제제.
KR1020130051242A 2013-05-07 2013-05-07 포에누모사이드 포함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69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242A KR101469953B1 (ko) 2013-05-07 2013-05-07 포에누모사이드 포함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242A KR101469953B1 (ko) 2013-05-07 2013-05-07 포에누모사이드 포함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125A KR20140132125A (ko) 2014-11-17
KR101469953B1 true KR101469953B1 (ko) 2014-12-08

Family

ID=52453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242A KR101469953B1 (ko) 2013-05-07 2013-05-07 포에누모사이드 포함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9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7568B (zh) * 2017-06-26 2021-06-15 陕西中医药大学 重楼总皂苷自微乳化颗粒剂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585A (ko) * 2008-06-18 2009-12-29 한국콜마 주식회사 매스틱 자가유화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캡슐
KR101127437B1 (ko) * 2009-07-20 2012-03-23 비알엔사이언스 주식회사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31585A (ko) * 2008-06-18 2009-12-29 한국콜마 주식회사 매스틱 자가유화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캡슐
KR101127437B1 (ko) * 2009-07-20 2012-03-23 비알엔사이언스 주식회사 비만 또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2125A (ko) 201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5260B2 (ja) 抗癌組成物
US8722664B2 (en) Spontaneously dispersible N-benzoyl staurosporine compositions
TWI236912B (en) Composition in form of emulsion or microemulsion pre-concentrate for oral administration and its uses
CN1332648C (zh) 微乳预浓缩物
US8486983B2 (en) Self-emulsifying formulations of CETP inhibitors
KR101716878B1 (ko) 글리세롤 지방산에스테르유도체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에스테르유도체를 함유한 두타스테리드와 타다라필의 복합 캡슐제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42942B1 (ko) 카르두스 마리아누스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정제된 실리빈을함유하는 경구용 마이크로에멀젼 조성물
KR101025641B1 (ko) 매스틱 자가유화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캡슐
KR101767296B1 (ko) 활성제로서 페닐아미노피리미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제
KR101928589B1 (ko) 알리스포리비르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AU2004262495A1 (en) Self-emulsifying and self-microemulsifying formulations for the oral administration of taxoids
KR101469953B1 (ko) 포에누모사이드 포함 자가유화 약물전달시스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397759C2 (ru) Микроэмульсионные композиции, включающие антагонисты вещества р
JP2006509785A (ja) ビフェニルジメチルジカルボン酸の経口用マイクロエマルション組成物
KR100570450B1 (ko) 가용성 로바스타틴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35141B1 (ko) 난용성 항진균제의 경구투여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569595B1 (ko) 가용성 심바스타틴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0741321B1 (ko) 가용화된 잘토프로펜의 연질캡슐제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1279568B1 (ko)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경구용 약학 조성물
KR100455216B1 (ko) 난용성 항진균제의 경구투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