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476B1 -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 안내수단 - Google Patents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 안내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476B1
KR101462476B1 KR1020130084440A KR20130084440A KR101462476B1 KR 101462476 B1 KR101462476 B1 KR 101462476B1 KR 1020130084440 A KR1020130084440 A KR 1020130084440A KR 20130084440 A KR20130084440 A KR 20130084440A KR 101462476 B1 KR101462476 B1 KR 101462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bag
chute
coupled
guid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4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Priority to KR1020130084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26Opening or distending bags; Opening, erecting, or setting-up boxes, cartons, or carton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28Controlling escape of air or dust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에 관한 것으로, 분체가 저장된 저장호퍼(H)와, 상기 저장호퍼로부터 포대(B)에 분체를 배출하도록 오우거피더(12)가 마련된 분체배출수단(10)과, 상기 오우거피더(12) 직하로 포대걸이(22), 업다운프레임(24) 및 상기 업다운프레임(24)을 상하로 유동하도록 실린더(26)가 마련된 포대거치대(20)와, 상기 포대거치대(20)에 결합구비되어 분체 포장시 정량을 검출하기 위한 로드셀(30)과, 상기 업다운프레임(24)측에 결합되고, 상기 오우거피더 직하로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오우거피더(12)가 포대(B) 내부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포대거치대(20)에 거치된 포대(B)의 상단을 벌려주어 개방하며, 상기 오우거피더가 포대(B) 내부로 상하이동안내되어 분체를 배출하도록 마련된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100)에 있어서, 상기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100)은 상기 업다운프레임(24)에 고정결합되고, 포크형의 지지암(112)이 좌우 대칭형성된 "┏┓" 형상의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좌우 지지암(112)에 양단이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지지암(112) 전후로 각각 형성되는 선회축(120)과; 상하 개방된 사각의 함체를 반분하여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 선회축(120) 중앙으로 상기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가 고정브라켓(136)에 의해 각각 축고정결합되어 하측이 예각으로 접한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형성되며, 오우거피더(12)의 상하이동에 따라 예각으로 맞닿아 있는 상기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 하측이 전후로 개방 및 폐쇄가 반복되도록 형성된 배출슈트(130)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좌우측 중 어느 하나의 지지암(112)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회축(120) 일단에 축결합되어 상기 지지암(112) 전후에 축결합된 선회축(120)을 선회작동하여 상기 배출슈트(130)의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 하측이 전후로 개방 및 폐쇄가 반복되도록 직선운동을 선회운동으로 변화하는 크랭크수단(2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 안내수단{Open bags of powder packing equipment for packaging the guide means of the powder}
본 발명은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체포장장치의 오우거피더 상하이동에 따라 포대의 상단을 오우거피더가 출몰이 용이하도록 벌려 개방해주는 것으로, 분체를 포장하기 위해 오우거피더 직하로 위치되는 포대의 입구를 벌려주어 오우거피더가 포대에 간섭없이 인입되어 분체 배출이 가능하고, 포대 상단부를 통해 오우거피더가 포대 내부로 진입시 벌려주어 오우거피더의 인입에 따른 포대파손이 없으며, 이에 따라 분체의 손실이 방지되어 정량오차 없이 분체의 포대수용이 가능함에 따라 정량불량의 포대생산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체를 포장하는 설비는 저장호퍼, 차단변 혹은 스크류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분체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는 오우거피더 등의 분체배출수단, 분체를 수납하는 포대(Bag)를 고정하는 포대고정수단, 포대를 받치면서 유동 및 승하강시키기 위한 벨로우즈실린더 및 진동기를 포함하는 테이블설비, 포대에 담긴 분체의 중량을 계량하는 로드셀, 수납완료된 포대를 이송하는 포대이송컨베이어 및 분진포집설비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체포장설비의 구성을 통해 포대에 분체를 수용하여 포장하는 것을 살펴보면 먼저 포대가 포대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이후 분체배출수단의 오우거피더가 포대고정수단에 고정된 포대의 상부를 통해 포대 내부로 분체를 배출한다. 이때, 분체가 포대 내부에 정량으로 적층수용되도록 데이블설비의 진동기와 벨로우즈실린더의 상호작용에 의해 진동 및 상하유동되어 분체가 포대 내부에 고르게 적층되어 정량수용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체포장설비를 통한 분체의 포장은 분체배출수단의 오우거피더가 포대 내부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포대개방안내수단이 필요로하여 포대의 개방 및 오우거피더의 안내를 위해 원통형의 슈트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오우거 피더는 상술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슈트를 통해 포대 내부에 진입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포대개방안내수단인 원통형의 슈트는 포대고정수단을 통해 일부 벌어진 포대의 틈으로 오우거피더가 진입되기 전에 포대 상부에 대응되어 원통형상으로 오우거피더의 출몰이 용이하도록 포대 상부를 벌려주도록 형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원통형상의 슈트는 포대 상부의 벌어진 틈이 원통형상의 슈트의 직경보다 작을 경우에는 포대 상부가 원통형의 슈트에 의해 찢어지게 되어 분체 포장시 분체의 누출로 인한 정량 포장의 불량과 포대의 포장불량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포대개방안내수단인 원통형의 슈트는 오우거피더가 포대 내부로 진입하기까지의 시간이 증대되어 분체포장시간의 증대로 연결됨에 따라 분체 포장제품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원통형의 슈트가 집입되는 동시에 오우거피더가 포대 내부로 진입되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원통형상의 종래 슈트가 먼저 포대 상부의 벌어진 틈을 통해 진입하여 벌어지게 한 후, 슈트의 내경을 통해 오우거 피더가 포대 내부로 진입하여 분체를 배출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분체 배출까지의 생산시간이 증대되고, 분체를 배출한 후에도 위 순서를 역으로 진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생산시간이 증대되는 것은 더더욱 자명한 것으로 생산성 저하에 큰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대량생산에 제약이 되었다.
또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포대개방안내수단인 원통형의 슈트의 진입시 포대의 벌어진 틈이 작을 경우 포대의 둘레로 원자재의 손실과 잦은 파손으로 인해 파손부위를 통한 포대에 수용하여야할 정량의 분체 손실이 크고 또 이로 인하여 정량미달로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 및 분체포장 자체의 불량으로 이어지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분체포장장치의 오우거피더가 포대 내부로 진입시 포대 상부를 하부가 예각을 이룬 상태로 형성되어 마주하고 있는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벌려주고, 오우거피더가 분체배출을 마친 후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하부가 예각을 이룬 상태로 원상복귀됨에 따라 포대 상부에 여분의 분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가 가능하며,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오우거피더에 의해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하부가 좌우작동되어 포대를 벌려줌과 동시에 오우거피더가 포대 내부로 진입되어 포대 내부에 분체가 빠르게 배출됨에 따라 분체포장 생산시간의 단축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분체포장장치의 분체 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대 상부가 최소로 벌어지더라도 포대 상부 둘레가 파손됨 없이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에 의해 포대 상부를 벌려 오우거 피더의 진입을 원할하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포대 손실 및 원자재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오우거피더가 분체배출을 마친 후 수직상승함에 따라 자동으로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이 마주보며 닫힘으로서, 오우거피더의 원상복귀시 포대 상부에 여분의 분체가 포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가 가능하여 분체를 포대에 정량수용하여 생산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포대 파손으로 인한 제품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은 분체가 저장된 저장호퍼(H)와, 상기 저장호퍼로부터 포대(B)에 분체를 배출하도록 오우거피더(12)가 마련된 분체배출수단(10)과, 상기 오우거피더(12) 직하로 포대걸이(22), 업다운프레임(24) 및 상기 업다운프레임(24)을 상하로 유동하도록 실린더(26)가 마련된 포대거치대(20)와, 상기 포대거치대(20)에 결합구비되어 분체 포장시 정량을 검출하기 위한 로드셀(30)과, 상기 업다운프레임(24)측에 결합되고, 상기 오우거피더 직하로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오우거피더(12)가 포대(B) 내부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포대거치대(20)에 거치된 포대(B)의 상단을 벌려주어 개방하며, 상기 오우거피더가 포대(B) 내부로 상하이동안내되어 분체를 배출하도록 마련된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100)에 있어서, 상기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100)은 상기 업다운프레임(24)에 고정결합되고, 포크형의 지지암(112)이 좌우 대칭형성된 "┏┓" 형상의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좌우 지지암(112)에 양단이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지지암(112) 전후로 각각 형성되는 선회축(120)과; 상하 개방된 사각의 함체를 반분하여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 선회축(120) 중앙으로 상기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가 고정브라켓(136)에 의해 각각 축고정결합되어 하측이 예각으로 접한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형성되며, 오우거피더(12)의 상하이동에 따라 예각으로 맞닿아 있는 상기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 하측이 전후로 개방 및 폐쇄가 반복되도록 형성된 배출슈트(130)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좌우측 중 어느 하나의 지지암(112)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회축(120) 일단에 축결합되어 상기 지지암(112) 전후에 축결합된 선회축(120)을 선회작동하여 상기 배출슈트(130)의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 하측이 전후로 개방 및 폐쇄가 반복되도록 직선운동을 선회운동으로 변화하는 크랭크수단(2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수단(200)은 실린더로드(212)가 지지암(112)측으로 직선상 출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10) 상부에 결합되는 선회작동실린더(210)와; 상기 실린더로드(212) 끝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로드(212)의 직선상 출몰에 따라 선회되는 작동레버(220)와; 상기 실린더로드(220)와 출몰방향과 직교되는 상기 지지암(112) 상측 전후로 결합되는 복수의 베어링하우징(230)과; 상기 베어링하우징(230)에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작동레버(22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220)의 선회작동에 따라 선회되는 선회링크축(240)과; 상기 선회링크축(240)에 전후대칭되게 고정결합되어 상기 선회링크축(240)의 선회작동과 동일하게 선회작동되는 구동크랭크(250)와; 상기 구동크랭크(250)에 각각 조인트결합되고, 상기 선회작동되는 구동크랭크(250)의 선회운동을 수직선상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경하도록 좌우대칭형성된 커넥팅로드(260)와; 상기 커넥팅로드(260)의 상하 직선운동에 따라 선회작동되도록 상기 커넥팅로드(260) 하단에 조인트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선회축(120) 일단에 축고정결합되는 슈트선회크랭크(27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분체포장장치의 오우거피더가 포대 내부로 진입시 포대 상부를 하부가 예각을 이룬 상태로 형성되어 마주하고 있는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벌려주고, 오우거피더가 분체배출을 마친 후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하부가 예각을 이룬 상태로 원상복귀됨에 따라 포대 상부에 여분의 분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가 가능하며,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되는 오우거피더에 의해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하부가 좌우작동되어 포대를 벌려줌과 동시에 오우거피더가 포대 내부로 진입되어 포대 내부에 분체가 배출됨에 따라 분체포장 생산시간의 단축이 가능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포대 상부가 최소로 벌어지더라도 포대 상부 둘레가 파손됨 없이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에 의해 포대 상부를 벌려 오우거 피더의 진입을 원할하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포대 손실 및 원자재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분체포장장치의 오우거피더가 분체배출을 마친 후 수직상승함에 따라 자동으로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이 마주보며 닫힘으로서, 오우거피더의 원상복귀시 포대 상부에 여분의 분체가 포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방지가 가능하여 분체를 포대에 정량수용하여 생산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으며, 포대 파손으로 인한 제품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이 분체포장장치에 형성된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전체구성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측면구성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배출슈트가 포대에 대응되어 포대를 벌려 개방하기 전 상태의 요부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배출슈트가 포대에 대응된 후, 배출슈트가 좌우로 벌어져 포대를 개방하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배출슈트가 포대를 완전히 개방 후, 오우거피더가 배출슈트에 의해 안내되어 포대 내부로 진입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이 분체포장장치에 형성된 요부 확대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전체구성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측면구성의 작동관계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배출슈트가 포대에 대응되어 포대를 벌려 개방하기 전 상태의 요부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배출슈트가 포대에 대응된 후, 배출슈트가 좌우로 벌어져 포대를 개방하는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의 배출슈트가 포대를 완전히 개방 후, 오우거피더가 배출슈트에 의해 안내되어 포대 내부로 진입된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분체포장장치의 분체가 저장된 저장호퍼(H)와, 상기 저장호퍼로부터 포대(B)에 분체를 배출하도록 오우거피더(12)가 마련된 분체배출수단(10)과, 상기 오우거피더(12) 직하로 포대걸이(22), 업다운프레임(24) 및 상기 업다운프레임(24)을 상하로 유동하도록 실린더(26)가 마련된 포대거치대(20)와, 상기 포대거치대(20)에 결합구비되어 분체 포장시 정량을 검출하기 위한 로드셀(30)과, 상기 업다운프레임(24)측에 결합되고, 상기 오우거피더 직하로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오우거피더(12)가 포대(B) 내부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포대거치대(20)에 거치된 포대(B)의 상단을 벌려주어 개방하며, 상기 오우거피더가 포대(B) 내부로 상하이동안내되어 분체를 배출하도록 마련된 분체포장장치에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100)을 포함하는 통상의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통상의 분체포장용 포장장치의 구성을 가진 통상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은 기본적으로 갖추어진 구성으로서,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통상의 포대개방안내수단을 본 발명에 따른 포대개방안내수단(100)으로 대체하고, 이외의 나머지 통상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통상의 포대개방안내수단에 대체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100)은 포대(B) 상부를 개방시 포대의 상부둘레가 찢어지는 파손을 최소화하고, 포대 상부가 용이하게 개방됨에 따라 오우거피더(12)의 상하 수직이동을 통해 포대 내부 진입이 용이하며, 포대의 개방과 함께 오우거피더의 포대 내부로의 정확한 안내 및 분체 누출에 따른 정량측정의 부정확함을 보완할 수 있어 분체포장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10), 선회축(120), 배출슈트(130), 크랭크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후술되는 선회축(120), 배출슈트(130), 크랭크수단(200)이 결합지지되는 것으로, 전술한 통상의 상기 업다운프레임(24)에 고정결합되고, 포크형의 지지암(112)이 좌우 대칭형성된 "┏┓"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암(112)은 상기 오우거피더(12)와 동일수직선상 직하로 후술되는 배출슈트(130)가 위치되어 선회작동되도록 후술되는 선회축(120)을 지지하고, 크랭크수단(200)이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선회축(120)은 후술되는 배출슈트(130)가 축고정결합되어 선회축의 선회작동에 따라 배출슈트(130)의 하부가 마주보는 상태에서 서로 맞닿아 있도록 상기 지지암(112)의 전후로 대칭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좌우 지지암(112)에 양단이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지지암(112) 전후로 대칭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회축(120)의 선회작동은 후술되는 크랭크수단(130)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경함에 따라 선회축(120)이 선회하여 후술되는 배출슈트(130)의 하측이 개방 및 폐쇄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배출슈트(130)는 포대의 상부에 대응되어 포대 상부가 오우거피더가 출몰이 용이하도록 개방하는 것으로, 상하 개방된 사각의 함체를 반분하여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 선회축(120) 중앙으로 상기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가 고정브라켓(136)에 의해 각각 축고정결합되어 하측이 예각으로 접한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형성되며, 오우거피더(12)의 상하이동에 따라 예각으로 맞닿아 있는 상기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 하측이 전후로 개방 및 폐쇄가 반복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포대 상단부 내측으로 최소로 벌어진 상태에서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이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슈트(132), 제2슈트(134)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 선회작동함에 따라 포대 상부가 오우거피더가 출몰가능하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크랭크수단(200)은 전술한 선회축(120)을 선회작동하도록 실린더의 직선운동을 선회운동으로 선회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화하고, 다시 직선운동을 선회운동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선회축(120)의 선회작동에 따라 배출슈트(130)가 선회작동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좌우측 중 어느 하나의 지지암(112)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회축(120) 일단에 축결합되어 상기 지지암(112) 전후에 축결합된 선회축(120)을 선회작동하여 상기 배출슈트(130)의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 하측이 전후로 개방 및 폐쇄가 반복되도록 직선운동을 선회운동으로 변화한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수단(2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작동실린더(210), 작동레버(220), 베어링하우징(230), 선회링크축(240), 구동크랭크(250), 커넥팅로드(250), 슈트선회크랭크(270)로 구성되어 직선운동-선회운동-직선운동-선회운동(직선상의 축선과 직교되는 축의 선회)으로 변환한다.
상기 선회작동실린더(210)는 실린더로드(212)가 상기 클랭크수단(200)이 일측으로 형성되는 지지암(112)측 외측으로 직선상 출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10) 상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선회작동실린더(210)는 실린더로드(212)의 직선운동을 한다.
상기 작동레버(220)는 전술한 실린더로드(212)의 직선운동을 선회운동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로드(212) 끝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로드(212)의 직선상 출몰에 따라 선회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레버(220)는 후술되는 선회링크축(240) 일단에 축고정결합하여 상기 작동레버(220)의 선회운동이 전달되어 선회링크축(240)이 작동레버(220)와 동시에 선회운동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230)은 후술되는 선회링크축(240)이 상기 실린더로드(212)의 축선과 직교되는 위치에서 직선운동을 전술한 작동레버(220)로 전달하여 작동레버(220)의 선회운동에 따라 동일하게 축선상에서 선회운동하도록 마련된 거승로, 상기 실린더로드(220)와 출몰방향과 직교되는 상기 지지암(112) 상측 전후로 결합되어 전후 대칭구비된다.
상기 선회링크축(240)은 전술한 작동레버(220)의 선회운동을 그대로 전달받아 선회운동하는 것으로, 상기 베어링하우징(230)에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작동레버(22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220)의 선회작동에 따라 선회된다. 여기서, 상기 선회링크축(240)에는 후술되는 구동클램핑(250)이 전후대칭되게 고정결합된다.
상기 구동크랭크(250)는 상기 선회링크축(240)의 선회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후술되는 커넥팅로드(260)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선회링크축(240)에 전후대칭되게 고정결합되어 상기 선회링크축(240)의 선회작동과 동일하게 선회작동된다.
상기 커넥팅로드(260)는 상기 구동크랭크(250)의 선회운동을 전달받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상기 구동크랭크(250)에 상단이 각각 조인트결합되고, 상기 선회작동되는 구동크랭크(250)의 선회운동을 수직선상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경하도록 좌우대칭형성된다.
상기 슈트선회크랭크(270)는 전술한 커넥팅로드(260)의 직선운동을 전달받아 선회축(120)을 선회작동하도록 선회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으로, 상기 커넥팅로드(260)의 상하 직선운동에 따라 선회작동되도록 상기 커넥팅로드(260) 하단에 조인트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선회축(120) 일단에 축고정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의 하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측면상의 역삼각형상의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후, 포대(B)가 포대거치대(20)의 상승에 따라 상기 배출슈트(130)측으로 상승하되,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가 맞닿아 측면상에서는 점의 형태로, 정면상에서의 선의 형태로 최소의 접촉면적을 이룬 배출슈트(130)의 하부에 포대(B)가 대응되고, 포대걸이(22)에 의해 전후 둘레가 파지된 포대(B)의 상부 벌어진 틈으로 측면상의 점과 정명상의 선형으로 접하여 포대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의 맞닿은 하부의 역삼각형태에 따라 상광하협상의 변화에 의해 포대(B)의 상부는 전후 둘레로 1차벌어지게되어 포대(B) 상부 둘레의 찢어지는 파손없이 용이하게 포대(B) 상부 내부로 배출슈트(130)의 삽입이 가능하다.
이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수단(200)의 직선운동-선회운동-직선운동-선회운동(직선상의 축선과 직교되는 축의 선회)으로 변환과정을 통해 지지암(112)의 전후로 배치된 선회축(120)이 서로 대향되게 선회운동하고, 이에 따라 선회축(120) 중앙으로 오우거피더(12)와 동일수직선상에 축고정결합된 제1슈트(132), 제2슈트(134)의 맞닿아 있는 하부가 선회되어 벌어지게 된다.
이후, 계속적으로 선회축(120)이 선회작동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우거피더(12)가 포대내부로 바르게 안내될 수 있는 직경으로 포대(B)의 상부가 개방된다. 여기서, 오우거피더(12)는 크랭크수단(200)의 작동에 따라 선회되는 배출슈트(130)의 제1,2슈트(132,134)의 개폐작동과 동시에 수직하강 및 상승하여 오워거피더(12)에 의한 분체배출시간을 최소화한다.
한편, 분체의 배출은 마친 후에는 상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오우거피더(12)가 배출슈트(130) 상측으로 수직상승 후에는 배출슈트(130)의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의 하부가 다시 맞닿아 접한 상태를 이룸에 따라 오우거피더(12)로부터 배출되는 잔여 분체가 포대(B) 내부로 투입되지 않아 정량오차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포대 외부로 분체가 낙하되어 오염되지 않은 분체포장을 보다 청결하게 작업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H : 저장호퍼 B : 포대
10 : 분체배출수단 12 : 오우거피더
20 : 포대거치대 22 : 포대걸이
24 : 업다운프레임 26 : 실린더
30 : 로드셀 100 : 포대개방안내수단
110 : 지지프레임 112 : 지지암
120 : 선회축 130 : 배출슈트
132 : 제1슈트 134 : 제2슈트
200 : 크랭크수단 210 : 선회작동실린더
212 : 실린더로드 220 : 작동레버
230 : 베어링하우징 240 : 선회링크축
250 : 구동크랭크 260 : 커넥팅로드
270 : 슈트선회크랭크

Claims (3)

  1. 분체가 저장된 저장호퍼(H)와, 상기 저장호퍼로부터 포대(B)에 분체를 배출하도록 오우거피더(12)가 마련된 분체배출수단(10)과, 상기 오우거피더(12) 직하로 포대걸이(22), 업다운프레임(24) 및 상기 업다운프레임(24)을 상하로 유동하도록 실린더(26)가 마련된 포대거치대(20)와, 상기 포대거치대(20)에 결합구비되어 분체 포장시 정량을 검출하기 위한 로드셀(30)과, 상기 업다운프레임(24)측에 결합되고, 상기 오우거피더 직하로 동일수직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오우거피더(12)가 포대(B) 내부로 진입하기 전에 상기 포대거치대(20)에 거치된 포대(B)의 상단을 벌려주어 개방하며, 상기 오우거피더가 포대(B) 내부로 상하이동안내되어 분체를 배출하도록 마련된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100)에 있어서,
    상기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100)은 상기 업다운프레임(24)에 고정결합되고, 포크형의 지지암(112)이 좌우 대칭형성된 "┏┓" 형상의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좌우 지지암(112)에 양단이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지지암(112) 전후로 각각 형성되는 선회축(120)과;
    상하 개방된 사각의 함체를 반분하여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가 형성되고, 상기 전후 선회축(120) 중앙으로 상기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가 고정브라켓(136)에 의해 각각 축고정결합되어 하측이 예각으로 접한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며 대응형성되며, 오우거피더(12)의 상하이동에 따라 예각으로 맞닿아 있는 상기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 하측이 전후로 개방 및 폐쇄가 반복되도록 형성된 배출슈트(130)와;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좌우측 중 어느 하나의 지지암(112) 외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선회축(120) 일단에 축결합되어 상기 지지암(112) 전후에 축결합된 선회축(120)을 선회작동하여 상기 배출슈트(130)의 제1슈트(132)와 제2슈트(134) 하측이 전후로 개방 및 폐쇄가 반복되도록 직선운동을 선회운동으로 변화하는 크랭크수단(2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수단(200)은 실린더로드(212)가 지지암(112)측으로 직선상 출몰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10) 상부에 결합되는 선회작동실린더(210)와;
    상기 실린더로드(212) 끝단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실린더로드(212)의 직선상 출몰에 따라 선회되는 작동레버(220)와;
    상기 실린더로드(220)와 출몰방향과 직교되는 상기 지지암(112) 상측 전후로 결합되는 복수의 베어링하우징(230)과;
    상기 베어링하우징(230)에 선회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작동레버(220)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220)의 선회작동에 따라 선회되는 선회링크축(240)과;
    상기 선회링크축(240)에 전후대칭되게 고정결합되어 상기 선회링크축(240)의 선회작동과 동일하게 선회작동되는 구동크랭크(250)와;
    상기 구동크랭크(250)에 각각 조인트결합되고, 상기 선회작동되는 구동크랭크(250)의 선회운동을 수직선상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경하도록 좌우대칭형성된 커넥팅로드(260)와;
    상기 커넥팅로드(260)의 상하 직선운동에 따라 선회작동되도록 상기 커넥팅로드(260) 하단에 조인트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선회축(120) 일단에 축고정결합되는 슈트선회크랭크(27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안내수단.
  3. 삭제
KR1020130084440A 2013-07-17 2013-07-17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 안내수단 KR101462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40A KR101462476B1 (ko) 2013-07-17 2013-07-17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 안내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440A KR101462476B1 (ko) 2013-07-17 2013-07-17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 안내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476B1 true KR101462476B1 (ko) 2014-11-18

Family

ID=5229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440A KR101462476B1 (ko) 2013-07-17 2013-07-17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 안내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4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2372A (zh) * 2018-12-28 2019-03-22 泰安康平纳机械有限公司 一种适合于大量粉体染料存储称量配送的储料桶设备
CN109664325A (zh) * 2019-01-07 2019-04-23 英穆自动化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新型四爪机构
KR20210139033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웰시스 자동포장기용 밀폐형 주입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046Y1 (ko) * 2005-11-04 2006-02-07 (주)이지테크 분말류 자동 포장장치
KR20110124816A (ko) * 2010-05-12 2011-11-18 김포산업 주식회사 분체 포장용 분진방지 및 정량포장을 위한 승하강장치
KR20130076651A (ko) *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분체포장용 포장설비의 포대공급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046Y1 (ko) * 2005-11-04 2006-02-07 (주)이지테크 분말류 자동 포장장치
KR20110124816A (ko) * 2010-05-12 2011-11-18 김포산업 주식회사 분체 포장용 분진방지 및 정량포장을 위한 승하강장치
KR20130076651A (ko) * 2011-12-28 2013-07-08 주식회사 김포비앤에스 분체포장용 포장설비의 포대공급이송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02372A (zh) * 2018-12-28 2019-03-22 泰安康平纳机械有限公司 一种适合于大量粉体染料存储称量配送的储料桶设备
CN109502372B (zh) * 2018-12-28 2024-02-27 泰安康平纳机械有限公司 一种适合于大量粉体染料存储称量配送的储料桶设备
CN109664325A (zh) * 2019-01-07 2019-04-23 英穆自动化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新型四爪机构
CN109664325B (zh) * 2019-01-07 2023-09-08 英穆自动化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新型四爪机构
KR20210139033A (ko) * 2020-05-13 2021-11-22 주식회사 웰시스 자동포장기용 밀폐형 주입기
KR102403682B1 (ko) 2020-05-13 2022-05-31 주식회사 웰시스 자동포장기용 밀폐형 주입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9512A (en) Top-off and weighing apparatus for filling bags
CN101365410B (zh) 包装机的称量辅助设备
KR101462476B1 (ko) 분체포장장치의 분체포장용 포대개방 안내수단
CN105966646B (zh) 一种渐变控料式称量包装装置
KR101144354B1 (ko) 분체 포장용 분진방지 및 정량포장을 위한 승하강장치
KR101993693B1 (ko) 분체포장시스템
JP2009023697A (ja) ロータリー型袋詰め包装機
JP2009532293A5 (ko)
CN109130318A (zh) 一种吸嘴袋生产线
CN205469898U (zh) 一种渐变控料式称量包装装置
CN207712397U (zh) 新型全自动装袋机
CN209650672U (zh) 一种茶叶分装测重装置
CN207618010U (zh) 一种轴承装瓶及盖盖机构
CN104546488A (zh) 一种胶囊套合检验一体机
CN209113454U (zh) 一种制冷剂自动化灌装生产线
JP3453097B2 (ja) 計量充填装置
CN108454959A (zh) 一种多功能物料灌装斗
CN209870791U (zh) 一种自动包装机的充填除尘装置
CN209701075U (zh) 一种立式装管机
CN210503539U (zh) 一种适用于氢氧化锂物料的吨包开袋站
CN109592137A (zh) 一种立式装管机
JP2009107682A (ja) 包装機の充填装置
CN220315379U (zh) 一种液体肥料全自动包装机
CN214190370U (zh) 一种白乳胶灌装封口机用定位装置
CN219077624U (zh) 一种分装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