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4763B1 - 표시장치 모듈 및 그 취급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모듈 및 그 취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4763B1
KR101444763B1 KR1020070113148A KR20070113148A KR101444763B1 KR 101444763 B1 KR101444763 B1 KR 101444763B1 KR 1020070113148 A KR1020070113148 A KR 1020070113148A KR 20070113148 A KR20070113148 A KR 20070113148A KR 101444763 B1 KR101444763 B1 KR 101444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grip
display device
device module
low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7128A (ko
Inventor
조진호
이철우
이영재
유병천
장재우
고남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4763B1/ko
Priority to US12/260,663 priority patent/US7889485B2/en
Publication of KR20090047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7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4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장치 모듈 및 그 취급방법이 개시된다. 이 표시장치 모듈은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이 수납되는 수납용기, 및 상기 수납 용기가 세워진 상태로 잡아 운반하는 이송장치에 설치된 그리퍼(Gripper)의 조(jaw)가 걸리는 그립 돌기를 가진다. 상기 그립 돌기는 상기 수납용기의 외부면에 돌출되고 그리퍼의 조(jaw)를 걸어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고정하여 이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자동화 설비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좁은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모듈을 운반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모듈 및 그 취급방법{DISPLAY MODULE AND METHOD OF HANDL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그 취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표시장치 모듈 및 그 취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을 사용하는 표시장치는 성능이나 가격의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모듈의 크기가 크고 소비전력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음극선관의 단점을 극복하고 소형화, 경량화, 박형화 및 저전력 소모 등의 장점이 있는 다양한 형태의 평면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가 소개되고 있다.
대표적인 평면표시장치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및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이 있으며,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표시장치도 소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대화면의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폭 이 좁은 베젤(narrow bezel)을 채택하여 대화면 표시장치 모듈의 크기를 줄이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추세이다.
표시장치 모듈은 자동화 공정으로 조립되고 있으며, 자동화 로봇의 그리퍼에 의해 공정 단계에 따라 운반되어 조립된다. 종래에는 표시장치 모듈의 하부 수납용기(bottom chassis)에 상부 수납용기(top chassis)를 향하여 절곡된 홈을 형성하여, 상기 홈에 그리퍼의 조(jaw)를 지지함으로써 표시장치 모듈을 운반하였다.
그러나, 좁은 베젤이 채택된 표시장치 모듈은 상기 하부 수납용기에 절곡된 홈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그리퍼의 조(Jaw)가 걸리는 홈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그리퍼가 무거운 표시장치 모듈을 지지하지 못하여 표시장치 모듈 생산의 자동화에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장치 모듈을 제조함에 있어서 자동화설비를 사용하여 안정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표시장치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표시장치 모듈을 자동화된 설비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리퍼의 조(jaw)가 고정될 수 있는 돌기를 갖는 표시장치 모듈을 제공한다.
이 표시장치 모듈은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이 수납되는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 용기가 세워진 상태로 잡아 운반하는 이송장치에 설치된 그리퍼(Gripper)의 조(jaw)가 걸리는 그립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그립 돌기는 상기 수납용기의 외부면에 돌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 결합되는 하부 수납용기와, 상기 표시 패널 전면에 결합되는 상부 수납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 돌기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외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돌기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후면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 후면 상단에는 한쌍의 그립 돌기로 구성된 복수개의 그 립 돌기 세트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는 상기 그립 돌기 세트 중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는 그립 돌기들에 걸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표시장치 모듈은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후면이 절곡되어 돌출된 그립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그립 돌기 하부면은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후면으로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립 돌기는 하부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립 돌기는 그립 블록으로서, 상기 그립 블록은 결합구에 의해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후면에 가이드 버(Guide burr) 및 제 1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그립 블록에 가이드 홈 및 제 2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버가 상기 지지 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 1 결합홀 및 상기 제 2 결합홀에 상기 결합구가 삽입되어, 상기 하부 수납용기에 상기 그립 블록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블록의 하부면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리퍼을 이용하여 표시장치 모듈을 운반하는 표시장치 모듈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표시패널이 수납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의 외부에 그립 돌기가 형성된 표시장치 모듈을 제 1 스테이지에서 이송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그립 돌기에 그리퍼의 조(jaw)를 걸어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고정하는 단계 와,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들어올려 제 2 스테이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조에 대향하여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지지하는 플래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는 상기 플래이트 및 상기 조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잡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퍼는 흡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장치 모듈의 전면 또는 후면에 상기 흡인부를 부착하여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 취급 방법은 상기 그리퍼를 이용한 자동화 단계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상기 그립 돌기를 잡아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운반하는 수작업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리퍼의 조가 걸리는 그립 돌기를 표시장치 모듈의 수납용기에 형성함으로써, 그리퍼를 이용하여 표시장치 모듈을 이동하거나 운반할 수 있어 자동화된 설비를 이용하여 표시장치 모듈을 취급할 수 있다.
특히, 좁은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모듈은 베젤의 폭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표시장치 모듈의 수납용기에 그립 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베젤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그립 돌기는 수납용기에 형성된 종래의 홈과 마찬가지로 그리퍼의 조가 걸리기 위한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표시장치 모듈을 취급하는 설비에서 그리퍼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표시장치 모듈을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 돌기가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경우, 그리퍼에 의한 자동화 공정뿐만 아니라 수작업 공정에서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취급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장치 모듈(1)은 표시 패널(3)과, 상기 표시 패널(3)이 수납되는 하부 수납용기(5) 및 상기 하부 수납용기(5)에 대향하는 상부 수납용기(7)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5)는 상기 상부 수납용기(7)과 결합되어 상기 표시 패 널(3)의 배면에서 상기 표시 패널(3)을 수납한다. 상기 상부 수납용기(7)는 상기 표시 패널(3)이 노출되는 개구(9)를 정의하는 베젤(8)을 가진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배면에는 컨트롤 회로기판 및 인버터 회로기판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5)는 표시 패널(3)을 보호하기 위하여 금속 등의 강도가 큰 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대화면 표시장치 모듈은 모듈의 크기를 줄이기 위하여 좁은 베젤을 갖는다. 베젤의 폭(BW)이 넓은 경우 상기 표시 패널(3)의 상부에 공간을 둘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부 수납용기(5)에 상기 상부 수납용기(7)을 향하여 절곡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곡된 홈은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운반하거나 이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좁은 베젤은 상기 표시 패널(3) 상부에 상기 하부 수납용기(5)가 절곡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홈을 형성할 수 없고, 이 때문에 좁은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모듈은 그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수납용기(5)는 외부로 절곡된 그립 돌기(4)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은 상기 표시 패널(3) 상부에 공간을 두지 않아도 된다.
상기 그립 돌기(4)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한 부분에 상기 그립 돌기(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상하 방향을 지시할 수 있고, 상기 수납용기(5)의 상하 방향이 혼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그립 돌기(4)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 상단에 형성하는 것이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취급하는데 용이하다. 또한, 상기 그립 돌기(4)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양측에 하나씩 설치하여 표시장치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자동화된 생산 라인에는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운반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이송 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고정하는 그리퍼(gripper)를 가진다.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그리퍼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장치 모듈이 세워진 상태로 잡아 운반할 수 있다.
표시장치 모듈의 생산 설비는 다양한 크기의 표시장치 모듈을 취급하기 위하여 생산 라인 또는 상기 생산 라인의 섹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그리퍼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그립 돌기(4)로 구성된 그룹 돌기 세트가 상기 하부 수납용기(5)에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의 그리퍼에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 장치 모듈(1)은 복수개의 그립 돌기 세트(4a, 4b)를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는 두 세트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그립 돌기 세트는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세 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은 상기 하부 수납용기(5) 및 상기 사부 수납용기(7) 외부에 결합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후면에 결합되는 배면 케이스와, 상기 표시 패널이 노출되는 개구를 가지며 상기 상부 수납용기(5)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로 구 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장치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 패널(3)은 액정 표시 패널, 플라즈마 표시 패널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은 액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액정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장치 모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표시 패널을 갖는 표시장치 모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 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3)은 액정 패널(10), 게이트 구동부(20), 데이터 구동부(30) 및 백라이트 유닛(6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액정 패널(1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과 컬러 필터 기판이 액정을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20)는 게이트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22)에 게이트 집적회로(21)가 실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0)는 액정 패널(10)의 일측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는 데이터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32)에 데이터 집적회로(31)가 실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30)는 일측이 액정 패널(10)에 부착되고, 타측은 데이터 회로기판(35)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회로기판(35)은 일측은 데이터 구동부(30)와 접속되고, 타측은 신호 전송 필름(36)을 통해 컨트롤 회로기판과 접속될 수 있다. 신호 전송 필 름(36)은 데이터 회로기판(35)의 배면 상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하부 수납용기를 통하여 상기 하부 수납용기 외부에 설치되는 컨트롤 회로기판의 커넥터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신호 전송 필름(36)은 베이스 필름 상에 서로 연결된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신호 전송 라인 및 접속 패드와, 보호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가요성 인쇄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게이트 구동부(20) 및 데이터 구동부(30)는 ASG(Amorphous Silicon Gate) 형태로 액정 패널(10)에 집적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80)는 액정 패널(10) 및 백라이트 유닛(60)을 수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백라이트 유닛(60)은 적어도 하나의 램프(61), 광학 시트(62) 및 반사 시트(63)를 포함한다.
상기 램프(61)는 냉음극 형광 램프, 외부 전극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램프(61)는 복수개가 액정 패널(10)의 배면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10)로 광을 공급한다. 상기 램프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과 같이 액정 패널의 측면측에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도광판을 통해 광을 액정 패널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광학 시트(62)는 램프(61)로부터 인가된 광의 효율 및 균일성을 향상시기기 위하여 액정 패널(10)과 램프(61) 사이에 판형으로 형성된다. 광학 시트(62)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보호 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시트(63)는 램프(61)와 하부 수납용기(80) 사이에 형성되어 하부 수납용기(80) 방향으로 방출되는 광을 액정 패널(10)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여기서, 액정 패널(10)을 안착시키고 고정하는 몰드 프레임(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몰드 프레임(70)에는 광학 시트(62)가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70)은 액정 패널(10)과 광학 시트(62)가 수납되고 고정되면 상기 하부 수납용기에 수납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를 갖는 표시장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은 하부 수납용기(5)에 그립 돌기(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돌기(4)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후면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 수납용기(5)로부터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후면에는 컨트롤 회로기판 및/또는 케이스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홀이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들(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돌기(4)는 이송 장치에 설치된 그리퍼의 조(jaw)가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후면 상단에 상기 그립 돌기(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그리퍼에 의해 안정되게 표시장치 모듈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그리퍼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후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그립 돌기들(이하 그립 돌기 세트)에 걸려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지지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그리퍼가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후면에는 복수개의 그립 돌기 세트들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 수납용기(5) 의 후면에 제 1 그립 돌기 세트(4a)와, 상기 제 1 그립 돌기 세트(4a)보다 그립 돌기들 간의 간격이 좁은 제 2 그립 돌기 세트(4b)가 형성될 수 있다.
조(jaw)의 간격이 넓은 그리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그립 돌기 세트(4a)에 조(jaw)가 걸리고, 조(jaw)의 간격이 좁은 그리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그립 돌기 세트(4b)에 조(jaw)가 걸릴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의 그립 돌기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c 및 도 3d는 각각 도 3b의 I-I'를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의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의 그립 돌기(4)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가 절곡되어 외부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립 돌기(4)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가 절곡되어 외부로 돌출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립 돌기(4)의 하부(4c)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후면으로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립 돌기(4)의 하부는 소정의 경사각(θ)을 가짐으로써, 그리퍼의 조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되게 상기 그립 돌기(4)에 걸릴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립 돌기(4)는 하부가 개방된 개구부(4d)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립 돌기(4)의 측부는 막힌 구조 또는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립 돌기(4)의 측면부가 막힌 구조에서는 상기 측부의 하부가 상기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경사각(θ)을 가질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를 갖는 표시장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그림 돌기의 정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은 하부 수납용기(5)에 체결된 그립 돌기(50)를 가진다. 상기 그립 돌기(50)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후면 상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후면 양측에 각각 하나씩 결합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그립 돌기(50)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후면에 형성된 가이드 버(guide burr;54a)와 결합구에 의해 상기 하부 수납용기(5)에 결합된 그립 블록(5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수납용기(5)에는 돌출된 가이드 버(54a)가 형성되어 있고, 나사 또는 리벳과 같은 결합구가 연결되는 제 1 결합홀(5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블록(52)에는 상기 가이드 버(54a)에 대응되는 가이드 홈(54b)과 상기 제 1 결합홀(56a)에 대응되는 제 2 결합홀(56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버(54a)가 상기 가이드 홈(54b)에 삽입되어 상기 그립 블록(52)이 상기 하부 수납용기(5)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결합홀(56a) 및 상기 제 2 결합홀(56b)를 통해 삽입되는 결합구에 의해 상기 그립 블록(52)이 상기 하부 수납용기(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그립 블록(52) 하부에는 요철(5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요철(58)은 수작업 시 작업자의 손이 닿는 부분에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그립 블록(52)의 하부면은 상기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수납용기(5)를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에서, 상기 그립 돌기(50)는 자동화 공정에서는 그리퍼의 조가 걸릴 수 있고, 수작업 공정에서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그립 블록(52)은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후면 상단에 적당한 위치에 결합된다. 상기 그립 블록(52)의 위치가 너무 높으면 조립장치 및 케이스와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상기 그립 블록(52)의 위치가 너무 낮으면 잡기가 힘들거나, 잡을 수 있더라도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지지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를 갖는 표시장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그립 돌기(4)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 2 그립 돌기(50)를 포함한다.
자동화 공정에서 상기 그리퍼의 조는 상기 제 1 그립 돌기(4) 또는 상기 제 2 그립 돌기(50)에 걸릴 수 있고, 수작업 공정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 2 그립 돌기(50)을 잡고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운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를 갖는 표시장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외부로 절곡된 그립 돌기(114)를 가진다. 상기 그립 돌기(114)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라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립 돌기(114)는 연속적인 라인 형상을 가지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들(14)이 복수개 형성되어 일렬로 배열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상기 그립 돌기(114)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후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 수납용기(5)의 일 측면부터 타 측면까지 상기 하부 수납용기(5)를 가로질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는 그리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이송 장치(100)는 배면의 조(jaw; 102) 및 전면의 플래이트(104)로 구성된 그리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그리퍼는 상기 조(102) 및 상기 플래이트(104)를 이용하여 표시장치 모듈(1)을 전면 및 후면에서 잡는다.
상기 이송 장치(100)는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의 상부로 이동하여 소정의 위치에 상기 그리퍼가 위치하면, 상기 조(102)와 상기 플래이트(104)의 간격이 오므라들어 상기 그리퍼의 조(102)는 상기 그립 돌기(4)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플래이트(104)는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의 전면을 지지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그리퍼는 일정 간격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 한 쌍의 조(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이트(104)는 상기 한 쌍의 조(102)와 대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리퍼는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을 안정되게 고정하기 위하여 흡인부(108)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흡인부(108)은 진공압력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의 전면 또는 후면에 흡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흡인부(108)는 상기 한 쌍의 조(102) 사이의 지지대(106)에 설치되어,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의 하부 수납용기 후면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을 고정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조(102)는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의 제 1 그립 돌기(4a) 또는 제 2 그립 돌기(4b)에 걸려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의 무게에 의한 수직 하중을 지탱하고, 상기 플래이트(104)는 상기 조(102)에 대향하여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장치 모듈(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상기 흡인부(108)가 흡착되어 상기 조(102)와 상기 플래이트(104)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 취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자동화 설비가 갖추어진 생산 라인 또는 조립 라인 내에서 제 1 스테이지에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이 배치되어 이송을 대기한다(S1 단계).
상기 제 1 스테이지는 조립 공정, 검사 공정 또는 패키지 공정 등의 라인 내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을 위해 임의의 단계에서 상기 표시장치 모듈이 위치하는 영 역이다. 라인 내 공정에서 상기 표시장치 모듈은 자동화 로봇과 같은 이송 장치에 의해 다음 작업을 위해 해당 섹터에서 위치를 바꾸거나 다음 섹터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테이지에 대기하고 있는 표시장치 모듈의 그립 돌기에 이송 장치의 그리퍼에 형성된 조를 걸어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고정한다(S2 단계).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그리퍼는 조 및 플래이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표시장치 모듈의 일면, 예컨대 후면에 형성된 그립 돌기에 상기 그리포의 조가 걸리고, 상기 표시장치 모듈의 타면, 예컨대 전면에 상기 플래이트가 접촉되어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리퍼는 흡인부를 더 포함하여 무거운 표시장치 모듈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그리퍼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들어올려 제 2 스테이지로 이송한다(S3 단계).
상기 표시장치 모듈은 상기 플래이트와 상기 조, 그리고 상기 흡인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이송 장치의 수평 이동 및 회전 등의 동작에 의해 다음 예정된 장소인 제 2 스테이지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 모듈이 세우진 상태로 잡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플래이트와 상기 조에 의해 조여지는 압력은 상기 표시장치 모듈에 가해지는 응력 및 안정된 그립을 적절히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하부 수납용기에 상기 상부 수납용기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수납부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부 수 납용기에 백라이트 모듈이 수납되고 표시 패널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수납용기를 운반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리퍼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개방된 부분이 상부로 가도록 상기 표시장치 모듈이 경사진 상태로 운반함으로써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안정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상기 라인에서는 상기 그립 돌기가 형성된 표시장치 모듈뿐만 아니라 상기 조가 걸리는 홈을 갖는 종래의 표시장치 모듈도 취급될 수 있다. 즉, 종래의 표시장치 모듈이 취급되는 라인 내에서 그리퍼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도 기존에 설치된 그리퍼를 사용하여 운반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 취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송 장치의 그리퍼를 사용하여 표시장치 모듈을 이송한다(S11 단계 내지 S13 단계).
자동화 라인에서는 상기 자동화 로봇을 이용하여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운반하거나 이동하지만, 수작업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취급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예컨대, 상기 표시장치 모듈의 이동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자동화 공정으로 실행될 수 없는 표시장치 모듈의 취급이 요구되는 경우,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운반하거나 이동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표시장치 모듈의 돌출된 그립 돌기를 잡고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S14 단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를 갖는 표시장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의 그립 돌기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3c 및 도 3d는 각각 도 3b의 I-I'를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를 갖는 표시장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그림 돌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를 갖는 표시장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그립 돌기를 갖는 표시장치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그리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 취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 모듈 취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표시장치 모듈 3: 표시 패널
4: 그립 돌기 5: 하부 수납용기
7: 상부 수납용기 8: 베젤
50: 그립 돌기 52: 그립 블록
54a: 가이드 버 54b: 가이드 홈
56a: 제 1 결합홀 56b: 제 2 결합홀
100: 이송 장치 102: 조
104: 플래이트 106: 흡인부

Claims (17)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이 수납되는 수납용기; 및
    상기 수납용기의 외부면에 돌출되어, 상기 수납 용기를 세워진 상태로 잡아 운반하는 이송장치에 설치된 그리퍼(Gripper)의 조(jaw)가 걸리는 그립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는
    상기 표시 패널의 후면에 결합되는 하부 수납용기; 및
    상기 표시 패널 전면에 결합되는 상부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 돌기는 그립 블록이고, 결합구에 의해 상기 수납용기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후면에 형성된 가이드 버(Guide burr) 및 제 1 결합홀; 및
    상기 그립 블록에 형성된 가이드 홈 및 제 2 결합홀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가이드 버가 삽입되고 상기 제 1 결합홀 및 상기 제 2 결합홀에 상기 결합구가 삽입되어, 상기 하부 수납용기에 상기 그립 블록이 고정된 것인 표시장치 모듈.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 돌기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외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모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후면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한 부분에 복수개의 그립 돌기 세트가 형성되고,
    상기 그립 돌기 세트는 복수개의 그립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조는 상기 그립 돌기 세트들 중 하나의 세트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그립 돌기들은 상기 하부 수납용기 후면에 연속적으로 일렬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모듈.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립 돌기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일 측면에서 타 측면으로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후면을 가로질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모듈.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립 돌기는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후면이 절곡되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모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그립 돌기는 하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모듈.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그립 돌기의 하부면은 상기 하부 수납용기의 후면으로 향할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모듈.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 블록의 하부면에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모듈.
  13. 표시패널이 수납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용기의 외부에 그립 돌기가 형성된 표시장치 모듈을 제 1 스테이지에서 이송 대기하는 단계;
    상기 그립 돌기에 그리퍼의 조(jaw)를 걸고, 상기 그리퍼의 흡인부를 상기 표시장치 모듈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하여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들어올려 제 2 스테이지로 이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모듈의 취급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는 상기 조에 대향하여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지지하는 플래이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그리퍼는 상기 플래이트 및 상기 조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잡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모듈의 취급방법.
  15. 삭제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그립 돌기를 잡아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운반하는 수작업 단계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모듈 취급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들어올려 제 2 스테이지로 이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표시패널이 수납되는 부분이 상방으로 향하도록 상기 표시장치 모듈을 경사진 상태로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모듈 취급방법.
KR1020070113148A 2007-11-07 2007-11-07 표시장치 모듈 및 그 취급방법 KR101444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148A KR101444763B1 (ko) 2007-11-07 2007-11-07 표시장치 모듈 및 그 취급방법
US12/260,663 US7889485B2 (en) 2007-11-07 2008-10-29 Display device module and method of hand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3148A KR101444763B1 (ko) 2007-11-07 2007-11-07 표시장치 모듈 및 그 취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7128A KR20090047128A (ko) 2009-05-12
KR101444763B1 true KR101444763B1 (ko) 2014-09-30

Family

ID=4058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3148A KR101444763B1 (ko) 2007-11-07 2007-11-07 표시장치 모듈 및 그 취급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89485B2 (ko)
KR (1) KR1014447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04103A (ja) * 2018-06-28 2020-01-09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ボード
KR20220025964A (ko) * 2020-08-24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검사용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9479A (ja) 1998-06-30 2000-01-21 Hitachi Ltd 液晶プロジェクタ
US20040156747A1 (en) 2002-08-26 2004-08-12 Lattec I/S Testing device for testing or analysing fluids and a holder and a storage container for such devices
KR20050033409A (ko) * 2003-10-06 2005-04-12 조용호 디스플레이기기의 운반장치
KR20060090067A (ko) * 2005-02-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4761A (ko) * 2005-12-19 200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수납 용기,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장치
US8073795B2 (en) * 2008-01-07 2011-12-06 Symbol Technologies, Inc. Location based services platform using multiple sources includ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ata sour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9479A (ja) 1998-06-30 2000-01-21 Hitachi Ltd 液晶プロジェクタ
US20040156747A1 (en) 2002-08-26 2004-08-12 Lattec I/S Testing device for testing or analysing fluids and a holder and a storage container for such devices
KR20050033409A (ko) * 2003-10-06 2005-04-12 조용호 디스플레이기기의 운반장치
KR20060090067A (ko) * 2005-02-07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납 용기, 기판의 수납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89485B2 (en) 2011-02-15
KR20090047128A (ko) 2009-05-12
US20090116179A1 (en)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62554A1 (en) Display apparatus
JP4855885B2 (ja) マスクケース、マスクカセット、パターン転写方法及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3243482A (ja) 枚葉基板の移載装置並びにそれに用いる収納装置及びハンド並びにこれらの装置によって取り扱われる枚葉基板
JP2006293257A (ja) 表示パネル用ガラスを積載するためのガラスカセット
KR20140103707A (ko) 기판 수납 장치
JP2010120690A (ja) 板状物品搬送用トレイ
KR101444763B1 (ko) 표시장치 모듈 및 그 취급방법
US20070154297A1 (en) Panel transfer apparatus
JP2000351449A (ja) ガラス基板搬送装置
JP2008251787A (ja) 基板搬送用治具、部品実装方法、及び部品実装装置
KR101920754B1 (ko) 기판 이송장치
US20140022715A1 (en) Top chassis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0406972C (zh) 液晶面板用玻璃基板的收纳盒
KR20120048427A (ko) 백라이트 유닛, 이의 조립장치 및 방법
CN216637253U (zh) 板状体的收纳容器
JP2008161967A (ja) 組立支援システムおよび組立方法
JP3926265B2 (ja)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JP2004203436A (ja) ガラス基板搬送用ボックス
KR20080049254A (ko) 기판 이송용 카세트
KR101571744B1 (ko) 글라스패널 운반용 크레이트
KR100987865B1 (ko) 카세트 이송용 로봇 암
JP2003261221A (ja) ガラス基板搬送用移載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ガラス基板収納用カセット
JP2002151566A (ja) 基板搬送装置
JP5048133B2 (ja) ランプ挿入用治具及びランプ挿入装置
CN108076594B (zh) Pcb板支撑交握装置及pcb板交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