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716B1 - 이중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716B1
KR101435716B1 KR1020120089644A KR20120089644A KR101435716B1 KR 101435716 B1 KR101435716 B1 KR 101435716B1 KR 1020120089644 A KR1020120089644 A KR 1020120089644A KR 20120089644 A KR20120089644 A KR 20120089644A KR 101435716 B1 KR101435716 B1 KR 10143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expanding
drawing oil
expand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3597A (ko
Inventor
한상원
이영민
김성하
Original Assignee
일진제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제강(주) filed Critical 일진제강(주)
Priority to KR1020120089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71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8Tube expanders
    • B21D39/20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 B21D39/203Tube expanders with mandrels, e.g. expandable expandable by fluid or e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관을 제조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이중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1관과 상기 제1관 내부에 삽입된 제2관을 확관결합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제조장치는 제1관 및 제2관의 단부를 함께 확관시키는 확관부; 상기 제2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확관된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확관 플러그; 상기 확관 플러그 일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인발 시 상기 확관 플러그를 고정시키는 텐션바; 상기 확관 플러그 삽입 후에 상기 확관된 제1관 및 제2관의 단부를 압착시키는 구부부; 및 상기 압착된 단부를 잡아 인발하는 인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인 확관인발 방법에 의하여 내식성 강화, 강성의 강화 등의 목적에 적합한 이중관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확관인발을 통해서 내부관과 외부관을 결합하고 확관 플러그 및 금형부를 통하여 각각 이중관의 이중관의 내경 및 외경을 제어함으로써 내외부관 간의 결합력과 치수 정밀도가 우수한 이중관을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duplex pip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by}
본 발명은 이중관을 제조하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하여 이중관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중강관이란 내부강관과 외부강관이 결합된 상태에 있는 강관을 말한다. 이중강관은 일반적으로 접착제 또는 합성 수지를 내부강관과 외부강관 사이에 충전하여, 내부강관과 외부강관을 결합시키는 방법이나, 내부강관 또는 외부강관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이른바 열박음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이중관은 기계적 결합, 열적 결합, 화학적 결합을 통해서 제작되며 기계적 결합은 인발, 압연, 압축, 액압성형 등을 이용한 방법들이 있다. 인발을 이용한 이중관 제작에는 축관을 통해서 기계적 결합으로 이중관을 제작하고 있으며, 액압 성형을 통해서 내관을 소성변형하고, 외관을 탄성변형한 후 회복하여 기계적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제작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1999-0074186 "동시압출법에 의한 크래드 튜브 제조방법"(이하 선행기술 1)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97561 "이중강관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이하 선행기술 2)를 들 수 있다.
이중강관 제조 방법들 중에서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온도 또는 환경에 따라 접착제 등의 화학적 변화로 내부강관과 외부강관의 결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열박음 방법의 경우, 고가의 열처리 장비가 요구되며, 또한 제조하고자 하는 이중강관의 길이가 긴 경우 열처리 만으로는 모든 접합면이 균일하게 접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 1의 동시압출법은 강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이용한 이중관의 제조에는 적용하기 어려우며, 선행기술 2는 유체를 내부강관에 공급하여, 유압에 의해 상기 내부강관을 팽창시켜 외부강관에 결합하는 하이드로 포밍 방식을 이용하고 있으나, 유체의 공급과 후처리등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 상의 문제와 공정이 복잡화되는 문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은 확관인발을 통하여 경제적이면서도 단순한 공정에 의하여 이중관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관의 결합 후에도 요구되는 이중관의 내경 및 외경의 치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중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제1관과 상기 제1관 내부에 삽입된 제2관을 확관결합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제조장치는 제1관 및 제2관의 단부를 함께 확관시키는 확관부; 상기 제2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확관된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확관 플러그; 상기 확관 플러그 일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인발 시 상기 확관 플러그를 고정시키는 텐션바; 상기 확관 플러그 삽입 후에 상기 확관된 제1관 및 제2관의 단부를 압착시키는 구부부; 및 상기 압착된 단부를 잡아 인발하는 인발부;를 포함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인발유를 상기 제2관 내측으로 공급하는 인발유 공급관; 및
상기 공급되는 인발유를 상기 제2관의 내주면에 분사하는 인발유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인발유 공급관은 상기 텐션바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발유 분사노즐은 상기 인발유 공급관과 상기 텐션바 외측을 연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관은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및 구리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식성 부재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관은 강(steel)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발유를 공급하는 인발유 공급관; 및 상기 공급되는 인발유를 상기 제1관의 외주면에 분사하는 인발유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발시 상기 제1관의 외경을 제한하는 금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인발유를 공급하는 인발유 공급관; 및 상기 공급되는 인발유를 상기 금형부의 상기 제1관이 진입하는 전단에 분사하는 인발유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관은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및 구리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식성 부재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관은 강(steel)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금형부는 상기 확관 플러그에 인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관부는 제2관의 내측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관 및 제2관의 단부를 확관시킬 수 있다.
한편, 제1항 내지 제6항의 이중관 제조장치에 의하여 이중관을 확관인발하는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제조방법은 제1관의 내측에 제2관을 삽입하는 제1 단계; 제1관 및 제2관의 일 단부를 확관하는 제2 단계; 확관플러그를 상기 확관된 제2관의 내측에 삽입하는 제3 단계; 상기 확관플러그의 삽입후 확관된 단부를 압착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압착된 단부를 당겨 인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5단계는 인발 중 상기 제1관 및 제2관을 상기 제1관의 외경을 제한하는 금형부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제2관의 내경이 상기 확관플러그의 외경보다 크도록 확관할 수 있다.
상기 제1관 및 제2관은 탄소강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관의 외주면, 상기 제2관의 내주면의 피막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적인 확관인발 방법에 의하여 내식성 강화, 강성의 강화 등의 목적에 적합한 이중관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확관인발을 통해서 내부관과 외부관을 결합하고 확관 플러그 및 금형부를 통하여 각각 이중관의 이중관의 내경 및 외경을 제어함으로써 내외부관 간의 결합력과 치수 정밀도가 우수한 이중관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관과 내부관의 삽입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관과 내부관의 일단을 확관시키기 위하여 확관부를 위치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와 부분 절개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관과 내부관의 일단을 확관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와, 부분 절개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 플러그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확관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확관된 단부를 압착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절개 정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확관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 단부가 압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부와 인발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정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발유가 분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정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이중관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적으로 일정한 강성을 갖고 내부적으로는 내식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외부관은 강(steel)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관은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및 구리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식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목적에 따라서는 내부관과 외부관의 재질을 서로 바꾸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예로서 설명을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이중관 제조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소재의 이중관 제조에 응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재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관 제조 프로세스의 순서를 따라 제조방법과 관련된 장치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관을 제조하기 위하여 외측관(100)의 내측에 내측관(200)을 삽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관과 내부관의 삽입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때 용이한 삽입을 위하여 내측관(200)의 외경은 외측관(100)의 내경에 비하여 작아야 한다. 한편, 이중관 제조 시 외측관(100)의 내주면과 내측관(200)의 외주면이 결합하게 되므로, 이중관의 특성은 주로 외측관(100)의 외주면과 내측관(200)의 내주면에 의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외측관(100)과 내측관(200)을 탄소강계 소재로 형성하는 경우 외측관(200) 내부에 내측관(100)을 삽입하기 전후에 외측관(100)의 외주면 및 내측관(200)의 내주면의 피막 전처리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막 전처리 후 결합부위 세척 및 이종소재의 결합력 향상을 목적으로 결합 하는 이중관의 외측관의 내주면 연마와 내측관의 외주면의 외면 연마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a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관(100)과 내측관(200)의 일 단부를 확관한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관과 내부관의 일단을 확관시키기 위하여 확관부를 위치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와 부분 절개 정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관과 내부관의 일단을 확관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와, 부분 절개 정면도이다.
삽입된 상태의 외측관(100)과 내측관(200)의 일 단부를 확관시키기 위하여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부(10)를 외측관(100)과 내측관(200) 중 확관시킬 단부에 위치시킨다. 확관부(10)는 내측관(2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 때 확관부(10)는 억지끼움 방식으로 끼워져 내측관(200)의 내경을 확장시키면서 삽입된다. 내측관(200)의 내경이 확장되면서 외측관(100) 또한 내측관(200)과 함께 외측으로 확장된다. 즉, 확관부(10)가 삽입된 후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부(10)가 삽입된 부분(L1)이 확관된다. 이 때 내측관(200)의 내경은 후술할 확관 플러그의 외경 보다는 커야 한다. 한편, 확관되지 않은 이중관은 외관(100)과 내관(200)이 결합된 상태가 아니나, 확관된 부분의 이중관은 외관(100)과 내관(200)이 접하여 결합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플러그(30)를 확관된 단부(L1)를 통하여 내측관(200)의 내부로 삽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확관 플러그가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확관 플러그(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관(200)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반면, 내측관(200)의 확관된 단부(L1)의 내경은 확관 플러그(30)의 외경에 비하여 커야 한다. 텐션바(tension bar, 35)는 확관 플러그(30)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형성 된다. 텐션바(35)는 내측관(200)의 확관된 단부(L1)의 타측 단부로 노출된 상태로 외부에 고정된다. 텐션바(35)는 인발 시 확관 플러그(30)에 의하여 이중관이 확관될 때에 소정의 텐션으로 확관 플러그(3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텐션바(35)의 내부에는 텐션바(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발유 공급관(37)이 형성될 수 있다. 인발유 공급관(37)은 외부로부터 인발유를 공급받아 이중관의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또한 텐션바(35)에는 인발유 공급관(37)을 통하여 공급되는 인발유를 내측관(200)의 내주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인발유 분사노즐(3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인발유 분사노즐(36)은 인발유 공급관(37)과 텐션바(35)의 외측을 연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인발유 공급노즐(36)은 복수개의 홀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홀로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발유 공급노즐(36)이 단일의 홀로 형성되는 경우 해당 홀은 상부를 향하여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분사된 인발류가 내측관(200)의 천정부위에 집중된 후 중력에 의하여 아래의 내주면 다른 부분으로 흘러 내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발류 분사노즐(36)은 인발 시 확관 플러그(30)와 내측관(200)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한 인발류를 분사하는 구성부이기 때문에 확관 플러그(30)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인발유 분사공급관은 본 실시예와 달리 텐션바(35)와는 별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별도의 관 형상의 부재를 이용하여 텐션바(35)와는 별개로 내측관(200) 내부에 구비되고, 해당 관 형상 부재의 일단에 인발유 분사공급노즐을 형성하여 확관 플러그(30)와 인접한 내측관(200) 내주면에 인발유를 분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특히 내부관을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및 구리 합금 등의 내식성 소재를 이용하여 형성한 경우에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의 경우 표면에 부동태피막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다. 인발유는 확관인발에 의하여 이러한 부동태피막 등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외부관을 내식성소재로 형성한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이유와 동일한 이유로 인발유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인발유는 외부관(100)의 외주면과 금형부(40)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된다. 따라서 인발유는 외부관(100)의 외주면이나 금형부(40)의 전단, 즉 외부관(100)이 유입되는 부분에 인발유를 분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관플러그(30)가 내측관(200) 내부로 삽입된 이후 확관된 외측관(100) 및 내측관(200)의 단부(L1)를 압착한다. 도 5a 및 도 5b는 일 실시예에 따라 확관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확관된 단부를 압착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절개 정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확관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에서 일 단부가 압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부(20)를 확관 플러그(30)가 삽입된 후 외측관(100) 및 내측관(200)으로 이루어진 이중관의 확관부분(L1)에 위치시키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부부(20)를 이용하여 확관부분(L1)을 압착한다. 구부부(20)에 의하여 확관부분(L1)이 압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형상의 압착부위(L2)가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된 단부(L2)를 당겨 인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부와 인발부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정면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발유가 분사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정면도이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인발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정면도이다.
인발부는 집게 형상의 조(50, jaw)를 구비한다. 인발부는 조(jaw)를 통하여 외측관(100) 및 내측관(200)의 압착부위(L2)를 잡아 고정시킨 후 인발하는 구성부이다.
또한 금형부(다이스, 4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금형이다. 금형부(40)는 인발시 외측관(100)의 외경을 일정 크기로 제한하도록 제작하고자 하는 이중관의 외경 외경에 대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금형부(40)는 일정한 내경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외측관(100)과 내측관(200)이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인발 후의 외측관(100)의 외경을 제한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부의 조(50)를 외측관(100) 및 내측관(200)의 압착부위(L2)에 고정시키고, 확관 플러그(30)에 인접한 위치에 금형부(40)를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부의 조(50)를 인발 방향(D1)으로 당겨 인발을 시작한다. 이 때 인발유 분사노즐(36)을 통하여 내측관(200)의 내주면에 인발유를 공급함으로써 내측관(200)의 내주면과 확관 플러그(30)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을 줄여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발이 진행되면 외측관(100)과 내측관(200) 중 확관 플로그(30)를 지나 내경이 확대된 확관부분(L1)이 형성되고, 금형부(40)를 통하하면서 외경이 요구된 스펙에 맞도록 제한된 이중관(L3)의 길이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이중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 확관부 20: 구부부
30: 확관 플러그 35: 텐션바
36: 인발유 분사구 37: 인발유 공급관
40: 금형부 50: 인발부
100: 외관 200: 내관

Claims (17)

  1. 제1관과 상기 제1관 내부에 삽입된 제2관을 확관결합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제1관 및 제2관의 단부를 함께 확관시키는 확관부;
    상기 제2관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고, 상기 확관된 단부를 통하여 삽입되는 확관 플러그;
    상기 확관 플러그 일단부로부터 연장형성되고, 인발 시 상기 확관 플러그를 고정시키는 텐션바;
    상기 확관 플러그 삽입 후에 상기 확관된 제1관 및 제2관의 단부를 압착시키는 구부부;
    상기 압착된 단부를 잡아 인발하는 인발부;
    외부로부터 인발유를 상기 제2관 내측으로 공급하는 인발유 공급관; 및
    상기 공급되는 인발유가 상기 제2관의 내주면에 분사되어 인발 시 상기 확관 플러그와 상기 제2관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인발유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이중관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발유 공급관은 상기 텐션바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발유 분사노즐은 상기 인발유 공급관과 상기 텐션바 외측을 연통하는 홀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중관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은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구리 및 구리 합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식성 부재인 이중관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은 강(steel)재로 형성되는 이중관 제조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인발시 상기 제1관의 외경을 제한하는 금형부를 더 포함하는 이중관 제조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부는 상기 확관 플러그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는 이중관 제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관부는 제2관의 내측에 억지끼움방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관 및 제2관의 단부를 확관시키는 이중관 제조장치.
  13. 제1관의 내측에 제2관을 삽입하는 제1 단계;
    제1관 및 제2관의 일 단부를 확관하는 제2 단계;
    확관플러그를 상기 확관된 제2관의 내측에 삽입하는 제3 단계;
    상기 확관플러그의 삽입후 확관된 단부를 압착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압착된 단부를 당겨 인발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압착된 단부를 인발하는 경우 상기 확관 플러그와 상기 제2관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인발유 공급관에 의해 외부로부터 인발유를 상기 제2관 내측으로 공급하며, 인발유 분사노즐에 의해 상기 공급되는 인발유가 상기 제2관의 내주면에 분사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중관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인발 중 상기 제1관 및 제2관을 상기 제1관의 외경을 제한하는 금형부에 통과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관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제2관의 내경이 상기 확관플러그의 외경보다 크도록 확관하는 이중관 제조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 및 제2관은 탄소강계 소재로 형성되는 이중관 제조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관의 외주면, 상기 제2관의 내주면의 피막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중관 제조방법.
KR1020120089644A 2012-08-16 2012-08-16 이중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3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644A KR101435716B1 (ko) 2012-08-16 2012-08-16 이중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9644A KR101435716B1 (ko) 2012-08-16 2012-08-16 이중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597A KR20140023597A (ko) 2014-02-27
KR101435716B1 true KR101435716B1 (ko) 2014-09-01

Family

ID=5026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9644A KR101435716B1 (ko) 2012-08-16 2012-08-16 이중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7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7560B (zh) * 2015-02-04 2016-11-09 常州市腾田液压机械有限公司 大口径双金属复合管材制造工艺及扩径成形装置
KR101876485B1 (ko) * 2017-10-11 2018-07-09 비케이엠 주식회사 스테인레스강관 내부에 합성수지관을 압입하기 위한 장치
KR102285685B1 (ko) * 2019-07-14 2021-08-03 방만혁 복합관용 확관 장치 및 방법
CN110523852A (zh) * 2019-09-16 2019-12-03 山东金润德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不锈钢双卡压可调直接头及三通头生产模具
KR102608986B1 (ko) * 2021-11-19 2023-11-30 홍성박 이중관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5113A (ja) * 1992-01-10 1993-07-27 Sumitomo Metal Ind Ltd 圧延クラッド継目無管の製造方法
JPH05200432A (ja) * 1992-01-21 1993-08-10 Sumitomo Metal Ind Ltd 二重管製造方法
JPH06218436A (ja) * 1993-01-26 1994-08-09 Mazda Motor Corp 二重管の曲げ加工装置
JPH0683856B2 (ja) * 1984-09-06 1994-10-2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継目無クラツド管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856B2 (ja) * 1984-09-06 1994-10-2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継目無クラツド管の製造方法
JPH05185113A (ja) * 1992-01-10 1993-07-27 Sumitomo Metal Ind Ltd 圧延クラッド継目無管の製造方法
JPH05200432A (ja) * 1992-01-21 1993-08-10 Sumitomo Metal Ind Ltd 二重管製造方法
JPH06218436A (ja) * 1993-01-26 1994-08-09 Mazda Motor Corp 二重管の曲げ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597A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716B1 (ko) 이중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63423B1 (ko) 하이드로 포밍을 이용한 워터 파이프 제조 방법
JP2012530628A5 (ko)
JP2008303901A5 (ko)
US20170246670A1 (en) Multi-layer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pipes using the same
WO2003050442A2 (en) End fitting for tubular members and method of applying same
KR101506797B1 (ko) 관 플랜징 방법
JP2015031400A (ja) 部品組み立てが容易なワンタッチ挿入式パイプ連結装置
US20080001405A1 (en) Plastic-lined metallic pipe for conveying drinking-water and the connectors for the same
US6808210B1 (en) Drill pipe with upset ends having constant wall thickness and method for making same
MXPA03008663A (es) Metodo de doblado y mandril de conducto de capas multiples.
JP2018165548A (ja) 分岐マニホールドの製造方法
JP2011031579A (ja) 樹脂チューブの拡管部形成方法
KR102031917B1 (ko) 냉매 파이프 피팅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피팅 방법
CN113389962A (zh) 一种柔性管道端部高压密封接头
CN102401195A (zh) 不锈钢变径管及其加工方法
US10801144B2 (en) Hollow pipe joint structure for a sewing machine
DE502009000442D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quer zu ihrer Längsrichtung gewellten Rohren
CN104132207A (zh) 一种复合管接头及其制备方法
KR20200112232A (ko) 신축부재가 형성되는 관 연결구
CN218207368U (zh) 一种管子的连接装置
JPH0275421A (ja) 突起付きパイプの製造方法
JP2006315010A (ja) 管材の液圧バルジ加工用中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中空部材の成形方法
ATE519061T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bindung zwischen einem wellschlauch und einem weiteren körper
JP2011037024A (ja) 樹脂チューブの拡管部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