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1920B1 - 장식 석판 부착 패널 - Google Patents

장식 석판 부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1920B1
KR101431920B1 KR1020127001707A KR20127001707A KR101431920B1 KR 101431920 B1 KR101431920 B1 KR 101431920B1 KR 1020127001707 A KR1020127001707 A KR 1020127001707A KR 20127001707 A KR20127001707 A KR 20127001707A KR 101431920 B1 KR101431920 B1 KR 101431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amed cement
synthetic resin
reinforcing layer
foa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5406A (ko
Inventor
시게끼 가나오
Original Assignee
가나플렉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플렉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나플렉스 코포레이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marble or other natur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 E04C2/0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of asbestos cement; of cement and other mineral fibres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10T428/233Foamed or expanded material enc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67Inorganic matrix in void-containing component
    • Y10T428/249968Of hydraulic-setting material

Abstract

석재의 외관을 갖고, 경량이고, 저렴하며, 게다가 얼룩이 발생하기 어려워 장기간에 걸쳐 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은, 판 형상 석재(31)의 이면측 전체면에 발포 시멘트 패널(41A)을 접합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이며,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41A)은, 발포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의 패널 본체(2)와 그 표면에 피복되는 표면 보강층(43A)의 적층 구조체로 구성되고, 상기 패널 본체(2)는, 상기 발포 시멘트 중에 보강 섬유를 분산 상태로 포함하고, 상기 표면 보강층(43A)은, 섬유 집합체를 매설한 합성 수지층을 갖고, 적어도 상기 판 형상 석재(31)와 상기 패널 본체(2) 사이에 개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식 석판 부착 패널 {PANEL WITH DECORATIVE SLATE}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 구축물 등의 외벽이나 내벽, 혹은 바닥재 등에 사용되는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등의 외벽이나 내벽, 또는 바닥재, 기둥재 등에는, 장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리석이나 화강암 등의 석재가 장식 패널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석재만으로 이루어지는 장식 패널은 무겁기 때문에, 시공시의 운반성이나, 지지체로 되는 건축물에의 부하를 경감시키기 위해 경량화가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경량화를 도모한 장식 패널로서, 석재로부터 얇은 판을 잘라내어 판 형상 석재로 하고, 그 이면에 허니콤 구조의 알루미늄 기판을 부착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의 도 3의 (e) 참조]. 또한, 판 형상 석재의 양면에 기판을 부착하고 나서 석재를 얇게 슬라이스하여 2매로 나눈다고 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 3에 개시되는 공지 기술은 본원 출원인의 출원에 기초하는 것이며,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6-294195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7434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9-74345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판 형상 석재에 허니콤 구조의 알루미늄 기판을 부착한 장식 패널은, 석재 단체로 이루어지는 장식 패널에 비해 경량화가 도모되지만, 알루미늄 기판이 고가이므로 그것을 사용한 장식 패널도 고가로 된다.
또한, 기판이 허니콤 구조이므로, 허니콤의 공간을 통하여 빗물 등이 침입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장식 패널의 외면과 내면의 온도차에 의해 허니콤의 공간 내로 결로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게다가, 대리석 등과 같이 물에 약한 석재는, 장시간 물에 노출되면 얼룩이 이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어, 상기와 같이 빗물의 침입이나 결로에 의해 판 형상 석재의 이면에 수분이 부착되면, 이 수분을 판 형상 석재가 흡수하여 표면측에 오염이 떠오르거나, 얼룩이 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각종 석재 중 흡수율이 높은 석재는, 상기 얼룩이나 저온 균열 등의 문제가 현저하게 나타난다.
또한, 판 형상 석재의 표면에 떠오르는 수분에 대해서는 닦아냄으로써 얼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판 형상 석재의 이면에 부착된 수분은 제거할 수 없어, 상기와 같은 얼룩의 발생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는 것이 실상이다.
본 발명은, 경량이고, 저렴하며, 게다가 얼룩의 발생을 억제하여 미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은, 판 형상 석재의 이면측 전체면에 발포 시멘트 패널을 접합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이며,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은, 발포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의 패널 본체와 그 표면에 피복되는 표면 보강층의 적층 구조체로 구성되고, 상기 패널 본체는, 상기 발포 시멘트 중에 보강 섬유를 분산 상태로 포함하고, 상기 표면 보강층은, 섬유 집합체를 매설한 합성 수지층을 갖고, 적어도 상기 판 형상 석재와 상기 패널 본체 사이에 개재 설치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섬유 집합체로서 유리 섬유를 사용한 상기 표면 보강층에서는, 합성 수지와 유리 섬유의 융합이 불충분하게 되어 물의 침입 이동 통로로 되는 것은 아닌지의 의구심을 품었지만, 예상과 반대로, 상기 표면 보강층은 양호한 방수성을 발휘한다.
상기 표면 보강층을 갖는 발포 시멘트 패널을 판 형상 석재의 이면에 접합한 장식 판재 부착 패널에 따르면, 발포 시멘트 패널로부터 판 형상 석재에의 수분 침입 및 수분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따르면, 상기 패널 본체가 다공질 성형체인 것에 의해, 비중이 작고, 이 발포 시멘트 패널을 판 형상 석재에 접합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은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판 형상 석재의 이면측 전체면에 표면 보강층을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가령 패널 본체에 물이 침투되어도, 이 수분은 판 형상 석재에 침투하지 않고 표면 보강층에 의해 저지된다. 즉 표면 보강층이 방수층으로서의 역할을 발휘한다.
상기 표면 보강층은 합성 수지에 섬유 집합체를 매설하고 있고, 표면에 요철이 있다. 발포 시멘트 패널과 판 형상 석재를 접착제 등으로 접합할 때에, 이 요철이 앵커 효과를 발휘하여, 접착이 양호해지고, 충격이나 진동에 의한 판 형상 석재의 박리나 탈락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벽재 등에 무구한 석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리 양면에 방수 처리를 실시하고 있고, 특히 이면에는 방수 시트를 부착하는 것이 행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판 형상 석재의 이면에 발포 시멘트 패널을 접합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표면 보강층이 방수 효과를 발휘하므로, 판 형상 석재의 이면에의 방수 처리가 불필요하게 되어,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이면에 방수 시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은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발포 시멘트 패널에 판 형상 석재를 접합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도, 석재 단체의 장식 패널에 비해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특허 문헌 2, 3에는 콘크리트 몰드용 패널 등으로서, 발포 시멘트의 패널을 주체로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발포 시멘트는 매우 경량인 반면, 강도가 불충분해진다. 따라서 상기 특허 문헌 2, 3에서는, 예를 들어 단섬유 글래스 매트를 집적한 부직포 등의 시트를 합성 수지에 매설한 표면 보강층에 의해 발포 시멘트 패널의 표리 양면을 피복하거나, 필요에 따라 발포 시멘트 패널의 외주에 발포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측부 보강층을 형성하는 등의 개선이 도모되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표면 보호층을 형성하여, 방수를 도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있어서도, 기재로 되는 발포 시멘트 패널을 보강하기 위해, 표면 보강층을 패널 본체의 표리 양면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하, 패널 본체에 있어서의 판 형상 석재 부착측의 면을 표면, 그 반대측의 면을 이면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에 있어서, 섬유 집합체를 매설한 합성 수지 성형체를 상기 패널 본체 주위의 측면에 설치함으로써, 또는, 실러를 두껍게 도포함으로써 측면 보강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보강층으로서는, 비발포의 합성 수지로 구성해도 되지만, 경량화의 관점에서 발포성 합성 수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
혹은 상기 패널 본체 주위의 측면에, 섬유 집합체를 함침시키고 있지 않은 합성 수지 단체로 이루어지는 측면 보강층을 설치한 것이라도 된다.
본 발명의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있어서는,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의 외주 측면에 판 형상 석재를 접합하고, 그 측면에 접합된 판 형상 석재와 상기 패널 본체 사이에 상기 측면 보강층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기본 구성은, 판 형상 석재의 이면에 발포 시멘트 패널을 접합한 것, 바꿔 말하면, 발포 시멘트 패널의 표면측에 판 형상 석재를 접합한 것이지만, 또한 상기와 같이 발포 시멘트 패널의 외주 측면에 판 형상 석재를 접합함으로써, 외관이 무구한 석재처럼 되어 장식성이 보다 높아진다.
측면용의 판 형상 석재와 패널 본체의 외주 측면 사이에 측면 보강층을 개재시키면, 측면용의 판 형상 석재에 대하여 패널 본체로부터의 수분의 침투가 방지되어, 측면용의 판 형상 석재에 대해서 얼룩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 형상 석재와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은 각종 접착제에 의해 접착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합성 고무계 접착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아세트산 비닐 수지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 수지계 접착제, 석고계 접착제, α-시아노 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등, 다양한 접착제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발포 시멘트 패널에 있어서의 표면 보강층용의 합성 수지로서는, 발포성 합성 수지, 비발포 합성 수지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되지만, 발포성 합성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보다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표면 보강층에 사용한 경우, 양호한 방수성을 발휘하는 것을 실험에 의해 확인하고 있다. 방수성이 손상되지 않는 이유는, 발포성 합성 수지가 독립 기포 구조인 것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표면 보강층용이나 측면 보강층용의 합성 수지로서는, 경질 폴리우레탄이나 연질 폴리우레탄 등의 우레탄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경질 염화 비닐계 수지, 유리아계 수지, 페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아세트산 셀룰로오스계 수지, 그 밖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보강층용의 보강재로서는, 섬유 집합체로서의 직포 혹은 부직포[장섬유 또는 단섬유에 의해 미리 매트 형상(시트 형상, 필름 형상, 보드 형상등을 포함함)으로 정렬한 것]를 사용하고, 이것을 상기 합성 수지에 매설시킬 수 있다(이하, 매트 타입이라 함).
또한, 원하는 길이로 컷트된 단섬유[소위, 절단 유리 섬유(chopped strands)]를 패널 본체에 분산시켜(이 분산시킨 단섬유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섬유 집합체로 됨) 상기 합성 수지에 매설시킬 수도 있다(이하, 살포 타입이라고 함).
또한, 이하, 상기 매트 타입에서 사용하는 직포나 부직포를 표면 보강포라고 총칭한다.
상기 섬유 집합체로서는, 유리 섬유로 대표되는 무기 섬유 외에, 천연 또는 합성의 유기 섬유가 나타내어진다. 이 중에서도 유리 섬유가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와 표면 보강층의 적층 구조체의 외주측 단부를, 비발포 합성 수지제의 필름이나 시트, 보드 등으로 피복함으로써, 일체화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이와 같이 적층 구조체의 외주측 단부에 부설하는 상기 필름이나 시트, 보드 등을 단부 보호층이라고 총칭한다.
또한, 상기 패널 본체와 표면 보강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체의 표리면에 또한, 비발포 합성 수지제의 필름이나 시트, 보드 등을 피복함으로써, 일체화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 이와 같이 적층 구조체의 표리면에 또한 부설하는 상기 필름이나 시트, 보드 등을 표면 보호층이라고 총칭한다.
상기 표면 보호층에 사용되는 소재로서는 상기 표면 보강층이 소재로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표면 보호층은, 표면 보강층의 형성에 계속해서, 또는 동시에 형성해도 되지만, 동시에 형성할 때에는 동일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구(小口)가 없는 발포 시멘트 패널]
다음에,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있어서의 발포 시멘트 패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발포 시멘트 패널의 외주측 단부에 측면 보강층을 구비하지 않고, 발포 시멘트 패널의 표면, 또는 표리 양면에, 합성 수지와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는 표면 보강층을 구비한 발포 시멘트 패널(이하 소구가 없는 타입이라고 부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없는 타입)은,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의 표면이 표면 보강층(합성 수지에 섬유 집합체가 매설된 층)으로 피복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패널 본체는, 예를 들어 시멘트, 물, 보강 섬유 및 기포제로 프리폼한 기포를 혼련한 혼련물을, 시멘트용 성형형 내에 충전하고, 양생 고화함으로써 얻어진 다공질 성형체로 이루어지고, 그 성형체 내에 상기 보강 섬유 및 기포를 분산 상태로 함유하고 있고, 비중은 0.5 내지 1.0의 범위 내이다.
또한 패널 본체의 성형시에서는, 시라스 등의 경량 골재를 배합해도 된다.
상기 혼련물 중에는, 보강 섬유를, 시멘트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질량부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강 섬유로서는 비닐론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 섬유의 섬유 길이는, 4 내지 3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제조 방법은, 표면 보강층이 매트 타입의 경우, 성형형 내에 패널 본체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성형형의 내면과 패널 본체 외면 사이에, 표면 보강포(직포 또는 부직포)가 매설되도록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한다.
충전 후, 상기 성형형을 폐쇄하여 밀폐하고,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표면 보강층(표면 보강포가 매설된 합성 수지)을, 상기 패널 본체의 표면에 일체로 피복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 보강층은, 표면 보강포에 의한 매트 타입 대신에, 단섬유를 분산적으로 살포하는 살포 타입이어도 된다.
[다른 발포 시멘트 패널]
표면 보강층이 매트 타입인 다른 발포 시멘트 패널은, 성형형의 내면에, 표면 보호층으로 되는 필름, 시트 또는 보드를 부착한 상태에서, 성형형 내에 패널 본체를 배치한다.
상기 표면 보호층의 내면과 패널 본체 외면 사이에,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포가 매설되도록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한다.
충전 후, 성형형을 폐쇄하여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표면 보강포가 매설된 발포성 합성 수지에 의해, 표면 보강층이 상기 패널 본체의 표면과 일체화하는 동시에, 상기 표면 보호층으로 되는 필름, 시트 또는 보드가 상기 발포성 합성 수지를 통하여 패널 본체에 접착된다.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제조 방법]
상기 각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이하의 제1 제조 방법 및 제2 제조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제1 제조 방법은, 시멘트, 물, 보강 섬유 및 기포제로 프리폼한 기포를 혼련한 혼련물을, 성형형 내에 충전하고, 양생 고화하는 공정을 거쳐, 1개의 성형형 내에서 1개의 패널 본체를 성형하는 방법이다.
제2 제조 방법은, 시멘트, 물, 보강 섬유 및 기포제로 프리폼한 기포를 혼련한 혼련물을, 성형형 내에 충전하고, 양생 고화하여 다공질 성형체를 제조하는 공정과, 상기 다공질 성형체를 슬라이스하는 공정을 갖고, 패널 본체보다도 큰 블록 형상의 다공질 성형체를 성형형으로 성형하고, 이것을 소정의 두께로 슬라이스하여 복수의 패널 본체를 얻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패널 본체의 외주측 단부에는 단부 보호층으로서의 단부 보호 시트로 피복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소구가 있는 발포 시멘트 패널]
다음에, 패널 본체의 외주 측면에 측면 보강층을 구비한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있는 타입)에 대해서 설명한다.
소구가 있는 발포 시멘트 패널은, 발포 시멘트 패널의 표면(혹은 표리면)에 표면 보강층이 형성되고, 발포 시멘트 패널의 외주 측면에 또한 측면 보강층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패널 본체의 외주 측면과 측면 보강층 사이에,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측면 보강포를 매설하면, 패널 본체에 대해서 비틀림에 대한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 보강포나, 상기 표면 보강층의 섬유 집합체로서는, 제작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고 또한 층간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 목부(目付)를 50 내지 1000g/㎡으로 설정한 유리 섬유제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면 보강포는 필요에 따라 매설되는 것으로, 매설되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의 표리 양면에 표면 보호층을 형성한 경우, 그 표면 보호층이 패널의 외주연부로부터 박리되지 않도록, 발포 시멘트 패널의 외주 단부를 상기 측면 보호 시트로 일체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널 본체는, 소구가 있는 타입 및 소구가 없는 타입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소구가 있는 발포 시멘트 패널은, 구체적으로는, 패널 본체의 외주 측면에 일체로 부설되는 발포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측면 보강층과, 패널 본체의 외주 측면과 그 측면 보강층 사이에, 필요에 따라서 매설된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측면 보강포와, 상기 패널 본체 및 측면 보강층의 표면에 걸친 상태로 피복되는 표면 보강층[합성 수지에 섬유 집합체(예를 들어 표면 보강포)가 매설된 것]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구가 있는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제조 방법]
표면 보강층이 매트 타입의 경우
발포 시멘트 패널보다도 약간 큰 내부 공간을 갖는 밀폐 가능한 성형형의 저부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이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성형형의 저면 치수와 거의 동일 평면 치수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포를 매설한다.
다음에 발포 시멘트 패널을 성형형의 중앙에 위치 결정하고, 발포 시멘트 패널의 외주 측면 및 상면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한다.
성형형의 내 평면 치수와 거의 동일 평면 치수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포를 발포 시멘트 패널 상면에 배치하고, 다음에 성형형을 형 폐쇄한 상태에서,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킨다.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가 경화됨으로써, 발포 시멘트 패널의 외주 측면에 측면 보강층이 부설되고, 상면이 표면 보강층(표면 보강포가 매설된 합성 수지)으로 피복된다.
또한, 상기 성형형의 내면에, 표면 보호층으로 되는 필름, 시트 또는 보드를 미리 세트한 상태에서,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의 외주 측면을 측면 보강층으로 피복하는 동시에, 그 표면 보호층(표면 보강포가 매설된 발포성 합성 수지)으로 발포 시멘트 패널 및 측면 보강층을 둘러싸도록 피복해도 된다.
표면 보강층을 구성하는 발포성 합성 수지는, 표면 보호층으로 되는 필름, 시트 또는 보드를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에 접착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패널 본체의 외주 측면에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측면 보강포를 미리 고정해 둘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측면 보강층을 발포성 합성 수지로 형성(합성 수지 성형체)하였지만, 패널 측부의 내충격성과 내수성이 얻어지는 것이면, 발포성 합성 수지에 한정되지 않고, 실러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러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실리콘계,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세트산 비닐계, 염화 비닐계, 불소계 등의 용액 수지 에멀션이 나타내어진다.
또한, 상기 실러에는, 탄산칼슘, 황산바륨, 실리카, 탈크, 알루미나, 콜로이달실리카 등의 입상물을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의 입상물은, 어느 일종을 배합할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 조합하여 배합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분산제, 레벨링제, 소포제, 경화제, 착색 안료, 체질 안료, 안료 분산제, 증점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동결 방지제, 조막 조제 등의 첨가제를 배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러는, 스프레이, 롤러, 솔 등의 각종 도포 수단에 의해 소정의 두께로 두껍게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실러 대신에 방수 및 약탄성을 갖는 도포막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소구가 있는 발포 시멘트 패널의 다른 제조 방법]
표면 보강층이 매트 타입의 경우
시멘트, 물, 보강 섬유 및 기포제로 프리폼한 기포를 혼련한 혼련물을, 몰드 내에 충전하고, 양생 고화하여 블록 형상의 다공질 성형체를 제조하고,
형 폐쇄한 성형형 내에서, 상기 다공질 성형체의 외주 측면과 성형형 내면 사이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여 발포 경화시키고, 상기 다공질 성형체의 외주 측면에 발포 합성 수지를 일체로 부설하고,
외주 측면에 발포 합성 수지에 의한 측면 보강층이 부설된 상기 다공질 성형체를 소정의 두께로 슬라이스함으로써, 발포 시멘트 패널을 제작하고,
밀폐 가능한 성형형의 저부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이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그 성형형의 내 평면 치수와 거의 동일 평면 치수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포를 배치하고,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을 성형형 내에 위치 결정하고,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 상면측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그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성형형의 내 평면 치수와 같은 평면 치수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포를 매설하고,
성형형을 밀폐된 상태에서, 그 성형형 내에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표면 보강층(표면 보강포가 매설된 발포성 합성 수지)으로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의 표면을 피복할 수 있다.
[소구가 있는 발포 시멘트 패널의 또 다른 제조 방법]
표면 보강층이 매트 타입에서 측면 보강포를 갖는 경우
시멘트, 물, 보강 섬유 및 기포제로 프리폼한 기포를 혼련한 혼련물을, 몰드 내에 충전하고, 양생 고화하여 블록 형상의 다공질 성형체를 제조하고,
상기 다공질 성형체의 외주 측면에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측면 보강포를 가고정하고,
상기 측면 보강포가 가고정된 상기 다공질 성형체의 외주 측면과 성형형 사이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고, 상기 다공질 성형체의 외주 측면에, 상기 측면 보강포를 함침한 발포 합성 수지를 일체로 부설하고,
상기 발포 합성 수지층에 의한 측면 보강층이 부설된 상기 다공질 성형체를 슬라이스하여, 소정 두께의 발포 시멘트 패널을 제작하고,
성형형의 저부에 성형형의 내부 공간과 거의 동일 평면 치수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포를 깔아서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고,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을 성형형 내에 위치 결정하고,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 상면측에 성형형의 내 평면 치수와 거의 동일 평면 치수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포를 깔아서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고,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표면 보강층(표면 보강포가 매설된 발포성 합성 수지)으로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의 표면을 피복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소구가 있는 발포 시멘트 패널의 다른 제조 방법 및 또 다른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 및 측면 보강층을 걸친 상태로 표면 보호층을 피복하는 공정에 있어서, 밀폐 가능한 성형형의 내면에, 표면 보호층으로 되는 필름, 시트 또는 보드를 미리 세트해 두면, 상기 성형형 내에서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의 표면을 표면 보강층(표면 보강포를 매설한 발포성 합성 수지)으로 일체로 피복하는 동시에, 상기 표면 보호층으로 되는 필름, 시트 또는 보드를, 상기 표면 보강층 형성용의 발포성 합성 수지를 통하여 발포 시멘트 패널에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구가 있는 발포 시멘트 패널의 각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의 외주측 단부를, 단부 보호 시트(단부 보호층)로 피복해도 된다.
또한, 상기 소구가 있는 발포 시멘트 패널의 각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제1 및 제2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제조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따르면, 발포 시멘트 패널을 채용함으로써 장식 석판 부착 패널 전체의 경량화가 도모되고, 또한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판 형상 석재의 표면에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판 형상 석재와 발포 시멘트 패널이 확실하게 접합되기 때문에, 판 형상 석재가 박리되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소구가 없는 타입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발포 시멘트 패널의 다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소구가 없는 타입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소구가 있는 타입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발포 시멘트 패널의 다른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소구가 있는 타입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발포 시멘트 패널의 다른 구성이며, 표면 보강층 및 측면 보강층이 설치되고, 또한 표면 보호층 및 단부 보호 시트가 설치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소구가 있는 타입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다른 구성이며, 표면 보강층이 형성되고, 발포 시멘트 패널과 측면 보강층 사이에 측면 보강포가 매설된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소구가 있는 타입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패널 본체의 제조 방법의 또 다른 예이며, 측면 보강포가 가고정된 블록 형상의 다공질 성형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또 다른 구성이며, 측면 보강포를 통하여 측면 보강층이 부설된 블록 형상의 다공질 성형체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소구가 있는 타입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또한 예의 구성이며, 표면 보강층이 형성되고, 발포 시멘트 패널과 측면 보강층 사이에 측면 보강포가 매설되어 있는 패널의 단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관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기재로 되는 발포 시멘트 패널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다음에, 그 발포 시멘트 패널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발포 시멘트 패널의 구성
1.1 제1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없는 타입)
도 4는, 소구가 없는 타입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포 시멘트 패널(41A)은, 발포 시멘트를 패널 형상으로 성형한 발포 시멘트 패널(2)과, 그 발포 시멘트 패널(2)의 표리 양면(2a)을 피복하는 표면 보강층(43A)을 갖고 있다.
이들의 표면 보강층(43A)은, 합성 수지(49) 중에 표면 보강포(44)를 매설한 것이며, 발포 시멘트 패널(2) 표면에 일체로 피복되어 있다. 표면 보강포(44)는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2)은, 보강 섬유(6)와 다수의 기포(도시하지 않음)를 분산 상태로 함유하는 다공질 성형체(7)로 이루어진다. 이 다공질 성형체(7)는, 예를 들어, 시멘트, 물, 보강 섬유 및 기포제로 프리폼한 기포를 혼련한 혼련물을 몰드 내에 충전하고, 양생 고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시멘트의 종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초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등, 각종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생산성, 강도 등의 점으로부터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가 바람직하다.
시멘트와 물의 배합 비율은, 시멘트 100 질량부에 대하여 물이 20 내지 100 질량부, 또는 20 내지 50 질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물이 지나치게 많으면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물이 지나치게 적으면 성형시에 시멘트 혼련물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성형성을 저해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보강 섬유(6)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섬유(비닐론), 폴리프로필렌 섬유나 폴리에틸렌 섬유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아라미드 섬유, 탄소 섬유, 강 섬유, 유리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섬유 중에서도, 비닐론 섬유는 내구성이 높고, 게다가 시멘트와의 친화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보강 섬유(6)의 섬유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4 내지 3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보강 섬유(6)의 섬유 길이가 4㎜ 미만에서는 보강 효과가 부족한 경향이 보여진다.
보강 섬유(6)의 섬유 길이가 긴 쪽이 보강 효과의 점에서는 유리하지만, 그 한편, 섬유 길이가 길수록 분산성이 저하되어, 성형체 내에서 보강 섬유(6)가 편재되어, 오히려 패널 강도를 저하시키는 경우도 있다.
또한, 보강 섬유(6)의 굵기에도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 10㎛ 내지 100㎛의 것이 사용된다.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2)은, 시멘트 혼련시에 비닐론이나 글래스 촙(glass chop) 등의 보강 섬유(6)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만으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보강 섬유(6)의 얽힘에 의한 보강 구조가 얻어진다. 따라서, 패널의 제조시에, 망상 보강재 등의 보강재를 매설하는 경우의 위치 결정 조작 등의 번잡한 작업도 불필요하며, 강도에 편차가 없는 패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보강 섬유(6)의 배합량은, 상기 시멘트 100 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질량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섬유(6)의 배합량이 적으면, 보강 효과도 낮아, 패널 강도도 낮아진다.
보강 섬유(6)의 배합량이 많을수록 패널 보강 효과에 있어서는 유리하지만, 보강 섬유(6)의 배합량이 과잉이면 시멘트 혼련물 중에서의 분산성이 나빠지고, 보강 섬유(6)가 편재되어, 패널의 강도가 불균일해져, 오히려 패널의 강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강 섬유(6)의 배합량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시멘트 100 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3 질량부이다.
상기 기포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시멘트용, 콘크리트용의 기포제, 예를 들어, 단백질계, 계면 활성제계, 수지계 등의 공지의 각종 기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제와 함께, 알루미늄분 등의 금속계 발포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기포제의 첨가량이나 첨가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시멘트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 질량부의 범위에서, 얻어지는 패널의 비중이, 1.0 이하의, 목표값으로 되도록 적절하게 조정하면 된다.
패널의 비중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0.9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목질 합판과 같은 0.7 내지 0.8 정도이다. 비중이 작을수록 패널은 경량으로 되어, 취급성의 면에서는 유리하다.
그러나, 비중이 작아질수록 기공률이 커져, 패널의 강도가 저하된다. 한편, 비중이 커질수록 패널이 무거워져, 취급성이 저하된다.
발포 시멘트의 제조시에, 적절하게, 감수제를 사용해도 된다. 감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나프탈렌계 감수제, 술폰산계 감수제, 폴리카르본산계 감수제 등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시멘트, 물, 보강 섬유 및 기포제로 프리폼한 기포, 첨가제 등을 추가한 혼련물의 혼련시에서는, 종래 공지의 시멘트 믹서나 콘크리트 믹서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혼련물 중의 기포나 보강 섬유에 데미지를 부여하지 않고, 또한 전체를 균일하게 혼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혼련시에 기포가 데미지를 받으면, 성형 후의 패널에 있어서의 기포의 크기가 불균일해져, 패널 강도에 편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보강 섬유가 데미지를 받으면 파손되어 소기의 보강 효과가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발포 시멘트 패널(2)은, 상기와 같은 시멘트, 물, 보강 섬유 및 기포를 혼련하고, 몰드에 충전하여 사용 목적에 따른 크기의 판 형상으로 성형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큰 블록을 성형한 후, 양생한 후, 판 형상으로 절단함으로써 얻을 수도 있다.
블록을 성형하는 경우, 기포를 포함한 시멘트 밀크가, 시멘트와 물의 수화 반응에 의해 경화하여 보강 섬유와 다수의 기포를 분산 상태로 함유하는 경량인 다공질 성형체가 얻어진다.
발포 시멘트 패널(2)의 두께는, 통상 6 내지 30㎜ 정도이다.
발포 시멘트 패널(2)의 구체적인 제조법의 일례를 이하에 설명한다.
시멘트에 물 및 감수제를 혼합하고, 이에 보강 섬유를 추가하여 혼련한다.
한편, 기포제에 공기를 도입하고, 소정의 배율, 예를 들어 10 내지 30배 정도로 발포한 기포를 얻는다.
이 기포를, 상기 혼련물에 추가하여 혼련한다. 또한, 혼련의 도중에 혼련물의 비중을 적절하게 측정하고, 목표값에 근접하도록, 기포를 더 추가하여 혼련해도 된다.
이 시멘트 혼련물을, 금속제의 내압 성형형에 충전하고, 예를 들어 600㎜(폭)×1800㎜(길이)×11㎜(두께)의 판 형상으로 성형하고, 이것을 양생, 고화시킨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시멘트가 고화된 다공질 성형체(7)로 이루어지고 다공질 성형체(7) 중에 분산한 보강 섬유(6)의 서로 얽힘에 의해 보강된 발포 시멘트 패널(2)이 얻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큰 사이즈의 다공질 성형체(7A)를 블록 형상으로 성형하고, 양생 고화한 후, 원하는 두께, 크기의 판 형상으로 잘라내도록 해도 된다.
또한, 양생은, 통상의 양생이어도 되고, 증기 양생이어도 되고, 양자를 조합해도 된다. 또한, 양생은 몰드 내에서 완료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몰드 내에서 증기 양생하고, 어느 정도 고화한 단계, 통상은 수시간 후, 몰드로부터 취출하여 더 양생하면, 몰드에서의 성형 사이클이 짧아져, 생산성이 향상된다.
발포 시멘트 패널(2)에 대하여 표면 보강층(43A)을 피복하는 방법으로서는, 발포 시멘트 패널(2)의 표면(표리)에 합성 수지(49)를 도포하고, 이 합성 수지(49) 중에 표면 보강포(44)를 매설하고, 합성 수지(49)로서의 발포성 합성 수지를 통하여 그 표면 보강포(44)를 발포 시멘트 패널(2)에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서는 합성 수지(49)와 표면 보강포(44)를 층 형상으로 나누어서 그리고 있지만, 실제로는 표면 보강포에 합성 수지가 함침하여 하나의 층이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표면 보강포(44)가 합성 수지(49)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층(43A)에 의해, 발포 시멘트 패널(41A)의 강도가 증대되는 동시에, 표면 접착성, 내수성이 향상된다.
또한 표면 보강층(43A)은, 패널 본체(2)의 표리 양면을 피복하도록 형성할 수 있지만, 통상 판 형상 석재측과 반대측의 이면(2a)만이 피복된다.
상기 표면 보강포(44)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섬유(비닐론), 폴리프로필렌 섬유나 폴리에틸렌 섬유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아라미드 섬유, 탄소 섬유, 강 섬유, 유리 섬유 등등의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보강포(44)와 합성 수지(49)가 일체화되도록, 비교적 큰 다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메쉬 형상의 직포 또는 부직포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목부가 50 내지 1000g/㎡,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g/㎡의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절단 유리 섬유 매트는, 저렴하게 입수가 가능하며, 게다가 발포 시멘트 패널(41A)의 강도 강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표면 보강포(44)는, 합성 수지(49)에 매설할 수 있으면 좋고, 합성 수지(49)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표면측(판 형상 석재측) 부근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합성 수지(49)에 표면 보강포(44)를 매설한 표면 보강층(43A)에 의해, 발포 시멘트 패널(41A)에 가해지는 굽힘이나 비틀림에 대하여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발포 시멘트 패널(2)이 보다 확실하게 보호된다. 또한, 표면 보강포(44)에 의해, 발포 시멘트 패널의 표면에 요철이 나타나, 이 앵커 효과에 의해 판 형상 석재와의 접착이 보다 양호해진다.
표면 보강층(43A)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49)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폼, 폴리에틸렌 폼, 경질 폴리우레탄 폼, 경질 염화 비닐 폼, 유리아 폼, 페놀 폼, 아크릴 폼,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폼, 그 밖의 발포성 합성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경질 폴리우레탄 수지, 경질 염화 비닐 수지, 유리아 수지, 페놀 수지, 페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수지, 그 밖의 비발포의 합성 수지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포성 합성 수지를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성형 방법이 적용 가능하며, 예를 들어 상술한 폴리우레탄 폼, 유리아 폼, 페놀 폼 등의 성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3종류의 발포성 수지의 발포 방법을 대표예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폴리우레탄 폼은, 폴리올, 과잉의 디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 발포제, 촉매, 기포 사이즈 조정제 등의 원료에 의해 얻어지고, 발포제로서 물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한 이산화탄소, 메틸렌디클로라이드, 펜탄, 기계 혼합시에 넣는 공기 등, 그 밖에 분해형의 유기계 발포제가 사용된다. 기포 사이즈 조정제에는 실리콘 수지나 유화제가, 촉매에는 아민류나 유기 주석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로서 2가 페놀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페놀 우레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류의 페놀 우레탄은 난연성이 매우 우수하다고 하는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유리아 폼은, 점도가 1000cp 정도의 끈기를 갖는 유리아-포름알데히드 수용액(수지분 50 내지 90%) 100부에, 프로판, 부탄, 부텐, 헥산, 염화 메틸과 같은 발포제를 2 내지 30부 저온 또는 밀폐 용기 중에서 분산시키고, 유화제의 존재 하에서 산 촉매를 가한 후, 15 내지 115℃로 온도를 올려서 얻는다. 또한 유화제를 포함한 유리아 수지 초기 축합물을, 현장 발포기에 의해 염산액을 혼합하면서 기계적으로 기포하면서 토출시켜도 된다.
페놀 폼은, 레졸형 초기 축합물에 거품 발생기로 공기를 불어 넣으면서 크림 형상으로 하면서, 교반 하에 경화제를 혼합하여 대상 부분에 피착 혹은 충전함으로써 얻는다. 또한, 크림 형상으로 할 때에 중탄산 소다를 1% 정도 추가하여 발포를 조장해도 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경화제의 첨가 후 빠르게 경화한다. 산화 촉매에는 벤젠 술폰산, 톨루엔 술폰산, 황산, 인산 등이 사용된다. 또한, 휘발성 발포제를 배합해 두면, 반응열로 거품이 일어나므로 처음에 거품을 발생시킬 필요는 없다. 발포용에 적합한 페놀 수지도 시판 중이지만, 레졸 85부에 아디프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부터 얻어진 폴리아미드 5부를 공중합시켜 강인한 발포체를 제작할 수도 있고, 폴리비닐알코올, 염화 비닐 수지를 5 내지 20부 정도 배합하여 강인성, 탄성 등을 보충할 수도 있다.
표면 보강층(43A)용의 합성 수지(49)의 발포 배율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은 2 내지 10배 정도이어도 좋다.
합성 수지(49)의 발포 배율이 작을수록 패널 강도는 증대되지만, 그 반면, 패널 중량이 증대된다. 한편, 합성 수지(49)의 발포 배율이 커질수록 패널은 경량화되지만, 그 반면, 패널 강도가 저하된다. 따라서, 합성 수지(49)의 발포 배율은, 패널의 가반성, 강도, 내충격성 등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또한, 패널 본체(2)에 피복하는 합성 수지(49)의 양으로서는, 표면 보강포(44)를 사이에 두고 각각 두께 0.5 내지 2㎜ 정도로 되도록 하고(합계 1 내지 4㎜ 정도), 표면 보강포(44)에 함침시킨다.
이 표면 보강층(43A)용의 합성 수지(49)는, 연속 기포가 적거나, 또는 연속 기포가 없는 독립 기포인 것이, 내수성, 표면성 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41A)의 제조 방법은, 패널 본체(2)의 평면 치수와 대략 동일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는 성형형 내의 저부에 발포성의 합성 수지(49)를 충전하는 동시에, 패널 본체(2)의 평면 사이즈와 거의 동일한 사이즈의 표면 보강포(44)를 그 합성 수지(49) 중에 매설한다.
다음에, 패널 본체(2)를 상기 성형형 내에 위치 결정하고, 패널 본체(2)의 상면측에 발포성의 합성 수지(49)를 충전하는 동시에, 이 합성 수지(49) 중에 표면 보강포(44)를 매설한다.
다음에, 성형형을 형 폐쇄한 상태에서, 충전한 합성 수지(49)를 경화시킴으로써, 패널 본체(2)의 표면(표리)을, 합성 수지(49)와 표면 보강포(44)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층(43A)에 의해 일체적으로 피복한다.
1.2 제2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없는 타입)
도 6은, 발포 시멘트 패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발포 시멘트 패널(41C)은, 패널 본체(2)의 표면(표리)에 피복된 표면 보강층[합성 수지(49) 중에 표면 보강포(44)를 매설한 층]의 더 외측 표면을 표면 보호층(45)으로 피복하고[표면 보강층과 표면 보호층을 표면층(43C)이라고 부름], 또한 이 표면층(43C)에 피복된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를 단부 보호 시트(46)로 피복한 것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도 4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표면층(43C)은, 패널 본체(2)의 평면 사이즈와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고, 표면층(43C)의 외주 단부는 패널 본체(2)의 외주 단부를 따르고 있다.
표면층(43C)을 갖는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는 단부 보호 시트(46)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그 단부 보호 시트(46)에 의해, 패널 본체(2)에 대하여 측면으로부터의 물의 침입이 방지되므로, 발포 시멘트 패널(41C)의 내수성, 내구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한 단부 보호 시트(46)는, 표면층(43C)이 그 외주측 단부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표면 보호층(45)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비발포성 합성 수지, 종이, 또는 비발포성 합성 수지로 피복된 종이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비발포성 합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외에, ABS, MMA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보호층(45)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시트 또는 보드의 표면을 코로나 방전 가공하거나, 그들의 표면을 산으로 표면 처리하거나 하는 등으로 하여, 표면 보호층(45)과, 이 위에 접합하는 판 형상 석재의 접착성을 높이도록 해도 된다.
표면 보호층(45)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제의 필름, 시트 또는 보드, 종이 등은 단층이어도 되고, 다층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패널 본체(2)의 최외층에, 비발포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시트 또는 보드를 접착하거나, 합성 수지를 도포하거나 하여 표면 보호층(45)을 형성함으로써, 방수성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단부 보호 시트(46)는, 수밀성을 갖는 밀봉 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하거나, 합성 수지제의 필름, 시트를 접착이나 열 융착하여 형성하거나,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에 합성 수지를 도포하여 막을 형성하거나 하는 등, 임의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합성 수지제로 이루어지는 단면 ㄷ자 형상의 부재를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에 끼워 맞춰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단부 보호 시트(46)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단부 보호 시트(46)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외에, ABS, MMA 등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표면층(43C)에 피복하는 단부 보호 시트(46)의 겹침 여유는, 적절하게 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3㎜ 내지 10㎜ 정도로 할 수 있다. 단, 이 단부 보호 시트(46)는 사용 조건 등에 따라서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포 시멘트 패널(41C)의 제조 방법은, 성형형의 내면에 표면 보호층(45)으로 되는 상기 시트, 필름 또는 보드를 세트한 상태에서,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41A)을 제조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성형형 내에 있어서, 표면 보강층[합성 수지(49)에 표면 보강포(44)를 매설한 층]으로 패널 본체(2)의 표리 양면(2a)을 피복하고, 다음에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에 수밀성을 갖는 밀봉 테이프를 부착하는 등으로 하여, 단부 보호 시트(46)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없는 타입)에 대한 효과에 대해서 서술한다.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없는 타입)은, 경량이고, 고강도이다.
또한, 시멘트를 주재료로 하고 목질 합판과 같이 목재 자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열대림으로부터의 목재 자원의 소비를 삭감할 수 있어, 환경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합판에 비해 내구성이 높다.
또한, 다공질 성형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중이 1.0 이하로, 합판과 같은 정도로 가볍기 때문에, 취급성, 시공성이 우수하다.
합판에 비해 흡수에 의해 중량이 증가되는 경우도 적고, 시간의 경과와 함께 강도가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도 없다.
또한, 상기 다공질 성형체는, 보강 섬유가 분산된 상태에서 서로 얽힘으로써 보강된 구조를 가지므로, 고강도를 가지면서, 못질 등의 가공성이 우수하고, 또한 성형체 내에 존재하는 보강 섬유에 의해, 박힌 못 등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발포 시멘트 패널의 표면이, 표면 보강층으로 피복되어 있으므로, 발포 시멘트 패널의 굽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발포 시멘트 패널 표면이 보호된다. 즉, 발포 시멘트 패널의 경량성을 유지하면서, 발포 시멘트 패널의 강도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또한, 표면 보강층에 의해 물의 침입이 방지되어, 발포 시멘트 패널의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우에 의한 흡수에 의해 패널의 중량이 증가된다고 하는 트러블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표면 보강포로서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면,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제작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여, 강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없는 타입)에 있어서는, 보강 섬유를 시멘트 100 질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질량부를 배합함으로써, 다공질 성형체 내에 분산되어 있는 보강 섬유의 서로 얽힘이 발생하여 보강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 섬유는, 폴리비닐알코올 섬유인 비닐론이 바람직하다.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없는 타입)은, 시멘트 혼련물을, 목적으로 하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작해도 되지만, 큰 사이즈의 블록 형상으로 성형한 후, 원하는 두께, 크기의 판 형상으로 슬라이스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블록 형상으로 성형한 후, 판 형상으로 슬라이스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몰드로 다수매의 발포 시멘트 패널을 제작할 수 있고, 또한 양생, 고화도 통합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더욱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 보강층의 외면을 표면 보호층으로 피복하면, 그 표면 보호층에 의해 패널 표면으로부터의 흡수가 방지되므로, 발포 시멘트 패널의 내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표면 보호층이 비발포성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면, 패널 표면으로부터의 흡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발포 시멘트 패널의 굽힘 강성, 탄력성, 내충격성도 증대되고, 또한 패널에 타입한 못의 내 인발성이 증대되어, 못질 작업성도 향상된다.
또한, 제2 발포 시멘트 패널(41C)과 같이, 패널 본체의 외주측 단부를 단부 보호 시트(46)로 피복하면,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로부터의 흡수를 방지할 수 있고, 내수성, 내구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외주측 단부로부터 표면 보강층이나 표면 보호층(45)이 박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단부 보호 시트(46)는, 수밀성을 갖는 밀봉 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하거나, 표면 보호층(45)과 상용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나 시트를 열 융착하여 형성하거나, 표면 보강층이나 표면 보호층(45)과 상용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에 침지하여 형성하거나 하는 등, 임의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1.3 제3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있는 타입)
도 7은, 소구가 있는 타입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발포 시멘트 패널(1D)은,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2b)가 발포성 합성 수지로 되는 측면 보강층(4)이 일체로 부설되어 있다.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1D)은, 패널 본체(2)의 표리 양면(2a)을 발포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층(48)에 의해 피복하고, 이 표면 보강층(48) 상에 표면 보호층(3)을 형성하고, 또한, 이들의 층을 갖는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를 단부 보호 시트(5)로 피복하고 있다.
이들의 각 재료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패널 본체(2)는, 그 외주 4면으로서의 외주측 단부(2b)에 측면 보강층(4)이 부설되어 있다. 이 측면 보강층(4)은, 패널 본체(2)의 외측 4면을 덮도록 하여 창틀 형상으로 부설되어 있다.
측면 보강층(4)을 구성하는 발포성 합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폼, 폴리에틸렌 폼, 경질 폴리우레탄 폼, 연질 폴리우레탄 폼, 경질 염화 비닐 폼, 유리아 폼, 페놀 폼, 아크릴 폼, 아세트산 셀룰로오스 폼, 그 밖의 발포성 합성 수지를 예시할 수 있다.
측면 보강층(4)을 성형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성형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폴리우레탄 폼, 유리아 폼, 페놀 폼의 성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측면 보강층(4)을 발포성 합성 수지로 성형할 때의 발포 배율로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통상은 2 내지 10배 정도이어도 좋다.
측면 보강층(4)의 발포 배율이 작을수록 패널 강도는 증대되지만, 그 반면, 패널 중량이 증대된다. 한편, 측면 보강층(4)의 발포 배율이 커질수록 패널은 경량화되지만, 그 반면, 패널 강도는 저하된다.
따라서, 측면 보강층(4)의 발포 배율은, 패널의 가반성, 강도, 내충격성 등의 관점에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또한, 측면 보강층(4)의 두께는, 패널 본체(2)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고, 두께와 직교하는 방향의 폭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패널 본체(2)의 낙하시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2 내지 10㎜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2b)에 측면 보강층(4)을 부설하는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례를 들면, 밀폐 가능한 성형형 내에서, 패널 본체(2)의 주위에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2b)에 측면 보강층(4)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패널 본체(2)보다도 약간 큰 내부 공간을 갖는 성형형의 중앙부에 패널 본체(2)를 위치 결정하고, 다음에 패널 본체(2)의 외주측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고, 다음에 성형형을 형 폐쇄한 상태에서,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2b)에 측면 보강층(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밀폐된 성형형 내에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켜 측면 보강층(4)을 설치함으로써, 측면 보강층(4)은, 그 표면이 기포가 없는 스킨층에 덮인 평활면에 형성된다.
또한, 측면 보강층(4)은, 연속 기포가 적고, 또는 연속 기포가 없는 독립 기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내수성, 표면성이 우수하고 콘크리트 몰드용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타설 콘크리트로부터의 이형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에 미리 측면 보강층(4)을 부설한 발포 시멘트 패널(2A)을 사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발포 시멘트 패널(2A)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으로서는, 전술한 블록 형상의 다공질 성형체(7A)보다도 큰 내부 공간을 갖는 성형형 내의 중앙에 상기 다공질 성형체(7A)를 위치 결정하고, 그 다공질 성형체(7A)와 성형형의 간극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여 발포 경화시키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공질 성형체(7A)의 외주측 단부에 측면 보강층(4)을 부설한다.
이 측면 보강층(4) 부착의 발포 시멘트 패널을, 원하는 두께, 크기의 판 형상으로 슬라이스한다.
측면 보강층(4)은 다공질 성형체(7A)의 적어도 외주측 4면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측면 보강층(4)이 발포 시멘트 패널(2A)의 외주측 단부에 남도록 둥근 톱 혹은 띠톱 등의 절단 장치를 사용하여 슬라이스한다.
표면 보강층(48)의 두께는 0.5 내지 2㎜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예에서는, 발포 시멘트 패널(2)의 표리 양면에 표면 보강층(48)을 형성하였지만, 판 형상 석재를 접합하는 면에만 설치해도 된다.
표면 보강층(48)을 구성하는 합성 수지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4에 도시한 표면 보강층(42A)과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보강층(48)의 합성 수지와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에 부설되는 측면 보강층(4)은, 이종 소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동일 소재로 구성하여, 동시 성형 혹은 다른 공정에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보강층(48)의 합성 수지와 측면 보강층(4)을 동시 성형하는 경우, 예를 들어, 밀폐 가능한 성형형 내에 위치 결정한 패널 본체(2)의 그 주위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여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패널 본체(2)의 표리 양면(2a) 및 외주측 단부(2b)에 표면 보강층(48)으로 피복하여, 측면 보강층(4)을 부설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패널 본체(2)보다도 약간 큰 내부 공간을 갖는 성형형 내의 저부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그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표면 보강포를 매설한다.
다음에, 패널 본체(2)를 성형형의 중앙에 위치 결정한다.
다음에,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및 상면측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여, 상기 패널 본체(2)를 발포성 합성 수지로 둘러싼다.
계속해서, 패널 본체(2) 상면측의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표면 보강포를 매설한다.
다음에 성형형을 밀폐된 상태에서,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패널 본체(2)에 표면 보강층(48)으로 피복하는 동시에 측면 보강층(4)을 부설한다.
이와 같이, 밀폐된 성형형 내에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켜 표면 보강층(48) 및 측면 보강층(4)을 형성함으로써, 표면 보강층(48)은, 그 표면이 기포가 없는 스킨층에 덮인 평활면에 형성되는 동시에, 다공질 성형체(7)로 이루어지는 패널 본체(2) 표면의 기공도 밀봉되어, 패널 표면으로부터의 흡수가 방지된다.
또한, 표면 보강층(48) 및 측면 보강층(4)은, 연속 기포가 적고, 또는 연속 기포가 없는 독립 기포로 이루어지는 것이, 내수성, 표면 접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콘크리트 몰드용으로서 사용한 경우, 타설 콘크리트로부터의 이형성이 우수하다.
또한, 표면 보강층(48) 및 측면 보강층(4)을 별개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외주측 단부에 측면 보강층(4)을 부설한 발포 시멘트 패널(2A)을 제작하고, 성형형 내의 저부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한 상태에서, 그 발포 시멘트 패널(2A)을 성형형의 중앙에 위치 결정하고, 다음에 발포 시멘트 패널(2A)의 상면측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고, 다음에 성형형을 밀폐된 상태에서,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패널 본체(2)에 대하여 별개로 표면 보강층(48) 및 측면 보강층(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표면 보호층(3)은, 표면 보강층(48)에 대하여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표면 보강층(48)을 성형할 때에, 표면 보강층(48)을 구성하는 발포성 합성 수지의 발포 경화시에, 그 발포성 합성 수지를 통하여 표면 보호층(3)을 접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성형형의 내면에 표면 보호층(3)으로 되는 상기 시트, 필름 또는 보드를 세트한 상태에서, 패널 본체(2)의 주위에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패널 본체(2)의 표리 양면(2a) 및 외주측 단부(2b)를 표면 보강층(48)으로 피복하여 측면 보강층(4)을 부설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접착제로서 표면 보호층(3)을 접착할 수 있다.
1.4 제4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있는 타입)
도 9는,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있는 타입)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발포 시멘트 패널(1E)은, 상술한 발포 시멘트 패널(1D)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층(3) 및 단부 보호 시트(5)를 생략한 것이며, 표면 보강층(48)에 있어서의 표면 보강포(13)를 측면 보강층(4)까지 연장되고, 측면 보강층(4) 중에 매설시킨 것이다.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1D)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도 4나 도 7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표면 보강층(48)에 있어서의 합성 수지(4A)나 측면 보강층(4)의 합성 수지와, 표면 보강포(13)를 층 형상으로 그리고 있지만, 실제로는 표면 보강포(13)에 합성 수지가 함침하여 일체로 되어 있다.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1E)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패널 본체(2)보다도 약간 큰 내부 공간을 갖는 밀폐 가능한 성형형의 저부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이 발포성 합성 수지 중이 성형형의 평면 내 치수법과 거의 동일 평면 치수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포(13)를 매설한다.
다음에, 패널 본체(2)를 성형형의 중앙에 위치 결정하고 나서,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및 상면측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이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성형형의 평면 내 치수법과 거의 동일 평면 치수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포(13)를 매설한다.
다음에, 성형형을 밀폐된 상태에서,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에 측면 보강층(4)이 부설되는 동시에, 표면 보강층[합성 수지(4A)에 표면 보강포(13)가 매설된 층]으로 패널 본체(2)와 측면 보강층(4)의 표리 양면이 피복된다.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1E)의 다른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발포 시멘트 패널(1E)과 동일한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갖는 밀폐 가능한 성형형을 사용하고, 이 성형형의 저부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이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성형형의 평면 내 치수법과 거의 동일 평면 치수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포(13)를 매설한다.
다음에, 외주측 단부에 측면 보강층(4)을 부설한 전술한 발포 시멘트 패널(2A)(도 8 참조)을 성형형 내에 위치 결정하고 나서, 발포 시멘트 패널(2A)의 상면측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이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성형형의 평면 내 치수법과 거의 동일 평면 치수의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표면 보강포(13)를 매설한다.
다음에, 성형형을 밀폐된 상태에서,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발포 시멘트 패널(1E)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발포 시멘트 패널(1H)과 같이,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1E)(도 9 참조)에 대하여 표면 보호층(3)과 단부 보호 시트(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발포 시멘트 패널(1H)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성형형의 내면에 표면 보호층(3)으로 되는 상기 시트, 필름 또는 보드를 세트한 상태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형 내에 있어서, 패널 본체(2)에 대하여 표면 보강층(48)과 측면 보강층(4)을 일체로 설치하고, 다음에 성형품의 외주측 단부에 수밀성을 갖는 밀봉 테이프를 부착하는 등으로 하여, 단부 보호 시트(5)를 형성할 수 있다.
1.5 제5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있는 타입)
도 11은, 발포 시멘트 패널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발포 시멘트 패널(1F)은,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1E)(도 9 참조)에 있어서의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2b)와 측면 보강층(4) 사이에,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측면 보강포(14)를 두께 방향으로 매설한 것이며,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1E)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 도 9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측면 보강포(14)로서는, 상기 표면 보강포와 마찬가지로, 폴리비닐알코올 섬유(비닐론), 폴리프로필렌 섬유나 폴리에틸렌 섬유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아라미드 섬유, 탄소 섬유, 강 섬유, 유리 섬유 등등의 섬유재로 이루어지는 직포 또는 부직포를 채용할 수 있다. 특히, 목부가 50 내지 1000g/㎡,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g/㎡의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절단 유리 섬유 매트는, 저렴하게 입수가 가능하며, 게다가 패널 본체(2)의 강도 강성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2b)에 측면 보강포(14)를 매설 형상으로 설치하면, 발포 시멘트 패널(1F)의 굽힘이나 비틀림에 대한 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 7, 도 10에 도시하는 발포 시멘트 패널에 대해서도, 패널 본체(2)와 측면 보강층(4) 사이에 측면 보강포(14)를 매설 형상으로 설치하여, 비틀림에 대한 패널의 강도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발포 시멘트 패널(1F)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발포 시멘트 패널(41A)의 패널 본체(2)와 마찬가지로 하여 패널 본체(2)를 제작하고, 이 외주측 단부(2b)에 띠 형상의 측면 보강포(14)를 접착제나 가고정 테이프로 가고정한다.
다음에, 패널 본체(2)보다도 약간 큰 내부 공간을 갖는 성형형 내의 하부 내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성형형의 평면 내 치수법과 거의 동일 평면 치수의 표면 보강포(13)를 그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매설한다.
다음에, 측면 보강포(14)를 가고정한 패널 본체(2)를 성형형의 중앙에 위치 결정하고 나서,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및 상면측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고, 상기 패널 본체(2)를 둘러싸도록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패널 본체(2) 상면측의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상기와 같이 표면 보강포(13)를 매설한다.
다음에, 성형형을 밀폐된 상태에서,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발포 시멘트 패널(1F)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2는 발포 시멘트 패널의 다른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있어서, 발포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큰 블록 형상의 다공질 성형체(7A)를 성형하고, 측면 보강포(14)의 소재로서의 보강 시트(14B)를 그 다공질 성형체(7A)의 외주 측면에 대하여 접착제나 가고정 테이프(15)로 가고정한다.
그것을 성형형 내의 중앙에 위치 결정하고, 다공질 성형체(7A)와 성형형의 간극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여 발포 경화시킨다.
계속해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강 시트(14b)를 갖는 다공질 성형체(7A)의 외주 측면에 측면 보강층(4)을 부설하고, 이것을 원하는 두께, 크기의 판 형상으로 슬라이스하여, 외주측 단부에 측면 보강포(14)가 매설된 측면 보강층(4) 부착의 발포 시멘트 패널(2B)을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성형형 내의 저부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표면 보강포(13)를 그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매설한다.
다음에, 발포 시멘트 패널(2B)을 성형형에 적재하고 나서, 발포 시멘트 패널(2B)의 상면측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표면 보강포(13)를 그 발포성 합성 수지에 매설한다.
다음에, 성형형을 밀폐된 상태에서,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킴으로써, 발포 시멘트 패널(1F)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발포 시멘트 패널(1J)과 같이,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1F)(도 11 참조)에 대하여 표면 보호층(3)과 단부 보호 시트(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발포 시멘트 패널(1J)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성형형의 내면에 표면 보호층(3)으로 되는 상기 시트, 필름 또는 보드를 세트한 상태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성형형 내의 저부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표면 보강포(13)를 그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매설하고 나서, 다공질 성형체(7)를 성형형에 위치 결정한다.
다음에, 다공질 성형체(7)의 상면측에 발포성 합성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표면 보강포(13)를 그 발포성 합성 수지 중에 매설한다.
다음에, 성형형을 밀폐된 상태에서, 충전한 발포성 합성 수지를 발포 경화시키고, 마지막으로 외주측 단부에 수밀성을 갖는 밀봉 테이프를 부착하는 등으로 하여, 단부 보호 시트(5)를 형성한다.
또한, 패널 본체(2)에 대한 측면 보강층(4)의 설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적어도 패널 본체(2)와 측면 보강층(4)의 경계부를 포함하도록 단부 보호 시트(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널 본체(2)의 외주측 단부에 부설된 측면 보강층(4)에 단부 보호 시트(5)를 설치하면, 단부 보호 시트(5)를 측면 보강층(4)과 동시에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져, 제작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있는 타입)의 효과에 대해서 서술한다.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에 따르면, 패널 본체의 외주측 단부, 소위 패널 본체의 소구면에 발포성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측면 보강층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포 시멘트 패널이 만일, 낙하하였을 때에 낙하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발포 시멘트 패널이 깨지거나, 꺾이거나 하는 등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은, 경량이고, 고강도이며, 게다가 가공성도 좋다. 또한,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은, 시멘트를 주재료로 하고 있고, 목질 합판과 같이 목재 자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열대림으로부터의 목재 자원의 사용을 삭감할 수 있어, 환경 보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은, 기포제에 의한 다수의 기포가 분산되어 있는 다공질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패널 본체와, 그 패널 본체의 외주측 단부를 덮는 측면 보강층과, 패널 본체의 표면을 덮는 표면 보호층으로 이루어지고, 비중이 1.0 이하로 합판과 동일한 정도로 가볍기 때문에, 취급성, 시공성이 우수한 동시에, 합판과 같이 흡수에 의한 중량의 증가나 강도의 저하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널 본체는, 분산 상태에서 개재하는 보강 섬유가 서로 얽혀서 보강 구조를 이루고 있고, 굽힘 탄성 계수가, 예를 들어 1700N/㎟ 이상으로 고강도이면서, 못질 등의 가공성에도 우수하고, 또한 박힌 못 등이 상기 보강 섬유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에 있어서, 패널 본체를 구성하는 발포 시멘트에 포함되는 보강 섬유의 양에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시멘트 100 질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5 질량부 정도를 배합함으로써, 분산 상태에서 개재하는 보강 섬유가 서로 얽혀서 보강 구조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몰드용으로서 사용한 경우에도, 타설한 콘크리트압에 대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보강 섬유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섬유인 비닐론, 폴리프로필렌 섬유나 폴리에틸렌 섬유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아라미드 섬유, 탄소 섬유, 강 섬유, 유리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패널 본체는, 시멘트 혼련물을 목적으로 하는 크기의 판 형상으로 성형하여 제작해도 되지만, 큰 블록 형상으로 성형한 후, 원하는 두께, 크기의 판 형상으로 슬라이스하여 제작하거나, 큰 블록 형상으로 성형한 후, 그 외주 측면에 발포 합성 수지층을 피복시키고, 이것을 원하는 두께, 크기의 판 형상으로 슬라이스하여 제작하거나 할 수도 있다.
또한, 큰 블록 형상으로 성형한 후, 그 외주 측면에 측면 보강포로 되는 보강 시트를 가고정한 상태에서 발포 합성 수지층을 피복하고, 이것을 원하는 두께, 크기의 판 형상으로 슬라이스하여 제작하거나 할 수도 있다.
블록 형상으로 성형한 후, 패널 본체를 판 형상으로 슬라이스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몰드로 다수의 패널의 성형을 한번에 행할 수 있고, 또한 양생, 고화도 통합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큰 블록 형상으로 성형한 후, 외주 측면에 발포 합성 수지층을 피복시킨 것을 슬라이스하는 경우에는, 생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패널 본체의 측단부면에 발포 합성 수지층을 미리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품용 성형형에 대한 패널 본체의 위치 결정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패널 본체의 표면에 표면 보강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표면 보강층에 의해 패널 표면으로부터의 흡수가 방지되어, 발포 시멘트 패널의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 보강층에 의해 발포 시멘트 패널 표면의 내충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발포 시멘트 패널 표면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 본체의 외주 측면과 측면 보강층 사이에 직포 또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측면 보강포를 설치함으로써, 발포 시멘트 패널의 굽힘이나 비틀림에 대한 강도 강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 보강포나 측면 보강포로서, 목부 50 내지 1000g/㎡의 유리 섬유제의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패널의 제작 비용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굽힘이나 비틀림에 대한 강도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패널 본체의 표면을 표면 보호층으로 피복하면, 표면 보호층에 의해 패널 표면으로부터의 흡수가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발포 시멘트 패널의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 보호층은, 비발포 합성 수지로 구성할 수 있다. 표면 보호층이 비발포 합성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면, 상기 비발포 합성 수지층에 의해, 패널 표면으로부터의 흡수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널 본체의 외주측 단부를 단부 보호 시트로 일체로 피복하면, 표면 보강층이나 표면 보호층의 외주측 단부로부터의 흡수를 방지할 수 있어, 내수성, 내구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외주측 단부로부터의 표면 보강층이나 표면 보호층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단부 보호 시트는, 수밀성을 갖는 밀봉 테이프를 부착하여 형성하거나, 표면 보호층과 상용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나 시트를 열 융착하여 형성하거나, 표면 보호층과 상용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에 침지하여 형성하거나 하는 등, 임의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2.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구성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2.1 제1 장식 석판 부착 패널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제1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은, 도 4에 도시한 발포 시멘트 패널(41A)을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다.
제1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은, 발포 시멘트 패널(41A)을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기판으로서 사용하고, 이 발포 시멘트 패널(41A)의 표면에 판 형상 석재[표면용 판 형상 석재(31)]를 접착제로 접착하는 동시에, 발포 시멘트 패널(41A)의 외주측 측면에도 판 형상 석재[측면용 판 형상 석재(32)]를 접착제로 접착한 것이다.
발포 시멘트 패널(41A)의 표면 보강층(43A)과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의 접착성에 관해서 설명하면, 표면 보강층이 합성 수지에 섬유 집합체를 매설한 것이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매우 많이 형성되고, 이들의 요철이 접착 면적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양호한 접착을 얻기 위한 앵커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의 이면 전체면에는, 발포 시멘트 패널(41A)의 표면 보강층(43A)이 직접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발포 시멘트 패널(41A)의 패널 본체(2) 내에 물이 침투되어도, 표면 보강층(43A)이 방수층으로서의 역할을 발휘하고, 패널 본체(2) 중의 수분이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로 이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의 이면으로부터 수분이 부착, 침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에 의해,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의 표면으로의 얼룩의 발생이 방지된다.
제1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은, 발포 시멘트 패널(41A)의 비중이 낮으므로, 판 형상 석재(31, 32)와 발포 시멘트 패널(41A)을 접합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 전체적으로 경량으로 된다.
또한 패널 본체는 발포 시멘트를 주체로 하고 있고, 표면 보강층(43A)에 의해 강도가 향상되어 있다. 덧붙여,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나 측면용 판 형상 석재(32)가 보강층으로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장식 석판 부착 패널 전체적으로 강도가 높아져 있다.
상기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 측면용 판 형상 석재(32)로서는, 각종 석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화강암, 섬록암, 반려암 등의 화강암이나, 대리석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석재 중 어느 하나를 박판 형상으로 잘라내어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 측면용 판 형상 석재(32)로 할 수 있다.
또한 석재의 양쪽 표면에 패널 본체를 접착하고 나서, 석재를 슬라이스하여 잘라 나누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2.2 제2 장식 석판 부착 패널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은, 도 9에 도시한 발포 시멘트 패널(1E)을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다.
제2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은, 발포 시멘트 패널(1E)의 표면에 판 형상 석재[표면용 판 형상 석재(31)]가 접착제로 접착되는 동시에, 발포 시멘트 패널(1E)의 외주 측면에 판 형상 석재[측면용 판 형상 석재(32)]가 접착제로 접착된 것이다.
발포 시멘트 패널(1E)은, 패널 본체(2)의 표리면에 표면 보강층[합성 수지(4A)에 표면 보강포(13)를 매설한 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그 표면 보강층의 방수성에 의해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의 이면으로부터 수분이 부착, 침투되지 않는다. 또한 발포 시멘트 패널(1E)의 표면 보강층과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의 접착성이 양호하다.
덧붙여, 발포 시멘트 패널(1E)은, 패널 본체(2)의 외주 측면(2b)에 측면 보강층(4)을 구비하므로, 측면 보강층(4)이 방수층으로서의 역할도 발휘하고, 측면용 판 형상 석재(32)에 대해서도 그 이면으로부터의 수분 부착이나 수분 침투가 방지된다.
상세하게는, 패널 본체(2)는, 그 표리면이 표면 보강층[합성 수지(4A)에 표면 보강포(13)를 매설한 층]으로 피복되고, 그 외주 측면에 측면 보강층(4)이 부설되어 있기 때문에, 패널 본체(2)의 전체면이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표면 보강층 및 측면 보강층(4)이 방수층으로서 작용하므로, 패널 본체(2) 자체에 외부로부터의 수분이 침입하는 것이 거의 없다. 따라서 이에 접합된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 측면용 판 형상 석재(32)에 대해서는, 그들의 이면으로부터 수분이 부착, 침투될 우려가 거의 없다.
2.3 제3 장식 석판 부착 패널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제3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은, 도 11에 도시한 발포 시멘트 패널(1F)을 사용하여 제작되어 있다.
제3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은, 발포 시멘트 패널(1F)의 표면에 판 형상 석재[표면용 판 형상 석재(31)]가 접착제로 접착되는 동시에, 발포 시멘트 패널(1F)의 외주 측면에 판 형상 석재[측면용 판 형상 석재(32)]가 접착제로 접착된 것이다.
상기 제3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있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 측면용 판 형상 석재(32)의 이면으로부터 수분이 부착, 침투될 우려가 거의 없다.
또한, 발포 시멘트 패널(1F)의 표면 보강층[합성 수지(4A)에 표면 보강포(13)를 매설한 층]으로 표면용 판 형상 석재(31)의 접착성이 양호하다.
3.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제조 방법
3.1 다공질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제조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100 질량부에 대하여, 물 30 내지 40 질량부 및 시판 감수제 0.2 내지 1.0 질량부를 추가하여 혼합하고, 이에 비닐론의 단섬유를 상기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100 질량부에 대하여 0.2 내지 2.0 질량부로 되도록 첨가하고, 이것을 혼련하여 시멘트 밀크를 얻었다.
한편, 시판 기포제에 공기를 추가하여 교반 혼합하고, 약 10 내지 30배로 프리폼하였다.
이 프리폼한 기포를, 상기 시멘트 밀크에, 상기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 100 질량부에 대하여 4 내지 8 질량부로 되도록 첨가하여 혼련하고, 시멘트 혼련물을 얻었다.
이 시멘트 혼련물을, 세로 1780㎜×가로 580㎜×높이 300㎜의 금속제 내압성 몰드 내에 충전하고, 밀폐된 상태에서 3 내지 18시간 증기 양생하였다.
다음에 하기의 어느 방법에 의해, 블록 형상의 성형체를 얻었다.
a) 탈형하여 8 내지 24시간 더 증기 양생한다. b) 증기 양생을 거쳐서 그 후, 계속해서 실온에서 양생한다. c) 증기 양생을 거치지 않고 실온에서 양생한다. d) 증기 양생, 실온 양생을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블록 형상 성형체를, 두께 11㎜의 판 형상으로 슬라이스하고, 다공질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패널 본체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패널 본체의 샘플의 비중은 0.55 내지 0.85, 굽힘 강도는 1.7 내지 3.5N/㎟, 굽힘 탄성 계수는 1400 내지 3000N/㎟의 범위 내이었다.
또한, 비중은 시료의 치수(폭×길이×두께)와 질량으로부터 산출하였다. 또한, 굽힘 강도 및 굽힘 탄성 계수는, JIS A 1408에 준하고, 시료를 2점으로 지지하는 지지체의 거리 L(스판)을 250㎜로서 측정하였다.
패널 본체의 제작, 판 형상 석재와의 접합시에서는, 상기 얻어진 패널 본체 중 4개(패널 본체 A 내지 D라고 부름)를 선택하여 시험 제작을 행하였다. 이들 패널 본체 A 내지 D의 제작 조건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2005518275-pct00001
3.2 소구가 없는 타입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제조 방법
내압 성형형으로서, 세로, 가로 및 높이의 모든 사이즈가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보다 약간 큰 내부 공간을 갖고, 밀폐 가능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내압 성형형의 내면과 패널 본체 사이에 발포성 우레탄 수지를 충전하는 동시에, 목부가 100 내지 900g/㎡의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절단 유리 섬유 매트가 표면 보강포로서 그 발포성 우레탄 수지 중에 매설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표면 보강포에 발포성 우레탄 수지를 함침시켜 표면 보강층으로 하고, 이 표면 보강층으로 패널 본체의 표리 양면을 피복하고,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없는 타입)을 얻었다.
3.3 판 형상 석재와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접합
상기 패널 본체의 외주 측면을 피복하기 위한 판 형상 석재[측면용 판 형상 석재(32)]로서 세로 1800㎜×가로 15㎜×두께 3㎜의 대리석 및 세로 600㎜×가로 15㎜×두께 3㎜의 대리석을 준비하는 동시에(단, 세로의 길이에 대해서는, 대리석끼리의 충돌 개소에 따라서 깎는 것으로 하였음), 상기 패널 본체의 한쪽측 표면 피복용의 판 형상 석재[표면용 판 형상 석재(31)]로서 세로 1800㎜×가로 600㎜×두께 3㎜의 대리석판을 준비하였다.
이들의 대리석판을 상기 패널 본체의 표면 및 외주 측면에 각각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을 얻었다(완성 시작품 샘플 No.1 내지 4).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각 조건, 특성을 표 2에 아울러 기재한다. 또한, 표면 피복용의 판 형상 석재로서는 두께가 2배인 것을 준비하여 그 양측에 패널 본체를 접착하고, 계속해서 판 형상 석재를 두께 중앙에서 슬라이스함으로써도, 마찬가지의 완성 시작품을 제조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2005518275-pct00002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장식 석판 부착 패널(샘플 No.1 내지 4)은, 대리석이 갖는 장식성을 구비하면서도 경량이며, 게다가 장기간에 걸쳐 대리석 표면에 얼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리석(판 형상 석재)은 패널 본체에 양호하게 접착되어 있었다.
또한, 발포 시멘트 패널의 방수성의 시험 방법은, 샘플 상면에 착색 물을 24시간 적하하고, 그 후, 패널 단면을 관찰한다. 패널 내에 착색이 인정되면, 물이 침투되어 있으므로 방수성 불량이며, 착색이 없으면 방수성 양호로 판단한다.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비중은, 시료의 치수(폭×길이×두께)와 질량으로부터 산출하였다. 또한, 굽힘 강도는, JIS A 1408에 준하고, 시료를 2점으로 지지하는 지지체의 거리 L(스판)을 250㎜로서 측정한 값이다.
패널 본체와 판 형상 석재의 접착 강도는, 타일 인장 시험에 준하여 행하였다.
시험 지그의 사이즈를 45㎜×95㎜로 하고, 시험 지그와 판 형상 석재를 강고하게 고정하고, 시험 지그를 따라서 패널 본체와 판 형상 석재의 절연을 한 후에, 시험을 행하였다(샘플수 n=3).
4.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다른 제조 방법
4.1 상술한 제1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있어서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발포 시멘트 패널을 제작하였다.
4.2 소구가 있는 타입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제조
내압 성형형으로서, 세로, 가로 및 높이의 모든 사이즈가 상기 패널 본체보다도 약간 큰 내부 공간을 갖고, 밀폐 가능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내압 성형형 내의 저부에 발포성 우레탄 수지를 스프레이하는 동시에, 패널 본체와 거의 동일 평면 사이즈의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표면 보강포)를 그 발포성 우레탄 수지 중에 매설하였다.
그리고, 외주 측면에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부직포 시트(측면 보강포)를 가고정한 패널 본체를, 성형형의 중앙부에 위치 결정하였다.
다음에, 패널 본체와 성형형의 내측면의 간극에 발포성 우레탄 수지를 충전한다.
다음에, 패널 본체의 상부에 발포성 우레탄 수지를 스프레이하고, 그 스프레이한 발포성 우레탄 수지 중에, 패널 본체와 거의 동일 평면 사이즈의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표면 보강포)를 매설하고, 밀폐된 성형형 내에서 발포 경화시켰다.
그에 의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구가 있는 타입의 패널 본체(세로 1794㎜×가로 594㎜×두께 15㎜)를 얻었다.
또한, 패널 본체의 표리 양면에 형성되는, 발포성 우레탄 수지에 부직포 시트를 매설한 층이 표면 보강층으로 된다.
또한, 패널 본체의 외주 측면에 형성되는, 발포성 우레탄 수지(패널 본체와 성형형의 내측면의 간극에 충전된 발포성 우레탄 수지)가 측면 보강층으로 된다.
4.3 판 형상 석재와 패널 본체의 접합
상기 제1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있어서의 판 형상 석재의 접착 방법과 마찬가지로, 패널 본체에 판 형상의 대리석(판 형상 석재)을 접착하고,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을 얻었다(완성 시작품 샘플 No.5 내지 8).
또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각 조건, 특성은 하기 표 3과 같다. 또한 각 시험 방법은, 상기와 동일하다.
Figure 112012005518275-pct00003
샘플 No.5 내지 8의 장식 석판 부착 패널도, 상기 제1 장식 석판 부착 패널과 마찬가지로, 대리석이 갖는 장식성을 구비하면서도 경량이며, 게다가 장기간에 걸쳐 대리석 표면에 얼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리석(판 형상 석재)은 패널 본체에 양호하게 접착되어 있었다.
5.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또 다른 제조 방법
5.1 상술한 제1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있어서의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발포 시멘트 패널을 제작하였다.
5.2 발포 시멘트 패널(소구가 없는 타입)의 제조
세로, 가로 및 높이의 모든 사이즈가 상기 패널 본체보다 약간 큰 내부 공간을 갖는 내압 성형형을 사용하고, 그 내압 성형형의 저면에 발포성 우레탄 수지를 스프레이하고, 계속해서 그 수지 상에 글래스 단섬유를 살포하고, 그 글래스 단섬유를 상기 발포성 우레탄 수지 중에 매설시켰다.
이 경우의 글래스 단섬유의 살포량은 100 내지 900g/㎡이다.
이와 같이 하여 패널 본체의 표리면을 표면 보강층으로 피복한 발포 시멘트 패널을 얻었다.
5.3 판 형상 석재와 발포 시멘트 패널의 접합
상기 제1 장식 석판 부착 패널에 있어서의 판 형상 석재의 접착 방법과 마찬가지로, 발포 시멘트 패널에 판 형상의 대리석(판 형상 석재)을 접착하고,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을 얻었다(완성 시작품 샘플 No.9 내지 12). 또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의 각 조건, 특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또한 각 시험 방법은, 상기와 동일하다.
Figure 112012005518275-pct00004
샘플 No.9 내지 12의 장식 석판 부착 패널도, 상기 제1 장식 석판 부착 패널과 마찬가지로, 대리석이 갖는 장식성을 구비하면서도 경량이며, 게다가 장기간에 걸쳐 대리석 표면에 얼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대리석(판 형상 석재)은 발포 시멘트 패널에 양호하게 접착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이나 건축물의 외벽 또는 내벽, 혹은 바닥재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판 형상 석재의 이면측 전체면에 발포 시멘트 패널을 접합한 장식 석판 부착 패널이며,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은, 발포 시멘트로 이루어지는 다공질의 패널 본체와 그 표면에 피복되는 표면 보강층의 적층 구조체로 구성되고,
    상기 패널 본체는, 상기 발포 시멘트 중에 보강 섬유를 분산 상태로 포함하고,
    상기 표면 보강층은, 섬유 집합체를 매설한 합성 수지층을 갖고, 적어도 상기 판 형상 석재와 상기 패널 본체 사이에 개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석판 부착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강층이, 상기 패널 본체의 표리 양면에 형성되어 있는, 장식 석판 부착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본체의 외주 측면에, 섬유 집합체를 매설한 합성 수지 성형체, 또는 두껍게 도포된 실러로 이루어지는 측면 보강층이 부설되어 있는, 장식 석판 부착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시멘트 패널의 외주 측면에 판 형상 석재가 접합되고, 이 판 형상 석재와 상기 패널 본체의 외주 측면 사이에 상기 측면 보강층이 설치되어 있는, 장식 석판 부착 패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강층을 구성하고 있는 합성 수지가 발포성 합성 수지인, 장식 석판 부착 패널.
KR1020127001707A 2009-11-13 2010-11-11 장식 석판 부착 패널 KR101431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60487 2009-11-13
JP2009260487A JP4454693B1 (ja) 2009-11-13 2009-11-13 化粧石板付パネル
PCT/JP2010/070124 WO2011059033A1 (ja) 2009-11-13 2010-11-11 化粧石板付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406A KR20120105406A (ko) 2012-09-25
KR101431920B1 true KR101431920B1 (ko) 2014-08-19

Family

ID=42260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707A KR101431920B1 (ko) 2009-11-13 2010-11-11 장식 석판 부착 패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219747A1 (ko)
EP (1) EP2500483A4 (ko)
JP (1) JP4454693B1 (ko)
KR (1) KR101431920B1 (ko)
CN (1) CN102939426B (ko)
BR (1) BR112012011390A2 (ko)
WO (1) WO20110590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7555A (ja) * 2011-10-20 2013-05-13 Kanaflex Corporation フロアパネル
US9139473B2 (en) 2012-02-09 2015-09-22 Tuscan StoneWorx USA, LLC Glass-fiber-reinforced concrete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US8863456B2 (en) * 2012-02-09 2014-10-21 Tuscan StoneWorx USA, LLC Structural insulated panels
JP5519887B1 (ja) * 2012-09-05 2014-06-11 カナフ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開孔を有する軽量化粧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9353523B2 (en) * 2012-09-27 2016-05-31 Max Life, LLC Insulated wall panel
WO2014112629A1 (ja) * 2013-01-21 2014-07-24 カナフ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フロアパネル
US11224990B2 (en) 2016-08-05 2022-01-18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Continuous methods of making fiber reinforced concrete panels
US10981294B2 (en) 2016-08-05 2021-04-20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Headbox and forming station for fiber-reinforced cementitious panel production
US11173629B2 (en) 2016-08-05 2021-11-16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Continuous mixer and method of mixing reinforcing fibers with cementitious materials
US10272399B2 (en) 2016-08-05 2019-04-30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slurry using a multi-stage continuous mixer
IT201900016052A1 (it) * 2019-09-11 2021-03-11 Giulio Guglielmi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pannelli lapidei alleggeriti e pannello lapideo alleggerito.
AU2021103539C4 (en) * 2021-06-22 2022-12-15 SHAPE Australia Pty Limited A flooring panel,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fire-rated suspended flo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643B1 (ko) * 2008-03-28 2009-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천연석 복합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09138476A (ja) * 2007-12-08 2009-06-25 Kanaflex Corporation 軽量セメント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66749A (ko) * 1960-07-07
DE2556766A1 (de) * 1975-12-17 1977-06-30 Basf Farben & Fasern Bauelement zum verblenden von sichtmauerwerk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S63278836A (ja) * 1987-05-09 1988-11-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無機質化粧材
JP2688771B2 (ja) * 1988-10-25 1997-12-10 旭化成工業株式会社 耐火補強石板
DE9005780U1 (ko) * 1990-05-21 1990-07-26 E. Schwenk Baustoffwerke Kg, 7900 Ulm, De
JPH06294195A (ja) 1993-04-08 1994-10-21 Shin Nikkei Co Ltd ビル外装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パネル
JPH0732518A (ja) * 1993-07-16 1995-02-03 Dairin Shoji:Kk 建築用複合建材
JPH11268973A (ja) * 1998-01-09 1999-10-05 Diamond Engineering Kk 繊維強化軽量コンクリ―ト
DE10138894A1 (de) * 2001-02-09 2002-10-02 Peter Kellner Natursteinverbundplatte
CN2721389Y (zh) * 2004-02-11 2005-08-31 潘西周 特薄石材复合装饰板
JP5336720B2 (ja) 2006-10-26 2013-11-06 カナフ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建築・土木用パネル
US8323786B2 (en) * 2006-10-26 2012-12-04 Kanaflex Corporation Inc. Lightweight cement panel
JP2009074345A (ja) 2006-12-04 2009-04-09 Kanaflex Corporation 軽量セメントパネル
CN201212202Y (zh) * 2008-06-13 2009-03-25 张爱平 节能组装式夹心墙体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8476A (ja) * 2007-12-08 2009-06-25 Kanaflex Corporation 軽量セメントパネル
KR100900643B1 (ko) * 2008-03-28 2009-06-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천연석 복합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59033A1 (ja) 2011-05-19
EP2500483A4 (en) 2014-12-17
KR20120105406A (ko) 2012-09-25
CN102939426A (zh) 2013-02-20
JP2011106128A (ja) 2011-06-02
US20120219747A1 (en) 2012-08-30
BR112012011390A2 (pt) 2019-09-24
JP4454693B1 (ja) 2010-04-21
EP2500483A1 (en) 2012-09-19
CN102939426B (zh)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920B1 (ko) 장식 석판 부착 패널
US8323786B2 (en) Lightweight cement panel
JP5687393B2 (ja) フロアパネル
KR200386579Y1 (ko) 고강도 초경량 패널
AU2004260103A1 (en) Composite building panel and method of making composite building panel
JP2012207525A (ja) 建築・土木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9074345A (ja) 軽量セメントパネル
JP4842918B2 (ja) 軽量セメントパネル
WO2006088364A1 (en) Building elemen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reof
US7521114B2 (en) Vandalism-resistant insulating panel for building exteriors and building having vandalism-resistant thermally insulative walls
CN211774597U (zh) 墙板与钢梁的装配结构
RU2744701C2 (ru) Панель
CN102704616A (zh) 复合墙板及制造方法
EP0940525A1 (en) Plate for concrete formwork
US20040124554A1 (en) Polyolefin isolation membrane
KR101077413B1 (ko) 부착물의 결속력이 강화된 발포수지재 성형벌통의 제조방법 및 그 벌통
KR20050020607A (ko) 하지패널, 외벽화장방법 및 피씨카텐월
JP2004257191A (ja) 軽量盛土構造体に用いる壁面材および壁面構造
JP2016142084A (ja) ウレタン防水層の施工法および断熱防水材
KR20240001531A (ko) 슬림형 경량 합성보드
JP2013087555A (ja) フロアパネル
JP2022185952A (ja) 建築物用パネル材及び床パネル材
FI20195890A1 (fi) Lämmöneristelevy ja sen käyttö
ITGE20000139A1 (it) Pavimentazione flottante tagliafuoco di classe a60 atta a smorzare levibrazioni e procedimento di applicazione.
JPH08199763A (ja) 仕上げ構造と表装材の仕上げ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