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495B1 -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495B1
KR101429495B1 KR1020130017573A KR20130017573A KR101429495B1 KR 101429495 B1 KR101429495 B1 KR 101429495B1 KR 1020130017573 A KR1020130017573 A KR 1020130017573A KR 20130017573 A KR20130017573 A KR 20130017573A KR 101429495 B1 KR101429495 B1 KR 101429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unit
light
light source
digit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광호
박성철
김대현
임지윤
김경환
Original Assignee
(주) 한교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교아이씨 filed Critical (주) 한교아이씨
Priority to KR1020130017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9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8Synthesising holograms, i.e. holograms synthesized from objects or objects from holograms
    • G03H1/0866Digital holographic imaging, i.e. synthesizing holobjects from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94Addressing the hologram to an active spatial light modula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04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7/0065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by us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2001/0208Individual components other than the hologram
    • G03H2001/0224Active addressable light modulator, i.e. Spatial Light Modulator [SL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2/00Light sources or light beam properties
    • G03H2222/10Spectral composition
    • G03H2222/17White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터 홀로그램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광원부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계와; 홀로그램 기록재를 거치하는 단계와; 슬릿을 홀로그램 기록재료의 일측 단부인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셔터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폐쇄하는 단계와; 레이저 광원을 작동시키고, 제1 디지털 이미지와 관련된 영상신호를 공간 광 변조기에 인가하는 단계와; 셔터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개방하는 단계와; 참조광과 제1 디지털 이미지 영상신호에 따라 광 변조되어 출사되는 물체광을 함께 홀로그램 기록재료의 특정 부위에 노광하여 제1 간섭 무늬에 의한 제1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단계와; 셔터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폐쇄하는 단계와; 슬릿을 상기 제1 위치와 인접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2 디지털 이미지와 관련된 영상신호를 공간 광 변조기에 인가하는 단계와; 셔터를 작동하여 광 경로를 개방하는 단계와; 참조광과 제1 디지털 이미지 영상신호에 따라 광 변조되어 출사되는 물체광을 함께 상기 제1 홀로그램과 인접한 특정 부위에 노광하여 제2 간섭 무늬에 의한 제2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단계와; 제3 디지털 이미지를 포함하는 다른 디지털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A manufacturing method for master hologram of holographic stereogram hased on digital images}
본 발명은 마스터 홀로그램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원부와, 단말장치부와, 이미지 생성부와, 노출 조절부와, 스크린부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계와; 홀로그램 기록재를 거치하는 단계와; 슬릿을 홀로그램 기록재료의 일측 단부인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셔터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폐쇄하는 단계와; 레이저 광원을 작동시키고, 제1 디지털 이미지와 관련된 영상신호를 공간 광 변조기에 인가하는 단계와; 셔터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개방하는 단계와; 참조광과 제1 디지털 이미지 영상신호에 따라 광 변조되어 출사되는 물체광을 함께 홀로그램 기록재료의 특정 부위에 노광하여 제1 간섭 무늬에 의한 제1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단계와; 셔터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폐쇄하는 단계와; 슬릿을 상기 제1 위치와 인접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제2 디지털 이미지와 관련된 영상신호를 공간 광 변조기에 인가하는 단계와; 셔터를 작동하여 광 경로를 개방하는 단계와; 참조광과 제1 디지털 이미지 영상신호에 따라 광 변조되어 출사되는 물체광을 함께 상기 제1 홀로그램과 인접한 특정 부위에 노광하여 제2 간섭 무늬에 의한 제2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단계와; 제3 디지털 이미지를 포함하는 다른 디지털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Holographic Stereogram)이란 사진 기술과 홀로그래피를 조합한 것으로서 연속하는 일련의 복수 개 평면 이미지를 원본으로 하여 기록재료에 홀로그래피로 일체화한 것이다. 이 기술은 일종의 입체적인 파노라마그램으로서 사진 기술과 홀로그래피 각각의 장, 단점 모두를 지니고 있는데, 종래 광학 홀로그램(Optical Hologram)이 큰 대상을 기록할 수 없고 사진처럼 축소가 불가하여 바깥 풍경을 기록할 수 없는 등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은 36mm 슬라이드 필름이나 영사기 등과 같이 종래 아날로그 기술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 근자 그 활용도에 상당히 주목을 받고 있는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공간 광 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이 주목받고 있는 것은 원본 이미지를 제작할 때 레이저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는 물론 X선 영상 데이터, 나아가 실제 존재하지 않은 가상의 물체에 대하여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현한 이미지 데이터도 원본 영상으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일련의 원본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기록재료에 최초 기록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통상적으로 마스터 홀로그램(Master Hologram)이라 부른다.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서의 마스터 홀로그램은, 기록재료의 전면에 수직 방향의 슬릿이 형성된 노출판을 위치시킨 다음, 슬릿을 통해 기록재료에 일련의 원본 이미지가 순차적으로 노광되어 요소 홀로그램을 기록하도록 각 원본 이미지의 순서에 따라 슬릿의 위치를 연속 이동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제작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을 재생시켜 두 눈으로 보면, 좌우의 눈에 관찰되는 원본 이미지는 시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테레오 입체의 원리에 따라 입체 이미지가 관찰되는 것이다.
더욱이 이러한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은 평면 이미지이기 때문에, 이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서의 마스터 홀로그램을 원본으로 하여 이를 다시 기록재료에 기록하면 통상적인 백색광을 사용하여 재생하더라도 깊이가 깊은 입체 이미지를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원본 디지털 이미지을 이용하여 상당한 입체감을 가지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마스터 홀로그램을 정밀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마스터 홀로그램을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해상도의 원본 이미지 데이터들을 적절하게 광 변조하고, 변조된 이들 이미지들을 기록재료에 연속하여 노광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9000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60179호와 같은 몇몇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긴 하지만 이들 기술들은 아직까지 관련업계에서 요구하고 있는 정도의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06266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2006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900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601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은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련하는 복수 개의 디지털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터 홀로그램을 제작함에 있어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광을 생성하는 레이저 광원(120)과 광의 경로를 개폐하는 셔터(130)와 생성된 광을 물체광과 참조광으로 분리하는 광 분리기(160)를 포함하는 광원부(100)와, 복수 개의 연속하는 디지털 이미지가 저장된 DB가 구비되며 각종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단말장치부(200)와, 공간 광 변조기(360)가 구비되어 상기 단말장치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100)에서 입사하는 물체광을 변조하여 출사하는 이미지 생성부(300)와, 상기 단말장치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는 슬릿(452)이 구비되는 노출 조절부(400)와, 상기 이미지 생성부(300)와 노출 조절부(400) 사이에 위치하는 스크린부(50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노출 조절부(400)에 홀로그램 기록재료(1)를 거치하는 단계(S20)와; 상기 노출 조절부(400)의 슬릿(452)을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일측 단부인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30)와; 상기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폐쇄하는 단계(S40)와; 상기 광원부(100)의 레이저 광원(120)을 작동시키고, 상기 단말장치부(200)의 DB에 저장된 제1 디지털 이미지와 관련된 영상신호를 상기 이미지 생성부(300)에 구비되는 공간 광 변조기(360)에 인가하는 단계(S50)와; 상기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개방하는 단계(S60)와; 상기 광원부(100)의 광 분리기(160)에 의해 분리되어 출사되는 참조광과, 상기 광 분리기(160)에서 분리된 다음 상기 공간 광 변조기(360)에 인가되는 제1 디지털 이미지 영상신호에 따라 광 변조되어 출사되는 물체광을 함께 상기 슬릿을 통해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특정 부위에 노광하여 제1 간섭 무늬에 의한 제1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단계(S70)와; 상기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폐쇄하는 단계(S80)와; 상기 노출 조절부(400)의 슬릿(452)을 상기 제1 위치와 인접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130)와; 상기 단말장치부(200)의 DB에 저장된 제2 디지털 이미지와 관련된 영상신호를 상기 이미지 생성부(300)에 구비되는 공간 광 변조기(360)에 인가하는 단계(S150)와; 상기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하여 광 경로를 개방하는 단계(S160)와; 상기 광원부(100)에서 분리되어 출사되는 참조광과, 상기 공간 광 변조기(360)에 인가되는 제1 디지털 이미지 영상신호에 따라 광 변조되어 출사되는 물체광을 함께 상기 슬릿을 통해 홀로그램 기록재료(1)에 노광하여, 상기 제1 홀로그램과 인접한 특정 부위에 제2 간섭 무늬에 의한 제2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단계(S170)와; 상기 단말장치부(200)의 DB에 저장되어 있는 제3 디지털 이미지를 포함하는 다른 디지털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S80 단계 이후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출 조절부(400)의 슬릿(452)을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각 단계(S30, S130) 다음에는, 진동을 제거하는 단계(S90, S190)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단말장치부(200)의 DB에는 입체 대상에 대하여 각도를 달리하여 획득된 일련의 디지털 이미지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미지 생성부(300)는, 내부 수용 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320)과, 상기 광원부(100)에서 출사되는 물체 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하우징(320) 일 측에 형성되는 입사 홀(322)과, 상기 입사 홀(322)을 통해 입사하는 물체 광을 일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입사 홀(322)과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반사 판(340)과, 상기 단말장치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반사 판(340)에 의해 반사된 물체 광을 변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20)의 타 측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 광 변조기(360)와, 상기 공간 광 변조기(36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하여 하우징(320)에 장착되며 상기 공간 광 변조기(360)에서 변조된 영상 이미지를 일정 크기로 조절하여 외부로 출사하는 출사 렌즈(3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간 광 변조기(360)는 디엠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출 조절부(4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구비되는 지지 받침대(410)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지지 받침대(410)의 내부 수용 공간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봉(420)과, 상기 가이드 봉(420)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 봉(430)과, 상기 구동 봉(430)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봉의 작동에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는 수평 이동판(440)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452)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 이동판(440)의 일측에 수직하게 고정 결합되는 노출판(450)과, 상기 구동 봉(430)과 축 연결되어 상기 지지 받침대(410)의 일측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단말장치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 봉을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4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봉(430)은 구동 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 이동판(440)에는 상기 구동 스크류와 결합되는 구동 너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부(500)는 광 확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터 홀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실제 존재하는 대상은 물론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가상의 대상까지 그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기술이 안고 있는 한계를 용이하게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신호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디엠디를 공간 광 변조기로 이용하고, 간섭 무늬가 홀로그램 기록재료의 의도하는 위치에 노광될 수 있도록 슬릿의 이동 폭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복수 개의 일련하는 디지털 이미지 정보가 높은 분해능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홀로그램화 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의 개략적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구현을 위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구현에 있어 광원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구현에 있어 이미지 생성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발명에 따른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구현에 있어 노출 조절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시스템을 구축한다(S10). 상기 시스템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부(100), 복수 개의 디지털 이미지를 내장하고 있으며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단말장치부(200), 각 디지털 이미지를 전송받아 이를 적절하게 광 변조하는 이미지 생성부(300), 각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한 간섭 무늬를 일정 폭만큼 연속하여 노광시키는 노출 조절부(400) 및 스크린부(500)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시스테에 대한 개략적인 일 구성이 도 2에 개시되어 있다.
시스템이 준비되면, 홀로그램 기록재료(1)를 노출 조절부(400)에 밀착 고정한다(S20). 홀로그램 기록재료(1)는 은염 유제, 중크롬산젤라틴, 포토레지스트, 포토폴리머 등과 같이 관련 업계에서 홀로그램 기록재료로 사용되는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홀로그램 기록재료가 빛에 민감함을 감안하면 구축되는 시스템 중에서 적어도 이미지 생성부(300), 노출 조절부(400), 스크린부(500) 등은 암실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홀로그램 기록재료(1)가 고정되면, 노출 조절부(400)의 슬릿을 제1 위치로 이동시킨다(S30). 여기에서 제1 위치라 함은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일측 단부 부위로서, 물체광과 참조광에 의해 제일 먼저 노광되는 지점을 가리킨다. 슬릿의 이동 및 그 이동 정도는 단말장치부(200)에서 인가되는 각 제어신호에 따라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슬릿의 이동을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도 3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지지 받침대(410)와, 수평 이동판(440)과, 노출판(450)과, 거치대(4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의 노출 조절부(400)를 제안한다.
상기 지지 받침대(410)는 노출 조절부 전체를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내부 수용 공간에는 가이드 봉(420) 및 구동 봉(430)이 구비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412는 내부 수용 공간 상부를 밀폐하는 덮개이다. 상기 가이드 봉(420)은 수평 이동판(440)의 원활한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지지 받침대(410)의 내부 수용 공간에 양측 부위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봉의 구체적인 구성에는 제한이 없으며, 도면에는 가이드 봉의 구체적인 일례로 엘엠 가이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구동 봉(430)은 수평 이동판(440)을 좌, 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가이드 봉(420) 사이에 구비된다. 구동 봉(430)의 양단은 지지 받침대(4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중의 일단은 구동 모터(460)의 구동축(미도시)과 연결된다. 본 발명은 구동 봉이 구동 스크류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며, 이럴 경우 수평 이동판에는 구동 스크류와 연동되어 수평 이동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 너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스크류 및 구동 너트의 구성은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진 구성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수평 이동판(440)은 구동 봉(430)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 봉(420)을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는 부분으로 구동 봉(430)의 상부에 구비된다. 즉, 수평 이동판은 구동 봉의 회전 운동을 전달 받아 직선 운동하게 되며, 이러한 장치 구성은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진 장치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봉(430)이 구동 스크류로 이루어지면, 수평 이동판(440)에는 구동 스크류와 치합되는 구동 너트(도면 미도시)가 구비되어 구동 스크류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게 된다.
슬릿(452)이 구비되는 상기 노출판(450)은 원본 이미지가 노광되는 부분으로서 수평 이동판(440)의 일측에 수직하게 고정 결합되어 상기 수평 이동판의 이동에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슬릿(452)은 노출판(450)에 수직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슬릿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 슬릿은 서로 다른 폭으로 이루어져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받침대(410)의 일측 외면에는 구동 모터(46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 모터(460)는 전술한 것처럼 구동 봉(430)의 일단과 축 연결되어 구동 봉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미설명 도면부호 466은 구동 모터(460)의 작동을 위해 단말장치부(200)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포트이다. 포트에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가 작동하며, 이에 따라 수평 이동판(440)은 가이드 봉(430)을 따라 일정 거리만큼 특정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거치대(470)는 전술한 홀로그램 기록재료(1)가 거치되는 부분으로서, 임의 형상의 개구부(472)가 형성되어 노출판(450) 후면에 위치한다. 상기 개구부(472)의 형상은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형상에 따라 정사각형, 직사각형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476은 홀로그램 기록재료의 정위치 조절을 위한 핀이다. 또한, 슬릿(452) 이외의 부분을 통해 거치대(470)에 위치하는 홀로그램 기록재료가 노광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암막(2)이 더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 경우, 암막(2)은 노출판(450)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홈(456)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압 수단(457)에 의해 암막(2)은 노출판에 긴밀하게 구속된다.
슬릿이 의도하는 제1 위치에 정지하면,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폐쇄한다. 이는 디지털 이미지에 따른 영상신호가 인가되기 전에 투사되는 광으로 인해 홀로그램 기록재료(1)가 노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은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시키기 이전 단계에, 장치 전반에 작용하는 진동을 제거하는 단계(S90)가 부가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진동은 구동 모터(460)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거나, 또는 구동 모터의 작동에 따라 수평 이동판(440)이 가이드 봉(430)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발생하는 진동은 슬릿(452)이 정위치인 제1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할 수 있고, 이는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다른 부위가 간섭 무늬로 노광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작되는 마스터 홀로그램의 불량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진동 제거 단계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계는 슬릿의 이동이 완료되면 장치 전체를 일정 시간 동안 그대로 유지하여 진동이 자연히 소멸되도록 유도하는 것에 의해 이룰 수 있다.
다음으로, 광원부(100)의 레이저 광원(120)을 작동시키고(S52), 단말장치부(200)의 DB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 개의 디지털 이미지 중에 제1 디지털 이미지를 로딩하여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이미지 생성부(300)에 인가한다(S56). 이 단계(S5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음은 물론(여기에는 S56이 S52보다 먼저 진행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양 단계가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디지털 이미지는 디지털 이미지 정보는 홀로그램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입체 대상에 대하여 각도를 달리하여 획득된 일련의 디지털 이미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정된 입체 대상에 대하여 각도를 달리하여 이미지를 연속 획득하거나, 또는 이미지 획득장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입체 대상을 일정 각도로 회전하면서 이미지를 연속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입체 대상은 실제 물체는 물론,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가상의 입체 대상도 사용될 수 있다.
레이저 광원을 사용하는 이유는 디지털 이미지를 광 신호로 변조함에 있어 상대적으로 높은 분해능을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인데, 본 발명에 따른 광원부(100)은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레드 레이저(122), 그린 레이저(124), 블루 레이저(126)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광원(120)과, 광의 경로를 개폐하는 셔터(130)와, 단순 반사판(142) 및 선택 반사판(144, 146)으로 이루어지는 반사판(140)과, 생성된 광을 물체광과 참조광으로 분리하는 광 분리기(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이에 부가하여 광 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물체 광을 일정 입체각만큼 확대시켜 주는 공간 필터(Spatial Filter, 170)와, 공간 필터에 의해 확대된 광을 그 상태로 용이하게 유지시켜 주는 조준 렌즈(Collimating Lense, 18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이미지 생성부(300)는 광원부(100)에서 입사하는 물체광을 단말장치부(200)에서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광 변조하여 출사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은 이미지 생성부(300)가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320)과, 상기 하우징(320) 내부에 구비되는 반사판(340), 공간 광 변조기(360), 출사 렌즈(3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상기 반사판(340)은 광원부(100)에서 생성되어 입사하는 물체광을 하우징(320) 타 측에 구비되는 공간 광 변조기(360)로 반사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우징(320) 일 측에는 입사 홀(322)이 형성되며, 상기 반사판(340)은 상기 입사 홀(322)과 일정 거리 이격된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반사판이 일정 각도 경사져 위치하며, 반사판에 반사된 물체광이 일정 각도 경사져 공간 광 변조기(360)로 입사하는 경우가 상정되어 있으나, 2개의 반사판을 서로 직교시킨 다음 반투과 반사판, 또는 프리즘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면 입사 홀(322)을 통해 입사하는 물체광이 공간 광 변조기(360) 표면에 수직하게 입사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공간 광 변조기(360)는 제어신호에 따라 물체광을 광 변조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은 공간 광 변조기(360)를 구성함에 있어, 수백만개의 마이크로 거울을 미크론 간격으로 집적시킨 다음, 이 거울들을 통해 빛이 반사되는 것을 적절하게 제어해 영상을 표현하는 디엠디(Digital Micro-mirror Device)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부(200)에서 영상신호가 공간 광 변조기(360)에 인가되면, 공간 광 변조기가 인가된 영상신호에 따라 거울들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반사판(340)을 통해 입사하는 물체광은 적절한 영상으로 변조하게 된다.
상기 출사 렌즈(380)는 공간 광 변조기(360)에서 변조된 상태로 반사되는 물체광을 일정 크기로 집속하여 외부로 출사하는 부분으로서, 공간 광 변조기(360)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대향한 지점에 구비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350은 반사판(340)을 거친 물체 광을 일정 입체 각도로 집속하여 손실없이 공간 광 변조기(360)로 입사되도록 조절하는 집속 렌즈이다. 이러한 집속 렌즈는 입사 홀(322)과 반사판(340) 사이에도 더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말장치부(2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로딩된 제1 디지털 이미지와 관련된 영상신호가 이미지 생성부(300)의 공간 광 변조기(360)에 인가되면,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시켜 폐쇄된 광 경로를 개방한다(S60).
셔터(130)의 작동에 따라 광 경로가 개방되면, 레이저 광원(120)에서 생성된 광은 광 분리기(160)에 의해 물체광과 참조광으로 분리되며, 이중에서 물체광은 이미지 생성부(300)의 반사판(340)을 거쳐 공간 광 변조기(360)로 입사한다. 공간 광 변조기(360)로 입사한 물체광은, 단말장치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집적된 거울들을 제어하여 개별 반사시키는 공간 광 변조기에 의해 광 변조된 다음 최종적으로 출사 렌즈(380), 스크린부(500), 슬릿(352)을 순차적으로 거쳐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특정 부위에 노광된다. 이때, 광 분리기(160)에서 분리된 광 중에서 참조광은 이미지 생성부(300)와 무관하게 직접 슬릿(352)을 통해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특정 부위에 노광된다.
즉, 단말장치부(200)에 저장되어 있던 제1 디지털 이미지는, 광원부(100)에서 분리되어 직접 투사되는 참조광과, 이미지 생성부(300)에 의해 광 변조된 물체광에 의해 제1 간섭 무늬화되어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특정 부위에 제1 홀로그램이 기록되는 것이다(S70).
상기 스크린부(500)는 이미지 생성부(300)에서 광 변조되어 최종 출사되는 물체광을 회절시키는 부분으로서, 물체광은 스크린부(500)를 투과하면서 다양하게 회절된 상태로 노출 조절부(400)의 슬릿(452)로 조사된다. 상기 스크린부(500)는 광 확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홀로그램 기록을 위한 광 확산판 구성은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특정 부위에 제1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제1 홀로그램이 기록되면,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폐쇄하고(S80), 슬릿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킨다(S130).
슬릿이 이동하는 제2 위치는 홀로그램 기록재료(1)에 있어 제2 디지털 이미지와 관련된 제2 홀로그램이 기록되는 부위로서, 제1 위치와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릿의 이동 정도는 슬릿의 폭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셔터(130)에 의해 광 경로를 폐쇄하는 이유는 광에 의해 홀로그램 기록재료(1)가 노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슬릿이 제1 위치로 이동한 다음에 진동을 적절하게 제거하는 단계가 부가될 수 있듯이, 제2 디지털 이미지에 의한 제2 홀로그램을 기록하기 위해 슬릿을 일정 거리 이동시킨 다음에도, 슬릿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제거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190). 상기 진동 제거 단계는 장치 자체를 일정 시간 자연스럽게 방치하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슬릿이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따른 진동이 모두 제거되면, 제2 디지털 이미지를 로딩하고, 이에 따른 영상신호를 이미지 생성부(300)의 공간 광 변조기(360)에 인가한다(S150). 단말장치부(200)로부터 제2 디지털 이미지와 관련된 영상신호가 인가되면, 공간 광 변조기(360)는 인가된 영상신호에 따라 집적된 거울들을 개별적으로 제어하여 반사를 대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개방한다(S160). 셔터(130)의 작동에 따라 광 경로가 개방되면, 분리된 물체광은 이미지 생성부(300)에 입사하여 공간 광 변조기(360)에 의해 적절하게 광 변조되어 출사 렌즈(380), 스크린부(500), 슬릿(352)을 순차적으로 거쳐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특정 부위에 투사되며, 나머지 참조광은 슬릿(352)을 통해 직접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특정 부위에 투사된다.
즉, 제2 디지털 이미지에 의한 제2 간섭 무늬가 형성되며, 이에 따른 제2 홀로그램이 홀로그램 기록재료(1)에 기록된다(S170). 이 단계에서의 특정 부위란 이전 단계(S70)에서 기록된 제1 홀로그램과 인접하는 부위로서, 이에 따라 홀로그램 기록재료(1)에는 제1 홀로그램 및 제2 홀로그램이 연속하여 기록되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제2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한 제2 홀로그램이 기록되면, 제3 디지털 이미지 이후부터 마지막 디지털 이미지까지 전술한 S80, S130, S150, S160, S170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3 홀로그램과 후속하는 홀로그램들을 홀로그램 기록재료(1)에 기록한다(S200). 상기 S200에서 슬릿은 순차적으로 제3 위치, 제4 위치, . . 등으로 이동하여야 함은 자명하며, 슬릿이 각 위치로 이동한 다음에 진동을 제거하는 단계가 각각 더 부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과정을 단말장치부(200)의 DB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이미지 개수만큼 반복하여 연속 수행하면 홀로그램 기록재료(1)에는 디지털 이미지 만큼의 홀로그램 이미지가 연속하여 기록되며, 이에 따라 얻어지는 홀로그램 기록재료(1)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으로서의 마스터 홀로그램이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홀로그램 기록재료 2 : 암막
100 : 광원부 200 : 단말장치부
300 : 이미지 생성부 400 : 노출 조절부
500 : 스크린부

Claims (8)

  1. 광을 생성하는 레이저 광원(120)과 광의 경로를 개폐하는 셔터(130)와 생성된 광을 물체광과 참조광으로 분리하는 광 분리기(160)를 포함하는 광원부(100)와, 복수 개의 연속하는 디지털 이미지가 저장된 DB가 구비되며 각종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단말장치부(200)와, 공간 광 변조기(360)가 구비되어 상기 단말장치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상기 광원부(100)에서 입사하는 물체광을 변조하여 출사하는 이미지 생성부(300)와, 상기 단말장치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 거리 이동하는 슬릿(452)이 구비되는 노출 조절부(400)와, 상기 이미지 생성부(300)와 노출 조절부(400) 사이에 위치하는 스크린부(500)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계(S10)와;
    상기 노출 조절부(400)에 홀로그램 기록재료(1)를 거치하는 단계(S20)와;
    상기 노출 조절부(400)의 슬릿(452)을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일측 단부인 제1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30)와;
    상기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폐쇄하는 단계(S40)와;
    상기 광원부(100)의 레이저 광원(120)을 작동시키고, 상기 단말장치부(200)의 DB에 저장된 제1 디지털 이미지와 관련된 영상신호를 상기 이미지 생성부(300)에 구비되는 공간 광 변조기(360)에 인가하는 단계(S50)와;
    상기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개방하는 단계(S60)와;
    상기 광원부(100)의 광 분리기(160)에 의해 분리되어 출사되는 참조광과, 상기 광 분리기(160)에서 분리된 다음 상기 공간 광 변조기(360)에 인가되는 제1 디지털 이미지 영상신호에 따라 광 변조되어 출사되는 물체광을 함께 상기 슬릿을 통해 홀로그램 기록재료(1)의 특정 부위에 노광하여 제1 간섭 무늬에 의한 제1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단계(S70)와;
    상기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시켜 광 경로를 폐쇄하는 단계(S80)와;
    상기 노출 조절부(400)의 슬릿(452)을 상기 제1 위치와 인접한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S130)와;
    상기 단말장치부(200)의 DB에 저장된 제2 디지털 이미지와 관련된 영상신호를 상기 이미지 생성부(300)에 구비되는 공간 광 변조기(360)에 인가하는 단계(S150)와;
    상기 광원부(100)의 셔터(130)를 작동하여 광 경로를 개방하는 단계(S160)와;
    상기 광원부(100)에서 분리되어 출사되는 참조광과, 상기 공간 광 변조기(360)에 인가되는 제1 디지털 이미지 영상신호에 따라 광 변조되어 출사되는 물체광을 함께 상기 슬릿을 통해 홀로그램 기록재료(1)에 노광하여, 상기 제1 홀로그램과 인접한 특정 부위에 제2 간섭 무늬에 의한 제2 홀로그램을 기록하는 단계(S170)와;
    상기 단말장치부(200)의 DB에 저장되어 있는 제3 디지털 이미지를 포함하는 다른 디지털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S80 단계 이후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조절부(400)의 슬릿(452)을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각 단계(S30, S130) 다음에는, 진동을 제거하는 단계(S90, S190)가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부(200)의 DB에는 입체 대상에 대하여 각도를 달리하여 획득된 일련의 디지털 이미지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생성부(300)는, 내부 수용 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320)과, 상기 광원부(100)에서 출사되는 물체 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하우징(320) 일 측에 형성되는 입사 홀(322)과, 상기 입사 홀(322)을 통해 입사하는 물체 광을 일정 각도로 반사시키기 위해 상기 입사 홀(322)과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하는 반사 판(340)과, 상기 단말장치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반사 판(340)에 의해 반사된 물체 광을 변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320)의 타 측 내부에 구비되는 공간 광 변조기(360)와, 상기 공간 광 변조기(36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대향하여 하우징(320)에 장착되며 상기 공간 광 변조기(360)에서 변조된 영상 이미지를 일정 크기로 조절하여 외부로 출사하는 출사 렌즈(38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광 변조기(360)는 디엠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 조절부(4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구비되는 지지 받침대(410)와, 상호 간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지지 받침대(410)의 내부 수용 공간에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 봉(420)과, 상기 가이드 봉(420) 사이에 구비되는 구동 봉(430)과, 상기 구동 봉(430)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봉의 작동에 따라 좌, 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동하는 수평 이동판(440)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릿(452)이 구비되며 상기 수평 이동판(440)의 일측에 수직하게 고정 결합되는 노출판(450)과, 상기 구동 봉(430)과 축 연결되어 상기 지지 받침대(410)의 일측 외면에 구비되며 상기 단말장치부(20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 봉을 특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4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봉(430)은 구동 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 이동판(440)에는 상기 구동 스크류와 결합되는 구동 너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500)는 광 확산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KR1020130017573A 2013-02-19 2013-02-19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KR101429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573A KR101429495B1 (ko) 2013-02-19 2013-02-19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573A KR101429495B1 (ko) 2013-02-19 2013-02-19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9495B1 true KR101429495B1 (ko) 2014-08-13

Family

ID=51750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573A KR101429495B1 (ko) 2013-02-19 2013-02-19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94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662A (ko) * 1999-12-24 2002-07-26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홀로그램 작성 방법
KR20090012230A (ko) * 2006-04-28 2009-02-02 마이크로닉 레이저 시스템즈 에이비 표면의 영상 및 연구 기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48426Y1 (ko) 2008-07-03 2010-04-09 신우신 주식회사 톤-휠 제조장치의 소재 이송구조
JP2011502279A (ja) 2007-10-31 2011-01-20 ブンデスドルッケライ・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機密保持要素としてのホログラ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662A (ko) * 1999-12-24 2002-07-26 하마마츠 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홀로그램 작성 방법
KR20090012230A (ko) * 2006-04-28 2009-02-02 마이크로닉 레이저 시스템즈 에이비 표면의 영상 및 연구 기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1502279A (ja) 2007-10-31 2011-01-20 ブンデスドルッケライ・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機密保持要素としてのホログラ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448426Y1 (ko) 2008-07-03 2010-04-09 신우신 주식회사 톤-휠 제조장치의 소재 이송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79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one-step, full-color, full-parallax, holographic stereograms
US5822092A (en) System for making a hologram of an image by manipulating object beam characteristics to reflect image data
EP11316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icating a hologram using a steerable beam
CA1089262A (en) System for synthesizing strip-multiplexed holograms
US4411489A (en) System for synthesizing strip-multiplexed holograms
KR20020074162A (ko) 홀로그래픽 프린터
JPH11511864A (ja) 大型ディスプレイ複合ホ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2009537853A (ja) シーンの再構成のためのホログラフィ投影装置
KR101429493B1 (ko)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을 제작하는 시스템
US68706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dynamic image
US20020018255A1 (en) Holographic stereogram exposure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holographic stereogram generation system
JP2000066568A (ja) 視差画像列撮像装置
KR101429495B1 (ko) 디지털 이미지에 기반을 둔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방법
US20020191237A1 (en) Hologram forming melthod
JP3448964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の作成方法
KR102055387B1 (ko) 원 샷 노광 방식의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 제작방법
WO2018190164A1 (ja) ホログラム記録装置およびホログラム製造方法
JP5653077B2 (ja) 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作成装置
KR20030078927A (ko) 홀로그램 복제 장치 및 방법
JP2000019935A (ja) ホログラフィックステレオグラムの作製装置及び作製方法
JP4998817B2 (ja) ホログラム露光装置およびホログラム露光方法
KR101429498B1 (ko) 홀로그래픽 스테레오그램의 마스터 홀로그램 제작을 위한 슬릿 스테이지
KR20140094136A (ko) 디지털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이미지를 기록하는 장치
JPH1078742A (ja) 視差画像列の生成方法
JP2024511754A (ja) 体積ホログラフィックデータ記憶装置及び体積ホ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