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451B1 -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451B1
KR101426451B1 KR1020130142920A KR20130142920A KR101426451B1 KR 101426451 B1 KR101426451 B1 KR 101426451B1 KR 1020130142920 A KR1020130142920 A KR 1020130142920A KR 20130142920 A KR20130142920 A KR 20130142920A KR 101426451 B1 KR101426451 B1 KR 101426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ntact
treated
contact chamb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도
전병구
김한경
신창수
문필중
박재충
손지연
전정룡
Original Assignee
코스맥 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 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코스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2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에 개방공이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제1접촉실 및 제2접촉실로 구획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처리대상수가 제1접촉실에서 개방공을 통해 제2접촉실로 이송된 후 배출되는 접촉조, 접촉조의 내측면 및 격벽에 서로 엇갈리도록 복수개가 결합 배치되는 가이드벽, 제1접촉실 및 제2접촉실에 각각 충진되어, 접촉조로 공급되는 처리대상수에서 비휘발성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여과재, 제2접촉실로부터 배출되는 상부의 처리대상수를 전달받도록 제2접촉실과 연결되게 접촉조에 결합 설치되며, 제2접촉실에서 공급되는 처리대상수를 수막이 형성되면서 이송되게 하며 공기접촉에 따른 휘발성 오염물질을 제거되게 하는 폭기부를 포함하는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는, 격벽에 의해 제1접촉실과 제2접촉실로 구획된 접촉조로 처리대상수를 공급하면, 제1접촉실에서 제2접촉실로 처리대상수가 이송시 여과재에 의해 처리대상수에서 비휘발성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제2접촉실에서 배출되는 처리대상수는 일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폭기부를 통해 일방으로 이송하면서 수막을 형성하게 됨으로서 공기와의 접촉에 따라 처리대상수에서 휘발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바, 처리대상수 내 오염물질의 처리시간이 적게 소요됨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Description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The removal device of water pollutants in water purification plant}
본 발명은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수장에서 배출되는 방류수에 포함된 여러가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정수장은 먹는 물 수질기준에 적합하도록 응집제, 소독제를 사용하여 수돗물의 품질향상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이때, 정수장에서 수돗물을 만들기 위해서는 주로 알루미늄 계통의 응집제를 사용하고, 병원균 제거를 위해 대부분의 정수장에서는 액화염소(Cl2)를 사용한다. 주입된 응집제는 물 속의 이물질을 응집시켜 바닥에 가라앉혀 슬러지가 되므로, 이를 수집하여 탈수과정을 거쳐 시멘트 원료, 토양 개량재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소독을 위해 주입된 염소(Cl2)는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기물질과 반응하여 트리할로메탄(THMs)을 생성시키며, 그 대표적인 물질이 발암성을 가진 클로로포름(CHCl3)이다. 이러한, 유해물질은 수돗물에서는 불검출되거나 극미량의 클로로포름만이 남아 있어 먹는물로서는 안전하지만, 바닥에 가라앉은 슬러지에는 고농도로 축적되었다가 슬러지 탈수공정 및 배출수 처리공정에 포함되어 하천으로 방류될 수 있다. 중금속인 망간, 구리, 철 등도 이와 같은 경로로 슬러지에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정수장 배출수에 포함되는 클로로포름과 중금속 농도는 상수원수, 정수처리공정, 배출수 처리공정 및 계절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들을 효과적, 안정적으로 제거하여야 법적기준인 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할 뿐만 아니라 환경 유해물질로부터 인체, 생물영향을 없앨 수 있다.
이러한, 배출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가 많이 제시되고 있으나, 종래의 처리장치들은 설치규모가 대규모이기 때문에 이를 시공 설치하여 운영하는데 상당한 비용이 투자되어야 하고, 단일 물질 제거를 목적으로 하고 있어 저비용, 소규모 또는 복수 물질의 처리를 원하는 환경에서는 적당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종래의 처리장치들은 처리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원수의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장치는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1-0104007호(2001.11.24)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설치규모를 작게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됨과 더불어 배출수 내 여러 가지 오염물질의 처리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단에 개방공이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제1접촉실 및 제2접촉실로 구획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처리대상수가 상기 제1접촉실에서 상기 개방공을 통해 제2접촉실로 이송된 후 배출되는 접촉조, 상기 접촉조의 내측면 및 상기 격벽에 서로 엇갈리도록 복수개가 결합 배치되는 가이드벽, 상기 제1접촉실 및 상기 제2접촉실에 각각 충진되어, 상기 접촉조로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에서 비휘발성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여과재, 상기 제2접촉실로부터 배출되는 상부의 상기 처리대상수를 전달받도록 상기 제2접촉실과 연결되게 상기 접촉조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제2접촉실에서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수막이 형성되면서 이송되게 하며 공기접촉에 따른 휘발성 오염물질을 제거되게 하는 폭기부를 포함하는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개방공에는 분리막을 더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촉실과 상기 폭기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접촉조에 결합되어, 상기 제2접촉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공급받는 처리수배출제어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에 저장되는 상기 처리대상수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접촉조 내 상기 처리대상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조의 제2접촉실에는 제1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제어부는,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에 삽입 배치되는 부력부재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부력부재에 연결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접촉조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링크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부력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접촉조에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2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제2링크부재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1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되게 하는 개폐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의 일측에는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 내부의 상기 처리대상수를 일정하게 배출되게 하는 제2배출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폭기부는, 일방으로 경사진 계단 구조를 가지도록 상호 수평상태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접촉실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일방으로 흘러내리게 하면서 자유낙하하며 수막이 형성되게 하는 분할판과, 상기 분할판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접촉조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분할판을 연결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제2접촉실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가 상기 분할판을 통해 일방으로 흘러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한 쌍의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배출공에는 상기 제1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상기 폭기부로 이송 공급되게 하는 재유입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유입부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배출공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폭기부 상부에 배치되는 재유입라인과, 상기 재유입라인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재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저장하는 저장조 및, 상기 저장조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저장조 내부에 저장된 상기 처리대상수를 상기 폭기부에 선택적으로 이송 공급되게 펌핑시키는 재공급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판은 상호 2 내지 5mm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는, 격벽에 의해 제1접촉실과 제2접촉실로 구획된 접촉조로 처리대상수를 공급하면, 제1접촉실에서 제2접촉실로 처리대상수가 이송시 여과재에 의해 처리대상수에서 비휘발성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제2접촉실에서 배출되는 처리대상수는 일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폭기부를 통해 일방으로 이송하면서 수막을 형성하게 됨으로서 공기와의 접촉에 따라 처리대상수에서 휘발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바, 처리대상수 내 오염물질의 처리시간이 적게 소요됨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를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는, 접촉조(100), 가이드벽(200), 여과재(300), 폭기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촉조(100)는 외부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할 처리대상수가 공급된 후, 다시 이후 설명될 폭기부(400)로 흘러넘치면서 배출되게 하는 상방이 개방된 통 형상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접촉조(100)는 내측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격벽(110)에 의해 제1접촉실(120)과 제2접촉실(130)로 분리 구획된다. 이때, 상기 격벽(110)의 하단에는 상기 제1접촉실(120)과 상기 제2접촉실(130)을 연통되게 하도록 개방공(111)이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촉조(100)의 제1접촉실(120)로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는 상기 개방공(111)을 통해 상기 제2접촉실(130)로 이송된 후, 이후 설명될 폭기부(400)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조(100)의 제1접촉실(120) 벽부 높이는 상기 제2접촉실(130)의 벽부 높이보다 높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접촉실(120)로 공급된 후, 상기 제2접촉실(130)로 이송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는 상기 제2접촉실(130)의 벽부를 흘러넘치는 상등수만이 폭기부(400)로 배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조(100)의 제2접촉실(120) 일측에는 상기 제2접촉실(120) 내부의 처리대상수를 상기 제2접촉실(120)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도록 제1배출공(13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조(100)의 내부에는 상기 제1접촉실(120)에서 상기 제2접촉실(130)로 이송되는 상기 처리대상수의 유속을 저하시켜 이후 설명될 여과재(300)에 의한 오염물질 제거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벽(200)이 결합 구비된다. 즉, 상기 가이드벽(200)은 상기 접촉조(100) 내부에서 상기 처리대상수의 유속을 저하시킴과 더불어 여과재(300)와 접촉되는 시간을 증대시켜 상기 처리대상수 내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벽(200)은 상기 접촉조(100) 내부에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접촉조(100)의 제1접촉실(120) 내측면과 상기 격벽(110), 그리고, 상기 접촉조(100)의 제2접촉실(130) 내측면과 상기 격벽(110)에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일단이 각각 상기 제1접촉실(120) 및 상기 제2접촉실(120)의 내측면과 상기 격벽(110)에 수직상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접촉조(100)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통 형상의 처리수배출제어조(140)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는 상기 접촉조(100)의 제2접촉실(130)과 이후 설명될 폭기부(40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접촉조(100)의 상단에 연결 결합한다. 즉,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는 상기 접촉조(100)의 제2접촉실(130)에서 배출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공급받은 후, 폭기부(400)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에는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에 저장되는 상기 처리대상수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접촉조(100) 내부의 상기 처리대상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제어부(150)를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이같이, 상기 배출제어부(150)는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의 수위, 즉 상기 접촉조(100)로의 상기 처리대상수 공급여부에 따라 상기 제2접촉실(130)의 제1배출공(131)을 개폐되게 하면서 외부로 상기 처리대상수를 선택적으로 배출되게 한다. 즉, 상기 배출제어부(150)는 상기 접촉조(100)로 상기 처리대상수가 공급되면서 상기 접촉조(100)에서의 상기 처리대상수의 오염물질 제거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제2접촉실(130)의 제1배출공(131)을 밀폐시켜 상기 접촉실(100)로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에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폭기부(400)로 이송되게 한다. 반면에, 상기 배출제어부(150)는 상기 접촉조(100)로 상기 처리대상수가 공급되지 않는 상기 접촉조(100)에서의 상기 처리대상수 내 오염물질 제거가 중단될 경우에는 상기 제2배출공(141)을 통해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에서 상기 처리대상수가 배출되면서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상기 제2접촉실(130)의 제1배출공(131)을 개방시켜 상기 접촉실(100)에 저장된 상기 처리대상수를 상기 접촉조(100)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출제어부(150)는 상기 접촉조(100) 내로 상기 처리대상수가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접촉조(100) 내부에 있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면서 상기 접촉조(100) 내부에 상기 처리대상수가 없도록 하여, 상기 접촉조(100) 내에 충진되는 여과재(3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배출제어부(150)는 부력부재(151), 제1링크부재(152), 제2링크부재(153), 개폐구(154)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부재(151)는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 내부에 삽입 배치되어,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 내 상기 처리대상수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게 된다.
상기 제1링크부재(152)는 상기 부력부재(151)에 연결되는 봉 형상의 길이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1링크부재(152)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부력부재(151)의 일측에 연결 결합되며, 타단은 제2링크부재(153)와 연결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부재(152)는 상기 부력부재(151)의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 상에서 승강됨에 따라 이에 대응되게 이동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이동력을 제2링크부재(152)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2링크부재(153)는 상기 제1링크부재(152)에 연결되는 봉 형상의 길이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제2링크부재(153)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접촉조(1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링크부재(152)의 타단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링크부재(153)는 상기 제1링크부재(15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접촉조(100)에 힌지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즉, 상기 제2링크부재(153)는 상기 부력부재(151)의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 상 위치에 따라 승강시, 상기 접촉조(100)에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개폐구(154)는 상기 제2링크부재(153)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2접촉실(130)의 제1배출공(131)을 개방 또는 밀폐되게 하는 부재이다. 즉, 상기 부력부재(151)의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 상에서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승된 상태가 유지될 경우, 즉 상기 접촉조(100)로 지속적인 상기 처리대상수의 공급이 유지될 경우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15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당김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개폐구(154)는 상기 제2접촉실(130)의 제1배출공(131)에 대응되게 삽입 배치되면서 제1배출공(131)을 밀폐시킨다. 반면, 상기 부력부재(151)의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140) 상에서 일정높이 이하로 하강된 상태가 유지될 경우, 즉 상기 접촉조(100)로 상기 처리대상수의 공급이 중단될 경우에는 상기 제2링크부재(154)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밀림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개폐구(154)는 상기 제2접촉실(130)의 제1배출공(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탈되면서 제1배출공(131)을 개방시켜 상기 접촉조(100) 내 상기 처리대상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개폐구(154)는 상기 제2링크부재(153)의 일측에 결합 설치된다.
또한, 접촉조(100)에는 상기 제2접촉실(130)의 제1배출공(131)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상기 폭기부(400)로 이송 공급되게 하는 재유입부(16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재유입부(160)는 재유입라인(162), 저장조(161), 재공급펌프(163)를 포함한다.
상기 재유입라인(162)은 상기 제2접촉실(130)과 상기 폭기부(400)를 연결하는 관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재유입라인(162)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폭기부(400)의 일단 상방에 배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2접촉실(130)의 제1배출공(131)과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재유입라인(162)은 상기 제1배출공(131)을 통해 상기 제2접촉실(130)에서 배출되는 상기 처리대상수가 상기 폭기부(400)로 이송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저장조(161)는 상기 재유입라인(162)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재유입라인(162) 일측에 연결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재공급펌프(163)는 상기 저장조(161) 내부로 유입된 상기 처리대상수를 상기 폭기부(400)로 선택적으로 이송 공급되게 한다. 즉, 상기 재공급펌프(163)는 상기 저장조(161)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저장조(161)에 저장된 상기 처리대상수를 상기 폭기부(400)로 이송 공급되도록 펌핑시켜 상기 폭기부(400)를 통해 공기와 접촉되면서 상기 처리대상수 내 휘발성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여과재(300)는 상기 접촉조(100)로 공급된 후, 상기 격벽(110)의 개방공(111)을 통해 상기 제1접촉실(120)에서 상기 제2접촉실(130)로 이송되는 상기 처리대상수 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부재이다. 즉, 상기 여과재(300)는 상기 접촉조(100)의 제1접촉실(120) 및 제2접촉실(130)에 각각 충진되어, 상기 접촉조(100)로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에서 주로 흡착, 이온교환에 의해 걸러지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재(300)는 활성탄, 제올라이트, 석회석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유체 상에서 주로 비휘발성 오염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공지의 여과재를 선택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여과재(300)는 상기 제1접촉실(120) 및 상기 제2접촉실(130)에 서로 다른 구성성분을 가지는 여과재가 충진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서로 같은 구성성분을 가지면서 입자 크기가 다른 여과재가 충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격벽(110)의 개방공(111)에는 메쉬구조의 분리막(170)을 결합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막(170)은 상기 제1접촉실(120) 및 상기 제2접촉실(130)에 각각 충진된 상기 여과재(300)가 상호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분리막(170)은 최상단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벽(200)과 상기 격벽(110) 사이의 상기 처리대상수가 통과하는 유로부분 및 최상단에 배치된 상기 가이드벽(200)과 상기 접촉조(100) 내측면 사이의 상기 처리대상수가 통과하는 유로 부분에도 추가적으로 결합 설치하여, 상기 여과재(300)가 상기 접촉조(100)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폭기부(400)는 상기 접촉조(100)의 제2접촉실(130)에서 배출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공급받은 후, 상기 처리대상수를 일방으로 얇은 수막을 형성되게 하면서 이동되게 한다. 즉, 상기 폭기부(400)는 상기 접촉조(100)의 제2접촉실(130)에서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공기와 접촉되게 하면서 상기 처리대상수 내 휘발성을 가지는 오염물질을 제거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폭기부(400)는 상기 제2접촉실(130)과 연결되도록 상기 접촉조(100) 일측에 연결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폭기조(400)는 분할판(410), 지지판(420)을 포함한다.
상기 분할판(410)은 상기 제2접촉실(13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일방으로 흘러내리게 하면서 하부로 자유낙하하며 얇은 수막이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분할판(410)은 일방으로 경사진 계단 구조를 가지도록 상호 수평상태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된다. 즉, 상기 분할판(410)의 상호 이격된 거리만큼 상기 처리대상수가 유하하면서 얇은 수막을 형성하면서 낙하하게 되어 공기와의 접촉효율이 증대되는 바, 상기 처리대상수 내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판(410)은 복수개의 판 부재를 2 내지 5mm, 바람직하게는 3mm의 수평간격으로 상호 이격배치되도록 하면서 상기 처리대상수가 얇은 수막을 형성되게 한다.
상기 지지판(420)은 상기 분할판(410)을 일방으로 경사진 계단 구조를 가지는 상태로 상기 접촉조(100)에 연결 결합되도록 상기 분할판(410)을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판(420)은 상기 분할판(41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접촉조(100)의 일측에 연결 결합되어, 상기 분할판(410)을 연결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제2접촉실(13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가 상기 분할판(410)을 통해 일방으로 흘러 배출되게 가이드한다.
이와 같은, 일실시예의 상기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는 설치장소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2와 같이 상기 접촉조(100)에 롤부재(500)를 연결 구비한 상태로 설치장소에는 상기 롤부재(500)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하는 레일부(10)를 설치하여, 상기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를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이동 가능한 상태로 배열 구성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를 수직방향으로 다층화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의 상기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에 의한 처리대상수의 오염물질 제거작업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접촉조(100)로 오염물질을 제거할 처리대상수를 공급한다. 즉, 상기 접촉조(100)의 제1접촉실(120)로 상기 처리대상수가 공급되면, 상기 처리대상수는 상기 제1접촉실(120) 내부에서 상기 가이드벽(200)을 통해 충돌상태로 자유낙하하면서 이송하게 된다. 이후, 상기 격벽(110)의 개방공(111)을 통해 상기 처리대상수는 상기 제2접촉실(130)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제2접촉실(130) 내부의 가이드벽(200)과 충돌되면서 상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처리대상수는 상기 제1접촉실(120) 및 상기 제2접촉실(130) 내부에 충진된 상기 여과재(300)를 통과하면서 비휘발성 오염물질들이 제거된다.
이렇게, 상기 제1접촉실(120) 및 상기 제2접촉실(130)에 충진된 상기 여과재(300)에 의해 비휘발성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기 처리대상수는 상기 제2접촉실(130)의 상단을 넘어 상기 처리수배출제어부(140)를 경유한 후 상기 폭기부(400)로 공급된다. 이렇게, 상기 폭기부(400)로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는 상기 폭기부(400)의 지지판(420)에 의해 일방으로 흘러 이송되면서 상기 분할판(410)을 통과하여 자유낙하함으로써 얇은 수막이 형성되고, 상기 수막은 공기와의 접촉효율을 증대되게 하면서 상기 처리대상수 내 휘발성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는, 상기 격벽(110)에 의해 상기 제1접촉실(120)과 상기 제2접촉실(130)로 구획된 상기 접촉조(100)로 상기 처리대상수를 공급하면, 상기 제1접촉실(120)에서 상기 제2접촉실(130)로 상기 처리대상수가 이송시 상기 여과재(300)에 의해 상기 처리대상수에서 비휘발성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접촉실(130)에서 배출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는 일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상기 폭기부(400)를 통해 일방으로 이송하면서 수막을 형성하게 됨으로서 공기와의 접촉에 따라 상기 처리대상수에서 휘발성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바, 상기 처리대상수 내 오염물질의 처리시간이 적게 소요됨과 동시에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접촉조 110: 격벽
120: 제1접촉실 130: 제2접촉실
140: 처리수배출제어조 150: 배출제어부
151: 부력부재 152: 제1링크부재
153: 제2링크부재 154: 개폐구
160: 재유입부 161: 재유입라인
162: 저장조 163: 재공급펌프
200: 가이드벽 300: 여과재
400: 폭기부 410: 분할판
420: 지지판

Claims (9)

  1. 하단에 개방공이 형성된 격벽에 의해 제1접촉실 및 제2접촉실로 구획되며, 외부에서 공급되는 처리대상수가 상기 제1접촉실에서 상기 개방공을 통해 제2접촉실로 이송된 후 배출되는 접촉조와;
    상기 접촉조의 내측면 및 상기 격벽에 서로 엇갈리도록 복수개가 결합 배치되는 가이드벽과;
    상기 제1접촉실 및 상기 제2접촉실에 각각 충진되어, 상기 접촉조로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에서 비휘발성 오염물질을 흡착하는 여과재; 및,
    상기 제2접촉실로부터 배출되는 상부의 상기 처리대상수를 전달받도록 상기 제2접촉실과 연결되게 상기 접촉조에 결합 설치되며, 상기 제2접촉실에서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수막이 형성되면서 이송되게 하며 공기접촉에 따른 휘발성 오염물질을 제거되게 하는 폭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공에는 분리막을 더 결합 구비하는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실과 상기 폭기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접촉조에 결합되어, 상기 제2접촉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공급받는 처리수배출제어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에 저장되는 상기 처리대상수의 수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접촉조 내 상기 처리대상수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제어부를 포함하는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촉조의 제2접촉실에는 제1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제어부는,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에 삽입 배치되는 부력부재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부력부재에 연결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접촉조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제1링크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부력부재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접촉조에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2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의 일측에 결합 설치되어, 상기 제2링크부재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제1배출공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되게 하는 개폐구를 포함하는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의 일측에는 상기 처리수배출제어조 내부의 상기 처리대상수를 일정하게 배출되게 하는 제2배출공이 관통 형성된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폭기부는,
    일방으로 경사진 계단 구조를 가지도록 상호 수평상태로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접촉실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일방으로 흘러내리게 하면서 자유낙하하며 수막이 형성되게 하는 분할판과,
    상기 분할판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접촉조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분할판을 연결지지함과 더불어 상기 제2접촉실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처리대상수가 상기 분할판을 통해 일방으로 흘러 배출되게 가이드하는 한 쌍의 지지판을 포함하는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공에는 상기 제1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상기 폭기부로 이송 공급되게 하는 재유입부를 더 구비하는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재유입부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배출공과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폭기부 상부에 배치되는 재유입라인과,
    상기 재유입라인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재유입라인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처리대상수를 저장하는 저장조 및,
    상기 저장조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저장조 내부에 저장된 상기 처리대상수를 상기 폭기부에 선택적으로 이송 공급되게 펌핑시키는 재공급펌프를 포함하는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할판은 상호 2 내지 5mm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KR1020130142920A 2013-11-22 2013-11-22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KR101426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920A KR101426451B1 (ko) 2013-11-22 2013-11-22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920A KR101426451B1 (ko) 2013-11-22 2013-11-22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451B1 true KR101426451B1 (ko) 2014-08-05

Family

ID=5174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920A KR101426451B1 (ko) 2013-11-22 2013-11-22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4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4306B1 (ko) * 1995-02-17 1999-04-01 겐 히라네 고농도 배수의 처리장치
KR20050002324A (ko) * 2003-06-30 2005-01-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폴리에틸렌 여재를 사용한 다단계 수두차 여과식 하천정화 장치
KR20060080139A (ko) * 2006-04-07 2006-07-07 이용우 타워 폭기 장치 및 그 방법
JP4839912B2 (ja) 2006-03-23 2011-1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汚染水の浄化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4306B1 (ko) * 1995-02-17 1999-04-01 겐 히라네 고농도 배수의 처리장치
KR20050002324A (ko) * 2003-06-30 2005-01-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폴리에틸렌 여재를 사용한 다단계 수두차 여과식 하천정화 장치
JP4839912B2 (ja) 2006-03-23 2011-1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汚染水の浄化方法
KR20060080139A (ko) * 2006-04-07 2006-07-07 이용우 타워 폭기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9722B2 (en) Pressurized gas lifting and gas rejuvenation
KR101127474B1 (ko) 저수지 정화가 가능한 자연형 비점정화장치 및 자연형 비점정화방법
KR101638970B1 (ko) 엠비비알을 이용한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KR101446272B1 (ko) 유수분리기
RU143767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омплексной очистки питьевой воды
RU2464239C1 (ru) Биологическое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очистки бытовых сточных вод
KR101426451B1 (ko) 수질오염물질 복합처리장치
KR200462553Y1 (ko) 조류 발생 억제 장치
JP2006289153A (ja)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KR100753547B1 (ko) 산성광산배수 자연정화식 처리장치
JP4344274B2 (ja) 生物ろ過装置
KR100960643B1 (ko) 오염수 처리장치
KR101806838B1 (ko) 우수 처리 장치
US10807881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RU142624U1 (ru) Мобильная малогабаритная станция очистки воды
KR102318251B1 (ko) 축산폐수 처리시설의 침전여과장치
KR100870519B1 (ko) 건식 탈황기
RU2257355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в плавательном бассейне
JP5444449B2 (ja) ふん尿等浄化装置
JP6923969B1 (ja) 流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処理システム、水処理方法
KR101146125B1 (ko)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KR102129684B1 (ko) 폐수 처리 시스템
JP2004188255A (ja) オキシデーションディッチ
KR101213116B1 (ko) 산화를 이용한 폐수 정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KR100504238B1 (ko) 경사형 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