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125B1 -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 Google Patents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125B1
KR101146125B1 KR1020110124742A KR20110124742A KR101146125B1 KR 101146125 B1 KR101146125 B1 KR 101146125B1 KR 1020110124742 A KR1020110124742 A KR 1020110124742A KR 20110124742 A KR20110124742 A KR 20110124742A KR 101146125 B1 KR101146125 B1 KR 101146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oil
water
inlet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준
Original Assignee
김종준
(주)세광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준, (주)세광이엔지 filed Critical 김종준
Priority to KR102011012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03F5/16Devices for separating oil, water or grease from sewage in drains leading to the main se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되는 지하 저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고형물질과 기름을 제거하여 지하 저류조 내부로 저류된 물을 간단하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10)는, 지하 저류조(10)는, 유입구(1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바닥에서 상부로 연장된 고형물질 분리조(20)와; 고형물질 분리조(20)에 이웃하게 위치하여 저류조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제공받는 유입수 이송조(40)와; 저류조의 유입구(11) 하부에서 고형물질 분리조의 상부를 통과하여 유입수 이송조(40)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입구(11)를 통해 배출된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유입수에 포함된 일정이상의 크기를 갖는 고형물질을 고형물질 분리조로 낙하시키는 고형물 낙하부(30)와; 유입수 이송조(40)에 이웃하게 위치하며 유입수 이송조(40)로 유입된 유입수를 공급받는 기름제거조(50)와; 기름제거조(50) 내에 위치하며 물에 부력을 갖는 재질로서 지지대(65)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부력부(61)와, 부력부(61)의 일측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입수에 포함된 기름을 부력부(61)의 내부로 유입하는 기름유입공(62)과, 부력부(61)의 내부로 연장된 기름유입공(62)에 연결되어 유입된 기름을 저류조로 외부로 배출하는 기름배출부(63)를 구비하는 기름제거부(60);를 포함하며, 고형물 낙하부(30)는 고형물 제거판 또는 유입수 이송판(33)의 측면에 결합되는 힌지형 고리 연결바(35)와, 힌지형 고리 연결바(35)에 힌지결합되며 고형물 제거판의 외측으로 연장된 받침부(36)와, 받침부(36)에 연결되며 고형물질 제거판(31)의 관통홀(32) 사이로 연장된 탄성부(37)로 이루어진 이물질제거부(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UNDERGROUND RECLAMATION TYPE WATER STORAGE TANK FOR REMOVING CONTAMINANTS}
본 발명은 지하에 설치되는 지하 저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고형물질과 기름을 제거하여 지하 저류조 내부로 저류된 물을 간단하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저류조는 일시적으로 불어나는 우수를 저장했다가 점차적으로 배출하여 하수도의 역류나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거나, 건기에 저장된 물을 점차 배출하여 하천의 고갈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이고, 도시나 아파트의 조경을 위한 수목의 용수나 도로의 청소 또는 방화수 등 여러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시설물임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지하 저류조들은 상면판과 저면판의 전후 좌우의 네 모퉁이에 기둥들이 각각 직각으로 직립 제공되며, 상기 기둥들에 의해 네 개의 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들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안치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커플 가이드핀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외부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용 블록과; 4개의 면들 중에 하나 이상의 면이 폐쇄된 형태를 취하는 것 외에는 상기 본체부용 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주변부용 블록과; 조립되었을 때 외측으로 향하는 상기 주변부용 블록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주변부용 블록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나사 부재에 의해 상기주변부용 블록에 결합되는 슬래브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지하 저류조로 유입되는 유입수는 지표면 및 하수관거에 누적되어 있는 모래, 자갈, 낙엽, 쓰레기 등의 고형물질 뿐만 아니라, 자동차 등의 기름, 오일 등이 함께 유입되기 때문에 저류조 내부의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하 저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포함된 고형물질과 기름을 제거하여 지하 저류조 내부로 저류된 유입수를 간단하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지하 저류조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에 포함된 고형물질의 낙하되는 힘을 이용하여 고형물질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지하 저류조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이동하면서 유입수에 함께 유입된 기름을 제거할 수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10)는, 유입구(1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바닥에서 상부로 연장된 고형물질 분리조(20)와; 고형물질 분리조(20)에 이웃하게 위치하여 저류조로 유입되는 유입수를 제공받는 유입수 이송조(40)와; 저류조의 유입구(11) 하부에서 고형물질 분리조의 상부를 통과하여 유입수 이송조(40)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입구(11)를 통해 배출된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유입수에 포함된 일정이상의 크기를 갖는 고형물질을 고형물질 분리조로 낙하시키는 고형물 낙하부(30)와; 유입수 이송조(40)에 이웃하게 위치하며 유입수 이송조(40)로 유입된 유입수를 공급받는 기름제거조(50)와; 기름제거조(50) 내에 위치하며 물에 부력을 갖는 재질로서 지지대(65)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부력부(61)와, 부력부(61)의 일측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입수에 포함된 기름을 부력부(61)의 내부로 유입하는 기름유입공(62)과, 부력부(61)의 내부로 연장된 기름유입공(62)에 연결되어 유입된 기름을 저류조로 외부로 배출하는 기름배출부(63)를 구비하는 기름제거부(60);를 포함하며, 고형물 낙하부(30)는 고형물 제거판 또는 유입수 이송판(33)의 측면에 결합되는 힌지형 고리 연결바(35)와, 힌지형 고리 연결바(35)에 힌지결합되며 고형물 제거판의 외측으로 연장된 받침부(36)와, 받침부(36)에 연결되며 고형물질 제거판(31)의 관통홀(32) 사이로 연장된 탄성부(37)로 이루어진 이물질제거부(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름제거부(60)는 기름제거조(50)의 바닥에서 천정으로 연장된 지지대(65)와, 지지대(65)를 따라 이동하도록 부력부(61)를 상하로 관통하는 수직관통홀(6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유입수 이송조(40)에 이웃하는 고형물질 분리조의 측벽 하부에는 고형물질 분리조로 낙하된 유입수를 유입수 이송조(40)로 공급하기 위하여 스크린이 장착된 제1관통공(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름제거조(50)에 이웃하는 유입수 이송조(40)의 측벽은 유입수를 기름제거조(50)로 공급하기 위하여 다공성스크린(4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름제거조(50)의 일측벽 하부에는 제1오리피스(51)가 형성되고, 기름제거조(50)의 외측면에는 부력에 의해 제1오리피스(51)를 막는 차단부(5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오리피스(51)가 형성된 기름제거조(50)의 측벽 상단에는 제2오리피스(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부력부(61)의 내부에는 기름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6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지하 저류조(10)의 일측에는 저류조에 저류되어 있는 저류수가 공급되는 분리막조(70)와, 분리막조(7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살균소독하는 살균소독조(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분리막조(70)는 측벽 하부에 저류조의 저류수가 공급되는 제5관통공(71)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평지지대(72)와, 수평지지대(72)에 형성되어 관통공으로 유입된 저류수가 통과하는 여과필터(73)와, 여과필터(73)를 통과한 저류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친수성침지형 분리막장치(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는, 지하 저류조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수에 포함된 고형물질과 기름을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초기우수처리장치나 빗물재이용시설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지하 저류조 내부로 저류된 유입수를 간단하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 저류조 내부로 유입된 유입수의 낙하되는 힘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유입수에 포함된 고형물질를 분리하여 스크린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하여 유지관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입수에 기름이 포함되어 있더라도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기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지하 저류조 내부에 저장된 유입수도 분리막조 및 살균소독조를 통과시켜 안전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의 내부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 낙하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물질 분리조와 유입수 이송조 사이의 측벽 사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입수 이송조와 기름제거조 사이의 측벽 사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제거부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름제거조의 측벽 사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하 저류조(10)는 내부에 유입구(11)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유입수에 포함된 고형물질을 분리하는 고형물질 분리조(20)와, 고형물질이 분리된 유입수를 제공받아 침전시키는 유입수 이송조(40)와, 유입수에 포함된 고형물질을 고형물질 분리조로 낙하시키는 고형물 낙하부(30)와, 유입수 이송조(40)에 이웃하게 위치하며 유입수 이송조(40)로 유입된 유입수를 공급받는 기름제거조(50)와, 기름제거조(50) 내로 유입된 기름을 제거하는 기름제거부(60)를 구비한다.
고형물질 분리조(20), 유입수 이송조(40) 및 기름제거조(50)는 기본적으로 유입수가 저류이로 직접 공급되지 않도록 차단시킨다. 유입수 이송조(40)에 이웃하는 고형물질 분리조(20)의 측벽 하부에는 고형물질 분리조(20)로 낙하된 유입수를 유입수 이송조(40)로 공급하거나 또는 지하저류조의 유지관리 및 청소를 하기 위하여 유입수 배수를 위해 설치한 스크린이 장착된 제1관통공(21)이 형성된다.
고형물 낙하부(30)는 유입구(11)의 하부에서 고형물질 분리조(20)의 상부를 통과하여 유입수 이송조(40)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입구(11)를 통해 배출된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유입수에 포함된 일정이상의 크기를 갖는 고형물질을 고형물질 분리조(20)로 낙하시킨다. 고형물 낙하부(30)는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관통홀(32)이 형성되어 유입수에 포함된 고형물질을 측면으로 이동시켜 낙하시키는 고형물질 제거판(31)과, 고형물질 제거판(31)의 양측면에 밀착되어 있으며 고형물질 제거판(31)의 관통홀(32)을 통과한 유입수를 이송하는 유입수 이송판(33)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유입구(11)에서 낙하된 유입수에 함유되어 있는 돌, 나무조각 등의 고형물질이 먼저 고형물질 제거판(31)의 상부에 충돌하면서 관통홀(32)보다 큰 지름을 갖는 고형물질은 고형물질 제거판(31)에서 튕겨지면서 좌우로 떨어지면서 분리되고, 관통홀(32)을 통과한 유입수는 유입수 이송판(33)의 상부면을 따라 배출된다. 이때, 관통홀(32)은 유입구(11)에 인접할수록 촘촘히 형성되어 작은 조각의 고형물질도 유입수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형물 낙하부(30)는 고형물 제거판 또는 유입수 이송판(33)의 측면에 결합되는 힌지형 고리 연결바(35)와, 힌지형 고리 연결바에 힌지결합되며 고형물 제거판의 외측으로 연장된 받침부(36)와 타단이 고형물질 제거판(31)의 관통홀(32) 사이로 연장된 탄성부(34)로 이루어진 이물질제거부(34)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물질제거부(34)는 고형물제거판(31)이 관통홀(32) 사이에서 낙하되는 고형물이 받침부(35)에 떨어질때 탄성부(35)가 회전 활동 할 수 있도록 하여 관통홀(32)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기름제거조(50)는 유입수 이송조(40)에 이웃하게 형성되며 유입수 이송조(40)로 유입된 유입수를 제공받는다. 이때, 기름제거조(50)에 이웃하는 유입수 이송조(40)의 측벽은 다공성 스크린(41)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유입수 이송조(40) 내의 유입수는 다공성 스크린(41)을 통해 천천히 정류되어 공급되고, 유입수에 포함된 보다 작은 이물질 등을 다공성 스크린(41)을 통해 제거하면서 기름제거조(50)로 공급할 수 있다.
기름제거조(50)의 일측벽 하부에는 제1오리피스(51)가 형성되고, 기름제거조(50)의 외측면에는 부력에 의해 제1오리피스(51)를 막는 차단부(5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위가 낮을 때에는 제1오리피스(51)를 따라 저류조로 배출할 수 있지만, 저류조의 수위가 제1오리피스(51) 보다 높은 경우에는 차단부(52)가 제1오리피스(51)를 막아 상부에 형성된 제2오리피스(51)를 통해 저류조(10)로 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름제거조(50)에서 저류조(10)로 유입수를 공급 할 때 오리피스에 의한 최소의 공급단면으로 배출하여 유입수에 포함된 기름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다.
기름제거부(60)는 기름제거조(50) 내에 위치하며, 물에 부력을 갖는 재질로서 지지대(65)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부력부(61)와, 부력부(61)의 일측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입수에 포함된 기름을 부력부(61)의 내부로 유입하는 기름유입공(62)과, 부력부(61)의 내부로 연장된 기름유입공(62)에 연결되어 유입된 기름을 저류조로 외부의 집유장치(90)로 배출하는 기름배출부(63)를 구비한다. 이때, 기름제거부(60)는 기름제거조(50)의 바닥에서 천정으로 연장된 지지대(65)와, 지지대(65)를 따라 이동하도록 부력부(61)를 상하로 관통하는 수직관통홀(66)이 형성되어 같은 자리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력부(61)는 수면위에서 안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면이 넓은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기름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64)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름제거조(50)에는 다수의 부력부(61)가 설치되며 유입수에 포함된 기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하 저류조(10)의 일측에는 저류조에 저류되어 있는 저류수가 공급되는 분리막조(70)와, 분리막조(7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살균소독하는 살균소독조(80)가 형성된다.
분리막조(70)와 살균소독조(80)는 기본적으로 저류조의 저류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며, 분리막조(70)의 측벽 하부에 저류조의 저류수가 공급되는 제2관통공(71)이 형성된다. 또한, 제2관통공(71)의 상부에 위치하는 분리막조(70)의 내부에는 수평지지대(72)가 형성되고, 수평지지대(72)에는 제2관통공(71)으로 유입된 저류수가 통과하는 여과필터(73)가 위치하며, 분리막조(70) 내부에는 여과필터(73)를 통과한 저류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친수성침지형 분리막장치(74)가 위치한다. 여과필터(73)는 친환경 자연재료인 바이오스, 니트로라이트, 탄소계 유기물, 치콜바이오, 인톨, 차콜A, 호스컷 등을 사용하여 저류수에서 오염물질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친수성침지형 분리막장치(74)는 장시간 지속할 경우, 이물질에 의해 분리막이 폐색될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역세를 한다. 재이용을 위한 분리막의 가동은 30-60분 실시하고, 백워싱 처리를 2-3분 이내로 역세척하도록 하였다. 역세수는 광촉매자외선 소독장치를 거친 처리수로 역세에 이용하며 분리막의 외부에는 친수코팅하여 미생물의 플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였다. 역세시에는 소독조에서 친수성침지형 분리막으로 역세수가 처리수 배관을 통하여 처리하도록 하였다. 광촉매자외선 소독장치을 거친 처리수로 역세에 이용하며 여과막의 석영관과 자외선의 스테인레스 스틸내벽에 산화티탄을 10-100g을 프로필알콜 50-100ml에 혼합하고 0.1-1.0M의 ZnO를 공침하여 0.1-1.0N HCl 10-20ml로 산화시켜 제조한 산화티탄졸을 친수코팅하여 미생물의 플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였다. 친수성침지형 분리막의 여과 효율이 급속히 저하될 경우에는 0.1% NaOCl로 약품역세를 하도록 하였으며 분리막을 통과한 처리수는 대장균과 일반세균을 살균하는 광촉매 자외선 소독장치로 된 소독조로 유입되도록 하였다. 소독된 물은 재이용하거나 음용하기 위하여 살균력을 가진 바이오 바이오세라믹으로 코팅된 폴리에틸렌 살균소독조(80)에 보내 사용하도록 하였다.
살균소독조(80)는 살균력을 가진 바이오 바이오세라믹으로 코팅된 폴리에틸렌 재질로 제작되어 분리막조(70)의 친수성침지형 분리막장치(74)를 통해 오염물질이 제거된 저류수를 제공, 공급받아 살균소독하며 저류조 외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
10 : 지하 저류조 11 : 유입구
20 : 고형물질 분리조 21 : 제1관통공
30 : 고형물 낙하부 31 : 고형물질 제거판
32 : 관통홀 33 : 유입수 이송판
34 : 이물질제거부 35 : 힌지형 고리 연결바
36 : 받침부 37: 탄성부
40 : 유입수 이송조 41 : 다공성스크린
50 : 기름제거조 51 : 제1오리피스
52 : 차단부 53 : 제2오리피스
60 : 기름제거부 61 : 부력부
62 : 기름유입공 63 : 기름배출부
64 : 스크린 65 : 지지대
66 : 수직관통홀 70 : 분리막조
71 : 제2관통공 72 : 수평지지대
73 : 여과필터 74 : 친수성침지형 분리막장치
80 : 살균소독조 90 : 집유장치

Claims (12)

  1. 유입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바닥에서 상부로 연장된 고형물질 낙하조와;
    고형물질 낙하조에 이웃하게 위치하는 유입수 이송조와;
    유입구의 하부에서 고형물질 낙하조의 상부를 통과하여 유입수 이송조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입구를 통해 배출된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유입수에 포함된 일정이상의 크기를 갖는 고형물질을 고형물질 낙하조로 낙하시키는 고형물 낙하부와;
    유입수 이송조에 이웃하게 위치하며 유입수 이송조로 유입된 유입수를 공급받는 기름제거조와;
    기름제거조 내에 위치하며 물에 부력을 갖는 재질로서 지지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부력부와, 부력부의 일측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입수에 포함된 기름을 부력부의 내부로 유입하는 기름유입공과, 부력부의 내부로 연장된 기름유입공에 연결되어 유입된 기름을 저류조로 배출하는 기름배출부를 구비하는 기름제거부;를 포함하며,
    고형물 낙하부는 고형물 제거판 또는 유입수 이송판의 측면에 결합되는 힌지형 고리 연결바와, 힌지형 고리 연결바에 힌지결합되며 고형물 제거판의 외측으로 연장된 받침부와, 받침부에 연결되며 고형물질 제거판의 관통홀 사이로 연장된 탄성부로 이루어진 이물질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름제거부는 기름제거조의 바닥에서 천정으로 연장된 지지대와, 지지대를 따라 이동하도록 부력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수직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입수 이송조에 이웃하는 고형물질 낙하조의 측벽 하부에는 고형물질 낙하조로 낙하된 유입수를 유입수 이송조로 공급하기 위하여 스크린이 장착된 제1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름제거조에 이웃하는 유입수 이송조의 측벽은 유입수를 기름제거조로 공급하기 위하여 다공성스크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6. 유입구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바닥에서 상부로 연장된 고형물질 낙하조와;
    고형물질 낙하조에 이웃하게 위치하는 유입수 이송조와;
    유입구의 하부에서 고형물질 낙하조의 상부를 통과하여 유입수 이송조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입구를 통해 배출된 유입수가 낙하되면서 유입수에 포함된 일정이상의 크기를 갖는 고형물질을 고형물질 낙하조로 낙하시키는 고형물 낙하부와;
    유입수 이송조에 이웃하게 위치하며 유입수 이송조로 유입된 유입수를 공급받는 기름제거조와;
    기름제거조 내에 위치하며 물에 부력을 갖는 재질로서 지지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송하는 부력부와, 부력부의 일측에서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유입수에 포함된 기름을 부력부의 내부로 유입하는 기름유입공과, 부력부의 내부로 연장된 기름유입공에 연결되어 유입된 기름을 저류조로 배출하는 기름배출부를 구비하는 기름제거부;를 포함하며,
    기름제거조의 일측벽 하부에는 제1오리피스가 형성되고, 기름제거조의 외측면에는 부력에 의해 제1오리피스를 막는 차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제1오리피스가 형성된 기름제거조의 측벽 상단에는 제2오리피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기름제거부의 부력부 내부에는 기름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지하 저류조의 일측에는 저류조에 저류되어 있는 저류수가 공급되는 분리막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분리막조는 측벽 하부에 저류조의 저류수가 공급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평지지대와, 수평지지대에 형성되어 관통공으로 유입된 저류수가 통과하는 여과필터와, 여과필터를 통과한 저류수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친수성침지형 분리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여과필터는 친환경 자연재료인 바이오스, 니트로라이트, 탄소계 유기물, 치콜바이오, 인톨, 차콜A, 호스컷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12. 청구항 9에 있어서, 분리막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UV 또는 염소 살균소독하는 살균소독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KR1020110124742A 2011-11-28 2011-11-28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KR101146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742A KR101146125B1 (ko) 2011-11-28 2011-11-28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742A KR101146125B1 (ko) 2011-11-28 2011-11-28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125B1 true KR101146125B1 (ko) 2012-05-17

Family

ID=4627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742A KR101146125B1 (ko) 2011-11-28 2011-11-28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354B1 (ko) * 2012-07-11 2013-04-02 주식회사 그린텍 빗물 이용수 처리 시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492A (ko) * 1998-09-11 2000-04-15 김여환 고농도 유기성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200385109Y1 (ko) 2005-02-05 2005-05-24 (주)디스이엔씨건축사사무소 미생물과 분리막을 이용한 질소·인 고도처리 시스템
KR100706269B1 (ko) * 2005-07-12 2007-04-12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20110032200A (ko) * 2009-09-22 2011-03-30 홍석희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일과 슬러지를 중력에 의해 부상, 침전 및 여과시켜 처리하는 오일 및 슬러지분리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492A (ko) * 1998-09-11 2000-04-15 김여환 고농도 유기성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KR200385109Y1 (ko) 2005-02-05 2005-05-24 (주)디스이엔씨건축사사무소 미생물과 분리막을 이용한 질소·인 고도처리 시스템
KR100706269B1 (ko) * 2005-07-12 2007-04-12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20110032200A (ko) * 2009-09-22 2011-03-30 홍석희 초기 우수에 포함된 오일과 슬러지를 중력에 의해 부상, 침전 및 여과시켜 처리하는 오일 및 슬러지분리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354B1 (ko) * 2012-07-11 2013-04-02 주식회사 그린텍 빗물 이용수 처리 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4378B2 (en) Wetland water treatment system
RU2531301C2 (ru)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воды с гравитационной подачей
KR101160567B1 (ko)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우수 정화장치
KR101565593B1 (ko) 비점오염 처리장치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113989B1 (ko) 모듈식 측면여과형 비점오염저감장치
ES2676726T3 (es) Proceso de tratamiento biológico e instalación que incluye elevación por inyección de aire y postratamiento en filtro
KR100623929B1 (ko) 계곡수용 간이 정수 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0927631B1 (ko)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KR101146125B1 (ko)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지하 저류조
KR101208694B1 (ko) 우수의 여과장치
KR101250076B1 (ko) 우수와 하수 재이용시스템
KR101639004B1 (ko) 초기 빗물의 정화 배제 기능이 강화된 빗물재이용시스템
KR20140023032A (ko) 용수의 고형물 제거 및 정화장치
KR102318251B1 (ko) 축산폐수 처리시설의 침전여과장치
KR102005372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530970B1 (ko) 빗물 재이용 장치
US10870589B2 (en) Filtering system for removing chemicals from fluids
KR101758907B1 (ko) 우수 처리 시스템
KR101691114B1 (ko) 빗물 처리 시스템
JP2008000680A (ja) 排水処理装置、排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排水処理方法
JP6667188B2 (ja) 水処理装置、水処理方法
KR101489201B1 (ko) 비관리형 빗물통 시스템
KR100915974B1 (ko) 정화탱크용 정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