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075B1 - 양식장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양식장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075B1
KR101426075B1 KR1020110073605A KR20110073605A KR101426075B1 KR 101426075 B1 KR101426075 B1 KR 101426075B1 KR 1020110073605 A KR1020110073605 A KR 1020110073605A KR 20110073605 A KR20110073605 A KR 20110073605A KR 101426075 B1 KR101426075 B1 KR 10142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uide member
food
roller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414A (ko
Inventor
최영태
Original Assignee
최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태 filed Critical 최영태
Priority to KR1020110073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075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식장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부구가 설치된 메인로프에 연결로프들에 의해 현가되며 복수의 양식유닛을 관리하는 양식장 관리장치에 있어서, 메인로프를 따라 이동하며, 양식유닛이 거치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관리선과, 관리선에 설치되어 양식유닛을 회수하여 가이드부재에 안착시키는 회수유닛과, 회수유닛에 의해 가이드부재에 안착된 양식유닛에 양식되는 어패류에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먹이공급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관리장치는 회수유닛에 의해 용이하게 수중에 설치된 양식유닛를 작업자가 탑승한 선박으로 회수할 수 있고, 먹이공급유닛을 통해 어패류의 먹이를 용이하게 양식유닛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어패류 양식장을 관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양식장 관리장치 {Management device for aquaculture}
본 발명은 양식장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다의 수중에 설치된 어패류 양식장을 회수하여 관리할 수 있는 양식장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국은 삼면이 바다와 접해있어 어업이 발달되어 있다. 또한,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수산물의 소비 또한 크게 늚에 따라 배를 타고 나가 고기를 잡는 어업형태에서 길러서(양식) 공급하는 형태로 크게 전환되어 가는 실정에 있으며, 이러한 양식산업 중에 패류인 전복도 포함된다.
전복을 양식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전복 씨알(치패)을 바다에 방사하여 수년이 지난 뒤에 수중작업을 통해 성장한 전복을 수확하거나 또는 내부에 전복서식공간이 마련된 전복 양식집을 바다속에 설치하여 이 곳을 통하여 전복을 양식하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5068호에는 '패류양식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패류양식장치'는 그물을 씌운 양식틀의 네모서리에 고정한 고리에는 로우프를 관통시켜 설치로우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양식틀에 일단을 고정한 로우프의 끝에는 양식틀이 놓인 장소와 개수를 확인할 수 있는 부구를 고정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상부사각틀과 하부 사각틀을 로우프로 형성하고, 상기 로우프로 된 상,하부사각틀을 연결로우프로 연결하여 하부사각틀에는 합성수지로된 수개의 간격유지간을 고정하고, 상부사각틀의 외부에는 여러개의 합성수지제의 부자를 끼운 부자지지로우프를 고정하고 하부사각틀의 외측에는 여러개의 추를 끼운 추지지로우프를 고정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패류양식장치와 같은 양식장은 측면에 이물질이 고착되어 양식장 내로 바닷물의 유입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청소를 하거나 양식장 내에 먹이 공급수단이 없으므로 먹이를 공급하는 것과 같은 주기적인 관리가 요구되며, 양식장 관리를 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직접 수중에 설치된 양식장을 회수하여 작업해야 하므로 관리작업을 하는 데 있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수중에 설치된 양식장을 용이하게 회수하고, 양식장에 먹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양식장 회수수단 및 먹이 공급수단이 마련된 양식장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관리장치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부구가 설치된 메인로프에 연결로프들에 의해 현가되며 복수의 양식유닛을 관리하는 양식장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로프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양식유닛이 거치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관리선과, 상기 관리선에 설치되어 상기 양식유닛을 회수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착시키는 회수유닛과, 상기 회수유닛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착된 상기 양식유닛에 양식되는 상기 어패류에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먹이공급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관리선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포스트와, 상기 연결로프 또는 상기 메인로프와 상기 연결로프의 연결부분을 파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포스트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붐체와, 상기 포스트를 선회시키는 선회부재와, 상기 붐체를 회동시키는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상기 양식유닛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구를 상기 관리선의 상측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관리선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관리선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메인레일과, 상기 메인레일들의 전단부에 각각 연장형성되며, 전단부가 상기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구의 하측에 인접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레일의 연장선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마련된 레일부와, 상기 관리선의 이동에 의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부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메인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이송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롤러는 상호 메인레일들의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 또는 상호 가이드레일들의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에 각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부구의 이송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연결로프가 통과하는 통로가 마련될 수 있게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롤러체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롤러체는 외주면에 안착된 상기 부구가 상기 제1 및 제2롤러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단부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관리선의 이동에 따라 수중에 설치된 상기 양식유닛이 가이드되어 가이드부재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관리선에 고정되며, 타단은 관리선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수중에 위치한 상기 양식유닛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회수레일을 구비한다.
상기 먹이공급장치는 상기 관리선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어패류의 먹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된 수용용기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먹이가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착된 상기 양식유닛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먹이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재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먹이유도부재와, 상기 수용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먹이를 상기 먹이유도부재를 통해 상기 양식유닛으로 이송시키는 먹이이송부와, 상기 먹이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먹이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먹이이송부는 외주면에 상기 먹이가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먹이유도부재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먹이유도부재의 연장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중심선이 형성되는 인출롤러와, 상기 인출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먹이를 가압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출롤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먹이유도부재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인출롤러의 회전중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중심선이 형성되는 제1가압롤러와, 상기 인출롤러 및 제1가압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먹이를 이송시키는 회전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먹이이송부는 상기 수용용기 및 먹이유도부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먹이를 상기 양식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를 구비한다.
상기 먹이이송부는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먹이를 가압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먹이유도부재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회전중심선이 형성되는 제2가압롤러와, 상기 제2가압롤러를 회전시키는 가압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먹이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먹이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먹이이송부보다 상기 가이드부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먹이유도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관리장치는 회수유닛에 의해 용이하게 수중에 설치된 양식유닛을 작업자가 탑승한 선박으로 회수할 수 있고, 먹이공급유닛을 통해 어패류의 먹이를 용이하게 양식유닛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어패류 양식장을 관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식장 관리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식장 관리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양식장 관리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양식장 관리장치의 먹이이송부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식장 관리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양식장 관리장치의 먹이공급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먹이공급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먹이공급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먹이공급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식장 관리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양식장 관리장치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양식장 관리장치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양식장 관리장치의 양식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관리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관리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양식장 관리장치(100)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부구가 설치된 메인로프(11)에 연결로프(12)들에 의해 현가되는 복수의 양식유닛(13)을 관리하는 양식장 관리장치(10)이다.
상기 양식장 관리장치(10)는 메인로프(11)를 따라 이동하며, 양식유닛(13)이 거치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재(22)가 마련된 관리선(20)과, 관리선(20)에 설치되어 양식유닛(13)을 회수하여 가이드부재(22)에 안착시키는 회수유닛(30)과, 회수유닛(30)에 의해 가이드부재(22)에 안착된 양식유닛(13)에 양식되는 어패류에 먹이(14)를 공급하는 먹이(14)공급유닛을 구비한다.
관리선(20)은 양식유닛(13)이 설치된 바다에 부유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관리선(20)이 구동수단이 없는 바지선인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관리선(20)은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구동수단이 마련된 선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재(22)는 양식유닛(13)이 용이하게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관리선(20)의 일측면에 법선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양식상자가 관리선(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관리선(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회수유닛(30)은 관리선(20)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포스트(31)와, 연결로프(12)를 파지하기 위해 일단이 포스트(31)에 상하방향을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붐체(32)와, 상기 포스트(31)를 선회시키는 선회부재(미도시)와, 상기 붐체(32)를 회동시키는 회동부재(34)를 구비한다.
포스트(31)는 관리선(20)의 전방측 상면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며, 관리선(20)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붐체(32)는 상기 포스트(31)의 연장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길이가 신축되도록 텔레스코픽 형태로 상호 결합된 다수의 붐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다수의 붐은 슬라이딩되어 붐체(32)의 길이가 신축된다.
한편, 붐체(32)의 타단부에는 연결로프(12)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파지부(35)는 후크부재(36)와 작동부재(37)를 구비한다. 이때, 연결로프(12)의 외주면에는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경질의 걸림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재(36)는 일단이 붐체(32)의 타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는 상기 걸림부재에 걸려 연결로프(12)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만곡되게 후크형상으로 형성된다. 작동부재(37)는 일단은 후크부재(36)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붐체(3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회부재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포스트(31)의 하단에 설치되어 포스트(31)를 선회시킨다. 선회부재는 회전력을 포스트(31)에 공급하기 위해 전력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모터나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부재(34)는 일단은 포스트(31) 또는 선박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붐체(3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길이가 신축될 수 있도록 유압 및 공압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는 걸림부재에 후크부재(36)가 걸리도록 회수유닛(30)을 조작하여 연결로프(12)를 파지한 다음, 연결로프(12)를 들어올려 양식유닛(13)을 가이드부재(22)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가이드부재(22)에 안착된 양식유닛(13)은 작업자가 밀거나 관리선(20)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부재(22)를 따라 이동한다. 작업자는 가이드부재(22)를 따라 이동하는 양식상자를 청소 및 보수관리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수유닛(130)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수유닛(130)은 레일부(131) 및 다수의 이송롤러(132)를 구비한다. 이때, 관리선(120)은 부구가 통과될 수 있게 통로가 마련될 수 있도록 상호 이격되게 해수면을 부유하는 제1 및 제2선박(121,122)으로 구성되며, 가이드부재(123)는 제1 및 제2선박(121,122)의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 및 제2선박(121,122)은 연결유닛에 의해 이격거리를 유지하며 상호 연결된다. 연결유닛은 일단은 제1선박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은 제2선박에 상하방향을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바형으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선박(121,122)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부(131)는 상호 대향된 위치의 제1 및 제2선박(121,122)에, 제1프레임(137)에 의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각각 설치되며, 제1 및 제2선박(121,122)의 길이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선된 복수의 메인레일(133)과, 메인레일(133)의 전단부에 각각 연장형성되며, 전단부가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구의 하측에 인접될 수 있도록 메인레일(133)의 연장선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레일(134)을 구비한다.
메인레일(133)들은 이송롤러(132)를 통해 이송되는 부구에 의해 양식유닛(13)이 승강되어 가이드부재(123)에 안착될 수 있도록 연결로프(12)의 길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이송롤러(132)들에 의해 부구가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부구의 폭보다 더 큰 거리로 상호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레일(133)의 후방부는 메인레일(133)을 따라 관리선(120)의 상측을 통과한 부구가 용이하게 바다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34)은 전단부가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구의 하면에 접할 수 있도록 바다에 인입되게 형성되며,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구가 용이하게 메인레일(133)로 유도될 수 있도록 만곡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레일(134)의 전단부는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구의 하면에 용이하게 접할 수 있도록 메인롤러에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레일(134)은 견고하게 부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제2프레임(138)에 의해 제1 및 제2선박(121,122)에 지지된다. 제2프레임(138)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바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가이드레일(134)의 하면에 고정되며, 타단은 제1 및 제2선박(121,122)에 고정된다.
이송롤러(132)는 메인레일(133)들의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 또는 가이드레일(134)들의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에 각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롤러체(135,136)를 구비한다. 이때, 제1 및 제2롤러체(135,136)의 타단은 타단은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부구의 이송에 의해 이동하는 연결로프(12)가 통과하는 통로가 마련될 수 있게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롤러체(135,136)는 외주면에 안착된 상기 부구가 상기 제1 및 제2롤러체(135,136)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단부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롤러체(135,136)의 외주면은 원통형 부구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되게 만곡되게 형성된다.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구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레일부(131)를 따라 관리선(120)의 상측으로 승강된다. 레일부(131)를 따라 이동하는 부구에 의해 양식유닛(13)도 승강한다. 이때, 메인레일(133)은 연결로프(12)의 길이보다 더 큰 높이로 관리선(120)에 이격 설치되어 있으므로 양식유닛(13)은 가이드부재(123)에 안착된다.
한편, 도 5에는 회수유닛(23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회수유닛(230)은 일단이 상기 거치대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제1 및 제2선박(121,122)의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에 각각 고정되며,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수중에 위치한 상기 양식상자의 하측에 인접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면에 상기 양식상자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제1 및 제2회수레일(231,미도시)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회수레일(231,미도시)는 전단부가 수중에 위치하는 양식유닛(13)의 하면에 접할 수 있도록 바다에 인입되게 형성되며, 수중에 위치한 양식유닛(13)이 용이하게 가이드부재(123)로 유도될 수 있도록 만곡되게 형성된다.
메인로프(11)를 따라 이동하는 관리선(120)에 의해 가이드부재(123)는 전반부가 수중에 위치한 양식유닛(13)의 하면에 접하고, 양식유닛(13)은 가이드부재(123)를 따라 이동하며 승강하여 가이드부재(123)의 상면에 안착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수유닛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양식장 관리장치(10)는 양식유닛(13)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서브로프(210,211)를 더 구비한다.
제1서브로프(210)는 양식유닛(13)들의 상측에 보조로프(212)에 의해 연결된다. 보조로프(212)는 일단은 양식유닛(13)의 상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서브로프(210)에 설치되어 제1서브로프(210)로부터 양식유닛(13)을 이격되게 지지한다. 보조로프(212)는 다수개가 양식유닛(13)의 상면 양측 가장자리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보조로프(212)들에 의해 양식유닛(13)들은 제1서브로프(2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2서브로프(211)는 양식유닛(13)의 하면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복수의 고리(미도시)에 연결되어 양식유닛(13)들을 상호 연결한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3를 참조하면, 1개의 양식유닛(13)에 2개의 부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수의 양식유닛(13)은 제1 및 제2서브로프(210,211)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2개의 부구는 연결부(310)에 의해 각 양식유닛(13)에 연결된다.
연결부(310)는 양식유닛의 상측 전방에 설치된 제1고정로프(311)와, 양식유닛의 상측 후방에 설치된 제2고정로프(312)와, 제1고정로프(311) 및 제1부구(315)를 상호 연결하는 제1현가로프(313)와, 제2고정로프(312) 및 제2부구(316)를 상호 연결하는 제2현가로프(314)를 구비한다.
제1고정로프(311)는 양단이 양식유닛(13)의 전방측 상면 좌우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제1고정로프(311)는 양식유닛(13)의 폭보다 더 길게 연장형성된다. 제2고정로프(312)는 양단이 양식유닛(13)의 후방측 상면 좌우단부에 각각 고정되며, 양식유닛(13)의 폭보다 더 길게 연장형성된다.
제1현가로프(313)는 일단이 제1고정로프(311)의 중앙부분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1부구(315)에 고정되며, 양식유닛(13)이 해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제2현가로프(314)는 일단이 제2고정로프(312)의 중앙부분에 고정되고, 타단은 제2부구(316)에 고정되며, 양식유닛(13)이 해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위치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다수의 부구들은 상기 메인로프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연결부(310)에 의해 각 양식유닛(13)에 2개의 부구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설정된 깊이의 해수에 부유하기에 적합한 부력을 양식유닛(13)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현가로프(313,314)가 제1 및 제2고정로프(311,312)를 통해 양식유닛(13)의 중심부분에 연결되므로 부력이 양식유닛(13)에 편향되게 작용되는 것을 방지하여 양식유닛(13)이 설치 및 견인시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회수유닛(200)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수유닛(200)은 가이드부재(22)에 대해 후방측 관리선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21)과, 지지프레임(2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제1서브로프(210)가 지지되는 인양롤러(222)와, 상기 인양롤러(222)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223)와, 가이드부재(22)에 대해 전방측 관리선에 설치되어 제2서브로프(21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224)를 구비한다.
지지프레임(221)은 사각단면을 갖고, 가이드부재(22)의 후방측 관리선 상면에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이때, 지지프레임(221)은 가이드부재(22)가 설치된 관리선 일측면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양롤러(222)는 양식유닛(13)의 상측에 연결된 제1서브로프(210)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22)로부터 양식유닛(13)의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의 지지프레임(2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인양롤러(22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주면에 지지된 제1서브로프(2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단부에서 중앙부분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발생부(223)는 인양롤러(22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인양롤러(222)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한다. 구동모터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력 또는 유압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인양롤러(222)에 전달한다.
가이드롤러(224)는 가이드부재(22)에 대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관리선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가이드롤러(224)는 용이하게 제2서브로프(211)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22)가 설치된 관리선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롤러(224)는 소정의 반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양식유닛(13)의 하면에 설치된 제2서브로프(2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재(22)에 대해 하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수유닛(200)은 가이드부재(22)의 전방측 관리선(20)에 설치되어 제1서브로프(2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롤러(225)가 설치되어 있다. 보조롤러(225)는 지지바(226)에 의해 가이드부재(22)에 대해 후방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보조롤러(225)는 가이드부재(22)로 유도되는 양식유닛(13)의 상측에 연결된 제1서브로프(210)를 제2서브로프(211)에 대해 이격되게 지지하므로 제1 및 제2서브로프(210,211)이 상호 꼬이는 것을 방지한다.
작업자는 양식유닛(13)을 가이드부재(22)에 인양하기 위해 동력발생부(223)를 작동시켜, 제1서브로프(210)가 지지된 인양롤러(222)를 회전시킨다. 인양롤러(222)와 제1서브로프(21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제1서브로프(210)는 인양롤러(222)의 회전을 따라 인양된다. 이때, 인양롤러(222)는 가이드부재(22)보다 상측에 위치하므로 양식유닛(13)을 승강되어 가이드부재(22)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관리선의 전방측에는 가이드롤러(224)가 설치되어 양식유닛(13)의 하측에 고정된 제2서브로프(211)를 가이드하므로 양식유닛(13)이 용이하게 승강되어 가이드부재(22)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회수유닛(200)이 상호 대향되는 측면에 각각 마련된 2개의 관리선(20)이 메인로프를 따라 이동하며 해수에 잠긴 양식유닛(13)을 인양하여 가이드부재(22)에 안착시킨다.
한편, 도 6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먹이공급유닛(40)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먹이공급유닛(40)은 상기 관리선(120)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어패류의 먹이(14)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23)에 대향되는 일측면에는 상기 먹이(14)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51)가 마련된 수용용기(50)와, 상기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먹이(14)가 상기 가이드부재(123)에 안착된 상기 양식유닛(13)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먹이(14)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51)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재(123)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먹이유도부재(60)와, 상기 수용용기(50) 내에 수용된 상기 먹이(14)를 상기 먹이유도부재(60)를 통해 상기 양식유닛(13)으로 이송시키는 먹이이송부(70)와, 상기 먹이이송부(7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먹이를 절단하는 절단부(80)를 구비한다.
수용용기(50)는 어패류의 먹이(14)가 상방으로 통해 수용공간으로 용이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상면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수용용기(50)는 먹이(14)가 용이하게 배출구(51)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이 배출구(51)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용기(50)의 하면에는 수용용기(50)를 가이드부재(123)에 안착된 양식유닛(13)보다 상측에 위치하도록 수용용기(50)를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부재가 설치된다. 지지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도시된 예에서는 수용용기(50) 하면의 네 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지지부재의 설치위치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용기(50)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먹이유도부재(60)는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된 먹이(14)가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용기(50)의 하면의 경사각에 대응되는 각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분(61)과, 경사부분(61)의 단부에 연장형성되며, 관리선(120)의 상면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부분(62)을 구비한다. 먹이유도부재(60)는 양측면에는 먹이(14)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돌출형성된 측벽(63)을 구비한다. 측벽(63)은 먹이유도부재(6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수평부분(62)은 단부가 양식유닛(1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가이드부재(123)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며, 하면에는 후술되는 먹이이송부(70)의 인출롤러(71)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인출롤러(71)의 단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다.
먹이이송부(70)는 외주면에 상기 먹이(14)가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먹이유도부재(6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먹이유도부재(60)의 연장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중심선이 형성되는 인출롤러(71)와, 상기 인출롤러(71)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먹이(14)를 가압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출롤러(71)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먹이유도부재(6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인출롤러(71)의 회전중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중심선이 형성되는 제1가압롤러(72)와, 상기 인출롤러(71) 및 제1가압롤러(72)를 회전시켜 상기 먹이(14)를 이송시키는 회전부(73)를 구비한다.
인출롤러(71)는 상측 외주면이 수평부분(6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설치홈에 위치될 수 있게 양단이 브라켓(미도시)들에 의해 수평부분(62)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가압롤러(72)는 인출롤러(71)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측벽(63)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가압롤러(72)는 용이하게 먹이(14)를 가압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인출롤러(7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먹이(14)가 인출롤러(71) 및 제1가압롤러(72) 외주면 사이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인출롤러(71) 및 제1가압롤러(72)의 회전롤러는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인출롤러(71) 및 제1가압롤러(72)의 외주면에는 용이하게 먹이(14)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회전부(73)는 전력 또는 유압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74)와, 모터(74)의 회전축에 체결된 구동기어(75)와, 인출롤러(71)의 회전축에 체결되며, 구동기어(75)에 치합되는 제1피동기어(76)와, 제1가압롤러(72)의 회전축에 체결되며, 제1피동기에 치합되는 제2피동기어(77)를 구비한다. 회전부(73)에 의해 인출롤러(71) 및 제1가압롤러(72)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먹이(14)를 가이드부재(123)에 안착된 양식유닛(13)으로 공급한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먹이이송부(17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먹이이송부(170)은 상기 수용용기(50) 및 먹이유도부재(6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먹이(14)를 상기 양식상자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171)로 구성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컨베이어(171)가 벨트컨베이어로 구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컨베이어(171)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롤러가 마련된 롤러 컨베이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컨베이어(171)는 먹이유도부재(60)의 연장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수용용기(50)에 수용된 먹이(14)를 양식유닛(13)에 공급한다.
또한, 도 9에는 먹이이송부(270)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먹이이송부(270)은 상기 수용용기(50) 및 먹이유도부재(6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먹이(14)를 상기 양식상자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271)와, 상기 컨베이어(271)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먹이(14)를 가압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271)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먹이유도부재(60)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컨베이어(271)의 이송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회전중심선이 형성되는 제2가압롤러(272)와, 제2가압롤러(272)를 회전시키는 가압구동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가압구동부는 먹이유도부재(60)에 설치되며, 제2가압롤러(27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단부(8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절단부(80)는 먹이이송부(70,170,270)에 대해 가이드부재(123)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먹이유도부재(60)에 설치된 제3프레임(81)과, 제3프레임(81)에 설치된 승하강부재(82)와, 승하강부재(82)에 설치되어 승하강되며, 먹이이송부(70,170,27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먹이(14)를 절단하는 블레이드(83)와, 승하강부재(82)를 제어하는 제어부(84)를 구비한다.
제3프레임(81)은 상호 대향되는 위치의 먹이유도부재(60)의 측벽(63) 상면에 각각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바(85)들과, 양단이 수직바(85)들의 상단에 각각 연결된 수평바(86)를 구비한다.
수직바(85)들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수평바(86)를 먹이유도부재(6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수평바(86)는 수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중앙부분에는 후술되는 승하강부재(82)의 피스톤이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승하강부재(82)는 수평바(86)의 상면에 설치되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신축되는 액츄에이터이며, 승하강부재(82)는 피스톤은 수평바(86)의 관통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83)는 수직바(85)들의 사이에, 피스톤의 하단에 고정되며, 하단부에는 먹이유동부재를 통해 이송되는 먹이(14)를 절단할 수 있도록 칼날부가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83)는 먹이(14)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먹이유동부재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84)는 승하강부재(82)에 연결되어 블레이드(83)의 승하강을 제어한다. 제어부(84)는 먹이이송부(70)의 모터(74) 또는 컨베이어(171,271)의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측정센서를 통해 측정된 회전수를 토대로 승하강부재(82)를 작동시킨다. 즉, 제어부(84)는 작업자는 구동모터의 회전수 또는 컨베이어(171,271)의 구동모터의 회전수를 설정하고, 제어부(84)는 기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주기적으로 먹이(14)를 절단한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어부(84)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작업자가 블레이드(83)의 승하강 주기를 설정할 수도 있다. 먹이이송부(70)를 통해 이송되는 먹이(14)는 승하강부재(82)에 의해 승하강하는 블레이드(83)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절단되어 양식유닛(13)으로 투입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절단부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는 블레이드로 구성된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절단부는 도시된 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외주면에 다수의 칼날이 마련된 절단롤러와, 절단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관리장치(10)는 회수유닛(30,130,230)에 의해 용이하게 수중에 설치된 양식유닛(13)를 작업자가 탑승한 선박으로 회수할 수 있고, 먹이공급유닛(40)을 통해 어패류의 먹이(14)를 용이하게 양식유닛(13)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어패류 양식장을 관리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양식장 관리장치
20: 관리선
30: 회수유닛
31: 포스트
32: 붐체
33: 선회부재
34: 회동부재
40: 먹이공급유닛
50: 수용용기
60: 먹이유도부재
70: 먹이이송부
80: 절단부

Claims (11)

  1.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부구가 설치된 메인로프에 연결로프들에 의해 현가되며 복수의 양식유닛을 관리하는 양식장 관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인로프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양식유닛이 거치되어 가이드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관리선과;
    상기 관리선에 설치되어 상기 양식유닛을 회수하여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착시키는 회수유닛과;
    상기 회수유닛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착된 상기 양식유닛에 양식되는 어패류에 먹이를 공급하기 위한 먹이공급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먹이공급유닛은
    상기 관리선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어패류의 먹이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된 수용용기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먹이가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착된 상기 양식유닛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먹이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가이드부재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먹이유도부재와,
    상기 수용용기 내에 수용된 상기 먹이를 상기 먹이유도부재를 통해 상기 양식유닛으로 이송시키는 먹이이송부와,
    상기 먹이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먹이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관리선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포스트와;
    상기 연결로프 또는 상기 메인로프와 상기 연결로프의 연결부분을 파지하기 위해 일단이 상기 포스트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붐체와;
    상기 포스트를 선회시키는 선회부재와;
    상기 붐체를 회동시키는 회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상기 양식유닛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부구를 상기 관리선의 상측으로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관리선에 설치되며, 상기 관리선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메인레일과, 상기 메인레일들의 전단부에 각각 연장형성되며, 전단부가 해수면에 부유하는 상기 부구의 하측에 인접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레일의 연장선에 대해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레일이 마련된 레일부와;
    상기 관리선의 이동에 의해 상기 레일부를 따라 상기 부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레일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메인레일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설치된 다수의 이송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롤러는
    상호 메인레일들의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 또는 상호 가이드레일들의 상호 대향되는 일측면에 각각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호 인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부구의 이송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연결로프가 통과하는 통로가 마련될 수 있게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제1 및 제2롤러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롤러체는
    외주면에 안착된 상기 부구가 상기 제1 및 제2롤러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타단부로 갈수록 반경이 작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관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관리선의 이동에 따라 수중에 설치된 상기 양식유닛이 가이드되어 가이드부재에 안착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관리선에 고정되며, 타단은 관리선의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되, 수중에 위치한 상기 양식유닛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회수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관리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이송부는
    외주면에 상기 먹이가 안착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먹이유도부재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먹이유도부재의 연장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중심선이 형성되는 인출롤러와;
    상기 인출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먹이를 가압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출롤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먹이유도부재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인출롤러의 회전중심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중심선이 형성되는 제1가압롤러와;
    상기 인출롤러 및 제1가압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먹이를 이송시키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관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이송부는
    상기 수용용기 및 먹이유도부재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먹이를 상기 양식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관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먹이이송부는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먹이를 가압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먹이유도부재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대해 법선방향으로 회전중심선이 형성되는 제2가압롤러와;
    상기 제2가압롤러를 회전시키는 가압구동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관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먹이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먹이를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먹이이송부보다 상기 가이드부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먹이유도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관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식유닛들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양식유닛들의 상측에 설치된 제1서브로프와;
    상기 양식유닛들의 하측에 설치된 제2서브로프;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수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후방측 상기 관리선에 설치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 상기 제1서브로프가 지지되는 인양롤러와;
    상기 제1서브로프를 인양하여 상기 양식유닛을 상기 가이드부재에 안착시키고,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양식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인양롤러를 회전시키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전방측 상기 관리선에 설치되어 상기 양식유닛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서브로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관리장치.










KR1020110073605A 2011-07-25 2011-07-25 양식장 관리장치 KR101426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605A KR101426075B1 (ko) 2011-07-25 2011-07-25 양식장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605A KR101426075B1 (ko) 2011-07-25 2011-07-25 양식장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414A KR20130012414A (ko) 2013-02-04
KR101426075B1 true KR101426075B1 (ko) 2014-08-04

Family

ID=4789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605A KR101426075B1 (ko) 2011-07-25 2011-07-25 양식장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0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1856A (zh) * 2015-01-02 2015-04-22 哈尔滨市海江科技开发有限公司 电动施肥机
KR102135108B1 (ko) 2019-10-29 2020-07-17 주식회사 정수마린 대하 양식장용 작업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8117B (zh) * 2013-10-25 2016-01-13 獐子岛集团股份有限公司 贝苗海上底播***及其作业方法
MA45308A (fr) * 2016-03-16 2019-01-23 Norman Boyle Appareil et procédés d'élevage d'ormeaux
KR102021170B1 (ko) * 2016-06-08 2019-11-04 한옥철 쌍동선 구조의 frp 해상작업대
CN106035169B (zh) * 2016-06-29 2019-05-31 大连昊昇海事服务有限公司 基于散杂货船改装的离岸养殖设施
CA3089947A1 (en) * 2018-02-02 2019-08-08 Marlborough Oysters Limited Shellfish grow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068Y1 (ko) 2000-04-04 2000-09-01 최승국 패류양식장치
KR200383215Y1 (ko) * 2005-02-04 2005-05-0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육상어류양식장용 자동먹이공급시스템
KR100745209B1 (ko) * 2006-07-31 2007-08-02 이상철 수산물 인양기
KR200450749Y1 (ko) * 2008-07-02 2010-10-26 김정명 굴 부착생물 제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068Y1 (ko) 2000-04-04 2000-09-01 최승국 패류양식장치
KR200383215Y1 (ko) * 2005-02-04 2005-05-0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육상어류양식장용 자동먹이공급시스템
KR100745209B1 (ko) * 2006-07-31 2007-08-02 이상철 수산물 인양기
KR200450749Y1 (ko) * 2008-07-02 2010-10-26 김정명 굴 부착생물 제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1856A (zh) * 2015-01-02 2015-04-22 哈尔滨市海江科技开发有限公司 电动施肥机
KR102135108B1 (ko) 2019-10-29 2020-07-17 주식회사 정수마린 대하 양식장용 작업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414A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075B1 (ko) 양식장 관리장치
US11304410B2 (en) Oyster farm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1724059B1 (ko) 해초수확장치
KR20050101226A (ko) 수중 환경에서 해저 생물의 양식 및 저장을 위한 시스템
KR101055921B1 (ko) 부유물 수거선
CN110662420B (zh) 牡蛎养殖设备、方法和***
CN108308078A (zh) 一种升降式养殖网箱平台***及其鲍鱼养殖喂食方法
CN103598117B (zh) 贝苗海上底播***及其作业方法
KR200454855Y1 (ko) 양식 수산물용 컨베이어장치 및 이를 구비한 채취선
CN111937821B (zh) 一种横绳养殖牡蛎采收装置及采集方法
KR20200137426A (ko) 해조류 채취기
KR101575303B1 (ko) 양식용 부자 세척장치
KR20110010673U (ko) 해태 수확장치
US8230814B2 (en) Mechanized collector of juvenile lobsters
CN113854224A (zh) 一种智能化渔业装置
NO331652B1 (no) Transportrenne for fisk
GB2391443A (en) Recycling fish feed in fish farms
CN201967511U (zh) 水生动物的养殖装置
JP3199698U (ja) 船上用高効率連続稚貝分離ユニット
KR20200022278A (ko) 굴 양식 장치
CN116369263B (zh) 一种大范围水体养殖用投喂装置
CN220292590U (zh) 一种割草船
CN218942060U (zh) 一种吊笼采收船
CN102498822B (zh) 一种船用水草刈割设备
CN211671956U (zh) 一种鲍鱼自动养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