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574B1 -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574B1
KR101419574B1 KR1020100122308A KR20100122308A KR101419574B1 KR 101419574 B1 KR101419574 B1 KR 101419574B1 KR 1020100122308 A KR1020100122308 A KR 1020100122308A KR 20100122308 A KR20100122308 A KR 20100122308A KR 101419574 B1 KR101419574 B1 KR 101419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logen
resin composition
parts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687A (ko
Inventor
최종국
한승훈
김성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122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5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0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574B1/ko

L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자세하게는 ABS 공중합체 및 특정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포스핀산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BS 수지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물인 할로겐 화합물, 안티몬 화합물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특히 캔들 플레임 난연규격을 만족하는 수지 가공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Hallogen-free resin composite having flame retardancy}
본 발명은 할로겐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난연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BS 수지는 기능성 및 범용성을 겸비하고 있는 대표적인 수지로서 충격강도, 인장강도, 탄성률 등 우수한 성질을 구비하고 있어서, 자동차 부품, 각종 전기/전자 부품 등의 용도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ABS 수지는 연소하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는 전기, 전자 제품 등에 사용될 때 제약을 많이 받는다. 이러한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서 ABS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ABS 수지의 난연성은 UL94라고 불리우는 국제 난연규격을 사용하고 있으며, 크게 V-2, V-1, V-0의 난연등급으로 나뉜다. 상기 난연등급은 화재의 원인이 내부발화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는데, 최근 화재의 외부발화 시의 안정성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어 Audio/Video의 안전규격인 IEC 60095와 IT 제품의 안전규격인 IEC 60950이 통합되어, IEC 62368이라는 새로운 안전규격이 발의되면서 외부발화로 인한 화재의 안정성을 검증하는 '캔들 플레임'이라는 새로운 난연규격이 제정되었다. 특히, ABS가 외장 하우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TV 산업에서는 2010년 7월부터 유럽으로 수출되는 제품에는 외장 하우징용으로 이러한 캔들 플레임 난연 규격을 만족시키는 수지를 사용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지금까지, 상기 난연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한 ABS 수지의 난연화 방법으로는 난연 보조제와 함께 할로겐계 화합물을 난연제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할로겐계 화합물을 사용하여 ABS 수지 가공품을 제조시, 금형을 부식시키고 작업자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유해가스를 방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유럽을 중심으로 이의 사용에 대한 규제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난연 보조제로 사용되는 안티몬 화합물 또한 독성 물질로 분류가 되어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그리고, 할로겐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는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난연제로 사용한 고무변성 스티렌계 수지가 복사기, 프린터기 등 OA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융점이 낮아서 수지 가공 온도에서 쉽게 분해되어서,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장시간 가공시 몰드 디포지트 현상이 나타나고 분해 가스로 인하여 제품 표면에 가스 자국을 남기게 되어 제품 외관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ABS 단독 수지에 인산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적용하여 캔들 플레임 난연규격을 만족시키기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할로겐을 사용하지 않고 ABS 수지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특정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포스핀산 금속염을 이용하면 ABS 수지의 난연성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게 되었고, 또한, ABS 공중합체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상기 포스핀산 금속염 및 ABS 공중합체의 평균입경에 따라서 충격강도에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캔들 플레임 난연규격을 만족하는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ABS 수지 가공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평균입경 3 ㎛ 내지 10 ㎛인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평균입경 10 ㎛ 이하인 포스핀산 금속염 화합물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ABS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화합물; 시안화 비닐 화합물; 및 부타디엔계 고무와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함유한 고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ABS 수지 가공품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플레임 난연규격을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특성이 우수하며, 할로겐계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적 제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할로겐-프리」는 난연성 첨가제로서 할로겐계 화합물을 사용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수지 가공품」이란, 본 발명의 난연성 수지를 가공하여 제조한 모든 성형품을 의미한다. 그리고, 「ABS 공중합체」는 아크릴로나이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의 공중합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초대구경 ABS 공중합체」는 연속식 또는 일괄투여식 괴상중합 방식으로 제조한 평균입경이 1 ㎛ 이상인 ABS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평균입경 3 ㎛ 내지 10 ㎛인 ABS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평균입경 10 ㎛ 이하인 포스핀산 금속염 화합물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ABS 공중합체는 평균입경이 3 ㎛ 내지 1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 내지 9.5 ㎛인 것이 좋은데, 이때, 3 ㎛ 미만이면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 향상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10 ㎛를 초과하면 인장강도 및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은 증가하나 최종 제품의 광택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포스핀산 금속염은 평균입경이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인 것이 좋으며, 여기서, 포스핀산 금속염 평균입경이 10 ㎛를 초과하면 충격강도가 급격히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 내의 평균입경을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ABS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포스핀산 금속염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포스핀산 금속염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난연성 향상 효과를 볼 수 없으며, 2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난연성은 향상되지만, 충격강도가 급격히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중 하나인 상기 ABS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 시안화 비닐 화합물; 및 부타디엔계 고무와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함유한 고무를 중합반응시켜서 제조한 중합체이며, 또한, 유기 산화물 개시제 및 분자량 조절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여 중합반응시켜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중합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괴상중합시킨 괴상 중합체인 것이 기계적 강도 특히, 충격강도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 ABS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60 내지 8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65 내자 7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방향족 비닐화합물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향족 비닐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t-부틸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시안화 비닐 화합물의 사용량은 상기 ABS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내지 3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시안화 비닐 화합물은 아크로나이트릴, 메타크릴나이트릴 및 에타크릴로나이트릴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나이트릴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무는 ABS 공중합체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0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유기 산화물 개시제는 ABS 공중합체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 사이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사이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2-메틸 사이클로헥산 및 2,2-비스(4,4-디-t-부틸퍼옥시 사이클로헥실)프로판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유기 산화물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ABS 공중합체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7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티올계 분자량 조절제를, 더욱 바람직하게는 t-도데실 메르캅탄 및 n-옥틸 메르캅탄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티올계 분자량 조절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성분 중 하나인 상기 포스핀산 금속염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7962761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고, M은 Al, Zn, Mg 또는 Ca이며, n은 2 내지 3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1과 R2는 서로 같은 것으로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M은 Al이며, n은 3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1과 R2는 서로 같은 것으로서, 에틸기이고, M은 Al이며, n은 3인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및 아릴기의 탄소수가 각각 상기 범위 내인 것이 난연성 효과면에서 좋으며, 탄소수가 너무 높으면 분산력이 떨어져서 난연성이 나빠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 및 기계적 물성이 손상 받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ABS 공중합체 및 상기 포스핀산 금속염 외에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활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가수분해 안정제, 이형제, 안료, 대전방지제, 전도성 부여제, EMI 차폐제, 자성 부여제, 미네랄 필러, 가교제, 항균제, 가공조제, 금속 불활성화제, 억연제, 불소계 적하방지제, 내마찰 내마모제 및 커플링제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의 조성물질인 상기 ABS 공중합체, 상기 포스핀산 금속염 및 상기 첨가제를 혼합한 후, 일축압출기, 이축압출기, 롤밀, 니더 도는 반바리 믹서 등 다양한 배합 가공기기 등을 이용하여 용융, 혼련한 다음 펠렛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펠렛을 사출가공하여 가공품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을 하겠으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1) 초대구경 ABS 공중합체
괴상중합을 통해 LG화학사에서 제조한 초대구경 ABS 공중합체(제품명:MA221, 평균입경 3.5㎛)를 정제 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2) 포스핀산 금속염 화합물
클라리언트사의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염(제품명:OP935, 평균입경 4.5 ㎛)을 사용하였다.
(3) 할로겐 프리 난연성 ABS 수지의 제조
상기 초대구경 ABS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염 15 중량부, 활제(에틸렌 비스 스테아르아마이드, EBA) 1 중량부, 열안정제(디스테아릴 펜타에릴 디포스파이트, Distearyl pentaeryl diphosphite) 0.3 중량부를 혼합한 후, 220℃에서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의 할로겐 프리 난연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 형태의 할로겐 프리 난연성 ABS 수지를 제조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ABS 공중합체의 사용량과 종류 및 포스핀산 금속염 화합물을 각각 달리하여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 형태의 할로겐 프리 난연성 ABS 수지를 제조하되,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염 10 중량부 미만인 5 중량부를 사용하여 비교예 1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 형태의 할로겐 프리 난연성 ABS 수지를 제조하되,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염 25 중량부 초과한 30 중량부를 사용하여 비교예 2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 형태의 할로겐 프리 난연성 ABS 수지를 제조하되, 평균입경이 10 ㎛를 초과하는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염을 사용하여, 비교예 3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펠렛 형태의 할로겐 프리 난연성 ABS 수지를 제조하되, 난연제로 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염 대신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하여, 비교예 4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괴상중합으로 제조된 초대구경 ABS 공중합체 대신 유화중합으로 제조한 평균입경 0.3 ㎛인 그라프트 ABS 공중합체(제품명 DP270, LG 화학) 28 중량부와 스티렌 아크로니트릴(SAN, 제품명 92HR, LG 화학) 72 중량부를 사용하여 비교예 5를 실시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ABS
공중합체
A (1) 100 100 0 100 100 100 100 -
B (2) - - 100 - - - - -
그라프트
ABS
C (3) - - - - - - - 28
SAN (4) - - - - - - - 72
포스핀산
금속염
D (5) 15 22 15 5 30 - - 15
E (6) - - - - - 15 - -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7) - - - - - - 15 -
(1) ABS 공중합체(A) : 평균입경 3.5 ㎛, LG화학사의 상품명 MA221
(2) ABS 공중합체(B) : 평균입경 9 ㎛, LG화학사의 상품명 MA220
(3) 그라프트된 ABS 공중합체(C) : 평균입경 0.3 ㎛, LG화학사의 상품명 DP270
(4) 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SAN) : LG화학사의 상품명 92HR
(5) 포스핀산금속염(D) : 평균입경 4.5 ㎛, 클라리언트사의 상품명 OP935
(6) 포스핀산금속염(E) : 평균입경 20 ㎛, 클라리언트사의 상품명 OP1240
(7)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 일본 다이하치사의 상품명 PX200
제조예 1 ~3 및 비교제조예 1 ~ 5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펠렛 형태의 할로겐 프리 난연성 ABS 수지 각각을 노즐온도 220℃, 금형온도 50℃인 150MT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시켜서 시편(성형품)을 제조하여 제조예 1 ~ 3 및 비교제조예 1 ~ 5를 실시하였다.
실험예
상기 제조예 및 비교제조예에서 제조한 시편의 충격강도 및 캔들 플레임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충격강도 실험
충격강도(IMP, 1/8")는 ASTM D256에 의거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2)캔들 플레임 평가 실험
캔들 플레임 실험은 20 ㎜ 지름을 가진 150 ㎜ 길이의 캔들을 가상한 실험으로서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와 같다.
① 샘플 전처리
시편을 23±2℃, 상대습도 50±5% 조건의 컨디셔닝 챔버에서 최소 24시간 전처리한 후, 1 시간 이내에 25℃ 및 상대습도 58% 조건을 가진 실험실에서 캔들 플레임 평가를 실시하였다.
② 버너 및 불꽃
95% 순도를 갖는 부탄가스를 연로로 하고, 길이가 최소 50 ㎜, 지름 0.5±0.1 ㎜의 바늘모양의 버너 및 12 ㎜±1 ㎜의 불꽃을 사용하였다.
③ 불꽃지속성 평가방법
버너의 끝을 시편 표면에서 5±0.5 ㎜ 정도로 오게 하고, 버너튜브의 수평축은 ±5°내로 유지하며, 버너튜브의 중심라인은 시편 내 10 ~ 150 ㎜를 벗어나지 않게 하였다. 그리고 재질의 수축 및 녹음이 발생하여도 버너불꽃을 3분간 지속시킨 후 제거했을 때, 불꽃이 3분간 지속되지 않는다면 적합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리고, 하기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냈으며, 적합한 것은 ○를, 부적합한 것은 ×로 표시하였다.
구분 제조예 비교제조예
1 2 3 1 2 3 4 5
충격강도
(kgfㆍ㎝/㎝)
25.2 18.9 20.4 35.2 9.1 2.3 22.3 2.1
난연성
(candle flame)
× ×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본원발명인 실시예 1 ~ 3은 모두 캔들 플레임 테스트를 통과하여 캔들 플레임 규격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충격강도 또한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포스핀산 금속염 화합물(디에틸 포스핀산 알루미늄염)을 적게 사용한 비교예 1과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한 비교예 4은 충격강도는 매우 우수하나, 캔들 플레임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 그리고, 포스핀산 금속염 화합물을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2, 평균입경이 10 ㎛를 초과한 포스핀산 금속염 화합물을 사용한 비교예 3 및 혼합 공중합체를 사용한 비교예 5는 캔플 플레임 테스트를 통과하였으나, 충격강도가 매우 낮게 나오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할로겐-프리 난연성 ABS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면, ABS 공중합체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캔들 플레임 난연규격을 만족하는 ABS 수지 가공품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평균입경 3 ㎛ 내지 10 ㎛인 공중합체 100 중량부; 및
    평균입경 1 ㎛ 내지 5 ㎛인 포스핀산 금속염 화합물 10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화합물;
    시안화 비닐 화합물; 및
    부타디엔계 고무와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함유한 고무를 포함하는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포스핀산 금속염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0079627613-pat00002

    상기 화학식에 있어서, R1과 R2는 서로 같거나 다른 것으로서,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고, M은 Al, Zn, Mg 또는 Ca이며, n은 2 내지 3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R1과 R2는 서로 같은 것으로서,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M은 Al이며, n은 3인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화합물 60 내지 80 중량부;
    시안화 비닐 화합물 15 내지 30 중량부; 및
    부타디엔계 고무와 스티렌-부타디엔계 고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을 함유한 고무 5 내지 20 중량부
    를 중합된 형태로 포함하는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는 괴상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방향족 비닐 화합물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및 t-부틸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시안화 비닐 화합물은
    아크로니트릴, 메타크릴니트릴 및 에타크릴로니트릴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 가공품.
KR1020100122308A 2010-12-02 2010-12-02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1419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308A KR101419574B1 (ko) 2010-12-02 2010-12-02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308A KR101419574B1 (ko) 2010-12-02 2010-12-02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687A KR20120060687A (ko) 2012-06-12
KR101419574B1 true KR101419574B1 (ko) 2014-07-14

Family

ID=4661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308A KR101419574B1 (ko) 2010-12-02 2010-12-02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5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772A (ja) * 1999-01-30 2000-08-08 Clariant Gmbh 熱可塑性ポリマ―用の難燃剤コンビネ―ション
JP2002161211A (ja) * 2000-11-24 2002-06-04 Daicel Chem Ind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5113146A (ja) * 2003-10-07 2005-04-28 Clariant Gmbh リン含有難燃剤凝集物
KR20080062201A (ko) *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저광택성과 물성을 갖는 방향족 비닐계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9772A (ja) * 1999-01-30 2000-08-08 Clariant Gmbh 熱可塑性ポリマ―用の難燃剤コンビネ―ション
JP2002161211A (ja) * 2000-11-24 2002-06-04 Daicel Chem Ind Ltd 難燃性樹脂組成物
JP2005113146A (ja) * 2003-10-07 2005-04-28 Clariant Gmbh リン含有難燃剤凝集物
KR20080062201A (ko) * 2006-12-29 2008-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우수한 저광택성과 물성을 갖는 방향족 비닐계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687A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1052B (zh) 熱塑性聚合物用之滯焰劑-安定劑組合
KR101322145B1 (ko) 할로겐-프리 열가소성 abs 난연 수지 조성물
KR101425256B1 (ko) 열가소성 난연 abs수지 조성물
KR101473774B1 (ko) 고충격 난연 폴리페닐렌 에테르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3601436A1 (en) Flame-retarded styrene-containing formulations
JPH10182875A (ja) 耐湿、耐熱性の改善された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0816981B1 (ko)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 수지 조성물
KR101790410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419574B1 (ko) 할로겐-프리 난연성 수지 조성물
KR101140516B1 (ko)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KR101411825B1 (ko) 차르 형성제, 및 이를 이용한 abs 수지 조성물
KR10176918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540503B1 (ko) 할로겐-프리 열가소성 abs 난연 수지 조성물
KR100969454B1 (ko) 열가소성 난연수지 조성물
JP6092978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KR101533481B1 (ko) 내충격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KR101981471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630515B1 (ko) 챠르 생성 촉진제 및 인계 난연수지 조성물
JP2001200133A (ja) 溶融滴下型難燃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KR102141198B1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성형품
JP2012162667A (ja) 難燃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KR101737176B1 (ko) 비할로겐 난연수지 조성물
KR20170030226A (ko)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10120B1 (ko) 고무변성 스티렌계 난연수지 조성물
WO2023199726A1 (ja) 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