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112B1 -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닦음재 - Google Patents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닦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112B1
KR101410112B1 KR1020137015133A KR20137015133A KR101410112B1 KR 101410112 B1 KR101410112 B1 KR 101410112B1 KR 1020137015133 A KR1020137015133 A KR 1020137015133A KR 20137015133 A KR20137015133 A KR 20137015133A KR 101410112 B1 KR101410112 B1 KR 101410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idth
pattern
interlocking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183A (ko
Inventor
와타루 교우두카
Original Assignee
다이와보 폴리텍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와보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695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852659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보 폴리텍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와보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보 폴리텍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9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04H1/49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for formation of patterns, e.g. drilling or re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닦음 성능이 높은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닦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섬유 집합체를 포함하는 부직포로서, 상기 부직포는 제1 교락부(12)와 제2 교락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교락부는 상기 부직포의 소정 개소의 구성 섬유를 수류 교락시켜 형성한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고, 상기 제1 교락부와 상기 제2 교락부는 상호 이격되어 복수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제1 교락부 및 상기 제2 교락부의 적어도 한쪽이 폭 2㎜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다.

Description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닦음재{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LEANING MATERIAL}
본 발명은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닦음재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용도에 따른 무늬 등이 주어진 부직포가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예를 들면 붕대 등에 사용되어, 다수의 구멍이 거의 전면에 형성된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다수의 구멍에는, 체액 등이 통과하기 어렵도록, 크기 및/또는 형상이 다양한 구멍이 혼재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평행상의 직선과 경사진 직선 또는 곡선을 조합한 닦음재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예를 들면 닦음재로서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행해진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이 부직포에는, 관통된 구멍이 연속적으로 늘어선 구멍열과, 비구멍열이 교호로 존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수류(水流) 교락에 의해 교락 밀도가 낮은 부분과 높은 부분을 형성하고, 저교락부가 고교락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닦음재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소 63-182460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평 10-11798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0-45161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2006-18731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부직포는, 부직포의 전면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닦음재로서 사용했을 때에, 오염에 의한 자국이 생기기 때문에, 개선의 요구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부직포는, 경사진 직선이나 곡선 부분을 가열 압축에 의해 형성하고 있어, 섬유끼리 열 융착하여 단단해지므로, 닦음성에 대하여 개선의 요구가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부직포는, 닦음재로서 사용했을 때에, 구멍열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닦았을 때는, 좋은 닦음성을 나타내지만, 구멍열의 길이 방향이나 그 사선 45도의 방향으로 닦았을 때는, 오염에 의한 닦아낸 자국이 생기므로, 개선의 요구가 있다.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닦음재는, 교락 밀도가 높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고중량의 노즐 헤드를 움직일 필요가 있어, 설비의 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개선의 필요가 있다. 또한, 교락 밀도가 높은 부분(고교락부)은, 수류 교락시켜서 형성하고 있는데, 이 고교락부는 단순한 수류에 의한 노즐 자국이며, 기능성이나 의장성의 면에서 개선의 요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닦음 성능이 높은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닦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섬유 집합체를 포함하는 부직포로서, 상기 부직포는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교락부는 상기 부직포의 소정 개소의 구성 섬유를 수류 교락시켜서 형성한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고, 상기 제1 교락부와 상기 제2 교락부는 상호 이격되어 복수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제1 교락부 및 상기 제2 교락부의 적어도 한쪽이 폭 2㎜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닦음재는, 상기의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섬유 집합체의 구성 섬유의 일부를,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는 소정의 지지체 상에서 수류 교락시킴으로써, 상기 구성 섬유의 일부를 재배열시켜서,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는 제2 교락부와, 상기 제2 교락부와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제1 교락부를 복수열 존재하도록 형성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2 교락부를 형성하는 수류 교락 시에, 가압 수류를 천공 부재를 통하여 부직포에 분사함과 더불어, 상기 천공 부재를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교락부 및 제2 교락부의 적어도 한쪽이 사행하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제1 교락부와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는 제2 교락부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열 존재하고 있으므로, 높은 닦음 성능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교락부 및 상기 제2 교락부의 적어도 한쪽이 폭 2㎜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으므로, 부직포로서 높은 의장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닦음재는, 세로, 가로, 사선의 어느 방향으로 닦아내도 뛰어난 닦음성을 나타내고, 닦음 성능이 높은 닦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사행된 제1 교락부 및/또는 제2 교락부를 천공 부재를 진동시켜서 형성함으로써, 사행의 1주기당 길이나 진폭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데다, 부직포에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고 사행된 제1 교락부 및/또는 제2 교락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보다 곡선에 가까운 사행 무늬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직포 제조 공정의 단면 설명도,
도 1B는 동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사행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비교예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비교예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며, 도 9B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며, 도 10B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며, 도 11B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며, 도 12B는 비교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비교예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의 형상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와 제3 교락부의 형상에 대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섬유 집합체는, 구성 섬유가 수류 교락에 의해 재배열이 가능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섬유 웨브, 교락 웨브, 결합 웨브, 편직물 또는 이들 적층체를 사용할 수 있다. 섬유 웨브로는, 수류 교락에 의해 재배열이 가능한 웨브 형태이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카아드 웨브(card web), 에어레이(air-lay) 웨브, 습식 초지 웨브, 장섬유 웨브(예를 들면 스판본드 웨브), 멜트브론(melt-blown) 웨브 등을 들 수 있다. 교락 웨브란, 섬유 집합물, 특히 섬유 웨브가 교락된 상태의 것이며, 섬유 웨브의 교락은, 예를 들면, 생산성의 관점에서 니들 펀칭법, 수류 교락법, 수증기류(스팀 제트) 교락법 등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행해져도 되지만, 제2 교락부의 형성이 수류 교락에 의해 행해지므로, 수류 교락법에 의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웨브란, 섬유 집합물, 특히 섬유 웨브의 구성 섬유끼리 일부가 결합된 것이며, 결합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엠보스 처리법, 에어스루법, 케미컬 본드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섬유 집합체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 여기서 주성분이란, 부직포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함유량이 60∼100질량%인 성분을 말한다.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 구성 섬유는, 통상 웨브(다수의 섬유를 배열시킨 집합체)로서 사용하는 것이면 어떠한 섬유여도 된다. 예를 들면, 코튼, 마, 울, 펄프로 대표되는 천연 섬유, 레이온으로 대표되는 재생 섬유, 아세테이트로 대표되는 반합성 섬유,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레핀, 나일론, 아크릴계로 대표되는 합성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섬유 집합체에 있어서, 섬유의 섬유 길이는 5∼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섬유 길이는 25∼70㎜이다. 섬유 길이가 5㎜ 미만이면, 섬유의 교락성이 좋지 않다. 섬유 길이가 110㎜를 초과하면, 부직포의 강력이 약해진다.
본 발명의 부직포에 이용되는 섬유 집합체의 구성 섬유의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단일 섬유, 초심형 복합 섬유, 분할형 복합 섬유 또는 이형 단면을 가지는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형 단면으로는, Y형, W형, 삼각 등의 다각형, 별형 다각형형, 십자형, 편평형, 다엽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이형 단면은, 윤곽이 둥그스름한 무늬를 띄고 있어도 된다. 이형 단면의 섬유를 포함하면, 부직포의 닦음성이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섬유 집합체의 구성 섬유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재료를 포함한다. 2종 이상의 재료 중 적어도 1종에 대해서는, 다른 재료보다도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재료를 포함하고 있으면, 규칙적인 무늬를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구성 섬유끼리 융착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성 섬유가 2종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란, 섬유 집합체가 1종의 구성 섬유로 이루어지고 그 구성 섬유 자체가 2종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섬유 집합체가 재료가 상이한 2종 이상의 구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구성 섬유의 섬도는, 수류 교락성이 좋고, 또한, 섬유에 악영향을 초래하지 않고 선명한 무늬를 형성가능하다는 이유에 의해, 0.1∼6.6dtex가 바람직하고, 0.25∼3.3dtex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를 닦음재로서 사용할 경우, 닦음재의 용도에 따라, 사용하는 섬유의 종류나 섬도, 부직포의 단위 면적당 질량 등은 적절히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부직포가, 미세한 분진, 먼지 등을 닦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플로어링(Flooring)용 와이퍼나 정밀 와이퍼 등의 건식 닦음재나, 물티슈, 땀 억제 시트, 메이크업 클렌징 등의 습윤성 닦음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부직포는, 비상용성(非相溶性)의 2성분으로 이루어지고, 섬유 단면에 있어서 적어도 1성분이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분할형 복합 섬유를 5질량% 이상 포함하고 있으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 포함하고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2성분의 조합으로는, 예를 들면,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와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섬유의 섬도는, 닦음성이 좋고, 액 잔류성이 적어진다는 이유에 의해, 또한, 수류 교락성이 좋고, 무늬가 나오기 쉬운 경향이 있다는 이유에 의해, 3.5dtex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형 복합 섬유 외에 부직포에 포함되는 섬유로는, 단일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화학 섬유를 들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섬도가 6.6dtex 이하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나 레이온 섬유가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 중에, 5∼50질량%의 열 융착된 열 융착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강력과 신도의 밸런스가 잡힌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부직포의 형상 안정성이 향상되고, 사용에 따르는 두께의 저하도 억제된다. 이러한 부직포는, 신장되기 어려우므로 와이퍼에 적합하고, 따라서, 구성 섬유가 열 융착 섬유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부직포의 일예를 이용하면, 닦기 쉽고, 힘을 가하지 않고 가볍게 닦을 수 있는 와이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는, 소정의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는 제2 교락부를 발현시키는 공정 후에, 섬유 웨브를 열 처리함으로써 구성 섬유의 적어도 일부를 융착하여 구성 섬유끼리 융착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 중에는, 친수성 섬유를 10질량%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다. 레이온, 펄프 등의 친수성 섬유를 포함하면, 물과의 친화성이 높고, 닦음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친수성 섬유를 상기의 범위에서 포함하면, 수류 교락 시의 섬유의 교락성이 좋고, 규칙적인 무늬의 형성성이 좋아진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친수성 섬유를 주로 포함하는 층을 포함할 경우는, 약액 등을 유지시키면, 뛰어난 닦음성을 가지는 닦음재, 예를 들면 고품질의 웨트 와이퍼, 물티슈, 또는 1회용 기저귀 등의 습윤성 닦음재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부직포가 3층 이상의 적층 구조를 하고 있고, 펄프 등의 친수성 섬유를 주로 포함하는 층을 중간층으로서 포함하는 경우는, 친수성 섬유를 주로 포함하는 층이 보액층이 되어, 액을 표면으로 서서히 내보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펄프 등의 친수성 섬유를 주로 포함하는 층을 중간층으로서 포함하는 경우는, 수류 교락 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규칙적인 무늬를 선명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주로」란, 친수성 섬유를 주로 포함하는 층에 있어서, 친수성 섬유가 주성분으로서 50질량% 이상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를 가지고,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는 상호 이격되어 복수열 존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열 존재한다」란,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가 독립하여 존재하고, 또한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가 복수 형성되고 있는 것, 즉 독립하여 존재하는 2종류의 교락부가 복수 형성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후술과 같이, 제2 교락부는, 섬유 집합체의 소정 개소의 구성 섬유가 수류 교락되어 형성된다. 한편, 제1 교락부는, 섬유 웨브의 상태인 것, 결합 웨브의 상태, 교락 웨브의 상태인 것 등 상술한 어느 하나의 섬유 집합체의 상태여도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결합 웨브에 비하여, 섬유의 교락성이 좋기 때문에 제2 교락부의 형성성이 좋거나, 섬유 웨브에 비하여, 섬유의 교락이 강하기 때문에 섬유의 보푸라기빠짐이 억제되는 것 등에 의해, 구성 섬유끼리 교락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의 교락은, 니들 펀칭법, 수류 교락법, 수증기류(스팀 제트) 교락법 등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행해져도 되지만, 제2 교락부의 형성이 수류 교락에 의해 행해지므로, 수류 교락법에 의해 행해지면 바람직하다.
제1 교락부가 수류에 의해 교락될 경우는, 상기 섬유를 포함하는 섬유 웨브 전면에 대하여 수류(워터 제트, 이하 WJ라고도 한다)에 의해 구성 섬유를 교락시킨다. WJ 처리는, 섬유 웨브를, 반송 지지체 위에 재치하고, 웨브의 편면 또는 양면에 수류를 분사하여 실시한다. 이 때, 구성 섬유끼리 교락하고, 웨브가 일체화되어, 부직포가 얻어진다. 수류 교락 처리 조건은 섬유 웨브의 단위 면적당 질량 및 반송 지지체의 속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멍 직경 0.05∼0.5㎜의 오리피스가, 0.2∼1.5㎜의 간격으로 설치된 노즐로부터, 수압 1∼20MPa의 수류를, 섬유 웨브의 표리면측으로부터 각각 1∼4회씩 분사하면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압 1∼10MPa이다. 수압이 1MPa 미만이면, 섬유끼리의 교락이 불충분해져, 얻어진 부직포에 있어서 보푸라기빠짐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수압이 20MPa를 초과하면, 섬유끼리의 교락이 지나치게 강고해지고, 섬유의 자유도가 저하되어, 감촉이 딱딱해지는 경우나, 부직포의 질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구성 섬유를 교락 시킨 부분(나중에 제2 교락부가 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을 제1 교락부로 한다. 또한, 이 제1 교락부는, 본 발명의 효과를 가지는 범위이면, 열 처리로 구성 섬유끼리 열 융착시키는 등의 조작을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부직포의 소정 개소의 구성 섬유를 수류 교락시켜 제2 교락부로 한다. 이 제2 교락부는 WJ에 의해 교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교락부는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고 있다. 규칙적인 무늬란, 무늬를 구성하는 구성 단위가, 예를 들면, 요철 및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서 선택되는 것이나, 무지로 이루어지는 무늬이다. 구체적으로는, 도트(원, 타원, 삼각형, 다각형 등) 무늬, 삼능 무늬, 체크 무늬, 격자 무늬, 새발 격자 무늬, 및 지그재그 무늬 등을 들 수 있다. 제2 교락부의 무늬는, 제1 교락부의 무늬와 상이한 무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교락부와 제1 교락부가 동일한 무늬인 경우는, 두께에 차이를 주는 즉 요철차를 주는 것, 예를 들면 제2 교락부를 오목부로 한 경우, 제1 교락부를 볼록부로 하고, 제2 교락부를 볼록부로 한 경우, 제1 교락부를 오목부로 함으로써 명확히 구별되는 2종류의 교락부를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닦음성이 양호해져, 큰 먼지도 흡수하기 쉽다. 제2 교락부와 제1 교락부에서 두께의 요철차를 주는 경우, 두께차(요철차)는 0.1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0.20∼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0∼1.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께비(요철비)는, 1.03∼2.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5∼1.7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0∼1.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교락부와 제1 교락부의 밀도에 차이를 줌으로써 명확하게 구별되는 2종류의 교락부를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닦음성이 양호해져, 큰 먼지도 흡수하기 쉽다. 제2 교락부와 제1 교락부에서 밀도의 차이를 주는 경우, 밀도의 차는 0.005∼0.15g/㎤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8∼0.12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0∼0.10g/㎤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밀도비는, 1.05∼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2.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15∼1.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교락부는, 제2 교락부와 동일하게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고, 제2 교락부의 무늬와 상이한 무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교락부가 제2 교락부의 무늬와 상이한 규칙적인 무늬인 경우는, 규칙적인 무늬가 가지는, 후술하는 다양한 기능이나 효과를 복수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각 규칙적인 무늬에는 다양한 기능이나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구멍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도트 무늬 등은 제거성의 향상에 기여하고, 피부와 접촉시켰을 때 등은 접촉 면적이 작아지므로 피부에 붙기 어려워진다는 효과를 가져온다. 삼능 무늬에서는, 섬유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이 작은 주기로 반복되고 있으므로, 모세관 현상 등을 일으키기 쉬워, 부직포의 흡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삼능 무늬는, 원래 섬유의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이 사선 방향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와 삼능 무늬로 되어 있는 교락부의 사행이 조합되어, 닦음성이 보다 좋아진다. 무지 무늬인 경우는, 예를 들면, 닦음재로서 이용했을 때에, 오염을 제거할 때에 남는, 오염에 의한 자국을 깨끗하게 닦아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수종의 무늬를 부여하면, 복수의 기능을 가지는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규칙적인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이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는 지지체를 이용하면 된다. 지지체의 형태에 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모노 필라멘트 또는 금속선이 짜여 이루어져 형성된 패턴 네트나, 돌기물이 설치된 롤 등, 범용되고 있는 것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평직, 삼능직, 능직, 나선직 등의 패턴 네트나, 개구 플레이트, 개구 롤 등을 들 수 있다.
규칙적인 무늬가 구멍 무늬인 경우, 구멍 하나의 면적(이하에 있어서, 간단히 구멍 면적이라고도 표기한다)은 0.1∼6.0㎟인 것이 바람직하고, 0.3∼5.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호 가장 근접한 구멍 중심간의 거리(이하에 있어서, 간단히 구멍 거리로도 표기한다)가 1.0∼3.0㎜인 것이 바람직하고, 1.5∼3.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면, 오염의 제거성이 뛰어난 부직포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구멍 면적 및 구멍 중심간의 거리는, 후술과 같이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의 바람직한 구성의 하나는, 제1 교락부 및 제2 교락부 중 어느 한쪽이 무지 무늬이며, 다른쪽이 구멍 무늬인 구성이다. 예를 들면, 제1 교락부가 무지 무늬이며, 제2 교락부가 구멍 무늬이면, 이 구성에 의해, 제2 교락부에 의해 오염을 제거하고, 제2 교락부에서 제거했지만, 포집하지 못한 오염이 자국이 남지 않도록, 제1 교락부에서 닦아낼 수 있다. 전면이 무지 무늬인 부직포에서는, 닦음 성능이 떨어지고, 전면이 구멍 무늬인 부직포에서는, 더러움을 제거하는 것은 뛰어나지만, 제거한 오염을 전부 포집할 수 없어, 오염에 의한 자국이 남는다. 또한, 무지 무늬부와 구멍 무늬부가 직선형상으로 늘어선 스트라이프 무늬의 부직포에서는, 스트라이프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닦음성은 좋지만, 스트라이프의 길이 방향이나 그 사선 45도의 방향에서는, 오염에 의한 닦아낸 자국이 남는 경우가 있다.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가 부직포의 일방향으로 사행하는 구성에서는, 어느 방향에서 닦아내도, 오염에 의한 닦아낸 자국이 남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는 상호 이격되어 복수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다른 기능이나 효과를 가지는 무늬를 적어도 2개 가지므로, 종래의 1개의 무늬밖에 가지지 않는 부직포에 비해, 높은 의장성을 가지는 부직포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닦음재로서 사용한 경우도, 보다 뛰어난 닦음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제1 교락부 및/또는 제2 교락부가 폭 2㎜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제2 교락부가 폭 2㎜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교락부 및 제2 교락부가 폭 2㎜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교락부의 폭 및 제2 교락부의 폭은, 부직포의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가리킨다. 또한, 제1 교락부 및/또는 제2 교락부는, 연속하지 않고 도중에 끊어져도 된다. 이는, 후술의 제3 교락부에서도 동일하고, 제3 교락부도 연속하지 않고 도중에 끊어져도 된다. 부직포를 닦음재 등으로서 이용할 경우는, 제1 교락부의 폭의 바람직한 범위는 3∼200㎜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3∼100㎜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3∼50㎜이며,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5∼30㎜이다. 또한, 제2 교락부의 폭의 바람직한 범위는 3∼200㎜이며,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3∼100㎜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3∼50㎜이며,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5∼30㎜이다. 이에 따라, 세로, 가로, 사선의 어느 방향으로 닦아내도 뛰어난 닦음성을 나타내고, 닦음 성능이 높은 부직포 및 닦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1 교락부 및/또는 제2 교락부가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으므로, 제1 교락부 및/또는 제2 교락부가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에 존재하고 있는 부직포에 비하여, 보다 강력한 부직포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사행을 따르고 있는 일방향에 있어서의 10% 신장시 응력은, 본 발명의 부직포의 쪽이 높아진다. 제1 교락부가 무지 무늬인 경우는, 제1 교락부의 폭은, 2∼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지 부분의 폭이 너무 크면, 오염의 제거성이 나빠지고, 부직포로서의 닦음 성능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제1 교락부가 무지 무늬인 경우는, 부직포에 있어서의 제1 교락부의 폭과 제2 교락부의 폭의 비의 값(제1 교락부/제2 교락부)은, 0.1∼4인 것이 바람직하고, 0.3∼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5∼2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교락부의 폭과 제2 교락부의 폭의 비의 값이, 0.1미만이면, 닦아낸 자국이 남는 경우가 있고, 또한, 4를 초과하면, 오염의 제거성이 나빠져, 닦음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사행이란, 제1 교락부나 제2 교락부 등의 교락부가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일직선 형상으로 존재하고 있지 않은,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물결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경우를 가리킨다. 물결상이란, 예를 들면, 정현파, 삼각파, 직사각형파, 톱니파 등의 형상이나, 이들을 조합한 형상을 가리킨다. 이 중에서도, 사행의 형상으로는, 정현파와 같이 사행의 반환점에 있어서 곡선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에 있어서의 일방향은 제1 교락부 및 제2 교락부의 길이 방향을 말하며, 본원 발명의 효과가 확보되는 한에 있어서, 기계 방향(MD 방향) 및 폭방향(CD 방향) 중 어느 하나와 평행해도 되지만, MD 방향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 부직포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섬유 집합체에는 MD 방향의 텐션이 걸려 있으므로, 제1 교락부 및 제2 교락부를 MD 방향을 따라 형성하면, 원하는 교락부의 폭을 얻는 경우나, 제2 교락부가 수류 교락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규칙적인 무늬를 얻는 경우에 있어서, 제1 교락부 및 제2 교락부를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 외에 제3 교락부를 포함해도 된다. 이 제3 교락부는, 제1 교락부를 형성한 후에 제2 교락부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형성해도 되고, 제2 교락부를 형성한 후에 형성해도 된다. 이 제3 교락부는, 제2 교락부의 일부와 교차하도록 형성해도 되고, 인접하는 제2 교락부의 사이에(즉 제1 교락부의 내부에) 형성해도 되고, 제2 교락부의 내부에 형성해도 된다. 이 제3 교락부는,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해도 되고, 부직포의 일방향과는 다른 방향을 따라 사행해도 되고,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일직선 형상으로 존재해도 되고, 부직포의 일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을 따라 일직선 형상으로 존재해도 되지만,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에 제3 교락부를 포함하는 경우의 부직포를 예시하고 있는데, 도 1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3 교락부는 제1 교락부의 내부에 형성되고, 또한 제2 교락부의 일부와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 교락부를 포함하는 경우의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의 폭은, 제3 교락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를 상정한 폭으로 계측하면 좋다. 제3 교락부의 폭은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이 보다 바람직하고, 5∼30㎜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교락부의 폭과 제2 교락부의 폭은 동일할 필요는 없고, 상이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제1 교락부의 폭은 각각 동일할 필요는 없다. 복수의 제2 교락부의 폭도 각각 동일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부직포가 가지는 복수의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의 폭은, 부직포의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부직포의 CD 방향(가로 방향) 또는 MD 방향(세로 방향)을 따라 서서히 커져도 된다. 또한, 각각의 제2 교락부에 있어서, 폭은 일정하지 않아도 되고, 도 14A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사행의 반환 지점에 있어서의 폭 X(이하에 있어서, 간단히 폭 X로도 표기한다)와 그 이외의 부분의 폭 Y(이하에 있어서, 간단히 폭 Y로도 표기한다)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고, 사행의 반환 지점에 있어서의 폭 X가 그 이외의 부분의 폭 Y보다 작은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폭 Y」란, 도 1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반환 지점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폭 X와 평행한 방향에서의 최대치 폭을 말하고, 반환 지점 이외의 부분이란, 하나의 사행에 있어서 어느 반환 지점과 다음 반환 지점 사이의 부분을 말한다. 한편, 제1 교락부에 있어서는, 사행의 반환 지점에 있어서의 폭 X와 그 이외의 부분의 폭 Y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고, 사행의 반환 지점에 있어서의 폭 X가 그 이외의 부분의 폭 Y보다 큰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각의 제2 교락부 및/또는 제1 교락부에 있어서, 상이한 폭을 가짐으로써, 부직포의 길이 방향이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등의 모든 방향에 있어서, 제2 교락부 및 제1 교락부가 가지는 기능이나 효과가 혼재하게 되고, 부직포면에 있어서의 다기능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개개의 제2 교락부 및/또는 제1 교락부가 상이한 폭을 가지는 부직포는, 후술하는 가압 수류를 소정 형상의 천공 부재를 통하여 부직포에 분사하고, 이 때, 상기 천공 부재를 진동시켜서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교락부에 있어서, 반환 지점의 폭 X보다도, 그 이외의 부분의 폭 Y가 크기 때문에, 제2 교락부가 가지는 규칙적인 무늬에 의한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고, 제1 교락부에 있어서는 폭 X가 폭 Y보다 크기 때문에, 제1 교락부가 가지는 규칙적인 무늬에 의한 효과를 보다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제2 교락부의 구성 섬유가 제1 교락부의 구성 섬유보다도 강하게 교락되어 있는 경우는, 제2 교락부의 반환 지점의 폭 X보다도 그 이외의 부분의 폭 Y쪽이 크기 때문에, 폭 Y에 관련된 부분에서는, 부직포의 강도가 보다 강해진다. 예를 들면 제2 교락부의 규칙적인 무늬가 구멍 무늬이며, 제1 교락부의 규칙적인 무늬가 무지 무늬인 경우, 사행의 반환 지점 이외의 부분에서는, 구멍 무늬에 의한 더러움의 제거성이 보다 높아지고, 사행의 반환 지점에서는, 제거된 오염의 닦아낸 자국의 닦음성이 보다 높아지는 부직포가 얻어진다.
상기에 있어서, 제2 교락부에 있어서의 폭 X와 폭 Y의 크기의 차 |X-Y|는 0.2∼7.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6.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0㎜이다. 또한, 폭 Y와 폭 X의 비(Y/X)는 1.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이다. 마찬가지로, 제1 교락부에 있어서의 폭 X와 폭 Y의 크기의 차 |X-Y|는 0.2∼7.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6.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3∼5.0㎜이다. 또한, 폭 X와 폭 Y의 비(X/Y)는 1.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에 있어서, 부직포의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의 일부가, 폭 Y와 폭 X의 크기의 차 및 폭 Y와 폭 X의 비에 관한 상기 범위를 만족하고 있으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부직포에 있어서, 폭 Y와 폭 X에 관한 상기의 범위를 만족시키는 부분이, 부직포 전체의 사행의 반환 지점의 수 중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복수의 제1 교락부의 폭이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커지는 반복 단위가, 복수회 반복된 것이어도 된다. 복수의 제2 교락부의 폭에 대해서도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커지는 반복 단위가, 복수회 반복되어도 된다. 부직포를 닦음재로서 이용한 경우에,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의 폭에 따라, 포착되기 쉬운 오염의 크기, 종류가 상이하므로, 상기와 같이 부직포가 폭이 상이한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를 가지고 있으면, 다양한 종류의 오염을 닦아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이 무지 또는 다수의 구멍 등의 무늬가 거의 전면에 형성된, 종래의 닦음재에서는, 닦음재 중의, 신체나 바닥 등의 피닦음면과 접하는 면의 가장자리부에서 오염이 집중적으로 닦여지므로, 닦음재의 피닦음면과 접하는 면의 중앙부를, 닦아냄을 위해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한편, 복수의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의 폭이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커지는 반복 단위가 복수회 반복된 것인 경우는, 하기의 이유에 의해, 부직포의 피세정면과 접하는 면의 중앙부에 있어서의 닦음 성능이 종래의 부직포 제의 닦음재보다 높다.
상술과 같이,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의 폭이 상이하면, 포착되기 쉬운 오염의 크기, 종류가 다르다. 이 때문에, 닦음재 중의, 신체나 바닥 등의 피닦음면과 접하는 면의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에서 포착되지 않은 오염은, 가장자리부보다도 내측으로 들어가고, 가장자리부에 위치하는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폭이 상이한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에서 포착되고, 이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에서도 포착되지 않은 오염은, 더욱 내측에 위치하는 폭이 상이한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에서 포착된다. 따라서,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의 폭이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서 순차적으로 커지는 반복 단위가 복수회 반복되고 있는 부직포인 경우는, 복수의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의 폭이 동일한 부직포보다도, 닦음 성능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부직포는, 부직포에 포함되는 모든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의 폭이 상기의 범위를 만족할 필요는 없고,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상기의 범위의 폭에 포함되지 않는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가 존재해도 된다. 본 발명의 부직포에 포함되는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 중, 폭이 상기의 범위를 만족하는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의 열수가, 부직포 전체로 50% 이상 포함되면, 닦음재로서, 보다 뛰어난 닦음성을 나타내므로, 바람직하다. 70% 이상 포함되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교락부의 사행은, 1주기당 사행의 길이(즉 파장)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주기당 제2 교락부의 사행의 길이는, 제2 교락부(42)가 사행하고 있는 일방향(31)과 직교하는 방향(32)(직교 방향으로 한다)에 있어서의 사행의 진행 방향(정방향으로 한다)이, 정방향에서 180도 방향(역방향으로 한다)으로 변화되는 점을 점 e로 하고, 다음에 사행이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변화되는 점을 점 f로 할 때(역방향에서 정방향으로 변화되는 점이 아니다), 점 e를 포함하는 직교 방향(32)의 직선과, 점 f를 포함하는 직교 방향(32)의 직선의, 일방향(31)에 있어서의 길이 I를 가리킨다. 사행이,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변화되는 부분이 일방향(31)과 평행한 직선으로 존재할 경우(예를 들면 직사각형파와 같은 사행인 경우)는, 그 직선의 중점을 정방향으로부터 역방향으로 변화되는 점으로 한다. 사용 형태가 닦음재와 같은 크기이면, 파장의 상한치는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장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50㎜의 주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100㎜이다. 이에 따라, 닦음 장치로의 세팅이 용이해진다. 또한, 제2 교락부의 사행은, 1㎜ 이상의 진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폭이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사행이 정방향으로부터 역방향으로 변화되는 점을 점 g로 하고, 다음에 사행이 역방향에서 정방향으로 변화되는 점을 점 h로 할 때, 점 g를 포함하는 일방향(31)의 직선과, 점 h를 포함하는 일방향(31)의 직선의, 직교 방향(32)에 있어서의 길이 J를 가리킨다. 여기서 점 g 및 점 h는, 제2 교락부의 폭의 중점에 위치하는 점이다. 사용 형태가 닦음재와 같은 크기이면, 진폭의 상한치는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진폭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1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100㎜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0㎜이다. 진폭이 15∼30㎜이면, 닦음성이 가장 크게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제2 교락부의 사행은, 1주기당 길이가 주기마다 각각 상이해도 되고, 쇠퇴파와 같이 각각의 진폭이 상이해도 되고, 이들 사행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경우여도 되지만, 바람직한 사행의 구성은 1주기당 사행의 길이가 동일하고, 진폭이 각각 동일한 구성, 즉 동일 패턴의 반복인 구성이다. 사행의 1주기당 길이(파장)와 진폭의 비의 값(파장/진폭)은, 1∼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1.5∼12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2∼8이다. 파장과 진폭의 비의 값이, 1미만이면, 제2 교락부가 직교 방향에 직선형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부직포에 가까워져, 닦음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파장과 진폭의 비의 값이, 15를 초과하면, 제2 교락부가 부직포의 일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존재하고 있는 부직포에 가까워져, 닦음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근접하는 제2 교락부끼리 또는 제1 교락부끼리 사행의 위상이 동일한 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 14B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근접하는 제2 교락부끼리 또는 제1 교락부끼리 사행의 위상이 어긋나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사행된 제2 교락부를 형성하는 WJ 처리로는, 지지체로서, 사행 무늬를 형성 가능한 지지체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방법, 1개 이상의 오리피스로 이루어지는 오리피스군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노즐을 이용하고, 그 노즐을 진동시켜서 형성하는 방법, 상기 소정 간격으로 오리피스군이 설치되어 있는 노즐을 이용하여, 노즐은 진동시키지 않고, 반송 지지체를 진동시켜서 형성하는 방법, 가압 수류를 소정 형상의 천공 부재를 통하여 부직포에 분사하고, 이 때에, 상기 천공 부재를 진동시켜서 형성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지지체로서 사행 무늬를 형성가능한 지지체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의 폭이 넓어지는 지지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1 교락부 또는 제2 교락부의 폭이, 2㎜ 이상이 되는 지지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이 되는 지지체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30㎜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의 수류 교락 처리 조건은 섬유 웨브의 단위 면적당 질량 및 반송 지지체의 속도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멍 직경 0.05∼0.5㎜의 오리피스가, 0.2∼1.5㎜의 간격으로 설치된 노즐로부터, 수압 1∼20MPa의 수류를, 섬유 웨브의 표리면측으로부터 각각 1∼4회씩 분사하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압 1∼10MPa이다. 수압이 1MPa 미만이면, 섬유끼리의 교락이 불충분해지고, 얻어진 부직포에 있어서 보푸라기빠짐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수압이 20MPa를 초과하면, 섬유끼리의 교락이 너무 강고하게 되어, 섬유의 자유도가 저하되고, 감촉이 딱딱해지는 경우나, 부직포의 질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1개 이상의 오리피스로 이루어지는 오리피스군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노즐을 이용하여, 그 노즐을 진동시켜서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오리피스군에 의한 수류로 제2 교락부를 형성하고 있고, 인접하는 오리피스군의 간격은,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이 보다 바람직하고, 5∼30㎜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1개의 오리피스군의 폭은,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0㎜이 보다 바람직하고, 5∼30㎜이 더욱 바람직하다. 1개의 오리피스군에 포함되는 오리피스의 수는, 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리피스의 수가 2이상이면, 제2 교락부의 규칙적인 무늬가 단순한 노즐 자국으로 되는 비율을 줄일 수 있다. 오리피스군이 2개 이상의 오리피스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오리피스군 중에서의 인접하는 오리피스의 간격은, 0.2∼1.5㎜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류 교락 처리 조건은, 상기 노즐로부터 수압 1∼20MPa의 수류를, 섬유 웨브의 표리면측으로부터 각각 1∼4회씩 분사하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압 1∼10MPa이다. 수압이 1MPa 미만이면, 섬유끼리의 교락이 불충분해지고, 얻어진 부직포에 있어서 보푸라기빠짐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수압이 20MPa를 초과하면, 섬유끼리의 교락이 너무 강고해져, 섬유의 자유도가 저하되고, 감촉이 딱딱해지는 경우나, 부직포의 질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소정 간격으로 오리피스군이 설치되어 있는 노즐을 이용하여, 노즐은 진동시키지 않고, 반송 지지체를 진동시켜서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1개 이상의 오리피스로 이루어지는 오리피스군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노즐을 이용하고, 그 노즐을 진동시켜서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한 노즐을 이용하면 된다. 또한, 수류 교락 처리 조건에 대해서도, 동일한 조건으로 행하면 된다.
그리고, 천공 부재를 진동시켜서 사행된 제2 교락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사행 무늬를 형성가능한 지지체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방법에 비하여, 천공 부재의 진동하는 속도나 폭, 반송 지지체의 반송 속도 등을 변경함으로써, 사행의 1주기당 길이나 진폭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사행 무늬를 형성가능한 지지체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부직포의 전면에 수류를 닿게하므로,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에서의 두께나 밀도의 차이가 얻어지기 어렵다. 또한, 천공 부재를 진동시키는 방법은, 오리피스군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노즐을 진동시키는 방법에 비하면, 천공 부재는 노즐에 비해, 질량이 가볍기 때문에, 동정도의 비용의 설비에서는, 자연스럽게 진동시킬 수 있고, 특히 진동의 반환점에서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사행 무늬으로서 반환점에 있어서 정현파와 같은 곡선을 가지는 사행 무늬를 형성시킬 경우, 노즐 진동에서는, 진폭의 반환점에서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할 수 없어, 사행 무늬의 반환점에서의 곡선이 직선에 가깝게 되는데, 천공 부재의 진동에서는, 보다 곡선에 가까운 사행 무늬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천공 부재를 진동시키는 방법은, 반송 지지체를 진동시키는 방법에 비하여, 부직포에 주름을 발생시키지 않고 사행된 제2 교락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천공 부재를 진동시켜서 사행된 제2 교락부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상기 1개 이상의 오리피스로 이루어지는 오리피스군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노즐을 이용할 수 있다.
천공 부재를 진동시켜서 사행한 제2 교락부를 형성하는 방법에서는,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천공 부재를, 가압 수류를 분사하는 노즐과 제1 교락 처리된 섬유 집합체의 사이에 설치하고, 천공 부재를 통하여 가압 수류를 상기 섬유 집합체에 분사하고, 천공 부재의 구멍 부분을 통과하는 가압 수류에 의해, 상기 섬유 집합체의 구성 섬유의 일부를 재배열시켜,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는 제2 교락부를 형성한다. 천공 부재가 가지는 복수의 구멍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존재하여, 구멍이 없는 부분에서는, 가압 수류가 천공 부재를 통과하지 않으므로, 그 부분의 상기 섬유 집합체는 제1 교락의 상태에서 잔존된 제1 교락부가 된다. 이와같이 하여,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가 상호 이격되어 복수열 존재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 때에, 천공 부재를 진동시킴과 더불어 섬유 집합체를 이동함으로써, 제2 교락부 및/또는 제1 교락부가 사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천공 부재로는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부재이면 어떠한 부품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소재는 합성 수지제나 금속제 등이어도 되고, 또한, 형상은 판형상이나 롤형상 등, WJ 처리의 제조 장치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천공 부재의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20k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kg이다. 또한, 천공 부재의 단위 면적당 질량은, 바람직하게는, 5g/㎠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3.5g/㎠이다.
천공 부재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멍은, 천공 부재를 진동시키는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3∼50㎜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5∼30㎜이다. 또한, 천공 부재에 포함되는 인접하는 구멍의 간격은, 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범위는, 3∼50㎜이며, 더욱 바람직한 범위는, 5∼30㎜이다. 구멍의 형상은, 어떠한 형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원형, 반원형, 타원형,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 별형 다각형, 십자형, 직선형상이나 곡선형상 등의 슬릿형 등이 바람직하다.
천공 부재의 진동 방향은, MD 방향, CD 방향, 사선 방향 등, 적절히 선택하면 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사선 방향이란, 부직포의 면방향을 따라, MD 또는 CD 방향으로부터 각도가 0도를 초과하고 90도 미만의 범위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조 상의 간편성을 고려하면, 진동 방향은, CD 방향 또는 CD 방향으로부터 각도가 0도를 초과하고 45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방향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동이라고 하는 말은, 천공 부재를 일정한 방향을 따라 왕복시키는 것을 가리키고, 직선 상에 왕복시키는 경우나, 일정한 방향을 장축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따라 왕복시키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또한, 천공 부재의 진동 방향과 천공 부재의 길이 방향은 평행해도 되고, 평행하지 않아도 되고, 천공 부재의 길이 방향과 진동 방향의 각도는 진동 중에 변경해도 된다.
천공 부재의 진동 속도는 100m/min 정도까지 올릴 수 있다. 한편, 노즐을 진동시키는 경우는, 동정도의 비용에 의한 설비이면, 진동 속도는 10m/min 정도까지밖에 올릴 수 없다. 그리고, 천공 부재의 진동 속도를 올림으로써, 제1 교락부나 제2 교락부 등의 교락부의 반환 지점에서의 폭 X와, 그 이외에서의 폭 Y의 차를 크게 할 수 있다.
천공 부재와 노즐의 거리는, 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천공 부재와 오리피스의 거리는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천공 부재와 섬유 집합체의 거리는 5∼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 부재와 노즐의 거리가 1㎜ 미만이면, 천공 부재와 노즐이 접촉하고, 한쪽 또는 양쪽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다. 천공 부재와 섬유 집합체의 거리가 5㎜ 미만이면, 천공 부재와 섬유 집합체가 접촉하여, 섬유 집합체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 천공 부재와 오리피스의 거리가 30㎜을 초과하면, 또는, 천공 부재와 섬유 집합체의 거리가 50㎜을 초과하면, 수류의 에너지가 감소하여 교락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천공 부재를 진동시켜서 사행한 제2 교락부를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수류 교락 처리 조건은 섬유 웨브의 단위 면적당 질량 및 반송 지지체의 속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멍 직경 0.05∼0.5㎜의 오리피스가, 0.2∼1.5㎜의 간격으로 설치된 노즐로부터, 수압 1∼20MPa의 수류를, 섬유 웨브의 표리면측으로부터 각각 1∼4회씩 분사하면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압 1∼10MPa이다. 수압이 1MPa 미만이면, 섬유끼리의 교락이 불충분해지고, 얻어진 부직포에 있어서 보푸라기빠짐이 생기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수압이 20MPa를 초과하면, 섬유끼리의 교락이 너무 강고해져, 섬유의 자유도가 저하되고, 감촉이 딱닥해지는 경우나, 부직포의 질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닦음재로서 적합하게 이용되는데, 다른 용도로는, 흡수성 물품(특히, 표면 시트, 세컨드 시트), 거즈, 페이스 마스크, 필터, 붕대재, 매트, 쿠션재, 식탁보, 카펫의 이면재, 벽지 등의 각종 용도에 적합하다. 거즈, 붕대재, 쿠션재, 벽지 등의 용도에서는, 본 발명의 부직포가 가지는 뛰어난 의장성을 발휘할 수 있다. 식탁보, 매트, 카펫의 이면재 등의 용도에서는,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는 구성에 의해, 뛰어난 의장성에 추가하여, 부직포에 미끄럼 방지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사행하고 있으므로, 모든 방향으로의 미끄럼 방지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흡수성 물품 등의 용도에서는,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는 구성에 의해, 부직포 표면에서의 액체의 흐름성을 억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액체의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페이스 마스크, 필터 등의 용도에서는,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에서, 별도의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복수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필터에서는 한쪽에 여과 정밀도가 높은 기능을, 다른쪽에 여과 수명이 높은 기능을 갖게 한다.
다음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직포 제조 공정의 단면 설명도, 도 1B는 동 사시도이다. 이 수류 교락 처리 장치(10)는, 반송 지지체(4) 상에 재치한 제1 교락 처리된 부직포(3)의 위에 천공 부재(2)를 배치시키고, 제1 교락 처리된 부직포(3)를 고압의 수류(워터 제트: WJ)(1)에 의해 다시 교락시킨다. 이 때,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천공 부재(2)를 부직포의 폭 방향(CD 방향)(8a, 8b)으로 움직이게 한다. 수류 노즐(7)로부터 분출된 수류(WJ1a)는, 천공 부재(2)의 구멍(2a)을 통과하여 부직포(3)에 충돌하여, 제2 교락부를 형성한다. 천공 부재(2)를 통과하지 않는 수류(1b)의 부분은, 부직포(3)에는 도달하지 않으므로, 부직포(3)의 해당 부분은 제1 교락부로서 잔존한다. WJ 처리한 후의 부직포는 건조시켜, 감는다. 이 부직포를 닦음재로 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치수로 재단한다.
도 3∼6, 도 9A, 도 10A, 도 11A 및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3의 부직포(11)는, 제1 교락부(12)와 제2 교락부(13)로 이루어지고, 제1 교락부(1)의 폭 2㎜ 이상, 제2 교락부(2)의 폭 2㎜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 부직포의 기계 방향(MD 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다. 도 4의 부직포(14)는, 제1 교락부(15)와 제2 교락부(16)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도 3과 동일하다. 도 5의 부직포(17)는, 제1 교락부(18a, 18b)와 제2 교락부(19a, 19b)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도 3과 동일하다. 도 6의 부직포(20)는, 폭이 상이한 제1 교락부(21a, 21b)와, 제2 교락부(22a, 22b)가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도 3과 동일하다. 도 9A의 부직포(50)는, 무지 무늬의 제1 교락부(51a, 51b)와 구멍 무늬의 제2 교락부(52a, 52b)를 가지고, 제1 교락부(51a, 51b) 및 제2 교락부(52a, 52b)는, 각각 폭 3㎜, 폭 3㎜, 폭 3㎜, 폭 20㎜의 간격을 유지하여 부직포의 기계 방향(MD 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다. 또한, 도 9A의 구멍 무늬에 있어서, 하나의 구멍 면적이 1.05㎟, 상호 가장 근접한 구멍의 중심간 거리가 1.5㎜이다. 도 10A의 부직포(70)는 무지 무늬의 제1 교락부(71a, 71b)와 구멍 무늬의 제2 교락부(72a, 72b)를 가지고, 구멍 무늬에 있어서, 한개의 구멍 면적이 4.8㎟, 상호 가장 근접한 구멍의 중심간 거리가 2.3㎜인 이외는 도 9A와 동일하다. 도 11A의 부직포(90)는, 무지 무늬의 제1 교락부(91a, 91b)와 삼능 무늬의 제2 교락부(92a, 92b)를 가지고, 제1 교락부(91a, 91b) 및 제2 교락부(92a, 92b)는, 각각 폭 3㎜, 폭 3㎜, 폭 3㎜, 폭 20㎜의 간격을 유지하여 부직포의 기계 방향(MD 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다. 도 12A의 부직포(110)는, 무지 무늬의 제1 교락부(111), 구멍 무늬의 제2 교락부(112), 무지 무늬의 제3 교락부(113)를 가지고, 제1 교락부(111) 및 제2 교락부(112)는, 각각 폭 3㎜, 폭 3㎜의 간격을 유지하여 부직포의 기계 방향(MD 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다.
도 7, 도 8, 도 9B, 도 10B, 도 11B, 도 12B 및 도 13은 비교예의 부직포의 평면도이다. 도 7의 부직포(23)는, 제1 교락부(24)와 제2 교락부(25)가, 모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부직포는, 닦아낸 자국이 남아 닦음성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8의 부직포(26)는, 제2 교락 처리로서 전면에 WJ를 실시하고, 구멍을 형성한 부직포이다. 이 부직포는, 3방향으로 닦아낸 자국이 남아 닦음성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9B의 부직포(60)는, 무지 무늬의 제1 교락부(61a, 61b)와 구멍 무늬의 제2 교락부(62a, 62b)를 가지고, 제1 교락부(61a, 6lb)와 제2 교락부(62a, 62b)가, 모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도 9A와 동일하다. 도 10B의 부직포(80)는, 무지 무늬의 제1 교락부(81a, 81b)와 구멍 무늬의 제2 교락부(82a, 82b)를 가지고, 제1 교락부(81a, 81b)와 제2 교락부(82a, 82b)가, 모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도 10A와 동일하다. 도 11B의 부직포(100)는, 무지 무늬의 제1 교락부(101a, 101b)와 삼능 무늬의 제2 교락부(102a, 102b)를 가지고, 제1 교락부(101a, 101b)와 제2 교락부(102a, 102b)가, 모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도 11A와 동일하다. 도 12B의 부직포(120)는, 무지 무늬의 제1 교락부(121), 구멍 무늬의 제2 교락부(122), 무지 무늬의 제3 교락부(123)를 가지고, 제1 교락부(121)와 제2 교락부(122)가, 모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이외는 도 12A와 동일하다. 도 13의 부직포(130)는, 제2 교락 처리로서 전면에 WJ를 실시하고, 삼능 무늬를 형성한 부직포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부직포의 각 물성은 이하와 같이 측정했다.
(1) 부직포 전체의 두께
부직포의 두께 측정기(상품명 “THICKNESS GAUGE”, 모델:CR-60A, 가부시키가이샤 다이에이카가쿠세이사쿠쇼 제)를 이용하여, JIS L 1096에 준하여 시료 1㎠당 3g의 하중을 첨가한 상태로 측정했다.
(2) 파단 강력, 파단 신도
JIS L 1096에 준하여, 폭 5cm, 길이 15cm의 시료편을 쳐크의 간격이 10cm이 되도록 파지하고, 정속 신장형 인장 시험기(상품명 “텐시론 UCT-1T”, 오리엔테크가부시키가이샤 제)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 30cm/min으로 시료편을 신장하고, 파단시의 하중치 및 신장율을 각각 파단 강력, 파단 신도로서 측정했다.
(3) 10% 신장시 응력
파단 강력 측정시의 10% 신장시에 있어서의 하중치, 즉, 측정 개시 지점에서 1cm 신장시켰을 때의 하중치(쳐크간의 간격(10cm)이 11cm이 되었을 때의 하중치)를 10% 신장시 응력으로서 측정했다.
(4) 단위 면적당 질량
JIS L 1096에 준하여, 시험편을 채취하고, 각각의 질량을 측정하여, 1㎡당의 질량(g/㎡)을 구했다.
(5) 밀도
두께와 단위 면적당 질량으로부터 밀도를 계산했다.
(6) 구멍 면적
온도 및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환경 하에서, 실체 현미경(상품명 “SZX12”, 올림푸스가부시키가이샤 제)을 이용하여 부직포 표면을 확대 관찰(확대 배율 50배)하고, 얻어진 화상을 보통지에 프린트하고, 상기 보통지로부터, 임의의 5개의 구멍에 대응하는 부분을 오려냈다. 오려낸 보통지의 단위 면적당 질량으로부터 구멍 면적을 산출하고, 이들 값의 평균치를 관찰한 확대 배율로 나눔으로써 구멍 면적을 얻었다.
(7) 인접하는 구멍간 거리
실체 현미경(상품명 “SZX12”, 올림푸스가부시키가이샤 제)을 이용하여 부직포 표면을 확대 관찰하고(확대 배율 50배), 얻어진 화상에서 정규로 인접하는 구멍간 거리 10점을 계측하고, 그 평균치를 관찰한 확대 배율로 나눔으로써 인접하는 구멍간 거리를 산출했다. 단, 인접하는 구멍끼리의 중심간 거리를 구멍간 거리로 했다.
(8) 오염 닦음 시험
30cm 모서리의 아크릴 수지판을 경사각 40°의 장치에 부착했다. 아크릴 수지판 중앙에 립스틱(제품명 “DIOL316”)으로, 세로 3㎜, 가로 60㎜로 칠했다. 부직포 시료를 10cm 모서리에서 커트하여 증류수로 250%의 함침율로 했다. 다음에, 부직포 시료를 1040g의 금속 평판(세로 60㎜, 가로 170㎜)에 감고, 점착 테이프로 고정했다. 금속 평판에 부착한 부직포 시료를 아크릴 수지판에서 슬라이드 낙하시켜, 립스틱을 닦아냈다. 부직포의 MD, CD 및 사선(MD 또는 CD)으로부터 45°의 각도)의 방향에 있어서의 립스틱이 지워질때까지의 회수를 측정했다.
(실시예 1)
용제 방사형 레이온 섬유(섬도 1.7dtex, 섬유 길이 40㎜, 상품명 “리요셀”, 렌칭사 제) 80질량%와, 제1 성분을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융점 253℃)로 하고, 제2 성분을 고밀도 폴리에틸렌(융점 132℃)으로 한 방사상으로 8분할된 단면 형상을 가지는 분할형 복합 섬유(섬도 2.2dtex, 섬유 길이 51㎜, 상품명 “DFS(SH)”, 다이와보폴리틱(주) 제) 10질량%와, 초성분을 폴리에틸렌(융점 132℃), 심성분을 폴리프로필렌(융점 160℃)으로 하는 심초형 복합 섬유(섬도 2.2dtex, 섬유 길이 51mm, 상품명 “NBF(H)”, 다이와보폴리틱(주) 제) 10질량%를 혼면하고, 롤러형 패러렐 카아드를 이용하여 카아드하여, 단위 면적당 질량이 55g/㎡의 카아드 웨브를 제작했다.
이어서, 카아드 웨브를 제1 교락용의 네트 상에 재치하고, 속도 4m/min으로 진행시키면서, 카아드 웨브의 표면에 대하여, 노즐에 구멍 직경 0.13㎜의 오리피스가 0.6㎜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물 공급기를 이용하여, 수압 2.5MPa의 기둥상 수류를 분사한 후, 이면에 대하여, 동일한 물 공급기를 이용하여, 수압 2.0MPa의 기둥상 수류를 분사했다. 카아드 웨브의 표면과 오리피스의 거리는 15㎜으로 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1 교락된 섬유 웨브를 얻었다. 상기 제1 교락용의 네트에는, 날실의 선 직경이 0.132㎜, 씨실의 선 직경이 0.132㎜, 메시수가 90메시인 평직 PET 네트를 이용하여, 제1 교락부의 무늬가 무지 무늬가 되도록 했다.
다음에, 제2 교락 처리를 했다. 도 1A-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교락 처리된 부직포(3) 상에 아크릴 수지제의 천공 부재(2)를 배치시키고, 천공 부재(2)의 구멍(2a)에 수류 WJ1a를 통과시켜서 제2 교락부를 형성했다. 이 때, 천공 부재(2)를 부직포의 폭 방향(CD 방향)으로 진동시켰다. WJ 처리한 후의 부직포는 건조시켜, 감았다. 건조 온도는, 분위기 온도가 140℃의 건조기 내에서 건조 및 열처리하여 실시예 1의 부직포를 얻었다.
제2 교락을 행할 때의 진행 속도는 4m/min으로 하고, 수압은 4.0MPa로 했다. 또한, 천공 부재는, MD 방향의 길이가 14.5㎜, CD 방향의 길이가 70㎜, 두께가 5㎜인 아크릴 제의 판에서, MD 방향의 폭이 3㎜, CD 방향의 폭이 3㎜의 크기인 4각형의 구멍을 가지고, 인접하는 구멍의 간격이 3㎜인 천공 부재를 이용하여, 부직포와 천공 부재의 거리는 15㎜, 노즐과 천공 부재의 거리는 1㎜, 섬유 웨브의 표면과 오리피스의 거리는 21㎜으로 했다. 제2 교락용의 네트에는, 날실의 선 직경이 0.132㎜, 씨실의 선 직경이 0.132㎜, 메시수가 25메시의 평직 네트를 이용하여, 규칙적인 무늬가 구멍 무늬가 되도록 했다. 천공 부재의 진동은, CD 방향으로 폭 10㎜의 범위에서 진동시키고, 그 진동 속도는, 0.8m/min으로 했다. 얻어진 부직포는, 도 4에 도시하는 사행이 MD 방향을 따라 존재하는 파형 스트라이프이며, 무지 폭 3㎜, 구멍 폭 3㎜(한개의 구멍 면적 1.05㎟, 상호 가장 근접한 구멍의 중심간 거리 1.5㎜), 파형 스트라이프 사행의 1주기당 길이(파장) 100㎜, 진폭 10㎜이었다.
(비교예 1)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파형 스트라이프를 도 7에 도시하는 무지 폭 3㎜, 구멍 폭 3㎜의 직선 스트라이프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비교예 2)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파형 스트라이프를 도 8에 도시하는 전면 구멍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비교예 3)
제2 교락 처리를 행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실시예 2)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천공 부재의 진동폭을, CD 방향으로 20㎜으로 하고, 진동 속도를 1.6m/min으로 하고, 파형 스트라이프를 파장 100㎜, 진폭 20㎜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실시예 3)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천공 부재의 진동 속도를 1.1m/min으로 하고, 파형 스트라이프를 파장 70㎜, 진폭 10㎜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실시예 4)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천공 부재로서,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천공 부재와 구멍의 형상과 크기는 동일하고, 인접하는 구멍의 간격을, 3㎜, 20㎜을 교호로 한 것을 이용하여, 무늬를 도 6에 도시하는 구멍 폭 3㎜/무지 폭 3㎜/구멍 폭 3㎜/무지 폭 20㎜의 무늬로 하고, 파형 스트라이프를 파장 100㎜, 진폭 10㎜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실시예 5)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천공 부재로서, 크기가 3㎜와 20㎜의 구멍이 3㎜의 간격으로 존재하는 것을 이용하여, 천공 부재의 진동 폭을 CD 방향으로 20㎜으로 하고, 진동 속도를 1.14m/min으로 하고, 무늬를 도 9A에 도시하는 무지 폭 3㎜/구멍 폭 3㎜/무지 폭 3㎜/구멍 폭 20㎜의 무늬로 하고, 파형 스트라이프를 파장 140㎜, 진폭 20㎜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또한, 3㎜ 구멍 폭의 제2 교락부에 있어서, 폭 X는 2.3㎜, 폭 Y가 3.0㎜, 폭의 차 |X-Y|이 0.7㎜, 폭의 비 Y/X가 1.30이며, 20㎜ 구멍 폭의 제2 교락부에 있어서, 폭 X가 18.9㎜, 폭 Y가 20.0㎜, 폭의 차 |X-Y|이 1.1㎜, 폭의 비 Y/X가 1.06이며, 제1 교락부에 있어서, 폭 X가 3.3㎜, 폭 Y가 2.2㎜, 폭의 차 |X-Y|이 1.1㎜, 폭의 비 X/Y가 1.50이었다. 여기서, 폭은, 사행을 따르는 방향(MD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CD 방향)의 폭을 측정한 것이며, 이하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실시예 6)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개의 구멍 면적을 4.8㎟, 상호 가장 근접한 구멍의 중심간의 거리를 2.3㎜로 하고, 제2 교락용 네트에 날실의 선 직경이 1.2㎜, 씨실의 선 직경이 1.2㎜, 날실 밀도 12개/인치, 씨실 밀도 12개/인치의 평직 네트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또한, 3㎜ 구멍 폭의 제2 교락부에 있어서, 폭 X는 3.0㎜, 폭 Y가 3.4㎜, 폭의 차 |X-Y|가 0.4㎜, 폭의 비 Y/X가 1.13이며, 20㎜ 구멍 폭의 제2 교락부에 있어서, 폭 X가 19.0㎜, 폭 Y가 20.4㎜, 폭의 차 |X-Y|가 1.4㎜, 폭의 비 Y/X가 1.07이며, 제1 교락부에 있어서, 폭 X가 3.6㎜, 폭 Y가 3.0㎜, 폭의 차 |X-Y|가 0.6㎜, 폭의 비 X/Y가 1.20이었다.
(실시예 7)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제2 교락용의 네트에 날실의 선 직경이 0.4㎜, 씨실의 선 직경이 0.8㎜, 편직 밀도 68/18개/인치의 3/1 삼능직 네트를 이용하여, 무늬를 도 11A에 나타내는 무지폭 3㎜/삼능폭 3㎜/무지폭 3㎜/삼능폭 20㎜의 무늬로 하고, 파형 스트라이프를 파장 140㎜, 진폭 20㎜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또한, 3㎜ 삼능폭의 제2 교락부에 있어서, 폭 X가 2.0㎜, 폭 Y가 3.0㎜, 폭의 차 |X-Y|가 1.0㎜, 폭의 비 Y/X가 1.50이며, 20㎜ 삼능폭의 제2 교락부에 있어서, 폭 X가 18.8㎜, 폭 Y가 20.6㎜, 폭의 차 |X-Y|가 1.8㎜, 폭의 비 Y/X가 1.10이며, 제1 교락부에 있어서, 폭 X가 3.6㎜, 폭 Y가 3.0㎜, 폭의 차 |X-Y|가 0.6㎜, 폭의 비 X/Y가 1.20이었다.
(비교예 4)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파형 스트라이프를 전면 구멍(한개의 구멍 면적 4.8㎟, 상호 가장 근접한 구멍의 중심간의 거리가 2.3㎜)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비교예 5)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파형 스트라이프를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삼능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비교예 6)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파형 스트라이프를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스트라이프로 한 이외는 실시예 5와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비교예 7)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파형 스트라이프를 도 10B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선 스트라이프로 한 이외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비교예 8)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파형 스트라이프를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 스트라이프로 한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실시예 8)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제1 교락 처리에서 사용한 네트와 동일한 네트를 이용하여 천공 부재를 통하여 수류가 닿는 곳이 오목부로 되고, 그 이외의 부분이 볼록부가 되도록 하고, 천공 부재의 진동 폭을 CD 방향으로 20㎜로 하고, 진동 속도를 3.2m/min으로 하고, 볼록부와 오목부의 두께의 차가 0.12㎜인 무지 볼록부폭 3㎜/무지 오목부폭 3㎜의 무늬로 하고, 파형 스트라이프를 파장 50㎜, 진폭 20㎜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또한, 볼록부와 오목부의 두께의 비가 1.20이며, 볼록부와 오목부의 밀도의 차가 0.018g/㎤이며, 밀도의 비(밀도 대/밀도 소)가 1.20이며, 3㎜ 오목부폭의 제2 교락부에 있어서, 폭 X가 1.6㎜, 폭 Y가 3.0㎜, 폭의 차 |X-Y|가 1.4㎜, 폭의 비 Y/X가 1.88이며, 3㎜ 볼록부폭의 제1 교락부에 있어서, 폭 X가 4.6㎜, 폭 Y가 3.0㎜, 폭의 차 |X-Y|가 1.6㎜, 폭의 비 X/Y가 1.53이었다. 여기에서, 두께와 밀도의 측정은, 소정 면적의 샘플을 준비하고, 우선 두께에 대해서는, 볼록부와 오목부를 분리하고, 볼록부만 또는 오목부만을 모아, 각각 상술의 측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다음에, 단위 면적당 질량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볼록부만 또는 오목부만을 모아 중량을 측정하고, 소정 면적에, 볼록부 또는 오목부의 면적의 비율을 곱한 값에 의해, 단위 면적당 질량의 값을 구했다. 그리고, 밀도는 상기의 두께와 단위 면적당 질량으로부터 계산했다.
(실시예 9)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노즐로서 구멍 직경 0.13㎜의 오리피스가 0.6㎜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물 공급기이며, 복수의 오리피스 중의 일부 오리피스에 대해서는 수류가 나오지 않도록 막고, 막아진 부분과 그대로의 부분이 교호로 배치되고, 막아진 부분과 그대로의 부분의 폭이 각각 24㎜인 것을 이용하여, 천공 부재의 진동 폭을 CD 방향으로 20㎜로 하고, 진동 속도를 3.2m/min으로 하고, 무늬를 도 12A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무지폭 3㎜/구멍폭 3㎜로 이루어지는 혼합 무늬폭 24㎜/무지폭 24㎜의 무늬로 하고, 혼합 무늬에 있어서의 파형 스트라이프를 파장 50㎜, 진폭 20㎜으로 하고, 무지 24㎜은 직선 스트라이프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또한, 3㎜ 구멍 폭의 제2 교락부에 있어서, 폭 X가 2.8㎜이며, 제1 교락부에 있어서, 폭 X가 3.0㎜이며, 제2 교락부와 제1 교락부에서 사행의 반환 지점 이외의 부분에서는, 대부분이 구멍 무늬로 되어 있으므로, 폭 Y에 대해서는 측정하지 않았다.
(비교예 9)
제2 교락 처리에 있어서, 혼합 무늬에 있어서의 파형 스트라이프를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스트라이프로 한 이외는 실시예 9와 동일하게 하여 부직포를 제작했다.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의 부직포의 물성과 클리닝 시험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표 1]
Figure 112013052223417-pct00001
실시예 1의 부직포는, 닦는 방향에 좌우되지 않고, 양호한 닦음성을 나타내고, 또한, 오염에 의한 닦아낸 자국이 남지 않았다. 한편, 비교예 2의 전면에 구멍 무늬를 가지는 부직포에서는, 오염의 제거성은 좋지만, MD, CD, 사선의 모든 방향에서, 오염에 의한 닦아낸 자국이 남았다. 또한, 비교예 3의 전면이 무지 무늬인 부직포에서는, 닦아낸 자국은 남지 않지만, 제거성이 충분하지 않아, 닦음성은 실시예 1에 떨어진다. 또한, 비교예 1의 구멍 무늬와 무지 무늬를 가지고, 이들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에서는, 제거성이 좋고, CD, 사선 방향으로는 닦아낸 자국은 없지만, MD 방향에서 닦아낸 자국이 남았다.
또한, MD 방향의 10% 신장시 응력에 주목하면,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부직포의 강력은, 비교예 2와 비교예 3의 사이의 값을 구하고,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는, 실시예 1의 부직포의 쪽이 강력은 크다. 즉,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부직포는, 비교예 2의 구멍 무늬와 비교예 3의 무지 무늬를 동시에 가지고, 이들 기능도 동시에 가지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실시예 1의 제2 교락부가 사행하고 있는 부직포는, 부직포로서의 MD 방향의 10% 신장시 응력이 크고, 이에 따라, 닦았을 때의 구겨짐이 적고, 또한, 섬유의 탈락이 적다는 점에서 우위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 3의 부직포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비교예 1∼3의 부직포에 비하여, 양호한 닦음성을 나타내고, 또한, MD 방향의 10% 신장시 응력은, 비교예 1의 부직포보다도 크다. 또한, 실시예 4의 부직포는, 실시예 1∼3의 부직포에 비하면, 닦음성은 떨어지지만, MD 방향의 10% 신장시 응력은, 비교예 1의 부직포보다도 크다. 실시예 4의 부직포에 있어서 닦음성이 떨어지는 원인을 고찰하면, 실시예 4의 부직포에서는, 구멍 무늬인 제2 교락부의 폭에 비해, 무지 무늬인 제1 교락부의 폭이 크기 때문에, 구멍 부분에 의한 제거성이 부족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실시예 1∼3의 부직포에서는, 제1 교락부의 폭과 제2 교락부의 폭의 비의 값(제1 교락부/제2 교락부)은, 1인 것에 대하여, 실시예 4의 부직포에서는 4였다.
또한, 실시예 5∼9의 부직포는, 닦는 방향에 좌우되지 않고, 양호한 닦음성을 나타내고, 또한, 오염에 의한 닦아낸 자국이 남는 일도 적었다. 한편, 비교예 4의 부직포는, 오염의 제거성은 좋지만, MD, CD, 사선의 모든 방향에 있어서, 대량의 오염에 의한 닦아낸 자국이 있고, 비교예 7의 부직포는, 오염의 제거성은 좋지만, MD, 사선 방향에 있어서, 대량의 오염에 의한 닦아낸 자국이 있고, 비교예 6, 8 및 9의 부직포는, 오염의 제거성은 좋지만, MD 방향에 있어서, 대량의 오염에 의한 닦아낸 자국이 있었다. 사행하고 있는 무지와 구멍 무늬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실시예 6의 부직포는, 전면 구멍 무늬인 비교예 4의 부직포 및 직선상으로 형성된 무지와 구멍 무늬를 가지는 비교예 7의 부직포에 비해, 닦음성이 뛰어나다. 또한, 실시예 6의 부직포는, 비교예 4와 비교예 7의 부직포에 비해, MD 방향의 파단 강력 및 10% 신장 시 응력이 크고, 이에 따라, 닦아낼 때의 구겨짐이 적고, 또한, 섬유의 탈락도 적다는 점에서 우위성이 있다. 사행하는 무지와 삼능 무늬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실시예 7의 부직포는, 전면 삼능 무늬인 비교예 5의 부직포 및 직선상으로 형성된 무지와 삼능 무늬를 가지는 비교예 8의 부직포에 비해, 닦음성이 뛰어나다. 또한, 실시예 7의 부직포는, 비교예 5와 비교예 8의 부직포에 비해, 파단 신도가 크고, 신축성이 필요한 용도에 적합하다. 또한, 실시예 7의 부직포는, 비교예 8의 부직포에 비해, 파단 강력이 크고, 닦아낼 때 등의 부직포에 장력이 걸리는 것과 같은 경우의 취급성이 뛰어나다. 실시예 9의 부직포는, 비교예 9의 부직포에 비해, 10% 신장시 응력이 크고, 이에 따라, 닦아낼 때의 구겨짐이 적고, 또한, 섬유의 탈락도 적다는 점에서 우위성이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부직포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나 세컨드 시트, 거즈 등의 메디컬 자재, 식탁보, 페이스 마스크, 필터, 붕대재, 매트, 쿠션재, 카펫의 이면재, 벽지 등에도 유용하고, 특히 정밀 와이퍼, 청소용 와이퍼, 웨트 와이퍼, 걸레 등의 닦음재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구성 섬유가 친수성 섬유를 10질량% 포함하는 경우는, 웨트 와이퍼, 물티슈, 혹은 1회용 기저귀 등의 습윤성 닦음재에 적합하다. 또한, 비상용성의 2성분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섬유 단면에 있어서 적어도 1성분이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분할형 복합 섬유를 5질량% 이상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부직포는, OA 기기용 와이퍼, 정밀 와이퍼 등의 고성능 닦음재에 적합하다.
1,1a,1b : 수류(워터 젯트:WJ) 2 : 천공 부재
2a: 구멍 3 : 부직포
4 : 반송 지지체 7 : 수류 노즐
8a, 8b : 부직포의 폭방향(CD 방향) 10 : 수류 교락 처리 장치
11, 14, 17, 20, 23, 26,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 부직포
12, 15, 18a, 18b, 21a,21b,24,42,51a,51b,61a,61b,71a,71b,81a,81b,91a,91b,101a,101b,111,121 : 제1 교락부
13, 16, 19a, 19b, 22a, 22b, 25, 41, 52a,52b,62a,62b,72a,72b,82a,82b,92a,92b,102a,102b,112,122 : 제2 교락부
113 : 제3 교락부

Claims (9)

  1. 섬유 집합체를 포함하는 부직포로서,
    상기 부직포는 제1 교락부와 제2 교락부를 가지고,
    상기 제2 교락부는 상기 부직포의 소정 개소의 구성 섬유를 수류(水流) 교락시켜 형성한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고,
    상기 제1 교락부와 상기 제2 교락부는 상호 이격되어 복수열 존재하고 있고,
    상기 제1 교락부 및 상기 제2 교락부의 적어도 한쪽이 폭 2㎜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락부 및 상기 제2 교락부가 폭 2㎜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부직포의 일방향을 따라 사행하고 있는, 부직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교락부의 사행은 5∼200㎜의 주기로 규칙적으로 반복되고 있는, 부직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규칙적인 무늬가 구멍 무늬인, 부직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락부는 수류 교락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닦음재.
  7. 섬유 집합체의 구성 섬유의 일부를,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는 소정의 지지체 상에서 수류 교락시킴으로써, 상기 구성 섬유의 일부를 재배열시켜,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는 제2 교락부와, 상기 제2 교락부와 상호 이격되어 있는 제1 교락부가 복수열 존재하도록 형성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제2 교락부를 형성하는 수류 교락 시에, 가압 수류를 천공 부재를 통하여 부직포에 분사함과 더불어, 상기 천공 부재를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 교락부 및 제2 교락부의 적어도 한쪽이 사행하여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교락부 및 상기 제2 교락부가 사행하여 형성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천공 부재를 진동시키는 방향이, 부직포의 폭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부터 각도가 0도를 초과하고 45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의 제조 방법.
KR1020137015133A 2010-12-02 2011-06-15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닦음재 KR101410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9516 2010-12-02
JP2010269516A JP4852659B2 (ja) 2009-12-02 2010-12-02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拭き取り材
PCT/JP2011/063682 WO2012073544A1 (ja) 2010-12-02 2011-06-15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拭き取り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183A KR20130109183A (ko) 2013-10-07
KR101410112B1 true KR101410112B1 (ko) 2014-06-25

Family

ID=4617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133A KR101410112B1 (ko) 2010-12-02 2011-06-15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닦음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410112B1 (ko)
CN (1) CN103249884B (ko)
TW (1) TWI473591B (ko)
WO (1) WO2012073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8788B2 (ja) * 2012-09-28 2017-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を製造する方法
JP6429664B2 (ja) * 2015-02-17 2018-11-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拭き取りシート
JP6898918B2 (ja) * 2016-03-24 2021-07-07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模様付き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62758B2 (ja) * 2017-04-19 2019-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スパンレース不織布
CN107090664B (zh) * 2017-05-09 2020-10-16 王大亮 丝绵废弃料的运用加工方法
JP7112636B2 (ja) * 2017-06-30 2022-08-04 大和紡績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KR102539621B1 (ko) * 2017-12-28 2023-06-02 유니 참 코포레이션 섬유 부직포 시트
WO2019222992A1 (en) 2018-05-25 2019-11-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and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EP3802938A1 (en) 2018-05-25 2021-04-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nonwoven and apparatus suitable therefor
CN109385932A (zh) * 2018-11-23 2019-02-26 长沙云聚汇科技有限公司 一种制备具有3d触感的无纺布汽车内饰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4831A (ja) 2002-08-29 2005-11-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低密度で嵩高い不織布基材
JP2008213194A (ja) 2007-02-28 2008-09-18 Daio Paper Corp 清拭用不織布シート
JP2009287158A (ja) 2008-04-28 2009-12-10 Daiwabo Holdings Co Ltd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拭き取り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3392B2 (ja) * 1999-03-18 2005-02-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
CN1217045C (zh) * 2000-12-01 2005-08-31 花王株式会社 清洁片材
KR100561762B1 (ko) * 2001-06-21 2006-03-16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부직포 및 그것을 이용한 적층체 및 끈형상체
JP3998683B2 (ja) * 2004-12-28 2007-10-31 花王株式会社 清掃用シート
US20090119862A1 (en) * 2005-09-09 2009-05-14 Masayoshi Kakutani Cleaning Cloth
JP4852659B2 (ja) * 2009-12-02 2012-01-11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拭き取り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4831A (ja) 2002-08-29 2005-11-1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低密度で嵩高い不織布基材
JP2008213194A (ja) 2007-02-28 2008-09-18 Daio Paper Corp 清拭用不織布シート
JP2009287158A (ja) 2008-04-28 2009-12-10 Daiwabo Holdings Co Ltd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拭き取り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3544A1 (ja) 2012-06-07
TW201223492A (en) 2012-06-16
KR20130109183A (ko) 2013-10-07
TWI473591B (zh) 2015-02-21
CN103249884B (zh) 2015-08-12
CN103249884A (zh)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112B1 (ko)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및 닦음재
JP4852659B2 (ja)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拭き取り材
JP6080319B2 (ja)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拭き取り材
JP3559533B2 (ja) 絡合不織布とこれを用いた清拭シートおよび湿潤性シート
JP5694630B2 (ja) ハイドロエンゴルジスパンメルト不織布
EP2144749B1 (en) Cleaning and personal care articles
US9840794B2 (en) Elastic nonwoven fibrous web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JP2002069819A (ja) かさ高の不織布
JP4307426B2 (ja) 積層不織布
JP7112636B2 (ja) 吸収性物品用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JP2002069826A (ja) 複合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5628564B2 (ja)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拭き取り材
JP2020128602A (ja) 複合型不織布とその製造方法
JP2002263043A (ja) ワイピング用不織布
JP3910738B2 (ja) 開孔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36160A (ja) 起毛様不織布、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JP2817057B2 (ja) 開孔模様を有する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93794A (ja) 起毛状組織を有する複層不織布
JPH11107149A (ja) 不織布
JP2004169249A (ja) 不織布及びそれを用いたワイピング材
JP2885045B2 (ja) 不織布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3143236A (ja) 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2261897A (zh) 擦拭片材
JPH04185793A (ja) 湿式不織布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人工皮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