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546B1 -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546B1
KR101402546B1 KR1020127007027A KR20127007027A KR101402546B1 KR 101402546 B1 KR101402546 B1 KR 101402546B1 KR 1020127007027 A KR1020127007027 A KR 1020127007027A KR 20127007027 A KR20127007027 A KR 20127007027A KR 101402546 B1 KR101402546 B1 KR 101402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cartridge
emitting member
main body
engag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6849A (ko
Inventor
데쯔지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6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6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single radiation source per colour, e.g. lighting beams or shutter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6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exposur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3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exposur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는, 카트리지(8)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장치 본체의 내측 위치(IP)와 외측 위치(OP)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카트리지 트레이(5), 감광체 부재를 노광하기 위해서 화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는 발광 부재(9), 감광체 부재가 발광 소자에 의해 노광되는 노광 위치(LP)와,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된 퇴피 위치(RP) 사이에 발광 부재가 있도록, 발광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체(7), 및 트레이의 외측 위치와 내측 위치를 향하는 이동에 연동하여, 노광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지지체를 이동시키는 연동 장치(130, 17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카트리지가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라고 부름)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타입이다.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를 들면, 컬러 LED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및 워드 프로세서가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는, 흑백 타입 및 컬러 타입이 둘 다 포함된다. 또한, 카트리지는, 예를 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 또는 현상 카트리지이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에 기여한다. 이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및 클리닝 수단 중 적어도 하나가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과 일체화된 카트리지로서 구성되고, 이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현상 수단이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과 일체화된 카트리지로서 구성되고, 이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프로세스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대전 수단, 현상 수단, 또는 클리닝 수단이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과 일체화된 카트리지로서 구성되고, 이 카트리지가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포함한다.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과 현상 수단을 서로 일체화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소위 일체형이라고 부른다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과 현상 수단 이외의 프로세스 수단이 서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소위 분리형이라고 부른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유저 그/그녀 자신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한 착탈 동작을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저가 장치 본체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프로세스 수단은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에 작용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 롤러를 포함하고, 현상 롤러에 의해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이용되는 현상제(토너)를 수납하고,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현상 카트리지의 경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은 장치 본체 또는 후술하는 카트리지 지지 부재에 부착된다는 것을 유의한다. 대안적으로,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은 소위 분리형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설치된다(이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현상 수단을 포함하지 않음). 현상 카트리지도, 유저 그/그녀 자신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한 착탈 동작을 행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그 때문에, 유저가 장치 본체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로서는, 소위 일체형 또는 소위 분리형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포함된다. 또한, 카트리지로서는, 소위 분리형 프로세스 카트리지와 현상 카트리지가 쌍을 이뤄서 이용될 경우가 포함된다. 또한, 카트리지로서는,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이 장치 본체 또는 후술하는 카트리지 지지 부재에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그리고, 현상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에 작용할 수 있고, 카트리지 지지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가 포함된다. 또한, 기록 매체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는 타입이며, 예를 들면, 용지, OHP 시트 등을 포함한다.
종래, 복수의 카트리지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카트리지 지지체를 갖고, 카트리지 지지체가 장치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미국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8/219696호). 이 구성에서는, 카트리지 지지체를 LED 지지체와 함께 정규 위치로부터 교환 위치까지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한다. LED 지지체를 수동으로 정규 위치로부터 교환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카트리지 지지체가 노출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지지체에 의해 지지된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다.
전술한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카트리지를 교환할 때, 유저는, 카트리지 지지체를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하는 동작 외에, 지지체를 인출한 상태에서 LED 지지체를 퇴피 위치까지 수동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광 부재 지지체를 조작하는 조작성을 향상시킨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측 위치를 향하는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발광 부재 지지체를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측 위치를 향하는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발광 부재 지지체를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측 위치를 향하는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발광 부재 지지체를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내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발광 부재 지지체를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위치와, 상기 장치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카트리지 지지 부재,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가 상기 내측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을 노광하기 위해서 화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는 발광 부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발광하여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을 노광하는 노광 위치와, 상기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된 퇴피 위치 사이에 상기 발광 부재가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발광 부재를 지지하는 발광 부재 지지체, 및
상기 외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를 상기 노광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내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를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노광 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지지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동 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카트리지의 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장치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연동 수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트레이의 결합 돌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동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발광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카트리지 지지 부재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지지한 상태에서 장치 본체의 내측 위치와 외측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기의 카트리지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외측 위치를 향한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발광 부재 지지체는 연동 수단에 의해 노광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된다. 내측 위치를 향한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발광 부재 지지체는 연동 수단에 의해 퇴피 위치로부터 노광 위치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연동 수단(130)(후술함)은, 유저가 트레이(카트리지 지지 부재)(5)를 외측 위치 OP를 향해 인출할 때의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발광 부재 지지체(7)를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킨다. 연동 수단(130)은, 유저가 트레이(5)를 내측 위치 IP를 향해 압입할 때의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체(7)를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킨다. 퇴피 위치 RP는, 지지체(7)(발광 부재(9))가, 카트리지(8)를 지지하는 트레이(5)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이다. 또한, 퇴피 위치 RP는, 지지체(7)(발광 부재(9))가, 이동하는 트레이(5), 및 트레이(5)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카트리지(8)와 충돌하지 않는 위치이다.
도 1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풀 컬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하, 화상 형성 장치라고 부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풀 컬러 LED 프린터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이하, 감광체 드럼이라고 부름)(12)을 노광하기 위해서 화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발광 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풀 컬러 LED 프린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풀 컬러 LED 프린터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설명]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의 단면도이다.
<장치 본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장치 본체(1)에는, 급지 트레이(13), 급송 롤러(15), 전사 벨트(18), 정착 장치(20), 한쌍의 배지 롤러(22), 및 배출 트레이(3)가 설치된다. 트레이(13)는 용지(기록 매체)(14)를 적재 수납하는 기능을 한다. 정착 장치(20)는 정착 필름(20a) 및 가압 롤러(20b)를 포함한다. 롤러 쌍(22)은 배지 롤러(22a) 및 배지 롤러(22b)를 포함한다. 화상이 형성된 용지(14)는 롤러 쌍(22)을 통해 배송되어서 트레이(3) 위에 적재된다. 또한, 본체(1)에는, 본체 가이드(11)가 설치된다(도 4a, 도 5a, 도 5b 및 도 5c를 참조). 가이드(11)는 카트리지 트레이(카트리지 지지 부재)(5)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트레이(5)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이하, 카트리지라고 부름)(8(8Y, 8M, 8C, 및 8BK))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트레이(5)가 본체의 내측의 내측 위치 IP(도 1)에 위치한 상태에서, 카트리지(8)는 드럼 홀더(이하, 장착부라고 부름)(50)(도 2)에 장착된다. 카트리지(8)에 있어서, 드럼(12)과 동축 위에 설치된 드럼 베어링부(드럼측 위치 결정부)(51)가 장착부(50)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카트리지(8Y)는, 옐로우(yellow) 현상제(이하, 토너라고 부름)를 수납하고, 감광체 드럼(12)에 옐로우 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카트리지(8M)는, 마젠타(magenta) 현상제를 수납하고, 감광체 드럼(12)에 마젠타 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카트리지(8C)는, 시안(cyan) 현상제를 수납하고, 감광체 드럼(12)에 시안 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카트리지(8BK)는, 블랙(black) 현상제를 수납하고, 감광체 드럼(12)에 블랙 현상제 화상을 형성한다. 카트리지(8)는 각각, 감광체 드럼(12)과, 프로세스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대전 부재)(80)와, 현상 롤러(현상 부재)(81)와, 클리닝 블레이드(클리닝 부재)(82)를 일체화한다. 프로세스 수단은 감광체 드럼(12)에 작용한다. 대전 롤러(80)는 드럼(12)을 대전한다. 현상 롤러(81)는 현상제(도시 생략)를 이용하여, 드럼(12)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82)는 화상 전사 후에 드럼(12)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한다.
본체(1)는,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카트리지 트레이(5) 및 카트리지(8)를 제외한 구성을 말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카트리지 트레이>
트레이(5)는, 본체(1)에 대하여, 가이드(11)에 의해 지지되어, 도 1의 가로 방향(본체(1)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 이동을 위해 설치된다. 트레이(5)는 카트리지(8)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트레이(5)는, 카트리지(8)에 포함된 카트리지측 전기 접점(도시 생략)에 접속되는 중간 전기 접점(45)(도 2)을 포함한다. 중간 전기 접점(45)은, 트레이(5)가 내측 위치 IP에 위치한 상태에서, 본체(1)에 설치된 본체측 전기 접점(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접점(45)은 트레이(5)의 비구동측(카트리지(8)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측)의 측판(5b)에 배치된다. 그러나, 전기 접점(45)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기 접점(45)은 구동측의 측판(5a)에 배치해도 된다. 트레이(5)는, 카트리지(8)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본체의 내측의 내측 위치 IP와 본체(1)의 외측의 외측 위치 OP 사이에서 개구부(10)를 통과하면서 이동한다. 가이드(11)는, 트레이(5)가 외측 위치 OP와 내측 위치 IP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트레이(5)를 지지하고, 또한, 트레이(5)를 안내한다. 유저가 트레이(5)를 본체(1)로부터 인출할 때, 트레이(5)는 내측 위치 IP로부터 외측 위치 OP로 이동한다. 또한, 유저가 트레이(5)를 본체(1) 내에 압입할 때, 트레이(5)는 외측 위치 OP로부터 내측 위치 IP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내측 위치 IP는 도 1, 도 5a 및 도 6a에 도시된 위치를 말한다. 또한, 외측 위치 OP는 도 5c, 도 6b 및 도 9a와 도 9b에 도시된 위치를 말한다. 내측 위치 IP는, 트레이(5)가 본체(1)의 개구부(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를 말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또한, 외측 위치 OP는, 트레이(5)가 개구부(10)의 외측에 위치한 상태를 말한다. 트레이(5)가 외측 위치 OP에 위치한 경우에도, 트레이(5)에 의해 지지되는 모든 카트리지(8)가 개구부(10)의 외측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예를 들면, 트레이(5)의 인출 방향 X(도 6b)에 있어서, 최상류측에 위치하는 카트리지(8BK)는, 개구부(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최상류측에 위치하는 카트리지(8BK)는, 본체(1)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유저가 개구부(10)로부터 카트리지(8BK)를 교환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각각의 카트리지(8)는, 트레이(5)의 이동 방향(인출(pullout) 방향 X, 압입(push-in) 방향 Y)에 대하여, 각각의 카트리지(8)의 길이 방향이 교차하는 교차 방향(직교 방향)으로 트레이(5)에 의해 지지된다. 길이 방향은, 감광체 드럼(12)의 길이 방향 및 현상 롤러(81)의 길이 방향과 같은 방향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트레이(5)의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하여, 카트리지(8)의 길이 방향이 따르도록(평행하도록) 각각의 카트리지(8)가 트레이(5)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
도 2는 카트리지(8)를 본체(1) 내의 장착부(50)에 위치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에는 장착부(50)가 형성된다. 장착부(50)는, 본체(1) 내의 내측 위치(이 경우, 카트리지(8)가 화상 형성에 기여하는 화상 형성 위치) IP에 위치한 카트리지(8)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배치된다. 카트리지(8)에는 드럼 베어링부(51)가 설치된다. 베어링부(51)는, 감광체 드럼(1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일단측과 타단측에 설치되는 드럼 축(도시 생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베어링부(51)는 각각의 카트리지(8)의 길이 방향의 일단과 타단에서 돌출된다. 도 2에서는, 한쪽의 베어링부(51)만이 도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5)가 본체(1)의 내측 위치 IP에 위치할 때, 베어링부(51)는 장착부(50)의 오목부(50a)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일단측의 베어링부(51)가 일단측의 장착부(50)의 오목부(50a)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측의 베어링부(51)가 타단측의 장착부(50)의 오목부(50a)에 의해 지지된다. 오목부(50a)의 2개의 경사부(50b)와 베어링부(51)의 원주 표면(51a) 간의 접촉에 기인하여, 감광체 드럼(12)의 중심 위치(축 위치)가 본체(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또한, 각각의 카트리지(8)에는,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카트리지 보스(제1 회전 피규제 부재)(52)가 설치되고, 그의 타단부에 카트리지 리브(제2 회전 피규제 부재)(53)가 설치된다. 트레이(5)에는, 한쪽의 측판(5a)에 제1 트레이 홈(제1 회전 규제 부재)(54)이 설치되고, 다른 쪽의 측판(5b)에 제2 트레이 홈(제2 회전 규제 부재)(55)이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카트리지(8)가 본체(1) 내에 장착되고, 보스(52)가 홈(54)에 의해 지지되고, 리브(53)가 홈(55)에 의해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카트리지(8)가 본체(1)로부터 드럼(12)을 회전하기 위한 회전력을 받을 때, 카트리지(8)가 베어링부(51)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된다. 즉, 드럼(12)을 중심으로 한 카트리지(8)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카트리지(8)는, 본체(1)에 대하여 드럼(12)을 중심으로 해서 위치 결정된다.
<발광 부재>
본체(1)에는, 발광 부재(9)를 지지하는 발광 부재 지지체(7)가 설치된다. 도 3a는 지지체(7)의 사시도이다. 4개의 카트리지(8)에 대응하여, 4개의 발광 부재(9)가 지지체(7)에 설치된다. 각각의 발광 부재(9)는, 본체(1)에 장착된 카트리지(8)의 드럼(12)의 길이 방향(축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복수 개의 발광 소자(6)를 포함한다(도 11). 드럼(12)의 길이 방향은 트레이(5)의 인출 방향 X에 직교하는 방향이다. 발광 소자(6)는, 컨트롤러(96)(도 11)로부터의 화상 정보 신호에 따라서 발광하여, 드럼(12)을 노광한다. 발광 소자(6)로서는, 예를 들면, 액정 장치(소자),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유기 EL 소자) 등의 전계발광 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1은 발광 부재(9)의 사시도이다. 발광 부재(9)는 기판(90)을 포함한다. 기판(90)은 홀더(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된다. 홀더는 기판(90)을 지지체(7)에 고정한다. 기판(90)의 정면측에 발광 소자(6)가 설치되고, 후면측에 드라이버 IC(92)가 설치된다. 발광 소자(6)는 드라이버 IC(9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드라이버 IC(92)는 발광 소자(6)의 발광 동작을 제어한다. 기판(90)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FFC)(94)을 통해 본체(1)의 컨트롤러(96)에 접속된다. 컨트롤러(96)로부터의 화상 정보 신호에 따라서, 드라이버 IC(92)는 발광 소자(6)의 조명 동작을 행한다. 발광 소자(6)에는, SELFOC(등록상표) 렌즈(98)가 접착된다. 렌즈(98)의 드럼(12) 측의 표면(98a)은 평면이다. 렌즈(98)는 발광 소자(6)로부터 발광된 광을 집광하고, 드럼(12) 위에 결상한다. 지지체(7)가 노광 위치 LP(도 1)에 위치할 때, 지지체(7)는, 발광 소자(6)가 드럼(12)의 길이 방향의 화상 형성 영역과 대향하도록, 발광 부재(9)를 지지한다(도 3a). 노광 위치 LP는 발광 소자(6)의 발광에 의해 드럼(12)을 노광하는 위치이며, 복수의 발광 소자(6)가 드럼(12)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체(7)가 노광 위치 LP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복수의 발광 소자(6)의 각각과 드럼(12)은 등간격으로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노광 위치 LP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 소자(6) 각각과 드럼(12)이 등간격으로 위치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발광 소자(6) 각각에 대응하는 렌즈(98)의 치수가 서로 상이한 경우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6)와 드럼(12) 사이의 거리가 상이하다. 복수의 발광 소자(6) 각각과 드럼(12) 사이의 거리는, 발광 소자(6)로부터 발광된 광이 렌즈(98)에 의해 집광되어서 드럼(12) 위에 결상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렌즈(98)의 사양에 따라서는, 드럼(12)의 축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에 있어서 발광 소자(6)와 드럼(12) 사이의 거리가 더 짧아지고, 축 방향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거리가 길어지도록, 복수의 발광 소자(6)가 만곡해서 배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드럼(12)의 축 방향의 양단부의 각각에 있어서 발광 소자(6)와 드럼(12)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고, 축 방향의 중앙 부분에 있어서 거리가 짧아지도록, 복수의 발광 소자(6)가 만곡해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체(7)는 트레이(3)의 내측에 설치되어, 지지체(7)가 트레이(3)와 일체로 이동된다. 이 경우, 트레이(3)의 내측은 트레이(3)의 하면이라고 불리며, 본체(1)의 내측이다.
<위치 결정 부재>
지지체(7)에는, 위치 결정 부재로서의 드럼 수납부(제1 규제부, 전후 규제부)(56) 및 쓰러스트 보스(thrust bosses)(제2 규제부, 좌우 규제부)(57)가 설치된다. 드럼 수납부(56)는, 카트리지(8)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쓰러스트 보스(57)는 카트리지(8)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 설치된다. 수납부(56) 및 보스(57)는,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화상 형성 위치에 장착된 카트리지(8)를 발광 부재(9)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다. 화상 형성 위치는, 트레이(5)에 의해 지지된 카트리지(8)가 본체(1) 내의 장착부(50)에 장착되고, 드럼(12)이 전사 벨트(18)에 접촉하는 위치를 말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수납부(56) 및 보스(57)는, 카트리지(8)가 장착부(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지지체(7)가 노광 위치 LP에 위치할 때, 카트리지(8)를 발광 부재(9)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다.
도 3b는 카트리지(8)의 드럼(12)을 발광 부재(9)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12)의 축 방향(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전후 방향)에 대한 발광 부재(9)의 위치 결정은, 발광 소자측 위치 결정부로서의 수납부(56)를 드럼측 위치 결정부로서의 베어링부(51)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수납부(56)의 2개의 경사면(56a, 56b)이 베어링부(51)의 원주 표면(51a)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드럼(12)에 대하여 발광 부재(9)를 전후 방향으로 위치 결정한다.
또한, 드럼(12)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에 대한 발광 부재(9)의 위치 결정은, 보스(57)를 카트리지(8)에 형성된 카트리지 홈(58)에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서, 홈(58)은 일단측 베어링부(51)에 형성된다. 홈(58)은, 홈(58)에 삽입된 보스(57)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러나, 드럼(12)에 대하여 발광 부재(9)를 좌우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 보스(57)는 홈(58)에 좌우 방향으로 꼭 맞게 끼워 넣어진다. 홈(58)에 삽입된 보스(57)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드럼(12)의 연직 방향에 대한 발광 부재(9)의 위치 결정은, 수납부(발광 소자측 위치 결정부)(56)를 베어링부(드럼측 위치 결정부)(51)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이것은,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과 마찬가지이다. 드럼(12)의 표면과 발광 부재(9)의 렌즈 표면(98a) 사이의 거리 D는, 수납부(56)의 2개의 경사면과 베어링부(51)의 원주 표면(51a) 사이의 접촉에 의해, 소정 거리로 유지된다. 도 3c는, 발광 부재(9)를 카트리지(8)에 대해 위치 결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c는, 설명 상, 타단측 베어링부(51)를 생략하고, 일단측 베어링부(51)만을 도시한다.
이 경우, 본체(1)에 대한 전측 또는 정면측은 도어(개폐 가능 부재)(2)를 설치한 측이라고 말한다. 후측은 그것과는 반대측이다. 드럼(12)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전후 방향)은, 본체(1)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을 향하는 방향(전 방향)과, 전측의 반대 방향(후 방향)이다. 좌우란, 본체(1)의 전측에서 볼 때의 좌 또는 우를 말한다. 감광체 드럼(12)의 축 방향(길이 방향, 좌우 방향)이란, 우로부터 좌로 향하는 방향(좌 방향)과, 좌 방향의 반대 방향(우 방향)을 말한다. 도어(2)는, 개구부(10)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와, 개구부(10)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일단측 장착부(50)에 의해 일단측 베어링부(51)가 지지되고, 타단측 장착부(50)에 의해 타단측 베어링부(51)가 지지된 상태에서, 드럼(12)에 대하여 발광 부재(9)가 위치 결정된다. 이 경우, 발광 부재(9)가 드럼(12)의 길이 방향에 걸쳐 드럼(12)과 등간격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하기 위해, 일단측 수납부(56)가 일단측 베어링부(51)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측 수납부(56)가 타단측 베어링부(51)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도 4a는 발광 부재(9)를 드럼(12)에 바이어스(biasing)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7)에는 돌기부(31)가 설치된다. 또한, 트레이(5)를 지지하는 가이드(11)에는 레일 보스(rail bosses)(33)가 설치된다. 또한, 돌기부(31)와 보스(33)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탄성 부재)(30)이 부착된다. 스프링(30)은 지지체(7)를 노광 위치 LP에 압박(urge)한다. 이 바이어스력(biasing force)(탄성력)에 의해, 감광체 드럼(12)에 대한 발광 부재(9)의 상하 방향(연직 방향)의 위치가 규제된다. 지지체(7)는, 노광 위치 LP에 있어서, 드럼(12)에 대향하도록 발광 부재(9)를 드럼(12)에 근접 배치한다. 노광 위치 LP에 있어서, 드럼(12)의 표면과 발광 부재(9)의 SELFOC(등록상표) 렌즈(98)의 표면(98a) 사이의 거리 D는 소정 거리로 규제된다. 소정 거리는, 드럼(12)의 노광에 알맞는 거리이다. 실시예에서는, 소정 거리는 2㎜ 이상 3㎜ 이하의 범위 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가 상기 수치 이내이면, 화상 정보에 따른 발광 소자(6)의 발광으로 인하여, 드럼(12)은 양호하게 노광된다. 본 실시예에서, 드럼(12)의 표면과 발광 소자(6) 사이의 렌즈(98)를 포함하는 거리는, 7㎜ 이상 8㎜ 이하이다. 그러나, 렌즈(98)의 사양이 변화되면, 렌즈 두께나 초점 심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상기의 소정 거리가 변화된다. 예를 들면, 드럼(12)의 표면과 발광 소자(6) 사이의 렌즈(98)를 포함하는 거리는, 렌즈(98)의 사양에 따라서, 17㎜±0.8㎜, 10㎜±0.5㎜, 5㎜±0.3㎜, 및 4㎜±0.3㎜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드럼(12)의 표면과 발광 부재(9)의 렌즈 표면(98a) 사이의 거리 D는, 수납부(56)의 2개의 경사면(56a, 56b)과 드럼 베어링부(51)의 원주 표면(51a)의 접촉에 의해(도 3c), 소정 거리로 유지된다.
[화상 형성 동작의 설명]
화상 형성시에, 드럼(12)은 화살표(도 1)로 표시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드럼(12)의 표면은, 대전 롤러(대전 부재)(80)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발광 소자(6)는, 컨트롤러(96)로부터의 화상 정보 신호에 따라서 발광하고, 드럼(12)의 대전된 표면을 노광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드럼(12)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롤러(현상 부재)(81)에 의해 현상제로 현상되어서 현상제 화상이 된다. 트레이(13)로부터 롤러(15)에 의해 급송된 용지(14)는, 현상제 화상과 타이밍을 동기해서 전사 벨트(18)에 반송된다. 전사 벨트(18)는, 용지(14)를 정전 흡착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도 1의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용지(14)는, 전사 벨트(18)에 의해 반송되어, 전사 벨트(18)와, 카트리지들(8Y, 8M, 8C, 8BK)에 포함된 드럼들 사이의 전사부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 동작에 의해, 용지(14) 위에, 옐로우 현상제 화상, 마젠타 현상제 화상, 시안 현상제 화상, 및 블랙 현상제 화상이 순차 겹쳐서 전사된다. 전사 후, 드럼(12) 위에 남은 현상제는, 클리닝 블레이드(클리닝 부재)(82)에 의해 제거된다. 용지(14)는, 정착 필름(20a)과 가압 롤러(20b) 사이의 닙부(nip portion)에 반송된다. 용지(14)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은, 닙부에서 가열 및 가압되어 용지(14)에 정착된다. 화상이 형성된 용지(14)는 롤러 쌍(22a, 22b)에 의해 트레이(3) 위에 배출된다. 도 1 이외의 도면에서는, 대전 롤러(80), 현상 롤러(81), 및 클리닝 블레이드(82)의 도시를 생략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카트리지의 교환 방법의 설명]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카트리지의 교환 방법을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체(1)의 사시도이다. 이하, 카트리지의 교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는, 도어(개폐 가능 부재)(2)가 폐쇄된 본체(1)의 사시도이다. 도어(2)는, 본체(1)의 개구부(10)를 개폐하기 위해서, 본체(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2)는, 힌지(2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됨으로써, 개구부(10)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개구부(10)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 있다. 유저가 도어(2)를 개방하여 개구부(10)를 개방하고, 잼 제거(막힌 용지(14)의 제거) 및 카트리지(8)의 교환 등의 작업을 행한다. 도 5a는 도어(2)가 개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다. 트레이(5)는, 본체(1)에 대하여 가이드(11)에 의해 지지되고, 도 5a의 가로 방향(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 트레이(5)는 카트리지(8)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한다. 트레이(5)는, 외측 위치 OP(도 5c를 참조)와, 카트리지(8)를 본체(1) 내의 장착부(50)에 위치 결정하는 내측 위치 IP(도 1을 참조) 사이에서 본체(1)의 개구부(10)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측 위치 OP는 본체(1)의 외측 위치를 말하고, 그 위치에서 유저가 카트리지(8)를 트레이(5)에 장착하고 카트리지(8)를 트레이(5)로부터 탈착한다. 또한, 내측 위치 IP는 카트리지(8)를 본체(1) 내의 장착부(50)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를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 위치 IP에 위치하는 카트리지(8)는 화상 형성 위치(IP)에 위치한다. 화상 형성 위치(IP)는, 카트리지(8)가 용지(14)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기여하는 위치를 말한다. 트레이(5)는, 유저에 의해, 개구부(10)를 통과하면서, 내측 위치 IP와 외측 위치 OP 사이에서 이동된다. 도어(2)는 도어 링크(29)를 통해서 가이드(11)에 결합한다. 유저가 도어(2)를 개방하면, 도어(2)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링크(29)는, 가이드(11)를 도 1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5a에 도시된 위치로 인출한다. 그와 동시에, 링크(29)는 가이드(11)를 우측 경사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가이드(11)의 상방 이동으로 인해, 가이드(11)에 의해 지지된 트레이(5)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트레이(5)의 상방으로의 이동으로 인해, 드럼(12)이 전사 벨트(18)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베어링부(51)가 장착부(50)로부터 이격된다. 도 5b는, 도어(2)가 개방되고 본체(1) 내의 트레이(5)를 인출함으로써, 지지체(7)를 퇴피 위치 RP까지 상방으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지지체(7)는, 유저가 트레이(5)를 인출할 때의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연동 수단(후술함)에 의해, 자동적으로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이동된다. 퇴피 위치 RP는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된 위치이다. 퇴피 위치 RP는, 지지체(7)(발광 부재(9))가, 카트리지(8)를 지지한 트레이(5)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이다. 또한, 퇴피 위치 RP는, 지지체(7)(발광 부재(9))가, 이동하는 트레이(5), 및 트레이(5)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카트리지(8)와 충돌하지 않는 위치이다. 지지체(7)는, 트레이(5)가 외측 위치 OP와 내측 위치 IP 사이에서 이동되는 이동 경로 MP(도 5c)로부터 퇴피된다. 지지체(7)가 퇴피 위치 RP로 이동되므로, 복수의 발광 부재(9)를 동시에 퇴피시킬 수 있다. 지지체(7)가 퇴피 위치 RP에 위치할 때, 발광 부재(9)는 본체(1) 내에 존재한다. 퇴피 위치 RP에 있어서, 지지체(7)는, 외측 위치 OP와 내측 위치 IP 사이에서의 트레이(5)의 이동을 허용한다. 즉, 지지체(7)는, 트레이(5)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지지체(7)가 본체(1) 내에 남겨진 상태에서, 트레이(5)가 본체(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5c는, 내측 위치 IP로부터 외측 위치 OP로 인출된 트레이(5)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트레이(5)가 외측 위치 OP에 있을 때, 트레이(5)에 의해 지지된 모든 카트리지(8)의 상방이 개방된다. 그리고, 각각의 카트리지(8)가 상방으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모든 카트리지(8)가 상방으로부터 트레이(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연직 방향으로, 트레이(5)에 대하여 카트리지(8)의 착탈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인출 방향 X(도 4a)에 있어서 최하류측에 위치하는 카트리지(8BK)를 트레이(5)에 대하여 착탈할 때, 트레이(5)의 전체 길이가 외측 위치 OP에 위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유의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트레이(5)는, 카트리지(8BK)가 화상 형성 위치(IP)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외측 방향을 향해 인출된다. 따라서, 카트리지(8BK)는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보다, 본체(1)의 전방에 인출되어 있으므로, 유저가 카트리지(8BK)를 교환하기가 용이하다.
도 6b는 도어(2)를 개방하고, 트레이(5)를 인출한 상태의 본체(1)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5c에 도시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카트리지(8)는 트레이(5)에 착탈 가능하다. 트레이(5)는 본체(1)의 설치면(도시 생략)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트레이(5)는 설치면(도시 생략)에 대하여, 예를 들면,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하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트레이(5)는, 트레이(5)에 의해 지지된(수용된, 장착된, 부착된) 카트리지(8)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한다. 카트리지(8)의 길이 방향은, 감광체 드럼(12)의 길이 방향 또는 현상 롤러(81)의 길이 방향을 말한다는 것을 유의한다.
카트리지(8)를 본체(1)에 장착하는 조작은, 카트리지(8)를 제거하는 조작과 역의 수순으로 행한다. 구체적으로, 유저가, 트레이(5)를 외측 위치 OP(도 5c를 참조)로 인출하고, 카트리지(8)를 트레이(5)에 탑재한다(지지시킨다). 카트리지(8)가 탑재된 트레이(5)를 본체(1) 내에 압입한다. 이 경우, 지지체(7)는, 유저가 트레이(5)를 압입할 때의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연동 수단(130)(후술함)에 의해, 자동적으로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이동한다. 노광 위치 LP는, 발광 부재(9)가 드럼(12)에 대향하고, 또한, 드럼(12)에 화상 정보에 따른 노광을 가능하게 하도록 드럼(12)에 근접 배치된 위치이다. 그리고, 유저가 도어(2)를 폐쇄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링크(29)를 통해서 가이드(11)가 도 5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좌측 하방으로 밀어 내려질 수 있다. 가이드(11)와 함께 트레이(5)도 함께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 동작에 의해, 트레이(5)에 의해 지지된 카트리지(8)가 본체(1) 내의 장착부(50)에 장착된다. 그리고, 드럼(12)이 전사 벨트(18)에 접촉한다. 이 상태는, 카트리지(8)가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이다. 화상 형성 위치는, 카트리지(8)가, 용지(기록 매체)(14)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기여하는 위치이다.
[발광 부재 지지체의 퇴피 방법의 설명]
다음으로, 지지체(7)의 퇴피 방법을, 도 4a, 도 4b, 도 7a, 도 7b, 도 7c,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연동 수단의 구성>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유저가 트레이(5)를 인출하고 압입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지지체(7)를 노광 위치 LP와 퇴피 위치 RP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연동 수단(1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노광 위치 LP에 있어서, 발광 부재(9)의 복수 개의 발광 소자(6)의 발광에 의해 드럼(12)을 노광하기 위해서, 발광 부재(9)가 드럼(12)에 대향해서 근접 배치된다. 복수의 발광 소자(6)는, 발광 부재(9)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퇴피 위치 RP에 있어서, 트레이(5)가 외측 위치 OP와 내측 위치 IP 사이에서 이동되는 이동 경로 MP로부터 지지체(7)가 퇴피된다. 도 4a 및 도 4b는, 도어(2)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의, 지지체(7), 가이드(11), 및 트레이(5) 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연동 수단(130)은 결합 돌출부(제1 결합부)(34), 결합 홈부(제2 결합부)(35), 돌기부(제3 결합부)(31), 및 홈부(제4 결합부)(32)를 포함한다. 결합 돌출부(34)는 트레이(5)에 설치된다. 결합 홈부(35)는 지지체(7)에 형성된다. 돌기부(제3 결합부)(31)는 지지체(7)에 설치된다. 홈부(32)는 본체(1)에 설치된다. 돌출부(34)는 트레이(5)의 측판(5b(5a))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 형상의 부재이다. 홈부(35)는, 지지체(7)의 측판(7b(7a))에 형성되고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체적으로 대략 사각 형상의 홈 구멍이다. 돌출부(34)는, 홈부(35) 내에서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홈부(35)와 결합한다. 홈부(35)는 돌출부(34)와 결합하고, 트레이(5)에 대하여, 발광 부재(9)와, 드럼(12)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 방향을 따라서 지지체(7)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체(7)를 지지한다. 여기에서, 발광 소자(6)와, 드럼(12)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 방향은, 화살표 VL(도 4b)로 표시된 방향이다. 즉, 발광 부재(9)는 드럼(12)의 축에 평행하게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종래 기술에 있어서 발광 부재(9)가 받침점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되는 경우에 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다 작은 공간에서도 발광 부재(9)(발광 소자(6))를 노광 위치 LP와 퇴피 위치 RP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돌기부(31)는, 홈부(32)에 삽입되어, 홈부(32) 내에서 슬라이딩해서 이동 가능하다. 돌기부(31)는 홈부(32) 내에서 슬라이딩한다. 이에 의해, 지지체(7)는, 본체(1)에 대하여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 방향 X에 대하여 경사 방향 Q로 이동 가능하다. 즉, 돌기부(31)와 홈부(32)의 결합에 의해, 지지체(7)는, 본체(1)에 대하여, 트레이(5)의 이동 방향(인출 방향 X 및 압입 방향 Y)에 대하여 경사 방향 Q에 따라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도어(2)가 폐쇄된 상태(도 4a 및 도 4b에 도시됨)에서, 인장 스프링(탄성 부재 또는 바이어스 부재)(30)은 돌기부(31)와, 가이드(11)에 설치된 레일 보스(33) 사이에 접속된다. 지지체(7)에 있어서, 발광 부재(9)는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노광 위치 LP에 바이어스된다(인장된다).
<연동 수단의 기능>
도 7a는 도어(2)가 개방된 상태이며, 도 5a에 도시된 상태와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를 개방하면, 가이드(11)의 상방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트레이(5)가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지지체(7)도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유저가 트레이(5)를 인출하면, 트레이(5)의 돌출부(34)와 지지체(7)의 홈부(35)의 결합에 의해, 지지체(7)는 인출 방향 X로 인출된다. 이 경우, 지지체(7)는, 돌기부(31)와 홈부(32)의 결합을 통해, 본체(1)에 대하여 화살표 Q(도 7a)로 표시된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제된다. 그 때문에, 지지체(7)는, 본체(1)에 대하여 화살표 Q로 표시된 방향으로(트레이(5)의 인출 방향 X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지지체(7)는, 돌출부(34)와 홈부(35)에 의해, 트레이(5)에 대하여 연직 방향의 상방(도 4b의 화살표 VL로 표시된 방향)으로만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제된다. 이에 의해, 발광 부재(9)는, 카트리지(8)의 드럼(12)에 대하여 연직 방향의 상방(화살표 VL로 표시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퇴피된다. 지지체(7)는,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각각의 홈부(35)에는 회전 가능한 롤러 부재(마찰 저감 부재)(36)가 설치된다. 트레이(5)가 이동될 때, 트레이(5)의 일부가 롤러 부재(36)에 접촉함으로써, 롤러 부재(36)가 회전된다. 이 회전에 의해, 돌출부(34)와 홈부(35) 사이의 마찰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지지체(7)는, 트레이(5)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순조롭게 이동된다. 도 7b는, 지지체(7)가 퇴피 위치 RP까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5b에 도시된 상태와 같다. 퇴피 위치 RP는, 트레이(5)가 내측 위치 IP로부터 외측 위치 OP로 이동되는 인출 방향 X에 있어서 노광 위치 LP의 하류의 상방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돌출부(34)의 최상부(34a)가 지지체(7)의 저부(7c)를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지지체(7)가 스프링(30)에 의해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것이 규제된다.
지지체(7)를 퇴피 위치 RP에 유지(지지)하기 위한 지지 보스(37)가 본체(1)에 설치된다. 보스(37)는, 보스 스프링(탄성 부재)(38)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1)의 내측을 향해 바이어스된다(인장된다). 지지체(7)가 노광 위치 LP에 위치할 때, 보스(37)는, 보스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지지체(7)의 측판(7b)에 맞닿게 된다. 보스(37)의 상면(37a)의 높이는, 돌출부(34)의 최상부(34a)보다 낮게 설정된다. 따라서, 지지체(7)의 저부(7c)가 돌출부(34)의 최상부(34a)에 의해 지지되면, 지지체(7)는 돌출부(34)로부터 보스(37)로 인도된다. 즉, 트레이(5)를, 도 7b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인출 방향 X로 인출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37)에 의해, 지지체(7)는 퇴피 위치 RP에 지지된다(유지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상태에서, 돌출부(34)는 보스(37)의 본체의 내측을 향한 이동을 규제한다. 이것은, 보스(37)가 홈부(35)에 걸림으로써, 지지체(7)의 이동을 저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트레이(5)를 인출 방향 X로 더 인출하면, 보스(37)와 돌출부(34) 간의 결합이 해제된다. 보스(37)는,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의해 본체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지지체(7)를 퇴피 위치 RP에 지지한다(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지지체(7)는, 트레이(5)가 외측 위치 OP와 내측 위치 IP 사이에서 이동되는 이동 경로 MP로부터 퇴피된다. 따라서, 트레이(5)는 외측 위치 OP까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카트리지(8)를 본체(1)에 장착할 때, 유저가 트레이(5)를 인출 방향 X와는 반대의 압입 방향 Y로 압입한다. 압입 동작과 연동하여, 우선, 퇴피 위치 RP에 위치하는 지지체(7)가, 보스(37)의 상면(37a)으로부터 돌출부(34)의 최상부(34a)에 인도된다. 이 경우, 인도 전의 지지체(7)의 저부(7c)는, 돌출부(34)의 최상부(34a)보다 낮다. 따라서, 지지체(7)의 저부(7c)를 돌출부(34)의 최상부(34a)의 높이까지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4)에는 제1 사면(60)이 설치된다. 또한, 지지체(7)에는 지지체 사면(61)이 설치된다. 트레이(5)를 압입 방향(장착 방향) Y로 압입하면, 제1 사면(60)과 지지체 사면(61)이 서로 결합된다(engaged). 이 결합에 의해, 지지체(7)가 올려진다. 지지체(7)는, 보스(37)의 상면(37a)과 돌출부(34)의 최상부(34a) 간의 높이의 차이만큼 올려진다. 따라서, 지지체(7)는, 보스(37)로부터 돌출부(34)에 인도된다.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34)에는 제2 사면(62)이 설치되고, 지지 보스(37)에는 보스 사면(63)이 설치된다. 도 8b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트레이(5)를 압입 방향 Y로 더 압입하면, 제2 사면(62)과 보스 사면(63)이 서로 결합된다. 이 결합에 의해, 보스(37)가 돌출부(34)에 의해 본체(1)의 외측으로 퇴피된다. 도 7b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7a에 도시된 상태까지 트레이(5)를 더 압입하면, 돌출부(34)가 홈부(35)에 들어간다. 유저가 트레이(5)를 더 압입하면, 트레이(5)의 돌출부(34)와 지지체(7)의 홈부(35)의 결합에 의해, 지지체(7)가 압입 방향 Y로 압입된다. 이때, 지지체(7)는, 돌기부(31)와 홈부(32)의 결합에 의해, 본체(1)에 대하여 화살표 Q(도 7a)로 표시된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제된다. 이 때문에, 지지체(7)는, 본체(1)에 대하여 화살표 Q로 표시된 방향과는 반대 방향(트레이(5)의 압입 방향 Y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하방을 향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지지체(7)는, 돌출부(34)와 홈부(35)에 의해, 트레이(5)에 대하여 연직 방향의 하방(도 4b의 화살표 VL로 표시된 방향)으로만 직선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규제된다. 이에 의해, 발광 부재(9)는, 카트리지(8)의 드럼(12)을 향해서(화살표 VL로 표시된 방향)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지지체(7)는 인출 방향 X의 상류의 하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지지체(7)는,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연동 수단(130)은 트레이(5)에 설치된 돌출부(제1 결합부)(34)와, 지지체(7)에 설치된 홈부(제2 결합부)(35)와, 지지체(7)에 설치된 돌기부(제3 결합부)(31)와, 본체(1)에 설치된 홈부(제4 결합부)(32)를 갖는다. 연동 수단(130)은, 트레이(5)를 본체(1)로부터 인출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지지체(7)를 본체(1) 내의 퇴피 위치 RP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34)는 트레이(5)에 설치된다. 홈부(35)는 트레이(5)에 대하여 지지체(7)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지지체(7)에 설치되고, 돌출부(34)와 결합한다. 돌기부(31)는 지지체(7)에 설치된다. 홈부(32)는, 본체(1)에 대하여 지지체(7)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본체(1)에 설치되고, 돌기부(31)와 결합한다. 외측 위치 OP를 향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체(7)는, 연동 수단(130)의 돌출부(34)와 홈부(35)의 결합에 의해, 트레이(5)에 대하여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지지체(7)는, 연동 수단(130)의 돌기부(31)와 홈부(32)의 결합에 의해, 본체(1)에 대하여 경사 방향의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지지체(7)는,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이동된다. 내측 위치 IP를 향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체(7)는, 연동 수단(130)의 돌출부(34)와 홈부(35)의 결합에 의해, 트레이(5)에 대하여 연직 방향의 하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지지체(7)는, 연동 수단(130)의 돌기부(31)와 홈부(32)의 결합에 의해, 본체(1)에 대하여 경사 방향의 하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지지체(7)는,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트레이(5)를 인출하는 동작만으로 카트리지(8)를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르면, 이용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5)를 본체(1)로부터 인출할 때, 지지체(7)는 본체(1)의 외측으로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발광 부재(9)(발광 소자(6))에 먼지가 부착되는 것 및 마킹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화상 형성 장치의 신뢰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적용한 화상 형성 장치(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화상 형성 장치(200)는, 예를 들면, MFP라고 약칭되는 다기능 프린터(multifunction printer)이며, 예를 들면, 복사기, 프린터, 스캐너, 및 팩시밀리 등의 기능을 갖는다. 장치(20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00)의 본체(201)의 상부에 설치된 원고 판독 장치(이하, 화상 스캐너라고 부름)(4)를 갖는다. 화상이 형성된 용지(14)를 수납하는 배출 트레이(3)는 스캐너(4) 아래에 배치된다. 또한, 트레이(3)와 스캐너(4) 사이에, 화상이 형성된 용지(14)가 배출되는 배출 공간 ES가 한정된다. 도 9a는, 트레이(5)가 외측 위치 OP까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는 본체(201)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상태와 동일한 상태에 있어서의 본체(201)의 사시도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200)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연동 수단(130)을 갖는다. 연동 수단(130)은, 유저에 의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지지체(7)를 이동시킨다. 트레이(5)의 외측 위치 OP로의 인출 동작에 연동하여, 지지체(7)는 연동 수단(130)에 의해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이동된다. 지지체(7)가 퇴피 위치 RP로 이동되므로, 복수의 발광 부재(9)를 동시에 퇴피시킬 수 있다. 연동 수단(130)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트레이(5)에 설치된 돌출부(34)와, 지지체(7)에 설치된 홈부(35)와, 지지체(7)에 설치된 돌기부(31)와, 본체(1)에 설치된 홈부(32)를 갖는다. 지지체(7)는 트레이(3)의 내측에 설치된다. 지지체(7) 및 트레이(3)는 서로 일체적으로 본체(20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본체(201)에 의해 지지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는, 지지체(7)가 퇴피 위치 RP로 이동되어도, 스캐너(4)의 저면부(4a)에 접촉하지 않는다. 지지체(7)의 노광 위치 LP와 퇴피 위치 RP 사이의 이동에 연동하여, 트레이(3)가 이동되는 범위는 스캐너(4)와 트레이(3) 사이의 배출 공간 ES 이내이다. 이 배출 공간 ES는, 화상이 형성된 용지(14)가 배출되는 공간이다. 즉, 지지체(7)의 노광 위치 LP와 퇴피 위치 RP 사이에서의 이동에 연동하여, 트레이(3)는 공간 ES 내에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르면, 본체(201)의 상방에 큰 공간을 확보할 수 없을 경우에도, 카트리지(8)를 문제없이 교환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연동 수단(170)은, 유저가 도어(개폐 가능 부재)(2)를 개방하는 동작에 연동하는 트레이(5)의 외측 위치 OP를 향한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체(7)를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저가 도어(2)를 개방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5)는 외측 위치 OP를 향해 이동된다. 그리고, 외측 위치 OP를 향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체(7)는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이동된다. 또한, 도어(2)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5)는, 내측 위치 IP를 향해 이동된다. 그리고, 내측 위치 IP를 향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체(7)는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이동된다. 트레이(5)는 가이드(11)에 의해 지지된다. 가이드(11)는, 도어(2)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5)와 함께 이동된다. 도어(2)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는 트레이(5)의 이동은, 가이드(11)를 통해서 행해진다. 가이드(11)와 지지체(7)에는 연동 수단(170)이 설치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실시예 3에 따른 연동 수단(170)의 사시도이다. 실시예 3에 따른 연동 수단(170)은, 도어(2)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지지체(7)를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이동시킨다. 또한, 연동 수단(170)은, 도어(2)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여, 지지체(7)를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이동시킨다. 이하, 실시예 3에 따른 연동 수단(17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a는, 도어(2)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연동 수단(17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가이드(11)는, 트레이(5)를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연동 수단(170)은, 결합 돌출부(제5 결합부)(70)와, 결합 홈부(제6 결합부)(71)와, 돌기부(제7 결합부)(74)와, 홈부(제8 결합부)(72)를 갖는다. 돌출부(70)는 가이드(11)에 설치된다. 돌출부(70) 각각은 제1 가이드 사면(70a)을 갖는다. 홈부(71)는 지지체(7)에 설치된다. 홈부(71) 각각은 제2 가이드 사면(71a)을 갖는다. 제2 가이드 사면(71a)은 제1 가이드 사면(70a)과 결합한다. 홈부(72)는 본체에 설치되고, 본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기부(74)는 지지체(7)의 측판(7b(7a))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지지체(7)의 돌기부(74)는 본체의 홈부(72)에 삽입되어, 홈부(72)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돌기부(74)와 홈부(72)의 결합에 의해, 본체에 대한 지지체(7)의 전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것에 의해, 지지체(7)는 본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압축 스프링(탄성 부재)(73)은, 홈부(72) 내에서 본체(1)와 돌기부(74) 사이에 배치된다. 스프링(73)의 탄성력은, 지지체(7)를 노광 위치 LP로 바이어스한다(인장한다). 지지체(7)의 퇴피 위치 RP는 노광 위치 LP의 바로 위(연직 방향의 상방)에 위치한다. 퇴피 위치 RP는, 정확하게, 노광 위치 LP를 통과하는 연직선 위에 있을 필요는 없다는 것을 유의한다. 퇴피 위치 RP는, 상기 연직선으로부터 약간 어긋나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체의 홈부(72)를 상기 연직선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해도 된다.
도 10b는, 도어(2)가 개방될 때의 연동 수단(17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유저가 도어(2)를 개방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링크(29)가 가이드(11)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와 동시에, 링크(29)는 가이드(11)를 인출 방향 X로 소정 거리로 인출한다. 따라서, 가이드(11)는, 도어(2)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인출 방향 X의 하류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가이드(11)에 의해 지지되는 트레이(5)도, 도어(2)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가이드(11)와 함께 외측 위치를 향해 소정량만큼 상방으로 이동된다. 가이드(11)가 인출 방향 X로 소정 거리만큼 인출되면, 제1 가이드 사면(70a)과 제2 가이드 사면(71a)의 결합에 의해, 지지체(7)는 가이드(11)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된다. 돌기부(74)와 홈부(72)의 결합에 의해, 지지체(7)는 인출 방향 X로 이동되지 않고, 본체(1)에 대하여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연직 방향으로만 이동됨)는 것을 유의한다. 즉, 지지체(7)가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이동될 때, 발광 부재(9)는 드럼(12)의 축에 평행하게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지지체(7)가 퇴피 위치 RP로 이동되므로, 복수의 발광 부재(9)를 동시에 퇴피시킬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가 개방된 상태에서, 돌출부(70)의 최상부(70b)는 지지체(7)의 측판(7b(7a))의 저부(7c)를 지지한다. 최상부(70b)가 저부(7c)를 지지함으로써, 지지체(7)는 퇴피 위치 RP에 지지된다(유지된다). 이때, 최상부(70b)는, 지지체(7)가 스프링(73)의 탄성력(바이어스력)에 의해 노광 위치 LP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것을 규제한다. 발광 부재(9)는, 트레이(5)가 외측 위치 OP와 내측 위치 IP 사이에서 이동되는 이동 경로 MP로부터 퇴피된다. 따라서, 트레이(5)는, 발광 부재(9)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외측 위치 OP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도어(2)를 폐쇄하면, 링크(29)는 가이드(11)를 압입 방향의 하류(인출 방향 X의 상류) 및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가이드(11)에 의해 지지되는 트레이(5)도, 도어(2)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여, 가이드(11)와 함께 내측 위치 IP를 향해 소정량만큼만 하방으로 이동된다. 가이드(11)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지지체(7)는, 직하방으로만(연직 방향 하방으로만) 이동된다. 가이드(11)가 인출 방향 X의 상류로 이동되면, 최상부(70b)와 저부(7c)의 결합이 해제되고, 계속해서, 제1 가이드 사면(70a)은 제2 가이드 사면(71a)과 결합한다. 도어(2)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여 가이드(11)가 더 압입되면, 제2 가이드 사면(71a)이 제1 가이드 사면(70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제2 가이드 사면(71a)의 하방으로의 이동에 따라, 지지체(7)는 가이드(11)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된다. 돌기부(74)와 홈부(72)의 결합에 의해, 지지체(7)는, 압입 방향 Y로는 이동되지 않고, 본체(1)에 대하여 하방으로(연직 방향 하방으로만)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즉, 지지체(7)가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이동될 때, 발광 부재(9)는 드럼(12)의 축에 평행하게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발광 부재(9)가 받침점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될 경우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작은 공간에서도, 발광 부재(9)(발광 소자(6))가 노광 위치 LP와 퇴피 위치 RP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도어(2)가 폐쇄될 때, 지지체(7)는 노광 위치 LP에 위치한다(도 10a).
실시예 3에 따르면, 유저에 의한 도어(2)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가이드(11)가 인출 방향 X의 하류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트레이(5)는 가이드(11)에 의해 지지되므로, 도어(2)의 개방 동작에 연동해서, 트레이(5)는 가이드(11)와 함께 인출 방향 X의 하류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트레이(5)와 가이드(11)의 외측 위치 OP를 향한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체(7)는 연동 수단(170)에 의해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이동된다. 한편, 유저에 의해 행해지는 도어(2)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여, 가이드(11)는 인출 방향 X의 상류의 하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가이드(11)에 의해 지지되는 트레이(5)는, 도어(2)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여, 가이드(11)와 함께 인출 방향 X의 상류의 하방으로 이동된다. 트레이(5)와 가이드(11)의 내측 위치 IP를 향한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체(7)는, 연동 수단(170)에 의해, 자동적으로,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동 수단(170)은, 가이드(11)에 설치된 결합 돌출부(70), 및 가이드(11)에 대하여 지지체(7)를 이동시키기 위해 지지체(7)에 설치되고 결합 돌출부(70)와 결합하는 결합 홈부(71)를 갖는다. 또한, 연동 수단(170)은, 지지체(7)에 설치된 돌기부(74), 및 본체(201)에 대하여 지지체(7)를 이동시키기 위해 본체(201)에 설치되고 돌기부(74)와 결합하는 홈부(72)를 갖는다. 지지체(7)는, 외측 위치 OP를 향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돌출부(70)와 홈부(71)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11)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지지체(7)는, 돌기부(74)와 홈부(72)의 결합에 의해 본체(201)에 대하여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지지체(7)는,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지지체(7)는, 내측 위치 IP를 향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돌출부(70)와 홈부(71)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11)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된다. 또한, 지지체(7)는, 돌기부(74)와 홈부(72)의 결합에 의해, 본체(201)에 대하여 하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지지체(7)는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따른 연동 수단(170)은, 가이드(11)에 설치된 돌출부(70)와, 지지체(7)에 설치된 홈부(71)와, 지지체(7)에 설치된 돌기부(74)와, 본체(1)에 설치된 홈부(72)를 갖는다. 유저가 도어(2)를 개방하는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5)는 외측 위치 OP를 향해 이동된다. 그리고, 연동 수단(170)은, 외측 위치 OP를 향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지지체(7)를 본체(1) 내의 퇴피 위치 RP로 이동시킨다. 지지체(7)가 퇴피 위치 RP로 이동되므로, 복수의 발광 부재(9)를 동시에 자동적으로 퇴피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트레이(5)를 인출하는 동작만으로 카트리지(8)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트레이(5)를 본체(1)로부터 인출할 때, 지지체(7)는 본체(1)의 외측으로 나오지 않는다.
전술한 각각의 실시 형태에서는, 카트리지로서 소위 일체형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이용한 예를 설명했다는 것을 유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이용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8)로서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카트리지가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카트리지(8)가, 트레이(5)의 이동 방향에 따르는(평행한) 카트리지(8)의 길이 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트레이(5)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12)은 카트리지로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8)에 설치되고, 감광체 드럼(12)은, 카트리지(8)가 트레이(5)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트레이(5)에 부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감광체 드럼(12)이 트레이(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전술한 각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체(발광 부재 지지체)(7)를 조작하는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외측 위치 OP를 향한 트레이(카트리지 지지 부재)(5)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체(7)를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내측 위치 IP를 향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체(7)를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외측 위치 OP를 향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체(7)를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내측 위치 IP를 향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하여, 지지체(7)를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있어서 연동 수단(130)을 예시하고, 실시예 3에 있어서 연동 수단(170)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이 연동 수단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유의한다. 연동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프링, 링크, 및 압축 공기 등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발광 부재(9)가 노광 위치 LP와 퇴피 위치 RP 사이에 있을 수 있도록, 발광 부재(9)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광 부재(9)의 길이 방향의 일단과 타단이 본체측 가이드(예를 들면, 홈)와 결합된다. 그리고, 발광 부재(9)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에 따라 드럼(1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발광 부재(9)는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이동된다. 또한, 발광 부재(9)는 레버 등을 이용하여 가이드에 따라 드럼(1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발광 부재(9)는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이동된다. 연동 수단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연동 수단은, 예를 들면,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해서 회전하는 캠 부재를 본체(1)에 설치하고, 캠 부재와 결합하는 종동자(follower)를 지지체(7)에 설치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외측 위치 OP를 향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해서 캠 부재가 회전되고, 캠 부재와 결합하는 종동자에 의해 지지체(7)가 노광 위치 LP로부터 퇴피 위치 RP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위치 IP를 향한 트레이(5)의 이동에 연동해서 캠 부재가 회전되고, 캠 부재와 결합하는 종동자에 의해 지지체(7)가 퇴피 위치 RP로부터 노광 위치 LP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하기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형과, 등가의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본 출원은 2009년 8월 27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196714호 및 2009년 12월 22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9-290041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괄된다.

Claims (20)

  1.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장치 본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위치와, 상기 장치 본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카트리지 지지 부재와,
    상기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가 상기 내측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을 노광하기 위해서 화상 정보에 따라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갖는 발광 부재와,
    상기 발광 부재를 지지하는 발광 부재 지지체이며,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발광하여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을 노광하는 노광 위치와,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가 상기 노광 위치에 위치될 때보다, 상기 발광 부재가 상기 노광 위치로부터 더 퇴피되고 상기 발광 부재가 상기 장치 본체의 내측에 위치되는 퇴피 위치 사이에 상기 발광 부재가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발광 부재를 지지하는 발광 부재 지지체와,
    상기 내측 위치로부터 상기 외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를 상기 노광 위치로부터 상기 장치 본체 내의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외측 위치로부터 상기 내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를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노광 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외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를,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가 상기 내측 위치로부터 상기 외측 위치로 이동되는 인출 방향에 있어서 상기 노광 위치의 하류의 상방에 있는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를 통과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내측 위치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외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를 상기 노광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외측 위치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를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노광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에 설치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에 대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1 결합부에 의해 가압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에 설치된 제3 결합부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3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4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는, 상기 연동 수단의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에 대하여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동 수단의 상기 제3 결합부와 상기 제4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경사 방향의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는 상기 노광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내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는, 상기 연동 수단의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를 향해서 연직 방향의 하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동 수단의 상기 제3 결합부와 상기 제4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경사 방향의 하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는,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노광 위치로 이동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사이에 설치된 마찰 저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외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를, 상기 노광 위치의 연직 방향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를 통과시키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개폐 가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 가능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는 상기 외측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외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는 상기 노광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개폐 가능 부재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는 상기 내측 위치를 향하여 이동되고, 상기 내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는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노광 위치로 이동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가 상기 외측 위치와 상기 내측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를 안내하는 본체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본체 가이드에 설치된 제5 결합부와,
    상기 본체 가이드에 대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5 결합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5 결합부에 의해 가압되는 제6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수단은,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에 설치된 제7 결합부와,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7 결합부와 결합하는 제8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는, 상기 연동 수단의 상기 제5 결합부와 상기 제6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본체 가이드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동 수단의 상기 제7 결합부와 상기 제8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상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는 상기 노광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내측 위치를 향하는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는, 상기 연동 수단의 상기 제5 결합부와 상기 제6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본체 가이드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동 수단의 상기 제7 결합부와 상기 제8 결합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장치 본체에 대하여 하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되어,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는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노광 위치로 이동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발광 부재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결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전후 규제부와,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좌우 규제부와,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에 설치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위치를 규제하는 높이 규제부를 포함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가 상기 노광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위치 결정 부재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을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으로부터 등간격으로 위치 결정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원고를 판독하는 원고 판독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는,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를 수납하도록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배출 트레이를 갖고,
    상기 배출 트레이는, 상기 원고 판독 장치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 트레이와 상기 원고 판독 장치 사이에, 화상이 형성된 상기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배출 공간을 한정하고,
    상기 노광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의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배출 트레이는 상기 배출 공간 내에서 이동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 지지체가 상기 노광 위치와 상기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때, 상기 발광 부재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의 축에 평행하게 직선적으로 이동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은, 상기 카트리지로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설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에 부착되거나, 또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은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지지 부재는, 옐로우 현상제에 대응하는 카트리지와, 마젠타 현상제에 대응하는 카트리지와, 시안 현상제에 대응하는 카트리지와, 블랙 현상제에 대응하는 카트리지를 지지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7007027A 2009-08-27 2010-01-2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1402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96714 2009-08-27
JP2009196714 2009-08-27
JP2009290041A JP4678889B2 (ja) 2009-08-27 2009-12-22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JP-P-2009-290041 2009-12-22
PCT/JP2010/051073 WO2011024491A1 (en) 2009-08-27 2010-01-21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6849A KR20120056849A (ko) 2012-06-04
KR101402546B1 true KR101402546B1 (ko) 2014-05-30

Family

ID=4204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027A KR101402546B1 (ko) 2009-08-27 2010-01-21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737871B2 (ko)
JP (1) JP4678889B2 (ko)
KR (1) KR101402546B1 (ko)
CN (2) CN102483603B (ko)
WO (1) WO2011024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0294B2 (en) * 2008-04-25 2012-04-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oving mechanism for moving exposure member relative to photoconductor
JP4678889B2 (ja) * 2009-08-27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539036B2 (ja) * 2010-06-02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120064766A (ko) * 2010-12-10 201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US8583004B2 (en) * 2010-12-27 2013-11-1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xposure unit moving mechanism
JP5338820B2 (ja) * 2011-01-14 2013-11-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84475B2 (ja) 2011-12-26 2016-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29174B2 (ja) 2011-12-26 2016-06-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867711B2 (ja) 2012-01-27 2016-02-24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3228665A (ja) * 2012-03-30 2013-11-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634443B2 (ja) * 2012-06-28 2014-12-0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40599B2 (ja) * 2012-07-10 2016-12-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75862B2 (ja) * 2013-03-29 2017-08-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4102116A (zh) * 2013-04-03 2014-10-15 夏普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US9488928B2 (en) * 2014-09-03 2016-11-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guide for exposure unit
JP6439374B2 (ja) 2014-10-22 2018-12-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81395B2 (ja) 2015-02-06 2019-03-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90457B2 (ja) 2015-02-06 2018-09-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09602B2 (ja) 2015-02-06 2018-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移動部材
JP6414480B2 (ja) 2015-02-06 2018-10-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09603B2 (ja) 2015-02-06 2018-10-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32375B2 (ja) 2015-02-06 2018-12-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428332B2 (ja) 2015-02-06 2018-11-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90519B1 (ja) * 2016-06-30 2017-03-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露光装置 画像形成装置
JP6881953B2 (ja) 2016-11-16 2021-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8957995A (zh) * 2017-05-18 2018-12-07 佳能株式会社 成像装置
JP2019003111A (ja) * 2017-06-16 2019-01-1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19003110A (ja) * 2017-06-16 2019-01-1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プリントヘッド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7009135B2 (ja) * 2017-09-25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74020B2 (ja) * 2020-03-02 2023-11-0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露光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474449B2 (en) 2020-06-12 2022-10-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ual operation
KR20220020777A (ko) * 2020-08-12 2022-02-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9696A1 (en) 2007-03-09 2008-09-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304860A1 (en) 2007-04-27 2008-12-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190953A1 (en) 2008-01-24 2009-07-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7624A (en) 1988-05-02 1990-06-26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for storing developing units
US4937626A (en) 1988-05-06 1990-06-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3251425B2 (ja) 1994-04-28 2002-0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3167084B2 (ja) 1994-08-31 2001-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201940A (ja) 2000-01-14 2001-07-27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084559A (ja) 2001-07-04 2003-03-19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6915094B2 (en) 2002-01-16 2005-07-05 Canon Kabushiki Kaisha Composition for accessing a memory in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essing a memory in image formation apparatus
JP2004205872A (ja) 2002-12-26 2004-07-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4262044B2 (ja) 2003-10-10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ローラ、電子写真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07767B2 (ja) * 2003-12-16 2009-01-14 村田機械株式会社 光書込ヘッドの位置決め構造
JP2007140392A (ja) * 2005-11-22 2007-06-07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7587149B2 (en) 2005-12-13 2009-09-0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8134529A (ja) * 2006-11-29 2008-06-1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4841000B2 (ja) 2006-12-11 2011-12-21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容器、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902376B2 (ja) 2007-02-01 2012-03-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23210B2 (ja) * 2007-03-09 2013-06-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8221587A (ja) 2007-03-12 2008-09-2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5045306B2 (ja) * 2007-08-21 2012-10-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77161B2 (ja) 2007-08-31 2012-02-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67774B2 (ja) 2007-11-14 2013-03-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14171B2 (ja) 2007-11-21 2014-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9192624A (ja) * 2008-02-12 2009-08-27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586877B2 (ja) * 2008-04-25 2010-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71287B2 (ja) 2008-05-27 2013-1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9290041A (ja) 2008-05-30 2009-12-10 Renesas Technology Corp 異常回覧システム
JP2009196714A (ja) 2009-04-16 2009-09-03 Neochemir Inc 包装体
JP4678889B2 (ja) * 2009-08-27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539038B2 (ja) * 2010-06-02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9696A1 (en) 2007-03-09 2008-09-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304860A1 (en) 2007-04-27 2008-12-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190953A1 (en) 2008-01-24 2009-07-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175416A (ja) * 2008-01-24 2009-08-06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070142A (ja) 2011-04-07
US20140210929A1 (en) 2014-07-31
CN104360589A (zh) 2015-02-18
US9146492B2 (en) 2015-09-29
CN102483603A (zh) 2012-05-30
CN104360589B (zh) 2018-11-09
KR20120056849A (ko) 2012-06-04
CN102483603B (zh) 2014-11-12
WO2011024491A1 (en) 2011-03-03
JP4678889B2 (ja) 2011-04-27
US8737871B2 (en) 2014-05-27
US20120114374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2546B1 (ko)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5539038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18009541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54375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7682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artridge supporting member and preventing members for ensuring mounting of cartridges in associated mounting portions
US87682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2035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member configured to clean a transparent member of an optical device
JP2011070143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67774B2 (ja) 画像形成装置
US934830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cartridge that includes and image bearing member
US1050936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movable cartridges mounted on tray
US11086269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3006950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963517B2 (ja) 画像形成装置
KR20220014663A (ko) 중간 전사 벨트의 착탈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