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6514B1 -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 Google Patents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6514B1
KR101396514B1 KR1020140017827A KR20140017827A KR101396514B1 KR 101396514 B1 KR101396514 B1 KR 101396514B1 KR 1020140017827 A KR1020140017827 A KR 1020140017827A KR 20140017827 A KR20140017827 A KR 20140017827A KR 101396514 B1 KR101396514 B1 KR 101396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water
discharge pipe
dam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4001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4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surface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에서 다수의 금속제 유닛으로 분할 제작한 후 조립식 공법을 통해 수중에서 설치하는 취수탑의 부대설비 중, 취수탑본체 내로 취수되어진 원수를 방류시키기 위해 취수탑 본체와 접속되는 방류관과 댐 본체를 관통하는 도수관을 수중에서 긴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COUPLING STRUCTURE OF LEADING PIPE FOR UNDERWATER PREFABRICATING INTAKE TOWER}
본 발명은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에서 다수의 금속제 유닛으로 분할 제작한 후 조립식 공법을 통해 수중에서 설치하는 취수탑의 부대설비 중, 취수탑본체 내로 취수되어진 원수를 방류시키기 위해 취수탑 본체와 접속되는 방류관과 댐 본체를 관통하는 도수관을 수중에서 긴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취수탑은 강이나 댐 또는 저수지 등에 설치되어 관개용수, 생활용수, 공업용수 등으로 쓰기 위해 필요한 원수를 취수하여 하류지역 또는 필요한 지역에 공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취수탑은 통상적으로 저수지로 계획된 구역에 물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댐·제방 등의 건설과 동시에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시공하여 왔다.
따라서, 종래 취수탑을 건설함에 있어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따른 시공기간이 긴 단점은 있으나, 수중작업이 거의 없거나 극히 미소하기 때문에 취수탑 본체의 구축은 물론 그에 따른 부대설비를 시공하는데 그다지 큰 어려움을 겪지 않았다.
한편, 근래에 들어서 하류 지역의 필요 용수량이 증대할 경우 기존에 건설된 저수지 내에 하류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취수탑의 증설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미 건설되어 저수량을 확보하고 있는 저수지 내에서 취수탑 본체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할 경우에는 수중콘크리트작업으로 인한 여러 난관에 부닥치게 되며, 취수탑의 방류관, 도수관 등의 부대설비를 설치하는 데에도 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현재 국내에서는 하류에서 물부족 사태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공사를 시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이미 건설되어 저수량을 확보하고 있는 저수지 내에 하류측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 취수탑을 증설하기 위해서는 취수탑을 수중에서 원활하게 건설할 수 있는 새로운 공법의 개발이 피할 수 없는 과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262901호(2002.01.18.)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구조"가 있다.
개선된 종래기술에서는 취수탑을 여러 개의 금속제 유닛들로 분할하여 지상에서 미리 제작한 후, 이들 유닛들을 설치현장으로 운반하여 하저 바닥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조립하면서 구축하는 조립식 취수탑 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선된 종래기술의 경우, 차수하우징 내부로의 물 침투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262901호(2002.01.18.)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구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조립식으로 구축되어지는 취수탑 본체와 접속되는 방류관과 댐의 콘크리트벽을 관통하는 도수관을 수중에서 연결·설치함에 있어 관의 이음 위치에 차수하우징을 설치하여 물막이를 한 다음 용접 등을 통한 방류관과 도수관의 이음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신속·용이하면서도 긴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를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을 차단하여 가두어 주도록 설치된 댐 본체(100)의 소정위치에 상하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굴착구멍(10)과; 저수지내 수중에서 조립식으로 구축되어지는 취수탑 본체(200)의 하부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굴착구멍(10)쪽으로 연장되는 방류관(20)과; 상기 방류관(20)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일타측이 개방되는 중공관체로서, 그 일측면판(32)에 뚫린 접속구멍(32a)을 통해 상기 방류관(20)의 타단부가 통과하면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차수하우징(30)과; 상기 차수하우징(30)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방류관(20)의 타측부 외주면에 고착되는 서포팅플랜지(40)와; 상기 차수하우징(30)의 접속구멍(32a)이 형성된 일측면판(32)을 사이에 끼고 다수의 조정볼트(B)들과 너트(N)들을 통해 상기 서포팅플랜지(40)와 긴결되는 1쌍의 패킹플랜지(50)와; 상기 차수하우징(30)의 접속구멍(32a)과 상기 패킹플랜지(50)들의 단면 틈새를 밀봉시키는 1쌍의 러버시일재(60)와; 상기 차수하우징(30)의 타단 둘레를 따라 부착되고, 상기 댐 본체(100)의 상류쪽 벽면에 밀착되는 지수고무재(70)와; 상기 방류관(20)의 타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댐 본체(100)의 굴착구멍(10)내를 통과하여 댐의 하류쪽으로 연장되는 도수관(80);으로 구성되는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류관(20)의 타단부 내측에는 다수의 볼밸브(21)들이 설치되며, 이 볼밸브(21)들을 통해 상기 방류관(20) 외면과 차수하우징(30) 내면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밀실하게 채워 넣어 상기 댐 본체(100)의 상류쪽 벽면에 접합시키고; 상기 지수고무재(70)가 설치된 하방위치의 댐 본체(100)에는 실리콘 재질로 된 본체밀봉재(300)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밀봉재(300)는 상기 댐 본체(10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 요입된 상태로 끼워지게 배치되며, 고정앵커(310)를 통해 댐 본체(100) 상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밀봉재(300)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씰링홈(32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차수하우징(30)의 관체(31) 하부에는 고정판(400)이 수직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400)의 전면에는 밀착실린더(410)의 후단이 고정되고; 상기 밀착실린더(410)의 전단에는 밀착로드(420)가 출몰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밀착로드(420)의 단부에는 'ㄷ'형상의 지지브라켓(430)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브라켓(430)에는 씰링연결판(440)이 고정되며; 상기 씰링연결판(440)에는 실리콘 재질의 씰링플레이트(450)가 교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씰링플레이트(450)의 전면에는 상기 씰링홈(320)과 대응되는 개소에 상기 씰링홈(320)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씰링돌기(452)가 돌출되며; 상기 씰링연결판(440)의 상단에는 타측링(35)의 일측단면 상에 접촉지지되는 밀착씰링부(442)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식으로 구축되어지는 취수탑 본체와 접속되는 방류관과 댐의 콘크리트벽을 관통하는 도수관을 수중에서 연결·설치함에 있어 이음 위치에 차수하우징을 설치하여 물막이를 한 다음 용접 등을 통한 방류관과 도수관의 이음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2개의 관을 긴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음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조립식 취수탑을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조립식 취수탑을 나타낸 설치상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1의 "A"부를 확대한 반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차수하우징의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구조의 구성중 방류관과 차수하우징의 접속부분 및 지수고무재와 댐 본체의 밀착부분을 나타낸 상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0262901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0262901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0262901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구성 일부를 개선한 추가 실시예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0262901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 본체(100)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굴착구멍(10)과, 취수탑 본체(200)에 접속되는 방류관(20)과, 방류관(20)의 타단부를 수용하는 차수하우징(30)과, 차수하우징(30)의 타측부에 구비되는 1쌍의 서포팅플랜지(40)와, 차수하우징(30)과 서포팅플랜지(40)의 접속부위를 밀폐시키는 1쌍의 패킹플랜지(50) 및 1쌍의 러버시일재(60)와, 차수하우징(30)과 댐 본체(100)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지수고무재(70)와, 상기 방류관(20)의 타단에 연결되는 도수관 (8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류관(20), 차수하우징(30), 서포팅플랜지(40), 도수관(80)은 금속제이며, 내부식성 향상을 위해 외표면이 세라믹 코팅으로 처리된다.
상기 굴착구멍(10)은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을 차단하여 가두어 주도록 설치된 댐 본체(100)를 상하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이 굴착구멍(10)은 도3의 도시와 같이, 추후에 설치되는 도수관(80)이 넉넉히 통과할 수 있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방류관(20)은 그 일측이 취수탑 본체(200)의 외통(201)을 관통하면서 수중 전동식 버터플라이 밸브(202)를 통해 취수탑 본체(200)의 내통과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이 댐 본체(100)에 형성된 상기 굴착구멍(10)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방류관(20)은 도3의 도시와 같이 그 끝단이 상기 도수관(80)의 일단과 알맞도록 경사지게 좁아들면서 마감되며, 경사진 부분의 일측에 다수의 볼밸브(21)들이 설치된다.
상기 차수하우징(30)은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기술 구성요소로서, 상기 방류관(20)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일타측이 개방되는 중공관체의 모습으로 형성된다.
이 차수하우징(30)은, 도3 및 도4의 도시와 같이, 측벽면을 이루는 대구경의 관체(31)와, 관체(31)의 일측 개구부에 용착되며 중앙부에 상기 방류관(20)이 통과되게 한 접속구멍(32a)을 구비하는 일측면판(32)과, 접속구멍(32a)의 단면을 따라 용착되는 일측링(33)과, 관체(31)의 내주벽면에 용착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다수의 내측리브(34)들과, 관체(31)의 타단면 둘레를 따라 용착되는 타측링(35)과, 관체 (31)의 외주벽면과 타측링(35)의 일측면에 함께 부착되는 외측리브(36)로 구성된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방류관(20) 외면과 차수하우징(30) 내면 사이의 공간에는 상기 방류관(20)에 설치된 볼밸브(21)를 통해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채워져 댐 본체(100)의 상류쪽 벽면에 접합된다.
상기 서포팅플랜지(40)는 차수하우징(30)의 외주면에 위치하여 보강편(41)과 함께 용접으로 고정되며, 그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조정볼트(B)들이 끼워지도록 한 다수의 볼트구멍들이 형성된다.
상기 패킹플랜지(50)는 도5의 도시와 같이, L형의 단면을 가지는 독립된 링체로서, 상기 차수하우징(30)의 접속구멍(32a)이 형성된 일측면판(32)을 사이에 끼고 1쌍이 상호 마주보면서, 다수의 조정볼트(B)들과 너트(N)들을 통해 상기 방류관 (20)에 설치된 서포팅플랜지(40)와 긴결되어서 방류관(20)과 차수하우징(30)을 상호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러버시일재(60)는 방류관(20)과 차수하우징(30)의 접속이 완료된 후 차수하우징(30)의 내부로 물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도5의 도시와 같이 링 형상을 갖고 차수하우징(30)의 접속구멍(32a)과 상기 패킹플랜지 (50)들의 사이에 위치하여 단면 틈새를 밀봉시키는 부재이다.
상기 지수고무재(70)는 도5의 도시와 같이 상기 차수하우징(30)의 타단 둘레에 용착된 상기 타측링(35)에 나사를 통해 부착된다.
이 지수고무재(70)는 상기 댐 본체(100)의 상류쪽 벽면에 밀착되어 차수하우징(30)과 댐 본체(100)의 사이를 완전히 밀폐시킴으로써, 이 역시 상기 러버시일재 (60)와 마찬가지로 차수하우징(30)의 내부로 물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도수관(80)은 상기 방류관(20)의 타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댐 본체(100)의 굴착구멍(10)내를 통과하여 댐 본체 하류에 구축된 도수로(미도시)에 접속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가지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상에서 취수탑 본체(200)의 각 유닛들을 미리 제작하는데, 이때 앵커프레임(203)에 고정되어 취수탑 본체(200)의 하부를 형성하게 되는 제1바디유닛 (204)에 본 발명의 방류관(20)을 연결하고, 이 방류관(20)에 차수하우징(30), 서포팅플랜지(40), 패킹플랜지(50), 러버시일재(60) 및 지수고무재(70)를 일체로 조립한다.
이때, 방류관(20)의 타단 개구부는 막힘 후렌지판(22)을 용접하여 막아 놓으며, 지수고무재(70)는 추후 수중 설치시 댐 본체(100)의 상류쪽 벽과 대략 10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서포팅플랜지(40)와 패킹플랜지(50)를 긴결하고 있는 조정볼트(B)를 조정하여 제1바디유닛(204)쪽으로 들여서 조립한다.
취수탑 본체(200)를 이루는 각 유닛의 제작이 완료되면 바지선과 기중기선 등을 이용하여 각 구성 유닛을 설치현장의 수중으로 운반하여 취수탑 본체(200)를 조립하여 나가는데, 본 발명은 상기한 앵커프레임(203)과 제1바디유닛(204)의 설치와 함께 수중으로 유입된다.
앵커프레임(203)의 현장조정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서포팅플랜지(40)와 패킹플랜지(50)를 긴결하고 있는 조정볼트(B)를 조정하여 지수고무재(70)를 댐 본체 (100)의 상류쪽 벽면에 밀착시킨다.
이후, 볼밸브(21)를 열어 차수하우징(30)내에 차있는 물을 빼어내면 차수하우징(30)내가 대기압상태로 되면서 저수지 수압에 의해 지수고무재(70)가 댐 본체 (100)의 콘크리트 벽에 완전히 밀착하게 되어 지수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각 구성 유닛들을 조립하여 취수탑 본체(200)를 설치하며 취수탑 본체(200)의 설치가 완료된 후, 취수탑 본체(200)의 내부에 고인 물을 배수하고, 댐 본체(100)를 굴착하여 굴착구멍(10)을 형성하고 굴착구멍(10)의 내부에 도수관 (80)을 인입시킨다.
이와 동시에, 지수고무재(70)가 설치된 부분과 러버시일재(60)가 설치된 부분의 누수여부를 점검한다. 이때 누수여부는 설치전에 개방된 볼밸브(21)를 통해 확인하여 오인없이 확실하게 판정할 수 있다.
지수가 완벽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면 방류관(20)의 타단부를 막고 있는 막힘 후렌지판(22)을 둘레 방향으로 절단하고, 도수관(80)의 일단을 현장용접으로 연결한다.
최종적으로 방류관(20)의 타단부에 구비된 볼밸브(21)를 통하여 차수하우징 (30)의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미도시)를 밀실하게 주입하여 댐 본체(100)의 벽면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차수하우징(30)의 타단 둘레를 댐 본체(100)와 더욱 더 긴밀하게 밀봉할 수 있는 씰링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를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지수고무재(70)가 설치된 하방위치의 댐 본체(100)에는 본체밀봉재(30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밀봉재(300)는 상기 댐 본체(10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 요입된 상태로 끼워지게 배치되며, 고정앵커(310)를 통해 댐 본체(100) 상에 견고히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본체밀봉재(300)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지며, 그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씰링홈(320)이 요입 형성된다.
한편, 관체(31)의 하부에는 고정판(400)이 수직하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400)의 전면에는 밀착실린더(410)의 후단이 견고히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실린더(410)의 전단에는 밀착로드(420)가 출몰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밀착로드(420)의 단부에는 'ㄷ'형상의 지지브라켓(430)이 일체로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브라켓(430)에는 씰링연결판(440)이 고정되며, 상기 씰링연결판(440)에는 씰링플레이트(450)가 교체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씰링플레이트(450)도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씰링플레이트(450)의 전면에는 상기 씰링홈(320)과 대응되는 개소에 상기 씰링홈(320)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씰링돌기(452)가 돌출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씰링연결판(440)의 상단에는 타측링(35)의 일측단면 상에 접촉지지되는 밀착씰링부(442)가 더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밀착씰링부(442)는 상기 씰링연결판(440)의 상단 일부가 상향 돌출되게 연장형성된 것으로, 약간 반구형상에 가깝게 부풀어 오른 풍선형태로서 밀착력을 높여 씰링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댐 본체(100)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는 본체밀봉재(300) 측으로 씰링플레이트(450)가 밀착되면서 씰링돌기(452)가 씰링홈(320) 속으로 맞물려 들어가면서 일종의 메카니컬씰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밀봉성이 극대화된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에서는 상기 씰링플레이트(450)가 상기 밀착실린더(410)에 의해 항상 일정안 압력으로 본체밀봉재(300) 쪽으로 밀리게 유지되므로 씰링 안정성이 극대화된다.
때문에, 차수하우징(30) 주변에서의 누설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되어 도수관 연결구조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10:굴착구멍 20:방류관 21:볼밸브
22:후렌지판 30:차수하우징 32:일측면판
32a:접속구멍 33:일측링 34:내측리브
35:타측링 36:외측리브 40:서포팅플랜지
41:보강편 50:패킹플랜지 60:러버시일재
70:지수고무재 80:도수관 100:댐 본체
200:취수탑 본체

Claims (1)

  1. 상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물을 차단하여 가두어 주도록 설치된 댐 본체(100)의 소정위치에 상하류 방향으로 관통하는 굴착구멍(10)과; 저수지내 수중에서 조립식으로 구축되어지는 취수탑 본체(200)의 하부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굴착구멍(10)쪽으로 연장되는 방류관(20)과; 상기 방류관(20)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일타측이 개방되는 중공관체로서, 그 일측면판(32)에 뚫린 접속구멍(32a)을 통해 상기 방류관(20)의 타단부가 통과하면서 내측으로 삽입되는 차수하우징(30)과; 상기 차수하우징(30)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방류관(20)의 타측부 외주면에 고착되는 서포팅플랜지(40)와; 상기 차수하우징(30)의 접속구멍(32a)이 형성된 일측면판(32)을 사이에 끼고 다수의 조정볼트(B)들과 너트(N)들을 통해 상기 서포팅플랜지(40)와 긴결되는 1쌍의 패킹플랜지(50)와; 상기 차수하우징(30)의 접속구멍(32a)과 상기 패킹플랜지(50)들의 단면 틈새를 밀봉시키는 1쌍의 러버시일재(60)와; 상기 차수하우징(30)의 타단 둘레를 따라 부착되고, 상기 댐 본체(100)의 상류쪽 벽면에 밀착되는 지수고무재(70)와; 상기 방류관(20)의 타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댐 본체(100)의 굴착구멍(10)내를 통과하여 댐의 하류쪽으로 연장되는 도수관(80);으로 구성되는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류관(20)의 타단부 내측에는 다수의 볼밸브(21)들이 설치되며, 이 볼밸브(21)들을 통해 상기 방류관(20) 외면과 차수하우징(30) 내면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밀실하게 채워 넣어 상기 댐 본체(100)의 상류쪽 벽면에 접합시키고; 상기 지수고무재(70)가 설치된 하방위치의 댐 본체(100)에는 실리콘 재질로 된 본체밀봉재(300)가 구비되되, 상기 본체밀봉재(300)는 상기 댐 본체(100)의 표면으로부터 일정깊이 요입된 상태로 끼워지게 배치되며, 고정앵커(310)를 통해 댐 본체(100) 상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밀봉재(300)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의 씰링홈(32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차수하우징(30)의 관체(31) 하부에는 고정판(400)이 수직하게 고정되며; 상기 고정판(400)의 전면에는 밀착실린더(410)의 후단이 고정되고; 상기 밀착실린더(410)의 전단에는 밀착로드(420)가 출몰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밀착로드(420)의 단부에는 'ㄷ'형상의 지지브라켓(430)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지지브라켓(430)에는 씰링연결판(440)이 고정되며; 상기 씰링연결판(440)에는 실리콘 재질의 씰링플레이트(450)가 교체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씰링플레이트(450)의 전면에는 상기 씰링홈(320)과 대응되는 개소에 상기 씰링홈(320) 속으로 삽입될 수 있는 씰링돌기(452)가 돌출되며; 상기 씰링연결판(440)의 상단에는 타측링(35)의 일측단면 상에 접촉지지되는 밀착씰링부(442)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KR1020140017827A 2014-02-17 2014-02-17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KR101396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827A KR101396514B1 (ko) 2014-02-17 2014-02-17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827A KR101396514B1 (ko) 2014-02-17 2014-02-17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514B1 true KR101396514B1 (ko) 2014-05-20

Family

ID=5089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827A KR101396514B1 (ko) 2014-02-17 2014-02-17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5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183A (ko) 2019-01-02 2020-07-10 현대건설주식회사 내진보강말뚝과 변위제어슬래브를 이용한 파일 서포트 취수탑 및 취수탑 내진보강공법
KR102434028B1 (ko) * 2022-01-26 2022-08-23 주식회사 경림엔지니어링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901Y1 (ko) 2001-11-14 2002-03-18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901Y1 (ko) 2001-11-14 2002-03-18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4183A (ko) 2019-01-02 2020-07-10 현대건설주식회사 내진보강말뚝과 변위제어슬래브를 이용한 파일 서포트 취수탑 및 취수탑 내진보강공법
KR102434028B1 (ko) * 2022-01-26 2022-08-23 주식회사 경림엔지니어링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74310U (zh) 一种适用于高压富水区隧道减压排水装置
KR200399091Y1 (ko) 배관 차단용 핏팅
KR101396514B1 (ko)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JP2009180019A (ja) 透水セグメントおよびこの透水セグメントを用いたトンネル
JP2013253444A (ja) 多層式下水道管
CN109958119A (zh) 一种地下工程水位观测井施工方法
CN211690834U (zh) 止水带
CN110258516B (zh) 一种地下连续墙槽段接缝处渗漏水检测与修复设备及方法
KR200262901Y1 (ko)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구조
KR100623240B1 (ko)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CN204080862U (zh) 带耳环的穿墙防水短管
CN215053224U (zh) 一种地下室防水结构
CN212715245U (zh) 一种建筑给排水用具有防逆流功能的排水管道
JP2006161329A (ja) マンホールの更正方法
CN212983913U (zh) 一种承压降水管井封底自防水单向出水托板埋件
KR101143482B1 (ko) 상수관 비굴착 방식의 수격방지 공법 및 장치
JP5508229B2 (ja) 水路の切替え方法
KR200178968Y1 (ko) 조립체 맨홀
KR100694193B1 (ko) 방수밀폐형맨홀
KR101729735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용 수위상승장치
JP2013124720A (ja) 仕切弁装着部及び分岐管接続部を備えた管ユニット、並びに管ユニットを用いた分岐管路の設置方法
CN211574426U (zh) 一种建筑工程给排水管穿墙、板防渗装置
CN220134874U (zh) 一种注浆管
CN216194777U (zh) 一种新型深基坑支护止水组合设备
CN212452524U (zh) 一种埋藏式压力钢管外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