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5917B1 -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5917B1
KR101385917B1 KR1020120154924A KR20120154924A KR101385917B1 KR 101385917 B1 KR101385917 B1 KR 101385917B1 KR 1020120154924 A KR1020120154924 A KR 1020120154924A KR 20120154924 A KR20120154924 A KR 20120154924A KR 101385917 B1 KR101385917 B1 KR 101385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battery
electric vehicle
plug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4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혁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4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차의 통전 플러그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차의 후드를 여는 경우 혼을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은, 전기 모터; 상기 전기 모터를 가동시키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착탈가능한 통전 플러그; 상기 통전 플러그가 상기 배터리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인터락 감지부; 전기차의 후드의 개폐 여부를 탐지하는 후드 개폐 감지부; 외부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혼; 및 상기 인터락 감지부와 상기 후드 개폐 감지부에서 탐지된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통전 플러그가 상기 배터리로부터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혼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 {SAFETY ALARM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기차의 통전 플러그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차의 후드를 여는 경우 혼을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는 배터리의 전기 에너지로부터 구동 에너지를 얻으며, 배터리 수명이 다 되면 충전해서 사용하거나 배터리 자체를 교환하여 사용한다.
전기차는 고압의 전류를 전기 모터에 인가하며 그 외 부품들의 구동도 전기 에너지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운전자 등이 차량 점검 등을 위해 함부로 차량의 후드를 개방하고 엔진룸에 손대게 되면 감전 사고의 위험이 크다.
전기차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개특허 1998-029730는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충전지에 전기를 충전할 때 충전중임을 알리는 표시가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하며, 전기제어수단(MCU)를 통해 충전중에는 전동기의 작동이 자동정지되도록 함으로써 충전 방해를 막아 충전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한편 충전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공개특허 1999-0047657는 배터리 충전 중에는 운전자에 의한 시동 신호가 있어도 전기자동차의 시동이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충전 중 주행에 따른 충전장치의 물리적 파손 및 그에 따른 쇼트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공개특허 2011-0053046는 충전 플러그에 센싱 기능을 가지는 전극을 설치함으로써, 전기 자동차의 충전 시 사용자의 손이 접촉된 상태에서는 충전을 중단하게 하여 감전사고 등을 미리 예방할 수 있으며 안전하게 전기 자동차를 충전할 수 있는 방법을 개시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은 주로 전기차의 충전 중에 전기 흐름을 차단하여 감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려는 것으로, 일반적인 차량 점검을 위해 전기차 전체적으로 전류 흐름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운전자 등에게 주의를 환기시켜줄 수 있는 방법은 제안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전기차가 전체적으로 전류 흐름이 차단되었는지 여부를 운전자 등에게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공개특허 1998-029730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1998.07.25. 공개특허 1999-004765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1999.07.05. 공개특허 2011-0053046 (주식회사 에코카) 2011.05.19.
본 발명은 통전 플러그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차의 후드를 여는 경우 혼을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은, 전기 모터; 상기 전기 모터를 가동시키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착탈가능한 통전 플러그; 상기 통전 플러그가 상기 배터리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인터락 감지부; 전기차의 후드의 개폐 여부를 탐지하는 후드 개폐 감지부; 외부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혼; 및 상기 인터락 감지부와 상기 후드 개폐 감지부에서 탐지된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통전 플러그가 상기 배터리로부터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혼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 모터는 상기 후드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는 전기차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은,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단자와 접속되는 충전구; 상기 충전구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로 충전시키는 충전기; 상기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에 적정한 전압의 전기로 변환하거나,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가 전기차 내부의 각 부품의 전기 용량에 상응하도록 전압을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전기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 에너지를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전 플러그는, 상기 배터리에 접속하는 접속 핀; 및 상기 접속 핀과 접촉하여 통전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락 감지부는, 상기 접속 핀과 커넥터가 접촉하면서 흐르는 전류를 인지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후드 개폐 감지부는, 상기 후드의 걸쇠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전기차에 사용되는 전반적인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BCM(Body Control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안전 경보 방법은, 전기차의 배터리에 통전 플러그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인터락 감지부에서 탐지하는 단계; 전기차의 후드의 개폐 여부를 후드 개폐 감지부에서 탐지하는 단계; 상기 인터락 감지부와 상기 후드 개폐 감지부에서 탐지된 정보가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통전 플러그가 상기 배터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혼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락 감지부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구비하여, 상기 통전 플러그의 접속 핀과 커넥터가 접촉하면서 흐르는 전류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후드 개폐 감지부는 후드의 걸쇠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구비하여, 걸쇠의 위치 변화에 따른 후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전기차에 사용되는 전반적인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BCM(Body Control Module)을 포함하며, 상기 BCM은 후드 걸쇠의 체결 여부를 확인하고, ECU와 상호 신호를 교신하면서 상기 통전 플러그의 접속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혼을 작동시켜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혼이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은 통전 플러그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차의 후드를 여는 경우 혼을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켜서 운전자 등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므로 감전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이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통전 플러그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통전 플러그 말단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안전 경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 경보 시스템(100)은 전기 모터(110), 배터리(120), 통전(通電) 플러그(130), 인터락(interlock) 감지부(140), 후드 개폐 감지부(150), 제어부(160) 및 혼(horn)(170)을 포함한다.
전기 모터(110)는 배터리(1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차량을 구동시킨다. 배터리(120)는 전기차 구동을 위해 고용량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전기 모터, 히팅 PTC, AC 컴프레서 등의 구동을 위한 400V 전압을 공급하거나, ABS, 에어백, AV 시스템, EPS, 미터, 에어컨 장치, 램프류 등의 구동을 위한 12V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전 플러그(130)는 배터리(120)의 측면에 착탈가능하며, 통전 플러그(130)가 배터리(120)에 장착되면, 배터리(120)의 전기 에너지가 전기차의 다른 부품들로 제공될 수 있고, 통전 플러그(130)가 배터리(120)로부터 제거되면, 배터리(120)의 전기 에너지 전달이 차단된다.
운전자 등이 전기차의 점검을 위해 후드를 개방하고 엔진룸을 살펴보고자 하는 경우, 미리 통전 플러그(130)를 배터리(120)로부터 제거하여 전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감전 사고를 미리 방지한다. 그러나, 운전자 등이 통전 플러그(130)를 배터리(120)로부터 제거하지 않았음에도 제거했다고 착각하거나 기타 사유로 통전 플러그(130)가 배터리(120)로부터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차 내부에 손대는 경우, 감전 사고의 위험 발생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전 플러그(130)가 배터리(120)로부터 물리적으로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운전자 등에게 경고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감전 사고의 발생을 미리 방지하고자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를 위해, 인터락 감지부(140)는 통전 플러그(130)가 배터리(120)로부터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통전 플러그(130)와 배터리(120)가 물리적으로 접속하면 통전이 이루어지면서 배터리(120)의 전기 에너지가 전기차의 다른 부품들에 제공될 수 있는데, 인터락 감지부(140)는 통전 플러그(130)와 배터리(120)의 접속 상태에 따른 전기 흐름을 감지하여 접속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후드 개폐 감지부(150)는 전기차의 후드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일반적으로, 후드는 차량의 전면에 위치하고, 걸쇠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걸쇠의 체결이 해제되면 위로 젖혀지면서 열릴 수 있다. 후드 개폐 감지부(150)는 이러한 후드의 걸쇠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걸쇠의 위치 변화에 따른 후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인터락 감지부(140)에서 감지한 통전 플러그(130)의 접속 상태 정보와 후드 개폐 감지부에서 감지한 후드의 개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혼(170)을 작동시키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통전 플러그(130)가 배터리(120)로부터 제거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후드 개방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60)는 혼(170)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등에게 경각심을 일깨울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이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차의 후드(10) 내측의 엔진룸에는 전기 모터(110), 충전구(112), 충전기(114), 컨버터(116), 감속기(118) 등이 구비된다.
충전구(112)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 스테이션(200)의 충전 단자(210)와 접속되는 부분이다. 충전 단자(210)가 충전구(112)에 접속하면 충전 스테이션(200)으로부터 전기 에너지가 전달되어 배터리(120)로 충전이 이루어진다.
충전기(114)는 충전구(112)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120)로 충전시키는 연결 박스이다. 컨버터(116)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120)에 적정한 전압의 전기로 변환하거나, 배터리(12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가 전기차 내부의 각 부품의 전기 용량에 상응하도록 전압을 변환한다.
감속기(118)는 전기 모터(110)에서 발생한 회전 에너지를 감속하며, 줄어든 속도 만큼의 에너지를 토크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 모터는 후드의 내측에 배치되며, 배터리는 전기차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통전 플러그(130)는 배터리(120)의 측면에 결합한다.
도 3은 통전 플러그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전 플러그(130) 말단의 한 쌍의 접속 핀(132a, 132b)이 배터리(120)에 접속하면, 배터리(120) 내부 회로의 단선 된 부분을 연결시킴으로써, 배터리(120)의 전기 에너지가 다른 부품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120)의 전기 에너지는 컨버터(116)를 통해 전기차 내부의 각 부품의 전기 용량에 상응하도록 전압이 변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통전 플러그 말단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하면, (A)는 통전 플러그 말단의 종단면도이며, (B)는 통전 플러그 말단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통전 플러그(130)가 배터리(120)에 접속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통전 플러그(130)의 한 쌍의 접속 핀(132a, 132b)은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이며, 접속 핀(132a, 132b)의 후단(133a, 133b)은 커넥터(134)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A)는 통전 플러그 말단의 종단면도이며, (B)는 통전 플러그 말단의 횡단면도를 나타내고, 통전 플러그(130)가 배터리(120)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통전 플러그(130)의 한 쌍의 접속 핀(132a, 132b)은 배터리(120)에 접속하면서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접속 핀(132a, 132b)의 후단(133a, 133b)이 커넥터(134)에 연결된다. 이는 전술한 도 3과 같은 상태이며, 접속 핀(132a, 132b)에 의해 배터리(120) 내부 회로의 단선 된 부분이 연결되면서 전기 에너지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통전 플러그(130)의 접속 핀(132a, 132b)은 배터리(120)에 탄성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접속 핀(132a, 132b)이 배터리(120)에 결합하면, 소정 거리 후방으로 이동하고, 배터리(120)로부터 분리되면, 후방으로 이동한 소정 거리만큼 다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의 안전 경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인터락 감지부(140)에서 통전 플러그(130)가 배터리(12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610). 만약, 통전 플러그(130)가 배터리(120)로부터 제거되었다면, 배터리(120)에 의한 전기 에너지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운전자 등은 차량 점검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전 플러그(130)의 말단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핀(132a, 132b)이 배설되고, 접속 핀(132a, 132b)과 배터리(120)의 물리적 접속 상태에 따라 통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속 핀(132a, 132b)과 배터리(120)가 접속되는 경우, 접속 핀(132a, 132b)이 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여 커넥터(134)와 접촉하면서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인터락 감지부(14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구비하여, 상기 전류의 흐름을 ECU에서 인지함으로써 통전 플러그(130)의 접속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후드 개폐 감지부(150)에서 후드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62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드 개폐 감지부(150)는 후드의 걸쇠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걸쇠의 위치 변화에 따른 후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만약, 후드가 개방되지 않았다면, 운전자 등에게 감전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으므로, 경보음 발생 등의 후속 조치가 이어지지 않는다.
만약, 후드가 개방되었다면, 통전 플러그(130)가 배터리(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후드 내부의 엔진룸에 전류가 잔류할 가능성이 크므로, 경보음을 발생시켜서 운전자 등의 주의를 환기시킬 필요가 있다.
제어부(160)는 인터락 감지부(140)에서 감지한 통전 플러그(130)의 접속 상태 정보와 후드 개폐 감지부에서 감지한 후드의 개폐 상태 정보를 바탕으로, 통전 플러그(130)가 배터리(120)로부터 제거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후드가 개방되는 경우 혼(170)에서 경보음이 발생하도록 제어한다(S630).
제어부(160)는 전기차에 사용되는 전반적인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BCM(Body Control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BCM은 후드 걸쇠의 체결 여부를 확인하고, ECU와 상호 신호를 교신하면서 통전 플러그(130)의 접속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혼(170)을 작동시켜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혼(170)이 작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후드
100: 안전 경보 시스템
110: 전기 모터
112: 충전구
114: 충전기
116: 컨버터
118: 감속기
120: 배터리
130: 통전 플러그
132: 접속 핀
133: 접속 핀의 후단
134: 커넥터
140: 인터락 감지부
150: 후드 개폐 감지부
160: 제어부
170: 혼
200: 충전 스테이션
210: 충전 단자

Claims (11)

  1. 전기 모터;
    상기 전기 모터를 가동시키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에 착탈가능한 통전 플러그;
    상기 통전 플러그가 상기 배터리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인터락 감지부;
    전기차의 후드의 개폐 여부를 탐지하는 후드 개폐 감지부;
    외부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혼; 및
    상기 인터락 감지부와 상기 후드 개폐 감지부에서 탐지된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통전 플러그가 상기 배터리로부터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혼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는 상기 후드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터리는 전기차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충전 스테이션의 충전 단자와 접속되는 충전구;
    상기 충전구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상기 배터리로 충전시키는 충전기;
    상기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배터리에 적정한 전압의 전기로 변환하거나, 배터리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에너지가 전기차 내부의 각 부품의 전기 용량에 상응하도록 전압을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전기 모터에서 발생한 회전 에너지를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 플러그는,
    상기 배터리에 접속하는 접속 핀; 및
    상기 접속 핀과 접촉하여 통전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감지부는,
    상기 접속 핀과 커넥터가 접촉하면서 흐르는 전류를 인지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개폐 감지부는,
    상기 후드의 걸쇠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기차에 사용되는 전반적인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BCM(Body Control Modu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8. 전기차의 배터리에 통전 플러그가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인터락 감지부에서 탐지하는 단계;
    전기차의 후드의 개폐 여부를 후드 개폐 감지부에서 탐지하는 단계;
    상기 인터락 감지부와 상기 후드 개폐 감지부에서 탐지된 정보가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상기 통전 플러그가 상기 배터리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혼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혼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감지부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구비하여, 상기 통전 플러그의 접속 핀과 커넥터가 접촉하면서 흐르는 전류를 인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개폐 감지부는 후드의 걸쇠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를 구비하여, 걸쇠의 위치 변화에 따른 후드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기차에 사용되는 전반적인 전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BCM(Body Control Module)을 포함하며, 상기 BCM은 후드 걸쇠의 체결 여부를 확인하고, ECU와 상호 신호를 교신하면서 상기 통전 플러그의 접속 여부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혼을 작동시켜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혼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의 안전 경보 방법.
KR1020120154924A 2012-12-27 2012-12-27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 KR101385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924A KR101385917B1 (ko) 2012-12-27 2012-12-27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4924A KR101385917B1 (ko) 2012-12-27 2012-12-27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917B1 true KR101385917B1 (ko) 2014-04-15

Family

ID=5065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4924A KR101385917B1 (ko) 2012-12-27 2012-12-27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9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671A (ko) * 2014-05-14 2015-1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조 배터리의 자동 충전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327U (ko) * 1996-09-23 1998-07-06 양재신 차량용 엔진후드의 열림경고장치
JP2000308210A (ja) 1999-04-22 2000-11-02 Fuji Heavy Ind Ltd ハイブリッド車
JP2004007985A (ja) 2003-06-11 2004-01-08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接続制御装置
KR20120025552A (ko) * 2009-12-21 2012-03-15 도요타 지도샤(주)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327U (ko) * 1996-09-23 1998-07-06 양재신 차량용 엔진후드의 열림경고장치
JP2000308210A (ja) 1999-04-22 2000-11-02 Fuji Heavy Ind Ltd ハイブリッド車
JP2004007985A (ja) 2003-06-11 2004-01-08 Toyota Motor Corp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接続制御装置
KR20120025552A (ko) * 2009-12-21 2012-03-15 도요타 지도샤(주) 충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671A (ko) * 2014-05-14 2015-11-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조 배터리의 자동 충전 장치 및 방법
KR102175393B1 (ko) 2014-05-14 2020-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조 배터리의 자동 충전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4150B1 (en) Battery controller
TWI446681B (zh) 電動車輛的充電控制裝置
JP4254894B1 (ja) 充電システムおよびその作動方法
US8896266B2 (en) Electric charging system and electric vehicle
EP2542439B1 (en) Vehicle with external charging
CN102510816B (zh) 车辆以及车辆的控制方法
JP5240462B2 (ja) 電気自動車の充電リレー溶着判定装置
JP5728831B2 (ja) 充電装置
JP2010238576A (ja) 充電システム、充電器、およびリレーの閉固着を検出する方法
TW200700256A (en) Battery pack management method for hev & ev
WO2011074244A1 (ja) 自動車用充電装置
CN204149971U (zh) 具有充电枪状态自动检测装置的电动汽车
JP2011120359A (ja) 給電装置、車両および充電システム
JP2015053825A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5411012B2 (ja) 充電ケーブル異常検出システム
CN104417366A (zh) 车辆一氧化碳检测***及方法
CN114475332A (zh) 用于电动化车辆的多充电接口监测和保护***
KR20130068993A (ko) 전기자동차 및 그 제어방법
KR101385917B1 (ko) 전기차의 안전 경보 시스템 및 안전 경보 방법
JP2015208190A (ja) 車載充電システム
JP5332629B2 (ja)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
JP5918103B2 (ja) 電力供給装置
JP3147203U (ja) 充電スタンド
JP2015089206A (ja) 車載充電システム
JP2013183591A (ja) 車両用充放電制御方法、車両内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車両電源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