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859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859B1
KR101366859B1 KR1020070110585A KR20070110585A KR101366859B1 KR 101366859 B1 KR101366859 B1 KR 101366859B1 KR 1020070110585 A KR1020070110585 A KR 1020070110585A KR 20070110585 A KR20070110585 A KR 20070110585A KR 101366859 B1 KR101366859 B1 KR 101366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ody
terminal body
terminal
displa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4466A (ko
Inventor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0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859B1/ko
Priority to EP08018812A priority patent/EP2056600A1/en
Priority to CN2008101731545A priority patent/CN101426041B/zh
Priority to US12/262,058 priority patent/US8229500B2/en
Publication of KR20090044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4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와 무선통신모듈을 갖는 단말기바디와, 단말기바디에 길이 방향으로 인접되게 배치되고 렌즈의 지향 방향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회전될 수 있게 단말기바디에 대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단말기바디에 결합되는 카메라바디 및, 카메라바디가 회전되었을 때 그 회전방향이 제1방향이면 디스플레이에 선택 가능한 제1모드세트를 출력시키고 제2방향이면 디스플레이에 선택가능한 제2모드세트를 출력시키는 모드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 기기이다.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기도 한다. 이들은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device) 형태로 구현되기도 한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된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개발되고 있다.
정보통신 분야가 발달함에 따라 전문가 집단이 아닌 일반인들도 기존의 미디어보다 빠르고 직접적인 정보들을 생산해 내면서, 이른바 UCC(User Created Contents) 문화를 형성하기도 한다. 사진이나 동영상을 인터넷에 업로드시킬 수 있는 UCC를 통하여 다른 이용자도 손쉽게 접근하고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휴대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는 카메라는 휴대 단말기가 갖는 무선송수신 기능과 결합되어 일반 사용자도 UCC를 생산하거나 서버장치 또는 인터넷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용이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의 지향 방향에 따라 그 방향에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는 모드로 바로 이행이 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전면에 피사체 및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무선통신모듈을 갖는 단말기바디와, 단말기바디에 길이 방향으로 인접되게 배치되고, 렌즈의 지향 방향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회전될 수 있게 단말기바디에 대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바디에 결합되는 카메라바디 및, 카메라바디가 회전되었을 때 그 회전방향이 제1방향이면 디스플레이에 선택 가능한 제1모드세트를 출력시키고, 제2방향이면 디스플레이에 선택가능한 제2모드세트를 출력시키는 모드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바디의 회전이 있으면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바디의 회전 방향에 맞게 선택 가능한 모드세트를 출력시킴으로써, 카메라바디의 상태에 맞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에는 터치입력을 할 수 있도록 터치 입력부가 구비됨으로써, 아이콘 또는 그래픽적으로 표시된 모드세트를 직접 터치시켜 조작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바디는 일정 회전각에서 단말기바디를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단말기바디를 거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바디가 지면에 대하여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경우에도, 카메라의 조작과 관련되는 정보는 올바르게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되므로 편의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카메라바디 및 단말기바디의 지면에 닿는 부위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구비됨으로써, 장시간의 화상 통화 또는 방송 수신시 흔들리지 않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1방향은 카메라바디의 회전 방향이 렌즈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모드세트는 사진촬영모드 및 동영상촬영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2방향은 카메라바디의 회전 방향이 렌즈가 사용자 쪽으로 가까와지는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모드세트는 제1모드세트에 사진 또는 동영상감상모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모드세트는 제1모드세트에 화상통화모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바디는 방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모드세트는 방송수신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카메라바디가 회전되었을 때, 단말기바디의 지 면에 대한 자세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촬영제어 정보를 지면에 대하여 정립된 상태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도록 단말기바디의 자세를 감지하는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는 단말기바디에 설치되어 지자기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 및 지자기센서의 감지신호를 받아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촬영제어 정보를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바디와 카메라바디 사이에는 카메라바디를 일정 각도마다 그 회전 각도에서 멈추도록 하는 힌지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모듈의 일 예로서, 단말기바디 또는 카메라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와. 단말기바디 또는 카메라바디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며 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이 구비된 제2힌지부재 및, 제1힌지부재에 구속되어 제1힌지부재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고 정지홈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돌기부가 정지홈에 자체 탄성작용에 의하여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탄성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힌지모듈의 다른 예로서, 단말기바디 또는 카메라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와, 단말기바디 또는 카메라바디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 및, 제1힌지부재에 구속되며 그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이 구비된 캠부재; 및 제2힌지부재에 구속되어 제2힌지부재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고 정지홈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돌기부가 정지홈에 탄성작용에 의하여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탄성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바디에는 카메라의 촬영과 관련되거나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재생 또는 편집시키기 위한 복수의 조작버튼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와 관련되는 조작버튼을 집중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한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조작버튼은 줌인/줌아웃 버튼, 촬영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바디와, 단말기바디의 상단 또는 하단에 그 렌즈의 방향이 디스플레이의 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단말기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특정 회전각에서 단말기바디와 조합되어 전체 형상이 바(BAR)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바디 및, 카메라바디가 회전되었을 때 그 회전방향이 제1방향이면 디스플레이에 선택 가능한 제1모드세트를 출력시키고 제2방향이면 디스플레이에 선택가능한 제2모드세트를 출력시키는 모드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카메라바디가 디스플레이가 설치된 단말기바디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으므로 여러 방향에 있는 피사체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보면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카메라바디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되었는가에 따라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이나 태스크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보여주고 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빠르고 정확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특징에 의하면,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에 의하여 카메 라바디가 회전되었을 때 단말기바디의 지면에 대한 자세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촬영제어 정보를 지면에 대하여 정립된 상태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므로, 사용자는 촬영시 피사체 외에 보여지는 카메라의 조작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과 관련된 일 특징에 의하면, 카메라 바디는 회전되어 단말기바디를 지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거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짐으로써, 카메라바디의 활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1)는 디스플레이(15)가 구비된 단말기바디(10)와 단말기바디(10)의 하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카메라바디(30)를 구비하고 있다.
단말기바디(10)는 거의 전면(全面)을 덮고 있는 윈도우(14)를 구비하고 있다. 윈도우(14)는 내부의 디스플레이(15)의 화면이 출력되도록 투광성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투광성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불투광성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바디(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윈도우(14)를 고정하는 프론트 케이스(11), 각종 내부 부품들을 지지하는 프레임 역할을 하는 미들 케이스(12) 및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13)로 구성된다. 다만, 케이스는 미들 케이스(12)가 생략되는 대신,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3)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윈도우(14)의 내측에는 디스플레이(15)와 음향 출력부(16)가 각각 배치된다. 디스플레이(15)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이 될 수 있다.
윈도우(14)와 디스플레이(15)의 사이에는 윈도우(14)에 가해지는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윈도우(14) 상의 임의의 지점에 대한 터치가 있으면 그 지점에 대응되는 항목이 입력된다.
음향 출력부(16)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는 통화음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각종 알림음 또는 멀티미디어의 재생음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는 무선 이동통신을 위한 수단을 갖출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바디(10)의 내부에는 전파 신호를 처리하여 통화가 가능한 음으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전파 신호로 처리하여 송신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단말기바디(10)의 측면에는 사이드키(17)와 외부 인터페이스(18)가 구비된 다. 사이드키(17)는 특정 기능을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출력되는 메뉴의 선택에 의하지 않고 곧바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18)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또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18)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적외선 포트(IrDA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인터페이스(18)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카메라바디(30)의 전면에는 카메라바디(30)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조작시키기 위한 조작버튼(34)이 구비된다. 조작버튼(34)은 줌인/줌아웃, 촬영을 위한 셔터, 또는 촬영모드 전환 등을 실행시키는 키들로 할당될 수 있다. 조작버튼(34)을 위한 키는 푸시방식에 의하여 동작시키거나 터치방식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조그 방식으로 입력되는 방식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외에도 조작버튼(34)은 휴대 단말기(1)의 특정 기능을 수행시키는 키로 할당될 수도 있다.
카메라바디(30)의 일측에는 통화음을 입력하거나 동영상촬영 또는 화상통화 시 음을 증폭시키는 마이크(33)가 구비되어 있다.
카메라바디(30)는 단말기바디(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의하면 렌즈(31)는 카메라바디(30)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렌즈(31)가 지향되는 방향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달리 설명하면, 렌즈(31)의 방향은 디스플레이(15)의 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상기 단말기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카메라바디(30)가 특정 회전각에 있을 때에는 도 1과 같이, 단말기바디(10)와 조합되어 전체 형상이 바(BAR)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과 같이 조작버튼(34)과 마이크(33)가 디스플레이(15)와 같은 면에 배치되어 전체 형상이 바 형태로 형성되는 때가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할 수 있으며, 카메라바디(30)가 임의의 회전각으로 회전될 때는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이라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바디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로서, 촬영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인 제1작동 상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카메라바디(30)는 단말기바디(10)에 대하여 정방향 즉, 카메라 렌즈(31)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 때 휴대 단말기(1)는 피사체에 대하여 촬영을 할 수 있으며, 찰영될 피사체는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미리 볼 수 있게 형성된다. 아울러, 디스플레이(15)는 촬영될 피사체 뿐만 아니라 촬영을 위해 설정된 각종 상태 또는 메뉴 등을 터치입력 가능한 아이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촬영될 피사체에 대한 줌인/줌아웃 또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성질 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5)에 대해 터치시키는 것 외에 카메라바디(30)를 쥔 상태에서 곧바로 조작버튼(34)을 조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바디(10)를 쥐고 있는 손과 카메라바디(30)를 쥐고 있는 손이 양쪽에서 지지하므로 흔들리지 않고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바디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로서, 화상촬영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인 제2작동 상태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카메라 렌즈(31)는 역방향 즉 사용자 쪽으로 가까와지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렌즈(31)는 디스플레이(15)를 보고 있는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쪽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또는 화상통화시 자연적으로 자신을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바디(30)는 역방향으로 일정 회전각에서 단말기바디(10)를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의하면, 단말기바디(10)는 카메라바디(30)의 지지에 의하여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화상통화시 상대방에게 안정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카메라바디(30) 및 단말기바디(10)의 지면에 닿는 부위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미끄럼방지부재(35)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35)는 패드 형태로 카메라바디(30) 또는 단말기바디(10)에 일체형으로 부착되거나, 탈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바디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로서, 방송수신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인 제3작동 상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단말기바디(10)의 일측에는 방송수신을 위한 안테나(20)가 설치될 수 있다. 안테나(20)는 상대적으로 파장이 긴 지상파(terrestial wave) 방송을 수신하기에 적합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4에 보인 안테나(20) 외에도 단말기바디(10)에는 위성(satellite)을 통한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내장안테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카메라바디(30)에 의하여 거치된 단말기바디(10)의 디스플레이(15)는 수신된 방송화면을 출력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5)는 채널의 변경이나 볼륨의 증감 또는 방송화면을 조정하거나 저장하기 위한 터치입력 가능한 메뉴를 출력할 수 있다. 나아가, 카메라바디(30)에 설치되는 조작버튼(34)에도 채널의 변경이나 볼륨의 증감을 위한 키를 할당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선도(block diagram)이다.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예는 무선통신 모듈(51), 조작부(54), 카메라 모듈(56), 마이크(33), 디스플레이(15), 음향 출력부(16), 카메라바디 회전감지부(60),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59), 외부 인터페이스(18), 방송수신 모듈(58), 메모리(57), 전원공급부(61), 제어부(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선통신 모듈(5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5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52)를 포함한다. 무선통신 모듈(51)은 음성통화 또는 화상통화를 할 수 있는 동작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조작부(54)는 디스플레이(15)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치 입력부(55)와, 조작버 튼(34) 및 사이드키(17)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50)에 제공한다. 조작부(54)는 카메라 모듈(56)에 의하여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 또는 메모리(57)에 저장된 멀티 미디어를 업로드하기 위하여 인터넷이나 서버에 곧바로 접속할 수 있는 실행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5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카메라바디 회전감지부(60)의 신호에 따라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카메라바디(30)의 회전 방향에 따른 선택가능한 모드세트를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모드표시 제어부).
또한, 제어부(50)는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59)에 의하여 단말기바디(10)의 자세에 따른 출력을 제어하여 항상 지면에 대하여 정립된 정보를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56)은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15)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카메라 모듈(5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57)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51)을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카메라 모듈(56)이 사용되는 모드 즉,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5)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피사체 및 카메라 모듈(56)의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화된 정보 또는 텍스트를 표시한 다.
마이크(3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51)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57)에 저장된다. 마이크(3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음성통화 또는 화상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15)에 의하여 출력되는 내용은 터치 입력부(55)에 의하여 입력가능한 항목이나 리스트일 수 있다.
음향 출력부(16)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5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57)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6)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6)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카메라바디 회전감지부(6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구성되는 카메라바디(30)가 단말기바디(10)에 대하여 정방향으로 회전되는지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지를 감지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바디(10)에는 자기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카메라바디(30)에는 마그넷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바디 회전감지부(60)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50)에 전달되고, 제어부(50)는 카메라바디(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출력하는 선택가능한 모드세트를 조정하여 출력한다.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59)는 단말기바디(10)의 지면에 대한 자세를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50)는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59)의 신호가 있고 휴대 단말기가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모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15)에 출력되는 촬영 관련 정보를 항상 정립시켜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59)는 단말기바디(10)에 설치되어 지자기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18)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18)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방송수신 모듈(58)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 신하여 음향 출력부(16), 디스플레이(15)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5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58)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58)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57)에 저장될 수도 있다.
메모리(57)는 제어부(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모리(57)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전원공급부(61)는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단말기바디(10) 및 카메라바디(30)에 공급한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카메라바디의 회전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카메라바디(30)는 단말기바디(10)에 대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있다. 나아가, 카메라바디(30)가 회전되면 이를 신호로 하여 곧바로 해당 모드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우선, 카메라바디(30)가 단말기바디(10)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은 도 1과 같은 닫힌 상태에서, 카메라바디 회전감지부(60)는 카메라바디(30)가 회전되었는지를 감지한다(S110).
다음으로, 카메라바디(30)의 회전이 있는 경우, 그 회전 방향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판단한다(S120, S130).
만약, 카메라바디(30)가 정방향 즉, 카메라바디(30)의 렌즈(31)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이고, 모드표시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터치 입력 가능한 제1모드세트를 출력한다(S141). 이때 제1모드세트는 사진촬영모드 및 동영상촬영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15)의 출력 상태의 일 예를 도 7a에 도시하였다. 도 7a에 의하면, 사진촬영인지 동영상촬영인지 또는 사진이나 동영상 보기로 할 것인지가 터치입력 가능한 아이콘(65) 형태로 디스플레이(15)에 출력되고 있다.
카메라바디(30)가 역방향 즉, 카메라바디(30)의 렌즈(31)가 사용자 쪽으로 가까와지는 경우라면, 모드표시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터치 입력 가능한 제2모드세트를 출력한다(S142). 이 때 제2모드세트는 사진촬영모드, 동영상촬영모드 및 사진 또는 동영상감상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5)에 출력되는 제2모드세트는 화상통화모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방송수신 모듈(58)을 포함하는 경우, 제2모드세트는 방송수신모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15)의 출력상태의 일 예를 도 7b에 도시하였다. 즉, 도 7b에 의하면, 사진촬영인지 동영상촬영인지, 화상통화인지, 방송수신인지 또는 사진이나 동영상 보기로 할 것인지가 터치입력 가능한 아이콘(66) 형태로 디스플레이(15)에 출력되고 있다.
따라서, 카메라바디(30)의 회전이 어느 방향으로 이루어지는가에 따라, 휴대 단말기가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을 회전 방향에 맞게 출력시킴으로써 편리하고 정확한 사용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단말기바디의 자세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즉, 카메라바디(30)가 회전되었을 때, 단말기바디(10)의 지면에 대한 자세를 감지하여 디스플레이(15)에서 표시되는 촬영제어 정보를 지면에 대하여 정립된 상태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는 과정을 보였다.
우선, 대기모드(S210)에서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모드로의 이행이 되었는지를 결정한다(S220). 만약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15)에는 카메라의 조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아이콘이나 메뉴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S230). 이러한 정보에는 사용가능한 메모리의 잔량, 배터리의 충전 잔량, 촬영될 사진의 해상도, 플래쉬의 온/오프 상태,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 예를 도 9a를 통하여 도시하였다. 도 9a에서 보는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가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모드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피사체와 카메라 조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아이콘(68)은 모두 정립된 상태로 표시되고 있다.
다음으로, 단말기바디(10)의 지면에 대한 자세를 감지한다(S240). 디스플레이(15)는 단말기바디(10)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단말기바디(10)의 자세가 지면에 대 하여 기울어져 있으면 디스플레이(15)도 그만큼 기울어지기 된다.
만약, 단말기바디(10)가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었다고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출력되는 카메라 조작 메뉴 등을 정립된 상태로 출력한다(S260). 즉, 피사체에 대한 상은 그대로 있는 반면, 디스플레이(15)를 통하여 출력되는 카메라 조작 메뉴 등은 지면에 대하여 정립된 상태로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일 예를 도 9b에 도시하였다. 도 9b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10)는 지면에 대하여 90도 회전되어 있으며, 피사체 뿐만 아니라 카메라 조작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아이콘(68)이나 메뉴도 정립된 상태로 출력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힌지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힌지모듈(70)은 카메라바디(30)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71)와, 단말기바디(10)에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72), 및 제1힌지부재(71)에 구속되어 제1힌지부재(71)와 함께 회전하는 제1탄성 스토퍼(73)를 갖는다.
제1힌지부재(71) 및 제2힌지부재(72)와, 제1탄성 스토퍼(73)에는 샤프트(74)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들(71a,72a,73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샤프트(74)에는 단말기바디(10)와 카메라바디(3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홀(74a)이 형성된다.
카메라바디(30)와 단말기바디(10)에는 제1힌지부재(71) 및 제2힌지부재(72)가 장착될 수 있게 제1힌지부재(71) 및 제2힌지부재(72)의 형상에 대응되는 장착홈 들(10b, 30b)이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제1힌지부재(71) 및 제2힌지부재(72)는 이들 장착홈들(10b, 30b)에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힌지부재(71)와 제2힌지부재(72)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홀들(71b,72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들(10b, 30b)에는 단말기바디(10)와 카메라바디(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관통홀(10a, 3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은 샤프트(74)에 형성된 관통홀(74a)을 통해 단말기바디(10)와 카메라바디(30)를 연결한다.
제1힌지부재(71)에는 제1탄성 스토퍼(73)를 구속시키기 위한 구속홈(71c)이 형성될 수 있고, 제1탄성 스토퍼(73)에는 구속홈(71c)에 삽입되어 제1탄성 스토퍼(73)와 제1힌지부재(71) 사이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속돌기(73b)가 형성될 수 있다. 구속홈(71c)과 구속돌기(73b)는 이와 반대로 제1탄성 스토퍼(73) 및 제1힌지부재(71)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힌지부재(71)와 제1탄성 스토퍼(7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힌지부재(72)에는 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78)이 구비된다. 정지홈(78)은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바디(30)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카메라바디(30)의 회전을 90도마다 정지시키기 위해 90도의 간격으로 정지홈(78)이 형성된 경우이다.
제1탄성 스토퍼(73)에는 정지홈(78)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79)가 형성되 며, 돌기부(79)는 정지홈(78)에 자체 탄성작용에 의해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탄성 스토퍼(73)는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부(79)는 정지홈(78)에 걸릴 수 있도록 정지홈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정지홈(78)과 돌기부(79) 각각은 상대 회전에 따라 그 걸림이 해제되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샤프트(74)와 제2힌지부재(72) 사이에는 제1 및 제2힌지부재(72) 사이를 가압하는 스프링(75)이 장착될 수 있다.
샤프트(74)에 스프링(75), 제2힌지부재(72), 제1탄성 스토퍼(73) 및 제1힌지부재(71)가 삽입되면, 스냅링(76)이 샤프트(74)의 단부에 끼워져 힌지모듈(70)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힌지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들이다. 도 11a의 상태는 돌기부(79)가 정지홈(78)에 걸림되어 카메라바디(30)가 닫힌 상태(또는 열린 상태)에 위치에 있는 경우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메라바디(30)를 회전시키는 경우, 도 11b와 같이 그 회전력에 의해 돌기부(79)에는 탄성 변형이 일어나게 되며, 돌기부(79)가 정지홈(78)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힌지부재(71)와 제1탄성 스토퍼(73)는 제2힌지부재(72)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된다.
카메라바디(30)가 회전 중 일정 각도에 이르게 되면, 다시 도 11a와 같이 돌기부(79)가 정지홈(78)에 걸림되어 제1힌지부재(71) 및 제1탄성 스토퍼(73)의 상대 회전이 정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카메라바디(30)가 일정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 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힌지부재(71)가 카메라바디(30)에, 제2힌지부재(72)가 단말기바디(10)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1힌지부재(71)가 단말기바디(10)에, 제2힌지부재(72)가 카메라바디(30)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힌지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힌지모듈(170)은 카메라바디(130)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171)와, 단말기바디(110)에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172)와, 제1힌지부재(171)에 구속되어 제1힌지부재(171)와 함께 회전되는 캠부재(173), 및 제2힌지부재(172)에 구속되어 제2힌지부재(72)와 함께 회전되는 제2탄성 스토퍼(18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힌지모듈(170)과 관련하여, 카메라바디(130)와 제1힌지부재(171), 제1힌지부재(171)와 캠부재(173), 단말기바디(110)와 제2힌지부재(172)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캠부재(173)는 제1힌지부재(17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캠부재(173)에는 그 외주에 반경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179)이 구비되며, 정지홈들(179)은 카메라바디(13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2탄성 스토퍼(181)는 정지홈(179)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재(183)가 형성되어 정지홈(179)에 탄성 작용에 의하여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며, 돌기부재(183)는 스프링(182)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제2힌지부재(172)에는 회전축의 주변 방향으로 수용 공간(172c)이 마련되고, 돌기부재(183)는 수용 공간(172c)에 회전축의 주변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돌기부재(183)의 단부는 정지홈(179)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정지홈(179)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3a 및 13b는 도 12의 힌지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힌지모듈의 단면도들이다.
도 13a의 상태는 돌기부재(183)가 캠부재(173)의 정지홈(179)에 걸림되어 카메라바디(130)가 닫힌 상태(또는 열린 상태)에 위치에 있는 경우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메라바디(130)를 회전시키는 경우, 도 13b와 같이 그 회전력에 의해 돌기부재(183)는 회전축의 주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며, 돌기부재(183)가 정지홈(179)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힌지부재(171)와 캠부재(173)는 제2힌지부재(172)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된다.
카메라바디(130)가 회전 중에 일정 각도에 이르게 되면, 다시 도 13a와 같이 스프링(182)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부재(183)가 정지홈(78)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제1힌지부재(171) 및 제2탄성 스토퍼(181)의 상대 회전이 정지하게 되며, 단말기바디(110)에 대한 카메라바디(130)의 회전이 일정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힌지부재(171)가 카메라바디(130)에, 제2힌지부재(172)가 단말기바디(110)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1힌지부재가 단말기바디(110)에, 제2힌지부재가 카메라바디(130)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바디를 정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경우로서, 촬영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인 제1작동 상태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바디를 제1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경우로서, 화상촬영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인 제2작동 상태도
도 4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바디를 제2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경우로서, 방송수신모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보인 제3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선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카메라바디의 회전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카메라바디의 회전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각각 보인 작동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단말기바디의 자세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어 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단말기바디의 회전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표시 내용을 각각 보인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힌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의 힌지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힌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3a 및 도 13b는 도 12의 힌지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Claims (16)

  1. 전면에 피사체 및 모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무선통신모듈을 갖는 단말기바디;
    상기 단말기바디에 길이 방향으로 인접되게 배치되고, 렌즈의 지향 방향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회전될 수 있게 상기 단말기바디에 대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단말기바디에 결합되는 카메라바디; 및
    상기 카메라바디가 회전되었을 때 그 회전방향이 제1방향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선택 가능한 제1모드세트를 출력시키고, 제2방향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선택가능한 제2모드세트를 출력시키는 모드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터치입력을 할 수 있도록 터치 입력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바디는 일정 회전각에서 상기 단말기바디를 지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상기 단말기바디를 거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바디 및 단말기바디의 지면에 닿는 부위에는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카메라바디의 회전 방향이 상기 렌즈가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는 경우이고, 상기 제1모드세트는 사진촬영모드 및 동영상촬영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카메라바디의 회전 방향이 상기 렌즈가 사용자 쪽으로 가까와지는 경우이고, 상기 제2모드세트는 상기 제1모드세트에 추가되는 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되는 모드는 사진감상모드, 동영상감상모드, 및 화상통화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바디는 방송수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모드세트는 방송수신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바디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단말기바디의 지면에 대한 자세를 감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촬영제어 정보를 지면에 대하여 정립된 상태로 변환시켜 출력시키도록 상기 단말기바디의 자세를 감지하는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바디 자세감지부는,
    상기 단말기바디에 설치되어 지자기를 감지하는 지자기센서; 및
    상기 지자기센서의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촬영제어 정보를 변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바디와 카메라바디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바디를 일정 각도마다 그 회전 각도에서 멈추도록 하는 힌지모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단말기바디 또는 카메라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
    상기 단말기바디 또는 카메라바디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며, 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이 구비된 제2힌지부재; 및
    상기 제1힌지부재에 구속되어 상기 제1힌지부재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정지홈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정지홈에 자체 탄성작용에 의하여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탄성스토퍼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단말기바디 또는 카메라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
    상기 단말기바디 또는 카메라바디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
    상기 제1힌지부재에 구속되며, 그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이 구비된 캠부재; 및
    상기 제2힌지부재에 구속되어 상기 제2힌지부재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정지홈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정지홈에 탄성작용에 의하여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탄성스토퍼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바디에는 상기 카메라의 촬영과 관련되거나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재생 또는 편집시키기 위한 복수의 조작버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줌인/줌아웃 버튼, 촬영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전면에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단말기바디;
    상기 단말기바디의 상단 또는 하단에 그 렌즈의 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면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상기 단말기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특정 회전각에서 상기 단말기바디와 조합되어 전체 형상이 바(BAR)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바디; 및
    상기 카메라바디가 회전되었을 때 그 회전방향이 제1방향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선택 가능한 제1모드세트를 출력시키고, 제2방향이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선택가능한 제2모드세트를 출력시키는 모드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10585A 2007-10-31 2007-10-31 휴대 단말기 KR101366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585A KR101366859B1 (ko) 2007-10-31 2007-10-31 휴대 단말기
EP08018812A EP2056600A1 (en) 2007-10-31 2008-10-28 Mobile terminal
CN2008101731545A CN101426041B (zh) 2007-10-31 2008-10-30 移动终端
US12/262,058 US8229500B2 (en) 2007-10-31 2008-10-30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0585A KR101366859B1 (ko) 2007-10-31 2007-10-31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4466A KR20090044466A (ko) 2009-05-07
KR101366859B1 true KR101366859B1 (ko) 2014-02-21

Family

ID=40251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0585A KR101366859B1 (ko) 2007-10-31 2007-10-31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29500B2 (ko)
EP (1) EP2056600A1 (ko)
KR (1) KR101366859B1 (ko)
CN (1) CN10142604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1988A (zh) * 2018-01-24 2019-07-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功能组件、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82486A1 (en) * 2009-01-19 2010-07-22 Backer Chou Portable Image Acquisitioner with Micro Objective Lens
CN101841584B (zh) * 2009-03-21 2013-11-20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支撑结构及具该支撑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KR20100115908A (ko) * 2009-04-21 2010-10-2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KR101630295B1 (ko) * 2009-11-30 201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20110195759A1 (en) * 2010-02-08 2011-08-11 Jason Tyler Griffin Electronic mobile device having interchangeable covers
WO2011141930A1 (en) * 2010-05-12 2011-11-17 Rohan Pandey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rotatable
JP5645626B2 (ja) * 2010-12-06 2014-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EP3203713A1 (en) * 2010-12-30 2017-08-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bile device
CN102118506A (zh) * 2011-03-03 2011-07-06 北京百纳威尔科技有限公司 显示处理方法及移动终端
US20160286119A1 (en) * 2011-04-18 2016-09-29 360fly, Inc. Mobile Device-Mountable Panoramic Camera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Captured Therefrom
US8553129B2 (en) * 2011-05-10 2013-10-08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two lens modules, dual image capturing method applying for the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oad into the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8767392B2 (en) * 2011-11-22 2014-07-01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970937B2 (ja) * 2012-04-25 2016-08-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WO2014166521A1 (en) * 2013-04-09 2014-10-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a rotatable camera
CN103442532A (zh) * 2013-08-01 2013-12-11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的外壳及电子装置
CN104345782B (zh) * 2013-08-09 2018-01-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US9412207B2 (en) * 2013-09-17 2016-08-09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time setting method, time setting system and program
CN103699859B (zh) * 2013-12-03 2017-01-04 天地融科技股份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和装置
KR102203756B1 (ko) * 2014-02-17 2021-01-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55892B1 (ko) * 2014-07-08 2021-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246262B (zh) 2014-07-23 2021-10-01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
CN104243641B (zh) * 2014-08-22 2017-04-05 武汉中元通信股份有限公司 手持式无线通讯设备的整体架构
CN104363340B (zh) * 2014-11-06 2017-06-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设备
CN104333623B (zh) * 2014-11-06 2017-07-2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CN104333624B (zh) * 2014-11-06 2017-08-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
CN105988573A (zh) * 2015-02-16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516204B2 (en) * 2015-02-16 2016-12-06 Beijing Lenovo Software Ltd. Electronic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5988571A (zh) * 2015-02-16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信息处理方法
CN105991903B (zh) * 2015-02-16 2020-07-2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信息处理方法
CN105988519A (zh) * 2015-02-16 2016-10-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CN104735250B (zh) * 2015-03-16 2017-09-29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735249B (zh) * 2015-03-16 2018-07-06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796507B (zh) * 2015-04-29 2018-09-11 天津德铃通信部品有限公司 可360°旋转和止位的摄像头支架及移动终端
CN105208274A (zh) * 2015-09-24 2015-12-3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CN105677041B (zh) * 2016-02-17 2019-08-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的显示控制方法及装置
KR102401285B1 (ko) * 2016-04-01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WO2018043615A1 (ja) * 2016-08-30 2019-08-15 エックスリ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
CN108536478A (zh) * 2018-03-30 2018-09-14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0324452B (zh) * 2018-03-31 2021-08-1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CN108600449B (zh) * 2018-04-23 2020-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08924286B (zh) * 2018-06-08 2020-12-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滑动组件的控制方法和装置
CN108683855A (zh) * 2018-07-26 2018-10-19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头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WO2020142471A1 (en) * 2018-12-30 2020-07-09 Sang Chul Kwon Foldable mobile phone
CN109889717B (zh) * 2019-03-29 2021-01-08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及终端控制方法、装置
CN110022428B (zh) * 2019-05-24 2020-11-06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摄像头模组、终端设备及信息处理方法
CN110581938B (zh) * 2019-08-06 2024-05-03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移动终端及移动终端控制方法、计算机存储介质
CN111818240B (zh) * 2020-08-06 2023-04-18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视频拍摄辅助装置及视频拍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978A (ja) 2000-02-29 2002-02-15 Kddi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用ディジタルカメラ並びに携帯情報端末接続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
KR200314213Y1 (ko) 2003-02-19 2003-05-23 주식회사 와이드텔레콤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폰
KR100713433B1 (ko) 2006-01-2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타입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85093A3 (en) * 1999-05-28 2011-07-06 Sony Corporation Image Pick-Up Apparatus
JP3546784B2 (ja) * 1999-12-1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01275094A (ja) * 2000-03-27 2001-10-05 Minolta Co Ltd 情報通信装置
US6658272B1 (en) * 2000-04-28 2003-12-02 Motorola, Inc. Self configuring multiple elem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DE60321592D1 (de) 2002-11-20 2008-07-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ragbares kommunikationsendgeraet
US20050014527A1 (en) * 2003-07-18 2005-01-20 Agere Systems Incorporated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FI20055361A (fi) * 2005-06-29 2006-12-30 Nokia Corp Menetelmä käännettävällä kameralla varustetussa matkaviestimessä ja matkaviestin
EP2372983B1 (en) * 2005-08-04 2017-08-30 Lenovo Innovations Limited (Hong Kong) Execution of an applic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plugging on cradle for charging
KR100742590B1 (ko) * 2005-09-02 2007-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고정 장치 및 그를 이용한모드전환방법
CN1964607A (zh) * 2005-11-11 2007-05-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便携式电子产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978A (ja) 2000-02-29 2002-02-15 Kddi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用ディジタルカメラ並びに携帯情報端末接続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
KR200314213Y1 (ko) 2003-02-19 2003-05-23 주식회사 와이드텔레콤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폰
KR100713433B1 (ko) 2006-01-2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타입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1988A (zh) * 2018-01-24 2019-07-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功能组件、电子装置及电子装置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11515A1 (en) 2009-04-30
US8229500B2 (en) 2012-07-24
EP2056600A1 (en) 2009-05-06
CN101426041B (zh) 2012-11-14
KR20090044466A (ko) 2009-05-07
CN101426041A (zh) 2009-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859B1 (ko) 휴대 단말기
CN106664356B (zh) 图像拍摄装置、通过使用多个图像拍摄装置执行拍摄的图像拍摄***及其图像拍摄方法
CN106341522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EP2411900B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touch screen functionality
CN105549839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404745B1 (ko) 조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545588B1 (ko)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1356167B1 (ko) 휴대 단말기
US809831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igh-resolution camera with tunable sensor auto focus
US8467833B2 (en) Mobile terminal
KR101483029B1 (ko)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EP2144424B1 (en) Mobile terminal with tilting display
US2009005904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high-resolution camera with auto focus lens
JP4403931B2 (ja) 電子機器、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KR101480453B1 (ko) 휴대 단말기
KR101415767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13472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JP2008228236A (ja) 携帯型情報機器
KR100930564B1 (ko) 휴대 단말기
KR100596916B1 (ko) 카메라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사용 알림장치 및 그 방법
KR101513617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76631A (ko) 휴대 단말기
KR20100058865A (ko)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