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167B1 -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167B1
KR101356167B1 KR1020070111782A KR20070111782A KR101356167B1 KR 101356167 B1 KR101356167 B1 KR 101356167B1 KR 1020070111782 A KR1020070111782 A KR 1020070111782A KR 20070111782 A KR20070111782 A KR 20070111782A KR 101356167 B1 KR101356167 B1 KR 101356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amera body
terminal
state
hin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5791A (ko
Inventor
조중현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167B1/ko
Priority to US12/263,259 priority patent/US8159592B2/en
Publication of KR20090045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5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 및 촬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의 지향 방향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회전될 수 있게 상기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바디, 및 상기 카메라 바디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를 조작시키는 카메라 조작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다 편리하게 촬영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바디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 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인터넷에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이나 동영상을 업로드시키는 것이 일상화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는 카메라의 기능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다 편리하게 촬영하도록 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구조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바디를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카메라 바디에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카메라 조작부가 구비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다 편리하게 촬영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피사체 및 촬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의 지향 방향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회전될 수 있게 상기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바디, 및 상기 카메라 바디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를 조작시키는 카메라 조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터치입력을 할 수 있도록 터치 입력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카메라 바디는 제1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바디와 조합되어 바 형태를 형성하고, 제2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바디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는 그 지향 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카메라 바디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카메라 바디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바디에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카메라 바디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조작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에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카메라 바디가 상기 제2상태로 회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동작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세트가 출력될 수 있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카메라의 지향 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이루는 정회전 상태 및 상기 카메라의 지향 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이루는 역회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2상태가 상기 정회전 상태인 경우, 상기 모드세트는 사진촬영 모드 및 동영상촬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제2상태가 상기 역회전 상태인 경우, 상기 모드세트는 사용자 자신을 촬영하기 위한 셀프 사진촬영 모드, 셀프 동영상촬영 모드 및 화상통화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카메라 조작부는 사진 촬영을 위한 셔터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셔터키는 상기 카메라의 장착 위치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카메라 조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피사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줌키 또는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 생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기 바디와 상기 카메라 바디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 바디를 일정 각도마다 그 회전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힌지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단말기 바디 또는 카메라 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와, 상기 단말기 바디 또는 카메라 바디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며, 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이 구비된 제2힌지부재, 및 상기 제1힌지부재에 구속되어 상기 제1힌지부재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정지홈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정지홈에 자체 탄성작용에 의하여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탄성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단말기 바디 또는 카메라 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와, 상기 단말기 바디 또는 카메라 바디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와, 상기 제1힌지부재에 구속되며, 그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이 구비된 캠부재, 및 상기 제2힌지부재에 구속되어 상기 제2힌지부재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정지홈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재가 상기 정지홈에 탄성작용에 의하여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탄성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 바디를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되, 카메라 바디에 카메라의 조작을 위한 카메라 조작부가 구비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 용자가 사진이나 동영상을 보다 편리하게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터치 입력부를 구비하여 터치 스크린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조작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바디를 단말기 바디에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카메라만으로도 다양한 각도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바디를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에 카메라의 기능과 관련된 모드 세트를 출력시킴으로써, 사진 또는 동영상의 촬영에 있어 보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카메라 바디와 단말기 바디의 사이에 카메라 바디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힌지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통화시 또는 카메라 사용시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바디(110)와, 단말기 바디(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바디(120)를 포함한다.
단말기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 미들 케이스(112), 및 리어 케이스(113)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미들 케이스(1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과, 미들 케이스(112)와 리어 케이스(113)에 의해 형성된 공간들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는 미들 케이스(112)가 생략되는 대신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3)만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단말기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4)와 제1조작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4)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4)에는 터치 입력부가 더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1조작부(115)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미들 케이스(112)에는 제2조작부(116), 음향 입력부(117), 인터페이스(11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조작부(115,116)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15)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제2조작부(116)는 디스플레이부(114)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8)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18)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18)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13) 측에는 그 내부에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바디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9)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19)는 단말기 바디(11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119)는 단말기 바디(110) 내에 내장 안테나로 배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 바디(120)는 단말기 바디(1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단말기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카메라 바디(120)의 내부에는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21)와 각종 전자부품들이 장착된다.
카메라 바디(120)는 카메라(121)의 지향 방향이 단말기 바디(1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회전되도록 단말기 바디(110)에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카메라 바디(120)는 그 회전축이 단말기 바디(110)의 폭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단말기 바디(110)에 장착된다.
단말기 바디(110)와 카메라 바디(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조합되어 바 형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제1상태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카메라 바디(120)는 단말기 바디(110)의 상측에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바디(120)에는 음향 출력부(12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음향 출력부(122)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상태에서 카메라(121)는 렌즈(123)의 지향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14)의 출력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카메라 바디(120)에 장착된다. 즉, 카메라(121)는 카메라(121)의 렌즈(123)가 카메라 바디(120)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카메라 바디(120) 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121)는 광학 줌 기능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장착된 렌즈(123)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카메라 바디(120)는 제1상태에서 회전되어 단말기 바디(110)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상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상태를 제2상태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제2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는 카메라 바디(120)가 도 1의 ①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카메라 바디(120)가 도 1의 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도 2와 같이 카메라(121)의 지향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14)의 출력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이루는 상태를 정회전 상태라 하고, 도 3과 같이 카메라(121)의 지향 방향이 디스플레이부(114)의 출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이루는 상태를 역회전 상태라 한다.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 바디(120)를 제1상태에서 ①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단말기 바디(110)의 길이 방향이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단말기 바디(110)를 회전시킨 상태에 있다.
도 2와 같이 카메라 바디(120)가 정회전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4)의 화면 출력 방향과 반대 방향에 있는 피사체(124a)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렌즈(123)의 지향 방향이 사용자의 시선 방향과 일치하므로, 사용자의 반대편에 위치한 피사체(124a)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바디(120) 상에는 카메라를 조작시키는 카메라 조작부(125)가 복수로 장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4)에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피사체(124b)의 모습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이를 보면서 카메라 조작부(125)를 조작하여 피사체(124a)를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조작부(125)는 음향 출력부(122)가 위치한 면의 반대편에 장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되는 피사체(124b)의 크기를 조절하는 줌키,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기, 또는 이들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키, 카메라의 작동과 관련된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14)에 표시하거나, 표시된 메뉴를 선택, 동작시키는 메뉴키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 조작부(125)는 카메라의 사진 촬영을 위한 셔터키(1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셔터키(126)는 카메라의 장착 위치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카메라 바디(120)를 제1상태에서 ②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단말기 바디(110)의 길이 방향이 지면과 평행이 되도록 단말기 바디(110)를 회전시킨 상태에 있다.
도 3과 같이 카메라 바디(120)가 역회전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4)의 화면 출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즉, 카메라 렌즈(123)의 지향 방향이 사용자를 향해 있으므로 사용자는 카메라(121)를 사용하여 사용자 자신의 모습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모습을 사진이나 동영상의 형태로 촬영하는 셀프 촬영 또는 다른 사용자와의 화상 통화를 위해 자신의 모습을 전송하기 위한 셀프 촬영 등을 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사용자가 화상통화를 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4)에는 사용자 자신(126)과 사용자와 통화하는 상대방(127)의 모습이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바디(12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상태에 있는 경우, 카메라(121)는 카메라 바디(120)의 카메라 조작부(125,126)에 의해 제어되거나, 단말기 바디(110)에 위치한 제1 및 제2 조작부(115,116) 또는 디스플레이부(114)에 구비된 터치 입력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a 및 4b는 도 2 및 도 3의 휴대 단말기(100)를 각각 정면에서 바라본 평면도들로서, 휴대 단말기(10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및 4b와 같이, 카메라 바디(120)가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회전되면, 디스플레이부(114)에는 카메라의 기능과 관련된 동작들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세트(128)가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카메라 바디(120)가 제2상태에 위치하면, 모드세트(128)가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되도록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와 같이, 카메라 바디(120)가 정회전 상태에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피사체(124a,도 2 참조)의 촬영을 위한 촬영 모드(131)로 전환되며, 디스플레이부(114)에는 촬영 모드(131)로 전환된 것이 표시된다.
촬영 모드(131)의 모드세트(128)는 사진촬영 모드(129) 및 동영상촬영 모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4)에 사진촬영 모드(129)와 동영상촬영 모드(130)가 메뉴 또는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면, 사용자는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 여 해당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해당 메뉴 또는 아이콘을 직접 터치하는 방식 또는 제1 및 제2조작부(115,116)를 조작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카메라 바디(120)가 역회전 상태에 있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는 사용자 자신을 촬영할 수 있는 셀프촬영 모드(132)로 전환되며, 디스플레이부(114)에는 셀프촬영 모드(132)로 전환된 것이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셀프촬영 모드(132)의 모드세트(133)는 사진촬영 모드(134), 동영상촬영 모드(135) 및 화상 통화모드(13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2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200)는 단말기 바디(210)와, 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카메라 바디(220)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200)는 앞선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100)와 카메라 바디(2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도 5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의 카메라 바디(220)는 단말기 바디(210)의 하측에 장착되며, 단말기 바디(210)의 프론트 케이스(211)에는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음향 출력부(215)가 구비될 수 있다.
카메라 바디(220)의 일측에는 음향을 입력할 수 있는 음향 입력부(222)가 마이크로폰의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 바디(220)에 장착된 카메라 조작부(225)는 단말기 바디(210)의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조작부(225)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제1조작부(115)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바디(220) 또한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③ 방향 또는 ④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상태로 전환된다.
도 6은 카메라 바디(220)가 ③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며, 카메라 바디가 ④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는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6과 같이 카메라 바디(220)가 정회전 상태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14)의 반대편에 위치한 피사체(224a)를 카메라 조작부(225)를 이용하여 촬영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카메라 조작부(225)는 카메라의 장착 위치와 반대편에 배치되어 사진 촬영을 할 수 있는 셔터키(226)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피사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줌키,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기. 이들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키, 또는 카메라의 작동과 관련된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거나 동작시키는 메뉴키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조작부(225)는 도 6의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바디(220)의 전면에 장착될 수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에 추가적으로 카메라 바디(220)의 후면과 측면에도 장착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210)와 카메라 바디(220) 사이에는 카메라 바디(220)를 일정 각도마다 그 회전 각도를 정지시키는 힌지모듈(24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힌지모듈(24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힌지모듈(240)은 카메라 바디(220)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241)와, 단말기 바디(210)에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242), 및 제1힌지부재(241)에 구속되어 제1힌지부재(241)와 함께 회전하는 제1탄성 스토퍼(243)를 갖는다.
제1 및 제2힌지부재(241,242)와, 제1탄성 스토퍼(243)에는 샤프트(244)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들(241a,242a,243a)이 각각 형성된다.
카메라 바디(220)와 단말기 바디(210)에는 제1힌지부재(241) 및 제2힌지부재(242)가 장착될 수 있게 제1힌지부재(241) 및 제2힌지부재(242)의 형상에 대응되는 장착홈들(210a, 220a)이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제1힌지부재(241) 및 제2힌지부재(242)는 이들 장착홈들(210a, 220a)에 나사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힌지부재(241)와 제2힌지부재(242)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홀들(241b,242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들(210a, 220a)에는 단말기 바디(210)와 카메라 바디(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이 통과하는 관통홀(210b, 220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은 샤프트(244)에 형성된 관통홀(244a)을 통해 단말기 바디(210)와 카메라 바디(220)를 연결한다.
제1힌지부재(241)에는 제1탄성 스토퍼(243)를 구속시키기 위한 구속홈(241c)이 형성될 수 있고, 제1탄성 스토퍼(243)에는 구속홈(241c)에 삽입되어 제1탄성 스토퍼(243)와 제1힌지부재(241) 사이의 회전을 제한하는 구속돌기(243b)가 형성될 수 있다. 구속홈(241c)과 구속돌기(243b)는 이와 반대로 제1탄성 스토퍼(243) 및 제1힌지부재(241)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힌지부재(241)와 제1탄성 스토퍼(24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힌지부재(242)에는 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248)이 구비된다. 정지홈(248)은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카메라 바디(220)를 정지시키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카메라 바디(220)의 회전을 90도마다 정지시키기 위해 90도의 간격으로 정지홈(248)이 형성된 경우이다.
제1탄성 스토퍼(243)에는 정지홈(248)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249)가 형성되며, 돌기부(249)는 정지홈(248)에 자체 탄성작용에 의해 걸림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탄성 스토퍼(243)는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부(249)는 정지홈(248)에 걸릴 수 있도록 정지홈(248)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정지홈(248)과 돌기부(249) 각각은 상대 회전에 따라 그 걸림이 해제되도록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샤프트(244)와 제2힌지부재(242) 사이에는 제1 및 제2힌지부재(241,242) 사이를 가압하는 스프링(245)이 장착될 수 있다.
샤프트(244)에 스프링(245), 제2힌지부재(242), 제1탄성 스토퍼(243) 및 제1힌지부재(241)가 삽입되면, 스냅링(246)이 샤프트(244)의 단부에 끼워져 힌지모듈(240)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힌지 모듈(24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 도들이다. 도 8a의 상태는 돌기부(249)가 정지홈(248)에 걸림되어 카메라 바디(220)가 제1상태(또는 제2상태)에 위치에 있는 경우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바디(220)를 회전시키는 경우, 도 8b와 같이 그 회전력에 의해 돌기부(249)에는 탄성 변형이 일어나게 되며, 돌기부(249)가 정지홈(248)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힌지부재(241)와 제1탄성 스토퍼(243)는 제2힌지부재(242)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된다.
카메라바디(220)가 회전 중 일정 각도에 이르게 되면, 도 8a와 같이 돌기부(249)가 정지홈(248)에 걸림되어 제1힌지부재(241) 및 제1탄성 스토퍼(243)의 상대 회전이 정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카메라 바디(220)가 일정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힌지부재(241)가 카메라 바디(220)에, 제2힌지부재(242)가 단말기 바디(210)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1힌지부재(241)가 단말기바디(210)에, 제2힌지부재(242)가 카메라 바디(220)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예로서, 힌지모듈(25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힌지모듈(250)은 카메라 바디(220)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251)와, 단말기 바디(210)에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252)와, 제1힌지부재(251)에 구속되어 제1힌지부재(251)와 함께 회전되는 캠부재(253), 및 제2힌지부재(252)에 구속되어 제2힌지부재(252)와 함께 회전되는 제2탄성 스토퍼(26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힌지모듈(250)과 관련하여, 카메라바디(220)와 제1힌지부 재(251), 제1힌지부재(251)와 캠부재(253), 단말기바디(210)와 제2힌지부재(252)가 각각 고정 결합되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캠부재(253)는 제1힌지부재(25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캠부재(253)에는 그 외주에 반경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259)이 구비되며, 정지홈들(259)은 카메라 바디(220)의 회전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각도에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제2탄성 스토퍼(261)는 정지홈(259)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재(263)가 형성되어 정지홈(259)에 탄성 작용에 의하여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며, 돌기부재(263)는 스프링(262)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제2힌지부재(252)에는 회전축의 주변 방향으로 수용 공간(252c)이 마련되고, 돌기부재(263)는 수용 공간에 회전축의 주변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돌기부재(263)의 단부는 정지홈(259)에 걸림될 수 있도록 정지홈(259)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a 및 10b는 도 9의 힌지 모듈(2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힌지모듈(250)의 단면도들이다.
도 10a의 상태는 돌기부재(263)가 캠부재(253)의 정지홈(259)에 걸림되어 카메라 바디(220)가 제1상태(또는 제2상태)에 위치에 있는 경우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카메라 바디(220)를 회전시키는 경우, 도 10b와 같이 그 회전력에 의해 돌기부재(263)는 회전축의 주변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며, 돌기부재(263)가 정지홈(259)에 걸린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힌지부 재(251)와 캠부재(253)는 제2힌지부재(252)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된다.
카메라바디(220)가 회전 중에 일정 각도에 이르게 되면, 도 10a와 같이 스프링(262)의 탄성력에 의해 돌기부재(263)가 정지홈(259)에 걸림된다. 이에 따라, 제1힌지부재(251) 및 제2탄성 스토퍼(261)의 상대 회전이 정지하게 되며, 단말기 바디(210)에 대한 카메라 바디(220)의 회전이 일정 각도에서 정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제1힌지부재(251)가 카메라 바디(220)에, 제2힌지부재(252)가 단말기 바디(210)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제1힌지부재(251)가 단말기 바디(210)에, 제2힌지부재(252)가 카메라 바디(220)에 각각 고정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관련된 힌지 모듈들(240,250)이 도 5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200)에 장착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에도 그 적용이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의 휴대 단말기(100)를 기초로 설명하나, 이는 도 5의 휴대 단말기(200)에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통신 모듈(141), 조작부(115,116), 영상 입력부(121), 음향입력부(117), 디스플레이부(114), 음향 출력부(122), 센싱유닛(146), 인터페이스(118), 방송 수신 모듈(145), 메모리(144), 전원공급부(119), 제어부(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카메라(121)와 관련된 카메라 바디(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모듈(14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4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43)을 포함한다.
조작부(115,116)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영상 입력부(121,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4)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4)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4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4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17)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4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4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 다.
음향 입력부(117)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4)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4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4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22)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 유닛(14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4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19)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18)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센싱 유닛(146)은 카메라 바디(120)가 단말기 바디(110)에 대해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여 센싱 결과를 제어부(140)에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140)에 해당 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부(114)에 카메라(121)의 동작과 관련된 모드 세트(128, 133)를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18)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44)는 제어부(14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4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4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7), 디스플레이부(114)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4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4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4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4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19)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 제2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들.
도 4a 및 4b는 도 2 및 도 3의 휴대 단말기를 정면에서 각각 바라본 평면도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휴대 단말기 제2상태를 나타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의한 힌지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도 7의 힌지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다른 예에 의한 힌지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10a 및 10b는 도 9의 힌지 모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힌지모듈의 단면도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7)

  1. 피사체 및 촬영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단말기 바디;
    상기 단말기 바디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내부에 장착된 카메라의 지향 방향이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회전될 수 있게 상기 단말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 바디; 및
    상기 카메라 바디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카메라를 조작시키는 카메라 조작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터치입력을 할 수 있도록 터치 입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바디는 제1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바디와 조합되어 바 형태를 형성하고, 제2상태에서 상기 단말기 바디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태에서 상기 카메라는 그 지향 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카메라 바디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바디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바디에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출력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바디는 상기 단말기 바디의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조작부는 상기 단말기 바디에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바디가 상기 제2상태로 회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카메라와 관련된 동작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세트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바디는 상기 단말기 바디에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상태는 상기 카메라의 지향 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방향과 반대 방향을 이루는 정회전 상태 및 상기 카메라의 지향 방향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출력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이루는 역회전 상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태가 상기 정회전 상태인 경우, 상기 모드세트는 사진촬영 모드 및 동영상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태가 상기 역회전 상태인 경우, 상기 모드세트는 사용자 자신을 촬영하기 위한 셀프 사진촬영 모드 및 셀프 동영상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세트는 화상통화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조작부는 사진 촬영을 위한 셔터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키는 상기 카메라의 장착 위치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조작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피사체의 크기를 조절하는 줌키 또는 촬영된 사진이나 동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바디와 상기 카메라 바디 사이에는 상기 카메라 바디를 일정 각도마다 그 회전 각도에서 정지시키는 힌지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단말기 바디 또는 카메라 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
    상기 단말기 바디 또는 카메라 바디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며, 축 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이 구비된 제2힌지부재; 및
    상기 제1힌지부재에 구속되어 상기 제1힌지부재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정지홈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정지홈에 자체 탄성작용에 의하여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탄성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모듈은,
    상기 단말기 바디 또는 카메라 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제1힌지부재;
    상기 단말기 바디 또는 카메라 바디 중 다른 하나에 고정되는 제2힌지부재;
    상기 제1힌지부재에 구속되며, 그 외주에 반경방향으로 함몰된 형태의 정지홈이 구비된 캠부재; 및
    상기 제2힌지부재에 구속되어 상기 제2힌지부재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되고, 상기 정지홈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재가 상기 정지홈에 탄성작용에 의하여 걸림될 수 있게 형성되는 탄성스토퍼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70111782A 2007-11-02 2007-11-02 휴대 단말기 KR101356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782A KR101356167B1 (ko) 2007-11-02 2007-11-02 휴대 단말기
US12/263,259 US8159592B2 (en) 2007-11-02 2008-10-31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1782A KR101356167B1 (ko) 2007-11-02 2007-11-02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791A KR20090045791A (ko) 2009-05-08
KR101356167B1 true KR101356167B1 (ko) 2014-01-24

Family

ID=4058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1782A KR101356167B1 (ko) 2007-11-02 2007-11-02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59592B2 (ko)
KR (1) KR101356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5266B2 (en) 2016-09-09 2020-03-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264B1 (ko) * 2007-12-17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8090421B2 (en) * 2008-10-03 2012-01-0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Bi-stable sliding assembly
JP2010193031A (ja) * 2009-02-17 2010-09-02 Olympus Imaging Corp 撮影装置および撮影装置の制御方法
KR101617289B1 (ko) * 2009-09-30 201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US8451994B2 (en) 2010-04-07 2013-05-28 Apple Inc. Switching cameras during a video conference of a multi-camera mobile device
US9055205B2 (en) * 2010-09-03 2015-06-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control system, control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601134B2 (ja) * 2010-10-04 2014-10-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180048750A1 (en) * 2012-06-15 2018-02-15 Muzik, Llc Audio/video wear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projector
JP5955908B2 (ja) * 2014-08-07 2016-07-20 三菱製鋼株式会社 開閉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90040263A (ko) 2016-08-30 2019-04-17 엑스리프 가부시키가이샤 정보 처리 단말
JP6904836B2 (ja) * 2017-07-31 2021-07-21 日本アビオニクス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8600449B (zh) * 2018-04-23 2020-12-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428596B1 (ko) * 2020-11-16 2022-08-03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로변경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978A (ja) 2000-02-29 2002-02-15 Kddi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用ディジタルカメラ並びに携帯情報端末接続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
KR200314213Y1 (ko) 2003-02-19 2003-05-23 주식회사 와이드텔레콤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폰
KR100713433B1 (ko) 2006-01-2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타입 휴대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5088B1 (en) * 1997-02-17 2001-09-25 Nikon Corporation Portable display device
US7536099B2 (en) * 2006-05-25 2009-05-19 Nokia Corporation Camera protection co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0978A (ja) 2000-02-29 2002-02-15 Kddi Corp 携帯情報端末及び携帯情報端末用ディジタルカメラ並びに携帯情報端末接続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
KR200314213Y1 (ko) 2003-02-19 2003-05-23 주식회사 와이드텔레콤 카메라가 장착된 폴더형 휴대폰
KR100713433B1 (ko) 2006-01-27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타입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5266B2 (en) 2016-09-09 2020-03-1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5791A (ko) 2009-05-08
US8159592B2 (en) 2012-04-17
US20090115881A1 (en)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67B1 (ko) 휴대 단말기
KR101366859B1 (ko) 휴대 단말기
KR101545588B1 (ko)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US20090316036A1 (en) Apparatus for a Combination Camcorder-Handset Device
TWI384843B (zh) 可攜式終端
KR20090102242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371032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77605A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0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0983728B1 (ko) 휴대 단말기
KR20110066742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101595358B1 (ko) 휴대 단말기
KR101649635B1 (ko) 휴대 단말기
KR101595347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22594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15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23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7239B1 (ko)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장치
KR101437976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66026B1 (ko) 휴대 단말기
KR101413472B1 (ko) 신호발생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13621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1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35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