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0762B1 -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 - Google Patents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0762B1
KR101360762B1 KR1020130026713A KR20130026713A KR101360762B1 KR 101360762 B1 KR101360762 B1 KR 101360762B1 KR 1020130026713 A KR1020130026713 A KR 1020130026713A KR 20130026713 A KR20130026713 A KR 20130026713A KR 101360762 B1 KR101360762 B1 KR 10136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by mode
power
terminal
resistor
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티스
Priority to KR1020130026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기 모드 상태(standby) 시 동작하는 마이콤(Micom)에 연결되어 입력 전원을 상기 마이콤 구동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마이콤으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의 입력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저항과,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저항으로 구성된 전압 분압부, 상기 전압 분압부의 제1 저항과 제2 저항 사이의 분기된 지점에 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단자에 비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하이 레벨 신호 또는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OP 앰프 및, 상기 OP 앰프의 출력 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고, 이미터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콜렉터 단자로부터 상기 입력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OP 앰프의 로우 레벨 신호 출력시 턴 오프(turn off) 되고, 상기 OP 앰프의 하이 레벨 신호 출력시 턴 온(turn on) 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기 모드에서 전류 소비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저전력 대기(Standby) 모드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며, 대기 모드 상태에서 AC 스위치(switch)를 오프(off) 하거나 어댑터(adaptor)를 콘센트에서 뺄 경우 셋트를 곧바로 AC 오프(off) 상태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향후 0.1W 와 같은 더욱더 심화될 저전력 대기 규제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Discharge apparatus for power-saving standby mode}
본 발명은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기 모드에서 전류 소비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저전력 대기(Standby) 모드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며, 대기 모드 상태에서 AC 스위치(switch)를 오프(off) 하거나 어댑터(adaptor)를 콘센트에서 뺄 경우 셋트를 곧바로 AC 오프(off)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대기 모드에서의 대기전력 규제가 심하지 않았으나 2013년 1월부터 대기 전력 규제가 더욱 심해 졌다. 예를 들어, 유럽의 경우 기존에는 대기전력이 under 1W였으나 2013년 1월 7일부터는 under 0.5W로 더욱 강화되었다(Energy related Products, ErP).
기존에 1W만 만족하면 될 경우에는 아주 간단하게 방전저항을 상시 연결해 놓고 대기 모드에서 AC 오프(off)를 하여도 SMPS나 어댑터(adaptor)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 저항을 통해 방전되므로 제품은 바로 AC 오프(off) 상태로 진입하였다.
그리고, 1W만 만족하면 될 때에는 대기(Standby) 모드에서 방전저항이 일정한 전력을 소비하고 있더라도 만족할 수 있었으나 0.5W 규제에서는 상시 소비하는 방전 저항으로는 해당 규격을 만족할 수 없다.
저전력 대기(Standby) 모드 구현을 위해서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셋트는 최소한의 전력을 소비해야 한다.
통상 해당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대시(standby) 시에 저전력 마이콤(micom) 하나만 동작하며 외부 디스플레이(display)는 대기(Standby) 표시용 LED 하나만 표시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 상태에서 기타 다른 부분(Main 부)의 전원은 모두 오프(off)하고, 불필요한 누설 전류(leakage current)를 최소화해야 초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이 가능하다.
저전력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User)가 제품의 AC 스위치(switch)를 오프(off) 하여도 LED는 바로 꺼지지 않고 한참 동안 켜져 있게 된다. 이는 AC 스위치(switch)를 오프(off)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SMPS에 충전된 전하가 LED 하나를 통해 방전되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것이다.
또한, 전원을 뽑거나 AC 스위치(switch)를 오프(off) 했음에도 셋트가 계속 켜져 있는 부분은 사용자(user)에서 혼동을 줄 수 있고 AC 스위치(switch)를 빠르게 off -> on 할 경우 셋트는 재 부팅 하지 않고 계속 대기(Standby)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user)는 부팅 불량으로 오인할 가능성이 있다.
SMPS나 어댑터(adaptor)에 충전된 전하는 많고 저전력 모드로 인해 소비되는 전류는 매우 적기 때문에, SMPS나 어댑터(adaptor)에 충전된 전하가 모두 방전되기 까지 시간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방전저항 하나를 풀 다운(pull down) 형태로 전원과 그라운드(GND) 사이에 추가하였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대기 모드에서도 상시 전류를 소비하기 때문에 0.5W 등의 초 저전력 모드를 구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대기 모드에서 전류를 거의 소비 하지 않아 저전력 대기(Standby) 모드 구현이 가능하며 대기 모드 상태에서 AC 스위치(switch)를 오프(off) 하거나 어댑터(adaptor)를 콘센트에서 뺄 경우 방전회로가 동작하면서 셋트는 곧바로 AC 오프(off) 상태로 진입하게 된다.
앞으로 더욱더 규제는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0.1W 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더욱더 방전회로가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대기 모드에서 전류 소비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저전력 대기(Standby) 모드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며, 대기 모드 상태에서 AC 스위치(switch)를 오프(off) 하거나 어댑터(adaptor)를 콘센트에서 뺄 경우 셋트는 곧바로 AC 오프(off)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는,
대기 모드 상태(standby) 시 동작하는 마이콤(Micom)에 연결된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에 연결되어 입력 전원을 상기 마이콤 구동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마이콤으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의 입력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저항과,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저항으로 구성된 전압 분압부, 상기 전압 분압부의 제1 저항과 제2 저항 사이의 분기된 지점에 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단자에 비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하이 레벨 신호 또는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OP 앰프 및, 상기 OP 앰프의 출력 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고, 이미터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콜렉터 단자로부터 상기 입력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OP 앰프의 로우 레벨 신호 출력시 턴 오프(turn off) 되고, 상기 OP 앰프의 하이 레벨 신호 출력시 턴 온(turn on) 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방전 전류 값 조절을 위해, 상기 입력 전원과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 사이에 설치된 제3 저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기 모드에서 전류 소비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저전력 대기(Standby) 모드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며, 대기 모드 상태에서 AC 스위치(switch)를 오프(off) 하거나 어댑터(adaptor)를 콘센트에서 뺄 경우 셋트를 곧바로 AC 오프(off) 상태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향후 0.1W 와 같은 더욱더 심화될 저전력 대기 규제에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의 전압-시간 관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대기 모드 상태(standby) 시 동작하는 마이콤(Micom)(101)에 연결된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101)에 연결되어 입력 전원을 상기 마이콤(101) 구동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마이콤(101)으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102), 상기 레귤레이터(101)의 입력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저항과,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저항으로 구성된 전압 분압부(103), 상기 전압 분압부(103)의 제1 저항과 제2 저항 사이의 분기된 지점에 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레귤레이터(102)의 출력 단자에 비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하이 레벨 신호 또는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OP 앰프(104) 및, 상기 OP 앰프(104)의 출력 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고, 이미터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콜렉터 단자로부터 상기 입력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OP 앰프(104)의 로우 레벨 신호 출력시 턴 오프(turn off) 되고, 상기 OP 앰프(104)의 하이 레벨 신호 출력시 턴 온(turn on) 되는 트랜지스터(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리고, 방전 전류 값 조절을 위해, 상기 입력 전원과 상기 트랜지스터(105)의 콜렉터 단자 사이에 설치된 제3 저항(R1)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의 전압-시간 관계도이다.
이하,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해 설명한다.
먼저, 통상 어댑터(adaptor)는 단 전원을 사용하고 SMPS의 경우도 효율 때문에 단 전원을 많이 사용하나 이는 시스템(system)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12V 단 전원을 사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저전력 대기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레귤레이터(102) 예를 들어, LDO나 DC/DC 컨버터로 마이콤(micom)(101)용 구동 전원을 만든다.
그리고, 대기 상태(standby) 시에 마이콤(micom) 하나만 동작하며 기타 다른 메인(main) 보드나 전원은 모두 오프(off) 하며 또한, 디스플레이(display)도 VFD나 7-seg 역시 모두 오프(off) 하며 대기 상태(Standby) 표시용 지시 LED(indication LED) 하나만 온(on) 한다.
이때, 불필요한 누설 전류(leakage current)는 모두 제거해야 하며 LDO와 DC/DC컨버터의 선정도 매우 중요하다.
LDO의 경우 Iq(Quiescent current)가 매우 적어야 하며 DC/DC 컨버터의 경우 광 부하(light load) 시 효율이 높은 제품을 선정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전력 모드 설계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아래 2가지 점이다.
1. 대기 모드에서 방전회로가 전류를 최대한 적게 소비해야 한다.
2. AC 코드를 뽑거나 AC switch 을 오프(off) 했을 경우 제품은 바로 오프(off) 상태가 되어야 한다.
도 1은 상기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방전회로이다.
예를 들어, 마이콤(micom)(101)이 5V 전원을 사용한다고 하면, 레귤레이터(102) 즉, LDO나 DC/DC 컨버터의 입력단이 Vdrop(대략 1~2V) 이상까지는 출력 5V을 유지하게 된다.
즉, 12V 전원이 7V까지 떨어져도 마이콤(micom)(101)은 계속 동작 상태가 되는 것이다.
더 이상 떨어지면 마이콤(micom)(101)은 동작하지 않겠지만, LED는 계속 켜져 있는 상태가 된다.
전원이 LED의 VF이상을 유지하는 동안은 LED가 계속 켜져 있다.
각 시정수는 셋트의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1 : 100Ohm, R2=R3=R4=R5=R6=100KOhm 로 가정.
R4 = R5 면 OP 앰프(104)의 반전 입력 단자에는 입력 전원의 1/2이 되는 전압이 형성된다(전류 소모를 최대한 적게 하기 위해 value가 큰 저항을 사용해야 함).
12V 입력 전원일 경우 6V가 형성된다.
그리고, OP 앰프(104) 비반전 입력 단자에는 레귤레이터(102)의 출력 전압인 5V가 형성된다.
이때, OP 앰프(104) 출력단자에는 로우(Low)가 출력되어 방전 회로가 동작하지 않는다(OP1.6의 전압 > OP1.5의 전압 = OP1.7는 GND출력, OP1.6의 전압 < OP1.5의 전압 = OP1.7는 12V출력).
대기 상태(Standby)에서 AC 코드를 꼽거나 AC 스위치(switch)를 오프(off)하면 12V의 전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서히 떨어진다.
R4의 12V 전원이 대략 10V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OP 앰프(104) 반전 입력 단자는 전압이 5V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하지만, OP 앰프(104) 비반전 입력 단자는 Vin 이 7V or 8V까지는 5V을 계속 유지한다.
즉, OP 앰프(104) 반전 입력 단자의 전압 < OP 앰프(104) 비반전 입력 단자의 전압 = OP 앰프 출력 단자는 12V 출력 조건이 형성된다.
그리고, OP 앰프(104) 출력 단자에 12V가 출력되면서 트랜지스터(105)가 턴 온(turn on) 되면서 방전회로가 동작한다.
트랜지스터(105)가 턴 온(turn on) 되면 I=V/R 조건으로 방전을 하게 되며, 도 2에 도시된 점선과 같이 방전되면서 12V가 급격히 떨어진다.
예) 12V가 9V로 떨어졌을 때를 가정하면, 방전 전류 I = [9V-0.4V(Vce)] / 100 = 86mA 가 되면서 급격히 방전되게 된다.
통상 대기 상태(Standby) 시에 마이콤(Micom)과 LED가 소모하는 전류를 대략 10mA정도 되므로 86mA면 충분하며 이는 R1의 저항값 조정으로 셋트에 최적화 시키면 된다.
즉, R1~ R6의 저항값은 시스템(system)에 맞게 최적화시키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대기 모드에서 전류 소비가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저전력 대기(Standby) 모드 구현이 가능하며, 대기 모드 상태에서 AC 스위치(switch)를 오프(off) 하거나 어댑터(adaptor)를 콘센트에서 뺄 경우 셋트를 곧바로 AC 오프(off) 상태로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향후 0.1W 와 같은 더욱더 심화될 저전력 대기 규제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마이콤 102 : 레귤레이터
103 : 전압 분압부 104 : OP 앰프
105 : 트랜지스터

Claims (2)

  1. 대기 모드 상태(standby) 시 동작하는 마이콤(Micom)에 연결된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에 연결되어 입력 전원을 상기 마이콤 구동 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마이콤으로 출력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의 입력 단자에 일단이 연결된 제1 저항과, 상기 제1 저항의 타단에 연결된 제2 저항으로 구성된 전압 분압부;
    상기 전압 분압부의 제1 저항과 제2 저항 사이의 분기된 지점에 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레귤레이터의 출력 단자에 비반전 입력 단자가 연결되어 상기 제1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에 걸리는 전압에 따라 하이 레벨 신호 또는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OP 앰프; 및
    상기 OP 앰프의 출력 단자에 베이스 단자가 연결되고, 이미터 단자가 그라운드에 연결되며, 콜렉터 단자로부터 상기 입력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OP 앰프의 로우 레벨 신호 출력시 턴 오프(turn off) 되고, 상기 OP 앰프의 하이 레벨 신호 출력시 턴 온(turn on) 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방전 전류 값 조절을 위해, 상기 입력 전원과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 사이에 설치된 제3 저항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
KR1020130026713A 2013-03-13 2013-03-13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 KR101360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713A KR101360762B1 (ko) 2013-03-13 2013-03-13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713A KR101360762B1 (ko) 2013-03-13 2013-03-13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0762B1 true KR101360762B1 (ko) 2014-02-12

Family

ID=50270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713A KR101360762B1 (ko) 2013-03-13 2013-03-13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07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8857A (ja) * 1998-04-20 1999-11-05 Fujitsu General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0148234A (ja) 2008-12-18 2010-07-01 Seiko Epson Corp 残留電荷放電回路および電源用半導体装置
KR20100090429A (ko) * 2009-02-06 2010-08-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KR20110010232A (ko) * 2009-07-24 2011-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커패시터 방전회로를 갖는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8857A (ja) * 1998-04-20 1999-11-05 Fujitsu General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2010148234A (ja) 2008-12-18 2010-07-01 Seiko Epson Corp 残留電荷放電回路および電源用半導体装置
KR20100090429A (ko) * 2009-02-06 2010-08-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원 공급 장치
KR20110010232A (ko) * 2009-07-24 2011-02-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커패시터 방전회로를 갖는 전원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973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ystem power management i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battery
US8575917B2 (en) Multirange load detection circuitry
CN201570873U (zh) 实现usb端口智能式电源管理的装置及集成电路
US85335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standby power consumption of a display, and display with low standby power consumption
US8804380B2 (en) Zero standby switching power supply solution
US769858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idle power in a power supply
US20180323699A1 (en) Power Loss Protection Integrated Circuit With Autonomous Capacitor Health Check
US9985454B2 (en) Power source device having standby power-cutoff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TW201631432A (zh) 用於決定配接器電流限制的系統和方法
US8040705B2 (en) Circuit with isolation interface and remote on/off
CN102299532B (zh) 充电装置
CN201435679Y (zh) 一种开关模式电源
CN108628426B (zh) 操作模式判断电路及其方法
CN111478777A (zh) 以太网供电受电装置自动维持电力特征
US20140001852A1 (en) Power sequence circuit
CN105981276B (zh) 具有快速放电电路的电力变换器
CN102948058B (zh) 具有输入限流功能的开关调节器
KR101360762B1 (ko) 저전력 대기 모드 구현을 위한 방전 장치
JP2010145244A (ja) 消費電力及び過電流表示装置
US11349385B2 (en) High voltage start-up circuit for switching power supplies
CN210401604U (zh) 电源适配器测试装置
CN211318588U (zh) 一种带低频减载功能的智能电能表
KR20040062309A (ko) 배터리 충전기능을 갖는 디지털 장치 및 그 충전방법
CN104485634A (zh) 实现平均电流保护的电源管理***及方法
CN103149854B (zh) 一种电源节能控制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