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449B1 -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449B1
KR101359449B1 KR1020110134667A KR20110134667A KR101359449B1 KR 101359449 B1 KR101359449 B1 KR 101359449B1 KR 1020110134667 A KR1020110134667 A KR 1020110134667A KR 20110134667 A KR20110134667 A KR 20110134667A KR 101359449 B1 KR101359449 B1 KR 101359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ering
conveying
pipeline
driv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180A (ko
Inventor
박재성
Original Assignee
(주)엔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코텍 filed Critical (주)엔코텍
Priority to KR102011013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4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4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sealing material being introduced inside the pipe by means of a tool moving in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10Treating the inside of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우측에 회전가능한 바퀴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바퀴를 외부 조정기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모터를 통해 구동시키는 바퀴 구동부와, 조정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각도 조절신호를 카메라에 출력함은 물론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구동 제어부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에 대한 승,하강이동과 회동 및 미장재 배출을 제어하는 각부 구동 제어부를 구비한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자체를 포함하여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정해진 높이 범위에서 승,하강시켜 주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승,하강수단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미장기능으로 작동시킬 때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회전을 제어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와; 조명등을 구비하고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상면에 4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카메라 구동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부위를 촬상하여 외부의 모니터로 전송하는 카메라와;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와; 1/4 원통 형상을 갖는 2개의 버켓이 개폐 가능하게 축지되어 전체적으로 소정용적의 반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미장재를 담아 이송하다가 미장을 필요로 하는 관로 바닥에 원하는 량씩 배출시켜 줌은 물론 관로의 바닥면 측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구동방향에 부응하여 좌,우로 회전되며 관로 바닥에 쏟아진 미장재에 대한 미장/마감 처리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관로의 직경에 무관하게 모든 관로에 대한 전처리가 가능하고, 차후 보강재를 이용한 관로 내부의 부분 또는 전체 보수를 실시하고자 할 때 관로의 하부에 부분적으로 고인 물을 포함한 각종 부산물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단 균열이 발생된 부위를 미장 등을 통해 정확히 보강/보수할 수 있어 관로의 보수에 따른 품질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Unmanned pretreatment apparatus in inner pipe}
본 발명은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체부의 전단부에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과 회전 및 승,하강 구동부와 카메라 등을 구비시킴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물을 포함한 부산물 흡입수단을 더 설치하여, 관로의 내부 바닥 배수 구배 불량이나 종단 균열 발생 등으로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에 무인 전처리장치를 투입시키고 외부에서 조정기를 통해 무인 전처리기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관로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고 각종 부산물의 제거 및 미장을 통한 보강/보수가 필요한 부분이 확인될 경우 부산물 흡입수단을 작동시켜 각종 부산물을 먼저 흡입/처리한 다음 해당 부위에 미장재를 쏟고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하강시켜 미장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 보강하는 방식을 통해 차후 보강재를 통해 관로의 내부를 부분 또는 전체 보수할 때 부분적으로 물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로의 보수에 따른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로와 수로, 횡 배수로 등을 포함하는 각종 관로는 각각의 가정이나 공장 등에 연결되어 하수 등을 하수 처리장으로 운송하게 되는바, 이러한 관로 등은 도시 전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로는 하수와 폐수를 운반하게 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노후되고 산화물질과 같은 것에 의해 부식되어 하수가 관로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이러한 하수가 노후된 관로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면 토양의 오염과 지하수의 오염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국내 하수관 등과 같은 관로는 매설 지반의 강도가 불균일하고, 약 2.5m 마다 이음부가 존재하므로 이음부의 단차로 인해 관로의 하부에 부분적 물 고임 현상아 발생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음부의 시공이 불량하여 이음부로부터 종단 균열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노후된 관로를 교체하게 되는데, 관로를 교체하기 위하여 그 관로가 묻혀 있는 곳을 굴착한 다음 노후된 관로를 분리하고 새로운 관로를 묻게 된다. 이러한 굴착 공법을 사용하게 되면 관로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게 되기 때문에 그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고 굴착 비용만이 소요된다. 그러나, 굴착 공법은 관로가 묻혀 있는 장소를 굴착한 다음 관로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복잡한 도심에서 공사를 진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교통에 너무나 많은 혼잡을 초래하기 때문에 사회 간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굴착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로를 굴착하지 않고도 관로 내측에 라이너(liner)를 설치하여 하수가 도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CIPP(Cured-in-Placed Pipe) 공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공법은 관로 내부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튜브(즉, 라이닝재)를 삽입한 다음 경화시켜 하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공법으로서, 국내에서는 견인 공법과 반전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견인 공법은 국내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내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수지가 함침된 면이 형성된 튜브형 라이닝재를 관로로 견인한 다음, 그 내부에 공기압이나 정수압을 공급하여 팽창시켜 외면이 관로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열을 공급하여 그 튜브형 라이닝재가 경화되도록 한 것이다.
반전 공법은 내면에는 수지가 함침된 면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코팅이 이루어진 튜브형 라이닝재를 관로 내부에 설치한 다음 반전시키고 열을 가하여 코팅 면이 내면이 되고 수지가 함침된 면이 외면이 되어 관로의 내측에 밀착되어 경화되도록 한 공법이다.
한편, 통상적인 관로는 현장 여건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직선을 포함하여 곡선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이음부의 시공 상태나 지형에 따라서는 수직방향으로 단차가 불규칙한 구배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존재한다.
특히 국내 하수관 등과 같은 관로는 매설 지반의 강도가 불균일하고, 약 2.5m 마다 이음부가 존재하므로 이음부의 단차로 인해 관로의 하부에 부분적 물 고임 현상아 발생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음부의 시공이 불량하여 이음부로부터 종단 균열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특히 국내 하수관 등과 같은 관로는 매설 지반의 강도가 불균일하고, 약 2.5m 마다 이음부가 존재하므로 이음부의 단차로 인해 관로의 하부에 부분적 물 고임 현상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이음부의 시공이 불량하여 이음부로부터 종단 균열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대부분은 관로의 하부에 부분적인 물 고임 현상이 발생된 것과, 이음부에 종단 균열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전처리로서 보수를 실시하지 않고 있어 라이닝재를 이용한 보수 후에도 물 고임 현상이 지속되거나 또는 보강 효과가 감소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소구경 관로의 경우 작업자가 직접 관로 내부로 들어가 관로 내 일부에 고인 각종 부산물을 확인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미장을 통한 보강/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직접 확인하고 미장 등에 필요한 재료 및 공구를 전달받아 해당 부위에 미장 등을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86199호(2010년 10월 01일)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23720호(2011년03월08일)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09569호(2009년 07월 20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체부의 전방부에 카메라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구동과 회전 및 승,하강시켜 주는 수단 등을 구비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물을 포함한 부산물 흡입수단을 더 구비한 무인 전처리장치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 내부에 투입시키고 외부에서 조정기를 통해 무인 전처리장치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관로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다가 각종 부산물의 제거가 필요한 부분이 확인될 경우 부산물 흡입수단을 작동시켜 각종 부산물을 먼저 흡입/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미장을 통한 보강/보수가 필요한 부분이 확인될 경우에는 해당 부위에 미장재를 쏟고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하강시켜 미장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로의 직경에 무관하게 모든 관로에 대한 전처리가 가능하고, 차후 보강재를 이용한 관로 내부의 부분 또는 전체 보수를 실시하고자 할 때 관로의 하부에 부분적으로 고인 물을 포함한 각종 부산물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단 균열이 발생된 부위를 미장 등을 통해 정확히 보강/보수할 수 있어 관로의 보수에 따른 품질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로 내면 전처리장치는, 좌,우측에 회전가능한 바퀴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바퀴를 외부 조정기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모터를 통해 구동시키는 바퀴 구동부와, 조정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각도 조절신호를 카메라에 출력함은 물론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구동 제어부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에 대한 승,하강이동과 회동 및 미장재 배출을 제어하는 각부 구동 제어부를 구비한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자체를 포함하여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정해진 높이 범위에서 승,하강시켜 주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승,하강수단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미장기능으로 작동시킬 때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회전을 제어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와; 조명등을 구비하고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상면에 4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카메라 구동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부위를 촬상하여 외부의 모니터로 전송하는 카메라와;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와; 1/4 원통 형상을 갖는 2개의 버켓이 개폐 가능하게 축지되어 전체적으로 소정용적의 반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미장재를 담아 이송하다가 미장을 필요로 하는 관로 바닥에 원하는 량씩 배출시켜 줌은 물론 관로의 바닥면 측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구동방향에 부응하여 좌,우로 회전되며 관로 바닥에 쏟아진 미장재에 대한 미장/마감 처리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차체부의 내부 또는 상면에는 소정용적을 갖는 부산물 포집 탱크와 관로 바닥에 고인 부산물을 강제로 흡입할 수 있는 펌프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호스의 단부에 부산물 흡입구를 설치하되, 상기 부산물 흡입구는 차체부의 전면부에서 관로의 바닥에 근접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체부에 설치된 바퀴의 축과 차체부의 본체 사이에는 관로의 지름에 대응하여 차체부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체부 높이 조절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체부 높이 조절수단은 에어 짹 또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차체부의 후면에는 차체부의 전면부에서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승,하강수단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를 포함하여 미장재가 담아지는 미장/마감 처리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전체의 무게에 의해 차체부 자체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량체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승,하강수단은 축 상에 고정 설치된 피니언 기어가 차체부의 전면을 통해 돌출되도록 차체부 내에 고정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승,하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승,하강용 모터와; 전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판 안내레일이 돌출 성형되고, 중앙에는 승,하강용 모터의 축에 고정 설치된 피니언 기어 통과공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차체부의 전면판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판의 승,하강을 안내해 주는 고정판과; 후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고정판의 이동판 안내레일에 걸려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고정판 결합용 안내레일이 돌출 성형되고, 중앙에는 상기 승,하강용 모터 축의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레크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용 모터의 구동 방향에 대응하여 자체를 포함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이 차체부의 전면에서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판의 레크 기어 상,하단부에는 각각 고정판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이동판의 상,하 이동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상,하 이동 제한판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는 승,하강수단의 이동판에 배면판이 고정되는 함체와; 축이 상기 함체의 전면판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함체 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용 모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함체 전면판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의 함체 배면에는 각각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좌,우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한 쌍의 근접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좌,우 회전각도가 제한 각도에 이르렀을 때 상기 스위치들을 작동시키는 스위치 작동돌기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회전용 모터 축 단부에 배면판이 일체로 고정되는 함체와; 축 상에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두 버켓을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시켜 개폐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버켓 회전용 모터와; 상기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와 맞물리는 동력 전달용 스퍼 기어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함체의 전면판 양측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후단부가 축지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됨은 물론 전단부는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두 버켓 후면판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어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와 동력 전달용 스퍼 기어들을 통해 전달되어 오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회전용 모터의 회전 방향에 부응하여 회전되며 상기 두 버켓이 개폐되도록 하는 한 쌍의 버켓 구동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에 의하면, 차체부의 전방부에 카메라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구동과 회전 및 승,하강시켜 주는 수단 등을 구비시켜 줌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물을 포함한 부산물 흡입수단을 더 구비시킨 구성을 갖는 무인 전처리장치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 내부에 투입시키고 외부에서 조정기를 통해 무인 전처리장치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관로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를 통해 확인하다가 각종 부산물의 제거가 필요한 부분이 확인될 경우 부산물 흡입수단을 작동시켜 각종 부산물을 먼저 흡입/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또 미장을 통한 보강/보수가 필요한 부분이 확인될 경우에는 해당 부위에 미장재를 쏟고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하강시켜 미장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로의 직경에 무관하게 모든 관로에 대한 전처리가 가능하고, 차후 보강재를 이용한 관로 내부의 부분 또는 전체 보수를 실시하고자 할 때 관로의 하부에 부분적으로 고인 물을 포함한 각종 부산물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단 균열이 발생된 부위를 미장 등을 통해 정확히 보강/보수할 수 있어 관로의 보수에 따른 품질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중 승,하강 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를 이용하여 관로 내면을 전처리 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부산물을 흡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보수할 위치에 미장재를 쏟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에 설치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회전시켜 미장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를 대형 관로 내에 설치하고 차체부 높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차체부를 높인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전자적인 블록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 중 승,하강 수단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를 이용하여 관로 내면을 전처리 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부산물을 흡입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보수할 위치에 미장재를 쏟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에 설치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회전시켜 미장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를 대형 관로 내에 설치하고 차체부 높이 조절수단을 이용하여 차체부를 높인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전자적인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는,
좌,우측에 회전가능한 수개의 바퀴(3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바퀴(31)를 외부 조정기(2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모터를 통해 구동시키는 바퀴 구동부(32)와, 조정기(2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각도 조절신호를 카메라(6)에 출력함은 물론 카메라(6)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구동 제어부(33)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에 대한 승,하강이동과 회동 및 미장재 배출을 제어하는 각부 구동 제어부(34)(35)(36)를 구비한 차체부(3)와;
상기 차체부(3)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자체를 포함하여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을 정해진 높이 범위에서 승,하강시켜 주는 승,하강수단(4)과;
상기 승,하강수단(4)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을 미장기능으로 작동시킬 때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회전을 제어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와;
조명등(61)을 구비하고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상면에 4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카메라 구동 제어부(33)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부위를 촬상하여 외부의 모니터(22)로 전송하는 카메라(6)와;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와;
1/4 원통 형상을 갖는 2개의 버켓(81)이 개폐 가능하게 축지되어 전체적으로 소정용적의 반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미장재를 담아 이송하다가 미장을 필요로 하는 관로 바닥에 원하는 량씩 배출시켜 줌은 물론 관로(1)의 바닥면 측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구동방향에 부응하여 좌,우로 회전되며 관로 바닥에 쏟아진 미장재에 대한 미장/마감 처리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차체부(3)의 내부 또는 상면에는 소정용적을 갖는 부산물 포집 탱크(9)와 관로(1) 바닥에 고인 부산물을 강제로 흡입할 수 있는 펌프(91)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펌프(91)와 연결되어 있는 호스(92)의 단부에 부산물 흡입구(93)를 설치하되, 상기 부산물 흡입구(93)는 차체부(3)의 전면부에서 관로(1)의 바닥에 근접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체부(3)에 설치된 바퀴(31)의 축과 차체부(3)의 본체 사이에는 관로(1)의 지름에 대응하여 차체부(3)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체부 높이 조절수단(10)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체부 높이 조절수단(10)은 에어 짹 또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차체부(3)의 후면에는 차체부(3)의 전면부에서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승,하강수단(4)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를 포함하여 미장재가 담아지는 미장/마감 처리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 전체의 무게에 의해 차체부(3) 자체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량체(11)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승,하강수단(4)은,
축 상에 고정 설치된 피니언 기어(411)가 차체부(3)의 전면을 통해 돌출되도록 차체부(3) 내에 고정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승,하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승,하강용 모터(41)와;
전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판 안내레일(421)이 돌출 성형되고, 중앙에는 승,하강용 모터(41)의 축에 고정 설치된 피니언 기어 통과공(422)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차체부(3)의 전면판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판(43)의 승,하강을 안내해 주는 고정판(42)과;
후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고정판(42)의 이동판 안내레일(421)에 걸려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고정판 결합용 안내레일(431)이 돌출 성형되며, 중앙에는 상기 승,하강용 모터(41) 축의 피니언 기어(411)와 맞물리는 레크 기어(432)를 구비하고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용 모터(41)의 구동 방향에 대응하여 자체를 포함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이 차체부(3)의 전면에서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판(4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동판(43)의 레크 기어(432) 상,하단부에는 각각 고정판(4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이동판(43)의 상,하 이동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상,하 이동 제한판(433)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는
승,하강수단(4)의 이동판(43)에 배면판이 고정되는 함체(51)와;
축이 상기 함체(51)의 전면판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함체(51) 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을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용 모터(5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함체(51) 전면판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의 함체(71) 배면에는 각각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좌,우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한 쌍의 근접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53)와 좌,우 회전각도가 제한 각도에 이르렀을 때 상기 스위치들을 작동시키는 스위치 작동돌기(54)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회전용 모터(52) 축 단부에 배면판이 일체로 고정되는 함체(71)와;
축 상에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721)를 구비하고 상기 함체(71) 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두 버켓(81)을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시켜 개폐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버켓 회전용 모터(72)와;
상기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721)와 맞물리는 동력 전달용 스퍼 기어(731)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함체(71)의 전면판 양측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후단부가 축지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됨은 물론 전단부는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두 버켓(81) 후면판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어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721)와 동력 전달용 스퍼 기어(731)들을 통해 전달되어 오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 회전용 모터(52)의 회전 방향에 부응하여 회전되며 상기 두 버켓(81)이 개폐되도록 하는 한 쌍의 버켓 구동축(7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는 크게, 차체부(3)와 승,하강수단(4),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 카메라(6),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을 포함하고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1) 내부에 투입시켜 외부에서 조정기(2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카메라(6)를 통해 촬상되는 관로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22)를 통해 확인하고 정확한 관로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차체부(3)는 좌,우측에 회전가능한 수개의 바퀴(31)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바퀴(31)를 외부 조정기(21)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모터를 통해 구동시키는 바퀴 구동부(32)와, 조정기(21)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각도 조절신호를 카메라(6)에 출력함은 물론 카메라(6)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구동 제어부(33)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에 대한 승,하강이동과 회동 및 미장재 배출을 제어하는 각부 구동 제어부(34)(35)(36)를 구비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에 있어서 외부에서 작업자에 의해 조정되는 조정기(21) 및 모니터(22)와 상기 차체부(3)는 유선으로 상호 연결시켜 소정의 제어데이터 및 촬상 데이터를 유선을 통해 송,수신할 수도 있고, 조정기(21) 및 모니터(22)와 상기 차체부(3) 내에 각각 양방향 무선 송수신부를 설치하여 무선으로 소정의 제어데이터 및 촬상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데이터의 유무선 송수신 방법은 당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차체부(3)에 설치되는 카메라 구동 제어부(33)를 포함하여 승,하강수단 제어부(34)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 제어부(35)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 제어부(36) 역시 당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상세한 구성 및 작동상태의 설명을 생략하였으며, 이들의 연결관계는 도 9와 같다.
한편, 본 발명 장치는 직경의 크기에 무관하게 아무 관로(1) 내로 투입시켜 원하는 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차체부(3)의 높이를 어느 한 높이로 한정시킬 경우 모든 관로에 적용시키기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체부(3)에 설치된 바퀴(31)의 축과 차체부(3)의 본체 사이에 에어 짹 또는 실린더 등을 포함하는 차체부 높이 조절수단(10)을 더 설치하여, 관로(1)의 지름에 대응하여 차체부(3)의 전체 높이를 작업자가 임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도 5 내지 도 7은 소형 또는 중형 관로 내에 본 발명 장치를 설치하여 전처리를 실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 장치를 대형 관로 내에 설치하고 차체부 등을 포함한 높이를 차체부 높이 조절수단(10)을 이용하여 높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차체부(3)의 전면부에서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승,하강수단(4)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를 포함하여 미장재가 담아지는 미장/마감 처리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 전체의 무게가 매우 무거운데도 불구하고 상기 차체부(3)의 중량이 그다지 많아 나가지 않게 되어 차체부(3) 자체가 상기한 구성품들의 무게에 의해 앞쪽으로 기울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체부(3)의 후면에 비교적 무게가 많이 나가는 중량체(11)를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차체부(3)의 주행 중 상기 승,하강수단(4)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를 포함하여 미장재가 담아지는 미장/마감 처리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전체 무게에 의해 차체부(3) 자체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하강수단(4)은 차체부(3)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승,하강수단(4) 자체를 포함하여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을 정해진 높이 범위에서 승,하강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상기 승,하강수단(4)을 도 3과 같이 승,하강용 모터(41)와 고정판(42) 및 이동판(43)으로 구성하였는데, 상기 구성품 중 승,하강용 모터(41)는 축 상에 고정 설치된 피니언 기어(411)가 차체부(3)의 전면을 통해 돌출되도록 차체부(3) 내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정기(21)의 출력신호를 받는 승,하강수단 제어부(34)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동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승,하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또, 상기 고정판(42)은 전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평단면이 "T"자 형상을 갖는 이동판 안내레일(421)이 돌출 성형되고, 중앙에는 승,하강용 모터(41)의 축에 고정 설치된 피니언 기어(411)가 통과하는 피니언 기어 통과공(422)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차체부(3)의 전면판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판(43)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판(43)은 후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종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고 상기 고정판(42)의 이동판 안내레일(421)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고정판 결합용 안내레일(431)이 돌출 성형되고, 중앙에는 상기 승,하강용 모터(41) 축의 피니언 기어(411)와 맞물리는 레크 기어(432)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된 형태를 갖고,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용 모터(41)의 구동 방향에 대응하여 자체를 포함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이 차체부(3)의 전면에서 상기 고정판(42)을 따라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동판(43)의 레크 기어(432) 상,하단부에 상,하 이동 제한판(433)을 각각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상기 고정판(4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이동판(43)의 상,하 이동 높이가 상,하 이동 제한판(433)에 의해 제한되어 승,하강 작동 중 이동판(43)이 고정판(4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하강 이동에 따른 최대 및 최소 높이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는 상기 승,하강수단(4)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의 배면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을 미장기능으로 작동시킬 때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회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를 승,하강수단(4)의 이동판(43)에 배면판이 고정되는 함체(51)와, 상기 함체(51) 내에 설치되는 회전용 모터(52)로 구성하였는데, 상기 회전용 모터(52)는 축이 상기 함체(51)의 전면판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함체(71) 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을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함체(51) 전면판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의 함체(71) 배면에 각각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좌,우 회전각도(예를 들어 좌,우로 45도 내지 90도씩)를 제한하기 위하여 한 쌍의 근접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53)와 좌,우 회전에 따른 제한 각도에 이르렀을 때 상기 스위치들을 작동시키는 스위치 작동돌기(54)를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이 너무 많이 회전함으로 인해 버켓(81) 내에 담겨진 미장재가 쏟아지게 되는 것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6)는 조명등(61)을 구비하고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상면에 4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카메라를 4방으로 틸팅되는 기술은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기술이라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함)된 상태에서, 카메라 구동 제어부(33)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부위를 촬상하여 외부의 모니터(22)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는 전술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배면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로 본 발명에서는 함체(71)와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721), 버켓 회전용 모터(72), 한 쌍의 동력 전달용 스퍼 기어(731) 및 한 쌍의 버켓 구동축(73)으로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함체(71)는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회전용 모터(52) 축 단부에 배면판이 일체로 고정된 형대를 갖고, 상기 버켓 회전용 모터(72)는 축 상에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721)를 구비하고 상기 함체(71)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 제어부(35)의 출력신호에 대응하여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두 버켓(81)을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시켜 미장재가 관로 바닥으로 쏟아지게 개폐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상기 한 쌍의 버켓 구동축(73)은 상기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721)와 맞물리는 한 쌍의 동력 전달용 스퍼 기어(731)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함체(71)의 전면판 양측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후단부가 축지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됨은 물론 전단부는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두 버켓(81) 후면판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721)와 동력 전달용 스퍼 기어(731)들을 통해 전달되어 오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 회전용 모터(52)의 회전력 및 회전 방향에 부응하여 회전되며 상기 두 버켓(81)이 개폐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은 전체적으로 소정용적의 반 원통 형상을 갖도록 1/4 원통 형상을 갖는 2개의 버켓(81)이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의 두 버켓 구동축(73)에 각각 개폐 가능하게 결합(즉,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의 전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통상시에는 미장재를 담아 이송하다가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7)의 구동시 미장을 필요로 하는 관로 바닥에 도 6과 같이 원하는 량씩 배출시켜 줌은 물론, 미장을 위해 상기 승,하강수단(4)이 작동할 때 관로(1)의 바닥면 측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의 구동방향에 부응하여 좌,우로 회전되며 관로 바닥에 쏟아진 미장재에 대한 미장/마감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차체부(3)의 내부 또는 상면에는 소정용적을 갖는 부산물 포집 탱크(9)와 관로(1) 바닥에 고인 부산물을 강제로 흡입할 수 있는 펌프(91)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펌프(91)와 연결되어 있는 호스(92)의 단부에 부산물 흡입구(93)를 설치하되, 상기 부산물 흡입구(93)는 차체부(3)의 전면부에서 관로(1)의 바닥에 근접되게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된 무인 전처리장치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 내부에 투입시키고 외부에서 조정기(21)를 통해 무인 전처리장치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카메라(6)를 통해 촬상되는 관로(1)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22)를 통해 확인하다가 각종 부산물의 제거가 필요한 부분이 확인될 경우 도 5와 같이 상기 부산물 흡입구(93)를 해당 위치에 위치시키고 펌프(91)를 작동시켜 각종 부산물을 부산물 포집 탱크(9) 내로 흡입/처리할 수 있어 차후 미장재를 이용하여 해당 부위를 보강할 경우 미장재가 원활히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관로를 비굴착 공법으로 보수하고자 할 때에는, 관로(1) 내부의 모든 퇴적물을 깨끗이 제거하는 관로 청소작업을 수행한 다음 관로(1)의 내부에서 라이닝재 등을 설치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는 모든 방해물을 검사하여 제거하고, 보수할 관로(1)에 연결된 돌출 연결관(지지관)들을 절단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보수할 관로의 내부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하수가 흐르지 않도록 물 돌리기 작업 등을 선택적으로 실시한다.
이어서, 본 발명 장치를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1) 내부에 투입시키고 외부에서 조정기(21)를 통해 도 4와 같이 전진 또는 후진시키면서 카메라(6)를 통해 촬상되는 관로 내부의 상태를 모니터(22)를 통해 확인하여 각종 부산물이 확인될 경우 해당 부위의 부산물을 도 5와 같이 먼저 흡입/처리하면서, 미장을 통한 보강/보수가 필요한 부분이 확인될 경우에는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의 버켓(81)을 열어 도 6과 같이 해당 부위에 미장재를 쏟고 승,하강수단(4)을 작동시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을 하강시킨 후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5)를 통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8)을 도 7과 같이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미장을 실시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는 관로의 직경에 무관하게 모든 관로에 대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또한 보강재 등을 이용한 관로 내부의 부분 또는 전체 보수를 실시하고자 할 때 관로의 하부에 부분적으로 고인 물을 포함한 각종 부산물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단 균열이 발생된 부위 등을 미장을 통해 정확하고 완벽하게 보강/보수할 수 있어 관로의 보수에 따른 품질 및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관로
21 : 조정기 22 : 모니터
3 : 차체부 31 : 바퀴
32 : 바퀴 구동부 33 : 카메라 구동 제어부
34 : 승,하강수단 제어부
35 :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 제어부
36 :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 제어부
4 : 승하강수단
41 : 승,하강용 모터 411 : 피니언 기어
42 : 고정판 421 : 이동판 안내레일
422 : 피니언 기어 통과공
43 : 이동판 431 : 고정판 결합용 안내레일
432 : 레크 기어 433 : 상,하 이동 제한판
5 :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
51 : 함체 52 : 회전용 모터
53 : 근접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
531 : 스위치 작동돌기
6 : 카메라 61 : 조명등
7 :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
71 : 함체
72 : 버켓 회전용 모터 721 :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
73 : 버켓 구동축 731 : 동력 전달용 스퍼 기어
8 :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81 : 버켓
9 : 부산물 포집 탱크 91 : 펌프
92 : 호스 93 : 부산물 흡입구
10 : 차체부 높이 조절수단
11 : 중량체

Claims (10)

  1. 좌,우측에 바퀴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상기 바퀴를 외부 조정기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모터를 통해 구동시키는 바퀴 구동부와, 조정기의 출력신호에 대응하는 각도 조절신호를 카메라에 출력함은 물론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영상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구동 제어부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에 대한 승,하강이동과 회동 및 미장재 배출을 제어하는 각부 구동 제어부를 구비한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자체를 포함하여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정해진 높이 범위에서 승,하강시켜 주는 승,하강수단과;
    상기 승,하강수단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미장기능으로 작동시킬 때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회전을 제어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와;
    조명등을 구비하고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상면에 4방으로 틸팅 가능하게 설치되어 카메라 구동 제어부의 출력신호에 부응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부위를 촬상하여 외부의 모니터로 전송하는 카메라와;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전면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배면 사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개폐작동을 제어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와;
    1/4 원통 형상을 갖는 2개의 버켓이 개폐 가능하게 축지되어 전체적으로 소정용적의 반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미장재를 담아 이송하다가 미장을 필요로 하는 관로 바닥에 원하는 량씩 배출시켜 줌은 물론 관로의 바닥면 측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구동방향에 부응하여 좌,우로 회전되며 관로 바닥에 쏟아진 미장재에 대한 미장/마감 처리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부의 내부 또는 상면에는 소정용적을 갖는 부산물 포집 탱크와 관로 바닥에 고인 부산물을 강제로 흡입할 수 있는 펌프를 부가 설치하고,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호스의 단부에 부산물 흡입구를 설치하되, 상기 부산물 흡입구는 차체부의 전면부에서 관로의 바닥에 근접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부에 설치된 바퀴의 축과 차체부의 본체 사이에는 관로의 지름에 대응하여 차체부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차체부 높이 조절수단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체부 높이 조절수단은 에어 짹 또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부의 후면에는 차체부의 전면부에서 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승,하강수단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를 포함하여 미장재가 담아지는 미장/마감 처리하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전체의 무게에 의해 차체부 자체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량체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축 상에 고정 설치된 피니언 기어가 차체부의 전면을 통해 돌출되도록 차체부 내에 고정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승,하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승,하강용 모터와;
    전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판 안내레일이 돌출 성형되고, 중앙에는 승,하강용 모터의 축에 고정 설치된 피니언 기어 통과공이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차체부의 전면판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판의 승,하강을 안내해 주는 고정판과;
    후면 양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고정판의 이동판 안내레일에 걸려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고정판 결합용 안내레일이 돌출 성형되고, 중앙에는 상기 승,하강용 모터 축의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레크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배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승,하강용 모터의 구동 방향에 대응하여 자체를 포함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 및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이 차체부의 전면에서 승,하강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레크 기어 상,하단부에는 각각 고정판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이동판의 상,하 이동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상,하 이동 제한판을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는,
    승,하강수단의 이동판에 배면판이 고정되는 함체와;
    축이 상기 함체의 전면판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함체 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을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용 모터;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함체 전면판과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의 함체 배면에는 각각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와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좌,우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한 쌍의 근접스위치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좌,우 회전각도가 제한 각도에 이르렀을 때 상기 스위치들을 작동시키는 스위치 작동돌기를 더 구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구동부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회전용 모터 축 단부에 배면판이 일체로 고정되는 함체와;
    축 상에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함체 내에 설치되어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두 버켓을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좌,우로 회전시켜 개폐하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버켓 회전용 모터와;
    상기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와 맞물리는 동력 전달용 스퍼 기어들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함체의 전면판 양측에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후단부가 축지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됨은 물론 전단부는 상기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의 두 버켓 후면판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어 동력 발생용 스퍼 기어와 동력 전달용 스퍼 기어들을 통해 전달되어 오는 미장재 운반겸 미장수단 회전부의 회전용 모터의 회전 방향에 부응하여 회전되며 상기 두 버켓이 개폐되도록 하는 한 쌍의 버켓 구동축;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KR1020110134667A 2011-12-14 2011-12-14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KR101359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667A KR101359449B1 (ko) 2011-12-14 2011-12-14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667A KR101359449B1 (ko) 2011-12-14 2011-12-14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180A KR20130068180A (ko) 2013-06-26
KR101359449B1 true KR101359449B1 (ko) 2014-02-07

Family

ID=4886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667A KR101359449B1 (ko) 2011-12-14 2011-12-14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4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461A (ko) * 2018-11-16 2020-05-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관로의 연결부 보수장치 및 보수방법
KR102393601B1 (ko) * 2020-12-08 2022-05-03 주식회사 뉴보텍 하수관 비굴착 보수 시스템의 전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64573A (en) * 2019-01-31 2020-08-31 Meir Yahav A moving machine inside steel pipes protected with concrete from inside to prevent corrosion, performs repair and reconstruction of concrete dropout
CN114811264B (zh) * 2022-04-23 2023-03-24 常州正信建设工程检测有限公司 一种管道检测用机器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342B1 (ko) 2009-05-06 2010-01-20 유한회사 태양건설 관로용 스케일 제거기
KR20100094920A (ko) * 2009-02-19 2010-08-27 웰텍 주식회사 노후관 갱생을 위한 도장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20110023720A (ko) * 2009-08-31 2011-03-08 김관태 지하 매설관내 자주식 전단면 세정 및 보수장치
KR20110033389A (ko) * 2009-09-25 201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청소 로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4920A (ko) * 2009-02-19 2010-08-27 웰텍 주식회사 노후관 갱생을 위한 도장 장비 및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100937342B1 (ko) 2009-05-06 2010-01-20 유한회사 태양건설 관로용 스케일 제거기
KR20110023720A (ko) * 2009-08-31 2011-03-08 김관태 지하 매설관내 자주식 전단면 세정 및 보수장치
KR20110033389A (ko) * 2009-09-25 2011-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청소 로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7461A (ko) * 2018-11-16 2020-05-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관로의 연결부 보수장치 및 보수방법
KR102140507B1 (ko) * 2018-11-16 2020-08-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관로의 연결부 보수장치 및 보수방법
KR102393601B1 (ko) * 2020-12-08 2022-05-03 주식회사 뉴보텍 하수관 비굴착 보수 시스템의 전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180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449B1 (ko) 관로 내면 무인 전처리장치
KR101365680B1 (ko) 상, 하수도 노후관의 도막 제거장치 및 공법
KR101859633B1 (ko) 관로 보수 장치 및 관로 보수 방법
KR101157080B1 (ko) 하수관과 가지관 접합부의 비굴착 보수 장치 및 보수 방법
JP2014114653A (ja) ロボット利用埋設管工事用装置
KR100727854B1 (ko) 준설차
CN108194757A (zh) 管道检修装置及检修方法、下水管道检修车
KR101124065B1 (ko) 지하 매설관 내 자주식 전단면 보수장치 및 보수공법
KR101170515B1 (ko) 하수관거의 준설토 준설장치 및 방법
CN106337494A (zh) 一种市政管道清淤疏通车
JP3681351B2 (ja) 既設管路の補修装置および方法
KR20110136157A (ko) 원형관로의 준설 및 보수장치
KR101726660B1 (ko) 관내부 무인 준설 처리 시스템
KR101111221B1 (ko) 하수도관 갱생을 위한 절삭보링장치
US201902035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 Receptacle
KR101188717B1 (ko) 하수관과 가지관 접합부의 비굴착 연속 보수 장치 및 연속 보수 방법
JP5364129B2 (ja) 管体の充填方法および充填装置
JP5611890B2 (ja) 不断水切削における切屑回収方法及び切屑回収装置
KR100399216B1 (ko) 주행식 오거스크류 펌프를 이용한 준설장치 및 이를이용한 무매연 무소음 무굴착식 차집관거 준설공법
JP3569482B2 (ja) 管路の内径拡大方法および装置
KR100907432B1 (ko) 상하수도관 비굴착 갱생 드라이아이스 세척기
KR100910320B1 (ko) 하수도관 갱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도관 갱생 방법
AU2013373842B2 (en) Device for conveying away drillings
JP2000160994A (ja) 泥濃式小口径管推進装置及び泥濃式小口径管推進工法
JP5885385B2 (ja) 管内加工装置及び管内加工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