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286B1 -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286B1
KR101358286B1 KR1020120134389A KR20120134389A KR101358286B1 KR 101358286 B1 KR101358286 B1 KR 101358286B1 KR 1020120134389 A KR1020120134389 A KR 1020120134389A KR 20120134389 A KR20120134389 A KR 20120134389A KR 101358286 B1 KR101358286 B1 KR 101358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conversion
poly
change
liquid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형
김영훈
오민석
김지완
유병욱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134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286B1/ko
Priority to PCT/KR2013/010716 priority patent/WO2014081256A1/ko
Priority to US14/646,995 priority patent/US9954463B2/en
Priority to EP13857613.7A priority patent/EP2924869A4/en
Priority to JP2015543988A priority patent/JP5941229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3/00Generators in which thermal or kinetic energy is converted into electrical energy by ionisation of a fluid and removal of the charge therefro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6Influence generators
    • H02N1/08Influence generators with conductive charge carrier, i.e. capacitor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습윤(electrowetting)현상의 반대현상을 응용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쌍의 전극사이에서 액체와의 접촉면을 변화시키고, 그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전기에너지 생성에 활용하여, 채널 막힘현상이나 윤활층, 혹은 채널상에 복잡하게 패터닝된 전극들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므로써 장치의 단순화, 제조원가 절감과 함께 고장이 적은 에너지 전환장치를 구현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Apparatus for energy harvesting using change of contact area with liquid}
본 발명은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습윤(electrowetting)현상의 반대현상을 응용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체를 이용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들은 유전물질과 접하고 있는 액체금속의 접촉면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시켜 유전물질 아래 위치하는 전극에 전기용량(capacitance)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다.
종래의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방법 및 장치는 미국등록특허 7,898,096호에서 개시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는 가늘고 긴 형상의 채널의 벽에 일정한 패턴으로 전극을 형성하고, 전극의 상부에는 유전물질층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채널의 내부에는 작은 물방울 형태의 전도성 액체와 비전도성 액체를 주입하고, 이러한 물방울 형태의 전도성 액체에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압을 인가하여 전도성 액체를 분극시킨다.
이 상태에서 채널과 연결되어 있는 소정의 부분(미도시)에 물리적인 압력을 가하게 되면 분극된 물방울 형태의 전도성 액체는 채널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전극은 이동하는 다수의 전도성 액체 방울과 접촉하는 면적이 시간에 따라 계속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그 결과 전기용량이 변화하여 전기 에너지가 생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방법 및 장치는 실용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먼저, 좁고 가는 채널 내에서 방울형태의 액체금속이 이동하였다가 외부의 힘이 사라지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가역가능한(reversible)움직임이 어려워 윤활층(lubricating layer)이 별도로 필요하다는 한계점이 있고, 채널 막힘현상이 쉽게 발생하여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방법 및 장치는 좁고 가는 채널 구조를 채용하고 있어, 대향하는 두 전극이 채널의 벽에 일정한 모양으로 패턴되어야 하며, 이러한 구조에 따라 장치구성이 복잡해지고,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모듈의 크기가 커지며, 대량생산이나 원가절감에도 한계가 많았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수은 또는 갈린스탄(galinstan)과 같은 액체금속을 사용하여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며, 이러한 전도성 액체를 분극시키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별도의 전원 인가가 필요한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방법 및 장치는 채널구조에서 가역가능한(reversible)한 움직임을 계속적으로 구현해야 하는 점과 섞이지 않는 상이한 두 종류의 액체를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제어의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에 접촉하는 액체와의 접촉면을 변화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너지 전환층을 이용하여 구조가 간단하며 고장이 적은 효율적인 에너지 전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1전극기판 및 제2전극기판, 상기 제1전극기판 및 상기 제2전극기판과 접촉하여, 상기 전극기판들 사이에서 접촉면이 변화하는 이온성 액체 또는 물, 및 상기 전극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변화에 따라 전기에너지가 발생하도록 하는 에너지 전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 전환층은 무기물층, 유기물층 또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혼합물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 전환층은 상기 이온성 액체 또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구조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 전환 장치가 어레이 형태로 복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판 중 적어도 일부는 공통의 지지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기판들은 상기 이온성 액체 또는 물에 잠기는 정도가 변화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 전환층 상에 상기 이온성 액체 또는 물이 상기 변화에 따른 상기 접촉면 변화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소수성 물질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수성 물질층은 실란(silane)계 물질, 플루오르중합체(fluoropolymer) 물질, 트리클로로실란(Trichlorosilane), 트리에톡시실란(Trimethoxysilane), 펜타플루오르페닐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Pentafluorophenylpropyltrichlorosilane), (벤질옥시)알킬트리메톡시실란 ((benzyloxy)alkyltrimethoxysilane; BSM-22), (벤질옥시)알킬트리클로로실란 ((benzyloxy)alkyltrichlorosilane; BTS), 헥사메틸디실라잔 (hexamethyldisilazane; HMDS),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 (octadecyltrichlorosilane; OTS),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octadecyltrimethoxysilane; OTMS),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비스-(벤조시클로부텐) (divinyltetramethyldisiloxane-bis(benzocyclobutene); BC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온성 액체는 NaCl, LiCl, NaNo3, Na2SiO3, AlCl3-NaCl, LiCl-KCl, KCL, Na,NaOH H2SO4, CH3COOH, HF, CuSO4,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AgC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1전극기판 및 제2전극기판, 상기 제1전극기판 및 상기 제2전극기판과 접촉하여, 상기 전극기판들 사이에서 접촉면이 변화하는 전도성 액체; 및 상기 전극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변화에 따라 전기에너지가 발생하도록 하는 에너지 전환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 전환층은 무기물층 및 유기물층이 적층되어 구성되되, 상기 에너지 전환층 상에 상기 전도성 액체가 상기 변화에 따른 상기 접촉면 변화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친수성 물질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물층 또는 상기 무기물층은 상기 전도성 액체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구조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 전환 장치가 어레이 형태로 복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판 중 적어도 일부는 공통의 지지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기판들은 상기 전도성 액체에 잠기는 정도가 변화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친수성 물질층은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 아크릴아미드(Acrylamides),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Maleic Anhydride Copolymers),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에타크릴레이트(Ethacrylate), 아민 작용성 중합체(Amine-Functional Polymers), 아민-관능기를 갖는 중합체(Amine-Functional Polymers),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olystyrenesulfonate, PSS), 비닐산(Vinyl Acids), 비닐알코올(Vinyl Alcohols) 또는 -NH, -CO-, 아미노기 -NH2, 수산기 -OH 또는 카르복실시 -COOH 의 기능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액체는 비저항범위가 1uΩ/cm 내지 1000uΩ/cm이며,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K)가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너지 전환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4비닐페놀(poly(4-vinylpenol, PVP)) 또는 폴리이서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4-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Poly(4-methoxyphenylacrylate); PMPA), 폴리(페닐아크릴레이트) (Poly(phenylacrylate); PPA), 폴리(2,2,2-트리플로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Poly(2,2,2-trifluoroethyl methacrylate); PTFMA), 사이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CYEPL), 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PVC), 폴리(파라반사) 수지 (Poly (parabanic acid) resin; PPA), 폴리(t-부틸스티렌) (Poly(t-butylstyrene); PTBS), 폴리티에닐렌비닐렌 (Polythienylenevinylene; PTV),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PVA), 폴리(비닐 알코올) (Poly(vinyl alcohol); PVA), 폴리(R메틸스티렌) (Poly(Rmethylstyrene); PAMS), 폴리(비닐 알코올)-코-폴리(비닐 아세테이트)-코-폴리(이타콘산) (Poly(vinyl alcohol)-co-poly(vinyl acetate)-co-poly(itaconic acid); PVAIA), 폴리올레핀 (Polyolefin), 폴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파릴렌-C (Parylene-C), 폴리이미드 (Polyimide),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 (Octadecyltrichlorosilane; OTS), 폴리(트리아릴아민) (Poly(triarylamine); PTTA), 폴리-3-헥실티오펜 (Poly-3-hexylthiophene; P3HT), 가교 결합된 폴리-4-비닐페놀 (cross-linked Poly-4-vinylphenol; cross-linked PVP), 폴리(퍼플로로알케닐비닐 에테르) (Poly(perfluoroalkenylvinyl ether)), 나일론-6 (Nylon-6), n-옥타데실포스포닉 산 (n-Octadecylphosphonic acid; ODPA),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실리콘(silic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라텍스(latex), 초산셀룰로오스(cellulose acetate), PHEMA(poly(hydroxy ethyl methacrylate)),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PLA), PGA(폴리글리콜라이드, polyglycolide), 또는 PGLA (Polyglycolide-co-Lactide )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포함하는 유기물층; 및 산화실리콘(Si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알루미늄(Al2O3),탄탈(Ta2O5), 오산화 탄탈럼(Tantalum Pentoxide), 산화아연(Zinc oxide, ZnO), 산화탄탈륨(Tantalum pentoxide, Ta2O5), 산화이트륨(Yttrium oxide, Y2O3), 산화세륨(Cerium oxide, CeO2),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TiO2), 티탄산바륨(Barium titanate, BaTiO3), 바륨 지르코네이트 티타네이트(Barium zirconate titanate, BZT), 이산화지르코늄(Zirconium dioxide, ZrO2), 산화란탄륨(Lanthanum oxide, La2O3), 하프늄실리케이트(Hafnon, HfSiO4), 란타늄 알루미네이트(Lanthanum Aluminate, LaAlO3), 질화규소(Silicon nitride, Si3N4), Perovskite 물질로는, 스트론튬 티타네이트(Strontium titanate, SrTiO3), 바륨 스트론튬 티타네이트(barium strontium titanate, BST), 티탄산 지르콘산 연(Lead zirconate titanate, PZT), 티탄산칼슘구리(Calcium copper titanate,CCTO), 산화하프늄(HfO2), 아파타이트(A10(MO4)6(X)2), 수산화인회석(Ca10(PO4)6(OH)2), 인산3칼슘(Ca3(PO42)), Na2O-CaO-SiO2, 또는 바이오글라스(CaO-SiO2-P2O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 무기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극기판 또는 상기 제2전극기판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ITO, IGO, 크롬, 알루미늄, IZO(Indi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ZnO, ZnO2 또는 TiO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전극이거나 백금, 금, 은, 알루미늄, 철 또는 구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전극이거나 페돗(PEDOT, polyethylenedioxythiophene),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PT),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 PPV),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설퍼니트리드(poly sulfur nitride), 스테인레스 스틸, 크롬을 10%이상 함유한 철합금, SUS 304, SUS 316, SUS 316L, Co-Cr 합금, Ti 합금, 니티놀(Ni-Ti) 또는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paraphenylenevin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극기판 또는 상기 제2전극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 기판, 유리 기판 또는 고분자 소재의 기판이며, 상기 고분자 소재의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고분자복합재료(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판 또는 필름이고, 상기 세라믹 기판은 알루미나(Al2O3), 베릴리아(BeO), 질화알루미늄(AlN), 탄화규소, 멀라이트 또는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세라믹 재료를 이용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전극기판과 상기 제2전극기판 사이에 배치된 비전도성 가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전도성 가스는 공기, 산소, 질소, 아르곤, 헬륨, 네온, 크립톤, 크세논 또는 라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한쌍의 전극사이에서 액체와의 접촉면을 변화시키고, 그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전기에너지 생성에 활용하여, 채널 막힘현상이나 윤활층, 혹은 채널상에 복잡하게 패터닝된 전극들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하므로써 장치의 단순화, 제조원가 절감과 함께 고장이 적은 에너지 전환장치를 구현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 전원인가 없이도 효율적인 전기에너지 전환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온성 액체 또는 물을 사용함에 따라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문제점을 해결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구조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한 개념도.
도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한 개념도.
도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기판 단면도.
도5a 내지 도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에너지 전환층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구조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는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제1전극기판(210)과 제2전극기판(220)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기판들 사이에는 상기 전극기판들과 접촉하고, 그 접촉면이 변화하는 이온성 액체 또는 물(260)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전극기판(210) 또는 제2전극기판(220) 상에는 상기 이온성 액체 또는 물(260)과의 접촉면 변화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전환층(230, 240)이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온성 액체 또는 물(260)이 제1전극기판(210)과 제2전극기판(2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특정 상태에서 그러한 형태이면 되는 것으로 이러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어떠한 구조적 형태에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는 에너지 전환층(230, 240)에서 이온성 액체 또는 물(260)과의 접촉면 변화에 따라 제1전극기판(210)과 제2전극기판(220)에 포함된 전극의 전기용량이 변화되어 전기에너지가 발생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는 무기물층(230), 유기물층(240) 및 소수성물질층(250)이 차례로 적층된 제2전극기판(220)과 소수성물질층(250)이 적층된 제1전극기판(210) 사이를 상기 제2전극기판(220) 및 제1전극기판(210)과 맞닿도록 이온성 액체 또는 물(260)이 이동함에 따라 전기에너지가 발생한다.
도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동작원리를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4a는 하나의 일 실시예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온성 액체 또는 물(260)이 저장된 저장공간(400)으로 에너지 전환층이 증착된 제1전극기판(210)과 제2전극기판(220)이 담겨졌다가 빠지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는 외부 발생 전기 에너지가 0이다. 이후, 제1전극기판(210)과 제2전극기판(220)으로 이루어진 구성부가 이온성 액체 또는 물(260)이 저장된 저장공간(400)으로 담겨지면서, 제1전극기판(210) 및 제2전극기판(220)에 포함된 전극과 이온성 액체 또는 물(260)의 접촉면, 접촉면적 또는 접촉각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게 되어 일정한 극성을 가지는 전기 에너지가 발생한다.(V1, V2) 이 때, 다시 제1전극기판(210)과 제2전극기판(220)으로 이루어진 구성부가 이온성 액체 또는 물(260)이 저장된 저장공간(400)에서 빠져나오면, 초기 외부 발생 전기 에너지가 0인 상태가 된다. 이를 반복함에 따라 지속적인 에너지 발생을 도모할 수 있다. 도4에 있어서는 한 쌍의 전극기판이 동시에 동일한 속도로 직선 운동하므로써 접촉면적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한 쌍의 전극기판이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거나, 직선운동이 아닌 운동에 의해서도 액체에 잠기는 면적, 즉 접촉면적의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b는 도 4a에서 설명하고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기판 단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전극기판(210) 또는 제2전극기판(220)은 기판(221)을 전극(222)이 둘러쌓도록 구성된다. 또한, 기판(221)을 둘러싼 전극(222) 상에 무기물층(230), 유기물층(240) 및 소수성 물질층(250)이 차례로 둘러쌓도록 적층된다.
이러한 경우, 도 4a에서는 한쌍의 제1전극기판(210), 제2전극기판(220)으로 구성된 예시를 나타내었으나, 홀수의 쌍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에너지 전환층은 무기물층(230) 및/또는 유기물층(240)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에너지 전환층의 형성은 패터닝이나 증착, 또는 스핀코팅과 같은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무기물층(230)과 유기물층(240)은 제1전극기판(210) 또는 제2전극기판(220) 상에 적층됨에 순서는 상관없으나, 인접하여 적층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무기물층(230)과 유기물층(240)은 제1전극기판(210) 또는 제2전극기판(220) 상에 적층될 때 반복 중첩될 수 있다. 즉, 에너지 전환층은 무기물층(230)과 유기물층(240)의 적층 형태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기물층(230) 또는 유기물층(240)은 상기 이온성 액체 또는 물(260)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증착된다.
도5a 내지 도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에너지 전환층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에너지 전환층은 제1전극기판(510)에 포함된 전극(520) 상에 무기물층(530)이 증착된다. 유기물층(540)은 무기물층(530) 상에 요철 형상(도 5a), 뾰족 돌기 형상(도 5b), 반구 형상(도 5c), 구혈 형상(도 5d)인 미세구조물이 형성되도록 적층된다. 바람직하게는, 유기물층(540)과 무기물층(530)의 순서가 바뀌어도 되며,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적층되는 것이 반드시 유기물층(540)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적층된 유기물층(540) 상에 상기 구조물 형상이 유지되도록 소수성 물질층(550)이 적층된다.
이러한 구조물 형상은 전극기판들과 이온성 액체 또는 물의 접촉면적 변화가 보다 커지도록 하여 전기에너지 발생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가 복수로 어레이 형태로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기판들과 이온성 액체 또는 물의 접촉면적 변화가 보다 커지도록 하여 전기에너지 발생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전환장치가 복수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에너지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기판 역시 복수의 쌍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복수의 쌍의 전극기판들은 공통의 지지구조(미도시)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가 일정한 외력 등에 의해 이온성 액체 또는 물에 잠기거나 접촉면적이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도록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수성 물질층(250)은 에너지 전환층(230, 240) 상에 이온성 액체 또는 물(260)이 전극기판들(210, 220)과의 접촉면 변화가 용이하게 되도록 적층된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물질층(250)은 에너지 전환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1전극기판(210) 또는 제2전극기판(22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물층(240)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4비닐페놀(poly(4-vinylpenol, PVP)) 또는 폴리이서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4-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Poly(4-methoxyphenylacrylate); PMPA), 폴리(페닐아크릴레이트) (Poly(phenylacrylate); PPA), 폴리(2,2,2-트리플로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Poly(2,2,2-trifluoroethyl methacrylate); PTFMA), 사이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CYEPL), 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PVC), 폴리(파라반사) 수지 (Poly (parabanic acid) resin; PPA), 폴리(t-부틸스티렌) (Poly(t-butylstyrene); PTBS), 폴리티에닐렌비닐렌 (Polythienylenevinylene; PTV),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PVA), 폴리(비닐 알코올) (Poly(vinyl alcohol); PVA), 폴리(R메틸스티렌) (Poly(Rmethylstyrene); PAMS), 폴리(비닐 알코올)-코-폴리(비닐 아세테이트)-코-폴리(이타콘산) (Poly(vinyl alcohol)-co-poly(vinyl acetate)-co-poly(itaconic acid); PVAIA), 폴리올레핀 (Polyolefin), 폴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파릴렌-C (Parylene-C), 폴리이미드 (Polyimide),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 (Octadecyltrichlorosilane; OTS), 폴리(트리아릴아민) (Poly(triarylamine); PTTA), 폴리-3-헥실티오펜 (Poly-3-hexylthiophene; P3HT), 가교 결합된 폴리-4-비닐페놀 (cross-linked Poly-4-vinylphenol; cross-linked PVP), 폴리(퍼플로로알케닐비닐 에테르) (Poly(perfluoroalkenylvinyl ether)), 나일론-6 (Nylon-6), n-옥타데실포스포닉 산 (n-Octadecylphosphonic acid; ODPA),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실리콘(silic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라텍스(latex), 초산셀룰로오스(cellulose acetate), PHEMA(poly(hydroxy ethyl methacrylate)),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PLA), PGA(폴리글리콜라이드, polyglycolide), 또는 PGLA (Polyglycolide-co-Lactide )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무기물층(230)은 산화실리콘(Si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알루미늄(Al2O3),탄탈(Ta2O5), 오산화 탄탈럼(Tantalum Pentoxide), 산화아연(Zinc oxide, ZnO), 산화탄탈륨(Tantalum pentoxide, Ta2O5), 산화이트륨(Yttrium oxide, Y2O3), 산화세륨(Cerium oxide, CeO2),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TiO2), 티탄산바륨(Barium titanate, BaTiO3), 바륨 지르코네이트 티타네이트(Barium zirconate titanate, BZT), 이산화지르코늄(Zirconium dioxide, ZrO2), 산화란탄륨(Lanthanum oxide, La2O3), 하프늄실리케이트(Hafnon, HfSiO4), 란타늄 알루미네이트(Lanthanum Aluminate, LaAlO3), 질화규소(Silicon nitride, Si3N4), Perovskite 물질로는, 스트론튬 티타네이트(Strontium titanate, SrTiO3), 바륨 스트론튬 티타네이트(barium strontium titanate, BST), 티탄산 지르콘산 연(Lead zirconate titanate, PZT), 티탄산칼슘구리(Calcium copper titanate,CCTO), 산화하프늄(HfO2), 아파타이트(A10(MO4)6(X)2), 수산화인회석(Ca10(PO4)6(OH)2), 인산3칼슘(Ca3(PO42)), Na2O-CaO-SiO2, 또는 바이오글라스(CaO-SiO2-P2O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유기물층(240)은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K)가 4이하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고, 무기물층(230)은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K)가 5이상의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수성 물질층(250)은 실란(silane)계 물질, 플루오르중합체(fluoropolymer) 물질, 트리클로로실란(Trichlorosilane), 트리에톡시실란(Trimethoxysilane), 펜타플루오르페닐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Pentafluorophenylpropyltrichlorosilane), (벤질옥시)알킬트리메톡시실란 ((benzyloxy)alkyltrimethoxysilane; BSM-22), (벤질옥시)알킬트리클로로실란 ((benzyloxy)alkyltrichlorosilane; BTS), 헥사메틸디실라잔 (hexamethyldisilazane; HMDS),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 (octadecyltrichlorosilane; OTS),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octadecyltrimethoxysilane; OTMS),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비스-(벤조시클로부텐) (divinyltetramethyldisiloxane-bis(benzocyclobutene); BC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극기판(220) 또는 제1전극기판(210)에 사용되는 전극은 ITO, IGO, 크롬, 알루미늄, IZO(Indi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ZnO, ZnO2 또는 TiO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전극이거나 백금, 금, 은, 알루미늄, 철 또는 구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전극이거나 페돗(PEDOT, polyethylenedioxythiophene),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PT),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 PPV),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설퍼니트리드(poly sulfur nitride), 스테인레스 스틸, 크롬을 10%이상 함유한 철합금, SUS 304, SUS 316, SUS 316L, Co-Cr 합금, Ti 합금, 니티놀(Ni-Ti) 또는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paraphenylenevin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전극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전극기판(220) 또는 제1전극기판(210)은 금속 기판, 유리 기판 또는 고분자 소재의 기판이다. 여기서 고분자 소재의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고분자복합재료(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판 또는 필름이다. 또한, 상기 세라믹 기판은 알루미나(Al2O3), 베릴리아(BeO), 질화알루미늄(AlN), 탄화규소, 멀라이트 또는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세라믹 재료를 이용한 기판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온성 액체(260)는 NaCl, LiCl, NaNo3, Na2SiO3, AlCl3-NaCl, LiCl-KCl, KCL, Na,NaOH H2SO4, CH3COOH, HF, CuSO4,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AgC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극기판(210)과 제2전극기판(220) 사이의 공간은 비전도성 가스로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는 제1전극기판(210)과 제2전극기판(220) 사이의 공간은 일반 공기 환경으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도성 가스는 공기, 산소, 질소, 아르곤, 헬륨, 네온, 크립톤, 크세논 또는 라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는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제1전극기판(610)과 제2전극기판(620)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기판들 사이에는 상기 전극기판들과 접촉하고, 그 접촉면이 변화하는 전도성 액체(660)가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전극기판(610) 또는 제2전극기판(620) 상에는 상기 전도성 액체(660)와의 접촉면 변화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에너지 전환층(630, 640)이 적층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도성 액체(660)는 수은, 리튬, 갈륨, 칼륨, NaK, 비스무트, 주석, 나트륨, 나트륨-칼륨 alloy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비저항범위가 1uΩ/cm 내지 1000uΩ/cm이며,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K)가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친수성 물질층(650)은 에너지 전환층(630, 640) 상에 전도성 액체(660)가 전극기판들(610, 620)과의 접촉면 변화가 용이하게 되도록 적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친수성 물질층(650)은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 아크릴아미드(Acrylamides),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Maleic Anhydride Copolymers),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에타크릴레이트(Ethacrylate), 아민 작용성 중합체(Amine-Functional Polymers), 아민-관능기를 갖는 중합체(Amine-Functional Polymers),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olystyrenesulfonate, PSS), 비닐산(Vinyl Acids), 비닐알코올(Vinyl Alcohols), -NH, -CO-, 아미노기, -NH2, 수산기, -OH, 카르복실기 및 -COO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능기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 외에, 전도성 액체를 이용하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전극기판(610) 또는 제2전극기판(620)을 구성하는 전극이나 기판의 소재, 무기물층(630), 유기물층(640)의 특징과 구조, 본 발명의 에너지 전환장치를 복수로 사용하는 것 등에 관련된 기술적 사항은 앞서 이온성 액체 또는 물을 사용한 실시예 혹은 도 2, 도 3 및 도 4a 내지 도 4b에서 설명된 내용에 따라 구성될 수 있어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이종 액체를 두 종류 이상 사용하는 종래에 비하여 채널내 막힘현상, 섞임현상을 막을 수 있고, 윤활층(lubricating layer) 또한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전극 절연막의 구조를 1층의 자기집함 분자 단층(self assembly molecular monolayer)와 1층의 유전층(dielectric layer) 또는 그 이상의 절연층(non conductive layer) 또는 이들의 다양한 조합을 제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에너지 전환효율 최적을 위한 구조를 제안한다. 즉, 이온성 액체를 이용하는 경우, 상부전극기판 또는 하부전극기판 중 적어도 한 쪽의 기판에 (적층 순서에 따라) 전극/무기물층/유기물층/소수성물질층 또는 전극/유기물층/무기물층/소수성물질층의 구성을 가지도록 하며, 전도성 액체를 이용하는 경우, 상부전극기판 및 하부전극기판 모두에 (적층 순서에 따라) 전극/무기물층/유기물층/친수성물질층 또는 전극/유기물층/무기물층/친수성물질층의 구성을 가진도록 한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은 전도성 액체를 이용함에 있어서 분극을 위한 외부전원 인가를 필요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에너지 전환층이 이온성 액체를 분극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외부전원 인가가 불요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210 : 제1전극기판 220 : 제2전극기판
230 : 무기물층 240 : 유기물층
250 : 소수성물질층 260 : 이온성 액체 또는 물

Claims (22)

  1. 삭제
  2.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1전극기판 및 제2전극기판;
    상기 제1전극기판 및 상기 제2전극기판과 접촉하여, 상기 전극기판들 사이에서 접촉면이 변화하는 이온성 액체 또는 물; 및
    상기 전극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변화에 따라 전기에너지가 발생하도록 하는 에너지 전환층;을 포함하되,
    상기 에너지 전환층은 무기물층, 유기물층 또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혼합물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 및/또는 상기 무기물층은 상기 이온성 액체 또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구조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전환 장치가 어레이 형태로 복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판 중 적어도 일부는 공통의 지지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기판들은 상기 이온성 액체 또는 물에 잠기는 정도가 변화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전환층 상에 상기 이온성 액체 또는 물이 상기 변화에 따른 상기 접촉면 변화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소수성 물질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물질층은 실란(silane)계 물질, 플루오르중합체(fluoropolymer) 물질, 트리클로로실란(Trichlorosilane), 트리에톡시실란(Trimethoxysilane), 펜타플루오르페닐프로필트리클로로실란(Pentafluorophenylpropyltrichlorosilane), (벤질옥시)알킬트리메톡시실란 ((benzyloxy)alkyltrimethoxysilane; BSM-22), (벤질옥시)알킬트리클로로실란 ((benzyloxy)alkyltrichlorosilane; BTS), 헥사메틸디실라잔 (hexamethyldisilazane; HMDS),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 (octadecyltrichlorosilane; OTS), 옥타데실트리메톡시실란 (octadecyltrimethoxysilane; OTMS),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비스-(벤조시클로부텐) (divinyltetramethyldisiloxane-bis(benzocyclobutene); BC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NaCl, LiCl, NaNo3, Na2SiO3, AlCl3-NaCl, LiCl-KCl, KCL, Na,NaOH, H2SO4, CH3COOH, HF, CuSO4,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AgCl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10.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1전극기판 및 제2전극기판;
    상기 제1전극기판 및 상기 제2전극기판과 접촉하여, 상기 전극기판들 사이에서 접촉면이 변화하는 전도성 액체; 및
    상기 전극기판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형성되어, 상기 변화에 따라 전기에너지가 발생하도록 하는 에너지 전환층;을 포함하되,
    상기 에너지 전환층은 무기물층, 유기물층 또는 유기물과 무기물의 혼합물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전환층 상에 상기 전도성 액체가 상기 변화에 따른 상기 접촉면 변화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친수성 물질층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 또는 상기 무기물층은 상기 전도성 액체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한 구조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전환 장치가 어레이 형태로 복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너지 전환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기판 중 적어도 일부는 공통의 지지구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극기판들은 상기 전도성 액체에 잠기는 정도가 변화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물질층은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PAA), 아크릴아미드(Acrylamides),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Maleic Anhydride Copolymers), 메타크릴레이트(Methacrylate), 에타크릴레이트(Ethacrylate), 아민 작용성 중합체(Amine-Functional Polymers), 아민-관능기를 갖는 중합체(Amine-Functional Polymers),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Polystyrenesulfonate, PSS), 비닐산(Vinyl Acids), 비닐알코올(Vinyl Alcohols) 또는 -NH, -CO-, 아미노기 -NH2, 수산기 -OH 또는 카르복실시 -COOH 의 기능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액체는 비저항범위가 1uΩ/cm 내지 1000uΩ/cm이며,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K)가 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18.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전환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4비닐페놀(poly(4-vinylpenol, PVP)) 또는 폴리이서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4-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Poly(4-methoxyphenylacrylate); PMPA), 폴리(페닐아크릴레이트) (Poly(phenylacrylate); PPA), 폴리(2,2,2-트리플로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Poly(2,2,2-trifluoroethyl methacrylate); PTFMA), 사이아노에틸풀루란 (Cyanoethylpullulan; CYEPL), 폴리염화비닐 (polyvinyl chloride; PVC), 폴리(파라반사) 수지 (Poly (parabanic acid) resin; PPA), 폴리(t-부틸스티렌) (Poly(t-butylstyrene); PTBS), 폴리티에닐렌비닐렌 (Polythienylenevinylene; PTV),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olyvinylacetate; PVA), 폴리(비닐 알코올) (Poly(vinyl alcohol); PVA), 폴리(R메틸스티렌) (Poly(Rmethylstyrene); PAMS), 폴리(비닐 알코올)-코-폴리(비닐 아세테이트)-코-폴리(이타콘산) (Poly(vinyl alcohol)-co-poly(vinyl acetate)-co-poly(itaconic acid); PVAIA), 폴리올레핀 (Polyolefin), 폴리아크릴레이트 (Polyacrylate), 파릴렌-C (Parylene-C), 폴리이미드 (Polyimide), 옥타데실트리클로로실란 (Octadecyltrichlorosilane; OTS), 폴리(트리아릴아민) (Poly(triarylamine); PTTA), 폴리-3-헥실티오펜 (Poly-3-hexylthiophene; P3HT), 가교 결합된 폴리-4-비닐페놀 (cross-linked Poly-4-vinylphenol; cross-linked PVP), 폴리(퍼플로로알케닐비닐 에테르) (Poly(perfluoroalkenylvinyl ether)), 나일론-6 (Nylon-6), n-옥타데실포스포닉 산 (n-Octadecylphosphonic acid; ODPA),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실리콘(silicon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라텍스(latex), 초산셀룰로오스(cellulose acetate), PHEMA(poly(hydroxy ethyl methacrylate)),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PLA), PGA(폴리글리콜라이드, polyglycolide), 또는 PGLA (Polyglycolide-co-Lactide )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물층; 및
    산화실리콘(SiO2), 산화티타늄(TiO2), 산화알루미늄(Al2O3),탄탈(Ta2O5), 오산화 탄탈럼(Tantalum Pentoxide), 산화아연(Zinc oxide, ZnO), 산화탄탈륨(Tantalum pentoxide, Ta2O5), 산화이트륨(Yttrium oxide, Y2O3), 산화세륨(Cerium oxide, CeO2), 이산화타이타늄(titanium dioxide, TiO2), 티탄산바륨(Barium titanate, BaTiO3), 바륨 지르코네이트 티타네이트(Barium zirconate titanate, BZT), 이산화지르코늄(Zirconium dioxide, ZrO2), 산화란탄륨(Lanthanum oxide, La2O3), 하프늄실리케이트(Hafnon, HfSiO4), 란타늄 알루미네이트(Lanthanum Aluminate, LaAlO3), 질화규소(Silicon nitride, Si3N4), Perovskite 물질로는, 스트론튬 티타네이트(Strontium titanate, SrTiO3), 바륨 스트론튬 티타네이트(barium strontium titanate, BST), 티탄산 지르콘산 연(Lead zirconate titanate, PZT), 티탄산칼슘구리(Calcium copper titanate,CCTO), 산화하프늄(HfO2), 아파타이트(A10(MO4)6(X)2), 수산화인회석(Ca10(PO4)6(OH)2), 인산3칼슘(Ca3(PO42)), Na2O-CaO-SiO2, 또는 바이오글라스(CaO-SiO2-P2O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한 무기물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19.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기판 또는 상기 제2전극기판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은 ITO, IGO, 크롬, 알루미늄, IZO(Indium Zinc Oxide), IGZO(Indium Gallium Zinc Oxide), ZnO, ZnO2 또는 TiO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무기전극이거나 백금, 금, 은, 알루미늄, 철 또는 구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금속전극이거나 페돗(PEDOT, polyethylenedioxythiophene), 탄소나노튜브(CNT, 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폴리티오펜(Polythiophene, PT), 폴리피롤(Polypyrrole), 폴리파라페닐렌(polyparaphenylene, PPV), 폴리아닐린(Polyaniline), 폴리설퍼니트리드(poly sulfur nitride), 스테인레스 스틸, 크롬을 10%이상 함유한 철합금, SUS 304, SUS 316, SUS 316L, Co-Cr 합금, Ti 합금, 니티놀(Ni-Ti) 또는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polyparaphenylenevinyle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유기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20.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기판 또는 상기 제2전극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금속 기판, 유리 기판, 세라믹 기판 또는 고분자 소재의 기판이며,
    상기 고분자 소재의 기판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고분자복합재료(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판 또는 필름이고,
    상기 세라믹 기판은 알루미나(Al2O3), 베릴리아(BeO), 질화알루미늄(AlN), 탄화규소, 멀라이트 또는 실리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세라믹 재료를 이용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21.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기판과 상기 제2전극기판 사이에 배치된 비전도성 가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도성 가스는 공기, 산소, 질소, 아르곤, 헬륨, 네온, 크립톤, 크세논 또는 라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20120134389A 2012-11-26 2012-11-26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358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389A KR101358286B1 (ko) 2012-11-26 2012-11-26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PCT/KR2013/010716 WO2014081256A1 (ko) 2012-11-26 2013-11-25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US14/646,995 US9954463B2 (en) 2012-11-26 2013-11-25 Energy conversion device using change of contact surface with liquid
EP13857613.7A EP2924869A4 (en) 2012-11-26 2013-11-25 ENERGY CONVERTING DEVICE USING A SURFACE CHANGE OF CONTACT WITH A LIQUID
JP2015543988A JP5941229B2 (ja) 2012-11-26 2013-11-25 液体との接触面の変化を利用したエネルギー変換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389A KR101358286B1 (ko) 2012-11-26 2012-11-26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8286B1 true KR101358286B1 (ko) 2014-02-12

Family

ID=5026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389A KR101358286B1 (ko) 2012-11-26 2012-11-26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54463B2 (ko)
EP (1) EP2924869A4 (ko)
JP (1) JP5941229B2 (ko)
KR (1) KR101358286B1 (ko)
WO (1) WO20140812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71A (ko) * 2018-12-14 2020-06-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중금속 이온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중금속 이온탐지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286B1 (ko) * 2012-11-26 2014-02-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407489B1 (ko) * 2012-11-29 2014-06-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435502B1 (ko) * 2012-11-29 2014-09-02 전자부품연구원 액체를 이용한 플렉서블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358295B1 (ko) * 2012-12-21 2014-02-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기판
US20140346782A1 (en) * 2013-05-23 2014-11-27 Pusan National University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Micro power generator and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liquid droplet
EP3096338B1 (en) * 2015-05-21 2019-07-24 Nokia Technologies Oy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time varying voltage
WO2018078642A1 (en) * 2016-10-24 2018-05-03 Indian Institute Of Technology, Guwahati A microfluidic electrical energy harvester
CN107482953A (zh) * 2017-09-16 2017-12-15 邱丹丹 基于润湿梯度表面的液滴自驱动能量转换装置及制备方法
US10868479B2 (en) * 2018-10-04 2020-12-15 Stmicroelectronics S.R.L. Inverse electrowetting and magnetic energy harvesting and scavenging methods, circuits and systems
US11239768B2 (en) * 2019-10-24 2022-02-01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Liquid droplet powered electricity gene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1216B2 (ja) * 2000-03-31 2004-03-02 慶和 劉 電歪伸縮材を利用した駆動装置
JP2011507479A (ja) * 2007-12-21 2011-03-03 コミッサリア ア レネルジー アトミーク エ オ ゼネルジ ザルタナテイヴ 液状電極を有するエネルギー回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48118B2 (ja) 1994-11-08 2003-09-16 東洋化工株式会社 発電装置
US7446450B2 (en) 2004-06-07 2008-11-0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 and system using liquid dielectric for electrostatic power generation
KR20090018470A (ko) 2007-08-17 2009-0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이크로 에너지 발전-저장 소자
US7898096B1 (en) 2007-08-22 2011-03-01 Thomas Nikita Krupenki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harvesting using microfluidics
KR101458211B1 (ko) * 2008-07-08 2014-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독립된 분리막을 포함하지 않는 이차전지
RU2511671C2 (ru) * 2008-09-16 2014-04-1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Емкостной микрообработанный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JP5638326B2 (ja) * 2009-09-17 2014-12-10 株式会社ユポ・コーポレーション エネルギー変換用フィルム
EP2400573A1 (de) * 2010-06-23 2011-12-28 Bayer MaterialScience AG Elektromechanischer Wandler,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selben
JP2012055095A (ja) 2010-09-01 2012-03-15 Nippon Shokubai Co Ltd エレクトレット材料用重合体組成物、エレクトレット材料
US9184676B2 (en) * 2011-10-31 2015-11-10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Varying capacitance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2013098077A (ja) * 2011-11-02 2013-05-20 Sony Corp 燃料電池の製造方法、並びに燃料電池および電子機器
TWI442088B (zh) * 2012-02-24 2014-06-21 Ind Tech Res Inst 電濕潤顯示元件
DE102012216564A1 (de) * 2012-09-17 2014-03-20 Robert Bosch Gmbh Aggregat und Vielschichtaktor
KR101358286B1 (ko) * 2012-11-26 2014-02-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407489B1 (ko) * 2012-11-29 2014-06-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435502B1 (ko) * 2012-11-29 2014-09-02 전자부품연구원 액체를 이용한 플렉서블 에너지 전환 장치
CN103368458B (zh) * 2012-11-30 2016-01-20 北京纳米能源与***研究所 脉冲发电机和发电机组
US20140216559A1 (en) * 2013-02-07 2014-08-07 Advanced Liquid Logic, Inc. Droplet actuator with local variation in gap height to assist in droplet splitting and merging operations
JP2015223640A (ja) * 2014-05-26 2015-12-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Mems構造体、電子機器および移動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01216B2 (ja) * 2000-03-31 2004-03-02 慶和 劉 電歪伸縮材を利用した駆動装置
JP2011507479A (ja) * 2007-12-21 2011-03-03 コミッサリア ア レネルジー アトミーク エ オ ゼネルジ ザルタナテイヴ 液状電極を有するエネルギー回復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571A (ko) * 2018-12-14 2020-06-2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중금속 이온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중금속 이온탐지 방법
KR102195506B1 (ko) 2018-12-14 2020-12-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중금속 이온탐지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중금속 이온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95516A1 (en) 2015-10-15
US9954463B2 (en) 2018-04-24
JP2016502391A (ja) 2016-01-21
EP2924869A1 (en) 2015-09-30
JP5941229B2 (ja) 2016-06-29
EP2924869A4 (en) 2016-07-27
WO2014081256A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286B1 (ko) 액체와의 접촉면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407489B1 (ko)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358291B1 (ko) 액체의 접촉각 및 접촉면적의 변화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411337B1 (ko) 적층구조를 가지는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358295B1 (ko)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기판
KR101435502B1 (ko) 액체를 이용한 플렉서블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468642B1 (ko) 액체를 이용한 회전형 에너지 전환 장치
US10291153B2 (en) Electrode stacked energy conversion device using liquid
KR101810036B1 (ko)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KR101403017B1 (ko) 관통홀을 가지는 액체를 이용한 에너지 전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