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435B1 - 창고 내의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 특히 표준 컨테이너에서의 화물취급방법 - Google Patents

창고 내의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 특히 표준 컨테이너에서의 화물취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435B1
KR101347435B1 KR1020107029278A KR20107029278A KR101347435B1 KR 101347435 B1 KR101347435 B1 KR 101347435B1 KR 1020107029278 A KR1020107029278 A KR 1020107029278A KR 20107029278 A KR20107029278 A KR 20107029278A KR 101347435 B1 KR101347435 B1 KR 101347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rea
van
parking space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4174A (ko
Inventor
로날드 클레인
Original Assignee
고트발트 포르트 테히놀로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트발트 포르트 테히놀로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고트발트 포르트 테히놀로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10044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8Automatic control of crane drives for producing a single or repeated working cycle;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고(4)내의 컨테이너(2), 특히 표준컨테이너의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테이너(2)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의하여 자동으로 저장고로 반입되고 저장고로부터 반출되며, 상기 컨테이너(2)는 창고 (4)에 인접한 선적 및 하역영역(8)의 주차공간(12)에 주차된 화물차(7)에 하역되거나 상기 컨테이너(2)는 선적 및 하역영역(8)에 있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의하여 선적 및 하역영역(8)의 주차공간(12)에 주차된 화물차(7)로부터 하역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처리량의 실행과 안전에 관하여, 창고내의 컨테이너에 있는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화물차(7)가 주차공간(12)으로 진입하고 상기 화물차(7)의 운전자가 주차공간(12)를 떠난 후에, 주차공간에 적어도 한 사람 특히 상기 화물차(7) 운전자의 접근이 금지되는 것이 제안되며, 릴리스 신호(release signal)는 자동화 선적 또는 하역작업을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전달되어야 한다.

Description

창고 내의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 특히 표준 컨테이너에서의 화물취급방법{METHOD FOR HANDLING LOADS IN A WAREHOUSE FOR CONTAINERS, PARTICULARLY STANDARD CONTAINERS}
본 발명은 창고 내의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 특히 표준 컨테이너에서의 화물 취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창고 내의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에 의해 자동으로 저장고로 반입되거나 저장고로부터 반출되고, 상기 컨테이너는 창고에 가까운 선적 및 하역영역에 있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에 의해 선적영역에 주차되어 있는 화물차 위로 짐을 내리거나 또는 선적 및 하역영역에 주차되어 있는 화물차로부터 짐을 싣는다.
유럽특허 EP 1 490 286 B1에 창고 내의 표준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창고는 필수적으로 물가취급영역(water-side handling area)과 창고 및 공항취급영역(land-side handling area)으로 구성된 항구화물취급시설의 한 부분이다. 물가 취급영역은(water-side handling area) 부두를 따라 정박된 배가 짐을 선적/또는 하역하는 교량을 취급하는 형태의 취급시설을 구비한다. 상기 취급시설과 저장고로 반입되거나 저장고로부터 반출되는 컨테이너가 있는 창고영역 사이에서는 컨테이너들이 플루어 본(floor-borne)차량, 특히 무인차량에 의해 이송된다. 컨테이너들이 저장고로 반입되거나 저장고로부터 반출되는 영역의 반대편 끝에는, 식별영역(identification area)을 갖춘 취급시설의 출구 및 입구영역을 통하여 화물차와 같은 이송차량이 이동할 수 있도록 창고가 선적 영역과 하역영역으로 할당된다.
자동화된 창고는 자동화된 통신영역을 가지고 특히 그 영역은 벽 또는 펜스와 같은 경계에 의해 허가받지 않는 접근에도 안전하다. 상기 자동화영역은 화물차를 위한 공항의 선적 및 하역영역에서와 컨테이너들을 저장고에 반입하거나 저장고로부터 반출하는 물가영역에서의 각 경우를 종결짓는다. 상기 물가 영역과 공항영역에서 수동 또는 반자동 작동은 안전상 이유로 일어난다. 자동화된 창고는 필수적으로 컨테이너들이 줄과 열을 맞춰 정렬되고 바닥으로부터 5개의 컨테이너 높이로 적재된 직사각형이고 세로방향이 확장된 창고영역으로 구성된다.
창고영역은 레일 위를 달릴 수 있는 자동화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의 밑에 위치한다. 자동화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은 필수적으로 러닝기어(running gear)를 통해 높은 위치의 레일을 달릴 수 있는 크레인 브릿지(crane bridge)로 구성된다. 그래서 크레인 브릿지(crane bridge)는 창고영역의 종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창고영역을 가로지를 수 있는 트롤리(trolley)는 크레인 브릿지(crane bridge)에 배치되어 있다.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깃대는 트롤리(trolley)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깃대의 하단 부분은 컨테이너용 스프레더(spreader for container)의 형태를 갖는 하중수용수단(load-receiving means)에 인접해 위치한다.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또는 세미-갠트리크레인(semi-gantry crane)은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 대신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취급시설에서의 취급과정은 이하와 같다. 선적 및/또는 하역된 화물차는 입구 및 출구영역을 통하여 취급시설에 도달하고, 화물차는 화물차와 상기 화물차가 운반한 컨테이너들이 확인되고 측정되는 식별영역(identification area)에 도착한다. 접근 권한은 여기서 발행되는데, 업무를 취급하는데 필요한 밀접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마그네틱카드나 칩카드의 형태로 운전자에게 주어진다. 이 정보들은 또한 물류행정기관의 상급 정보처리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이때 운전자는 화물차를 그가 할당을 받는 선적 및 하역영역으로 운전하고, 상기의 화물차를 선적 및 하역영역 내에서 후방주차한다. 화물차는 주차과정에서 선적 및 하역영역에 있는 카메라에 의해 인식되고 식별된다. 상기 카메라는 화물차의 위치에 대한 정보, 즉 선적 및 하역영역 범위 내의 경계로부터 화물차까지의 거리와 바닥으로부터의 회전각을 물류행정기관의 정보처리시스템에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주차 절차가 완료된 때에 화물차의 정확한 위치가 물류행정기관의 정보처리시스템에 알려진다. 상기 정보들은,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이 화물차에 컨테이너를 선적 또는 하역하거나 화물차로부터 컨테이너를 선적 또는 하역할 때에 목표위치로서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방법에서는 운전자는 하중수용수단(load-receiving means)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중앙 모니터로 선적과정을 모니터하고 조정한다. 선적 및/또는 하역 작업이 일어나기 전에, 운전자는 등록사무소에 가서 화물차가 선적 또는 하역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마그네틱카드나 칩카드를 사용한다. 만일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의 작업자가 카메라를 통하여 트위스트 락(twist locks)이 잘못된 위치에 있음을 알게 되었다면, 구내전화를 사용하여 운전자에게 잘못된 위치를 바로잡도록 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률과 안전에 관하여 창고 내의 표준컨테이너에서 화물의 취급을 최적화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특징을 갖는 창고 내의 표준컨테이너에서의 수화물의 취급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적인 실시 예는 제1항과 제5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창고 내에서의 컨테이너, 특히 표준컨테이너에서의 화물의 취급방법에 따르면, 창고 내의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에 의해 자동으로 저장고로부터 반출되거나 저장고로 반입되고, 컨테이너는 창고에 인접한 선적 및 하역영역에 있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에 의해 선적 및 하역영역에 주차되어 있는 화물차로 하역되거나, 선적 및 하역영역의 주차공간에 주차되어 있는 화물차로부터 픽업되고, 취급비율의 증가는 화물차가 주차공간으로 들어간 후와 상기 화물차의 운전자가 주차공간을 떠난 후에 달성되며, 주차공간은 적어도 한 사람, 특히 상기 화물차 운전자의 접근이 금지되고, 자동화 선적 또는 하역작업에 대한 허가신호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에 전송된다. 보안공정에 의하여, 화물차가 들어가고 상기 화물차의 운전자가 결국 존재하는 주차공간은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 또한 들어갈 수 있고 상기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이 자동으로 운전될 수 있는 보안구역으로 전환된다. 발명의 관점에서 "적어도 한 사람이 있게 되는 것이란" 한 사람의 침입 또는 복수인의 뒤늦은 입장이 금지되거나 발견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하면, 화물차가 주차공간으로 이동하고 상기 화물차의 운전자가 주차공간에서 떠난 후, 주차공간은 적어도 한 사람, 특히 상기 화물차 운전자의 접근이 금지된다. 또한, 상기 취급시설의 작동규정에 따르면, 주차공간 지역에서 사람이 머무르는 행위는 금지되며 상기 운전자는 자동화 운전을 위해 주차공간을 떠나는 것이 요구된다. 안전대책은 더 이상의 사람들이 주차공간에 있지 못하도록 접근을 방지하는 것으로 한정된다.
상기 운전자가 있는 영역에 관한 보안은 운전자가 주차공간을 떠난 후에 대기할 영역을 찾아 자리를 잡고 운전자가 상기 대기영역에 머무르는 동안 강화되며, 상기 운전자가 대기영역 내에 머무르는 동안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의 선적 또는 하역작업에 관한 허가신호가 유지된다.
선적 또는 하역작업이 종료된 후, 즉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이 상기 주차공간을 떠난 후에, 선적 또는 하역작업에서의 빠른 속도를 얻기 위해서 운전자는 상기 선적 또는 하역작업의 종료 사실을 전달받고, 사람들 특히 상기 화물차 운전자의 접근에 대한 주차공간의 보안은 해제되며,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의 자동화된 선적 또는 하역에 관한 허가신호는 취소된다.
상기 주차공간의 적절한 보안방법은, 주차공간을 둘러싼 경계의 한 부분인 게이트를, 사람들 특히 화물차 운전자의 접근을 막기 위해 닫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보안방법은 충분히 높은 수준의 감지능력을 제공하는 적절한 센서모듈이 장착된 게이트로 교체하는 것으로도 또한 가능하다.
보안을 좀 더 강화하기 위해서, 화물차 운행 전에 화물차에 있는 사람의 수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고 오직 한 사람만이 화물차와 함께 주차공간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표준컨테이너에서의 화물 취 급 방법에 의하면, 통제영역에서 화물차에 대한 기본정보들이 측정되어 자동화작업에 관한 대비가 이루어지며, 주차공간에서는 사람의 접근이 금지되는 보안공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보안공정이 유지되어 발생 된 자동화작업의 허가신호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에 전달되어 자동화 작업이 행해지며, 자동화 작업이 완료되면 허가신호가 취소되고, 자동화영역의 게이트가 열림으로 인해 모든 선적 또는 하역 작업이 종료됨으로써, 표준컨테이너에서의 화물취급방법이 최적화된 자동화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그에 따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항구영역에서 표준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시설에 관한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테이너가 저장고로 반입되거나 저장고로부터 반출되는 창고영역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확대된 구간과 자동화 컨테이너 크레인에 부착된 카메라의 시야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의 실시 예에 관한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1은 컨테이너(2), 특히 표준 컨테이너가 위치한 항구영역 내에서 취급시설(1)의 배치도이다. 상기 배치도는 취급시설의 일부분과 상기 취급시설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취급시설(1)은 필수적으로 공항취급영역(land-side handling area,3), 창고(4) 및 물가취급영역(water-side handling area,5)로 구성된다.
상기 공항취급영역(land-side handling area,3)은 내부 및/또는 외부에서 취급되는 컨테이너(2)를 이송하기 위하여, 창고(4)의 공항 측변(4a)에 인접하고, 상기 공항취급영역(land-side handling area,3)은 필수적으로 화물차(7)를 위한 입구 및 출구영역(6)과 상기 컨테이너(2)에 인접한 창고(4)의 공항 측변(4a)에 위치한 선적 및 하역영역(8)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물차(7)를 위한 입구 및 출구영역(6)은 공공도로망에 연결된 공공영역(6a)과 항구로 제한된 영역(6b)으로 나누어져 있다. 상기 공공영역(6a)과 상기 항구로 제한된 영역(6b)은 통제영역(9)에 의해 나누어져 있다. 상기 입구 및 출구영역(6)의 공공영역(6a)을 제외하고는, 상기 취급시설치(1)은 예를 들어 벽과 펜스, 그런 것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계(1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통제영역(9)에서는 진출입 화물차(7)가 식별되고, 하중이 측정되며, 상기 화물차(7)의 업무 취급과 관련된 절차가 진행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는 통제영역(9)에 장착되어 상기 화물차(7)의 모든 측면(all sides)에 대해 기록하며, 화물차(7)의 번호판과 컨테이너(2)에 의해 부여되는 식별번호도 기록한다. 상기 화물차(7)의 선적 및/또는 하역 작업에 필요한 상기 카메라에 의해 발생 된 정보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취급시설(1)의 물류행정기관의 상급 정보처리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항구운용의 안전지침에 따라 상기 화물차(7)의 운전자 객실(7a)에는 운전자만 있어야 하고, 어떤 승객이라도 운전자 객실을 떠나 통제영역(9)에서 대기해야 한다. 상기 통제영역(9)을 지난 후에, 진입중인 화물차는 입구 및 출구 영역(6)의 안쪽 영역(6b)로 들어올 수 있고, 상기 화물차는 창고(4)의 선적 및 하역영역(8)의 범위에서 입구 및 출구영역의 적절한 차선(11)을 통하여 다수의 주차공간(12) 중 어느 하나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화물차(7)는 트레일러가 장착된 견인차량(towing vehicle)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선적 및 하역영역(8)의 주차공간(12)에 주차한 화물차(7)는 창고 (4)에서 작동되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의하여 선적 및/또는 하역된다. 상기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은 자동으로 작동한다. 상기 창고영역(4)은 각각에 평행하고 직선모양으로 배치된 다수의 창고영역(4c)로 구성되는데, 상기 창고영역(4)의 공항 측변(4a)에서 선적 및 하역영역인(8)이 할당되고, 상기 창고영역(4)의 물가영역의 측변(4b)에서 컨테이너가 저장고로 반입되거나 저장고로부터 반출되는 영역(14)이 할당된다. 각 창고영역(4c)은 레일(15) 위의 창고영역(4c)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을 갖고 있다.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은 창고영역(4c)과 선적 및 하역영역(8) 및/또는 저장고로 컨테이너가 반입되거나 저장고로부터 컨테이너가 반출되는 영역(14) 사이에서 컨테이너(2)를 이송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부가하여 각 창고영역(4c)은 컨테이너(2)가 놓여있는 영역(4d)을 갖는다. 상기 컨테이너(2)가 놓여있는 영역(4d)은, 컨테이너(2)가 줄과 열이 정렬되어 배치된 장방형이고 종 방향으로 확장된 표면을 갖는다. 상기 컨테이너(2)의 상부에는 다른 컨테이너(2)가 5개까지 적재된다. 상기 적재된 컨테이너(2)는, 상기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의 레일(15)와 상기 컨테이너(2)의 종 방향 확장이 상당히 평행하게 맞추어 정렬된다. 상기 컨테이너(2)의 상기와 같은 정렬은, 상기 화물차(7)가 진출입하는 선적 및 하역영역(8)에서와, 무인이동차량(17)이 진출입하면서 컨테이너들이 저장고로 반입되거나 저장고로부터 반출되는 영역(14)에서 또한 발견되는데, 선적과 하역을 하는 동안에 재정렬을 필요로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기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은 상기 각 컨테이너(2)를 중심으로 회전할 필요가 없다.
상기 창고(4)의 물가 측변(4b)에서, 상기 컨테이너(2)는, 컨테이너가 저장고로 반입되거나 저장고로부터 반출되는 영역(14) 내에 있는 고정된 지지프레임(16)의 상부로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의해 놓이거나 또는, 상기 컨테이너(2)가 이어지는 운송수단을 위해 픽업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6)은, 지지프레임(16)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픽업하고/또는 컨테이너를 컨테이너 상부에 올려놓고 컨테이너를 취급교량(18)의 영역으로 이송하는 무인 이동차량 (17)에 대한 접속점으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무인이동차량(17)에 의하여 취급시설(1)의 물가취급영역(water-side handling area,5) 내의 부두(19)를 따라 정박한 배가 선적 및 하역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적 및 하역영역(8)과 인접한 창고영역(4c)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각 선적 및 하역영역(8)에서 화물차(7)의 다수의 주차공간(12)은 각각 측면으로 나란하게 구비되고, 각각의 주차공간(12)은 가능한 최소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컨테이너(2)가 나란하게 9줄로 정렬된 창고영역(4c)에는, 화물차(7)가 주차할 수 있는 6개의 주차공간이 마련된다. 화물차(7)의 종 방향에서 보았을 때, 각 주차공간(12)은 상기 주차공간(12)의 경계(12a)에 의해 측 방향으로 닫혀 있다. 상기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은 자동으로 작동되고 구동중 자동화영역에 대한 접근은 제한되어야 하므로, 상기 경계(12a)는 창고(4)를 한정하는 창고경계(21)와 접하게 된다. 상기 주차공간 사이의 경계(12a)는 펜스, 벽,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물차(7)의 바퀴는 상기 주차공간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화물차(7)의 후진 주차가 가능하게 하는 콘크리트 트로프(concrete troughs)가 선호된다. 상기 펜스는 각 경우에 상기 콘크리트 트로프(concrete troughs) 상부에 부가적으로 세워진다. 상기 콘테이너 영역(4c)을 마주하는 주차공간(12)의 끝에는 창고(4)를 둘러싼 창고경계(21)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주차공간(12)에는 전면부에 게이트가 되는 개구(12b)가 형성된다. 상기 화물차는 이후에 계속되는 선적 및/또는 하역작업을 위해 상기 개구(12b)를 통해 주차공간(12)으로 후진해서 들어온다.
상기 주차공간(12)영역에는 상기 화물차(7)가 이후에 계속되는 선적 및/또는 하역작업을 하기 위해 주차를 하고, 상기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의하여 선적 및/또는 하역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주차공간(12)에서 작업을 준비하기 위해서, 화물차(7)의 운전자는 운전객실(7b)뿐만 아니라 주차공간(12)에서도 경계(12a)에 있는 개구(12b)를 통하여 외부로 나와야 한다. 상기의 자동화작업을 수행하려면 이하, 다수의 일들이 이뤄져야 한다. 상기 주차된 화물차(7)에서 운전자가 떠난 후에 게이트(12c)에 의해 경계(12a)의 개구(12b)는 닫힌다. 상기 개구(12b)를 닫기 위해서 운전자는 주차공간의 바깥쪽에 배치된 스위치를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경계(12a)의 바깥쪽과 주차공간 (12)의 측면 경계(12a)의 확장부분에 배치된 커뮤니케이션 스탠드(communication stand)의 형태인 대기영역(22)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대기영역(22)에서, 화물차(7)의 선적 및 하역작업이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화물차(7)의 운전자는 대기영역(22)을 떠나지 못할 것이다. 만일 운전자가 상기 대기영역(22)을 떠난다면 각각 연결된 주차공간의 영역에서의 자동화작업은 즉시 중단될 것이다. 상기 자동화작업의 중단은 바닥의 접촉 매트나 가벼운 장벽 또는 적절한 인식전자제품(recognition electronics)과 같은 알맞은 수단에 영향을 받는다. 게이트(12c)가 닫히고 운전자가 대기영역(22)에 들어간 후, 대응정보는 물류행정기관의 정보처리시스템으로 전송된다. 상기 전송과정 후에 창고경계(21)에 의해 한정되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의 작업영역은 각각의 주차공간(12)에 의하여 확장되며, 상기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은 비로소 주차공간(12)에서의 바람직한 선적 및 하역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의한 선적 또는 하역작업이 완료된 후에, 대기영역(22)에 있는 상기 운전자는 적절한 통지를 받게 된다. 각각의 주차공간(12)과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12c)는 각각이 자동으로 열리거나 잠금이 해제되어 상기 운전자가 수동으로 열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12c)를 열기 위하여 상기 운전자는 상기 과정 중에 해제된 스위칭 요소를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게이트(12c)에 의한 것보다 안전감지모듈을 사용하여 개방된 주차공간(12)을 닫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커뮤니케이션 스탠드(communication stand,22)의 지역에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이 고장난 경우를 대비해 상기 운전자의 추가적인 보호를 위해 캐노피(canopy)가 마련된다.
소정의 경우에 각각의 주차공간(12)이 자동화 영역이 되는 것은, 상기 게이트(12c)에 의해 경계(12a)가 닫혀지는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주차공간(12)이 자동화 영역으로 정의된 때에는 게이트(12c)가 닫히고 상기 운전자는 주차공간 (12)의 밖에 위치한다. 게이트(12c)가 열리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화물차(7)의 영역에 있거나 어떤 화물차(7)도 주차하지 않을 때, 각각의 주차공간(12)은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이 들어가지 못하는, 수동영역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이 화물차(7)의 선적 또는 하역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달성된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자동화 작업이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에도, 운용자는 중앙통제 스탠드에서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과 주차공간 (12) 지역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개입할 수 있고, 선적 또는 하역 작업에서 반자동화 역시 가능하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의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은 필수적으로, 각 창고영역(4c)의 각 영역(4d)의 인접하게 배치된 레일(15)을 따라 이동가능한 교량(13a)으로 구성되고, 상기 교량(13a)의 상부에서 트롤리(13b)는 교량(13a)의 이동방향을 가로지르면서 이동이 가능하다. 종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깃대(13c)는 트롤리(13b)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깃대(13c)의 상부에는 컨테이너(2)를 수용하기 위한 부하수용수단(13d),바람직하게는 스프레더 프레임(spreader frame)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은 각 창고영역(4c)의 종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부하수용수단이 설치된 상기 깃대(13c)는 트롤리 (13b)를 통하여 창고영역 (14c)의 종 방향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을 사용하는 것 대신에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 또는 세미-갠트리 크레인(semi-gantry crane)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측면을 도시한 것으로, 수직방향 깃대 (13c)가 설치된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의 구조를 보다 더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레일(15)은 적재된 컨테이너(2)의 상부 층까지 설치된다. 창고영역(4c)과 선적 및 하역영역(8)은 창고경계 (21)에 의해 서로 나뉘어진다.
도 4는 도 3이 확대된 측면도로서,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이 창고영역4(c)에서 선적 및 하역영역(8)으로 진입하는 것을 도시하였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화물차(7)를 벗어나 대기영역(22)에서 머물게 되면 창고 (4c)의 선적 및 하역영역의 게이트(12c)는 문을 닫는다. 상기 카메라(23)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의 트롤리(13b)의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화물차(7)의 플랫폼 상부의 고정점(anchoring point) 및/또는 화물차 상부에 위치하고 짐이 내려진 컨테이너(2) 상부의 고정점은, 상기 카메라(23)에 의해서 창고행정컴퓨터의 정보처리 시스템에 인식되고 전송된다. 그러면 상기 정보는 자동화 선적과 하역작업에 사용된다.
1 ... 취급시설 2 ... 컨테이너
3 ... 물가취급영역(land-side handling area)
4 ... 창고 4a ... 공항 측변
4b ... 항구 측변 4c ... 창고영역
4d ... 장착영역
5 ... 물가취급영역(water-side handling area)
6 ... 입구 및 출구 영역 7 ... 화물차
7a ... 운전자 객실 8 ... 선적 및 하역영역
9 ... 통제영역 10 ... 경계
12a ... 경계 12b ... 개구
12c ... 게이트 13a ... 교량
13b ... 트롤리 13c ... 깃대
13d ... 부하수용수단
14 ... 컨테이너가 저장고로 옮겨지거나 저장고로부터 제거되는 영역
15 ... 레일 16 ... 지지프레임
17 ... 무인이동차량 18 ... 취급교량
19 ... 부두 20 ... 배
21 ... 창고경계 22 ... 대기영역
23 ... 카메라

Claims (5)

  1. 컨테이너(2)가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의하여 자동으로 저장고로 반입되고 저장고로부터 반출되며,
    컨테이너(2)가 창고(4)에 인접한 선적 및 하역영역(8)에 있는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의하여 주차공간(12)에 주차된 화물차(7) 위로 하역되거나, 컨테이너(2)가 선적 및 하역영역(8)의 주차공간 (12)에 주차된 화물차(7)로부터 픽업되는, 창고(4) 내의 컨테이너(2)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물차(7)가 취급시설(1)의 항구(6b) 내의 영역과 공공영역(6a) 사이에 마련되는 통제영역(9)으로 진입한 후에,
    화물차(7)에 있는 사람의 수에 대한 파악이 통제영역(9)에서 이루어지고 이후에 오직 한 사람만이 화물차와 함께 항구(6b) 내의 영역과 주차공간(12)으로 이동하고,
    화물차(7)가 주차공간(12)으로 진입하고 상기 화물차(7)의 운전자가 주차공간을 떠난 후에, 상기 주차공간(12)은 화물차(7) 운전자의 존재와 접근이 금지되며, 이후에 자동화 선적 또는 하역 작업에 대한 허가신호가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전송되고,
    상기 화물차(7)의 운전자가 상기 주차공간(12)을 떠나고 상기 화물차(7)의 운전자가 대기영역(22)에 자리를 잡은 후에, 상기 화물차(7)의 운전자가 대기영역(22)에 자리를 잡은 것이 파악되고,상기 운전자가 대기영역(22)에 머무는 동안에 선적 또는 하역작업을 위한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전달되는 허가신호가 유지되고,
    상기 운전자가 선적 또는 하역작업 완료된 후에, 상기 화물차(7) 운전자의 접근에 대한 주차공간(12)의 보안이 종료되며, 자동화된 선적 또는 하역작업을 위한 컨테이너 스태킹 크레인(stacking crane,13)에 전달되는 허가신호가 취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12)은, 상기 화물차(7) 운전자의 접근에 대하여, 주차공간(12)을 둘러싸고 있는 경계(12a)의 일부인 게이트(12c)를 닫음으로써 접근이 금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
KR1020107029278A 2008-12-01 2009-11-19 창고 내의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 특히 표준 컨테이너에서의 화물취급방법 KR1013474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59830A DE102008059830A1 (de) 2008-12-01 2008-12-01 Verfahren zum Lastumschlag in einem Lager für Container, insbesondere Norm-Container
DE102008059830.5 2008-12-01
PCT/EP2009/065455 WO2010063585A1 (de) 2008-12-01 2009-11-19 Verfahren zum lastumschlag in einem lager für container, insbesondere norm-contai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174A KR20110044174A (ko) 2011-04-28
KR101347435B1 true KR101347435B1 (ko) 2014-01-10

Family

ID=4157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9278A KR101347435B1 (ko) 2008-12-01 2009-11-19 창고 내의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 특히 표준 컨테이너에서의 화물취급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793013B2 (ko)
EP (1) EP2352690B1 (ko)
JP (1) JP5329665B2 (ko)
KR (1) KR101347435B1 (ko)
DE (1) DE102008059830A1 (ko)
DK (1) DK2352690T3 (ko)
ES (1) ES2428331T3 (ko)
PT (1) PT2352690E (ko)
WO (1) WO20100635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248B1 (ko) 2017-12-26 2019-02-21 (주)이씨스 컨테이너화물의 안전보관이 용이한 창고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60504A1 (de) * 2010-11-11 2012-05-16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System für den Umschlag von Containern
FI10466U1 (fi) * 2014-04-04 2014-04-28 Konecranes Oyj Liikkuva nosturi
FR3038279B1 (fr) 2015-07-03 2017-07-2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conduite automatique pour l'insertion et l'extraction d'un vehicule dans une station d'accueil, et dispositif de controle mettant en oeuvre un tel procede
WO2018118606A1 (en) * 2016-12-22 2018-06-28 Walmart Apollo, Ll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item distribution
DE102017112661A1 (de) 2017-06-08 2018-12-13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Automatisch geführtes Portalhubgerät für Containe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Portalhubgeräts
DE102017121496A1 (de) * 2017-09-15 2019-03-21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Verfahren zur Steuerung des Befahrens einer Übergabezone für Container von Transportfahrzeugen in einer Umschlaganlage für Container, Steuerungssystem hierfür und Umschlaganlage mit einem solchen Steuerungssystem
FI130196B (en) * 2019-10-04 2023-04-17 Cargotec Finland Oy GRIPPER POSITION CONTROL
US11767680B2 (en) * 2021-02-23 2023-09-26 Ericus Andreas van Kleef Deployable manufacturing production facility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806A (ja) * 2001-06-12 2002-12-24 Murata Mach Ltd ピッキング装置
EP1490286A1 (de) 2002-03-15 2004-12-29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Optische einrichtung zur automatischen be- und entladung von containern auf fahrzeug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3917C2 (de) * 1994-04-21 1996-09-19 Ake Innotech Automatisierung K Verfahren zur willensunabhängigen Personensicherung, insbesondere zur Kollisionsvermeidung von Personen und personen- oder automatisch geführten Fördermitteln und Anlage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69511101D1 (de) * 1994-09-20 1999-09-02 Fantuzzi Reggiane Spa Fracht-behandlungsanlage in einem lager
ATE301612T1 (de) * 2000-08-11 2005-08-15 Gottwald Port Tech Gmbh Verladeeinrichtung für iso-container
US7987017B2 (en) * 2005-02-25 2011-07-26 Apm Terminals North America, Inc. System and process for improving container flow in a port facility
DE102006044187A1 (de) * 2006-09-20 2008-04-03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ieb mindestens einer an einer Transportvorrichtung befestigten optischen Sensoreinheit und Steuerungsprogramm
US8260454B2 (en) * 2007-02-16 2012-09-04 Boomerang Systems, Inc. Automated storage system
US7972102B2 (en) * 2008-07-24 2011-07-05 Marine Terminals Corporation Automated marine container terminal and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70806A (ja) * 2001-06-12 2002-12-24 Murata Mach Ltd ピッキング装置
EP1490286A1 (de) 2002-03-15 2004-12-29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Optische einrichtung zur automatischen be- und entladung von containern auf fahrzeugen
JP2006504595A (ja) 2002-03-15 2006-02-09 ゴットヴァルト ポート テクノロジー ゲーエムベーハー 車両へのコンテナの自動積み降ろし用光学装置
KR100658649B1 (ko) * 2002-03-15 2006-12-15 고트발트 포트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광학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248B1 (ko) 2017-12-26 2019-02-21 (주)이씨스 컨테이너화물의 안전보관이 용이한 창고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174A (ko) 2011-04-28
DK2352690T3 (da) 2013-11-18
JP5329665B2 (ja) 2013-10-30
JP2012500170A (ja) 2012-01-05
US20110238208A1 (en) 2011-09-29
ES2428331T3 (es) 2013-11-07
EP2352690B1 (de) 2013-08-28
WO2010063585A1 (de) 2010-06-10
US8793013B2 (en) 2014-07-29
DE102008059830A1 (de) 2010-06-10
EP2352690A1 (de) 2011-08-10
PT2352690E (pt) 201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435B1 (ko) 창고 내의 컨테이너에서 화물을 취급하는 방법, 특히 표준 컨테이너에서의 화물취급방법
US8306649B2 (en) System and process for improving container flow in a port facility
CN110419071B (zh) 用于集装箱的自动引导的运输车辆和用于运行该车辆的方法,以及具有自动驾驶的运输车辆的***
CN111094159B (zh) 用于在集装箱集散终端中控制运输车辆的在集装箱的转运区域内的行进的方法、其控制***和包括这种控制***的集散终端
US8690511B2 (en) Inline terminal, hub and distribution system
US8585347B2 (en) Hub and distribution system
KR102366915B1 (ko) 대형 차량에 의한 컨테이너 특히, iso 컨테이너 운송 시스템
EP2707749B1 (en) System for determination of a container's position in a vehicle and/or in its trailer to be loaded with containers
KR20100089033A (ko) 컨테이너창고
US20140079528A1 (en) Inline Terminal System
KR20130138742A (ko) 컨테이너용 처리 시스템
CN109641707B (zh) 使用重型车辆运输集装箱、尤其是iso集装箱的***
JP2018172188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及びその運用方法
KR20150048143A (ko) 선적 및 하역 플랜트 내에서 컨테이너, 특히 iso 컨테이너의 비접촉 검사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