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607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6074B1
KR101346074B1 KR1020070141244A KR20070141244A KR101346074B1 KR 101346074 B1 KR101346074 B1 KR 101346074B1 KR 1020070141244 A KR1020070141244 A KR 1020070141244A KR 20070141244 A KR20070141244 A KR 20070141244A KR 101346074 B1 KR101346074 B1 KR 101346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ontact
thickness direction
cab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071A (ko
Inventor
타카유키 나가타
하야토 콘도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1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4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for shielded flat cable
    • H01R12/598Each conductor being individually surrounded by shield, e.g. multiple coaxial cables in flat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5Ground or shiel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01R13/6589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with wires separated by conductive housing par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실드 특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바디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구성] 커넥터(C)는 장척상의 바디(100)와, 바디(100)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컨택트(200)와, 컨택트(200)에 접속되는 케이블 어셈블리(K)와, 바디(100)를 실드하는 실드 부재(300)를 구비한다. 실드 부재(300)는 바디(100)의 후육부(110)의 후단부(112)의 상단부에 매설된 제 1 실드부(310)와, 바디(100)의 후육부(110) 및 박육부(120)의 하단부에 매설된 제 2 실드부(320)와, 제 1 실드부(310)의 기단부와 제 2 실드부(320)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횡방향 대략 U자상의 제 3 실드부(330)와, 제 1 실드부(31C)의 선단부에 연속되고 또한 후육부(110)의 선단부(111)에 매설된 제 4 실드부(340)를 가진다.
커넥터, 컨택트, 케이블 어셈블리, 실드 부재, 실드부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복수의 컨택트가 장척상의 바디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열된 커넥터, 특히, 상기 컨택트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플러그 커넥터로서는 복수의 컨택트가 간격을 두어 배열된 장척상의 바디와, 이 바디의 상면에 설치되는 실드(shield) 커버와, 상기 바디의 하면에 부착되고 상기 실드 커버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실드 부재를 구비한 것이 있다(특허문헌1참조).
이 플러그 커넥터는 액정 텔레비전의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전자 기기에 실장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가 박형화됨에 따라 박형화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1] 특허 공개 제2006-54102호 공보
그러나, 간단하게 상기 바디를 박형화하면 그 강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특히, 상술 한 바와 같이, EMI 대책으로서 바디의 상하면에 실드 부재 및 실드 커버가 부착될 경우, 이들의 두께를 고려해서 상기 바디를 박형화하면 그 강도가 크게 저하된다. 즉, 상기 커넥터는 EMI 대책으로서 실드 특성을 얻는 것 및 바디의 박형화의 쌍방을 실현하는 것이 매우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실드 특성을 얻을 수 있고 또한 바디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커넥터는 복수의 컨택트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열된 장척상의 바디와, 이 바디를 실드하는 실드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의 일단부를 실드하는 제 1 실드부와,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의 타단부를 실드하는 제 2 실드부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실드부 중 적어도 한쪽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바디에 매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실드부 중 적어도 한쪽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바디에 매설함으로써 상기 바디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 1 및 제 2 실드부에 의해 바디의 두께 방향의 양단부가 실드되므로 호적한 실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드부 적어도 중 한쪽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바디에 매설할 때 상기 제 1 및 제 2 실드부의 바디에 매설되는 부분 과 컨택트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임피던스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일 경우 상기 컨택트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구비한다. 상기 컨택트는 상기 바디의 폭방향의 선단부의 두께 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촉가능한 접촉 단부와, 상기 바디의 폭방향의 중간부의 두께 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상기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드부를 연결하는 제 3 실드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실드부는 상기 접촉 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그라운드부에 접속가능한 그라운드 접속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바디의 선단부의 두께 방향의 타단부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실드부를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매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드부에 그라운드 접속부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컨택트의 접촉 단부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그라운드부에 접속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의 컨택트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의 전기적인 접속과, 상기 본 발명의 커넥터의 실드 부재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그라운드부의 전기적인 접속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이 신호선과, 이 신호선을 피복하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실드 도체를 갖는 구성일 경우 상기 제 1 실드부는 상기 바디의 폭 방향의 후단부를 실드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신호선이 상기 컨택트의 접속 단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그 실드 도체가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의 신호선을 상기 컨택트의 접속 단부에 접속하면 상기 케이블의 실드 도체가 상기 제 1 실드부에 접촉하여 접속된다. 이 때문에, 상기 케이블을 상기 커넥터에 간단히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커넥터의 실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바디가 후육부와, 이 후육부에 제공되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가능한 박육부를 가질 경우 상기 접촉 단부가 상기 박육부에 상기 접속 단부가 상기 후육부에 제공되어 있고,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제 1 실드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후육부에 상기 접속 단부를 따르도록 매설된 제 4 실드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4 실드부와 상기 접속 단부의 거리가 상기 제 2 실드부의 그라운드 접속부와 상기 접촉 단부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있다.
이 때문에, 상기 후육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4 실드부와 상기 접속 단부 사이의 임피던스와, 상기 박육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실드부의 그라운드 접속부와 상기 접촉 단부 사이의 임피던스의 매칭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바디와의 사이에 상기 케이블을 끼운 상태에서 부착되고,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의 일단면을 커버하는 실드 커버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 실드 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설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실드부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설치 구멍에 상기 두께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삽 입되는 한 쌍의 접속편이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실드 커버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설치 구멍에 상기 두께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접속편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접속 암이 제공되어 있다.
즉, 상기 실드 커버의 한 쌍의 접속 암을 바디의 한 쌍의 설치 구멍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접속 암이 상기 제 2 실드부의 한 쌍의 접속편에 접촉하여 접속된다. 이 때문에, 상기 실드 커버와 상기 제 2 실드부를 간단히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커넥터의 두께 방향의 양단부를 실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의 실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속편 및 접속 암 중 적어도 한쪽을 다른 쪽을 거는 로크 수단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드 커버와 상기 제 2 실드부의 전기적 접속과 함께 상기 실드 커버의 바디로의 설치를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한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 실드부 중 적어도 한쪽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바디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바디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 1 및 제 2 실드부에 의해 바디의 두께 방향의 양단부가 실드되어 있으므로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하면서 호적한 실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실드부 중 적어도 한쪽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바디로 매설할 때 그 매설 부분과 컨택트의 거리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임피던스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고속의 디지털 신호 전송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동일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2(a)가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2(b)가 개략적 저면도이고, 도 3은 동일 커넥터의 도 2에 나타낸 A-A단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동일 커넥터의 도 2의 단부의 확대 저면도로서, 도 4(a)가 케이블 커버 미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4(b)가 케이블 커버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5는 동일 커넥터의 중앙부의 케이블 커버 미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6은 동일 커넥터의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7은 동일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 유지부의 도 6에 도시된 B-B단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8(a)가 동일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 1 케이블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8(b)가 동일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 2 케이블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커넥터(C)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접속가능한 플러그 커넥터로서, 장척상의 바디(100)와, 이 바디(100)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열된 복수의 컨택트(200)와, 이 컨택트(200)에 접속되는 케이블 어셈블리(K)와, 바디(100)를 실드하는 실드 부재(300)와, 바디(100)의 상면(즉, 두께 방향의 일단면)에 설치되는 실드 커버(4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자세하게 설명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전자 기기의 기판(20)상에 제공된 개구부(11a)를 갖는 장척상의 본체부(11)와, 이 본체 부(11)에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배열된 복수의 컨택트(12)와, 본체부(11)의 개구부(11a)의 내부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그라운드부를 갖고 있다.
본체부(11)는 개구부(11a)의 양측에 한 쌍의 걸림 오목부(11b)가 제공되어 있다. 컨택트(12)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가 본체부(11)의 개구부(11a)의 내부에 면하는 한편, 상기 컨택트(12)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가 기판(20)에 접속되어 있다.
바디(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후육부(110)와, 이 후육부(110)의 폭방향의 선단면에 제공된 박육부(120)와, 후육부(1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제공된 한 쌍의 돌출부(130)와, 이 한 쌍의 돌출부(130)에 제공되고 상기 폭방향의 선단측에 돌출되는 한 쌍의 로크 수단(140)과, 한 쌍의 돌출부(130)의 상기 폭방향의 선단면의 외측부에 제공되고 한 쌍의 로크 수단(140)을 보호하는 한 쌍의 보호 암(150)을 갖는 절연성의 수지 형성품이다.
후육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의 선단부(111)와 폭방향의 후단부(112)를 가진다. 후단부(112)는 바디(100)의 폭방향의 후단부에 상기하는 부분이다.
선단부(111)는 바디(100)의 폭방향의 중간부에 상기하는 부분이다. 이 선단부(111)의 상면(즉, 두께 방향의 일단면)에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택트(200)를 고착하는 돌출 베인(111a)이 길이 방향을 따라 제공되어 있다.
박육부(120)는 후육부(110)보다도 박육한 대략 직사각형의 부위이다. 이 박육부(120)는 바디(100)의 폭방향의 선단부에 상기한다.
돌출부(13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육부(110)의 후단부(112)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된 대략 직사각형의 부위이며, 대략 직사각형의 상면 개구의 오목부(131)를 가지고 있다. 이 오목부(131)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제 1 설치 구멍(133)의 내측 부분에 원주상의 회전축부(131a)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30)의 상기 폭방향의 선단부의 내측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 1 개방부가 제공되고, 이에 따라 오목부(131)와 보호 암(150)의 노치부(151)가 연 통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30)의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단부의 후단부에는 제 2 개방부(132)가 제공되어 있다.
더욱이, 돌출부(130)의 외측단부의 선단부의 상면에는 실드 커버(400)를 설치하기 위한 제 1 설치 구멍(1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30)의 상기 폭방향의 후단부의 상면에는 실드 커버(400)를 설치하기 위한 제 2 설치 구멍(134)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 암(150)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부위이며, 그 내측부에 로크 수단(140)의 걸림 후크(141)를 수용하는 노치부(151)가 제공되어 있다.
로크 수단(140)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걸림 오목부(11b)에 걸림가능한 걸림 후크(141)와, 이 걸림 후크(141)를 조작하기 위한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삼각형의 부재인 조작부(142)를 가진다.
조작부(142)는 그 제 1 정점부가 돌출부(130)의 회전축부(131a)에 축지지되고 돌출부(130)의 오목부(131)에 수용된다. 조작부(142)는 제 1 정점부와 도시되지 않는 제 2 정점부 사이의 일변부가 도시되지 않는 바이어싱 수단에 의해 바이어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작부(142)의 제 3 정점부가 돌출부(130)의 제 2 개방부(132)로부터 조작가능하게 돌출되어 있다.
걸림 후크(141)는 그 선단부에 후크부가 제공된 봉상체이다. 이 걸림 후크(141)는 그 기단부가 조작부(142)의 제 1 정점부에 제공되고 상기 선단부가 보호 암(150)의 노치부(151)에 출입가능하게 수용된다.
즉, 걸림 후크(141)의 후크부는 조작부(142)가 상기 바이어싱 수단에 바이어싱되고 상기 조작부(142) 및 걸림 후크(141)가 회전함으로써 보호 암(150)의 노치부(151)로부터 상시 돌출되어 있다. 이 걸림 후크(141)의 후크부는 조작부(142)의 제 3 정점부가 조작되고 상기 조작부(142) 및 걸림 후크(141)가 상기 바이어싱 수단에 저항해서 회전함으로써 보호 암(150)의 노치부(151)에 수용된다.
컨택트(200)는 바디(100)의 후육부(110)의 선단부(111) 및 박육부(120)의 상단부에 매설되고 상기 후육부(110)의 돌출 베인(111a)에 고착되어 있다.
이 컨택트(2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육부(120)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접촉 단부(210)와, 후육부(110)의 선단부(111)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접속 단부(220)와, 접촉 단부(210)와 접속 단부(220)를 연결시키는 부분이며 또한 돌출 베인(111a)에 고착되는 고착부(230)를 가지고 있다.
접속 단부(220)는 고착부(230)에 연속되고 또한 하방을 향해서 절곡된 절곡부(221)와, 이 절곡부(221)에 연속되는 접속 단부 본체(222)와, 접속 단부 본체(222)에 연속되고 또한 케이블 어셈블리(K)의 제 1 및 제 2 케이블(610, 620)의 신호선(611, 621)을 각각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23)를 가진다.
가이드부(223)는 접속 단부 본체(222)의 후단의 중앙부를 노치하고, 그 양단부를 상방으로 절곡한 것이다. 이 양단부 사이에 제 1 및 제 2 케이블(610, 620)의 신호선(611, 621)이 삽입되어 가이드된다.
실드 부재(30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육부(110)의 후단부(112)의 상단부(즉, 두께 방향의 일단부)에 매설된 제 1 실드부(310)와, 후육부(110) 및 박육부(120)의 하단부(즉, 두께 방향의 타단부)에 매설된 제 2 실드부(320)와, 제 1 실드부(310)의 기단부와 제 2 실드부(320)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횡방향 대략 U자상의 제 3 실드부(330)와, 제 1 실드부(310)의 선단부에 연속되고 또한 후육부(110)의 선단부(111)에 매설된 제 4 실드부(340)와, 제 2 실드부(320)의 저판부(321)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제공되고, 또한 돌출부(130)의 하단부에 매설되는 한 쌍의 제 5 실드부(350)를 갖는 상기 전도성의 판상체이다.
제 2 실드부(320)는, 도 2(b),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육부(110)의 하단부의 일부를 이루는 대략 직사각형의 저판부(321)와, 박육부(120)의 하단부의 일부를 이루는 저판부(321)보다도 작은 대략 직사각형의 그라운드 접속부(322)와, 저판부(321)와 그라운드 접속부(322) 사이를 연결하는 경사부(323)를 가진다.
저판부(321)는 그 하면이 후육부(110)의 하면과 면일(面一)로 되어 있다. 즉, 저판부(321)의 하면이 후육부(110)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그라운드 접속부(322)는 모든 컨택트(200)의 접촉 단부(210)에 평행하게 따 름과 아울러, 그 하면이 박육부(120)의 하면과 면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그라운드 접속부(322)의 하면이 박육부(120)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그라운드부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경사부(323)는 그라운드 접속부(322)로부터 비스듬히 하방으로 절곡되어 경사진 부위이며 후육부(110)의 선단부(111) 내에 매설된다.
제 5 실드부(350)는, 도 2(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체이다. 이 제 5 실드부(350)의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단부의 선단부에는 제 1 접속편(351)이 제 5 실드부(350)의 상기 폭방향의 후단부에는 제 2 접속편(352)이 제공되어 있다.
제 1 접속편(351)은 제 5 실드부(350)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판체이다. 이 제 1 접속편(351)은 돌출부(130)의 제 1 설치 구멍(133)의 내측 부분에 하방(두께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제 2 접속편(352)도 제 5 실드부(350)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판체이다. 이 제 2 접속편(352)은 돌출부(130)의 제 2 설치 구멍(134)의 내측 부분에 하방(두께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삽입된다.
제 1 실드부(310)는 그 상면이 박육부(120)의 후단부(112)의 상면과 면일로 되어 있다. 즉, 제 1 실드부(310)의 상면이 박육부(120)의 후단부(112)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되고, 케이블 어셈블리(K)의 케이블 설치 도구(500)와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4 실드부(340)는 제 1 실드부(310)에 연속되고 또한 하방을 향해서 절곡 된 단차부(341)와, 이 단차부(341)에 연속되고 또한 모든 컨택트(200)의 접속 단부 본체(222)를 따라 평행으로 배열되는 연장부(342)를 가진다.
단차부(341)는 제 4 실드부(340)의 연장부(342)와 컨택트(200)의 접속 단부(220)의 접속 단부 본체(222)의 거리(α)와, 제 2 실드부(320)의 그라운드 접속부(322)와 컨택트(200)의 접촉 단부(210)의 거리(β)가 동일해지도록 한 단차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거리(α)와 거리(β)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후육부(110)에 있어서의 제 4 실드부(340)의 연장부(342)와 컨택트(200)의 접속 단부(220)의 접속 단부 본체(222)의 임피던스와, 박육부(120)에 있어서의 제 2 실드부(320)의 그라운드 접속부(322)와 컨택트(200)의 접촉 단부(210)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있다.
실드 커버(400)는, 도 1, 도 2(a),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의 커버 본체(410)와, 이 커버 본체(410)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제공되어 있는 한 쌍의 걸림부(420)를 갖는 전도성의 판상체이다.
커버 본체(410)는 바디(100)의 후육부(110)의 상면을 후육부(110) 사이에 케이블 어셈블리(K)의 제 1 및 제 2 케이블(610, 620)을 끼운 상태에서 커버한다.
걸림부(420)는 커버 본체(410)에 연속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부위이다. 이 걸림부(420)의 상기 길이 방향의 외측 단부의 선단부에는 제 1 접속 암(421)이 걸림부(420)의 상기 폭방향의 후단부에는 제 2 접속 암(422)이 제공되어 있다.
제 1 접속 암(421)은, 도 2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20)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판체이며, 그 내측면에 2개의 제 1 걸림 볼록부(421a)가 제 공되어 있다. 제 1 접속 암(421)의 두께 치수와 제 1 걸림 볼록부(421a)의 높이 치수의 합이 돌출부(130)의 제 1 설치 구멍(133)과 실드 부재(300)의 제 1 접속편(351) 사이의 치수[즉, 제 1 설치 구멍(133)의 외측 부분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커져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접속 암(422)도, 도 2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420)로부터 직각으로 절곡된 판체이며, 그 내측면에 2개의 제 2 걸림 볼록부(422a)가 제공되어 있다. 제 2 접속 암(422)의 두께 치수와 제 2 걸림 볼록부(422a)의 높이 치수의 합이 돌출부(130)의 제 2 설치 구멍(134)과 실드 부재(300)의 제 2 접속편(352) 사이의 치수[즉, 제 2 설치 구멍(134)의 외측 부분의 폭치수]보다도 약간 커져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및 제 2 접속 암(421, 422)이 돌출부(130)의 제 1 및 제 2 설치 구멍(133, 134)의 외측 부분에 상방(두께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삽입되면 제 1 및 제 2 걸림 볼록부(421a, 422a)가 실드 부재(300)의 제 1 및 제 2 접속편(351, 352)에 접한다. 이에 따라, 실드 커버(400)가 바디(100)에 걸려, 그 분리가 방지된다.
또한, 걸림부(420)의 제 1 접속 암(421)의 내측 부분에는,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30)의 회전축부(131a)가 수용되는 고정 구멍부(423)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어셈블리(K)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설치 도구(500)와, 이 케이블 설치 도구(500)에 병렬로 늘어 놓은 상태에서 설치되는 복수 의 제 1 및 제 2 케이블(610, 62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각부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케이블 설치 도구(500)는 베이스부(510)와, 베이스부(510)의 일단부(511)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열된 복수의 제 1 설치부(520)와, 베이스부(510)의 타단부(512)에 그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열된 복수의 제 2 설치부(530)와, 베이스부(510)의 타단부(512)에 제공된 연장부(540)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부(5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의 일단부(511)와 타단부(512)가 동일 방향으로 향하도록 대략 U자상으로 절곡된 전도성을 갖는 장척상의 판체이다. 이 베이스부(510)의 일단부(511)는 연장부(540)에 대향하는 선단부가 직사각형으로 노치되어 있다.
제 1 설치부(520)와 제 2 설치부(530)는 길이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설치부(520)와 제 2 설치부(530)의 간격이 제 1 케이블(610)의 외경의 3배 이하인 한편, 제 1 설치부(520)끼리, 제 2 설치부(530)끼리의 간격이 제 1 설치부(520)와 제 2 설치부(530)의 간격보다 크게 되어 있다.
다른 말로, 제 1 및 제 2 설치부(520, 530)를 제 1 케이블(610)의 외경의 3배 이하의 좁은 피치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는 한편, 제 1 설치부(520)끼리, 제 2 설치부(530)끼리의 간격을 넓게 하고, 제 1 및 제 2 설치부(520, 530)를 베이스부(510)의 일단부(511)의 선단부, 타단부(512)의 선단부로부터 노치하고 일으켜서 작성할 때 제 1 케이블(610)을 호적하게 유지할 필요있는 제 1 및 제 2 설치부(520, 530)의 전개 길이를 충분히 취할 수 있게 한다.
제 1 설치부(5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상의 부위이며, 베이스부(510)의 일단부(511)에 연속되는 제 1 지지부(521)와, 이 제 1 지지부(521)의 양단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서 제공된 한 쌍의 제 1 샌드위칭부(522)를 가진다.
제 2 설치부(530)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상의 부위이며, 베이스부(510)의 타단부(512)에 연속하는 제 2 지지부(531)와, 이 제 2 지지부(531)의 양단부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해서 제공된 한 쌍의 제 2 샌드위칭부(532)를 가진다.
제 1 지지부(521)는 제 1 케이블(610)이 배치되는 판상체이다. 이 제 1 지지부(5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기단부가 절곡되고, 그 선단부의 상면(케이블 배치면)이 제 2 지지부(531)의 상면(케이블 배치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어 있다. 제 2 지지부(531)는 제 1 케이블(610)이 배치되는 직선상의 판상체이다.
한 쌍의 제 1 샌드위칭부(522)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지지부(521)에 적재된 제 1 케이블(610)을 샌드위칭하는 스웨이징부이다. 한 쌍의 제 2 샌드위칭부(532)는 한 쌍의 제 1 샌드위칭부(522)와 동일한 것이다.
제 1 지지부(521)의 폭치수와 한 쌍의 제 1 샌드위칭부(522)의 폭치수의 합은 제 1 케이블(610)의 외주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설치부(520, 530)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블(610)의 외주의 대략전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지지부(531)의 폭치수와 한 쌍의 제 2 샌드위칭부(532)의 폭치수의 합도 제 1 케이블(610)의 외주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연장부(54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510)의 타단부(512)로부터 연장된 대략 직사각형의 판체이다. 이 연장부(540)의 중앙부에는 복수의 제 2 케이블(620)이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제 3 설치부(541)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540)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단자(542)가 상기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제공되어 있다. 제 3 설치부(541)와 단자(542)는 교대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3 설치부(541)는 연장부(540)를 커트해서 작성되는 것이며, 단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상이 되어 있다. 이 제 3 설치부(541)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 및 후단부가 연장부(540)에 연속되는 대략 I자상의 제 3 지지부(541a)와, 이 제 3 지지부의 양단부에 제공되고, 또한 제 1 및 제 2 설치부(520, 530)의 제 1 및 제 1 샌드위칭부(522, 532)와 동일한 방향을 향해서 절곡된 한 쌍의 제 3 샌드위칭부(541b)를 가진다.
제 1 케이블(61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선(611)과, 이 신호선(611)을 피복하는 내부 절연체(612)와, 이 내부 절연체(612)를 커버하는 실드 도체(613)와, 이 실드 도체(613)를 피복하는 외부 절연부(614)를 갖는 공지된 동축 케이블이다.
제 2 케이블(62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신호선(621)과, 이 2개의 신호선(621)을 각각 피복하는 2개의 내부 절연체(622)와, 이 2개의 내부 절연체(622)를 커버하는 실드 도체(623)와, 이 실드 도체(623)를 피복하는 외 부 절연부(624)를 갖는 공지된 트윈 케이블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커넥터(C)의 조립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케이블 어셈블리(K)를 조립한다.
제 1 케이블(610)의 일단부의 선단측의 부분의 외부 절연부(614), 실드 도체(613), 및 내부 절연체(612)를 박리하고, 신호선(611)을 노출시킨다. 그 후, 제 1 케이블(610)의 일단부의 후단측의 부분의 외부 절연부(614)를 박리하고, 실드 도체(613)를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 1 케이블(610)의 실드 도체(613)를 케이블 설치 도구(500)의 제 1 및 제 2 설치부(520, 530)의 제 1 및 제 2 지지부(521, 531)에 배치한다. 그리고, 한 쌍의 제 1 및 제 1 샌드위칭부(522, 532)를 스웨이징함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1 샌드위칭부(522, 532)에 제 1 케이블(610)의 실드 도체(613)를 유지시킨다.
또한, 제 2 케이블(620)의 일단부의 선단측의 부분의 외부 절연부(624), 실드 도체(623), 및 2개의 내부 절연체(622)를 박리하고, 2개의 신호선(621)을 노출시킨다. 그 후, 제 2 케이블(620)의 일단부의 후단측의 부분의 외부 절연부(624)를 박리해서 실드 도체(623)를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 2 케이블(620)의 실드 도체(623)를 케이블 설치 도구(500)의 제 3 설치부(541)의 제 3 지지부(541a)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설치부(541)의 한 쌍의 제 3 샌드위칭부(541b)를 스웨이징함으로써 상기 제 3 샌드위칭부(541b)에 제 2 케이블(620)의 실드 도체(623)를 유지시킨다. 이렇게하여, 케이블 어셈블리(K)가 조립된다.
한편, 복수의 컨택트(200)와 실드 부재(300)를 바디(100)에 인서트 성형한 다. 이에 따라, 컨택트(200)가 바디(100)의 후육부(110)의 선단부(111) 및 박육부(120)의 상단부에 매설된다. 이와 함께, 실드 부재(300)의 제 1 실드부(310)가 후육부(110)의 후단부(112)의 상단부에 매설되고, 제 2 실드부(320)가 후육부(110) 및 박육부(120)의 하단부에 매설되고, 제 4 실드부(340)가 후육부(110)의 선단부(111)에 매설되고, 한 쌍의 제 5 실드부(350)가 돌출부(130)의 하단부에 매설된다.
이때, 제 4 실드부(340)의 연장부(342)와 컨택트(200)의 접속 단부(220)의 접속 단부 본체(222)의 거리(α)와, 제 2 실드부(320)의 그라운드 접속부(322)와 컨택트(200)의 접촉 단부(210)의 거리(β)가 동일해지도록 조정한다.
또한, 상기 인서트 성형시에 돌출부(130)의 제 1 및 제 2 설치 구멍(133, 134)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및 제 2 설치 구멍(133, 134)의 내측 부분에 제 5 실드부(530)의 제 1 및 제 2 접속편(351, 352)이 하방으로부터 삽입된다.
그 후, 케이블 어셈블리(K)의 제 1 케이블(610)의 신호선(611), 제 2 케이블(620)의 2개의 신호선(621)을 컨택트(200)의 접속 단부(220)의 접속 단부 본체(222)에 각각 접촉시킨다. 이와 함께, 케이블 설치 도구(500)의 연장부(540)의 단자(542)가 나머지 컨택트(200)의 접속 단부(220)의 접속 단부 본체(222)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신호선(611), 신호선(621), 및 단자(542)가 땜납 접속된다. 즉, 컨택트(200) 중 제 1 케이블(610)의 신호선(611), 제 2 케이블(620)의 2개의 신호선(621)이 접속된 컨택트(200)는 신호선용의 컨택트로서 사용되고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신호선용의 컨택트(12)에 접속된다. 또한, 단자(542)가 접속된 나머지 의 컨택트(200)는 그라운드용의 컨택트로서 사용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그라운드용의 컨택트(12)에 접속된다.
이때, 케이블 설치 도구(500)의 베이스부(510) 및 연장부(540)가 실드 부재(300)의 제 1 실드부(310)에 배치되어 접촉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설치 도구(500)가 실드 부재(3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시 말해, 케이블 설치 도구(500)를 통해서 제 1 및 제 2 케이블(610, 620)의 실드 도체(613, 623)가 제 1 실드부(3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후, 로크 수단(140)의 조작부(142)를 돌출부(130)의 회전축부(131a)에 축지지시킴과 아울러, 상기 조작부(142) 및 바이어싱 수단을 돌출부(130)의 오목부(131)에 걸림 후크(141)를 오목부(131) 및 보호 암(150)의 노치부(151)에 수용시킨다. 그러면, 조작부(142)가 상기 바이어싱 수단에 바이어싱되고, 걸림 후크(141)의 후크부가 보호 암(150)의 노치부(151)로부터 돌출된다.
그 후, 실드 커버(400)의 제 1 및 제 2 접속 암(421, 422)을 돌출부(130)의 제 1 및 제 2 설치 구멍(133, l34)의 외측 부분에 상방으로부터 위치 맞춤을 하면서 삽입함과 아울러, 돌출부(130)의 회전축부(131a)를 실드 커버(400)의 고정 구멍부(423)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실드 커버(400)가 바디(100)의 후육부(110) 사이에 케이블 어셈블리(K)의 케이블 설치 도구(500) 및 제 1, 제 2 케이블(610, 620)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바디(100)에 설치되고, 상기 실드 커버(400)가 바디(100)의 후육부(110) 및 한 쌍의 돌출부(130) 상면을 커버한다. 이에 따라, 바디(100)의 박육부(120)의 상면을 제외하는 상하면이 실드 부재(300) 및 실드 커버(400)에 의해 커버되어 실드된다.
이하, 이렇게 조립되는 커넥터(C)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접속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바디(100)의 박육부(12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개구부(11a)에 위치 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박육부(120)의 상면으로부터 노출된 컨택트(200)의 접촉 단부(21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컨택트(12)에 각각 접촉함과 아울러, 박육부(120)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된 실드 부재(300)의 그라운드 접속부(322)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그라운드부에 접촉한다.
이와 함께, 바디(100)의 한 쌍의 보호 암(150)을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한 쌍의 걸림 오목부(11b)에 위치 맞춤을 하면서 삽입한다. 그러면, 한 쌍의 보호 암(150)의 노치부(151)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로크 수단(140)의 걸림 후크(141)의 후크부가 상기 로크 수단(140)의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한 쌍의 걸림 오목부(11b)에 각각 걸린다.
커넥터(C)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접속을 분리할 때에는 조작부(142)의 제 3 정점부를 상기 바이어싱 수단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해서 조작함으로써 걸림 후크(141)의 후크부가 보호 암(150)의 노치부(151)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걸림 후크(141)의 후크부와 걸림 오목부(11b)의 걸림이 해제되고, 바디(100)의 박육부(120)를 리셉터클 커넥터(1O)의 개구부(11a)로부터 뽑을 수 있음과 아울러, 바디(1OO)의 한 쌍의 보호 암(150)을 리셈터클 커넥터(10)의 한 쌍의 걸림 오목부(11b)로부터 뽑을 수 있다.
이렇게 커넥터(C)에 의한 경우, 실드 부재(300)의 제 1 실드부(310)가 바 디(100)의 후육부(110)의 후단부(112)의 상단부에 매설되고, 제 2 실드부(320)가 후육부(110) 및 박육부(120)의 하단부에 매설되고, 제 4 실드부(340)가 후육부(110)의 선단부(111)에 매설되고, 한 쌍의 제 5 실드부(350)가 돌출부(130)의 하단부에 매설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바디(10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바디(100)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컨택트(200)와 실드 부재(300)를 바디(100)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할 때, 컨택트(200)의 접속 단부(220)의 접속 단부 본체(222)와 제 4 실드부(340)의 연장부(342)의 거리(α)와, 컨택트(200)의 접촉 단부(210)와 제 2 실드부(320)의 그라운드 접속부(322)의 거리(β)가 같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양자의 임피던스를 제어할 수 있고 또한 그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전송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고속의 디지털 신호 전송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바디(100)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택트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열가능한 장척상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가능하다.
컨택트(200)에 대해서는 상기 바디에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어 있으면 좋고, 그 형상은 임의로 설계 변경가능하다.
실드 부재(300)에 대해서는 바디의 두께 방향의 일단부를 실드하는 제 1 실드부와,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의 타단부를 실드하는 제 2 실드부를 가지고 있고, 제 1 및 제 2 실드부의 적어도 한쪽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바디에 매설되어 있 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가능하다.
제 1 및 제 2 실드부의 적어도 한쪽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바디에 매설하는 예로서는 제 1 실드부(310)를 절곡하고, 그 선단부를 후육부(110)의 후단부(112) 전측부에 매설하는 한편, 상기 실드부(310)의 후단부를 후단부(112)의 후측부의 면상에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 2 실드부(320)의 저판부(321)만을 후육부(110)의 하단부에 매설하도록 해도 좋고, 제 2 실드부(320)의 그라운드 접속부(322)만을 박육부(l20)의 하단부에 매설하도록 해도 좋다.
제 1 및 제 2 실드부(310, 320)는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의 일단부, 타단부를 실드해서 얻을 수 있는 한 어떤 설계 변경을 해도 개의치 않는다.
그라운드 접속부(322)에 대해서는 박육부(120)의 하단부에 매설하지 않고, 상기 하단부에 따르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설계 변경해도 그라운드 접속부(322)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또한, 그라운드 접속부(322)를 박육부(120)의 하단부 내부에 매설하고, 단순한 실드부라고 할 수도 있다.
제 3 실드부(330)는 제 2 실드부(320)가 그라운드 접속부(322)를 가지고 있을 경우에는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그라운드 접속부(322)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그라운드부에 접촉함으로써 실드 부재(300)의 전체가 그라운드 접속되기 때문이다. 또한, 제 3 실드부(330)의 형상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4 실드부(340)의 형상에 대해서는 컨택트(200)의 접속 단부(220)의 접속 단부 본체(222)의 거리(α)를 컨택트(200)의 접촉 단부(210)와 제 2 실드부(320)의 그라운드 접속부(322)의 거리(β)와 동일하게 할 수 있는 한 어떤 형상이어도 좋다. 물론, 별체의 제 4 실드부(340)를 후육부(110)의 선단부(111) 내부에 매설하고, 제 2 실드부(320) 등에 접촉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제 4 실드부(340)를 제공하지 않고, 제 2 실드부(320)의 저판부(321)의 일부를 절곡해서 후육부(110)의 선단부(111) 내부에 매설함으로써 이 절곡부를 제 4 실드부(340)로서 대용하는 것도 일단 가능하다.
제 5 실드부(350)에는 제 1 및 제 2 접속편(351, 352)이 제공되어 있다고 했지만, 적어도 한쪽이 제공되어 있으면 좋다. 제 1 및 제 2 접속편(351, 352)의 형상에 대해서는 바디의 설치 구멍에 삽입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가능하다.
실드 커버(400)에 대해서는 제공할 것인지 아닌지는 임의이다. 그 형상에 대해서 임의로 설계 변경가능하다.
실드 커버(400)에는 제 1 및 제 2 접속 암(421, 422)이 제공되어 있다고 했지만, 적어도 한쪽이 제공되어 있으면 좋다. 제 1 및 제 2 접속 암(421, 422)의 형상에 대해서는 바디의 설치 구멍에 삽입해서 얻을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가능하다.
제 1 및 제 2 걸림 볼록부(421a, 422a)에 대해서는 제 1 및 제 2 접속편(351, 352)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1 및 제 2 걸림 볼록부(421a, 422a)로서는 그 외 임의의 로크 수단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실드 부재의 접속편 및 실드 커버의 접속 암의 적어도 한쪽에 제공되어 있으면 좋다.
커넥터(C)는 케이블 어셈블리(C)를 구비한다고 했지만, 컨택트에 접속되는 1 종류 이상의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으면 좋다.
그 케이블로서는 상술한 동축 케이블 및 트윈 케이블만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단심 케이블 등 기타의 케이블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커넥터(C)는 플러그 커넥터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리셉터클 커넥터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2(a)는 개략적 평면도이고, 도 2(b)는 개략적 저면도이다.
도 3은 동일한 커넥터의 도 2A-A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동일한 커넥터의 도 2의 단부의 확대 저면도이며, 도 4(a)는 케이블 커버 미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케이블 커버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동일한 커넥터의 중앙부의 케이블 커버 미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6은 동일한 커넥터의 케이블 어셈블리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7은 동일한 케이블 어셈블리의 케이블 보유부의 도 6에 나타내는 B-B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8(a)는 동일한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 1 케이블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8(b)는 동일한 케이블 어셈블리의 제 2 케이블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리셉터클 커넥터 11a: 개구부
12: 컨택트 C: 커넥터
100: 바디 110: 후육부
120: 박육부 l33: 제 1 설치 구멍
134: 제 2 설치 구멍 200: 컨택트
210: 접촉 단부 220: 접속 단부
300: 실드 부재 310: 제 1 실드부
320: 제 2 실드부 322: 그라운드 접속부
330: 제 3 실드부 340: 제 4 실드부
351: 제 1 접속편 352: 제 2 접속편
400: 실드 커버 421: 제 1 접속 암
421a: 제 1 걸림 볼록부(로크 수단) 422: 제 2 접속 암
422a: 제 2 걸림 볼록부(로크 수단) 610: 제 1 케이블
611: 신호선 612: 내부 절연체
613: 실드 도체 620: 제 2 케이블
621: 신호선 622: 내부 절연체
623: 실드 도체

Claims (7)

  1. 복수의 컨택트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열된 장척상의 바디; 및
    상기 바디를 실드하는 실드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의 일단부를 실드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일단부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된 제 1 실드부;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의 타단부를 실드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타단부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된 제 2 실드부; 및
    상기 제 1 실드부와 상기 제 2 실드부에 연접되고, 상기 제 1 실드부와 상기 제 2 실드부를 연결하는 횡방향 U자상의 제 3 실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이며,
    상기 컨택트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컨택트는 상기 바디의 폭방향의 선단부의 두께 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촉가능한 접촉 단부, 및 상기 바디의 폭방향의 중간부의 두께 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상기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 단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실드부는 상기 접촉 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그라운드부에 접속가능한 그라운드 접속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실드부는 상기 그라운드 접속부가 상기 바디의 선단부의 두께 방향의 타단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타단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신호선, 이 신호선을 피복하는 절연체, 및 이 절연체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실드 도체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1 실드부는 상기 바디의 폭방향의 후단부를 실드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의 신호선이 상기 컨택트의 접속 단부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실드부에 상기 실드 도체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가능한 플러그 커넥터로서,
    복수의 컨택트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열된 장척상의 바디;
    상기 컨택트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케이블;
    상기 바디를 실드하는 실드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바디는 후육부, 및 이 후육부에 제공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가능한 박육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컨택트는, 상기 박육부에 제공되고, 상기 바디의 폭방향의 선단부의 두께 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촉가능한 접촉 단부;
    상기 후육부에 제공되고, 상기 바디의 폭방향의 중간부의 두께 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상기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의 일단부를 실드하는 제 1 실드부;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의 타단부를 실드하는 제 2 실드부;
    상기 제 1 실드부와 상기 제 2 실드부를 연결하는 제 3 실드부; 및
    상기 제 1 실드부에 연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후육부에 상기 접속 단부를 따르도록 매설된 제 4 실드부를 갖고,
    상기 제 1 및 제 2 실드부 중 적어도 한쪽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바디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제 2 실드부는 상기 접촉 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그라운드부에 접속가능한 그라운드 접속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4 실드부와 상기 접속 단부의 거리는 상기 제 2 실드부의 그라운드 접속부와 상기 접촉 단부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가능한 플러그 커넥터로서,
    복수의 컨택트가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열된 장척상의 바디;
    상기 컨택트에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케이블;
    상기 바디를 실드하는 실드 부재; 및
    상기 바디와의 사이에 상기 케이블을 끼운 상태에서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의 일단면을 커버하는 실드 커버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기 실드 커버를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설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컨택트는, 상기 바디의 폭방향의 선단부의 두께 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촉가능한 접촉 단부; 및
    상기 바디의 폭방향의 중간부의 두께 방향의 일단면으로부터 노출되고 또한 상기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실드 부재는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의 일단부를 실드하는 제 1 실드부;
    상기 바디의 두께 방향의 타단부를 실드하는 제 2 실드부; 및
    상기 제 1 실드부와 상기 제 2 실드부를 연결하는 제 3 실드부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실드부 중 적어도 한쪽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기 바디에 매설되어 있고,
    상기 제 2 실드부는 상기 접촉 단부를 따라 배치되는 부분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그라운드부에 접속가능한 그라운드 접속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 2 실드부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설치 구멍에 상기 두께 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삽입되는 한 쌍의 접속편이 제공되어 있고,
    상기 실드 커버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설치 구멍에 상기 두께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한 쌍의 접속편에 접촉하는 한 쌍의 접속 암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편 및 접속 암 중 적어도 한쪽은 다른 쪽을 록킹하는 로크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70141244A 2007-01-29 2007-12-31 커넥터 KR101346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17794A JP4879035B2 (ja) 2007-01-29 2007-01-29 コネクタ
JPJP-P-2007-00017794 2007-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071A KR20080071071A (ko) 2008-08-01
KR101346074B1 true KR101346074B1 (ko) 2013-12-31

Family

ID=39323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244A KR101346074B1 (ko) 2007-01-29 2007-12-31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37779B2 (ko)
EP (1) EP1950847B1 (ko)
JP (1) JP4879035B2 (ko)
KR (1) KR101346074B1 (ko)
CN (1) CN101237097B (ko)
TW (1) TWI3963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60151Y (zh) * 2008-01-05 2008-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EP2395606B1 (en) * 2010-06-08 2017-05-10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ng twisted pair cable to the electrical connector
JP5066243B2 (ja) 2010-06-08 2012-11-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ツイストペアケーブルと電気コネクタとの接続方法
CN201966402U (zh) * 2010-12-08 2011-09-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线缆连接器
CN103247908A (zh) * 2012-02-06 2013-08-14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US9125563B2 (en) * 2012-10-23 2015-09-08 Cas Medical Systems, Inc. Signal monitoring system including EMI-shielding coupler
US20140206230A1 (en) * 2013-01-18 2014-07-24 Molex Incorporated Paddle Card Assembly For High Speed Applications
US9049787B2 (en) 2013-01-18 2015-06-02 Molex Incorporated Paddle card with improved performance
US9466925B2 (en) 2013-01-18 2016-10-11 Molex, Llc Paddle card assembly for high speed applications
US9373915B1 (en) 2015-03-04 2016-06-21 Molex, Llc Ground shield for circuit board terminations
US9490566B2 (en) * 2015-03-24 2016-11-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erminal holder
US9728912B2 (en) * 2015-12-08 2017-08-08 Intel Corporation Micro-coax cable adaptor board
CN107317122B (zh) * 2017-05-19 2019-06-1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线缆连接器组件
CN109980444B (zh) * 2017-12-27 2021-11-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10454222B2 (en) * 2017-12-27 2019-10-22 Foxconn (Kunshan) Computer Connector Co., Ltd. Connector having grounding bar connecting to both shielding shell and grounding layers of wires
CN208045846U (zh) * 2018-01-03 2018-11-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KR102275951B1 (ko) * 2019-10-17 2021-07-12 주식회사 행성사 극세동축케이블용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5978B1 (en) * 2000-05-24 2001-10-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mini coaxial cable connector
US6619985B1 (en) * 2002-04-11 2003-09-1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icro coaxial cabl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9911U (ko) * 1990-02-26 1991-11-12
JP3451393B2 (ja) * 1998-01-30 2003-09-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ソケットコネクタ
JP3477639B2 (ja) * 2000-04-26 2003-12-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02097931A2 (en) * 2001-05-25 2002-12-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or
JP4436011B2 (ja) * 2001-05-25 2010-03-2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Fpc接続用シールド機能付きプラグコネクタ及びfpc接続用シールド機能付きプラグコネクタのfpc嵌合方法
US6793527B2 (en) * 2001-06-14 2004-09-2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JP2003331993A (ja) * 2002-05-09 2003-11-21 Kel Corp 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JP2005129255A (ja) * 2003-10-21 2005-05-1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JP2006054102A (ja) 2004-08-11 2006-02-23 Jst Mfg Co Ltd コネクタ及びケーブル保持部材
US7156678B2 (en) * 2005-04-07 2007-0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inted circuit connector assembly
TWM289545U (en) * 2005-11-04 2006-04-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M302800U (en) * 2006-05-08 2006-12-11 Longwell Co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05978B1 (en) * 2000-05-24 2001-10-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 profile mini coaxial cable connector
US6619985B1 (en) * 2002-04-11 2003-09-1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icro coaxial cabl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071A (ko) 2008-08-01
CN101237097A (zh) 2008-08-06
TW200838037A (en) 2008-09-16
EP1950847A2 (en) 2008-07-30
JP4879035B2 (ja) 2012-02-15
US20080188132A1 (en) 2008-08-07
EP1950847B1 (en) 2013-03-27
US7637779B2 (en) 2009-12-29
TWI396332B (zh) 2013-05-11
EP1950847A3 (en) 2011-09-14
CN101237097B (zh) 2011-08-17
JP2008186663A (ja) 200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074B1 (ko) 커넥터
KR101345161B1 (ko) 케이블 부착구, 이것을 구비한 케이블 어셈블리 및 커넥터
JP6425619B2 (ja)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0256927B1 (ko) 고속 케이블의 차폐부 접속 시스템
US789200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35429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7003210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4838811A (en) Modular connector with EMI countermeasure
EP2517304B1 (en) Electrical connector
US6905368B2 (en) Connector for use with high frequency signals
KR101689041B1 (ko) 종단 커넥터
US6250953B1 (en) Connector assembly for coaxial cables
CN1950976A (zh) 低感应屏蔽连接器
US8057250B2 (en) Cable organizer for electrical connector
CN103975488A (zh) 电缆插头连接器
CN110247262B (zh) 具有阻抗控制体的电气装置
JP6583643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装置
AU565147B2 (en) Idc termination for coaxial cable having alignment and stabilizing means
JPH11512222A (ja) リボン・ケーブル・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KR20100137444A (ko) 전기 종단 접속 장치
JPH10189120A (ja) 多極の遮蔽されたケーブルプラグ
US20080176435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US4737888A (en) Receptacle assembly and mounting bracket for circuit board connections
US20020013095A1 (en) Connector having a shield for signal contacts
JPS61126782A (ja) シールド平坦ケーブル用接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