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111B1 -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111B1
KR101340111B1 KR1020127014006A KR20127014006A KR101340111B1 KR 101340111 B1 KR101340111 B1 KR 101340111B1 KR 1020127014006 A KR1020127014006 A KR 1020127014006A KR 20127014006 A KR20127014006 A KR 20127014006A KR 101340111 B1 KR101340111 B1 KR 101340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nt
heat dissipation
air passage
dissip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3318A (ko
Inventor
다쿠야 무라야마
도모노리 와카마츠
마코토 스기야마
요시마사 가츠미
?지 미야케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75130A external-priority patent/JP534792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77296A external-priority patent/JP53479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0376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14641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623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1989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67617A external-priority patent/JP55562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0980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563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11725A external-priority patent/JP555635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198470A external-priority patent/JP55565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21144A external-priority patent/JP5556545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9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318A/ko
Publication of KR101340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72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은 복수면으로 구성되는 전자 기기의 하나의 면에 장착되어 전자 기기의 내부측과 외부측을 구획하는 구획판과, 외부측에 배치되고, 전자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체를 구비하고, 구획판은 제 1 통기구 및 제 2 통기구를 갖고, 열교환체는, 외부측에 있어서, 제 1 통기구와 제 2 통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풍로가 간격을 두고서 병렬로 배치된 온풍로체와, 풍로의 사이의 외기가 통과하는 통기로에 의해 구성되며, 외부측에는 내부측의 공기를 제 1 통기구에서 온풍로체를 통해서 제 2 통기구에 송풍하는 송풍기를 설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RADIATION UNIT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에서는, 본체 케이스의 전면측에 표시부가,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는 표시부의 제어부가 설치되고, 제어부의 배면측은 구획판으로 덮여져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 기기는 천장으로부터 현수해서 사용될 경우도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또한, 최근의 텔레비전 수상기는, 그 표시부가 지극히 커져 왔으므로, 그 표시 효과의 높이를 이용하고, 광고 장치로 해서 옥외에 설치하는 대처도 활발화되고 있다.
이 경우, 텔레비전 수상기가 옥외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본체 케이스내에 빗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밀폐 구조를 취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 때문에, 이 본체 케이스의 전면 개구부는 표시부에 의해, 또한 배면 개구부는 구획판에 의해, 각각 밀봉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밀폐 구조를 취하면, 본체 케이스내의 표시부 배면측, 및 제어부의 방열이 충분히 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텔레비전 수상기는 본체 케이스의 배면측에 설치한 구획판을 금속제로 하고, 구획판의 내, 외에 금속제의 핀(fin)을 복수 설치하고 있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내의 공기는 송풍기에 의해 교반되어 있었다.
즉, 본체 케이스내의 공기가 송풍기에 의해 교반됨으로써, 본체 케이스내의 열이 본체 케이스내의 핀에 전달된다. 다음에, 본체 케이스내의 열은 열전도에 의해 본체 케이스내의 핀으로부터 구획판을 통해서 본체 케이스 외의 핀으로 이동되고, 옥외 공기에 방열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평7-322172 호 공보
그러나, 금속제 구획판의 내, 외에 금속제의 핀을 복수 설치한 구조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지극히 무거워진다. 이렇게 방열 구조가 무거워지면, 텔레비전 수상기 자체도 무거워져, 옥외의 높은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복수면으로 구성되는 전자 기기의 하나의 면에 장착되어 전자 기기의 내부측과 외부측을 구획하는 구획판과, 외부측에 배치되고, 전자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체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에 있어서, 구획판은 제 1 통기구 및 제 2 통기구를 갖고, 열교환체는, 외부측에 있어서, 제 1 통기구와 제 2 통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풍로가 간격을 두고서 병렬로 배치된 온풍로체와, 풍로의 사이의 외기가 통과하는 통기로에 의해 구성되며, 외부측에는 내부측의 공기를 제 1 통기구로부터 온풍로체를 통해서 제 2 통기구에 송풍하는 송풍기를 설치하고 있다.
그 결과, 전자 기기 내부의 열을 송풍기의 송풍에 의해, 전자 기기의 외부측의 열교환체로 이동시키고,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다. 열교환체는 경량의 온풍로체로부터 구성되므로, 방열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설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하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통기로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풍로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본체 케이스를 횡장(橫長)으로 설치했을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본체 케이스를 종장(縱長)으로 설치했을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하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상면도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11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하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배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대류 풍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방열 풍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을 전자 기기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개관 도면이다.
도 17b는 도 17a의 17B-17B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구획판에 열전도 부재를 접촉시키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개관 도면이다.
도 19b는 도 19a의 19B-19B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c는 도 19a의 19C-19C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을 전자 기기의 횡장으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을 전자 기기에 종장으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개관도이다.
도 21b는 도 21a의 21B-21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를 금속제의 히트싱크로 했을 경우의 개관 도면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를 구획판에 설치한 도면이다.
도 2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정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외기 통과 개소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2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온풍 통과 개소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본체 케이스를 횡장으로 설치했을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2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본체 케이스를 종장으로 설치했을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의 전자 기기의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외기 통과 개소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29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온풍 통과 개소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30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정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전자 기기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외기 통과 개소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3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온풍 통과 개소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개관 도면이다.
도 35b는 도 35a의 35B-35B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5c는 도 35a의 35C-35C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구획판을 고 발열 부품에 접촉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다른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개관 도면이다.
도 38b는 도 38a의 38B-38B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8c는 도 38a의 38C-38C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의 전자 기기의 표시 패널을 횡장으로 설치했을 경우의 배면도이다.
도 4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의 전자 기기의 표시 패널을 종장으로 설치했을 경우의 배면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일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와 구획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와 구획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9는 도 47b의 49A-49A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0은 도 47b의 50C-50C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의 E부 확대도이다.
도 53은 도 51의 F부 확대도이다.
도 54는 도 52의 54G-54G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5는 도 49의 통풍로의 형상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56은 도 50의 통풍로의 형상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57은 도 52의 송풍기 흡입구 부근의 확대도와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7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9는 도 58의 59H-59H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0은 도 59의 통풍로의 형상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풍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정면도이다.
도 6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측면도이다.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전자 기기의 구성과 풍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6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외측의 풍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설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전자 기기의 일 예인 표시 장치(1)는 텔레비전 수상기로서의 기능 이외에 옥외에 있어서의 광고용의 표시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표시 장치(1)는 상점(2)의 처마밑(3), 즉 옥외에 설치되어, 옥외에 있어서 횡장, 장방형상(사각형의 일 예)의 표시부(4)가 전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후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횡(橫)은 수평을 종(縱)은 연직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면측은 표시부(4)가 배치되고 있는 측이며, 배면측은 표시 장치(1)에 있어서 표시부(4)에 대향하는 측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면으로 구성되는 표시 장치(1)는 본체 케이스(5)와, 표시부(4)와, 제어부(6)와, 방열 유닛(7)과, 배면 커버(8)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체 케이스(5)는 전면과 배면이 개구하고, 전면과 배면은 횡장의 장방형상이다. 표시부(4)는 본체 케이스(5)의 전면 개구부를 덮고, 수밀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제어부(6)는 본체 케이스(5)의 내부에 있어서 표시부(4)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표시부(4)의 제어를 행한다. 방열 유닛(7)은 본체 케이스(5)의 배면 개구부를 수밀 상태에서 복수로 분할해서 덮고 있다. 배면 커버(8)는 방열 유닛(7)의 외표면을 통기할 수 있는 상태로 덮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방열 유닛(7)이 좌우로 배열해서 배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5)의 배면 개구부는 이들 4개의 방열 유닛(7)에 의해 수밀 상태로 덮여져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정면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상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측면도이며,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하면도이다. 도 4,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방열 유닛(7)은 각각 구획판(9)과, 열교환체(10)와, 송풍기(11)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종장의 장방형상의 금속제의 구획판(9)은, 도 3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1)를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5) 배면 개구부에 장착되어, 본체 케이스(5)의 내부와 외부를 수밀 상태로 구획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9)은 표시 장치(1)의 하나의 면(53)에 장착되어, 표시 장치(1)의 내부측(50)과 외부측(51)을 구획한다.
열교환체(10)는 구획판(9)의 외부측(51)에 배치되고, 표시 장치(1)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기와 열교환한다.
송풍기(11)는 구획판(9)의 본체 케이스(5)의 외부측(5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4개의 방열 유닛(7)의 구획판(9)은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종장의 장방형상으로 했지만, 본체 케이스(5)의 형상 등에 의해 횡장의 장방형상으로도, 정사각형으로도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방열 유닛(7)을 1개의 방열 유닛(7)으로 했을 경우에는, 구획판(9)은 1개의 횡장의 장방형상으로 이루어진다.
4개의 구획판(9)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상변에 따라 상부에 제 1 통기구인 상방 통기구(12)가 설치되고, 또한 하변에 따라 하부에 제 2 통기구인 하방 통기구(13)가 설치되어 있다. 즉, 구획판(9)은 표시 장치(1)의 하나의 면(53)에 4개 설치되어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통기로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풍로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체(10)는 외부측(51)에 있어서, 상방 통기구(12)와 하방 통기구(13)를, 종장의 풍로(52)가 간격을 두고 복수개 병렬해 종방향에 교가 형상으로 연결된 온풍로체(14)와, 풍로(52)와 풍로(52) 사이의 외기가 통과하는 통기로(1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온풍로체(14)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통형상이다. 송풍기(11)는 내부측(50)의 공기를 상방 통기구(12)로부터 온풍로체(14)를 통해서 하방 통기구(13)에 송풍한다.
또한, 복수의 풍로(52)는 상방 통기구(12)측 및 하방 통기구(13)측에 있어서 1개로 집합되고, 상방은 상방 통기구(12)에 연결되고, 하방은 하방 통기구(13)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풍로(52)가 하방 통기구(13)에 연결하는 하방 집합통(14a) 내에 송풍기(11)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송풍기(11)는 미리 구획판(9)의 하방 통기구(13)에 설치되고, 송풍기(11)의 외주를 덮도록 온풍로체(14)의 하방 집합통(14a)을 씌울 수 있다. 즉, 풍로(52)는 하방 집합통(14a)을 통해서 하방 통기구(13)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풍로체(14)의 상방 통기구(12)의 하단부와, 하방 통기구(13)의 상단부 사이에 있어서, 구획판(9)과 풍로(52) 사이에는 대류 통로(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하는 배면 커버(8)는 상하, 좌우로의 통기가 가능한 많은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5)는 전면 개구부가 표시부(4)에 의해, 또한 배면 개구부가 구획판(9)에 의해, 각각 수밀 상태로 덮여져 있다. 이 때문에, 표시부(4) 및 제어부(6)의 열이 본체 케이스(5) 내에 갇힌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상술한 방열 유닛(7)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11)가 구동되면, 도 6b의 화살표(A)와 같이, 본체 케이스(5) 내의 열은 온풍으로서 상방 통기구(12)로부터 온풍로체(14) 내에, 즉 본체 케이스(5) 외부로 반송된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5) 내의 온풍은 온풍로체(14)를 하방 통기구(13)와 하방으로 진행해서 온도가 저하한 후, 다시 송풍기(11)에 의해 본체 케이스(5) 내에 분출된다.
이때,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좌우로의 통기가 가능한 배면 커버(8)로부터 화살표(B)와 같이 진입한 외기가 온풍로체(14)의 외표면에 따라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온풍로체(14) 내를 하강하는 온풍(A)과 외기(B, C)가 열교환되어, 온풍로체(14) 내를 하강하는 온풍이 냉각된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냉각풍이 송풍기(11)에 의해 하방 통기구(13)로부터 제어부(6)의 고온부(55)에 내뿜어 져서, 제어부(6)가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온풍로체(14)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그 판 두께는 얇다. 이 때문에, 합성 수지의 열전도율이 금속보다도 작아도, 충분한 열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의 온풍로체(14)는 구획판(9)측에 대류 통로(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대류 통로(16)에도 화살표(C)와 같이, 배면 커버(8)로부터 진입한 외기가 상승하고, 외기와 온풍로체(14) 내의 온풍과의 열교환은 충분히 행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본체 케이스를 횡장으로 설치했을 경우의 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전자 기기의 본체 케이스를 종장으로 설치했을 경우의 사시도이다. 표시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도 7b와 같이 수평 방향의 길이가 연직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란 횡장의 본체 케이스(5)가 연직 방향의 길이가 수평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란 종장으로 설치될 경우도 있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5)가 횡장의 장방형상의 경우, 본체 케이스(5)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방 통기구(12)를 배치하고, 본체 케이스(5)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방 통기구(13)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5)가 종장의 장방형상의 경우, 본체 케이스(5)의 좌우의 한쪽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방 통기구(12)를 배치하고, 본체 케이스(5)의 좌우의 다른 쪽에 대응하는 위치에 하방 통기구(13)를 배치하고 있다.
본체 케이스(5)를 종장으로 설치했을 경우, 외기는 각각의 온풍로체(14)의 대류 통로(16) 내를 직선 형상으로 상승한다. 이 때문에, 이 경우에도 외기와 온풍로체(14) 내의 온풍과의 열교환은 충분히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본체 케이스(5) 내에 갇혀진 표시부(4) 및 제어부(6)의 열은, 방열 유닛(7)에 의해, 본체 케이스(5) 외부로 반송되어, 외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또한, 방열 유닛(7)의 온풍로체(14)는 본체 케이스(5) 외부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자 기기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쉽다. 즉, 본 실시형태 1에서는, 종래와 같이 표시 장치(1) 내부에까지 방열 대책용으로 방열 핀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표시 장치(1)의 내부의 열은, 송풍기(11)의 송풍에 의해, 표시 장치(1)의 외부측에 배치한 열교환체(10)로 이동시켜서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방열 유닛(7)을 사용한 전자 기기는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에 있어서는, 송풍기(11)는 구획판(9)의 외부측(51)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획판(9)의 내부측(50)은 평면 상태로 되므로, 제어부(6)의 설계 배치 자유도가 높아진다.
또한, 송풍기(11)는 냉각 공기를 하방 통기구(13)로부터 본체 케이스(5) 내에 분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송풍 저항이 높아지지 않고, 대량의 냉각 공기가 제어부(6)에 분출되어,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하방 통기구(13) 근방에 고온부(55)가 설치되는 것에 의해, 하방 통기구(13)로부터의 냉각 공기가 제어부(6)의 고온부(55)에 직접 분출되어, 제어부(6)의 냉각 효과는 더욱 높아진다.
또한, 송풍기(11)에 있어서도, 냉각후의 공기가 통과하므로, 과도하게 송풍기(11)의 온도가 높아지는 일이 없어지고, 그 수명이 연장한다.
(실시형태 2)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만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정면도이며,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상면도이며,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측면도이며, 도 9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하면도이다.
도 8 및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풍로체(14)에 설치된 각각의 통기로(15)의 길이를 하방 집합통(14a)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에 따라서 짧게 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방 통기구(12)로부터 하방 통기구(13)까지의 각각의 통기로(15)의 길이를 동등하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온풍로체(14)에 흐르는 공기량을 균일화하고, 열교환체(10) 전체의 열교환 효율이 높게 된다.
(실시형태 3)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만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정면도이며, 도 11b는 실시형태 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상면도이며, 도 11c는 실시형태 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측면도이며, 도 11d는 실시형태 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하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풍로체(14)의 각각의 풍로(52)는 하방 집합통(14a)에 있어서 합류되어 있다. 그리고, 하방 집합통(14a)에는 온풍로체(14)의 풍로(52)와, 통기로(15)로 맞춰서 요철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방열 유닛(7)을 온풍로체(14)의 통풍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보면, 표시 장치(1)의 배면측은 풍로(52)가 볼록 부분으로 되고, 통기로(15)가 오목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이 요철에 맞추도록, 하방 집합통(14a)에도 요철의 열이 설치되어 있다. 즉, 하방 집합통(14a)에는, 통기로(15)에 연통하도록 통풍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방 통기구(12)로부터 하방 통기구(13)를 향하는 온풍은 풍로(52)의 형상을 따라서 원활하게 흐른다. 또한, 하방 집합통(14a)에서는, 통풍 홈(17)에 의해 풍로(52) 내를 흐르는 온풍의 열은 보다 효율적으로 방출된다. 통기로(15)를 흐르는 외기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흐르는 것이지만, 하방 집합통(14a)에 설치한 통풍 홈(17)에 의해 원활하게 통기로(15)에 도입된다. 통풍 홈(17)과 통기로(15)에 따라 외기가 흐르므로 풍로(52) 내를 흐르는 온풍과의 열교환이 효율적으로 행해진다.
(실시형태 4)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기기인 표시 장치(101)는, 예를 들어 약국의 점포의 옥외측에 현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101)의 표시부(102)에는, 예를 들어 "마스크가 입하했습니다."와 같이, 사람들이 바라며 기다리고 있는 상품의 입하 상황을 리얼 타임으로 고객에 통지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배면도이며,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대류 풍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방열 풍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1)의 이면에는 다수의 구멍을 설치한 배면 커버(103)가 설치되어 있다. 배면 커버(103)는,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과 배면은 다수의 구멍에 의해 각각 제 1 개구(104), 제 2 개구(105) 및 제 3 개구(106)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101)에는, 상기와 같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 예로 하는 전자 표시 기기를 사용한 표시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1)의 내부에는, 표시부(102)에 정보를 영상으로서 표시하게 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07)가 배치되고, 제어부(107)를 덮는 커버(10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108)의 배면은 제어부(107) 배면측을 개구하고, 이 개구를 덮는 구획판(109)이 설치되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09)의 내부측에는 송풍기(110), 구획판(109)의 외부측에는 열교환체(111)가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체(111)는 프레임(112)에 의해 구획판(109)에 압접되어서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108)와 구획판(109)이 표시 장치(101)의 이면측으로부터 배면 커버(103)에 의해 덮인다.
또한, 구획판(109)은 상부의 1변에 평행 또한 횡장으로 형성한 상방 통기구(113)와, 하부의 1변에 평행 또한 횡장으로 형성한 하방 통기구(114)를 갖는다. 즉, 구획판(109)의 상부와 하부에 개구된 2개의 개구인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는 수평 방향으로 신장된 횡장 개구이다.
그리고, 제 1 통기구인 상방 통기구(113)와 제 2 통기구인 하방 통기구(114)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열교환체(111)의 산(山)(115a)의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한다. 또한,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09)의 반대측의 면에는, 상방 통기구(113) 근방에, 송풍기(1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110)는 커버(108)의 내측 또한 제어부(107)의 상부에 배치된다. 송풍기(110)의 토출측은 구획판(109)의 상방 통기구(113)에 연결되어 있다. 즉, 송풍기(110)는 구획판(109)의 개구로부터 열교환체(111)에 공기를 불어 들어오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기(110), 구획판(109), 열교환체(111) 및 프레임(112)으로 방열 유닛(116)이 구성된다.
즉, 표시 장치(101)의 제어부(107)의 배면측이 개구부로 되고, 이 개구부가 방열 유닛(116)의 구획판(109)에 의해 덮여져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을 전자 기기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4a, 도 14b 내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7)의 배면측에, 방열 유닛(116)이 일체화해서 설치되어 있다. 방열 유닛(116)은 횡장의 표시 장치(101)의 제어부(107)를 블록마다로 구획해서, 각각에 열교환체(111)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송풍기(110)는 복수의 송풍 팬(110a)이 수평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개관도이며, 도 17b는 도 17a의 17B-17B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체(111)는 표시 장치(101)의 외부측을 향해서 연직 방향에 산(115a)과 골(115b)을 교대로 반복하는 산골 부분(115)과, 골이 연속하는 골간 형상부(117)를 교대로 수평 방향에 배열한 합성 수지제의 판체이다. 열교환체(111)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수지를 사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골 부분(115)과 골간 형상부(117)는 열교환체(111)의 표리에 있어서 연직 방향의 길다란 홈 형상의 통풍로를 형성한다. 산골 부분(115)의 이면에 방열 풍로(122)와, 골간 형상부(117)의 표면에 대류 풍로(121)를 형성한다.
그리고,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 풍로(122)는, 열교환체(111)의 내부측에 산골 부분(115)이 배열되어서 형성한 복수의 홈에 의해, 연직 방향의 풍로가 형성된다. 이 풍로는 구획판(109)에 설치한 개구인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방향이 변경되고, U자 형상의 풍로가 형성된다.
또한,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09)에 있어서, 산골 부분(115)의 골(115b)에 대향하는 부분이 표시 장치(101)의 내부측으로 향해서 팽출된다. 그리고, 산(115a)과 골(115b)이 교대로 사행(蛇行)되어져, 공기를 통과시키는 방열 풍로(122)가 형성된다. 방열 풍로(122)가 형성될 때, 구획판(109)은 산골 부분(115)의 산(115b)에 대응시켜서 표시 장치(101)의 내측을 향해서 팽출시킨 팽출대(123)를 구비한다.
또한, 대류 풍로(121)는 복수의 골간 형상부(117)가 배열되어서 연직 방향에 풍로가 형성되고, 배면 커버(103)의 제 1 개구(104), 제 2 개구(105) 및 제 3 개구(106)를 통해서 외기와 연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의 전자 기기의 구획판에 열전도 부재를 접촉시키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09)은 열전도 부재(124)를 통해서 표시 장치(101)의 발열 부품(125)에 접촉시킨다. 특히, 구획판(109)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등의 재료가 사용되면, 발열 부품(125)의 열이 열전도 부재(124)를 통해서 직접 구획판(109)에 전도하고, 열교환체(111)에 발열 부품(125)의 열을 전하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표시 장치(101)를 구동하고, 표시부(102)를 점등시키면, 사람들이 바라며 기다리고 있는 상품의 입하 상황을 표시할 수 있지만, 제어부(107) 내의 회로 부품이 큰 열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옥외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표시 장치(101)에서는, 옥내의 텔레비전의 표시에 비해 표시부(102)의 발광 휘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고, 매우 큰 전력과 그것에 수반하는 큰 열이 발생한다. 또한, 표시 장치(101)는 옥외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해서, 먼지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제어부(107)를 커버(108) 및 방열 유닛(116)에 의해 덮고 있다. 그 때문에 표시 장치(101)의 내부는 밀폐된 상태이며, 표시 장치(101)의 내부는 매우 큰 열이 갇힌다.
따라서, 표시부(102)의 표시가 개시되면, 송풍기(110)가 구동된다. 커버(108) 내에 있어서, 제어부(107)의 상방의 공기는 상방 통기구(113)로부터 열교환체(111)에 압입되어, 하방의 하방 통기구(114)로부터 다시 표시 장치(101) 내에 분출된다.
그리고, 송풍기(110)에 의해, 커버(108) 내의 공기가 강제적으로 방열 풍로(122)를 순환한다. 이에 의해, 열교환체(111)의 내부에, 제어부(107)로부터 발생한 열이 전달된다.
즉, 열교환체(111)의 내측, 즉 산골 부분(115)의 내측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합성 수지제의 판체를 경계로 해서 산골 부분(115)의 내측의 공기와 표시 장치(101)의 외부측의 공기 사이에 온도 구배가 발생하고, 배면 커버(103)의 내측에 공기의 자연 대류가 발생한다. 이 자연 대류에 의해, 열교환체(111)의 골간 형상부(117) 내를 공기가 빠져나가, 제 1 개구(104), 제 3 개구(106)로부터 공기가 외기측에 흘러서 상승 기류가 발생하고, 제 2 개구(105)로부터 외기가 유입한다. 그리고, 자연 대류가 촉진되어, 방열 효과가 현저해진다. 또한, 열교환체(111)의 내부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제 3 개구(106)에서는, 열교환체(111)의 대류 풍로(121)와 외기 사이에 있어서, 도 1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부적인 대류인 미소 대류(121a)가 발생한다. 미소 대류(121a)에 의한 공기의 출입에 의해 열교환체(111) 내부, 즉 표시 장치(101) 내부의 방열이 촉진된다.
열교환체(111)는 합성 수지제의 판체로서 폴리스티렌 수지를 사용한 것에 의해 경량화된다. 특히, 방열용의 부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을 주 재료로 하는 히트싱크에 비해, 열교환체(111)는 각별한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한, 열교환체(111)를 일체 성형에서 형성함으로써 표시 장치(101)의 내부측과 외부측의 기밀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 5에서는, 실시형태 4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개관도이며, 도 19b는 도 19a의 19B-19B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9c는 도 19a의 19C-19C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골 부분(115)의 산(115b)에 인접하는 골간 형상부(117)에는, 산(115b)과 같은 높이로 융기시킨 돌출 형상(117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골간 형상부(117)의 구성, 즉 돌출 형상(117a)에 따르면, 골간 형상부(117)의 내부측과 구획판(109) 사이에 풍로 확대부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방열 풍로(122)를 흐르는 공기는 풍로 확대부에도 유입하기 쉬워진다. 즉, 돌출 형상(117a)을 형성함으로써, 골간 형상부(117)의 통기 저항이 작아지고, 골간 형상부(117)를 흐르는 공기가 증대한다. 또한, 골간 형상부(117)는 외부측에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고, 표시 장치(101)의 내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열을 보다 많이 외기에 방열시킬 수 있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을 전자 기기에 횡장으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을 전자 기기에 종장으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2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1)가 횡장으로 설치되었을 경우, 각각의 골간 형상부(117) 사이의 대류 풍로(121)에 외기가 흐르고, 표시 장치(101)의 내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된다. 또한, 표시 장치(101)가 도 20b와 같이 종장으로 설치되었을 경우, 외기가 도 19a의 산골 부분(115)의 산(115b)을 통과해 간다. 이때, 돌출 형상(117a)과 산(115b)의 높이가 같으므로, 상승 기류에 의한 공기의 이동이 원활해져 방열 효과가 증대한다.
(실시형태 6)
본 실시형태 6에서는, 실시형태 4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2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개관도이며, 도 21b는 도 21a의 21B-21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 6에서는, 열교환체(111)의 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시키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4의 산골 부분(115)의 산(115a)에 대체해서 본 실시형태 6에서는, 도 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115c)을 구비한 점이 상이하다.
산(115c)은,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부를 관통하는 터널부(115d)가 설치되어 있다. 터널부(115d)는 열교환체(111)의 외부측에 있어서 외기를 유통시킨다. 또한, 열교환체(111)의 내부측에 있어서 방열 풍로(122)를 보다 사행되게 한다.
그리고, 방열 풍로(122)를 흐르는 공기는, 산골 부분(115)의 산(115c)과 산(115b)을 흐를 때, 산(115c)에 있어서 터널부(115d)에 의해 크게 사행되어지게 해서 흐른다. 또한, 대류 풍로(121)를 흐르는 공기는 골간 형상부(117)에 따라 흐르고, 터널부(115d)에 있어서 인접하는 골간 형상부(117)의 공기와 출입을 반복하면서 상승해 간다. 즉, 전열 면적이 크게 되어 표시 장치(101) 내의 공기의 방열이 크게 된다.
특히, 표시 장치(101)를 도 20b와 같은 종장으로 설치했을 경우, 외기가 터널부(115d)를 통과하고, 보다 큰 방열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형태 7)
본 실시형태 7에서는, 실시형태 4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를 금속제의 히트싱크로 했을 경우의 개관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제의 히트싱크(126)의 산골 부분(127)은 산(127a)과 골(127b)을 교대로 반복해서 형성되어 있다. 히트싱크(126)는 산(127a)을 관통하는 터널부(127d)를 설치하고, 표시 장치(101)의 배면에 배치됨으로써, 표시 장치(101)의 설치 방향을 종횡 바꾸어도 충분한 방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실시형태 8)
본 실시형태 8에서는, 열교환체(111)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본 실시형태 8에서는, 실시형태 4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를 구획판에 설치한 도면이며, 도 2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체(111)는 산골 부분(115)과 골간 형상부(117)를 교대로 배치한 주요부(128)와, 산골 부분(115)과 골간 형상부(117)의 단면을 밀봉하는 단면부(129)에 의해 구성된다. 단면부(129)는 주요부(128)의 단면을 외측으로부터 덮는다.
그리고, 열교환체(111)는 주요부(128)의 외측에 단면부(129)를 덮어 용착시켜서 일체로 한다.
그 결과, 열교환체(111)는 표시 장치(101)의 형상에 맞춰서, 주요부(128)의 길이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다.
(실시형태 9)
본 실시형태 9에서는, 실시형태 4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표시 장치(101)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35)와, 표시부(102)와, 제어부(107)와, 복수의 방열 유닛(116)과, 배면 커버(103)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체 케이스(135)는 전면과 배면이 개구되고, 횡장이다. 표시부(102)는 본체 케이스(135)의 전면 개구부에 수밀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제어부(107)는 본체 케이스(135)의 내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표시부(102)의 제어를 행한다. 방열 유닛(116)은 본체 케이스(135)의 배면 개구부에 수밀 상태에서 배치되어 있다. 배면 커버(103)는 방열 유닛(116)의 배면측이 통기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 9에서는 도 24와 같이 3개의 방열 유닛(116)을 좌우로 배열하고, 본체 케이스(135)의 배면 개구부가 복수의 방열 유닛(116)에 의해 수밀 상태로 덮여 있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5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정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외기 통과 개소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며, 도 26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온풍 통과 개소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3개의 방열 유닛(116)은, 각각 도 25a, 도 25b, 도 26a,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1)를 구성하는 본체 케이스(135)의 배면 개구부에 장착되어 있다. 방열 유닛(116)은 본체 케이스(135)의 내부와 외부를 수밀 상태에서 구획하는 종장의 금속제의 구획판(109)과, 구획판(109)의 본체 케이스(135)의 외부측에 배치한 복수의 열교환체(111)와, 구획판(109)의 본체 케이스(135)의 내부측에 배치한 복수의 송풍기(1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구획판(109)은 본 실시형태 9에서는 종장의 직사각형으로 했지만, 본체 케이스(135)의 형상 등에 의해 횡장의 장방형상으로도, 정사각형으로도 좋다. 예를 들어, 3개의 방열 유닛(116)을 1개의 방열 유닛(116)으로 했을 경우, 구획판(109)은 1개의 횡장의 장방형상으로 된다.
구획판(109)은, 도 24, 도 25a, 도 2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의 횡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상방 통기구(113)가, 하부에는 횡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하방 통기구(114)가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체(111)는, 구획판(109)의 본체 케이스(135)의 외부측에 있어서, 복수의 상방 통기구(113)와 복수의 하방 통기구(114)가, 각각 종장의 온풍로체(140)에 의해 연직 방향에 교가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온풍로체(140)는 합성 수지제의 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온풍로체(140)는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 사이를, 본체 케이스(135)의 외측에 있어서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송풍기(110)는, 도 26a,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35)의 내부측의 공기를 구획판(109)의 상방 통기구(113)로부터 온풍로체(140), 하방 통기구(114)에 순서대로 송풍한다. 통풍 저항을 내리기 위해서 하방 통기구(114)는 상방 통기구(113)보다도 개구 면적을 크게 하고 있다.
또한, 도 2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 통기구(113)를 형성할 때, 상방 통기구(113) 부분에 대응하는 구획판(109) 부분을 연직 방향의 중심선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35) 내측에 잘라 세우고 있다. 그 결과, 인접하는 상방 통기구(113) 사이에 돌기 형상의 가이드체(141)가 형성된다.
즉, 상방 통기구(113)의 개수의 쪽이 송풍기(110)의 개수보다도 많으므로, 적은 송풍기(110)로부터 많은 상방 통기구(113)에 온풍을 효과적으로 배분하기 위해서, 가이드체(1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방 통기구(114)에 있어서도 상방 통기구(113) 부분과 마찬가지로, 하방 통기구(114) 부분에 대응하는 구획판(109) 부분을, 연직 방향의 중심선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35) 내측에 잘라 세우고, 인접하는 하방 통기구(114) 사이에 돌기 형상의 가이드체(141)가 형성된다.
즉, 하방 통기구(114)로부터 분출하는 공기가 하방 통기구(114) 근방에 설치된 가이드체(141)에 의해 유로의 급확대를 일으키는 일이 없이 통기 저항이 증대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온풍로체(140)는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를 교가 형상으로 연결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획판(109)과 온풍로체(140) 사이에는, 대류 통로(1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면 커버(103)는 상하, 좌우로의 통기가 가능하지만, 배면 커버(103)와 온풍로체(140) 사이에는, 도 26a,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로(14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25a, 도 25b에 도시하는 장착판(118)은, 복수의 상방 통기구(113) 및 복수의 하방 통기구(114)를 일체화하기 위해서, 상하에 설치한 판체이다. 도시하지 않고 있지만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에 대응하는 장착판(118)의 부분에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본체 케이스(135)는 그 전면 개구부가 표시부(102)에 의해, 또한 배면 개구부가 구획판(109)에 의해 수밀 상태로 덮여져 있다. 이 때문에, 표시부(102) 및 제어부(107)의 열이 본체 케이스(135) 내에 갇힌다.
송풍기(110)를 구동하면, 도 26b와 같이, 본체 케이스(135) 내의 열은 온풍으로서 상방 통기구(113)로부터 온풍로체(140), 본체 케이스(135) 외부로 반송된다.
그 후, 온풍로체(140)를 통과중에 냉각된 공기가 하방 통기구(114)로부터 본체 케이스(135) 내에 반송되어, 제어부(107)의 냉각이 행해진다.
도 2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본체 케이스를 횡장으로 설치했을 경우의 사시도이며, 도 2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의 전자 기기의 본체 케이스를 종장으로 설치했을 경우의 사시도이다. 온풍로체(140) 통과중의 공기는, 도 26a 및 도 2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면 커버(103)로부터 진입한 외기가 온풍로체(140)의 표면을 따라 상승해 냉각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9에서는, 온풍로체(140)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있지만, 그 판 두께는 얇다. 이 때문에, 합성 수지의 열전도율이 금속보다도 작아도, 열저항을 합성 수지는 금속보다 작게 할 수 있고, 충분한 열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9의 온풍로체(140)는, 구획판(109)측에 대류 통로(14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대류 풍로(142)내의 외기와 온풍로체(140) 내의 온풍과의 열교환이 행해진다.
도 27b는 횡장의 본체 케이스(135)를 종장으로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표시 장치(101)의 표시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횡장의 본체 케이스(135)를 종장으로 설치할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횡장의 본체 케이스(135)가 종장으로 설치되었을 경우, 외기는 각각의 온풍로체(140)의 대류 통로(142) 내를 직선 형상으로 상승한다. 이 때문에, 외기와 온풍로체(140) 내의 온풍과의 열교환은 충분히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체 케이스(135) 내에 갇혀진 표시부(102) 및 제어부(107)의 열은, 방열 유닛(116)에 의해, 본체 케이스(135) 외부로 반송되어, 외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또한, 방열 유닛(116)의 온풍로체(140)는 본체 케이스(135) 외부에만 설치되고 있으므로, 경량화가 도모하기 쉽다.
(실시형태 10)
본 실시형태 10에서는, 실시형태 4 및 실시형태 9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의 전자 기기의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외기 통과 개소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며, 도 29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온풍 통과 개소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30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0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정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8 내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09)의 상방 통기구(113)의 하단부와 하방 통기구(114)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한 대류 통로(142)에, 온풍로체(140)와 대략 직교하는 복수의 정류 가이드(144)가 소정 간격을 갖고서 설치되어 있다.
도 2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장의 본체 케이스(135)를 종장으로 설치했을 경우, 각각의 온풍로체(140)의 대류 통로(142) 내를 직선 형상으로 상승하는 외기가 정류 가이드(144)에 의한 정류 작용을 받고, 원활하게 상승된다.
또한, 정류 가이드(144)는 금속제이며, 마찬가지로 금속제의 구획판(109)으로부터 본체 케이스(135)의 열이 열전도하므로,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0에서는, 도 29a, 도 2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7)로부터 금속제의 구획판(109)에 열을 전도시키는 열전도 부재(124)가 설치되고 있어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온풍로체(140)는 합성 수지제로 하고 있으므로,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의 중앙 부분에 설치한 정류 가이드(144)의 선단은 도 29b와 같이 온풍로체(140)에 접촉시켜, 지지하는 것에 의해, 합성 수지제의 온풍로체(140)가 열에 의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부분을 제외한 상기 이외의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의 근방에 있어서, 정류 가이드(144)의 선단은 도 29b와 같이, 온풍로체(140)에는 비접촉 상태로 하고, 이에 의해 온풍로체(140)의 상하 단부가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도 28에 있어서 정류 가이드(144)의 폭은 상방 통기구(113) 또는 하방 통기구(114)의 폭보다도 작게 하고 있다. 즉, 정류 가이드(144)의 폭이 상방 통기구(113) 또는 하방 통기구(114)의 폭보다도 크면, 본체 케이스(135)를 횡장으로 설치했을 때, 통풍로(143)를 상승하는 외기의 상승력을 약화시키게 된다.
(실시형태 11)
삭제
본 실시형태 11에서는, 실시형태 4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전자 기기를 배면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3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외기 통과 개소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며, 도 33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온풍 통과 개소에 있어서의 종단면도이다.
배면 커버(103)의 내측에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 유닛(116)이 배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101)는, 표면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 예로 하는 전자 표시 기기를 사용한 표시부(102)가 설치되어 있다.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1)의 내부에는, 표시부(102)에 정보를 영상으로서 표시하게 하는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107)가 배치되고, 제어부(107)를 덮는 커버(10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108)의 배면은 제어부(107)의 후방측을 개구하고, 이 개구를 덮는 구획판(109)이 설치되어 있다.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구획판(109)에는, 커버(108)의 내부측에 송풍기(110), 커버(108)의 외부측에 열교환체(111)가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체(111)는 프레임(112)에 의해 구획판(109)에 압접되어서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108)와 프레임(112)을 표시 장치(101)의 이면측으로부터 배면 커버(103)가 덮는다. 배면 커버(103)는, 상면과 측면 및 저면에,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는 그물망 또는 격자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구획판(109)은, 상부의 1변에 평행 또한 횡장에 형성한 상방 통기구(113)와, 하부의 1변에 평행 또한 횡장에 형성한 하방 통기구(114)를 갖는다. 즉,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는 수평 방향으로 신장된 횡장 개구이다.
그리고,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는 열교환체(111)의 제 3 풍로(147)의 유입구(148)와, 유출구(149)의 위치에 대향시켜서 배치한다. 또한, 구획판(109)의 반대측의 면에는, 하방 통기구(114)에 대향시켜서, 송풍기(11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송풍기(110)는 커버(108)의 내측의 제어부(107)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기(110)의 토출측은 상방 통기구(113)에 연결되어 있다. 즉, 송풍기(110)는 구획판(109)의 개구로부터 열교환체(111)의 제 3 풍로(147)의 유입구(148)에 공기를 불어 넣는다.
또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110)는 복수의 송풍 팬(110a)이 수평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도 3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개관도이며, 도 35b는 도 35a의 35B-35B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5c는 도 35a의 35C-35C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열교환체(111)는,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수지를 사용해서 성형한 판체를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파트(parts)에 의해 구성한다. 또한, 열교환체(111)는, 도 35b에 도시하는 표시 장치(101)의 외부와는 차단된 방열 풍로(122)와, 도 35c에 도시하는 외부에 연통한 대류 풍로(121)를 갖는다. 즉, 열교환체(111)는 내부에 방열 풍로(122), 외부에 대류 풍로(121)를 구비하고 있다.
열교환체(111)는 다수의 연결 기둥(150)과, 방열 프레임(151)을 갖고, 방열 프레임(151)의 내측에 대류 풍로(1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 기둥(150)은 구획판(109)과 평행하게 설치한 베이스판(152)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고 있다. 방열 프레임(151)은 베이스판(152)과, 연결 기둥(150)과, 연결 기둥(150)의 단부를 결합하는 방열판체(153)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 기둥(150)은 그 단면이 원형 형상이며, 베이스판(152)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바둑판의 눈금처럼 행과 열을 직선 형상으로 배열하고, 방열판체(153)와 연결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방열판체(153)는, 소정의 간격에 대응시켜서, 즉 연결 기둥(150)이 배치된 부분을 제외하고, 바둑판의 눈금처럼 배열한 다수의 통기 구멍(154)을 구비하고 있다. 통기 구멍(154)은 방열판체(153)에 관통된 구멍이다.
또한, 연결 기둥(150)과 방열판체(153)는 그 내부가 공동이며, 공동 부분은 방열 풍로(122)의 일부를 형성한다. 즉, 구획판(109)과 베이스판(152) 사이에 제 1 풍로(145), 방열판체(153)의 내부에 제 2 풍로(146), 연결 기둥(150)의 내부에 제 3 풍로(147)가 형성되어 있다. 도 3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체(111)의 내부에는, 표시 장치(101) 내부를 순환하는 방열 풍로(1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풍로(145)에는,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 사이를 구획하는 횡장으로 형성한 차폐벽(155)이 설치되어 있다. 차폐벽(155)에 의해 제 1 풍로(145)는 상방 통기구(113)에 연통하는 제 1 풍로(145a)와, 하방 통기구(114)에 연통하는 제 1 풍로(145b)로 구획된다. 또한, 제 3 풍로(147)는 제 1 풍로(145a)에 연통하는 제 3 풍로(147a)와, 제 1 풍로(145b)에 연통하는 제 3 풍로(147b)로 나뉜다. 그리고, 제 3 풍로(147a)와 제 3 풍로(147b)는 각각 적어도 단부의 일렬을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에 대향시키고 있다. 즉, 상방 통기구(113)에 대해서는 최상부의 일렬의 유입구(148), 하방 통기구(114)에 대해서는 최하부의 일렬의 유출구(149)를 대향시키고 있다.
그리고, 도 3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 풍로(122)는 열교환체(111)의 내부측에 배열되어서 형성한 제 1 풍로(145)와 제 2 풍로(146)에 의해, 연직 방향의 풍로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풍로(147)에 의해, 제 1 풍로(145)와 제 2 풍로(146)를 연통시키는 수평 방향의 풍로가 복수 형성된다. 열교환체(111)를 출입하는 공기는 구획판(109)에 설치한 상방 통기구(113)와 하방 통기구(114)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표시 장치(101)의 내부측에는, U자 형상의 풍로가 형성된다.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구획판을 고 발열 부품에 접촉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획판(109)은 표시 장치(101)의 내측에 열전도 부재(124)를 통하고, 전력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대표로 하는 발열 부품(125)에 접촉시킨다. 여기서, 구획판(109)과 발열 부품(125)을 접촉시키는 부분은 차폐벽(155)보다 상측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표시 장치(101)를 구동하고, 표시부(102)를 점등시키면, 제어부(107) 내의 회로 부품이 큰 열을 발생시키지만, 사람들이 바라며 기다리고 있는 상품의 입하 상황을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즉, 옥외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표시 장치(101)에서는, 옥내의 텔레비전의 표시에 비해 표시부(102)의 발광 휘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고, 매우 큰 전력과 그것에 수반하는 큰 열이 발생한다. 또한, 표시 장치(101)는 옥외에 있어서 사용하기 위해서, 먼지나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제어부(107)를 커버(108) 및 방열 유닛(116)에 의해 덮는다. 표시 장치(101)의 내부는 밀폐된 상태이며, 매우 큰 열이 갇히는 구성이다.
따라서, 표시부(102)의 표시를 개시하면, 송풍기(110)를 구동시키고, 커버(108) 내에 있어서 제어부(107)의 상방의 공기는 상방 통기구(113)로부터 열교환체(111)에 압입되고, 하방에서는 하방 통기구(114)로부터 다시 표시 장치(101) 내에 분출된다. 즉, 열교환체(111)의 내부에 압입된 공기는, 차폐벽(155)의 작용에 의해, 제 1 풍로(145a)로부터 제 3 풍로(147a)를 통과해서 제 2 풍로(146)에 흐르고, 방열판체(153)의 내부를 흐른다. 그 공기는, 제 3 풍로(147b)를 통과해서 제 1 풍로(145b)로 흐르고, 하방 통기구(114)로부터 표시 장치(101) 내에 분출된다.
여기서, 제 3 풍로(147a)는 최상부의 열이 상방 통기구(113)에 대향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기(110)에 의해 압입된 공기는 일부가 유입구(148)에 직접 불어 넣어져, 빠르게 제 2 풍로(146)에 흘러 넣어진다. 또한, 제 3 풍로(147b)는 최하부의 일렬이 하방 통기구(114)에 대향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풍로(146)를 흐르는 공기는 방열판체(153)의 내부의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미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기(110)에 의해, 커버(108) 내의 공기가 강제적으로 방열 풍로(122)를 순환한다. 이에 의해, 열교환체(111)의 내부에, 제어부(107)로부터 발생한 열이 전달된다.
즉, 구획판(109)의 외측에 위치하는 열교환체(111)의 내측, 즉 제 1 풍로(145), 제 2 풍로(146), 제 3 풍로(147)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리고, 합성 수지제의 판체를 경계로 해서 열교환체(111)의 내측의 공기와, 표시 장치(101)의 외부측의 공기 사이에 온도 구배가 발생하고, 배면 커버(103)의 내측에 공기의 자연 대류가 발생한다. 이 자연 대류에 의해, 열교환체(111)의 방열 프레임(151) 내를 공기가 흐르고, 배면 커버(103)의 상면을 관통해서 상승 기류가 발생한다. 그리고, 배면 커버(103)의 저면으로부터 외기가 유입하고, 자연 대류가 촉진되어 방열 효과를 현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체(111)의 내부 온도가 상승함으로써, 통기 구멍(154) 부분에서는, 대류 풍로(121)와 외기 사이에 있어서, 도 3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부적인 공기의 출입이 발생해서 미소 대류(121a)가 발생한다. 미소 대류(121a)에 의한 방열 프레임(151) 내의 공기의 출입에 의해, 열교환체(111)의 내부, 즉 표시 장치(101) 내부의 열의 방열이 촉진된다. 그리고, 미소 대류(121a)의 작용에 의해, 배면 커버(103)의 배면을 그물망 또는 격자로 해서 통기성을 갖는 구조에 해 두면, 또한 방열이 촉진한다.
열교환체(111)는 합성 수지제의 판체로서 폴리스티렌 수지를 사용한 것에 의해 경량화된다. 특히, 방열용의 부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알루미늄을 주 재료로 한 히트싱크에 비해, 폴리스티렌 수지의 열교환체(111)는 각별한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한, 연결 기둥(150)은 단면을 원형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제 1 풍로(145)로부터 제 2 풍로(146)에의 공기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되고, 방열 풍로(122)를 흐르는 공기의 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구획판(109)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하면, 발열 부품(125)의 열이 열전도 부재(124)를 통해서 직접 구획판(109)에 전도하고, 열교환체(111)에 발열 부품(125)의 열을 전달하고,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1에서는, 다수의 연결 기둥(150)이 베이스판(152)에 소정의 간격을 두어서 바둑판의 눈금처럼 행과 열을 직선 형상으로 배열한 예를 설명했지만, 체크 무늬 형상으로 모두도 좋다. 이 경우, 배면 커버(103)의 내측에 발생하는 자연 대류의 풍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바둑판의 눈금과 같이 연결 기둥(150)을 위치시킬 경우에 비해, 연결 기둥(150)의 배치는 1.4배 정도의 간격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의 다른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연결 기둥(150)은, 대류 풍로(121)에 있어서 전열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서, 핀(156)을 외주에 설치해도 좋다. 핀(156)을 외주에 설치함으로써, 방열 효과가 증대한다.
(실시형태 12)
본 실시형태 12에서는, 실시형태 4 및 실시형태 1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 12에서는, 실시형태 11의 차폐벽(155)을 복수 구비한 형태를 설명한다.
도 3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개관도이며, 도 38b는 도 38a의 38B-38B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8c는 도 38a의 38C-38C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 12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111)는 방열판체(153)의 내부에 제 2 풍로(146)를 2개로 나누는 차폐벽(155a)과, 구획판(109)과 베이스판(152) 사이에 제 1 풍로(145)를 3개로 나누는 차폐벽(155b, 155c)을 구비한다. 즉, 제 2 풍로(146)는, 차폐벽(155a)에 의해 상방 통기구(113)측의 제 2 풍로(146a)와, 하방 통기구(114)측의 제 2 풍로(146b)로 구획된다.
또한, 제 1 풍로(145)는, 차폐벽(155b)을 상방 통기구(113)측에 배치해서 상방 통기구(113)측의 제 1 풍로(145a)가 형성되고, 차폐벽(155c)을 하방 통기구(114)측에 배치해서 하방 통기구(114)측의 제 1 풍로(145b)가 형성된다. 그리고, 차폐벽(155b)과 차폐벽(155c)에 의해 끼워지고, 제 1 풍로(145c)가 형성된다.
또한, 제 3 풍로(147)는, 제 1 풍로(145c)와 제 2 풍로(146a)를 연통시키는 제 3 풍로(147c)와, 제 1 풍로(145c)와 제 2 풍로(146b)를 연통시키는 제 3 풍로(147d)로부터 구성된다. 즉, 제 1 풍로(145)와 제 2 풍로(146)에는, 풍로를 구획하는 횡장으로 형성한 차폐벽(155b)과 차폐벽(155c)과 차폐벽(155a)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 1 풍로(145)는, 제 2 풍로(146)에 비해, 차폐벽을 1개 많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쪽의 개구로부터 공기를 흘려 넣고, 다른 쪽의 개구로부터 인출하는 공기는 제 1 풍로(145)로부터 제 3 풍로(147)를 통해서 제 2 풍로(146)에 적어도 2왕복시켜서 흐르게 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인 표시 장치(101)의 내부측으로부터 공기가 강제적으로 열교환체(111) 내에 송풍되어, 열교환체(111)를 통해서 표시 장치(101)의 외부측에 보다 많은 열이 방열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차폐벽(155a, 155b, 155c)에 의해, 열교환체(111)의 내부에, 상방 통기구(113)로부터 제 1 풍로(145a), 제 3 풍로(147a), 제 2 풍로(146a), 제 3 풍로(147c), 제 1 풍로(145c), 제 3 풍로(147d), 제 2 풍로(146b), 제 3 풍로(147b), 제 1 풍로(145b) 및 하방 통기구(114)에 연통하는 방열 풍로(122a)가 형성된다. 그리고, 방열 풍로(122a)의 공기를 흐르게 하는 것에 의해, 이 공기는 베이스판(152)과 방열판체(153) 사이를 2왕복해서 흐른다. 그 결과, 표시 장치(101)의 외측의 대류 풍로(121)에의 방열 면적이 실시형태 11보다 더욱 크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합성 수지제의 판체를 경계로 해서 표시 장치(101)의 내부측의 공기와, 외부측의 공기 사이에 온도 구배가 발생하고, 배면 커버(103)의 내측에 공기의 자연 대류가 발생한다. 이 자연 대류에 의해, 열교환체(111)의 방열 프레임(151) 내를 공기가 흘러서 배면 커버(103)의 상면을 관통해서 상승 기류가 발생한다. 그리고, 배면 커버(103)의 저면으로부터 외기가 유입하고, 자연 대류가 촉진되어 방열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 12는, 제 1 풍로(145)측의 차폐벽을 2개, 제 2 풍로(146)측의 차폐벽을 1개 설치한 것이지만, 차폐벽의 개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3 풍로(147)를 형성하는 연결 기둥(150)의 배열에 따라, 연결 기둥(150)의 사이에 차폐벽이 배치되면 방열 효과는 보다 현저해진다.
단, 제 1 풍로(145)측의 차폐벽의 수는 제 2 풍로(146)측의 차폐벽의 수보다 1개 많이 설치한다. 이에 의해, 상방 통기구(113)로부터 유입한 공기가 열교환체(111) 내를 제 1 풍로(145)측과 제 2 풍로(146)측을 왕복해서 방열하고, 하방 통기구(114)로부터 다시 표시 장치(101) 내에 분출한다. 상기와 같이, 제 1 풍로(145)측과 제 2 풍로(146)측을 공기가 왕복하는 횟수는 제 1 풍로(145)측에 배치한 차폐벽의 수로 의해 결정된다.
(실시형태 13)
본 실시형태 13에서는, 실시형태 4 및 실시형태 11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39 및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체(111)로부터 표시 장치(101) 내에 분출하는 공기는 하방 통기구(114)를 통하지 않고 복수의 제 3 풍로(147b)로부터 각각 분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109)은, 상방 통기구에 대신에, 상부에 송풍기(110)의 분출풍을 열교환체(111)내 공기에 유입시키는 횡장으로 형성한 안내(157)를 설치하고, 하방 통기구(114)는 설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13의 열교환체(111)는 실시형태 11의 제 1 풍로(145)와 차폐벽(155)을 구비하지 않고 있다.
도 40에 있어서, 제 3 풍로(147)는 실시형태 11과 마찬가지로 송풍기(110)에 연통하는 제 3 풍로(147a)와, 표시 장치(101) 내에 공기를 직접 분출하는 제 3 풍로(147b)로 구별된다. 제 3 풍로(147a)는 송풍기(110)의 분출에 대향하는 유입구(148)와, 표시 장치(101) 내에 공기를 분출하는 유출구(149)를 구비하고 있다. 제 3 풍로(147b)는 제 3 풍로(147a)로부터 이격되는 것에 따라서,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 3 풍로(147)는 최상부의 적어도 일렬은 제 3 풍로(147a)로서 유입구(148)를 구비하고, 제 3 풍로(147a)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제 3 풍로(147b)는 일렬마다에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대류 풍로(121)에서의 방열을 고려해서 방열 풍로(122)의 제 3 풍로(147b)의 단면 형상은 횡폭을 변화시키지 않고 종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횡 이웃하는 연결 기둥(150)의 투영 형상이 동등해지도록 제 3 풍로(147)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 3 풍로(147b)의 단면적을 상술한 바와 같이 변화시켜도 대류 풍로(121)를 흐르는 공기는 확실하게 연결 기둥(150)에 접하면서 상승할 수 있고, 자연 대류에 의한 방열 효과가 확보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송풍기(110)에 의해, 안내(157)로부터 유입구(148)에 불어 넣어진 공기는 제 3 풍로(147a)로부터 제 2 풍로(146)에 유입한다. 제 3 풍로(147b)로부터 표시 장치(101) 내에 다시 분출된 공기는 표시 장치(101)와 열교환체(111) 내를 순환한다. 그리고, 열교환체(111)를 형성하는 판체를 통해서, 대류 풍로(121)의 공기와 열교환을 반복하고, 표시 장치(101) 내의 열을 외기에 방열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 13과 같이 제 3 풍로(147)의 최상부의 적어도 일렬은 제 3 풍로(147a)로서 유입구(148)를 구비하고, 제 3 풍로(147b)는 일렬마다에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101) 내에 유출구(149)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는 풍로 저항의 배분이 제 3 풍로(147b)의 단면적에 의해 조정되고, 유입구(148)에 가까운 유로와 먼 유로와의 차이를 해소해서 균일하게 분출된다.
또한, 방열 풍로(122)의 제 3 풍로(147b)의 단면 형상을 종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대류 풍로(121)에 있어서 다음 열의 연결 기둥(150)이 이전 연결 기둥(150)의 큰 통풍 저항으로 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대류 공기는 모든 연결 기둥(150)의 외측에, 착 달라붙으면서 상방으로 흐를 수 있다. 이에 의해, 연결 기둥(150)을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했을 경우에 비해, 방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원기둥 형상으로 하면, 상부에 배치한 연결 기둥(150)은 하부에 배치한 연결 기둥(150)의 그늘(陰)로 이루어져 대류 풍로(121)를 흐르는 공기가 연결 기둥(150)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실시형태 14)
본 실시형태 14에서는, 실시형태 4 및 실시형태 11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41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의 전자 기기의 표시부를 횡장으로 설치했을 경우의 배면도이며, 도 41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의 전자 기기의 표시부를 종장으로 설치했을 경우의 배면도이다.
도 4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02)는 통상 연직 방향의 길이에 비해 수평 방향의 길이를 길게 해서 설치한다. 즉, 열교환체(111)에 설치한 방열 프레임(151) 내를 표시 장치(101)의 짧은 방향으로 흘러서 방열이 행해진다.
그러나, 표시 장치(101)가 광고, 상품 정보의 발신 및 포스터의 용도로 사용될 경우, 사용 장소 또는 표시 내용에 의해, 도 4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직 방향을 길게 해서 설치할 경우도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101)는 사용 현장에서의 상황에 따라, 연직 방향, 수평 방향을 상관없이 설치되어도 내부의 방열을 행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실시형태 11, 12에서는, 방열 프레임(151)은 연결 기둥(150)을 바둑판의 눈금처럼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배면 커버(103)는 천장면과 저면 및 측면에 통기 구조인 그물망 또는 격자를 배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동일한 표시 장치(101)를 종장으로 설치해도 횡장으로 설치해도 대류 풍로(121)는 동일하게 확보되어, 열교환체(111)의 방열의 효과도 동등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체(111)의 내부의 방열 풍로(122)에 대해서는, 송풍기(110)에 의해 강제적으로 공기를 불어 넣는 구성이므로, 당연히 표시 장치(101)의 설치 방향에 좌우되지 않는다.
즉, 표시 장치(101)의 설치 방향을 연직, 수평 가능하게 설치해도, 전자 장치의 배면에 설치한 방열 유닛(116)은 그 설치에 적합한 것에 좌우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전자 장치의 내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열은 강제적으로 방출된다.
(실시형태 15)
본 실시형태 15에서는, 실시형태 4 및 실시형태 9와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5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확대 분해 사시도이다.
온풍로체(140)는 상방 통기구(113)에 연결하는 상방 풍로체(158)와, 하방 통기구(114)에 연결하는 하방 풍로체(159)와, 상방 풍로체(158)와 하방 풍로체(159) 사이를 연결한 중간 풍로체(1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방 풍로체(158)는 구획판(109)의 외면에 장착하는 장착판(161)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하방 풍로체(159)는 구획판(109)의 외면에 장착하는 장착판(162)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상방 풍로체(158)의 하단부에는, 중간 풍로체(160)의 중간 풍로체 상단부(160a) 내에 삽입하는 하단부 삽입부(158a)가 설치되어 있다. 하방 풍로체(159)의 상단부에는, 중간 풍로체(160)의 중간 풍로체 하단부(160b)내에 삽입하는 상단부 삽입부(159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방 풍로체(158)의 하단부 삽입부(158a)가 중간 풍로체 상단부(160a) 내에 삽입된다. 하방 풍로체(159)의 상단부 삽입부(159a)는 중간 풍로체 하단부(160b)내에 삽입된다.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 풍로체(158), 중간 풍로체(160) 및 하방 풍로체(159)기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상방 풍로체(158)의 하단부 삽입부(158a)와 중간 풍로체 상단부(160a) 사이 그리고 하방 풍로체(159)의 상단부 삽입부(159a)와 중간 풍로체 하단부(160b) 사이는 접착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삽입부에 있어서, 공기 누설이 발생하거나, 여기로부터 비가 온풍로체(140) 내에 침입하는 일은 없다. 또한, 접착제의 일 예로서 코킹재를 사용하면, 비가 온풍로체(140) 내에 침입하는 것을 또한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다음에, 온풍로체(140)를 구성하는 상방 풍로체(158), 중간 풍로체(160), 하방 풍로체(159)의 두께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방 풍로체(158), 중간 풍로체(160) 및 하방 풍로체(159)는 모두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중간 풍로체(160)의 두께는 상방 풍로체(158), 하단부 삽입부(158a), 하방 풍로체(159) 및 상단부 삽입부(159a)의 두께보다도 얇게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상방 풍로체(158) 및 하방 풍로체(159)는 구획판(109)의 외면에 장착하는 장착판(161)과, 장착판(162)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방 풍로체(158) 및 하방 풍로체(159)는 구획판(109)에 대하여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두께가 필요해진다.
또한, 중간 풍로체(160)에의 하단부 삽입부(158a)와 상단부 삽입부(159a)의 삽입 때문에, 하단부 삽입부(158a)와 상단부 삽입부(159a)는 약간 두껍게 하고 있다. 그러나, 하단부 삽입부(158a) 및 상단부 삽입부(159a)는 중간 풍로체(160)보다 두껍게 하고 있다.
한편, 중간 풍로체(160)는 상방 풍로체(158) 및 하방 풍로체(159)보다도 두껍게 한다. 이 때문에, 중간 풍로체(16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류에 의해 진동하기 쉽고, 그것에 의해 중간 풍로체(160) 외표면에 먼지가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이와 같은 진동이 있으면, 벌레 등도 정착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중간 풍로체(160) 외표면은 항상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어, 높은 방열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중간 풍로체(160)는 상방 풍로체(158) 및 하방 풍로체(159)보다도 유연하게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 15에서는, 종래와 같이 표시 장치(101) 내부에까지 방열 대책용에 방열 핀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표시 장치(101)의 내부의 열은 송풍기(110)의 송풍에 의해 표시 장치(101)의 외부측에 배치한 열교환체(111)로 이동시켜서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자 기기는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5에서는, 열교환체(111)는, 구획판(109)의 표시 장치(101)의 외부측에 있어서, 복수의 상방 통기구(113)와 복수의 하방 통기구(114)가 각각 온풍로체(140)에 의해 연직 방향에 교가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온풍로체(140)는 상방 통기구(113)에 연결하는 상방 풍로체(158)와, 하방 통기구(114)에 연결하는 하방 풍로체(159)와, 상방 풍로체(158)와 하방 풍로체(159) 사이를 연결한 중간 풍로체(16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101)의 크기에 맞춰서 열교환체(111)의 크기가 변경되면 좋다. 즉, 온풍로체(140)를 구성하는 중간 풍로체(160)의 길이가 변경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지극히 생산성이 좋다.
(실시형태 16)
도 4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배면측의 사시도이며, 도 4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배면측의 분해 사시도이다. 전자 기기인 표시 장치(201)는 본체 케이스(204)와, 표시부(203)와, 본체 케이스(204)의 내부에 배치된 방열판(205) 및 고 발열 부재(206)와, 방열 유닛(207)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본체 케이스(204)는 전면과 배면이 개구하고 있다. 표시부(203)는 본체 케이스(204)의 전면 개구부에 밀폐 상태에 의해 배치되어 있다. 방열 유닛(207)은 본체 케이스(204)의 배면 개구부에 밀폐 상태에 의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 16에서는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방열 유닛(207)이 좌우로 배열되고, 본체 케이스(204)의 배면 개구부를 밀폐 상태로 덮고 있다.
또한, 방열판(205)은 표시부(203)의 배면에 배치되고, 표시부(203)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해 고온이 된다.
또한, 고 발열 부재(206), 예를 들어 전자 부품은 방열판(205)상에 배치되고, 표시부(203)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도 4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일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6, 도 47a 및 도 4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열 유닛(207)은 본체 케이스(204)의 배면 개구부에 장착되고, 구획판(208)과, 열교환체(209)와, 복수의 송풍기(212)와, 제 1 공간(213)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구획판(208)은 본체 케이스(204)의 내부와 외부를 밀폐 상태에서 구획한다. 열교환체(209)는 본체 케이스(204)의 외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기(212)는 송풍기 흡입구(210)와 송풍기 분출구(211)를 갖고 있다. 제 1 공간(213)은 열교환체(209)와 송풍기(212) 사이의 공간이다.
또한, 열교환체(209)는 종장의 통풍로(214)와, 통풍로(214)의 양단부에 제 1 통기구인 순환풍 흡입구(215)와 제 2 통기구인 순환풍 분출구(216)를 갖고 있다. 또한, 열교환체(209)는 본체 케이스(204)의 외부측에 있어서, 순환풍 흡입구(215)와 순환풍 분출구(216)가 통풍로(214)에 의해 종방향으로 연통된 통형상이다.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열교환체(209)는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체(209)는 종방향에 있어서 직선 형상이기 때문에, 순환풍 흡입구(215)와 순환풍 분출구(216)도 마찬가지로 횡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4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와 구획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와 구획판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구획판(208)은 열교환체(209)에 순환풍을 흡입시키기 위한 횡장에 형성한 상부의 개구와, 열교환체로부터 순환풍을 분출시키기 위한 하부의 개구를 갖는다.
그리고, 상부의 개구에는 복수의 순환풍 흡입구(215)가, 하부의 개구에는 복수의 순환풍 분출구(216)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9는 도 47b의 49A-49A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49는 도 47b 및 도 48b에 있어서 도시하는 순환풍 흡입구(215)의 중심선(B) 및 순환풍 흡입구(215)에 대하여 수직 또한 순환풍 흡입구(215)에 교차하는 49A-49A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9는 구획부(217)와 통풍로(214)의 상세도이다.
제 1 공간(213)에 있어서 이웃하는 송풍기(212) 사이에 각각의 송풍기(212)로부터 분출되는 순환풍을 구획하는 구획부(217)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순환풍 흡입구(215)측의 통풍로(214)의 형상은 열교환체(209)의 통풍로(214)의 폭이 하류로부터 상류를 향해서 커지고 있다.
도 50은 도 47b의 50C-50C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50은 도 47b 및 도 48에 있어서 도시하는 순환풍 분출구(216)의 중심선(D) 및 순환풍 분출구(216)에 대하여 수직 또한 순환풍 분출구(216)에 교차하는 50C-50C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0은 통풍로(214)의 상세도이다.
순환풍 분출구(216)측의 통풍로(214)의 형상은 열교환체(209)의 통풍로(214)의 폭이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서 커지고 있다.
도 5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6의 전자 기기의 단면도이다. 본체 케이스(204) 내부의 순환풍은 송풍기(212)에 의해 분출되어, 순환풍 흡입구(215)로부터 열교환체(209) 내부에 흡입된다. 흡입된 순환풍은 통풍로(214)를 순환해 순환풍 분출구(216)로부터 본체 케이스(204) 내부에 분출된다. 그리고, 분출된 순환풍은 고 발열 부재(206)를 순환해 다시 송풍기(212)에 흡입된다. 이와 같이, 순환풍은 본체 케이스(204) 내부와 열교환체(209)를 순환하고 있다.
도 52는 도 51의 E부 확대도이다. 축류 송풍기인 송풍기(212)는, 본체 케이스(204)에 있어서의 방열 유닛(207)의 장착면에서 통풍로(214) 순환 방향(X)에 대하여 경사 각도(α)를 붙여서 설치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204) 내부의 순환풍은 순환풍 흡입구(215)로부터 열교환체(209)에 흡입된다.
또한, 통형상의 정류 풍로(218)가 송풍기 흡입구(210)에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정류 풍로(218)는 순환풍의 상류측에 정류 풍로 흡입구(219)와, 순환풍의 하류측에 정류 풍로 분출구(220)를 갖고 있다. 정류 풍로 흡입구(219)의 개구 면적은 정류 풍로 분출구(220)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하고 있다.
또한, 정류 풍로 흡입구(219)에는, 송풍기(212)의 외형 방향으로 넓어지는 정류부(221)가 설치되어 있다. 순환풍 흡입구(215)의 상류에는, 순환풍을 순환풍 흡입구(215)를 향하게 하는 제 1 정류판(222)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정류판(222)은 방열판(205)에 접촉시키고, 고열 전도성 부재,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3은 도 51의 F부 확대도이다. 순환풍 분출구(216)의 하류에는, 분출된 순환풍을 고 발열 부재(206)를 향하게 하는 제 2 정류판(223)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정류판(223)은 방열판(205)에 접촉시키고, 고열 전도성 부재,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풍 흡입구(215)에 흡입되는 순환풍의 온도를 계측하는 순환풍 온도 계측 수단(224), 예를 들어 서미스터가 순환풍 흡입구(215)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16에서는, 본체 케이스(204)는, 전면 개구부가 표시부(203)에 의해, 또한 배면 개구부가 구획판(208)에 의해 밀폐 상태에서 덮여져 있으므로, 표시부(203) 및 고 발열 부재(206)의 열이 본체 케이스(204) 내부에 갇혀진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 16에서는, 상술한 방열 유닛(207)이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212)가 구동되면, 도 51과 같이 본체 케이스(204) 내부의 열은 온풍으로서, 순환풍 흡입구(215)로부터 열교환체(209) 내부에, 즉 본체 케이스(204) 외부에 반송된다. 그 후, 열교환체(209) 부분에 있어서 방열된 온풍이 순환풍 분출구(216)로부터 본체 케이스(204) 내부에 반송되어, 고 발열 부재(206)의 냉각이 행해진다.
도 54는 도 52의 54G-54G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4는 송풍기 분출구(211) 면과 평행 또한 제 1 공간(213)에 교차하는 54G-54G 단면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며, 송풍기(212)의 상세도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공간(213) 내부에 구획부(217)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도 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송풍기(212)로부터 분출된 순환풍과, 이웃하는 송풍기(212)로부터 분출된 순환풍의 간섭이 방지된다. 그 결과, 통풍 저항이 삭감되므로,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삭감된다.
또한, 도 49와 같이 순환풍 흡입구(215)측의 통풍로(214)의 폭이 하류로부터 상류를 향해서 크게 된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체 케이스(204)내로부터 통풍로(214)에의 급격한 단면적 변화가 저감되어, 순환풍의 통풍로(214) 사이에의 충돌에 의한 소용돌이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순환풍이 순환풍 흡입구(215)에 돌입할 때의 돌입 저항이 저감되어, 통풍 저항이 저감되므로,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이 돌입 저항은 도 49의 통풍로의 형상과 비교하는 도면인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통풍 저항으로 이뤄진다. 하나는 순환풍이 열교환체(209)에 불어 넣어지기 직전, 순환풍에 의한 점성에 의해 발생하는 순환풍 흡입구(215)의 외측 근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에 의한 통풍 저항이다. 또 하나는 순환풍이 열교환체(209)에 불어 넣어진 직후, 순환풍에 의한 점성에 의해 발생하는 순환풍 흡입구(215)의 내측 근방에 발생하는 소용돌이에 의한 통풍 저항이다.
또한, 도 50과 같이 순환풍 분출구(216)측의 통풍로(214)의 폭이 상류로부터 하류를 향해서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순환풍이 순환풍 분출구(216)로부터 분출될 때의 통풍로(214)의 급확대에 의한 분출 저항, 및 통풍 저항이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이 저감된다.
이 분출 저항은, 도 50의 통풍로의 형상과 비교하는 도면인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풍이 열교환체(209)로부터 분출된 직후에 발생하는 순환풍 분출구(216) 근방의 소용돌이에 의한 통풍 저항이다.
또한,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류 송풍기인 송풍기(212)가 본체 케이스(204)에 있어서의 방열 유닛(207)의 장착면에서 통풍로(214) 순환 방향(X)에 대하여 경사 각도(α)를 붙여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송풍기(212)가 경사져서 설치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송풍기(212)로부터 분출된 순환풍이 통풍로(214)를 순환할 때의 순환 방향의 변화가 작아진다. 그 결과, 통풍 저항이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도 52의 송풍기 흡입구 부근의 확대도와 비교하는 도면인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 흡입구(210)의 외측 근방에서는 송풍기(212)의 흡입 방향과 동일 방향의 순환풍과, 그 이외의 방향의 순환풍에 의해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그 소용돌이는 송풍기(212)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흡입 저항을 증대시킨다.
여기에서,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 흡입구(210)에 정류 풍로(218)를 구비함으로써, 정류 풍로 흡입구(219)의 외측 근방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송풍기 흡입구(210)의 외측 근방의 소용돌이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 결과, 소용돌이를 송풍기 흡입구(210)로부터 멀리할 수 있으므로, 소용돌이에 의한 송풍기(212)에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송풍기 흡입구(210) 근방의 순환풍의 흐트러짐이 저감되기 때문에, 흡입 저항이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또한, 정류 풍로 흡입구(219)의 개구 면적은 정류 풍로 분출구(220)의 개구 면적보다 크게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정류 풍로 흡입구(219)의 외측 근방의 순환풍의 풍속이 늦어지고, 발생하는 소용돌이의 크기가 작아진다. 순환풍이 정류 풍로(218)에 따르면서 흡입되게 되기 때문에, 정류 풍로(218) 내부의 통풍 저항의 증가가 방지된다. 그 결과, 순환풍은 보다 높은 정류 효과가 얻어지고, 통풍 저항이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또한, 정류 풍로 흡입구(219)에 외형 방향으로 넓어지는 정류부(2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정류부(221)의 외측 근방에 소용돌이가 발생되고, 정류 풍로 흡입구(219)의 외측 근방에 있어서의 소용돌이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 결과, 또한 소용돌이가 송풍기 흡입구(210)로부터 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정류 효과가 얻어지고, 흡입 저항이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또한,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풍 흡입구(215)의 상류에 제 1 정류판(222)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체 케이스(204) 내부를 순환해 온 순환풍이 제 1 정류판(222)에 따르게 해서 정류 풍로 흡입구(219)에 흡입된다. 즉, 본체 케이스(204) 내부를 순환해 온 순환풍의 방향은 송풍기(212)의 흡입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풍기(212)의 흡입 저항이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여기에서, 제 1 정류판(222)은 고열 전도성 부재,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방열판(205)과 접촉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정류판(222)은, 예를 들어 핀과 같이 방열판(205)의 열을 순환풍에 직접 전도한다. 그 결과, 전자 기기는 제 1 정류판(222)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고, 방열에 필요한 순환 풍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또한,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정류판(223)을 설치함으로써, 순환풍 분출구(216)로부터 분출된 순환풍은 제 2 정류판(223)에 따르게 해서 순환시킬 수 있다. 즉, 순환풍 분출구(216)로부터 분출된 순환풍은 고 발열 부재(206)에 원활하게 순환되기 때문에, 통풍 저항이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여기에서, 제 2 정류판(223)은 고열 전도성 부재, 예를 들어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방열판(205)과 접촉되고 있다. 이 때문에, 방열판(205)의 열은 제 2 정류판(223)을 통해서 순환풍에 직접 전도된다. 그 결과, 전자 기기는 제 2 정류판(223)으로부터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고, 방열에 필요한 순환 풍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또한,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풍 온도 계측 수단(224)이 순환풍 흡입구(215)의 상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순환풍 흡입구(215)에 흡입되는 순환풍의 온도가 계측되어, 그 온도를 기초로 송풍기(212)의 송풍량이 제어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204) 내부의 고 발열 부재(206)를 순환한 순환풍을 흡입하는 송풍기(212)의 풍량이 증가되는 것에 의해, 효율적으로 열교환체(209) 부분에 있어서 방열이 행해진다. 그 결과, 본체 케이스(204) 내부의 방열에 필요한 순환 풍량이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또한, 고 발열 부재(206)를 순환하지 않는 순환풍을 흡입하는 송풍기(212)의 풍량이 저감되기 때문에,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또한, 도 49에서는 구획부(217)와 순환풍 흡입구(215) 사이에 간격을 설치했다. 그러나, 구획부(217)를 순환풍 흡입구(215)와 연결시키고, 이웃하는 송풍기(212)로부터 분출되는 각각의 순환풍과 순환풍을 완전하게 구획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웃하는 송풍기(212)로부터 분출된 순환풍에 의한 간섭이 방지되어, 통풍 저항이 저감되므로,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또한, 도 52에서는, 정류부(221)의 형상은 외형 방향으로 넓어지는 원호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정류부(221)의 형상은 외형 방향으로 넓어지는 직선 형상으로 해서도, 정류부(221)의 외측 근방에 소용돌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류 풍로 흡입구(219)의 외측 근방에 있어서 발생하고 있었던 소용돌이가 방지된다. 그 결과, 또한 소용돌이가 송풍기 흡입구(210)로부터 멀리할 수 있어, 보다 높은 정류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흡입 저항이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또한, 도 52에서는 제 1 정류판(222)과, 방열판(205)은 간격을 설치해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정류판(222)은 방열판(205)에 연결되어도, 본체 케이스(204) 내부를 순환해 온 순환풍의 방향을 송풍기(212)의 흡입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송풍기(212)의 흡입 저항이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또한, 도 53에서는 제 2 정류판(223)과, 방열판(205)은 간격을 설치해서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 2 정류판(223)은 방열판(205)에 연결되어도, 순환풍 분출구(216)로부터 분출된 순환풍은 고 발열 부재(206)에 순환되기 때문에, 통풍 저항은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실시형태 17)
본 실시형태 17에서는, 실시형태 16과 같은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5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7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7에서는, 복수의 송풍기(212)와 제 1 공간(213)이 순환풍 분출구(216)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공간(213)은 송풍기 흡입구(210)와 열교환체(209)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도 59는 도 58의 59H-59H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9는 도 58에서 도시하는 순환풍 분출구(216)의 중심선(D) 및 순환풍 분출구(216)에 대하여 수직 또한 순환풍 분출구(216)에 교차하는 59H-59H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9는 구획부(217)와 통풍로(214)의 상세도이다.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공간(213)에 있어서 이웃하는 송풍기(212)사이에, 각각의 송풍기(212)에 흡입되는 순환풍을 구획하는 구획부(217)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 17에서는,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212)가 순환풍 분출구(216)로부터 열교환체(209) 내부의 순환풍을 흡입하는 것에 의해, 순환풍을 순환시키고 있다.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공간(213) 내부에 구획부(2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웃하는 송풍기(212)에 흡입되는 각각의 순환풍과 순환풍에 의한 간섭이 방지된다. 또한, 도 59의 통풍로의 형상과 비교하는 도면인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212)에 흡입되는 순환풍에 의해 발생하고 있었던 소용돌이에 의한 통풍 저항의 증대가 방지된다. 그 결과, 통풍 저항이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또한, 도 59에서는 구획부(217)와, 순환풍 분출구(216) 사이에 간격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구획부(217)가 순환풍 분출구(216)와 연결되어, 이웃하는 송풍기(212)에 흡입되는 각각의 순환풍과 순환풍이 완전하게 구획되도록 해도 좋다. 이웃하는 송풍기(212)에 흡입되는 각각의 순환풍과 순환풍에 의한 간섭과, 도 60에 도시하는 송풍기(212)에 흡입되는 순환풍에 의해 발생하고 있었던 소용돌이에 의한 통풍 저항의 증대가 방지된다. 그 때문에, 통풍 저항이 저감되어, 송풍기(212)의 소비 전력도 저감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형태 17에서도 순환풍 흡입구(215)의 상류에 제 1 정류판(222), 순환풍 분출구(216)의 하류에 제 2 정류판(223)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정류판, 제 2 정류판의 작용 및 효과는 실시형태 16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18)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에서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해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이한 점만을 설명한다.
도 6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풍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온풍로체(14)는 소정의 간격을 두어서 복수의 종방향의 풍로(52)가 교가 연결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온풍로체(14)는 상방 통기구(12)와 하방 통기구(13) 사이에 있어서, 온풍로체(14)에 따라 제 1 통풍로(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온풍로체(14)는 상방 통기구(12)와 하방 통기구(13) 사이에 있어서, 구획판(9)과의 사이에 제 1 통풍로(24)의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제 2 통풍로(2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온풍로체(14)는 공동체이며, 내부에 제 3 통풍로(26)가 형성되어 있다.
도 6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정면도이며, 도 6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측면도이며, 도 6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온풍로체(14)는, 도 6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획판(9)에 가까운 측에 배치해서 상방 통기구(12)와 하방 통기구(13)를 연결하는 베이스부(23)와, 구획판(9)으로부터 먼 측에 배치해서 베이스부(23)를 구획판(9)으로부터 먼 측으로부터 덮개 상방 통기구(12)와 하방 통기구(13)를 연결하는 덮개부(1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부(23)의 두께는 덮개부(18)의 두께보다 두껍다. 그리고,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풍로체(14)는 베이스부(23)에 덮개부(18)를 외측으로부터 끼워 맞춰서 공동체(풍로(52))가 형성되어 있다.
온풍로체(14)는 수지에 의해 성형되고, 또한 베이스부(23)는 덮개부(18)에 비해 두께를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풍로체(14)는 상방 통기구(12)로부터 복수의 풍로(52)로 분할하는 분할부(19)와, 하방 통기구(13)에 의해 복수의 풍로(52)를 1개로 집결하는 하방 집합통(14a)과, 분할부(19)와 하방 집합통(14a)을 연결하는 레인부(21)를 갖고 있다.
그리고, 레인부(21)는 온풍로체(14)의 분할부(19)에 대하여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하방 집합통(14a)에 대하여도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6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인부(21)는 복수의 레인체(22)가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즉, 온풍로체(14)는 복수의 레인체(22)를 나란하게 배치한 레인부(21)를 구비하고 있다. 구획판(9)은 레인체(22)를 나란한 방향이 길다란 장방형의 개구를 갖는 상방 통기구(12)와, 상방 통기구(12)에 비해 종횡의 길이의 차를 작게 한 개구를 갖는 하방 통기구(1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풍기(11)는 표시 장치(1)의 하방, 즉 하방 통기구(13)에 대향시키도록 온풍로체(14)의 하방 집합통(14a)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기(11)는 상방 통기구(12)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하방 통기구(13)로부터 온풍로체(14) 내부를 향해서 분출한다.
그리고, 송풍기(11)는 상방 통기구(12)에 맞춰서 박형의 축류 팬을 1개의 방열 유닛(7)에 대하여 1개 배치하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표시 장치(1)를 구동하고, 표시부(4)를 점등시키면, 플라즈마 백라이트를 사용한 표시부(4)와 제어부(6) 내의 회로 부품이 큰 열을 발생시킨다.
도 64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전자 기기의 구성과 풍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며, 도 64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8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의 열교환체의 외측의 풍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표시부(4)의 표시가 개시되면, 도 6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11)가 구동되어, 표시 장치(1) 내의 상방의 공기는 상방 통기구(12)의 분할부(19)로부터 온풍로체(14)에 흡입된다. 표시 장치(1) 내의 하방의 공기는 하방 집합통(14a)에 모아져서 하방 통기구(13)로부터 다시 표시 장치(1) 내에 분출된다. 즉, 제 3 통풍로(26)를 표시 장치(1) 내의 공기가 흐른다.
또한, 표시 장치(1) 내에 분출된 공기는 표시부(4)의 배면측과 제어부(6)를 통과하고, 다시 상방의 상방 통기구(12)로부터 온풍로체(14) 내에 흡입된다.
한편, 온풍로체(14)의 외측에서는, 도 6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의 배면측에서는, 배면 커버(8)에 메쉬 또는 격자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굴뚝 효과에 의해 자연 대류가 발생하고, 제 1 통풍로(24)를 공기가 상승한다.
그리고, 온풍로체(14)를 형성하는 수지 판체를 통해서 내부의 열이 외기에 방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표시 장치(1) 내의 열은 외기에 방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 18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1) 내에 갇혀진 표시부(4) 및 제어부(6)의 열은 방열 유닛(7)에 의해 표시 장치(1) 외부로 반송되어, 외기에 의해 효과적으로 냉각된다.
또한, 표시 장치(1)의 상방의 공기는 분할부(19)에 의해 폭넓게 흡입되어, 레인부(21)에 있어서 온풍로체(14)를 통해서 외기에 크게 방열한다. 하방 집합통(14a) 및 하방 집합통(14a)에 배치한 송풍기(11)에 의해 표시 장치(1) 내에 공기가 강하게 분출된다. 이 때문에, 표시 장치(1) 내의 공기는 많이 순환되어, 방열 유닛(7)에 의한 방열의 효과가 증대한다.
그리고, 방열 유닛(7)의 온풍로체(14)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하고, 표시 장치(1)의 배면에 설치한 구획판(9)의 외부에만 설치되고 있으므로, 경량화가 도모된다.
온풍로체(14)는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해서 베이스부(23)와, 덮개부(18)를 조합해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표시 장치(1) 내에 있어서 발생한 온도의 높은 공기가 전자 기기의 내부에 흘려지기 때문에, 베이스부(23)와 덮개부(18)의 조합이 중요해진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 18과 같이, 베이스부(23)의 두께는 덮개부(18)보다도 두껍게 한다. 즉, 두께가 두꺼운 베이스부(23)에 두께가 얇은 덮개부(18)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것에 의해, 열팽창시의 팽창에 의한 변화량에 차이가 발생하고, 끼워 맞춤력이 유지된다. 얇은 수지에 비해, 두꺼운 수지는 열팽창시의 변화량이 크기 때문에, 온풍로체(14) 내에 온도의 높은 공기가 흘러도, 내측의 베이스부(23)가 외측의 덮개부(18)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양자의 끼워 맞춤이 강해진다.
또한, 온풍로체(14)의 중에서 가늘고 길게 형성해 길이 방향으로 되는 레인부(21)는 분할부(19)에 대하여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하방 집합통(14a)에 대하여도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열팽창에 의한 변형이 적어지고, 탄력성을 발생시키고, 구획판(9)에 연결한 분할부(19)와 하방 집합통(14a)으로부터 받는 응력이 흡수된다. 온풍로체(14)의 밀봉성이 장기에 걸쳐 확보되고, 신뢰성이 높은 방열 유닛(7)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는 대형 또한 외외 설치의 표시 장치로서 유용하다.
1, 101, 201 : 표시 장치
2 : 상점
3 : 처마밑
4, 102, 203 : 표시부
5, 135, 204 : 본체 케이스
6, 107 : 제어부
7, 116, 207 : 방열 유닛
8, 103 : 배면 커버
9, 109, 208 : 구획판
10, 111, 209 : 열교환체
11, 110, 212 : 송풍기
12, 113 : 상방 통기구
13, 114 : 하방 통기구
14, 140 : 온풍로체
14a : 하방 집합통
15 : 통기로
16, 142 : 대류 통로
17 : 통풍 홈
18 : 덮개부
19 : 분할부
21 : 레인부
22 : 레인체
23 : 베이스부
24 : 제 1 통풍로
25 : 제 2 통풍로
26 : 제 3 통풍로
50 : 내부측
51 : 외부측
52 : 풍로
53 : 하나의 면
54 : 연결면
55 : 고온부
104 : 제 1 개구
105 : 제 2 개구
106 : 제 3 개구
108 : 커버
110a : 송풍 팬
112 : 프레임
115, 127 : 산골 부분
115a, 115c, 127a : 산
115b, 127b : 골
115d, 127d : 터널부
117 : 골간 형상부
117a : 돌출 형상
118, 161, 162 : 장착판
121 : 대류 풍로
121a : 미소 대류
122, 122a : 방열 풍로
123 : 팽출대
124 : 열전도 부재
125 : 발열 부품
126 : 히트싱크
128 : 주요부
129 : 단면부
141 : 가이드체
143, 214 : 통풍로
144 : 정류 가이드
145, 145a, 145b, 145c : 제 1 풍로
146, 146a, 146b : 제 2 풍로
147, 147a, 147b, 147c, 147d : 제 3 풍로
148 : 유입구
149 : 유출구
150 : 연결 기둥
151 : 방열 프레임
152 : 베이스판
153 : 방열판체
154 : 통기 구멍
155, 155a, 155b, 155c : 차폐벽
156 : 핀
157 : 안내
158 : 상방 풍로체
158a : 하단부 삽입부
159 : 하방 풍로체
159a : 상단부 삽입부
160 : 중간 풍로체
160a : 중간 풍로체 상단부
160b : 중간 풍로체 하단부
205 : 방열판
206 : 고 발열 부재
210 : 송풍기 흡입구
211 : 송풍기 분출구
213 : 제 1 공간
215 : 순환풍 흡입구
216 : 순환풍 분출구
217 : 구획부
218 : 정류 풍로
219 : 정류 풍로 흡입구
220 : 정류 풍로 분출구
222 : 제 1 정류판
223 : 제 2 정류판
224 : 순환풍 온도 계측 수단

Claims (18)

  1. 복수면으로 구성되는 전자 기기의 하나의 면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 기기의 내부측과 외부측을 구획하는 구획판과,
    상기 외부측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외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체를 구비한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제 1 통기구 및 제 2 통기구를 갖고,
    상기 열교환체는, 상기 외부측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기구와 상기 제 2 통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복수개의 풍로가 간격을 두고서 병렬로 배치된 온풍로체와, 상기 풍로의 사이의 외기가 통과하는 통기로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외부측에는 상기 내부측의 공기를 상기 제 1 통기구로부터 상기 온풍로체를 통해서 상기 제 2 통기구에 송풍하는 송풍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는 상기 제 2 통기구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면에 상기 구획판을 복수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로는 하방 집합통을 통해서 상기 제 2 통기구에 연결되고, 상기 하방 집합통내에 상기 송풍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은 사각형 형상이며, 상기 제 1 통기구는 상기 구획판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제 2 통기구는 상기 구획판의 하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로체는 교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로체는, 상기 제 1 통기구의 하단부와 상기 제 2 통기구의 상단부 사이에, 상기 구획판과 상기 풍로 사이에 대류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8. 전면과 배면이 대향하고 상기 전면에 표시부를 배치한 본체 케이스와,
    상기 표시부의 배면측의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한 제어부와,
    상기 배면에 상기 제어부 및 상기 표시부에 있어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제 1 항에 기재의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이 복수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의 복수의 방열 유닛의 외표면은 각각 외기의 통기가 가능한 배면 커버에 의해 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기구 근방에 상기 제어부의 고온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수평 방향의 길이가 연직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란 횡장(橫長)의 장방형상으로 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1 통기구를 배치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2 통기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는 연직 방향의 길이가 수평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란 종장(縱長)의 장방형상으로 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좌우의 한쪽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1 통기구를 배치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좌우의 다른 쪽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2 통기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집합통의 중심으로부터 멀수록 상기 통기로의 길이를 짧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방 집합통에 상기 통기로에 연통하는 통풍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대류 통로에 상기 온풍로체와 직교하도록 복수의 정류 가이드를 소정 간격을 갖고서 설치한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로체는 상기 제 1 통기구에 연결하는 상방 풍로체와, 상기 제 2 통기구에 연결하는 하방 풍로체와, 상기 상방 풍로체와 상기 하방 풍로체를 연결하는 중간 풍로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로체는 상기 구획판에 가까운 측에 배치해서 상기 제 1 통기구와 상기 제 2 통기구를 연결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구획판으로부터 먼 측에 배치해서 상기 베이스부를 상기 구획판으로부터 먼 측으로부터 덮고 상기 제 1 통기구와 상기 제 2 통기구를 연결하는 덮개부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두께가 상기 덮개부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KR1020127014006A 2009-12-03 2010-12-02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KR101340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75130 2009-12-03
JP2009275130A JP5347927B2 (ja) 2009-12-03 2009-12-03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9277296A JP5347931B2 (ja) 2009-12-07 2009-12-07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09-277296 2009-12-07
JPJP-P-2010-003765 2010-01-12
JP2010003765A JP2011146419A (ja) 2010-01-12 2010-01-12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0062359A JP2011198912A (ja) 2010-03-18 2010-03-18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10-062359 2010-03-18
JP2010067617A JP5556288B2 (ja) 2010-03-24 2010-03-24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10-067617 2010-03-24
JPJP-P-2010-109805 2010-05-12
JP2010109805A JP5556348B2 (ja) 2010-05-12 2010-05-12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10-111725 2010-05-14
JP2010111725A JP5556351B2 (ja) 2010-05-14 2010-05-14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10198470A JP5556513B2 (ja) 2010-09-06 2010-09-06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10-198470 2010-09-06
JP2010221144A JP5556545B2 (ja) 2010-09-30 2010-09-30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JP-P-2010-221144 2010-09-30
PCT/JP2010/007020 WO2011067929A1 (ja) 2009-12-03 2010-12-02 電子機器の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318A KR20120093318A (ko) 2012-08-22
KR101340111B1 true KR101340111B1 (ko) 2013-12-10

Family

ID=4411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006A KR101340111B1 (ko) 2009-12-03 2010-12-02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36499A1 (ko)
EP (1) EP2509304A1 (ko)
KR (1) KR101340111B1 (ko)
CN (1) CN102668546A (ko)
WO (1) WO20110679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78A1 (en) * 2018-09-20 2020-03-2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4302B2 (en) 2008-03-03 2014-02-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for an electronic display
US10827656B2 (en) 2008-12-18 2020-11-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for cooling an electronic image assembly with circulating gas and ambient gas
JP5716159B2 (ja) * 2010-07-07 2015-05-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9046255B2 (en) * 2011-05-18 2015-06-02 Sharp Kabushiki Kaisha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DE102011086196A1 (de) * 2011-11-11 2013-05-16 Mekra Lang Gmbh & Co. Kg Monitor sowie Gehäuserückwand für einen Monitor
CN102734710B (zh) * 2012-07-02 2014-10-29 大连唯思德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独立气流通道的主动散热led路灯光源
US10006662B2 (en) 2013-01-21 2018-06-26 Carrier Corporation Condensing heat exchanger fins with enhanced airflow
JP6236876B2 (ja) * 2013-05-24 2017-11-29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150011176A (ko) * 2013-07-22 2015-01-30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냉각 장치
US20160198071A1 (en) * 2014-02-21 2016-07-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liant support for component alignment
CA2947524C (en) 2014-04-30 2018-04-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Back to back electronic display assembly
EP3040766B1 (en) * 2015-01-05 2018-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US9756768B2 (en) * 2015-11-06 2017-09-05 Litemax Electronics Inc. Heat-dissipating structure mounted on back of display unit
WO2017152166A1 (en) 2016-03-04 2017-09-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oling system for double sided display assembly
CN109312945B (zh) 2016-06-15 2022-03-04 亨特风扇公司 吊扇***和电子壳体
KR102584424B1 (ko) * 2016-07-12 202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28091B1 (ko) * 2016-09-28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6771B1 (ko) * 2016-12-02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외 디스플레이장치
KR101885251B1 (ko) * 2016-12-09 2018-09-1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담배 진열장 광고판
KR102300040B1 (ko) * 2017-03-09 2021-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485113B2 (en) 2017-04-27 2019-11-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serviceable and replaceable display
CA3059972C (en) 2017-04-27 2022-01-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isplay bowing
GB2561895B (en) 2017-04-28 2019-10-16 Amscreen Group Ltd Cooling of electronic displays
FR3069747B1 (fr) * 2017-07-27 2019-08-02 Airbus Operations Dispositif pour supporter et connecter des cartes electroniques comprenant un guide de cartes electroniques qui presente des proprietes thermiques ameliorees
JP6546239B2 (ja) * 2017-10-05 2019-07-1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電子装置
KR20190076658A (ko) * 2017-12-22 2019-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602626B2 (en) 2018-07-30 2020-03-24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Housing assembly for an integrated display unit
CN109328001B (zh) * 2018-11-02 2024-01-12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叉车
US11096317B2 (en) * 2019-02-26 2021-08-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loopback cooling
US10795413B1 (en) 2019-04-03 2020-10-0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assembly with a channel for ambient air in an access panel
EP4122065A4 (en) * 2020-03-17 2023-12-13 Abb Schweiz Ag SWITCHGEAR AND SWITCHGEAR ASSEMBLY
US11477923B2 (en) 2020-10-02 2022-10-1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ield customizable airflow system for a communications box
US11778757B2 (en) 2020-10-23 2023-10-0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corpo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US11470749B2 (en) 2020-10-23 2022-10-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orced air cooling for display assemblies using centrifugal fans
US11966263B2 (en) 2021-07-28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for providing compressive forces at electronic display layers
US11762231B2 (en) 2021-08-23 2023-09-1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ducing turbulent flow
US11744054B2 (en) 2021-08-23 2023-08-2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Fan unit for providing improved airflow within display assemblies
US11919393B2 (en) 2021-08-23 2024-03-05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ies inducing relatively turbulent flow and integra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equipment
US11968813B2 (en) 2021-11-23 2024-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isplay assembly with divided interior space
US12010813B2 (en) 2022-07-22 2024-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elf-contained electronic display assembly,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s for the same
US12035486B1 (en) 2022-07-25 2024-07-09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Electronic display assembly with fabric panel communications box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096A (ko) * 2007-02-20 2007-04-02 은석기 평판디스플레이용 방수방진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2172A (ja) 1994-05-20 1995-12-08 Fujitsu General Ltd 表示装置
FR2746177B1 (fr) * 1996-03-14 2000-04-07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utilisant un refrigerant en ebullition et se condensant
JP2003173147A (ja) * 2001-12-05 2003-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
KR20060070176A (ko) * 2004-12-20 2006-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TWM268599U (en) * 2004-12-22 2005-06-21 Hannspree Inc LCD panel with fragrance function
JPWO2006098365A1 (ja) * 2005-03-15 2008-08-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060290812A1 (en) * 2005-06-22 2006-12-28 First International Computer, Inc. All in one media center
KR100747820B1 (ko) * 2005-11-04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 장치
KR100747849B1 (ko) * 2005-11-04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 및 평면 디스플레이 기기의 냉각장치
US7463487B2 (en) * 2005-11-04 2008-12-09 Lg Electronics Inc. Cooling apparatus for flat display device
US8172097B2 (en) * 2005-11-10 2012-05-08 Daktronics, Inc. LED display module
EP1994812B1 (en) * 2006-03-03 2013-07-10 Tte Technology, Inc. Cooling structure for heat generating device
JP2007271841A (ja) * 2006-03-31 2007-10-18 Hitachi Ltd 表示装置
JP4952070B2 (ja) * 2006-06-02 2012-06-13 ソニー株式会社 面状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組立体
US20080068807A1 (en) * 2006-09-20 2008-03-20 Sunonwealth Electric Machine Industry Co., Ltd. Heat-dissipating device for back light source for flat panel display
TWM307949U (en) * 2006-09-22 2007-03-11 Forcecon Technology Co Ltd Heat-dissipating module structure with heat-conductive panel
JP4816517B2 (ja) * 2006-09-28 2011-11-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交換素子
TWI302590B (en) * 2006-10-04 2008-11-01 Sunonwealth Electr Mach Ind Co Heat-dissipating module for a back light se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JP2008096910A (ja) * 2006-10-16 2008-04-24 Sharp Corp 表示装置
CN200976724Y (zh) * 2006-12-07 2007-11-14 深圳市华阳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通讯机柜的热交换器
JP4273357B2 (ja) * 2007-03-06 2009-06-03 船井電機株式会社 薄型表示装置の冷却ファン取付構造、及びプラズマテレビ
US20080222932A1 (en) * 2007-03-09 2008-09-18 Peng Yun Display cabinet for light emitting diode lights and method of use
JP4516582B2 (ja) * 2007-05-15 2010-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CN201064072Y (zh) * 2007-06-11 2008-05-21 张平 一种空对空热交换器
CN201115209Y (zh) * 2007-06-13 2008-09-10 深圳市华阳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带有隔板的热交换器
US20090021126A1 (en) * 2007-07-18 2009-01-22 Datavan International Corp. Display panel
KR101456975B1 (ko) * 2007-09-27 2014-10-31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각유닛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JP5082779B2 (ja) * 2007-11-07 2012-1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平面型表示装置
KR101407622B1 (ko) * 2007-11-09 2014-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TW200932085A (en) * 2008-01-03 2009-07-16 Coretronic Corp Display apparatus
JP5055139B2 (ja) * 2008-01-09 2012-10-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
JPWO2009119442A1 (ja) * 2008-03-25 2011-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CN201263280Y (zh) * 2008-09-25 2009-06-24 奇鋐科技股份有限公司 热交换机机芯之封盖结构
JP5216602B2 (ja) * 2009-01-08 2013-06-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
JP4892078B2 (ja) * 2010-05-11 2012-03-07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JP2013246306A (ja) * 2012-05-25 2013-12-09 Toshiba Corp テレビ、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6096A (ko) * 2007-02-20 2007-04-02 은석기 평판디스플레이용 방수방진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9978A1 (en) * 2018-09-20 2020-03-26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10729042B2 (en) 2018-09-20 2020-07-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09304A1 (en) 2012-10-10
CN102668546A (zh) 2012-09-12
WO2011067929A1 (ja) 2011-06-09
US20120236499A1 (en) 2012-09-20
KR20120093318A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111B1 (ko) 전자 기기의 방열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 기기
CN104776518B (zh) 空气调节器的室外机
US8130494B2 (en) Equipment rack and associated ventilation system
US7269009B2 (en) Case for covering electronic part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2171385B1 (en) Auxiliary cooling system
CN104080314B (zh) 冷却印刷电路板上发热元件的电子组件和方法
CN101453856B (zh) 一种通信设备
CN109716512A (zh) 散热器
CN211233118U (zh) 空调器室外机压缩机腔和电控盒散热结构
CN111649395A (zh) 空调室外机和空调器
JP5556093B2 (ja) 冷却装置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RU87599U1 (ru) Корпус прибора
CN209283081U (zh) 变频器
CN206908505U (zh) 用于开关电源的散热器
JP5347927B2 (ja)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212777671U (zh) 空调室外机和空调器
JP2005180906A (ja) 熱交換装置
KR200262285Y1 (ko) 냉각탑용 엘리미네이터
JP5974260B2 (ja)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347931B2 (ja)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CN211233121U (zh) 空调室外机电控盒散热风道结构
CN216011082U (zh) 一种除湿组件的散热结构及除湿机
CN212588724U (zh) 一种镜面健身设备的散热装置
JP5556513B2 (ja) 放熱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6877234B2 (ja) 床下の気流制御構造と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7